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4702A - 모듈러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듈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4702A
KR20150104702A KR1020140026356A KR20140026356A KR20150104702A KR 20150104702 A KR20150104702 A KR 20150104702A KR 1020140026356 A KR1020140026356 A KR 1020140026356A KR 20140026356 A KR20140026356 A KR 20140026356A KR 20150104702 A KR20150104702 A KR 20150104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amper
outside
unit
humid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6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남
육성진
정호영
김학근
김우중
정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화에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화에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화에이스
Priority to KR1020140026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4702A/ko
Publication of KR20150104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47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7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server racks or cabinets; for data centers, e.g. 19-inch computer r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44Systems in which all treatment is given in the central station, i.e. all-air systems
    • F24F3/048Systems in which all treatment is given in the central station, i.e. all-air systems with temperature control at constant rate of air-flow
    • F24F3/052Multiple duct systems, e.g. systems in which hot and cold air are supplied by separate circuits from the central station to mixing chambers in the spaces to be conditio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40Pressure, e.g. wind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은 외부 또는 실내의 공기를 유입하고, 유입된 공기를 작동유체를 통하여 열교환하여 배출하며, 복수개가 병렬로 배열되어 하나의 모듈을 형성할 수 있는 단위공조모듈 및 단위공조모듈 각각과 연결되어, 각각의 단위공조모듈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단위공조모듈은,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구와 실내의 공기가 유입되는 내기유입구와, 외기유입구와 내기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유출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로 외기유입구와 내기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유출구로 안내하는 흡기유로가 형성된 공조기본체와, 공조기본체의 흡기유로 상에 구비되고 작동유체를 통하여 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항온항습기와,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배관부에 구비되어 작동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부와, 흡기유로 상에 배치되어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제1송풍유닛을 포함하는 모듈러 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모듈화가 용이하기 때문에, 모델에 따라 복수개를 병렬로 연결하여 모듈화할 수 있어 확장이 용이하며, 시공 및 유지보수가 편리하다.

Description

모듈러 시스템{Modular air condition system}
본 발명은 모듈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데이터 센터의 공기조화시스템에 대한 모듈화가 용이하여 모델에 따라 확장이 용이한 모듈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센터의 경우에는 데이터 센터 내의 온도를 양호한 레벨로 유지하기 위한 공조유닛이 배치된다. 이러한 테이터 센터의 공조유닛에 대한 기술의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00205호에는 공기유동 측정장치 및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데이터 센터의 냉각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 바 있으며, 또다른 기술의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78755호, 제10-1103394호, 제10-2010-0013312호 등에는 전산실 및 랙에 설치하는 다양한 공기조화장치에 대한 기술이 공개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데이터 센터는 구조상 모듈화가 어려운 구조이기 때문에, 모델에 따라 확장을 하기가 어려워 비용증가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시공 및 유지보수가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모듈화가 용이하여 모델에 따라 확장이 용이하여 비용증가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 및 유지보수도 편리한 모듈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각각은 외부 또는 실내의 공기를 유입하고, 유입된 상기 공기를 작동유체를 통하여 열교환하여 배출하며, 복수개가 병렬로 배열되어 하나의 모듈을 형성할 수 있는 단위공조모듈; 및 상기 단위공조모듈 각각과 연결되어, 상기 각각의 단위공조모듈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공조모듈은,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구와 실내의 공기가 유입되는 내기유입구와, 상기 외기유입구와 상기 내기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상기 공기가 배출되는 유출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로 상기 외기유입구와 상기 내기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상기 공기를 상기 유출구로 안내하는 흡기유로가 형성된 공조기본체와, 상기 공조기본체의 상기 흡기유로 상에 구비되고 상기 작동유체를 통하여 상기 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항온항습기와, 상기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배관부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부와, 상기 흡기유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제1송풍유닛을 포함하는 모듈러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공조기본체는, 상기 외기유입구에 구비되어 상기 외기유입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외기댐퍼와, 상기 내기유입구에 구비되어 상기 내기유입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내기댐퍼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공조기본체의 내부와 상기 실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로 상기 공기의 온도 및 습도정보를 송신하는 온/습도센서와, 상기 공조기본체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공기의 압력을 감지하고, 상기 공기의 압력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습도센서와,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따라 상기 외기댐퍼와 상기 내기댐퍼와 상기 송풍유닛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습도센서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따라 상기 외기댐퍼와 상기 내기댐퍼를 제어하여 상기 외부의 공기와 상기 실내의 공기의 혼합량을 제어하고,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따라 상기 송풍유닛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항온항습기는, 통과하는 상기 공기에 상기 작동유체를 분사하여 상기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조절부와, 상기 습도조절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습도조절부를 통과한 상기 공기를 상기 작동유체와의 열교환을 통하여 냉각 또는 가열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모듈러 시스템은, 상기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내기유입구로 공급하거나 외부와 연통된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기덕트와, 상기 배출구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배출댐퍼와, 상기 환기덕트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를 상기 배출구로 강제 유동시키는 제2송풍유닛을 구비하는 리턴공급부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로 외부의 공기만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외기모드인 경우, 상기 내기유입구가 폐쇄되도록 상기 내기댐퍼를 제어하고, 상기 외기유입구와 상기 배출구는 개방되도록 상기 외기댐퍼와 상기 배출댐퍼를 각각 제어하여, 상기 외부의 공기가 상기 실내로 공급된 후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배출공기량이 상기 실내로 공급되는 외부 공기량 보다 크지 않도록 상기 외기댐퍼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고 실내의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는 혼합모드인 경우, 상기 내기댐퍼와, 상기 외기댐퍼와, 상기 배출댐퍼 각각을 비례제어를 통하여 제어하여, 상기 외부의 공기의 상기 실내의 공기가 상기 공조기본체를 거쳐 상기 실내로 유입되게 하고, 상기 실내의 공기는 상기 리턴공급부를 통하여 일부는 상기 내기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공조기본체로 공급하고 나머지는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공급되는 상기 외부 공기의 유량 범위 내에 상기 실내의 공기를 배출하도록 제2송풍유닛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환기모드인 경우, 상기 내기유입구를 개방하도록 상기 내기댐퍼를 제어하고, 상기 외기유입구와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외기댐퍼와 상기 배출댐퍼를 각각 제어하여, 상기 실내의 공기가 상기 리턴공급부를 거쳐 상기 공조기본체로 공급되게 한 후 상기 실내로 다시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실내의 공기만이 순환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압력센서는, 상기 실내의 압력과 상기 리턴공급부 내의 압력차를 감지할 수 있는 차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압센서로부터 수신된 상기 압력차가 설정된 압력차 이상일 경우 상기 배출구의 배출 공기유량을 보정하여 상기 제2송풍유닛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수신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값 보다 낮은 값일 경우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제2송풍유닛을 제어하고,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수신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값 보다 높은 값일 경우,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증가시키도록 상기 제2송풍유닛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실내는, 통신기기를 탑재한 서버랙 복수개가 열을 이루어 설치되어 있으며,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작업공간과, 서로 인접하는 상기 서버랙 열 상호간에 형성되는 랙공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조기본체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작업공간으로 먼저 공급된 후 상기 서버랙을 거쳐 상기 랙공간부로 유동하여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그 자체가 단위모듈이 되어 모듈화가 용이하기 때문에, 모델에 따라 복수개를 병렬로 연결하여 모듈화할 수 있어 확장이 용이하며, 시공 및 유지보수가 편리하다.
둘째, 빌트업(Built-up) 공기조화시스템으로서 최적의 공기조화를 이룰 수 있으며, 외부공기를 이용하여 친환경적이고 에너지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셋째, 외기를 이용함으로써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공급되는 공기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어 쾌적한 실내를 조성할 수 있다.
넷째, 외기, 내기의 엔탈피에 의해 자동으로 혼합 및 전외기, 내기 전용 제어가 가능하고, 상황에 따라 작업자가 다양한 공기조화모드를 구현할 수 있어 그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섯째, 공조기본체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불필요한 챔버와 덕트로 인한 정압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어, 이로 인한 송풍유닛의 소비 전력량을 저감시킬 수 있어 경제적이다.
여섯째, 온도에 의한 제어뿐만 아니라 압력에 의한 제어도 병행하여, 기존의 온도에 의해서만 제어했을 경우 발생되는 정확한 데이터를 얻기 힘든 점, 가령 평균값을 얻을 수는 있으나 전체 서버랙의 정확한 정보는 확인하기 힘든 점 및 부분적으로 과열되는 곳이 있을 수 있는 문제점을 보완하여, 전체적으로 균일한 값을 얻을 수 있으며, 서버랙에 일정한 풍량을 보낼 수 있다.
일곱째, 상대습도가 아닌 절대습도에 의한 습도제어를 통하여 상대습도에 의한 제어보다 안정적인 제어가 가능하다.
여덟째, 추가 모듈 장착으로 에너지 사용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아홉째, 냉각된 공기가 작업공간으로 바로 공급되게 한 후 서버랙을 거치도록 함으로써, 서버랙의 냉각성능은 유지하면서 이와 더불어 작업공간을 보다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모듈러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모듈러 시스템에서 단위공조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의 모듈러 시스템에서 제어부의 제어흐름은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3의 단위공조모듈에서 전외기모드인 경우 공기흐름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3의 단위공조모듈에서 환기모드인 경우 공기흐름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3의 단위공조모듈에서 혼합모드인 경우 공기흐름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시스템은, 복수개의 단위공조모듈(1000)과, 상기 단위공조모듈(1000)을 개별 또는 통합 제어하는 제어부(600;도 4참조)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단위공조모듈(1000)은,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병렬로 배열되어 하나의 모듈을 형성할 수 있으며, 각각은 외부 또는 실내의 공기를 유입하고, 유입된 공기를 작동유체와 열교환을 통하여 냉각 또는 가열하여 배출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단위공조모듈(1000)은, 공조기본체(100)와, 항온항습기(700)와, 밸브부(711)와, 제1송풍유닛(510)과, 리턴공급부(400)와, 온/습도센서(200)와, 압력센서(3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공조기본체(100)는, 크게 실내와, 상기한 항온항습기(700)와, 밸브부(711)와, 제1송풍유닛(510)과, 리턴공급부(400) 등을 포함하는 공조실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때 상기 실내와 공조실은 빌트업(built-up)구조로 되어 있어 하나의 컨테이너로도 활용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실내는, 통신기기를 탑재한 서버랙(10) 복수개가 열을 이루어 설치되어 있으며,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작업공간(20)과, 서로 인접하는 상기 서버랙(10) 열 상호간에 형성되는 랙공간부(30)를 포함하는 데이터실이다.
그리고 상기한 실내구조에서 공기는, 상기 공조기본체(100)로부터 상기 작업공간(20)으로 먼저 공급된 후 상기 서버랙(10)을 거쳐 상기 랙공간부(30)로 유동하여 상기 리턴공급부로 배출된다.
이를 위해, 상기 실내는, 상기 복수개의 서버랙(10) 열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랙공간부(30)를 밀폐시키고, 상기 리턴공급부(40)와 연통되는 연통구(910)가 형성된 랙연통부(900)를 포함하여, 공기가 상기 작업공간(20)에서 상기 서버랙(10)을 거쳐 상기 랙공간부(30)로 유입되고, 상기 랙공간부(30)의 공기는 상기 랙연통구(910)를 통하여 상기 리턴공급부(400)로 배출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내는 서버랙(10) 복수개가 열을 이루어 설치된 데이터실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상기 단위공조모듈(10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상기 공조기본체(100)는, 상부 일측으로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구(101)와, 상부 타측으로 상기 랙공간부(30)의 내기가 유입되는 내기유입구(10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조기본체(100)는, 하부 타측으로 유입된 상기 외기와 내기 또는 상기 외기와 상기 내기가 혼합된 혼합기를 상기 작업공간(20)으로 배출하는 유출구(103)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외기와 상기 내기와 상기 혼합기를 상기 유출구(103)로 안내하는 흡기유로(10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조기본체(100)는 상기 외기유입구(101)에 구비되어 상기 외기유입구(101)의 개도를 조절하는 외기댐퍼(110)와, 상기 내기유입구(102)에 구비되어 상기 내기유입구(102)의 개도를 조절하는 내기댐퍼(120)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외기댐퍼(110)와 상기 내기댐퍼(120)는 개도량에 의하여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공지의 댐퍼장치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공조기본체(100)는, 내부에 습도조절부(710)와, 열교환부(720)를 포함한다. 상기 습도조절부(710)는, 상기 흡기유로(104) 상에 배치되어 통과하는 상기 외기 또는 상기 내기 또는 상기 혼합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열교환부(720)는, 상기 흡기유로(104) 상의 상기 습도조절부(710)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습도조절부(710)를 거친 상기 외기 또는 상기 내기 또는 상기 혼합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습도조절부(710)와, 상기 열교환부(720)는 각각 작동유체를 통하여 공기의 습도와 온도를 조절한다. 이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습도조절부(710)는 상기 작동유체를 분사하여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구조를 적용하고, 또한 상기 열교환부(720)는 일정 온도의 상기 작동유체가 유동하는 열교환코일을 포함하여, 상기 공기가 작동유체가 열교환을 하여 냉각 또는 가열되는 구조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습도조절부(710)와 상기 열교환부(720)는 각각 상기 작동유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부(711)를 더 구비하며, 상기 밸브부(711)는 상기 단위공조모듈(1000)에 내장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 습도조절부(710)와 상기 열교환부(7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작동유체를 분사 및 열교환코일을 적용한 경우를 실시예로 나타내었으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한 실시예 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공지의 습도조절장치와 냉각장치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단위공조모듈(1000)은, 상기 데이터센터의 바닥에 구비되어 상기 공조기본체(100)의 유출구(103)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외기 또는 상기 내기 또는 상기 혼합기를 상기 작업공간(20)으로 공급하는 공급덕트(810)를 포함하고 있다. 이에, 상기 작업공간(20)은 상기 공조기본체(10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바닥으로부터 공급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단위공조모듈(1000)은, 상기 공급덕트(810) 내에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유량조절밸브(820; 도 1참조)를 구비하여, 통과하는 상기 외기 또는 상기 내기 또는 상기 혼합기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량조절밸브(820)는 쿨존(Cool zone)의 온도를 설정 온/습도 범위내로 유지하기 위하여 PID제어를 하며, 제습은 절대습도를 이용하여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유량조절밸브(820)는 도시된 바와 같은 댐퍼구조 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온/습도센서(200)는, 상기 공조기본체(100)의 내부와 상기 작업공간(20)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내기와, 상기 외기와, 상기 혼합기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여, 이에 대한 온도정보를 상기 제어부(600)로 전송한다. 상세하게, 상기 온/습도센서(200)는 외기 온/습도센서(210)와, 내기 온/습도센서(220)와, 혼합기 온/습도센서(230)와, 실내 온/습도센서(240)를 포함한다.
상기 외기 온/습도센서(210)는, 상기 공조기본체(100)의 상기 외기유입구(101) 측에 구비되어 상기 외기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한다.
상기 내기 온/습도센서(220)는, 상기 공조기본체(100)의 상기 내기유입구(102)측에 구비되어 상기 내기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한다.
상기 혼합기 온/습도센서(230)는, 상기 흡기유로(104) 상에 구비되어 후술하는 혼합모드인 경우 상기 외기와 상기 내기가 혼합된 혼합기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한다.
상기 실내 온/습도센서(240)는, 상기 작업공간(20)에 구비되어 상기 작업공간(20)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업공간(20)의 상기 서버랙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력센서(300)는, 상기 공조기본체(100)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외기 또는 상기 내기 또는 상기 혼합기의 압력을 감지한다. 상세하게, 상기 압력센서(300)는, 상기 유출구(103)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외기 또는 상기 내기 또는 상기 혼합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정압센서(310)와, 상기 작업공간(20)의 압력과 상기 리턴공급부(400) 내의 내기의 압력 차를 감지할 수 있는 차압센서(3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정압센서(310)는 상기 작업공간(20)의 하측(under the floor)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턴공급부(400)는, 상기 작업공간(20)으로부터 상기 서버랙(10)을 거쳐 상기 랙공간부(30)로 유동한 상기 내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조기본체(100) 또는 외부로 공급 및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하게, 상기 리턴공급부(400)는, 상기 데이터센터의 천정에 구비되어 상기 랙공간부(30)의 상기 내기를 흡입하고, 일측이 상기 내기유입구(102)와 연통되어 유입된 내기를 상기 내기유입구(102)로 공급하고, 타측은 외부와 연통된 배출구(401)가 형성되어 유입된 내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기덕트(4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리턴공급부(400)는, 상기 환기덕트(410)의 내부 상기 배출구(401)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구(401)의 개도를 조절하는 배출댐퍼(420)를 구비한다.
상기 송풍유닛(500)은, 제1송풍유닛(510)과, 제2송풍유닛(5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송풍유닛(510)은, 상기 흡기유로(104) 상에 배치되어 유입된 상기 내기와 외기를 상기 유출구(103)로 강제 유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송풍유닛(520)은, 상기 리턴공급부(400)의 상기 배출구(401)측에 구비되어 흡입된 내기를 상기 배출구(401)로 강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온/습도센서(200)와, 상기 압력센서(3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따라 상기 외기댐퍼(110)와 상기 내기댐퍼(120)와, 상기 배출댐퍼(420)와, 상기 제1송풍유닛(510) 및 제2송풍유닛(520)과, 상기 공조기본체(100)의 습도조절부(710)와 열교환부(720)를 제어한다.
상세하게,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온/습도센서(2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따라 상기 외기댐퍼(110)와 상기 내기댐퍼(120)를 제어하여 상기 외기와 내기의 혼합량을 제어하고, 상기 압력센서(3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송풍유닛(510)과 상기 제2송풍유닛(520)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600)는 가습제어에 있어서 절대 습도로 제어하며 PID연산에 의한 시간양으로 가습밸브(미도시)를 오픈/크로즈(Open/close)하여 제어함으로써, 상대습도에 의한 제어에 비하여 안정적인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600)는, 외기풍량에 의하여 상기 제2송풍유닛(520)이 제어되는 도중 설정된 차압 이상으로 차압이 측정될 경우 상기 제2송풍유닛(520)의 풍량을 보정하여 상기 제2송풍유닛(520)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압력센서(300)로부터 수신된 배출공기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값보다 낮은 값일 경우 외부로 배출되는 내기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제2송풍유닛(520)을 제어하고, 상기 압력센서(300)로부터 수신된 배출공기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값보다 높은 값일 경우, 외부로 배출되는 내기를 증가시키도록 상기 제2송풍유닛(520)을 제어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단위공조모듈(1000)은, 온도에 의한 제어뿐만 아니라, 압력에 의한 제어도 병행함으로써, 온도에 의한 제어로부터 얻을 수 있는 간단한 시스템 구조와, 제어의 용이성의 장점과 함께, 압력에 의한 제어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전체적으로 균일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장점 모두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서버랙에 일정한 풍량을 보낼 수 있어 서버랙의 냉각 및 전체 공기조화효율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다양한 공기조화모드에서의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방식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실시되는 공조모드는, 전외기모드와, 혼합모드와, 환기모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각 공조모드는 외기엔탈피와 내기엔탈피를 비교하여 적합한 공조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때 제어에 사용되는 엔탈피, 절대습도 및 노점온도는 상기 온/습도센서(200) 값에 의해 상기 제어부(600) 내부연산을 통하여 산출된다.
도 5는 상기 작업공간(20)으로 외기만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외기모드인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내기댐퍼(120)는 폐쇄하고, 상기 외기댐퍼(110)는 개방하며, 상기 배출댐퍼(420)는 개방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전외기모드는 상기 외기가 상기 작업공간(20)에서 상기 서버랙(10)을 거쳐 상기 랙공간부(30)로 공급된 후 상기 리턴공급부(40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공기조화모드이다.
이때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배출구(401)로 배출되는 배출공기량이 상기 작업공간(20)으로 공급되는 외기량 보다 크지 않도록 상기 외기댐퍼(110)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전외기모드는 공급 풍량만큼 배기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전외기모드는 상기 외기 온/습도센서(210)와 상기 내기 온/습도센서(220)를 통하여 외기엔탈피(OA H)와 내기엔탈피(RA H)를 비교하여, 상기 내기엔탈피가 상기 외기엔탈피 보다 크고(OA H<RA H), 외기의 온/습도가 설정된 온/습도보다 높아 냉각이 필요한 경우에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상기 작업공간(20)으로 외기가 유입되고 내기가 순환되도록 하는 혼합모드인 경우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내기댐퍼(120)와, 상기 외기댐퍼(110)와, 상기 배출댐퍼(420) 각각의 개도를 비례제어를 통하여 조절한다.
이로 인하여, 상기 혼합모드는 상기 외기와 상기 내기가 상기 공조기본체(100)를 거쳐 상기 작업공간(20)으로 유입되게 하고, 상기 작업공간(20)에서 상기 서버랙(10)을 거쳐 상기 랙공간부(30)로 공급된 상기 내기 중 일부는 상기 리턴공급부(400)를 거쳐 상기 유입구로 공급되고 나머지는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600)는, 공급되는 상기 외기의 도입유량의 범위 내에 상기 내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제2송풍유닛(520)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혼합모드는 상기 온/습도센서(200)를 통하여 외기엔탈피(OA H)와 내기엔탈피(RA H)를 비교하여, 상기 내기엔탈피가 상기 외기엔탈피 보다 크고(OA H<RA H), 외기의 온/습도가 설정된 온/습도보다 같거나 낮아 냉각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혼합모드는 공급풍량을 계산하고 외기와 환기 및 혼합 온도를 이용하여 외기 도입율을 계산하여 외기량을 계산한 후 같은 양 만큼을 배기하도록 상기 제2송풍유닛(520)을 제어하며, 상기 제2송풍유닛(520)의 제어범위(30%) 이내에서는 상기 제2송풍유닛(520)은 작동을 멈추고 상기 배기댐퍼로 제어한다.
도 7은 환기모드인 경우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내기댐퍼(120)는 개방하고, 상기 외기댐퍼(110)와 상기 배출댐퍼(420)는 각각 폐쇄한다.
이에 상기 환기모드는, 상기 외기의 유입을 차단하고, 상기 내기가 상기 작업공간(20)에서 상기 서버랙(10)을 거쳐 상기 랙공간부(30)로 공급된 후 상기 리턴공급부(400)를 통하여 상기 공조기본체(100)로 공급되게 한 후 상기 작업공간(20)으로 다시 공급하여 상기 내기만이 순환되게 하는 공기조화모드이다.
여기서, 상기 환기모드는 상기 온/습도센서(200)를 통하여 외기엔탈피(OA H)와 내기엔탈피(RA H)를 비교하여, 상기 내기엔탈피가 상기 외기엔탈피 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OA H≥RA H)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환기모드는 상기 외기댐퍼(110)와, 상기 내기댐퍼(120)와, 상기 배출댐퍼(420)의 제어를 습공기선도상에서 쿨존(Cool zone)의 설정 온/습도를 유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조절되어야 한다.
가령, 상기 환기모드에서 상기 배기댐퍼는 두가지 모드로 제어되며 배기풍량이 제2송풍유닛(520)의 제어 범위내에 있을 경우에는 상기 배기댐퍼는 풀 오픈(Full open)되며, 배기풍량이 적어서 상기 제2송풍유닛(520)의 작동을 멈춰야 하는 경우에는 배기풍량에 맞추어 상기 배기댐퍼가 비례제어된다.
또한, 상기 전외기모드와, 상기 혼합모드와, 상기 환기모드는, 가습이 필요할 경우에 대응하여 상기 습도조절부(710)를 온/오프(On/off)제어할 수 있다.
부가하여, 상기 단위공조모듈(1000)의 오동작시 조치방안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제1 및 제2송풍유닛(510,520)은, 제어판넬 내부에 설치된 인버터를 수동모드로 변환하여 동작시킬 수 있으며, 이는 간단한 키 조작으로 가능하고, 기동/정지 및 스피드 변환 또한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유량조절밸브(820)는, 밸브 자체에는 이상이 없으나 제어적으로 오작동 할 경우에는 제어 판넬 내부의 바이패스 선택 스위치를 수동 모드로 변환하여 다이얼 조작으로 개폐를 제어할 수 있으며, 만약 상기 유량조절밸브(820) 자체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는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수동조작장치를 이용하여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끝으로, 외기댐퍼(110)와 내기댐퍼(120)는 댐퍼모드 자체에는 이상이 없으나 제어적으로 오작동 할 경우 제어판넬 내부의 바이패스 선택 스위치를 수동 모드로 변환하여 다이얼 조작으로 댐퍼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으며, 만약 댐퍼모터 자체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는 댐퍼모터에 연결된 전원을 해제한 후 댐퍼모터 본체의 수동 조작 버튼을 누른후 댐퍼핸들을 이용하여 댐퍼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모듈러 시스템은, 복수개의 단위공조모듈(1000)을 병렬로 연결하여 하나의 모듈형태로 이루어진 구조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모델에 따라 상기한 단위공조모듈(1000)을 확장 또는 축소하여 모델변경이 용이하며, 또한 유지 및 보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공조기본체 101... 외기유입구
102... 내기유입구 103... 유출구
104... 흡기유로 110... 외기댐퍼
120... 내기댐퍼 200.. 온/습도센서
210... 외기 온/습도센서 220... 내기 온/습도센서
230... 혼합기 온/습도센서 240... 실내 온/습도센서
300... 압력센서 310... 정압센서
320... 차압센서 400... 리턴공급부
401... 배출구 410... 환기덕트
420... 배출댐퍼 510... 제1송풍유닛
520.. 제2송풍유닛 600... 제어부
700... 항온항습기 710... 습도조절부
720... 열교환부 810... 공급덕트
820... 유량조절밸브 900... 랙연통부
910... 연통구 1000... 단위공조모듈

Claims (13)

  1. 각각은 외부 또는 실내의 공기를 유입하고, 유입된 상기 공기를 작동유체를 통하여 열교환하여 배출하며, 복수개가 병렬로 배열되어 하나의 모듈을 형성할 수 있는 단위공조모듈; 및
    상기 단위공조모듈 각각과 연결되어, 상기 각각의 단위공조모듈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공조모듈은,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구와 실내의 공기가 유입되는 내기유입구와, 상기 외기유입구와 상기 내기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상기 공기가 배출되는 유출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로 상기 외기유입구와 상기 내기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상기 공기를 상기 유출구로 안내하는 흡기유로가 형성된 공조기본체와,
    상기 공조기본체의 상기 흡기유로 상에 구비되고 상기 작동유체를 통하여 상기 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항온항습기와,
    상기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배관부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부와,
    상기 흡기유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제1송풍유닛을 포함하는 모듈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조기본체는, 상기 외기유입구에 구비되어 상기 외기유입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외기댐퍼와, 상기 내기유입구에 구비되어 상기 내기유입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내기댐퍼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공조기본체의 내부와 상기 실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로 상기 공기의 온도 및 습도정보를 송신하는 온/습도센서와,
    상기 공조기본체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공기의 압력을 감지하고, 상기 공기의 압력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습도센서와,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따라 상기 외기댐퍼와 상기 내기댐퍼와 상기 송풍유닛을 제어하는 모듈러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습도센서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따라 상기 외기댐퍼와 상기 내기댐퍼를 제어하여 상기 외부의 공기와 상기 실내의 공기의 혼합량을 제어하고,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따라 상기 송풍유닛을 제어하는 모듈러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항온항습기는,
    통과하는 상기 공기에 상기 작동유체를 분사하여 상기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조절부와,
    상기 습도조절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습도조절부를 통과한 상기 공기를 상기 작동유체와의 열교환을 통하여 냉각 또는 가열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는 모듈러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내기유입구로 공급하거나 외부와 연통된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기덕트와, 상기 배출구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배출댐퍼와, 상기 환기덕트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를 상기 배출구로 강제 유동시키는 제2송풍유닛을 구비하는 리턴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모듈러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로 외부의 공기만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외기모드인 경우,
    상기 내기유입구가 폐쇄되도록 상기 내기댐퍼를 제어하고, 상기 외기유입구와 상기 배출구는 개방되도록 상기 외기댐퍼와 상기 배출댐퍼를 각각 제어하여, 상기 외부의 공기가 상기 실내로 공급된 후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모듈러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배출공기량이 상기 실내로 공급되는 외부 공기량 보다 크지 않도록 상기 외기댐퍼를 제어하는 모듈러 시스템.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고 실내의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는 혼합모드인 경우,
    상기 내기댐퍼와, 상기 외기댐퍼와, 상기 배출댐퍼 각각을 비례제어를 통하여 제어하여, 상기 외부의 공기의 상기 실내의 공기가 상기 공조기본체를 거쳐 상기 실내로 유입되게 하고, 상기 실내의 공기는 상기 리턴공급부를 통하여 일부는 상기 내기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공조기본체로 공급하고 나머지는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모듈러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공급되는 상기 외부 공기의 유량 범위 내에 상기 실내의 공기를 배출하도록 제2송풍유닛을 제어하는 모듈러 시스템.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환기모드인 경우,
    상기 내기유입구를 개방하도록 상기 내기댐퍼를 제어하고, 상기 외기유입구와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외기댐퍼와 상기 배출댐퍼를 각각 제어하여, 상기 실내의 공기가 상기 리턴공급부를 거쳐 상기 공조기본체로 공급되게 한 후 상기 실내로 다시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실내의 공기만이 순환되게 하는 모듈러 시스템.
  11.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는,
    상기 실내의 압력과 상기 리턴공급부 내의 압력차를 감지할 수 있는 차압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압센서로부터 수신된 상기 압력차가 설정된 압력차 이상일 경우 상기 배출구의 배출 공기유량을 보정하여 상기 제2송풍유닛을 제어하는 모듈러 시스템.
  12.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수신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값 보다 낮은 값일 경우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제2송풍유닛을 제어하고,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수신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값 보다 높은 값일 경우,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증가시키도록 상기 제2송풍유닛을 제어하는 모듈러 시스템.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는, 통신기기를 탑재한 서버랙 복수개가 열을 이루어 설치되어 있으며,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작업공간과, 서로 인접하는 상기 서버랙 열 상호간에 형성되는 랙공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조기본체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작업공간으로 먼저 공급된 후 상기 서버랙을 거쳐 상기 랙공간부로 유동하여 배출되는 모듈러 시스템.
KR1020140026356A 2014-03-06 2014-03-06 모듈러 시스템 KR201501047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356A KR20150104702A (ko) 2014-03-06 2014-03-06 모듈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356A KR20150104702A (ko) 2014-03-06 2014-03-06 모듈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4702A true KR20150104702A (ko) 2015-09-16

Family

ID=54244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6356A KR20150104702A (ko) 2014-03-06 2014-03-06 모듈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470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7313B1 (ko) 데이터센터용 빌트업 공기조화장치
CN103582786B (zh) 服务器室管理用的空气调节系统及空气调节控制方法
CN110023686B (zh) 热交换型换气装置
CN202792258U (zh) 带有空调功能的外空调机
CN105047058B (zh) 一种全尺寸中央空调与集中供热综合实验平台及其控制方法
US20130048267A1 (en) Ventilation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1242010A (ja) サーバ室管理用の空調システムおよび空調制御方法
KR101436592B1 (ko) 단독 설치 및 운용이 가능한 빌딩용 일체형 공조기
KR101295311B1 (ko) 빌트업 항온기
JP4651460B2 (ja) 空気調和機および外気冷房運転方法
EP2113723A2 (en) Ventilating apparatus
JP2014186692A (ja) 空気調和システム、空気調和装置、モジュール型データセンタ及び空気調和方法
CN104515207A (zh) 多贯流空调器及其控制方法
JP5371583B2 (ja) 空調機
KR101243226B1 (ko)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150104701A (ko) Crac 시스템
KR20180100073A (ko) 하이브리드 공기조화시스템 및 그 하이브리드 공기조화시스템의 자동 제어방법
JP7037095B2 (ja) 空調機
KR20150104702A (ko) 모듈러 시스템
JP2004003866A (ja) 換気空調装置
AU2020258187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KR20180121142A (ko) 벽걸이형 다기능 실내 공기조화시스템
JPH08200782A (ja) 換気空調装置
EP3406979B1 (en) Air-conditioning system
KR102575089B1 (ko) 공기조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