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5192A - 낚싯줄 스풀 - Google Patents
낚싯줄 스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05192A KR20150105192A KR1020150012017A KR20150012017A KR20150105192A KR 20150105192 A KR20150105192 A KR 20150105192A KR 1020150012017 A KR1020150012017 A KR 1020150012017A KR 20150012017 A KR20150012017 A KR 20150012017A KR 20150105192 A KR20150105192 A KR 2015010519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spool
- fishing line
- spool main
- ring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9966 trimm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676 Phragmites commun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6—Containers or holders for hooks, lines, sinkers, flie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과제)
원하는 낚싯줄을 인출하여 잘라낸 후에 스풀에 남은 낚싯줄의 끝을 용이하게 걸리게 할 수 있는 낚싯줄 스풀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낚싯줄을 권회하는 제1 스풀 본체(11)와 제1 스풀 본체(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줄고정부재(12)와 제1 스풀 본체(1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링(13)으로서, 제2 스풀 본체(21)와 접속되어, 제1 스풀 본체(11)를 제2 스풀 본체(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구성된 링(13)을 구비하고, 제1 스풀 본체(11)와 제2 스풀 본체(21)가 연결될 때, 제1 스풀 본체(11)와 제2 스풀 본체(21)는 낚싯줄을 줄고정부재(12)에 의해 고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간격(W)을 가지고 연결되도록 구성된 낚싯줄 스풀.
원하는 낚싯줄을 인출하여 잘라낸 후에 스풀에 남은 낚싯줄의 끝을 용이하게 걸리게 할 수 있는 낚싯줄 스풀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낚싯줄을 권회하는 제1 스풀 본체(11)와 제1 스풀 본체(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줄고정부재(12)와 제1 스풀 본체(1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링(13)으로서, 제2 스풀 본체(21)와 접속되어, 제1 스풀 본체(11)를 제2 스풀 본체(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구성된 링(13)을 구비하고, 제1 스풀 본체(11)와 제2 스풀 본체(21)가 연결될 때, 제1 스풀 본체(11)와 제2 스풀 본체(21)는 낚싯줄을 줄고정부재(12)에 의해 고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간격(W)을 가지고 연결되도록 구성된 낚싯줄 스풀.
Description
본 발명은 낚싯줄을 권회하는 낚싯줄 스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낚싯줄의 걸림(係止), 삽입 이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낚싯줄 스풀에 관한 것이다.
원하는 호수의 낚싯줄을 꺼내기 쉽도록 복수개의 스풀을 연결하여 갖고 다닐 수 있게 한 낚싯줄 스풀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낚싯줄 스풀에서는 복수개의 스풀은 연결했을 때 스풀의 플랜지끼리 접촉하면서 서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종래의 스풀에서는 필요한 만큼 인출한 후에 스풀에 남은 낚싯줄의 끝을 용이하게 걸리게(係止) 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감안하여, 원하는 낚싯줄을 인출하여 잘라낸 후에 스풀에 남은 낚싯줄의 끝을 용이하게 걸리게 할 수 있는 낚싯줄 스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낚싯줄 스풀은,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낚싯줄을 권회하는 제1 스풀 본체(11)와; 제1 스풀 본체(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줄고정부재(12)와; 제1 스풀 본체(1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링(13)으로서 제2 스풀 본체(21)와 접속되어 제1 스풀 본체(11)를 제2 스풀 본체(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구성된 링(13)을 구비하고; 제1 스풀 본체(11)와 제2 스풀 본체(21)가 연결될 때, 제1 스풀 본체(11)와 제2 스풀 본체(21)는 낚싯줄을 줄고정부재(12)에 의해 고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간격(W)(도 2 참조)을 가지고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링과 제2 스풀 본체의 접속은 전형적으로는 고정 접속이며 회전 가능 혹은 슬라이딩 가능한 접속은 아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1 스풀 본체와 제2 스풀 본체가 연결될 때, 제1 스풀 본체와 제2 스풀 본체는 낚싯줄을 줄고정부재에 의해 고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간격(W)을 가지고 연결되도록 구성되므로, 남은 낚싯줄을 제1 스풀 본체와 제2 스풀 본체 사이에 삽입하고, 줄을 고정하는 줄고정부재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줄고정부재는 제1 스풀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스풀에 남은 낚싯줄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도 긴 경우에도 적절하게 걸리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제1 스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링으로서, 제2 스풀과 접속되어 제1 스풀 본체를 제2 스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구성된 링을 구비하므로, 제1 스풀 본체와 제2 스풀 본체를 연결했을 때, 모든 스풀 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낚싯줄 스풀은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양태에 따른 낚싯줄 스풀에 있어서, 제1 스풀 본체(11)는 낚싯줄을 권회하는 원통 형상의 드럼부(11c)와 드럼부(11c)의 축방향 양단에 각각 마련된 2개의 평판 형상의 플랜지(11a, 11b)를 가지며; 2개의 플랜지(11a, 11b) 중 적어도 줄고정부재(12)측의 플랜지(11b) 외주부에 상기 낚싯줄을 줄고정부재(12)에 고정하기 위하여 통과시키는 노치(11d)(예를 들면, 도 3 참조)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적어도 줄고정부재측의 플랜지 외주부에 낚싯줄을 줄고정부재에 고정하기 위하여 통과시키는 노치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걸리(係止)는 낚싯줄을 줄고정부재에 용이하게 닿도록 할 수 있고, 낚싯줄 스풀을 휴대할 때에 걸린(係止) 낚싯줄이 풀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른 낚싯줄 스풀은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낚싯줄 스풀에 있어서, 줄고정부재(12)는 낚싯줄을 제1 스풀 본체(11)와의 사이에 끼우도록 구성되고, 줄고정부재(12)의 제1 스풀 본체(11)에 대한 장착은 줄고정부재(12)와 제1 스풀 본체(11) 사이에 낚싯줄을 끼웠을 때, 낚싯줄에 낚시할 때의 사용을 방해할만한 영구 변형 또는 흠집을 남기지 않는 간극을 주도록 마련된다.
전형적으로는 낚싯줄을 제1 스풀 본체와 장착하는 장착부에 가요성을 갖게 함으로써 간극을 준다. 줄고정부재 그 자체에 가요성을 갖도록 할 수도 있고 제1 스풀 본체의 장착부에 갖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줄고정부재와 제1 스풀 본체 사이에 낚싯줄을 끼웠을 때, 낚싯줄에 낚시할 때의 사용을 방해할만한 영구 변형 또는 흠집을 남기지 않는 간극을 주도록 마련되므로, 변형이나 흠집이 남은 낚싯줄 부분을 잘라 내는 등의 처리가 불필요해진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따른 낚싯줄 스풀은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양태 내지 제3 양태 중 어느 하나의 낚싯줄 스풀에 있어서, 제1 스풀 본체(11)에 장착된 줄고정부재(12)는 제1 스풀 본체(11)와 제1 스풀 본체(11)와 동일 형상의 제2 스풀 본체(21)가 연결되었을 때, 제1 스풀 본체(11)의 제2 스풀 본체(21)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줄고정부재(12)의 제2 스풀 본체(21)측의 면까지의 거리(H)가 상기 간격(W)(도 2 참조)보다 크게 되도록 구성된다.
줄고정부재(12)의 제2 스풀 본체(21)측의 면은 제1 스풀 본체(11)에 접촉하는 면과 반대측이므로 반접촉면이라고 부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거리(H)가 간격(W)보다 크게 구성되므로 낚싯줄을 걸리게 하기 위하여 제1 스풀 본체와 제2 스풀 본체 사이에 통과시켰을 때, 낚싯줄이 확실하게 제1 스풀 본체와 줄고정부재 사이로 유도된다. 바꿔 말하면, 줄고정부재와 제2 스풀 본체가 오버랩되므 낚싯줄이 줄고정부재와 제2 스풀 본체 사이에 들어가는 일 없이 제1 스풀 본체와 줄고정부재 사이로 유도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하는 낚싯줄을 인출하여 잘라낸 후에 스풀에 남은 낚싯줄의 끝을 용이하게 걸리게 할 수 있는 낚싯줄 스풀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낚싯줄 스풀을 2개 연결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
도 2는 도 1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3>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낚싯줄 스풀로부터 줄고정부재와 링을 제거한 상태에서 나타내는 스풀 본체의 도면이다. (a)는 스풀 본체의 사시도이며, (b)는 줄고정부재용 탭의 확대 단면도이며, (c)는 링용 탭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스풀 본체를 다른 낚싯줄 스풀의 링을 개재하여 다른 스풀 본체와 연결하는 쪽에서 본 도면이다. (a)는 스풀 본체의 사시도이며, (b)는 링 걸림용 탭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낚싯줄 스풀에 사용하는 줄고정부재의 도면이다. (a)는 줄고정부재의 사시도이며, (b)는 줄고정부재 본체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낚싯줄 스풀에 사용하는 링의 도면이다. (a)는 링의 사시도이며, (b)는 링의 확대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서로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재에는 동일 혹은 유사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도 1의 단면도 및 도 2(a)의 일부 확대 단면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낚싯줄 스풀(10)을 설명한다. 본 도면에는 낚싯줄 스풀(10)과 연결되는 낚싯줄 스풀(10)과 동일 형상, 동일 치수의 낚싯줄 스풀(20)도 동시에 도시한다. 낚싯줄 스풀(10)은 제1 낚싯줄 스풀 본체로서의 스풀 본체(11)와 스풀 본체(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줄고정부재(12)와 스풀 본체(1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링(13)을 구비한다. 스풀 본체(11)에는 낚싯줄이 권회된다. 스풀 본체(11)는 회전 축선(C)에 대하여 회전 대칭(전형적으로는 회전체)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슬라이딩"이란 미끄러지면서도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말하고, 예를 들면 움직이고자 하는 힘을 제거하면 미끄러지는 저항에 의해 움직임이 즉시 멈춘다. "회전"이란 슬라이딩보다 원활하게 도는(미끄러지는 저항이 근소하고, 돌리는 힘이 조금이어도 도는) 것을 말하고, 전형적으로는 클리어런스를 가지고 장착하는 것을 말한다.
스풀 본체(11)는 낚싯줄을 권회하는 원통 형상의 드럼으로서의 원통 형상의 드럼부(11c)와 드럼부(11c)의 회전 축선 방향 양단에 각각 마련된 2개의 평판 형상의 플랜지로서의 원판 형상의 플랜지(11a, 11b)를 가진다. 낚싯줄은 2개의 플랜지(11a, 11b) 사이에 권회된다. 줄고정부재(12)는 플랜지(11b)측에 장착된다. 플랜지(11b)에는 낚싯줄을 줄고정부재(12)와 플랜지(11b) 사이에 끼워서 고정하기 위하여 통과시키는 노치(11d)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11d)는 적어도 플랜지(11b)에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낚싯줄은 이 노치(11d)를 통과하여 플랜지(11b)를 넘을 수 있다. 즉, 걸리는 낚싯줄을 줄고정부재(12)에 용이하게 닿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낚싯줄은 줄고정부재(12)에 걸린 상태로 휴대되는데, 노치(11d)에 수납되어 있으므로, 휴대중에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플랜지(11a와 11b) 모두에 노치(11d)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노치(11d)의 가공이 용이해져서 제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노치(11d)는 권회되는 낚싯줄의 굵기보다 충분히 크게 형성되므로, 낚싯줄이 여기에 끼워져 흠집이 생기는 일이 없다.
도 3(a)의 사시도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스풀 본체(11)를 더욱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풀 본체(11)와 연결되는 스풀 본체(21)도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스풀 본체(11)의 설명은 스풀 본체(21)에도 공통된다. 도 3(a)의 사시도는 스풀 본체(21)가 연결되어야 하는 측에서 본 도면이다. 줄고정부재(12)와 링(13)이 장착되는 측이기도 하다.
스풀 본체(11)에는 플랜지(11a, 11b)와 동심의 원형 오목부(11h)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1h)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줄고정부재(12)의 원환 형상의 줄고정부재 본체(12a)(도 5 참조)를 수납할 수 있는 외경을 가진다. 오목부(11h) 내에는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한 훅을 가지는 줄고정부재용 탭(11e)과 내측을 향한 훅을 가지는 링용 탭(11f)이 형성되어 있다. 줄고정부재용 탭(11e)은 줄고정부재(12)의 원환 형상의 줄고정부재 본체(12a) 내측의 전체 둘레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안내 레일에 걸어맞춰(係合), 줄고정부재(12)를 스풀 본체(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한다. 줄고정부재(12)의 안내 레일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에 설명한다. 링용 탭(11f)은 링(13) 외측의 전체 둘레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안내 레일에 회전 가능하게 걸어맞춘다. 링(13)의 안내 레일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에 설명한다.
도 3(b)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줄고정부재용 탭(11e)은 스풀 본체(11)의 오목부(11h)의 바닥면에 수직으로 입설된 지주부(11e-1)와 지주부(11e-1)의 선단에 형성된 훅부(11e-2)를 가지고 구성된다. 여기서 오목부(11h)의 바닥면은 스풀 본체(11)의 회전 축선(C)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주부(11e-1)는 줄고정부재(12)를 스풀 본체(11)에 장착할 때에 내측으로 휘어 장착을 가능하게 하도록, 또한 장착을 가능하게 하는 정도로 가요성을 가진다. 훅부(11e-2)의 스풀 본체(11)측의 훅 내면은 스풀 본체(11) 표면(오목부(11h)의 바닥면)에 평행(스풀(11)의 회전 축선(C)에 수직) 또는 안쪽을 향하여 스풀 본체(11)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약간 경사져 있다(도면 중, θ1은 0도 이상). 이는 훅부(11e-2)가 줄고정부재(12)와 걸어맞춘(係合) 후에 이탈되기 어렵게 하기 위해서이다. 줄고정부재용 탭(11e)과 줄고정부재(12)는 걸어맞춘 후에 분리할 필요가 없다. 또한, 훅부(11e-2) 외면(오목부(11h)의 바닥면과는 반대측의 면)측은 줄고정부재(12)를 장착할 때에 무리없이 장착할 수 있도록 면취가 되어 있다(경사져 있다).
도 3(c)의 단면도를 참조하여 링용 탭(11f)을 설명한다. 링용 탭(11f)과 링(13)의 관계는 회전 가능한 걸어맞춤인 점을 제외하고, 줄고정부재용 탭(11e)과 줄고정부재(12)의 관계와 동일하다. 링용 탭(11f)은 스풀 본체(11)의 표면(오목부(11h)의 바닥면)에 수직으로 입설된 지주부(11f-1)와 지주부(11f-1)의 선단에 형성된 훅부(11f-2)를 가지고 구성된다. 지주부(11f-1)는 링(13)을 스풀 본체(11)에 장착할 때에 외측으로 휘어 장착을 가능하게 하도록, 또한 가능하게 하는 정도로 가요성을 가진다. 훅부(11f-2)의 스풀 본체(11)측의 훅 내면은 스풀 본체(11)의 표면에 평행(스풀의 회전 축선에 수직) 또는 안쪽을 향하여 스풀 본체(11)의 표면(이 실시형태에서는 오목부(11h)의 바닥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약간 경사져 있다(도면 중, θ2는 0도 이상). 이는 훅부(11f-2)가 링(13)과 걸어맞춘 후에 이탈되기 어렵게 하기 위해서이다. 링용 탭(11f)과 링(13)은 걸어맞춘 후에 분리할 필요가 없다. 또한 훅부(11e-2)와 마찬가지로 훅부(11f-2)의 외면(오목부(11h)의 바닥면과 반대측의 면)측은 링(13)을 장착할 때에 무리없이 장착할 수 있도록 면취가 되어 있다(경사져 있다).
줄고정부재용 탭(11e)의 지주부(11e-1)와 링용 탭의 지주부(11f-1)는 스풀 본체(11)의 반경 방향의 두께가 동등하다.
줄고정부재용 탭(11e)과 링용 탭(11f)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각 4개 마련되어 있다. 이들의 개수는 3개 이상이면 된다. 단, 가요성을 갖도록 하기 위한 원주 방향의 폭과 전체의 강도를 고려하여 4개 이상이 바람직하다. 탭은 원주 방향으로 만곡하고 있으므로, 가요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다지 폭넓게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추가로 보조 탭(11j)이 배치되어 있다. 보조 탭(11j)은 줄고정부재용 탭(11e)과 링용 탭(11f)으로 끼워지도록, 또한 두 탭으로부터 독립하여, 스풀 본체(11)에(오목부(11h)의 바닥면에) 입설된다. 보조 탭(11j)은 줄고정부재용 탭(11e) 및 링용 탭(11f)과 동등한 반경 방향 두께를 가진다. 따라서 줄고정부재용 탭(11e) 및 링용 탭(11f)과 마찬가지로 줄고정부재(12)와 링(13) 사이에 들어간다. 보조 탭(11j)은 줄고정부재(12)나 링(13)을 스풀 본체(11)에 조립하는 작업 등의 경우에 부주의하게 무언가가 부딪치는 것에 의한 줄고정부재용 탭(11e)이나 링용 탭(11f)이 꺾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부로서 작용한다. 줄고정부재용 탭(11e)이나 링용 탭(11f)은 전술한 바와 같이 그다지 폭넓게 할 수 없으므로 강도가 높다고는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보조 탭(11j)은 가요성을 갖도록 할 필요가 없으므로, 줄고정부재용 탭(11e)과 링용 탭(11f)보다 폭넓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꺾여 파손되기 어렵도록 비교적 높은 강도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도 4(a)의 사시도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스풀 본체(11, 21)를 추가로 설명한다. 도 4(a)의 사시도는 스풀 본체(21)를 스풀 본체(11)와 연결되어야 하는 측에서 본 도면이다. 스풀 본체(11)를 스풀 본체(11)와 동일 형상, 동일 치수의 다른 스풀 본체에 연결되어야 하는 측에서 본 도면이라고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하는 스풀 본체(11)가 연결되는 스풀 본체(21)로 설명한다. 그대로 스풀 본체(11)의 구조로 대체할 수 있다.
스풀 본체(21)에는 플랜지(21a, 21b)와 동심의 원형 오목부(21i)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1i)는 스풀 본체(11)와 연결했을 때, 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줄고정부재(12)의 줄고정 탭(12b)(도 5 참조)을 수납할 수 있는 내경을 가진다. 오목부(21i)는 회전 축선(C)에 가까운 측의 고단부(21i-1)와 외주측의 저단부(21i-2)에 깊이를 변경하여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1i)내, 오목부의 고단부(21i-1)에는 외측을 향한 훅을 가지는 링 걸림용 탭(21g)과 링 접촉 탭(21k)과 보조 탭(21m)이 형성되어 있다.
링 걸림용 탭(21g)은 스풀 본체(1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링(13) 내면에 형성된 요부(13b)(도 6 참조)에 걸어맞춰, 스풀 본체(21)를 링(13)에 고정적으로 단 착탈 가능하게 연결한다. 고정적인 연결이기 때문에 연결 후는 스풀 본체(21)와 링(13)은 상대적으로 슬라이딩도 회전도 하지 않는다. 착탈 가능하기 때문에 스풀 본체(11)와 스풀 본체(21)는 일체로 연결하여 휴대하기 쉽게 하는 것, 분리하는 것, 또한 다른 스풀 본체와 연결하는 것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다. 고정적인 연결의 구성은 링(13)의 도면을 참조하여 후에 설명한다. 여기서, 스풀 본체(11)와 링(13)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결과로서, 연결된 스풀 본체(11)와 스풀 본체(21)는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다.
도 4(b)의 단면도를 참조하여 링 걸림용 탭(21g)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링 걸림용 탭(21g)은 스풀 본체(21)의 표면(스풀 본체(21)의 오목부(21i)의 바닥면(고단부(21i-1)의 표면))에 수직으로 입설된 지주부(21g-1)와 지주부(21g-1)의 선단에 형성된 훅부(21g-2)를 가지고 구성된다. 여기서 오목부(21i)의 바닥면은 스풀의 회전 축선(C)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주부(21g-1)는 상대의 링(13)에 장착할 때에, 내측으로 휘어 장착을 가능하게 하도록, 또한 가능하게 하는 정도로 가요성을 가진다. 훅부(21g-2)의 링(13)측의 훅 내면은 오목부(21i)의 바닥 표면에 대하여 경사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그 경사는 안쪽을 향하여 오목부(21i)의 바닥 표면에 근접하는 방향의 경사이다. 이 경사의 각도(도면 중 θ3)는 스풀 본체(21)를 링(13)에 착탈 가능한 각도로 한다. 링 걸림용 탭(21g)의 휨의 탄성에도 관계되지만, 연결한 스풀끼리 휴대 중에 부주의하게 분리되지 않도록, 또한 연결한 스풀을 다른 스풀과 교환하는 등의 경우에는 분리를 방해하지 않는 정도의 경사로 한다. 경사 각도(θ3)는 20∼80도, 바람직하게는 30∼60도, 전형적으로는 45도이다. 또한, 훅부(21g-2)에는 줄고정부재용 리브(11e), 링용 리브(11f)와 마찬가지로 외면측에 링(13)과 연결할 때에 무리없이 연결할 수 있도록 면취가 되어 있다.
링 접촉 탭(21k)은 스풀 본체(21)의 표면(오목부(21i)의 바닥면)에 평행한 면을 가지고, 그 면이 링(13)에 접촉한다. 스풀 본체(21)와 링(13)의 연결은 고정적이므로, 링 접촉 탭(21k)과 링(13)은 상대적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접촉면에서의 양자간의 클리어런스는 거의 제로이다. 전형적으로는 밀착 상태에 있지만, 후술한 바와 같이 링(13)의 구조에서 슬라이딩도 회전도 방지하고 있으므로, 연결한 낚싯줄 스풀(10과 20)이 휴대 중에 덜커덩거리지 않는 정도의 클리어런스는 존재해도 된다.
링 접촉 탭(21k)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주 방향으로 4개 마련되어 있다. 링 접촉 탭(21k)에 끼워지도록, 또한 링 접촉 탭(21k)으로부터 독립하여, 8개의 보조 탭(21m)이 스풀 본체(21)(오목부(21i)의 바닥면)에 입설되어 있다. 보조 탭(21m)은 접촉 탭(21k)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단, 본 실시형태에서는 링 접촉 탭(21k)은 보조 탭(21m)에 대하여 1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링 접촉 탭(21k)을 보조 탭(21m)과 동수인 8개로 해도 된다. 보조 탭(21m)은 보조 탭(11j)과 마찬가지로 스풀 본체(21)를 링(13)에 연결하는 작업 등의 경우에 부주의하게 이들이 서로 부딪치는 것에 의한 링 걸림용 탭(21g)의 꺾임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부로서 작용한다. 반경 방향의 두께는 링 걸림용 탭(21g)과 동등하며, 링(13)과 스풀 본체(11) 사이에 들어간다. 보조 탭(21m)은 보조 탭(11j)과 마찬가지로 가요성을 가지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원주 방향의 폭은 링 걸림용 탭(21g)보다 폭넓게 구성할 수 있다. 링 접촉 탭(21k)은 전형적으로는 4개이지만, 3개 이상이면 된다. 또한, 연속한 원환 형상으로 해도 된다.
도 5(a)의 사시도와 (b)의 단면도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줄고정부재(12)의 구성을 설명한다. 줄고정부재(12)는 원환 형상의 줄고정부재 본체(12a)와, 그 외주에 배치된 4개의 줄고정 탭(12b)을 가진다. 원환 형상의 줄고정부재 본체(12a) 내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연속한 안내 레일(12c)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 레일(12c)에는 줄고정부재용 탭(11e)(도 3 참조)의 훅부(11e-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어맞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안내 레일은 링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한 볼록 형상 레일(12c)로 구성되어 있지만, 그 대신에 링의 표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된 홈 형상 레일로 해도 된다. 또는, 훅부(11e-2)를 걸어맞출 수 있는 둘레 방향으로 연속한 단부를 갖는 단차 레일로 해도 된다. 요컨대, 훅부(11e-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어맞추는 안내 레일이면 된다.
줄고정 탭(12b)은 줄고정부재(12)를 스풀 본체(11)에 장착했을 때, 정확히 스풀 본체(11)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치수가 정해져 있다. 이 접촉면에서 스풀 본체(11)와 슬라이딩 가능하다. 낚싯줄을 줄고정부재(12)로 고정했을 때, 낚싯줄은 접촉한 줄고정 탭(12b)과 스풀 본체(11) 사이에 끼인다. 줄고정 탭(12b)은 스풀(1) 본체(11)에 장착했을 때, 외주측을 향하여 열리는 쐐기 형상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스풀 본체(11)에 접촉하는 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져 있다. 쐐기 형상의 공간이 있으므로, 낚싯줄을 스풀 본체(11)와 줄고정부재(12) 사이에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다. 줄고정 탭(12b)은 낚싯줄에 흠집이 생기거나 과도하게 편평해지지 않을 정도로 휘어지는 폭과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낚싯줄은 쐐기 형상의 공간 안쪽에 끼우도록 하여 고정해도 된다. 쐐기 형상의 공간은 안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므로 낚싯줄을 끼워서 고정할 수 있다. 종래부터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의 노치(11d)를 슬릿 형상으로 형성하여, 여기에 끼워서 실을 고정하는 것과 같은 구성도 고려되었으나, 이러한 구조에서는 낚싯줄에 흠집이 생기거나 닳는 경향이 있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발생할 수 있는 흠집이나 닳기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줄고정 탭(12b)은 줄고정부재 본체(12a)에 4개가 독립하여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낚싯줄을 고정하기 쉽다. 또한 슬라이딩 가능하므로 노치(11d)에 대한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로 되돌아가서 줄고정부재(12)와 스풀 본체(11, 21)의 관계를 설명한다.
우선, 도 2(a)의 단면도를 참조하여 줄고정부재(12)의 높이(H)와 스풀 본체(11, 21)의 간격(W)의 관계를 설명한다. 낚싯줄 스풀(10, 20)을 연결했을 때, 스풀 본체(11)의 플랜지(11b)와 스풀 본체(21)의 플랜지(21a) 사이에는 간격(W)이 비도록 스풀 본체(11)와 이것에 접촉하는 링(13), 이것과 접촉하는 스풀 본체(21)의 링 접촉 탭(21k)의 치수를 정한다. 실시예에서는 W=1.0mm로 했다.
줄고정부재(12)의 높이(H)(플랜지(11b)와 접촉하는 접촉면에서 반접촉면까지의 두께)는 간격(W)보다 크게 정한다. 실시예에서는 H=2.0mm로 했다. 여기서, 낚싯줄 스풀(10, 20)을 연결했을 때, 줄고정부재(12)의 반접촉면이 스풀 본체(11)에 장착된 링(13)과 면일(面一)이 되도록 줄고정부재(12)와 링(13)의 치수를 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므로 낚싯줄 스풀(10, 20)을 연결했을 때, 줄고정부재(12)는 스풀 본체(21)의 오목부(21i) 중에 고단부(21i-1)에 접촉하지 않도록 들어간다. 말하자면, 줄고정부재(12)는 스풀 본체(21)에 오버랩하여 들어간다. 줄고정부재(12)의 반접촉면과 링(13)이 면일이 된다는 것은 줄고정부재(12)의 반접촉면은 링 접촉 탭(21k)의 면과 거의 면일이 되어, 고단부(21i-1)에 닿을 일은 없다. 또한, 줄고정부재(12)의 높이(H)가 간격(W)보다 크므로, 낚싯줄을 줄고정부재(12)로 고정하기 위하여 스풀 본체(11과 12) 사이에 삽입했을 때, 줄고정부재(12)와 플랜지(11b) 사이로 확실하게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줄고정부재(12)와 줄고정부재용 리브(11e)의 훅부(11e-2)가 걸어맞추는 걸어맞춤면과 링(13)과 링 걸림용 탭(21g)의 훅부(21g-2)가 걸어맞추는 걸어맞춤면과는 일치하도록 각 부의 치수를 정한다. 낚싯줄 스풀(10, 20)을 연결했을 때 이 걸어맞춤면의 위치는 간격(W)의 중앙에 있다. 실시예에서는 스풀 본체(11)로부터 이 걸어맞춤면까지의 거리(W1), 스풀 본체(21)로부터 이 걸어맞춤면까지의 거리(W2)는 0.5mm로 했다. 간격(W)은 1.0mm에 한정되지 않고, 낚싯줄 스풀(10, 20)에 권회하는 낚싯줄의 호수(굵기)에 맞추어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a)에 링(13)과 링 걸림용 탭(21g)의 걸어맞춤부를 더욱 확대한 확대도를 원내에 나타낸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링(13)과 링 걸림용 탭(21g)은 회전 축선(C)에 직교하는 면에 각도(θ3)만큼 경사진 면에서 걸어맞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θ3=45도, 회전 축선(C)의 방향으로 본 걸어맞춤면의 폭(W4)은 0.2mm로 했다. 또한, 폭(W4)의 낚싯줄 스풀(20)측의 단선이 간격(W)의 중앙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걸어맞춤면은 폭(W4)의 반만큼 낚싯줄 스풀(10)측으로 치우쳐 있게 된다. 단, 줄고정부재(12)측의 단선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링(13)의 회전 축선(C) 방향의 폭 내에 있으면 된다.
도 2(b)를 참조하여, 스풀 본체(11)와 줄고정부재(12)의 접촉 관계가 상기의 실시형태와는 상이한 경우를 설명한다.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줄고정 탭(12b)이 스풀 본체(11)에 접촉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것으로 했지만, 줄고정부재 본체(12a)가 스풀 본체(11)의 오목부(11h)의 바닥면에 접촉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때, 줄고정부재(12)는 스풀 본체(11)에 오목부(11h)의 바닥면과 줄고정부재용 리브(11e)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스풀 본체(11)에 장착되게 된다. 따라서, 줄고정 탭(12b)은 줄고정부재(12)를 스풀 본체(11)에 장착했을 때도 스풀 본체(11)의 표면(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랜지(11b)와 면일의 면)에 접촉하지 않고, 적절한 간극(W3)을 남기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할 때는 낚싯줄을 더욱 무리없이 줄고정 탭(12b)과 스풀 본체(11) 사이에 끼울 수 있다. 간극(W3)은 권회하는 낚싯줄의 굵기보다 작게 설정한다. 단, 낚싯줄에는 탄성이 있으므로 간극(W3)의 치수는 엄밀하게 낚싯줄의 굵기에 맞출 필요는 없다.
도 6의 사시도(a)와 부분 단면도(b)를 참조하여 링(13)의 구성을 설명한다. 링(13)에는 안내 레일로서의 단차 레일(13a)이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단차 레일은 외주면에 형성된 둘레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단부이다. 이 단차 레일(13a)에 링용 탭(11f)(도 3 참조)이 회전 가능하게 걸어맞춘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안내 레일을 외주면으로부터 볼록 형상으로 돌출하여 외주면에 둘레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볼록 형상 레일로 해도 되고, 외주면에 연속적으로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 홈 형상 레일로 해도 된다. 요컨대, 링용 탭(11f)이 걸어맞출 수 있는 둘레 방향으로 연속한 단부가 있으면 된다.
링(13)의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복수의 요부(13b)가 형성되어 있다. 요부(13b)는 회전 축선(C)의 방향으로 형성된 얕은 홈이며, 링(13)이 스풀 본체(11)에 접촉하는 면측으로 열려 있다. 그 반대측의 면(스풀 본체(21)에 접촉하는 측의 면)의 측은 닫혀 있다. 스풀 본체(11)에 스풀 본체(21)를 연결할 때, 이 요부(13b)가 닫힌 측에 링 걸림용 탭(21g)이 착탈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진다. 요부(13b)는 원주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결된 상대측의 스풀 본체는 링과는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일이 없다. 즉, 상대측의 스풀 본체와 링(13)은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각 요부(13b)는 링용 탭(11f)의 위치와 정합하는 원주 방향의 위치에 마련된다. 또한, 요부(13b)의 한쪽이 열려 있으므로 가공, 제조가 용이하다. 요부(13b)가 닫힌 측에는 회전 축선(C)에 직교하는 면에 각도(θ3)만큼 경사진 면으로 되어 있다. 링 걸림용 탭(21g)의 걸어맞춤면의 각도(θ3)와 동일한 각도의 경사이다. 따라서, 링(13)과 링 걸림용 탭(21g)은 이 경사진 면에서 딱 맞게 걸어맞출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θ3=45도로 형성되어 있으며, 링(13)과 링 걸림용 탭(21g)은 회전 축선(C)의 방향으로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다. 또한, 링 걸림용 탭(21g)의 치수는 링(13)과 걸어 맞출 때에 결코 꺾이지 않고 적절히 휘도록 정한다. 링 걸림용 탭(21g)의 걸어맞춤면의 링(13)의 둘레 방향으로 본 폭은 1.5∼5mm의 범위로 하고, 전형적으로는 약 2mm로 하는데, 이는 링(13)의 요부의 걸어맞춤부의 길이, 낚싯줄 스풀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정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므로, 낚싯줄 스풀(10)은 다른 낚싯줄 스풀, 예를 들면 낚싯줄 스풀(20)과 연결되었을 때, 서로 독립적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므로 복수개를 연결 가능하며, 휴대 용이한 낚싯줄 스풀을 제공할 수 있다.
연결한 복수개의 낚싯줄 스풀은 각각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므로, 각 스풀에 상이한 호수의 낚싯줄을 권회했을 때는 원하는 호수의 낚싯줄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줄고정부재가 링과 동일한 측에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반대측이어도 된다. 그 경우에는 상대측의 스풀 본체에 줄고정부재를 수용 가능한 오목부를 마련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낚싯줄 스풀을 2개 연결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
도 2는 도 1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3>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낚싯줄 스풀로부터 줄고정부재와 링을 제거한 상태에서 나타내는 스풀 본체의 도면이다. (a)는 스풀 본체의 사시도이며, (b)는 줄고정부재용 탭의 확대 단면도이며, (c)는 링용 탭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스풀 본체를 다른 낚싯줄 스풀의 링을 개재하여 다른 스풀 본체와 연결하는 쪽에서 본 도면이다. (a)는 스풀 본체의 사시도이며, (b)는 링 걸림용 탭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낚싯줄 스풀에 사용하는 줄고정부재의 도면이다. (a)는 줄고정부재의 사시도이며, (b)는 줄고정부재 본체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낚싯줄 스풀에 사용하는 링의 도면이다. (a)는 링의 사시도이며, (b)는 링의 확대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서로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재에는 동일 혹은 유사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도 1의 단면도 및 도 2(a)의 일부 확대 단면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낚싯줄 스풀(10)을 설명한다. 본 도면에는 낚싯줄 스풀(10)과 연결되는 낚싯줄 스풀(10)과 동일 형상, 동일 치수의 낚싯줄 스풀(20)도 동시에 도시한다. 낚싯줄 스풀(10)은 제1 낚싯줄 스풀 본체로서의 스풀 본체(11)와 스풀 본체(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줄고정부재(12)와 스풀 본체(1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링(13)을 구비한다. 스풀 본체(11)에는 낚싯줄이 권회된다. 스풀 본체(11)는 회전 축선(C)에 대하여 회전 대칭(전형적으로는 회전체)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슬라이딩"이란 미끄러지면서도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말하고, 예를 들면 움직이고자 하는 힘을 제거하면 미끄러지는 저항에 의해 움직임이 즉시 멈춘다. "회전"이란 슬라이딩보다 원활하게 도는(미끄러지는 저항이 근소하고, 돌리는 힘이 조금이어도 도는) 것을 말하고, 전형적으로는 클리어런스를 가지고 장착하는 것을 말한다.
스풀 본체(11)는 낚싯줄을 권회하는 원통 형상의 드럼으로서의 원통 형상의 드럼부(11c)와 드럼부(11c)의 회전 축선 방향 양단에 각각 마련된 2개의 평판 형상의 플랜지로서의 원판 형상의 플랜지(11a, 11b)를 가진다. 낚싯줄은 2개의 플랜지(11a, 11b) 사이에 권회된다. 줄고정부재(12)는 플랜지(11b)측에 장착된다. 플랜지(11b)에는 낚싯줄을 줄고정부재(12)와 플랜지(11b) 사이에 끼워서 고정하기 위하여 통과시키는 노치(11d)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11d)는 적어도 플랜지(11b)에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낚싯줄은 이 노치(11d)를 통과하여 플랜지(11b)를 넘을 수 있다. 즉, 걸리는 낚싯줄을 줄고정부재(12)에 용이하게 닿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낚싯줄은 줄고정부재(12)에 걸린 상태로 휴대되는데, 노치(11d)에 수납되어 있으므로, 휴대중에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플랜지(11a와 11b) 모두에 노치(11d)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노치(11d)의 가공이 용이해져서 제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노치(11d)는 권회되는 낚싯줄의 굵기보다 충분히 크게 형성되므로, 낚싯줄이 여기에 끼워져 흠집이 생기는 일이 없다.
도 3(a)의 사시도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스풀 본체(11)를 더욱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풀 본체(11)와 연결되는 스풀 본체(21)도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스풀 본체(11)의 설명은 스풀 본체(21)에도 공통된다. 도 3(a)의 사시도는 스풀 본체(21)가 연결되어야 하는 측에서 본 도면이다. 줄고정부재(12)와 링(13)이 장착되는 측이기도 하다.
스풀 본체(11)에는 플랜지(11a, 11b)와 동심의 원형 오목부(11h)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1h)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줄고정부재(12)의 원환 형상의 줄고정부재 본체(12a)(도 5 참조)를 수납할 수 있는 외경을 가진다. 오목부(11h) 내에는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한 훅을 가지는 줄고정부재용 탭(11e)과 내측을 향한 훅을 가지는 링용 탭(11f)이 형성되어 있다. 줄고정부재용 탭(11e)은 줄고정부재(12)의 원환 형상의 줄고정부재 본체(12a) 내측의 전체 둘레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안내 레일에 걸어맞춰(係合), 줄고정부재(12)를 스풀 본체(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한다. 줄고정부재(12)의 안내 레일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에 설명한다. 링용 탭(11f)은 링(13) 외측의 전체 둘레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안내 레일에 회전 가능하게 걸어맞춘다. 링(13)의 안내 레일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에 설명한다.
도 3(b)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줄고정부재용 탭(11e)은 스풀 본체(11)의 오목부(11h)의 바닥면에 수직으로 입설된 지주부(11e-1)와 지주부(11e-1)의 선단에 형성된 훅부(11e-2)를 가지고 구성된다. 여기서 오목부(11h)의 바닥면은 스풀 본체(11)의 회전 축선(C)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주부(11e-1)는 줄고정부재(12)를 스풀 본체(11)에 장착할 때에 내측으로 휘어 장착을 가능하게 하도록, 또한 장착을 가능하게 하는 정도로 가요성을 가진다. 훅부(11e-2)의 스풀 본체(11)측의 훅 내면은 스풀 본체(11) 표면(오목부(11h)의 바닥면)에 평행(스풀(11)의 회전 축선(C)에 수직) 또는 안쪽을 향하여 스풀 본체(11)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약간 경사져 있다(도면 중, θ1은 0도 이상). 이는 훅부(11e-2)가 줄고정부재(12)와 걸어맞춘(係合) 후에 이탈되기 어렵게 하기 위해서이다. 줄고정부재용 탭(11e)과 줄고정부재(12)는 걸어맞춘 후에 분리할 필요가 없다. 또한, 훅부(11e-2) 외면(오목부(11h)의 바닥면과는 반대측의 면)측은 줄고정부재(12)를 장착할 때에 무리없이 장착할 수 있도록 면취가 되어 있다(경사져 있다).
도 3(c)의 단면도를 참조하여 링용 탭(11f)을 설명한다. 링용 탭(11f)과 링(13)의 관계는 회전 가능한 걸어맞춤인 점을 제외하고, 줄고정부재용 탭(11e)과 줄고정부재(12)의 관계와 동일하다. 링용 탭(11f)은 스풀 본체(11)의 표면(오목부(11h)의 바닥면)에 수직으로 입설된 지주부(11f-1)와 지주부(11f-1)의 선단에 형성된 훅부(11f-2)를 가지고 구성된다. 지주부(11f-1)는 링(13)을 스풀 본체(11)에 장착할 때에 외측으로 휘어 장착을 가능하게 하도록, 또한 가능하게 하는 정도로 가요성을 가진다. 훅부(11f-2)의 스풀 본체(11)측의 훅 내면은 스풀 본체(11)의 표면에 평행(스풀의 회전 축선에 수직) 또는 안쪽을 향하여 스풀 본체(11)의 표면(이 실시형태에서는 오목부(11h)의 바닥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약간 경사져 있다(도면 중, θ2는 0도 이상). 이는 훅부(11f-2)가 링(13)과 걸어맞춘 후에 이탈되기 어렵게 하기 위해서이다. 링용 탭(11f)과 링(13)은 걸어맞춘 후에 분리할 필요가 없다. 또한 훅부(11e-2)와 마찬가지로 훅부(11f-2)의 외면(오목부(11h)의 바닥면과 반대측의 면)측은 링(13)을 장착할 때에 무리없이 장착할 수 있도록 면취가 되어 있다(경사져 있다).
줄고정부재용 탭(11e)의 지주부(11e-1)와 링용 탭의 지주부(11f-1)는 스풀 본체(11)의 반경 방향의 두께가 동등하다.
줄고정부재용 탭(11e)과 링용 탭(11f)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각 4개 마련되어 있다. 이들의 개수는 3개 이상이면 된다. 단, 가요성을 갖도록 하기 위한 원주 방향의 폭과 전체의 강도를 고려하여 4개 이상이 바람직하다. 탭은 원주 방향으로 만곡하고 있으므로, 가요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다지 폭넓게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추가로 보조 탭(11j)이 배치되어 있다. 보조 탭(11j)은 줄고정부재용 탭(11e)과 링용 탭(11f)으로 끼워지도록, 또한 두 탭으로부터 독립하여, 스풀 본체(11)에(오목부(11h)의 바닥면에) 입설된다. 보조 탭(11j)은 줄고정부재용 탭(11e) 및 링용 탭(11f)과 동등한 반경 방향 두께를 가진다. 따라서 줄고정부재용 탭(11e) 및 링용 탭(11f)과 마찬가지로 줄고정부재(12)와 링(13) 사이에 들어간다. 보조 탭(11j)은 줄고정부재(12)나 링(13)을 스풀 본체(11)에 조립하는 작업 등의 경우에 부주의하게 무언가가 부딪치는 것에 의한 줄고정부재용 탭(11e)이나 링용 탭(11f)이 꺾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부로서 작용한다. 줄고정부재용 탭(11e)이나 링용 탭(11f)은 전술한 바와 같이 그다지 폭넓게 할 수 없으므로 강도가 높다고는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보조 탭(11j)은 가요성을 갖도록 할 필요가 없으므로, 줄고정부재용 탭(11e)과 링용 탭(11f)보다 폭넓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꺾여 파손되기 어렵도록 비교적 높은 강도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도 4(a)의 사시도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스풀 본체(11, 21)를 추가로 설명한다. 도 4(a)의 사시도는 스풀 본체(21)를 스풀 본체(11)와 연결되어야 하는 측에서 본 도면이다. 스풀 본체(11)를 스풀 본체(11)와 동일 형상, 동일 치수의 다른 스풀 본체에 연결되어야 하는 측에서 본 도면이라고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하는 스풀 본체(11)가 연결되는 스풀 본체(21)로 설명한다. 그대로 스풀 본체(11)의 구조로 대체할 수 있다.
스풀 본체(21)에는 플랜지(21a, 21b)와 동심의 원형 오목부(21i)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1i)는 스풀 본체(11)와 연결했을 때, 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줄고정부재(12)의 줄고정 탭(12b)(도 5 참조)을 수납할 수 있는 내경을 가진다. 오목부(21i)는 회전 축선(C)에 가까운 측의 고단부(21i-1)와 외주측의 저단부(21i-2)에 깊이를 변경하여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1i)내, 오목부의 고단부(21i-1)에는 외측을 향한 훅을 가지는 링 걸림용 탭(21g)과 링 접촉 탭(21k)과 보조 탭(21m)이 형성되어 있다.
링 걸림용 탭(21g)은 스풀 본체(1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링(13) 내면에 형성된 요부(13b)(도 6 참조)에 걸어맞춰, 스풀 본체(21)를 링(13)에 고정적으로 단 착탈 가능하게 연결한다. 고정적인 연결이기 때문에 연결 후는 스풀 본체(21)와 링(13)은 상대적으로 슬라이딩도 회전도 하지 않는다. 착탈 가능하기 때문에 스풀 본체(11)와 스풀 본체(21)는 일체로 연결하여 휴대하기 쉽게 하는 것, 분리하는 것, 또한 다른 스풀 본체와 연결하는 것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다. 고정적인 연결의 구성은 링(13)의 도면을 참조하여 후에 설명한다. 여기서, 스풀 본체(11)와 링(13)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결과로서, 연결된 스풀 본체(11)와 스풀 본체(21)는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다.
도 4(b)의 단면도를 참조하여 링 걸림용 탭(21g)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링 걸림용 탭(21g)은 스풀 본체(21)의 표면(스풀 본체(21)의 오목부(21i)의 바닥면(고단부(21i-1)의 표면))에 수직으로 입설된 지주부(21g-1)와 지주부(21g-1)의 선단에 형성된 훅부(21g-2)를 가지고 구성된다. 여기서 오목부(21i)의 바닥면은 스풀의 회전 축선(C)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주부(21g-1)는 상대의 링(13)에 장착할 때에, 내측으로 휘어 장착을 가능하게 하도록, 또한 가능하게 하는 정도로 가요성을 가진다. 훅부(21g-2)의 링(13)측의 훅 내면은 오목부(21i)의 바닥 표면에 대하여 경사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그 경사는 안쪽을 향하여 오목부(21i)의 바닥 표면에 근접하는 방향의 경사이다. 이 경사의 각도(도면 중 θ3)는 스풀 본체(21)를 링(13)에 착탈 가능한 각도로 한다. 링 걸림용 탭(21g)의 휨의 탄성에도 관계되지만, 연결한 스풀끼리 휴대 중에 부주의하게 분리되지 않도록, 또한 연결한 스풀을 다른 스풀과 교환하는 등의 경우에는 분리를 방해하지 않는 정도의 경사로 한다. 경사 각도(θ3)는 20∼80도, 바람직하게는 30∼60도, 전형적으로는 45도이다. 또한, 훅부(21g-2)에는 줄고정부재용 리브(11e), 링용 리브(11f)와 마찬가지로 외면측에 링(13)과 연결할 때에 무리없이 연결할 수 있도록 면취가 되어 있다.
링 접촉 탭(21k)은 스풀 본체(21)의 표면(오목부(21i)의 바닥면)에 평행한 면을 가지고, 그 면이 링(13)에 접촉한다. 스풀 본체(21)와 링(13)의 연결은 고정적이므로, 링 접촉 탭(21k)과 링(13)은 상대적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접촉면에서의 양자간의 클리어런스는 거의 제로이다. 전형적으로는 밀착 상태에 있지만, 후술한 바와 같이 링(13)의 구조에서 슬라이딩도 회전도 방지하고 있으므로, 연결한 낚싯줄 스풀(10과 20)이 휴대 중에 덜커덩거리지 않는 정도의 클리어런스는 존재해도 된다.
링 접촉 탭(21k)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주 방향으로 4개 마련되어 있다. 링 접촉 탭(21k)에 끼워지도록, 또한 링 접촉 탭(21k)으로부터 독립하여, 8개의 보조 탭(21m)이 스풀 본체(21)(오목부(21i)의 바닥면)에 입설되어 있다. 보조 탭(21m)은 접촉 탭(21k)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단, 본 실시형태에서는 링 접촉 탭(21k)은 보조 탭(21m)에 대하여 1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링 접촉 탭(21k)을 보조 탭(21m)과 동수인 8개로 해도 된다. 보조 탭(21m)은 보조 탭(11j)과 마찬가지로 스풀 본체(21)를 링(13)에 연결하는 작업 등의 경우에 부주의하게 이들이 서로 부딪치는 것에 의한 링 걸림용 탭(21g)의 꺾임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부로서 작용한다. 반경 방향의 두께는 링 걸림용 탭(21g)과 동등하며, 링(13)과 스풀 본체(11) 사이에 들어간다. 보조 탭(21m)은 보조 탭(11j)과 마찬가지로 가요성을 가지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원주 방향의 폭은 링 걸림용 탭(21g)보다 폭넓게 구성할 수 있다. 링 접촉 탭(21k)은 전형적으로는 4개이지만, 3개 이상이면 된다. 또한, 연속한 원환 형상으로 해도 된다.
도 5(a)의 사시도와 (b)의 단면도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줄고정부재(12)의 구성을 설명한다. 줄고정부재(12)는 원환 형상의 줄고정부재 본체(12a)와, 그 외주에 배치된 4개의 줄고정 탭(12b)을 가진다. 원환 형상의 줄고정부재 본체(12a) 내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연속한 안내 레일(12c)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 레일(12c)에는 줄고정부재용 탭(11e)(도 3 참조)의 훅부(11e-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어맞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안내 레일은 링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한 볼록 형상 레일(12c)로 구성되어 있지만, 그 대신에 링의 표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된 홈 형상 레일로 해도 된다. 또는, 훅부(11e-2)를 걸어맞출 수 있는 둘레 방향으로 연속한 단부를 갖는 단차 레일로 해도 된다. 요컨대, 훅부(11e-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어맞추는 안내 레일이면 된다.
줄고정 탭(12b)은 줄고정부재(12)를 스풀 본체(11)에 장착했을 때, 정확히 스풀 본체(11)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치수가 정해져 있다. 이 접촉면에서 스풀 본체(11)와 슬라이딩 가능하다. 낚싯줄을 줄고정부재(12)로 고정했을 때, 낚싯줄은 접촉한 줄고정 탭(12b)과 스풀 본체(11) 사이에 끼인다. 줄고정 탭(12b)은 스풀(1) 본체(11)에 장착했을 때, 외주측을 향하여 열리는 쐐기 형상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스풀 본체(11)에 접촉하는 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져 있다. 쐐기 형상의 공간이 있으므로, 낚싯줄을 스풀 본체(11)와 줄고정부재(12) 사이에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다. 줄고정 탭(12b)은 낚싯줄에 흠집이 생기거나 과도하게 편평해지지 않을 정도로 휘어지는 폭과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낚싯줄은 쐐기 형상의 공간 안쪽에 끼우도록 하여 고정해도 된다. 쐐기 형상의 공간은 안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므로 낚싯줄을 끼워서 고정할 수 있다. 종래부터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의 노치(11d)를 슬릿 형상으로 형성하여, 여기에 끼워서 실을 고정하는 것과 같은 구성도 고려되었으나, 이러한 구조에서는 낚싯줄에 흠집이 생기거나 닳는 경향이 있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발생할 수 있는 흠집이나 닳기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줄고정 탭(12b)은 줄고정부재 본체(12a)에 4개가 독립하여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낚싯줄을 고정하기 쉽다. 또한 슬라이딩 가능하므로 노치(11d)에 대한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로 되돌아가서 줄고정부재(12)와 스풀 본체(11, 21)의 관계를 설명한다.
우선, 도 2(a)의 단면도를 참조하여 줄고정부재(12)의 높이(H)와 스풀 본체(11, 21)의 간격(W)의 관계를 설명한다. 낚싯줄 스풀(10, 20)을 연결했을 때, 스풀 본체(11)의 플랜지(11b)와 스풀 본체(21)의 플랜지(21a) 사이에는 간격(W)이 비도록 스풀 본체(11)와 이것에 접촉하는 링(13), 이것과 접촉하는 스풀 본체(21)의 링 접촉 탭(21k)의 치수를 정한다. 실시예에서는 W=1.0mm로 했다.
줄고정부재(12)의 높이(H)(플랜지(11b)와 접촉하는 접촉면에서 반접촉면까지의 두께)는 간격(W)보다 크게 정한다. 실시예에서는 H=2.0mm로 했다. 여기서, 낚싯줄 스풀(10, 20)을 연결했을 때, 줄고정부재(12)의 반접촉면이 스풀 본체(11)에 장착된 링(13)과 면일(面一)이 되도록 줄고정부재(12)와 링(13)의 치수를 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므로 낚싯줄 스풀(10, 20)을 연결했을 때, 줄고정부재(12)는 스풀 본체(21)의 오목부(21i) 중에 고단부(21i-1)에 접촉하지 않도록 들어간다. 말하자면, 줄고정부재(12)는 스풀 본체(21)에 오버랩하여 들어간다. 줄고정부재(12)의 반접촉면과 링(13)이 면일이 된다는 것은 줄고정부재(12)의 반접촉면은 링 접촉 탭(21k)의 면과 거의 면일이 되어, 고단부(21i-1)에 닿을 일은 없다. 또한, 줄고정부재(12)의 높이(H)가 간격(W)보다 크므로, 낚싯줄을 줄고정부재(12)로 고정하기 위하여 스풀 본체(11과 12) 사이에 삽입했을 때, 줄고정부재(12)와 플랜지(11b) 사이로 확실하게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줄고정부재(12)와 줄고정부재용 리브(11e)의 훅부(11e-2)가 걸어맞추는 걸어맞춤면과 링(13)과 링 걸림용 탭(21g)의 훅부(21g-2)가 걸어맞추는 걸어맞춤면과는 일치하도록 각 부의 치수를 정한다. 낚싯줄 스풀(10, 20)을 연결했을 때 이 걸어맞춤면의 위치는 간격(W)의 중앙에 있다. 실시예에서는 스풀 본체(11)로부터 이 걸어맞춤면까지의 거리(W1), 스풀 본체(21)로부터 이 걸어맞춤면까지의 거리(W2)는 0.5mm로 했다. 간격(W)은 1.0mm에 한정되지 않고, 낚싯줄 스풀(10, 20)에 권회하는 낚싯줄의 호수(굵기)에 맞추어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a)에 링(13)과 링 걸림용 탭(21g)의 걸어맞춤부를 더욱 확대한 확대도를 원내에 나타낸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링(13)과 링 걸림용 탭(21g)은 회전 축선(C)에 직교하는 면에 각도(θ3)만큼 경사진 면에서 걸어맞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θ3=45도, 회전 축선(C)의 방향으로 본 걸어맞춤면의 폭(W4)은 0.2mm로 했다. 또한, 폭(W4)의 낚싯줄 스풀(20)측의 단선이 간격(W)의 중앙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걸어맞춤면은 폭(W4)의 반만큼 낚싯줄 스풀(10)측으로 치우쳐 있게 된다. 단, 줄고정부재(12)측의 단선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링(13)의 회전 축선(C) 방향의 폭 내에 있으면 된다.
도 2(b)를 참조하여, 스풀 본체(11)와 줄고정부재(12)의 접촉 관계가 상기의 실시형태와는 상이한 경우를 설명한다.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줄고정 탭(12b)이 스풀 본체(11)에 접촉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것으로 했지만, 줄고정부재 본체(12a)가 스풀 본체(11)의 오목부(11h)의 바닥면에 접촉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때, 줄고정부재(12)는 스풀 본체(11)에 오목부(11h)의 바닥면과 줄고정부재용 리브(11e)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스풀 본체(11)에 장착되게 된다. 따라서, 줄고정 탭(12b)은 줄고정부재(12)를 스풀 본체(11)에 장착했을 때도 스풀 본체(11)의 표면(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랜지(11b)와 면일의 면)에 접촉하지 않고, 적절한 간극(W3)을 남기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할 때는 낚싯줄을 더욱 무리없이 줄고정 탭(12b)과 스풀 본체(11) 사이에 끼울 수 있다. 간극(W3)은 권회하는 낚싯줄의 굵기보다 작게 설정한다. 단, 낚싯줄에는 탄성이 있으므로 간극(W3)의 치수는 엄밀하게 낚싯줄의 굵기에 맞출 필요는 없다.
도 6의 사시도(a)와 부분 단면도(b)를 참조하여 링(13)의 구성을 설명한다. 링(13)에는 안내 레일로서의 단차 레일(13a)이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단차 레일은 외주면에 형성된 둘레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단부이다. 이 단차 레일(13a)에 링용 탭(11f)(도 3 참조)이 회전 가능하게 걸어맞춘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안내 레일을 외주면으로부터 볼록 형상으로 돌출하여 외주면에 둘레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볼록 형상 레일로 해도 되고, 외주면에 연속적으로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 홈 형상 레일로 해도 된다. 요컨대, 링용 탭(11f)이 걸어맞출 수 있는 둘레 방향으로 연속한 단부가 있으면 된다.
링(13)의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복수의 요부(13b)가 형성되어 있다. 요부(13b)는 회전 축선(C)의 방향으로 형성된 얕은 홈이며, 링(13)이 스풀 본체(11)에 접촉하는 면측으로 열려 있다. 그 반대측의 면(스풀 본체(21)에 접촉하는 측의 면)의 측은 닫혀 있다. 스풀 본체(11)에 스풀 본체(21)를 연결할 때, 이 요부(13b)가 닫힌 측에 링 걸림용 탭(21g)이 착탈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진다. 요부(13b)는 원주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결된 상대측의 스풀 본체는 링과는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일이 없다. 즉, 상대측의 스풀 본체와 링(13)은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각 요부(13b)는 링용 탭(11f)의 위치와 정합하는 원주 방향의 위치에 마련된다. 또한, 요부(13b)의 한쪽이 열려 있으므로 가공, 제조가 용이하다. 요부(13b)가 닫힌 측에는 회전 축선(C)에 직교하는 면에 각도(θ3)만큼 경사진 면으로 되어 있다. 링 걸림용 탭(21g)의 걸어맞춤면의 각도(θ3)와 동일한 각도의 경사이다. 따라서, 링(13)과 링 걸림용 탭(21g)은 이 경사진 면에서 딱 맞게 걸어맞출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θ3=45도로 형성되어 있으며, 링(13)과 링 걸림용 탭(21g)은 회전 축선(C)의 방향으로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다. 또한, 링 걸림용 탭(21g)의 치수는 링(13)과 걸어 맞출 때에 결코 꺾이지 않고 적절히 휘도록 정한다. 링 걸림용 탭(21g)의 걸어맞춤면의 링(13)의 둘레 방향으로 본 폭은 1.5∼5mm의 범위로 하고, 전형적으로는 약 2mm로 하는데, 이는 링(13)의 요부의 걸어맞춤부의 길이, 낚싯줄 스풀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정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므로, 낚싯줄 스풀(10)은 다른 낚싯줄 스풀, 예를 들면 낚싯줄 스풀(20)과 연결되었을 때, 서로 독립적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므로 복수개를 연결 가능하며, 휴대 용이한 낚싯줄 스풀을 제공할 수 있다.
연결한 복수개의 낚싯줄 스풀은 각각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므로, 각 스풀에 상이한 호수의 낚싯줄을 권회했을 때는 원하는 호수의 낚싯줄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줄고정부재가 링과 동일한 측에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반대측이어도 된다. 그 경우에는 상대측의 스풀 본체에 줄고정부재를 수용 가능한 오목부를 마련하게 된다.
10, 20 낚싯줄 스풀
11, 21 스풀 본체
11a, 11b, 21a, 21b 플랜지
11c, 21c 드럼
11d, 21d 노치
11e, 21e 줄고정부재용 탭
11e-1, 21e-1 지주부
11e-2, 21e-2 훅부
11f, 21f 링용 탭
11f-1, 21f-1 지주부
11f-2, 21f-2 훅부
11g, 21g 링 걸림용 탭
11g-1, 21g-1 지주부
11g-2, 21g-2 훅부
11h 오목부
11i, 21i 오목부
11j, 21j 보조 탭
11k, 21k 링 접촉 탭
11m, 21m 보조 탭
12, 22 줄고정부재
12a 줄고정부재 본체
12b 줄고정 탭
12c 안내 레일
13, 23 링
13a 안내 레일
13b 요부
C 회전 축선
W 간격
W1 거리
W2 거리
W3 간극
W4 폭
θ1, θ2, θ3 경사 각도
11, 21 스풀 본체
11a, 11b, 21a, 21b 플랜지
11c, 21c 드럼
11d, 21d 노치
11e, 21e 줄고정부재용 탭
11e-1, 21e-1 지주부
11e-2, 21e-2 훅부
11f, 21f 링용 탭
11f-1, 21f-1 지주부
11f-2, 21f-2 훅부
11g, 21g 링 걸림용 탭
11g-1, 21g-1 지주부
11g-2, 21g-2 훅부
11h 오목부
11i, 21i 오목부
11j, 21j 보조 탭
11k, 21k 링 접촉 탭
11m, 21m 보조 탭
12, 22 줄고정부재
12a 줄고정부재 본체
12b 줄고정 탭
12c 안내 레일
13, 23 링
13a 안내 레일
13b 요부
C 회전 축선
W 간격
W1 거리
W2 거리
W3 간극
W4 폭
θ1, θ2, θ3 경사 각도
Claims (4)
- 낚싯줄을 권회하는 제1 스풀 본체와;
상기 제1 스풀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줄고정부재와;
상기 제1 스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링으로서, 제2 스풀 본체와 접속되어, 상기 제1 스풀 본체를 상기 제2 스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구성된 링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스풀 본체와 상기 제2 스풀 본체가 연결될 때, 상기 제1 스풀 본체와 상기 제2 스풀 본체는 낚싯줄을 상기 줄고정부재에 의해 고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간격을 가지고 연결되도록 구성된
낚싯줄 스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풀 본체는 낚싯줄을 권회하는 원통 형상의 드럼부와 상기 드럼부의 축 방향 양단에 각각 마련된 2개의 평판 형상의 플랜지를 가지며;
상기 2개의 플랜지 중 적어도 상기 줄고정부재측의 플랜지의 외주부에 상기 낚싯줄을 상기 줄고정부재에 고정하기 위하여 통과시키는 노치가 형성된
낚싯줄 스풀.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줄고정부재는 상기 낚싯줄을 상기 제1 스풀 본체와의 사이에 끼우도록 구성되고, 상기 줄고정부재의 상기 제1 스풀 본체에 대한 장착은 상기 줄고정부재와 상기 제1 스풀 본체 사이에 상기 낚싯줄을 끼웠을 때, 상기 낚싯줄에 낚시할 때의 사용을 방해할만한 영구변형 또는 흠집을 남기지 않는 간극을 주도록 마련된
낚싯줄 스풀.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풀 본체에 장착된 상기 줄고정부재는 상기 제1 스풀 본체와 상기 제1 스풀 본체와 동일 형상의 상기 제2 스풀 본체가 연결되었을 때, 상기 제1 스풀 본체의 상기 제2 스풀 본체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상기 줄고정부재의 상기 제2 스풀 본체측의 면까지의 거리가 상기 간극보다 크게 구성된 낚싯줄 스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4043907A JP6247119B2 (ja) | 2014-03-06 | 2014-03-06 | 釣り糸スプール |
JPJP-P-2014-043907 | 2014-03-0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05192A true KR20150105192A (ko) | 2015-09-16 |
KR101720404B1 KR101720404B1 (ko) | 2017-03-27 |
Family
ID=54019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12017A KR101720404B1 (ko) | 2014-03-06 | 2015-01-26 | 낚싯줄 스풀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6247119B2 (ko) |
KR (1) | KR101720404B1 (ko) |
CN (1) | CN104886016B (ko) |
HK (1) | HK1211423A1 (ko) |
TW (1) | TWI609629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733943B (zh) * | 2019-10-29 | 2021-03-12 | 万德辉 | 一种组合式接线收纳盒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237693B2 (ko) * | 1973-07-09 | 1977-09-24 | ||
JP2004024100A (ja) | 2002-06-25 | 2004-01-29 | Sunline Co Ltd | 釣糸用スプール |
JP5436598B2 (ja) * | 2012-03-01 | 2014-03-05 | 株式会社カワノプラスチック | 釣糸用スプール連結体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257118Y2 (ko) * | 1974-01-23 | 1977-12-23 | ||
JP2005218446A (ja) * | 2005-01-18 | 2005-08-18 | Fujita Kimura | 糸巻 |
JP5237693B2 (ja) * | 2008-05-21 | 2013-07-17 | 株式会社クレハ | スプール |
CN201640231U (zh) * | 2010-05-12 | 2010-11-24 | 赵国平 | 绕线盒 |
EP2720969B1 (en) * | 2011-06-15 | 2017-03-01 | Scientific Anglers LLC | Filament dispenser and method of assembling a plurality of filament dispensers |
CN103193115A (zh) * | 2012-01-06 | 2013-07-10 | 江苏群业电工有限公司 | 绕线盘 |
-
2014
- 2014-03-06 JP JP2014043907A patent/JP6247119B2/ja active Active
-
2015
- 2015-01-14 TW TW104101257A patent/TWI609629B/zh active
- 2015-01-20 CN CN201510028947.8A patent/CN104886016B/zh active Active
- 2015-01-26 KR KR1020150012017A patent/KR10172040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12-14 HK HK15112260.1A patent/HK1211423A1/xx unknow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237693B2 (ko) * | 1973-07-09 | 1977-09-24 | ||
JP2004024100A (ja) | 2002-06-25 | 2004-01-29 | Sunline Co Ltd | 釣糸用スプール |
JP5436598B2 (ja) * | 2012-03-01 | 2014-03-05 | 株式会社カワノプラスチック | 釣糸用スプール連結体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1534215A (zh) | 2015-09-16 |
JP2015167504A (ja) | 2015-09-28 |
KR101720404B1 (ko) | 2017-03-27 |
HK1211423A1 (en) | 2016-05-27 |
JP6247119B2 (ja) | 2017-12-13 |
CN104886016B (zh) | 2017-08-25 |
CN104886016A (zh) | 2015-09-09 |
TWI609629B (zh) | 2018-01-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16163811A (ja) | コネクタ組立体、オス型コネクタおよび組立方法 | |
JP5137650B2 (ja) | 棒状物繰り出し容器 | |
KR20130143516A (ko) | 회전 커넥터장치 | |
EP2167280B1 (en) | Attachment mechanism | |
US20180323543A1 (en) | Connector-incorporating plug | |
KR101720404B1 (ko) | 낚싯줄 스풀 | |
JP2019108981A (ja) | 継手 | |
EP2239473B1 (en) | Rolling bearing cage | |
US20090235774A1 (en) | Casing system for protecting a cable | |
US20160160929A1 (en) | Mechanical coupling device for securing drive components | |
US9194430B2 (en) | Split cage and roller bearing | |
US8967337B2 (en) | Device for preventing overdrawing of winch hook | |
CN107044481B (zh) | 滚子轴承 | |
US20190003525A1 (en) | Crossed roller bearing | |
US9739320B2 (en) | Cam clutch | |
JP2009299820A (ja) | 転がり軸受用保持器及び転がり軸受 | |
ES2764749T3 (es) | Bobina de rotura de bloqueo | |
JP2019196834A (ja) | 抜け止め用具及び結合構造 | |
KR20110106792A (ko) | 편 베어링 릴 | |
JP4496124B2 (ja) | 複数の配管を固定するトグルピンの取り付け構造 | |
ES2837674T3 (es) | Dispositivo anular para ejes en bobinadoras y eje equipado con el mismo | |
WO2024208105A1 (en) | Pipe connecting structure | |
KR101115518B1 (ko) | 케이블 보호장치 | |
JP2018031422A (ja) | リベット | |
JP5662716B2 (ja) | リールシート及びバッ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