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1012A - 등거리 측정 제어 장치 및 등거리 측정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등거리 측정 제어 장치 및 등거리 측정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1012A
KR20150101012A KR1020140021539A KR20140021539A KR20150101012A KR 20150101012 A KR20150101012 A KR 20150101012A KR 1020140021539 A KR1020140021539 A KR 1020140021539A KR 20140021539 A KR20140021539 A KR 20140021539A KR 20150101012 A KR20150101012 A KR 20150101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speed sensor
train
sensor un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1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9924B1 (ko
Inventor
용재철
황정민
오호근
권삼영
최일윤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21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9924B1/ko
Publication of KR20150101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1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3/00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 B61L23/04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for monitoring the mechanical state of the route
    • B61L23/042Track changes de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7/00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e of control gear and contro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00Devices along the route controlled by interaction with the vehicle or train
    • B61L1/02Electric devices associated with track, e.g. rail cont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 B61L25/021Measuring and recording of train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차에 장착되어 열차의 이동 속도에 대한 속도 정보를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속도센서부, 열차에 장착되어 열차의 이동 속도에 대한 속도 정보를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보조 속도센서부, 상기 메인 속도센서부 또는 제1 보조 속도센서부에서 제공한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열차의 이동 속도를 산출하는 속도 측정부, 상기 속도 측정부에 의해 산출된 이동 속도를 기반으로 열차의 이동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연산부, 그리고 상기 메인 속도센서부의 속도 정보를 이용하되 상기 메인 속도센서부로부터 속도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1 보조 속도센서부의 속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속도 측정부에 제공하고, 상기 거리 연산부에 의해 산출된 열차의 이동 거리를 기반으로 등거리의 간격시마다 선로검측장치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등거리 측정 제어 장치 및 이의 등거리 측정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등거리 측정 제어 장치 및 등거리 측정 제어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EASUREMENT OF EQUAL DISTANCE}
본 발명은 열차 선로를 검사하는 선로 검측 장치가 동일한 간격으로 선로의 상태를 검사할 수 있게 하는 등거리 측정 제어 장치 및 등거리 측정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열차 선로 내에서 고속 열차가 시속 300km로 안전하게 달리기 위해서는 상시 선로의 상태를 점검해야 한다. 이를 위해 현재에는 고속 열차와 같은 속도로 달리는 검측 열차에 선로 검측 장치를 설치하고 선로 검측 장치를 통해 선로의 상태를 검사하고 있다.
선로 검측 장치는 예컨대 슬릿 광(Slit Beam)을 이용한 비접촉식 광삼각법(Optical Triangulation)으로 선로의 상태를 레이저로 측정하여 검사한다. 이때 국제 유럽 철도 검측 규격의 조건에 따르면, 선로 검측 장치의 측정 조건은 50 cm 이하의 등간격(동일한 간격 즉, 등거리)으로 선로를 측정해야 하며, 이에 따라 현재 열차 속도 측정 장치를 통하여 열차의 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열차의 속도를 기반으로 열차가 선로를 이동한 거리를 파악하며, 선로 검측 장치가 열차 속도 측정 장치를 통해 파악한 열차가 이동한 거리를 기반으로 50cm 이하의 등거리로 선로를 측정하고 있다.
이때 열차 속도 측정 장치는 주로 타코미터(Tachometer)를 사용하고, 타코미터를 통해 측정된 속도와 시간 값을 통하여 열차의 누적 운행거리를 계산함으로써 현재 열차의 이동 거리 및 위치를 파악하여 선로검측장치가 등거리 간격으로 측정하도록 동작을 제어한다. 그러나, 이 방식은 우천 또는 기타의 사유로 타코미터가 설치된 차축에 슬립(Slip)이 발생하거나 타코미터가 오동작하는 등의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타코미터로부터 펄스 신호가 나오지 않는다. 즉, 선로 검측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펄스 신호가 없기에, 선로 검측 장치가 선로를 등거리 간격으로 측정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는, 열차 속도 측정 장치가 비정상적인 동작을 하여도 선로에 대하여 안정적이고 정확한 등거리를 파악하여 선로 검측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등거리 측정 제어 장치 및 등거리 측정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등거리 측정 제어 장치는 장착되어 열차의 이동 속도에 대한 속도 정보를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속도센서부, 열차에 장착되어 열차의 이동 속도에 대한 속도 정보를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보조 속도센서부, 상기 메인 속도센서부 또는 제1 보조 속도센서부에서 제공한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열차의 이동 속도를 산출하는 속도 측정부, 상기 속도 측정부에 의해 산출된 이동 속도를 기반으로 열차의 이동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연산부, 그리고 상기 메인 속도센서부의 속도 정보를 이용하되 상기 메인 속도센서부로부터 속도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1 보조 속도센서부의 속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속도 측정부에 제공하고, 상기 거리 연산부에 의해 산출된 열차의 이동 거리를 기반으로 등거리의 간격시마다 선로검측장치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등거리 측정 제어 장치는 열차에 장착되어 열차의 이동 속도에 대한 속도 정보를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보조 속도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이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속도센서부와 상기 제1 보조 속도센서부로부터 속도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2 보조 속도센서부의 속도 정보를 이용한다.
또한 등거리 측정 제어 장치는 상기 메인 속도센서부와 상기 제1 및 제2 보조 속도센서부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속도센서부와 상기 제1 및 제2 보조 속도센서부 중 하나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게 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메인 속도센서부와 상기 제1 및 제2 보조 속도센서부 각각은 타코미터, 가속도계와 레이저 도플러 속도계 중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되, 서로 다른 종류의 장치를 이용한다.
상기 메인 속도센서부는 타코미터이고, 상기 제1 및 제2 보조 속도센서부 각각은 가속도계와 레이저 도플러 속도계 중 하나의 장치이되, 서로 다른 종류의 장치를 이용한다.
상기 속도 측정부는 상기 타코미터의 속도 정보인 펄스 신호의 개수를 측정하는 펄스신호 측정부와, 설정된 제1 시간당 상기 펄스 신호의 개수를 이용하여 열차의 속도를 산출하는 속도 연산부와, 상기 가속도계 또는 레이저 도플러 속도계에서 제공한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속도를 측정하는 보조 속도연산부를 포함한다.
등거리 측정 제어 장치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며, 상기 메인 속도센서부의 속도 정보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메인 속도센서의 속도 정보에 대하여 신호 보간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신호 보간 동작에 의해 생성된 신호를 상기 속도 측정부에 제공하는 신호보간부를 더 포함하며, 이때 상기 제1 보조 속도센서부의 속도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는 상기 메인 속도센서부의 속도 정보가 설정시간이 지나도 발생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신호보간부를 이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등거리 측정 제어 방법은 열차에 장착된 메인 속도센서부로부터 제1 속도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제1 속도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제1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속도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열차에 장착된 제1 보조 속도 센서부로부터 수신되는 제2 속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열차의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속도정보 또는 상기 제2 속도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한 상기 속도를 이용하여 선로상의 이동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선로상의 이동 거리를 기반으로 설정된 등거리의 간격시마다 선로검측장치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등거리 측정 제어 방법은 상기 열차의 이동 속도에 대한 속도 정보를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보조 속도센서부가 상기 열차에 추가로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메인 속도센서부와 상기 제1 보조 속도센서부로부터 속도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2 보조 속도센서부의 제3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열차의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에서 제2 속도정보를 이용한 상기 열차 속도를 산출단계는 상기 메인 속도센서부와의 연결을 끊고 상기 제1 보조 속도 센서부와 연결하여 상기 제2 속도정보로 상기 열차의 속도를 산출한다.
상기 메인 속도센서부와 상기 제1 및 제2 보조 속도센서부 각각은 타코미터, 가속도계와 레이저 도플러 속도계 중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되, 서로 다른 종류의 장치를 이용한다.
등거리 측정 제어 방법은 상기 메인 속도센서부의 속도 정보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메인 속도센서의 속도 정보에 대하여 신호 보간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신호 보간 동작에 의해 생성된 신호를 이용하여 열차의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선로를 등거리 간격으로 정확히 측정함으로써, 철도차량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안전한 운전을 가능하게 하며, 차량의 운행 안정성이 향상되고, 열차 운용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철도차량에서 발생하는 슬립현상에 의한 선로 검측 장치가 선로를 등거리로 측정하도록 유지함으로써, 상시적으로 선로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며, 선로의 보수공사를 손쉽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등거리 측정 제어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등거리 측정 제어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를 기반으로 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등거리 측정 제어 장치를 구체화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등거리 측정 제어 장치에 사용되는 속도 센서부의 사용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등거리 측정 제어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등거리 측정 제어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등거리 측정 제어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등거리 측정 제어 장치 및 등거리 측정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등거리 측정 제어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등거리 측정 제어 장치(100)는 메인 속도센서부(110), 보조 속도센서부(120), 속도 측정부(130), 거리연산부(140), 신호보간부(150)와,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메인 속도센서부(110)와 보조 속도센서부(120)는 적어도 하나가 열차에 장착되어 열차의 이동 속도에 대한 정보(즉, 속도 정보)를 센싱(sensing)하고, 속도 정보를 제어부(160)에 제공한다. 여기서, 메인 속도센서부(110)와 보조 속도센서부(120)는 서로 상이한 방식으로 열차의 속도 정보를 센싱하는 속도 측정 센서 장치를 사용한다. 메인 속도센서부(110)와 보조 속도센서부(120)에 사용되는 센서 장치로는 타코미터, 가속도계, 레이저 도플러 속도계 등이 있다.
예컨대, 메인 속도센서부(110)가 타코미터를 사용하는 경우에, 보조 속도센서부(120)는 가속도계와 레이저 도플러 속도계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한다. 다른 예로, 메인 속도센서부(110)가 가속도계를 사용하는 경우에, 보조 속도센서부(120)는 타코미터와 레이저 도플러 속도계 (laser doppler velocimeter)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한다.
타코미터는 주기적인 측정 방식으로 측정 축(즉, 차륜)이 1회전 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여, 그 시간의 역수를 구하고 회전수를 구한다. 이때 산출된 회전수를 역수로 취하면 속도를 구할 수 있고, 속도를 적분하면 거리를 구할 수 있다. 즉, 차륜이 한번 회전할 때마다 타코미터에서 생성하는 펄스 신호로 속도를 구하고, 열차의 이동거리를 구할 수 있다. 여기서 타코미터에서 출력하는 속도 정보는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한 차륜의 1회전을 알리는 펄스 신호이다.
가속도계는 열차가 선로의 방향으로 움직이는 방향에 대해서 가속도를 측정하는 센서 장치이다. 가속도계에서 측정한 가속도를 적분하면 속도를 구할 수 있고, 속도를 다시 적분하면 거리를 할 수 있다. 여기서 가속도계에서 출력하는 속도 정보는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한 열차의 가속도 정보이다.
레이저 도플러 속도계는 레이저 광의 도플러 효과에 의한 속도계이다. 레이저 도플러 효과는 레이저 광의 발생 위치와 이를 측정하는 위치 중 한 점 또는 양쪽 지점이 이동함에 따라 측정되는 주파수가 변화하는 현상인데, 이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물체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면 광은 산란하고 산란광은 물체의 속도에 비례하는 주파수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이 변화된 주파수를 광 비트 신호로 측정하면 물체의 이동 속도를 알 수 있다. 여기서 레이저 도플러 속도계에서 출력하는 속도 정보는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한 주파수 변화에 대응한 광 비트 신호이다.
속도 측정부(14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정상적인 상황하에서 메인 속도센서부(110)에서 제공한 열차의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열차의 속도를 산출한다. 여기서 정상적인 상황은 메인 속도센서부(11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황을 의미한다. 속도 측정부(14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비정상적인 상황하에서 보조 속도 센서부(120)에서 제공한 열차의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열차의 속도를 산출한다. 여기서 비정상적인 상황은 메인 속도센서부(110)가 비정상적인 동작을 하는 상황을 의미한다.
거리연산부(150)는 속도 측정부(140)에서 산출한 열차의 속도와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열차의 이동 거리를 산출하고 이를 누적한다. 여기서 열차의 이동 거리는 직전에 거리연산부(150)가 이동 거리를 산출한 시점으로부터 현재 열차의 이동 거리를 산출한 시점까지이거나, 메인 속도센서부(110)에서 열차의 속도 정보를 측정한 시간 동안에 이동한 거리이다.
제어부(160)는 등거리 측정 제어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메인 속도센서부(110)와 보조 속도센서부(120)에서 제공된 속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제어부는 정상적으로 메인 속도센서부(110)로부터 속도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등거리의 간격을 파악하고, 메인 속도센서부(110)로부터 속도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면 보조 속도센서부(120)의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등거리의 간격을 파악한다. 이때, 제어부(160)는 메인 속도센서부(110) 또는 보조 속도센서부(120)의 속도 정보로 산출된 열차의 속도 정보를 수신한 거리연산부(150)에 의해 산출된 이동 거리를 기준으로 설정된 등거리의 간격을 파악하고 등거리마다 선로검측장치(200)로 등거리임을 알린다.
한편, 제어부(160)는 메인 속도센서부(110)와 보조 속도센서부(120)로부터 속도 정보를 수신하다가 메인 속도센서부(110)로부터 속도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신호보간부(170)를 동작시켜 메인 속도센서부(110)의 속도 정보에 대한 보간 동작이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보조 속도센서부(120)로부터 수신되는 속도 정보를 속도 측정부(130)에 제공하여 보조 속도센서부(120)로부터 수신되는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열차 속도를 측정하는 경우에 보조 속도센서부(120)의 속도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도 신호보간부(170)를 동작시킨다. 여기서, 신호보간부(170)를 동작시키는 경우는 메인 속도센서부(110) 또는 보조 속도센서부(120)가 슬립현상이나 그 밖의 상황에 의해 일시적으로 속도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에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호보간부(17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며, 메인 속도센서부(110) 또는 보조 속도센서부(120)가 비정상적인 동작을 하는 경우에 동작하여 거리연산부(150)가 열차의 이동 거리를 산출할 수 있도록 비정상적인 속도센서부(110과 120 중 하나)의 속도 정보에 대하여 보간(interporation)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보간 동작은 해당 속도센서부(110 또는 120)의 속도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시점으로부터 바로 직전에 파악된 속도 정보들을 이용하여 비정상동작 구간에서의 속도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이다.
한편, 선로검측장치(200)는 제어부(16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등거리의 간격마다 선로를 측정하며, 선로의 상태 즉, 궤도 틀림(궤간 틀림, 뒤틀림, 고저틀림, 방향틀림, 수평틀림)을 검사하는 장치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등거리 측정 제어 장치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등거리 측정 제어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따른 등거리 측정 제어 장치는 메인 속도센서부(110)와 보조 속도센서부(120)의 속도 정보가 제어부(160)에 수신되도록 하고, 제어부(160)가 선택적으로 하나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등거리 측정 제어 장치는 메인 속도센서부(110)와 보조 속도센서부(120)의 속도 정보 중 하나를 스위칭 동작을 통해 선택하고 선택한 하나의 속도센서부의 속도 정보가 제어부(160)에 수신되도록 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는 상시 메인 속도센서부(110)와 보조 속도센서부(120) 모두가 동작해야 하지만,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하나의 속도 센서부만이 활성화되어 동작하고 나머지 속도 센서부는 비활성 상태로 동작하지 않게 하여, 속도센서부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등거리 측정 제어 장치(100a)는 메인 속도센서부(110), 보조 속도센서부(120), 속도 측정부(130), 거리연산부(140), 신호보간부(150), 제어부(160)와 스위치부(1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등거리 측정 제어 장치(100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등거리 측정 제어 장치(100)에 비해 스위치부(170)가 추가된 형태이며, 이에 따라 메인 속도센서부(110)와 보조 속도센서부(120)는 스위치부(170)를 통해 제어부(160)와 커플링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스위치부(170)는 메인 속도센서부(110)에 연결되는 제1 입력단과 보조 속도센서부(120)에 연결되는 제2 입력단을 가지며, 하나의 출력단이 제어부(160)에 연결된다. 스위치부(170)는 제1 입력단과 출력단이 연결되거나, 제2 입력단과 출력단이 연결되도록 하여 하나의 속도센서부가 제어부(160)에 연결되도록 하며, 이러한 스위칭 동작은 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된다.
이하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등거리 측정 제어 장치를 구체화한 일 예를 도 3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등거리 측정 제어 장치를 구체화한 일 예는 당업자라면 도 3 및 도 3을 참조로 한 이하의 설명을 통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생략한다.
도 3은 도 2를 기반으로 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등거리 측정 제어 장치를 구체화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등거리 측정 제어 장치(100a)는 메인 속도센서부(110)로 타코미터(110)가 사용되고, 보조 속도센서부(120)로 가속도계(120a) 및 레이저 도플러 속도계(120b)가 사용된다. 물론 보조 속도센서부(120)로 가속도계(120a) 및 레이저 도플러 속도계(120b) 중 하나만 사용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타코미터(110)가 하나로 도시되어 있지만, 2 이상의 타코미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가속도계(120a) 및 레이저 도플러 속도계(120b) 또한 도 3에서 하나로 도시되어 있지만 2개 이상으로 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등거리 측정 제어 장치(100a)는 타코미터(110), 가속도계(120a)와 레이저 도플러 속도계(120b) 중 하나만 제어부(160)에 연결시키기 위한 스위치부(170)가 구비된다.
또한 타코미터(110), 가속도계(120a) 및 레이저 도플러 속도계(120b) 중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속도를 산출하는 속도 측정부(130)가 구비된다. 이때 속도 측정부(130)는 타코미터(110)에서 출력한 속도 정보에 포함된 펄스 신호의 개수를 측정하는 펄스신호 측정부(131)와, 펄스신호 측정부(131)에서 측정한 설정 시간당 펄스 신호의 개수를 이용하여 열차의 속도를 산출하는 속도 연산부(132)와, 가속도계(120a) 또는 레이저 도플러 속도계(120b)에서 제공한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속도를 측정하는 보조 속도연산부(1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코미터(110)는 열차의 차륜에 설치되며, 가속도계(120a)와 레이저 도플러 속도계(120b)는 열차의 하부 중 임의의 위치 즉, 열차에서 선로에 대향하는 임의의 위치에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등거리 측정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등거리 측정 제어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등거리 측정 제어 방법을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등거리 측정 제어 장치를 기반으로 설명한다.
메인 속도센서부(110)인 타코미터(110)에서 차륜의 구동(즉, 1 회전)을 감지하고 차륜의 1회전에 대한 펄스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면(S501), 펄스 신호는 스위치부(170)를 통해 제어부(160)에 제공된다. 물론 스위치부(170)가 없는 경우에 펄스 신호는 직접 제어부(160)에 제공된다.
제어부(160)는 타코미터(110)로부터 펄스 신호를 수신하면(S502), 수신한 펄스 신호를 펄스신호 측정부(131)에 제공하고, 펄스신호 측정부(131)는 수신한 펄스 신호에 대하여 설정시간 동안에 몇 개의 펄스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파악하고, 속도 연산부(132)는 시간동안에 발생된 펄스 신호의 개수에 따라 열차의 속도를 산출한다(S503).
한편, 타코미터(110)가 복수개인 경우에 제어부(160)는 복수의 타코미터(110)로부터 펄스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펄스신호 측정부(131)에 제공하며, 속도 연산부(132)는 복수의 타코미터(110)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펄스 신호의 개수를 통해 각 타코미터(110)에 대응한 속도를 산출한다. 그리고 속도 연산부(132)는 각 타코미터(110)의 속도 정보를 통해 산출한 속도들의 평균을 산출하여 최종적으로 열차의 속도를 판단한다.
속도 측정부(130)는 산출한 열차의 속도를 거리 연산부(140)에 제공하고, 거리 연산부(140) 열차의 속도를 적분하여 시간 정보를 가지고 거리를 산출한다(S504).
제어부(160)는 거리 연산부(140)에 의해 산출된 열차의 이동 거리(열차가 선로상에서 이동한 거리)를 누적하여 관리하고, 열차의 이동 거리가 설정된 일정 거리 즉, 등거리만큼이 되면(S505), 선로검측장치(20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선로검측장치가 등거리시마다 검측 동작을 하게 한다(S506).
한편, 제어부(160)는 타코미터(110)로부터 속도 정보가 수신되다가 차륜 회전의 오동작과 같은 슬립현상 발생 등으로 인해 타코미터(110)가 발생되지 않고 이에 따라 타코미터(110)로부터 속도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면 가속도계(120a) 또는 레이저 도플러 속도계(120b) 중 하나를 구동시키고 스위치부(17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여 구동된 가속도계(120a) 또는 레이저 도플러 속도계(120b) 중 하나로부터 속도 정보를 수신한다(S507).
그리고 제어부(160)는 수신한 속도 정보를 보조 속도연산부(133)에 제공하여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열차의 속도가 산출되도록 하고, 거리연산부(140)에서 보조 속도연산부(133)에서 산출한 열차의 속도를 이용하여 열차 이동 거리(열차가 선로상에서 이동한 거리)를 산출되도록 한다(S509).
이렇게 거리연산부(140)에서 가속도계(120a) 또는 레이저 도플러 속도계(120b) 중 하나에서 제공한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열차의 이동 거리가 산출되면, 제어부(160)는 S505 과정을 수행하여 등거리 시점을 파악하며, 등거리만큼이 되면, 선로검측장치(20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선로검측장치가 등거리시마다 검측 동작을 하게 한다(S506).
한편, 제어부(160)는 가속도계(120a) 또는 레이저 도플러 속도계(120b) 중 하나를 사용하는 중에 타코미터(11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여 속도 정보를 발생하게 되면 타코미터(110)로부터 속도 정보가 수신되게 스위치부(17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한다.
또 한편, 제어부(160)는 타코미터(110) 및 가속도계(120a) 또는 레이저 도플러 속도계(120b) 중 사용중인 하나가 비정상 동작을 하게 되면 타코미터(110) 및 가속도계(120a) 또는 레이저 도플러 속도계(120b) 중 사용하지 않는 나머지 하나를 이용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등거리 측정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등거리 측정 제어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메인 속도센서부(110)인 타코미터(110)에서 차륜의 구동(즉, 1 회전)을 감지하고 차륜의 1회전에 대한 펄스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고(S601), 펄스 신호는 스위치부(170)를 통해 제어부(160)에 제공된다.
제어부(160)는 타코미터(110)로부터 펄스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데(S602), 직전의 이웃하는 펄스들의 시간 간격보다 긴 시간으로 펄스 신호가 수신되면 신호보간부(150)를 구동시켜 직전의 복수의 펄스 신호에 대해 중간값 계산 방식을 이용하여 이웃하는 펄스들 사이에 알맞은 시간 간격의 펄스 신호를 생성하고(S603), 생성한 펄스신호를 펄스신호 측정부(131)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펄스신호 측정부(131)는 신호보간부(150)에서 제공하는 펄스 신호를 수신하고 설정시간 동안에 몇 개의 펄스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파악하며, 속도 연산부(132)는 설정시간 동안에 발생된 펄스 신호의 개수에 따라 열차의 속도를 산출한다(S604).
속도 측정부(130)는 산출한 열차의 속도를 거리 연산부(140)에 제공하고, 거리 연산부(140) 열차의 속도를 적분하여 시간 정보를 가지고 거리를 산출한다(S605).
제어부(160)는 거리 연산부(140)에 의해 산출된 열차의 이동 거리(열차가 선로상에서 이동한 거리)를 누적하여 관리하여 열차의 이동 거리가 설정된 일정 거리 즉, 등거리만큼이 되면(S606), 선로검측장치(20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선로검측장치가 등거리시마다 검측 동작을 하게 한다(S607).
한편, 상기 S602 판단 과정에서 타코미터(110)로부터 펄스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60)는 수신된 펄스 신호를 펄스신호 측정부(131)에 제공하여 S604 과정 내지 S607 과정이 수행되게 한다.
또 한편, 선로검측용 열차가 출발시에는 타코미터(110)로부터 발생되는 펄스 신호의 간격이 멀어서 등거리의 간격으로 선로검측장치가 측정할 수 없고, 직전의 이웃하는 펄스들의 정보도 없기 때문에 제어부(160)에서 가속도계(120a)나 레이저 도플러 속도계(120b)를 통해 속도 정보를 얻고, 이를 통해 얻어진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S604 과정 내지 S607 과정이 수행되게 한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등거리 측정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등거리 측정 제어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메인 속도센서부(110)인 타코미터(110)에서 차륜의 1 회전 구동을 감지하고 차륜의 1회전에 대한 펄스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60)에 제공한다(S701).
제어부(160)는 타코미터(110)로부터 펄스 신호를 수신되는지를 확인하고(S703), 펄스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한 펄스 신호를 펄스신호 측정부(131)에 제공한다. 이에 펄스신호 측정부(131)는 수신한 펄스 신호에 대하여 설정시간 동안에 몇 개의 펄스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파악하고, 속도 연산부(132)는 시간동안에 발생된 펄스 신호의 개수에 따라 열차의 속도를 산출한다(S703).
속도 측정부(130)는 산출한 열차의 속도를 거리 연산부(140)에 제공하고, 거리 연산부(140) 열차의 속도를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거리로 산출한다(S704).
제어부(160)는 거리 연산부(140)에 의해 산출된 열차의 이동 거리(열차가 선로상에서 이동한 거리)를 누적하여 관리하여 열차의 이동 거리가 설정된 일정 거리 즉, 등거리만큼이 되면(7505), 선로검측장치(20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선로검측장치가 등거리시마다 검측 동작을 하게 한다(S706).
한편, 제어부(160)는 S702 과정에서 타코미터(110)로부터 속도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면 설정시간 이상 수신되지 않는지를 파악하고(S707), 설정시간 이내에 수신되면 신호보간부(150)를 구동시켜 속도 정보 즉, 펄스 신호를 생성하여 펄스신호 측정부(131)에 제공한다(S708). 이때 설정시간은 직전의 이웃하는 펄스들의 시간 간격보다 긴 시간, 즉 선로검측장치가 등거리시마다 검측 동작을 하기 위한 시간, 또한 정상적으로 펄스 신호가 수신되면 파악하기 위한 시간이다.
이렇게 신호보간부(150)에 의해 펄스 신호가 생성되면, S703 과정 내지 S706 과정이 순차적으로 수행되어, 제어부(160)에서 선로검측장치(200)로 등거리의 간격으로 검측 동작이 수행되게 하는 제어 신호가 제공된다.
또 한편, S707 과정에서 제어부(160)는 펄스 신호가 설정시간이 경과되어도 수신되지 않으면 타코미터(110)가 고장난 것으로 판단하여 가속도계(120a) 또는 레이저 도플러 속도계(120b) 중 하나를 구동시키고 스위치부(17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여 구동된 가속도계(120a) 또는 레이저 도플러 속도계(120b) 중 하나로부터 속도 정보를 수신한다(S709). 만약, 스위치부(17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이면, 제어부(160)는 수신되는 가속도계(120a)와 레이저 도플러 속도계(120b)의 속도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하는 동작으로 S709 과정을 대신한다.
제어부(160)는 가속도계(120a)와 레이저 도플러 속도계(120b) 중 하나로부터 수신한 속도 정보를 보조 속도연산부(133)에 제공하여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열차의 속도가 산출되도록 하고, 거리연산부(140)에서 보조 속도연산부(133)에서 산출한 열차의 속도를 이용하여 열차 이동 거리(열차가 선로상에서 이동한 거리)를 산출되도록 한다(S712).
이렇게 거리연산부(140)에서 가속도계(120a) 또는 레이저 도플러 속도계(120b) 중 하나에서 제공한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열차의 이동 거리가 산출되면, 제어부(160)는 S705 과정을 수행하여 등거리 시점을 파악하며, 등거리만큼이 되면, 선로검측장치(20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선로검측장치가 등거리시마다 검측 동작을 하게 한다(S706).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00a: 등거리 측정 제어 장치 200 : 선로검측장치
110 : 메인 속도센서부, 타코미터 120 : 보조 속도센서부
120a : 가속도계 120b : 레이저 도플러 속도계
130 : 속도 측정부 131 : 펄스신호 측정부
132 : 속도 연산부 133 : 보조 속도연산부
140 : 거리 연산부 150 : 신호보간부
160 : 제어부 170 : 스위치부

Claims (13)

  1. 열차에 장착되어 열차의 이동 속도에 대한 속도 정보를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속도센서부,
    열차에 장착되어 열차의 이동 속도에 대한 속도 정보를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보조 속도센서부,
    상기 메인 속도센서부 또는 제1 보조 속도센서부에서 제공한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열차의 이동 속도를 산출하는 속도 측정부,
    상기 속도 측정부에 의해 산출된 이동 속도를 기반으로 열차의 이동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연산부, 그리고
    상기 메인 속도센서부의 속도 정보를 이용하되 상기 메인 속도센서부로부터 속도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1 보조 속도센서부의 속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속도 측정부에 제공하고, 상기 거리 연산부에 의해 산출된 열차의 이동 거리를 기반으로 등거리의 간격시마다 선로검측장치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등거리 측정 제어 장치.
  2. 제1항에서,
    열차에 장착되어 열차의 이동 속도에 대한 속도 정보를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보조 속도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속도센서부와 상기 제1 보조 속도센서부로부터 속도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2 보조 속도센서부의 속도 정보를 이용하는 등거리 측정 제어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메인 속도센서부와 상기 제1 및 제2 보조 속도센서부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속도센서부와 상기 제1 및 제2 보조 속도센서부 중 하나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게 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등거리 측정 제어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메인 속도센서부와 상기 제1 및 제2 보조 속도센서부 각각은 타코미터, 가속도계와 레이저 도플러 속도계 중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되, 서로 다른 종류의 장치를 이용하는 등거리 측정 제어 장치.
  5. 제3항에서,
    상기 메인 속도센서부는 타코미터이고, 상기 제1 및 제2 보조 속도센서부 각각은 가속도계와 레이저 도플러 속도계 중 하나의 장치이되, 서로 다른 종류의 장치를 이용하는 등거리 측정 제어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속도 측정부는 상기 타코미터의 속도 정보인 펄스 신호의 개수를 측정하는 펄스신호 측정부와, 설정된 제1 시간당 상기 펄스 신호의 개수를 이용하여 열차의 속도를 산출하는 속도 연산부와, 상기 가속도계 또는 레이저 도플러 속도계에서 제공한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속도를 측정하는 보조 속도연산부를 포함하는 등거리 측정 제어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며, 상기 메인 속도센서부의 속도 정보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메인 속도센서의 속도 정보에 대하여 신호 보간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신호 보간 동작에 의해 생성된 신호를 상기 속도 측정부에 제공하는 신호보간부를 더 포함하며,
    이때 상기 제1 보조 속도센서부의 속도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는 상기 메인 속도센서부의 속도 정보가 설정시간이 지나도 발생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신호보간부를 이용하는 등거리 측정 제어 장치.
  8. 열차에 장착된 메인 속도센서부로부터 제1 속도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제1 속도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제1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속도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열차에 장착된 제1 보조 속도 센서부로부터 수신되는 제2 속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열차의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속도정보 또는 상기 제2 속도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한 상기 속도를 이용하여 선로상의 이동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선로상의 이동 거리를 기반으로 설정된 등거리의 간격시마다 선로검측장치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등거리 측정 제어 방법.
  9. 제8항에서,
    상기 열차의 이동 속도에 대한 속도 정보를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보조 속도센서부가 상기 열차에 추가로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메인 속도센서부와 상기 제1 보조 속도센서부로부터 속도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2 보조 속도센서부의 제3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열차의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등거리 측정 제어 방법.
  10. 제8항에서,
    상기 제2 속도정보를 이용한 상기 열차 속도를 산출단계는,
    상기 메인 속도센서부와의 연결을 끊고 상기 제1 보조 속도 센서부와 연결하여 상기 제2 속도정보로 상기 열차의 속도를 산출하는 등거리 측정 제어 방법.
  11. 제9항에서,
    상기 메인 속도센서부와 상기 제1 및 제2 보조 속도센서부 각각은 타코미터, 가속도계와 레이저 도플러 속도계 중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되, 서로 다른 종류의 장치를 이용하는 등거리 측정 제어 방법.
  12. 제9항에서,
    상기 메인 속도센서부는 타코미터이고, 상기 제1 및 제2 보조 속도센서부 각각은 가속도계와 레이저 도플러 속도계 중 하나의 장치이되, 서로 다른 종류의 장치를 이용하는 등거리 측정 제어 방법.
  13. 제8항 또는 제9항에서,
    상기 메인 속도센서부의 속도 정보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메인 속도센서의 속도 정보에 대하여 신호 보간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신호 보간 동작에 의해 생성된 신호를 이용하여 열차의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등거리 측정 제어 방법.
KR1020140021539A 2014-02-24 2014-02-24 등거리 측정 제어 장치 및 등거리 측정 제어 방법 KR101599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539A KR101599924B1 (ko) 2014-02-24 2014-02-24 등거리 측정 제어 장치 및 등거리 측정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539A KR101599924B1 (ko) 2014-02-24 2014-02-24 등거리 측정 제어 장치 및 등거리 측정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1012A true KR20150101012A (ko) 2015-09-03
KR101599924B1 KR101599924B1 (ko) 2016-03-08

Family

ID=54242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1539A KR101599924B1 (ko) 2014-02-24 2014-02-24 등거리 측정 제어 장치 및 등거리 측정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992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939B1 (ko) * 1990-06-06 1995-03-28 유니온 스위치 앤드 시그널 인코오포레이티드 레일제동거리의 검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440441B1 (ko) * 2003-07-25 2004-07-14 샬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열차의 속도측정장치
JP2007050805A (ja) * 2005-08-19 2007-03-01 Railway Technical Res Inst 車両走行路管理用のデータ取得方式
JP2012006568A (ja) * 2010-06-25 2012-01-12 Institute Of National Colleges Of Technology Japan 車両の特徴点の通過検知を用いた移動車両の地上制御装置および地上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939B1 (ko) * 1990-06-06 1995-03-28 유니온 스위치 앤드 시그널 인코오포레이티드 레일제동거리의 검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440441B1 (ko) * 2003-07-25 2004-07-14 샬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열차의 속도측정장치
JP2007050805A (ja) * 2005-08-19 2007-03-01 Railway Technical Res Inst 車両走行路管理用のデータ取得方式
JP2012006568A (ja) * 2010-06-25 2012-01-12 Institute Of National Colleges Of Technology Japan 車両の特徴点の通過検知を用いた移動車両の地上制御装置および地上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9924B1 (ko) 2016-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2239B2 (en) Train speed measuring device and method
US10974747B2 (en) On-board system and train occupancy range calculation method
RU2586911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тормозной системы тормоз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рельсов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SE531619C2 (sv) Hjulsensor för avkänning av en fordonsrörelse
JP2019049095A (ja) 鉄道橋梁のたわみ測定装置
JP6535619B2 (ja) 列車制御システム
JP2007331629A (ja) 列車位置検知装置
BR102015030366A2 (pt) sistema para monitorar as condições de operação de um trem
RU2640313C2 (ru) Способ оценки скорости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1868999B1 (ko) 속도 검출 장치
JP2018091683A (ja) 車輪径特定装置
JP5462842B2 (ja) 移動体長計測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列車運行管理システム
JP5901557B2 (ja) 走行体速度計測方法及び装置
KR101599924B1 (ko) 등거리 측정 제어 장치 및 등거리 측정 제어 방법
CN105568797A (zh) 钢轨检测装置
JP5412482B2 (ja) 列車位置検知装置
JP7311854B2 (ja) 踏切制御子の制御区間長測定装置および制御区間長測定システム
KR101563352B1 (ko) 지피에스를 통한 주행저항 측정방법
KR101019127B1 (ko) 차량 속도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89132A (ko) 열차속도 검출장치
KR100540161B1 (ko)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철도차량 속도 측정장치
JPWO2018066020A1 (ja) 車上装置及び非常ブレーキ制御方法
JP5640127B1 (ja) 車上装置
KR20180123770A (ko) 열차 진동 측정 앱을 탑재한 스마트폰
KR100651192B1 (ko) 전기철도차량의 냉각용 전동기 고장진단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