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7266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7266A
KR20150107266A KR1020140029875A KR20140029875A KR20150107266A KR 20150107266 A KR20150107266 A KR 20150107266A KR 1020140029875 A KR1020140029875 A KR 1020140029875A KR 20140029875 A KR20140029875 A KR 20140029875A KR 20150107266 A KR20150107266 A KR 20150107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qos
pgw
eps bearer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9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9486B1 (ko
Inventor
정상수
조성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9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486B1/ko
Priority to CN202010110678.0A priority patent/CN111511042B/zh
Priority to PCT/KR2015/002349 priority patent/WO2015137721A1/ko
Priority to US15/125,452 priority patent/US10517013B2/en
Priority to CN201580013630.5A priority patent/CN106105281B/zh
Publication of KR20150107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7266A/ko
Priority to US16/720,973 priority patent/US2020012843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486B1/ko
Priority to US18/522,947 priority patent/US2024009855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6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specific QoS parameters for wireless networks, e.g. QoS class identifier [QCI] or guaranteed bit rate [GB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04L12/1403Architecture for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 H04L12/1407Policy-and-charging control [PCC] archite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66Policy and charging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2Setup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페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DN GateWay, PGW)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은 향상된 페킷 데이터 게이트웨이(Evolved Packet Data Gateway, ePDG)로부터 단말의 프록시 바인딩 업데이트를 수신하는 단계; 가입 정보 서버에 상기 단말에 대한 가입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가입 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의 QoS(Quality of Service)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QoS 정보를 기반으로 과금 및 정책 서버에 QoS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PMIP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efault QoS에 따라 PDN connection을 생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BEARE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본 명세서의 실시 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코어 네트워크와 연결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망을 통해 3GPP 망에 접속하는 단말을 위한 연결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의 활동성을 보장하면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그러나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점차로 음성뿐 아니라 데이터 서비스까지 영역을 확장하고 있으며, 현재에는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정도까지 발전하였다. 그러나 현재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자원의 부족 현상 및 사용자들이 보다 고속의 서비스를 요구하므로, 보다 발전된 무선 통신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 개발 중인 중 하나의 시스템으로써 3GPP(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LTE(Long Term Evolution)에 대한 규격 작업이 진행 중이다. LTE는 최대 100 Mbps정도의 전송 속도를 가지는 고속 패킷 기반 통신을 구현하는 기술이다. 이를 위해 여러 가지 방안이 논의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네트워크의 구조를 간단히 해서 통신로 상에 위치하는 노드의 수를 줄이는 방안이나, 무선 프로토콜들을 최대한 무선 채널에 근접시키는 방안 등이 있다.
LTE 시스템은 사업자 망 구성의 자유도를 높이기 위해, 코어 네트워크에 연동되는 RAN(Radio Access Network)로 LTE 전송 기술을 사용하는 E-UTRAN뿐만 아니라, 3GPP에서 규격화 한 기술이 아닌 3GPP외(Non-3GPP) 엑세스망과의 연동도 지원한다. Non-3GPP 엑세스망과 LTE 코어 네트워크를 연동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보통 ePDG(Evolved Packet Data Gateway)를 이용해 Non-3GPP 엑세스망을 LTE 코어네트워크에 연동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사용자 단말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해 PMIP(Proxy Mobile IP)와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경우, LTE 망의 코어 네트워크에 사용자 단말에 대한 기본 QoS(default QoS) 정보를 전달할 수 없다. 따라서, LTE 코어 네트워크 노드는 기본 QoS 정보를 기반으로 한 PDN connection를 생성할 수 없는 바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가 필요하다.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페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DN GateWay, PGW)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은 향상된 페킷 데이터 게이트웨이(Evolved Packet Data Gateway, ePDG)로부터 단말의 프록시 바인딩 업데이트를 수신하는 단계; 가입 정보 서버에 상기 단말에 대한 가입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가입 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의 QoS(Quality of Service)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QoS 정보를 기반으로 과금 및 정책 서버에 QoS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페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DN GateWay, PGW)는 다른 네트워크 노드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향상된 페킷 데이터 게이트웨이(Evolved Packet Data Gateway, ePDG)로부터 단말의 프록시 바인딩 업데이트를 수신하고, 가입 정보 서버에 상기 단말에 대한 가입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가입 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의 QoS(Quality of Service)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QoS 정보를 기반으로 과금 및 정책 서버에 QoS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PMIP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efault QoS에 따라 PDN connection을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비 3GPP 망을 이용하는 단말이 3GPP 망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단말을 위해 접속을 생성하고, 상기 접속과 관련된 QoS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QoS를 기반으로한 PDN connection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 형성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 형성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결 형성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결 형성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결 형성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결 형성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결 형성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 예에 따라 dual connectivity 상태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 각 네트워크 엔티티 사이에 정보를 교환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드오버 시에 기지국 사이에 신호 송수신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핸드오버 시에 기지국 사이에 신호 송수신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 예에서 핸드 오버가 수행될 때 발생하는 과금과 관련된 정보를 수정하기 위한 신호 송수신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4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RAN을 포함하는 엔티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하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기본적인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 시스템을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유사한 기술적 배경 및 시스템 형태를 가지는 여타의 통신/컴퓨터 시스템에도 본 발명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면, LTE 시스템을 대상으로 한 본 기술은 유사한 시스템 구조를 갖는 UTRAN/GERAN 시스템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ENB(RAN 노드)는 RNC/BSC로 대치될 수 있으며, S-GW는 생략되거나 SGSN에 포함되고, P-GW는 GGSN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LTE 시스템의 bearer개념은 UTRAN/GERAN 시스템의 PDP context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통신 시스템은 LTE를 기반으로한 이동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LTE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차세대 기지국(Evolved Node B, EUTRAN, 이하 ENB 또는 Node B라 한다)(130)과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150) 및 S-GW(Serving - Gateway)(140)로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이하 UE라 칭한다)(100)은 ENB(130) 및 S-GW(140), 그리고 P-GW(PDN - Gateway)(160)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사용자 단말이 PGW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 하기 위해서는 PDN connection을 생성해야 하며, 하나의 PDN connection은 하나 이상의 EPS bearer를 포함할 수 있다.
AF(Application Function)(110)은 사용자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수준에서 어플리케이션 과 관련된 정보를 교환하는 장치이다.
PCRF(120)는 사용자의 QoS(Quality of Service)와 관련된 정책(policy)을 제어하는 장치이며, 상기 정책에 해당하는 PCC(Policy and Charging Control) 규칙(rule)은 P-GW(160)에 전달되어 적용된다.
ENB(130)는 RAN(Radio Access Network) 노드로서 UTRAN 시스템의 RNC 그리고 GERAN 시스템의 BSC에 대응된다. ENB(130)는 UE(100)와 무선 채널로 연결되며 기존 RNC/BSC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한다.
LTE에서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한 VoIP(Voice over IP)와 같은 실시간 서비스를 비롯한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 되므로, UE(100)들의 상황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ENB(130)가 담당한다.
S-GW(140)는 데이터 베어러를 제공하는 장치이며, MME(150)의 제어에 따라서 데이터 베어러를 생성하거나 제거한다.
MME(150)는 각 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하나의 MME(150)는 다수의 기지국 들과 연결될 수 있다.
PCRF(Policy Charging and Rules Function)(120)은 트래픽에 대한 QoS 및 과금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엔터티이다.
한편, 앞서 언급한 것처럼, LTE 시스템은 E-UTRAN 뿐만 아니라 3GPP 외의 엑세스망과의 연동도 지원한다. 만약 Non-3GPP 엑세스망이 연동된 경우, Non-3GPP 엑세스망은 PGW(160)에 바로 연결되거나, 별도의 ePDG를 중간에 두어 연결될 수 있다. Non-3GPP 엑세스망에 대한 가입 정보 처리나 인증 처리를 위해, HSS(Home Subscriber Server)(170)와 AAA(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nd Accounting) 서버는 서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으며, 또는 하나의 엔터티에 구현될 수도 있다. ePDG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되는 용어이며, Non-3GPP 엑세스망이 직접 PGW에 연결되거나, 아니면 ePDG 외의 다른 노드, 예를 들면 S-GW를 통해 연결되는 경우에도 명세서 상의 실시 예는 큰 변경 없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 형성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ePDG(204)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RAN(202)를 위한 연결 형성 방법을 알 수 있다.
실시 예는 RAN(202), ePDG(204), PGW(206) 및 PCRF(208) 사이에 신호가 교환되는 과정 및, 단말이 RAN(202)을 포함하는
Non-3GPP 망을 통해 EPC(Evolved Packet Core)에 등록하거나 PDN connection을 생성해야 하는 과정을 나타낼 수 있다. 실시 예 전반에서 RAN은 CDMA를 이용하는 1X기지국 또는 Wireless LAN을 이용하는 AP(Access Point)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10에서 RAN(202)은 상기 단말이 전송한 요청을 기반으로 ePDG(204)에 전달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이 전송한 요청은 Non-3GPP RAN을 통해 ePDG에게 전달될 수 있다.
단계 215에서 ePDG는 PGW에 PBU(Proxy Binding Update)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ePDG는 상기 PBU 메시지는 사용자 단말의 ID(NAI-Network Access Identifier) 및 사용자 단말이 서비스를 받을 APN(Access Point Name)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PGW(206)는 ePDG(204)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PBU 메시지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대한 기본 베어러 QoS(Quality of Service) 정보(Default EPS bearer QoS, 이후 default QoS로 약칭함)를 수신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PGW(206)은 상기 요청된 PDN connection 생성을 수행할 때 사용할 QoS 파라미터가 없다.
단계 220에서 PGW(206)은 PCRF(208)에 CCR(Credit Control Request)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PGW(206)는 PCRF(208)에게 보내는 요청 메시지(예를 들면, CCR: Credit Control Request)를 보낼 때, QoS 파라미터를 삽입하지 않고 전송하게 된다.
단계 225에서 PCRF(208)은 PGW(206)에 CCA(Credit Control Answer)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PCRF(208)는 PGW(206)로부터 QoS 요청을 받지 않았으므로, PGW(208)에게 보내는 응답 메시지(예를 들면, CCA: Credit Control Answer)를 보낼 때 PCRF(208)가 허용한(authorized) QoS 정보를 삽입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단계 230에서 PGW(206)는 PDN connection을 생성하는데 적용할 QoS 정보가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명세서의 한 실시 예에서는 Non-3GPP RAN이 AAA 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에 대한 가입 정보를 수신하고, 이 중 default QoS 정보를 ePDG를 통해 PGW까지 전달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ePDG는 Non-3GPP RAN으로부터 수신한 default QoS를 PGW까지 전달하기 위해 PBU 메시지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 형성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예는 RAN(302), ePDG(304), PGW(306), PCRF(308) 및 HSS/AAA(310) 사이에 신호가 교환되는 과정을 나타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이 non-3GPP 망을 통해 EPC에 접속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 인증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단계 315에서 사용자 단말에 대한 인증 정보가 HSS/AAA(310)로부터 non-3GPP 엑세스 망(실시 예에서는 RAN(302))으로 전달된다. 실시 예에 따라, 이 과정 중에, HSS/AAA(310)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default QoS 정보를 non-3GPP 엑세스 망으로 전달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수신한 사용자 단말에 대한 default QoS정보는 가입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단계 320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default QoS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정보를 수신한 non-3GPP 엑세스 망(302)은, 단말의 요청에 따른 메시지를 ePDG(304)에 전달할 때, 앞서 수신한 default QoS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325에서 ePDG(304)는 PGW(306)에 PBU(Proxy Binding Update)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PBU는 Non-3GPP 엑세스 망으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단말의 default QoS를, 사용자 단말의 ID(NAI-Network Access Identifier) 및 사용자 단말이 서비스를 받을 APN(Access Point Name)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PGW(306)는 ePDG(304)로부터 수신하는 PBU 메시지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대한 기본 베어러 QoS 정보(Default EPS bearer QoS)를 수신하므로, 이를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에 대한 default EPS bearer를 생성할 수 있다.
만약 실시 예에서 PCRF(308)를 통한 dynamic PCC(Policy and Charging Control)이 사용되는 경우, 단계 330에서 PGW(306)는 PCRF(308)에게 보내는 요청 메시지(예를 들면, CCR: Credit Control Request)를 보낼 때, 앞서 수신한 QoS 파라미터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단계 335에서 PCRF(308)는 PGW(306)로부터 QoS 요청 받았으므로, PGW(306)에게 응답 메시지(예를 들면, CCA: Credit Control Answer)를 보낼 때 PCRF(308)가 허용한(authorized) QoS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340에서 PGW(306)는 PDN connection 또는 EPS bearer를 생성하는데 PCRF(308)가 허용한 QoS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결 형성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RAN(402), ePDG(404), PGW(406) 및 PCRF(408) 사이에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또 다른 한 실시 예에서는, 만약 PGW(406)가 PCRF(408)에 default EPS bearer QoS를 전달하지 않으면, PCRF(408)가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default EPS bearer QoS를 사용자 단말에 대한 authorized QoS로 PGW(408)에 전달해 주는 방법을 제안한다.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의해 Non-3GPP 망을 통해 EPC에 등록하거나 PDN connection을 생성해야 하는 경우, 이러한 요청은 단계 410에서 Non-3GPP RAN(402))을 통해 ePDG(404)에게 전달될 수 있다.
단계 415에서 ePDG(404)는 PGW(406)에 PBU(Proxy Binding Update)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PBU는 사용자 단말의 ID(NAI-Network Access Identifier) 및 사용자 단말이 서비스를 받을 APN(Access Point Name)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PGW(406)는 ePDG(404)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PBU 메시지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대한 기본 베어러 QoS 정보(Default EPS bearer QoS)를 수신하지 못하므로, 요청된 PDN connection 생성을 수행할 때 사용할 QoS 파라미터가 없다.
따라서 단계 420에서 PGW(406)는 PCRF(408)에게 보내는 요청 메시지(예를 들면, CCR: Credit Control Request)를 보낼 때, QoS 파라미터를 삽입하지 않고, 상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425에서 PCRF(408)는 만약 PGW(406)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에 Default EPS bearer QoS가 포함되지 않을 경우, PCRF(408)은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기본 베어러 QoS 정보를 허용된(authorized) QoS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단계 430에서 PCRF(408)은 PGW(406)에게 보내는 응답 메시지(예를 들면, CCA: Credit Control Answer)에 상기 기본 베어러 QoS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PCRF(408)가 PGW(406)에 응답 메시지를 보낼 때 PCRF(408)가 허용한(authorized) QoS 정보로서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기본 베어러 QoS 정보를 삽입하여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435에서 PGW(406)는 PDN connection 또는 EPS bearer를 생성하는데 PCRF(408)가 제공한 QoS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결 형성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RAN(502), ePDG(504), PGW(506) 및 PCRF(508) 사이에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한 실시 예는, PGW(506)가 수신한 default EPS bearer QoS가 없을 때, PGW(506)가 임의의 bearer QoS를 생성하여 PCRF(508)에게 전달하는 것이다. 이는, PCRF(508)가 PGW(506)로부터 default EPS bearer QoS를 수신한 경우에 한해 authorized EPS bearer QoS를 제공하도록 설정된 경우, PGW(506)가 PCRF(508)로부터 유효한 QoS 정보를 수신하기 위함이다.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의해 Non-3GPP 망을 통해 EPC에 등록하거나 PDN connection을 생성해야 하는 경우, 이러한 요청은 단계 510에서 Non-3GPP RAN(502)을 통해 ePDG(504)에게 전달될 수 있다.
단계 515에서 ePDG(504)는 PGW(506)에 PBU(Proxy Binding Update)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실시 예에서 상기 PBU는 사용자 단말의 ID(NAI-Network Access Identifier) 및 사용자 단말이 서비스를 받을 APN(Access Point Nam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PGW(506)는 ePDG(504)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PBU 메시지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대한 기본 베어러 QoS 정보(Default EPS bearer QoS)를 수신하지 못하므로, 요청된 PDN connection 생성을 수행할 때 사용할 QoS 파라미터가 없다.
단계 520에서 PGW(506)은 PCRF(508)에 보내는 메시지에 자신이 생성한 임의의 EPS bearer QoS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시 예에서 PCRF(508)가 PGW(506)에 의해 EPS bearer QoS에 대한 허용 여부를 요청 받은 경우(즉, PGW가 PCRF에게 default EPS bearer QoS를 전달한 경우)에만 PCRF(508)이 PGW(506)에 허용된 QoS 정보를 다시 되돌려주도록 구현된 망이라면, PGW(506)는 PCRF(508)로부터 QoS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PGW(506)는 미리 설정된 EPS bearer QoS 정보 또는, 임의로 생성된 EPS bearer QoS 정보를 PCRF(508)에 보내는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가입 정보에 포함된 EPS bearer QoS가 아니므로, dummy EPS bearer QoS로 볼 수 있다. 즉, PGW(506)는 PCRF(508)에게 보내는 요청 메시지(예를 들면, CCR: Credit Control Request)에 상기 dummy EPS bearer QoS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525에서 PCRF(508)은 수신한 EPS bearer QoS 정보를 검사하고,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수신한 EPS bearer QoS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변경된 EPS bearer QoS 정보는 PCRF(508)이 허용한 QoS 정보일 수 있다.
단계 530에서 PCRF(508)은 PGW(506)에 전송하는 응답 메시지에 상기 허용한 QoS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PCRF(508)는 만약 PGW(506)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에 Default EPS bearer QoS(즉, 이 경우엔 dummy EPS bearer QoS)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PGW(506)에게 보내는 응답 메시지(예를 들면, CCA: Credit Control Answer)를 보낼 때 PCRF(508)가 허용한(authorized) QoS 정보를 삽입하여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535에서 PGW(506)는 PDN connection 또는 EPS bearer를 생성하는데 PCRF(508)가 제공한 QoS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결 형성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RAN(602), ePDG(604), PGW(606), PCRF(608) 및 HSS/AAA(610) 사이에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다른 한 실시 예에서, PGW(606)는 만약 ePDG(604)로부터 수신한 PBU 메시지에 default EPS bearer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PCRF(606)와의 메시지 교환에 앞서 AAA/HSS(610)와 메시지를 교환하여 default EPS bearer 정보를 AAA/HSS(610)를 통해 수신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즉, PGW(606)가 AAA/HSS(610)를 통해 default EPS bearer를 수신하고, 이를 PCRF(608)에게 전달하면, PCRF(608)로부터 authorized EPS bearer QoS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의해 Non-3GPP 망을 통해 EPC에 등록하거나 PDN connection을 생성해야 하는 경우, 이러한 요청은 단계 615에서 Non-3GPP RAN(602)을 통해 ePDG(604)에게 전달될 수 있다.
단계 620에서 ePDG(604)는 PGW(606)에 PBU(Proxy Binding Update)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PBU는 사용자 단말의 ID(NAI-Network Access Identifier) 및 사용자 단말이 서비스를 받을 APN(Access Point Nam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PGW(606)는 ePDG(604)로부터 수신하는 PBU 메시지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대한 기본 베어러 QoS 정보(Default EPS bearer QoS)를 수신하지 못하므로, 요청된 PDN connection 생성을 수행할 때 사용할 QoS 파라미터가 없다.
만약, PGW(606)가 사용자 단말에 대한 default EPS bearer QoS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 PGW(606)는 PCRF(608)와의 연동(즉, 메시지 교환)을 하기에 앞서 단계 630에서 HSS/AAA(610)와의 연동을 먼저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연동을 위해 PGW(606)은 HSS/AAA(610)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PGW(606)는 이후 발생할 수도 있는 non-3GPP 망과 3GPP 망의 핸드오버에 대비해 사용자 단말에 대한 PGW(606) 주소를 등록하기 위해 HSS/AAA(610)과 update PGW address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update PGW address 과정은 PGW(606)가 HSS/AAA(610)에게 Authorization Request 메시지를 보내 시작되며, 이 메시지에는 사용자 단말의 식별자, PGW의 주소, 사용자 단말에 대한 APN, 및 사용자 단말에 대해 등록된 PLMN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송되는 메시지의 일 예시로 Authorization Request 메시지에 관해 기술을 하였으나 다른 메시지를 통해서 상기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단계 635에서 HSS/AAA(610)는 PGW(606)에게 응답 메시지, 예를 들면 Authorization Answer를 보낼 수 있다. 이 때 상기 응답 메시지에 사용자 단말에 대한 default EPS bearer QoS를 포함시켜 전달할 수 있다. 이 default EPS bearer QoS는 APN and PGW Data IE(Information Element)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이와 같이 HSS/AAA(610)가 사용자 단말에 대해 가입된 default EPS bearer QoS를 PGW(606)에게 전송하는 것을 유발하기 위해, 앞서 PGW(606)가 HSS/AAA(610)에게 Update PGW address 과정 중에 보내는 요청 메시지, 예를 들면 Authorization Request 메시지에는, default EPS bearer QoS를 수신하기를 요청함을 나타내는 명시적인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단계 640에서 HSS/AAA(610)로부터 default EPS bearer QoS를 수신한 PGW(606)는 이를 이용해 PDN connection(또는 이를 위한 EPS bearer)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645에서 PGW(606)는 PCRF(608)에게 보내는 요청 메시지(예를 들면, CCR: Credit Control Request)를 보낼 때, 상기 요청 메시지에 HSS/AAA(61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한 default EPS bearer QoS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단계 650에서 PCRF(608)는 만약 PGW(606)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에 Default EPS bearer QoS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PCRF(608)은 PGW(606)에게 보내는 응답 메시지(예를 들면, CCA: Credit Control Answer)를 보낼 때 PCRF가 허용한(authorized) QoS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한다.
따라서, 단계 655에서 PGW(606)는 PDN connection 또는 EPS bearer를 생성하는데, PCRF(608)로부터 수신한 authorized default EPS bearer QoS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HSS/AAA(610)가 서로 통신하는 것과 관련하여, 만약 HSS와 AAA가 별도의 엔터티로 구성된 경우, HSS와 AAA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가입 정보(default EPS bearer QoS를 포함)를 서로 교환할 수 있다. 일 예로, 만약 사용자 단말에 대한 가입정보가 HSS에 저장되어 있고, PGW(606)가 AAA와 연결된 경우, AAA는 PGW(606)로부터 받은 요청을 바탕으로 HSS에게 정보를 전달하거나, 또는 HSS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PGW(606)에게 전달해 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 PGW(606)가 단계 630을 통해 update PGW address를 알리고, 단계 635를 통해 default EPS bearer QoS를 수신한 후, 어떤 사유로 인해 요청된 동작, 즉 PDN connection을 생성(또는 default EPS bearer를 생성)하는 것이 실패할 수 있다. 대표적인 상황은, HSS/AAA(610)로부터 수신한 default EPS bearer QoS를 PCRF(608)에게 전달하였는데 authorization을 받지 못하거나, 아니면 PGW(606)의 자원이 부족한 경우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630 단계를 통해 HSS/AAA(610)에 저장된 PGW(606)의 주소는 더 이상 유효하지 않으므로, PGW(606)는 PGW(606) 주소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음을 알리는 과정, 예를 들면 update PGW address 과정을 HSS/AAA(610)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이 과정 중에 PGW(606)는 HSS/AAA(610)에게 앞서 단계 630 및 635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결정된 Diameter Session ID를 가지고 Session Termination request를 보내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Session Termination answer를 수신할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결 형성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RAN(702), ePDG(704), PGW(706), PCRF(708) 및 HSS/AAA(710) 사이에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한 실시 예에서, PGW(706)는 ePDG(704)로부터 수신한 정보 및 PCRF(608)로부터 수신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바탕으로 EPS bearer QoS 정보를 얻기 위한 추가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PGW(706)는 자신이 PCRF(708)에 전송하는 메시지에 default EPS bearer QoS를 삽입하지 않았을 때, PCRF(708)가 응답 메시지에 QoS 정보를 넣어주도록 설정되었는지 아니면 넣지 않도록 설정되었는지 미리 알 수 없기 때문이다. 만약 PGW(706)가 PCRF(708)에게 default EPS bearer QoS를 전달하지 않았는데도 PCRF(708)가 authorized EPS bearer QoS를 PGW(706)에 제공하는 경우(상기 도 6의 실시 예와 유사), PGW(706)는 수신한 정보를 사용하여 EPS bearer context를 생성할 수 있다.
만약 PGW(706)가 PCRF(708)에게 default EPS bearer QoS를 전달하지 않고 PCRF(708)도 authorized EPS bearer QoS를 PGW에 제공하지 않는 경우, PGW(708)는 HSS/AAA(708)로 update PGW address 과정을 수행하여 HSS/AAA(710)로부터 subscribed default EPS bearer QoS를 수신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로 PCRF(708)에게 이를 전달하여 authorized QoS 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의해 Non-3GPP 망을 통해 EPC에 등록하거나 PDN connection을 생성해야 하는 경우, 이러한 요청은 단계 715에서 Non-3GPP RAN(702)을 통해 ePDG(704)에게 전달된다.
단계 720에서 ePDG(704)는 PGW(706)에 PBU(Proxy Binding Update)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PBU는 사용자 단말의 ID(NAI-Network Access Identifier) 및 사용자 단말이 서비스를 받을 APN(Access Point Name)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PGW(706)는 ePDG(704)로부터 수신하는 PBU 메시지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대한 기본 베어러 QoS 정보(Default EPS bearer QoS)를 수신하지 못하므로, 요청된 PDN connection 생성을 수행할 때 사용할 QoS 파라미터가 없다.
단계 725에서 PGW(706)는 PCRF(708)에게 보내는 요청 메시지(예를 들면, CCR: Credit Control Request)를 보낼 때, default EPS bearer QoS를 제외하고 전송할 수 있다.
단계 730에서 PCRF(708)는 만약 PGW(706)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에 Default EPS bearer QoS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도 4에서 설명한 실시 예 와 같이 PGW(706)에게 보내는 응답 메시지(예를 들면, CCA: Credit Control Answer)를 보낼 때 PCRF(708)가 허용한(authorized) QoS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PGW(706)는 수신한 QoS 정보를 이용하여 PDN connection 또는 EPS bearer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의 실시 예에서 PCRF(708)는 PGW(706)에 QoS 정보를 포함하지 않은 CCA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실시 예와 같이 PCRF(708)가 QoS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 PGW(706)는 HSS/AAA(710)와의 연동을 수행하면서 default EPS bearer QoS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740에서 PGW(706)는 이후 발생할 수도 있는 non-3GPP 망과 3GPP 망의 핸드오버에 대비해 사용자 단말에 대한 PGW 주소를 등록하기 위해 HSS/AAA(710)과 update PGW address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과정을 시작하기 위해, PGW(706)는 HSS/AAA(710)에게 Authoriza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 메시지에는 사용자 단말의 식별자, PGW의 주소, 사용자 단말에 대한 APN 및 사용자 단말에 대해 등록된 PLMN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단계 745에서 이를 수신한 HSS/AAA(710)는 PGW(706)에게 응답 메시지, 예를 들면 Authorization Answer 메시지를 보내는데, 이 때 사용자 단말에 대한 default EPS bearer QoS를 포함시켜 전달할 수 있다. 이 default EPS bearer QoS는 APN and PGW Data IE(Information Element)에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HSS/AAA(710)가 사용자 단말에 대해 가입된 default EPS bearer QoS를 PGW(706)에게 전송하는 것을 유발하기 위해, 앞서 PGW(706)가 HSS/AAA(710)과 Update PGW address 과정을 시작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 예를 들면 Authorization Request 메시지에는, default EPS bearer QoS를 수신하기를 요청함을 나타내는 명시적인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후, 단계 750에서 HSS/AAA(710)로부터 default EPS bearer QoS를 수신한 PGW(706)는 이를 이용해 PDN connection(또는 이를 위한 EPS bearer)를 생성할 수 있다.
만약 PCRF(708)의 QoS에 대한 authorization이 필요한 경우, 단계 755에서 PGW(706)는 PCRF(708)에게 보내는 요청 메시지(예를 들면, CCR: Credit Control Request)를 보낼 때, HSS/AAA(71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된 한 default EPS bearer QoS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760에서 PCRF(708)은 만약 PGW(706)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에 Default EPS bearer QoS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PGW(706)에게 보내는 응답 메시지(예를 들면, CCA: Credit Control Answer)를 보낼 때 PCRF(708)가 허용한(authorized) QoS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한다.
따라서, 이후 단계에서 PGW(706)는 PDN connection 또는 EPS bearer를 생성하는데 상기 PCRF(708)로부터 수신한 authorized default EPS bearer QoS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 PGW(706)가 단계 740을 통해 update PGW address를 알리고, 단계 745를 통해 default EPS bearer QoS를 수신한 후, 어떤 사유로 인해 요청된 동작, 즉 PDN connection을 생성(또는 default EPS bearer를 생성)하는 것이 실패할 수 있다. 대표적인 상황은, HSS/AAA(710)로부터 수신한 default EPS bearer QoS를 PCRF(708)에게 전달하였는데 authorization을 받지 못하거나, 아니면 PGW(706)의 자원이 부족한 경우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계 740를 통해 HSS/AAA(710)에 저장된 PGW(706)의 주소는 더 이상 유효하지 않으므로, PGW(706)는 PGW 주소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음을 알리는 과정, 예를 들면 update PGW address 과정을 HSS/AAA(710)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이 과정 중에 PGW(706)는 HSS/AAA(710)에게 앞서 단계 740 및 745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결정된 Diameter Session ID를 가지고 Session Termination request를 보내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Session Termination answer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HSS/AAA(710)가 서로 통신하는 것과 관련하여, 만약 HSS와 AAA가 별도의 엔터티로 구성된 경우, HSS와 AAA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가입 정보(default EPS bearer QoS를 포함)를 서로 교환할 수 있다. 일 예로, 만약 사용자 단말에 대한 가입정보가 HSS에 저장되어 있고, PGW(706)가 AAA와 연결된 경우, AAA는 PGW(706)로부터 받은 요청을 바탕으로 HSS에게 정보를 전달하거나, 또는 HSS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PGW(706)에게 전달해 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결 형성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RAN(802), ePDG(804), PGW(806), PCRF(808) 및 SPR(Subscription Profile Repository)(810) 사이에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PGW(806)가 default EPS bearer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 PCRF(808)는 SPR(Subscription Profile Repository)(810)를 통해 수신한 가입정보 중 default EPS bearer QoS를 이용하여, PGW(806)에게 EPS bearer 생성을 위한 QoS 정보를 제공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의해 Non-3GPP 망을 통해 EPC에 등록하거나 PDN connection을 생성해야 하는 경우, 이러한 요청은 단계 815에서 Non-3GPP RAN(802)을 통해 ePDG(804)에게 전달될 수 있다.
단계 820에서 ePDG(804)는 PGW(806)에 PBU(Proxy Binding Update)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PBU는 사용자 단말의 ID(NAI-Network Access Identifier) 및 사용자 단말이 서비스를 받을 APN(Access Point Nam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PGW(806)는 ePDG(804)로부터 수신하는 PBU 메시지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대한 기본 베어러 QoS 정보(Default EPS bearer QoS)를 수신하지 못하므로, 요청된 PDN connection 생성을 수행할 때 사용할 QoS 파라미터가 없다.
단계 825에서 PGW(806)는 PCRF(808)에게 보내는 요청 메시지(예를 들면, CCR: Credit Control Request)를 보낼 때, default EPS bearer QoS를 제외하고 전송할 수 있다.
단계 830에서 PCRF(808)는 만약 PGW(806)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에 Default EPS bearer QoS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SPR로부터 subscribed default EPS bearer QoS 관련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 835에서 PCRF(808)은 SPR(810)로부터 subscribed default EPS bearer QoS 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840에서 PCRF(808)은 상기 수신한 subscribed default EPS bearer QoS 정보를 기반으로 authorized default EPS bearer QoS를 생성하여 PGW(806)에 보내는 응답 메시지(예를 들면, CCA: Credit Control Answer)에 포함시킬 수 있다.
단계 845에서 PGW(806)는 수신한 QoS 정보를 이용하여 PDN connection 또는 EPS bearer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PCRF(808)가 SPR(810)로부터 사용자 단말에 대한 가입정보 또는 subscribed default EPS bearer QoS를 PGW(806)로부터 메시지(예를 들면 CCR)을 수신한 이후 받아오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PCRF(808)가 SPR(810)로부터 사용자 단말에 대한 가입정보를 수신하는 것은 PCRF(808)가 PGW(806)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보다 먼저 발생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 예들을 설명할 때, 사용자 단말과 RAN(Non-3GPP 엑세스망) 사이의 연결을 요청하는 과정이나, 이에 따른 RAN과 ePDG 사이의 메시지 교환은 단순화 시켜서 설명된 것이며, 상기의 과정은 과정들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연결 방법의 종류와 관계 없이 본 실시 예의 기술과 함께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LTE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부하를 분담하거나, 전체 시스템의 용량을 높이기 위해 마크로(Marco) 기지국과 스몰(Small) 기지국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크로 기지국은 일차(primary) 기지국 또는 마스터(Master) 기지국으로 불릴 수 있으며, 스몰 기지국은 이차(secondary) 기지국으로 불릴 수도 있다. 이후 실시 예는 마크로 기지국과 스몰 기지국의 연결을 동시에 지원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실시 예에 따라 복수개의 마크로 기지국을 함께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만약 사용자 단말에 대해 마크로 기지국과 스몰 기지국을 통한 연결을 동시에 지원하는 dual connectivity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제어 메시지는 마크로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며, 스몰 기지국은 사용자 트래픽(user plane data)을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만약 마크로 기지국이 사용자 단말의 EPS bearer 중 하나를 마크로 기지국에서 스몰 기지국으로 이동시키거나, 아니면 스몰 기지국의 EPS bearer context를 수정 또는 삭제하는 것과 같은, 즉 dual connectivity 상태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 각 네트워크 엔티티에서 관련된 정보를 교환할 필요가 있다.
도 9는 실시 예에 따라 dual connectivity 상태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 각 네트워크 엔티티 사이에 정보를 교환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마스터 기지국(MeNB)(902), 스몰 기지국(SeNB),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906) 및 서빙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SGW)(908)는 각각 다른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실시 예는 EPS bearer 중 적어도 하나가 마크로 셀로부터 스몰 셀로 이동되는 상황을 설명한다.
단계 910에서 마스터 기지국(MeNB)(902)은, EPS bearer를 스몰 기지국(SeNB) (904)로 이동시키기 위해 X2 요청 메시지를 SeNB(904)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X2 요청 메시지는 Handover Request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으나, 기지국 사이에 전송될 수 잇는 다른 메시지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X2 요청 메시지에는 dual connectivity를 위한 동작을 나타내는 식별자 및 operation의 형태(예를 들면 EPS bearer를 새롭게 SeNB로 옮기는 동작, 원래 SeNB로 설정된 EPS bearer의 context를 수정하는 동작 및 SeNB로 설정된 EPS bearer를 삭제하고 다시 MeNB로 가져오기 위한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식별자 및 대상 EPS bearer의 ID와 QoS 파라미터를 포함한 bearer context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bearer context 는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X2 요청 메시지에는 사용자 단말에 대해 SeNB(904)가 적용해야하는 UE-AMBR가 포함될 수 있다.
단계 915에서 상기 X2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SeNB(904)는, MeNB(902)가 보낸 요청에 따라 자신이 동작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기반으로하는 응답 메시지를 MeNB(902)에 전송한다.
실시 예에서 만약 상기 단계 910에서 전송된 요청이 수락된 경우, SeNB(904)는 MeNB(902)가 보낸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에 대한 dual connectivity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만약 요청된 동작이 dual connectivity와 관련된 것이라면, SeNB(904)는 MME(906)에 요청 메시지, 예를 들면 path switch request 메시지,를 직접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만약 SeNB(904)로의 EPS bearer 이동이 수락된 경우, 단계 920에서 MeNB(902)는 MME(906)에게 S1 요청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S1 요청 메시지는 path switch request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으나, 기지국과 MME(906)사이에 송수신될 수 있는 다른 메시지 역시 적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S1요청 메시지를 통해 MME(906)에 사용자 단말에 대한 EPS bearer의 context 및 데이터 이동 경로를 갱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S1 요청 메시지는, dual connectivity를 위한 동작을 나타내는 식별자, operation의 형태(예를 들면 EPS bearer를 새롭게 SeNB로 옮기는 동작, 원래 SeNB로 설정된 EPS bearer의 context를 수정하는 동작, 또는 SeNB로 설정된 EPS bearer를 삭제하고 다시 MeNB로 가져오기 위한 동작 등)를 나타내는 식별자 및 대상 EPS bearer의 ID와 QoS 파라미터를 포함한 bearer context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bearer context는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S1 요청 메시지에는 SGW(908)에 알릴 SeNB(904)의 주소 또는 식별자 및 GTP TEID(Tunnel Endpoint ID)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만약 SeNB(904)를 통한 연결 생성으로 전체 UE-AMBR이 변경될 필요가 있는 경우엔, 상기 S1 요청 메시지에 UE-AMBR이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단계 925에서 MME(906)은 Dual connectivity를 위해 수신한 S1 요청과 관련하여, 상기 요청 받은 S1 과정을 수행하는 동안 NAS 과정의 수행이 필요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새로 발생되거나 요청된 NAS 과정이 상기 dual connectivity를 위해 이미 수행 중인 과정의 대상 EPS bearer와 관련되지 않거나, 상기 NAS 과정을 처리하는 것이 상기 dual connectivity를 위해 이미 수행 중인 과정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면, dual connectivity를 위한 과정을 수행하는 동안 NAS 과정을 연기하거나 실패 처리하지 않고 병렬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수행 중인 dual connectivity를 위한 과정을 처리하는 동안 발생한 NAS 과정이 상기 dual connectivity를 위한 과정의 대상 EPS bearer와 관련된 것이거나, 상기 NAS 과정을 처리하는 것이 상기 dual connectivity를 위한 과정에 영향을 줄 수 있다면, MME(906)는 해당 NAS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dual connectivity를 위한 과정이 끝난 후 수행하거나, 아니면 현재 진행 중인 dual connectivity를 위한 과정을 잠시 멈추거나 실패 처리하고 NAS 과정을 먼저 완료한 후 상기 dual connectivity를 위한 과정을 다시 시작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실시 예에서 만약 EPS bearer의 user plane 경로가 변경되어야 하는 경우, 단계 930에서 MME(906)는 SGW(908)에게 GTP-C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알릴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GTP-C 요청 메시지는 modify bearer request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으나, MME(906) 및 SGW(908) 사이에 송수신 될 수 있는 다른 메시지도 적용될 수 있다.
단계 935에서 SGW(908)는 상기 단계 930에서 수신한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단계 940에서 MME(906)는 앞서 MeNB(902)로부터 수신한 S1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S1 응답 메시지는 Path switch request ack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지국과 MME(906) 사이에 송수신 될 수 있는 다른 메시지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S1 응답 메시지에는 dual connectivity를 위한 동작을 나타내는 식별자, operation의 형태를 나타내는 식별자, 및 대상 EPS bearer의 ID와 QoS 파라미터를 포함한 bearer context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S1 응답 메시지에 상기 bearer context 정보는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S1 응답 메시지에는 MME(906)가 허용한 UE-AMBR와 관련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만약 MME(906)가 허용한 UE-AMBR이 MeNB(902)와 SeNB(904) 사이에 교환한 값과 다르다면, 단계 945 및 단계 950에서 에서 MeNB(902)는 변경된 UE-AMBR와 관련된 정보를 다시 SeNB(904)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만약 상기 MeNB(902)가 Dual connectivity와 관련된 과정을 수행 중인 동안 MME(906)로부터 NAS와 관련된 과정(예를 들면, dedicated bearer establishment/modification/release, location reporting control, 또는 NAS message 전송 등)을 요청 받는 경우, MeNB(902)는 요청된 NAS 관련 과정에 대상이 되거나 영향을 받는 EPS bearer가 상기 dual connectivity 과정의 대상이 되는 EPS bearer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 만약 일치하는 경우 MME(906)로부터 받은 NAS 관련 과정이 수행될 수 없음을 dual connectivity 동작 또는 스몰 기지국으로 EPS bearer가 이동 중임을 나타냄을 알리는 cause와 함께 알릴 수 있다. 이를 수신한 MME(906)는 동일한 NAS 과정을 상기 dual connectivity로 인한 과정이 완료되거나 실패되어 종료된 후 다시 시도해야 한다. 만약 NAS와 관련된 과정의 대상이 되거나 영향을 받는 EPS bearer가 상기 dual connectivity 과정의 대상이 되는 EPS bearer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지국은 dual connectivity 동작과 함께 MME(906)의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이 MeNB와 SeNB 양쪽에 connection을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핸드 오버(Handover, HO)가 발생하면, 사용자 단말을 위해 MeNB에 버퍼링된 데이터는 핸드 오버되는 새로운 MeNB에 전달될 수 있으나, SeNB에 버퍼링 된 데이터는 손실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상황에서 SeNB에 버퍼링 된 데이터를 HO 발생시 새로운 기지국으로 옮겨 사용자 단말에게 전달하거나, 아니면, SeNB에 버퍼링 된 데이터가 HO 과정 중에 손실되는 경우 이에 대한 과금 정보를 삭제하여 잘못된 과금이 발생하는 것을 막아야 할 필요성이 있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핸드오버 시에 기지국 사이에 신호 송수신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MeNB가 HO 또는 어떤 다른 사유에 의해 SeNB에 설정한 자원, 즉 EPS bearer를 해제(release)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MeNB(1002) 및 SeNB(1004)는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단계 1010에서 MeNB(1002)는 SeNB(1004)에 설정된 사용자 단말에 대한 EPS bearer를 해제해야 하는 경우, MeNB(1002)는 SeNB(1004)에게 X2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X2 요청 메시지는 resource release request를 포함할 수 있으나, 기지국 사이에 전송될 수 있는 다른 메시지 역시 적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X2 요청 메시지는 해제의 대상이 되는 EPS bearer의 식별자를 포함한 context, data forwarding을 요청하는 식별자 및 data를 송수신할 주소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단계 1015에서 상기 X2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SeNB(1004)는 X2 응답 메시지를 MeNB(1002)에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X2 응답 메시지는 resource release response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지국 사이에 송수신 될 수 있는 다른 메시지도 적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SeNB(1004)가 상기 X2 응답 메시지는 data forwarding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식별자, 대상 EPS bearer의 식별자와 SN(Sequence Number) status 포함한 context 및 전송이 이루어질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ata forwarding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식별자는 data forwarding이 가능한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
단계 1020에서 SeNB(1004)는 MeNB(1002)로부터 수신한 주소를 향해 버퍼링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SeNB(1004)에서 MeNB(1002)로 버퍼링된 마지막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면, SeNB(1004)는 MeNB(1002)에게 end marker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핸드오버 시에 기지국 사이에 신호 송수신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Source MeNB(1102), SeNB(1104) 및 Target MeNB(1106) 사이에 신호가 송수신 될 수 있으며, Source MeNB(1102)와 SeNB(1104)가 사용자 단말과 dual connectivity를 수행하는 상황에서 Source MeNB(1102)에서 Target MeNB(1106)으로 HO가 수행되는 상황을 가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예는 HO로 인해 data forwarding이 발생하고, SeNB(1104)가 HO의 핸드 오버되는 target MeNB(1106)와 X2 연결을 가진 경우, SeNB(1104)는 자신이 버퍼링하는 데이터를 직접 target MeNB(1106)에게 전달해 줄 수도 있다.
단계 1110에서 Source MeNB(1102)는 SeNB(1104)에 설정된 사용자 단말에 대한 EPS bearer를 해제해야 하는 경우, SeNB(1104)에게 X2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X2 요청 메시지는 resource release request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지국 사이에 송수신될 수 있는 다른 메시지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X2 요청 메시지에는 대상이 되는 EPS bearer의 식별자를 포함한 context, data forwarding을 요청하는 식별자 및 data를 송수신할 새로운 MeNB(실시 예에서 1106)의 식별자 및 주소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단계 1115에서 상기 X2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SeNB(1104)는 상기 수신한 X2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일 예로 target MeNB(1106)의 식별자, 주소)를 기반으로 target MeNB(1106)에 data forwarding이 가능한지 판단하고, X2 응답 메시지를 Source MeNB(1102)에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X2응답 메시지는 resource release response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지국 사이에 송수신 될 수 있는 다른 메시지 역시 적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SeNB(1104)는 버퍼링된 data forwarding이 가능하면, data forwarding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식별자, 대상 EPS bearer의 식별자와 SN(Sequence Number) status 포함한 context, 및 전송이 이루어질 주소를 상기 X2 응답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1120에서 상기 X2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source MeNB(1102)는, target MeNB(1106)에게 보내는 X2 메시지에 data forwarding이 필요함을 나타내는 식별자, 대상 EPS bearer의 식별자와 SN(Sequence Number) status 포함한 context, 및 전송이 이루어질 SeNB(1104)의 식별자와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1125에서 SeNB(1104)는 source MeNB(1102)로부터 수신한 target MeNB(1106)주소를 기반으로 버퍼링된 데이터를 target MeNB(1106)로 전송할 수 있다. 만약 버퍼링된 마지막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면, SeNB(1104)는 target MeNB(1106)에 end marker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 예는 SeNB(1104)와 MeNB(1106) 간의 X2 연결을 통해 data fowarding을 진행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의 실시 예는 X2 연결 대신 SGW를 통해 data forwarding을 진행하는 경우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시 예에서 SeNB(1104)는 SGW에게 버퍼링 된 데이터를 전송하며, SGW는 수신한 데이터를 다시 target MeNB(1106)에게 전달해 주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실시 예에서 SeNB(1104)와 source MeNB(1102) 사이에 교환될 data forwarding용 주소는 SGW의 주소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source MeNB(1102)는 SGW를 식별할 수 있는 추가적인 정보를 SeNB(1104)에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만약 SeNB가 버퍼링한 data를 다른 기지국으로 forwarding하지 못하고 버려야 하는 경우, 버려진 데이터에 대해서도 과금이 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12는 실시 예에서 핸드 오버가 수행될 때 발생하는 과금과 관련된 정보를 수정하기 위한 신호 송수신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MeNB(1202), SeNB(1204), MME(1206) 및 SGW/PGW(1208) 사이에 데이터 송수신 과정을 나타내며, 보다 구체적으로 과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eNB의 데이터가 유실되는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SGW 또는 PGW와 같이 과금 데이터를 수집하는 노드까지 전달하는 방안을 나타낸다.
단계 1210에서 MeNB(1210)는 SeNB(1215)에 설정된 사용자 단말에 대한 EPS bearer를 해제해야 하는 경우, SeNB(1215)에게 X2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X2 요청 메시지는 resource release request 메시지를 포함하며, 이외에도 기지국 사이에 송수신 될 수 있는 메시지 역시 적용될 수 있다.
만약 실시 예에서 SeNB(1204)가 버퍼링 중인 데이터를 포워딩할 수 없는 경우, 단계 1215에서 SeNB(1204)는 MeNB(1202)에게 자신이 전송에 성공 또는 실패한 데이터의 정보를 나타내는 delivery report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delivery report는 각 데이터 패킷의 전송 성공 또는 실패 여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각 패킷에 대응되는 bitmap 형식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elivery report 는 버려진 패킷의 개수 또는 전체 볼륨의 크기와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220에서 상기 delivery report를 수신한 MeNB(1202)는 수신한 정보와 관련된 bearer 식별자를 MME(1106)에게 전달할 수 있다.
단계 1225에서 MME(1206)는 상기 단계 1220에서 수신한 정보를 GTP 메시지를 사용해 SGW와 PGW(1208)까지 전달할 수 있다.
단계 1230에서 SeNB(1204)의 data 전송 현황(각 데이터 패킷의 전송 성공 또는 실패 여부를 나타내는 bitmap 또는 버려진 패킷의 갯수, 또는 전체 볼륨 등)을 수신한 SGW 또는 PGW(1208)와 같이 과금 데이터를 관리하는 노드는, 이에 따라 과금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단계 1235에서 SGW/PGW(1208)은 MME(1206)에 GTP ack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단계 1240에서 MME(1206)는 MeNB(1202)에 S1 ack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3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3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 실시 예의 단말은 송수신부(1310), 저장부(1320), 제어부(133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1310)는 실시 예의 RAN 노드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제어 신호,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320)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1320)는 코어 네트워크와 접속하기 위한 메시지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제어부(1330)는 본 명세서 실시 예의 사용자 단말의 동작을 위해 각 블록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30)는 RAN에 접속하기 위해 송수신부(131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4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엔티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로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시 예의 네트워크 엔티티는 RAN, ePDG, PGW, PCRF, HSS, AAA, SPR, MeNB, SeNB, MME 및 SGW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 실시 예의 네트워크 엔티티는 유무선 통신부(1410), 저장부(1420), 제어부(143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부(1410)는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및 코어 네트워크의 노드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유선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20)는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엔티티의 종류에 따라 저장부(1420)에 저장되는 정보는 사용자 가입 정보 및 QoS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20)은 데이터 패킷에 대한 과금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제어부(1430)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가 동작하도록 각 블록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2)

  1. 이동 통신 시스템의 페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DN GateWay, PGW)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향상된 페킷 데이터 게이트웨이(Evolved Packet Data Gateway, ePDG)로부터 단말의 프록시 바인딩 업데이트를 수신하는 단계;
    가입 정보 서버에 상기 단말에 대한 가입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가입 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의 QoS(Quality of Service)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QoS 정보를 기반으로 과금 및 정책 서버에 QoS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록시 바인딩 업데이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ePDG로부터 단말의 아이디 및 접속 포인트 네임(Access Point Name, APN)을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의 아이디, 상기 PGW 의 주소, 접속 포인트 네임(Access Point Name, APN) 및 사업자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QoS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가입 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의 기본 QoS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및 정책 서버로부터 승인된 QoS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승인된 QoS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프록시 바인딩 업데이트에 대응하는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
  7. 이동 통신 시스템의 페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DN GateWay, PGW)에 있어서,
    다른 네트워크 노드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향상된 페킷 데이터 게이트웨이(Evolved Packet Data Gateway, ePDG)로부터 단말의 프록시 바인딩 업데이트를 수신하고, 가입 정보 서버에 상기 단말에 대한 가입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가입 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의 QoS(Quality of Service)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QoS 정보를 기반으로 과금 및 정책 서버에 QoS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PGW.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ePDG로부터 단말의 아이디 및 접속 포인트 네임(Access Point Name, APN)을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GW.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의 아이디, 상기 PGW 의 주소, 접속 포인트 네임(Access Point Name, APN) 및 사업자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GW.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입 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의 기본 QoS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GW.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과금 및 정책 서버로부터 승인된 QoS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GW.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인된 QoS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프록시 바인딩 업데이트에 대응하는 연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GW.
KR1020140029875A 2014-03-13 2014-03-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279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875A KR102279486B1 (ko) 2014-03-13 2014-03-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CN202010110678.0A CN111511042B (zh) 2014-03-13 2015-03-11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生成连接的方法和装置
PCT/KR2015/002349 WO2015137721A1 (ko) 2014-03-13 2015-03-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US15/125,452 US10517013B2 (en) 2014-03-13 2015-03-11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conn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201580013630.5A CN106105281B (zh) 2014-03-13 2015-03-11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生成连接的方法和装置
US16/720,973 US20200128433A1 (en) 2014-03-13 2019-12-19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conn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8/522,947 US20240098557A1 (en) 2014-03-13 2023-11-29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conn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875A KR102279486B1 (ko) 2014-03-13 2014-03-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266A true KR20150107266A (ko) 2015-09-23
KR102279486B1 KR102279486B1 (ko) 2021-07-20

Family

ID=54072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9875A KR102279486B1 (ko) 2014-03-13 2014-03-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10517013B2 (ko)
KR (1) KR102279486B1 (ko)
CN (2) CN106105281B (ko)
WO (1) WO201513772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897A (ko) * 2017-06-28 2019-01-07 주식회사 케이티 사내망 접속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단말의 사내망 접속을 수행하는 시스템 및 방법
WO2021206437A1 (ko) * 2020-04-08 2021-10-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제어채널을 할당하는 방법 및 통신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66201A (zh) 2015-10-09 2021-03-26 苹果公司 网络发起的分组数据网络连接
KR102172469B1 (ko) * 2016-05-13 2020-10-30 주식회사 케이티 이종 무선 액세스 망 간의 연동 방법 및 그 장치
RU2719421C1 (ru) * 2016-11-07 2020-04-17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м Эрикссон (Пабл) Разграничение услуг для устройств, подключенных к ue, действующему в качестве маршрутизатора
RU2738801C1 (ru) * 2017-10-16 2020-12-17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м Эрикссон (Пабл) Способы и узлы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одключения к сети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5g
KR102450437B1 (ko) * 2018-12-19 2022-10-04 타이완 세미콘덕터 매뉴팩처링 컴퍼니 리미티드 네트워크 액세스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BR112020020055A2 (pt) * 2019-02-13 2021-01-05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étodo e aparelho para configuração de portad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75675A1 (en) * 2009-09-26 2011-03-31 Rajeev Koodli Providing services at a communication network edge
US20130322347A1 (en) * 2012-05-31 2013-12-05 Cisco Technology, Inc. Leveraging multiple access technologies simultaneously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75533B2 (en) * 2001-07-27 2004-08-10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transferring data between a first target entity and a second target entity of a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6934264B2 (en) * 2001-08-30 2005-08-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cknowledging a reception of a data packet in a CDMA communication system
CN101473679B (zh) * 2006-06-16 2012-11-14 诺基亚公司 在系统间切换的情况下用于为终端传送pdp上下文信息的设备和方法
EP2206368A1 (en) * 2007-10-04 2010-07-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ter-system handoff using circuit switched bearers for serving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support nodes
CN101499953A (zh) * 2008-01-29 2009-08-05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传递方法
ES2377767T3 (es) * 2008-05-15 2012-03-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envío de datos durante el traspaso en una celda con auto retorno
US8249551B2 (en) * 2008-06-05 2012-08-21 Bridgewater Systems Corp. Long-term evolution (LTE) policy control and charging rules function (PCRF) selection
JP5568567B2 (ja) * 2008-11-21 2014-08-06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ハンドオーバ、変換、及びルーティング機能を提供するように構成されたネットワークゲートウェイ
KR101575223B1 (ko) * 2008-11-25 2015-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설기지국에서 로컬 브레이크 세션을 요청하는 방법 및 장치
EP2469923A4 (en) * 2009-08-21 2014-11-19 Fujitsu Ltd RADIO ACCESS NETWORK, BASE STATION, AND DATA TRANSFER METHOD
JPWO2011039985A1 (ja) * 2009-09-30 2013-02-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パケット回復方法、パケット回復システム、その方法で用いられる移動端末及び中間装置
EP2534875B1 (en) * 2010-02-12 2021-12-0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Data split between multiple sites
US8605583B2 (en) 2010-02-18 2013-12-10 Alcatel Lucent PCC/QOS rule creation
JP5893554B2 (ja) * 2010-04-14 2016-03-23 シャープ株式会社 位置管理装置、パケットデータネットワークゲートウェイ装置、移動局装置及び位置管理装置の通信方法
JP4885297B1 (ja) * 2010-10-04 2012-02-2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方法、移動管理ノード、サービングゲートウェイ装置、パケットデータネットワークゲートウェイ装置、ポリシー制御装置及びパケット交換機
EP2636277B1 (en) * 2010-11-05 2014-09-2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Improved quality of service control
US20120124229A1 (en) * 2010-11-12 2012-05-1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of integrating device policy and network policy for arbitration of packet data applications
US8982838B2 (en) * 2011-02-11 2015-03-1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rocessing data associated with handover in a wireless network
US9843975B2 (en) 2011-02-17 2017-12-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 PDN connection
SG192860A1 (en) * 2011-03-22 2013-09-30 Ericsson Telefon Ab L M Network node and method to control routing or bypassing of deployed traffic detection function nodes
AU2012240732B2 (en) * 2011-04-05 2016-04-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nter-PLMN handover to CSG cell
KR20130001439A (ko) * 2011-06-27 2013-01-04 주식회사 케이티 서비스 품질 및 과금 제어를 위한 방법, 애플리케이션 기능 장치, 및 정책 및 과금 규칙 기능 장치
EP2763357B1 (en) * 2011-11-03 2019-03-13 Huawei Technologies Co., Ltd. Data security channel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US9398473B2 (en) * 2011-12-21 2016-07-19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load based optimiza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JP5891790B2 (ja) * 2011-12-28 2016-03-23 富士通株式会社 課金システム、課金情報処理装置、課金情報生成装置、課金情報修正方法、プログラム
WO2013133676A1 (ko) * 2012-03-08 2013-09-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억세스 네트워크의 트래픽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13141572A1 (ko) 2012-03-19 2013-09-26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랜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장치
JP6109302B2 (ja) * 2012-05-21 2017-04-05 テケレック・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Tekelec, Inc. 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発見および選択のための方法、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媒体
EP2670195A1 (en) * 2012-05-31 2013-12-0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AB (Publ) Methods and apparatus for mitigating service interruption
KR20140016713A (ko) * 2012-07-31 2014-02-10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 접속 기술 변경 시 베어러의 처리를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US9648514B2 (en) * 2013-08-09 2017-05-09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protocol layer enhancements in data offload over small cells
JP7158497B2 (ja) * 2018-12-20 2022-10-21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ビデオエンコーディングおよびデコーディングにおける改善されたタイルアドレスシグナリン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75675A1 (en) * 2009-09-26 2011-03-31 Rajeev Koodli Providing services at a communication network edge
US20130322347A1 (en) * 2012-05-31 2013-12-05 Cisco Technology, Inc. Leveraging multiple access technologies simultaneously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40347 *
3GPP R2-140530 *
3GPP R2-140531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897A (ko) * 2017-06-28 2019-01-07 주식회사 케이티 사내망 접속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단말의 사내망 접속을 수행하는 시스템 및 방법
WO2021206437A1 (ko) * 2020-04-08 2021-10-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제어채널을 할당하는 방법 및 통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78911A1 (en) 2017-03-16
US10517013B2 (en) 2019-12-24
CN111511042B (zh) 2023-11-24
US20240098557A1 (en) 2024-03-21
CN111511042A (zh) 2020-08-07
WO2015137721A1 (ko) 2015-09-17
US20200128433A1 (en) 2020-04-23
CN106105281A (zh) 2016-11-09
CN106105281B (zh) 2020-03-06
KR102279486B1 (ko) 2021-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44181B2 (ja) 制御プレーンCIoT EPS最適化による負荷制御
US202400985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conn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7040772B2 (ja) サービスエクスポージャ機能を介して非ipデータのポリシングを実施するための方法
US10993146B2 (en) User equipment maximum bandwidth control method and device, computer storage medium
US8855045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establishment of local IP access
US8867471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reporting radio access network element information
JP5970723B2 (ja) 輻輳状態報告方法および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装置
KR102303340B1 (ko) 트래픽 오프로딩 결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09031003A2 (en) Dynamic ggsn relocation in a gprs network
KR20130055194A (ko) 이종 네트워크 간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US8824324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subscriber quality of service profiles
JP2017511675A (ja) Ipフロールーティングルールの決定方法及び装置
US20150237495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fferentiating between subscribers
US10616119B2 (en) Policy determining method and apparatus
US10555351B2 (en) Mechanism to extend IE type in GTP
US20150237458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ata communication method, gateway device and base station
CN103379479A (zh) 一种确定用户标识和通知参数信息的方法、系统及设备
KR10210960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 처리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TWI408976B (zh) The method of accounting control information when the heterogeneous network is handed down
WO2016074454A1 (zh) 一种支持多pdn连接的优化切换的方法和相应网络节点
WO2016074468A1 (zh) 支持多pdn连接的优化切换的方法、网络节点及系统
KR20120058427A (ko) 가입자 qos 프로파일 구성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