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0668A - 하프 브리지 내의 하프 브리지 분기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하프 브리지 내의 하프 브리지 분기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0668A
KR20150100668A KR1020157016090A KR20157016090A KR20150100668A KR 20150100668 A KR20150100668 A KR 20150100668A KR 1020157016090 A KR1020157016090 A KR 1020157016090A KR 20157016090 A KR20157016090 A KR 20157016090A KR 20150100668 A KR20150100668 A KR 20150100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lf bridge
predetermined time
monitoring
time curve
bra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6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오르크 슐체-익킹-코네르트
마티아스 야콥
프랑크 피셔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50100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06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G01R31/2607Circuits therefor
    • G01R31/2621Circuits therefor for testing field effect transistors, i.e. F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5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 G01R31/006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on road vehicles, e.g. automobiles or trucks
    • G01R31/024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 H02H7/0833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for electric motors with control arrangements
    • H02H7/0844Fail safe control, e.g. by comparing control signal and controlled current, isolating motor on commutation err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 H02H7/1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 H02H7/12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for inverters, i.e. dc/a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02M7/539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wave form or frequency
    • H02M7/539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wave form or frequency by pulse-width mod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H02P27/08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with pulse width mod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 H02H7/1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 H02H7/12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for inverters, i.e. dc/ac converters
    • H02H7/122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for inverters, i.e. dc/ac converters responsive to internal faults, e.g. shoot-through

Abstract

본 발명은 하프 브리지(32)에서 중앙 탭(30)에 의해 다른 하프 브리지 분기(36)에 직렬 접속되는, 하프 브리지(32) 내 하프 브리지 분기(38)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중앙 탭(30)에 대향 배치된 전기 공급 전위(24)를 미리 정해진 시간 곡선(50)에 따라 다른 하프 브리지 분기(36)에서 중앙 탭(30)에 인가하는 단계 및 미리 정해진 시간 곡선(50)과 중앙 탭(30)의 전기 출력 전위(52)의 비교(70)에 기초해서 하프 브리지 분기(38)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프 브리지 내의 하프 브리지 분기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MONITORING A HALF BRIDGE BRANCH IN A HALF BRIDGE}
본 발명은 일반적인 차량, 특히 전기 모터를 구비한 차량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 모터의 제어를 위한 구동 회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 420 91 67 A1호에는 단락을 검출하기 위해 전력 변환기에서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공개되어 있다. 단락은 모니터링할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통한 전압 강하를 기초로 검출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회로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하프 브리지 분기의 단락을 더 신속하게 모니터링하도록, 하프 브리지 내의 하프 브리지 분기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제 1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제 1 항에 따른 하프 브리지 내의 하프 브리지 분기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및 독립 청구항에 따른 제 1 하프 브리지와 적어도 하나의 제 2 하프 브리지로 이루어진 병렬 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전자 메모리 매체 및 전기 제어부가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제시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에 따라, 하프 브리지에서 중앙 탭에 의해 다른 하프 브리지 분기에 직렬 접속되는, 하프 브리지 내의 하프 브리지 분기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은
- 중앙 탭에 대향 배치된 전기 공급 전위를 미리 정해진 시간 곡선에 따라 다른 하프 브리지 분기에서 중앙 탭에 인가하는 단계 및
- 미리 정해진 시간 곡선과 중앙 탭에서의 전기 출력 전위의 비교에 기초해서 하프 브리지 분기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통한 전압 강하에 기초하는 전력 변환기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전술한 모니터링이 상기 전압 강하를 측정 기술적으로 검출하기 위해 적어도 2개의 전위의 검출을 필요로 한다는 사실에 기초한다. 따라서, 하나의 하프 브리지에서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적어도 3개의 다른 전기 전위가 검출되어야 한다. 단락된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에서 전압 강하가 미리 정해진 임계 전압을 초과할 정도로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통과하는 전류가 큰 경우에야 비로소, 하프 브리지 내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단락이 추론될 수 있다. 그러나 특히 전력 변환기 회로에 부분적으로 매우 높은 전압 피크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임계 전압으로서 매우 높은 값만이 고려되어서는 안 되고, 임계 전압은 시간적으로도 적절한 길이로 설정되어야 하고, 이로써 하프 브리지 내의 상응하는 다른, 아직 단락되지 않은 전계효과 트랜지스터가 매우 높은 부하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또한, 어떤 하프 브리지 분기가 단락되었는지에 따라, 하프 브리지에서 단락된 하프 브리지 분기, 예를 들어 상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는 하프 브리지의 중앙 탭을 중앙 탭으로부터 볼 때 일정하게 높거나 낮은 공급 전위에 접속한다는 사실에 기초한다. 하프 브리지는 다른 한편으로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중앙 탭에서 출력 전위로서 교류 전위를 생성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시간 곡선에 따라 높거나 낮은 공급 전위를 하프 브리지의 하프 브리지 분기들 중 하나의 분기를 통해 중앙 탭에 인가하는 과제를 수행하기 때문에,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곡선이 중앙 탭에서의 출력 전위에서 관찰될 수 없을 때 에러로서 식별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예를 들어 다른 하프 브리지 분기가 상응하게 낮거나 높은 공급 전위를 지속적으로 출력 전위로서 중앙 탭에 인가하기 때문이다. 상기 방법의 범위에서, 하프 브리지에서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와 같은 하프 브리지 분기의 단락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기 위해 상기 사실이 이용된다.
단락의 검출을 위해 하프 브리지의 하프 브리지 분기를 통한 전압 강하가 이용되는 전술한 방법과는 달리, 제시된 방법의 범위에서 각각의 하프 브리지 내의 하프 브리지 분기의 모니터링을 위해 필요한 검출할 전위의 개수는 하나의 전위로, 특히 중앙 탭에서의 출력 전위로 감소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하프 브리지 분기의 모니터링을 위한 회로 복잡성이 상당히 감소한다. 또한 하프 브리지 분기의 단락은 즉시 검출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중앙 탭에 공급 전위를 인가하는 중앙 탭에서의 출력 전위와 미리 정해진 시간 곡선 사이의 편차가 하프 브리지에서 다른 하프 브리지 분기의 단락에만 기인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방법의 전압 피크와 같은 다른 이유는 존재할 수 없다.
따라서 제시된 방법은 하프 브리지 내의 하프 브리지 분기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회로 구성을 간단하게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방법에 의해 하프 브리지 분기의 단락이 더 신속하게 검출될 수 있고, 이로써 여전히 작동하는 하프 브리지 분기의 전기 부하는 현저히 감소할 수 있다.
중앙 탭에 대향 배치된 다른 하프 브리지 분기에서의 전기 공급 전위를 미리 정해진 시간 곡선에 따라 중앙 탭에 인가하는 단계에 의해 전력 흐름이 하프 브리지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도 된다. 즉, 전류는 무조건 중앙 탭으로부터 다시 공급 전위로 흐를 수 있다.
상기 방법의 일 실시예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곡선은 펄스폭 변조에 의해 미리 주어진다. 하프 브리지에서의 공급 전위로부터 중앙 탭에서 교류 전위를 생성하기 위해, 특히 전력 변환기에서 펄스폭 변조가 매우 빈번하게 이용된다. 그러나 대안으로서 다른 변조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고, 이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므로, 간략함을 위해 더 이상 설명되지 않는다. 이러한 다른 변조 방식은 중앙 탭에 공급 전위를 인가하는 미리 정해진 시간 곡선을 미리 설정한다.
상기 방법의 추가 실시예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곡선과 출력 전위의 비교를 위해 출력 전위의 펄스폭 변조의 특성이 조사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펄스폭 변조가 펄스폭 변조를 명확하게 특징짓는 특정한 특성값에 의해 검출된다는 사실에 기초한다. 따라서 전체 시간 곡선은 일정하게 모니터링 되지 않아도 되고, 사용된 펄스폭 변조가 중앙 탭에서의 출력 전위에서 특성값에 의해 명확하게 검출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펄스폭 변조의 특성으로서 펄스폭 변조의 하나 이상의 특성값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펄스의 폭이 평가될 수 있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펄스폭 변조의 주파수가 평가될 수 있고, 상기 주파수는 특히 바람직하게 변조 주파수일 수 있다 .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출력 전위의 펄스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 경우 미리 정해진 시간 곡선과 출력 전위의 비교를 위해 펄스 개수는 펄스폭 변조의 주파수와 미리 정해진 시간의 곱과 비교된다. 이러한 개선예는, 신호의 주파수 측정이 최소 측정 에러로 실시될 수 있다는 사실에 기초하고, 이로써 펄스폭 변조의 주파수와 미리 정해진 시간의 곱이 펄스 개수와 서로 차이가 있을 때, 모니터링될 하프 브리지 분기의 손상이 확실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전기 소자에 의해 서로 연결된 중앙 탭들을 갖는 제 1 하프 브리지와 적어도 하나의 제 2 하프 브리지로 이루어진 병렬 회로의 보호를 위한 방법은,
- 상기 방법에 의해 하프 브리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 미리 정해진 시간 곡선과 전기 출력 전위의 비교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할 때, 모든 하프 브리지 분기를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이란, 미리 정해진 시간 곡선과 전기 출력 전위 사이의 편차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반도체 브리지들 중 하나의 반도체 브리지에서 반도체 브리지 분기들 중 하나의 반도체 브리지 분기의 모니터링 시 중앙 탭에서 볼 때 모니터링될 반도체 브리지 분기에 대해 사선으로 대향 배치된 다른 반도체 브리지 내의 반도체 브리지 분기는 일정하게 도통되어야 하고, 이로써 중앙 탭에서의 출력 전위는 이러한 사선으로 대향 배치된 중앙 탭에 의해 왜곡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에, 2개의 중앙 탭 사이의 소자가 전위 구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로써 중앙 탭에서의 출력 전위는 모니터링될 하프 브리지 분기에 2개의 공급 전위 중 하나의 공급 전위로 일정하게 인가되지 않는다.
기본적으로 전기 소자는 임의의 소자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기 소자로서 전기 모터가 선택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하프 브리지에서 중앙 탭에 의해 다른 하프 브리지 분기에 직렬 접속되는, 하프 브리지 내의 하프 브리지 분기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특히 컴퓨터 유닛은,
- 중앙 탭에 대향 배치된 전기 공급 전위를 미리 정해진 시간 곡선에 따라 다른 하프 브리지 분기에서 중앙 탭에 인가하도록, 및
- 미리 정해진 시간 곡선과 중앙 탭에서의 전기 출력 전위의 비교에 기초해서 하프 브리지 분기를 모니터링하도록 설계된다.
제시된 장치는, 제시된 방법들 중 하나의 방법을 종속 청구항에 따라 실시할 수 있도록 임의로 확장 가능하다.
본 발명의 개선예에서 제시된 장치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 경우 제시된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형태로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메모리로부터 프로세스 내로 로딩될 때,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전기 모터의 전기 에너지의 공급을 위한 전력 변환기는 전기 모터에 의해 서로 접속된 중앙 탭들을 가진 제 1 하프 브리지와 적어도 하나의 제 2 하프 브리지로 이루어진 병렬 회로, 및 하프 브리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상기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차량용 구동 장치는 차량의 부재의 이동을 위한 전기 모터 및 상기 전력 변환기를 포함한다. 이동될 부재는 차량에서 임의로, 예를 들어 휠, 윈드실드 와이퍼 또는 차량의 객실의 장치 부재, 예컨대 실내 거울, 백미러 또는 차량 시트로서 형성될 수 있으므로, 구동 장치는 차량 추진 장치로서, 윈드실드 와이퍼 구동 장치로서 또는 조절 구동 장치로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 구동 장치는 차량의 윈도우를 이동시키기 위한 윈도우 리프트 장치로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방법의 모든 단계들을 실시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전자 메모리 매체에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전자 제어부는 상기 전자 메모리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하기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설명된다.
도 1은 윈도우 리프트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도 1의 윈도우 리프트 장치의 전기 모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들은 동일한 도면부호로 표시되고 한 번만 설명된다.
도 1은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차량의 측면 도어(4) 내의 윈도우 리프트 장치(2)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윈도우 리프트 장치(2)는 창유리(6) 형태의 이동 부재를 프레임(8) 내에서 상승 및 하향 이동시켜 윈도우 개방부(10)의 크기를 조절한다. 창유리(6)는 전기 모터(12)에 의해 이동되고, 상기 전기 모터는 조작 장치(14)에 의해 시동 신호(15)를 이용해서 스위치 온 및 오프된다. 전기 모터(12)로부터 이동될 창유리(6)로 힘 전달은 케이블(16)을 통해 이루어진다.
전기 모터(12)는 이 경우 제어장치(18)에 의해 제어되고, 이는 도 2를 참고로 상세히 설명된다.
제어장치(18)는 이 실시예에서 전력 변환기(20)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변환기는 하기에서 PWM 유닛(22)이라고도 하는 펄스폭 변조 유닛(22)에 의해 제어되어 당업자에게 공개된 방식으로 직류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한다. PWM 유닛(22)은 이 경우 조작 장치(14)에 의해 스위치 온 및 오프될 수 있다. 직류 전압은 이 실시예에서 상응하게 작동 전압(24) 및 접지(26)로서 형성된 제 1 공급 전위(24)와 제 2 공급 전위(26) 사이에서 탭된다. 교류 전압은 2개의 하프 브리지(32, 34)의 중앙 탭(28, 30) 사이에서 탭되고, 상기 하프 브리지의 해당하는 하프 브리지 분기들은 PWM 유닛(22)에 의해 제어되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36, 38, 40, 42)로서 형성된다.
실시예는 하기에서 PWM 유닛(22)에 의한 제 1 하프 브리지(32)의 작동 전압측 전계효과 트랜지스터(36) 및 제 2 하프 브리지(34)의 접지측 전계효과 트랜지스터(42)의 제어를 참고로 설명된다. 이 실시예에서 PWM 유닛(22)은 이를 위해 제 1 하프 브리지(32)의 작동 전압측 전계효과 트랜지스터(36)에 제 1 제어 신호(44)를 출력하고, 제 2 하프 브리지(34)의 접지측 전계효과 트랜지스터(42)에 제 2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제 2 제어 신호(44)는 PWM 유닛(22)에 의해 미리 정해진 직류 전압 형태(48)를 갖고, 따라서 제 2 하프 브리지측(34)의 접지측 전계효과 트랜지스터(42)는 정적으로 스위치 온되고, 전기 모터(12)는 제 2 하프 브리지(34)의 접지측 전계효과 트랜지스터(42)에 의해 지속적으로 접지 전위(26)에 접속된다.
제 1 제어 신호(44)는 PWM 유닛(22)에 의해 미리 정해진 교류 전압 형태(50)를 갖고, 따라서 제 1 하프 브리지(32)의 중앙 탭(30)에서 특정한 출력 전위 곡선을 생성하기 위해, 제 1 하프 브리지(32)의 작동 전압측 전계효과 트랜지스터(36)는 당업자에게 공개된 방식으로 클록 제어된다. 따라서 전기 모터(12)에 의해 이러한 특정한 출력 전위 곡선이 하강하고, 전기 모터를 예를 들어 좌회전 구동한다. 당업자에게 공개된 방식으로 진성 프리휠링 다이오드를 조정하고 손실 전력을 낮추기 위해, 추가로 제 1 하프 브리지(32)의 접지측 전계효과 트랜지스터(38)는 도시되지 않은 방식으로 제 1 하프 브리지(32)의 작동 전압측 전계효과 트랜지스터(36)와 정반대로 클록 제어될 수도 있다.
제 1 하프 브리지(32)의 접지측 전계효과 트랜지스터(38)가 결함으로 인해 단락되면, 제 1 하프 브리지(32)의 작동 전압측 전계효과 트랜지스터(36)에 의해 생성된, 제 1 하프 브리지(32)의 중앙 탭(30)에서의 출력 전위는 제 1 하프 브리지(32)를 통과하는 단락 전류를 야기하고, 상기 단락 전류는 경우에 따라서 제 1 하프 브리지(32)의 작동 전압측 전계효과 트랜지스터(36)도 손상실킬 수 있거나 심지어 파괴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범위에서, 제 1 하프 브리지(32)의 중앙 탭(30)의 출력 전위는 제 1 제어 신호(44)에 기초해서 타당성 검사되는데, 그 이유는 제 1 하프 브리지(32)의 중앙 탭(30)에서의 출력 전위가 시간에 걸쳐 제 1 제어 신호(44)와 동일한 형태를 갖기 때문이고, 제 1 하프 브리지의 접지측 전계효과 트랜지스터(38)의 불완전한 단락에 의해 접지(26)에 지속적으로 인가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 1 하프 브리지(32)의 중앙 탭(30)의 출력 전위(52)는 보호 저항(54)을 통해 모니터링 장치(56)에 안내되고,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타이머(60)에 의해 미리 정해진 시간 주기(62) 동안 제 1 카운터(58)에 의해 출력 전위(52) 내의 펄스를 카운트 한다. 동일하게, 제 1 제어 신호(44) 내의 펄스는 제 2 카운터(64)에 의해 시간 주기(62) 동안 카운트 된다. 시간 주기(62) 동안 출력 전위(52)의 제 1 펄스 개수(66)가 제어 신호(44)의 제 2 펄스 개수(58)와 같을 때만, 제 1 하프 브리지(32)의 접지측 전계효과 트랜지스터(38)는 단락되지 않는다. 다른 경우에, 2개의 펄스 개수(66, 68)의 비교(70)가 펄스 개수 차(66, 68)를 야기하면, 상기 차이에 기초해서 PWM 유닛(22) 및 전력 변환기(20)가 스위치 오프될 수 있다.
제 1 하프 브리지(32)의 작동 전압측 전계효과 트랜지스터(36) 대신, 제 2 하프 브리지(34)의 접지측 전계효과 트랜지스터(42)가 클록 제어되면, 제 2 하프 브리지(34)의 작동 전압측 전계효과 트랜지스터(40) 내의 단락이 제 2 하프 브리지(34)의 중앙 탭(28)을 지속적으로 작동 전압(24)의 전위와 접속하고, 또한 이제 제 2 제어 신호(46) 내의 제 2 펄스 개수(68)와 다를 수 있는 제 1 펄스 개수(66)를 야기한다. 따라서 각각의 개별 전계효과 트랜지스터(36, 38, 40, 42) 내의 단락이 발견될 수 있고, 이 경우 도 2에 파선으로 도시된 라인은 따라서 PWM 유닛(22)을 향한 필수 제어 라인과 모니터링 장치(56)를 향한 접지 라인이고, 상기 라인들은 명료함을 위해 완전히 도시되지 않는다.
이 실시예는 전력 변환기(20)로서 2상 인버터를 참고로 설명된다. 그러나 간단하게 임의의 다상 전력 변환기로 확장 가능하다.
2 윈도우 리프트 장치
6 창유리
18 제어장치
30 중앙 탭
32 하프 브리지
36 다른 하프 브리지 분기
38 하프 브리지 분기

Claims (11)

  1. 하프 브리지(32)에서 중앙 탭(30)에 의해 다른 하프 브리지 분기(36)에 직렬 접속되는, 상기 하프 브리지(32) 내 하프 브리지 분기(38)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상기 중앙 탭(30)에 대향 배치된 전기 공급 전위(24)를 미리 정해진 시간 곡선(50)에 따라 상기 다른 하프 브리지 분기(36)에서 상기 중앙 탭(30)에 인가하는 단계, 및
    -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곡선(50)과 상기 중앙 탭(30)에서의 전기 출력 전위(52)의 비교(70)에 기초해서 상기 하프 브리지 분기(38)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곡선(50)은 펄스폭 변조에 의해 미리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곡선(50)과 상기 출력 전위(52)의 비교(70)를 위해 상기 출력 전위(52)의 펄스폭 변조의 특성이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폭 변조의 특성은 상기 펄스폭 변조의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시간(62) 동안 상기 출력 전위(52)의 펄스의 개수(66)를 카운트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곡선(50)과 상기 출력 전위(52)의 비교(70)를 위해 펄스 개수(66)는 상기 펄스폭 변조의 주파수와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62)의 적(68)과 비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전기 소자(12)에 의해 서로 접속되는 중앙 탭들(28, 30)을 가진 제 1 하프 브리지(32)와 적어도 하나의 제 2 하프 브리지(34)로 이루어진 병렬 회로(20)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은,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으로 상기 하프 브리지들(32, 34)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 미리 정해진 시간 곡선(50)과 전기 출력 전위(52)의 비교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할 때, 모든 하프 브리지 분기(36, 38, 40, 42)를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하프 브리지(32)에서 중앙 탭(30)에 의해 다른 하프 브리지 분기(36)에 직렬 접속되는, 하프 브리지(32) 내의 하프 브리지 분기(38)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56), 특히 컴퓨터 유닛으로서, 상기 장치(56)는
    - 상기 중앙 탭(30)에 대향 배치된 전기 공급 전위(24)를 미리 정해진 시간 곡선(50)에 따라 상기 다른 하프 브리지 분기(36)에서 상기 중앙 탭(30)에 인가하도록 및
    -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곡선(50)과 상기 중앙 탭(30)에서의 전기 출력 전위(52)의 비교(70)에 기초해서 상기 하프 브리지 분기(38)를 모니터링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전기 모터(12)의 전기 에너지 공급을 위한 전력 변환기(20)로서,
    - 상기 전기 모터(12)에 의해 서로 접속 가능한 중앙 탭들(28, 30)을 가진 제 1 하프 브리지(32)와 적어도 하나의 제 2 하프 브리지(34)로 이루어진 병렬 회로, 및
    - 상기 하프 브리지(32, 34)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제 7 항에 따른 장치(56)를 포함하는 전력 변환기.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모든 단계들을 실시하도록 설계된 컴퓨터 프로그램.
  10. 제 9 항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전자 메모리 매체.
  11. 제 10 항에 따른 전자 메모리 매체를 포함하는 전자 제어부.
KR1020157016090A 2012-12-20 2013-12-06 하프 브리지 내의 하프 브리지 분기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KR201501006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223877.8A DE102012223877A1 (de) 2012-12-20 2012-12-20 Verfahren zum Überwachen eines Halbbrückenzweiges in einer Halbbrücke
DE102012223877.8 2012-12-20
PCT/EP2013/075786 WO2014095422A2 (de) 2012-12-20 2013-12-06 Verfahren zum überwachen eines halbbrückenzweiges in einer halbbrück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0668A true KR20150100668A (ko) 2015-09-02

Family

ID=49779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6090A KR20150100668A (ko) 2012-12-20 2013-12-06 하프 브리지 내의 하프 브리지 분기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562940B2 (ko)
EP (1) EP2936667B1 (ko)
JP (1) JP2016500507A (ko)
KR (1) KR20150100668A (ko)
CN (1) CN104854783B (ko)
DE (1) DE102012223877A1 (ko)
WO (1) WO201409542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03695B2 (ja) * 2017-09-15 2019-11-06 矢崎総業株式会社 異常検出装置
DE102020201657A1 (de) * 2020-02-11 2021-08-12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Anordnung, Kraf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10338C2 (de) 1980-03-18 1985-12-05 Brown, Boveri & Cie Ag, 6800 Mannheim Einrichtung zum Schutz eines Stromrichters
DE4209167A1 (de) 1992-03-20 1993-09-23 Siemens Ag Schalt- und ueberwachungseinheit fuer elektrische antriebe
TW266383B (en) * 1994-07-19 1995-12-21 Siemens Ag Method of starting at least one fluorescent lamp by an electronic ballast and the electronic ballast used therefor
JP3812720B2 (ja) * 2000-10-30 2006-08-23 オムロン株式会社 モータ制御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DE10323908A1 (de) 2003-05-23 2004-12-23 Siemens Ag Verfahren und Anordnung zur Überwachung einer Leistungsendstufe
WO2006136507A2 (de) 2005-06-20 2006-12-28 Siemens Vdo Automotive Ag Verfahren und anordnung zur überwachung von signalen
JP2011211799A (ja) * 2010-03-29 2011-10-20 Panasonic Corp モータ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95422A3 (de) 2014-11-27
EP2936667A2 (de) 2015-10-28
CN104854783A (zh) 2015-08-19
US20150331032A1 (en) 2015-11-19
US9562940B2 (en) 2017-02-07
WO2014095422A2 (de) 2014-06-26
JP2016500507A (ja) 2016-01-12
EP2936667B1 (de) 2022-08-03
DE102012223877A1 (de) 2014-06-26
CN104854783B (zh) 2017-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7321B2 (en) Electronic control unit and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ame
KR101735171B1 (ko) 인버터 장치 및 파워 스티어링 장치
EP2764594B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ntladen eines kondensators eines wechselrichters
EP3306813B1 (en) Power conversion device
US20160028342A1 (en) Electric motor drive device
US11063422B2 (en) Power semiconductor module and power converter
US20150280609A1 (en) Load driving device
US9065275B2 (en) Driving circuit for an electric motor
CN102893524A (zh) 短路保护方法
US8994317B2 (en) Output control apparatus for electric mo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of electric motor
CN110231560B (zh) 电感负载控制设备
US20190207508A1 (en) Inverter device
EP3058652B1 (de) Steuergerät mit sicherheitsabschaltung
KR20150034709A (ko) 파워 출력단 및 작동 방법
EP1610453B1 (en) Inverter device
KR20150100668A (ko) 하프 브리지 내의 하프 브리지 분기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EP3419163A1 (en) Detection apparatus
WO2015064003A1 (ja) 車両用開閉体の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該制御装置を備えた車両用開閉体
EP3457553A1 (en) Inverter for an electric vehicle,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an inverter
US10404202B2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148078A1 (en) Integrated circuit for driving a solenoid
DE102016220893A1 (de) Verfahren zum Betrieb eines Stromrichters, Stromrichter und elektrisches Antriebssystem mit einem Stromrichter
CN211808974U (zh) 一种智能玻璃控制装置
KR20110127841A (ko) 전자 제어기 보호회로
JP6156121B2 (ja) 電力変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