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6684A - 공냉식 조명등 - Google Patents

공냉식 조명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6684A
KR20150106684A KR1020140029068A KR20140029068A KR20150106684A KR 20150106684 A KR20150106684 A KR 20150106684A KR 1020140029068 A KR1020140029068 A KR 1020140029068A KR 20140029068 A KR20140029068 A KR 20140029068A KR 20150106684 A KR20150106684 A KR 20150106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cover member
heat sink
light emitting
path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9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1539B1 (ko
Inventor
조장형
Original Assignee
쎄딕(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쎄딕(주) filed Critical 쎄딕(주)
Priority to KR1020140029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1539B1/ko
Publication of KR20150106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6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냉식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명등에서 발생되는 열을 대류현상을 이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방열시킬 수 있는 공냉식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공냉식 조명등은, 하부에 하방향으로 개방된 장착홈이 형성된 히트싱크와; 상기 장착홈에 장착되어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와; 상기 히트싱크의 상부에 배치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히트싱크의 상면과 상기 커버부재의 하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히트싱크의 상면과 상기 커버부재의 하면을 이격시켜 그 사이에 공기유로를 형성하는 유로형성부재와; 상기 발광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공기유로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배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유로형성부재는 상기 공기유로의 형성, 냉각핀의 역할 및 상기 커버부재로의 열전달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Description

공냉식 조명등 { AIR COOLING LAMP }
본 발명은 공냉식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명등에서 발생되는 열을 대류현상을 이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방열시킬 수 있는 공냉식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외에는 야간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조명등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조명등은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됨에 따라 외부로 조명광을 제공하는 것으로, 종래에는 형광등, 백열등, 할로겐 등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전기 소모량이 적고 수명이 길며 경우에 따라 다양한 색상의 조명광이 제공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LED(Light Emitting Diode)램프의 수요도 증가되고 있다.
엘이디램프의 발광부재로 사용되는 엘이디모듈은 통상 기판 상에 다수의 엘이디소자가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그 특성상 엘이디소자의 점등시 기판에 비교적 많은 열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열이 효과적으로 방출되지 않을 경우에는 엘이디소자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
종래에는 다수의 엘이디소자가 장착된 기판의 배면에 접촉면적을 극대화한 금속재 방열핀을 형성하거나 또는 본체프레임에 형성된 외기유입공을 통해 외부공기를 유입시킨 후 방열공을 통해 방출시킴에 따라 엘이디기판에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고 있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에는 단순히 방열면적을 증대시킨 것이 불과하고, 후자의 경우에는 외부에 유입된 외부공기가 발열부위에 충분히 접촉하지 못한 상태로 방출됨에 따라, 엘이디모듈로부터 발생되는 열량보다 금속재 방열핀이나 방열공을 통한 방열량이 훨씬 적어 엘이디램프 자체가 지속적으로 가온될 수 밖에 없는 바, 발열에 의한 엘이디모듈의 수명단축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282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것으로써,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에서 발생된 열을 효과 효과적으로 방열시켜 조명등의 수명 등을 연장시킬 수 있는 공냉식 조명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공냉식 조명등은, 하부에 하방향으로 개방된 장착홈이 형성된 히트싱크와; 상기 장착홈에 장착되어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와; 상기 히트싱크의 상부에 배치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히트싱크의 상면과 상기 커버부재의 하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히트싱크의 상면과 상기 커버부재의 하면을 이격시켜 그 사이에 공기유로를 형성하는 유로형성부재와; 상기 발광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공기유로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배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유로는 상기 히트싱크의 외곽에서 상기 배출공이 형성된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게 형성된다.
상기 배출공은 상기 커버부재의 중심부에 형성되고, 상기 유로형성부재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수개가 상호 이격 배치되어 상기 공기유로를 형성하되, 상기 유로형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히트싱크의 상부 외주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배출공이 형성된 중심부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히트싱크 및 커버부재는 상기 유로형성부재에 결합된다.
상기 히트싱크 및 발광부는 동일한 제1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유로형성부재에 함께 결합된다.
상기 커버부재는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히트싱크의 상부를 덮되, 상기 히트싱크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커버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발광부의 외주면보다 바깥쪽에 위치한다.
상기 히트싱크는, 안쪽에 하방향 개방된 상기 장착홈이 형성된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외주면에서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플랜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장착홈이 형성된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며, 상기 히트싱크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커버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장착부 및 발광부의 외주면보다 바깥쪽에 위치한다.
상기 커버부재의 외곽에는 하향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전원부는 상기 커버부재의 상면에 결합된다.
상기 전원부는, 상기 발광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기와; 상기 커버부재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전원공급기를 상기 커버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브라켓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원공급기는 상기 배출공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브라켓 및 커버부재는 동일한 제2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유로형성부재에 함께 결합된다.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전원공급기 및 브라켓을 감싸는 전원케이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전원케이스에는 상기 배출공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연통공이 측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유로형성부재는 전도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유로형성부재는 상기 발광부에서 발생되어 상기 히트싱크의 상면으로 전달된 열을 상기 커버부재로 전달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공냉식 조명등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유로형성부재에 의해 히트싱크와 커버부재 사이에 공기유로를 형성함으로써, 찬공기의 유입 및 뜨거운 공기의 원활한 배출에 의해 방열을 효과를 향상시켜, 조명등의 수명 등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형성부재는 상기 공기유로의 형성, 냉각핀의 역할 및 상기 커버부재로의 열전달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냉식 조명등의 일방향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냉식 조명등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냉식 조명등에서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냉식 조명등의 일방향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냉식 조명등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냉식 조명등에서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공기유로(45)가 잘 도시되도록 하기 위해 도 2에서 B-B'선을 따라 비스듬하게 절단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해 조명등의 단면을 대략적으로 조합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냉식 조명등은, 히트싱크(10)와, 발광부(20), 커버부재(30)와, 유로형성부재(40)와, 전원부(5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히트싱크(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하방향으로 개방된 장착홈(12)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히트싱크(10)는, 안쪽에 하방향으로 개방된 상기 장착홈(12)을 형성하는 장착부(11)와, 상기 장착부(11)의 외주면에서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플랜지부(13)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광부(20)는 빛을 발산하는 것으로써,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홈(12)에 삽입되어 상기 장착부(11)에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발광부(20)는, 러버(21)와, 회로기판(22)과, 투광창(24)과, 프레임(25)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러버(21)는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장착홈(12)에 삽입 배치된다.
상기 회로기판(22)은 하면에 다수개의 LED(23)가 장착되고, 상기 러버(21)의 안쪽에 배치되며, 상기 장착부(11)의 상면에 볼트 등을 통해 고정 결합된다.
상기 투광창(24)은 상기 회로기판(22)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러버(21)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투광창(24)은 상기 LED(23)에서 발산되는 빛을 하방향으로 투과시킨다.
상기 프레임(25)은 중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러버(21)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프레임(25), 투광창(24) 및 러버(21)는, 상기 프레임(25)과 러버(21)를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상기 장착부(11)의 상면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커버부재(30)는 상기 히트싱크(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히트싱크의 상부를 덮고, 상기 유로형성부재(40)에 의해 상기 히트싱크(10)의 상면과 이격된다.
이러한 상기 커버부재(30)가 상기 히트싱크(10)를 상부를 덮음으로써, 상기 히트싱크(10)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히트싱크(10)를 통해 상기 발광부(20)에서 발생된 열이 외부로 보다 신속하고 잘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유로형성부재(40)는 상기 히트싱크(10)의 상면과 상기 커버부재(30)의 하면 사이에 배치되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트싱크(10)의 상면과 상기 커버부재(30)의 하면을 이격시켜 그 사이에 공기유로(45)를 형성한다.
상기 공기유로(45)는 공기의 온도차에 의한 대류현상에 의해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공기유로(45)는 상기 히트싱크(10)의 상면과 상기 커버부재(30)의 하면이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로(45)는 상기 플랜지부(13)의 외주면을 따라 외부와 연통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30)에는 상기 공기유로(45)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배출공(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출공(31)은 상기 커버부재(30)의 중심부에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부재(30)의 외주면은 상기 히트싱크(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발광부(20)의 외주면보다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30)의 외곽에는 하향 경사진 경사부(32)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부(20)에서 빛이 발산되면서 열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공기유로(45)에 존재하는 공기는 가열되면서 뜨거운 공기로 변하여 상기 배출공(31)을 통해 상승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히트싱크(10)의 외곽에 위치한 찬공기가 상기 커버부재(30)와 히트싱크(10)의 사이를 통해 상기 공기유로(45)로 유입되게 된다.
도 5에서 화살표는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은 대류현상 및 찬공기의 유입에 의해 상기 발광부(20)는 보다 신속하고 쉽게 방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발광부(20)가 상기 히트싱크(10)의 상부에 위치한 상기 장착부(11)에 장착되어 있어 상기 장착부(11)에서 집중적으로 발열되는바, 상기 장착부(11)의 상부에 존재하는 상기 공기유로(45)에서 공기의 가열 및 찬공기의 유입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그에 따른 방열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부(20)의 발열로 인한 상기 공기유로(45)의 공기의 밀도가 작아짐에 따라, 공기대류가 보다 잘 이루어지도록 하여, 방열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30)의 외곽에 형성된 상기 경사부(32)에 의해 외부의 찬공기가 상기 공기유로(45)로 보다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30)의 외주면이 상기 발광부(20)의 외주면보다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의 찬공기가 상기 커버부재(30)의 하면에 안내되면서 상기 공기유로(45)로 보다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의 대류 통로를 형성하는 상기 공기유로(4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트싱크(10)의 외곽에서 상기 배출공(31)이 형성된 중심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게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상기 히트싱크(10)의 외곽에 있는 찬공기가 상기 히트싱크(10)의 중심부로 이동할 때, 벤츄리효과에 의해 공기의 이동속도가 점점 증가하여 공기 대류가 보다 잘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로형성부재(40)는 전도체로 이루어져, 상기 발광부(20)에서 발생되어 상기 히트싱크(10)의 상면으로 전달된 열을 상기 커버부재(30)로 신속하게 전달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유로형성부재(40)는 냉각핀과 같은 역할을 하여, 상기 커버부재(30)로의 열전달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상기 공기유로(45)를 형성하는 상기 유로형성부재(4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로형성부재(40)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고, 다수개가 상호 이격 배치되어 그 사이 공간에 상기 공기유로(45)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유로형성부재(40)의 일단은 상기 히트싱크(10)의 상부 외주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배출공(31)이 형성된 중심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유로형성부재(40)의 배치에 의해 상기 공기유로(45)는 상기 히트싱크(10)의 외곽에서 중심부 방향으로 점점 좁아지게 형성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벤츄리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트싱크(10) 및 커버부재(30)는 상기 유로형성부재(4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히트싱크(10) 및 커버부재(30)는 볼트 등을 통해 상기 유로형성부재(40)에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히트싱크(10) 및 발광부(20)는 동일한 볼트 등의 제1체결부재(61)에 의해 상기 유로형성부재(40)에 함께 결합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보다 적은 부품으로 상기 히트싱크(10) 및 발광부(20)를 상기 유로형성부재(4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전원부(50)는 상기 발광부(2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써,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부(50)는 상기 커버부재(30)의 상면에 결합되어 잇다.
상기 전원부(50)는, 전원공급기(51)(SMPS)와, 브라켓(52)과, 전원케이스(53)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공급기(51)는 상기 발광부(2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로기판(22)에 연결되어 상기 LED(23)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상기 전원공급기(51)는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공급기(51)는 상기 배출공(31)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배출공(31)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기(51)도 어느 정도 방열이 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52)은 하부가 상기 커버부재(30)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부가 상기 전원공급기(51)에 결합되어, 상기 전원공급기(51)를 상기 커버부재(3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시킨다.
따라서, 상기 전원공급기(51)가 상기 배출공(31)을 덮지 않고 상기 배출공(31)을 상부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원케이스(53)는 상기 전원공급기(51) 및 브라켓(52)을 감싸는 것으로써, 상기 전원케이스(53)에는 상기 배출공(31)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연통공(54)이 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전원케이스(53)에 의해 이물질이 상기 전원공급기(51) 및 배출공(31)으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배출공(31)에서 이동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상기 연통공(54)이 상기 전원케이스(53)의 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상기 연통공(54)을 통해 상기 전원케이스(53)의 안쪽으로 쉽게 유입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52) 및 커버부재(30)는 동일한 볼트 등의 제2체결부재(62)에 의해 상기 유로형성부재(40)에 함께 결합된다.
따라서, 보다 적은 부품으로 상기 브라켓(52) 및 커버부재(30)를 상기 유로형성부재(4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상기 전원부(50)에서 상기 발광부(20)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LED(23)가 점등되면, 상기 발광부(20)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상기 히트싱크(10)의 장착부(11)는 가열되게 된다.
상기 장착부(11)가 가열됨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유로(45)에 존재하는 공기는 점점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서 상기 배출공(31)을 통해 상승하게 된다.
상기 공기유로(45)에 존재하는 공기가 상기 배출공(31)을 통해 상승함에 따라, 상기 공기유로(45)에는 공기가 부족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히트싱크(10)의 외측에 존재하는 찬공기가 상기 공기유로(45)를 통해 상기 히트싱크(10)와 커버부재(30) 사이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경사부(32)에 의해 찬공기는 상기 공기유로(45)로 보다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고, 상기 공기유로(45)가 상기 배출공(31)이 형성된 중심부로 점점 좁게 형성됨에 따라 외부의 찬공기는 가열되면서 상기 배출공(31)으로 이동할 때 그 흐림이 빨라지게 된다.
위와 같이 공기의 흐름이 빨라짐에 따라 상기 발광부(20)에서 발생되는 열을 보다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켜 방열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조명등의 효과 및 수명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공냉식 조명등은 공장등, 실내등 등에 활용되어 더욱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인 공냉식 조명등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히트싱크, 11 : 장착부, 12 : 장착홈, 13 : 플랜지부,
20 : 발광부, 21 : 러버, 22 : 회로기판, 23 : LED, 24 : 투광창, 25 : 프레임,
30 : 커버부재, 31 : 배출공, 32 : 경사부,
40 : 유로형성부재, 45 : 공기유로,
50 : 전원부, 51 : 전원공급기, 52 : 브라켓, 53 : 전원케이스, 54 : 연통공,
61 : 제1체결부재, 62 : 제2체결부재,

Claims (13)

  1. 하부에 하방향으로 개방된 장착홈이 형성된 히트싱크와;
    상기 장착홈에 장착되어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와;
    상기 히트싱크의 상부에 배치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히트싱크의 상면과 상기 커버부재의 하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히트싱크의 상면과 상기 커버부재의 하면을 이격시켜 그 사이에 공기유로를 형성하는 유로형성부재와;
    상기 발광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공기유로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배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냉식 조명등.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로는 상기 히트싱크의 외곽에서 상기 배출공이 형성된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냉식 조명등.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은 상기 커버부재의 중심부에 형성되고,
    상기 유로형성부재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수개가 상호 이격 배치되어 상기 공기유로를 형성하되,
    상기 유로형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히트싱크의 상부 외주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배출공이 형성된 중심부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냉식 조명등.
  4.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히트싱크 및 커버부재는 상기 유로형성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냉식 조명등.
  5.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히트싱크 및 발광부는 동일한 제1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유로형성부재에 함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냉식 조명등.
  6.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히트싱크의 상부를 덮되,
    상기 히트싱크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커버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발광부의 외주면보다 바깥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냉식 조명등.
  7. 청구항6에 있어서,
    상기 히트싱크는,
    안쪽에 하방향 개방된 상기 장착홈이 형성된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의 외주면에서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플랜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장착홈이 형성된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며,
    상기 히트싱크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커버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장착부 및 발광부의 외주면보다 바깥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냉식 조명등.
  8. 청구항6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외곽에는 하향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냉식 조명등.
  9.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커버부재의 상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냉식 조명등.
  10. 청구항9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발광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기와;
    상기 커버부재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전원공급기를 상기 커버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브라켓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원공급기는 상기 배출공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냉식 조명등.
  11. 청구항10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및 커버부재는 동일한 제2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유로형성부재에 함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냉식 조명등.
  12. 청구항10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전원공급기 및 브라켓을 감싸는 전원케이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전원케이스에는 상기 배출공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연통공이 측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냉식 조명등.
  1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유로형성부재는 전도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유로형성부재는 상기 발광부에서 발생되어 상기 히트싱크의 상면으로 전달된 열을 상기 커버부재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냉식 조명등.
KR1020140029068A 2014-03-12 2014-03-12 공냉식 조명등 KR101641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068A KR101641539B1 (ko) 2014-03-12 2014-03-12 공냉식 조명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068A KR101641539B1 (ko) 2014-03-12 2014-03-12 공냉식 조명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684A true KR20150106684A (ko) 2015-09-22
KR101641539B1 KR101641539B1 (ko) 2016-07-21

Family

ID=54245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9068A KR101641539B1 (ko) 2014-03-12 2014-03-12 공냉식 조명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15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6051A (ko) * 2017-01-20 2018-07-30 주식회사인터라이텍 슬림형 엘이디 조명장치
KR102094420B1 (ko) * 2019-10-16 2020-03-27 (주)에이비엠 자연대류를 활용한 방열모듈이 구비된 투광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8603A (ko) * 2008-07-16 2010-01-26 동화전자산업주식회사 발광다이오드가 구비된 실외 조명장치
KR20100107369A (ko) * 2009-03-25 2010-10-05 남주홍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투광기
KR20110062822A (ko) 2009-12-04 2011-06-10 김정기 대류순환을 이용한 방열구조를 가지는 엘이디램프
KR20120128944A (ko) * 2011-05-18 2012-11-28 주식회사 포스코엘이디 광반도체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8603A (ko) * 2008-07-16 2010-01-26 동화전자산업주식회사 발광다이오드가 구비된 실외 조명장치
KR20100107369A (ko) * 2009-03-25 2010-10-05 남주홍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투광기
KR20110062822A (ko) 2009-12-04 2011-06-10 김정기 대류순환을 이용한 방열구조를 가지는 엘이디램프
KR20120128944A (ko) * 2011-05-18 2012-11-28 주식회사 포스코엘이디 광반도체 조명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6051A (ko) * 2017-01-20 2018-07-30 주식회사인터라이텍 슬림형 엘이디 조명장치
KR102094420B1 (ko) * 2019-10-16 2020-03-27 (주)에이비엠 자연대류를 활용한 방열모듈이 구비된 투광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1539B1 (ko) 2016-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9846B2 (en) Heat-dissipating downlight lamp holder
KR100899977B1 (ko) 엘이디조명등의 방열장치
KR20100118136A (ko) 반도체 고상 조명기구 및 그 조명방법
US8511863B2 (en) Luminaire
KR101256865B1 (ko) 조명용 엘이디 램프
US9677730B2 (en) Vehicular light system
KR20090000151U (ko) 엘이디조명기구용 방열기
KR101231658B1 (ko) 방열기능을 개선한 엘이디 전구
KR101641539B1 (ko) 공냉식 조명등
KR101099572B1 (ko) Led 조명장치
KR200454488Y1 (ko) 조명장치
KR20100117797A (ko) 발광다이오드 램프의 방열구조
KR200450478Y1 (ko) Led 램프
TW201516325A (zh) 發光二極體燈泡
KR200456082Y1 (ko) 엘이디 등기구
KR101049636B1 (ko) 발광다이오드 가로등
KR101000398B1 (ko) 방열식 엘이디 패키지
KR200454678Y1 (ko) 엘이디 램프
KR20150025439A (ko) Led 조명기구
KR200475330Y1 (ko) 엘이디 조명등기구용 방열판
KR101059084B1 (ko) 방열장치가 구비된 고휘도 엘이디조명기구
KR101446122B1 (ko) 개량형 히트 싱크 및 이를 이용한 led 조명 장치
KR20100099520A (ko) 조명 장치
KR101279944B1 (ko) 냉각장치가 구비된 led 조명 장치
KR101260822B1 (ko) 가로등 헤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