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6595A - 원격 레이더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 레이더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6595A
KR20150106595A KR1020140028841A KR20140028841A KR20150106595A KR 20150106595 A KR20150106595 A KR 20150106595A KR 1020140028841 A KR1020140028841 A KR 1020140028841A KR 20140028841 A KR20140028841 A KR 20140028841A KR 20150106595 A KR20150106595 A KR 20150106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ar
setting
setting unit
uni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8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1287B1 (ko
Inventor
이희용
Original Assignee
금호마린테크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마린테크 (주) filed Critical 금호마린테크 (주)
Priority to KR1020140028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1287B1/ko
Publication of KR20150106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6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1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1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3/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marine craft
    • G08G3/02Anti-collision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원격 레이더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레이더를 조작하고, 레이더로부터 레이더 영상을 전송받아 감시하며, 과거의 레이더 영상을 검색 및 재생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해상의 특정 영역에 위치되어 그 주변의 물표와 지형지물을 탐지한 레이더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타겟의 레이더 영상을 제공하는 레이더; 상기 레이더와 이더넷 스위치를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레이더의 동작 및 타겟을 설정하고, 상기 레이더로부터 제공된 상기 레이더 영상을 미리 설정된 방법으로 저장 및 관리하는 로컬 서버; 및 상기 로컬 서버와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로컬 서버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로컬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레이더 영상을 저장 및 출력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하는 원격 레이더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원격 레이더 모니터링 시스템{SYSTEM FOR REMOTE MONITERING RADA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원격 레이더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상 관제센터에서는 해상에서 항해중인 선박들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선박에 대하여 필요한 항행 정보를 제공하며, 또한, 각 선박의 통항을 관리하며 준법 항행 여부를 감시함으로써 해당 해역에서의 해난 사고를 방지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해상 관제센터는 교통량이 폭주하는 해역, 기상, 조류, 장애물 등으로 인하여 항행이 어려운 해역 뿐만 아니라, 여객선, 대형 유조선 및 가스 운반선과 같은 위험 화물 운반선의 운항이 빈번하여 대형 해난 사고를 초래할 위험 있는 해역에 근접한 항만이나 육상에 설치된다.
특히, 상기 해상 관제센터는 레이더 장치를 이용하여 조류 들을 모니터링하게 되는데, 이때, 레이더 장치는 연안을 포함하는 내륙에 설치되어, 레이더 유효 범위 이내의 조류 들을 관측하여 해상 관제센터로 전송한다.
이러한 조류 관측의 원리는 이론상 30cm 크기의 물체까지 탐지가능한 고성능 레이더 장치(예를 들면, FMCW 레이더)를 이용하여 군집을 이루어 비행하는 조류를 관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조류 관측 대상이 철새일 경우에, 철새가 군집을 이루어 비행한다는 특성을 감안하여, 조류의 규모, 해상 상태, 비행 특성, 조류 종류 등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해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군집 규모, 비행 상황 등에 대한 실제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관측된 데이터를 어떻게 분석할 것인지에 대한 판단 기준을 마련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795497호 '레이더를 이용한 파랑 계측 시스템 및 방법' 등록특허공보 제10-1360912호 '해상용 레이더 장치, 이를 이용한 선박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레이더를 조작하고, 레이더로부터 레이더 영상을 전송받아 감시하며, 과거의 레이더 영상을 검색 및 재생할 수 있는 원격 레이더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격 레이더 모니터링 시스템은 해상의 특정 영역에 위치되어 그 주변의 물표와 지형지물을 탐지한 레이더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타겟의 레이더 영상을 제공하는 레이더; 상기 레이더와 이더넷 스위치를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레이더의 동작 및 타겟을 설정하고, 상기 레이더로부터 제공된 상기 레이더 영상을 미리 설정된 방법으로 저장 및 관리하는 로컬 서버; 및 상기 로컬 서버와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로컬 서버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로컬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레이더 영상을 저장 및 출력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컬 서버는 상기 레이더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하여 이더넷 스위치를 통하여 연결되는 제1 통신 모듈; 상기 관제 서버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2 통신 모듈; 상기 레이더 또는 관제 서버와 송수신되는 데이터와 상기 레이더로부터 전송된 레이더 영상을 저장하는 제1 저장 모듈; 상기 레이더의 동작을 설정하는 제1 동작 설정 모듈; 상기 레이더의 온오프를 통하여 상기 레이더를 동작시키는 제1 동작 모듈; 및 조류 관측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상기 조류 관측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동작 설정 모듈은 상기 레이더의 민감도를 설정하는 제1 민감도 설정부; 및 상기 레이더의 일반 동작에 관한 기능을 설정하는 제1 일반 설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민감도 설정부는 해면 반사파 제거를 위한 STC(spike-triggered covariance) 커브 종류를 정하고, 상기 해면 반사파 제거의 정도를 조절하는 제1 반사파 제거부; 및 상기 레이더의 신호에 대한 이득률을 설정하는 제1 신호 이득률 설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반사파 제거부는 FTC(Fast-Time-Constant) 레벨, 해면 반사파 제거(Sea Clutter) 레벨, 사이드-로브(Side Lobe)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 일반 설정부는 상기 레이더의 최대 측정 거리를 설정하는 제1 측정 거리 설정부; 상기 레이더의 분당 회전수를 설정하는 제1 회전수 설정부; 상기 레이더가 상기 레이더 영상을 제공시에 안테나를 회전 또는 중지시키는 제1 안테나 설정부; 상기 레이더의 주변 장비들과의 전파 혼선을 제거하는 제1 전파 혼선 제거부; 상기 레이더의 민감도 설정에 따라 주변 노이즈를 제거하는 제1 노이즈 제거부; 상기 레이더의 이미지 상에서의 가드존 사용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선택하고, 가드존의 시작 거리, 끝 거리, 방향, 범위를 설정하는 가드존 설정부; 상기 레이더의 이미지의 단위 영역 당 해상도를 조절하는 제1 해상도 설정부; 상기 레이저의 타겟을 설정하는 제1 타겟 설정부; 상기 타겟의 강조 정도를 설정하는 제1 타켓 강조 설정부; 및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에서 상기 타겟을 확장시키는 제1 타겟 확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동작 설정 모듈은 상기 레이더의 이미지 회전각 또는 파킹각을 설정하는 제1 각 설정부; 상기 레이더의 설치 높이를 설정하는 제1 높이 설정부; 및 상기 레이더의 측정 거리 오프셋 또는 각도 오프셋을 설정하는 제1 오프셋 설정부를 구비하는 제2 일반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로컬 서버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3 통신 모듈;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로 이루어져 상기 로컬 서버와의 연결 여부 또는 데이터 전송 여부를 상기 엘이디의 색으로 표현하는 연결 표시 모듈; 다이얼로그를 통하여 조류 관측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정보를 등록 및 관리하는 사용자 관리 모듈; 상기 로컬 서버와 송수신된 데이터와 상기 로컬 서버로부터 전송된 레이더 영상을 저장하는 제2 저장 모듈; 상기 로컬 서버를 통하여 상기 레이더의 동작을 설정하는 제2 동작 설정 모듈; 상기 로컬 서버를 통하여 상기 레이더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2 동작 모듈; 원하는 레이더 영상 정보를 검색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정보 출력 모듈; 및 조류 관측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상기 조류 관측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동작 설정 모듈은 상기 레이더의 민감도를 설정하는 제2 민감도 설정부; 및 상기 레이더의 일반 동작에 관한 기능을 설정하는 제3 일반 설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민감도 설정부는 해면 반사파 제거를 위한 STC 커브 종류를 정하고, 상기 해면 반사파 제거 정도를 조절하는 제2 반사파 제거부; 및 상기 레이더의 신호에 대한 이득률을 설정하는 제2 신호 이득률 설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반사파 제거부는 FTC 레벨, 해면 반사파 제거 레벨, 사이드-로브 레벨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3 일반 설정부는 상기 레이더의 최대 측정 거리를 설정하는 제2 측정 거리 설정부; 상기 레이더의 분당 회전수를 설정하는 제2 회전수 설정부; 상기 레이더가 상기 레이더 영상을 제공시에 안테나를 회전 또는 중지시키는 제2 안테나 설정부; 상기 레이더의 주변 장비들과의 전파 혼선을 제거하는 제2 전파 혼선 제거부; 상기 레이더의 민감도 설정에 따라 주변 노이즈를 제거하는 제2 노이즈 제거부; 상기 레이더의 이미지의 단위 영역 당 해상도를 조절하는 제2 해상도 설정부; 상기 타겟의 강조 정도를 설정하는 제2 타켓 강조 설정부; 및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에서 상기 타겟을 확장시키는 제2 타겟 확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동작 설정 모듈은 상기 레이더의 파킹각을 설정하는 제2 각 설정부; 상기 레이더의 설치 높이를 설정하는 제2 높이 설정부; 및 상기 레이더의 측정 거리 오프셋 또는 각도 오프셋을 설정하는 제2 오프셋 설정부를 구비하는 제4 일반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출력 모듈은 검색하고자 하는 기간 정보를 입력하여 해당 기간의 레이더 영상 정보를 검색하는 정보 검색부; 및 상기 검색된 레이더 영상 정보와, 상기 저장된 레이더 영상 정보를 리스트를 출력하는 정보 재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레이더 모니터링 시스템은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레이더를 조작하고, 레이더로부터 레이더 영상을 전송받아 감시하며, 과거의 레이더 영상을 검색 및 재생하도록 함으로써, 해상의 조류를 효율적으로 관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로컬 서버에 레이더 영상을 저장함과 동시에 관제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로컬 서버와 관제 서버 간 통신 장애 또는 서버 장애 발생시 데이터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레이더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로컬 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a는 도 2의 제1 민감도 설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b는 도 2의 제1 일반 설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c는 도 2의 제2 일반 설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관제 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a는 도 4의 제2 민감도 설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b는 도 4의 제3 일반 설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c는 도 4의 제4 일반 설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d는 도 4의 정보 출력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a는 도 5b의 제2 전파 혼선 제거부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도 5b의 제2 노이즈 제거부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c는 도 5b의 제2 타겟 강조 설정부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d는 도 5a의 제2 반사파 제거부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e는 도 5b의 제2 측정거리 설정부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도 3b의 가드존 설정부에 의한 가드존 설정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b는 도 3b의 가드존 설정부에 의한 가드존 설정후 시작 거리 설정에 따라 가드존이 변화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c는 도 3b의 가드존 설정부에 의한 가드존 설정후 끝 거리 설정에 따라 가드존이 변화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d는 도 3b의 가드존 설정부에 의한 가드존 설정후 가드존의 방향 설정에 따라 가드존이 변화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e는 도 3b의 가드존 설정부에 의한 가드존 설정후 가드존의 범위 설정에 따라 가드존이 변화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레이더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로컬 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3a는 도 2의 제1 민감도 설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b는 도 2의 제1 일반 설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3c는 도 2의 제2 일반 설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1의 관제 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5a는 도 4의 제2 민감도 설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5b는 도 4의 제3 일반 설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5c는 도 4의 제4 일반 설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5d는 도 4의 정보 출력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6a는 도 5b의 제2 전파 혼선 제거부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b는 도 5b의 제2 노이즈 제거부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c는 도 5b의 제2 타겟 강조 설정부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d는 도 5a의 제2 반사파 제거부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e는 도 5b의 제2 측정거리 설정부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a는 도 3b의 가드존 설정부에 의한 가드존 설정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b는 도 3b의 가드존 설정부에 의한 가드존 설정후 시작 거리 설정에 따라 가드존이 변화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c는 도 3b의 가드존 설정부에 의한 가드존 설정후 끝 거리 설정에 따라 가드존이 변화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d는 도 3b의 가드존 설정부에 의한 가드존 설정후 가드존의 방향 설정에 따라 가드존이 변화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e는 도 3b의 가드존 설정부에 의한 가드존 설정후 가드존의 범위 설정에 따라 가드존이 변화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레이더 모니터링 시스템은 레이더(100)가 스캔한 물표 및 지형지물에 대한 레이더 영상을 원거리에 위치한 관제 서버(300)에서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시스템으로서, 레이더(100), 로컬 서버(200) 및 관제 서버(300)를 포함한다.
상기 레이더(100)는 해상의 특정 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100a, 100b)으로 위치되어 그 주변의 물표와 지형 지물을 탐지한 레이더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타겟의 레이더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상기 레이더(100)는 해상에서 고정 또는 부유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예컨대, 부력에 의해 바다에 떠 있는 구조를 가지며, 무게추 또는 와이어를 통해 소정 거리는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레이더(100)는 항해하는 선박이나 해상에 위치한 무인도 또는 바위 등에 고정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레이더(100)는 이더넷 스위치를 통해 로컬 서버(200)와 연결되어, 레이더 영상을 로컬 서버(200)에 전송한다. 상기 레이더 영상은 레이더(100)를 통하여 발신 또는 수신된 전자파에 의하여 구현된 영상으로서, 발신된 전자파가 타겟에서 반사되는 반사파로 수신되어 구현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타겟은 해역, 기상, 조류, 장애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타겟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이하에서는 타겟이 조류인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로컬 서버(200)는 레이더(100)와 이더넷 스위치를 통하여 연결되어 레이더(100)의 동작을 운영하여 타겟을 설정하고, 레이더(100)로부터 제공된 레이더 영상을 미리 설정된 방법으로 저장 및 관리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로컬 서버(200)는 제1 통신 모듈(210), 제2 통신 모듈(220), 제1 저장 모듈(230), 제1 동작 설정 모듈(240), 제1 동작 모듈(250) 및 제1 제어 모듈(260)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1 동작 설정 모듈(240), 제1 동작 모듈(250) 및 제1 제어 모듈(260)은 터치 가능한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각각의 메뉴 항목으로 구현되어 사용자의 터치에 의하여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모듈(210)은 레이더(1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하여 이더넷 스위치(미도시)를 통하여 연결된다. 즉, 상기 제1 통신 모듈(210)은 이더넷 스위치의 온 동작을 통하여 레이더(100)로부터 레이더 영상을 제공받는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제1 통신 모듈(210)은 레이더(100)와의 연결 여부(Connect, Disconnect)를 표시하는 엘이디 등과 같은 표시 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통신 모듈(220)은 관제 서버(3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장치로서, 위성을 이용한 위성통신이나, MF(Medium Frequency), HF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또는 해저케이블을 이용하는 유선통신을 통해 레이더 영상 또는 제어 명령과 같은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제2 통신 모듈(220)은 관제 서버(300)와의 데이터 전송 가능 여부를 표시하는 엘이디 등과 같은 표시 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저장 모듈(230)은 레이더(100) 또는 관제 서버(300)와 송수신되는 데이터와 레이더(100)로부터 전송된 레이더 영상을 저장하는 장치이다. 상기 제1 저장 모듈(230)은 사용자의 설계에 따라 레이더(100)로부터 전송된 레이더 영상의 원본을 저장하고, 사본을 관제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저장 모듈(230)은 이이프롬(EEPROM), 낸드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메모리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저장 모듈(230)은 본 시스템 운용을 위한 시스템 운용 펌웨어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이러한 제1 저장 모듈(230)은 내장형 메모리 또는 SD 카드, MMC 카드 및 USB 메모리 스틱과 같은 착탈식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동작 설정 모듈(240)은 레이더(100)의 동작을 설정하는 장치로서, 제1 민감도 설정부(241), 제1 일반 설정부(242) 및 제2 일반 설정부(243)를 포함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민감도 설정부(241)는 레이더(100)의 민감도를 설정하는 장치로서, 제1 반사파 제거부(2411) 및 제1 신호 이득률 설정부(241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반사파 제거부(2411)는 반사파 제거를 위한 STC(spike-triggered covariance) 커브 종류를 정하고, 해면 반사파 제거의 정도를 조절한다. 또한, 상기 제1 반사파 제거부(2411)는 FTC(Fast-Time-Constant) 레벨, 해면 반사파 제거(Sea Clutter) 레벨, 사이드-로브(Side Lobe)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 신호 이득률 설정부(2412)는 레이더(100)의 신호에 대한 이득률(Gain)을 설정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일반 설정부(242)는 레이더(100)의 일반 동작에 관한 기능을 설정하는 장치로서, 제1 측정 거리 설정부(2421), 제1 회전수 설정부(2422), 제1 안테나 설정부(2423), 제1 전파 혼선 제거부(2424), 제1 노이즈 제거부(2425), 가드존 설정부(2426), 제1 해상도 설정부(2427), 제1 타겟 설정부(2428), 제1 타켓 강조 설정부(2429) 및 제1 타겟 확장부(24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측정 거리 설정부(2421)는 레이더(100)의 최대 측정 거리를 설정한다. 이때, 거리 값은 레이더 영상의 반지름에 해당하는 길이를 의미하고, 효율적인 반사파 송수신을 위해서 거리 값이 길어질수록 레이더(100)의 분당 회전 수가 줄어들게 된다.
상기 제1 회전수 설정부(2422)는 레이더(100)의 분당 회전수를 설정한다. 상기 레이더(100)는 빨리 회전 할수록 영상의 갱신 속도가 빨라지지만, 주변 환경 및 레이더(100) 설정에 따라 레이더(100)의 신호의 송수신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주변 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레이더(100)의 분당 회전수를 조절하여야 한다.
상기 제1 안테나 설정부(2423)는 레이더(100)가 레이더 영상을 로컬 서버(200)에 제공시에 안테나를 회전 또는 중지시킨다. 즉, 상기 제1 안테나 설정부(2423)는 레이더(100)가 전송 모드일 경우에 레이더(100)의 안테나를 회전시키거나 중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전파 혼선 제거부(2424)는 레이더(100)의 주변 장비들과의 전파 혼선을 제거한다. 상기 제1 전파 혼선 제거부(2424)는 미리 설정된 최고값에 따라, 전파 혼선이라 판단되는 신호를 최대한 제거할 수 있고, 근접한 다른 장비(예를 들면, 같은 선박에 설치된 다른 레이더)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전파 혼선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1 노이즈 제거부(2425)는 레이더(100)의 민감도 설정에 따라 주변 노이즈를 제거한다. 즉, 상기 제1 노이즈 제거부(2425)는 레이더(100) 민감도 조절을 통해 노이즈를 제거한다.
상기 가드존 설정부(2426)는 레이더(100)의 이미지 상에서 물표 또는 타겟으로부터 일정 거리의 가드존(Guard Zone) 사용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선택하고(도 7a 참조), 가드존의 시작 거리(RANGE START)(도 7b의 파란색 참조), 끝 거리(RANGE END)(도 7c의 파란색 참조), 방향(도 7d의 파란색 참조), 범위(도 7e의 파란색 참조)를 설정한다.
상기 제1 해상도 설정부(2427)는 레이더(100)의 이미지의 단위 영역 당 해상도를 조절한다. 이때, 해상도의 값이 높을수록 레이더(100) 이미지 상에서 타겟이 강조되어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타겟 설정부(2428)는 레이저의 타겟을 설정한다.
상기 제1 타켓 강조 설정부(2429)는 타겟의 강조 정도를 설정한다. 이때, 해당 값이 높을수록 레이더 영상에서 타겟이 강조되어 표현된다.
상기 제1 타겟 확장부(2430)는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에서 타겟을 확장시킨다. 즉, 상기 제1 타켓 강조 설정부(2429)는 인위적으로 타겟을 소정 범위 이내에서 확장시킬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일반 설정부(243)는 레이더(100)의 이미지 회전각(Heading) 또는 파킹각(Park Position)을 설정하는 제1 각 설정부(2431)와, 레이더(100)의 설치 높이(Antenna Height)를 설정하는 제1 높이 설정부(2432) 및 레이더(100)의 측정 거리 오프셋(Zero Range Offset) 또는 각도 오프셋(Zero Bearing Offset)을 설정하는 제1 오프셋 설정부(243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측정 거리 오프셋은 FMCW 레이더(100)에서는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각도 오프셋은 레이더(100) 설치시 설정을 잘못했을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동작 모듈(250)은 레이더(100)의 온오프를 통하여 레이더(100)를 동작시킨다.
상기 제1 제어 모듈(260)은 조류 관측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조류 관측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제1 제어 모듈(260)은 조류 관측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레이더(100)의 동작 및 타겟을 설정하고, 레이더(100)로부터 제공된 레이더 영상을 미리 설정된 방법으로 저장 및 관리하며, 또한 레이더 영상을 실시간으로 관제 서버(300)로 전송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로컬 서버(200)는 제1 통신 모듈(210), 제2 통신 모듈(220), 제1 저장 모듈(230), 제1 동작 설정 모듈(240), 제1 동작 모듈(250) 및 제1 제어 모듈(260)을 수용하는 케이스(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스의 외표면에는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온도변색층(미도시)이 도포될 수 있다.
이 온도변색층은, 소정의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색이 변하는 두 가지 이상의 온도변색물질이 로컬 서버(200)의 케이스 표면에 코팅되어 온도 변화에 따라 두 개 이상의 구간으로 분리됨으로써 단계적인 온도 변화를 판단할 수 있고, 온도변색층 위에는 온도변색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막층이 코팅된다.
여기서, 온도변색층은, 각각 40℃ 이상 및 60℃ 이상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을 코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온도변색층은 로컬 서버(200)의 케이스 표면의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여 도료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온도변색층은 소정의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색깔이 변하는 온도변색물질이 로컬 서버(200)의 케이스 표면에 코팅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온도변색물질은 일반적으로 1~10㎛의 마이크로캡슐 구조로 구성되어 있고, 마이크로캡슐 내에 전자 공여체와 전자 수용체의 온도에 따른 결합 및 분리현상으로 인해 유색 및 투명색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변색물질은 색의 변화가 빠르고, 40℃, 60℃, 70℃, 80℃, 90℃, 100℃, 120℃, 150℃, 180℃, 200℃ 등의 다양한 변색온도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변색온도는 여러 방법으로 쉽게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변색물질은 유기화합물의 분자 재배열, 원자단의 공간 재배치 등의 원리에 의한 다양한 종류의 온도변색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온도변색층은 서로 다른 변색 온도를 가지는 두 가지 이상의 온도변색물질을 코팅하여 온도 변화에 따라 두 개 이상의 구간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온도변색층은 상대적으로 저온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과 상대적으로 고온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이상 및 60℃이상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을 사용하여 온도변색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로컬 서버(200)의 케이스 표면의 온도 변화를 단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도료의 온도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최적의 상태에서 도장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보호막층은 온도변색층 위에 코팅되어서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온도변색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온도변색층의 변색 여부를 쉽게 확인함과 동시에 온도변색물질이 열에 약한 것을 고려하여 단열 효과를 가지는 투명 코팅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제 서버(300)는 연안 또는 관제 센터에 설치되는 장치로서, 로컬 서버(200)와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로컬 서버(200)의 동작을 제어하되, 로컬 서버(200)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레이더 영상을 저장 및 출력한다. 상기 관제 서버(300)는 로컬 서버(200)를 통하여 전송된 레이더 영상을 저장하면서 감시할 수 있고, 이러한 레이더 영상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원격지에서 레이더(100)의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제 서버(300)는 통신망을 통하여 레이더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해당 영상을 감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과거의 레이더 영상을 검색하거나 재생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관제 서버(300)는 제3 통신 모듈(310), 연결 표시 모듈(320), 사용자 관리 모듈(330), 제2 저장 모듈(340), 제2 동작 설정 모듈(350), 제2 동작 모듈(360), 정보 출력 모듈(370) 및 제2 제어 모듈(380)을 포함한다. 한편, 연결 표시 모듈(320), 사용자 관리 모듈(330), 제2 동작 설정 모듈(350), 제2 동작 모듈(360) 및 제2 제어 모듈(380)터치 가능한 디스플레이 화면(예를 들면, 정보 출력 모듈(370)) 상에 각각의 메뉴 항목으로 구현되어 사용자의 터치에 의하여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제3 통신 모듈(310)은 로컬 서버(2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장치로서, 위성을 이용한 위성통신이나, MF(Medium Frequency), HF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또는 해저케이블을 이용하는 유선통신을 통해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연결 표시 모듈(320)은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로 이루어져 로컬 서버(200)와의 연결 여부 또는 데이터 전송 여부를 엘이디의 색으로 표현한다. 예를 들면, 상기 연결 표시 모듈(320)은 클라이언트와의 연결이 되었음을 알려주기 위하여, 연결이 수립되었을 경우 녹색, 연결이 되지 않았을 경우 적색을 보여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표시 모듈(320)은 로컬 서버(200)로부터 데이터가 전송되고 있음을 알려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결 표시 모듈(320)은 데이터가 전송될 경우 녹색, 전송이 되지 않을 경우 적색을 보여줄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관리 모듈(330)은 다이얼로그를 통하여 조류 관측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정보를 등록 및 관리한다. 상기 사용자 정보는 조류 관측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는 관리자 계정과 조류 관측 프로그램을 동작시킬 수 있는 사용자 계정에 해당되는 각각의 사용자 정보(예를 들면, ID, Password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저장 모듈(340)은 로컬 서버(200)와 송수신된 데이터와 로컬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레이더 영상을 저장한다. 상기 제2 저장 모듈(340)은 이이프롬(EEPROM), 낸드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메모리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저장 모듈(340)은 본 시스템 운용을 위한 시스템 운용 펌웨어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이러한 제2 저장 모듈(340)은 내장형 메모리 또는 SD 카드, MMC 카드 및 USB 메모리 스틱과 같은 착탈식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동작 설정 모듈(350)은 로컬 서버(200)를 통하여 레이더(100)의 동작을 설정하는 장치로서, 제2 민감도 설정부(351), 제3 일반 설정부(352) 및 제4 일반 설정부(353)를 포함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민감도 설정부(351)는 레이더(100)의 민감도를 설정하는 장치로서, 제2 반사파 제거부(3511) 및 제2 신호 이득률 설정부(3512)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반사파 제거부(3511)는 해면 반사파 제거를 위한 STC 커브 종류를 정하고, 도 6d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로 인해 발생하는 해면 반사파 제거 정도를 조절하여 조절 전(즉, 도 6d의 좌측)보다 선명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2 반사파 제거부(3511)는 FTC(Fast-Time-Constant) 레벨, 해면 반사파 제거(Sea Clutter) 레벨, 사이드-로브(Side Lobe) 레벨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2 신호 이득률 설정부(3512)는 레이더(100)의 신호에 대한 이득률(Gain)을 설정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3 일반 설정부(352)는 레이더(100)의 일반 동작에 관한 기능을 설정하는 장치로서, 제2 측정 거리 설정부(3521), 제2 회전수 설정부(3522), 제2 안테나 설정부(3523), 제2 전파 혼선 제거부(3524), 제2 노이즈 제거부(3525), 제2 해상도 설정부(3526), 제2 타켓 강조 설정부(3527) 및 제2 타겟 확장부(3528)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측정 거리 설정부(3521)는 도 6e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더(100)의 최대 측정 거리(예를 들면, 1/32N)를 설정한다. 이때, 거리 값은 레이더 영상의 반지름에 해당하는 길이를 의미한다. 또한, 효율적인 반사파 송수신을 위해서 거리 값이 길어질수록 레이더(100)의 분당 회전 수가 줄어들게 된다.
상기 제2 회전수 설정부(3522)는 레이더(100)의 분당 회전수를 설정한다. 상기 레이더(100)는 빨리 회전 할수록 영상의 갱신 속도가 빨라지지만, 주변 환경 및 레이더(100) 설정에 따라 레이더(100)의 신호의 송수신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주변 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레이더(100)의 분당 회전수를 조절하여야 한다.
상기 제2 안테나 설정부(3523)는 레이더(100)가 레이더 영상을 제공시에 안테나를 회전 또는 중지시킨다. 즉, 상기 제2 안테나 설정부(3523)는 레이더(100)가 전송 모드일 경우에 레이더(100)의 안테나를 회전시키거나 중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전파 혼선 제거부(3524)는 레이더(100)의 주변 장비들과의 전파 혼선을 제거한다. 도 6a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전파 혼선 제거부(3524)는 미리 설정된 최고값에 따라, 전파 혼선이라 판단되는 신호를 최대한 제거할 수 있고, 근접한 다른 장비(예를 들면, 같은 선박에 설치된 다른 레이더)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전파 혼선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2 노이즈 제거부(3525)는 레이더(100)의 민감도 설정에 따라 주변 노이즈를 제거한다. 즉, 도 6b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노이즈 제거부(3525)는 레이더(100) 민감도 조절을 통해 노이즈를 제거한다.
상기 제2 해상도 설정부(3526)는 레이더(100)의 이미지의 단위 영역 당 해상도를 조절한다. 이때, 해상도의 값이 높을수록 레이더(100) 이미지 상에서 타겟이 강조되어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제2 타켓 강조 설정부(3527)는 타겟의 강조 정도를 설정한다. 이때, 도 6c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값이 높을수록 레이더 영상에서 타겟이 강조되어 표현된다.
상기 제2 타겟 확장부(3528)는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에서 타겟을 확장시킨다. 즉, 상기 제2 타켓 강조 설정부(3527)는 인위적으로 타겟을 소정 범위 이내에서 확장시킬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제4 일반 설정부(353)는 레이더(100)의 파킹각(Park Position)을 설정하는 제2 각 설정부(3531)와, 레이더(100)의 설치 높이(Antenna Height)를 설정하는 제2 높이 설정부(3532) 및 레이더(100)의 측정 거리 오프셋(Zero Range Offset) 또는 각도 오프셋(Zero Bearing Offset)을 설정하는 제2 오프셋 설정부(353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측정 거리 오프셋은 FMCW 레이더(100)에서는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각도 오프셋은 레이더(100) 설치시 설정을 잘못했을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동작 모듈(360)은 로컬 서버(200)를 통하여 레이더(100)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도 5d를 참조하면, 상기 정보 출력 모듈(370)은 원하는 레이더 영상 정보를 검색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정보 검색부(371) 및 정보 재현부(372)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 검색부(371)는 검색하고자 하는 기간 정보를 입력하여 해당 기간의 레이더 영상 정보를 검색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정보 검색부(371)를 통하여 검색하고 싶은 레이더 영상 정보의 처음 날짜와 마지막 날짜를 입력한 다음, 설정된 시간 정보로 레이더 영상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영상을 저장하기 시작한 시점과 저장을 종료한 시점을 리스트로 확인할 수 있고, 재연하기 원하는 시점을 선택하고 적용 버튼을 누르면 해당 구간의 모든 레이더 영상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이후에 검색된 레이더 영상 정보는 저장하여 필요시 리스트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정보 재현부(372)는 정보 검색부(371)에 의하여 검색된 레이더 영상 정보와, 저장된 레이더 영상 정보를 리스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정보 재현부(372)는 출력된 리스트 중 원하는 레이더 영상 정보를 선택하여 재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정보 재현부(372)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정보 재현부(372)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 제어 모듈(380)은 조류 관측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조류 관측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제2 제어 모듈(380)은 조류 관측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로컬 서버(200)의 동작을 제어하되, 로컬 서버(200)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레이더 영상을 저장 및 출력한다.
한편, 상기 관제 서버(300)는 제3 통신 모듈(310), 연결 표시 모듈(320), 사용자 관리 모듈(330), 제2 저장 모듈(340), 제2 동작 설정 모듈(350), 제2 동작 모듈(360), 정보 출력 모듈(370) 및 제2 제어 모듈(380)을 수용하는 케이스(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스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스는 (A)결정성 폴리프로필렌, (B)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중합체, (C)스틸렌계 수첨 블록공중합체 및 (D)무기충전제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성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상기 케이스를 성형하여 프라이머를 도포하지 않아도 우수한 도장 밀착성 및 우수한 내충격성을 나타낼 수 있다.
(A)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상기 (A)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은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 C2 내지 C20(C3 제외)의 알파-올레핀 단량체를 포함하는 프로필렌-알파 올레핀 결정성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파-올레핀 단량체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에틸렌, 1-부텐, 1-펜텐, 1-헥센, 4-메틸펜텐, 1-헵텐, 1-옥텐, 1-데센 등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일 수 있다. 상기 프로필렌-알파 올레핀 결정성 공중합체는 블록공중합체 또는 랜덤공중합체 등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프로필렌-알파 올레핀 결정성 공중합체에서 프로필렌 중합단위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공중합체 내에서 50중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은 입체규칙성에 관련해서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시킬 수 있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이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C-NMR(핵자기 공명 스펙트럼)로 측정한 아이소탁틱 펩타드 분율이 0.80~0.99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85~0.99일 수 있다.
상기 (A)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의 용융흐름지수(MFI, 230℃, 2.16kg 하중)는 20~60g/10분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50g/10분일 수 있다.
상기 (A)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은 상기 수지 조성물에 대해 44~57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A)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의 함량이 44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도장부착력이 저하될 수 있고, 57 중량%를 초과하면 굴곡탄성율 및 도장부착력이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B)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중합체
상기 (B)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중합체에서 부틸아크릴레이트는 중합단위 비율로 20~40중량%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5~40중량%일 수 있다.
상기 (B)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중합체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대해 9~21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B)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중합체의 함량이 9중량% 미만이면 도장밀착성이 열세하고 21중량%를 초과하면 굴곡탄성율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B)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용융지수(190℃, 2.16kg하중)는 5~250g/10min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200g/10min일 수 있다.
(C)스틸렌계 수첨 블록공중합체
(C)스틸렌계 수첨 블록공중합체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도장 밀착성 및 내충격성을 보다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C)스틸렌계 수첨 블록공중합체는 스틸렌-에틸렌-부텐-스틸렌 블록공중합체(SEBS), 스틸렌-에틸렌-프로필렌-스틸렌 블록공중합체(SEPS), 스티렌-부타디엔-부틸렌-스티렌 블록공중합체, 스틸렌-에틸렌-이소플렌-스틸렌 블록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틸렌-스틸렌 블록공중합체 등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틸렌-에틸렌-부텐-스틸렌 블록공중합체(SEBS) 및 스틸렌-에틸렌-프로필렌-스틸렌 블록공중합체(SEPS)일 수 있다.
상기 (C)스틸렌계 수첨 블록공중합체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대해 7 ~ 21중량%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 18중량%일 수 있다. 상기 상기 (C)스틸렌계 수첨 블록공중합체의 함량이 7중량% 미만이면 도장밀착성이 저하되고, 21중량%를 초과하면 강성 등과 같은 기계적 물성 및 도장밀착성 등이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D)무기충전제
상기 무기충전제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무기충전제는 활석(Talc), 황산바륨 및 칼슘카보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활석일 수 있다.
상기 활석의 입경은 레이저 회절법에 따라서 측정된 입자 누적 분포 곡선으로부터 판독한 누적 50중량%의 입경치로부터 구할 수 있으며, 상기 평균입경이 10㎛이하이고, 바람직한 것은 0.5~8㎛일 수 있다. 상기 활석의 입경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휨 탄성율이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활석은 중합체와의 접착성 또는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각종의 유기 티타네이트(titanate)계 커플링(Coupling)제, 유기실란 커플링(Coupling)제, 불포화카르본산, 또는 그 무수물을 그라프트(graft)한 변성 폴리올레핀(Polyolefin), 지방산, 지방산 금속염, 지방산 에스테르(ester) 등으로 표면처리될 수 있다.
상기 무기충전제는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10~23중량%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21중량%일 수 있다. 상기 무기충전제의 함량이 10중량% 미만이면 굴곡탄성율이 현저히 부족하거나 도장밀착성이 떨어지고, 25중량%를 초과하면 내충격성이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하게 손상시키지 않은 범위에서, 다른 부가적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용매, 페놀계 및 인계 산화방지제, 힌다드 아민(amine)계, 벤조페논(Benzophenone)계,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계의 내후 열화 방지제, 유기 알루미늄(aluminium)화합물, 유기인 화합물 등의 핵제, 스테아진산의 금속염에 대표되는 분산제, 퀴나크리돈(quinacridone), 산화티탄(titan), 카본블랙(carbon black)등의 착색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본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구성성분들을 교반-혼합장치[예:Hensel혼합기, 슈퍼 혼합기 또는 텀블러 혼합기]에 충전시키고, 상기 혼합물을 1~10분 동안 교반-혼합시키고, 180~230℃의 온도에서 압연기 또는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 및 혼련시켜 펠렛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스를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성형체로 제조하는 데, 이때 상기 성형체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사출성형, 압출성형 등 임의의 성형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성형체의 외표면에 절연막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레이더 모니터링 시스템은 로컬 서버(200)로부터 전송받은 레이더 영상 정보를 관제 서버(300)에 저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시기의 레이더 영상을 재연함으로써, 사용자가 레이더 영상을 항상 감시해야 할 필요가 없고, 레이더(100)가 설치된 주변의 물표 이동에 대한 시기적 통계를 내는데 있어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원격 레이더 모니터링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레이더 200: 로컬 서버
210: 제1 통신 모듈 220: 제2 통신 모듈
230: 제1 저장 모듈 240: 제1 동작 설정 모듈
241: 제1 민감도 설정부 242: 제1 일반 설정부
243: 제2 일반 설정부 250: 제1 동작 모듈
260: 제1 제어 모듈 300: 관제 서버
310: 제3 통신 모듈 320: 연결 표시 모듈
330: 사용자 관리 모듈 340: 제2 저장 모듈
350: 제2 동작 설정 모듈 351: 제2 민감도 설정부
352: 제3 일반 설정부 353: 제4 일반 설정부
360: 제2 동작 모듈 370: 정보 출력 모듈
371: 정보 검색부 372: 정보 재현부
380: 제2 제어 모듈 2411: 제1 반사파 제거부
2412: 제1 신호 이득률 설정부 2421: 제1 측정 거리 설정부
2422: 제1 회전수 설정부 2423: 제1 안테나 설정부
2424: 제1 전파 혼선 제거부 2425: 제1 노이즈 제거부
2426: 가드존 설정부 2427: 제1 해상도 설정부
2428: 제1 타겟 설정부 2429: 제1 타켓 강조 설정부
2430: 제1 타겟 확장부 2431: 제1 각 설정부
2432: 제1 높이 설정부 2433: 제1 오프셋 설정부
3511: 제2 반사파 제거부 3512: 제2 신호 이득률 설정부
3521: 제2 측정 거리 설정부 3522: 제2 회전수 설정부
3523: 제2 안테나 설정부 3524: 제2 전파 혼선 제거부
3525: 제2 노이즈 제거부 3526: 제2 해상도 설정부
3527: 제2 타켓 강조 설정부 3528: 제2 타겟 확장부
3531: 제2 각 설정부 3532: 제2 높이 설정부
3533: 제2 오프셋 설정부

Claims (10)

  1. 해상의 특정 영역에 위치되어 그 주변의 물표와 지형지물을 탐지한 레이더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타겟의 레이더 영상을 제공하는 레이더(100);
    상기 레이더(100)와 이더넷 스위치를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레이더(100)의 동작 및 타겟을 설정하고, 상기 레이더(100)로부터 제공된 상기 레이더 영상을 미리 설정된 방법으로 저장 및 관리하는 로컬 서버(200); 및
    상기 로컬 서버(200)와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로컬 서버(200)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로컬 서버(200)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레이더 영상을 저장 및 출력하는 관제 서버(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레이더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서버(200)는
    상기 레이더(1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하여 이더넷 스위치를 통하여 연결되는 제1 통신 모듈(210);
    상기 관제 서버(3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2 통신 모듈(220);
    상기 레이더(100) 또는 관제 서버(300)와 송수신되는 데이터와 상기 레이더(100)로부터 전송된 레이더 영상을 저장하는 제1 저장 모듈(230);
    상기 레이더(100)의 동작을 설정하는 제1 동작 설정 모듈(240);
    상기 레이더(100)의 온오프를 통하여 상기 레이더(100)를 동작시키는 제1 동작 모듈(250); 및
    조류 관측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상기 조류 관측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제어 모듈(26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동작 설정 모듈(240)은
    상기 레이더(100)의 민감도를 설정하는 제1 민감도 설정부(241); 및
    상기 레이더(100)의 일반 동작에 관한 기능을 설정하는 제1 일반 설정부(2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레이더 모니터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민감도 설정부(241)는
    해면 반사파 제거를 위한 STC(spike-triggered covariance) 커브 종류를 정하고, 상기 해면 반사파 제거의 정도를 조절하는 제1 반사파 제거부(2411); 및
    상기 레이더(100)의 신호에 대한 이득률을 설정하는 제1 신호 이득률 설정부(2412);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반사파 제거부(2411)는 FTC(Fast-Time-Constant) 레벨, 해면 반사파 제거(Sea Clutter) 레벨, 사이드-로브(Side Lobe) 레벨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레이더 모니터링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일반 설정부(242)는
    상기 레이더(100)의 최대 측정 거리를 설정하는 제1 측정 거리 설정부(2421);
    상기 레이더(100)의 분당 회전수를 설정하는 제1 회전수 설정부(2422);
    상기 레이더(100)가 상기 레이더 영상을 제공시에 안테나를 회전 또는 중지시키는 제1 안테나 설정부(2423);
    상기 레이더(100)의 주변 장비들과의 전파 혼선을 제거하는 제1 전파 혼선 제거부(2424);
    상기 레이더(100)의 민감도 설정에 따라 주변 노이즈를 제거하는 제1 노이즈 제거부(2425);
    상기 레이더(100)의 이미지 상에서의 가드존 사용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선택하고, 가드존의 시작 거리, 끝 거리, 방향, 범위를 설정하는 가드존 설정부(2426);
    상기 레이더(100)의 이미지의 단위 영역 당 해상도를 조절하는 제1 해상도 설정부(2427);
    상기 레이저의 타겟을 설정하는 제1 타겟 설정부(2428);
    상기 타겟의 강조 정도를 설정하는 제1 타켓 강조 설정부(2429); 및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에서 상기 타겟을 확장시키는 제1 타겟 확장부(2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레이더 모니터링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 설정 모듈(240)은
    상기 레이더(100)의 이미지 회전각 또는 파킹각을 설정하는 제1 각 설정부(2431);
    상기 레이더(100)의 설치 높이를 설정하는 제1 높이 설정부(2432); 및
    상기 레이더(100)의 측정 거리 오프셋 또는 각도 오프셋을 설정하는 제1 오프셋 설정부(2433)를 구비하는 제2 일반 설정부(24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레이더 모니터링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서버(300)는
    상기 로컬 서버(2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3 통신 모듈(310);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로 이루어져 상기 로컬 서버(200)와의 연결 여부 또는 데이터 전송 여부를 상기 엘이디의 색으로 표현하는 연결 표시 모듈(320);
    다이얼로그를 통하여 조류 관측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정보를 등록 및 관리하는 사용자 관리 모듈(330);
    상기 로컬 서버(200)와 송수신된 데이터와 상기 로컬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레이더 영상을 저장하는 제2 저장 모듈(340);
    상기 로컬 서버(200)를 통하여 상기 레이더(100)의 동작을 설정하는 제2 동작 설정 모듈(350);
    상기 로컬 서버(200)를 통하여 상기 레이더(100)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2 동작 모듈(360);
    원하는 레이더 영상 정보를 검색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정보 출력 모듈(370); 및
    조류 관측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상기 조류 관측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제어 모듈(380)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동작 설정 모듈(350)은
    상기 레이더(100)의 민감도를 설정하는 제2 민감도 설정부(351); 및
    상기 레이더(100)의 일반 동작에 관한 기능을 설정하는 제3 일반 설정부(3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레이더 모니터링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민감도 설정부(351)는
    해면 반사파 제거를 위한 STC 커브 종류를 정하고, 상기 해면 반사파 제거 정도를 조절하는 제2 반사파 제거부(3511);
    상기 레이더(100)의 신호에 대한 이득률을 설정하는 제2 신호 이득률 설정부(3512);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반사파 제거부(3511)는 FTC 레벨, 해면 반사파 제거 레벨, 사이드-로브 레벨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레이더 모니터링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일반 설정부(352)는
    상기 레이더(100)의 최대 측정 거리를 설정하는 제2 측정 거리 설정부(3521);
    상기 레이더(100)의 분당 회전수를 설정하는 제2 회전수 설정부(3522);
    상기 레이더(100)가 상기 레이더 영상을 제공시에 안테나를 회전 또는 중지시키는 제2 안테나 설정부(3523);
    상기 레이더(100)의 주변 장비들과의 전파 혼선을 제거하는 제2 전파 혼선 제거부(3524);
    상기 레이더(100)의 민감도 설정에 따라 주변 노이즈를 제거하는 제2 노이즈 제거부(3525);
    상기 레이더(100)의 이미지의 단위 영역 당 해상도를 조절하는 제2 해상도 설정부(3526);
    상기 타겟의 강조 정도를 설정하는 제2 타켓 강조 설정부(3527); 및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에서 상기 타겟을 확장시키는 제2 타겟 확장부(35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레이더 모니터링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동작 설정 모듈(350)은
    상기 레이더(100)의 파킹각을 설정하는 제2 각 설정부(3531);
    상기 레이더(100)의 설치 높이를 설정하는 제2 높이 설정부(3532); 및
    상기 레이더(100)의 측정 거리 오프셋 또는 각도 오프셋을 설정하는 제2 오프셋 설정부(3533)를 구비하는 제4 일반 설정부(35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레이더 모니터링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 모듈(370)은
    검색하고자 하는 기간 정보를 입력하여 해당 기간의 레이더 영상 정보를 검색하는 정보 검색부(371); 및
    상기 검색된 레이더 영상 정보와, 상기 저장된 레이더 영상 정보를 리스트를 출력하는 정보 재현부(3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레이더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40028841A 2014-03-12 2014-03-12 원격 레이더 모니터링 시스템 KR101591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841A KR101591287B1 (ko) 2014-03-12 2014-03-12 원격 레이더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841A KR101591287B1 (ko) 2014-03-12 2014-03-12 원격 레이더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595A true KR20150106595A (ko) 2015-09-22
KR101591287B1 KR101591287B1 (ko) 2016-02-03

Family

ID=54245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8841A KR101591287B1 (ko) 2014-03-12 2014-03-12 원격 레이더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12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60943A (zh) * 2015-10-22 2015-12-16 毛茂军 基于卫星无线通信技术的轮船监控系统
GB2573020A (en) * 2018-04-20 2019-10-23 Ap Moeller Maersk As Determining a virtual representation of at least part of an environment
KR102109559B1 (ko) * 2018-12-03 2020-05-12 전상식 파랑 계측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수신신호 전처리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497B1 (ko) 2006-07-21 2008-01-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레이더를 이용한 파랑 계측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36737A (ko) * 2009-06-19 2010-12-2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센서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한 산불 감지 시스템
KR20110033599A (ko) * 2009-09-25 2011-03-31 한국해양연구원 항만 통합 보안 감시 시스템
KR20120108539A (ko) * 2011-03-24 2012-10-05 (주)지엠티 선박용 레이더정보 및 제어신호 처리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20130040697A (ko) * 2011-10-14 2013-04-2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레이다 연동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 및 그 방법
KR101360912B1 (ko) 2012-07-02 2014-02-1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상용 레이더 장치, 이를 이용한 선박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497B1 (ko) 2006-07-21 2008-01-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레이더를 이용한 파랑 계측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36737A (ko) * 2009-06-19 2010-12-2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센서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한 산불 감지 시스템
KR20110033599A (ko) * 2009-09-25 2011-03-31 한국해양연구원 항만 통합 보안 감시 시스템
KR20120108539A (ko) * 2011-03-24 2012-10-05 (주)지엠티 선박용 레이더정보 및 제어신호 처리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20130040697A (ko) * 2011-10-14 2013-04-2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레이다 연동 영상 저장 및 검색 장치 및 그 방법
KR101360912B1 (ko) 2012-07-02 2014-02-1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상용 레이더 장치, 이를 이용한 선박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60943A (zh) * 2015-10-22 2015-12-16 毛茂军 基于卫星无线通信技术的轮船监控系统
GB2573020A (en) * 2018-04-20 2019-10-23 Ap Moeller Maersk As Determining a virtual representation of at least part of an environment
WO2019201945A1 (en) * 2018-04-20 2019-10-24 A. P. Møller - Mærsk A/S Determining a virtual representation of at least part of an environment
GB2573020B (en) * 2018-04-20 2022-03-02 Ap Moeller Maersk As Determining a virtual representation of at least part of an environment
KR102109559B1 (ko) * 2018-12-03 2020-05-12 전상식 파랑 계측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수신신호 전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1287B1 (ko) 2016-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1287B1 (ko) 원격 레이더 모니터링 시스템
US6980483B2 (en) Harbor fence
US20180335504A1 (en) Low cost, high performance radar networks
KR101379340B1 (ko) 위험 상황에서의 선박 영상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NO337296B1 (no) Havneinformasjonssystem for båter
WO20090734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ssing contact clusters
CN108513644A (zh) 无人机避障方法及无人机
JP2010525336A (ja) 3次元高度探知鳥類レーダー用装置および方法
US20140313072A1 (en) Ice keel prediction from sar, optical imagery and upward looking sonars
O'Hagan et al. Passive Bistatic Radar (PBR) for harbour protection applications
CN104267400B (zh) 用于mimo-sar成像的微波信号收发系统、方法及成像系统
US20210080310A1 (en) Floating roof monitoring
CN104280735A (zh) 基于弧形阵列天线的mimo-sar成像方法及装置
JP2016536604A (ja) 係維機雷などの中性浮力を有する水中物体を探知し及びその位置を特定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関連する方法
NO337034B1 (no) Anordning for å unngå hindringer for hurtige flerkskrogs fartøy
KR20150026102A (ko) 해저 케이블 감시 장치 및 방법
EP294276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arning aircraft
EP1092937A2 (en) Enclosure for installation in the seabed
FR2509476A1 (fr) Dispositif a radars multiples combines, notamment en vue d'eviter les collisions maritimes
US20210356574A1 (en) Method for using an active sonar with a wide spectral emission band and sonar system
EP3772663B1 (en) A system for detecting plastics, macro-plastics, micro-plastics and nano-plastics in a maritime, estuary or river environment
JP3493107B2 (ja) レーダ装置
LePage et al. On-board real-time assessment of acoustic environmental parameters relevant to the estimation of sonar performance for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s
EP3422045B1 (en) A system for enhanced object tracking
US9857467B2 (en) Det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