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8552A - 전원 케이블, 이를 포함하는 영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전원 케이블, 이를 포함하는 영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8552A
KR20150108552A KR1020140031483A KR20140031483A KR20150108552A KR 20150108552 A KR20150108552 A KR 20150108552A KR 1020140031483 A KR1020140031483 A KR 1020140031483A KR 20140031483 A KR20140031483 A KR 20140031483A KR 20150108552 A KR20150108552 A KR 20150108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witch
power
input terminal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1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성용
이진형
장길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1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8552A/ko
Priority to US14/661,024 priority patent/US20150270031A1/en
Publication of KR20150108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85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0Coupling parts carrying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 H01R24/22Coupling parts carrying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with additional earth or shiel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전원 케이블이 콘센트와 접속된 상태에서도 영상장치의 전원 및 접지를 제어할 수 있는 전원 케이블, 이를 포함하는 영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전원 케이블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입력단자, 제 2 입력단자 및 제 1 접지단자가 마련되는 전원 입력부; 상기 제 1 입력단자, 제 2 입력단자 및 상기 제 1 접지단자 각각과 연결되는 제 1 출력단자, 제 2 출력단자 및 제 2 접지단자가 마련되는 전원 출력부; 상기 제 1 입력단자와 상기 제 1 출력단자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는 제 1 스위치; 및 상기 제 1 접지단자와 상기 제 2 접지단자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는 제 2 스위치;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원 케이블, 이를 포함하는 영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POWER CABLE, IMAG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 이를 포함하는 영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영상장치는 화면에 영상을 표시하는 일련의 과정에 사용되는 모든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영상장치는 영상화 하고자 하는 영역의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영상신호 생성장치, 생성된 영상신호를 송신하는 영상신호 송신장치,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영상신호 수신장치, 수신한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처리장치, 화면에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영상장치는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다. 전원은 콘센트를 통해 개별 가입자에게 전달되므로, 영상장치는 콘센트와 접속되는 전원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케이블이 콘센트와 접속되면 영상장치는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인 온(On) 상태가 되고, 전원 케이블이 콘센트와 분리되면 영상장치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인 오프(Off) 상태가 될 수 있다.
전원 케이블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장치의 일 측면에 의하면, 전원 케이블이 콘센트와 접속된 상태에서도 영상장치의 전원 및 접지를 제어할 수 있는 전원 케이블, 이를 포함하는 영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전원 케이블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입력단자, 제 2 입력단자 및 제 1 접지단자가 마련되는 전원 입력부; 제 1 입력단자, 제 2 입력단자 및 제 1 접지단자 각각과 연결되는 제 1 출력단자, 제 2 출력단자 및 제 2 접지단자가 마련되는 전원 출력부; 제 1 입력단자와 제 1 출력단자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는 제 1 스위치; 및 제 1 접지단자와 제 2 접지단자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는 제 2 스위치; 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스위치는, 전원 입력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 2 스위치는, 전원 출력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 1 스위치 및 제 2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전원 입력부는, 제 1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전위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 1 입력단자와 제 1 출력단자 사이를 연결하는 제 1 연결선, 제 2 입력단자와 제 2 출력단자 사이를 연결하는 제 2 연결선, 및 제 1 접지단자와 제 2 접지단자 사이를 연결하는 접지선을 포함하는 연결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스위치는, 제 1 연결선을 단절시켜, 제 1 입력단자와 제 1 출력단자 사이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제 2 스위치는, 접지선을 단절시켜, 제 1 접지단자와 제 2 접지단자 사이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영상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입력단자, 제 2 입력단자 및 제 1 접지단자가 마련되는 전원 입력부, 제 1 입력단자, 제 2 입력단자 및 제 1 접지단자 각각과 연결되는 제 1 출력단자, 제 2 출력단자 및 제 2 접지단자가 마련되는 전원 출력부, 제 1 입력단자와 제 1 출력단자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는 제 1 스위치, 및 제 1 접지단자와 제 2 접지단자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는 제 2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원 케이블; 및 전원 케이블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도록, 전원 케이블의 전원 출력부와 접속되는 본체; 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스위치는, 전원 케이블의 전원 입력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 2 스위치는, 전원 케이블의 전원 출력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 1 스위치 및 제 2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전원 입력부는, 제 1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전위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전원 케이블은, 제 1 입력단자와 제 1 출력단자 사이를 연결하는 제 1 연결선, 제 2 입력단자와 제 2 출력단자 사이를 연결하는 제 2 연결선, 및 제 1 접지단자와 제 2 접지단자 사이를 연결하는 접지선을 포함하는 연결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스위치는, 제 1 연결선을 단절시켜, 제 1 입력단자와 제 1 출력단자 사이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제 2 스위치는, 접지선을 단절시켜, 제 1 접지단자와 제 2 접지단자 사이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전자기기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입력단자, 제 2 입력단자 및 제 1 접지단자가 마련되는 전원 입력부, 제 1 입력단자, 제 2 입력단자 및 제 1 접지단자 각각과 연결되는 제 1 출력단자, 제 2 출력단자 및 제 2 접지단자가 마련되는 전원 출력부, 제 1 입력단자와 제 1 출력단자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는 제 1 스위치, 및 제 1 접지단자와 제 2 접지단자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는 제 2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원 케이블; 및 전원 케이블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도록, 전원 케이블의 전원 출력부와 접속되는 본체; 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스위치는, 전원 케이블의 전원 입력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 2 스위치는, 전원 케이블의 전원 출력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 1 스위치 및 제 2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전원 입력부는, 제 1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전위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전원 케이블은, 제 1 입력단자와 제 1 출력단자 사이를 연결하는 제 1 연결선, 제 2 입력단자와 제 2 출력단자 사이를 연결하는 제 2 연결선, 및 제 1 접지단자와 제 2 접지단자 사이를 연결하는 접지선을 포함하는 연결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스위치는, 제 1 연결선을 단절시켜, 제 1 입력단자와 제 1 출력단자 사이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제 2 스위치는, 접지선을 단절시켜, 제 1 접지단자와 제 2 접지단자 사이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전원 케이블, 이를 포함하는 영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일 측면에 의하면, 전원 케이블이 콘센트와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스위치를 통해 용이하게 영상장치의 전원 및 접지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의 조작이 빈번한 전원 스위치를 콘센트와 접속되는 부분에 마련하고, 사용자의 조작이 적은 접지 스위치를 본체와 접속되는 부분에 마련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영상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전원 케이블이 콘센트 및 본체와 접속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전원 케이블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전원 케이블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입력부의 외관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b는 전원 케이블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입력부의 외관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a 및 5b는 전원 케이블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는 전원 케이블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출력부의 외관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b는 전원 케이블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출력부의 외관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전원 케이블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LFD에 접속되는 복수의 전원 케이블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복수의 영상장치가 상호 연결되는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영상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경로 및 접지 경로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전원 케이블, 이를 포함하는 영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영상장치는 화면에 영상을 표시하는 일련의 과정에 사용되는 모든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영상장치는 영상화 하고자 하는 영역의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영상신호 생성장치, 생성된 영상신호를 송신하는 영상신호 송신장치,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영상신호 수신장치, 수신한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처리장치, 및 화면에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장치는 영상표시장치의 일 실시예인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영상장치는 영상신호 수신장치의 일 실시예인 셋톱 박스(Set-Top Box)일 수도 있다.
또는, 영상장치는 영상신호 생성장치, 영상신호 송신장치, 영상신호 수신장치, 영상신호 처리장치 및 영상표시장치 중 적어도 두 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영상장치는 화면에 영상을 표시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복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영상장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영상을 생성한 후, 이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영상장치는 영상화 하고자 하는 영역의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영상장치를 전제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영상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면도이다.
도 1의 영상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센트와 접속되어 본체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100); 및 전원 케이블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도록, 전원 케이블의 전원 출력부와 접속되는 본체(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00)는 영상장치의 주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영상장치가 영상신호 송신장치라면 본체(200)는 영상화 하고자 하는 영역의 영상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영상장치가 영상신호 송신장치라면 본체(200)는 생성된 영상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영상장치가 영상신호 수신장치라면 본체(200)는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영상장치가 영상처리장치라면 본체(200)는 수신한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영상장치가 영상표시장치라면 본체(200)는 화면에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은 영상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므로, 본체(200)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화면(21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케이블(100)은 본체(20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케이블(100)의 일단은 콘센트와 접속되어 전원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전원 케이블(100)의 타단은 본체(200)와 접속되어 본체(2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전원 케이블이 콘센트 및 본체와 접속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원 케이블(100)의 일단은 콘센트(K)에 접속 가능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콘센트(K)가 함몰형상인 경우 이와 접속 가능하도록 전원 케이블(100)의 일단이 돌출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콘센트(K)가 돌출형상인 경우 이와 접속 가능하도록 전원 케이블(100)의 일단이 함몰형상일 수도 있다.
전원 케이블(100)의 타단은 본체(200)와 접속될 수 있다. 영상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케이블(100)과 본체(200)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전원 케이블(100)의 타단이 항상 본체(200)에 접속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도 2a 및 도 2b처럼 전원 케이블(100) 타단이 본체(200)와 접속 또는 분리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전원 케이블(100)의 타단이 본체(200)의 접속부(220)에 접속 가능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부(220)가 함몰형상인 경우 이와 접속 가능하도록 전원 케이블(100)의 타단이 돌출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접속부(220)가 돌출형상인 경우 이와 접속 가능하도록 전원케이블의 타단이 함몰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전원 케이블(100)이 본체(200)와 접속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마련되면, 전원 케이블(100)과 접속 가능한 형상의 접속부를 포함하는 모든 본체(200)와 전원 케이블(100)이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전원 케이블(100)이 본체(200)와 접속 또는 분리 가능한 형상으로 마련되면, 전원 케이블(100)의 호환성이 높아질 수 있다.
도 3은 전원 케이블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원 케이블(100)은 제 1 입력단자(111), 제 2 입력단자(112) 및 제 1 접지단자(113)가 마련되는 전원 입력부(110); 제 1 입력단자, 제 2 입력단자 및 제 1 접지단자 각각과 연결되는 제 1 출력단자(121), 제 2 출력단자(122) 및 제 2 접지단자(123)가 마련되는 전원 출력부(120); 제 1 입력단자와 제 1 출력단자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는 제 1 스위치(130); 및 제 1 접지단자와 제 2 접지단자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는 제 2 스위치(140); 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과 같이, 전원 입력부(110)는 전원 케이블(100)의 일단에 마련될 수 있다. 전원 입력부(110)는 시간에 따라 변하는 전위가 인가되는 제 1 입력단자(111); 일정한 전위가 인가되는 제 2 입력단자(112); 및 누설전류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제 1 접지단자(113); 가 포함될 수 있다.
제 1 입력단자(111)는 콘센트(K)의 라이브(Live)단자와 접속되고, 제 2 입력단자(112)는 콘센트(K)의 중립(Neutral)단자와 접속될 수 있다. 콘센트(K)의 라이브단자는 라이브선(Live Line)의 일단에 마련되고, 중립단자는 중립선(Neutral Line)의 일단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입력단자(111)에 인가되는 전위는 시간에 따라 크기 및 방향을 달리할 수 있고 수 있고, 제 2 입력단자(112)에는 일정한 전위가 인가될 수 있다. 특히, 제 1 입력단자(111)에 인가되는 전위는 정현파를 형태일 수 있고, 제 2 입력단자(112)에는 0V의 전위가 인가될 수 있다.
전원 입력부(110)의 제 1 접지단자(113)는 콘센트(K)의 접지단자와 접속될 수 있다. 콘센트(K)의 접지단자는 대지와 연결되므로, 누설전류는 전원 입력부(110)의 제 1 접지단자(113)에서 콘센트(K)의 접지단자로 전달되어 대지로 안전하게 방출될 수 있다.
전원 출력부(120)는 전원 입력부(110)의 제 1 입력단자(111)와 연결되는 제 1 출력단자(121); 전원 입력부(110)의 제 2 입력단자(112)와 연결되는 제 2 출력단자(122); 및 전원 입력부(110)의 제 1 접지단자(113)와 연결되는 제 2 접지단자(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입력단자(111)와 제 1 출력단자(121)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제 1 출력단자(121)는 제 1 입력단자(111)에 인가된 입력과 유사한 출력을 가질 수 있다. 즉, 제 1 출력단자(121)는 시간에 따라 크기 및 방향을 달리하는 전위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입력단자(111)에 정현파 형태의 전위가 인가되면, 제 1 출력단자(121)는 정현파 형태의 전위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 2 입력단자(112)와 제 2 출력단자(122)도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제 2 출력단자(122)는 제 2 입력단자(112)에 인가된 입력과 유사한 출력을 가질 수 있다. 즉, 제 2 출력단자(122)는 일정한 전위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입력단자(112)에 0V의 전위가 인가되면, 제 2 출력단자(122)는 0V의 전위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a는 전원 케이블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입력부의 외관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b는 전원 케이블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입력부의 외관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전원 입력부(110)의 일측에 제 1 입력단자(111)와 제 1출력단자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는 제 1 스위치(130)가 마련될 수 있다.
제 1 스위치(130)가 온(On) 상태에 있으면, 제 1 입력단자(111)와 제 1 출력단자(121)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스위치(130)를 온(On)상태로 만들어 제 1 입력단자(111)에 인가된 전위를 제 1 출력단자(121)를 통해 출력할 수 있고, 그 결과 전원 케이블(100)과 접속된 본체(200)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반면, 제 1 스위치(130)가 오프(Off) 상태에 있으면, 제 1 입력단자(111)와 제 1 출력단자(121) 사이의 연결이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입력단자(111)에 입력된 전위를 제 1 출력단자(121)에서 출력할 수 없고, 그 결과 본체(200)에 전원이 공급될 수 없다.
제 1 스위치(130)는 제 1 입력단자(111)와 제 1 출력단자(121)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1 스위치(130)는 토글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 1 스위치(130)가 락커 스위치, 푸쉬버튼 스위치, 터치 스위치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제 1 스위치(130)가 슬라이드 스위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5a 및 5b는 전원 케이블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및 5b에서 제 1 스위치(130)는 슬라이드 스위치로 구현된 경우를 전제로 설명한다.
제 1 스위치(130)는 제 1 입력단자와 연결되는 제 1 스위치단자(131); 제 1 출력단자와 연결되는 제 2 스위치단자(132); 제 1 스위치단자 또는 제 2 스위치단자 중 어느 하나에 일단이 부착되고, 타단이 제 1 스위치단자 또는 제 2 스위치단자 중 나머지 하나에 접속 가능한 커넥터(133); 및 커넥터가 제 1 스위치단자 또는 제 2 스위치단자 중 나머지 하나에 접속되도록, 제 1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134); 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 1 스위치단자(131)에 커넥터(133)의 일단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134)가 제 1 방향으로 이동하기 전이므로, 커넥터(133)의 타단이 제 2 스위치단자(132)에 접속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 1 스위치단자(131)와 제 2 스위치단자(132)는 전기적으로 차단된 상태일 수 있다.
그러나 슬라이더(134)가 제 1 방향으로 이동하여 커넥터(133)에 압력을 가하면, 커넥터(133)의 타단이 제 2 스위치단자(132)에 접속될 수 있다. 도 5b와 같이, 커넥터(133)에 의해 제 1 스위치단자(131)와 제 2 스위치단자(132)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그 결과 제 1 스위치단자(131)와 연결된 제 1 입력단자(111)와 제 2 스위치단자(132)와 연결된 제 1 출력단자(121)도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a 및 5b와 같이 제 1 스위치(130)가 슬라이드 스위치로 구현되면, 제 1 입력단자(111)와 제 1 출력단자(121) 사이의 연결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다. 전원 입력부(110)는 콘센트에 접속되는데, 이를 위해 사용자가 가하는 압력에 의해 제 1 스위치(130)가 조작될 경우, 사용자의 의사와 무관하게 제 1 입력단자(111)와 제 1 출력단자(121)의 연결이 변환될 수 있다. 그러나 제 1 스위치(130)가 슬라이드 스위치로 구현되면, 전원 입력부(110)를 콘센트와 접속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가하는 압력의 방향과, 제 1 스위치(130)의 슬라이더(134)가 이동하는 제 1 방향이 상이할 수 있어, 제 1 스위치(130)의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제 1 입력단자(111)와 제 1 출력단자(121)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는 제 1 스위치(130)를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제 1 접지단자(113)와 제 2 접지단자(123)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는 제 2 스위치(140)를 설명한다.
도 6a는 전원 케이블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출력부의 외관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b는 전원 케이블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출력부의 외관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a 및 6b를 참조하면, 전원 출력부(120)의 일측에 제 2 접지단자(123)와 제 1 접지단자(113)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는 제 2 스위치(140)가 마련될 수 있다.
제 2 스위치(140)가 온(On) 상태에 있으면, 제 2 접지단자(123)와 제 1 접지단자(113)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스위치(140)를 온(On)상태로 만들어 본체(200)의 누설전류를 제 2 접지단자(123)를 통해 제 1 접지단자(113)로 전달할 수 있고, 그 결과 누설전류는 제 1 접지단자(113)에 연결된 대지로 방출될 수 있다.
반면, 제 2 스위치(140)가 오프(Off) 상태에 있으면, 제 2 접지단자(123)와 제 1 접지단자(113) 사이의 연결이 차단될 수 있다. 그 결과 본체(200)의 누설전류를 외부로 방출하는 방출경로가 차단될 수 있다.
제 2 스위치(140)는 제 2 접지단자(123)와 제 1 접지단자(113)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제 1 스위치(130)와 마찬가지로, 제 2 스위치(140)는 토글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락커 스위치, 푸쉬버튼 스위치, 또는 터치 스위치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도 6a 및 6b와 같이, 제 2 스위치(140)가 슬라이드 스위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전원 케이블(100)은 전원 입력부(110)와 전원 출력부(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15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150)는 제 1 입력단자와 제 1 출력단자 사이를 연결하는 제 1 연결선(151); 제 2 입력단자와 제 2 출력단자 사이를 연결하는 제 2 연결선(152); 및 제 1 접지단자와 제 2 접지단자 사이를 연결하는 접지선(153); 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전원 케이블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 1 연결선(151)은 제 1 입력단자(111)와 제 1 출력단자(121)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 1 연결선(151)은 제 1 스위치(130)에 의해 단절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1 스위치(130)를 오프시켜 제 1 연결선(151)을 단절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본체(200)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 2 연결선(152)은 제 2 입력단자(112)와 제 2 출력단자(122)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7의 예에서 제 2 연결선(152)을 단절시키는 스위치는 도시되지 않았으므로, 제 2 연결선(152)은 항상 제 2 입력단자(112)와 제 2 출력단자(122)를 연결할 수 있다.
접지선(153)은 제 2 접지단자(123)와 제 1 접지단자(113)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접지선(153)은 제 2 스위치(140)에 의해 단절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2 스위치(140)를 오프시켜 누설전류의 방출 경로를 차단할 수 있다.
이처럼 전원 케이블(100)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공급 경로와 누설전류 방출 경로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전원 공급 경로를 제어하는 제 1 스위치(130)는 콘센트와 접속되는 전원 입력부(110)에 마련될 수 있고, 누설전류 방출 경로를 제어하는 제 2 스위치(140)는 본체(200)와 접속되는 전원 출력부(120)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효과를 도 8 및 9를 통해 설명한다.
도 8은 LFD에 접속되는 복수의 전원 케이블을 예시한 도면이다.
LFD(Large Format Display)는 영상 표시 장치의 하나로, 복수개가 하나의 영상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어 광고 등의 목적으로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복수의 LFD가 하나의 영상을 표시하더라도, LFD 각각은 개별적으로 전원 공급이 이루어 져야 한다. 따라서 LFD 각각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100)이 필요하다.
한편, LFD는 기동을 위한 기동전류가 요구된다. 하나의 LFD의 기동시에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으나, 복수의 LFD에 동시에 기동전류를 공급하는 경우 LFD의 과부하가 문제될 수 있다. LFD가 온 된 후 인가되는 전류에 비해, LFD를 온 시키기 위한 기동전류가 월등히 크기 때문이다.
LFD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해, 도 8과 같이, 사용자는 콘센트와 접속되는 전원 공급부에 마련되는 제 1 스위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각각의 전원 케이블(100)에 마련된 각각의 제 1 스위치(130)를 순차적으로 온 시키면, 기동전류를 동시에 공급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LFD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복수의 영상장치가 상호 연결되는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복수의 영상장치가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영상장치의 일 실시예인 셋톱박스(200X)는 외부로부터 영상신호를 송신하여 이를 영상장치의 다른 실시예인 텔레비전(200Y)에 전달하도록,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셋톱박스(200X)와 텔레비전(200Y)은 HDMI 케이블(A)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셋톱박스(200X)의 전위가 텔레비전(200Y)의 전위보다 높을 수 있다. 그 결과, 셋톱박스(200X)에서 발생된 누설전류가 셋톱박스의 접지경로(B)를 따라 방출되지 않고, 낮은 전위를 가지는 텔레비전의 접지경로(C)를 따라 방출되도록 HDMI 케이블(A)을 따라 흐를 수 있다. 누설전류가 HDMI 케이블(A)을 흐를 경우, HDMI 케이블(A)에 열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HDMI 케이블 및 텔레비전 부품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텔레비전의 접지경로(C)를 차단할 수 있다. 즉, 텔레비전의 본체(200)와 접속되는 전원 케이블(100)의 제 2 스위치(140)를 오프시켜 제 2 접지단자(123)와 제 1 접지단자(113)를 차단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셋톱박스의 누설전류가 셋톱박스의 접지경로(B)를 따라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도 10은 영상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경로 및 접지 경로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고하여 전원 케이블(100)이 전원 및 누설전류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전원 케이블(100)의 전원 입력부(110)에 마련되는 제 1 입력단자(111)와 제 2 입력단자(112)에서 전원을 입력받는다. 구체적으로 제 1 입력단자(111)는 시간에 따라 변하는 전위를 입력받고, 제 2 입력단자(112)는 시간의 변화에 무관하게 일정한 전위를 입력받는다.
제 1 입력단자(111)는 제 1 연결선(151)을 통해 전원 출력부(120)의 제 1 출력단자(121)로 전위를 전달하고, 제 2 입력단자(112)는 제 2 연결선(152)을 통해 전원 출력부(120)의 제 2 출력단자(122)로 전위를 전달한다. 최종적으로 제 1 입력단자(111)와 제 2 입력단자(112)를 통해 본체(200)에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이 때, 제 1 입력단자(111)와 제 1 출력단자(121)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기 위해, 제 1 스위치(130)가 제 1 연결선(151)을 단절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본체(200)에 전원을 인가하고자 할 때에만 제 1 스위치(130)를 온 시킴으로서 본체(20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한편, 본체(200)로부터 발생하는 누설전류를 대지로 방출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전원 출력부(120)의 제 2 접지단자(123)에서 본체(200)의 누설전류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렇게 전달받은 누설전류는 접지선(153)을 통해 전원 입력부(110)의 제 1 접지단자(113)로 흐를 수 있다. 제 1 접지단자(113)는 콘센트의 접지단자를 통해 누설전류를 대지로 방출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접지단자(113)와 제 2 접지단자(123)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기 위해, 제 2 스위치(140)가 접지선(153)을 단절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누설전류를 전원 케이블(100)을 통해 대지로 방출하고자 할 때에만 제 2 스위치(140)를 온 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는 제 1 스위치(130)가 제 1 입력단자(111)와 제 1 출력단자(121)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는 경우를 전제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전원 케이블(100)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제 1 스위치(130)가 제 2 입력단자(112)와 제 2 출력단자(122)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지금까지는 전원 케이블(100)이 영상장치에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것에 대하여만 설명하였다. 그러나 전원 케이블(100)은 영상장치 이외에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모든 전자기기에도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100: 전원 케이블
110: 전원 입력부
111: 제 1 입력단자
112: 제 2 입력단자
113: 제 1 접지단자
120: 전원 출력부
121: 제 1 출력단자
122: 제 2 출력단자
123: 제 2 접지단자
130: 제 1 스위치
140: 제 2 스위치
150: 연결부
151: 제 1 연결선
152: 제 2 연결선
153: 접지선
200: 본체

Claims (24)

  1. 제 1 입력단자, 제 2 입력단자 및 제 1 접지단자가 마련되는 전원 입력부;
    상기 제 1 입력단자, 상기 제 2 입력단자 및 상기 제 1 접지단자 각각과 연결되는 제 1 출력단자, 제 2 출력단자 및 제 2 접지단자가 마련되는 전원 출력부;
    상기 제 1 입력단자와 상기 제 1 출력단자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는 제 1 스위치; 및
    상기 제 1 접지단자와 상기 제 2 접지단자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는 제 2 스위치; 를 포함하는 전원 케이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는,
    상기 전원 입력부에 마련되는 전원 케이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치는,
    상기 전원 출력부에 마련되는 전원 케이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 및 상기 제 2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상기 연결을 차단하는 전원 케이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입력부는,
    상기 제 1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전위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케이블.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단자와 상기 제 1 출력단자 사이를 연결하는 제 1 연결선, 상기 제 2 입력단자와 상기 제 2 출력단자 사이를 연결하는 제 2 연결선, 및 상기 제 1 접지단자와 상기 제 2 접지단자 사이를 연결하는 접지선을 포함하는 연결부; 를 더 포함하는 전원 케이블.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는,
    상기 제 1 연결선을 단절시켜, 상기 제 1 입력단자와 상기 제 1 출력단자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는 전원 케이블.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치는,
    상기 접지선을 단절시켜, 상기 제 1 접지단자와 상기 제 2 접지단자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는 전원 케이블.
  9. 제 1 입력단자, 제 2 입력단자 및 제 1 접지단자가 마련되는 전원 입력부, 상기 제 1 입력단자, 상기 제 2 입력단자 및 상기 제 1 접지단자 각각과 연결되는 제 1 출력단자, 제 2 출력단자 및 제 2 접지단자가 마련되는 전원 출력부, 상기 제 1 입력단자와 상기 제 1 출력단자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는 제 1 스위치, 및 상기 제 1 접지단자와 상기 제 2 접지단자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는 제 2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원 케이블; 및
    상기 전원 케이블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도록, 상기 전원 케이블의 전원 출력부와 접속되는 본체; 를 포함하는 영상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는,
    상기 전원 케이블의 상기 전원 입력부에 마련되는 영상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치는,
    상기 전원 케이블의 상기 전원 출력부에 마련되는 영상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 및 상기 제 2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상기 연결을 차단하는 영상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입력부는,
    상기 제 1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전위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케이블은,
    상기 제 1 입력단자와 상기 제 1 출력단자 사이를 연결하는 제 1 연결선, 상기 제 2 입력단자와 상기 제 2 출력단자 사이를 연결하는 제 2 연결선, 및 상기 제 1 접지단자와 상기 제 2 접지단자 사이를 연결하는 접지선을 포함하는 연결부; 를 더 포함하는 영상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는,
    상기 제 1 연결선을 단절시켜, 상기 제 1 입력단자와 상기 제 1 출력단자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는 영상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치는,
    상기 접지선을 단절시켜, 상기 제 1 접지단자와 상기 제 2 접지단자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는 영상장치.
  17. 제 1 입력단자, 제 2 입력단자 및 제 1 접지단자가 마련되는 전원 입력부, 상기 제 1 입력단자, 상기 제 2 입력단자 및 상기 제 1 접지단자 각각과 연결되는 제 1 출력단자, 제 2 출력단자 및 제 2 접지단자가 마련되는 전원 출력부, 상기 제 1 입력단자와 상기 제 1 출력단자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는 제 1 스위치, 및 상기 제 1 접지단자와 상기 제 2 접지단자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는 제 2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원 케이블; 및
    상기 전원 케이블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도록, 상기 전원 케이블의 전원 출력부와 접속되는 본체; 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는,
    상기 전원 케이블의 상기 전원 입력부에 마련되는 전자기기.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치는,
    상기 전원 케이블의 상기 전원 출력부에 마련되는 전자기기.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 및 상기 제 2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상기 연결을 차단하는 전자기기.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입력부는,
    상기 제 1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전위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케이블은,
    상기 제 1 입력단자와 상기 제 1 출력단자 사이를 연결하는 제 1 연결선, 상기 제 2 입력단자와 상기 제 2 출력단자 사이를 연결하는 제 2 연결선, 및 상기 제 1 접지단자와 상기 제 2 접지단자 사이를 연결하는 접지선을 포함하는 연결부; 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는,
    상기 제 1 연결선을 단절시켜, 상기 제 1 입력단자와 상기 제 1 출력단자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는 전자기기.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치는,
    상기 접지선을 단절시켜, 상기 제 1 접지단자와 상기 제 2 접지단자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는 전자기기.
KR1020140031483A 2014-03-18 2014-03-18 전원 케이블, 이를 포함하는 영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2015010855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483A KR20150108552A (ko) 2014-03-18 2014-03-18 전원 케이블, 이를 포함하는 영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US14/661,024 US20150270031A1 (en) 2014-03-18 2015-03-18 Power cable, imag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power c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483A KR20150108552A (ko) 2014-03-18 2014-03-18 전원 케이블, 이를 포함하는 영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8552A true KR20150108552A (ko) 2015-09-30

Family

ID=54142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1483A KR20150108552A (ko) 2014-03-18 2014-03-18 전원 케이블, 이를 포함하는 영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270031A1 (ko)
KR (1) KR2015010855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68833B1 (en) * 2017-04-10 2019-11-05 Henry P. Fusselman Outlet ground prong power switch and adapt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4414A (en) * 1997-03-12 2000-08-15 Cybex Computer Products Corporation Video distribution hub
DE102005010866A1 (de) * 2005-03-07 2006-09-14 Sennheiser Electronic Gmbh & Co. Kg Einsteckbuchse mit Spannungswandler
CN201773967U (zh) * 2010-06-30 2011-03-2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通用串行总线连接结构
WO2013063300A1 (en) * 2011-10-28 2013-05-02 Mertek Industries, Llc Traceable cables
US20140057487A1 (en) * 2012-02-21 2014-02-27 William May Repositionable Cord Mounts for Data Communication and Power Supp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70031A1 (en) 2015-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2407B2 (en) Endoscope system with multiple connection interfaces to interface with different video data signal sources
JP3203823U (ja) ビデオコンテンツ投影可能の携帯型ドッキング装置
JP2011258174A (ja) マルチソケット用電気検出付き電源コンセント装置及び電源コンセント装置の電気検出方法
KR20150108552A (ko) 전원 케이블, 이를 포함하는 영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CN202218353U (zh) 一种能够检测并直观显示iptv终端的端口状态的系统
US20090043928A1 (en) Interface device and master device of a kvm switch system and a related method thereof
US20160087807A1 (en) Network port and ethernet device integrating powered device and power sourcing equivalent in a port
CN103490508B (zh) 用于电力分配的多电路负载断路开关的控制器
CN217216733U (zh) 摄像头切换电路及摄像头系统
CN202261574U (zh) 一种具有多输入通道的数据集成切换器
AU2008207285B2 (en) Switched arrangement
US20210090828A1 (en) Foot switch for medical devices
CN206331385U (zh) 切换器及其传输线
US20110080527A1 (en) Display apparatus, televis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utput of the display apparatus
CN104254008B (zh) 一种lnb环穿极化电压切换控制电路及装置
CN103079043A (zh) 多通道单屏幕融合显示系统
BE1020459A3 (nl) Een schakelbaar stopcontact bediend door een settopbox, dat de stroomtoevoer naar het televisietoestel aan-of uitschakelt.
CN216052679U (zh) 一种hdmi连接线
CN109901294B (zh) 头戴式显示系统
JP4679539B2 (ja) アダプタ及びカメラ
Wang et al. Tippy the telepresence robot
JP2007082668A (ja) 内視鏡装置用コンバータ
CN110275576A (zh) 显示器
CN205376971U (zh) 切换显示设备画面的视频连接线结构
JP5176541B2 (ja) 外部機器接続ユニットおよび浴室テレビ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