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3340B1 - 트래픽 오프로딩 결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트래픽 오프로딩 결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3340B1
KR102303340B1 KR1020140152418A KR20140152418A KR102303340B1 KR 102303340 B1 KR102303340 B1 KR 102303340B1 KR 1020140152418 A KR1020140152418 A KR 1020140152418A KR 20140152418 A KR20140152418 A KR 20140152418A KR 102303340 B1 KR102303340 B1 KR 102303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low
specific
mobility control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2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2304A (ko
Inventor
정상수
조성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5/323,392 priority Critical patent/US10568001B2/en
Priority to PCT/KR2015/006737 priority patent/WO2016003176A1/ko
Publication of KR20160002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47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nditions of the access network or the infrastructur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33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22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handling the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2Setup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 H04W36/1446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wherein at least one of the networks is unlicen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은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또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로 IFOM(IP flow mobility) 동작과 관련된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WLAN 또는 MME로부터 상기 요청 정보에 대응한 IFOM 제어 모드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IFOM 제어 모드와 관련된 정보를 기반으로 IFOM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3GPP망과 non 3GPP 망에 함께 접속할 수 있는 단말에 대해 트래픽 오프로딩 결정 또는 트래픽 오프로딩 과정을 시작할 수 있는 주체를 명확히 하거나, 또는 두 개 이상의 트래픽 오프로딩 과정이 병렬적으로 일어날 때, 각 트래픽 오프로딩 과정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하여 트래픽 오프로딩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트래픽 오프로딩 결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APPARATUS AND METHOD FOR DECIDING TRAFFIC OFFLOAD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본 명세서의 실시 예는 3GPP 시스템과 비 3GPP 시스템이 공존하는 망에서, LTE와 같은 3GPP 시스템과 무선 랜과 같은 비(non)-3GPP 시스템을 동시에 사용하여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송수신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이 3GPP 시스템과 비 3GPP 시스템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을 때, 트래픽 오프로딩을 하고, 상기 트래픽 오프로딩의 결정 주체를 선택하기 위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의 활동성을 보장하면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동통신 시스템은 점차로 음성뿐 아니라 데이터 서비스까지 영역을 확장하고 있으며, 현재에는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정도까지 발전하였다. 그러나 현재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자원의 부족 현상이 발생하고 있고, 또한 사용자들이 보다 고속의 서비스를 요구함으로 인해 보다 발전된 이동 통신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개발 중인 중 하나의 시스템으로써 3GPP(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LTE(Long Term Evolution)에 대한 규격 작업이 진행 중이다. LTE는 최대 100 Mbps정도의 전송 속도를 가지는 고속 패킷 기반 통신을 구현하는 기술이다. 이를 위해 여러 가지 방안이 논의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네트워크의 구조를 간단히 해서 통신로 상에 위치하는 노드의 수를 줄이는 방안이나, 무선 프로토콜들을 최대한 무선 채널에 근접시키는 방안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복수 개의 이종 망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단말은 GERAN/UTRAN/E-UTRAN과 같은 3GPP 엑세스 망과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과 같은 비(non)-3GPP 엑세스 망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은 E-UTRAN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 하면서, 다른 트래픽을 위해 WLAN에 동시에 접속해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도 있다. 트래픽 오프로딩 결정은 사용자 단말의 상태, WLAN의 상태, 그리고 사업자 망 상태를 고려해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이 비(non)-3GPP 시스템을 통해 특정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DN: Packet Data Network)에 연결된 서비스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로부터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GW: Packet Data Network Gateway)까지 연결(Connection)이 생성될 필요가 있다. 사업자 망 구성과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 자유도를 높이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는 한 사용자 단말이 무선랜을 사용하여 접속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APN(Access Point Name)을 갖는 PDN에 대해 하나 이상의 PDN 연결을 생성할 수 있도록 허용해야 한다. 또는, 사용자 단말이 하나의 IP 주소를 사용해 동시에 3GPP 시스템과 비 3GPP 시스템을 통해 트래픽을 송수신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법이 허용될 수 있다. 이 때, 특정 트래픽을 송수신할 엑세스망, 즉 트래픽 오프로딩 여부를 결정하는 권한은 사용자 단말과 사업자 망 양쪽에 주어질 수 있다. 이 때, 만약 사용자 단말이 트래픽 오프로딩을 위한 과정을 시작했을 때, 사업자 망의 노드에서도 트래픽 오프로딩을 위한 과정을 시작하면, 두 과정이 서로 충돌하거나, 동작 상 오류가능성 또는 비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가 욕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은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또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로 IFOM(IP flow mobility) 동작과 관련된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WLAN 또는 MME로부터 상기 요청 정보에 대응한 IFOM 제어 모드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IFOM 제어 모드와 관련된 정보를 기반으로 IFOM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acket data network gateway, PGW)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은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또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로부터 단말의 IFOM(IP flow mobility) 동작과 관련된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메시지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의 IFOM 제어 모드와 관련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WLAN 또는 MME로 상기 결정된 단말의 IFOM 제어 모드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말은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또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중 적어도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WLAN 또는 MME로 IFOM(IP flow mobility) 동작과 관련된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WLAN 또는 MME로부터 상기 요청 정보에 대응한 IFOM 제어 모드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IFOM 제어 모드와 관련된 정보를 기반으로 IFOM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단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acket data network gateway, PGW) 서버는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또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WLAN 또는 MME로부터 단말의 IFOM(IP flow mobility) 동작과 관련된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메시지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의 IFOM 제어 모드와 관련된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WLAN 또는 MME로 상기 결정된 단말의 IFOM 제어 모드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서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은 IFOM(IP flow mobility) 요청 메시지를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 메시지에 따라 결정된 IFOM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노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은 IFOM(IP flow mobility) 요청 메시지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 메시지에 따라 결정된 IFOM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3GPP망과 non 3GPP 망에 함께 접속할 수 있는 단말에 대해 트래픽 오프로딩 결정 또는 트래픽 오프로딩 과정을 시작할 수 있는 주체를 명확히 하거나, 또는 두 개 이상의 트래픽 오프로딩 과정이 병렬적으로 일어날 때, 각 트래픽 오프로딩 과정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하여 트래픽 오프로딩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
도 1은 본 명세서의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User Equipment, UE)(110)3GPP 엑세스 망과 비-3GPP 엑세스 망을 동시에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상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WAN(Trusted WLAN Access Network)의 블록 구성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트래픽 오프로딩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상황을 간략히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과 사업자 망 노드들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5는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의 ICM을 결정하기 위한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IFOM 동작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사용자 단말의 초기 ICM 또는 NW(Network)-initiated IP flow mobility 요청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ANDSF를 사용하는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8은 PCO(Protocol Configuration Option)을 사용해 IP flow mobility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 예에 따라 IP flow mobility를 initiation할 수 있는 노드를 변경하기 위한 동작을 나타낸다.
도 10은 다른 실시 예에 따라 IP flow mobility를 initiation할 수 있는 노드를 변경하기 위한 동작을 나타낸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앞으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기본적인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 시스템을, 그리고 비(non)-3GPP 엑세스 망으로는 무선 랜(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iFi로 속칭됨)을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명세서의 실시 예들의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 및 시스템 형태를 가지는 여타의 통신/컴퓨터 시스템에도 본 명세서의 실시 예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약간의 변형으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적용 대상은 WLAN 대신 1x/CDMA2000 시스템이나 WiMAX 시스템이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User Equipment, UE)(110)3GPP 엑세스 망과 비-3GPP 엑세스 망을 동시에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상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비-3GPP 엑세스 망으로 WLAN(120, 130)만 나타나 있지만, 앞서 언급한 것 처럼 비-3GPP 엑세스 망은 WLAN 뿐만 아니라 다른 비 3GPP 표준 엑세스망, 예를 들면 1x/CDMA2000/HRPD 엑세스 망 또는 WiMAX 망을 포함할 수 있다.
비-3GPP 엑세스 망은 크게 trusted 비-3GPP 엑세스 망(120)과 untrusted 비-3GPP 엑세스 망(130)으로 나눌 수 있다. 이렇게 나누는 것은, 사업자가 사업자 망에 연결된 비-3GPP 엑세스망을 신뢰할 수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만약 비-3GPP 엑세스 망이 신뢰성이 없는 경우(Untrusted 비-3GPP 엑세스 망(130)), 비-3GPP 엑세스 망은 ePDG(evolved Packet Data Gateway)(140)를 통해 3GPP 사업자 망, 일 예로 P-GW(170)에 연결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사업자는 3GPP 엑세스 망을 운용 하는 사업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비-3GPP 엑세스 망은 3GPP 사업자와 계약을 맺은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신뢰성 있는 비-3GPP 엑세스 망(120)은 ePDG 없이 바로 P-GW(17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신뢰성 있는 비-3GPP 엑세스 망(120)은 EPC(evolved packet core)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비-3GPP 엑세스 망(120, 130)이 하나의 장치로 표시되어 있으나, 비-3GPP 엑세스 망은 다수의 엑세스 포인트로 구성된 망일 수 있다. 특히, WLAN으로 신뢰성 있는 비-3GPP 엑세스 망을 구성하는 경우, 이는 TWAN(Trusted WLAN Access Network)(120)라 부르며, 이는 하나 이상의 WiFi 엑세스 포인트와 TWAG(Trusted WLAN Access Gateway)를 포함할 수 있다.
즉, WiFi 엑세스 포인트는 TWAG를 통해 3GPP 사업자 망에 연결되며, TWAG는 WiFi 엑세스 포인트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아니면 하나의 장치에 별로의 논리적인 모듈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 나타난 것처럼, 사용자 단말은 Trusted WLAN(120) 또는 Untrusted WLAN(130)을 통해 사업자 코어 망을 지나지 않고 직접 외부 PDN(예를 들면 Internet)과 트래픽을 송수신하는 NSWO(Non-Seamless WLAN offloading) 기술을 사용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서 3GPP 이동 통신 시스템, 특히 LTE 시스템은 차세대 기지국(Evolved Node B, EUTRAN, ENB, Node B) (150) 및 S-GW(Serving Gateway, S-GW)(1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UE)(110)은 ENB(150) 및 S-GW(160), 그리고 P-GW(PDN Gateway)(170)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P-GW는 보통 PCEF(Policy and Charging Enforcement Function)을 갖는데, 만약 PCEF가 P-GW와 별도로 구현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P-GW는 PCEF로 대치되어 적용될 수 있다.
PCRF(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180)는 사용자의 서비스 품질(QoS)과 관련된 정책을 제어하는 장치이며, 정책에 해당하는 PCC(Policy and Charging Control) 규칙(rule)은 P-GW(170)에 전달되어 적용될 수 있다.
eNB(150)는 RAN(Radio Access Network) 노드로서, UTRAN 시스템의 RNC(Radio Network Controller) 그리고 GERAN 시스템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eNB(150)는 UE(110)와 무선 채널로 연결되며 기존 RNC/BSC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기지국(150)은 여러 개의 셀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들은 eNB(E-UTRAN)(150)을 UTRAN 또는 GERAN으로 대체할 경우, 2G/3G 레거시 망에 적용될 수 있다.
S-GW(160)는 데이터 베어러를 제공하는 장치이며,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의 제어에 따라서 데이터 베어러 컨텍스트를 생성하거나 제거한다. S-GW(160)의 기능은 2G/3G 망에서의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의 기능에 대응될 수 있다.
LTE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QoS를 적용할 수 있는 단위는 EPS 베어러(bearer)이다. 하나의 EPS 베어러는 동일한 QoS 요구사항을 갖는 IP 플로우(Flow)들을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EPS 베어러에는 QoS와 관련된 파라메터가 지정될 수 있으며 여기엔 QCI(QoS Class Identifier)와 ARP(Allocation and Retention Priority)가 포함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EPS 베어러는 GPRS 시스템의 PDP 컨텍스트(context)에 대응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3GPP 또는 비-3GPP 엑세스망을 통해 EPC(Evolved Packet Core)에 접속할 경우, PDN connection을 생성하게 되는데, 이 PDN connection에는 하나 이상의 EPS bearer가 포함될 수 있으며, PDN connection 별로 IP 주소를 할당 받을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PDN connection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IP 주소를 기반으로 단말이 코어망을 통해 PDN과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논리적인 통로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WAN(Trusted WLAN Access Network)의 블록 구성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Trusted 비-3GPP 엑세스 망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TWAN(Trusted WLAN Access Network)(210)은 하나 이상의 WLAN으로 구성된 WLAN 엑세스 네트워크(WLAN Access Network)(220), AAA와의 연동을 위한 신뢰하는 WLAN AAA 프록시(Trusted WLAN AAA Proxy)(230), 그리고 WLAN Access Network(210)와 P-GW(미도시)를 연결해 주는 신뢰하는 WLAN 엑세스 게이트웨이(TWAG: Trusted WLAN Access Gateway)(240)를 포함할 수 있다.
TWAG(240)와 P-GW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S2a라 칭할 수 있으며, 여기에는 GTP(GPRS Tunneling Protocol)나 PMIP(Proxy Mobile IP)같은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다. 위의 구조는 논리적(Logical)인 구조일 뿐 실제로 물리적인 구성은 보다 자유로울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WLAN Access Network(220) 및 TWAG(240)은 통신 시스템에서 물리적으로 동일한 엔티티에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언급한 문제, 즉 사용자 단말이 비-3GPP 엑세스망과 3GPP 엑세스망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을 때, 연결을 생성하거나 관리하는 방법 및 특정 트래픽을 사용자 가입 정보나 망 상태에 따라 어떤 엑세스망으로 전송할지 결정하여 알리는 방법을 실시 예들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네트워크 구성이 비-3GPP 엑세스 망으로 TWAN을 포함하는 경우를 위주로 할 것이지만, 본 발명의 주요한 요지는 비-3GPP 엑세스 망을 통해 PDN을 활용하는 어떠한 상황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만약 사업자 망 구성이 Untrusted WLAN을 사용하는 경우엔, 본 발명에 실시 예에 있어 TWAN은 ePDG로 대체될 수 있으며, ePDG는 untrusted WLAN을 통해 사용자 단말과 메시지를 주고받는 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IP flow 제어 정보는 IP flow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TFT(Traffic Flow Templates), packet filter, IP flow descriptor, SDF(Service Data Flow) Template 등 특정한 IP flow를 검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정보 모두를 지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TWAN과 WLAN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WLAN은 WLAN에서 제어를 담당하는 엔터티, 예를 들면 WLAN AP(Access Point), TWAG, 또는 ePDG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단말(UE)과 통신하는 엔터티가 TWAN인 경우를 기본으로 설명을 진행할 것이지만, 실제 UE가 교환하는 메시지의 프로토콜에 의해 실제 UE가 통신하는 엔터티는 TWAN 내의 적어도 하나의 요소(즉, WLAN access network, TWAG, TWAP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콘(Beacon) 메시지는 TWAN 내의 WLAN access network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또, ANQP(Access Network Query Protocol) 방법은 UE와 TWAN 내의 WLAN access network, 또는 이와 연결된 ANQP 서버, 또는 TWAG와 사이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WLAN 제어(control) 계층 메시지(WLCP - WLAN Control Protocol)는 UE와 TWAG 사이에 교환될 수 있다.
만약, 비-3GPP 엑세스망이 untrusted인 경우, 사용자 단말과 ePDG 사이에서 교환되는 정보는 WLAN 제어 계층 메시지가 아닌 IKE(Internet Key Exchange) 메시지에 포함되며, 비-3GPP 엑세스망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단말이 WLAN 엑세스 망과 직접 정보를 교환하는 경우, EAP 메시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WLAN과 PCRF 사이의 정보 교환은 Gateway Control Session 생성(Establishment), 변경(Modification), 해제(Termination)으로, PGW와 PCRF 사이의 정보 교환은 IP-CAN Session 생성(Establishment), 변경(Modification), 해제(Termination)으로 설명될 것이지만, 실제 이 과정은 WLAN 또는 PGW가 CCR(Credit Control Request) 메시지에 실시 예에 설명된 정보를 포함하여 PCRF에게 전송하고, PCRF가 CCA(Credit Control Answer) 메시지에 실시 예에 포함된 정보를 포함하여 WLAN 또는 PGW에게 전송하는 것에 대응될 수 있다. 만약 PCRF가 요청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WLAN 또는 PGW에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설명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은 PCRF가 RA(Re-Auth) Request 메시지에 실시 예에 설명된 정보를 포함하여 WLAN 또는 PGW에게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WLAN 또는 PGW가 RA(Re-Auth) Answer 메시지에 실시 예에 포함된 정보를 포함해 PCRF에게 응답하는 것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적용함에 있어, diameter 메시지는 상기 설명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유사한 다른 요청/응답 메시지로 변경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한 엔터티가 다른 엔터티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정보를 전달하고, 전달된 정보를 기반으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서 설명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언급한 것 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사용자 단말이 비-3GPP 엑세스 망과 3GPP 엑세스 망을 통해 동시에 하나의 IP 주소를 할당 받아 사용하는 경우를 기본으로 설명할 것이지만, 본 명세서의 실시 예는 사용자 단말이 비-3GPP 엑세스 망과 3GPP 엑세스 망으로 서로 다른 IP 주소를 할당 받아 사용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이 때는 동일한 PGW에 연결을 가진 경우에 한정되고, 사용자 단말 및 각 네트워크 엔터티들이 주고받는 정보에는 동작의 대상이 되는 연결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IP 주소, 연결 식별자, 또는 연결에 포함된 기본 bearer의 식별자 등)가 포함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각 실시 예들의 메시지 교환 과정 중 SGW가 일부 생략될 수 있다. 만약 하나의 네트워크 엔터티, 특히 MME가 메시지를 PGW와 교환하는 경우, 이 메시지는 SGW를 통해 PGW와 교환될 수 있다. 즉, SGW는 MME로부터 수신한 제어 메시지를 PGW로 전달하고, PGW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MME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이 때 SGW가 생성하여 다음 홉(hop)으로 전달하는 GTP 메시지에 들어가는 정보(Information Element)는 이전 홉으로부터 수신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트래픽 오프로딩 결정 또는 트래픽 오프로딩 과정 시작은, IP flow mobility, 즉 특정 트래픽을 전송할 엑세스망을 선택하거나, 하나의 엑세스 망에서 다른 엑세스망으로 변경할지 여부를 결정하거나 이를 위한 과정을 시작하는 것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WLAN은 WLAN의 AP, TWAG, ePDG 중 하나에 대응되거나, 이들 모두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WLAN은 AP, TWAG 또는 ePDG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함께 배치될 수(collocated)될 수 있다.
지금부터 본 명세서의 실시 예들이 해결하려고 하는 문제 상황을 간단히 설명하겠다.
도 3은 트래픽 오프로딩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상황을 간략히 설명하는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은 단말 및 네트워크에서 트래픽 오프로딩을 결정한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 상황을 간단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302) 및 PGW(304)는 각자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으며, 실시 예에서 IP flow mobility에 대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권한이 사용자 단말(302)과 사업자 망의 한 노드(PGW)(304)에 주어진다고 가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302)은 하나의 IP 주소를 사용해 3GPP 엑세스망과 non3GPP 엑세스망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상태임을 가정할 수 있다.
단계 I에서 사용자 단말(302)은 특정 IP flow(본 예에서는 Video 서비스를 위한 트래픽)을 WLAN으로 전송하다가, 특정 상태 및 조건에 따라 이를 LTE로 전송한다고 결정하고, IP flow mobility를 위한 과정을 시작한다. 이 때, 실시 예에서 상기 IP flow는 WLAN을 통한 PDN 연결의 마지막 또는 유일한 IP flow라서, 상기 IP flow를 LTE로 이동시킨다는 것은, WLAN을 통한 PDN 연결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단계 315에서 사업자 망의 한 노드(실시 예에서 PGW(304))는, 사업자 망 상태나 사용자 단말의 상태 등을 고려해 LTE로 전송하던 특정 IP flow(본 예에서는 SNS 서비스를 위한 트래픽)를 WLAN으로 이동시키기로 결정하고, 이를 위한 과정을 시작할 수 있다. 단계 315의 동작은 단계 310의 동작과 유사한 시각에 수행될 수 있으며, 각 단계는 선후에 무관하게 서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시간 범위 내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조건에 의해, 사용자 단말(302) 및 사업자 망(304)의 동작은 원래 의도와는 다른 결과를 유발하거나, 오류 상황을 유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사용자 단말(302)이 시작한 단계 310의 과정이 사업자 망의 노드(304)가 시작한 단계 315의 과정에 따른 요청 메시지가 사용자 단말(302)에 도착하기 전에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302)은 사업자 망의 노드(304)로부터 이미 없어진 PDN 연결로 트래픽을 전송하라는 명령을 받게 된다. 반면, 만약 사용자 단말(302)이 단계 310에서 시작한 과정이 완료되기 전에 사업자 망(304)이 단계 315에서 시작한 과정에 따른 요청 메시지가 사용자 단말(302)에 도착하면, 사용자 단말(302)은 원래 의도했던 동작(즉, WLAN을 통한 PDN 연결 해제)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상황(들)을 해결하기 위해 하나의 IP flow mobility를 위해 수행되는 사용자 단말(302)과 사업자 망 노드(304)들의 동작을 묶어 하나의 처리(transaction)으로 묶고, 각 처리를 구분하여 서로 영향을 주지 않도록 분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과 사업자 망은 IP flow mobility 동작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불필요한 모호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항상 IP flow mobility 동작으로 인해 IP flow가 송수신될 새로운 엑세스망을 통해 IP flow mobility와 관련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여, 사용자 단말이 LTE로 송수신하던 IP flow를 WLAN으로 이동시키기로 결정한 경우, 사용자 단말은 IP flow mobility 요청 메시지를 LTE가 아닌 WLAN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만약 사업자 망의 한 노드가 WLAN으로 송수신되던 IP flow를 LTE로 이동시키기로 결정한 경우, 상기 IP flow mobility 과정 중 사용자 단말과 교환되는 제어 메시지는 LTE을 망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과 사업자 망 노드들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402), non 3GPP 엑세스망(404), 3GPP 망(406) 또는 PGW(408)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엔티티/망과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상기 도면에서 Procedure transaction(이하 PT라 칭함)(410, 460) 두 개가 포함되어 있는데, 상기 두 PT(410, 460)는 서로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PT1(410)은 사용자 단말(402)이 IP flow mobility를 initiation하는 것으로, PT2(460)는 사업자 망의 한 노드(PGW)(408)가 IP flow mobility를 initiation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실시 예에서 PT의 순서나 각 PT에서 IP flow mobility를 initiation하기 위해 각 엔티티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엔티티에 따라 전송하는 메시지의 종류를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402)은 PDN 연결을 생성하여, 하나의 IP 주소로 3GPP 엑세스망(LTE/E-UTRAN 등) (406)과 non-3GPP 엑세스망(WLAN 등) (404)을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상태를 가정한다.
PT1(410)에서 사용자 단말(402)은 한 엑세스 망에서 전송되고 있던 IP flow를 다른 엑세스망으로 이동시키기로 결정할 수 있다.
단계 415에서 사용자 단말(402)은 IP flow mobility를 위한 요청 메시지를 엑세스망(404)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실시 예에서 WLAN을 사용하며, WLAN이 trusted WLAN이고, 사용자 단말(402)이 다중 연결(multiple connection mode)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402)은 WLCP 요청 메시지, IP flow mobility request 메시지를 사용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메시지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연결을 식별할 수 있는 ID, IP flow의 정보(IP flow를 구분할 수 있는 정보, IP 주소/포트 등으로 구성된 TFT 또는 Packet filter와, 대상 엑세스망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 등), 또는 TID (Transaction ID)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TID는 세션 관리 procedure transaction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로, 사용자 단말(402)이 할당할 수 있는 값이다.
단계 420에서 사용자 단말(402)로부터 IP flow mobility 요청을 받은 엑세스 망 노드(404)는 PGW(408)까지 IP flow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메시지, Bearer Modify Command 또는 PBU(Proxy Binding Update)메시지,를 PGW(408)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에는 연결을 식별할 수 있는 ID, IP flow 정보, 또는 TID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정보는 사용자 단말(402)로부터 수신된 값들을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단계 425에서 PGW(408)는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IP flow mobility를 적용할지 판단하고, 만약 적용하기로 결정한 경우 IP flow 정보(즉, IP flow가 송수신될 엑세스망)을 갱신하기 위한 메시지, Update Bearer Request 또는 PBA(Proxy Binding Ack) 메시지를 엑세스 망 노드(404)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연결을 식별할 수 있는 ID, IP flow 정보, 또는 TID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IP flow 정보는 사용자 단말(402)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수정/갱신된 정보일 수 있으며, 상기 TID는 사용자 단말(402)로부터 수신된 값을 기반으로 결정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402)로부터 수신한 값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계 430에서 엑세스망(404)은 사용자 단말(402)의 IP flow 정보를 갱신하기 위한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402)에게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만약 엑세스 망(404)이 WLAN이고, WLAN이 trusted WLAN인 경우, 상기 메시지는 WLCP 메시지 또는 Update Route Request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메시지에는 연결을 식별할 수 있는 ID, IP flow 정보, 또는 TID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IP flow 정보는 사용자 단말(402)이 요청했던 정보를 기반으로 수정/갱신된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2)은 본 단계에서 사업자 망으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의 TID와, 자신이 앞선 단계 415의 과정에서 송신한 메시지에 삽입한 TID를 비교하고, 만약 일치한다면 자신의 전송했던 요청으로 인해 사업자 망이 IP flow mobility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했음을 알 수 있다.
단계 435에서 사용자 단말(402)은 엑세스 망(404)으로 IP flow mobility에 대한 수락을 나타내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엑세스 망(404)이 WLAN이고, WLAN이 trusted WLAN인 경우, 상기 메시지는 WLCP 메시지, Update Route Response, 또는 Accept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메시지에는 연결을 식별할 수 있는 ID, TID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며, TID는 앞선 단계 430에서 수신한 TID를 기반으로 결정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 430에서 수신한 TID와 같은 값을 사용할 수 있다.
단계 440에서 엑세스망(404)은 필요한 경우 PGW(408)가 요청한 동작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응답 메시지는 Update Bearer Response 메시지일 수 있으며, 상기 메시지에는 연결을 식별할 수 있는 ID 또는 TID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PGW(408)는 수신된 메시지의 TID와, 자신이 앞선 단계 425에서 전송한 메시지에 포함시켰던 TID (즉, 사용자 단말의 요청 메시지로부터 얻어진)를 비교하여, 어떤 PT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사업자 망의 한 노드, 실시 예에서 PGW(408)가 IP flow mobility를 시작하기 위해서, 단계 465에서 PGW(408)는 엑세스망(406)으로 사용자 단말(402)의 IP flow 정보를 갱신하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실시 예에서 상기 메시지는 Update Bearer Request 메시지일 수 있다. 상기 메시지에는 연결을 식별할 수 있는 ID, IP flow 정보, 그리고 TID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상기 TID는 unassigned 값 또는 PGW가 생성한 값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단계 470에서 엑세스망(406)은 사용자 단말(402)의 IP flow 정보를 갱신하기 위한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402)에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IP flow 정보를 갱신하기 위한 메시지는 IP flow가 송수신되는 엑세스 망을 변경하기 위한 메시지일 수 있다. 만약 실시 예에서 엑세스 망(406)이 LTE인 경우, 상기 메시지는 NAS ESM 또는 Modify EPS Bearer Context Request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메시지에는 연결 또는 연결의 대표 EPS bearer를 식별할 수 있는 ID, IP flow의 정보(IP flow를 구분할 수 있는 정보, IP 주소/포트 등으로 구성된 TFT 또는 Packet filter, 또는 대상 엑세스망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TID (Transaction ID)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엑세스망(406)이 사용자 단말(402)에 전달하는 TID는 PGW(408)로부터 수신된 값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PGW(408)로부터 수신한 TID 값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단계 475에서 사용자 단말(402)은 엑세스 망(406)으로 IP flow mobility에 대한 수락을 나타내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엑세스 망이 LTE인 경우, 상기 메시지는 NAS ESM 메시지 또는 Modify EPS Bearer Context Accept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메시지에는 연결을 또는 연결의 대표 EPS bearer를 식별할 수 있는 ID, 또는 TID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만약 앞선 단계에서 수신된 메시지의 TID가 unassigned인 경우, 사용자 단말(402)은 TID 값을 하나 할당하여 상기 메시지에 포함시키거나, 또는 unassigned를 그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만약 앞선 단계에서 수신된 메시지에 unassigned가 아닌 TID가 포함된 경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메시지에 앞선 단계에서 수신된 TID를 포함시킬 수 있다.
단계 480에서 엑세스망(406)은 PGW(408)가 요청한 동작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응답 메시지는 Update Bearer Response 메시지일 수 있으며, 상기 메시지에는 연결을 식별할 수 있는 ID, 또는 TID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TID는 사용자 단말(402)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에 포함된 값을 기반으로 결정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402)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에 포함된 TID와 같은 값을 사용할 수 있다.
PGW(408)는 수신된 메시지의 TID와, 자신이 앞선 단계 465에서 전송한 메시지에 포함시켰던 TID (즉, 사용자 단말의 요청 메시지로부터 얻어진)를 비교하여, 어떤 PT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단계 445 및 단계 450에서와 같이 사용자 단말(402) 및 PGW(408)은 TID를 기반으로 IFOM(IP Flow Mobility)를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 예에서, PT1(410)는 사용자 단말(402)이 IP flow mobility 요청을 WLAN(404)을 통해 보내고, PT2(460)는 사업자 망이 LTE(406)를 통해 IP flow mobility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예를 들었으나, 상기 실시 예는 사용자 단말이 시작한 IP flow mobility PT와 사업자 망이 시작한 IP flow mobility PT를 구분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 다른 예, 사용자 단말(402)이 IP flow mobility 요청을 LTE(406)를 통해 보낸 경우에도 대응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도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이 non-3GPP(WLAN) 엑세스망을 통해 IP flow mobility 요청을 송신하며, 네트워크의 한 노드(PGW)는 3GPP(LTE) 엑세스망을 통해 IP flow mobility 동작을 수행하는데, 본 실시 예의 주요한 요지는 상기 엑세스망의 종류가 서로 변경되어 사용자 단말이 LTE 망을 통해 IP flow mobility 요청을 송신하고, 네트워크에서 WLAN 망을 통해 IP flow mobility 과정을 수행하는 경우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서는 엑세스망과 PGW사이에 SGW가 존재한 경우, SGW의 동작을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생략하였다. SGW가 송수신하는 메시지는 PGW가 송수신하는 메시지와 동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금부터 본 명세서의 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과 사업자 망 노드 중 IP flow mobility 과정을 시작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는 노드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만약 사용자 단말과 사업자 망 노드 중 하나의 노드에서만 IP flow mobility를 위한 과정을 시작할지 결정할 수 있으면,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IP flow 또는 PDN 연결을 관리하는데 발생하는 문제들을 방지할 수 있다.
앞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IP flow mobility 제어를 위한 모드(IFOM Control Mode, 이하 줄여서 ICM으로 지칭)는 세 가지이다.
l UE only: IP flow mobility에 대한 initiation을 사용자 단말만 수행할 수 있음
l NW(Network) only: IP flow mobility에 대한 initiation을 사업자 망의 노드(예를 들면 PGW)만 수행할 수 있음
l NW and UE: IP flow mobility에 대한 initiation을 UE/NW 모두 수행할 수 있음
실시 예에서 이와 같은 모드의 명칭은 예시 적인 것으로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는 용어로 변경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5는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의 ICM을 결정하기 위한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502), WLAN/MME(504) 및 PGW(506)은 각각 다른 엔티티 중 적어도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단계 510에서 사용자 단말(502)은 PDN 연결을 생성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WLAN/MME(504)에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엑세스 망이 WLAN이고, WLAN이 trusted WLAN인 경우, 상기 메시지는 WLCP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엑세스망이 E-UTRAN인 경우 상기 메시지는 NAS ESM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상기 메시지는 PDN connectivity request 메시지일 수 있으며, 상기 메시지에는 사용자 단말이 요청하는 APN 또는 ICM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단계 515에서 WLAN 망 또는 MME(504)는 사용자 단말(502)의 요청에 따라 PDN 연결을 생성하기 위한 메시지, Create Session Request 또는 PBU 메시지를 PGW(506)까지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APN, ICM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단계 520에서 PGW(506)는 사용자 단말(502)에 대한 ICM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PGW(506)는 사용자 단말(502)로부터 요청된 APN을 고려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502)이 요청한 ICM을 허용할지 여부 또는 다른 ICM으로 변경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 과정 중에 PGW(506)는 local configuration과 사용자 가입 정보를 고려할 수 있으며, 별도의 네트워크 노드, 예를 들면 PCRF, 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는, PGW(506)는 사용자 단말(502)이 요청한 ICM을 PCRF로 전달하고, PCRF가 결정한 ICM을 다시 사용자 단말(502)에게 알릴 수도 있다.
단계 525에서 PGW(506)는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WLAN/MME(504)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이 메시지는 Create Session Response 또는 PBA 메시지일 수 있다. 상기 메시지에는 최종 결정된 사용자 단말(502)의 해당 PDN 연결에 대한 ICM이 포함될 수 있다.
단계 530에서 MME 또는 WLAN(504)은 PDN 연결 생성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502)에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엑세스 망이 WLAN이고, WLAN이 trusted WLAN인 경우, 상기 메시지는 WLCP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엑세스망이 E-UTRAN인 경우 상기 메시지는 NAS ESM 메시지일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PDN connectivity accept 메시지(WLCP인 경우) 또는 activate default bearer request (NAS ESM인 경우)일 수 있으며, 상기 메시지에는 사용자 단말(502)이 적용해야 할 ICM이 포함된다. 실시 예에서 적용해야 할 ICM은 적용해야 할 ICM 값 또는 ICM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ICM 관련 정보는 ICM이 적용되는 PDN 관련 정보, 또는 ICM이 적용될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535에서 사용자 단말(502)은 수신된 메시지에 따라 NB-IFOM(Network-based IP flow mobility) 동작의 모드, 즉, UE-only, NW-only, 또는 NW and UE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를 설정하여, 이후 IFOM 동작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동작 모드는 대상이 되는 PDN 연결에 한정적으로 적용되는 것일 수 있다.
도 6은 IFOM 동작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602), MME(604) 및 HSS(home subscriber server)(606)은 각각 다른 엔티티 중 적어도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단계 610에서 사용자 단말(602)은 E-UTRAN을 통해 EPC에 등록(attach 또는 TAU)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602)은 attach request 또는 TA update request 메시지를 MME(604)에 전송하며, 상기 메시지에는 사용자 단말(602)의 ICM 또는 사용자 단말(602)에 대해 NW-initiated IP flow mobility 적용을 요청하는 정보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단계 615에서 MME(604)는 HSS(606)로 사용자 단말(602)의 위치 등록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실시 예에서 상기 메시지는 Update Location 메시지일 수 있다.
단계 620에서 HSS(606)는 MME(604)의 요청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응답 메시지는 Update Location Ack 메시지일 수 있으며 상기 메시지에는 사용자 단말(602)의 가입정보의 하나로 사용자 단말에 대해 적용해야 할 ICM 또는 NW-initiated IP flow mobility 적용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단계 625에서 MME(604)는 단계 610에서 사용자 단말(602)이 요청한 정보, 단계 620에서 HSS(606)로부터 수신한 정보, 또는 MME(604)의 local configur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602)에게 적용할 ICM 또는 NW-iniaited IP flow mobility 지원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630에서 MME(604)는 사용자 단말(602)에게 보내는 등록 수락 메시지, attach accept 또는 TA update accept 메시지, 에 사용자 단말(602)이 적용해야 하는 ICM 또는 사용자 단말에 대해 NW-initiated IP flow mobility가 지원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
단계 635에서 사용자 단말(602)은 MME(604)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에 따라, 자신의 동작 모드가 UE-only, NW-only, NW and UE 중 어떤 것인지 또는 NW-initiated IP flow mobility가 지원되는지 여부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NW-initiated IP flow mobility가 지원된다 함은, 사용자 단말(602) 대신 사업자 망의 노드, 예를 들면 PGW 또는 PCRF가 IP flow mobility를 결정하고 이를 위한 과정(procedure)를 시작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정보(ICM 또는 NW-initiated IP flow mobility)는 APN 별로 설정되어 사용자 단말에 전달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 단말은 현재 대상이 되는 APN의 설정에 따라 동작해야 한다. 또한 상기 정보는 APN 별로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도 7은 사용자 단말의 초기 ICM 또는 NW-initiated IP flow mobility 요청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ANDSF(access network discovery and selection function)를 사용하는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ANDSF(702) 또는 사용자 단말(702)은 서로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단계 710에서 ANDSF(702)는 사용자 단말(704)에게 정책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정책 정보는 엑세스망 선택/검색을 위한 정보 또는 트래픽 라우팅 결정을 위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704)에게 제공하는 정보는 ANDSF policy 또는 ANDSF rule이라 불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는 사용자 단말(704)이 적용할 수 있는 ICM, 그리고 NW-initiated IP flow mobility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정보는 특정 APN 별로 설정 될 수 있으며, 특정 APN 별로 서로 다른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WLAN selection policy, inter-system mobility policy, inter-system routing policy, inter-APN routing policy에 포함될 수 있으며, 또는 IP flow mobility policy에 포함될 수도 있다.
단계 715에서 사용자 단말(704)은 ANDSF(704)로부터 수신된 정보, ICM, 또는 NW-initiated IP flow mobility 사용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며, 이를 기반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시작할 때의 관련된 정보의 초기값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704)이 특정 PLMN으로부터 수신한 ANDSF policy에 ICM이 UE_only로 설정된 경우, 사용자 단말(704)이 해당 PLMN의 사업자 망으로 보내는 요청 메시지의 ICM은 UE_only로 설정된다.
한편 상기 실시 예에서 ANDSF(702)는 OMA-DM(open mobile alliance-device management) 서버일 수 있으며, ANDSF policy는 OMA-DM의 MO(Management Object)의 형태를 갖는 다른 종류의 정보일 수 있다.
도 8은 PCO(Protocol Configuration Option)을 사용해 IP flow mobility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802), MME/WLAN(804), PGW(806) 또는 PCRF(808)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 다른 엔티티 중 적어도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단계 810에서 사용자 단말(802)은 PDN 연결을 생성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MME/WLAN(804)에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만약 엑세스 망이 WLAN이고, WLAN이 trusted WLAN인 경우, 상기 메시지는 WLCP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엑세스망이 E-UTRAN인 경우 상기 메시지는 NAS ESM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는 PDN connectivity request 메시지일 수 있으며, 상기 메시지에는 사용자 단말이 요청하는 APN, ICM 정보, 또는 NW-initiated IP flow mobility를 요청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특히, ICM 정보 및 NW-initiated IP flow mobility 요청은 상기 메시지에 포함되는 PCO(Protocol Configuration Option)의 하나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정보는 대상이 되는 PDN 연결에 한정적으로 적용되는 것일 수 있다.
단계 815에서 WLAN 망 또는 MME(804)는 사용자 단말(802)의 요청에 따라 PDN 연결을 생성하기 위한 메시지, Create Session Request 메시지 또는 PBU 메시지를 PGW(806)까지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APN, ICM 요청, 또는 NW-initiated IP flow mobility를 요청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802)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에 PCO가 포함된 경우, WLAN 망 또는 MME(804)는 수신된 PCO를 상기 메시지에 포함시켜 PGW(806)까지 전달한다.
PGW(806)는 사용자 단말(802)로부터 전송된 PCO를 수신하고, PCO에 포함된 ICM 정보 또는NW-initiated IP flow mobility에 대한 요청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825에서 PGW(806)는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802)에 대해 적용할 ICM 또는 NW-initiated IP flow mobility 지원 여부를 결정하며, 이 때, PGW(806)는 사용자 단말(802)로부터 요청된 APN을 고려할 수 있으며, 또한 이 과정 중에 PGW(806)는 local configuration과 사용자 가입 정보를 고려할 수 있으며, 특히 별도의 네트워크 노드, 예를 들면 PCRF(808)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는, PGW는 단계 820에서와 같이 사용자 단말이 요청한 ICM을 PCRF로 전달하고, PCRF가 결정한 ICM을 다시 사용자 단말에게 알릴 수도 있다. 실시 예에서 단계 820의 동작은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 830에서 PGW(806)는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MME/WLAN(804)에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응답 메시지는 Create Session Response 또는 PBA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응답 메시지에는 결정된 사용자 단말(802)의 해당 PDN 연결에 대한 ICM 또는 NW-initiated IP flow mobility 지원 여부가 포함된다.
단계 835에서 MME 또는 WLAN(804)은 PDN 연결 생성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802)에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만약 엑세스 망이 WLAN이고, WLAN이 trusted WLAN인 경우, 상기 메시지는 WLCP 메시지일 수 있으며, 엑세스망이 E-UTRAN인 경우 상기 메시지는 NAS ESM 메시지일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PDN connectivity accept 메시지(WLCP인 경우) 또는 activate default bearer request (NAS ESM인 경우) 중 적어도 하나 일 수 있으며, 상기 메시지에는 사용자 단말(802)이 적용해야 할 ICM 또는 NW-initiated IP flow mobility 지원 여부가 포함된다.
단계 840에서 사용자 단말(802)은 수신된 메시지에 ICM이 포함된 경우 그에 따라 NB-IFOM 동작의 모드, 즉, UE-only, NW-only 및 NW and UE 중 하나의 모드를 설정하여, 이후 IFOM 동작에 적용할 수 있다. 또는 수신된 메시지에 NW-initiated IP flow mobility 지원 여부가 포함된 경우, 사용자 단말(802)은 그에 따라 NW-initiated IP flow mobility가 지원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9는 실시 예에 따라 IP flow mobility를 initiation할 수 있는 노드를 변경하기 위한 동작을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902), MME/WLAN(904) 및 PGW(906)은 각각 다른 엔티티 중 적어도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단계 910에서 사용자 단말(902)은 사업자 망에 등록된 상태이며, IP flow mobility를 initiation할 수 있는 노드가 결정된 상태이다. 실시 예에서 IP flow initiation을 할 수 있는 노드를 결정하는 방법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 또는 실시 예 이외의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915에서 사업자 망의 노드, 예를 들면 PGW(906)는 사용자 단말(902)에 대해 ICM을 변경하기로 결정한다. 이는 PGW(906)의 local configuration이나 망 상태, 또는 PCRF로부터 수신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ICM은 PDN 연결 별로 설정되는 정보일 수 있다.
단계 915에서 PGW(906)는 ICM을 갱신하기 위한 메시지를 MME 또는 WLAN(904)으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ICM을 갱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메시지는 Update Bearer Request 메시지일 수 있으며, 상기 메시지에는 사용자 단말(902)이 적용해야 하는 ICM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단계 925에서 MME 또는 WLAN(904)은, 사용자 단말(902)에게 변경된 ICM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변경된 ICM을 알리기 위해 사용되는 메시지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노드가 trusted WLAN인 경우 WLC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메시지, Update Connection Request일 수 있으며, 메시지에는 ICM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는 만약 E-UTRAN가 단말에 메시지를 전달할 경우 MME가 사용하는 메시지는 Modify EPS bearer context request일 수 있으며, 메시지에는 ICM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단계 930에서 사용자 단말(902)은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ICM에 따라 IP flow mobility에 대한 모드를 갱신할 수 있다. 갱신된 정보는 전체 PDN에 대해 적용되거나, 갱신된 정보는 사용자 단말(902)이 가진 PDN 연결 중 현재 대상이 되는 PDN 연결해 한해 적용될 수 있다.
단계 935에서 사용자 단말(902)는 응답 메시지를 MME/WLAN(904)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응답 메시지는 수신하는 노드에 따라 WLCP 또는 NAS 메시지 중 하나일 수 있다.
단계 940에서 MME/WLAN(904)는 단계 920에서 수신한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PGW(906)에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응답 메시지는 update bearer response메시지일 수 있다.
도 10은 다른 실시 예에 따라 IP flow mobility를 initiation할 수 있는 노드를 변경하기 위한 동작을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1002), WLAN(1004), PGW(1006) 또는 PCRF(1008)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 다른 엔티티 중 적어도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단계 1010에서 사용자 단말(1002)은 사업자 망에 등록된 상태이며, IP flow mobility를 initiation할 수 있는 노드가 결정된 상태이다. 실시 예에서 IP flow initiation을 할 수 있는 노드를 결정하는 방법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 또는 실시 예 이외의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015에서 사업자 망의 노드, 예를 들면 PCRF(1008)는 사용자 단말(1002)에 대해 ICM을 변경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사업자 망의 노드는 PCRF(1008)의 local configuration이나 망 상태, 또는 가입정보 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해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1002)에 대해 ICM을 변경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ICM은 PDN 연결 별로 설정되는 정보일 수 있다.
단계 1020에서 PCRF(1008)는 ICM을 갱신하기 위한 메시지를 WLAN(1020)으로 전송한다. 실시 예에서 ICM을 갱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메시지는 CCA(Credit-Control Answer), RAA(Re-Auth Answer), 또는 AIA(Authentication-Information Answer)와 같은 Diameter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메시지일 수 있으며, 상기 메시지에는 사용자 단말(1002)이 적용해야 하는 ICM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단계 1025에서 WLAN(1004)은, PGW(1006)에게 ICM을 변경해달라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메시지는 PBU 메시지일 수 있으며, 이 메시지에는 ICM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ICM과 관련된 정보는 단계 1020에서 수신한 정보 중 하나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단계 1030에서 PGW(1006)는 수신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1002)에 대한 ICM을 결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PGW(1006) PGW의 local configuration이나 망 상태, 또는 가입정보 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1002)에 대한 ICM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상기 ICM은 PDN 연결 별로 설정되는 정보일 수 있다.
단계 1035에서 PGW(1008)는 사용자 단말(1002)에 대한 결정된 ICM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WLAN(1004)으로 전송한다. 실시 예에서 결정된 ICM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는 PBA일 수 있으며, 이 메시지에는 사용자 단말(1002)에 대한 ICM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결정된 ICM은 이전에 단말에 적용되던 ICM과 동일한 ICM 또는 변경된 ICM일 수 있다.
단계 1040에서 WLAN(1004)은, 사용자 단말(1002)에게 ICM을 변경하라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1002)에 적용되는 ICM을 변경하기 위해 사용되는 메시지는 WLAN(1004)이 trusted WLAN인 경우 WLC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메시지, Update Connection Request일 수 있으며, 메시지에는 ICM이 포함될 수 있다
단계 1045에서 사용자 단말(1002)은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ICM에 따라 IP flow mobility에 대한 모드를 갱신할 수 있다. 갱신된 정보는 사용자 단말이 가진 PDN 연결 중 현재 대상이 되는 PDN 연결해 한해 적용될 수 있다.
단계 1050에서 사용자 단말(1002)은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WLAN(1004)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들에서, 사용자 단말과 NW사이에서 IP flow mobility를 수행하기 위한 routing rule을 수정하거나 생성하는 동작을 시작(trigger 또는 initiation)하는 주체를 결정하는 것을 PDN connection 별로 제어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과 NW가 IP flow mobility를 수행하는 rule을 수정하거나 생성하는 권한을 협의하고, 그에 따라 동작하는 것은 다른 제어 단위, 예를 들면 EPS bearer 또는 IP flow 별로 적용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IP flow mobility를 수행하기 위해 제어 되는 단위는 PDN connection, EPS bearer 또는 IP flow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EPS bearer 별로 상기 제어를 적용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과 NW 사이에서 제어 권한 협의는 EPS bearer를 생성하거나, 또는 생성된 EPS bearer의 context를 수정하는 과정 중에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EPS bearer의 생성 또는 context 를 수정하는 과정 이전 및 이후에도 EPS bearer 별로 IP flow mobility를 수행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과 NW 사이에서 교환되는 세션 관리 요청 메시지 및 응답 메시지에는 EPS bearer에 대해 IP flow mobility를 요청하거나 또는 rule을 생성/수정하는 것이 NW, 사용자 단말, 또는 양쪽에 허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실시 예에서 IP flow 별로 상기 제어를 적용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과 NW 사이에 IP flow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는 과정 중에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IP flow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는 과정의 전후에서 IP flow mobility를 수행하기 위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과 NW 사이에서 IP flow에 대한 정보, 즉 routing rule을 교환하기 위한 세션 관리 요청 메시지 및 응답 메시지에는 특정 IP flow (또는 IP flow의 집합)에 대해 IP flow mobility를 요청하거나 또는 rule을 생성/수정하는 것이 NW, 사용자 단말, 또는 양쪽에 허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허용 여부 정보는 routing rule의 한 요소로서 포함될 수도 있다. 즉, IP flow에 대한 제어 정보를 담은 routing rule을 구성하는 정보에는, routing rule에 대한 수정 또는 갱신을 시작(initiation)할 수 있는 권한이 사용자 단말에게도 부여되어있는지 또는 금지되어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만약 특정 routing rule에 대해 수정이 허용된 경우에 한해 routing rule을 수정/갱신하기 위한 요청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 예들을 설명할 때, 특정 IP flow에 대한 mobility를 initiation한다는 것은, 특정 IP flow에 대한 routing rule을 생성, 수정, 및 삭제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예들에 있어 특정 IP flow에 대한 mobility를 initiation 할 수 있는 허용 여부를 사용자 단말과 NW 사이에 서로 교환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상기 허용 여부는 우선 순위 개념으로 대체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과 NW 사이의 협의(상기 실시 예들에 설명된 procedure를 사용)된 정보는 사용자 단말과 NW 사이에서 IP flow mobility 또는 routing rule에 대한 우선순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만약 둘 사이에 교환된 routing rule의 전체 또는 일부가 서로 충돌하거나, 아니면 사용자 단말과 NW가 동시에 IP flow mobility 과정을 initiation 한 경우, 우선순위가 높은 쪽의 요청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NW 쪽에 사용자 단말보다 높은 우선순위가 부여되었고, NW와 사용자 단말이 initation 한 IP flow mobility 과정이 상충하며, routing rule을 생성 또는 수정해야 하는 경우, NW가 initiation 과정에 의한 routing rule을 우선적으로 적용하는 것이다. 상기의 우선순위 정보는 사용자 단말 또는 NW의 메시지 송수신에 따라 설정될 수 있으며, 특정 조건에 따라 우선순위를 변경하는 형태로 설정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우선 순위 정보는 IFOM과 관련된 정보를 교환하는 과정에서 설정될 수 있으며, IFOM을 제어하는 노드의 우선순위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실시 예들은, 단말과 NW가 IFOM 동작과 관련된 mode를 명시적(explicit)으로 협의(negotiation)하고, 협의된 결과에 따라 동작하는 것과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의 요지 중 하나는 사용자 단말과 NW 중에 IP flow mobility를 수행하거나 IP flow mobility를 트리거링(triggering)하는 노드가 어떤 노드가 될 것 인지와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협의하고, 그에 따라 결정된 노드가 IP flow mobility를 수행하거나 트리거링 하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요지는 단말과 NW가 IP flow mobility를 누가 수행할 것인지를 협의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explicit하게 교환되지 않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과 NW 중 하나의 노드에서 상대 노드로 요청 IP flow mobility와 관련된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상대 노드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에 따라 IP flow mobility를 개시(initiation)하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과 NW가 IP flow mobility를 initiation하는 것이 허용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한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에 IP flow mobility를 initiation와 관련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302)과 PGW(1304)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2)과 PGW(1304)는 미 도시된 기지국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PGW(1304)은 NW로 언급될 수 있으며, NW는 코어 네트워크를 이루는 다른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단계 1310에서 사용자 단말(1302)은 NW(1304)로 IP flow mobility를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송되는 메시지는 Session management request 메시지일 수 있다. 이 요청은, 사용자 단말(1302) 내부에 IP flow mobility를 결정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정보, 예를 들면 ANDSF policy나 사업자 policy, user preference가 특정 값으로 설정된 경우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302)이 NW(1304)로 전송하는 요청 메시지에는 요청의 대상이 되는 IP flow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 단말(1302)이 사용하는 policy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policy와 관련된 정보는 사용자 단말(1302)이 ANDSF policy를 가지고 있는지 여부와 ANDSF policy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315에서 NW(1304)는 상기 사용자 단말(1302)의 요청, 수신된 정보, local configuration 및 가입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단말(1302)로부터 수신된 IP flow mobility 요청을 수락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상기 요청에 대한 수락/거절 여부는 사용자 단말(1302)에게 SM(Session Management) 메시지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NW(1304)는 상기 요청을 거절한 경우, 단계 1320에서 NW(1304)는 사용자 단말(1302)에 거절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거절 메시지를 Session management reject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Session management reject 메시지는 타이머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325에서 사용자 단말(1302)은 만약 자신의 요청이 받아들여지지 않은 경우, 해당 IP flow에 대해서는 사용자 단말(1302)이 직접 IP flow mobility를 initiation하는 것이 아니라, NW(1304)가 IP flow mobility를 initiation해야 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NW(1304)가 사용자 단말(1302)의 요청을 거부하는 것은 사용자 단말(1302)과의 동작 모드 협의 결과가 NW_only mode임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302)은 요청에 대한 거부가 수신되면, NW_only mode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mode 협의 결과는 사용자 단말(1302)이 IP flow mobility를 요청할 때 대상이 되던 IP flow에 대해서만 적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mode 협의 결과는 IP flow가 포함되는 PDN connection에 모두 적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1302)과 NW(1304) 사이에 명시적인 정보 교환 없이 IP flow mobility에 대한 응답 결과를 기반으로 동작 모드에 대한 판단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13의 실시 예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를 통해 사용자 단말(1302)과 NW(1304) 사이에 동작 모드가 협의되고, 협의된 동작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중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작 중에 선택적으로 모드의 변경이 필요할 경우 거절 메시지 또는 승인 메시지를 상대 노드에 전달함으로써 동작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1320에 포함된 타이머 값을 기반으로 Session management reject 메시지에 따라 결정된 동작 모드가 유지되는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타이머 값을 포함하는 Session management reject 메시지 수신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1302)는 상기 타이머 값을 가지는 타이머를 구동하고, 타이머가 만료할 때까지 상기 Session management reject 메시지에 따른 동작 모드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에 IP flow mobility를 initiation와 관련된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른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402)과 PGW(1404)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402)과 PGW(1404)는 미 도시된 기지국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PGW(1404)은 NW로 언급될 수 있으며, NW는 코어 네트워크를 이루는 다른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실시 예에서 만약 NW(1404)가 IP flow mobility를 initiation한 경우, 사용자 단말(1402)도 NW의 IP flow mobility 요청을 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계 1410에서 NW(1404)는 사용자 단말(1402)로 IP flow mobility를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송되는 메시지는 Session management request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청 메시지에는 요청의 대상이 되는 IP flow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청 메시지는 사용자 단말(1402)의 가입 정보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단계 1415에서 사용자 단말(1402)는 상기 수신한 요청 메시지를 수락할지 거절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1402)이 NW의 요청을 거절하는 것은 사용자 단말(1402)이 감지한 무선 채널의 상태나 혼잡 상태, 사용자 단말(1402)이 사용 중인 ANDSF policy 및 user preference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해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1402)이 상기 요청을 거절하는 경우, 단계 1420에서 사용자 단말(1402)은 NW(1404)에 요청을 거절하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요청을 거절하기 위한 메시지는 Session management reject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Session management reject 메시지는 타이머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청을 거절하기 위한 메시지는 사용자 단말(1402)의 거절 사유(예를 들면, 채널 상태가 안 좋거나, ANDSF policy에 의해 수행 불가능 등)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 예에서 거절 메시지의 거절 사유(cause)는 NW(1404)까지 전달될 수 있다.
NW(1404)는 만약 자신의 요청이 받아들여지지 않은 경우, 단계 1425에서 해당 IP flow에 대해서 NW(1404)가 IP flow mobility를 initiation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 단말(1402)이 IP flow mobility를 initiation 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1402)이 NW(1404)의 요청을 거부하는 것은 NW(1404)와 사용자 단말(1402) 사이의 동작 모드 협의 결과가 UE_only mode임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NW(1404)는 요청에 대한 거부가 수신되면, UE_only mode로 동작해야 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mode 협의 결과는 NW가 IP flow mobility를 요청할 때 대상이 되던 IP flow에 대해서만 적용된다. 또는, IP flow가 포함되는 PDN connection에 모두 적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1402)과 NW(1404) 사이에 명시적인 정보 교환 없이 IP flow mobility에 대한 응답 결과를 기반으로 동작 모드에 대한 판단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14의 실시 예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를 통해 사용자 단말(1402)과 NW(1404) 사이에 동작 모드가 협의되고, 협의된 동작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중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작 중에 선택적으로 모드의 변경이 필요할 경우 거절 메시지 또는 승인 메시지를 상대 노드에 전달함으로써 동작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1420에 포함된 타이머 값을 기반으로 Session management reject 메시지에 따라 결정된 동작 모드가 유지되는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타이머 값을 포함하는 Session management reject 메시지 수신에 대응하여 NW(1402)는 상기 타이머 값을 가지는 타이머를 구동하고, 타이머가 만료할 때까지 상기 Session management reject 메시지에 따른 동작 모드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3 및 도 14의 두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과 NW의 초기 동작 모드는 NW and UE 모드일 수 있다. 만약 타이머 만료 등에 의해서 동작 모드가 초기화 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과 NW의 동작 모드는 NW and UE 모드로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NW 및 사용자 단말 측 모두에서 IP flow mobility를 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 실시 예에서 요청 거절 메시지에 타이머 값이 포함되는 경우, 상기 요청 거절 메시지를 수신한 엔터티는 상기 요청 거절 메시지에 따라 동작 모드가 결정되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의 실시 예 전반에서, IP flow mobility와 관련된 동작 모드가 설정된 후 동작 모드를 초기화 하는 것이나, 또는 재협의 과정을 수행하는 것은 타이머를 이용해 이루어질 수 있다. 만약, 사용자 단말의 IP flow mobility 요청이 거부되어 NW_only mode로 동작하게 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 메시지 수신시 timer를 시작하고, timer가 만료될 때까지 협의된 mode가 유효하다고 판단한다. 만약 timer가 만료되면, 협의된 mode는 초기화 되거나, 또는 재협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timer 값(value)는 요청을 거절하는 엔터티가 결정한 경우 거절 메시지에 포함되어 수신 엔터티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일한 타이머 값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두 엔터티 사이에 동일한 값을 가지는 타이머를 구동시킬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사용자 단말이 시작하는 IP flow mobility는 사용자 단말에 IP flow mobility를 수행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정책(policy), 규칙(rule), 또는 설정(configuration)이 있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NW가 시작하는 IP flow mobility는 NW가 IP flow mobility를 수행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정책, 예를 들면 확장된 PCC rule이 있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단말과 NW에 모두 IP flow mobility를 수행할 수 있는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본 명세서의 실시 예들을 통해 사용자 단말과 NW는 어떤 엔터티가 IP flow mobility에 대한 주체가 될 수 있는지를 협의할 수 있다. 이 때, 다음과 같은 우선순위가 사용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단말에는 IP flow mobility를 수행할 수 있는 정보(ANDSF policy, user preference, local operating environment 중 적어도 하나)가 존재하며, NW에 IP flow mobility를 수행할 수 있는 정보(예를 들면 IP flow mobility를 위한 PCC rule)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UE initiated IP flow mobility를 사용하는 것(즉, UE-only mode로 협의하거나, 또는 UE and NW mode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은 사업자 망으로 전송하는 세션 관리 메시지(PDN connectivity request 등)에 자신이 IP flow mobility를 수행할 수 있는 정보 또는 정책(예, ANDSF policy)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자신이 가진 정보의 종류((ANDSF policy, user preference, local operating environment 중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나, 만약 ANDSF policy가 존재하는 경우 HPLMN으로부터 수신한 것인지 또는 RPLMN으로부터 수신한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추가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별개로, 사용자 단말은 자신이 IP flow mobility를 수행할 수 있는 정보 또는 정책을 가진 경우에만 UE-only mode 사용을 요청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은 유요한 ANDSF policy를 가진 경우에 한해 NW로 UE-only mode 사용을 요청할 수 있도록 허용된다.
만약 NW에 IP flow mobility를 수행할 때 사용할 rule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NW는 사용자 단말의 요청(UE-only mode 사용)을 허용한다.
만약 사용자 단말이 IP flow mobility를 사용할 수 있는 정보 또는 정책을 가지고, 마찬가지로 NW에도 IP flow mobility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rule이 존재하면, NW는 사용자 단말이 가진 정보의 종류와 정보를 제공한 주체(HPLMN 또는 VPLMN), 그리고 사용자에 대한 가입 정보 및 NW의 local configuration을 모두 고려하여 어떤 모드로 동작할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만약 사용자 단말이 HPLMN으로부터 수신하거나(H-ANDSF), HPLMN에 의해 설정된 정책을 가진 경우를 가정하면, 만약, 사용자 단말이 로밍 중이고(VPLMN에 접속), NW에 IP flow mobility를 수행할 수 있는 rule이 있으며, 현재 대상이 되는 PDN connection이 local breakout(LBO)로 생성되는 경우, VPLMN의 NW는 HPLMN과의 로밍 계약, local configuration을 모두 고려해 단말의 정보(즉, UE-initiated NBIFOM 사용)을 사용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이 때 앞서 설명한 사용자 단말이 세션 관리 메시지를 통해 제공한 IP flow mobility 관련 정보(ANDSF policy 및 제공한 사업자 종류)를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상황에서는 HPLMN이 단말에 제공한 정보가 NW의 rule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사용자 단말이 HPLMN으로부터 수신하거나(H-ANDSF), HPLMN에 의해 설정된 정책을 가진 경우를 가정하면, 만약, 사용자 단말이 로밍 중이고(VPLMN에 접속), NW에 IP flow mobility를 수행할 수 있는 rule이 있으며, 현재 대상이 되는 PDN connection이 Home Routed(HR)로 생성되는 경우, HPLMN의 NW는 VPLMN과의 로밍 계약, local configuration을 모두 고려해 단말의 정보(즉, UE-initiated NBIFOM 사용)을 사용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이 때 앞서 설명한 사용자 단말이 세션 관리 메시지를 통해 제공한 IP flow mobility 관련 정보(ANDSF policy 및 제공한 사업자 종류)를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이 상황에서는 HPLMN의 NW가 가지고 있는 rule이 단말에 제공한 정보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다.
만약 사용자 단말이 VPLMN으로부터 수신하거나(V-ANDSF), VPLMN에 의해 설정된 정책을 가진 경우를 가정하자. 만약, 사용자 단말이 로밍 중이고(VPLMN에 접속), NW에 IP flow mobility를 수행할 수 있는 rule이 있으며, 현재 대상이 되는 PDN connection이 Home Routed(HR)로 생성되는 경우, HPLMN의 NW는 VPLMN과의 로밍 계약, local configuration을 모두 고려해 단말의 정보(즉, UE-initiated NBIFOM 사용)을 사용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이 때 앞서 설명한 사용자 단말이 세션 관리 메시지를 통해 제공한 IP flow mobility 관련 정보(ANDSF policy 및 제공한 사업자 종류)를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이 상황에서는 HPLMN의 NW가 가지고 있는 rule이 단말에 제공한 정보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만약 사용자 단말이 VPLMN으로부터 수신하거나(V-ANDSF), VPLMN에 의해 설정된 정책을 가진 경우를 가정하면, 만약, 사용자 단말이 로밍 중이고(VPLMN에 접속), NW에 IP flow mobility를 수행할 수 있는 rule이 있으며, 현재 대상이 되는 PDN connection이 Local Breakout(LBO)로 생성되는 경우, VPLMN의 NW는 HPLMN과의 로밍 계약, local configuration을 모두 고려해 단말의 정보(즉, UE-initiated NBIFOM 사용)을 사용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앞서 설명한 사용자 단말이 세션 관리 메시지를 통해 제공한 IP flow mobility 관련 정보(ANDSF policy 및 제공한 사업자 종류)를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 상황에서는 VPLMN의 NW가 가지고 있는 rule이 단말에 제공한 정보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과 NW가 모두 IP flow mobility를 수행할 때 사용할 정보를 가진 경우 어떤 것을 우선적으로 쓸지를 결정하는 것은, 사용자 단말이 가진 정보(예를 들면 ISRP, ISMP와 같은 ANDSF policy)에 높은 우선순위를 두고 결정할 수 있다. 이는, ANDSF policy 및 사용자 단말에 설정되는 정보가 구체적일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 단말이 직접 측정할 수 있는 상태정보, 예를 들면 혼잡 상태나 채널(radio) 상태를 고려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만약 사용자 단말이 UE-only mode사용을 요청하는 경우, NW는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IP flow mobility mode를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은 UE-only mode 요청의 사유가 사용자 단말에 IP flow mobility를 수행할 수 있는 정보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세션 관리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만약 NW가 NW-only mode 사용을 단말에게 요청한 경우, 사용자 단말도 NW의 요청과 사용자 단말이 가진 정보, 즉 ANDSF policy, user preference, local configuration을 고려하여 요청을 들어줄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NW의 NW-only mode 사용을 거절할 수 있으며, 거절의 사유를 나타내는 사유 정보를 세션 관리 거부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사용자 단말이 유요한 ANDSF policy를 가진 경우, 사용자 단말은 NW의 NW-only mode 사용을 거절할 수 있으며, 이 때 ANDSF policy로 인해 거절이 거부되었음을 나타내는 사유 정보를 세션 관리 거부 메시지에 포함시킨다. 이와 유사하게, user preference에 의해 NW-only mode 사용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 단말은 NW only mode 사용을 거부하면서 사유를 알릴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은, 혼잡 상태나 채널(radio 상태 또는 coverage loss)상태에 의해 NW의 요청을 거부할 수 있다. NW의 요청은 NW-only mode 사용의 요청 또는 NW-only mode로 협의 후 IP flow mobility 명령이다. 만약 사용자 단말이 NW의 요청을 거부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 거절의 사유(대상 access 망의 혼잡 상태가 일정 수준 이상이거나, 채널 상태가 일정 수준 이하이거나, 또는 coverage loss가 발생한 경우)를 포함한 세션 관리 거절 메시지를 NW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실시 예의 단말(1100)은 송수신부(1102), 저장부(1104) 또는 단말 제어부(1106)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1102)는 다른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다른 엔티티는 기지국 또는 무선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다른 엔티티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 노드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104)는 단말(1100)이 동작과 관련된 정보, 송수신부(1102)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1106)는 송수신부(1102) 및 저장부(1104)를 제어하고, 실시 예에 개시된 단말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는 기지국, WLAN, MME, SGW, PGW 또는 PCRF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실시 예의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1200)는 송수신부(1202), 저장부(1204) 또는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 제어부(1206)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1202)는 다른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다른 엔티티는 단말, 기지국, WLAN, MME, SGW, PGW 또는 PCRF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204)는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120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 송수신부(1202)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 제어부(1206)는 송수신부(1202) 및 저장부(1204)를 제어하고, 실시 예에 개시된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모든 단계는 선택적으로 수행의 대상이 되거나 생략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예에서 단계들은 반드시 순서대로 일어날 필요는 없으며, 뒤바뀔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명세서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명세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32)

  1.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acket data network gateway, PGW)로, 상기 단말이 특정 IP(internet protocol) flow에 대한 이동성 제어와 관련된 정책을 갖고 있음을 지시하는 제1 정보, 및 상기 정책이 HPLMN(home public land mobile network), VPLMN(visited PLMN) 또는 RPLMN(registered PLMN) 중 어느 것으로부터 수신되었는지를 지시하는 제2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PGW로, 상기 특정 IP flow에 대한 상기 이동성 제어를 요청하는 제1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PGW로부터, 상기 특정 IP flow에 대한 상기 이동성 제어를 승인할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3 정보를 포함한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3 정보가 상기 특정 IP flow에 대한 상기 이동성 제어의 승인을 지시하면, 상기 특정 IP flow에 대한 상기 이동성 제어를 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정보가 상기 특정 IP flow에 대한 상기 이동성 제어의 거절을 지시하면, 상기 특정 IP flow에 대한 상기 이동성 제어가 상기 PGW에 의하여 개시될 것임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3 정보가 상기 특정 IP flow에 대한 상기 이동성 제어의 거절을 지시하면, 타이머에 대한 값을 더 포함하고,
    상기 특정 IP flow에 대한 상기 이동성 제어가 상기 PGW에 의하여 개시될 것임을 확인하는 것은, 상기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제어는, 상기 제3 정보에 기반하여, PDN(packet data network) 연결별, IP flow별 또는 베어러별로 요청 및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특정 IP flow에 대한 상기 이동성 제어에 관한 노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
  5. 삭제
  6. 이동통신 시스템의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acket data network gateway, PGW)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이 특정 IP(internet protocol) flow에 대한 이동성 제어와 관련된 정책을 갖고 있음을 지시하는 제1 정보, 및 상기 정책이 HPLMN(home public land mobile network), VPLMN(visited PLMN) 또는 RPLMN(registered PLMN) 중 어느 것으로부터 수신되었는지를 지시하는 제2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IP flow에 대한 상기 이동성 제어를 요청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로, 상기 특정 IP flow에 대한 상기 이동성 제어의 승인 여부를 지시하는 제3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며,
    상기 특정 IP flow에 대한 상기 이동성 제어는, 상기 제3 정보가 상기 특정 IP flow에 대한 상기 이동성 제어의 승인을 지시하면, 상기 단말에 의하여 개시되고,
    상기 특정 IP flow에 대한 상기 이동성 제어는, 상기 제3 정보가 상기 특정 IP flow에 대한 상기 이동성 제어의 거절을 지시하면, 상기 PGW에 의하여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3 정보가 상기 특정 IP flow에 대한 상기 이동성 제어의 승인을 지시하면 타이머에 대한 값을 더 포함하며,
    상기 특정 IP flow에 대한 상기 이동성 제어가 상기 PGW에 의하여 개시되는 것으로 상기 단말에 의하여 확인되는 동작은, 상기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제어는, 상기 제3 정보에 기반하여, PDN(packet data network) 연결별, IP flow별 또는 베어러별로 요청 및 개시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특정 IP flow에 대한 상기 이동성 제어에 관한 노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수신 방법.
  10. 삭제
  11.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말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acket data network gateway, PGW)로, 상기 단말이 특정 IP(internet protocol) flow에 대한 이동성 제어와 관련된 정책을 갖고 있음을 지시하는 제1 정보, 및 상기 정책이 HPLMN(home public land mobile network), VPLMN(visited PLMN) 또는 RPLMN(registered PLMN) 중 어느 것으로부터 수신되었는지를 지시하는 제2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PGW로, 상기 특정 IP flow에 대한 상기 이동성 제어를 요청하는 제1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PGW로부터, 상기 특정 IP flow에 대한 상기 이동성 제어를 승인할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3 정보를 포함한 제2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3 정보가 상기 특정 IP flow에 대한 상기 이동성 제어의 승인을 지시하면, 상기 특정 IP flow에 대한 상기 이동성 제어를 개시하며, 상기 제3 정보가 상기 특정 IP flow에 대한 상기 이동성 제어의 거절을 지시하면, 상기 특정 IP flow에 대한 상기 이동성 제어가 상기 PGW에 의하여 개시될 것임을 확인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3 정보가 상기 특정 IP flow에 대한 상기 이동성 제어의 거절을 지시하면, 타이머에 대한 값을 더 포함하고,
    상기 특정 IP flow에 대한 상기 이동성 제어가 상기 PGW에 의하여 개시될 것임을 확인하는 것은, 상기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제어는, 상기 제3 정보에 기반하여, PDN(packet data network) 연결별, IP flow별 또는 베어러별로 요청 및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특정 IP flow에 대한 상기 이동성 제어에 관한 노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삭제
  16.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acket data network gateway, PGW)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이 특정 IP(internet protocol) flow에 대한 이동성 제어와 관련된 정책을 갖고 있음을 지시하는 제1 정보, 및 상기 정책이 HPLMN(home public land mobile network), VPLMN(visited PLMN) 또는 RPLMN(registered PLMN) 중 어느 것으로부터 수신되었는지를 지시하는 제2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IP flow에 대한 상기 이동성 제어를 요청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단말로, 상기 특정 IP flow에 대한 상기 이동성 제어의 승인 여부를 지시하는 제3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며,
    상기 특정 IP flow에 대한 상기 이동성 제어는, 상기 제3 정보가 상기 특정 IP flow에 대한 상기 이동성 제어의 승인을 지시하면, 상기 단말에 의하여 개시되고,
    상기 특정 IP flow에 대한 상기 이동성 제어는, 상기 제3 정보가 상기 특정 IP flow에 대한 상기 이동성 제어의 거절을 지시하면, 상기 PGW에 의하여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GW.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3 정보가 상기 특정 IP flow에 대한 상기 이동성 제어의 승인을 지시하면 타이머에 대한 값을 더 포함하며,
    상기 특정 IP flow에 대한 상기 이동성 제어가 상기 PGW에 의하여 개시되는 것으로 상기 단말에 의하여 확인되는 동작은, 상기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GW.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제어는, 상기 제3 정보에 기반하여, PDN(packet data network) 연결별, IP flow별 또는 베어러별로 요청 및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GW.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특정 IP flow에 대한 상기 이동성 제어에 관한 노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GW.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KR1020140152418A 2014-06-30 2014-11-04 트래픽 오프로딩 결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303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323,392 US10568001B2 (en) 2014-06-30 2015-06-30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ffic offload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PCT/KR2015/006737 WO2016003176A1 (ko) 2014-06-30 2015-06-30 트래픽 오프로딩 결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974 2014-06-30
KR20140080974 2014-06-30
KR1020140134538 2014-10-06
KR1020140134538A KR20160002298A (ko) 2014-06-30 2014-10-06 트래픽 오프로딩 결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304A KR20160002304A (ko) 2016-01-07
KR102303340B1 true KR102303340B1 (ko) 2021-09-23

Family

ID=5516897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4538A KR20160002298A (ko) 2014-06-30 2014-10-06 트래픽 오프로딩 결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0140152418A KR102303340B1 (ko) 2014-06-30 2014-11-04 트래픽 오프로딩 결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4538A KR20160002298A (ko) 2014-06-30 2014-10-06 트래픽 오프로딩 결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568001B2 (ko)
KR (2) KR2016000229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30716B2 (en) * 2014-06-30 2018-03-27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to support network-based IP flow mobility via multiple wireless accesses for a wireless device
US10149307B2 (en) * 2014-08-01 2018-1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eedback between base transceiver stations through cooperativ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70134362A (ko) 2015-04-01 2017-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선택 및 트래픽 라우팅을 수행하는 방법 및 사용자 장치
CN106789117A (zh) * 2015-11-19 2017-05-3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Pcc规则的处理方法及装置
CN115460686A (zh) 2017-02-06 2022-12-09 三星电子株式会社 基站、接入和移动性管理功能实体及其方法
US10292197B1 (en) * 2017-03-24 2019-05-14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Evolved packet data gateway priority services
WO2019201241A1 (en) * 2018-04-17 2019-10-24 Mediatek Singapore Pte. Ltd. Apparatuses and methods for handling access type restriction information
US11064388B2 (en) 2018-05-21 2021-07-1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raffic distribution method through multi-access network in a network and network entity performing the same
WO2023150931A1 (en) * 2022-02-09 2023-08-17 Apple Inc. Technologies for non-seamless wireless local area access offloa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16775A (zh) * 2012-09-29 2014-04-09 华为终端有限公司 数据流控制方法及相关设备和通信系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114B1 (ko) 2001-11-01 2004-09-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기지국 데이터 제어 방법
AU2002354333A1 (en) 2001-11-29 2003-06-10 Sk Telecom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data of base station
US8498208B2 (en) 2009-07-20 2013-07-30 Qualcomm Incorporated Turning on flows in network initiated QoS
US9295089B2 (en) * 2010-09-07 2016-03-22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Bandwidth management, aggregation and internet protocol flow mobility across multiple-access technologies
WO2012090401A1 (en) * 2010-12-28 2012-07-05 Panasonic Corporation Method for ip-based flow mobility and associated apparatus thereof
EP2509254A1 (en) 2011-04-06 2012-10-1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ervice traffic in a communication network
KR101942279B1 (ko) 2012-10-25 2019-04-1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통신 서비스 이용 제한 제어 방법, 이를 지원하는 장치 및 시스템
JP6466411B2 (ja) * 2013-05-13 2019-02-06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過負荷制御方法および装置
US9801227B2 (en) * 2014-05-28 2017-10-24 Cisco Technolog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bearer call-back servic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16775A (zh) * 2012-09-29 2014-04-09 华为终端有限公司 数据流控制方法及相关设备和通信系统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TSI TS 123 261,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LTE, IP flow mobility and seamless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offload, Stage 2, (2011.05.31.)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304A (ko) 2016-01-07
KR20160002298A (ko) 2016-01-07
US20170134986A1 (en) 2017-05-11
US10568001B2 (en) 2020-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3340B1 (ko) 트래픽 오프로딩 결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255958B1 (ko) 무선 랜과 셀룰러 망 접속에서 데이터 트래픽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11109280B2 (en) Method for PDU session establishment procedure and AMF node
US11438949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support network-based IP flow mobility via multiple wireless accesses for a wireless device
US10869186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NBIFOM capabil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105368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quality of service that a user experiences when media is transmitted through WLAN
KR102207484B1 (ko) 무선 랜에서 다중 연결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EP3477993B1 (en) Method for processing pdu session establishment procedure and amf node
US8787318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 access network re-selection
KR102179105B1 (ko) 무선 랜에서 제어 혼잡을 방지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60119347A1 (en) Method for Updating Identity Information about Packet Gateway, AAA Server and Packet Gateway
EP314676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quality of service that a user experiences when media is transmitted through wlan
KR10227948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60219464A1 (en) Methods, network nodes and user equipments for improving handover in a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a 3gpp access network and a non-3gpp access network
WO2016011832A1 (zh) 一种关于流迁移触发的相关实现方法、设备及存储介质
US20170201453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ip flow routing rule
US20160277980A1 (en) Handing Over a Data Bearer Between Access Networks
WO2010099741A1 (zh) 一种网络选择方法、装置及终端
WO2016155025A1 (zh) 一种近距离业务通信方法、相关设备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