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6701A - 휴대 단말기, nfc 안테나용 휴대 단말기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nfc 안테나용 휴대 단말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6701A
KR20150106701A KR1020140029096A KR20140029096A KR20150106701A KR 20150106701 A KR20150106701 A KR 20150106701A KR 1020140029096 A KR1020140029096 A KR 1020140029096A KR 20140029096 A KR20140029096 A KR 20140029096A KR 20150106701 A KR20150106701 A KR 20150106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case
slit
connection terminal
portable terminal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9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6666B1 (ko
Inventor
전찬익
문병인
김양훈
조태준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140029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6666B1/ko
Priority to CN201480056485.4A priority patent/CN105684216A/zh
Priority to PCT/KR2014/012560 priority patent/WO2015137609A1/ko
Publication of KR20150106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6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6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6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01Q7/04Screened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 단말기가 제공된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 본체, 권회 중심부를 개구부로 하고 루프 형상의 코일부를 포함하는 NFC용 루프 안테나부, 및 상기 루프 안테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개구부와 대향 배치되는 슬릿부를 포함하고, 도전 물질로 형성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 본체 하부에 결합되는 금속 케이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NFC 안테나용 휴대 단말기 케이스{portable terminal, case of portable terminal for NFC antenna}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안테나용 휴대 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NFC는 전자태그의 하나로 대략 13.56㎒ 정도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방식으로 가까운 거리에서 단말기 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을 말한다. NFC는 결제뿐만 아니라 슈퍼마켓이나 일반 상점에서 물품 정보나 방문객을 위한 여행 정보 전송, 교통출입통제 잠금장치 등에 광범위하게 활용된다.
최근에는 태블릿,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기의 시장이 급속이 확대되고 있다. 휴대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즉, NFC)을 이용하여 단말 간의 정보 교환, 결제, 티켓 예매, 검색 등의 기능을 포함하는 추세에 있다. 그에 따라, 근거리 통신 방식에 사용되는 NFC 안테나 모듈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NFC용 안테나에 대한 기술은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3-0107010호(공개일 2013년 10월 01일)의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2-0103300호(공개일 2012년 9월 19일)의 'NFC 안테나 모듈' 등이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의 심미적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휴대 단말기 케이스를 플라스틱이 아닌 금속으로 만들고 있다. 특히, 휴대 단말기 뒷부분을 덮는 케이스를 금속으로 만들면, 휴대 단말기를 실수로 떨어뜨리더라도 케이스에 발생할 수 있는 기스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NFC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경우, 휴대 단말기 케이스를 금속으로 만들면 금속 케이스가 신호 전달을 방해하여 NFC 안테나의 기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휴대 단말기 케이스가 NFC 안테나의 역할을 하도록 하여 케이스를 금속으로 형성하더라도 문제없이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NFC 안테나용 휴대 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NFC 송수신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NFC 안테나용 휴대 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일 면(aspect)은, 휴대 단말기 본체, 권회 중심부를 개구부로 하고 루프 형상의 코일부를 포함하는 NFC용 루프 안테나부, 및 상기 루프 안테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개구부와 대향 배치되는 슬릿부를 포함하고, 도전 물질로 형성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 본체 하부에 결합되는 금속 케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코일부는 제1 연결 단자와 제2 연결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단자는 상기 금속 케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 단자는 상기 휴대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루프 안테나부와 상기 금속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절연막은 상기 제1 연결 단자를 노출할 수 있다.
상기 슬릿부는, 제1 폭을 갖는 제1 슬릿부와 상기 제1 폭보다 좁은 제2 폭을 갖는 제2 슬릿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릿부는 상기 권회 중심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슬릿부는 상기 제1 슬릿부와 상기 금속 케이스의 일 측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 단자는 상기 제2 슬릿부의 적어도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NFC 안테나용 휴대 단말기 금속 케이스의 일 면은, 권회 중심부를 개구부로 하고 루프 형상의 코일부를 포함하는 루프 안테나부, 및 상기 루프 안테나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루프 안테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금속 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금속 케이스는, 상기 개구부와 대향 배치되며 제1 폭을 갖는 제1 슬릿부와, 상기 제1 폭보다 좁은 제2 폭을 갖는 제2 슬릿부와, 상기 제1 폭보다 큰 제3 폭을 갖는 제3 슬릿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슬릿부는 상기 제1 및 제3 슬릿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슬릿부와 상기 제3 슬릿부를 서로 연결한다.
상기 금속 케이스는 제1 금속 케이스와 제2 금속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슬릿부에 의해 상기 제1 금속 케이스와 제2 금속 케이스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코일부는 제1 연결 단자와 제2 연결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단자는 상기 제1 금속 케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 단자는 상기 휴대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 단자는 상기 제2 슬릿부의 적어도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루프 안테나부와 상기 금속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절연막은 상기 제2 연결단자를 노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루프 안테나부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금속 케이스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금속 케이스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금속 케이스의 일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금속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하나의 소자(elements)가 다른 소자와 "접속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소자가 다른 소자와 "직접 접속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안테나용 휴대 단말기 케이스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루프 안테나부(100)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금속 케이스(200)에 대한 평면도이다.
휴대 단말기(1)는 본체(10), 루프 안테나부(100), 및 금속 케이스(200)를 포함한다.
도 1에서는 본체(10)가 스마트 폰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본체(10)는 태블릿, 노트북 등 휴대 가능한 단말기이면 모두 가능하다. 본체(10)는 근거리 통신(즉, NFC)을 하기 위한 NFC 모듈(미도시)을 포함한다.
루프 안테나부(100)는 근거리 통신을 하기 위한 안테나이다. 루프 안테나부(100)는 연성기판(101), 코일부(110) 등을 포함한다.
연성기판(101)은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코일부(110)는 연성기판(101)에 형성될 수 있다. 코일부(110)는 권회 중심부(O)를 중심으로 소용돌이 형상 또는 루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코일부(110)의 권회수(턴수)는 필요한 인덕턴스에 의해서 정해지며, 코일부(110)는 도 2와 달리 2번 이하, 또는 4번 이상의 권회수를 가질 수 있다. 코일부(110)는 하나의 평면상에 형성된 단층 코일일 수도 있고, 복수층에 형성된 적층 코일일 수도 있다.
코일부(110)는 제1 연결 단자(120)와 제2 연결 단자(130)를 포함한다. 코일부(110)의 일 단은 제1 연결 단자(120)와 연결되고, 코일부(110)의 타 단은 제2 연결 단자(130)와 연결된다. 코일부(110)는 제1 연결 단자(120)를 통해서 본체(10) 내에 설치된 NFC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2 연결 단자(130)를 통해 금속 케이스(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성기판(101)은 개구부(140)를 포함한다. 개구부(140)는 권회 중심부(O)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개구부(140)는 코일부(1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코일부(110), 제1 연결 단자(120), 제2 연결 단자(130)는 도전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금속 케이스(200)는 본체(10)의 하부와 루프 안테나부(100)를 덮을 수 있다. 금속 케이스(200)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합금, 구리 합금 등의 도전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금속 케이스(200)는 제1 연결 단자(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NFC 안테나 역할을 할 수 있다. 금속 케이스(200)는 본체(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금속 케이스(200)는 제1 슬릿부(210)와 제2 슬릿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릿부(210)는 제1 폭(W1)을 가지고, 제2 슬릿부(220)는 제2 폭(W2)을 가진다. 제2 폭(W2)은 제1 폭(W1)보다 작다. 제2 슬릿부(220)는 제1 슬릿부(210)와 금속 케이스(200)의 일 측(240) 사이에 배치되며 제1 슬릿부(210)와 금속 케이스(200)의 일 측(240)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제1 슬릿부(210)는 루프 안테나부(100)의 개구부(140)와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제1 슬릿부(210)는 권회 중심부(O) 상에 배치되고 코일부(110)의 내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슬릿부(210)를 통해서 코일부(110)는 노출되지 않는다. 다만, 제1 슬릿부(210)는 개구부(140)보다 클 수도 작을 수도 있다.
제1 슬릿부(210)와 개구부(140)를 통해서 본체(10)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노출되는 부분에 본체(10)에 설치된 카메라 렌즈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 단자(120)는 제2 슬릿부(220)의 적어도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제1 연결 단자(120) 사이에 제2 슬릿부(220)가 배치될 수 있다. 금속 케이스(200)는 제2 슬릿부(220)의 적어도 일 측에서 제1 연결 단자(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금속 케이스(200)는 제1 및 제2 슬릿부(210, 220)를 포함하므로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루프 안테나부(100)는 본체(10)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루프 안테나부(100)는 본체(10) 하면에 붙어 있거나 본체(10)의 배터리(미도시)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금속 케이스(200)를 본체(10)와 결합할 때 금속 케이스(200)와 제1 연결 단자(1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루프 안테나부(100)가 금속 케이스(200)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1 연결 단자(120)와 금속 케이스(200)는 항상 접하기 때문에, 금속 케이스(200)와 루프 안테나부(100)는 항상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된다. 대신에, 금속 케이스(200)가 본체(10)와 결합할 때 제2 연결 단자(130)가 본체(10)의 NFC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루프 안테나부(100)와 금속 케이스(200) 사이에 추가적으로, 절연막(300)이 배치될 수 있다. 절연막(300)은 루프 안테나부(100)와 금속 케이스(200)가 제1 연결 단자(120) 외의 부분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절연막(300)은 루프 안테나부(100)의 코일부(110)를 덮을 수 있다. 다만, 루프 안테나부(100)와 금속 케이스(200)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하여, 절연막(300)은 루프 안테나부(100)의 제1 연결 단자(120)는 덮지 않고 노출시킨다. 절연막(300)은 개구부(140)와 대향 배치되는 절연막 슬릿부(310)와, 제1 연결 단자(120)를 노출시키는 연결 단자 슬릿부(320)을 포함한다.
한편,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체(10)와 루프 안테나부(100) 사이에 페라이트 시트를 추가할 수 있다. 페라이트 시트를 추가하면, NFC 안테나의 송수신율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C 안테나용 휴대 단말기 케이스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1의 금속 케이스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본 발명의 효과를 검토해보기 위하여, 도 4에서는 본 발명과 같이 루프 안테나부(100)와 금속 케이스(200)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휴대 단말기((1))와, 루프 안테나부(100)와 금속 케이스(200)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휴대 단말기((2))를 준비하고, NFC 리더기가 각각의 휴대 단말기와 어느 정도 거리에서 NFC 송수신이 가능한지 측정하였다. NFC 리더기로는 NFC 리더기를 생산하는 Desfire사, Topaz사, ULC사의 리더기를 사용하였다. 측정 결과는 도 4와 같다.
측정 결과, 본 발명의 NFC 안테나용 휴대 단말기 케이스를 사용한 휴대 단말기((1))에서 송수신 가능 거리가 크게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금속 케이스(200)를 NFC 안테나의 일부로 사용하면 송수신율이 향상된다.
한편, NFC 안테나의 송수신율을 향상하기 위하여 기존에는 페라이트 시트(미도시)를 배치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금속 케이스(200)를 NFC 안테나의 일부로 사용하기 때문에 송수신율이 향상되어 기존과 달리 페라이트 시트를 본체(10)와 루프 안테나부(100) 사이에 배치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2)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은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2)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금속 케이스(201)의 일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금속 케이스(201)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5의 휴대 단말기(2)를 참조하면, 본체(10), 루프 안테나부(100), 절연막(300)은 도 1의 휴대 단말기(1)와 동일하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금속 케이스(201)는 제1 슬릿부(211), 제2 슬릿부(221) 제3 슬릿부(231)를 포함한다. 제1 슬릿부(211)는 제1 폭(W1)을, 제2 슬릿부(221)는 제2 폭(W2)을, 제3 슬릿부(231)는 제3 폭(W3)을 가질 수 있다. 제2 폭(W2)은 제1 폭(W2)보다 좁고, 제3 폭(W3)은 제1 폭(W3)보다 크다.
제2 슬릿부(221)는 제1 슬릿부(211)와 제3 슬릿부(231) 사이에서 제1 슬릿부(211)와 제3 슬릿부(231)를 연결한다.
제1 슬릿부(221)는 루프 안테나부(100)의 개구부(140) 및 절연막(300)의 절연막 슬릿부(310)와 대향 배치되고, 루프 안테나부(100)의 코일부(110)를 노출하지 않는다. 제2 슬릿부(231)는 루프 안테나부(100)의 제1 연결 단자(120)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연결 단자(120)는 제2 슬릿부(231)의 적어도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금속 케이스(201)는 제1 금속 케이스(250)와 제2 금속 케이스(260)를 포함한다. 제1 금속 케이스(250)는 제3 슬릿부(231)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 금속 케이스(250)는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금속 케이스(250)의 돌출된 부분(241, 242)은 제2 금속 케이스(260)와 접할 수 있다.
제2 금속 케이스(260)는 제1 및 제2 슬릿부(211, 221)를 포함한다. 제2 슬릿부(221)는 제2 금속 케이스(260)의 일 측(261)과 접할 수 있다. 제2 금속 케이스(260)의 일 측(261)은 제1 금속 케이스(250)의 돌출된 부분(241, 242)과 접할 수 있다.
루프 안테나부(100)의 제1 연결 단자(120)는 제2 금속 케이스(2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금속 케이스(250)와 제2 금속 케이스(260)는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금속 케이스(250)는 휴대 단말기 본체(10)의 하면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고, 제2 금속 케이스(260)만 휴대 단말기 본체(10)와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제2 금속 케이스(260)가 휴대 단말기 본체(10)와 결합하면, 제1 금속 케이스(250)의 돌출된 부분(241, 242)이 제2 금속 케이스(260)의 일 측(261)과 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절연막(300)은 루프 안테나부(100)와 금속 케이스(201)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개구구(140)와 제1 슬릿부(211)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막 슬릿부(310)와 제1 연결 단자(120)를 노출시키는 연결 단자 슬릿부(320)를 포함한다.
도 7에 금속 케이스(202)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도 7의 금속 케이스(202)는 도 6의 금속 케이스(201)와 같이 제1 내지 제3 슬릿부(211, 221, 232)를 포함한다. 그런데, 도 7의 금속 케이스(202)에서는, 제3 슬릿부(232)의 제3 폭(W3)이 금속 케이스(202)의 폭과 동일하여 금속 케이스(202)를 제1 금속 케이스(251)와 제2 금속 케이스(260)로 분리할 수 있다. 제1 금속 케이스(251)와 제2 금속 케이스(260)는 서로 이격된다. 따라서, 제2 금속 케이스(260)의 일 측(261)은 제1 금속 케이스(251)와 접하지 않는다. 제1 금속 케이스(251)는 도 5와 달리 돌출된 부분이 없으며, 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2: 휴대 단말기 10: 휴대 단말기 본체
100: 루프 안테나부 120: 제1 연결 단자
130: 제2 연결 단자 140: 개구부
200, 201: 금속 케이스 210, 211: 제1 슬릿부
220, 221: 제2 슬릿부 231, 232: 제3 슬릿부
241, 242: 돌출된 부분 250, 251: 제1 금속 케이스
260: 제2 금속 케이스 300: 절연막
310: 절연막 슬릿부 320: 연결 단자 슬릿부

Claims (10)

  1. 휴대 단말기 본체;
    권회 중심부를 개구부로 하고 루프 형상의 코일부를 포함하는 NFC용 루프 안테나부;및
    상기 루프 안테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개구부와 대향 배치되는 슬릿부를 포함하고, 도전 물질로 형성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 본체 하부에 결합되는 금속 케이스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는 제1 연결 단자와 제2 연결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단자는 상기 금속 케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 단자는 상기 휴대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휴대 단말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안테나부와 상기 금속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절연막은 상기 제1 연결 단자를 노출하는 휴대 단말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부는,
    제1 폭을 갖는 제1 슬릿부와 상기 제1 폭보다 좁은 제2 폭을 갖는 제2 슬릿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릿부는 상기 권회 중심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슬릿부는 상기 제1 슬릿부와 상기 금속 케이스의 일 측 사이에 배치되는 휴대 단말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단자는 상기 제2 슬릿부의 적어도 일 측에 배치되는 휴대 단말기.
  6. 권회 중심부를 개구부로 하고 루프 형상의 코일부를 포함하는 루프 안테나부;및
    상기 루프 안테나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루프 안테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금속 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금속 케이스는,
    상기 개구부와 대향 배치되며 제1 폭을 갖는 제1 슬릿부와,
    상기 제1 폭보다 좁은 제2 폭을 갖는 제2 슬릿부와,
    상기 제1 폭보다 큰 제3 폭을 갖는 제3 슬릿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슬릿부는 상기 제1 및 제3 슬릿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슬릿부와 상기 제3 슬릿부를 서로 연결하는 NFC 안테나용 휴대 단말기 케이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케이스는 제1 금속 케이스와 제2 금속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슬릿부에 의해 상기 제1 금속 케이스와 제2 금속 케이스는 서로 이격되는 NFC 안테나용 휴대 단말기 케이스.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는 제1 연결 단자와 제2 연결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단자는 상기 제1 금속 케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 단자는 상기 휴대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NFC 안테나용 휴대 단말기 케이스.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단자는 상기 제2 슬릿부의 적어도 일 측에 배치되는 NFC 안테나용 휴대 단말기 케이스.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안테나부와 상기 금속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절연막은 상기 제2 연결단자를 노출하는 NFC 안테나용 휴대 단말기 케이스.
KR1020140029096A 2014-03-12 2014-03-12 휴대 단말기, nfc 안테나용 휴대 단말기 케이스 KR101556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096A KR101556666B1 (ko) 2014-03-12 2014-03-12 휴대 단말기, nfc 안테나용 휴대 단말기 케이스
CN201480056485.4A CN105684216A (zh) 2014-03-12 2014-12-19 便携式终端及用于nfc天线的便携式终端壳体
PCT/KR2014/012560 WO2015137609A1 (ko) 2014-03-12 2014-12-19 휴대 단말기, nfc 안테나용 휴대 단말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096A KR101556666B1 (ko) 2014-03-12 2014-03-12 휴대 단말기, nfc 안테나용 휴대 단말기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701A true KR20150106701A (ko) 2015-09-22
KR101556666B1 KR101556666B1 (ko) 2015-10-01

Family

ID=54072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9096A KR101556666B1 (ko) 2014-03-12 2014-03-12 휴대 단말기, nfc 안테나용 휴대 단말기 케이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556666B1 (ko)
CN (1) CN105684216A (ko)
WO (1) WO2015137609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2686A1 (ko) * 2015-11-11 2017-05-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8097505A1 (ko) * 2016-11-28 2018-05-31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8097557A3 (en) * 2016-11-28 2018-07-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WO2021096310A1 (en) * 2019-11-14 2021-05-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3196B1 (ko) 2015-09-25 2022-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EP3223437B1 (en) 2016-03-21 2020-03-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tenna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accessor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431872B1 (en) 2018-04-05 2019-10-0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KR102068569B1 (ko) * 2018-04-05 2020-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576B1 (ko) * 2011-03-10 2013-03-25 주식회사 아모텍 Nfc 안테나 모듈
KR101854471B1 (ko) * 2012-01-09 2018-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CN103219579B (zh) * 2013-04-11 2015-05-06 上海安费诺永亿通讯电子有限公司 一种新型nfc天线结构
CN203466283U (zh) * 2013-06-19 2014-03-05 上海安费诺永亿通讯电子有限公司 一种带有金属后壳的移动终端
KR101339020B1 (ko) * 2013-07-17 2013-12-09 에이큐 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KR101720743B1 (ko) * 2014-02-03 2017-03-2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이중모드 안테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2686A1 (ko) * 2015-11-11 2017-05-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180351234A1 (en) 2015-11-11 2018-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US10454154B2 (en) 2015-11-11 2019-10-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WO2018097505A1 (ko) * 2016-11-28 2018-05-31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8097557A3 (en) * 2016-11-28 2018-07-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US10347966B2 (en) 2016-11-28 2019-07-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US11128038B2 (en) 2016-11-28 2021-09-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tenna
WO2021096310A1 (en) * 2019-11-14 2021-05-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US11252268B2 (en) 2019-11-14 2022-0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US11671523B2 (en) 2019-11-14 2023-06-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684216A (zh) 2016-06-15
KR101556666B1 (ko) 2015-10-01
WO2015137609A1 (ko) 2015-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6666B1 (ko) 휴대 단말기, nfc 안테나용 휴대 단말기 케이스
US20210083365A1 (en) Mobile terminal and coil antenna module
US10325708B2 (en) Spiral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ntenna coil
US10164336B2 (en)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05333244A (ja) 携帯電話機
US10205489B2 (en) Rear cover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same
JP2008085988A (ja) アンテナ及び携帯電子機器
US10164347B2 (en)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appliance
US10680313B2 (en) Stacked antenna module
WO2014185687A1 (ko) Nfc 안테나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
JP5598641B1 (ja) 情報端末装置
US9917350B2 (en) Multi loop antenna module and portable device having the same
US11450947B2 (en) Antenna module
KR101582657B1 (ko) Nfc 안테나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
KR102119533B1 (ko) 후면 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
US10698455B2 (en) Antenn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170117630A1 (en) Single loop near field communications antenna
KR102564795B1 (ko) 콤보 안테나 모듈
KR101321874B1 (ko) Nfc 소형화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 rfid 태그
KR20180028284A (ko) 복수의 와이어 패턴을 이용한 nfc 안테나 모듈
WO2012122743A1 (zh) 具有射频识别功能的移动终端
KR20170100249A (ko) 휴대용 전자 기기
KR102529467B1 (ko) 안테나 모듈
KR101609117B1 (ko) 안테나 구조체
CN115528414A (zh) 机壳组件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