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7590A - 포토 센서 - Google Patents

포토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7590A
KR20150107590A KR1020150001059A KR20150001059A KR20150107590A KR 20150107590 A KR20150107590 A KR 20150107590A KR 1020150001059 A KR1020150001059 A KR 1020150001059A KR 20150001059 A KR20150001059 A KR 20150001059A KR 20150107590 A KR20150107590 A KR 20150107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ead
light receiving
projecting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1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8940B1 (ko
Inventor
츠요시 미야타
카즈야 오츠키
준 나카지마
세이지 미야시타
키요시 이마이
마코토 카스야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07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7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03Containers; Encapsulations, e.g. encapsulation of photodio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2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e.g.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one or more electric light sources, e.g.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nd electrically or optically coupled thereto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2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e.g.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one or more electric light sources, e.g.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nd electrically or optically coupled thereto
    • H01L31/1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e.g.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one or more electric light sources, e.g.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nd electrically or optically coupled thereto the semiconductor device sensitive to radiation being controlled by the light source or sources
    • H01L31/167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e.g.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one or more electric light sources, e.g.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nd electrically or optically coupled thereto the semiconductor device sensitive to radiation being controlled by the light source or sources the light sources and the devices sensitive to radiation all being semiconductor devices characterised by potential b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onding area
    • H01L2224/0554External layer
    • H01L2224/0555Shape
    • H01L2224/05552Shape in top view
    • H01L2224/05554Shape in top view being squa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4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 H01L2224/4824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connecting the wire to a bond pad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9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 plurality of wire connectors
    • H01L2224/491Disposition
    • H01L2224/4911Disposition the connectors being bonded to at least one common bonding area, e.g. daisy chain
    • H01L2224/49111Disposition the connectors being bonded to at least one common bonding area, e.g. daisy chain the connectors connecting two common bonding areas, e.g. Litz or braid 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9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 plurality of wire connectors
    • H01L2224/491Disposition
    • H01L2224/4912Layout
    • H01L2224/49171Fan-out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hoto Coupler, Interrupter, Optical-To-Optical Conversion Device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과제]
외부 접속 단자가 늘어나 있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여 회로 밀봉부로부터 투수광 리드를 돌출시킨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포토 센서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포토 센서는, 투광부, 수광부, 회로 밀봉부, 접속 단자, 제1 투광 리드, 제2 투광 리드, 제1 수광 리드 및 제2 수광 리드를 구비한다. 접속 단자가 늘어나는 방향을 제1 방향으로, 제1 방향에 평행한 면을 제1 평면으로 한 경우, 제1 투광 리드 및 제2 투광 리드는, 제1 평면과 평행하면서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로 밀봉부로부터 돌출하고, 또한 제1 방향과 역방향으로 늘어난다. 제1 수광 리드 및 제2 수광 리드는, 제1 평면과 평행하면서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서, 제1 투광 리드 및 제2 투광 리드가 돌출하는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로 밀봉부로부터 돌출하고, 또한 제1 방향과 역방향으로 늘어난다. 제1 투광 리드 및 제2 투광 리드와, 제1 수광 리드 및 제2 수광 리드가, 수광부와 투광부가 대향하도록 변형되어 있다.

Description

포토 센서{PHOTOSENSOR}
본 발명은, 포토 센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광전 센서의 하나로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포토 센서가 있다. 당해 포토 센서는, 집적회로를 밀봉하는 회로 밀봉부로부터, 외부 단자와 접속하는 접속 단자가 늘어나 있는 방향과 역방향으로, 투광부와 접속하는 투광 리드 및 수광부와 접속하는 수광 리드가 돌출하고 있다.
일본 특개평 11-145505호 공보
포토 센서의 설정에서는, 설계의 사정으로, 외부 접속 단자가 늘어나 있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여 회로 밀봉부로부터 수광 리드를 돌출시키고 싶은 경우도 있다. 그러나, 상기 외부 접속 단자가 늘어나 있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여 회로 밀봉부로부터 투수광(投受光) 리드를 돌출시킨 센서 모듈은 분명하지가 않다.
그래서,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고, 상기 외부 접속 단자가 늘어나 있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여 회로 밀봉부로부터 투수광 리드를 돌출시킨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포토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의 양태에서의 포토 센서는, 투광부와, 수광부와, 회로 밀봉부와, 접속 단자와, 제1 투광 리드와, 제2 투광 리드와, 제1 수광 리드와, 제2 수광 리드를 구비한다. 수광부는, 투광부로부터의 광을 수광하고, 수광 신호를 출력한다. 회로 밀봉부는, 수광 신호를 처리하는 집적회로를 밀봉한다. 접속 단자는, 회로 밀봉부로부터 돌출하고, 외부 단자와 접속한다. 제1 투광 리드 및 제2 투광 리드는, 판형상이고, 투광부와 회로 밀봉부를 접속한다. 제1 수광 리드 및 제2 수광 리드는, 판형상이고, 수광부와 회로 밀봉부를 접속한다. 접속 단자가 늘어나는 방향을 제1 방향으로, 제1 방향에 평행한 면을 제1 평면으로 한 경우, 제1 투광 리드 및 제2 투광 리드는, 제1 평면과 평행하면서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로 밀봉부로부터 돌출하고, 또한 제1 방향과 역방향으로 늘어난다. 제1 수광 리드 및 제2 수광 리드는, 제1 평면과 평행하면서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서, 제1 투광 리드 및 제2 투광 리드가 돌출하는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로 밀봉부로부터 돌출하고, 또한 제1 방향과 역방향으로 늘어난다. 제1 투광 리드 및 제2 투광 리드와, 제1 수광 리드 및 제2 수광 리드가, 수광부와 투광부가 대향하도록 변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접속 단자가 늘어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투수광 리드를 돌출시킨 센서 모듈의 구성이 붐명하게 되었다.
제1 투광 리드 및 제2 투광 리드는, 광의 광축에 대해 수직한 제2 방향과 평행한 제1 절곡선에 따라 절곡되면 좋다. 그리고, 제1 수광 리드 및 제2 수광 리드는, 제2 방향과 평행한 제2 절곡선에 따라 절곡되어 있으면 좋다. 이에 의해, 투광부와 수광부가 간단한 가공에 의해 대향하게 되고, 포토 센서의 제조가 용이해진다.
제1 절곡선에 따라 제1 투광 리드 및 제2 투광 리드를 절곡하지 않고 평판형상으로 전개(展開)한 경우에, 전개된 제1 투광 리드 및 전개된 제2 투광 리드는, 제1 절곡선을 가로지르는 형상이라고 좋다. 또한, 제2 절곡선에 따라 제1 수광 리드 및 제2 수광 리드를 절곡하지 않고, 제1 수광 리드 및 제2 수광 리드를 평판형상으로 전개한 경우에, 전개된 제1 수광 리드 및 전개된 제2 수광 리드는, 제2 절곡선을 가로지르는 형상이라고 좋다. 이에 의해, 제1 투광 리드 및 제2 투광 리드는, 절곡할 때에 제1 절곡선의 양측에 리드를 가지며, 절곡가공할 때에 누르는 스페이스가 생겨서, 보다 절곡을 하기 쉬워진다. 또한 마찬가지로, 제1 수광 리드 및 제2 수광 리드도, 제2 절곡선의 양측에 절곡가공할 때에 누르는 스페이스가 생겨서, 보다 절곡을 하기 쉬워진다.
제1 투광 리드는, 제1 투광 리드부와, 제2 투광 리드부와, 제3 투광 리드부와, 제4 투광 리드부를 포함하면 좋다. 제1 투광 리드부는, 제1 평면과 평행하면서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로 밀봉부로부터 돌출하고, 또한 제1 방향과 역방향으로 늘어난다. 제2 투광 리드부는, 제1 투광 리드부로부터, 광의 광축 방향에서의 내방과 외방 중의 일방을 향하여 늘어난다. 제3 투광 리드부는, 제2 투광 리드부에 접속된다. 제4 투광 리드부는, 제3 투광 리드부로부터, 광축 방향에서의 내방과 외방 중의 타방을 향하여 늘어난다. 제4 투광 리드부는, 상기 제1 절곡선에 따라 절곡된 제1 곡부(曲部)를 포함하면 좋다. 제1 수광 리드는, 제1 수광 리드부와, 제2 수광 리드부와, 제3 수광 리드부와, 제4 수광 리드부를 포함하면 좋다. 제1 수광 리드부는, 제1 평면과 평행하면서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서, 제1 투광 리드 및 제2 투광 리드가 돌출하는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로 밀봉부로부터 돌출한다. 제2 수광 리드부는, 제1 수광 리드부로부터, 광축 방향에서 내방과 외방 중의 일방을 향하여 늘어난다. 제3 수광 리드부는, 제2 수광 리드부에 접속된다. 제4 수광 리드부는, 제3 수광 리드부로부터, 광축 방향에서 내방과 외방 중의 타방을 향하여 늘어난다. 제4 수광 리드부는, 제2 절곡선에 따라 절곡된 제2 곡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제1 투광 리드는, 제1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폭을 넓히지 않고서, 투수광부를 대향시키기 위한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제1 수광 리드는,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폭을 넓히지 않고서, 투수광부를 대향시키기 위한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포토 센서의 형상의 설계 자유도를 넓힐 수 있고, 또한 리드를 형성하기 위한 재료를 삭감할 수 있다.
광축 방향에서, 제2 투광 리드부의 내단부(內端部)는, 제4 투광 리드부의 외단부보다도 내방에 위치하면 좋다. 광축 방향에서, 제4 투광 리드부의 내단부는, 제2 투광 리드부의 외단부보다도 내방에 위치하면 좋다. 광축 방향에서, 제2 수광 리드부의 내단부는, 제4 수광 리드부의 외단부보다도 내방에 위치하면 좋다. 광축 방향에서, 제4 수광 리드부의 내단부는, 제2 수광 리드부의 외단부보다도 내방에 위치하면 좋다. 이에 의해, 제4 투광 리드부 및 제4 수광 리드부가 길게 확보되고, 투수광이 대향하기 위한 절곡은 보다 용이해진다.
제2 투광 리드부는, 제1 투광 리드부로부터 광축 방향에서의 내방으로 늘어나면 좋다. 제4 투광 리드부는, 제3 투광 리드부로부터 광축 방향에서의 외방으로 늘어나면 좋다. 제2 수광 리드부는, 제1 수광 리드부로부터 광축 방향에서의 내방으로 늘어나면 좋다. 제4 수광 리드부는, 제3 수광 리드부로부터 광축 방향에서의 외방으로 늘어나면 좋다. 이에 의해,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투광 리드와 수광 리드의 폭을 넓히지 않고서, 제4 투광 리드부와 제4 수광 리드부가 길게 확보되고, 투수광이 대향하기 위한 절곡이 용이해진다.
제2 투광 리드는, 광축 방향에서, 제1 투광 리드보다도 내방에 위치하고 있으면 좋다. 제2 수광 리드는, 광축 방향에서, 제1 수광 리드보다도 내방에 위치하고 있으면 좋다. 광축 방향에서의 제2 투광 리드와 제3 투광 리드부 사이의 거리는, 광축 방향에서의 제2 투광 리드와 제1 투광 리드부 사이의 거리보다도 작으면 좋다. 광축 방향에서의 제2 수광 리드와 제3 수광 리드부 사이의 거리는, 광축 방향에서의 제2 수광 리드와 제1 수광 리드부 사이의 거리보다도 작으면 좋다. 이에 의해, 제4 투광 리드부 및 제4 수광 리드부가 더욱 길게 확보되고, 투수광이 대향하기 위한 절곡이 더욱 용이해진다.
제2 투광 리드는, 광축 방향에서의 제1 투광 리드부와의 사이의 거리가 넓어지도록 경사한 투광 경사부를 포함하면 좋다. 제2 수광 리드는, 광축 방향에서 제1 수광 리드부와의 사이의 거리가 넓어지도록 경사한 수광 경사부를 포함하면 좋다. 이에 의해, 제1 투광 리드와 제2 투광 리드와의 절연 거리가 넓어져, 보다 높은 절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한 실시 형태에 관한 포토 센서의 정면도.
도 2는 한 실시 형태에 관한 포토 센서의 상면도.
도 3은 한 실시 형태에 관한 포토 센서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절단면선(Ⅳ-Ⅳ)으로 절단한 때의 포토 센서의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절단면선(V-V)으로 절단한 때의 포토 센서의 단면도.
도 6은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센서 모듈의 평면도.
도 7은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센서 모듈의 1차 성형품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8은 도 6의 센서 모듈의 수지에 덮여진 부재 내부의 회로의 상세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9는 돌출부 부근의 확대도.
도 10은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센서 모듈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11은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센서 모듈의 다른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12는 도 7의 센서 모듈의 측면도.
도 13은 복수의 접속 단자 및 그 주변의 확대도.
도 14는 제1 내측 단자부 및 제3 내측 단자부 부근의 확대도.
도 15a는 한 실시 형태의 변형례에 관한 제1 내측 단자부 및 제3 내측 단자부를 도시한 도면.
도 15b는 한 실시 형태의 변형례에 관한 제1 내측 단자부 및 제3 내측 단자부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센서 모듈의 변형례의 평면도.
도 17은 센서 모듈의 변형례의 1차 성형품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18은 투수광 리드를 L자형상으로 절곡한 경우의 센서 모듈을 광축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19는 서브 케이스의 상세도.
도 20은 한 실시 형태에 관한 포토 센서의 정면도.
도 21은 한 실시 형태에 관한 포토 센서의 상면도.
도 22는 한 실시 형태에 관한 포토 센서의 분해사시도.
도 23은 도 21의 절단면선(XXⅢ-XXⅢ)으로 절단한 때의 포토 센서의 단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참조하는 도면에서는, 동일 또는 그것에 상당하는 부재에는, 같은 번호가 붙여져 있다.
도 1은, 포토 센서(1)의 정면도이다. 도 2는, 포토 센서(1)의 상면도이다. 도 3은, 포토 센서(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포토 센서(1)는, 센서 모듈(5)과, 케이스(60)와, 서브 케이스(80)와, 저판(98)을 구비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60)는, 케이스 본체부(61)와, 투광 케이스부(62)와, 수광 케이스부(63)를 포함한다. 도 4는, 도 2의 절단면선(Ⅳ-Ⅳ)으로 절단한 때의 포토 센서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센서 모듈(5)을 절단하지 않고 표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케이스 본체부(61)는, 후술하는 회로 밀봉부(90)를 수용한다. 투광 케이스부(62)는, 후술하는 투광부(10), 제1 투광 리드(20) 및 제2 투광 리드(22)를 수용한다. 수광 케이스부(63)는, 후술하는 수광부(15), 제1 수광 리드(24) 및 제2 수광 리드(26)를 수용한다. 투광 케이스부(62)와 수광 케이스부(63)는, 케이스 본체부(61)로부터 상방으로 연출(延出)하고 있다. 도 5는, 도 1의 절단면선(V-V)으로 절단한 때의 포토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투광 케이스부(62)는, 수광 케이스부(63)에 대향하는 면에 투광 슬릿(66)를 갖고 있다. 수광 케이스부(63)는, 투광 케이스부(62)에 대향하는 면에 수광 슬릿(67)를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특히 방향을 정의한 경우를 제외하고, 이하와 같이 방향을 정의한다. 투광 슬릿(66)부터 수광 슬릿(67)을 향하는 방향을 우방향, 그 역방향을 좌방향으로 부른다. 도면에는, X축의 정방향을 우방향으로서 나타낸다. 이 좌우방향은, 후술하는 투광부(10)로부터 수광부(15)를 향하는 광의 광축(Ax) 방향에 상당한다. 또한, 접속 단자(50)로부터 투수광 케이스부(62, 63)를 향하는 방향을 상방향, 그 역방향을 하방향으로 부른다. 도면에는, Y축의 정방향을 상방향으로서 나타낸다. 포토 센서(1)의 중심으로부터 표시등창(68)이 형성된 케이스(60)의 면을 향하는 방향을 전방향(前方向), 그 역방향을 후방향(後方向)으로 부른다. 도면에는, 전방향을 Z축의 정방향으로서 나타낸다.
투광 케이스부(62)와, 수광 케이스부(63)는, 대향하여 있다. 포토 센서(1)는, 케이스(60)의 상부에 한 쌍이 대향하는 투수광 슬릿(66, 67)를 갖는다. 투광 케이스부(62)와, 수광 케이스부(63)는, 광축(Ax)(x축 방향)에서 간극을 띄우고 배치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60)에는, 투수광 슬릿(66, 67)가 대향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도 1의 Y축 방향, Z축 방향)으로 케이스(60)를 관통하는 부착구멍(69a, 69b, 69c, 69d)이 형성되어 있다.
포토 센서(1)에서는, 저판(98)의 하방부터에서 센서 모듈(5)의 일부인 복수의 접속 단자(50)가 외부로 돌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60)에는, 정면측의 면에 4각형상의 표시등창(68)이 형성되어 있다. 표시등창(68)을 통하여, 작업자는, 동작 표시등(이하, 동작 표시부(92)라고 부른다)를 시인할 수 있다. 동작 표시등은, 수광부(15)로부터의 수광 신호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를 초과하고 있는지, 당해 임계치를 하회하고 있는지의 어느 일방의 양태에서 발광한다. 동작 표시 등의 발광 조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60)에는, 서브 케이스(80), 센서 모듈(5)이 차례로 삽입되고, 케이스(60)의 저부에, 접속 단자(50)가 삽통되는 구멍(99)을 갖는 저판(98)이 부착된다.
도 6은, 센서 모듈(5)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센서 모듈(5)의 1차 성형품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달리 말을 하면, 도 7은, 도 6의 센서 모듈(5)의 전개도이다. 이후의 설명에서는, 도 7에 도시되는 평판에 전개된 센서 모듈(5)을, 센서 모듈(4)이라고 한다. 도 8은, 도 6의 센서 모듈(4)의 수지에 덮여진 부재 내부의 회로의 상세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센서 모듈(5)은, 투광부(10)와, 수광부(15)와, 제1 투광 리드(20)와, 제2 투광 리드(22)와, 제1 수광 리드(24)와, 제2 수광 리드(26)와, 집적회로(41)와, 회로 밀봉부(90)와, 복수의 접속 단자(50)를 구비한다. 이후의 설명에서는, 제1 투광 리드(20)와, 제2 투광 리드(22)와, 제1 수광 리드(24)와, 제2 수광 리드(26)와, 복수의 접속 단자(50)를 총칭하여, 리드 프레임(8)이라고 부른다. 또한, 센서 모듈인 것을, 포토 센서 부품이라고 불러도 좋다. 리드 프레임(8)은, 도전성을 갖는, 평판형상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투광 리드(20)와, 제2 투광 리드(22)와, 제1 수광 리드(24)와, 제2 수광 리드(26)와, 복수의 접속 단자(50)는, 평판형상이다.
투광부(10)는, 투광 소자(11)와, 투광 밀봉부(12)를 포함한다. 투광 밀봉부(12)는, 투광 기대부(13)와, 투광 렌즈부(14)를 포함한다. 투광 소자(11)는, 예를 들면 발광다이오드이다. 단, 발광다이오드와 다른 소자가 투광 소자(11)로서 사용되어도 좋다. 투광 밀봉부(12)는, 수지에 의해 투광 소자(11)를 밀봉한다. 투광 기대부(13)는, 투광 소자(11)를 덮는다. 투광 렌즈부(14)는, 곡면형상의 형상을 가지며, 투광 기대부(13)로부터 돌출한다. 투광 렌즈부(14)는, 광 방향에서 본 때에, 원형이다. 투광 렌즈부(14)는, 투광 소자(11)로부터 발하는 광을 평행광으로 변환한다. 즉, 투광 렌즈부(14)는, 투광 소자(11)로부터의 광의 확산을 억제한다.
수광부(15)는, 투광부(10)로부터의 광을 수광하고, 수광 신호를 출력한다. 수광부(15)는, 수광 소자(16)와, 수광 밀봉부(17)를 포함한다. 수광 밀봉부(17)는, 수광 기대부(18)와, 수광 렌즈부(19)를 포함한다. 수광 소자(16)는, 예를 들면 포토 트랜지스터이다. 단, 포토 트랜지스터와 다른 소자가 수광 소자(16)로서 사용되어도 좋다. 수광 소자(16)와 투광 소자(11)는 서로 마주보고 배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포토 센서(1)는, 투광 소자(11)가 발한 광을 수광 소자(16)가 직접 수광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이른바 투과형의 포토 센서이다. 수광 밀봉부(17)는, 수지에 의해 수광 소자(16)를 밀봉한다. 수광 기대부(18)는, 수광 소자(16)를 덮는다. 수광 렌즈부(19)는, 곡면형상의 형상을 가지며, 수광 기대부(18)로부터 돌출한다. 수광 렌즈부(19)는, 수광 방향에서 본 때에, 원형이다. 투광 렌즈부(14)는, 투광 소자(11)로부터의 광을 수광 소자(16)에 집광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투광 소자(11)는, 제1 투광 리드(20)상에 실장되어 있다. 즉, 투광 소자(11)는, 리드 프레임(8)상에 실장되어 있다. 또한, 수광 소자(16)는, 제2 수광 리드(26)상에 실장되어 있다. 즉, 수광 소자(16)는, 리드 프레임(8)상에 실장되어 있다.
집적회로(41)는, 투광 소자(11)와 수광 소자(1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집적회로(41)는, 리드 프레임(8)의 일부인 본체 리드부(30)상에 실장되어 있다. 예를 들면, 집적회로(41)는, 리드 프레임(8)상에 다이 본딩에 의해 고착되고, 와이어 본딩에 의해 배선됨에 의해 실장되어 있다. 따라서 리드 프레임(8)은, 본체 리드부(30)를 포함하고, 집적회로(41)에 접속된다. 본체 리드부(30)는, 리드 프레임(8) 중, 후술하는 회로 밀봉부에 밀봉되는 리드이고, 복수의 접속 단자(50)를 형성하는 리드를 제외한 부분이다. 복수의 접속 단자(50)를 형성하는 리드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제1 투광 리드(20) 및 제2 투광 리드(22)는, 투광부(10)와 회로 밀봉부(90)를 접속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제1 투광 리드(20)는, 투광 소자(11)와, 본체 리드부(30)를 접속하고 있다. 제2 투광 리드(22) 및 와이어 배선(W11)은, 투광 소자(11)와, 본체 리드부(30)를 접속하고 있다. 본체 리드부(30)가 집적회로(41)와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투광부(10)는, 제1 투광 리드(20) 및 제2 투광 리드(22)를 통하여, 집적회로(41)와 접속하고 있다. 여기서, 하방향(복수의 접속 단자(50)가 늘어나는 방향 : Y축 부방향(負方向))을 제1 방향으로 한다. 그리고, 제1 방향에 평행한 평면을 제1 평면으로 한다. 제1 평면은,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복수의 접속 단자(50)의 표면에 의해 형성된 평면(XY평면)이다. 이때, 제1 투광 리드(20) 및 제2 투광 리드(22)는, 제1 평면과 평행하며, 또한,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좌방향 : X축 부방향)으로 회로 밀봉부(90)로부터 돌출한다. 그리고, 제1 투광 리드(20) 및 제2 투광 리드(22)는, 제1 방향과 역방향(Y축 정방향)으로 늘어난다.
제1 수광 리드(24) 및 제2 수광 리드(26)는, 수광부(15)와 회로 밀봉부(90)를 접속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제1 수광 리드(24) 및 와이어 배선(W12)은, 수광 소자(16)와, 본체 리드부(30)를 접속하고 있다. 본체 리드부(30)가 집적회로(41)와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수광부(15)는, 제1 수광 리드(24) 및 제2 수광 리드(26)를 통하여, 집적회로(41)와 접속하고 있다. 여기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투광부(10)로부터 수광부(15)를 향하는 광의 광축(Ax)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서, 투광부(10)와 수광부(15)의 중앙을 통과하는 평면을 평면(C1)으로 하는 제1 수광 리드(24) 및 제2 수광 리드(26)는, 상술한 제1 평면과 평행하고, 또한,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서, 제1 투광 리드(20) 및 제2 투광 리드(22)가 돌출하는 방향과 역방향(우방향 : X축 정방향)으로, 회로 밀봉부(90)로부터 돌출한다. 예를 들면, 회로 밀봉부(90)가 직방체인 경우, 제1 투광 리드(20) 및 제2 투광 리드(22)가 돌출하는 면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제1 수광 리드(24) 및 제2 수광 리드(26)가 돌출하고 있다. 그 때에 리드의 각도까지는 묻지 않는다. 제1 수광 리드(24) 및 제2 수광 리드(26)는, 회로 밀봉부(90)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하여 굴곡하고, 제1 방향과 역방향(Y축 정방향)으로 늘어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센서 모듈(5)에서, 제1 투광 리드(20) 및 제2 투광 리드(22)와, 제1 수광 리드(24) 및 제2 수광 리드(26)를 절곡함에 의해, 투광부(10)와 수광부(15)가 대향하도록 변형되어 있다. 즉, 수광부(15)는, 투광부(10)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도 6의 예에서는, 제1 투광 리드(20) 및 제2 투광 리드(22)와, 제1 수광 리드(24) 및 제2 수광 리드(26)가 1회 절곡된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제1 투광 리드(20) 및 제2 투광 리드(22)와, 제1 수광 리드(24) 및 제2 수광 리드(26)가 복수회 절곡되거나, 비틀어져도 좋다. 제1 투광 리드(20) 및 제2 투광 리드(22), 및, 제1 수광 리드(24) 및 제2 수광 리드(26)의 상세한 형상 및 절곡에 관한 특징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집적회로(41)는, 예를 들면, IC 칩을 포함한다. 집적회로(41)는, 투광 소자(11)에 접속되는 트랜지스터(도시 생략)의 게이트에 전압을 가함에 의해, 투광 소자(11)에 전류를 흘려서 발광시킨다. 이에 의해, 집적회로(41)는, 투광 소자(11)의 발광을 제어한다. 집적회로(41)는, 도시하지 않은 전류 전압 변환 회로, 증폭 회로, A/D 변환 회로를 포함한다. 집적회로(41)는, 수광 소자(16)로부터 출력되는 광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고, 당해 전압을 증폭한 후, 디지털값인 수광 신호치를 구한다. 또한, 집적회로(41)는, 당해 수광 신호치와 소정의 임계치와의 대소 관계를 비교함에 의해, 수광 소자(16)에서의 수광의 유무를 판정한다. 이 임계치는, 투광부(10)와 수광부(15)와의 사이에 차광 물체가 있는 제1의 경우와 차광 물체가 없는 제2의 경우의 양쪽에서 수광 신호치를 측정한 결과 얻어지는, 제1의 경우와 제2의 경우를 유효하게 판별할 수 있는 임계치이다. 당해 임계치는, 예를 들면, 집적회로(41) 내의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다.
센서 모듈(4, 5)은, 동작 표시부(92)를 점등시키는 발광 소자(42)를 포함한다. 집적회로(41)는, 와이어 배선(W1)을 통하여 발광 소자(42)와 접속한다. 집적회로(41)는, 수광의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발광 소자(42)를 제어한다. 발광 소자(42)는, 예를 들면 발광다이오드 등이고, 본체 리드부(30)상에 실장되어 있다. 즉, 발광 소자(42)는, 리드 프레임(8)상에 실장되어 있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서는, 집적회로(41)와 발광 소자(42)를 총칭하여 회로부(40)라고 부른다. 집적회로(41)는, 수광부(15)로부터의 수광 신호를 처리하고, 수광 신호의 신호치가 상술한 임계치 이상, 또는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 발광 소자(42)에 접속된 트랜지스터(도시 생략)의 게이트에, 소정 전압의 제어 신호를 가함에 의해, 발광 소자(42)를 점등시킨다. 발광 소자(42)는, 포토 센서(1)의 동작, 즉, 집적회로(41)의 처리 결과를 표시한다.
집적회로(41)는, 수광부(15)로부터의 수광 신호를 이하의 2개의 처리 방법 중의 어느 하나의 처리 방법을 실행한다.
[제1의 처리] 집적회로(41)는, 수광 신호의 신호치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인 경우, 발광 소자(42)를 점등시키는 제어 신호(ON 신호 : 예를 들면, 전원 전압(Vcc)를 출력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집적회로(41)는, 수광 신호의 신호치가 소정의 임계치 미만인 경우, 발광 소자(42)를 소등시키는 제어 신호(OFF 신호 : 예를 들면, 0V를 출력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제2의 처리] 집적회로(41)는, 수광 신호의 신호치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인 경우, 발광 소자(42)를 소등시키는 제어 신호(OFF 신호)를 출력한다. 집적회로(41)는, 수광 신호의 신호치가 소정의 임계치 미만인 경우, 발광 소자(42)를 점등시키는 제어 신호(ON 신호)를 출력한다.
<전환 단자>
집적회로(41)는, 포트(P1)의 전압에 응하여, 상술한 제1의 처리와 제2의 처리 중의 어느 처리를 행하는지를 전환한다. 포트(P1)의 전압은, 전원 전압 전달 배선(44)의 돌출부(46)가 절단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다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원 전압 전달 배선(44)는, 전원 전압(Vcc)를 포트(P1)를 향하여 전달하기 위한 와이어 배선 및 리드이다. 전원 전압 전달 배선(44)은, 와이어 배선(W2, W3, W4)과, 돌출부(46)와, 제1 리드부(32)와, 제2 리드부(34)를 포함한다. 제1 리드부(32)와 제2 리드부(34)는, 본체 리드부(30)에 포함된다. 즉, 본체 리드부(30)는, 제1 리드부(32)와 제2 리드부(34)를 포함한다. 돌출부(46)가 제1 리드부(32)와 제2 리드부(34)에 접속되어 있을 때, 돌출부(46)와 제1 리드부(32)와 제2 리드부(34)가 하나의 리드로서 형성된다. 즉, 리드 프레임(8)은, 돌출부(46)와 제1 리드부(32)와 제2 리드부(34)를 포함한다.
전원 전압(Vcc)은, 복수의 접속 단자(50) 중, 전원 접속 단자(51)에 인가된다. 와이어 배선(W2, W3)은, 전원 접속 단자(51)과, 제1 리드부(32)를 접속한다. 제1 리드부(32)는, 와이어 배선(W13)을 통하여, 집적회로(41)의 포트(P2)와 접속하고 있다. 돌출부(46)는, 제1 리드부(32)에 접속되고, 회로 밀봉부(90)의 외부로 돌출하고 있다. 돌출부(46)는, 제2 리드부(34)에 접속된다. 와이어 배선(W4)은, 제2 리드부(34)와 집적회로(41)의 포트(P1)를 접속한다. 돌출부(46)가 절단되지 않은 때는, 포트(P1)에는, 전원 접속 단자(51)으로부터, 와이어 배선(W2, W3)과, 제1 리드부(32)와, 돌출부(46)와, 제2 리드부(34)와, 와이어 배선(W4)을 통하여, 전원 전압(Vcc)이 인가된다. 돌출부(46)가 절단되면, 제2 리드부(34)와 와이어 배선(W4)과 포트(P1)는, 전기적으로 플로팅 상태(어디에도 전기적으로 접속하지 않은 상태)가 된다. 즉, 포트(P1)에는, 전원 전압(Vcc) 이외의 전압(예를 들면, 0V)가 인가된다. 집적회로(41)는, 포트(P1)에 전원 전압(Vcc)이 인가된 때, 상술한 제1의 처리와 제2의 처리 중의 어느 일방의 처리를 실행한다. 집적회로(41)는, 포트(P1)에 전원 전압(Vcc) 이외의 전압이 인가된 때, 상술한 제1의 처리와 제2의 처리 중의 타방의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도 8 이외의 도면은, 돌출부(46)가 제거된 센서 모듈을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돌출부(46)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돌출부(46)는, 제1 부돌출부(副突出部)(464)와 제2 부돌출부(466)와 외부 접속부(460)로 구성된다. 제1 부돌출부(464)는, 제1 리드부(32)와 접속하고 있다. 제2 부돌출부(466)는, 제2 리드부(34)와 접속하고 있다. 제1 부돌출부(464) 및 제2 부돌출부(466)는, 회로 밀봉부(90)의 서로 다른 위치로부터 돌출한다. 외부 접속부(460)는, 제1 부돌출부(464)와 제2 부돌출부(466)를 접속한다. 외부 접속부(460)는, 제1 부돌출부(464)가 돌출하는 방향과 다른 반향으로, 제1 부돌출부(464)로부터 늘어난다. 마찬가지로, 외부 접속부(460)는, 제2 부돌출부(466)가 돌출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제2 부돌출부(466)로부터 늘어난다.
여기서, 제1 부돌출부(464)와 제1 리드부(32)를 총칭하여, 제1 리드 프레임이라고 불러도 좋다. 제2 부돌출부(466)와 제2 리드부(34)를 총칭하여, 제2 리드 프레임이라고 불러도 좋다. 센서 모듈(5)은, 제1 부돌출부(464)와 제2 부돌출부(466)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제1 상태와 절연되어 있는 제2 상태의 일방에 고정되어 있다. 제1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센서 모듈(5)은, 상술한 제1의 처리와 제2의 처리 중의 어느 일방의 처리를 실행한다. 제2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센서 모듈(5)은, 상술한 제1의 처리와 제2의 처리 중의 타방의 처리를 실행한다.
제1 부돌출부(464)가 돌출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에서의 제1 부돌출부(464)의 폭을 D1라고 한다. 제2 부돌출부(466)가 돌출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에서의 제2 부돌출부(466)의 폭을 D2라고 한다. 제1 부돌출부(464)와 제2 부돌출부(466)는, 제1 부돌출부(464) 및 제2 부돌출부(466)가 돌출한 회로 밀봉부(90)의 단면상에서, 폭(D1) 이상, 또한, 폭(D2) 이상의 간격(D3)만큼, 격리하고 있다. 이에 의해, 돌출부(46)가 절단되고, 제거될 때에 생기는 버르에 의해, 제1 리드부(32)와 제2 리드부(34)가 접촉하는 일은 없다.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46)는, 상술한 제1 평면(XY평면)상에서, 제1 투광 리드(20)와 제2 투광 리드(22)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46)는, 상술한 제1 평면(XY평면)상에서, 제1 수광 리드(24)와 제2 수광 리드(26)와의 사이에 배치되어도 좋다. 이에 의해, 센서 모듈(5)을 삽입할 때에, 돌출부(46)는 케이스(60)와 직접 접촉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센서 모듈(5)을 삽입할 때에, 돌출부(46)가 잘못하여 절단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도 9의 설명에서는, 돌출부(46)가 절단되었는지의 여부로, 상술한 제1의 처리와 제2의 처리가 전환되는 경우를 나타내었다. 이에 대신하여, 외부 접속부(460)가 제1 부돌출부(464)와, 제2 부돌출부(466)와는 다른 도전성을 갖는 부재라도 좋다. 이때, 외부 접속부(460)를 부착하거나, 떼어내거나 함에 의해, 센서 모듈(5)의 처리가, 상술한 제1의 처리와 제2의 처리의 일방부터 타방으로 전환되어도 좋다. 이와 같은 제1 부돌출부(464)와, 제2 부돌출부(466)와 별 부재인 외부 접속부(460)인 것을, 접속 칩이라고 불러도 좋다. 접속 칩은, 예를 들면, 폭이 D3 이상의 장방형상의 부재이다.
다음에, 돌출부(46)를 이용한 센서 모듈의 제조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10은, 상술한 센서 모듈(4)를 제조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우선, 스탭 S1에서, 제1 포토 센서 중간부품을 준비한다. 이 제1 포토 센서 중간부품이란, 돌출부(46)가 절단되었는지의 여부가 미(未)판단의 단계의,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돌출부(46)를 갖는 센서 모듈(센서 부품)이다. 제1 포토 센서 중간부품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제조된다. 우선, 리드 프레임(8)에 투광 소자(11), 수광 소자(16), 집적회로(41), 발광 소자(42)를 다이 본딩에 의해 부착한다. 그리고, 프레임 사이의 와이어 본딩을 행한다. 그리고, 투광부(10), 수광부(15), 회로 밀봉부(90)를 생성하기 위한 수지의 사출 성형을 행한다. 다음에, 불필요한 리드 프레임(8)를 절단한다. 그리고, 리드 프레임(8)으로부터 1차 성형품을 잘라 분리하고, 버르의 삭제를 행한다.
스탭 S1이 종료되면, 제조자는, 제1 포토 센서 중간부품에서, 제1 부돌출부(464)와 제2 부돌출부(466)와 외부 접속부(460)로 구성되는 돌출부(46)의 어느 하나의 개소를 절단하는지의 여부를 결정된다(스탭 S2). 스탭 S2에서, 절단한다고 결정된 경우(스탭 S2에서 Yes), 제조자는, 돌출부(46)를 절단한다(스탭 S3). 스탭 S2에서 절단하지 않는다고 결정된 경우(스탭 S2에서 No), 또는, 스탭 S3이 행하여지면, 본 제조 방법은 종료한다.
또한, 상술한 접속 칩에 의해, 제1 부돌출부(464)와, 제2 부돌출부(466)를 접속할 수 있는 센서 모듈의 제조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11은, 센서 모듈(4)의 다른 제조 방법의 플로차트이다. 우선, 스탭 S11에서, 제2 포토 센서 중간부품을 준비한다. 이 제2 포토 센서 중간부품은, 돌출부(46)가 제1 부돌출부(464)와, 제2 부돌출부(466)에 의해 형성되고, 외부 접속부(460)가 포함되지 않은 점이 제1 포토 센서 중간부품과 다르다. 제2 포토 센서 중간부품의 제조 방법은, 상술한 제1 포토 센서 중간부품의 제조 방법과, 실질적으로 같다.
스탭 S11이 종료되면, 제조자는, 제1 부돌출부(464)와, 제2 부돌출부(466)를 접속할 수 있는 접속 칩을 준비한다(스탭 S12). 접속 칩은, 도전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되어 있으면 어떤 것이라도 좋다. 다음에, 제조자는, 제2 포토 센서 중간부품에서, 제1 부돌출부(464)와, 제2 부돌출부(466)를 접속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스탭 S13). 스탭 S13에서, 접속한다고 결정된 경우(스탭 S13에서 Yes), 제조자는, 예를 들면, 솔더링에 의해, 제1 부돌출부(464)와, 제2 부돌출부(466)를 접속 칩에 의해 접속한다(스탭 S14). 스탭 S13에서 접속하지 않는다고 결정된 경우(스탭 S13에서 No), 또는, 스탭 S14가 행하여지면, 본 제조 방법은 종료한다.
<회로 밀봉부, 투광부, 수광부의 수지>
도 6으로부터 도 8까지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 밀봉부(90)는, 회로부(40)를 밀봉한다. 도 12는, 도 7의 센서 모듈(4)의 측면도이다. 도 12(a)는, 도 7의 센서 모듈(4)의 좌측면도이다. 도 12(b)는, 도 7의 센서 모듈(4)의 우측면도이다. 도 12는, 투광 소자(11)와, 수광 소자(16)와, 발광 소자(42)를 점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7, 도 8 및 도 12를 참조하면, 회로 밀봉부(90)는, 회로 밀봉 본체부(91)와, 동작 표시부(92)를 포함한다. 회로 밀봉 본체부(91)는, 회로부(40)를 밀봉한다. 구체적으로는, 회로 밀봉 본체부(91)는, 수지에 의해 집적회로(41)를 밀봉한다. 또한, 회로 밀봉 본체부(91)는, 수지에 의해 발광 소자(42)를 밀봉한다. 동작 표시부(92)는, 회로 밀봉 본체부(91)상에 배치된다. 동작 표시부(92)는, 발광 소자(42)에 대향한다. 즉, 발광 소자(42)가 발하는 광이 동작 표시부(92)를 통과하도록, 동작 표시부(92)가 형성되어 있다.
투광 밀봉부(12)와, 수광 밀봉부(17)와, 회로 밀봉부(48)는, 광확산제(光擴散劑)를 같은 농도만큼 함유하는 동일한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투광 밀봉부(12)와, 수광 밀봉부(17)와, 회로 밀봉부(48)는, 리드 프레임(8)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도 12(a)를 참조하면, Z축의 정방향을 상방향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 투광 소자(11)의 상단부터 투광 기대부(13)의 상단까지의 거리(H11)는, 발광 소자(42)의 상단부터 회로 밀봉 본체부(91)의 상단까지의 거리(H21)보다도 작다. 또한, Z축의 정방향은, 투광 소자(11)의 투광 방향에도 상당하고, 또한, Z축의 정방향은, 발광 소자(42)의 발광 방향에도 상당한다. 따라서 투광 소자(11)의 투광 방향에서의 투광 기대부(13)의 두께(H11)은, 발광 소자(42)의 발광 방향에서의 회로 밀봉 본체부(91)의 두께(H21)보다도 작다. 또한, Z축의 정방향을 상방향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 투광 기대부(13)의 상단부터 투광 렌즈부(14)의 상단(후측 절점)(V1)까지의 거리(H12)는, 동작 표시부(92)의 Z방향의 두께(H22)보다도 작다. 즉, 투광 소자(11)의 투광 방향에서의 투광 렌즈부(19)의 두께(H12)는, 발광 소자(42)의 발광 방향에서의 동작 표시부(92)의 두께(H22)보다도 작다. 이에 의해, Z축의 정방향을 상방향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 투광 소자(11)의 상단부터 투광 렌즈부(19)의 상단(V1)까지의 거리(H1)는, 발광 소자(42)의 상단부터 동작 표시부(92)의 상단까지의 거리(H2)보다도 작다. 즉, 투광 소자(11)의 투광 방향에서의 투광 밀봉부(12)의 두께(H1)는, 발광 소자(42)의 발광 방향에서의 동작 표시부(92)의 두께를 포함하는 회로 밀봉부(90)의 두께(H2)보다도 작다. 또한, H2는, H1의 약 1.5배이다.
도 12(b)를 참조하면, Z축의 정방향을 상방향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 수광 소자(16)의 상단부터 수광 기대부(18)의 상단까지의 거리(H31)는, 발광 소자(42)의 상단부터 회로 밀봉 본체부(91)의 상단까지의 거리(H21)보다도 작다. 또한, Z축의 부방향은, 수광 소자(16)의 수광 방향에도 상당하고, 또한, Z축의 정방향은, 발광 소자(42)의 발광 방향에도 상당한다. 따라서 수광 소자(16)의 수광 방향에서의 수광 기대부(18)의 두께(H31)는, 발광 소자(42)의 발광 방향에서의 회로 밀봉 본체부(91)의 두께(H21)보다도 작다. 또한, Z축의 정방향을 상방향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 수광 기대부(18)의 상단부터 수광 렌즈부(19)의 상단(후측 절점(節點))(V2)까지의 거리(H32)는, 동작 표시부(92)의 Z방향의 두께(H22)보다도 작다. 즉, 수광 소자(16)의 수광 방향에서의 수광 렌즈부(19)의 두께(H32)는, 발광 소자(42)의 발광 방향에서의 동작 표시부(92)의 두께(H22)보다도 작다. 이에 의해, Z축의 정방향을 상방향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 수광 소자(16)의 상단부터 수광 렌즈부(19)의 상단(후측 절점)(V2)까지의 거리(H3)는, 발광 소자(42)의 상단부터 동작 표시부(92)의 상단까지의 거리(H2)보다도 작다. 즉, 수광 소자(16)의 수광 방향에서의 수광 밀봉부(17)의 두께(H3)는, 발광 소자(42)의 발광 방향에서의 동작 표시부(92)의 두께를 포함하는 회로 밀봉부(90)의 두께(H2)보다도 작다. 또한, H2는, H3의 약 1.5배이다.
여기서, 포토 센서(1)의 감도를 올리기 위해, 투광 소자(11)에 의해 발하여지고, 수광 소자(16)에 의해 수광되는 광은, 가능한 한 확산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발광 소자(42)에 의해 발하여지는 광은, 작업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가능한 한 확산되는 편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투광 밀봉부(12)의 두께(H1)는 회로 밀봉부(90)의 두께(H2)보다도 작고, 수광 밀봉부(17)의 두께(H3)는 회로 밀봉부(90)의 두께(H2)보다도 작다. 따라서 투광 밀봉부(12)와, 수광 밀봉부(17)와, 회로 밀봉부(48)는, 광확산제를 같은 농도만큼 함유한 동일한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고 하여도, 투광 밀봉부(12) 및 수광 밀봉부(17)에서는, 광의 확산 정도를 적게 할 수 있고, 회로 밀봉부(90)에서는, 광의 확산 정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시인성에 있어서 유효한 정도에 회로 밀봉부(90)에서 광을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수지중의 광확산제의 농도는, 0.3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포토 센서(1)의 감도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로, 수광 소자(16)의 광전류를 얻어지도록 하려면, 수지중의 광확산제의 농도는, 0.7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수지중의 광확산제의 농도는, 0.3중량% 이상, 또한, 0.7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적으로는, 수지중의 광확산제의 농도는, 0.5중량%이다.
<접속 단자>
도 8을 참조하면, 복수의 접속 단자(50)는, 상술한 전원 단자(51)와, 그라운드(GND)단자(54)와, 제1 단자(52)와, 제3 단자(5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단자(52)와, 제3 단자(53)를 총칭하여, 제1 외부 접속 단자라고 부른다. 제1 단자(52) 및 제3 단자(53)는, 회로 밀봉부(90)로부터 돌출한다. 즉, 제1 외부 접속 단자는, 회로 밀봉부(90)로부터 돌출한다. 또한, 전원 단자(51)와 그라운드 단자(54)를 총칭하여, 제2 외부 접속 단자라고 부른다. 전원 단자(51) 및 그라운드 단자(54)는, 회로 밀봉부(90)로부터 돌출한다. 즉, 제2 외부 접속 단자는, 회로 밀봉부(90)로부터 돌출한다.
도 13은, 복수의 접속 단자(50) 및 그 주변의 확대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단자(52)는, 제 1 회로 접속부(52a)와, 제1 내측 단자부(52c)와, 제1 외측단자부(52d)를 포함한다. 제 1 회로 접속부(52a)는, 와이어 배선(W5)을 통하여 집적회로(41)와 접속한다. 제 1 회로 접속부(52a)는, 와이어 배선(W5)이 접속하는 부분을 말하고,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한 장방형상의 리드를 말한다. 또한, 제 1 회로 접속부(52a)의 형상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장방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내측 단자부(52c)는, 제 1 회로 접속부(52a)로부터 늘어난다. 구체적으로는, 제1 내측 단자부(52c)는, 제 1 회로 접속부(52a)로부터 좌방향(x축 부방향), 또한, 하방향(y축 부방향)으로 늘어나 있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내측 단자부(52c)의 상단은, 제 1 회로 접속부(52a)와의 경계이다. 제1 내측 단자부(52c)의 하단은, 제1 관통구멍(523)의 하단(PE1)을 통과하고, 제1 외측단자부(52d)가 늘어나는 방향(y축 부방향)에 수직한 직선이다. 또한, 제1 내측 단자부(52c)가 늘어나는 방향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방향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1 내측 단자부(52c)의 형상은, 회로 밀봉부(90)와 접하는 부분의 폭(제1 내측 단자부(52c)가 늘어나는 방향(y축 부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길이)가, 제1 내측 단자부(52c)의 하단의 폭(제1 내측 단자부(52c)가 늘어나는 방은(y축 부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길이)보다 좁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좋다. 제1 내측 단자부(52c)의 형상의 상세는, 후술한다.
제1 외측단자부(52d)는, 제1 내측 단자부(52c)로부터 늘어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외측단자부(52d)는, 제1 내측 단자부(52c)로부터 하방향(y축 부방향)으로 늘어나 있다. 제1 외측단자부(52d)는, 제1 내측 단자부(52c)와 접속하는 측과 반대측에 제1 단부(52b)를 포함한다. 제1 단부(52b)는, 제2 관통구멍(525)을 포함한다. 제2 관통구멍(525)은, 솔더링용의 구멍이다. 제1 외측단자부(52d)가 늘어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x축 방향)의, 제1 외측단자부(52d)의 치수는, D11이고, 제1 단부(52b) 부근의 둥그스름함을 띈 부분을 제외하고 일정하다.
도 14는, 제1 내측 단자부(52c)를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 내측 단자부(52c)는, 제1 부분(521)과, 제2 부분(522)과, 제3 부분(524)을 포함한다. 제1 부분(521)은, 제1 좌부분(1521)과, 제1 우부분(2521)을 포함한다. 제2 부분(522)은, 제2 좌부분(1522)과, 제2 우부분(2522)을 포함한다. 제1 부분(521)과, 제2 부분(522)과, 제3 부분(524)에 의해, 제1 관통구멍(523)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내측 단자부(52c)는, 제1 관통구멍(523)을 포함한다.
제1 부분(521)은, 제1 내측 단자부(52c) 중, 회로 밀봉부(90)의 외부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부분(521)의 상단은, 상술한 제1 평면(XY평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에서 보아, 회로 밀봉부(90)의 외형선(外形線)과 제1 내측 단자부(52c)가 겹쳐지는 부분이다. 제1 좌부분(1521)과, 제1 우부분(2521)은, 회로 밀봉부(90)의 외부에 위치한다. 제1 좌부분(1521)은, 제1 부분(521) 중, 제1 관통구멍(523)의 좌측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제1 우부분(2521)은, 제1 부분(521) 중, 제1 관통구멍(523)의 우측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제1 부분(521)은, 제1 외측단자부(52d)와 인접한다. 즉, 제1 좌부분(1521)과, 제1 우부분(2521)은, 제1 외측단자부(52d)와 인접한다.
제2 부분(522)은, 제1 부분(521)에 인접하고, 회로 밀봉부(90)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는, 제2 부분(522)의 하단은, 상술한 제1 평면(XY평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에서 보아, 회로 밀봉부(90)의 외형선과 제1 내측 단자부(52c)가 겹쳐지는 부분이다. 제2 부분(522)의 상단은, 제1 관통구멍(523)의 상단(PE3)을 통과하고, 제1 내측 단자부(52c)가 늘어나는 방향(y축 부방향)에 수직한 직선이다. 제2 좌부분(1522)은, 제2 부분(522) 중, 제1 관통구멍(523)의 좌측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제2 우부분(2522)은, 제2 부분(522) 중, 제1 관통구멍(523)의 우측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즉, 제2 좌부분(1522)은, 제1 좌부분(1521)에 인접하고, 회로 밀봉부(90)의 내부에 위치한다. 제2 우부분(2522)은, 제1 우부분(2521)에 인접하고, 회로 밀봉부(90)의 내부에 위치한다.
제3 부분(524)은, 제2 부분(522)보다도 제 1 회로 접속부(52a)의 부근에 위치한다. 즉, 제3 부분(524)은, 제2 좌부분(1522) 및 제2 우부분(2522)보다도 제 1 회로 접속부(52a)의 부근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는, 제3 부분(524)의 상단은, 제 1 회로 접속부(52a)와의 경계이다. 제3 부분(524)의 하단은, 제1 관통구멍(523)의 상단(PE3)을 통과하고, 제1 내측 단자부(52c)가 늘어나는 방향(y축 부방향)에 수직한 직선이다.
제1 내측 단자부(52c)가 늘어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x축 방향)의, 제1 좌부분(1521)의 치수(D12)는, 제1 외측단자부(52d)가 늘어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x축 방향)의, 제1 외측단자부(52d)의 치수(D11)보다도 짧다. 마찬가지로, 제1 내측 단자부(52c)가 늘어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x축 방향)의, 제1 우부분(2521)의 치수(D13)는, 제1 외측단자부(52d)가 늘어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x축 방향)의, 제1 외측단자부(52d)의 치수(D11)보다도 짧다. 여기서, 제1 내측 단자부(52c)가 늘어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x축 방향)의, 제1 부분(521)의 치수를 D12+D13이라고 한다. 이때, 제1 내측 단자부(52c)가 늘어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x축 방향)의, 제1 부분(521)의 치수(D12+D13)는, 제1 외측단자부(52d)가 늘어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x축 방향)의, 제1 외측단자부(52d)의 치수(D11)보다도 짧다. 제1 외측단자부(52d)는, 복수의 접속 단자(50)가 외부 회로에 부착될 때에, 솔더링되는 부분이다. 제1 외측단자부(52d)가 솔더링되면, 열이 제 1 회로 접속부(52a)를 향하여 전도된다. 그러나, 제1 부분(521)의 치수(D12+D13)가 제1 외측단자부(52d)의 치수(D11)보다도 짧음 의해, 열이 제 1 회로 접속부(52a)를 향하여 전도되기 어려워진다. 이에 의해, 와이어 배선(W5)이 열로 절단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제1 내측 단자부(52c)가 늘어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x축 방향)의, 제2 좌부분(1522)의 치수(D14)는, 제1 내측 단자부(52c)가 늘어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x축 방향)의, 제1 좌부분(1521)의 치수(D12) 이하이다. 마찬가지로, 제1 내측 단자부(52c)가 늘어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x축 방향)의, 제2 우부분(2522)의 치수(D15)는, 제1 내측 단자부(52c)가 늘어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x축 방향)의, 제1 우부분(2521)의 치수(D13) 이하이다. 제1 내측 단자부(52c)가 늘어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x축 방향)의, 제3 부분(524)에서의 제2 부분(522)과의 경계부분의 치수(D16)는, 제1 내측 단자부(52c)가 늘어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x축 방향)의, 제2 좌부분(1522)의 치수(D14)보다 길다. 마찬가지로, 제1 내측 단자부(52c)가 늘어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x축 방향)의, 제3 부분(524)에서의 제2 부분(522)과의 경계부분의 치수(D16)는, 제1 내측 단자부(52c)가 늘어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x축 방향)의, 제2 우부분(2522)의 치수(D15)보다 길다. 여기서, 제1 내측 단자부(52c)가 늘어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x축 방향)의, 제2 부분(522)의 치수를 D14+D15라고 한다. 이때, 제1 내측 단자부(52c)가 늘어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x축 방향)의, 제3 부분(524)에서의 제2 부분(522)과의 경계부분의 치수(D16)는, 제1 내측 단자부(52c)가 늘어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x축 방향)의, 제2 부분(522)의 치수(D14+D15)보다 길다. 제1 외측단자부(52d)가 솔더링되면, 제2 부분(522)에 도달하는 열에 의해, 제2 부분(522)과 접하는 수지가 녹는 일이 있다. 그러나, 제3 부분(524)에서의 제2 부분(522)과의 경계부분의 치수(D16)가, 제2 부분(522)의 치수(D14+D15)보다도 기다람에 의해, 제2 부분(522)과 접하는 수지가 녹아도, 제1 단자(52)가 회로 밀봉부(90)로부터 빠지기 어렵게 되어 있다.
제1 관통구멍(523)의 일부에는, 상술한 수지가 충전된다. 이 수지가 충전되는 부분을 제1 구멍밀봉부(93)라고 부른다(도 8 참조). 제1 구멍밀봉부(93)는, 제1 관통구멍(523)의 일부를 밀봉한다. 역으로 말하면, 제1 관통구멍(523)에는 수지가 충전되지 않는 부분이 존재한다. 회로 밀봉부(90)는, 도 8의 주입구(게이트)(G)로부터 수지가 주입됨에 의해,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된다. 또한, 회로 밀봉부(90)의 성형이 완료되면, 게이트(G)는 깎여 나오게 되고, 게이트(G)의 흔적이 주입구 대응부(97)로서 회로 밀봉부(90)의 표면에 남는다. 즉, 주입구 대응부(97)는, 수지에 의해 회로 밀봉부(90)를 사출 성형할 때의 수지의 주입구(G)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구멍밀봉부(93)는, 회로 밀봉부(90)의 일단에 위치하고, 주입구 대응부(97)는, 회로 밀봉부(90)의 타단에 마련된다. 이 때문에, 제1 관통구멍(523)에는, 보이드(boid : 기포)가 고이기 쉽다. 제1 부분(521)의 치수(D12+D13)가 길면, 공기가 제1 외부 접속 단자에 걸려 멈추어, 기포가 생겨 버린다. 그러나, 제1 부분(521)의 치수(D12+D13)가, 제1 외측단자부(52d)의 치수(D11)보다도 짧기 때문에, 공기가 제1 외부 접속 단자에 걸리는 확률을 내릴 수 있다. 또한, 단자폭(D12+D13)가 좁으면, 기포가 걸리는 부분이 감소하여, 당해 기포에 의해 생기는 수지의 충전 부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1 부분(521)은, 제1 내측 단자부(52c)가 늘어나는 방향에 대해, 수지에 의해 회로 밀봉부(90)를 사출 성형할 때에 버르가 생기지 않는 정도의 길이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 13을 참조하면, 제3 단자(53)는, 제3 회로 접속부(53a)와, 제3 내측 단자부(53c)와, 제3 외측단자부(53d)를 포함한다. 제3 회로 접속부(53a)는, 와이어 배선(W7)과 본체 리드부(30)의 일부의 제3 리드부(36)와 와이어 배선(W7, W8)을 통하여, 집적회로(41)와 접속한다. 제3 회로 접속부(53a)는, 와이어 배선(W6)이 접속하는 부분을 말하고,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한 장방형상의 리드를 말한다. 또한, 제3 회로 접속부(53a)의 형상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장방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3 내측 단자부(53c)는, 제3 회로 접속부(53a)로부터 늘어난다. 구체적으로는, 제3 내측 단자부(53c)는, 제3 회로 접속부(53a)로부터 평면상을 사행(蛇行)하면서, 하방향(y축 부방향)으로 늘어나 있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내측 단자부(53c)의 상단은, 제3 회로 접속부(53a)와의 경계이다. 제3 내측 단자부(53c)의 하단은, 제3 관통구멍(533)의 하단(PE2)을 통과하고, 제3 외측단자부(53d)가 늘어나는 방향(y축 부방향)에 수직한 직선이다. 또한, 제3 내측 단자부(53c)가 늘어나는 방향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방향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3 내측 단자부(53c)의 형상은, 회로 밀봉부(90)와 접하는 부분의 폭(제3 내측 단자부(53c)가 늘어나는 방향(y축 부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길이)가, 제3 내측 단자부(53c)의 하단의 폭(제3 내측 단자부(53c)가 늘어나는 방은(y축 부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길이)보다 좁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좋다. 제3 내측 단자부(53c)의 형상의 상세는, 후술한다.
제3 외측단자부(53d)는, 제3 내측 단자부(53c)로부터 늘어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3 외측단자부(53d)는, 제3 내측 단자부(53c)로부터 하방향(y축 부방향)으로 늘어나 있다. 제3 외측단자부(53d)는, 제3 내측 단자부(53c)와 접속하는 측과 반대측에 제3 단부(53b)를 포함한다. 제3 단부(53b)는, 제4 관통구멍(535)을 포함한다. 제4 관통구멍(535)은, 솔더링용의 구멍이다. 제3 외측단자부(53d)가 늘어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x축 방향)의, 제3 외측단자부(53d)의 치수는, D21이고, 제3 단부(53b) 부근의 둥그스름함을 띈 부분을 제외하고 일정하다.
도 14는, 제3 내측 단자부(53c)를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3 내측 단자부(53c)는, 제4 부분(531)과, 제5 부분(532)과, 제6 부분(534)을 포함한다. 제4 부분(531)은, 제4 좌부분(1531)과, 제4 우부분(2531)을 포함한다. 제5 부분(532)은, 제5 좌부분(1532)과, 제5 우부분(2532)을 포함한다. 제4 부분(531)과, 제5 부분(532)과, 제6 부분(534)에 의해, 제3 관통구멍(533)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3 내측 단자부(53c)는, 제3 관통구멍(533)을 포함한다.
제4 부분(531)은, 제3 내측 단자부(53c) 중, 회로 밀봉부(90)의 외부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는, 제4 부분(531)의 상단은, 상술한 제1 평면(XY평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에서 보아, 회로 밀봉부(90)의 외형선과 제3 내측 단자부(53c)가 겹쳐지는 부분이다. 제4 좌부분(1531)과, 제4 우부분(2531)은, 회로 밀봉부(90)의 외부에 위치한다. 제4 좌부분(1531)은, 제4 부분(531) 중, 제3 관통구멍(533)의 좌측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제4 우부분(2531)은, 제4 부분(531) 중, 제3 관통구멍(533)의 우측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제4 부분(531)은, 제3 외측단자부(53d)와 인접한다. 즉, 제4 좌부분(1531)과, 제4 우부분(2531)은, 제3 외측단자부(53d)와 인접한다.
제5 부분(532)은, 제4 부분(531)에 인접하고, 회로 밀봉부(90)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는, 제5 부분(532)의 하단은, 상술한 제1 평면(XY평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에서 보아, 회로 밀봉부(90)의 외형선과 제3 내측 단자부(53c)가 겹쳐지는 부분이다. 제5 부분(532)의 상단은, 제3 관통구멍(533)의 상단(PE4)을 통과하고, 제3 내측 단자부(53c)가 늘어나는 방향(y축 부방향)에 수직한 직선이다. 제5 좌부분(1532)은, 제5 부분(532) 중, 제3 관통구멍(533)의 좌측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제5 우부분(2532)은, 제5 부분(532) 중, 제3 관통구멍(533)의 우측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즉, 제5 좌부분(1532)은, 제4 좌부분(1531)에 인접하고, 회로 밀봉부(90)의 내부에 위치한다. 제5 우부분(2532)은, 제4 우부분(2531)에 인접하고, 회로 밀봉부(90)의 내부에 위치한다.
제6 부분(534)은, 제5 부분(532)보다도 제3 회로 접속부(53a)의 부근에 위치한다. 즉, 제6 부분(534)은, 제5 좌부분(1532) 및 제5 우부분(2532)보다도 제3 회로 접속부(53a)의 부근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는, 제6 부분(534)의 상단은, 제3 회로 접속부(53a)와의 경계이다. 제6 부분(534)의 하단은, 제3 관통구멍(533)의 상단(PE4)을 통과하고, 제3 내측 단자부(53c)가 늘어나는 방향(y축 부방향)에 수직한 직선이다.
제3 내측 단자부(53c)가 늘어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x축 방향)의, 제4 좌부분(1531)의 치수(D22)는, 제3 외측단자부(53d)가 늘어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x축 방향)의, 제3 외측단자부(53d)의 치수(D21)보다도 짧다. 마찬가지로, 제3 내측 단자부(53c)가 늘어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x축 방향)의, 제4 우부분(2531)의 치수(D23)는, 제3 외측단자부(53d)가 늘어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x축 방향)의, 제3 외측단자부(53d)의 치수(D21)보다도 짧다. 여기서, 제3 내측 단자부(53c)가 늘어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x축 방향)의, 제4 부분(531)의 치수를 D22+D23이라고 한다. 이때, 제3 내측 단자부(53c)가 늘어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x축 방향)의, 제4 부분(531)의 치수(D22+D23)는, 제3 외측단자부(53d)가 늘어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x축 방향)의, 제3 외측단자부(53d)의 치수(D21)보다도 짧다. 제3 외측단자부(53d)는, 복수의 접속 단자(50)가 외부 회로에 부착될 때에, 솔더링되는 부분이다. 제3 외측단자부(53d)가 솔더링되면, 열이 제3 회로 접속부(53a)를 향하여 전도된다. 그러나, 제4 부분(531)의 치수(D22+D23)가 제3 외측단자부(53d)의 치수(D21)보다도 짧음 의해, 열이 제3 회로 접속부(53a)를 향하여 전도되기 어려워진다. 이에 의해, 와이어 배선(W6, W7)이 열로 절단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제3 내측 단자부(53c)가 늘어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x축 방향)의, 제5 좌부분(1532)의 치수(D24)는, 제3 내측 단자부(53c)가 늘어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x축 방향)의, 제4 좌부분(1531)의 치수(D22) 이하이다. 마찬가지로, 제3 내측 단자부(53c)가 늘어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x축 방향)의, 제5 우부분(2532)의 치수(D25)는, 제3 내측 단자부(53c)가 늘어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x축 방향)의, 제4 우부분(2531)의 치수(D23) 이하이다. 제3 내측 단자부(53c)가 늘어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x축 방향)의, 제6 부분(534)의 치수(D26)는, 제3 내측 단자부(53c)가 늘어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x축 방향)의, 제5 좌부분(1532)의 치수(D24)보다 길다. 마찬가지로, 제3 내측 단자부(53c)가 늘어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x축 방향)의, 제6 부분(534)의 치수(D26)는, 제3 내측 단자부(53c)가 늘어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x축 방향)의, 제5 우부분(2532)의 치수(D25)보다 길다. 여기서, 제3 내측 단자부(53c)가 늘어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x축 방향)의, 제5 부분(532)의 치수를 D24+D25라고 한다. 이때, 제3 내측 단자부(53c)가 늘어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x축 방향)의, 제6 부분(534)의 치수(D26)는, 제3 내측 단자부(53c)가 늘어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x축 방향)의, 제5 부분(532)의 치수(D24+D25)보다 길다. 제3 외측단자부(53d)가 솔더링되면, 제5 부분(532)에 도달하는 열에 의해, 제5 부분(532)과 접하는 수지가 녹는 일이 있다. 그러나, 제6 부분(534)의 치수(D26)가, 제5 부분(532)의 치수(D24+D25)보다도 기다람에 의해, 제5 부분(532)과 접하는 수지가 녹아도, 제3 단자(53)가 회로 밀봉부(90)로부터 빠지기 어렵게 되어 있다.
제3 관통구멍(533)의 일부에는, 상술한 수지가 충전된다. 이 수지가 충전되는 부분을 제3 구멍밀봉부(94)라고 부른다(도 8 참조). 제3 구멍밀봉부(94)는, 제3 관통구멍(533)의 일부를 밀봉한다. 역으로 말하면, 제3 관통구멍(533)에는 수지가 충전되지 않는 부분이 존재한다. 제3 구멍밀봉부(94)는, 회로 밀봉부(90)의 일단에 위치하고, 주입구 대응부(97)는, 회로 밀봉부(90)의 타단에 마련된다. 이 때문에, 제3 관통구멍(533)에는, 보이드(boid : 기포)가 고이기 쉽다. 제4 부분(531)의 치수(D22+D23)가 길으면, 공기가 제1 외부 접속 단자에 걸려 멈추어, 기포가 생겨 버린다. 그러나, 제4 부분(531)의 치수(D22+D23)가, 제3 외측단자부(53d)의 치수(D21)보다도 짧기 때문에, 공기가 제1 외부 접속 단자에 걸리는 확률을 내릴 수 있다. 또한, 단자폭(D22+D23)이 좁으면, 기포가 걸리는 부분이 감소하고, 당해 기포에 의해 생기는 수지의 충전 부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4 부분(531)은, 제3 내측 단자부(53c)가 늘어나는 방향에 대해, 수지에 의해 회로 밀봉부(90)를 사출 성형한 때에 버르가 생기지 않을 정도의 길이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을 참조하면, 전원 단자(51)는, 제2 회로 접속부(51a)와, 제2 내측 단자부(51c)와, 제2 외측단자부(51d)를 포함한다. 제2 회로 접속부(51a)는, 와이어 배선(W2, W3)과 제2 리드부(34)와 와이어 배선(W4)을 통하여 집적회로(41)와 접속한다. 제2 내측 단자부(51c)는, 제2 회로 접속부(51a)로부터 늘어난다. 구체적으로는, 제2 내측 단자부(51c)는, 제2 회로 접속부(51a)로부터 좌방향(x축 부방향)으로 늘어나 있다. 제2 외측단자부(51d)는, 제2 내측 단자부(51c)로부터 늘어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외측단자부(51d)는, 제2 내측 단자부(51c)로부터 하방향(y축 부방향)으로 늘어나 있다. 제2 외측단자부(51d)는, 제2 내측 단자부(51c)와 접속하는 측과 반대측에 제2 단부(51b)를 포함한다. 제2 단부(51b)는, 제5 관통구멍(515)을 포함한다. 제5 관통구멍(515)은, 솔더링용의 구멍이다. 제2 외측단자부(51d)가 늘어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x축 방향)의, 제2 외측단자부(51d)의 치수는, 거의 일정하다.
또한, 그라운드 단자(54)는, 제4 회로 접속부(54a)와, 제4 내측 단자부(54c)와, 제4 외측단자부(54d)를 포함한다. 제4 회로 접속부(54a)는, 제1 수광 리드(24)와 와이어 배선(W9)을 통하여 집적회로(41)와 접속한다. 제4 내측 단자부(54c)는, 제4 회로 접속부(54a)로부터 늘어난다. 구체적으로는, 제4 내측 단자부(54c)는, 제4 회로 접속부(54a)로부터 하방향(y축 부방향), 또한, 우방향(x축 정방향)으로 늘어나 있다. 제4 외측단자부(54d)는, 제4 내측 단자부(54c)로부터 늘어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4 외측단자부(54d)는, 제4 내측 단자부(54c)로부터 하방향(y축 부방향)으로 늘어나 있다. 제4 외측단자부(54d)는, 제4 내측 단자부(54c)와 접속하는 측과 반대측에 제4 단부(54b)를 포함한다. 제4 단부(54b)는, 제6 관통구멍(545)을 포함한다. 제6 관통구멍(545)은, 솔더링용의 구멍이다. 제4 외측단자부(54d)가 늘어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x축 방향)의, 제4 외측단자부(54d)의 치수는, 거의 일정하다.
여기서, 제2 관통구멍(525)과 제 1 회로 접속부(52a)와의 거리는, 제5 관통구멍(515)과 제2 회로 접속부(51a)와의 거리보다 짧다. 마찬가지로, 제4 관통구멍(535)과 제3 회로 접속부(53a)와의 거리는, 제5 관통구멍(515)과 제2 회로 접속부(51a)와의 거리보다 짧다. 또한, 제2 관통구멍(525)과 제 1 회로 접속부(52a)와의 거리는, 제6 관통구멍(545)과 제4 회로 접속부(54a)와의 거리보다 짧다. 마찬가지로, 제4 관통구멍(535)과 제3 회로 접속부(53a)와의 거리는, 제6 관통구멍(545)과 제4 회로 접속부(54a)와의 거리보다 짧다. 또한, 여기서 말한 2개의 부분의 사이의 거리는, 당해 2개의 부분을 직선으로 이은 때의 직선상의 거리가 아니라, 당해 2개의 부분의 사이를 잇는 리드상(上)의 최단 거리를 의미한다. 즉, 전원 단자(51) 및 그라운드 단자(54)는, 단부와 회로 접속부와의 사이의 거리가 길기 때문에, 열이 단부로부터 회로 접속부에 전도될 때에 냉각되기 쉽다. 그러나, 제1 단자(52) 및 제3 단자(53)는, 단부와 회로 접속부와의 사이의 거리가 짧기 때문에, 열이 단부로부터 접속부에 전도될 때에 냉각되기 어렵다. 따라서, 제1 단자(52), 제3 단자(53)에, 제1 관통구멍(523), 제3 관통구멍(533)을 마련함에 의해, 열전도를 억제하고 있다.
또한, 제1 단자(52)의 표면적은, 전원 단자(51), 그라운드 단자(54)의 표면보다 작다. 또한, 제3 단자(53)의 표면적은, 전원 단자(51), 그라운드 단자(54)의 표면보다 작다. 전원 단자(51) 및 그라운드 단자(54)는, 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열이 단부로부터 접속부에 전도될 때에 냉각되기 쉽다. 그러나, 제1 단자(52) 및 제3 단자(53)는, 표면적이 작기 때문에, 열이 단부에서 회로 접속부에 전도될 때에 냉각되기 어렵다. 따라서, 제1 단자(52), 제3 단자(53)에, 제1 관통구멍(523), 제3 관통구멍(533)을 마련함에 의해, 열전도를 억제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외측단자부(52d)와, 제3 외측단자부(53d)가 늘어나는 방향, 및 형상은, 동일하다. 또한, 제1 내측 단자부(52c) 및 제3 내측 단자부(53c)의 회로 밀봉부(90)와 접하는 부분의 폭은, 제1 내측 단자부(52c) 및 제3 내측 단자부(53c)의 하단의 폭보다 좁다. 따라서 제 1 회로 접속부(52a)와 제3 회로 접속부(53a)를 교체하여도 좋다. 제1 내측 단자부(52c)와 제3 내측 단자부(53c)를 교체하여도 좋다. 제1 외측단자부(52d)와 제3 외측단자부(53d)를 교체하여도 좋다. 제1 단부(52b)와 제3 단부(53b)를 교체하여도 좋다. 제1 부분(521)과 제4 부분(531)을 교체하여도 좋다. 제2 부분(522)과 제5 부분(532)을 교체하여도 좋다. 제3 부분(524)과 제6 부분(534)을 교체하여도 좋다. 제1 관통구멍(523)과 제3 관통구멍(533)을 교체하여도 좋다. 제1 구멍밀봉부(93)와 제3 구멍밀봉부(94)를 교체하여도 좋다.
마찬가지로, 제2 외측단자부(51d)와 제4 외측단자부(54d)가 늘어나는 방향이 동일하다. 따라서 제2 회로 접속부(51a)와 제4 회로 접속부(54a)를 교체하여도 좋다. 제2 내측 단자부(51c)와 제4 내측 단자부(54c)를 교체하여도 좋다. 제2 외측단자부(51d)와 제4 외측단자부(54d)를 교체하여도 좋다.
또한, 제1 내측 단자부(52c), 제3 내측 단자부(53c)의 형상은, 반드시 관통구멍(523, 533)을 가질 필요는 없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실시 형태의 변형례에 관한 제1 내측 단자부 및 제3 내측 단자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면, 도 15a(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단자(152)가, 제1 좌부분(1521)과 제2 좌부분(1522)을 포함하는 제1 내측 단자부(152c)와, 제 1 회로 접속부(52a)와, 제1 외측단자부(52d)로 형성되어도 좋고, 제3 단자(153)가, 제4 좌부분(1531)과 제5 좌부분(1532)을 포함하는 제3 내측 단자부(153c)와, 제3 회로 접속부(53a)와, 제3 외측단자부(53d)로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도 15a(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단자(252)가, 제1 우부분(2521)과 제2 우부분(2522)을 포함하는 제1 내측 단자부(252c)와, 제 1 회로 접속부(52a)와, 제1 외측단자부(52d)로 형성되어도 좋고, 제3 단자(253)가, 제4 우부분(2531)과 제5 우부분(2532)을 포함하는 제3 내측 단자부(253c)와, 제3 회로 접속부(53a)와, 제3 외측단자부(53d)로 형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은, 공기가 제1 외부 접속 단자에 걸리는 확률을 내릴 수 있는 효과 및 수지의 충전 부족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15b(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단자(352)가, 제1 좌부분(1521)과 제2 좌부분(1522)과 제3 부분(524)을 포함하는 제1 내측 단자부(352c)와, 제 1 회로 접속부(52a)와, 제1 외측단자부(52d)로 형성되어도 좋고, 제3 단자(353)가, 제4 좌부분(1531)과 제5 좌부분(1532)과 제6 부분(534)을 포함하는 제3 내측 단자부(353c)와, 제3 회로 접속부(53a)와, 제3 외측단자부(53d)로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도 15b(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단자(452)가, 제1 우부분(2521)과 제2 우부분(2522)과 제3 부분(524)을 포함하는 제1 내측 단자부(452c)와, 제 1 회로 접속부(52a)와, 제1 외측단자부(52d)로 형성되어도 좋고, 제3 단자(453)가, 제4 우부분(2531)과 제5 우부분(2532)과 제6 부분(534)을 포함하는 제3 내측 단자부(453c)와, 제3 회로 접속부(53a)와, 제3 외측단자부(53d)로 형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공기가 제1 외부 접속 단자에 걸리는 확률을 내릴 수 있는 효과 및 수지의 충전 부족을 줄이는 효과뿐만 아니라, 제2 부분 또는 제5 부분의 수지가 녹은 때에 제1 단자(352, 452), 제3 단자(353, 453)가 회로 밀봉부(90)로부터 빠지기 어려워지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포토 센서에서는, 제1 단자는, 상술한 제1 단자(52, 152, 252, 352, 452)의 어느 하나라도 좋고, 제3 단자는, 상술한 제3 단자(53, 153, 253, 353, 453)의 어느 하나라도 좋다.
<투광 리드 및 수광 리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센서 모듈(5)은, 회로 밀봉부(90) 내의 집적회로(41)의 핀 배치의 제약도 있고, 투광 리드(20, 22)와, 수광 리드(24, 26)를 좌우방향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또한, 센서 모듈(5)은, 평면형상(스트레이트) 타입과 외형 L자형상 타입의 2종류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투광 리드(20), 제2 투광 리드(22), 제1 수광 리드(24) 및 제2 수광 리드(26)는, 이하의 특징을 갖고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투광 리드(20)는, 제1 투광 리드부(202)와, 제2 투광 리드부(204)와, 제3 투광 리드부(206)와, 제4 투광 리드부(208)와, 제5 투광 리드부(210)를 포함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투광 리드부(202)는, 상술한 제1 평면(XY평면)과 평행하면서 상술한 제1 방향(Y축 부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로 밀봉부(90)로부터 돌출하고, 또한 제1 방향과 역방향으로 늘어난다. 구체적으로는, 제1 투광 리드부(202)는, 제1 투광 리드 돌출부(202a)와, 제1 굴곡부(202c)와, 제1 투광 리드 연출부(202b)를 포함하고 있다. 제1 투광 리드 돌출부(202a)는, 제1 평면과 평행하면서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로 밀봉부(90)로부터 돌출한다. 제1 굴곡부(202c)는, 제1 투광 리드 돌출부(202a)와, 제1 투광 리드 연출부(202b)를 연결하고 있다. 제1 투광 리드 연출부(202b)는, 제1 굴곡부(202c)로부터 제2 투광 리드부(204)의 제1 외단부(204b)까지 제1 방향과 역방향(Y축 정방향)으로 늘어난다. 제1 투광 리드 돌출부(202a)는, 회로 밀봉부(90)를 사출 성형한 때에 생기는 버르를 제거할 수 있는 길이(0.3 내지 0.4㎜ 정도의 거리)만큼 마련되어 있다.
제2 투광 리드부(204)는, 제1 외단부(204b)와, 제1 내단부(204a)와, 제1 직선부(204c)를 포함한다. 제1 외단부(204b)는, 제1 투광 리드 연출부(202b)와 제1 직선부(204c)를 연결하고 있다. 제1 외단부(204b)는, 굴곡하고 있다. 제1 직선부(204c)는, 제1 외단부(204b)로부터 제1 내단부(204a)까지, 광축 방향(x축 방향)에서의 내방을 향하여 늘어난다. 여기서, 내방이란, 광축 방향(x축 방향)에서, 상술한 평면(C1)에 근접하는 방향을 말한다. 또한, 외방이란, 광축 방향(x축 방향)에서, 상술한 평면(C1)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을 말한다. 제1 내단부(204a)는, 제1 직선부(204c)와, 제3 투광 리드부(206)를 연결하고 있다. 제1 내단부(204a)는, 굴곡하고 있다. 제3 투광 리드부(206)는, 제2 투광 리드부(204)에 접속된다. 구체적으로는, 제3 투광 리드부(206)는, 제1 내단부(204a)로부터, 후술하는 제4 투광 리드부(208)의 제2 내단부(208a)까지 제1 방향과 역방향(Y축 정방향)으로 늘어나 있다.
제4 투광 리드부(208)는, 제2 외단부(208b)와, 제2 내단부(208a)와, 제2 직선부(208c)를 포함한다. 제2 내단부(208a)는, 제3 투광 리드부(206)와 제2 직선부(208c)를 연결하고 있다. 제2 내단부(208a)는, 굴곡하고 있다. 제2 직선부(208c)는, 제2 내단부(208a)로부터 제2 외단부(208b)까지, 광축 방향(x축 방향)에서의 외방을 향하여 늘어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4 투광 리드부(208)는, 투광부(10)와 수광부(15)를 대향시키기 위해, 제1 곡부(B1)에 의해 절곡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곡부(B1)에 의해 절곡됨에 의해, 제1 곡부(B1)와, 제2 외단부(208b)가, 제1 평면(XY평면)로부터 수직한 방향에서 보아 겹쳐진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축 방향(x축 방향)에서, 제1 내단부(204a)는, 제2 외단부(208b)보다도 내방에 위치한다. 또한, 광축 방향에서, 제2 내단부(208a)는, 제1 외단부(204b)보다도 내방에 위치한다. 제4 투광 리드(208)에서 제1 곡부(B1)가 구부림 여유를 확보하기 위해, 제3 투광 리드부(206)를 내방에 배치하였기 때문에, 이와 같은 위치 관계로 되어 있다.
제2 외단부(208b)는, 제2 직선부(208c)와, 제5 투광 리드부(210)를 연결하고 있다. 제2 외단부(208b)는, 굴곡하고 있다. 제5 투광 리드부(210)는, 제2 외단부(208b)에 접속된다. 제5 투광 리드부(210)는, 제2 외단부(208b)로부터 투광부(10)까지 제1 방향과 역방향(Y축 정방향)으로 굴곡하면서 늘어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 투광 리드(22)는, 광축 방향(x축 방향)에서, 제1 투광 리드(20)보다도 내방에 위치하고 있다. 제2 투광 리드(22)는, 제6 투광 리드부(222)와, 제3 굴곡부(223)와, 제7 투광 리드부(224)와, 제4 굴곡부(225)와, 제8 투광 리드부(226)와, 제5 굴곡부(227)와, 제9 투광 리드부(228)와, 제6 굴곡부(229)와, 제10 투광 리드부(230)와, 제7 굴곡부(231)와, 제11 투광 리드부(232)와, 제8 굴곡부(233)와, 제12 투광 리드부(234)를 포함한다.
제6 투광 리드부(222)는, 제1 평면(XY평면)과 평행하면서 상술한 제1 방향(Y축 부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로 밀봉부(90)로부터 돌출하고, 또한 제1 방향과 역방향으로 늘어난다. 구체적으로는, 제6 투광 리드부(222)는, 제6 투광 리드 돌출부(222a)와, 제2 굴곡부(222c)와, 제6 투광 리드 연출부(222b)를 포함하고 있다. 제6 투광 리드 돌출부(222a)는, 제1 평면과 평행하면서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로 밀봉부(90)로부터 돌출한다. 제2 굴곡부(222c)는, 제6 투광 리드 돌출부(222a)와, 제6 투광 리드 연출부(222b)를 연결하고 있다. 제6 투광 리드 연출부(222b)는, 제2 굴곡부(222c)로부터 제3 굴곡부(223)까지 제1 방향과 역방향(Y축 정방향)으로 늘어난다. 제6 투광 리드 돌출부(222a)는, 회로 밀봉부(90)를 사출 성형한 때에 생기는 버르를 제거할 수 있는 길이(0.3 내지 0.4㎜ 정도의 거리)만큼 마련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투광 리드(22)와 제1 투광 리드부(202) 사이의 거리(D1)(구체적으로는, 제6 투광 리드 연출부(222b)와 제1 투광 리드 연출부(202b) 사이의 거리(D1))는, 제1 투광 리드(20)와 제2 투광 리드(22)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절연을 확보할 수 있을 만큼의 거리로 이격되어 있다.
제3 굴곡부(223)는, 제6 투광 리드부(222)와, 제7 투광 리드부(224)를 연결하고 있다. 제7 투광 리드부(224)는, 제3 굴곡부(223)로부터 제4 굴곡부(225)까지 상술한 제1 방향(Y축 부방향)과 반대방향, 또한, 내방을 향하여 늘어난다. 제7 투광 리드부(224)는, 광축 방향에서의 제1 투광 리드부(202)와의 사이의 거리가 넓어지도록 경사한 투광 경사부에 상당한다.
제4 굴곡부(225)는, 제7 투광 리드부(224)와, 제8 투광 리드부(226)를 연결하고 있다. 제8 투광 리드부(226)는, 제7 투광 리드부(224)에 접속된다. 구체적으로는, 제8 투광 리드부(226)는, 제4 굴곡부(225)로부터 제5 굴곡부(227)까지 제1 방향과 역방향(Y축 정방향)으로 늘어나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투광 리드(22)와 제3 투광 리드부(206) 사이의 거리(D2)(구체적으로는, 제8 투광 리드부(226)와 제3 투광 리드부(206) 사이의 거리(D2))는, 제1 투광 리드(20)와 제2 투광 리드(22)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절연을 확보할 수 있을 만큼의 거리로 이격되어 있다. 또한, 제2 투광 리드(22)와 제3 투광 리드부(206) 사이의 거리(D2)는, 제2 투광 리드(22)와 제1 투광 리드부(202) 사이의 거리(D1)보다 짧다. 이것은, 제4 투광 리드(208)에서 후술하는 제1 곡부(B1)가 구부림 여유를 확보하기 위해, 제3 투광 리드부(206)를 될 수 있는 한 내방에 배치하였기 때문이다.
제5 굴곡부(227)는, 제8 투광 리드부(226)와, 제9 투광 리드부(228)를 연결하고 있다. 제9 투광 리드부(228)는, 제5 굴곡부(227)로부터 제6 굴곡부(229)까지, 광축 방향(x축 방향)에서의 외방(제7 투광 리드부(224)가 광축 방향(x축 방향)에서 기울어지는 방향과 반대방향)를 향하여 늘어난다. 제6 굴곡부(229)는, 제9 투광 리드부(228)와, 제10 투광 리드부(230)를 연결하고 있다. 제10 투광 리드부(230)는, 제9 투광 리드부(228)에 접속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0 투광 리드부(230)는, 제6 굴곡부(229)로부터 제7 굴곡부(231)까지, 제1 방향과 역방향(Y축 정방향)으로 늘어나 있다. 제7 굴곡부(231)는, 제10 투광 리드부(230)와, 제11 투광 리드부(232)를 연결하고 있다. 제11 투광 리드부(232)는, 제7 굴곡부(231)로부터 제8 굴곡부(233)까지, 상술한 제1 방향(Y축 부방향)과 반대방향, 또한, 내방을 향하여 늘어난다. 제11 투광 리드부(232)는, 광축 방향에서의 제1 투광 리드(20)와의 사이의 거리가 넓어지도록 경사하고 있다. 제8 굴곡부(233)는, 제11 투광 리드부(232)와, 제12 투광 리드부(234)를 연결하고 있다. 제12 투광 리드부(234)는, 제8 굴곡부(233)에 접속되고, 투광부(10)까지 제1 방향과 역방향(Y축 정방향)으로 늘어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수광 리드(24)는, 제1 수광 리드부(242)와, 제2 수광 리드부(244)와, 제3 수광 리드부(246)와, 제4 수광 리드부(248)와, 제5 수광 리드부(250)를 포함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수광 리드부(242)는, 제1 평면(XY평면)과 평행하면서 제1 방향(Y축 부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서, 제1 투광 리드(20) 및 제2 투광 리드(22)가 돌출하는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로 밀봉부(90)로부터 돌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수광 리드부(242)는, 제1 수광 리드 돌출부(242a)와, 제9 굴곡부(242c)와, 제1 수광 리드 연출부(242b)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수광 리드 돌출부(242a)는, 제1 평면과 평행하면서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로 밀봉부(90)로부터 제1 굴곡부(202c)까지 돌출한다. 제1 굴곡부(202c)는, 제1 수광 리드 돌출부(242a)와, 제1 수광 리드 돌출부(242a)를 연결하고 있다. 제1 수광 리드 연출부(242b)는, 제1 굴곡부(202c)로부터 제2 수광 리드부(244)의 외단부(244b)까지, 제1 방향과 역방향(Y축 정방향)으로 늘어난다. 제1 수광 리드 돌출부(242a)는, 회로 밀봉부(90)를 사출 성형한 때에 생기는 버르를 제거할 수 있는 길이(0.3 내지 0.4㎜ 정도의 거리)만큼 마련되어 있다.
제2 수광 리드부(244)는, 제3 외단부(244b)와, 제3 내단부(244a)와, 제3 직선부(244c)를 포함한다. 제3 외단부(244b)는, 제1 수광 리드 연출부(242b)와 제3 직선부(244c)를 연결하고 있다. 제3 외단부(244b)는, 굴곡하고 있다. 제3 직선부(244c)는, 제3 외단부(244b)로부터 제3 내단부(244a)까지, 광축 방향(x축 방향)에서의 내방을 향하여 늘어난다. 제3 내단부(244a)는, 제3 직선부(244c)와, 제3 수광 리드부(246)를 연결하고 있다. 제3 내단부(244a)는, 굴곡하고 있다. 제3 수광 리드부(246)는, 제2 수광 리드부(244)에 접속된다. 구체적으로는, 제3 수광 리드부(246)는, 제3 내단부(244a)로부터 후술하는 제4 수광 리드부(248)의 제4 내단부(248a)까지 제1 방향과 역방향(Y축 정방향)으로 늘어나 있다.
제4 수광 리드부(248)는, 제4 외단부(248b)와, 제4 내단부(248a)와, 제4 직선부(248c)를 포함한다. 제4 내단부(248a)는, 제3 수광 리드부(246)와 제4 직선부(248c)를 연결하고 있다. 제4 내단부(248a)는, 굴곡하고 있다. 제4 직선부(248c)는, 제4 내단부(248a)로부터 제4 외단부(248b)까지, 광축 방향(x축 방향)에서의 외방을 향하여 늘어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4 수광 리드부(248)는, 투광부(10)와 수광부(15)를 대향시키기 위해, 제2 곡부(B2)에 의해 절곡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곡부(B2)에 의해 절곡됨에 의해, 제2 곡부(B2)와, 제4 외단부(248b)가, 제1 평면(XY평면)로부터 수직한 방향에서 보아 겹쳐진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축 방향(x축 방향)에서, 제2 수광 리드부(244)의 내단부(244a)는, 제4 외단부(248b)보다도 내방에 위치한다. 또한, 광축 방향에서, 제4 내단부(248a)는, 제3 외단부(244b)보다도 내방에 위치한다. 제4 수광 리드부(248)에서 제2 곡부(B2)가 구부림 여유를 확보하기 위해, 제3 수광 리드부(246)를 내방에 배치하였기 때문에, 이와 같은 위치 관계로 되어 있다.
제4 외단부(248b)는, 제4 직선부(248c)와, 제5 수광 리드부(250)를 연결하고 있다. 제4 외단부(248b)는, 굴곡하고 있다. 제5 수광 리드부(250)는, 제4 외단부(248b)에 접속된다. 제5 수광 리드부(250)는, 제4 외단부(248b)로부터 수광부(15)까지 제1 방향과 역방향(Y축 정방향)으로 굴곡하면서 늘어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 수광 리드(26)는, 광축 방향(x축 방향)에서, 제1 수광 리드(24)보다도 내방에 위치하고 있다. 제2 수광 리드(26)는, 제6 수광 리드부(262)와, 제11 굴곡부(263)와, 제7 수광 리드부(264)와, 제12 굴곡부(265)와, 제8 수광 리드부(266)와, 제13 굴곡부(267)와, 제9 수광 리드부(268)와, 제14 굴곡부(269)와, 제10 수광 리드부(270)와, 제15 굴곡부(271)와, 제11 수광 리드부(272)와, 제16 굴곡부(273)와, 제12 수광 리드부(274)를 포함한다.
제6 수광 리드부(262)는, 제1 평면(XY평면)과 평행하면서 상술한 제1 방향(Y축 부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서, 제1 투광 리드(20) 및 제2 투광 리드(22)가 돌출하는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로 밀봉부(90)로부터 돌출하고, 또한 제1 방향과 역방향으로 늘어난다. 구체적으로는, 제6 수광 리드부(262)는, 제6 수광 리드 돌출부(262a)와, 제10 굴곡부(262c)와, 제6 수광 리드 연출부(262b)를 포함하고 있다. 제6 수광 리드 돌출부(262a)는, 제1 평면과 평행하면서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서, 제1 투광 리드(20) 및 제2 투광 리드(22)가 돌출하는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로 밀봉부(90)로부터 돌출한다. 제10 굴곡부(262c)는, 제6 수광 리드 돌출부(262a)와, 제6 수광 리드 연출부(262b)를 연결하고 있다. 제6 수광 리드 연출부(262b)는, 제10 굴곡부(262c)로부터 제11 굴곡부(263)까지, 제1 방향과 역방향으로 늘어난다. 제6 수광 리드 돌출부(262a)는, 회로 밀봉부(90)를 사출 성형한 때에 생기는 버르를 제거할 수 있는 길이(0.3 내지 0.4㎜ 정도의 거리)만큼 마련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수광 리드(26)와 제1 수광 리드부(242) 사이의 거리(D3)(구체적으로는, 제6 수광 리드 연출부(262b)와 제1 수광 리드 연출부(242b) 사이의 거리(D3))는, 제1 수광 리드(20)와 제2 수광 리드(22)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절연을 확보할 수 있을 만큼의 거리로 이격되어 있다.
제11 굴곡부(263)는, 제6 수광 리드부(262)와, 제7 수광 리드부(264)를 연결하고 있다. 제7 수광 리드부(264)는, 제11 굴곡부(263)로부터 제12 굴곡부(265)까지, 상술한 제1 방향(Y축 부방향)과 반대방향, 또한, 내방을 향하여 늘어난다. 제7 수광 리드부(264)는, 광축 방향에서의 제6 수광 리드부(262)와의 사이의 거리가 넓어지도록 경사한 투광 경사부에 상당한다.
제12 굴곡부(265)는, 제7 수광 리드부(264)와, 제8 수광 리드부(266)를 연결하고 있다. 제8 수광 리드부(266)는, 제7 수광 리드부(264)에 접속된다. 구체적으로는, 제8 수광 리드부(266)는, 제12 굴곡부(265)로부터 제13 굴곡부(267)까지 제1 방향과 역방향(Y축 정방향)으로 늘어나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수광 리드(26)와 제3 수광 리드부(246) 사이의 거리(D4)(구체적으로는, 제8 수광 리드부(266)와 제3 수광 리드부(246) 사이의 거리(D4))는, 제1 수광 리드(20)와 제2 수광 리드(22)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절연을 확보할 수 있을 만큼의 거리로 이격되어 있다. 또한, 제2 수광 리드(26)와 제3 수광 리드부(246) 사이의 거리(D4)는, 제2 수광 리드(26)와 제1 수광 리드부(242) 사이의 거리(D3)보다 짧다. 이것은, 제4 수광 리드부(248)에서 후술하는 제2 곡부(B2)가 구부림 여유를 확보하기 위해, 제3 수광 리드부(246)를 될 수 있는 한 내방에 배치하였기 때문이다.
제13 굴곡부(267)는, 제8 수광 리드부(266)와, 제9 수광 리드부(268)를 연결하고 있다. 제9 수광 리드부(268)는, 제13 굴곡부(267)로부터 제14 굴곡부(269)까지, 광축 방향(x축 방향)에서의 외방(제7 수광 리드부(264)가 광축 방향(x축 방향)에서 기울어지는 방향과 반대방향)를 향하여 늘어난다. 제14 굴곡부(269)는, 제9 수광 리드부(268)와, 제10 수광 리드부(270)를 연결하고 있다. 제10 수광 리드부(270)는, 제9 수광 리드부(268)에 접속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0 수광 리드부(270)는, 제14 굴곡부(269)로부터 제15 굴곡부(271)까지, 제1 방향과 역방향(Y축 정방향)으로 늘어나 있다. 제15 굴곡부(271)는, 제10 수광 리드부(270)와, 제11 수광 리드부(272)를 연결하고 있다. 제11 수광 리드부(272)는, 제15 굴곡부(271)로부터 제16 굴곡부(273)까지, 상술한 제1 방향(Y축 부방향)과 반대방향, 또한, 내방을 향하여 늘어난다. 제11 수광 리드부(272)는, 광축 방향에서의 제1 수광 리드(24)와의 사이의 거리가 넓어지도록 경사하고 있다. 제16 굴곡부(273)는, 제11 수광 리드부(272)와, 제12 수광 리드부(274)를 연결하고 있다. 제12 수광 리드부(274)는, 제8 굴곡부(233)에 접속되고, 투광부(10)까지 제1 방향과 역방향(Y축 정방향)으로 늘어난다.
도 7에 도시하는 센서 모듈(5)의 1차 성형품(센서 모듈(4))로부터, 도 6과 같이 투광부(10)와 수광부(15)를 대향시키기 위해서는, 제1 투광 리드(20)와, 제2 투광 리드(22)는, 제1 절곡선(L1)에 따라 절곡된다. 제1 수광 리드(24)와, 제2 수광 리드(26)는, 제2 절곡선(L2)에 따라 절곡된다. 제1 절곡선(L1)은, 광축에 대해 수직한 제2 방향(Y축 방향)과 평행하다. 제2 절곡선(L2)도, 제2 방향(Y축 방향)과 평행하다. 구체적으로는, 제4 투광 리드부(208)는, 제1 절곡선(L1)에 따라 절곡된 제1 곡부(B1)를 포함한다. 제4 수광 리드부(248)는, 제2 절곡선(L2)에 따라 절곡된 제2 곡부(B2)를 포함한다. 제9 투광 리드부(228)는, 제1 절곡선(L1)에 따라 절곡된 제3 곡부(B3)를 포함한다. 제9 수광 리드부(268)는, 제2 절곡선(L2)에 따라 절곡된 제4 곡부(B4)를 포함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절곡선(L1)에 따라 제1 투광 리드(20) 및 제2 투광 리드(22)를 절곡하지 않고 평판형상으로 전개한 경우에, 전개된 제1 투광 리드(20) 및 전개된 제2 투광 리드(22)는, 제1 절곡선(L1)을 가로지르는 형상이다. 제2 절곡선(L2)에 따라 제1 수광 리드(24) 및 제2 수광 리드(26)를 절곡하지 않고 평판형상으로 전개한 경우에, 전개된 제1 수광 리드(24) 및 전개된 제2 수광 리드(26)는, 제2 절곡선(L2)을 가로지르는 형상이다.
또한, 제1 투광 리드(20), 제2 투광 리드(22), 제1 수광 리드(24) 및 제2 수광 리드(26)는, 절곡하거나, 투광부(10), 수광부(15)를 지지하거나 하는데도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을 만큼의 폭(예를 들면, 0.5㎜ 이상)를 갖고 있다. 또한, 상술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제1 투광 리드(20), 제2 투광 리드(22), 제1 수광 리드(24) 및 제2 수광 리드(26)는, 구리합금, 금, 철, 니켈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5 투광 리드부(210)와 제8 투광 리드부(226)의, 광축 방향의 거리는, 투광 케이스부(62)의 세로폭(D31)과 가로폭(D32)의 합보다 작다(도 2 참조). 또한, 제5 수광 리드부(250)와 제8 수광 리드부(266)의, 광축 방향의 거리는, 수광 케이스부(63)의 세로폭(D31)과 가로폭(D33)의 합보다 작다(도 2 참조). 이에 의해, 업계 표준을 충족시키는 투광 케이스부(62)와 수광 케이스부(63)의 속에, 각각, 투광 리드(20, 22), 수광 리드(24, 26)를 격납할 수 있다.
또한, 도 6부터 도 8에 든, 제1 투광 리드(20), 제2 투광 리드(22), 제1 수광 리드(24) 및 제2 수광 리드(26)의 형상은, 어디까지나 한 예에 지나지 않고, 제1 투광 리드(20), 제2 투광 리드(22), 제1 수광 리드(24) 및 제2 수광 리드(26)는, 이하의 4개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이면, 다른 형상을 가져도 좋다.
[조건 1] 도 7과 같이 제1 투광 리드(20)를 전개시킨 상태에서, 제1 투광 리드(20)와 절곡선(L1)과의 x축 방향의 최대 거리(제5 투광 리드부(210)와, 절곡선(L1)과의 x축 방향의 거리)가, 도 2에 도시하는 투광 케이스부(62)의 세로폭(D31)보다 작다.
[조건 2] 도 7과 같이 제2 투광 리드(22)를 전개시킨 상태에서, 제2 투광 리드(22)와 절곡선(L1)과의 x축 방향의 최대 거리(제8 투광 리드부(226)와, 절곡선(L1)과의 x축 방향의 거리)가, 도 2에 도시하는 투광 케이스부(62)의 가로폭(D32)보다 작다.
[조건 3] 도 7과 같이 제1 수광 리드(24)를 전개시킨 상태에서, 제1 수광 리드(24)와 절곡선(L2)과의 x축 방향의 최대 거리(제5 수광 리드부(250)와, 절곡선(L2)과의 x축 방향의 거리)가, 도 2에 도시하는 수광 케이스부(63)의 세로폭(D31)보다 작다.
[조건 4] 도 7과 같이 제2 수광 리드(26)를 전개시킨 상태에서, 제2 수광 리드(26)와 절곡선(L2)과의 x축 방향의 최대 거리(제8 수광 리드부(266)와, 절곡선(L2)과의 x축 방향의 거리)가, 도 2에 도시하는 수광 케이스부(63)의 가로폭(D33)보다 작다.
도 16은, 센서 모듈의 변형례(5a)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센서 모듈의 변형례(5a)의 1차 성형품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달리 말을 하면, 도 17은, 도 16의 변형례(5a)의 전개도이다. 이후의 설명에서는, 도 17에 도시되는 평판에 전개된 센서 모듈(5a)를, 센서 모듈(4a)이라고 한다. 도 16, 도 17에서, 도 6, 도 7에 도시된 각 구성과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있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센서 모듈(5a)은, 제1 투광 리드(21)와, 제2 투광 리드(23)와, 제1 수광 리드(25)와, 제2 수광 리드(27)를 포함하고 있다. 제1 투광 리드(21)와, 제2 투광 리드(23)와, 제1 수광 리드(25)와, 제2 수광 리드(27)는 판형상이다. 제1 투광 리드(21) 및 제2 투광 리드(23)는, 투광부(10)와 회로 밀봉부(90)를 접속한다. 제1 투광 리드(21) 및 제2 투광 리드(23)는, 상술한 제1 평면(XY)과 평행하게, 또한, 상술한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좌방향 : X축 부방향)으로 회로 밀봉부(90)로부터 돌출한다. 그리고, 제1 투광 리드(21) 및 제2 투광 리드(23)는, 제1 방향과 역방향(Y축 정방향)으로 늘어난다. 제1 수광 리드(25) 및 제2 수광 리드(27)는, 수광부(15)와 회로 밀봉부(90)를 접속한다. 제1 수광 리드(25) 및 제2 수광 리드(27)는, 상술한 제1 평면과 평행하게, 또한,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서, 제1 투광 리드(21) 및 제2 투광 리드(23)가 돌출하는 방향과 역방향(우방향 : X축 정방향)으로, 회로 밀봉부(90)로부터 돌출한다. 예를 들면, 회로 밀봉부(90)가 직방체인 경우, 제1 투광 리드(21) 및 제2 투광 리드(23)가 돌출한 면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제1 수광 리드(25) 및 제2 수광 리드(27)가 돌출하고 있다. 그때에 리드의 각도까지는 묻지 않는다. 그리고, 제1 수광 리드(25) 및 제2 수광 리드(27)는, 제1 방향과 역방향(Y축 정방향)으로 늘어난다. 제1 투광 리드(21) 및 제2 투광 리드(23)와, 제1 수광 리드(25) 및 제2 수광 리드(27)가 투광부(10)와 수광부(15)가 대향하도록 변형되어 있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투광 리드(21)는, 제1 투광 리드부(202)와, 제17 투광 리드부(205)와, 제18 투광 리드부(266d)와, 제13 굴곡부(267)와, 제19 투광 리드부(268d)와, 제14 굴곡부(269)와, 제20 투광 리드부(270d)와, 제15 굴곡부(271)와, 제21 투광 리드부(272d)와, 제16 굴곡부(273)와, 제22 투광 리드부(274d)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8 투광 리드부(266d)로부터 제22 투광 리드부(274d)까지의 형상과, 도 7에서, 제8 수광 리드부(266)로부터 제11 수광 리드부(272)까지의 형상이 같다. 또한, 제1 투광 리드부(202)도 도 7의 제1 투광 리드부(202)와 형상이 같다. 따라서, 제17 투광 리드부(205)만이 종래 설명한 것과 크게 다르기 때문에 이하 설명한다.
제17 투광 리드부(205)는, 제5 외단부(205b)와, 제5 내단부(205a)와, 제5 직선부(205c)를 포함한다. 제5 내단부(205a)는, 제1 투광 리드 연출부(202b)와 제5 직선부(204g)를 연결하고 있다. 제5 내단부(205a)는, 굴곡하고 있다. 제5 직선부(204g)는, 제5 내단부(205a)로부터 제5 외단부(205b)까지, 광축 방향(x축 방향)에서의 외방을 향하여 늘어난다. 제5 외단부(205b)는, 제5 직선부(205c)와, 제18 투광 리드부(266d)를 연결하고 있다. 제5 외단부(205b)는, 굴곡하고 있다. 제18 투광 리드부(266d)는, 제17 투광 리드부(205)에 접속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8 투광 리드부(266d)는, 제5 외단부(205b)로부터 제13 굴곡부(267)까지 제1 방향과 역방향(Y축 정방향)으로 늘어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19 투광 리드부(268d)는, 제13 굴곡부(267)로부터 광축 방향(x축 방향)에서의 내방으로 늘어난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축 방향(x축 방향)에서, 제5 내단부(205a)는, 제13 굴곡부(267)(제19 투광 리드부(268d)의 외단부에 상당하다)보다도 내방에 위치한다. 또한, 광축 방향에서, 제19 투광 리드부(268d)의 내방부에 상당하는 제14 굴곡부(269)는, 제5 외단부(205b)보다도 내방에 위치한다. 제19 투광 리드부(268d)에서 제1 곡부(B1)가 구부림 여유를 확보하기 위해, 제18 투광 리드부(266d)를 외방에 배치하였기 때문에, 이와 같은 위치 관계로 되어 있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제2 투광 리드(23)는, 광축 방향(x축 방향)에서, 제1 투광 리드(21)보다도 내방에 위치하고 있다. 제2 투광 리드(23)는, 제6 투광 리드부(222)와, 제23 투광 리드부(244d)와, 제24 투광 리드부(246d)와, 제25 투광 리드부(248d)와, 제26 투광 리드부(250d)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3 투광 리드부(244d)로부터 제26 투광 리드부(250d)까지의 형상과, 도 7에서, 제2 수광 리드부(244)로부터 제5 수광 리드부(250)까지의 형상이 같다. 또한, 제6 투광 리드부(222)도 도 7의 제6 투광 리드부(222)와 형상이 같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수광 리드(24)는, 제1 수광 리드부(242)와, 제17 수광 리드부(245)와, 제18 수광 리드부(226d)와, 제5 굴곡부(227)와, 제19 수광 리드부(228d)와, 제6 굴곡부(229)와, 제20 수광 리드부(230d)와, 제7 굴곡부(231)와, 제21 수광 리드부(232d)와, 제8 굴곡부(233)와, 제22 수광 리드부(234d)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8 수광 리드부(226d)로부터 제22 수광 리드부(234d)까지의 형상은, 도 7의 제8 투광 리드부(226)로부터 제12 투광 리드부(234)까지의 형상과 같다. 따라서, 제17 수광 리드부(245)만이 종래 설명한 것과 크게 다르기 때문에 이하 설명한다.
제17 수광 리드부(245)는, 제6 외단부(245b)와, 제6 내단부(245a)와, 제6 직선부(245c)를 포함한다. 제6 내단부(245a)는, 제1 투광 리드 연출부(242b)와 제6 직선부(245c)를 연결하고 있다. 제6 내단부(245a)는, 굴곡하고 있다. 제6 직선부(245c)는, 제6 내단부(245a)로부터 제6 외단부(245b)까지, 광축 방향(x축 방향)에서의 외방을 향하여 늘어난다. 제6 외단부(245b)는, 제6 직선부(245c)와, 제18 수광 리드부(226d)를 연결하고 있다. 제6 외단부(245b)는, 굴곡하고 있다. 제18 수광 리드부(226d)는, 제17 수광 리드부(245)에 접속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8 수광 리드부(226d)는, 제6 외단부(245b)로부터 제5 굴곡부(227)까지 제1 방향과 역방향(Y축 정방향)으로 늘어나 있다. 제19 수광 리드부(228d)는, 제5 굴곡부(227)로부터, 광축 방향(x축 방향)에서의 내방을 향하여 늘어난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축 방향(x축 방향)에서, 제6 내단부(245a)는, 제19 수광 리드부(228d)의 외단부에 상당하는 제5 굴곡부(227)보다도 내방에 위치한다. 또한, 광축 방향에서, 제19 수광 리드부(228d)의 내방부에 상당하는 제6 굴곡부(229)는, 제6 외단부(245b)보다도 내방에 위치한다. 제19 수광 리드부(228d)에서 제2 곡부(B2)가 구부림 여유를 확보하기 위해, 제18 수광 리드부(226d)를 외방에 배치하였기 때문에, 이와 같은 위치 관계로 되어 있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제2 수광 리드(27)는, 광축 방향(x축 방향)에서, 제1 수광 리드(25)보다도 내방에 위치하고 있다. 제2 수광 리드(27)는, 제6 수광 리드부(262)와, 제23 수광 리드부(204d)와, 제24 수광 리드부(206d)와, 제25 수광 리드부(208d)와, 제26 수광 리드부(210d)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3 수광 리드부(204d)로부터 제26 수광 리드부(210d)까지의 형상과, 도 7에서, 제2 투광 리드부(204)로부터 제5 투광 리드부(210)까지의 형상이 같다. 또한, 제6 수광 리드부(262)도 도 7의 제6 수광 리드부(262)와 형상이 같다.
도 17에 도시하는 센서 모듈(5)의 1차 성형품(센서 모듈(4a))으로부터, 도 16과 같이 투광부(10)와 수광부(15)를 대향시키기 위해서는, 제1 투광 리드(21)와, 제2 투광 리드(23)는, 제1 절곡선(L1)에 따라 절곡된다. 제1 수광 리드(25)와, 제2 수광 리드(27)는, 제2 절곡선(L2)에 따라 절곡된다. 제1 절곡선(L1)은, 광축에 대해 수직한 제2 방향(Y축 방향)과 평행하다. 제2 절곡선(L2)도, 제2 방향(Y축 방향)과 평행하다. 구체적으로는, 제19 투광 리드부(268d)는, 제1 절곡선(L1)에 따라 절곡된 제1 곡부(B1)를 포함한다. 제19 수광 리드부(228d)는, 제2 절곡선(L2)에 따라 절곡된 제2 곡부(B2)를 포함한다. 제25 투광 리드부(248d)는, 제1 절곡선(L1)에 따라 절곡된 제3 곡부(B3)를 포함한다. 제25 수광 리드부(208d)는, 제2 절곡선(L2)에 따라 절곡된 제4 곡부(B4)를 포함한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절곡선(L1)에 따라 제1 투광 리드(21) 및 제2 투광 리드(23)를 절곡하지 않고 평판형상으로 전개한 경우에, 전개된 제1 투광 리드(21) 및 전개된 제2 투광 리드(23)는, 제1 절곡선(L1)을 가로지르는 형상이다. 제2 절곡선(L2)에 따라 제1 수광 리드(25) 및 제2 수광 리드(27)를 절곡하지 않고 평판형상으로 전개한 경우에, 전개된 제1 수광 리드(25) 및 전개된 제2 수광 리드(27)는, 제2 절곡선(L2)을 가로지르는 형상이다.
본 형상에서는, 제1 투광 리드부(202), 제6 투광 리드부(222), 제1 수광 리드부(242), 제6 수광 리드부(262)의 형상이 같기 때문에, 회로 밀봉부(90)를 사출 성형한 때에 생기는 버르를 제거할 수 있을 정도로, 투광 리드(20, 22) 및 수광 리드(24, 26)는, 회로 밀봉부(90)와 0.3 내지 0.4㎜ 정도의 거리만큼 떼어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6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제1 투광 리드(21)와 제2 투광 리드(23)와의 간격이 분명히 도 6의 간격(D2)보다도 크기 때문에, 제1 투광 리드(21)와 제2 투광 리드(23)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절연을 확보할 수 있을 만큼의 간격이 이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수광 리드(25)와 제2 수광 리드(27)와의 간격이 분명히 도 6의 간격(D4)보다도 크기 때문에, 제1 수광 리드(25)와 제2 수광 리드(27)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절연을 확보할 수 있을 만큼의 간격이 이격되어 있다. 또한, 제1 투광 리드(21), 제2 투광 리드(23), 제1 수광 리드(25) 및 제2 수광 리드(27)는, 절곡하거나, 투광부(10), 수광부(15)를 지지하거나 하는데도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을 만큼의 폭(예를 들면, 0.5㎜ 이상)를 확보하면 좋다. 또한, 상술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제1 투광 리드(21), 제2 투광 리드(23), 제1 수광 리드(25) 및 제2 수광 리드(27)는, 구리합금, 금, 철, 니켈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투광 리드(21), 제2 투광 리드(23), 제1 수광 리드(25) 및 제2 수광 리드(27)는, 상술한 [조건 1] 내지 [조건 4]를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회로 밀봉부(90)의 옆으로부터 투수광 리드를 돌출시킨 센서 모듈(5)을 실현할 수 있다.
다음에, 도 7의 센서 모듈(4)는, 외형 L자형상 타입에 대응시키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외형 L자형상 타입에 대응시키는 경우, 절곡선(L1, L2)에 더하여, 제3 절곡선(L3) 및 제4 절곡선(L4)에서도, 제1 투광 리드(20), 제2 투광 리드(22), 제1 수광 리드(24) 및 제2 수광 리드(26)를 절곡한다. 도 18은, 투수광 리드를 L자형상으로 절곡한 경우의 센서 모듈을 광축 방향에서 본 우측면도이다. 도 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제1 투광 리드(20), 제2 투광 리드(22), 제1 수광 리드(24) 및 제2 수광 리드(26)는, 제4 절곡선(L4)에서 상술한 제1 평면(XY평면)으로부터 45도 굴곡하고 있다. 제1 투광 리드(20), 제2 투광 리드(22), 제1 수광 리드(24) 및 제2 수광 리드(26)는, 각각, 제4 절곡선(L4)에 의해 절곡된 부분인, 곡부(B6, B8, B10, B12)를 갖고 있다. 제1 투광 리드(20), 제2 투광 리드(22), 제1 수광 리드(24) 및 제2 수광 리드(26)는, 제4 절곡선(L4)에서 절곡된 제1 투광 리드(20), 제2 투광 리드(22), 제1 수광 리드(24) 및 제2 수광 리드(26)로부터 제3 절곡선(L3)에서 45도 굴곡하고 있다. 제1 투광 리드(20), 제2 투광 리드(22), 제1 수광 리드(24) 및 제2 수광 리드(26)는, 각각, 제3 절곡선(L3)에 의해 절곡된 부분인, 곡부(B5, B7, B9, B11)를 갖고 있다. 즉, 제3 절곡선(L3)에서 절곡된 제1 투광 리드(20), 제2 투광 리드(22), 제1 수광 리드(24) 및 제2 수광 리드(26)는, 제1 평면(XY평면)에 대해 직교하고 있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서는, 도 18과 같이, 외형 L자형상 타입에 대응하도록 절곡된 센서 모듈을 센서 모듈(6)이라고 부른다.
여기서, 곡부(B5부터 B6까지)의 부분, 곡부(B7부터 B8까지)의 부분, 곡부(B9부터 B10까지)의 부분 및 곡부(B11부터 B12까지)의 부분을, 방향전환부라고 부른다. 또한, 제2 투광 리드(22)의 곡부(B7부터 B8까지)의 부분을, 특히, 제1 방향전환부라고 부른다, 제2 수광 리드(26)의 곡부(B11로부터 B12까진)의 부분을, 특히, 제2 방향전환부라고 부르기로 한다.
이상에 기술한 외형 L자형상 타입의 형상의 특징을, 제2 투광 리드(22)와, 제2 수광 리드(26)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6 수광 리드부(262)는, 회로 밀봉부(90)로부터 광축 방향(x축 방향)를 향하여 늘어나 있는 제6 수광 리드 돌출부(262a)를 포함하고, 회로 밀봉부(90)로부터 상술한 제1 평면(xy 평면)상에서 늘어난다. 제6 수광 리드부(262)는, 제1 평면상에서,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y축 정방향)으로 늘어나는 제6 수광 리드 연출부(262b)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제2 수광 리드(26)가 회로 밀봉부(9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기 때문에, 절곡선(L4)에 의한 절곡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6 수광 리드부(262), 제6 수광 리드 연출부(262b)를, 각각, 제1 수광 베이스 리드부, 제1 수광 직선 리드부라고 불러도 좋다.
제8 수광 리드부(266)는, 제1 평면에 수직한 제2 평면(x 평면)상에서 광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축 정방향)으로 늘어난다. 제7 수광 리드부(264)는, 제6 수광 리드부(262)와, 제8 수광 리드부(266)를 접속한다. 여기서, 제8 수광 리드부(266)를 제2 수광 베이스 리드부, 또는, 제2 수광 직선 리드부라고 불러도 좋다. 또한, 제7 수광 리드부(264)는, 투광 접속 리드부라고 불러도 좋다.
제6 수광 리드 연출부(262b)는, 제4 절곡선(L4)에 절곡되는 곡부(B12)를 갖고 있다. 즉, 제6 수광 리드 연출부(262b)는, 굴곡한 형상을 갖고 있다. 제8 수광 리드부(266)는, 제3 절곡선(L3)에서 절곡되는 곡부(B11)를 갖고 있다. 즉, 제8 수광 리드부(266)는, 굴곡한 형상을 갖고 있다. 제6 수광 리드 연출부(262b)와 제8 수광 리드부(266)는 모두 직선적인 형상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리드 부분에서 절곡을 행함에 의해, 굽힘 가공이 용이해진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2 수광 리드(26)는, 제6 수광 리드 연출부(262b)에서 45도 굴곡하고, 제8 수광 리드부(266)에서 45도 굴곡하고 있다. 즉, 제6 수광 리드 연출부(262b)의 굴곡 각도와, 제8 수광 리드부(266)의 굴곡 각도와의 합계는 90도이다. 또한, 도 18과 같이, 45도를 2회 구부리는 이외에, 3회 이상 굴곡시키고, 합계가 90도가 되도록, 제2 수광 리드(26)를 절곡하여도 좋다. 또한, 제2 수광 리드(26)가 절곡 전의 면과 절곡 후의 면이 이루는 각을 90도가 되도록, 제2 수광 리드(26)를 곡면형상으로 절곡하여도 좋다.
여기서, 제2 수광 리드(26)는, 회로 밀봉부(90)의 표면상의, 제2 수광 리드(26)의 제3 기부(基部)(S3)로부터 투광부(10)의 표면상의, 제2 수광 리드(26)의 제4 기부(S4)까지 늘어나 있다. 제2 수광 리드(26)는, 제3 기부(S3)로부터 제4 기부(S4)까지의 사이에, 제2 수광 리드(26)가 늘어나는 방향을 제1 평면(xy 평면)로부터 제1 평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전환하는 제2 방향전환부를 포함한다. 제2 수광 리드(26)는, 제3 기부(S3)와 제4 기부(S4)와의 사이에서 복수 개소에서 굴곡한 형상을 갖는다. 또한, 도 18을 참조하면, 광축 방향(x축 방향)에서 본, 제3 기부(S3)로부터 제2 방향전환부를 거쳐서 제4 기부(S4)에 이르는 제2 수광 리드(26)의 길이는, 광축 방향(x축 방향)에서 본 제2 수광 리드(26)의, 제3 기부(S3)로부터 제2 방향전환부(곡부(B12))까지의 직선거리(D31)와, 광축 방향에서 본 제2 수광 리드(26)의, 제2 방향전환부(곡부(B11))로부터 제4 기부(S4)까지의 직선거리(D32)와, 광축 방향에서 본 제2 방향전환부의, 제3 기부(S3)로부터의 제2 수광 리드(26)와 접하는 일단과, 제4 기부(S4)에의 제2 수광 리드(26)와 접하는 타단과의 사이의 직선거리(D33)와의 합으로 정의된다. 광축 방향에서 본, 제3 기부(S3)로부터 제2 방향전환부를 거쳐서 제4 기부(S4)에 이르는 제2 수광 리드(26)의 길이는, 제3 기부(S3)로부터 제4 기부(S4)까지 1회 90도로 구부린 L자형상의 제2 가상 리드선(26v)(도 18에서는 2점 쇄선으로 표시)의, 광축 방향에서 본 길은(D41+D42)보다 짧다.
도 7을 참조하면, 제6 투광 리드부(222)는, 회로 밀봉부(90)로부터 광축 방향(x축 방향)를 향하여 늘어나 있는 제6 투광 리드 돌출부(222a)를 포함하고, 회로 밀봉부(90)로부터 상술한 제1 평면(xy 평면)상에서 늘어난다. 제6 투광 리드부(222)는, 제1 평면상에서,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y축 정방향)으로 늘어나는 제6 투광 리드 연출부(222b)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제2 투광 리드(22)가 회로 밀봉부(9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기 때문에, 절곡선(L4)에 의한 절곡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6 투광 리드부(222), 제6 투광 리드 연출부(222b)를, 각각, 제1 투광 베이스 리드부, 제1 투광 직선 리드부라고 불러도 좋다.
제8 투광 리드부(226)는, 제1 평면에 수직한 제2 평면(x 평면)상에서 광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축 정방향)으로 늘어난다. 제7 투광 리드부(224)는, 제6 투광 리드부(222)와, 제8 투광 리드부(226)를 접속한다. 여기서, 제8 투광 리드부(226)를 제2 투광 베이스 리드부, 또는, 제2 투광 직선 리드부라고 불러도 좋다. 또한, 제7 투광 리드부(224)는, 투광 접속 리드부라고 불러도 좋다.
제6 투광 리드 연출부(222b)는, 제4 절곡선(L4)에서 절곡되는 곡부(B8)를 갖고 있다. 즉, 제6 투광 리드 연출부(222b)는, 굴곡한 형상을 갖고 있다. 제8 투광 리드부(226)는, 제3 절곡선(L3)에서 절곡되는 곡부(B7)를 갖고 있다. 즉, 제8 투광 리드부(226)는, 굴곡한 형상을 갖고 있다. 제6 투광 리드 연출부(222b)와 제8 투광 리드부(226)는 모두 직선적인 형상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리드 부분에서 절곡을 행함에 의해, 굽힘 가공이 용이해진다. 제2 투광 리드(22)는, 제6 투광 리드 연출부(222b)에서 45도 굴곡하고, 제8 투광 리드부(226)에서 45도 굴곡하고 있다. 즉, 제6 투광 리드 연출부(222b)의 굴곡 각도와, 제8 투광 리드부(226)의 굴곡 각도와의 합계는 90도이다. 또한, 도 18과 같이, 45도를 2회 구부리는 이외에, 3회 이상 굴곡시켜서, 합계가 90도가 되도록, 제2 투광 리드(22)를 절곡하여도 좋다. 또한, 제2 투광 리드(22)의 절곡 전의 면과 절곡 후의 면이 이루는 각을 90도가 되도록, 제2 투광 리드(22)를 곡면형상으로 절곡하여도 좋다.
여기서, 제2 투광 리드(22)는, 회로 밀봉부(90)의 표면상의, 제2 투광 리드(22)의 제1 기부(S1)로부터 투광부(10)의 표면상의, 제2 투광 리드(22)의 제2 기부(S2)(도 7 참조)까지 늘어나 있다. 제2 투광 리드(22)는, 제1 기부(S1)로부터 제2 기부(S2)까지의 사이에, 제2 투광 리드(22)가 늘어나는 방향을 제1 평면(xy 평면)로부터 제1 평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전환하는 제1 방향전환부를 포함한다. 제2 투광 리드(22)는, 제1 기부와 제2 기부와의 사이에서 복수개소에서 굴곡하는 형상을 갖는다. 또한, 광축 방향(x축 방향)에서 본, 제1 기부(S1)로부터 제1 방향전환부를 거쳐서 제2 기부(S2)에 이르는 제2 투광 리드(22)의 길이는, 광축 방향(x축 방향)에서 본 제2 투광 리드(22)의, 제1 기부(S1)로부터 제1 방향전환부(곡부 B6)까지의 직선거리와, 광축 방향에서 본 제2 투광 리드(22)의, 제1 방향전환부(곡부(B7))로부터 제2 기부(S2)까지의 직선거리와, 광축 방향에서 본 제1 방향전환부의, 제1 기부(S1)로부터의 제2 투광 리드(22)와 접하는 일단과, 제2 기부(S2)에의 제2 투광 리드(22)와 접하는 타단과의 사이의 직선거리와의 합으로 정의된다. 광축 방향에서 본, 제1 기부(S1)로부터 제1 방향전환부를 거쳐서 제2 기부(S2)에 이르는 제2 투광 리드(22)의 길이는, 제1 기부(S1)로부터 제2 기부(S2)까지 1회 90도로 구부린 L자형상의 제1 가상 리드선의, 광축 방향에서 본 길이(D41+D42)보다 짧다. 이에 의해, 하나의 센서 모듈(4)을 절곡함에 의해, 평면형상(스트레이트) 타입에도 외형 L자형상 타입에도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18은, 센서 모듈의 좌측면을 도시하고 있어서, 제2 투광 리드(22)는 표시되지 않는다. 그러나, 앞에서 기술한 설명과 같이, 제2 투광 리드(22)는, 제2 수광 리드(26)와, 평면(C1)(도 6 참조)에서 면 대칭이기 때문에, 제2 투광 리드(22)는, 도 18에 도시한 굴곡과 같은 굴곡이 행하여지고 있다. 또한, 제1 가상 리드선의 형상도, 제2 가상 리드선(26v)의 형상과 같다.
이와 같이, 제1 투광 리드(20), 제2 투광 리드(22), 제1 수광 리드(24) 및 제2 수광 리드(26)를 절곡함에 의해, 투광부(10)와 회로 밀봉부(90)와의 Z축 방향의 거리 및 수광부(15)와 회로 밀봉부(90)와의 Z축 방향의 거리를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 그 결과, 포토 센서(1)의 외형(광축(Ax))의 설계의 자유도를 늘릴 수 있다.
<센서 모듈을 수납하는 케이스>
다음에, 상술한 센서 모듈(5)을 수납하는 케이스에 관해 설명한다. 센서 모듈(5)을 케이스(60)에 수납할 때에는, 서브 케이스(80)도 아울러서 수납된다. 서브 케이스(80)는, 센서 모듈(5)을 케이스(60) 내에 수납할 때에, 투광부(10) 및 수광부(15)를 가이드하고, 제1 투광 리드(20), 제2 투광 리드(22), 제1 수광 리드(24), 및 제2 수광 리드(26)가 케이스(60)의 내벽과 접촉함에 의해 변형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9(a)는, 서브 케이스(80)의 정면도이다. 도 19(b)는, 서브 케이스(80)의 저면도이다. 도 19(c)는, 서브 케이스(80)의 좌측면도이다. 도 19(d)는, 서브 케이스(80)의 우측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60)는, 센서 모듈(5)의 투광부(10), 제1 투광 리드(20), 제2 투광 리드(22), 수광부(15), 제1 수광 리드(24) 및 제2 수광 리드(26), 및, 서브 케이스(80)를 수용한다. 케이스 본체부(61)는, 회로 밀봉부(90)를 수용한다. 투광 케이스부(62)는, 투광부(10), 제1 투광 리드(20) 및 제2 투광 리드(22)를 수용한다. 수광 케이스부(63)는, 수광부(15), 제1 수광 리드(24) 및 제2 수광 리드(26)를 수용한다. 회로 밀봉부(90)는, 하방에서 저판(98)에 의해 지지된다. 저판(98)은, 케이스 본체부(61)의 일부와 계합함에 의해 부착된다.
서브 케이스(80)는, 제1 천판부(81), 제2 천판부(83), 제1 벽부(82), 제2 벽부(84) 및 저판부(85)를 포함한다. 서브 케이스(80)는, 투광 소자(11)가 발광하는 특정 주파수의 광(예를 들면, 적외광)를 투과시키는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벽부(82)는, 저판부(85)의 일방의 단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늘어나 있다. 제2 벽부(84)는, 저판부(85)의 타방의 단부로부터 수직 방향, 또한, 제1 벽부(82)가 늘어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늘어나 있다. 달리 말을 하면, 저판부(85)는, 제1 벽부(82)와 제2 벽부(84)를 접속하고 있다. 여기서, 저판부(85)로부터 제1 벽부(82) 및 제2 벽부(84)가 늘어나는 방향을 제3 방향으로 한다. 제1 천판부(81)는, 저판부(85)와 접하는 제1 벽부(82)의 제3 방향의 말단부와 반대측의 제3 방향의 선단부에서 제1 외방 방향으로 늘어나 있다. 제1 외방 방향이란, 제2 벽부(84)의 말단부로부터 제1 벽부(82)의 제3 방향의 말단부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제2 천판부(83)는, 저판부(85)와 접하는 제2 벽부(84)의 제3 방향의 말단부와 반대측의 제3 방향의 선단부에서 제2 외방 방향으로 늘어나 있다. 제2 외방 방향이란, 제1 벽부(82)의 말단부로부터 제2 벽부(84)의 말단부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제1 천판부(81)와 제2 천판부(83)와 저판부(85)는, 서로 평행하다. 제1 벽부(82)는, 제2 벽부(84)와 평행하다.
도 4,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천판부(81)와 제1 벽부(82)는, 투광 케이스부(62)에 삽입된다. 제2 천판부(83)와 제2 벽부(84)는, 수광 케이스부(63)에 삽입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벽부(82)는, 투광부(10)와 대향하는, 투광 케이스부(62)의 제1 내벽면(64a)과 접한다. 제2 벽부(84)는, 수광부(15)와 대향하는, 수광 케이스부(63)의 제2 내벽면(65a)과 접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투광부(10)로부터의 광의 진행 방향과 반대방향(x축 부방향)를 향하는, 제1 천판부(81)의 단부(81a)는, 제1 내벽면(64a)과 대향하는, 투광 케이스부(62)의 제3 내벽면(64b)과 접한다. 당해 광의 진행 방향(x축 정방향)을 향하는, 제2 천판부(83)의 단부(83a)는, 제2 내벽면(65a)과 대향하는, 수광 케이스부(63)의 제4 내벽면(65b)과 접한다. 또한, 단부(81a) 및 단부(83a)는, 평면이 아니라, 철형상(凸形狀)이나 뾰족한 형상이라도 좋다. 제3 내벽면(64b)은, 투광 케이스부(62)의 내부로부터 케이스 본체부(61)의 말단까지 늘어나 있다. 제4 내벽면(65b)은, 수광 케이스부(63)의 내부로부터 케이스 본체부(61)의 말단까지 늘어나 있다. 이에 의해, 케이스(60)의 제1 내벽면(64a), 제2 내벽면(65a), 제3 내벽면(64b), 및, 제4 내벽면(65b)과 활주접촉하면서 서브 케이스(80)를 케이스(60)에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케이스(80)를 케이스(60)에 삽입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서브 케이스(80)를 삽입할 때에, 제1 벽부(82) 및 제2 벽부(84)가 케이스(60)의 내벽면에서 변형하는 것이 방지된다. 서브 케이스(80)와 케이스(60)가 상술한 구성을 가짐에 의해, 기계에 의한 서브 케이스(80)의 삽입이 용이해진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천판부(81)는, 케이스 본체부(61)에 대향하는 투광 케이스부(62)의 제5 내벽면(64c)과 대향한다. 즉, 제1 천판부(81)는, 케이스 본체부(61)에 대향한다. 또한, 제2 천판부(83)는, 케이스 본체부(61)에 대향하는 수광 케이스부(63)의 제6 내벽면(65c)과 대향한다. 즉, 제2 천판부(83)는, 케이스 본체부(61)에 대향한다. 이에 의해, 기계로 서브 케이스(80)를 케이스(60)에 삽입할 때에, 제1 천판부(81)가 제5 내벽면(64c)에 닿고, 제2 천판부(83)가 제6 내벽면(65c)에 닿음에 의해 생기는 압력을 당해 기계가 검출하면, 서브 케이스의 삽입이 완료된 것을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기계에 의한 서브 케이스(80)의 삽입이 더욱 용이해진다.
도 19(b)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벽부(82)는, 제1 벽면(82a)과, 제2 벽면(82b)과, 제1 홈부(82c)와, 제1 돌출부(82d)를 갖는다. 제1 벽면(82a)은, 제1 내벽면(64a)과 접한다. 제2 벽면(82b)은, 제1 벽면(82a)의 반대측의 벽면이다. 제1 홈부(82c)는, 제2 벽면(82b)에 마련되고, 투광 렌즈부(14)의 일부가 접한다. 제1 돌출부(82d)는, 제1 벽면(82a)에 마련되고, 제2 벽부(84)를 향하는 방향을 향하여 돌출한다. 제1 돌출부(82d)는, 제1 홈부(82c)의 홈에 대응한 형상으로 돌출하고 있다.
도 19(b)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 벽부(84)는, 제3 벽면(84a)과, 제4 벽면(84b)과, 제2 홈부(84c)와, 제2 돌출부(84d)를 갖는다. 제3 벽면(84a)은, 제2 내벽면(65a)과 접한다. 제4 벽면(84b)은, 제3 벽면(84a)의 반대측의 벽면이다. 제2 홈부(84c)는, 제4 벽면(84b)에 마련되고, 수광 렌즈부(19)의 일부가 접한다. 제2 돌출부(84d)는, 제3 벽면(84a)에 마련되고, 제1 벽부(82)를 향하는 방향을 향하여 돌출한다. 제2 돌출부(84d)는, 제2 홈부(84c)의 홈에 대응한 형상으로 돌출하고 있다.
여기서, 센서 모듈(5)을, 서브 케이스(80)가 삽입된 케이스(60)에 삽입할 때에는, 투광 렌즈부(14), 수광 렌즈부(19)가, 각각, 제1 홈부(82c), 제2 홈부(84c)와 활주한다. 따라서 기계에 의해 센서 모듈(5)을 삽입하는 경우라도, 투광부(10)의 광축과 수광부(15)의 광축이 일치된 상태에서 삽입할 수 있다. 또한, 투광부(10)와, 수광부(15)가, 각각, 제1 홈부(82c), 제2 홈부(84c)에 의해 위치 자세가 고정되기 때문에, 포토 센서(1)가 진동을 받는 것 등에 의해, 투광 렌즈부(14)의 광축과 수광 렌즈부(19)의 광축이 크게 어긋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돌출부(82d), 제2 돌출부(84d)는, 각각, 투광 슬릿(66), 수광 슬릿(67)과 계합한다. 따라서 투광 슬릿(66), 수광 슬릿(67)이, 서브 케이스(80)를 케이스(60)에 삽입할 때의 가이드로서 기능하게 된다. 따라서 서브 케이스(80)를 케이스(60)에 삽입하는 작업이 더욱 용이해진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브 케이스(80)는, 제1 천판부(81), 제2 천판부(83), 제1 벽부(82) 및 제2 벽부(84)에 의해, 투광부(10) 및 수광부(15)의 상부와, 광이 투수광되는, 투광부(10)의 투광 렌즈부(14)의 우측 및 상측, 및 수광부(15)의 수광 렌즈부(19)의 좌측 및 상측을 덮고 있다. 따라서 투광 소자(11), 수광 소자(16), 제1 투광 리드(20), 제2 투광 리드(22), 제1 수광 리드(24) 및 제2 수광 리드(26)는, 투광 케이스부(62) 및 수광 케이스부(63)의 주변에서 생기는 정전기의 영향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외형 L자형상 타입의 케이스에서도 상술한 서브 케이스(80)가 삽입된다. 도 20은, 외형 L자형상 타입의 포토 센서(2)의 정면도이다. 도 21은, 외형 L자형상 타입의 포토 센서(2)의 상면도이다. 도 22는, 외형 L자형상 타입의 포토 센서(2)의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20 내지 도 22에서는, 도 1 내지 도 3과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토 센서(2)는, 포토 센서(1)에 비하여, 케이스(60a)의 형상이 다르다. 케이스(60a)는, 케이스(60)와 같은 투광 케이스부(62), 수광 케이스부(63)를 갖고 있다. 따라서 포토 센서(2)는, 상술한 서브 케이스(80)와 투광 케이스부(62), 수광 케이스부(63)에 관한 특징을 전부 갖고 있다. 따라서 상술에서 설명한 서브 케이스(80)와 투광 케이스부(62), 수광 케이스부(63)에 관한 특징의 설명은 생략한다.
케이스(60a)는, 케이스 본체부(61a)의 형상이, 케이스 본체부(61)와 다르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부(60a)에서는, 동작 표시부(92)를 시인 가능하게 하기 위한 표시등창(68)이 전방에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다. 투수광 슬릿이 대향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도 21의 Y축 방향)에 케이스(60)를 관통하는 부착구멍(69e, 69f)이 형성되어 있다. 포토 센서(2)에서는, 센서 모듈(5)의 일부인 복수의 접속 단자(50)가 케이스(60a)로부터 전방에 돌출하고 있다.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60a)에는, 서브 케이스(80), 센서 모듈(6)이 차례로 삽입되고, 케이스(60a)의 저부에, 회로 밀봉부(90)를 지지하는 저판(98a)이 부착된다.
도 23은, 도 21의 절단면선(XXⅢ-XXⅢ)으로 절단한 때의 포토 센서(2)의 단면도이다. 도 23에서는, 케이스 본체부(61a) 내부의 특징만 설명한다. 우선, 제3 내벽면(64b)은, 투광 케이스부(62)의 내부로부터 케이스 본체부(61a)의 말단까지 늘어나 있다. 제4 내벽면(65b)은, 수광 케이스부(63)의 내부로부터 케이스 본체부(61a)의 말단까지 늘어나 있다. 회로 밀봉부(90)는, 저판(98a)에 의해 지지된다. 회로 밀봉부(90)는, 서브 케이스(80)의 저판부(85)와 당접(當接)하고, 저판부(85)를 지지하고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투광부(10)의 위치와 수광부(15)의 위치는 반대라도 좋다. 투광부(10)의 위치와 수광부(15)의 위치가 반대인 경우, 투광부(10)의 위치와 수광부(15)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1 투광 리드(20)의 위치와 제1 수광 리드(24)의 위치가 교체되고, 제2 투광 리드(22)의 위치와 제2 수광 리드(26)의 위치가 교체된다. 또한, 투광 케이스부(62)와 수광 케이스부(63)와의 위치가 교체된다.
투광 렌즈부(14)와 수광 렌즈부(19)의 형상은, 원형으로 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투광 렌즈부(14)와 수광 렌즈부(19)의 형상이 타원형이라도 좋다.
접속 단자의 수는 4개로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 모듈(4, 5, 6)는, 4보다 적은, 또는 4보다 많은 접속 단자를 가져도 좋다. 또한, 센서 모듈(4, 5, 6)에서 동작 표시등(동작 표시부)(92)이 생략되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접속 단자가 늘어나 있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여 회로 밀봉부로부터 투수광 리드를 돌출시킨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포토 센서를 제공할 수 있다.
1, 2 : 포토 센서
10 : 투광부
15 : 수광부
90 : 회로 밀봉부
50 : 접속 단자
20 : 제1 투광 리드
22 : 제2 투광 리드
24 : 제1 수광 리드
26 : 제2 수광 리드
L1 : 제1 절곡선
L2 : 제2 절곡선
202 : 제1 투광 리드부
204 : 제2 투광 리드부
206 : 제3 투광 리드부
208 : 제4 투광 리드부
B1 : 제1 곡부
B2 : 제2 곡부
224 : 제7 투광 리드부(투광 경사부)
264 : 제7 수광 리드부(수광 경사부)

Claims (8)

  1. 투광부와,
    상기 투광부로부터의 광을 수광하고, 수광 신호를 출력한 수광부와,
    상기 수광 신호를 처리하는 집적회로를 밀봉하는 회로 밀봉부와,
    상기 회로 밀봉부로부터 돌출하고, 외부 단자와 접속하는 접속 단자와,
    상기 투광부와 상기 회로 밀봉부를 접속하는, 판형상의 제1 투광 리드 및 판형상의 제2 투광 리드와,
    상기 수광부와 상기 회로 밀봉부를 접속하는, 판형상의 제1 수광 리드 및 판형상의 제2 수광 리드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 단자가 늘어나는 방향을 제1 방향과, 상기 제1 방향에 평행한 면을 제1 평면으로 한 경우,
    상기 제1 투광 리드 및 상기 제2 투광 리드는, 상기 제1 평면과 평행하면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회로 밀봉부로부터 돌출하고, 또한 상기 제1 방향과 역방향으로 늘어나고,
    상기 제1 수광 리드 및 상기 제2 수광 리드는, 상기 제1 평면과 평행하면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서, 상기 제1 투광 리드 및 상기 제2 투광 리드가 돌출하는 방향과 역방향으로, 상기 회로 밀봉부로부터 돌출하고, 또한 상기 제1 방향과 역방향으로 늘어나고,
    상기 제1 투광 리드 및 상기 제2 투광 리드와, 상기 제1 수광 리드 및 상기 제2 수광 리드가, 상기 수광부와 상기 투광부가 대향하도록 변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광 리드 및 상기 제2 투광 리드는, 상기 광의 광축에 대해 수직한 제2 방향과 평행한 제1 절곡선에 따라 절곡되고,
    상기 제1 수광 리드 및 상기 제2 수광 리드는, 상기 제2 방향과 평행한 제2 절곡선에 따라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곡선에 따라 상기 제1 투광 리드 및 상기 제2 투광 리드를 절곡하지 않고 평판형상으로 전개한 경우에, 상기 전개된 제1 투광 리드 및 상기 전개된 제2 투광 리드는, 상기 제1 절곡선을 가로지르는 형상이고,
    상기 제2 절곡선에 따라 상기 제1 수광 리드 및 상기 제2 수광 리드를 절곡하지 않고, 상기 제1 수광 리드 및 상기 제2 수광 리드를 평판형상으로 전개한 경우에, 상기 전개된 제1 수광 리드 및 상기 전개된 제2 수광 리드는, 상기 제2 절곡선을 가로지르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센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광 리드는,
    상기 제1 평면과 평행하면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회로 밀봉부로부터 돌출하고, 또한 상기 제1 방향과 역방향에 늘어나는 제1 투광 리드부와,
    상기 제1 투광 리드부로부터, 상기광의 광축 방향에서의 내방과 외방 중의 일방을 향하여 늘어나는 제2 투광 리드부와,
    상기 제2 투광 리드부에 접속되는 제3 투광 리드부와,
    상기 제3 투광 리드부로부터, 상기 광축 방향에서의 내방과 외방 중의 타방을 향하여 늘어나는 제4 투광 리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 투광 리드부는, 상기 제1 절곡선에 따라 절곡된 제1 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광 리드는,
    상기 제1 평면과 평행하면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서, 상기 제1 투광 리드 및 상기 제2 투광 리드가 돌출하는 방향과 역방향으로, 상기 회로 밀봉부로부터 돌출하는 제1 수광 리드부와,
    상기 제1 수광 리드부로부터, 상기 광축 방향에서의 내방과 외방 중의 일방을 향하여 늘어나는 제2 수광 리드부와,
    상기 제2 수광 리드부에 접속되는 제3 수광 리드부와,
    상기 제3 수광 리드부로부터, 상기 광축 방향에서 내방과 외방 중의 타방을 향하여 늘어나는 제4 수광 리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수광 리드부는, 상기 제2 절곡선에 따라 절곡된 제2 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센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축 방향에서, 상기 제2 투광 리드부의 내단부는, 상기 제4 투광 리드부의 외단부보다도 내방에 위치하고,
    상기 광축 방향에서, 상기 제4 투광 리드부의 내단부는, 상기 제2 투광 리드부의 외단부보다도 내방에 위치하고,
    상기 광축 방향에서, 상기 제2 수광 리드부의 내단부는, 상기 제4 수광 리드부의 외단부보다도 내방에 위치하고,
    상기 광축 방향에서, 상기 제4 수광 리드부의 내단부는, 상기 제2 수광 리드부의 외단부보다도 내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센서.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투광 리드부는, 상기 제1 투광 리드부로부터 상기 광축 방향에서의 내방으로 늘어나 있고,
    상기 제4 투광 리드부는, 상기 제3 투광 리드부로부터 상기 광축 방향에서의 외방으로 늘어나 있고,
    상기 제2 수광 리드부는, 상기 제1 수광 리드부로부터 상기 광축 방향에서의 내방으로 늘어나 있고,
    상기 제4 수광 리드부는, 상기 제3 수광 리드부로부터 상기 광축 방향에서의 외방으로 늘어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재된 포토 센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투광 리드는, 상기 광축 방향에서, 상기 제1 투광 리드보다도 내방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2 수광 리드는, 상기 광축 방향에서, 상기 제1 수광 리드보다도 내방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광축 방향에서의 상기 제2 투광 리드와 상기 제3 투광 리드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광축 방향에서의 상기 제2 투광 리드와 상기 제1 투광 리드부 사이의 거리보다도 작고,
    상기 광축 방향에서의 상기 제2 수광 리드와 상기 제3 수광 리드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광축 방향에서의 상기 제2 수광 리드와 상기 제1 수광 리드부 사이의 거리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센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투광 리드는, 상기 광축 방향에서 상기 제1 투광 리드부와의 사이의 거리가 넓어지도록 경사한 투광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수광 리드는, 상기 광축 방향에서 상기 제1 수광 리드부와의 사이의 거리가 넓어지도록 경사한 수광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 센서.
KR1020150001059A 2014-03-15 2015-01-06 포토 센서 KR1017289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52824A JP6364840B2 (ja) 2014-03-15 2014-03-15 フォトセンサ
JPJP-P-2014-052824 2014-03-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590A true KR20150107590A (ko) 2015-09-23
KR101728940B1 KR101728940B1 (ko) 2017-04-20

Family

ID=52465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1059A KR101728940B1 (ko) 2014-03-15 2015-01-06 포토 센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25332B2 (ko)
EP (1) EP2919279B1 (ko)
JP (1) JP6364840B2 (ko)
KR (1) KR101728940B1 (ko)
CN (2) CN104913793B (ko)
TW (1) TWI57442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5095A (ko) * 2020-12-14 2022-06-22 주식회사 에이유이 방진형 광센서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103113A1 (de) * 2016-02-23 2017-08-24 Vishay Semiconductor Gmbh Optoelektronische 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22391A (en) * 1977-03-31 1978-10-25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Manufacture for photo electric device
JPS5645162Y2 (ko) * 1977-12-30 1981-10-22
JPH06103616B2 (ja) * 1985-12-10 1994-12-14 オムロン株式会社 光電センサ
JPS62149177A (ja) * 1985-12-23 1987-07-03 Sharp Corp コネクタ付光結合素子の製法
JPH06140663A (ja) * 1992-10-27 1994-05-20 Toshiba Corp 半導体光電変換装置
US5655042A (en) * 1995-04-03 1997-08-05 Motorola, Inc. Molded slotted optical switch structure and method
JPH11145505A (ja) * 1997-11-11 1999-05-28 Omron Corp ホト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JP4177996B2 (ja) * 2002-04-25 2008-11-05 サンクス株式会社 多光軸光電センサの投光ユニット及び受光ユニット
JP2008135683A (ja) * 2006-10-24 2008-06-12 Sharp Corp 光結合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光結合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CN201583285U (zh) * 2009-12-31 2010-09-15 上海兰宝传感器有限公司 光电式传感器
JP2013012517A (ja) * 2011-06-28 2013-01-17 Ricoh Co Ltd 反射型フォトセンサ及びそれ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6003121B2 (ja) * 2012-03-15 2016-10-05 オムロン株式会社 反射型光電センサ
JP5966592B2 (ja) * 2012-05-15 2016-08-10 オムロン株式会社 光電セン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5095A (ko) * 2020-12-14 2022-06-22 주식회사 에이유이 방진형 광센서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535769A (zh) 2015-09-16
JP6364840B2 (ja) 2018-08-01
EP2919279A1 (en) 2015-09-16
CN104913793A (zh) 2015-09-16
US20150263185A1 (en) 2015-09-17
CN204730852U (zh) 2015-10-28
US9425332B2 (en) 2016-08-23
KR101728940B1 (ko) 2017-04-20
CN104913793B (zh) 2017-10-03
EP2919279B1 (en) 2019-05-08
TWI574427B (zh) 2017-03-11
JP2015177076A (ja) 2015-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75428A (ko) 포토 센서
KR101251671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과 하우징 지지 구조체 및 그제조 방법
KR101728940B1 (ko) 포토 센서
JP6349808B2 (ja) フォトセンサ
JP6349809B2 (ja) フォトセンサ
JP6326881B2 (ja) フォトセンサ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6287395B2 (ja) フォトセンサ
KR100888180B1 (ko) 측면 발광 led 조립체
US20240038747A1 (en) Optical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ptical device
JP3192175U (ja) 発光モジュール
KR960015971A (ko) 동작표시등 부착 반도체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