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4006A -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4006A
KR20150104006A KR1020140075478A KR20140075478A KR20150104006A KR 20150104006 A KR20150104006 A KR 20150104006A KR 1020140075478 A KR1020140075478 A KR 1020140075478A KR 20140075478 A KR20140075478 A KR 20140075478A KR 20150104006 A KR20150104006 A KR 20150104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wall portion
connector
hous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5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8279B1 (ko
Inventor
다다미치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50104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4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69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connector relating features for connecting the connector pins with the PCB or for mounting the connector body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1Arrangements for reducing stress or warp in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e.g. caused by loads, vibrations or differences in thermal expans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4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wo-part housing enclosing a PCB
    • H05K5/0052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wo-part housing enclosing a PCB characterized by joining features of the hous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Mount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nd The Lik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의 조립 시나 유지 보수 시 등에서 커넥터를 탈착하는 상황에서도, 기판의 휨을 억제할 수 있는 신규의 구성을 가진 전자 기기를 얻는다.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는, 예를 들어 하우징과, 기판과, 커넥터와, 억제 부재를 구비한다. 하우징은 제1 벽부를 갖는다. 기판은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제1 벽부측의 제1 면과, 제1 벽부와는 반대측의 제2 면을 가지며, 제1 벽부와는 이격된 상태에서 제1 벽부를 따른다. 커넥터는 제2 면에 설치된다. 억제 부재는 제1 면과 제1 벽부 사이에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커넥터와 기판의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어, 기판이 휘는 것을 억제한다.

Description

전자 기기{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일본 특허 출원 제2014-0042069호(출원일: 2014년 3월 4일)를 기초로 하여, 이 출원으로부터 우선의 이익을 향수한다. 본 출원은 이 출원을 참조함으로써, 동 출원의 내용의 전부를 포함한다.
종래, 상하 양면에, 기판을 휘기 어렵게 하기 위한 보강판이 설치된 회로 기판이 알려져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8-274423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회로 기판을 전자 기기에 적용했을 경우에도, 전자 기기의 조립 시나 유지 보수 시 등에 커넥터를 탈착하는 상황에서는 기판이 휘어 버릴 우려가 있었다. 즉, 보다 효과적으로 기판의 휨을 억제할 수 있는 구성이 얻어지면 바람직하다.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는, 예를 들어 하우징과, 기판과, 커넥터와, 억제 부재를 구비한다. 하우징은 제1 벽부를 갖는다. 기판은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제1 벽부측의 제1 면과, 제1 벽부와는 반대측의 제2 면을 가지며, 제1 벽부와는 이격된 상태에서 제1 벽부를 따른다. 커넥터는 제2 면에 설치된다. 억제 부재는 제1 면과 제1 벽부 사이에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커넥터와 기판의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어, 기판이 휘는 것을 억제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 내부의 개략 구성의 일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 내부의 커넥터 근방의 구성의 일례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 내부의 커넥터 근방의 구성의 일례가 도시된 측면도이며, 커넥터에 대응하는 커넥터가 장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4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 내부의 커넥터 근방의 구성의 일례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5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 내부의 커넥터 근방의 구성의 일례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6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 내부의 커넥터 근방의 구성의 일례가 나타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Ⅶ-Ⅶ 단면도이다.
도 8은,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 내부의 커넥터 근방의 구성의 일례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복수의 실시 형태에는, 마찬가지의 구성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마찬가지의 구성 요소에는 공통의 부호를 붙임과 함께,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나는 실시 형태의 구성(기술적 특징) 및 상기 구성에 의해 초래되는 작용 및 결과(효과)는 어디까지나 일례이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에 개시되는 구성 이외에 의해서도 실현 가능함과 아울러, 기본적인 구성(기술적 특징)에 의해 얻어지는 다양한 효과(파생적인 효과도 포함함)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 기기가 데스크톱형 퍼스널 컴퓨터로서 구성되었을 경우가 예시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는, 예를 들어 태블릿형(슬레이트형) 퍼스널 컴퓨터나, 스마트폰, 패블릿, 휴대 전화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 서적 단말기, 영상 표시 장치, 텔레비전 수상기, 텔레비전 전화기, 게임기, 영상 표시 제어 장치, 정보 기억 장치 등, 기판을 구비한 다양한 전자 기기로서 구성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기기(1)는 하우징(2)이나, 표시 장치(도시 생략) 등을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하우징(2)에는 기판(3)(회로 기판, 제어 기판, 메인 기판)이 수용되고, 표시 장치(도시 생략)는 하우징(2)과는 상이한 하우징에 설치된다. 하우징(2)(기판(3))과 상이한 하우징(표시 장치)은, 케이블(배선, 코드, 도시 생략)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하우징(2)은, 정면에서 보아 사각형(예를 들어, 직사각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벽부(2a 내지 2c)를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벽부(2a 내지 2c) 중 어느 1개의 벽부(예를 들어, 벽부(2c))가 평면을 따른 자세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편의상, 벽부(2c)가 평면을 따른 자세를 기준으로 하여 방향을 규정한다. X 방향은 하우징(2)의 길이 방향, Y 방향은 하우징(2)의 짧은 방향(기판(3)의 두께 방향), Z 방향은 하우징(2)의 높이 방향(두께 방향, 상하 방향)이다. X 방향, Y 방향 및 Z 방향은 서로 직교하고 있다.
벽부(2a)는, 하우징(2)의 길이 방향(X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벽부(2a1) 및 벽부(2a2)를 포함한다. 벽부(2a1) 및 벽부(2a2)는, 모두 하우징(2)의 길이 방향(X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직교하는 방향, YZ 평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넓어져 있다). 또한 벽부(2b)는, 하우징(2)의 짧은 방향(Y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벽부(2b1) 및 벽부(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벽부(2b1) 및 벽부는, 모두 하우징(2)의 짧은 방향(Y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직교하는 방향, XZ 평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넓어져 있다). 벽부(2a)나 벽부(2b)는, 측벽부 등으로 칭해질 수 있다. 또한, 벽부(2a)는 측벽부 중 짧은 변부(단변부)의 일례이며, 벽부(2b)는 측벽부 중 긴 변부의 일례이다. 또한 벽부(2c)는, 하우징(2)의 높이 방향(Z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벽부(2c1) 및 벽부(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벽부(2c1) 및 벽부는, 모두 하우징(2)의 높이 방향(Z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직교하는 방향, XY 평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넓어져 있다). 벽부(2c) 중 한쪽은 하벽부(바닥 벽부) 등으로 칭해지고, 다른 한쪽은 상벽부(천장 벽부) 등으로 칭해질 수 있다. 복수의 벽부(2a 내지 2c)는, 각각 외면(2g)와 내면(2h)을 갖는다.
또한 하우징(2)은, 복수의 부품(분할체)이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하우징(2)은 제1 하우징 부재(2A)(케이스, 제1 케이스)와, 제2 하우징 부재(케이스, 제2 케이스, 커버, 도시 생략)를 갖는다. 제1 하우징 부재(2A)는, 도 1에 도시된 벽부(2a1, 2a2)와 벽부(2b) 중 1개(예를 들어, 벽부(2b1))와 벽부(2c) 중 1개(예를 들어, 벽부(2c1))를 포함한다. 제2 하우징 부재(도시 생략)는, 도 1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벽부(2b) 중 다른 한쪽(예를 들어, 벽부(2b1)와는 반대측의 벽부, 도시 생략)과 벽부(2c) 중 다른 한쪽(예를 들어, 벽부(2c1)와는 반대측의 벽부, 도시 생략)을 포함한다. 제1 하우징 부재(2A)나 제2 하우징 부재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 재료나 금속 재료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2) 내에는 기판(3)이 수용되어 있다. 기판(3)은, 벽부(2b1)(벽부(2b))를 따른 자세로 설치되어 있다. 기판(3)은, 벽부(2b1)측의 제1 면(3a)(제1 표면, 제1 부, 제1 영역, 도 2 참조)과, 벽부(2b1)과는 반대측의 제2 면(3b)(제2 표면, 제2 부, 제2 영역)을 갖는다. 기판(3)은, 복수의 벽부(2a 내지 2c) 중 적어도 벽부(2b1)와 이격된 상태에서, 즉, 벽부(2b1)와의 사이에 간극(5)(공간, 도 2 참조)이 형성된 상태에서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3)에는, 벽부(2b1)측을 향하여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31)(제1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31) 각각에는, 예를 들어 접시 나사 등의 결합구(부재)(고정구, 도시 생략)가 통과하는 개구부(32)(관통 구멍, 도 1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벽부(2b1)에는, 기판(3)의 두께 방향(Y 방향)에서 보아 돌출부(31)와 중첩되는 위치에, 기판(3)측을 향하여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21)(제2 돌출부, 보스부)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21) 각각에는 개구부(암나사 구멍, 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기판(3)의 돌출부(31)(의 개구부(32))를 통과한 결합구(부재)는 벽부(2b1)의 돌출부(21)(의 개구부)에 결합된다(고정된다). 돌출부(31)와 돌출부(21)가, 기판(3)의 두께 방향(Y 방향)으로 중첩됨으로써, 기판(3)과 벽부(2b1) 사이에 간극(5)(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벽부(2b1)는, 제1 벽부의 일례이다. 또한, 돌출부(31)의 개구부(32)(관통 구멍)는, 예를 들어 접시 나사 등의 결합구(부재)의 헤드부가 수용되는 오목부와, 오목부보다 개구 폭(직경)이 좁게 구성되고 결합구(부재)의 헤드부가 통과하는 삽입 관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어 결합구(부재)의 헤드부가, 기판(3)의 제2 면(3b)으로부터 돌출되는(튀어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 내에는, 기판(3)과는 상이한 기판(도시 생략)이 설치될 수 있다. 기판(3)과 상이한 기판은, 예를 들어 벽부(2b1)를 따라 배열되어 배치되고, 기판(3)의 두께 방향(Y 방향)으로는 중첩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기판(3)의 제1 면(3a)이나 제2 면(3b)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복수의 전자 부품(7)(부품, 소자)이 실장되어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CPU 이외의 전자 부품(7)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전자 부품(7)에는 발열체가 포함된다. 또한, 발열량이 큰 전자 부품(7)(발열체)에는, 냉각 기구(7a)(방열부, 수열부)를 설치할 수 있다. 기판(3) 및 전자 부품(7)에 의해, 제어 회로(도시 생략)의 적어도 일부가 구성되어 있다. 제어 회로는, 예를 들어 영상 신호 처리 회로나, 튜너부,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등록 상표) 신호 처리부, AV(Audio Video) 입력 단자, 리모콘 신호 수신부, 제어부, 셀렉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기억부(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HDD(Hard Disk Drive) 등), 음성 신호 처리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는, 표시 장치의 영상(동화상이나 정지 화상 등)의 출력이나 스피커(도시 생략)에서의 음성의 출력, LED(Light Emitting Diode, 도시 생략)에서의 발광 등을 제어한다. 표시 장치나 스피커, LED 등은 출력부의 일례이다.
기판(3)은, 평면에서 보아 사각형(예를 들어, 직사각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기판(3)은, 평면에서 보아 4개의 단부(3c 내지 3f)(변부, 테두리부)와, 4개의 코너부(3g 내지 3j)(첨부(尖部), 곡부, 단부)를 갖는다. 단부(3c) 및 단부(3e)는 벽부(2a)와 평행하고, 단부(3d) 및 단부(3f)는 벽부(2c)와 평행하다. 또한, 제2 면(3b)의 코너부(3g)에는 커넥터(4)가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4)는 복수의 단자부(4a)(도 2 참조)를 갖는다. 복수의 단자부(4a)는, 기판(3)의 단부(3c)(Z 방향)를 따라 열형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4)에는 접속구(4b)(개구부, 도 1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접속구(4b)에는, 예를 들어 기판(3)과 상이한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케이블(9)(예를 들어, 플렉시블 케이블)의 커넥터(10)(도 3 참조)가 삽입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3)(제1 면(3a))과 벽부(2b1) 사이에는 억제 부재(6)(부재, 개재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억제 부재(6)는, 예를 들어 평면에서 보아(기판(3)의 두께 방향(Y 방향)에서 보아) 커넥터(4)와 대략 동일한 형상(사각형, 직사각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커넥터(4)와 억제 부재(6)가 전체적으로 기판(3)의 두께 방향(Y 방향)으로 중첩되어 있다. 억제 부재(6)는, 예를 들어 커넥터(4)(접속구(4b))에 케이블(9)의 커넥터(10)를 삽입할 때, 기판(3)의 휨을 억제하는 부재로서 기능할 수 있다. 억제 부재(6)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 재료나 금속 재료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억제 부재(6)는, 벽부(2b1)측의 제1 면(6a)(제1 표면, 제1 부, 제1 영역)과, 벽부(2b1)와는 반대측의 제2 면(6b)(제2 표면, 제2 부, 제2 영역, 기판(3)측의 면)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제1 면(6a)은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 땜납부(솔더링) 등의 결합부(8)에 의해, 벽부(2b1)에 결합(고정)되어 있다. 한편, 제2 면(6b)에는, 기판(3)측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6c)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6c)는, 탄성 부재(예를 들어, 엘라스토머나 합성 수지 재료, 실리콘 수지 재료 등)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6c)는, 제2 면(6b)에 국소적으로(부분적으로, 분산되어) 설치되어도 되고, 억제 부재(6)의 단부(변부, 테두리부)를 따라 일체적으로(연속적으로) 설치되어도 되며, 제2 면(6b)의 전역에 걸쳐 분포한 상태로 설치되어도 된다. 억제 부재(6)의 두께(Y 방향의 두께)는 간극(5)의 두께(Y 방향의 두께)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돌출부(6c)는, 기판(3)의 제1 면(3a)과 억제 부재(6)의 제2 면(6b) 사이에 형성되고, 예를 들어 기판(3)(제1 면(3a))과 접촉한 상태에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판(3)과 억제 부재(6) 사이에 돌출부(6c)가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돌출부(6c)(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서도 기판(3)의 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돌출부(6c)의 선단부가 기판(3)의 제1 면(3a)과 접촉했지만, 돌출부(6c)의 선단부와 제1 면(3a)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전자 기기(1)는, 기판(3)(제1 면(3a))과 벽부(2b1)(제1 벽부) 사이에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커넥터(4)와 기판(3)의 두께 방향(Y 방향)으로 중첩되어, 기판(3)이 휘는 것을 억제하는 억제 부재(6)를 구비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예를 들어 전자 기기(1)의 조립 시나 유지 보수 시 등에 있어서, 커넥터(4)와 상대측의 커넥터(10)를 접속하는 경우에, 기판(3)이 벽부(2b1)측으로 휘거나, 또는 기판(3)이 억제 부재(6)(의 제2 면(6b))보다 벽부(2b1)측으로 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기판(3)이나 전자 기기(1)에, 휨에 의한 영향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되기 쉽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억제 부재(6)와 벽부(2b1)(제1 벽부)를 결합하는 결합부(8)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예를 들어 억제 부재(6)가, 커넥터(4)와 기판(3)의 두께 방향(Y 방향)으로 중첩된 위치로부터 이격되는(빠지는) 것이 억제되기 쉽다. 따라서, 예를 들어 억제 부재(6)에 의해 기판(3)의 휨을 억제하는 효과가 보다 확실하게 얻어지기 쉽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억제 부재(6)와 벽부(2b1)가 결합부(8)에 의해 결합되었지만, 억제 부재(6)와 기판(3)이 결합부(8)에 의해 결합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돌출부(6c)는 억제 부재(6)의 제1 면(6a)에 형성되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도, 돌출부(6c)(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기판(3)의 휨이 억제된다. 또한, 억제 부재(6)(의 제1 면(6a))와 벽부(2b1)(의 내면(2h))가 접촉함으로써, 기판(3)의 벽부(2b1)측에의 그 이상의 휨이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결합부(8)가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 땜납부(솔더링) 등을 포함하지만, 나사나 스터드 등의 결합구(부재)(고정구)를 포함하여도 된다. 이 경우, 억제 부재(6)에는, 기판(3)의 두께 방향(Y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튀어나와), 상기 두께 방향(Y 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부(관통 구멍)가 형성된 돌출부(플랜지)가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커넥터(4)(접속구(4b))가 기판(3)의 두께 방향(Y 방향)을 따라 설치되었을 경우가 예시되었지만, 기판(3)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되거나, 대략 L자형으로 만곡되어 설치되어, 접속구(4b)가 기판(3)을 따르는 방향(예를 들어, X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에도, 커넥터(4)에 상대측의 커넥터(10) 등이 탈착될 때 작용한 힘에 의한 기판(3)의 휨이 억제되기 쉽다.
또한, 억제 부재(6)는, 반드시 전용 부품을 포함할 필요는 없으며, 기판(3)과 벽부(2b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부품(공용 부품, 다기능 부품, 예를 들어 커넥터(4, 10)와는 상이한 커넥터 등)이 억제 부재로서의 기능과 그 외의 기능을 담당하여도 된다.
<제2 실시 형태>
도 4에 도시되는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1A)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전자 기기(1)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해서도,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기초한 마찬가지의 결과(효과)가 얻어진다.
단,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억제 부재(6A)는 후크부(11)를 갖고 있다. 후크부(11)는, 제2 면(6b)으로부터 기판(3)측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11a)와, 돌출부(11a)의 단부(선단부)에서 돌출부(11a)와 교차하는 방향(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직교 방향, 기판(3)(제2 면(3b))을 따르는 방향)으로 돌출된(튀어나온) 갈고리부(11b)를 갖는다. 후크부(11)는, 예를 들어 분할된 복수(2개)의 부품이나, 그 부품끼리의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 부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후크부(11)는, 탄성을 갖는 합성 수지 재료(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끝이 벌어진 후크부를 갖는 클립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기판(3)의 커넥터(4) 주변에는 개구부(3m)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3m)는, 예를 들어 두께 방향(Y 방향)을 따라 기판(3)을 관통한 관통 구멍으로 구성되어 있다. 탄성 부재가 수축된 상태에서, 후크부(11)는 기판(3)의 개구부(3m)를 통과한다. 개구부(3m)를 통과한 갈고리부(11b)는,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어(분할된 부품끼리가 서로 이반(離反)하여), 기판(3)의 제2 면(3b)과 두께 방향(Y 방향)으로 중첩된다. 이와 같이, 억제 부재(6A)는, 후크부(11)(의 갈고리부(11b)에 의해, 기판(3)에 결합(고정,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억제 부재(6A)의 제1 면(6a)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 땜납부(솔더링) 등의 결합부(8)에 의해, 벽부(2b1)에 결합(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예를 들어 커넥터(4)에 접속된 커넥터(10)(케이블(9), 도 3 참조)를 인발(引拔)할 때, 기판(3)(제2 면(3b))이 후크부(11)(갈고리부(11b))에 걸리기 때문에, 기판(3)이 벽부(2b1)와는 반대측을 향하여 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커넥터(4)와 커넥터(10)(케이블(9))의 접속 시 및 이탈 시 양쪽으로 기판(3)의 휨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기판(3)이나 전자 기기(1A)에 휨에 의한 영향이 발생하는 것이 한층 더 억제되기 쉽다.
<제3 실시 형태>
도 5에 도시되는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1B)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전자 기기(1)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해서도,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기초한 마찬가지의 결과(효과)가 얻어진다.
단,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억제 부재(6B)는, 복수(예를 들어, 3개)의 부품(61 내지 63)을 갖고 있다. 부품(61)(제1 부품, 기초부)은, 부품(62)의 부품(63)과는 반대측(기판(3)측)에 위치되어 있다. 부품(62)(제2 부품, 제1 접속 부재, 제1 어저스터, 제1 심)은, 부품(61)과 부품(63)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부품(63)(제3 부품, 제2 접속 부재, 제2 어저스터, 제2 심)은, 부품(62)의 부품(61)과는 반대측(벽부(2b1)측)에 위치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부품(61 내지 63)은, 예를 들어 결합부(12)에 의해, 서로 기판(3)의 두께 방향(Y 방향)으로 중첩된 상태에서 결합(끼워 맞춤)되어 있다. 결합부(12)는, 예를 들어 부품(61)의 제1 면(61a)과 부품(62)의 제2 면(62b)을 결합(끼워 맞춤)하는 요철부나, 부품(62)의 제1 면(62a)과 부품(63)의 제2 면(63b)을 결합(끼워 맞춤)하는 요철부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결합부(12)(요철부)는, 예를 들어 두께 방향(Y 방향)에서 보아, 부품(61 내지 63) 각각에 부분적으로(분산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부품(61)의 제2 면(61b)(억제 부재(6B)의 제2 면(6b))에는, 상기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후크부(11)가 설치되어 있다. 결합부(12)(요철부)에 의해 일체화된 복수의 부품(61 내지 63)은, 후크부(11)(의 갈고리부(11b))에 의해 기판(3)에 결합(고정, 접속)될 수 있다. 또한, 부품(63)의 제1 면(63a)(억제 부재(6B)의 제1 면(6a))은, 예를 들어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 땜납부(솔더링) 등의 결합부(8)에 의해 벽부(2b1)에 결합(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예를 들어 복수의 부품(61 내지 63)에 의해, 억제 부재(6B)의 높이(Y 방향의 두께)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간극(5)의 높이(두께)가 상이한 복수의 전자 기기(1B)에서, 억제 부재(6B)가 사용되기 쉽다. 또한, 예를 들어 간극(5)의 높이(두께)가 상이한 복수의 전자 기기(1B)에서, 부품(61)(기초부)이 공용화되기 쉽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전자 기기(1B)의 제조에 필요한 수고나 비용이 저감되기 쉽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결합부(12)가 요철부로 구성되었지만, 결합부(12)는 결합부(8)와 마찬가지로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 땜납부(솔더링) 등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제4 실시 형태>
도 6, 7에 도시되는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1C)는, 상기 제3 실시 형태의 전자 기기(1B)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해서도, 상기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기초한 마찬가지의 결과(효과)가 얻어진다.
단,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도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12A)(요철부)가 억제 부재(6C)의 길이 방향(Z 방향)의 단부(6d)(일단부)와 단부(6e)(타단부)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부품(61, 62)의 제1 면(61a, 62a) 각각에, 단부(6d)와 단부(6e)에 걸쳐 기판(3)의 제1 면(3a) 및 벽부(2b1)의 내면(2h)을 따라 직선형으로 연장된 오목부(12a)(오목 홈부)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부품(62)의 제2 면(62b)에, 부품(61)의 오목부(12a)에 들어가는(들어맞는, 끼워 맞춰지는) 직선형으로 연장된 볼록부(12b)(리브, 벽부, 묘부)가 형성되고, 부품(63)의 제2 면(63b)에, 부품(62)의 오목부(12a)에 들어가는(들어맞는, 끼워 맞춰지는) 직선형으로 연장된 볼록부(12b)(리브, 벽부, 묘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결합부(8A)도, 결합부(12A)와 마찬가지의 요철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부(8A)(요철부)는, 예를 들어 부품(63)의 제1 면(63a)에 형성되고 단부(6d)와 단부(6e)에 걸쳐 직선형으로 연장된 오목부(8a)(오목 홈부)와, 벽부(2b1)에 형성되고 부품(63)의 오목부(8a)에 들어가는(들어맞는, 끼워 맞춰지는) 직선형으로 연장된 볼록부(8b)(리브, 벽부, 묘부)를 갖는다. 볼록부(8b, 12b)는, 오목부(8a, 12a)에 수용된 상태에서 오목부(8a, 12a)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부품(61)과 벽부(2b1) 사이에서, 부품(62, 63)을 기판(3)의 제1 면(3a) 및 벽부(2b1)의 내면(2h)을 따른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적어도 1개의 부품(예를 들어, 부품(62))은 다른 부품(예를 들어, 부품(61))이 기판(3)에 설치된 상태에서 슬라이드됨으로써, 소정의 설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예를 들어 전자 기기(1C)의 조립 시나 유지 보수 시 등에 있어서, 억제 부재(6C) 또는 부품(61 내지 63)을 탈착하는 공정의 자유도가 높아지기 쉽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전자 기기(1C)의 조립 시나 유지 보수 시 등에 있어서, 작업의 수고가 저감되기 쉽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억제 부재(6C)의 높이(Y 방향의 두께)의 조정이 보다 용이하게 행해지기 쉽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결합부(12A)(요철부)가 억제 부재(6C)의 길이 방향(Z 방향)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예를 들어 결합부(12A)(요철부)가 억제 부재(6C)의 짧은 방향(X 방향)에 걸쳐 설치되는 구성과 비교하여, 부품(61 내지 63)끼리 보다 확실히 일체화(결합)되기 쉽다. 또한, 볼록부(8b, 12b)는, 오목부(8a, 12a)가 연장된 방향의 전역에 걸쳐 연장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제5 실시 형태>
도 8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1D)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전자 기기(1)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해서도,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기초한 마찬가지의 결과(효과)가 얻어진다.
단,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억제 부재(6D)가, 복수(예를 들어, 3개)의 커넥터(4) 각각과 기판(3)의 두께 방향(Y 방향)으로 중첩되어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억제 부재(6D)는, 평면에서 보아(기판(3)의 두께 방향(Y 방향)에서 보아) 사각형(예를 들어, 직사각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억제 부재(6D)는, 하우징(2)(도 1 참조)의 길이 방향(X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3개)의 커넥터(4) 각각과, 기판(3)의 두께 방향(Y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중첩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예를 들어 복수의 커넥터(4)에서 억제 부재(6D)가 공용화되기 쉽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복수의 커넥터(4) 각각에 대응하여 억제 부재가 설치되는 구성과 비교하여, 전자 기기(1D)의 제조에 필요한 수고나 비용이 저감되기 쉽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예시했지만, 상기 실시 형태는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들 실시 형태는, 그 외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생략, 치환, 조합,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 형태는,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됨과 아울러,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스펙(구조나 종류, 방향, 형상, 크기, 길이, 폭, 두께, 높이, 수, 배치, 위치, 재질 등)은 적절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Claims (7)

  1. 전자 기기로서,
    제1 벽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상기 제1 벽부측의 제1 면과, 상기 제1 벽부와는 반대측의 제2 면을 가지며, 상기 제1 벽부와는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벽부를 따른 기판과,
    상기 제2 면에 설치된 커넥터와,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1 벽부 사이에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커넥터와 상기 기판의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어, 상기 기판이 휘는 것을 억제하는 억제 부재를 구비한, 전자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 부재와, 상기 제1 벽부 및 상기 기판 중 적어도 한쪽을 결합하는 결합부를 구비한, 전자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 부재와 상기 제1 벽부를 결합하는 상기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억제 부재는, 상기 기판의 상기 억제 부재와는 반대측에서 상기 제2 면과 중첩된 후크부를 갖는, 전자 기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 부재는, 상기 기판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중첩한 복수의 부품을 갖는, 전자 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상기 부품은, 다른 부품이 상기 제1 벽부 또는 상기 기판에 설치된 상태에서 설치 가능하게 구성된, 전자 기기.
  6. 제4항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상기 부품은, 상기 기판을 따른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된, 전자 기기.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커넥터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복수의 커넥터와 상기 기판의 두께 방향으로 중첩된 상기 억제 부재를 구비한, 전자 기기.
KR1020140075478A 2014-03-04 2014-06-20 전자 기기 KR1015982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42069A JP2015170618A (ja) 2014-03-04 2014-03-04 電子機器
JPJP-P-2014-042069 2014-03-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4006A true KR20150104006A (ko) 2015-09-14
KR101598279B1 KR101598279B1 (ko) 2016-02-26

Family

ID=54034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5478A KR101598279B1 (ko) 2014-03-04 2014-06-20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5170618A (ko)
KR (1) KR101598279B1 (ko)
CN (1) CN1049026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58163B2 (ja) * 2018-03-27 2022-10-21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撮像装置、および移動体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4423A (ja) 1995-03-30 1996-10-18 Toshiba Corp セラミックス回路基板
JP2003110258A (ja) * 2001-09-28 2003-04-11 Nec Corp 回路基板の反り防止構造及び反り防止方法
KR20080071081A (ko) * 2007-01-29 2008-08-01 아르재 가부시키가이샤 기판, 기판용 지지 구조체 및, 이 기판용 지지 구조체를갖는 게임기
JP2010251644A (ja) * 2009-04-20 2010-11-04 Denso Wave Inc セキュリティ機器
KR20100136804A (ko) * 2009-06-19 2010-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보드연결 브라켓 및 그를 구비한 전자기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47637C (zh) * 2004-10-09 2007-11-07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电路板辅助支撑结构
CN101668406B (zh) * 2008-09-01 2011-11-0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及其支撑件
CN201374411Y (zh) * 2009-02-24 2009-12-3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102378526A (zh) * 2010-08-05 2012-03-14 英业达股份有限公司 支撑板件
JP5093541B1 (ja) * 2011-06-27 2012-12-12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用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4423A (ja) 1995-03-30 1996-10-18 Toshiba Corp セラミックス回路基板
JP2003110258A (ja) * 2001-09-28 2003-04-11 Nec Corp 回路基板の反り防止構造及び反り防止方法
KR20080071081A (ko) * 2007-01-29 2008-08-01 아르재 가부시키가이샤 기판, 기판용 지지 구조체 및, 이 기판용 지지 구조체를갖는 게임기
JP2010251644A (ja) * 2009-04-20 2010-11-04 Denso Wave Inc セキュリティ機器
KR20100136804A (ko) * 2009-06-19 2010-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보드연결 브라켓 및 그를 구비한 전자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902669A (zh) 2015-09-09
CN104902669B (zh) 2018-07-17
KR101598279B1 (ko) 2016-02-26
JP2015170618A (ja) 2015-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41143B2 (en) Electronic device
US8213182B2 (en) Housing case for housing electronic circuit board, and electronic apparatus
US11215783B2 (en) Optical mechanism and lens module threrof
JP6382326B2 (ja) 照明装置
JP2005147119A (ja) ホット・スワップ・ファンとその接続装置
KR20120127493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중계 커넥터, 백라이트 유닛
US9726810B2 (en) Lighting device and flat panel display having the lighting device
KR101598279B1 (ko) 전자 기기
TWI672083B (zh) 影像擷取裝置
US10912219B2 (en) Waterproof structure
US20140078743A1 (en) Mounting structure of a lamp assembly
TWI474083B (zh) 用於經由連接器供應電力至發光元件的背光總成,以及使用該背光總成的背光單元及液晶顯示器
TW201507296A (zh) 訊號接頭固定架
US9146581B2 (en) Hard disk drive moun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10405449B2 (en) Electronic apparatus
JP2017011104A (ja) 画像形成装置
US9281592B2 (en) Female connector and card edge connector
US10349548B1 (en) Casing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4539983B2 (ja) 電子回路のシールド構造
JP2019096646A (ja) 電子機器
JP6275862B2 (ja) 光源格納部材
US20130286571A1 (en) Display device
JP6674121B1 (ja) 電子機器
JP2009175445A (ja) 表示装置
US20120236215A1 (en) Tv receiver and electronic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