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7341A - 자동차용 차광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차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7341A
KR20150107341A KR1020140030082A KR20140030082A KR20150107341A KR 20150107341 A KR20150107341 A KR 20150107341A KR 1020140030082 A KR1020140030082 A KR 1020140030082A KR 20140030082 A KR20140030082 A KR 20140030082A KR 20150107341 A KR20150107341 A KR 20150107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
present
hole
holes
shield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0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행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빈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빈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빈산업
Priority to KR1020140030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7341A/ko
Publication of KR20150107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73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085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removably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차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둘레의 내측에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탄성력을 갖는 천과; 복수 개의 상기 관통공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천을 자동차 창에 고정시키는 복수 개의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다양한 종류의 자동차 창에 사용할 수 있고, 자동차 창의 크기와 형태에 상관없이 창으로 들어오는 햇빛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자동차용 차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차광장치{Sunlight protector for car}
본 발명은 자동차용 차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창의 크기나 형태에 상관없이 창으로 들어오는 햇빛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자동차용 차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창으로 들어오는 햇빛을 막아주는 차광장치는 햇빛가리개 로 불리며, 자동차 창의 내측에 부착시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햇빛가리개, 즉, 자동차용 차광장치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10307호에 게재된 것이 있다.
도 1에 도시되 바와 같이, 종래의 자동차용 차광장치(1)는, 햇빛을 가리는 차양부재(10)와; 차양부재(10)에 그 일단이 연결되고 차양부재(10)의 각도 및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외력에 의해 자유자재로 구부러지는 유연연결관(20); 및 유연연결관(20)의 타단에 연결되고 차량의 윈도우에 흡착고정되는 흡착판(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어서, 차량의 윈도우 내측에 흡착판(30)을 흡착고정시켜 윈도우를 통해 들어오는 햇빛을 차양부재(10)로 막을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용 차광장치는 크기 및 형태가 일정하므로 다양한 종류의 자동차 창에 사용하기가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용 차광장치는 차광장치보다 자동차 창의 크기가 클 경우, 자동차 내부로 햇빛이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용 차광장치는 자동차 창의 일부분만을 가릴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자동차 창에 사용할 수 있고, 자동차 창의 크기와 형태에 상관없이 창으로 들어오는 햇빛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자동차용 차광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차광장치는, 둘레의 내측에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탄성력을 갖는 천과; 복수 개의 상기 관통공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천을 자동차 창에 고정시키는 복수 개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천은 복수 개의 요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천은 별도의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압착판과; 상기 압착판에 형성되고, 일측에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결합공에 끼워져 상기 압착판과 상기 삽입부를 상기 천에 고정시키는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천에는 보강천이 결합 되고, 복수 개의 상기 관통공은 각각 상기 천과 상기 보강천을 걸쳐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의 둘레 측에는 보강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자동차용 차광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차광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자동차 창에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차광장치는 자동차 창의 크기와 형태에 상관없이 창으로 들어오는 햇빛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차광장치는 간단한 구조로 차광천을 상하로 늘리거나 줄일 수 있고, 차광천을 좌우로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차광장치는 천의 관통공에서 고정부재를 분리하는 것이 간단하므로 천과 고정부재의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차광장치는 삽입부의 결합공에 삽입되는 잠금부재로 인해 천과 고정부재를 견고히 결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차광장치는 천을 간소하게 접어서 보관이 가능하므로 휴대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차광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차광장치의 전면을 나타낸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차광장치의 후면을 나타낸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차광장치의 고정부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차광장치의 천에 보강천이 덧대진 것을 나타낸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차광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차광장치의 전면을 나타낸 사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차광장치의 후면을 나타낸 사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차광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차광장치의 전면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차광장치의 후면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차광장치의 고정부재(200)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차광장치의 천(100)에 보강천(111)이 덧대진 것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차광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차광장치는, 둘레의 내측에 복수 개의 관통공(110)이 형성되고, 탄성력을 갖는 천(100)과; 복수 개의 관통공(110)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며, 천(100)을 자동차 창(1000)에 고정시키는 복수 개의 고정부재(200);를 포함한다.
천(100)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이유는 일반적으로 자동차 창(1000)의 좌우 방향 길이가 상하 방향 길이보다 길기 때문이다.
천(100)의 둘레 내측에는 복수 개의 관통공(110)이 형성된다.
관통공(110)은 원형의 구멍으로써, 후술할 고정부재(200)를 천(100)과 결합시키기 위해 천(100)에 형성된다.
관통공(110)은 여섯 개가 형성되며, 각각 천(100)의 좌측 상부에 한 개, 천(100)의 좌측 중앙에 한 개, 천(100)의 좌측 하부에 한 개, 천(100)의 우측 상부에 한 개, 천(100)의 우측 중앙에 한 개, 천(100)의 우측 하부에 한 개 형성되어 있다.
천(100)의 좌측 상부, 좌측 중앙, 좌측 하부에 형성된 관통공(110)과 천(100)의 우측 상부, 우측 중앙, 우측 하부에 형성된 관통공(110)은 서로 대향되게 위치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여섯 개의 관통공(110)이 형성되어 있으나, 천(100)에 형성되는 관통공(110)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각각의 관통공(110)은 천(100)과 후술할 보강천(111)에 걸쳐 형성된다.
관통공(110)의 둘레 측에는 보강부재(112)가 형성된다.
보강부재(112)는 원형의 링 형상으로써, 천(100)을 잡아당기거나 천(100)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관통공(110)이 형성된 위치 부근의 천(100)이 훼손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보강부재(112)는 관통공(110)의 둘레 측 및 관통공(110)의 둘레 측에 근접한 천(100)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된다.
관통공(110)에는 고정부재(200)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고정부재(200)는 압착판(210)과, 삽입부(220)와, 잠금부재(230)를 포함한다.
압착판(210)은 빨판 형상으로 중앙에서 둘레 측으로 갈수록 경사가 지게 형성되어 있다.
압착판(210)은 자동차 창(1000)에 부착되어 고정부재(200)와 결합 된 천(100)을 자동차 창(100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자동차 창(1000)에 접촉하여 부착되는 압착판(210)의 면은 오목하게 형성되고, 자동차 창(1000)의 접촉하지 않는 압착판(210)의 면은 볼록하게 형성된다.
압착판(210)의 볼록한 면 중앙에는 삽입부(220)가 형성된다.
삽입부(220)는 압착판(21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부(220)는 원기둥 형상이고, 둘레면 중앙에 원형의 결합공(222)이 형성된다.
삽입부(220)는 관통공(110)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삽입부(220)가 관통공(110)에 삽입되면 결합공(222)은 천(100)의 전면 측에 위치하고, 압착판(210)은 천(100)의 후면 측에 위치한다.
삽입부(220)와 압착판(210)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진다.
삽입부(220)의 결합공(222)에는 잠금부재(230)가 삽입된다.
잠금부재(230)는 안내부(232)와, 중앙부(234)와, 손잡이(236)로 형성된다.
안내부(232)는 원뿔 형상으로써 잠금부재(230)를 삽입부(220)의 결합공(222)에 삽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안내부(232)의 밑면 지름은 결합공(222)의 지름보다 다소 크게 형성되어 잠금부재(230)가 결합공(222)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내부(232)의 밑면 중앙에는 중앙부(234)가 일체로 형성된다.
중앙부(234)는 안내부(232)의 밑면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원통 형상이다.
중앙부(234)의 일단부에는 안내부(23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중앙부(234)의 타단부에는 안내부(232)와 대향되도록 후술할 손잡이(236)가 형성된다.
중앙부(234)는 고정부재(200)를 천(100)에 고정할 때, 결합공(222) 내에 삽입되어 지는 부분이다.
중앙부(234)에서 안내부(232)가 형성된 반대 측에는 손잡이(236)가 형성된다.
손잡이(236)는 안내부(232)와 만나는 반대 측이 라운드 지게 형성되는 원통 형상이다.
손잡이(236)는 잠금부재(230)를 결합공(222)에 삽입시키거나 결합공(222)에서 뺄 때, 손가락으로 잡아서 용이하게 뺄 수 있도록 해주는 부분이다.
잠금부재(230)는 결합공(222)에 끼워져서 압착판(210)과 삽입부(220)를 천(10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잠금부재(230)로 인해 천(100)과 고정부재(200)가 서로 결합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고정부재(200)는 천(100)과의 결합 및 분리가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지므로 천(100)고 고정부재(200)의 유지 관리가 매우 용이할 수 있다.
고정부재(200)와 천(100)을 서로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삽입부(220)를 관통공(110)에 삽입하고, 삽입부(220)의 결합공(222)에 잠금부재(230)를 삽입하면 된다.
천(100)은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탄성력을 천(100)에 부여하기 위해서 천(100)은 요철부(12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요철부(120)는 천(100)에서 볼록하게 또는 오목하게 형성된 부분이다.
요철부(120)는 별도의 부재가 아닌 천(100) 자체에 형성된 것이다.
요철부(120)는 볼록한 부분과 오목한 부분이 번갈아 배치되어 있다.
요철부(120)는 엠보싱으로 형성되며, 천(100)이 탄성력을 갖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요철부(120)는 천(100)을 상하 또는 좌우로 잡아당길 경우 요철부(120)가 펴지게 되어 천(100)의 길이가 상하 또는 좌우로 늘어나게 된다.
또한, 잡아당긴 천(100)을 놓을 경우 펴진 요철부(120)가 다시 요철 형상으로 복원되어 상하 또는 좌우로 늘어난 천(100)이 천(100)을 잡아당기기 전의 형상, 즉 원래대로의 형상을 찾게 되는 것이다.
천(100)의 후면 좌측단부 내측과 우측단부 내측에는 각각 보강천(111)이 형성된다.
보강천(111)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띠 형상이다.
보강천(111)은 천(100)의 후면 좌측단부 내측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또한, 보강천(111)은 천(100)의 후면 우측단부 내측에도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천(100)에 형성된 관통공(110)들은 천(100)의 좌측에 형성된 보강천(111)과 천(100)의 우측에 형성된 보강천(111)에 걸쳐 형성된다.
각각의 보강천(111)은 천(100)에 덧대어져 천(100)과 재봉으로 결합 된다.
보강천(111)은 천(100)에 내구성을 부가하여 외력에 의해 천(100)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보강천(111)은 천(100)에 비해 내구성이 강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차광장치는 자동차 창(1000)의 크기에 알맞게 천(100)을 잡아당겨 늘린 후 각각의 압착판(210)을 자동차 창(1000)에 부착시켜 천(100)을 자동차 창(1000)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설치가 완료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차광장치의 전면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차광장치의 후면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차광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차광부재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차광부재를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천(100)은 별도의 탄성부재(300)를 더 포함한다.
탄성부재(300)는 천(10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복수 개가 배치된다.
각각의 탄성부재(300)는 서로 이격되어 있다.
각각의 탄성부재(300) 사이에는 주름부(130)가 형성된다.
주름부(130)는 탄성부재(300)가 늘어날 때 펴져 천(100)의 상하 길이를 늘어나게 해준다.
주름부(130)는 천(100)의 상하 길이보다 짧은 탄성부재(300)를 천(10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재봉하기 때문에 형성된다.
탄성부재(300)는 고무줄의 외주면을 재봉실이 여러 갈래로 감싸고 형태로 형성된다.
탄성부재(300)는 천(100)을 상하로 잡아당길 경우 상하로 늘어나고, 이때 주름부(130)가 펴지게 되어 천(100)의 상하 길이가 길어진다.
또한, 탄성부재(300)는 천(100)을 상하로 잡아당기기 않을 경우 펴진 주름부(130)가 원래대로 복원시키고, 이에 따라 늘어난 천(100)의 상하 길이도 원래대로 복원시킨다.
즉, 탄성부재(300)는 자동차 창(1000)의 크기에 따라 천(100)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종류의 자동차 창(1000)에 적용할 수 있게 한다.
탄성부재(300)는 복수 개가 천(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미도시)
천(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형성되는 다수 개의 탄성부재(300)는 천(100)을 좌우로 잡아당길 경우 좌우로 늘어나게 해주고, 잡아당기지 않을 경우 원래대로 복원시키는 역할을 한다.(미도시)
천(100)에는 천(10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탄성부재(300)만이 형성될 수 있고, 천(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탄성부재(300)만이 형성될 수 있으며, 천(10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다수 개의 탄성부재(300)와 천(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형성되는 다수 개의 탄성부재(300)가 함께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천 110 : 관통공
111 : 보강천 112 : 보강부재
120 : 요철부 130 : 주름부
200 : 고정부재 210 : 압착판
220 : 삽입부 222 : 결합공
230 : 잠금부재 232 : 안내부
234 : 중앙부 236 : 손잡이
300 : 탄성부재 1000 : 창

Claims (5)

  1. 둘레의 내측에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탄성력을 갖는 천;
    복수 개의 상기 관통공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천을 자동차 창에 고정시키는 복수 개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차광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천은 복수 개의 요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차광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천은 별도의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차광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압착판;
    상기 압착판에 형성되고, 일측에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결합공에 끼워져 상기 압착판과 상기 삽입부를 상기 천에 고정시키는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차광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천에는 보강천이 결합 되고,
    복수 개의 상기 관통공은 각각 상기 천과 상기 보강천을 걸쳐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의 둘레 측에는 보강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차광장치.
KR1020140030082A 2014-03-14 2014-03-14 자동차용 차광장치 KR201501073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082A KR20150107341A (ko) 2014-03-14 2014-03-14 자동차용 차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082A KR20150107341A (ko) 2014-03-14 2014-03-14 자동차용 차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341A true KR20150107341A (ko) 2015-09-23

Family

ID=54245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0082A KR20150107341A (ko) 2014-03-14 2014-03-14 자동차용 차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734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4619B1 (ko) 2019-06-11 2019-12-10 김성술 자동차용 외관 보호 및 차광 기능을 갖는 탈착형 자동차 보호커버장치
KR20220028549A (ko) 2020-08-28 2022-03-08 이준호 차량용 커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4619B1 (ko) 2019-06-11 2019-12-10 김성술 자동차용 외관 보호 및 차광 기능을 갖는 탈착형 자동차 보호커버장치
KR20220028549A (ko) 2020-08-28 2022-03-08 이준호 차량용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44861T3 (es) Módulo de pantalla flexible y dispositivo electrónico que tiene el módulo
KR101666117B1 (ko) 고정 구조 및 그를 이용한 차양
KR20150107341A (ko) 자동차용 차광장치
KR101398800B1 (ko) 캠핑용 타프흡착기
US7380479B2 (en) Steering wheel cover
JP2016003556A (ja) テント用ポール
JP2013064240A (ja) 窓用スクリーン
CA2933461C (en) Tire anti-slip device
JP2016185176A5 (ko)
KR102258260B1 (ko) 안면 장착구의 벨트길이 조절기구
US1324738A (en) End-holder eor the roll-covers oe lithographing-presses
US20150162733A1 (en) Grommet with spreader mounting feature
JP5783120B2 (ja) グロメット
NL2004983C2 (nl) Spanhaak voor het opspannen van een van ogen voorzien doek in een frame.
CN210707167U (zh) 一种suv改装车后备箱遮盖用篷布
JP3207648U (ja) 日焼け止めカバー
US781430A (en) Garment-supporter.
CN105815887B (zh) 带扣装置
JP2007001410A (ja) 日除け具
US1846266A (en) Cover for spare automobile tires
US870796A (en) Tire-protector.
KR101124605B1 (ko) 자동차용 차광장치
US1536275A (en) Holder for knitted fabrics
ES2708902B2 (es) Sistema de sujeción de un primer elemento a un segundo elemento
KR20150105066A (ko) 자동차용 차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