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2979A - 봉합제를 갖는 솔라모듈의 제조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봉합제를 갖는 솔라모듈의 제조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2979A
KR20150102979A KR1020157015844A KR20157015844A KR20150102979A KR 20150102979 A KR20150102979 A KR 20150102979A KR 1020157015844 A KR1020157015844 A KR 1020157015844A KR 20157015844 A KR20157015844 A KR 20157015844A KR 20150102979 A KR20150102979 A KR 20150102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ealant
solar module
substrate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5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수더스트룸
Original Assignee
쓰리에스 스위스 솔라 시스템즈 에이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에스 스위스 솔라 시스템즈 에이쥐 filed Critical 쓰리에스 스위스 솔라 시스템즈 에이쥐
Publication of KR20150102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29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37/1284Application of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18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only one glass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88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ethylene vinylace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98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silic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32B17/10899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by introducing interlayers of synthetic resin
    • B32B17/10908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by introducing interlayers of synthetic resin in liquid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001General methods for coating; Devices therefor
    • C03C17/002General methods for coating; Devices therefor for flat glass, e.g. float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28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 C03C17/3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with synthetic or natural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32B2037/243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12Photovoltaic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32B37/1018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using only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8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 B32B38/1858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using vacuu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솔라셀과 같은 전자 활성소자를 갖춘 다층적층 솔라모듈의 제조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으로, 솔라셀(3)과 같은 전자 활성소자를 갖거나 갖지 않는 제1 층(2)을 수직으로 평탄하게 고정하는 홀딩수단과, 외층(6)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제1 층(2)에 액체를 도포하는데 사용되는 스퀴지(20)나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봉합제를 갖는 솔라모듈의 제조 방법 및 시스템{METHOD FOR MAKING A SOLAR MODULE WITH ENCAPSULANT AND SYSTEM THEREFOR}
본 발명은 솔라셀과 같은 전자 활성소자를 갖춘 다층적층 솔라모듈의 제조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솔라셀(태양전지) 모듈은 보통 적어도 5개 층: (a) 유리층, (b) 제1 전면 봉합제층, (c) 솔라셀 층, (d) 제2 배면 봉합제층, 및 (e) 배면시트나 유리층과 같은 배면층의 적층체로 이루어진다. 적층 솔라셀 모듈의 제조방법은 일반적으로 솔라셀과 유리층이나 배면층과 같은 다른 층 사이에 봉합제 호일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보통 두께 400~500㎛의 호일을 사용한다. 봉합제층은 취약한 솔라셀 층을 감싸 주변환경으로부터 보호해 수명을 늘인다. 일반적으로 솔라셀 모듈은 솔라셀 층 양쪽을 감싸는 적어도 2개의 봉합제층을 이용한다. 이들 봉합제층은 재료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전면 봉합제층은 빛을 솔라셀 층까지 효과적으로 투과하는 성질을 가져야 하고, 배면 봉합제층은 빛을 반사할 수 있어야 한다. 봉합제층의 재료로는 PVB(polyvinyl bythral),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EVA(ethylene vinyl acetate)와 같은 에틸렌 코폴리머, 폴리(에틸렌코-(메트)아크릴 산)과 이로부터 형성된 이오노머와 같은 산 기능을 갖는 에틸렌 코폴리머, 실리콘 폴리머, 폴리올레핀, PVC(polyvinyl chloride) 등을 사용한다.
BOPP(bi-axially-oriented poly)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 같은 각종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솔라셀 모듈에 점차 많이 사용하고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배면층이나, 솔라셀과 배면층 사이의 유전층 역할을 한다. 필요하면,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코팅하기도 한다. 코팅은 산소와 습기의 방벽 역할을 한다.
오늘날에는 봉합제를 적층 전의 호일처럼 솔라모듈의 레이업(lay-up)에 배치하는 것이 보통이다. WO2011089473은 솔라패널의 적층과정을 자세히 소개한다. 호일은 재단한 다음 레이업에 정확히 배치해야 하지만, 모듈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이 작업은 어렵다. 호일을 레이업에 정확히 배치하고 움직이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런 호일 2개와 솔라셀, 유리판, 배면판으로 이루어진 레이업에서는 이런 작업이 잘못되면 경제적 손실로 돌아온다.
호일은 적층과정중에 수축하기도 하는데, 이는 호일의 생산과정에서 폴리머 입자들을 액화한 다음 호일로 만드는 제조과정 때문이다.
이런 정렬과 수축의 2가지 이유로, 호일은 최종 모듈보다 크게 만들어야 한다. 적층 뒤에는, 남아있는 호일이 모듈에 들러붙기 때문에, 일정 시간 동안 봉합제가 경화될 때까지 호일을 제거해야되는데, 이 작업도 쉽지 않다. 또, 호일이 연질이기 때문에, 컨베이어벨트나 압착용 막과 같은 부분에 호일이 들러붙어 주기적으로 청소를 해야만 한다. 이 목적으로 브러시가 배치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솔라모듈과 같은 다층 적층모듈의 조립과 제조 과정중에 봉합제의 손실을 줄이거나 방지하여 재료비와 제조비를 절감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장점은, 모듈에 최종적으로 필요한 양의 봉합제만 적층과정중에 사용하여 비용을 절감하는데 있다. 또 폴리머 입자들을 호일로 제작하는 사전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비용을 더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봉합제를 레이업에 정확한 양으로 정확한 장소에 제공하는데 있다. 또, 기계가 더러워져 청소해야 하는 필요성도 없어지므로, 기계의 가동시간도 늘어난다.
본 발명은 (솔라셀과 같은 전자 활성소자를 갖거나 갖지 않는 유리기판이나 배면판인) 제1 층 수직으로 평평하게 고정하는 홀딩수단; 및 외층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제1 층에 액체를 도포하는데 사용되는 스퀴지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솔라모듈 제조시스템을 제공한다.
봉합제는 50~500㎛ 두게로 기판에 도포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솔라셀과 같은 활성소자들을 기판에 배치한 모듈에 삽입된 솔라셀이나 박막 솔라셀을 압착하기에 적당하다.
홀딩수단은 흡착벽이나 다른 홀딩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는 한쪽의 블레이드와 측벽을 갖춘 홈통일 수 있다. 이 홈통은 블레이드에 도달하는 봉합액의 양을 조절하도록 기울일 수 있다. 홈통이 히터를 갖기도 한다.
봉합제는 온도를 높이면 액화되는 것을 사용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점도 5~50P의 것을 코팅중에 기판에 도포할 수 있도록 용기내의 봉합제 온도를 유지하도록 히터와 제어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또, 기판과 블레이드 사이에 상대운동을 일으키는 수단을 제공한다. 상대운동 동안 기판을 고정할 수 있다.
코팅을 도포하는 동안 용기를 기울이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솔라셀과 같은 전자 활송소자들을 갖거나 갖지 않는 유리기판이나 폴리머 시트인) 제1 층을 갖는 솔라모듈의 적층방법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제1 층을 평평하고 수직으로 고정하는 단계;
제1 층과 간격을 둔 블레이드를 통해 용기의 봉합액을 제1 층에 코팅하는 단계;
코팅된 제1 층을 레이업으로 형성하는 단계; 및
솔라모듈을 형성하도록 레이업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활성소자들을 봉합액 코팅 위에 놓는 단계;, 레이업을 형성하기 위해 활성소자들 위에 봉합제를 갖는 제2 외층을 놓는 단계; 및 솔라모듈을 형성하기 위해 레이업을 적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은 유리기판이나 배면판이거나, 또는 제2 외층의 봉합제가 호일일 수 있다.
또, 코팅이 제1 층과 블레이드 사이의 상대운동으로 이루어지고, 제1 층이 고정될 수 있다. 봉합제는 50~500㎛의 두께로 기판에 도포될 수 있다.
이 방법은 코팅을 도포하는 동안 용기를 기울이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방법은 박막 솔라셀들을 압착하기에 적합하다.
봉합제는 온도를 높이면 액화되는 것을 사용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점도 5~50P의 것을 코팅중에 기판에 도포할 수 있도록 용기내의 봉합제 온도를 유지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솔라모듈의 단면도;
도 1b는 적층 단계에서의 솔라모듈의 전개도;
도 2는 적층 이후의 솔라모듈의 단면도;
도 3은 적층 전의 솔라모듈의 적층기의 단면도;
도 4~5는 적층 후의 솔라모듈의 적층기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제조방법의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다른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코팅장치의 사시도;
도 10~11은 본 발명의 코팅장치의 부분 상세도;
도 12~1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수단의 상세도;
도 14~1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지지수단의 상세도.
정의
봉합제는 최종 제품의 전면 탑층을 형성하는 제1 외층(유리)과 배면시트와 같은 배면층 사이에 다른 소자들을 배치한 샌드위치 구조를 홀딩하는 모든 재료를 말한다. 보통 봉합제층은 서로 접착하지 않는 임의의 2층 사이에 위치한다.
스텐터링 프레임은 적층기에서 호일을 인장하는데 사용되는 프레임이다.
"박막"이란 필름 두께가 아닌 필름을 부착하는데 사용되는 방법에서 유래된다. 박막 셀은 원자나 분자나 이온들로 된 아주 얇은 층에 증착된다. 활성영역은 1~10㎛ 두께만을 갖고 후막은 보통 200~400㎛ 두게이다. 박막 셀은 대량 자동 제조가 가능하고, 유연한 기판에 배치된다. 적당한 에너지 밴드갭을 갖고, a-Si, CIGS(copper indium gallium diselenide), GaAs(Gallium Arsenide), CZTS(Kesterite), CdTe(Cadmium Telluride)와 같은 흡수성을 갖는 다양한 반도체 재료들이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솔라모듈(1)의 단면도로서, 열과 압력을 가해 여러 층들을 적층해 쌓은 샌드위치 구조를 취하고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전면 유리판(2), 봉합재층(4), 전자활성 솔라셀(3), 다른 봉합재층(4) 및 배면층(5)으로 이루어지고, 배면층은 유리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b는 적층 단계에서의 솔라모듈의 전개도이다.
EVA, PVB, 실리콘, 기타 봉합재로 적당한 투명한 열가소성/열경화성 재료로 된 접착 코팅(4a)을 첫번째 층으로서 투명하고 단단한 유리판(2)에 코팅한다. 보통 6x10 셀드을 직렬로 연결한 솔라셀(3)과 같은 전자 활성소자를 유리판에 붙이고, 이곳에 접착 코팅(4a)을 붙이거나 다른 솔라셀을 봉합제나 접착 코팅(4a)에 배치한다. 한편, VA, PVB, 실리콘, 기타 봉합재로 적당한 투명한 열가소성/열경화성 재료로 된 제2 봉합제나 접착 코팅(4b)과 같은 다른 층을 배면층(5)에 붙이거나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6x10 셀들을 직렬로 연결한 솔라셀(3)을 배면층에 붙이고, 이곳에 액화 봉합제를 붙일 수도 있다. 끝으로, 제2 층을 형성하는 접착시트로서 코팅(4b)을 붙인 배면층(5)을 솔라셀(3) 윗면에 배치한다. 배면층(5)은 주로 제1 코팅층과 제2 층이나 코팅(4a,4b)과 솔라셀(3)을 주변 습기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배면층(5)은 PVF, PET, 폴리아미드, 기타 적당한 폴리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유리판으로 이루어지기도 하며, 이 경우 유리-유리 모듈이라 한다.
제2 층인 배면층 코팅(4b)은 투명하거나 색깔을 가져, 투명하거나 백색인 솔라 PV 봉합제 코팅/시트일 수 있다. 더 많은 햇빛을 받도록 솔라모듈은 입사 태양광을 받아 배면층에서 그 일부를 반사한다.
솔라모듈은 산소나 습기 침투를 방지하거나, 광도나 반사화소나 (나노) 입자와 같은 광학적 성질을 갖도록 하나 이상의 격벽층을 더 가질 수 있다.
"레이업(lay-up)"이라고도 하는 조립된 모듈을 적층기로 보내 가열, 가압한다. 예컨대, 적층기의 가열판(7) 위에 레이업을 놓는다(도 3 참조). 얇은 이송시트(107)를 사용해 레이업을 적층기 안으로 옮기지만, 유리판(2)을 가열판(7) 위에 직접 놓을 수도 있다.
레이업이 90℃ 정도의 일정 온도에 도달하면, 레이업에 압력을 가하여 모든 층을 동시에 가압변형한다(도 2 참조).
본 발명에서는 당업계에 알려진 어떤 적층기를 사용해서도 적층과정을 완료할 수 있다. 도 3~4에 도시된 종류의 적층기에서는, 막(8)을 통해 압력을 가하는데, 막(8) 가열판(7) 및 측벽(9)이 진공실(10)을 형성한다. 적층과정중에 녹을 수 있는 지료가 막(8)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막(8)과 모듈 사이에 박리시트(108)를 배치하기도 한다. 또, 이송시트(107) 위에 여러개의 모듈을 놓고 라미네이터 안으로 옮기고(도 3), 진공실을 닫아 진공화할 준비를 한다(도 4).
레이업이 진공실(10) 안에 있으면, 배관(11)을 통해 진공실에서 공기를 빼낸다. 막(8) 위의 압력에 의해 막(8)이 레이업쪽으로 내리밀리면서, 균일한 압력을 가한다(도 5 참조).
막의 양단부는 스텐터링 프레임(12)과 같이 아래로 움직인다.
가열판(7)에 의해 가열된 막(8)은 유연해지면서 열팽창한다. 막이 접혀 배면판(5)에 주름이나 자국을 생기게하면 안되므로, 스텐터링 프레임(12)으로 막을 당겨펼친다. 스텐터링 프레임(12)의 경사면은 막(8)의 늘어난 부분을 보상한다. 스텐터링 프레임(12)은 진공실(10)에서 공기를 빼기위해 배관(11) 부분은 트여있다.
모듈을 누르기 전에, 모들의 층들 사이의 공기를 아래와 같이 가능한한 많이 빼내야 한다.
도 6은 솔라모듀의 외층이나 층들을 형성하는 유리기판이나 다른 기판의 한쪽에 봉합제 필름 코팅을 하는 방법(100)의 순서도이다. 코팅은 적층된 모듈의 여러 층들을 서로 접착하는 접착성을 갖는 봉합제 형태로서, 봉합제의 재료는 전술한 바와 같다. 코팅을 하기위해(102 단계), 유리기판을 봉합액에 접촉시킨다(104 단계). 유리기판을 경사지게나 수직으로 한 다음, 봉합액 용기인 홈통 한쪽에 마련된 블레이드에서 나오는 봉합액에 접촉시킨다. 예를 들면, 실온에서 액체인 봉합제는 도포한 뒤 고체로 변하는데, 이때 복사나 화학적 가교결합에 의해 고체로 되거나, 열을 가해 액화된 봉합액이 냉각에 의해 고체로 되기도 한다. 홈통에 히터나, 열량체를 배치하거나 단열하거나 이들을 조합하여 봉합액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봉합액을 만드는 다른 방법은 봉합액의 2가지 성분을 혼합했다가 바로 도포하는 것이다. 코팅된 봉합액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수단이 필요할 수도 있다.
유리기판과 액체 디스펜서의 상대적 운동에 의해 코팅이 형성된다. 블레이드와 유리기판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고, 간격과 봉합액의 점성과 속도가 코팅 두께를 결정한다. 봉합액의 고체로의 변화는 어떤 방법으로도 가능한데, 예컨대 코팅이 기판에 닿을 때 기판과의 열교환 냉각이 시작되면서 봉합액이 굳어지거나, 입사광이나 경화제와의 화학반응으로 경화나 교차결합이 시작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기판의 홀딩수단에 가열/냉각 수단을 갖춰 봉합액을 굳히거나 연질상태로 유지할 수도 있다. 열경화성 봉합제를 가열하면 더빨리 고화되고, 열가소성 재료는 가열하면 연질상태를 유지한다. 봉합제의 접착을 위해, 기판은 원하는 온도범위로 유지한다.
어떤 경우에도, 봉합제를 50~500㎛의 두께로 기판에 도포하고, 도포하는 동안 봉합제의 점도는 5~50P로 한다.
유리기판을 수직이나 경사지게 하고, 코팅을 반복적으로 일정하게 하려면, 온도나 상대운동 속도와 같은 모든 조건을 가능한한 일정하게 유지하고, 유리기판은 가능한 평탄하게 하며, 블레이드와 유리기판의 간격도 일정하게 유지한다. 코팅을 수직 유리기판에 도포할 때, 중력을 이용해 미사용 재료를 용기인 홈통으로 되돌린다. 블레이드를 파형이나 삼각형으로 하면 유리기판에 대한 블레이드의 간격을 전장에 걸쳐 유지하면서 블레이드와 유리기판 사이로 코팅을 주입할 수 있다.
코팅이 끝나면, 솔라셀과 같은 전자 활성소자들과 다른 봉합제층과 배면층을 배치하여 레이업을 만들고(106, 108 단계), 적층에 의해 솔라모듈을 조립한다(110 단계). 레이업은 코팅된 유리판과 코팅된 배면판이나 제2 유리판과 솔라셀과 같은 전자 활성소자를 포함하고, 이들은 경화되기 전 단계에 있다. 광학필터나 격벽과 같은 다른 층들을 가질 수도 있다.
경제성을 위해 대량생산해야만 하는 호일을 미리 저장하는 것에 비해 많지 않은 재료를 저장한다는데 본 발명의 장점이 있다. 봉합제가 열화되지 않아, 봉합제 열화를 막기위해 봉합제를 특수한 방법으로 저장할 필요가 없는 것도 본 발명의 장점이다. 봉합제나 봉합제를 도포한 층은 여전히 고온이어서, 더 빠른 적층이 가능하다.
코팅단계가 생산라인의 병목현상을 일으키지 않도록, 여러대의 코팅기를 병렬로 사용할 수도 있다. 코팅기가 고가가 아니어서 쉽게 복제할 수 있다. 봉합제는 취약하다. 코팅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셀을 배치하기 전에 코팅을 냉각하거나 부분적으로 가교결합할 수 있다. 공기가 모듈 안에 갇히는 것을 피하려면 봉합제가 끈적이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봉합제층을 제공하는 이 방법의 다른 장점은, 코팅기가 고가가 아니며 계량된 양의 봉합제를 올바른 위치에 쉽고 정확하게 도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봉합제 호일은 전혀 사용할 필요가 없다. 봉합제 호일을 정확히 잘라 배치할 필요가 없어 작업이 줄어들고 인간의 간섭이 덜 필요해 때문에 공정의 신뢰성도 높아진다.
도 7은 솔라모듈의 외층들을 형성하는 유리기판이나 다른 기판의 한쪽에 봉합제 막인 코팅을 형성하는 다른 방법(200)의 순서도이다. 이 코팅은 적층된 모듈의 여러 층들을 습윤하고 접착하는 접착성을 갖는 봉합제 형태이다. 코팅을 하기위해(202 단계), 배면층의 유리기판이나 다른 기판을 봉합액에 접촉하여 기판에 코팅을 형성한다. 코팅된 재료를 나중 사용을 위해 저장한다(204 단계). 코팅단계를 필요한만큼 반복하여 두께를 증가시키거나 다른 기판에 코팅을 형성한다. 경우에 따라, 유리판이나 배면층과 같은 기판을 기울이거나 수직으로 하여 저장액 용기의 한쪽에 마련된 블레이드에서 나오는 봉합액에 접촉시킬 수도 있다. 봉합액은 봉합제를 가열하여 형성하는 것이 좋다. 봉합액을 만드는 다른 방법은 봉합제의 2가지 성분들을 혼합한 다음 바로 도포하거나 UV선을 조사하거나 가교결합하여 경화되는 봉합액을 도포하는 것이다. 유리기판과 액체 디스펜서의 상대운동에 의해 코팅이 형성된다. 블레이드와 유리기판 사이에 간격이 형성된다. 이 간격이 코팅 두께를 결정한다. 코팅이 기판에 닿을 때 기판과의 열교환으로 냉각이 시작되어 봉합액이 경화된다.
봉합제를 50~500㎛의 두께로 기판에 도포하고, 도포하는 동안 봉합제의 점도는 5~50P로 한다.
유리기판을 수직이나 경사지게 하고, 코팅을 반복적으로 일정하게 하려면, 온도나 상대운동 속도와 같은 모든 조건을 가능한한 일정하게 유지하고, 유리기판은 가능한 평탄하게 하며, 블레이드와 유리기판의 간격도 일정하게 유지한다.
코팅이 끝나면, 솔라셀과 같은 전자 활성소자들과 다른 봉합제층과 배면층을 배치하여 레이업을 만들고(206, 208 단계), 적층에 의해 솔라모듈을 조립한다(210 단계). 레이업은 코팅된 유리판과 코팅된 배면판이나 제2 유리판과 솔라셀과 같은 전자 활성소자를 포함하고, 이들은 경화되기 전 단계에 있다. 광학필터나 격벽과 같은 다른 층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전 실시예와 비교해 좀더 완성된 재료를 저장해야 하지만, 본 실시예의 장점은 코팅단계가 오프라인으로 실시되어 생산라인의 병복현상이 되지 않는데 있다. 다른 장점은 취약한 봉합제층을 냉각하고 부분적으로 가교결합하여 솔라셀을 그 위에 배치할 때 더 강한 지지층 기능을 하는데 있다. 끈적한 봉합제를 사용하면 모듈 내부에 공기가 갇힐 수 있다. 재료를 일정 시간 저장하면, 끈적임이 줄어든다.
본 발명에서는 봉합제가 저온에서나 저산소 환경에서 열화되지 않도록 코팅된 기판을 저장한다.
봉합제층을 제공하는 이 방법의 다른 장점은, 코팅기가 고가가 아니며 계량된 양의 봉합제를 올바른 위치에 쉽고 정확하게 도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봉합제 호일은 전혀 사용할 필요가 없다. 봉합제 호일을 정확히 잘라 배치할 필요가 없어 작업이 줄어들고 인간의 간섭이 덜 필요해 때문에 공정의 신뢰성도 높아진다.
도 8은 박막 솔라모듈을 만드는 방법(300)의 순서도로서, 박막 솔라셀들이 유리판에 배치되고, 유리판은 반도체 필름을 붙이는 기판이다. 따라서, 이 모듈은 손실요소가 적고 제조가 쉽다. 박막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 방법(300)에서는 솔라모듈의 외층을 이루는 유리기판의 한쪽에 봉합제 필름인 코팅을 형성한다.
코팅은 적층된 모듈의 여러 층들을 접착하는 접착성을 갖는 봉합제가 바람직하다. 코팅을 하려면(302 단계), 솔라셀과 같은 전자 활성소자들을 갖춘 유리기판이나 다른 기판을 봉합액에 접촉시킨다. 봉합제로 적당한 재료는 전술한 바와 같다. 기판을 기울이거나 수직으로 한 다음, 봉합액 용기 한쪽에 마련된 블레이드에서 나오는 봉합액에 접촉시킨다. 봉합액은 봉합제를 가열해 녹인 것이다. 홈통에 히터를 배치해 봉합액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봉합액을 만드는 다른 방법은 봉합액의 2가지 성분을 혼합했다가 바로 도포하는 것이다. 코팅된 봉합액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수단이 필요할 수도 있다. 유리기판과 액체 디스펜서의 상대운동에 의해 코팅이 형성된다. 블레이드와 유리기판 사이에 간격이 형성된다. 이 간격의 폭이 코팅 두께를 결정한다. 코팅이 기판에 닿을 때 기판과의 열교환으로 냉각이 시작되어 봉합액이 경화된다.
봉합제를 50~500㎛의 두께로 기판에 도포하고, 도포하는 동안 봉합제의 점도는 5~50P로 한다.
유리기판을 수직이나 경사지게 하고, 코팅을 반복적으로 일정하게 하려면, 온도나 상대운동 속도와 같은 모든 조건을 가능한한 일정하게 유지하고, 유리기판은 가능한 평탄하게 하며, 블레이드와 유리기판의 간격도 일정하게 유지한다. 유리도 봉합제 코팅의 두께범위내의 허용오차(두께와 형상)로 제작하며, 코팅 두께를 얻기위해 유리를 평탄화할 수도 있다.
이 코팅 단계 이후에, 유리와 솔라셀이나 배면층을 먼저 코팅하며(302 단계), 나머지 외측 기판을 도포하고(304 단계) 전술한 방법으로 솔라모듈을 적층해(306 단계) 레이업을 만든다. 레이업은 코팅된 유리판과 코팅된 배면판이나 제2 유리판과 솔라셀을 포함하며, 이들은 경화되기 전 단계에 있다. 광학필터나 격벽과 같은 다른 층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제 봉합액을 도포하는 수단과 방법의 특정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는데, 여기서는 유리판(2)이나 배면판(5) 또는 둘다에 닥터 블레이드(doctor blade)나 스퀴지(squeegee)로 봉합액을 도포한다. 유리판이나 배면판을 기판홀더(24)에 고정하고 스퀴지(20)를 유리판이나 배면판에 대해 또는 그 반대로 움직인다. 어느 경우에도 유리판이나 배면판을 평평하고 단단하게 고정해야 하고, 움직일 경우에는 일정하게 안내해야만 한다. 유리판이나 배면판을 (설치공간을 줄이기 위해) 수직으로 고정한채 봉합액을 도포하는 것이 좋지만, 기울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중력을 이용해 재료를 용기인 홈통에 되돌리고 재료가 흩어지는 것을 피할 수 있어 유리하다.
봉합액 도포수단은 용기로서의 홈통(22)이 달린 스퀴지(20), 닥터 블레이드(26) 및 측벽(28)을 포함한다. 스퀴지의 기울기를 바꾸는 수단을 배치할 수도 있다(도 9~10 참조). 충분한 양의 봉합액을 담기위해, 봉합액 용기, 예컨대 홈통(22)을 스퀴지(20)에 마련한다. 홈통은 봉합액 높이를 항상 동일하게 유지하도록 봉합액을 지속적이고 자동으로 공급받는다. 홈통에 히터와 높이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하여, 봉합액을 일정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한다.
스퀴지와 코팅할 기판 사이의 상대운동은 기판을 정지시키고 스퀴지를 움직이는 것을 포함한다. 기판에 도포되는 봉합액의 양(즉, 코팅 두께)은 닥터 블레이드(26)의 가장자리와 기판(2,6) 사이의 간격은 물론 블레이드에 도달하는 액체량과 점도에 좌우된다. 본 실시예에서도 봉합액을 기판에 50~500㎛의 두께로 도포하고, 점도 5~50P의 봉합액을 사용한다.
스퀴지가 상승하면서 봉합액을 도포할 때, 봉합액이 기판에 접촉하도록 하는 경사수단을 스퀴지에 제공한다. 경사를 바꾸는 수단도 제공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스퀴지의 경사를 바꿔 기판에 도포되는 액체량을 바꾸거나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도 11 참조).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코팅과정에 의해 봉합액에 부가되는 구조는 없지만, 구조를 부가할 수도 잇다. 예를 들어, 그물망과 같은 구멍들이 뚫린 스크린을 (일반 스크린 프린팅에서처럼) 스퀴지와 기판 사이에 사용할 수 있다. 이런 프린팅 스크린은 도포된 봉합액에 구조를 추가하는데 이용된다. 예컨대, 솔라셀의 도전 리본이나 와이어가 위치하는 두꺼운 부분과 같이 봉합할 전자요소의 높이차를 보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크기의 구멍들을 갖는 그물을 사용할 수 있다. 프린팅 스크린은 기판에 대해 정지위치로 고정되지만, 소형 프린팅 스크린은 닥터 블레이드와 같이 움직일 수도 있다. 이런 프린팅 스크린은 이동방향에 직각으로 봉합액을 조직하는데 사용된다.
국부적인 두께 변화가 있는 봉합제 코팅이 필요하면, 블레이드와 유리/배면 기판 사이의 간격을 블레이드 길이를 따라 다양하게 한다. 이런 두께변화는 예컨대 기판의 가장자리에서는 적게 한다. 레이업을 압착할 때, 봉합액이 흘러 모듈을 채운다.
기판과 블레이드의 간격을 바꾸는 수단으로 조절나사가 있는데, 이런 수단은 수동으로나 (거리센서를 이용해) 자동으로 조절된다.
블레이드의 위치
블레이드가 기판(유리)에 맞닿거나, 바닥이나 벽면에 유리기판이 지지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블레이드가 유리기판이나 배면판에 맞닿는 지점에서 기판과 블레이드의 간격이 더 넓어질 수 있다. 이때 블레이드가 기판에 맞닿는 부분에 더 많은 재료가 도포되어 봉합액은 도포되지 않으므로, 맞닿는 부분을 덮기에 충분한 재료가 존재한다. 레이업을 압착할 때 봉합액은 흘러내리면서 완성 모듈을 채울 뿐이다.
두께를 일정하게 하거나 (변해도) 잘 형성되게 하려면, 기판이 평탄하면서 코팅과정동안 평탄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블레이드와 기판의 간격을 유지하려면, 기판을 가능한 평탄하게 유지해야 하고 완벽히 평탄한 것이 좋다. 기판의 중량과 크기가 클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기판 홀딩수단인 기판홀더(24)로서 흡착벽(30)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것을 기판(2,6)을 홀딩하는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할 수 있다. 흡착벽(30)은 기판을 표면에 흡착하는 흡착기(32)나 진공클램프의 어레이로서, 안정을 위해 단단하게 만드는 것이 좋다. 유리기판(2)이나 배면판(6)을 흡착벽에 고정하면, 유리기판이나 배면판과 같은 기판 자체를 조절하고 평탄하게 할 수 있다. 기판을 정전기으로 흡착할 수도 있다. 이 방법은 과소압력에 의해 변형되는 배면판에 특히 적합하다. 정전기를 지속적으로 적용하면 호일의 모든 곳에 동일한 힘이 작용하여 국부적인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다.
흡착벽은 3방향으로 뻗는 프레임(34)을 포함한다(도 12~13 참조).
프레임 밑에는 진공홀(36)이 뚫린 커버판이 있고, 진공홀은 공기를 흡입해 진공을 가하는 튜브의 끝 부분이거나, 베루누이 정리를 이용해 공기류로 저압을 유도하는 흡입컵의 끝부분이다. 유리판이나 배면판과 같은 기판을 프레임 위에 놓으면, 프레임과 커버판과 기판으로 이루어진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서 공간을 빼내면 기판을 평탄하게 만들 수 있다.
폴리머 배면판과 같은 좀더 유연한 기판에 대해서는, 진공홀을 좀더 크거나 작게하고 프레임 격자를 더 미세하게 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평평한 다공성 세라믹과 같은 다공성 재료를 전술한 흡착벽 대신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4의 흡착벽(30)에서는 진공홀(36)이 흡입컵을 형성하고 기판(2,6)이 닿아야 하는 프레임(34)에 연질고무가 포함된다.
도 15에 의하면, 유리기판(2)을 흡착벽(30)의 프레임(34) 위에 놓는다. 프레임(34)은 공간을 형성하는 연질고무 띠들을 포함한다. 유리 등의 기판(2,6)을 수직으로 배치하면 공간을 절약하고 자중에 의해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취급하기도 훨씬 쉬워진다.

Claims (15)

  1. 제1 층(2)과 외층(6)을 갖는 솔라모듈(1)을 적층하여 솔라모듈을 제조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층(1)을 평평하게 고정하는 홀딩수단(24); 및
    외층(6)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제1 층(2)에 액체를 도포하는데 사용되는 스퀴지(20)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모듈 제조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수단(24)이 제1 층(2)을 경사지게, 더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모듈 제조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봉합액을 담거나 공급하는 용기(2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모듈 제조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층(2)이 솔라셀(3)과 같은 전자 활성소자를 갖거나 갖지 않는 유리기판이나 배면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모듈 제조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홀딩수단(24)이 흡착수단(32)을 갖춘 프레임(34)이나 정전흡착수단을 갖춘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모듈 제조시스템.
  6. 제3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용기(22)가 한쪽의 블레이드(26)와 측벽(28)을 갖춘 홈통이고 기울기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모듈 제조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용기(22)가 히터나 단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모듈 제조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층(2)과 블레이드(26) 사이에 상대운동을 일으키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모듈 제조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34)에 대해 제1 층(2)을 고정되게 유지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모듈 제조시스템.
  10. 제1 층(2)을 갖는 솔라모듈(1)의 적층방법에 있어서:
    제1 층(1)을 평평하고 수직으로 고정하는 단계;
    제1 층(2)과 간격을 둔 블레이드(26)를 통해 용기(22)의 봉합액을 제1 층(2)에 코팅하는 단계;
    코팅된 제1 층을 레이업으로 형성하는 단계; 및
    솔라모듈(1)을 형성하도록 레이업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모듈 적층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제1 층(2)이 솔라셀(3)과 같은 전자 활송소자들을 갖거나 갖지 않는 유리기판이나 폴리머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모듈 적층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활성소자들을 봉합액 코팅 위에 놓는 단계; 레이업을 형성하기 위해 활성소자들 위에 봉합제를 갖는 제2 외층(6)을 놓는 단계; 및 솔라모듈(1)을 형성하기 위해 레이업을 적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모듈 적층방법.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활성소자가 솔라셀(3)이거나, 제1 층이 유리기판이나 배면판이거나, 또는 제2 외층(6)의 봉합제가 호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모듈 적층방법.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코팅이 제1 층(2)과 블레이드(26) 사이의 상대운동으로 이루어지고, 제1 층(2)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모듈 적층방법.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코팅을 도포하는 동안 용기(22)를 기울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라모듈 적층방법.
KR1020157015844A 2012-11-23 2013-10-28 봉합제를 갖는 솔라모듈의 제조 방법 및 시스템 KR201501029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194116.5A EP2735378A1 (en) 2012-11-23 2012-11-23 Method for making a solar module with encapsulant and system therefor
EPEP12194116 2012-11-23
PCT/IB2013/002407 WO2014080258A1 (en) 2012-11-23 2013-10-28 Method for making a solar module with encapsulant and system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979A true KR20150102979A (ko) 2015-09-09

Family

ID=47522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5844A KR20150102979A (ko) 2012-11-23 2013-10-28 봉합제를 갖는 솔라모듈의 제조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735378A1 (ko)
KR (1) KR20150102979A (ko)
CN (1) CN104812502A (ko)
WO (1) WO20140802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92984B1 (en) 2019-09-13 2021-11-24 g-neration.energy AG Method for making a solar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48216A1 (de) * 2006-10-11 2008-04-17 Wacker Chemie Ag Laminate mit thermoplastischen Polysiloxan-Harnstoff-Copolymeren
DE102007038240B4 (de) * 2007-08-13 2013-02-07 Institut für Kunststofftechnologie und -recycling e.V. Verfahren und Anlage zur Herstellung eines Solarmoduls
DE102008048160A1 (de) * 2008-09-19 2010-04-08 Kraussmaffei Technologie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Solarmoduls
AT508399A1 (de) * 2009-07-06 2011-01-15 3S Swiss Solar Systems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aus schichten aufgebauten solarpaneels
EP2525976A2 (en) 2010-01-19 2012-11-28 3S Swiss Solar Systems AG System and method for laminating modules
DE102010028186A1 (de) * 2010-04-26 2011-10-27 Evonik Röhm Gmbh Fluoreszenzkonversionssolarzelle Lacke
EP2394747A1 (de) * 2010-06-14 2011-12-14 Saint-Gobain Glass France Verfahren zur Flutbeschichtung eines polymeren Werkstoffes
FR2974745B1 (fr) * 2011-05-06 2013-04-26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if et procede de depot par enduction a la racle d'encre a base de cuivre et d'in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812502A (zh) 2015-07-29
WO2014080258A1 (en) 2014-05-30
EP2735378A1 (en) 2014-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9291B2 (en) Laminating apparatus
CN101669214B (zh) 塑料复合材料用于制备光伏模块的用途
US9005389B2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bubble-free bonding of large-surface glass panes
KR101275651B1 (ko) Cis계 박막 태양 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EP1703570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ar cell module
JPH08500214A (ja) 光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JP2012099818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11581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laminating pv device
US2013006837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ARGE AREA HERMETIC ENCAPSULATION OF ONE OR MOR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s)
JP2008282906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H10244589A (ja) ラミネート装置
JP4682014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20150102979A (ko) 봉합제를 갖는 솔라모듈의 제조 방법 및 시스템
JP3838684B2 (ja) 可撓性太陽電池の製造方法
KR101471718B1 (ko) 접착제 도포 방법 및 접착제 도포 장치
JP2006278702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004902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及び合わせガラスの製造方法
JP6383440B2 (ja) 積層装置及び積層体を製造する方法
WO2015056069A1 (en) Method and system for forming laminates
JP3759285B2 (ja) ラミネート装置
JP2012529755A (ja) 太陽電池パネル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WO2015078508A1 (en) Method for producing a photovoltaic device with a textured surface
JP5988949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製造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H10264344A (ja) ラミネート方法およびラミネート装置
JP2010272830A (ja) 太陽電池パネルを製造するためのラミネート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