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5868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5868A
KR20150105868A KR1020140027981A KR20140027981A KR20150105868A KR 20150105868 A KR20150105868 A KR 20150105868A KR 1020140027981 A KR1020140027981 A KR 1020140027981A KR 20140027981 A KR20140027981 A KR 20140027981A KR 20150105868 A KR20150105868 A KR 20150105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rail
rail assembly
main body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7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0016B1 (ko
Inventor
김현수
박세윤
박영민
부민혁
이종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7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016B1/ko
Priority to US14/641,842 priority patent/US9459040B2/en
Publication of KR20150105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5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7Suppor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본체의 양측벽들에서 이격되도록 저장실의 중앙에 마련되는 중앙 프레임으로서, 본체의 후벽에 지지되는 후방 결합부와, 선반을 지지하도록 후방 결합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호 수직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의 암부들과, 복수의 암부들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복수의 암부들을 연결시키는 수직 보강부를 갖는 중앙 프레임을 포함하여, 저장실의 좌측과 우측에 배치되는 선반들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선반을 지지하도록 저장실의 중앙에 마련되는 중앙 프레임을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본체와,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저장실과,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장치를 구비하여, 식품을 신선하게 저장하는 가전 기기이다.
저장실에는 식품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선반이 마련된다. 일반적으로 저장실의 좌우 공간이 넓은 FDR 형 냉장고 등에 있어서, 저장실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별개의 선반이 마련되고, 선반은 본체의 후벽에 지지된다.
선반이 본체의 후벽에만 지지되므로 이러한 선반을 소위 캔틸레버 선반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캔틸레버 선반은 후방에 걸림 고리가 형성되고, 본체의 후벽에는 걸림 고리가 결합되는 걸림 홀들이 수직 방향으로 높이가 다르게 배열된다. 따라서, 걸림 고리를 원하는 걸림 홀에 결합시킴으로써 캔틸레버 선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캔틸레버 선반은 걸림 고리를 걸림 홀에 결합하여 본체의 후벽에 고정시키거나, 걸림 고리를 걸림 홀에서 분리하여 캔틸레버 선반을 저장실에서 완전히 탈거할 수 있을 뿐, 캔틸레버 선반을 전후로 이동시킬 수 없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저장실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선반이 배치되는 냉장고에 있어서, 좌측의 선반과 우측의 선반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에 마련되는 선반; 및 상기 본체의 양측벽들에서 각각 이격되도록 상기 저장실의 중앙에 마련되는 중앙 프레임으로서, 상기 본체의 후벽에 지지되는 후방 결합부와, 상기 선반을 지지하도록 상기 후방 결합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호 수직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의 암부들과, 상기 복수의 암부들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상기 복수의 암부들을 연결시키는 수직 보강부를 갖는 중앙 프레임;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암부는 상기 암부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커지도록 마련되는 경사 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 결합부는 상기 중앙 프레임과 상기 본체의 후벽 간의 결합력을 강화하도록 상기 본체의 후벽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밀착 지지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지지 프레임은 상기 본체의 후벽과의 결합을 위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 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본체의 후벽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 돌기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는 후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고는 상기 선반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암부에 마련되는 레일 어셈블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암부에 고정되는 고정 레일과, 상기 고정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선반을 지지하는 이동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 레일은 상기 선반을 지지하는 선반 지지면과, 상기 선반과 연동하도록 돌출되는 연동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반은 상기 연동 돌기에 연동되는 연동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고는 상기 선반을 인출 및 인입하도록 상기 암부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손잡이 어셈블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 어셈블리는 상기 암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손잡이 본체와, 상기 손잡이 본체를 상기 레일 어셈블리의 이동 레일에 연결시키는 연결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손잡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를 회전시키는 조작 부재; 및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 운동에 연동하여 직선 운동하도록 상기 회전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레일 어셈블리의 이동 레일에 연결되거나 연결 해제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 어셈블리는, 상기 회전 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상기 조작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고정 돌기;와, 상기 고정 돌기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을 갖는 고정 부재; 및 상기 고정 돌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 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 어셈블리의 이동 레일은 상기 연결 부재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연결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저장실;과, 상기 본체의 좌측벽에 마련되는 제 1 레일 어셈블리;와, 상기 본체의 양측벽들에서 각각 이격되도록 상기 저장실의 중앙에 마련되는 제 2 레일 어셈블리와, 제 3 레일 어셈블리;와, 상기 본체의 우측벽에 마련되는 제 4 레일 어셈블리;와, 상기 제 1 레일 어셈블리와 상기 제 2 레일 어셈블리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1 선반; 및 상기 제 3 레일 어셈블리와 상기 제 4 레일 어셈블리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2 선반;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 2 레일 어셈블리와, 상기 제 3 레일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중앙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에 마련되는 선반; 및 상기 본체의 양측벽들에서 각각 이격되도록 상기 저장실의 중앙에 마련되는 중앙 선반 지지부로서, 상기 선반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일 어셈블리와, 상기 레일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암부를 갖는 중앙 선반 지지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중앙 선반 지지부는 상기 선반을 인출 및 인입하도록 상기 암부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손잡이 어셈블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암부에 고정되는 고정 레일과, 상기 고정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선반을 지지하는 이동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 어셈블리는 상기 이동 레일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저장실의 좌측과 우측에 선반이 장착되는 냉장고에 있어서, 좌측의 선반과 우측의 선반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선반들과, 이를 지지하는 좌측 레일 어셈블리들과, 우측 레일 어셈블리들과, 중앙 선반 지지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냉장고의 중앙 선반 지지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냉장고의 중앙 지지 프레임을 도시한 후방 사시도.
도 5는 도 1의 냉장고의 중앙 지지 프레임이 본체의 후벽에 결합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도 1의 냉장고의 중앙 지지 프레임과, 레일 어셈블리들과, 손잡이 어셈블리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도 1의 냉장고의 좌측 레일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1의 냉장고의 제 1 선반이 중앙 선반 지지부에 장착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1의 냉장고의 손잡이 어셈블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1의 냉장고의 손잡이 어셈블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손잡이 어셈블리의 조작 부재를 통과하는 일 면에 따라 자른 평단면도.
도 11은 도 1의 냉장고의 손잡이 어셈블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으로, 손잡이 어셈블리의 상부 연결 부재를 통과하는 일 면에 따라 자른 평단면도.
도 12 내지 도 14는 도 1의 냉장고의 손잡이 어셈블리의 조작 부재의 위치에 따른 선반들의 인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 내지 도 16은 도 1의 냉장고의 선반의 회전에 의한 선반의 높이 조절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저장실들(5,6)과, 저장실들(5,6)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전방이 개구된 대략 박스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고, 저장실들(5,6)을 형성하는 내상(11,도 3)과, 내상(11)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과, 내상(11)과 외상의 사이에 마련되는 단열재(12,도 3)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는 상부벽(14)과, 좌측벽(15)과, 우측벽(16)과, 후벽(17)과, 바닥(18)과, 저장실들(5,6)을 구획하는 수평 격벽(19)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실들(5,6)은 수평 격벽(19)에 의해 상측의 냉장실(5)과, 하측의 냉동실(6)로 상호 구획될 수 있다. 냉장실(5)과 냉동실(6)은 각각 식품을 출납할 수 있도록 전면이 개방되게 마련되고, 개방된 전면은 도어들(2,3,4)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냉장실(5)은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회전 도어들(2,3)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냉동실(6)은 본체(10)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슬라이딩 도어(4)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냉기 공급 장치(미도시)는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장치들(미도시)과 송풍팬(미도시) 등을 포함하고, 냉기를 생성하여 냉장실(5)과 냉동실(6)에 공급할 수 있다.
냉장실(5)에는 식품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선반들(210,220,230,240)이 마련될 수 있다. 선반들(210,220,230,240)은 냉장실(5)의 좌측 상부에 배치되는 제 1 선반(210)과, 우측 상부에 배치되는 제 2 선반(220)과, 좌측 하부에 배치되는 제 3 선반(230)과, 우측 하부에 배치되는 제 4 선반(2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선반(210)과 제 2 선반(220)은 대략 서로 같은 높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제 3 선반(230)과 제 4 선반(240)은 대략 서로 같은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3 선반(230)과 제 4 선반(240)의 아래에는 식품을 밀폐 저장할 수 있는 저장 박스들(7,8)이 마련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선반들(210,220,230,240)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선반들(210,220,230,240)을 전방으로 인출하여 식품을 올려 놓거나 꺼낼 수 있고, 식품을 올려 놓거나 꺼낸 후에 선반들(210,220,230,240)을 다시 후방으로 인입할 수 있어서, 사용 편리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선반들(210,220,230,240)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유는, 선반들(210,220,230,240)이 냉장실(5)의 중앙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마련되는 중앙 선반부(20)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이다.
참고로, 종래의 캔틸레버 선반의 경우에 캔틸레버 선반이 후벽에 장착 아니면 탈거만 가능할 뿐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중앙 선반부(20)의 구성에 대해 상술한다.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선반들과, 이를 지지하는 좌측 레일 어셈블리들과, 우측 레일 어셈블리들과, 중앙 선반 지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냉장고의 중앙 선반 지지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냉장고의 중앙 지지 프레임을 도시한 후방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냉장고의 중앙 지지 프레임이 본체의 후벽에 결합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냉장고의 중앙 지지 프레임과, 레일 어셈블리들과, 손잡이 어셈블리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냉장고의 좌측 레일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냉장고의 제 1 선반이 중앙 선반 지지부에 장착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들(210,220,230,240)은 레일 어셈블리들(110,120,130,140,150,160,170,180)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선반(210)은 제 1 레일 어셈블리(110)와, 제 2 레일 어셈블리(120)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 2 선반(220)은 제 3 레일 어셈블리(120)와, 제 4 레일 어셈블리(140)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 3 선반(230)은 제 5 레일 어셈블리(150)와, 제 6 레일 어셈블리(160)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 4 선반(240)은 제 7 레일 어셈블리(170)와, 제 8 레일 어셈블리(180)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좌측의 제 1 레일 어셈블리(110)와, 제 5 레일 어셈블리(150)는 본체의 좌측벽(15)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우측의 제 4 레일 어셈블리(140)와, 제 8 레일 어셈블리(180)는 본체의 우측벽(16)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중앙의 제 2 레일 어셈블리(120)와, 제 3 레일 어셈블리(130)와, 제 4 레일 어셈블리(140)와, 제 5 레일 어셈블리(150)는 중앙 지지 프레임(30)에 마련될 수 있다.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선반부(20)는 중앙 지지 프레임(30)과, 레일 어셈블리들(120,130,160,170)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 지지 프레임(30)은 제 2 레일 어셈블리(120)와, 제 3 레일 어셈블리(130)와, 제 6 레일 어셈블리(160)와, 제 7 레일 어셈블리(17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중앙 지지 프레임(30)은 본체(10)의 양측벽들(15,16)에서 이격되도록 냉장실(5)의 중앙에 마련될 수 있다. 중앙 지지 프레임(30)은 본체(10)의 후벽(17)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지지 프레임(30)은 구체적으로, 본체(10)의 후벽(17)에 결합되는 후방 결합부(31)와, 레일 어셈블리들(120,130,160,170)을 지지하도록 후방 결합부(31)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암부들(37,39)과, 복수의 암부들(37,39)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복수의 암부들(37,39)의 사이에 수직하게 마련되는 수직 보강부(41)를 포함할 수 있다.
후방 결합부(31)와, 복수의 암부들(37,39)과, 수직 보강부(41)는 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고, 별개로 마련되어 상호 조립될 수도 있다.
후방 결합부(31)는 본체(10)의 후벽(17)에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마련되는 밀착 지지면(36)을 포함할 수 있다. 밀착 지지면(36)과 후벽(17)의 밀착 면적이 넓어질수록 지지 프레임(30)과 후벽(17)의 결합력이 강화될 수 있다.
중앙 지지 프레임(30)은 밀착 지지면(36)에서 후방으로 돌출하는 걸림 돌기들(32,33,34,35)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 돌기들(32,33,34,35)이 본체(10)의 후벽(17)에 형성되는 걸림홀들(11a,11b)에 삽입됨으로써, 중앙 지지 프레임(30)이 본체(10)의 후벽(17)에 결합될 수 있다.
걸림 돌기들(32,33,34,35) 중에 적어도 일부(32,34)는 후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걸림 돌기들(32,34)은 아래 방향으로 절곡되는 후크 형상을 갖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걸림 돌기들(32,34)이 위로 절곡되는 후크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복수의 암부들(37,39)은 레일 어셈블리들(120,130,160,170)을 지지하도록 후방 결합부(31)에서 전방으로 연장된다. 복수의 암부들(37,39)은 상호 수직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상측 암부(37)와, 하측 암부(39)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 보강부(41)는 상측 암부(37)와, 하측 암부(39)를 연결하여 암부들(37,39)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앙 지지 프레임(30)은 본체(10)의 후벽(17)에 결합 및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으나, 선반들(210,220,230,240)에 올려지는 식품의 무게를 고려하여 냉장실(5)의 바닥면 또는 냉장실(5)에 배치된 저장 박스들(7,8,도 1)에 추가적으로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중앙 지지 프레임(30)의 하측 암부(39)가 냉장실(5)의 바닥면 또는 저장 박스들(7,8)에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지지 프레임(30)의 하측 암부(39)가 냉장실(5)의 저장 박스들(7,8)에 지지되고 있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측 암부(37)에는 제 2 레일 어셈블리(120)와, 제 3 레일 어셈블리(130)가 마련되고, 하측 암부(39)에는 제 6 레일 어셈블리(160)와, 제 7 레일 어셈블리(170)가 마련될 수 있다.
레일 어셈블리(120,130,160,170)들은 암부들(37,39)에 고정되는 고정 레일(121,131,161,171)과, 고정 레일(121,131,161,17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선반(121,122)을 지지하는 이동 레일(125,135,165,175)과, 그 사이에 마련되어 마찰을 저감시키는 볼들(124,134,도 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레일(121,131)은 구체적으로 레일 부재(122,132)와, 레일 부재(122,132)의 외측에 고정 결합되는 레일 커버(123,133)로 구성될 수 있다.
이동 레일(125,135) 역시 레일 부재(126,136)와, 레일 부재(126,136)의 외측에 고정 결합되는 레일 커버(127,137)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동 레일(125,135,165,175)이 고정 레일(121,131,161,171)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이동 레일(125,135,165,175) 위에 올려 놓인 선반(121,122)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레일 어셈블리(120)는 상측 암부(37)에 고정되는 고정 레일(121)과, 고정 레일(12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레일(1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 레일 어셈블리(130)는 상측 암부(37)에 고정되는 고정 레일(131)과, 고정 레일(13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레일(1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 6 레일 어셈블리(160)는 하측 암부(39)에 고정되는 고정 레일(161)과, 고정 레일(16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레일(165)을 포함할 수 있다.
제 7 레일 어셈블리(170)는 하측 암부(39)에 고정되는 고정 레일(171)과, 고정 레일(17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레일(175)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중앙 선반부(20)는 중앙 지지 프레임(30)과, 레일 어셈블리들(120,130,160,170)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손잡이 어셈블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 어셈블리(50)는 암부들(37,39)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레일 어셈블리들(120,130,160,170)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 레일(125,135,165,175)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 어셈블리(50)를 인출하거나 인입함으로써 이동 레일들(125,135,165,175)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손잡이 어셈블리(50)와 함께 인출되거나 인입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이동 레일들(125,135,165,175) 위에 올려 놓여진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선반(210,220,230,240)이 역시 인출되거나 인입될 수 있다.
손잡이 어셈블리(50)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서는 후에 설명한다.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선반들(210,220,230,240)을 지지하도록 본체(10)의 좌측벽(15) 및 우측벽(16)에 마련되는 제 1 레일 어셈블리(110)와, 제 4 레일 어셈블리(140)와, 제 5 레일 어셈블리(150)와, 제 8 레일 어셈블리(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측면의 레일 어셈블리들(110,140,150,180)은 전술한 중앙의 레일 어셈블리들(120,130,160,170)과 함께 선반들(210,220,230,240)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 측면의 레일 어셈블리들(110,140,150,180)의 구성은 모두 유사하므로, 이하에서 좌측 상부의 제 1 레일 어셈블리(110)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 어셈블리(110)는 본체(10)의 좌측벽(15)에 고정되는 고정 레일(111)과, 고정 레일(11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레일(115)과, 고정 레일(111)과 이동 레일(115)의 사이에 마련되어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볼들(114)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레일(111)과, 이동 레일(115)은 각각 레일 부재(112,116)와, 레일 부재(112,116)에 고정 결합되는 레일 커버(113,117)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이동 레일들(115,125,135,145,155,165,175,185)에 선반들(210,220,230,240)이 장착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모든 이동 레일들(115,125,135,145,155,165,175,185)에 공통적인 내용이므로, 제 1 이동 레일(115)과, 제 2 이동 레일(125)에 제 1 선반(210)이 장착되는 구조만 설명하고 나머지는 생략한다.
이동 레일(115,125)은 선반(210)을 지지하는 선반 지지면(117a,127a)과, 선반(210)에 연동하도록 선반 지지면(117a,127a)에서 돌출되는 연동 돌기(117b,127b)를 포함한다.
선반(210)은 선반 몸체(216)와, 선반 몸체(216)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마련되는 선반 프레임(211)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선반 프레임(211)의 좌우 측 중에 어느 일 측은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단차 형성부(212)와, 단차 형성부(212)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차부(213)를 가질 수 있다. 즉, 단차부(213)는 선반(210)의 다른 부분에 비해 높이가 높거나 낮을 수 있다. 이는 선반(210)의 회전에 따라 선반(21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한 내용은 후에 부연하기로 한다.
선반 프레임(211)에는 이동 레일(115,125)의 연동 돌기(117b,127b)가 삽입되는 연동홈(214,215)이 형성될 수 있다. 연동 돌기(117b,127b)가 연동홈(214,215)에 삽입됨으로써, 이동 레일(115,125)과 선반(210)의 이동이 연동될 수 있다.
연동 돌기(117b,127b)는 이동 레일(115,125)의 전단과 후단 사이에 어느 일 지점에든 마련될 수 있고, 이동 레일(115,125)의 후단에는 추가 연동 돌기(117c)가 마련될 수 있다. 추가 연동 돌기(117c)는 선반(210)의 후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선반(210)이 이동 레일(115,125)에 장착되면, 선반(210)과 이동 레일(115,125)이 상호 연동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선반(210)을 잡아 당기거나 밀면, 선반(210)을 지지하는 좌우의 제 1 이동 레일(115)과, 제 2 이동 레일(125)이 함께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것은 물론이고, 사용자가 제 2 이동 레일(125)을 잡아 당기거나 밀면, 이에 따라 역시 선반(210)과 제 1 이동 레일(115)이 함께 인출되거나 인입될 수 있다.
후술하는 본 발명의 손잡이 어셈블리(50)는 이러한 연동 구조를 이용하여, 선반(210)을 직접 잡지 않더라도 선반(210)을 인출시키거나 인입시키도록 한다.
도 9는 도 1의 냉장고의 손잡이 어셈블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냉장고의 손잡이 어셈블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손잡이 어셈블리의 조작 부재를 통과하는 일 면에 따라 자른 평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냉장고의 손잡이 어셈블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으로, 손잡이 어셈블리의 상부 연결 부재를 통과하는 일 면에 따라 자른 평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도 1의 냉장고의 손잡이 어셈블리의 조작 부재의 위치에 따른 선반들의 인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중앙 선반부(20)의 손잡이 어셈블리(50)에 대해 설명한다.
손잡이 어셈블리(50)는 사용자가 직접 선반들(210,220,230,240)을 잡고 인출 및 인입하는 대신에 사용자가 손잡이 어셈블리(50)를 인출 및 인입함으로써 선반들(210,220,230,240)을 편리하게 인출 및 인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어셈블리(50)는 중앙에 마련되고, 좌측과 우측의 선반들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출 및 인입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좌측의 선반(210,230)만을 인출 및 인입할 수도 있고, 우측의 선반(220,240)만을 인출 및 인입할 수도 있고, 좌측과 우측의 선반을 동시에 인출 및 인입할 수도 있다.
손잡이 어셈블리(50)는 중앙 지지 프레임(30)의 암부(37,39)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손잡이 본체(60)와, 손잡이 본체(60)를 레일 어셈블리(120,130,160,170)의 이동 레일(125,135,165,17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 수단을 포함한다. 손잡이 본체(60)의 전면에는 전면 커버(61)가 결합될 수 있다.
연결 수단은 손잡이 본체(60)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 부재(70)와, 회전 부재(70)를 회전 조작하도록 회전 부재(70)와 함께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조작 부재(80)와, 이동 레일(125,135,165,175)에 마련되는 연결 고리(127d,137d,도 3,도 11)에 연결되거나 연결 해제되도록 회전 부재(70)에 마련되는 연결 부재들(101,103,도 9,도 11)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부재(70)는 몇 차례 절곡되는 와이어 부재일 수 있다. 즉, 회전 부재(70)는 회전 몸체부(71,도 9)와, 회전 몸체부(71)의 상단에서 전방 측으로 절곡되는 상부 절곡부(72,도 11)와, 상부 절곡부(72)에서 다시 상측으로 절곡되는 상부 단부(73,도 11)와, 회전 몸체부(71)의 하단에서 전방 측으로 절곡되는 하부 절곡부(74,도 9)와, 하부 절곡부(74)에서 다시 상측으로 절곡되는 하부 단부(75)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부재(70)는 회전 몸체부(71)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회전 몸체부(71)는 제자리에서 회전하고 나머지 부분은 회전 몸체부(71)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손잡이 본체(60)에 고정된 회전 부재 지지부(63,도 9)는 회전 부재(7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부 단부(73)는 상부 연결 부재(101)에 형성된 삽입홈(102,도 11)에 삽입되어 상부 연결 부재(101)에 힘을 전달할 수 있고, 하부 단부(75)는 하부 연결 부재(103)에 형성된 삽입홈(104,도 9)에 삽입되어 힘을 전달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부재(70)가 회전 몸체부(71)를 중심으로 회전하면, 회전 부재(70)의 상부 단부(73)도 회전 몸체부(71)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부 단부(73)에 연결된 상부 연결 부재(101)가 도 11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손잡이 본체(60)에 마련된 연결 부재 가이드부(64,도 11)는 상부 연결 부재(101)의 이동이 대략 직선 이동이 되도록 상부 연결 부재(101)를 안내할 수 있다. 손잡이 본체(60)의 상부에는 상부 연결 부재(101)를 지지하는 상부 커버(65,도 9)가 결합될 수 있다.
상부 연결 부재(101)는 그 위치에 따라 제 2 레일 어셈블리(120)의 이동 레일(125)의 연결 고리(127d,도 3,도 11)에만 연결되거나, 제 3 레일 어셈블리(130)의 이동 레일(135)의 연결 고리(137d,도 3,도 11)에만 연결되거나, 또는 모두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따로 설명하지 않으나 하부 연결 부재(103) 역시 그 위치에 따라 제 6 레일 어셈블리(160)의 이동 레일(165)의 연결 고리에만 연결되거나, 제 7 레일 어셈블리(170)의 이동 레일(175)의 연결 고리에만 연결되거나, 또는 모두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0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 어셈블리(50)는 회전 부재(70)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조작 부재(80)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고정 돌기(84)와, 고정 돌기(84)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91,92,93)을 갖는 고정 부재(90)와, 고정 돌기(84)를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91,92,93) 측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 부재(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작 부재(80)에는 회전 부재(70)가 고정 결합되고, 따라서, 조작 부재(80)를 회전시키면 회전 부재(70)가 회전할 수 있다.
조작 부재(80)는 사용자가 터치하여 조작 부재(8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돌출되는 조작 노브(81)와, 탄성 부재(83)가 설치되는 탄성 부재 설치부(82)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 노브(81)는 전면 커버(62)의 개구(6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탄성 부재 설치부(82)는 회전 부재(70)를 중심으로 조작 노브(81)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 부재(90)는 3 개의 고정홈들(91,92,93)을 가질 수 있다. 고정 돌기(84)가 3 개의 고정홈들(91,92,93) 중에 어느 하나에 삽입되면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회전 부재(70)는 고정될 수 있다.
고정홈들(91,92,93)은 제 1 고정홈(91)과, 제 2 고정홈(92)과, 제 3 고정홈(93)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 부재 설치부(82)는 회전 부재(70)를 중심으로 조작 노브(81)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므로, 조작 노브(81)를 전방에서 보아 좌측으로 돌리면, 고정 돌기(84)는 제 3 고정홈(93)에 고정되고, 회전 부재(70)는 도 10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1 연결 부재(101)는 제 2 레일 어셈블리(120)의 이동 레일(125)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조작 노브(81)를 전방에서 보아 우측으로 돌리면, 고정 돌기(84)는 제 1 고정홈(91)에 고정되고, 회전 부재(70)는 도 10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1 연결 부재(101)는 제 3 레일 어셈블리(130)의 이동 레일(135)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조작 노브(81)를 가운데에 두면, 고정 돌기(84)는 제 2 고정홈(92)에 고정되고, 제 1 연결 부재(101)은 제 2 레일 어셈블리(120)의 이동 레일(125)과, 제 3 레일 어셈블리(130)의 이동 레일(135)에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회전 부재(70)의 상부 단부(73)는 상부 연결부(101)에 연결되고, 회전 부재(70)의 하부 단부(75)는 하부 연결부(103)에 연결되는 바, 하부 연결부(103)와 제 6 레일 어셈블리(160) 또는 제 7 레일 어셈블리(170)의 연결 관계도 상부 연결부(101)와 제 2 레일 어셈블리(120) 또는 제 3 레일 어셈블리(130)의 연결 관계와 같게 된다.
즉, 결과적으로, 조작 노브(81)를 좌측으로 두고 손잡이 어셈블리(50)를 인출 및 인입 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상부의 제 1 선반(210)과, 좌측 하부의 제 3 선반(230)이 함께 인출 및 인입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노브(81)를 우측으로 두고 손잡이 어셈블리(50)를 인출 및 인입하면, 우측 상부의 제 2 선반(220)과, 우측 하부의 제 4 선반(240)이 인출 및 인입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노브(81)를 가운데에 두고 손잡이 어셈블리(50)를 인출 및 인입하면, 모든 선반들(210,220,230,240)이 인출 및 인입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6은 도 1의 냉장고의 선반의 회전에 의한 선반의 높이 조절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선반(210)의 선반 프레임(211)의 좌우 측 중에 어느 일 측은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단차 형성부(212,도 8)와, 단차 형성부(212, 도 8)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차부(213)를 가지므로, 도 15 및 도 16에서 볼 수 있듯이, 선반(210)을 180도 회전하면 선반(210)의 위 아래가 리버스되면서 선반(210)의 높이가 변할 수 있다.
물론, 선반(210)을 양 측에서 각각 지지하는 제 1 레일 어셈블리(110)의 선반 지지면(117a,도 8)과, 제 2 레일 어셈블리(120)의 선반 지지면(127a,도 8)의 높이는 선반(210)의 단차 형성부(212)의 높이만큼 상호 높이차를 가지고 있어야 선반(210)을 제대로 놓든 리버스하여 놓든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선반은, 냉장실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고, 나아가 높이 조절도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이 증대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냉장고 2 : 좌도어
3 : 우도어 4 : 슬라이딩 도어
5 : 냉장실 6 : 냉동실
7 : 저장 박스 8 : 저장 박스
10 : 본체 11 : 내상
11a,11b : 걸림홈 12 : 단열재
13 : 외상 14 : 상부벽
15 : 좌측벽 16 : 우측벽
17 : 후벽 18 : 바닥
19 : 수평 격벽 20 : 중앙 선반 지지부
30: 중앙 프레임 31 : 후방 결합부
32 : 제 1 걸림 돌기 33 : 제 2 걸림 돌기
34 : 제 3 걸림 돌기 35 : 제 4 걸림 돌기
36 : 밀착 지지면 37 : 상측 암부
38 : 경사 보강부 39 : 하측 암부
40 : 경사 보강부 41 : 수직 보강부
50 : 손잡이 어셈블리 60 : 손잡이 본체
61 : 전면 커버 62 : 개구
63 : 회전 부재 지지부 64 : 연결 부재 가이드부
65 : 상부 커버 70 : 회전 부재
71 : 회전 몸체부 72 : 상부 절곡부
73 : 상부 단부 74 : 하부 절곡부
75 : 하부 단부 76 : 날개부
80 : 조작 부재 81 : 조작 노브
82 : 탄성 부재 설치부 83 : 탄성 부재
84 : 고정 돌기 90 : 고정부
91 : 제 1 고정홈 92 : 제 2 고정홈
93 : 제 3 고정홈 101 : 상부 연결 부재
102 : 삽입홈 103 : 하부 연결 부재
104 : 삽입홈 110 : 제 1 레일 어셈블리
111 : 고정 레일 112 : 레일 부재
113 : 레일 커버 114 : 볼
115 : 이동 레일 116 : 레일 부재
117 : 레일 커버 117a : 선반 지지면
117b : 연동 돌기 117c : 연동 돌기
120 : 제 2 레일 어셈블리 121 : 고정 레일
122 : 레일 부재 123 : 레일 커버
124 : 볼 125 : 이동 레일
126 : 레일 부재 127 : 레일 커버
127a : 선반 지지면 127b : 연동 돌기
127d : 연결 고리 130 : 제 3 레일 어셈블리
131 : 고정 레일 132 : 레일 부재
133 : 레일 커버 134 : 볼
135 : 이동 레일 136 : 레일 부재
137 : 레일 커버 137a : 선반 지지면
137b : 연동 돌기 137d : 연결 고리
140 : 제 4 레일 어셈블리 150 : 제 5 레일 어셈블리
160 : 제 6 레일 어셈블리 170 : 제 7 레일 어셈블리
180 : 제 8 레일 어셈블리 210 : 제 1 선반
211 : 선반 프레임 212 : 단차 형성부
213 : 단차부 214 : 단차부 연동홈
215 : 선반 프레임 연동홈 216 : 선반 몸체
220 : 제 2 선반 230 : 제 3 선반
240 : 제 4 선반

Claims (20)

  1.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에 마련되는 선반들; 및
    상기 본체의 양측벽들에서 각각 이격되도록 상기 저장실의 중앙에 마련되는 중앙 프레임으로서, 상기 본체의 후벽에 지지되는 후방 결합부와, 상기 선반들을 지지하도록 상기 후방 결합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호 수직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의 암부들과, 상기 복수의 암부들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상기 복수의 암부들을 연결시키는 수직 보강부를 갖는 중앙 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는 상기 암부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커지도록 마련되는 경사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결합부는 상기 중앙 프레임과 상기 본체의 후벽 간의 결합력을 강화하도록 상기 본체의 후벽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밀착 지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지지 프레임은 상기 본체의 후벽과의 결합을 위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 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본체의 후벽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 돌기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는 후크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암부에 마련되는 레일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암부에 고정되는 고정 레일과, 상기 고정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선반을 지지하는 이동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레일은 상기 선반을 지지하는 선반 지지면과, 상기 선반과 연동하도록 돌출되는 연동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은 상기 연동 돌기에 연동되는 연동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을 인출 및 인입하도록 상기 암부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손잡이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어셈블리는 상기 암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손잡이 본체와, 상기 손잡이 본체를 상기 레일 어셈블리의 이동 레일에 연결시키는 연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손잡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 부재;
    상기 회전 부재를 회전시키는 조작 부재; 및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 운동에 연동하여 직선 운동하도록 상기 회전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레일 어셈블리의 이동 레일에 연결되거나 연결 해제되는 연결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어셈블리는,
    상기 회전 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상기 조작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고정 돌기;
    상기 고정 돌기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을 갖는 고정 부재; 및
    상기 고정 돌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 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어셈블리의 이동 레일은 상기 연결 부재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연결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저장실;
    상기 본체의 좌측벽에 마련되는 제 1 레일 어셈블리;
    상기 본체의 양측벽들에서 각각 이격되도록 상기 저장실의 중앙에 마련되는 제 2 레일 어셈블리와, 제 3 레일 어셈블리;
    상기 본체의 우측벽에 마련되는 제 4 레일 어셈블리;
    상기 제 1 레일 어셈블리와 상기 제 2 레일 어셈블리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1 선반; 및
    상기 제 3 레일 어셈블리와 상기 제 4 레일 어셈블리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2 선반;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레일 어셈블리와, 상기 제 3 레일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중앙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에 마련되는 선반; 및
    상기 본체의 양측벽들에서 각각 이격되도록 상기 저장실의 중앙에 마련되는 중앙 선반 지지부로서, 상기 선반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일 어셈블리와, 상기 레일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암부를 갖는 중앙 선반 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선반 지지부는 상기 선반을 인출 및 인입하도록 상기 암부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손잡이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암부에 고정되는 고정 레일과, 상기 고정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선반을 지지하는 이동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 어셈블리는 상기 이동 레일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40027981A 2014-03-10 2014-03-10 냉장고 KR102210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981A KR102210016B1 (ko) 2014-03-10 2014-03-10 냉장고
US14/641,842 US9459040B2 (en) 2014-03-10 2015-03-09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981A KR102210016B1 (ko) 2014-03-10 2014-03-10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5868A true KR20150105868A (ko) 2015-09-18
KR102210016B1 KR102210016B1 (ko) 2021-02-01

Family

ID=54017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7981A KR102210016B1 (ko) 2014-03-10 2014-03-10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59040B2 (ko)
KR (1) KR1022100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7772A (ko) * 2016-07-14 2018-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WO2019045403A1 (ko) * 2017-08-29 2019-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선반 브래킷 및 이를 갖춘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80602B (zh) * 2014-08-07 2016-05-25 海信容声(广东)冷柜有限公司 一种组合式层架结构
KR101708698B1 (ko) * 2015-02-13 2017-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559744B1 (ko) * 2018-06-20 2023-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EP3653975B1 (en) * 2018-11-16 2023-09-20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with an ice maker
US10670327B1 (en) * 2018-12-07 2020-06-02 Bsh Hausgeraete Gmbh Household cooling appliance comprising a shelf device
TR201912527A2 (tr) * 2019-08-21 2021-03-22 Bsh Ev Aletleri San Ve Tic As Ayrı plaka kısımları için spesifik merkezi çubuklu saklama rafı
KR20210026471A (ko) 2019-08-30 2021-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11047617B1 (en) * 2020-02-13 2021-06-29 Bsh Hausgeraete Gmbh Shelf assembly with specific carrier frame, and household cooling appliance with a shelf assembly
CN215809646U (zh) * 2021-03-29 2022-02-11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支架组件、搁盘组件与制冷器具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7619A (ja) * 2007-04-16 2008-11-06 Toshiba Corp 冷蔵庫
US20090056365A1 (en) * 2005-05-10 2009-03-05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Refrigerator Comprising an Extractably Guided Receptacle for Chilled Goods
KR20100001113A (ko) * 2008-06-26 2010-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20120146476A1 (en) * 2010-12-14 2012-06-14 Knape & Vogt Manufacturing Company Tolerance adaptive slide connection assemblies
KR20130045441A (ko) * 2011-10-26 2013-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15321A (en) * 1935-04-27 1938-04-26 Gen Motors Corp Refrigerating apparatus
US2292865A (en) * 1941-10-04 1942-08-11 Gen Electric Supporting means for storage receptacles
US2611675A (en) * 1947-05-09 1952-09-23 Int Harvester Co Shelf arrangement for refrigerators or the like
US2825617A (en) * 1955-10-12 1958-03-04 Whirlpool Co Variable drawer accessory for household refrigerators
JP3040150B2 (ja) * 1990-10-29 2000-05-08 松下冷機株式会社 冷蔵庫
US5813741A (en) * 1996-01-23 1998-09-29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Adjustable shelf for a refrigerator
JPH09280728A (ja) * 1996-04-16 1997-10-31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
KR19980056962A (ko) * 1996-12-30 1998-09-25 배순훈 다수개의 야채상자가 구비된 냉장고
DE202005021757U1 (de) * 2005-05-10 2009-10-0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ausziehbarem Kühlgutträger
US20070018548A1 (en) * 2005-05-27 2007-01-25 Maytag Corporation Refrigerator storage system
DE202005016883U1 (de) * 2005-07-19 2006-11-23 Liebherr-Hausgeräte Ochsenhausen GmbH Kühl- und/oder Gefriergerät
DE202006014616U1 (de) * 2006-09-22 2008-02-14 Eisfink Max Maier Gmbh & Co. Kg Einschubteil für einen Kühlschrank o.dgl.
CN102384630B (zh) * 2010-08-30 2016-08-17 博西华家用电器有限公司 导轨边框组件、搁盘及冰箱
DE102011006959A1 (de) * 2011-04-07 2012-10-1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und Fachboden dafür
US8905503B2 (en) * 2012-02-29 2014-12-09 General Electric Company Refrigerator appliance with a divider support
US20140265807A1 (en) * 2013-03-15 2014-09-18 Whirlpool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storage in a refrigerated appliance
KR102057987B1 (ko) * 2013-07-01 2019-12-20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냉장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56365A1 (en) * 2005-05-10 2009-03-05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Refrigerator Comprising an Extractably Guided Receptacle for Chilled Goods
US8398187B2 (en) * 2005-05-10 2013-03-1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aete Gmbh Refrigerator comprising an extractably guided receptacle for chilled goods
JP2008267619A (ja) * 2007-04-16 2008-11-06 Toshiba Corp 冷蔵庫
KR20100001113A (ko) * 2008-06-26 2010-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20120146476A1 (en) * 2010-12-14 2012-06-14 Knape & Vogt Manufacturing Company Tolerance adaptive slide connection assemblies
KR20130045441A (ko) * 2011-10-26 2013-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7772A (ko) * 2016-07-14 2018-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10174993B2 (en) 2016-07-14 2019-0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10677520B2 (en) 2016-07-14 2020-06-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WO2019045403A1 (ko) * 2017-08-29 2019-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선반 브래킷 및 이를 갖춘 냉장고
US11415365B2 (en) 2017-08-29 2022-08-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helf bracket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0016B1 (ko) 2021-02-01
US20150253064A1 (en) 2015-09-10
US9459040B2 (en) 2016-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05868A (ko) 냉장고
US9534833B2 (en) Basket for refrigerator
EP2438373B1 (en) Refrigerator
KR102440261B1 (ko) 냉장고
US8328302B2 (en) Refrigerator draw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JP6599458B2 (ja) 冷蔵庫
KR101871266B1 (ko) 냉장고
KR101896466B1 (ko) 냉장고
US20060152119A1 (en) Refrigerator
US20130257255A1 (en) Refrigerator
US10591204B2 (en) Refrigerator
KR20180013178A (ko) 냉장고
JP2018505378A (ja) 冷蔵庫
KR20170093530A (ko) 냉장고
KR102447530B1 (ko) 냉장고
US11391508B2 (en) Refrigerator
KR20130053593A (ko) 냉장고
KR102607011B1 (ko) 냉장고
CN115265056A (zh) 一种冰箱
JP2013057472A (ja) 冷蔵庫
KR20140119970A (ko) 냉장고
JP7190731B2 (ja) 冷蔵庫
KR20150106231A (ko) 냉장고
JP2021099171A (ja) 冷蔵庫
KR20100080971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