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4931A -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4931A
KR20150104931A KR1020140026927A KR20140026927A KR20150104931A KR 20150104931 A KR20150104931 A KR 20150104931A KR 1020140026927 A KR1020140026927 A KR 1020140026927A KR 20140026927 A KR20140026927 A KR 20140026927A KR 20150104931 A KR20150104931 A KR 20150104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ction
fresh water
ethyl acetate
organic solvent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6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1401B1 (ko
Inventor
주성수
Original Assignee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26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1401B1/ko
Publication of KR20150104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4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1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1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5Chlorophycota or chlorophyta (green algae), e.g. Chlorell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2Algae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민물김 추출물 또는 상기 민물김 추출물을 유기용매로 순차 분획한 민물김 유기용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cancer}
본 발명은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암세포는 자가세포의 돌연변이에 의해 발병하는 것으로 치료의 방법에는 화학적 치료법, 방사선 치료법 및 수술에 의한 종양제거 등이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화학적 치료법인 약물 치료법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화학적 합성제제의 항함제는 효과 및 효능과 함께 그의 약물이상 반응도 심각하여 약물의 부작용이 낮고 암종 특이정 효능을 갖는 천연물 유래의 항암성 소재의 개발이 요구 되고 있다.
한편, 예로부터 맛과 효능이 뛰어나 바다김과 유사한 방법으로 음용할 뿐만 아니라 조선시대에 진상품으로 상신하던 민물 조류(algae)가 확인되면서 언론에 보도되기도 하였다. 이 민물 조류는 '물김'이라는 이름으로 구전되어 왔으며, 현대에 이르러 '민물김'으로 알려지고 있고, 학계가 아닌 일반에게는 1967년 강원도 삼척군 초등교육회에서 출간한 '초당 동굴 조사'에서 처음으로 언급된 바 있다. 민물김은 홍조류(red algae, Phylum Phodophyta)인 바다김과 달리 녹조류(green algae, Phylum Chlorophyta)로서 바다가 아닌 민물에서 생육하며, 민물파래과(Prasiolaceae) Prasiola 속에 속한다. 민물김이 속해 있는 Prasiola 속은 전 세계적으로 총 61종이 알려져 있으나 이명과 실체가 불명확한 종을 제외하면 34종이 인정되고 있다. 민물김은 Okada(1939)가 함경남도 문천군 지선리에서 1938년에 채집된 표본을 검토하여 P. formosana var. coreana Okada로 발표한 것이 최초 보고이며, 일본명은 조선카하노리(朝鮮かはのり)로 명명되었고, 기준 표본은 홋카이도 대학 표본관에 소장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유사 분류군으로는 일본에 분포하는 P. japonica Yatabe가 있으며, 일본에서는 카와노리(カワノリ, 하천김)라는 이름으로 부르고 있다. 그러나 민물에서 생육하는 조류의 잠재적 가치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 자생하고 있는 민물김에 대해서는 종래에 삼척군의 집단에 대한 형태 및 생태학적 연구가 수행된 것 외에는 전무한 실정이다(Park et al., 식물학회지, 13(2):71-80,1970). 게다가 민물김은 현재 삼척시 일부 지역에서만 분포가 확인되고 있는 희귀식물로 최근 생육지 일대가 '소한계곡 생태ㅇ경관 보전지역'으로 지정되는(강원도고시 제 2012-307호)등 생물자원으로서의 가치가 인정받고 있다. 이에 생물다양성 보존을 위한 체계적인 연구를 비롯하여 이를 활용한 지역 활성화 방안에 대한 검토가 촉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암예방용 건간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민물김 추출물 또는 상기 민물김 추출물을 유기용매로 순차분획한 민물김 유기용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민물김 추출물 또는 상기 민물김 추출물을 유기용매로 순차분획한 민물김 유기용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예방용 건강기능식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의 민물김 추출물 또는 상기 민물김 추출물을 유기용매로 순차분획한 민물김 유기용매 분획물을 암에 걸린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 치료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민물김, 재래김, 및 돌김을 80%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얻고 이를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n-부탄올, 증류수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분획한 결과를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GC-MS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HT-29 세포에서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n-부탄올 분획물에 대한 세포 생존율(CCK)을 확인하여 항암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2 ㎍의 LPS 처리시 세포생존율(CCK)을 확인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및 클로로포름 분획물의 항암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1 ㎍의 anti-CD3 처리시 세포생존율(CCK)을 확인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및 클로로포름 분획물의 항암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2 ㎍의 LPS 처리시 세포독성(LDH 방출 측정법)을 확인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및 클로로포름 분획물의 항암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1 ㎍의 anti-CD3 처리시 세포독성(LDH 방출 측정법)을 확인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및 클로로포름 분획물의 항암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HT-29 세포에서 NucBlue Live 세포 염색 결과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HT-29 세포에서 에틸아세테이트(EA)의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HT-29 세포에서 클로로포름(CF)의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HT-29 세포에서 에틸아세테이트(EA) 및 클로로포름(CF)의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염색 결과 이미지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50 ㎍의 사이클로파스퍼마이드(CPP), 12.5 및 25 ㎍의 에틸아세테이트(EA), 12.5 및 25 ㎍의 클로로포름(CF)을 처리한 후 Bcl2의 mRNA 발현량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50 ㎍의 사이클로파스퍼마이드(CPP), 12.5 및 25 ㎍의 에틸아세테이트(EA), 12.5 및 25 ㎍의 클로로포름(CF)을 처리한 후 CyclinD1의 mRNA 발현량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50 ㎍의 사이클로파스퍼마이드(CPP), 12.5 및 25 ㎍의 에틸아세테이트(EA), 12.5 및 25 ㎍의 클로로포름(CF)을 처리한 후 p21의 mRNA 발현량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50 ㎍의 사이클로파스퍼마이드(CPP), 12.5 및 25 ㎍의 에틸아세테이트(EA), 12.5 및 25 ㎍의 클로로포름(CF)을 처리한 후 STAT3의 mRNA 발현량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정의하면 하기와 같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민물김"은 홍조류(red algae, Phylum Phodophyta)인 바다김과 달리 녹조류(green algae, Phylum Chlorophyta)로서 바다가 아닌 민물에서 생육하며, 민물파래과(Prasiolaceae) Prasiola 속에 속한다. 민물김이 속해 있는 Prasiola 속은 전 세계적으로 총 61종이 알려져 있으나 이명과 실체가 불명확한 종을 제외하면 34종이 인정되고 있다. 민물김은 Okada(1939)가 함경남도 문천군 지선리에서 1938년에 채집된 표본을 검토하여 P. formosana var. coreana Okada로 발표한 것이 최초 보고이며, 일본명은 조선카하노리(朝鮮かはのり)로 명명되었고, 기준 표본은 홋카이도 대학 표본관에 소장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하천김"은 민물김과 유사 분류군으로는 일본에 분포하는 P. japonica Yatabe가 있으며, 일본에서는 카와노리(カワノリ, 하천김)라는 이름으로 부르고 있다. 이상의 두 분류군은 P. formosana와 함께 근연종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기존 연구에서는 별개의 분류군으로 인정되었으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 민물김과 일본산 P. japonica가 매우 높은 유전적 상동성을 보이는 것으로 평가되어 동일 분류군일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순차분획"은 "순차용매분획" 또는 "용매분획"이라고도 불리우며, 추출물 내의 유효성분의 농축 또는 분리를 위해 극성이 낮은 유기용매부터 극성이 낮은 유기용매 순으로 순차적으로 용매추출을 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때 사용하는 유기용매로는 가장 극성이 낮은 유기용매로 n-헥산, 펜탄 등이 사용되고, 이어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르포름, n-부탄올, 물의 순으로 순차적으로 추출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민물김 추출물 또는 상기 민물김 추출물을 유기용매로 순차분획한 민물김 유기용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항암용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민물김 추출물은 민물김을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의 혼합물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함암용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민물김 유기용매 분획물은 민물김 추출물을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클로포름, n-부탄올 및 증류수로 순차분획한 n-헥산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클로로포름 분획물, n-부탄올 분획물 또는 증류수 분획물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민물김 유기용매 분획물을 민물김 추출물을 유기용매로 순차분획한 클로로로픔 분획물 또는 n-분탄올 분획물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되는 것이 가능하며,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적합한 1일 투여량은, 100 μg/kg 내지 1 mg/kg(체중)이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몇 주간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부형제로서는 예를 들면 유당, 자당, 백당, 포도당, 옥수수 전분(corn starch), 전분, 탈크, 소르비트, 결정 셀룰로오스, 덱스트린, 카올린, 탄산칼슘, 이산화규소 등을 들 수 있다. 결합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에테르, 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아라비아고무, 트래거캔스(tragacanth), 젤라틴, 셀락(shellac),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구연산칼슘, 덱스트린, 펙틴(pectin) 등을 들 수 있다. 활택제로서는 예를 들면 스테아린산마그네슘, 탈크,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카, 경화식물유 등을 들 수 있다. 착색제로서는 통상 의약품에 첨가하는 것이 허가되어 있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정제, 과립제에는 당의(糖衣), 젤라틴코팅, 기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코팅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방부제, 항산화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민물김 추출물 또는 상기 민물김 추출물을 유기용매로 순차분획한 민물김 유기용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예방용 건강기능식품이 제공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에 있어서, 상기 민물김 추출물은 민물김을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의 혼합물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에 있어서, 상기 민물김 유기용매 분획물은 민물김 추출물을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클로포름, n-부탄올 및 증류수로 순차분획한 n-헥산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클로로포름 분획물, n-부탄올 분획물 또는 증류수 분획물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민물김 유기용매 분획물을 민물김 추출물을 유기용매로 순차분획한 클로로로픔 분획물 또는 n-분탄올 분획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의 민물김 추출물 또는 상기 민물김 추출물을 유기용매로 순차분획한 민물김 유기용매 분획물을 암에 걸린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 치료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암 치료방법에 있어서, 상기 민물김 추출물은 민물김을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의 혼합물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암 치료방법에 있어서, 상기 민물김 유기용매 분획물은 민물김 추출물을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클로포름, n-부탄올 및 증류수로 순차분획한 n-헥산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클로로포름 분획물, n-부탄올 분획물 또는 증류수 분획물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민물김 유기용매 분획물을 민물김 추출물을 유기용매로 순차분획한 클로로로픔 분획물 또는 n-분탄올 분획물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시료 추출 및 용매 분획
본 발명에서 민물김은 2012년 5월부터 2013년 5월까지 강원도 삼척시 소한천에서 주기적으로 채취한 뒤 석엽표본을 제작하였고, 증거 표본은 국립 생물자원관에 소장하였다(voucher:NIBRCL0000102704). 한편 전라남도 신안에서 구입한 바다김(돌김(Natural Porphyra), 재래김(Cultivated Porphyra))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바다김과 민물김은 염분 등 불순물들을 제거하기 위해 수돗물로 깨끗이 세척하였고, 70% 에탄올을 이용하여 살균처리 및 증류수 세척 후 동결건조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그 후 곱게 파쇄한 각 시료 100 g을 1 L의 80% 에탄올에 침지하여 실온에서 24시간 주기로 3일 동안 추출 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확보하였다. 상기 에탄올 추출물은 Watman Grade NO. 1 여과지(Watman International Ltd., 영국)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그런 다음 증발기(EYELA, 일본)를 이용하여 용매를 증발시킨 시료를 본 발명에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에탄올 추출물로 얻은 민물김 시료는 n-헥산(n-hexane),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클로로포름(chloroform), n-부탄올(n-butanol(BuOH)), 증류수(water)를 이용하여 순차분획하였으며, 각각 용매에 대한 분획물 역시 증발기를 이용하여 건조시킨 뒤 본 발명에 사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 민물김 뿐 만 아니라 재래김, 돌김을 80%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얻고 이를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n-부탄올, 증류수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분획한 결과를 도 1에 도시하였으며, 이때 각 시료의 용매에 따른 수율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재래김의 경우 증류수 분획물이 65.2%로 가장 높았으며, 에탄올 추출물이 17.3%의 비율을 차지하였다. 돌김은 증류수 분획물이 70.8%로 상당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에탄올 추출물이 13.5%의 비율로 분획되었고, n-부탄올 추출물이 10.4%의 비율로 분획되는 순으로 나타났다. 민물김을 분획한 결과 역시 증류수 분획물이 61.6%로 높았으며 에탄올 추출물이 10.5%의 비율을 차지하였다. 따라서 상기 분획물들의 수율을 비교해보면 세 가지 시료 모두 수용성 성분의 저분자 2차 대사사물이 70% 이상을 차지하는 반면, 지용성 산물은 낮은 비율로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80% 에탄올 추출물 및 용매분획 수율
재래김
(Cultivated Porphyra)
수율 (%) 돌김
(Natural Porphyra)
수율(%) 민물김
(Prasiola japonica)
수율 (%)
n-Hexane 5.8 n-Hexane 7.3 n-Hexane 5.7
EtOAc 4.0 EtOAc 4.2 EtOAc 7.2
CHCl3 9.0 CHCl3 3.5 CHCl3 4.8
n-BuOH 4.8 n-BuOH 10.4 n-BuOH 5.5
H2O 65.2 H2O 70.8 H2O 61.6
실시예 2 : Gas chromatogtaphy-mass spectrometry(GC-MS)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라 얻은 모든 시료들은 에탄올에 녹인 뒤 CTC CombiPAL 오토샘플러 시스템이 부착된 Agilent Technologies 5975C GC/MS 기구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크로마토그래피 분리는 헬륨 캐리어 가스와 HP-5 컬럼(250 μm 0.25 μm 30 m, Agilent Technologies, 미국)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각 시료들은 10 μL씩 인젝터에 주입하였고, 주입방식은 split 방식으로 비율은 5:1로 설정하였고, 컬럼의 흐름은 각각 5 mL/min, 1 mL/min로 설정하였다. 또한 인젝터의 온도는 250℃, 트랜스퍼라인(transfer line)은 250℃로 설정하였으며, GC 오븐은 50℃에서 3분 동안 유지 후 50℃에서 280℃까지 10℃/min씩 증가시켰으며, 각 온도에서 3분 동안 유지시켜 분리가 일어나도록 하였다. 이온소스(Ion source) 온도는 250℃로 설정하였으며, 이온화 에너지는 -70 V로 고정하여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는 1059 V하에서 4분 간격으로 35~250 m/z의 범위에서 수집되었다. 분리된 성분들은 머무름 시간(retention time)과 질량범위(mass spectra)를 바탕으로 Wiley 7N library data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재래김, 돌김, 및 민물김에 함유 되어있는 저분자 2차 대사산물의 성분을 확인하기 위해 GC-MS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결과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재래김과 돌김은 각각 9가지 및 10가지 물질이 확인된 반면 민물김에서는 19가지의 다양한 물질이 나타났다.
에탄올 추출물 사이의 GC-MS 라이브러리 비교
Peak RT 재래김(Cultivated Porphyra) RT 돌김(Natural Porphyra) RT 민물김(P. japonica)
1 10.611 Dihydro-2(3H)-furanone(10.77)* 10.582 Dihydro-2(3H)-furanone(1.02)* 5.224 1-hydroxy-2-propanone(0.26)*
2 12.943 Glycerin(4.83) 13.193 Glycerin(4.24) 8.366 Methyl pyrazine
3 16.788 Tetrahydro-2H-pyran-3-ol(2.56) 16.817 Tetrahydro-2H-pyran-3-ol(2.25) 10.572 Dihydro-2(3H)-furanone(0.43)
4 18.523 Alanine(1.56) 18.533 Alanine(3.82) 12.769 Glycerin(0.77)
5 19.236 Alanine(2.24) 22.290 Decanoic acid(0.23) 13.010 glycerol(2.21)
6 23.958 Lidocaine(0.61) 22.637 4-acetyl-3-carene(0.31) 14.687 2,3-dihydro-3,5-dihydroxy-6-
methyl-4H-pyran-4-one(0.86)
7 24.179 4-methyl-myo-inositol(0.32) 23.958 Lidocaine(0.95) 16.817 Diisopropylamine(0.79)
8 28.776 3-ethyl-1-thia-cyclopentane(9.43) 24.189 1-methyl-scyllo-inositol(1.36) 19.245 n-butylpropanamide(1.09)
9 29.200 Sacran(28.66) 24.314 Hexadecanoic acid(2.28) 19.274 4-methyl-3-heptanone(1.03)
10 29.000 Sacran(83.87) 20.286 1,6-dihydro-6-oxo-3-
pyridinecarboxamide(0.44)
11 21.124 1,4-anhydro-d-mannitol(1.90)
12 21.259 1,4-anhydro-d-galactitol(1.54)
13 21.346 d(+)-Mannose(0.98)
14 22.647 (-)-Loliolide(0.51)
15 23.958 Lidocaine(0.65)
16 24.314 Sorbitol(2.79)
17 24.835 Glucitol(10.04)
18 25.596 Mannitol(65.06)
19 29.402 Alverine(0.25)
GC-MS 시스템의 와일리 7N 라이브러리 정보를 사용하여 상대 체류 시간 및 질량 스펙트럼의 비교에 기초하여 성분을 확인하였다;% 면적, RT; 머무름 시간(분).
실험예1 : 민물김 용매분획물의 항암 효과
1-1: 세포주 및 균주 배양
본 발명에서 사용된 인간 대장암 세포인 HT-29는 한국세포주은행(Seoul, 한국)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세포주는 10% 우태아혈청, 100 U/ml 페니실린 그리고 100 μg/ml 스트렙토마이신 (Invitrogen, 미국)을 포함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Hyclone, 미국) 배지와 RPMI 1640(Roswell Park Memorial Institute 1640, Hyclone, 미국)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로 조정된 CO2 배양기에서 조직 배양 플라스크에 배양하였다. 세포가 성장이 90%가 되었을 때 본 발명에 사용하였고, 20 계대가 넘지 않도록 조절하였다. 초대 세포로는 마우스의 비장을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비장 세포는 차가운 1X PBS를 이용하여 비장을 으깬 뒤 적혈구(RBC) 용해 완충용액(eBioscience, 미국)을 이용하여 적혈구를 제거하여 단일 초대 지라세포(single primary splenocyte)를 얻은 다음 RPMI 1640 배지를 사용하여 동일 조건으로 배양한 후 본 발명에 사용하였다.
1-2: 세포 생존율
본 발명에서 민물김 용매분획물 중 항암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분획물을 선정하기 위하여, 대장암 세포인 HT-29 세포를 이용하여 세포활성을 진행하였다. 세포활성은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 전자전달계에 존재하는 탈수소 효소(dehydrogenase)가 전자수용체인 테트라 졸륨(Tetrazolium Salts)을 분해하여 발색물질인 포르마잔 염료(Formazan Dye)를 생성하는 원리를 이용한 CCK-8(Cell Counting Kit-8, Dojindo, 일본)를 사용하였다. 시험관 내 상태에서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서 96-웰 플레이트에 1.0x104 cells/well로 Raw264.7, HT-29, 및 지라세포를 뿌려준 후 2시간 선-배양하여 안정화 시킨 후, 부착세포인 HT-29 세포는 무혈청배지 100 ㎕로 배지 교체와 함께 각 농도 별 실험물질과 양성 대조군인 H2O2를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반응 종료 후 세포생존율 분석을 위해 각 테스트 웰(test well)에 10 ㎕의 CCK-8 시약 용액을 넣고 2시간 동안 37℃배양기에서 반응시킨 후 450 nm의 파장을 사용하여 ELISA 리더기(SpectraMax plus384, Moleculae Devices, 미국)로 포르마잔 염료의 양을 측정하여 세포 생존 정도를 비교하였다. 도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CCK 분석을 수행한 결과, 민물김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고농도인 100 ㎍/mL에서도 세포 활성이 줄어들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부탄올 분획물에서는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세포 활성이 감소하였지만 양성대조군인 H2O2 보다 활성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헥산 분획물 50 ㎍/mL에서는 세포활성이 많이 감소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지만, 100 ㎍/mL에서는 H2O2과 유사하게 활성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에틸아세테이트 및 클로로포름 분획물에서 25 ㎍/mL에서부터 세포 활성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각각의 IC50값은 부탄올 분획물이 51.54, 클로로포름 분획물이 30.52,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22.43, 헥산 분획물이 50.46이며 민물김 에탄올 추출물은 100 ㎍/mL에서도 세포 활성이 감소하지 않아 IC50값은 최소 100 ㎍/mL 이상인 것으로 예측되었다.
1-3 : 세포 독성실험
세포 독성실험은 시료의 농도에 따라 체내 모든 조직이나 세포에 분포되어있는 효소인 LDH(lactate dehydrogenase)가 세포 손상 정도에 따라 배지로 유출된 양을 측정하는 LDH 방출 측정법 (CytoTox 96 Non-Radioactive Cytotoxicity Assay, Promega, 미국)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세포 활성 실험과 동일한 조건으로 배양한 세포의 각 웰로부터 50 ㎕의 배지를 취하여 동량의 LDH 반응액을 넣고 암반응을 30분간 시킨 뒤 반응종료 후 정지 용액(stop solution)을 동량 첨가한 뒤, ELISA 리더기를 이용하여 흡광도 490 nm에서 측정한 상대수치를 대조군 세포 생존력(%)으로 표시하였다. 다른 세포 독성실험으로 시료에 의해 세포막이 손상을 받게 되면 세포의 DNA와 결합하여 형광 발현을 하는 원리를 이용한 CellTox™ Green 을 사용하였다. 세포 사멸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대장암 세포주인 HT-29를 96-웰 플레이트에 1.0x104 cells/well로 세포를 뿌려준 후 16시간 선 배양하여 안정화 시킨 뒤 무혈청배지 100 ㎕로 교체하고, 농도별 실험물질 (1, 5, 10 ㎍/ml) 및 형광 감광을 위한 CellTox green (Promega, 미국)을 처리하였다. 관찰 및 측정은 IncuCyte (Essen Instruments, 스위스)기기를 사용하였으며 각 웰 당 3군데를 촬영하였다. 전체 세포수 대비 식별되는 세포의 수를 실험군 별로 상대적인 비교를 하기 위해 세포를 관찰하여 실험군에서 세포가 사멸하여 더 이상 변화가 없어지는 시점에 triton X-100을 0.65%처리하여 모든 세포에 대한 염색을 유도한 뒤 전체 형광 빈도에 대한 triton X-100 처리 직전의 데이타를 비교하여 상대적인 값을 산출하는 표준화 (Endpoint normalization)을 수행하였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CCK를 통해 구한 IC50값을 토대로 가장 세포활성 감소 효과가 우수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과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항암 효능 실험에 사용하였고, 초대 비장세포를 이용하여 정상세포 독성을 확인하였다. 먼저 도 4 및 도 5에서 살펴보면 세포활성 결과 T 세포 분열인자(mitogen)인 1 ㎍의 anti-CD3를 처리한 군과 B 세포 분열인자(mitogen)인 2 ㎍의 LPS를 처리한 군에서 에틸아세테이트 층과 클로로포름 층의 25 ㎍/mL에서 세포활성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포독성 실험인 LDH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는 anti-CD3와 LPS처리한 군 모두 25 ㎍/mL에서 세포 독성을 확인하였지만 클로로포름 분획물에서는 세포독성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6 및 도 7). 이때 *P < 0.05, **P < 0.01, *** P < 0.001 통계적 유의를 나타내며, EA는 에틸아세이트, CF는 클로로포름을 나타낸다. 대조군으로는 Cyclosporine (CsA)을 사용하였고 에틸아세테이트와 클로로포름은 6.2 내지 25 ㎍/mL로 처리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암세포가 아닌 정상세포에서 클로로포름 분획물의 경우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어 보다 높은 암세포 특이적 효능을 나타낼 것으로 사료되었다.
1-5: NucBlue™ Live Cell Stain
본 발명에서 살아있는 세포의 염색은 핵 내 DNA를 염색하여 형광 현미경 하에서 관찰하는 방법으로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먼저 대장암 세포인 HT-29 세포를 1.5x104 cells/ml로 챔버슬라이드(1.8 cm2/well, Nunc, 미국)에 뿌려준 후, 민물김 용매분획물의 에틸아세테이트과 클로로포름을 각각 25 ㎍/ml로 처리하여 37℃, 5% CO2 조건의 배양기에서 20시간 반응을 시켰다. 이때 대조군으로 H2O2를 사용하였다. 반응이 끝난 뒤 1X PBS로 3회 세척 하고 4% 파라포름알데히드로 15분간 세포를 고정시켰다. 4% 파라포름알데히드로 고정된 세포를 1X PBS로 3회 세척 후, 각 웰당 핵 염색시약 NucBlue™ Live Cell Stain (Molecular Probesㄾ, 미국)을 1 방울씩 떨어트려 15분 암반응을 시켜 세포를 염색하였다. 염색종료 후 형광현미경 (Nikon ECLIPSE Ti-S, 일본)으로 관찰하였다. 이때 현미경 배율은 200배 였다. 핵 염색을 통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과 클로로포름 분획물이 세포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형광현미경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핵 염색을 수행한 결과, 정상대조군에서는 세포의 핵이 붕괴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과 클로로포름 분획물은 양성대조군인 H2O2와 유사하게 세포손상을 주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민물김 에틸아세테이트 및 클로로포름 분획물의 대장암 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을 실시간으로 확인한 결과 두 분획물 모두 처리 후 10 ㎍/mL의 농도에서 2시간 경과 시부터 독성이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10시간 이후부터는 대부분의 세포가 손상되거나 사멸된 것을 확인 하였다 (도 9 내지 도 11). 본 발명에서 형광물질에 의해 감광된 절대적인 세포수에서 기인한 것인가를 검증하기 위해 약물처리 후 20시간까지 배양 및 측정한 뒤 tritonX-100을 처리하여 전체 세포의 괴사를 유도한 후 최종적으로 감광하였다. 그 결과 두 분획물의 고농도 처리군을 제외한 모든 실험군 및 대조군에서 전반적인 세포괴사를 확인하였으며(도 11), 이를 상대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표준화를 수행한 결과 실시간으로 측정된 바와 같이 10 ㎍/mL 처리군에서 80% 이상 사멸이 유도되었다.
1-6: 정량적인 실시간 중합 효소 연쇄 반응법(qPCR) 분석
본 발명에서 SYBR green 시약이 PCR반응으로 증폭된 dsDNA에 결합하여 형광을 발하며 이 형광감도를 검출하여 증폭된 dsDNA의 양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정량분석법인 인터킬레이팅 염료(interchelating dye)법을 이용하여 정량적인 실시간 중합 효소 연쇄 반응법(qPCR)을 수행하였다. 먼저 트리졸(Invitrogen, 미국)을 사용하여 총 RNA를 추출하였으며, 총 RNA가 1 ㎍이 되게 정량을 한 뒤 Improm-Ⅱ 역전사 시스템(Promega, 미국)와 oligo dT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역전사를 실행하였다. qPCR은 real-time PCR master mix에는 2x enzyme Master mix 10 ㎕, RNase-free water 7 ㎕, 각각 primer 1 ㎕(각각 10 pmol), 그리고 cDNA 1 ㎕로 넣어 총 부피 20 ㎕에 SYBR Green Master Mix(Qiagen, 미국)를 사용하여 Rotor-Gene 6000(Corbett Research, 호주)로 qPCR을 진행하였다. 이때 PCR 반응 조건은 먼저 95℃에서 10분간 변성시킨 후에, 95℃에서 15초, 52℃에서 15초, 그리고 72℃에서 10초간 반응을 45주기 반복하였다. 그 후 Rotor-Gene 6000 series software 1.7을 사용하여 GAPDH를 기준으로 하여 유전자의 발현량을 알아보았다. 본 발명의 qPCR에 사용된 프라이머는 Gene Bank에 등록되어있는 정보를 바탕으로 제작하였다(표 3). 그 후 결과분석은 GraphPad Prizm 5.01 software를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결과는 각 군별 mean±S.D.로 나타내었고, 각 실험군간 비교는 one way ANOVA로 분석 하였으며, 사후검정은 Tukey tests로 유의수준 P<0.05 를 검증하였다. * p<0.05, ** p<0.01, *** p<0.001
본 발명의 qPCR 반응에 사용된 프라이머
프라이머명 유전자 아미노산 서열 크기 (bp) Gene Bank
Accession no.
서열
번호
Bcl-2 F Bcl-2
5'- gagtacctgaaccggcacct-3' 214
NM_000633 1
Bcl-2 R 5'- ggcaggcatgttgacttcac-3' 2
cyclinD1 F cyclinD1
5'- gaactacctggaccgcttcc-3' 208
NM_053056 3
cyclinD1 R 5'- gagcttgttcaccaggagca-3' 4
STAT3 F STAT3
5'- ggttgctggtcaaattccct-3' 224
NM_139276 5
STAT3 R 5'- attcccacatctctgctccc-3' 6
p21 F p21
5'- caagaggaagccctaatccg-3' 258
AF497972 7
p21 R 5'- gcccagcactcttaggaacc-3' 8
GAPDH F GAPDH
5'- tacagcttcaccaccacagc-3' 187
NM_007393 9
GAPDH R 5'- aaggaaggctggaaaagagc-3' 10
먼저 민물김 에탄올 추출물과 민물김 용매분획물에 의한 세포 주기와 세포 사멸에 관련된 유전자인 Bcl-2, Cyclin D1, p21, STAT3 유전자의 발현에 끼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qPCR을 수행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과 클로로포름 분획물 25 ㎍/ml에서 Bcl-2의 발현이 유의하게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도 12), cyclin D1의 발현 역시 25 ㎍/ml에서 유의한 수준으로 억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3). 또한 p21은 클로로포름 분획물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보다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도 14), 암형성을 촉진하는 유전자인 STAT3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과 클로로포름 분획물 모두에서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5).
이상과 같은 결과로부터 민물김의 2차 분획물 (ethyl acetate 및 chloroform)이 항암활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민물김에 대장운동을 조절하는 Alverine 및 배변보조역할을 하는 sorbitol 등 대장관련 소재가 존재함을 고려할 때 암 치료제, 특히 대장암 치료제로서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INDUSTRY ACADEMY COOPERATION GROUP <120>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cancer <130> PD13-1028 <160> 10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cl-2 F <400> 1 gagtacctga accggcacct 20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cl-2 R <400> 2 ggcaggcatg ttgacttcac 20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yclinD1 F <400> 3 gaactacctg gaccgcttcc 20 <210> 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yclinD1 R <400> 4 gagcttgttc accaggagca 20 <210> 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TAT3 F <400> 5 ggttgctggt caaattccct 20 <210> 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TAT3 R <400> 6 attcccacat ctctgctccc 20 <210> 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21 F <400> 7 caagaggaag ccctaatccg 20 <210> 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21 R <400> 8 caagaggaag ccctaatccg 20 <210> 9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 F <400> 9 tacagcttca ccaccacagc 20 <210> 10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 R <400> 10 aaggaaggct ggaaaagagc 20

Claims (6)

  1. 민물김 추출물 또는 상기 민물김 추출물을 유기용매로 순차분획한 민물김 유기용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민물김 추출물은 민물김을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의 혼합물로 추출한 것인, 항암용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민물김 유기용매 분획물은 민물김 추출물을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클로포름, n-부탄올 및 증류수로 순차분획한 n-헥산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클로로포름 분획물, n-부탄올 분획물 또는 증류수 분획물인, 항암용 약학 조성물.
  4. 민물김 추출물 또는 상기 민물김 추출물을 유기용매로 순차분획한 민물김 유기용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예방용 건강기능식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민물김 추출물은 민물김을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의 혼합물로 추출한 것인, 암예방용 건강기능식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민물김 유기용매 분획물은 민물김 추출물을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클로포름, n-부탄올 및 증류수로 순차분획한 n-헥산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클로로포름 분획물, n-부탄올 분획물 또는 증류수 분획물인, 암예방용 건강기능식품.
KR1020140026927A 2014-03-07 2014-03-07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591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927A KR101591401B1 (ko) 2014-03-07 2014-03-07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927A KR101591401B1 (ko) 2014-03-07 2014-03-07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4931A true KR20150104931A (ko) 2015-09-16
KR101591401B1 KR101591401B1 (ko) 2016-02-18

Family

ID=54244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6927A KR101591401B1 (ko) 2014-03-07 2014-03-07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14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4351A (ko) * 2018-04-05 2019-11-05 삼척시 민물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00029410A (ko) * 2020-03-05 2020-03-18 삼척시 민물김(Prasiola japoni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광노화에 의한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7173B1 (ko) 2018-04-05 2019-12-18 삼척시 알베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KR102014283B1 (ko) 2018-04-05 2019-08-26 삼척시 민물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181090B1 (ko) 2018-12-28 2020-11-20 삼척시 민물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3108A (ko) * 1996-11-08 2000-08-25 오미야 히사시 아폽토시스 유도제
JP2002145796A (ja) * 2000-11-09 2002-05-22 Nikken Sohonsha Corp 抗癌性物質
KR20040004274A (ko) * 2003-12-12 2004-01-13 주식회사 선진애드 한국산 녹조류 유래의 면역증강용 추출물, 그 추출방법 및이를 함유하는 약제
KR20050006533A (ko) * 2003-07-09 2005-01-17 이재화 해조류로부터 항암 및 면역활성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3108A (ko) * 1996-11-08 2000-08-25 오미야 히사시 아폽토시스 유도제
JP2002145796A (ja) * 2000-11-09 2002-05-22 Nikken Sohonsha Corp 抗癌性物質
KR20050006533A (ko) * 2003-07-09 2005-01-17 이재화 해조류로부터 항암 및 면역활성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
KR20040004274A (ko) * 2003-12-12 2004-01-13 주식회사 선진애드 한국산 녹조류 유래의 면역증강용 추출물, 그 추출방법 및이를 함유하는 약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4351A (ko) * 2018-04-05 2019-11-05 삼척시 민물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00029410A (ko) * 2020-03-05 2020-03-18 삼척시 민물김(Prasiola japoni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광노화에 의한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1401B1 (ko) 2016-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inghorn et al. Discovery of anticancer agents of diverse natural origin
KR101591401B1 (ko)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Zhan et al. Metabolites from Bufo gargarizans (Cantor, 1842): A review of traditional uses, pharmacological activity, toxicity and quality control
Li et al. Anti‐inflammatory effects of chemical components from Ginkgo biloba L. male flowers o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264. 7 macrophages
Chueahongthong et al. Cytotoxic effects of crude kaffir lime (Citrus hystrix, DC.) leaf fractional extracts on leukemic cell lines
Hahm et al. Anticancer properties of extracts from Opuntia humifusa against human cervical carcinoma cells
US8168238B2 (en) Extracts of Aquilaria hulls and use thereof in the treatment of cancer
Araki et al. Gomisin N ameliorates lipopolysaccharide-induced depressive-like behaviors by attenuating inflammation in the hypothalamic paraventricular nucleus and central nucleus of the amygdala in mice
Khade et al. Anticancer activity of the ethanolic extracts of Agave americana leaves
Puspita et al.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longan (Dimocarpus longan Lour.) leaf extracts
KR20140100117A (ko) 오리나무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지방분화 억제용 조성물
Lee et al. The extract of Ramalina litoralis inhibits osteoclast differentiation
Lee et al. Anti-resorptive saurolactam exhibits in vitro anti-inflammatory activity via ERK–NF-κB signaling pathway
Feng et al. Bioactives and metabolites of Tetrastigma hemsleyanum root extract alleviate DSS-induced ulcerative colitis by targeting the SYK protein in the B cell receptor signaling pathway
JP2009286705A (ja) 新規抗腫瘍物質アルキルクマリン類とその用途
Li et al. Chemical constitutes from Tuber indicum with immunosuppressive activity uncovered by transcriptome analysis
Li et al. Two immunosuppressive compounds from the mushroom Rubinoboletus ballouii using human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by bioactivity-guided fractionation
Bhanuwati et al. Cytotoxic test of different solvents of soursop (Annona muricata) leaf extract against HSC-3 cell line
CN106309613B (zh) 具有抗炎、抗过敏作用的中药及其制备方法
Huang et al. Metabolites analysis and new bioactive pigments from a Monascus purpureus strain with low citrinin
Mouli et al. Leptin inhibitors from fungal endophytes (LIFEs): Will be novel therapeutic drugs for obesity and its associated immune mediated diseases
Khodavirdipour et al. In vitro anti-cancer activity of Oliveria decumbens vent. Extract, an endemic Persian medicinal plant, on HT-29 colorectal cancer cell line
CN111303185B (zh) 一种具有抑制肿瘤活性的化合物及其提取方法
EP4104845A1 (en) Extract with anti-inflammatory effect
KR20140086388A (ko) 대장암 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코디세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