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6161A - 조직 수복용 물질 및 이를 구비하는 조직 수복용 장치 - Google Patents

조직 수복용 물질 및 이를 구비하는 조직 수복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6161A
KR20150106161A KR1020140028302A KR20140028302A KR20150106161A KR 20150106161 A KR20150106161 A KR 20150106161A KR 1020140028302 A KR1020140028302 A KR 1020140028302A KR 20140028302 A KR20140028302 A KR 20140028302A KR 20150106161 A KR20150106161 A KR 20150106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lactic acid
tissue
molecular weight
tissue repair
average mole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8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덱스레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덱스레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덱스레보
Priority to KR1020140028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6161A/ko
Publication of KR20150106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61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18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06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 C08G63/08Lactones or lac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6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form
    • A61L2300/602Type of release, e.g. controlled, sustained, slow
    • A61L2300/604Biodegrad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34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soft tissue reconstru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폴리락트산의 용융 고화물을 포함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0.08 내지 0.5 mm의 평균 단면 직경을 갖는 기둥모양의 형상을 구비하고, 체내에서 분해기간이 1년 이상이며, 상기 폴리락트산이 결정성의 폴리-L-락트산이고, 상기 폴리락트산의 용융 고화물이 30,000 이상의 수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조직 수복용 물질, 및 이를 구비하는 조직 수복용 장치가 제시 된다.

Description

조직 수복용 물질 및 이를 구비하는 조직 수복용 장치{A material for tissue repair and apparatus for tissue repair employ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직 수복용 물질 및 이를 구비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체내 분해 기간이 길어서 장시간을 효능을 발휘할 수 있고, 주입이 용이한 조직 수복용 물질 및 이를 구비하는 조직 수복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얼굴의 결함, 여드름, 외과 수술의 반흔 또는 노화가 원인이 되는 연조직의 결함 또는 윤곽의 이상을 치유하기 위한 목적으로, 조직의 수복 또는 증보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지고 있다.
그 결과, 연조직의 결함을 교정하는 목적으로 수많은 재료가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지만, 현재로서는, 어떤 재료도 완전하게는 안전 및 유효하지 않다고 생각된다.
과거에 있어서, 처방 부위에 최저한의 물리적 응력이 존재하고 있는 작은 연조직 결함을 교정하는 목적으로 소량의 액상 실리콘이 이용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액상 실리콘은 이러한 주입부로부터 멀어진 신체 부위로 이행하여, 다양한 생리적 및 임상적 문제를 일으켰다. 이에, FDA는 액상 실리콘의 상기 문제 및 오용에 대해서, 사람에 있어서의 액상 실리콘의 사용을 금지하기에 이르렀다.
한편, 1970년대에, 주사 가능 소 콜라겐을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연조직의 결함에 유효한 치료로 시도되었으나, 이 콜라겐은 2 내지 3개월 내에 인체에 재흡수 되어 치료의 지속 시간이 상당히 짧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콜라겐 중의 소 단백질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을 회피하기 위한 안전 수단을 이용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후, 연조직의 수복 또는 증보로 사용가능하고, 콜라겐 및 액상 실리콘을 이용했을 때에 이전에 야기되었던 문제를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는 신규 재료로서, 수계 겔 중의 생적합성 세라믹 입자, 열가소성 재료, 열경화성 재료 및 폴리머 블렌드 등을 개발하려고 시도하였다.
하지만, 이들은 안전하고, 주사 가능하고, 인체 내에서 장기간 존속하며, 생흡수성을 나타내는 조직 수복 및 증보 재료로서 충분한 특성을 나타내지 못하고 있어,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체내 분해 기간이 길어서 장시간을 효능을 발휘할 수 있고, 체내 주입이 용이한 조직 수복용 물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상기 조직 수복용 물질을 구비하는 조직 수복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폴리락트산의 용융 고화물을 포함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0.08 내지 0.5 mm의 평균 단면 직경을 갖는 기둥모양의 형상을 구비하고, 체내에서 분해기간이 1년 이상이며,
상기 폴리락트산이 결정성의 폴리-L-락트산이고, 상기 폴리락트산의 용융 고화물이 30,000 이상의 수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조직 수복용 물질이 제공된다.
상기 폴리락트산의 용융 고화물이 30,000 내지 500,000의 수평균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리락트산의 용융 고화물이 폴리락트산을 녹는 점 이상으로 가열하여 용융한 후, 이를 몰드에 주입하여 성형되거나 또는 다이를 통해서 압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주사 바늘; 및
(b) 상기 주사 바늘의 관통구에 삽입된 상기 조직 수복용 물질을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조직 수복용 물질을 주사 바늘의 외면에 고정시키는 고정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수복용 물질은, 폴리락트산 중 결정성이고, 이러한 폴리락트산을 용융하고 고화하여 원기둥모양으로 성형된 이후에는 30,000 이상의 수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폴리락트산의 용융 고화물을 포함하며, 체내 분해 기간이 길어서 장시간 동안 효능을 발휘할 수 있고,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시술을 할 수 있도록 체내 주입이 용이한 형태를 가지고 있어 시술이 간편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수복용 물질은 폴리락트산의 용융 고화물을 포함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0.08 내지 0.5 mm의 평균 단면 직경을 갖는 기둥모양의 형상을 구비하고 있어, 표면이 매끄러워 멸균공정 후 미생물 및 세균의 증식 우려가 없는 장점과 함께 내부 기공형성이 거의 없어 장시간 균일하게 분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수복용 물질은 물 등의 용매에 녹여서 용액 형태로 주입하는 것이 아니라, 폴리락트산의 용융 고화물의 기둥모양의 형상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다른 전처리 없이 바로 주사가 가능하여, 원하는 양을 정확히 시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수복용 물질의 사시도이다.
도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수복용 물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수복용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수복용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에 따른 조직 수복용 물질의 체내 분해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직 수복용 물질은 체내에서 분해기간이 1년 이상, 바람직하게는 1년 내지 15년, 더 바람직하게는 1년 내지 10년,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2년 내지 4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본 발명의 조직 수복용 물질을 이루는 고분자는 체내 지속기간이 1년 이상이 되어, 종래 성형 수술 또는 복원 수술을 위하여 피하 또는 피부 내에 시술되었던 삽입물로 사용되는 콜라겐 또는 히알유론산염 겔 등이 체내에서 각각 1 내지 6개월 내에 매우 신속하게 재흡수되어 성형외과적으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했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체내 분해기간이 6개월 이내인 생체적합성 고분자들의 경우는 피부 내에서 콜라겐 조직 형성을 유도하여 필러의 효능을 발휘할 수는 있지만, 기존 히아루론산 제형 대비 효능 지속 기간이 길지 않아 실질적으로 미용 필러로 개발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필러 시술을 하는 헬스 케어 전문가들이 필러의 선택 기준으로 안전성과 함께 지속기간을 매우 중요한 지표로 보고 있다는 점에서 지속기간이 짧은 것은 치명적인 단점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직 수복용 물질은 폴리락트산의 용융 고화물을 포함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0.08 내지 0.5 mm의 평균 단면 직경을 갖는 기둥모양의 형상을 구비하고, 체내에서 분해기간이 1년 이상이며, 상기 폴리락트산이 결정성의 폴리-L-락트산이고, 30,000 이상의 수평균 분자량을 가진다.
이때, 체내에서 조직 수복 역할을 하는 콜라겐 합성은 폴리락트산의 생분해 반응과 함께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1년이상 동안 조직 수복용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체내 분해 기간이 1 년 이상 장기간 유지되는 조직 수복용 물질의 제공이 요구된다.
이러한 조직 수복용 물질의 체내 분해 특성은 다양한 인자의 영향을 받게 되는데, 본 발명자는 그 재료가 되는 폴리락트산의 분자량 및 이의 분포, 결정성과 결정구조, 조직 수복용 물질의 모양과 기공도 등이 분해를 결정하는 주요인자가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조직 수복용 물질의 재료로 사용되는 폴리락트산은 생분해성 고분자가 보편적으로 갖고 있는 환경친화, 생체적합 및 자원절약적인 성질에 덧붙여 다른 바이오 고분자에 비해 우수한 열 가공 특성을 갖고 있다. 특히 인체의 생리액에 직접 접촉하는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FDA 승인을 받은 물질이다.
폴리락트산은 락티드(lactides)의 축중합(condensation polymerization)에 의해 합성되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이며, 중합 원료인 락티드(lactide)는 주로 감자와 옥수수로부터 얻고, 옥수수 시럽과 같은 천연 식물성 당성분이 원료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특성으로 인하여, 폴리락트산은 생분해성 봉합사 재료나 정형외과에서 사용하는 이식용 재료로 30년 이상 임상에서 사용되어 왔고, 그 안전성이 입증된 재료이다.
또한 폴리락트산은 의약 방출 조절성 재료 또는 인조피부(artificial skin)에도 응용이 가능하다. 생체 내에서 폴리락트산은 가수분해에 의하여 분해되면서 동시에 약물을 방출하고, 분해되고 나면 젖산(lactic acid)으로 남게 되나, 이는 신진대사 통하여 인체에 전혀 무해한 H2O와 CO2로 분해된다.
폴리락트산은 L 형, D 형, 및 D,L 형의 입체 이성질체가 있으며, 상업적으로는 L형의 폴리-L-락트산(PLLA, Poly-L-Lactic Acid)고, D,L형의 폴리 D,L-락트산이 생산된다.
이 중에서, 폴리-L-락트산(PLLA, Poly-L-Lactic Acid)이 융점이 180℃이고 결정성수지이다. 반면에, D,L형의 폴리 D,L-락트산은 상당히 무정형이면서, 체내 분해가 빨리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체 내에 존재하는 폴리락트산은 L 형의 이성질체이며, 따라서 피부 미용 필러 재료로는 결정성이 높은 폴리-L-락트산(PLLA)이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조직 수복용 물질로서 체내에서 분해기간을 1 년 이상 장기간 유지하면서 조직 수복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기 위하여, 그 재료로서 폴리락트산 중에서 생체 적합성이 우수하고, 결정성이 높은 폴리-L-락트산(PLLA)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조직 수복용 물질에 사용되는 폴리-L-락트산은 시술을 위해 삽입되는 피하 또는 피부 내에 1년 이상 동안 체내에서 재흡수되지 않고 형태를 유지하고 지속함으로써, 이러한 조직 수복용 물질 상에서 피하조직을 구성하는 섬유증이 형성되어 주름 제거를 위한 미용 필러 등의 조직 수복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폴리-L-락트산이라고 해도 100% L 형만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약 15%정도까지 D 형을 포함하더라도 여전히 결정성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폴리-L-락트산은 100% L 형의 결정성 폴리락트산 또는 D 형을 최대 15%까지 포함하는 L형과 D형이 혼합된 폴리락트산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직 수복용 물질은 상기 폴리락트산을 녹는 점 이상으로 가열하여 용융한 후, 이를 다양한 방법으로 성형하고, 냉각시켜 고화시킨 결과물, 즉 용융 고화물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예를 들어, 폴리락트산의 용융 고화물은, 녹는점 이상으로 가열해 녹인 후, 소정 형상의 몰드에 주입하여 성형되거나, 또는 다이를 통해서 압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종래에는 폴리락트산을 유기 용매를 이용해 녹인 이후에, 습식 공정으로 방사 등을 한 후에 고화시켜서, 폴리락트산을 고상 기둥모양으로 제조하는 공정이 사용되었다. 하지만, 이와 같이 습식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락트산의 고형물은 고화 과정에서 유기 용매가 배출되는 과정을 반드시 거치게 되어, 용매가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내부에 기공이 많이 형성되고, 그 표면이 거친 형태를 가질 수밖에 없다. 그 결과, 얻어진 폴리락트산의 고형물은 그 표면 및 내부에 존재하는 기공 등의 결함이 분해를 가속화 시키는 요인이 된다. 게다가, 이와 함께 가공을 위해 사용된 유기 용매의 제거가 완벽하게 이뤄지지 않아 조직 수복용 물질로 사용되는 경우 잔류하는 유기 용매로 인해 체내에서 부작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폴리락트산 원료물질 자체를 밀링 머신 등의 방법으로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방법도 고려가 될 수 있으나, 생산성이나, 얻어지는 형상의 균일성, 제조 과정의 오염 등의 문제가 여전히 존재할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조직 수복용 물질은 폴리락트산의 용융 고화물을 포함하므로, 용매의 배출 등의 과정이 필요 없어, 그 표면이 매끄러워 멸균공정 후 미생물 및 세균이 증식할 결함 등이 일절 없고, 내부에도 기공형성이 거의 없어, 기공 부분에서 분해가 가속화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전 영역이 균일하게 분해되어, 체내 지속기간이 현저하게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조직 수복용 물질은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고 있음에 따라, 섬유성 결합조직의 중요한 성분을 이루는 섬유아세포(fibroblast)가 조직 수복용 물질의 표면에 부착하는 것을 촉진하고, 콜라겐의 합성을 가속화시키는 장점이 있다.
한편, 폴리락트산을 녹는점 이상에서 가열해 녹인 후 몰드 혹은 다이를 이용해 기둥모양을 성형하는 경우에는, 폴리락트산을 용융하는 과정에서 온도, 시간, 잔존 촉매량 및 수분율 등의 여러 가지 영향으로 폴리락트산의 분해에 따른 분자량 감소가 발생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폴리락트산의 용융 및 고화 과정에서 분자량의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용융되기 전 폴리락트산이 높은 분자량을 갖는 것을 사용하여 조직 수복용 물질을 제조하였다.
즉, 상기 조직 수복용 물질을 이루는 폴리락트산은 용융 성형 이전에 수평균 분자량이 50,000 이상, 바람직하게는 50,000 내지 700,000, 더 바람직하게는 100,000 내지 500,000이며, 용융 성형 이후 수평균 분자량이 30,000 이상, 바람직하게는 30,000 내지 500,000, 더 바람직하게는 50,000 내지 300,000이어야 한다.
상기 폴리락트산의 수평균 분자량이 이러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용융 및 고화 공정을 통하여 기둥모양의 형상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분자량의 감소가 최소화 되거나, 설사 분자량의 감소가 있다고 하더라도,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조직 수복용 물질이 상대적으로 고분자량 물질이 될 수 있어 조직 수복용 물질의 체내 지속기간이 1년 이상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수복용 물질은 소정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기둥모양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도 1a 및 1b를 참조하면, 이러한 단면 형태는 원형 또는 사각형일 수 있고, 그 외의 다양한 형태도 가능하다. 특히, 원 기둥모양의 경우는 바늘을 통한 체내 주입에 가장 바람직한 형태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조직 수복용 물질이 마이크로 입자 형태가 아닌 기둥모양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주사 바늘 등을 통해 주입이 용이하고, 또한 길이 조절을 통해 주입량 조절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조직 수복용 물질의 평균 단면 직경은, 주사 바늘을 통해 주입이 가능할 정도로 조절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08 내지 0.5 mm,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4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 내지 0.3 mm이다.
상기 조직 수복용 물질이 상기 범위의 평균 단면 직경을 갖고 길이 방향으로 긴 기둥 모양 형상을 가짐으로써, 그 평균 단면 직경이 피부 내 주입 가능한 수준의 바늘의 내경 보다 작은 형태이며, 길이방향으로 긴 형태를 띠어 주사 바늘 내 삽입이 용이하다, 한편 상기 조직 수복용 물질의 평균 단면 직경이 0.08 mm 보다 작으면 조직 수복용 물질 자체의 강도를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체내 분해 기간이 1년 이상 보장되기가 곤란하고, 또한 평균 단면 직경이 0.5 mm를 초과하면 이를 피부 내 주입 시에 바늘로 인한 흉터 및 피부 자극을 커져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조직 수복용 물질의 길이는 조직 수복용 물질을 주입되는 신체 부위에 따른 최적화된 효능의 발휘를 위해 다양한 바늘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다만, 바늘의 최대길이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직 수복용 물질의 체내 분해와 관련된 요인으로 조직 수복용 물질의 재료인 폴리락트산에 잔존하는 모노머의 함량과 수분율도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잔존 모노머 및 수분의 함량은 제조과정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는 수준을 그 조건 범위로 설정하되, 전체 조직 수복용 물질 중량 대비하여 잔존 모노머의 함량은 2 중량% 이내이며, 수분율은 0.3 중량%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조직 수복용 장치는,
(a) 주사 바늘 및 (b) 상기 주사 바늘의 관통구에 삽입된 전술한 조직 수복용 물질을 포함한다.
도 2에 따르면, 상기 조직 수복용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수복용 물질(1)이 주사 바늘(2)의 관통구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주사 바늘의 길이는 장착되는 조직 수복용 물질의 길이 및 시술할 부위 등을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주사 바늘의 외부로 노출된 길이가 10 내지 300 mm,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200 mm, 더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50 mm 일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수복용 장치는 상기 조직 수복용 물질(11)을 주사 바늘(12)의 외면에 고정시키는 고정체(1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체는 주사 바늘의 외면에 조직 수복용 물질을 고정시킬 수 있고, 취급이 용이한 재료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스펀지, 또는 솜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조직 수복용 장치를 이용한 조직 수복 방법은 하기와 같다.
먼저 주사 바늘의 관통구에 본 발명의 조직 수복용 물질을 삽입하고, 일부는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하고, 시술할 신체의 피하 또는 피부의 부위에 조직 수복 물질이 위치할 수 있도록 주사 바늘을 삽입한다.
이때, 시술 부위의 크기에 따라서 주사 바늘이 피부 부위 등에 삽입되는 영역과, 그에 따른 조직 수복용 물질의 길이 등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시술 부위가 넓은 경우에는, 삽입되는 조직 수복용 물질을 충분히 길게 하여 한 번에 처치할 수도 있고, 수회에 걸쳐서 나누어 수개의 조직 수복용 물질이 삽입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L-락타이드를 스테이너스 옥토에이트 촉매를 이용하여 230 ℃에서 중합하여 얻은 수평균 분자량 189,000의 폴리-L-락트산을 100 ℃에서 6 시간 감압 건조한 후, 실린더 온도 200 ℃의 2 축 혼련 압출기에 제공하고 용융 혼련하여 균질화한 후에 칩화한 조성물을 얻었다. 이 조성물을 사용하여, 배럴 온도 200 ℃, 금형 온도 20 ℃의 사출 성형기로, 수평균 분자량 121,000의 폴리-L-락트산으로 이루어진 직경 0.2 mm 및 길이 5 mm의 원기둥 형상으로 조직 수복용 물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수평균 분자량 110,372의 폴리-L-락트산을 이용하여 수평균 분자량이 53,900의 폴리-L-락트산으로 이루어진 원기둥 형상의 조직 수복용 물질을 얻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직 수복용 물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수평균 분자량 82,300의 폴리-L-락트산을 이용하여 수평균 분자량이 32,800의 폴리-L-락트산으로 이루어진 원기둥 형상의 조직 수복용 물질을 얻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직 수복용 물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수평균 분자량 110,372의 폴리-L-락트산을 이용하여 수평균 분자량이 53,200의 폴리-L-락트산으로 이루어진 직경 0.08 mm 및 길이 5 mm의 원기둥 형상의 조직 수복용 물질을 얻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직 수복용 물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수평균 분자량 110,372의 폴리-L-락트산을 이용하여 수평균 분자량이 54,600의 폴리-L-락트산으로 이루어진 직경 0.5 mm 및 길이 5 mm의 원기둥 형상의 조직 수복용 물질을 얻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직 수복용 물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수평균 분자량 40,100의 폴리-L-락트산을 이용하여 수평균 분자량이 18,600의 폴리-L-락트산으로 이루어진 원기둥 형상의 조직 수복용 물질을 얻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직 수복용 물질을 제조하였다.
체내( in - vivo ) 분해 특성 평가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조직 수복용 물질을 23G의 주사바늘을 이용해 래트의 피하에 삽입한 후, 1, 3, 6, 12달 간격으로 조직 내에서 수거하여 분해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분자량을 측정하고, 육안으로 관찰해보았다.
분자량은 GPC를 통해서 수평균 분자량(Mn)을 측정하였는데, 그 수평균 분자량이 300이하가 된다는 것은 폴리락트산이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 수준으로 수준으로 분해가 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이는 육안 관찰을 통해서도, 수평균 분자량 값이 300 이하로 내려간 경우에는 형태를 판별할 수 없을 정도로 분해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체내 분해 특성 평가를 한 결과는 도 4로 나타내었다.
도 4를 참조하면, 수평균 분자량이 30,000 이상인 실시예 1 내지 5의 조직수평균 수복용 물질은 모두 체내에 주입한 후 1년이 경과한 시점에도 수평균 분자량이 300 이상으로 체내에서 완전히 분해되지 않고 잔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수평균 분자량이 32,800인 실시예 3의 경우 1년 경과시점의 분자량이 900으로 관찰되었으며, 육안으로도 상당수가 분해된 폴리락트산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부서진 형태로 조직수복능력을 여전히 발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외, 실시예 1, 2, 4, 및 5와 같이 더 큰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락트산을 이용한 조직 수복용 물질의 경우에는 체내 주입 후에 1년 경과시점에도 상당수가 분해되지 않은 상태로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수평균 분자량이 30,000 이하인 18,600의 폴리-L-락트산을 사용한 비교예 1의 경우에는 체내에 주입한 후 약 6개월이 경과했을 때, 수평균 분자량 값이 300 이하 (180 정도)로 내려가 모두 분해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는 육안으로도 분해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1년이 경과한 시점에는 체내에 주입된 조직 수복용 물질이 존재하지 않아 분자량 측정을 할 수가 없었다.
이로부터, 장기간 지속 가능한 조직수복용 물질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그 재료인 폴리락트산의 수평균 분자량이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수평균 분자량이 30,000 이상인 경우에는 1년 이상 동안 완전 분해가 되지 않고 조직 수복용 기능을 발휘할 수 있었다. 또한, 위의 발명으로 제시된 조직 수복용 물질은 6개월간만 효능 지속이 가능한 히아루론산 제형 대비 효능이 장기간 지속되어 장점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1, 11: 조직 수복용 물질
2, 12: 주사 바늘
14: 고정체

Claims (5)

  1. 폴리락트산의 용융 고화물을 포함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0.08 내지 0.5 mm의 평균 단면 직경을 갖는 기둥모양의 형상을 구비하고, 체내에서 분해기간이 1년 이상이며,
    상기 폴리락트산이 결정성의 폴리-L-락트산이고, 상기 폴리락트산의 용융 고화물이 30,000 이상의 수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조직 수복용 물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락트산의 용융 고화물이 30,000 내지 500,000의 수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수복용 물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락트산의 용융 고화물이 폴리락트산을 녹는 점 이상으로 가열하여 용융한 후, 이를 몰드에 주입하여 성형되거나 또는 다이를 통해서 압출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수복용 물질.
  4. (a) 주사 바늘; 및
    (b) 상기 주사 바늘의 관통구에 삽입된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직 수복용 물질을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 수복용 물질을 주사 바늘의 외면에 고정시키는 고정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수복용 장치.
KR1020140028302A 2014-03-11 2014-03-11 조직 수복용 물질 및 이를 구비하는 조직 수복용 장치 KR201501061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302A KR20150106161A (ko) 2014-03-11 2014-03-11 조직 수복용 물질 및 이를 구비하는 조직 수복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302A KR20150106161A (ko) 2014-03-11 2014-03-11 조직 수복용 물질 및 이를 구비하는 조직 수복용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7100A Division KR20160048741A (ko) 2016-04-18 2016-04-18 조직 수복용 물질 및 이를 구비하는 조직 수복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161A true KR20150106161A (ko) 2015-09-21

Family

ID=54245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8302A KR20150106161A (ko) 2014-03-11 2014-03-11 조직 수복용 물질 및 이를 구비하는 조직 수복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616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0982B1 (en) Plasticizable implant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11617813B2 (en) Method for preparing high-functional suture yarn coated with hyaluronate and high-functional suture yarn prepared therefrom
JP5914493B2 (ja) 生体吸収性重合化合物、その処理方法、及び医療デバイス
JP2018531123A6 (ja) ヒアルロン酸塩がコーティングされた高機能性縫合糸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より製造された高機能性縫合糸
AU2017377761B2 (en) Porous microparticles of biodegradable polymer, and polymer filler comprising same
KR20160091960A (ko) 정밀하게 제어가능한 흡수 속도를 갖는 흡수성 중합체 블렌드 조성물, 가공 방법, 및 그로부터의 치수 안정한 의료 장치
CN107325307A (zh) 一种聚乳酸复合生物膜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20190132113A (ko) 생분해성 고분자의 다공성 미립자를 포함하는 성형 필러 조성물
CN115175640A (zh) 用于骨缺损重建的可再吸收的植入物
KR102378824B1 (ko)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용 생분해성 고분자 실 필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33487A (ko) 기능성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JP6893910B2 (ja) 構造記憶特性を有する細胞増殖用足場
KR20190012958A (ko) 폴리디옥시리보뉴클레오타이드가 코팅된 의료용 봉합사 및 그의 제조방법
RU2009134037A (ru) Формуемый, биодеградируемый материал
KR20160048741A (ko) 조직 수복용 물질 및 이를 구비하는 조직 수복용 장치
KR20080066980A (ko) 공막돌륭술 밴드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106161A (ko) 조직 수복용 물질 및 이를 구비하는 조직 수복용 장치
Madaghiele et al. Tailoring the pore structure of foam scaffolds for nerve regeneration
KR102287890B1 (ko) 두개악안면부 재건용 임플란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해 제조된 임플란트
Gupta et al. Processing of PLA/PLLA-based composites for medical device applications
CN220109824U (zh) 一种髓内钉系统用锁紧件
Castro et al. Self-healing properties of augmented injectable hydrogels over time
KR102547502B1 (ko) 의료 보형물
KR102141487B1 (ko) 인장강도와 유연성이 개선된 생분해성 수술사 및 그 제조방법
Samizadeh Check for Thread Types and Materials Souphiyeh Samizadeh and Sorousheh Samizade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