KR20150109726A - 전지모듈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전지모듈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9726A
KR20150109726A KR1020140032885A KR20140032885A KR20150109726A KR 20150109726 A KR20150109726 A KR 20150109726A KR 1020140032885 A KR1020140032885 A KR 1020140032885A KR 20140032885 A KR20140032885 A KR 20140032885A KR 20150109726 A KR20150109726 A KR 20150109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ver
upper cover
coupl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2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7076B1 (ko
Inventor
주승훈
김원욱
임동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2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076B1/ko
Publication of KR20150109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9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6Arrangements of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어셈블리는 일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전극탭을 포함하는 단위전지모듈, 상기 단위전극모듈을 내측에 수용하며,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회동하며,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지모듈의 어셈블리{Battery Module Assembly}
본 발명은 전지모듈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방전과 역방향인 충전과정을 통하여 반복 사용이 가능한 전지이며, 그 종류로는 니켈-카드뮴(Ni-Cd) 전지, 니켈-수소(Ni-MH) 전지, 리튬-금속 전지, 리튬-이온(Ni-Ion) 전지 및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Li-Ion Polymer Battery, 이하 "LIPB"라 함) 등이 있다.
이차전지는 양극, 음극, 전해질, 분리막으로 구성되며, 서로 다른 양극 및 음극 소재의 전압차이를 이용하여 전기를 저장 및 발생시킨다. 여기서, 방전이란 전압이 높은 음극에서 낮은 양극으로 전자를 이동시키는 것이며(양극의 전압 차이만큼 전기를 발생), 충전이란 전자를 다시 양극에서 음극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때 양극물질은 전자와 리튬이온을 받아들여 원래의 금속산화물로 복귀하게 된다. 즉, 이차전지는 충전될 때 금속 원자가 분리막을 통하여 양극에서 음극으로 이동함에 따라 충전 전류가 흐르게 되고, 반대로 방전될 때 금속 원자는 음극에서 양극으로 이동하며 방전 전류가 흐르게 된다.
최근,이차전지는 IT제품, 자동차분야 및 에너지 저장분야 등에서 널리 사용됨으로써 각광받는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IT제품 분야에서 이차전지는 장시간 연속사용이 가능하며, 소형화, 경량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자동차 분야에서는 고출력, 내구성 및 폭발위험을 해소하기 위한 안정성 등을 요구하고 있다. 에너지 저장분야는 풍력, 태양광 발전 등으로 생산한 잉여전력을 저장하는 것으로, 고정형으로 사용됨에 따라 보다 완화된 조건의 이차전지를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니켈-카드늄 전지, 니켈-수소 전지, 니켈-아연전지, 리튬이차전지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중, 리튬 이차전지는 소형 및 대형화가 가능하며, 작동전압이 높고,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다는 이점 때문에 많은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고, 1970년대 초부터 연구개발이 진행되어, 1990년 리튬금속 대신 탄소를 음극으로 이용한 리튬 이온전지가 개발되면서 실용화되었으며, 500회 이상의 사이클 수명과 1 내지 2시간의 짧은 충전시간을 특징으로 하여 이차전지 중 가장 판매 신장률이 높고 니켈-수소 전지에 비해서 30 내지 40% 정도 가벼워 경량화가 가능하다. 또한, 리튬 이차전지는 현존하는 이차전지 중 단위전지 전압(3.0 내지 3.7V)이 가장 높고 에너지밀도가 우수하여, 이동기기에 최적화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전지는 일반적으로 전해액의 종류에 따라 액체 전해질 전지, 고분자 전해질 전지로 분류되며,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 이온전지라 하고,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 폴리머전지라 한다. 또한, 리튬 이차전지의 외장재는 여러가지 종류로 형성될 수 있고, 대표적인 외장재의 종류는 원통형(Cylindrical), 각형(Prismatic), 파우치(Pouch) 등이 있다. 상기 리튬 이차전지의 외장재 내부에는 양극판, 음극판 및 그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세퍼레이터, Separator)가 적층되거나 권취된 전극조립체가 구비된다.
특히, 최근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0069075호에서와 같이,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가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차량, 디젤차량 등의 대기오염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HEV)등의 동력원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다. 소형 모바일 기기들과는 달리, 자동차 등과 같은 중대형 디바이스에는 고출력 대용량의 필요성에 라 다수의 전지셀을 연결한 중대형 전지모듈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하이브리드 자동차등 고출력의 리튬 2차 전지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수십에서 수백개를 직렬 또는 병렬연결하여 고전압을 얻을 수 있는 중대형 전지모듈을 구성할 필요가 있으나, 용접 또는 솔더링공정등을 통해, 상기 전지모듈이 수용되는 하우징 과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덮개를 결합하는 구조는 외부의 진동 또는 충격에 따른 이탈 또는 파손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리튬 2차 전지를 결합하여, 중대형 전지모듈을 구성하는 경우, 상기 리튬 2차전지 중 일부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용접등을 통해, 상기 전지모듈의 상부면을 덮는 상부덮개를 결합하는 경우, 상기 문제가 발생된 리튬 2차전지만을 교체하기 위한 분해 및 조립과정상의 어려움이 있었다.
KR2013-0076503 A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위전지모듈이 내측에 수용되는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 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회동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커버를 통해, 전지모듈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문제가 발생한 개별 단위전지모듈만을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는 전지모듈의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어셈블리는 일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전극탭을 포함하는 단위전지모듈, 상기 단위전극모듈을 내측에 수용하며,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회동하며,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단위전지모듈은 상기 격벽의 사이에 일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단위전지모듈이 안착되는 하부하우징, 상기 단위전지모듈의 전극탭이 형성된 일측면을 커버하는 제 1 측면하우징 및 상기 단위전지모듈의 타측면을 커버하는 제 2 측면하우징으로 구성되며,상기 상부커버는 상기 제 1 측면하우징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회동하는 제 1 상부커버 와 상기 제 2 측면하우징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회동하는 제 2 상부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측면하우징의 외측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제 1 측면하우징의 하단부에 결합된 제 1 측면커버 및 상기 제 2 측면하우징의 외측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제 2 측면하우징의 하단부에 결합된 제 2 측면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전극모듈은 적어도 하나이상의 전지셀 과 상기 전지셀의 외주면을 감싸는 외장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전극탭은 상기 전지셀의 전극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상부커버와 상기 제 2 상부커버는 상호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상부커버와 상기 제 2 상부커버는 각각 상기 제 1 및 2 측면하우징과 결합된 고정단 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커버하는 자유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상부커버 와 상기 제 2 상부커버의 자유단을 결합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고정하는 결합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고정부는 상기 하부하우징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전극모듈의 상기 전극탭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센싱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회로기판이 커버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측면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회로기판은 상기 센싱회로기판의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센싱단자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센싱단자는 대응되는 상기 전극탭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단자는 상기 센싱단자가 결합되는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홈은 양측방향에서 탄성으로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측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단위전지모듈이 안착되는 하우징 과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결합되어 회동하며,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커버 및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단위전지모듈의 양측면을 커버하는 측면커버가 모두 연결되어 형성되는 구조를 통해, 용접 또는 솔더링등의 결합공정없이, 간편하고 빠른 조립으로 전지모듈의 조립성과 생산성의 향상 및 관리가 간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상기 단위전지모듈을 수용한 후,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상부커버 및 측면커버을 회동시키는 작업만으로 상기 단위전지모듈의 측면과 상면이 커버될 수 있으며, 상기 전지모듈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에 대한 강성을 증가시켜, 외부의 충격등으로 인한 파손 또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지모듈을 구성하는 일부의 단위전지모듈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상부커버를 쉽게 개폐하여, 상기 문제가 있는 단위전지모듈을 선택적으로 탈거할 수 있는바, 이를 통해, 전체적인 전지모듈의 동작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지모듈의 전압등을 센싱하기 위한 센싱회로기판을 상기 전지모듈의 전극단자에 탈착이 가능한 삽입구조를 통한 상호 전기적 연결을 시킴으로써, 종래의 용접 또는 솔더링등을 통한 접합시, 외부의 진동 또는 충격에 쉽게 이탈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지모듈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일면", "타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전지모듈이란 복수의 단위전지모듈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지모듈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지모듈 어셈블리(10)는 복수개의 단위전지모듈(13)이 상부가 개방된 하부하우징(12)에 수용되어 고정된 다음, 상부커버(11)는 상기 단위전지모듈(13)의 상부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하부하우징(12)과 용접 또는 솔더링 공정등을 통해 결합되었는바, 외부의 진동 또는 충격이 전지모듈 어셈블리(10)에 가해진 경우에는 상부커버(11)와 하부하우징(12)의 결합이 파손 또는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어셈블리(100)는 단위전지모듈(110), 단위전지모듈(110)을 내측에 수용하며,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120) 및 하우징(120)에 결합되어 회동하며, 하우징(120)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커버(130)로 구성된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단위전지모듈(110)은 적어도 하나이상의 전지셀(111)을 포함하며, 상기 전지셀의 외주면을 감싸는 외장부재(112) 및 상기 외장부재(112)의 일측면이 연장되어 돌출되도록 형성된 전극탭(114)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전극탭(114)은 전지셀(111)의 전극단자(113)를 포함할 수 있다(도 3 참조).
여기에서, 전지셀(111)들은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로서 리튬이차전지 또는 니켈-수소 이차전지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라면 당업자에 다양한 종류의 이차전지를 선택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니켈-수소 이차전지는 양극에 니켈, 음극에 수소흡장합금, 전해질로 알카리 수용액을 사용한 이차전지로서 단위부피당 용량이 크므로 전기자동차(EV)나 하이브리드자동차(HEV) 등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기 적합할 수 있다. 또한, 리튬이차전지는 구체적으로 양극 활물질을 LiCoO2 등의 금속 산화물과 음극활물질로 탄소 재료 등을 사용하여, 음극과 양극 사이에 다공성 고분자 분리막을 위치시키고, LiPF6 등의 리튬염을 함유한 비수성 전해액을 넣어서 제조할 수 있다. 충전시에 양극 활물질의 리튬 이온이 방출되어 음극의 탄소 층으로 삽입되고, 방전시에는 탄소 층의 리튬이온이 방출되어 양극 활물질로 삽입되며, 비수성 전해액은 음극과 양극 사이에서 리튬 이온이 이동하는 매질의 역할을 한다. 리튬이차전지는 에너지 밀도와 작동전압이 높고 보존특성이 우수하므로 전기자동차(EV)나 하이브리드자동차(HEV)의 에너지원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자제에 적용,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리튬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와 전극조립체를 감싸서 밀봉하는 파우치케이스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 또는 각형 전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파우치형 케이스는 알루미늄 박판과 같은 금속질 박판에 그 표면을 절연처리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절연처리는 폴리머수지인 변성 폴리프로필렌, 예를 들어, CPP(Casted Polypropylene)가 열융착층을 이루며 도포되어 있고, 그 외측면에 나일론이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와 같은 수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구조는 리튬이차전지의 일실시예로서 설명된 것이며, 본 발명에서 이러한 구조는 전지의 형태 및 종류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변경하여 선택,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지셀(111)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적층되어 단위전지모듈(110)을 이루는 것으로, 단위전지모듈(20)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전지모듈의 콤팩트화를 이루기 위해 얇은 두께와 넓은 폭 및 길이를 가진 이차전지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시트의 케이스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되고, 전극단자가 돌출되어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알루미늄 라이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극조립체는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양극과 음극이 적층되는 사이에 분리막이 형성된다.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을 결합하는 방법에 따라, 젤리-롤(Jelly-roll)로 권취된 타입(Winding type)이거나, 스택형/ 스택폴딩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자세한 설명은 종래의 공지 기술레 해당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단위전지모듈(110)은 전지셀(111)의 외면을 감싸는 알루미늄 등의 강성있는 재질로 형성된 외장부재(112)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외장부재(112)는 본 발명의 전지모듈의 냉각을 위해 열전달이 가능한 금속성 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하우징(120)은 적어도 하나이상의 단위전지모듈(110)을 내측에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될 수 있으며, 단위전지모듈(110)이 안착되는 하부하우징(121), 단위전지모듈(110)의 전극탭(114)이 형성된 일측면을 커버하는 제 1 측면하우징(122) 및 단위전지모듈(110)의 타측면을 커버하는 제 2 측면하우징(12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20)은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격벽(180)을 포함할 수 있는바, 적어도 하나이상의 단위전지모듈(110)은 하우징(120)내에 격벽(180)을 사이에 두고 일방향으로 나란하게 적층되어 전지모듈을 형성할 수 있으며, 격벽(180)을 통해, 복수의 단위전지모듈(110)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안착됨으로써, 단위전지모듈(110)간의 방열효과를 높일 수 있고, 어느 한쪽으로 기울지 않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부커버(130)는 하우징(120)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하우징(120)에 결합되어 회동할 수 있으며, 제 1 측면하우징(122)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회동하는 제 1 상부커버(131) 와 상기 제 2 측면하우징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회동하는 제 2 상부커버(13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상부커버(131) 와 제 2 상부커버(132)는 각각 제 1 및 2 측면하우징과 결합된 고정단(131b,132b) 과 하우징(120)의 상부를 커버하는 자유단(131a,132a)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 1 및 2 상부커버(131,132)의 고정단(131b,132b)은 각각 제 1 및 2 측면하우징(120)의 상단부에 힌지(133)결합되어 힌지(133)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으나, 회동구동을 위한 수단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 1 상부커버(131) 와 제 2 상부커버(132)는 상호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상부커버(131)의 자유단(131a) 과 제 2 상부커버(132)의 자유단(131b)이 결합되어, 단위전지모듈(110)의 상부면을 커버하도록 고정하는 결합고정부(140)가 상기 자유단()이 결합되는 부분에 구비될 수 있는바, 이를 통해, 전지모듈 어셈블리(100)의 전체적인 결합강성을 높일 수 있다.
측면커버(160,170)는 하우징(120)의 제 1 측면하우징(122)의 외측면을 커버하도록 제 1 측면하우징(122)의 하단부에 결합된 제 1 측면커버(160) 와 제 2 측면하우징(123)의 외측면을 커버하도록 제 2 측면하우징(123)의 하단부에 결합된 제 2 측면커버(1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및 2 측면커버(160,170)는 제 1 및 2 측면하우징(120)의 하단부에 힌지결합되어 회동할 수 있지만, 회동을 위한 수단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싱회로기판(150)은 적어도 하나이상의 나란하게 적층된 단위전지모듈(110)의 전극탭(114)들의 일측에 위치하여, 전압, 전류 또는 저항신호등을 추출하며, 각 단위전지모듈(110)의 전극탭(1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센싱단자(1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검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전지모듈 어셈블리는 내측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단위전지모듈이 안착되는 하우징 과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결합되어 회동하며,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커버 및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단위전지모듈의 양측면을 커버하는 측면커버가 모두 연결되어 형성되는 구조를 통해, 용접 또는 솔더링등의 결합공정없이, 간편하고 빠른 조립으로 전지모듈의 조립성과 생산성의 향상 및 관리가 간편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결합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어셈블리(100)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전지셀(111) 과 전지셀(111)의 전극단자를 포함한 전극탭(114)으로 구성되는 단위전지모듈(110), 하부하우징(121), 제 1 측면하우징(122) 과 제 2 측면하우징(123)을 포함하는 하우징(120) 및 제 1 및 2 측면하우징(120)에 결합되어 회동하며, 하우징(120)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하는 제 1 및 2 상부커버(130)로 구성된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전지모듈(110)은 길이방향으로 하부하우징(121)에 안착이 되며, 상기 단위전지모듈(110)의 전극탭(114)들이 형성된 일측면은 제 1 측면하우징(122)과 동일평면에 위치하고, 상기 단위전지모듈(110)의 타측면은 제 2 측면하우징(123)과 동일평면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적어도 하나이상의 단위전지모듈(110)은 하우징(120)의 내부에 형성된 격벽(180)들 사이의 공간에 안착되어 나란하게 적층됨으로써, 단위전지모듈(110)간에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단위전지모듈(110)간의 방열효과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도 6 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상부커버(131) 와 제 2 상부커버(132)는 각각 제 1 및 2 측면하우징(122,123)과 결합된 고정단(131b,132b) 과 하우징(120)의 상부를 커버하는 자유단(131a,132a)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 1 및 2 상부커버(131,132)의 고정단(131b,132b)은 각각 제 1 및 2 측면하우징(122,123)의 상단부에 힌지결합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으며, 제 1 상부커버(131) 와 제 2 상부커버(132)는 상호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우징(120)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단위전지모듈(110)이 일방향으로 나란하에 적층된 후에, 제 1 측면하우징(122)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제 1 상부커버(131) 또는 제 2 측면하우징(123)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제 2 상부커버(132)가 회동하여, 단위전지모듈(110)의 상단부를 덮을 수 있으며, 제 1 및 2 상부커버(131,132)는 상호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및 2 측면하우징(122,123)에 각각 결합되어 회동하여, 하우징(120)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제 1 및 2 상부커버(131,132)를 통해, 용접 또는 솔더링등의 결합공정없이, 간편하고 빠른 조립으로 전지모듈의 조립성과 생산성의 향상 및 관리가 간편해질 수 있으며, 일부의 단위전지모듈(110)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상부커버를 쉽게 개폐하여, 상기 문제가 있는 단위전지모듈을 선택적으로 탈거할 수 있는바, 이를 통해, 전체적인 전지모듈의 동작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도 8a 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전지모듈(110)로부터의 전압, 전류, 저항등을 센싱하기 위한 센싱회로기판(150)은 하우징(120)에 수용된 단위전지모듈(110)의 전극탭(114)들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호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전극탭(114)은 결합홈()을 형성하며, 양쪽방향에서 탄성으로 지지되는 전극단자(11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센싱회로기판(150)의 일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센싱단자(151)는 대응되는 단위전지모듈(110)의 전극탭(114)에 포함된 전극단자(113)로 구성된 결합홈(113a)을 통해, 양쪽방향에서 탄성으로 지지되는 전극단자(113)에 삽입됨으로써,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지모듈의 전압등을 센싱하기 위한 센싱회로기판(150)을 단위전지모듈(110)의 전극단자(113)에 탈착이 가능한 삽입구조를 통해 상호 전기적 연결을 시킴으로써, 종래의 용접 또는 솔더링등을 통한 접합시, 외부의 진동 또는 충격에 센싱회로기판(150)이 쉽게 이탈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에,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측면하우징(122)의 하단부에 결합된 제 1 측면커버(160) 와 제 2 측면하우징(123)의 하단부에 결합된 제 2 측면커버(170)는 회동하여, 센싱회로기판(150)이 구비된 제 1 측면하우징(122)의 외측면 및 제 2 측면하우징(123)의 외측면을 덮을 수 있으며, 제 1 및 2 측면커버(160,170)는 제 1 및 2 측면하우징(120)의 하단부에 힌지결합되어 회동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서, 결합고정부(140)는 제 1 상부커버(131)와 제 2 상부커버(132)의 자유단()을 결합하여, 하우징(12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고정할 수 있으며, 하부하우징(121)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전지모듈의 어셈불리
110 : 단위전지모듈 120 : 하우징
121 : 하우하우징 122 : 제 1 측면하우징
123: 제 2 측면하우징 130 : 상부커버
131 : 제 1 상부커버 131a : 자유단
131b : 고정단 132 : 제 2 상부커버
132a : 자유단 132b: 고정단
140 : 결합고정부 150 : 센싱회로기판
151 : 센싱단자 160 : 제 1 측면커버
170 : 제 2 측면커버 180 : 격벽

Claims (12)

  1. 일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전극탭을 포함하는 단위전지모듈;
    상기 단위전극모듈을 내측에 수용하며,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및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회동하며,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는 전지모듈의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단위전지모듈은
    상기 격벽의 사이에 일방향으로 적층되는 전지모듈의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단위전지모듈이 안착되는 하부하우징, 상기 단위전지모듈의 전극탭이 형성된 일측면을 커버하는 제 1 측면하우징 및 상기 단위전지모듈의 타측면을 커버하는 제 2 측면하우징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커버는
    상기 제 1 측면하우징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회동하는 제 1 상부커버 와 상기 제 2 측면하우징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회동하는 제 2 상부커버를 포함하는 전지모듈의 어셈블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면하우징의 외측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제 1 측면하우징의 하단부에 결합된 제 1 측면커버;및
    상기 제 2 측면하우징의 외측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제 2 측면하우징의 하단부에 결합된 제 2 측면커버를 포함하는 전지모듈의 어셈블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위전극모듈은
    적어도 하나이상의 전지셀 과 상기 전지셀의 외주면을 감싸는 외장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전극탭은 상기 전지셀의 전극단자를 포함하는 전지모듈의 어셈블리.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부커버와 상기 제 2 상부커버는 상호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전지모듈의 어셈블리.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부커버와 상기 제 2 상부커버는 각각 상기 제 1 및 2 측면하우징과 결합된 고정단 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커버하는 자유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상부커버 와 상기 제 2 상부커버의 자유단을 결합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고정하는 결합고정부를 포함하는 전지모듈의 어셈블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결합고정부는
    상기 하부하우징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전지모듈의 어셈블리.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단위전극모듈의 상기 전극탭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센싱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전지모듈의 어셈블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센싱회로기판이 커버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측면커버를 포함하는 전지모듈의 어셈블리.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센싱회로기판은
    상기 센싱회로기판의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센싱단자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센싱단자는 대응되는 상기 전극탭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지모듈의 어셈블리.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전극단자는
    상기 센싱단자가 결합되는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홈은 양측방향에서 탄성으로 지지되는 전지모듈의 어셈블리.
KR1020140032885A 2014-03-20 2014-03-20 전지모듈의 어셈블리 KR102117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885A KR102117076B1 (ko) 2014-03-20 2014-03-20 전지모듈의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885A KR102117076B1 (ko) 2014-03-20 2014-03-20 전지모듈의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9726A true KR20150109726A (ko) 2015-10-02
KR102117076B1 KR102117076B1 (ko) 2020-05-29

Family

ID=54341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2885A KR102117076B1 (ko) 2014-03-20 2014-03-20 전지모듈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707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1680A1 (ko) * 2016-07-25 2018-02-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180091581A (ko) * 2017-02-07 2018-08-16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배터리 셀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조립체
WO2019190072A1 (ko) * 2018-03-30 2019-10-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조립성이 향상된 버스바 프레임을 구비한 배터리 모듈
WO2019208938A1 (ko) * 2018-04-25 2019-10-3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112585806A (zh) * 2019-02-18 2021-03-30 株式会社Lg化学 电池组和包括该电池组的装置
JP2023514180A (ja) * 2020-11-26 2023-04-05 エルジー エナジー ソリューション リミテッド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含む電池パック
US12034183B2 (en) 2018-09-28 2024-07-09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mprising battery module, and vehicle comprising battery pack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5462A (ja) * 1999-07-27 2001-02-09 Nec Mobile Commun Ltd 多数収納可能な乾電池パック
JP2002373635A (ja) * 2001-06-14 2002-12-26 Pentax Corp 電池ケース
KR20070112489A (ko) * 2006-05-22 2007-11-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대형 전지모듈
KR20110044130A (ko) * 2009-10-22 2011-04-28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버스 바 홀더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KR20130008136A (ko) * 2011-07-12 2013-01-2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케이스
KR20130076503A (ko) 2011-12-28 2013-07-08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 및 하우징 방법
JP2013196826A (ja) * 2012-03-16 2013-09-30 Honda Motor Co Ltd バッテリモジュール
KR20140011664A (ko) * 2012-07-18 2014-01-2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전지팩
KR20140024579A (ko) * 2012-08-20 2014-03-0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전지모듈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5462A (ja) * 1999-07-27 2001-02-09 Nec Mobile Commun Ltd 多数収納可能な乾電池パック
JP2002373635A (ja) * 2001-06-14 2002-12-26 Pentax Corp 電池ケース
KR20070112489A (ko) * 2006-05-22 2007-11-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대형 전지모듈
KR20110044130A (ko) * 2009-10-22 2011-04-28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버스 바 홀더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KR20130008136A (ko) * 2011-07-12 2013-01-2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케이스
KR20130076503A (ko) 2011-12-28 2013-07-08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배터리모듈의 하우징 구조 및 하우징 방법
JP2013196826A (ja) * 2012-03-16 2013-09-30 Honda Motor Co Ltd バッテリモジュール
KR20140011664A (ko) * 2012-07-18 2014-01-2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전지팩
KR20140024579A (ko) * 2012-08-20 2014-03-0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전지모듈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08216B2 (en) 2016-07-25 2020-03-31 Lg Chem, Ltd.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WO2018021680A1 (ko) * 2016-07-25 2018-02-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180091581A (ko) * 2017-02-07 2018-08-16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배터리 셀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조립체
WO2019190072A1 (ko) * 2018-03-30 2019-10-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조립성이 향상된 버스바 프레임을 구비한 배터리 모듈
KR20190114406A (ko) * 2018-03-30 2019-10-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조립성이 향상된 버스바 프레임을 구비한 배터리 모듈
CN110770946A (zh) * 2018-03-30 2020-02-07 株式会社Lg化学 易于组装的包括汇流条框架的电池模块
US11545727B2 (en) 2018-03-30 2023-01-03 Lg Energy Solution, Ltd. Easier to assemble battery module including bus bar frame
US11489235B2 (en) 2018-04-25 2022-11-01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WO2019208938A1 (ko) * 2018-04-25 2019-10-3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US12034183B2 (en) 2018-09-28 2024-07-09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mprising battery module, and vehicle comprising battery pack
EP3813145A4 (en) * 2019-02-18 2021-10-27 Lg Chem, Ltd. BATTERY PACK AND INCLUDING DEVICE
US20210336307A1 (en) * 2019-02-18 2021-10-28 Lg Chem, Ltd. Battery Pack and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12585806B (zh) * 2019-02-18 2023-02-24 株式会社Lg新能源 电池组和包括该电池组的装置
US11996571B2 (en) 2019-02-18 2024-05-28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pack including upper frame having obliquely opened hinge fastened to side frame, and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12585806A (zh) * 2019-02-18 2021-03-30 株式会社Lg化学 电池组和包括该电池组的装置
JP2023514180A (ja) * 2020-11-26 2023-04-05 エルジー エナジー ソリューション リミテッド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含む電池パ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7076B1 (ko) 2020-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74345B1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including the battery module, and automobile including the battery pack
US10243193B2 (en) Battery pack
US10181623B2 (en) Battery module including sensing assembly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US10854936B2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including battery module, and vehicle including battery pack
US20180159096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KR101898295B1 (ko) 전지모듈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US9698398B2 (en) Secondary battery module
CN108701793B (zh) 电池组
EP3800694A1 (en) Battery cell assembly, battery module including same battery cell assembly, battery pack including same battery module, and automobile including same battery pack
KR101983391B1 (ko) 전지모듈 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KR102117076B1 (ko) 전지모듈의 어셈블리
KR20170050510A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US20160164051A1 (en)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EP3154108B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JP2019512863A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
KR20150137840A (ko) 단위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20160012021A (ko) 단위전지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및 전지모듈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EP3522254B1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including battery module, and vehicle including battery pack
KR20140072689A (ko) 전지모듈 어셈블리
KR20130046999A (ko) 배터리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JP5344237B2 (ja) 組電池
KR20180069248A (ko)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셀 활성화 트레이
KR20190082180A (ko) 이차전지 모듈
KR102564972B1 (ko)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 적층체
KR20200092672A (ko)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