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0452A - 고광도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고광도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0452A
KR20150100452A KR1020140069817A KR20140069817A KR20150100452A KR 20150100452 A KR20150100452 A KR 20150100452A KR 1020140069817 A KR1020140069817 A KR 1020140069817A KR 20140069817 A KR20140069817 A KR 20140069817A KR 20150100452 A KR20150100452 A KR 20150100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herical
screen
display device
image
reflec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9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해용
Original Assignee
최해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해용 filed Critical 최해용
Priority to KR1020140169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0477A/ko
Priority to KR1020140186771A priority patent/KR102028462B1/ko
Publication of KR20150100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04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2Translucent scre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1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for improving the contrast of the display / brillance control visibil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 내부 상단에 구면 반투명경을 구비하고 그 하단에 프로젝터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프로젝터 유닛 전방에 구면 반사 스크린을 구비하되, 프로젝터 유닛의 투사거리와 구면반사스크린의 초점거리가 일치하게 구성하고 구면 반사스크린 전면에 구면반투명을 구비하되 구면반사스크린과 구면반투명경의 간격은 구면반투명경의 초점거리 위치에 구비하고, 구면 반투명경 이면에는 외광은 차단하고 내부에서 외부로 보는 시야는 80%이상 투과하는 차단 필름을 결합하여 종래 구조 대비 영상의 밝기를 2배~320배의 밝기로 증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광도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Description

고광도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HIGH BRIGHTNESS HEAD-UP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주로 자동차 운전석 전면에 구비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영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로젝터 전면에는 영상의 핫스팟 현상이 소거되면서 고광도의 밝기를 나타내는 구면곡율을 갖는 반사 스크린을 구비하고 내부에서 외부는 보이고 햇빛 등 외광은 차단하는 차단 필름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종래 한국 특허 10-1319587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이 프로젝션 유닛(200)을 곡면(曲面)으로 구성된 컴바이너(100)에 투사하고 이를 자동차 전면 윈도우에 잔상을 반사시키는 구조가 있으나 컴바이너(100)를 곡면으로 하고 프로젝션 유닛(200)을 모니터로 할 경우 컨바이너(100)의 구조는 일부는 투과하고 일부를 반사하는 하프밀러 구조로 하거나 프로젝션 유닛(200)을 프로젝터로 사용할 경우는 컴바이너(100)는 일반스크린으로 구성하고 일반스크린에 결상된 영상을 자동차 전면 윈도우에 반사시키는 구조가 공지되어 있다.
대한민국출원번호 10-2007-017456 및 출원번호 10-1990-0013480 등의 공지된 기술및 10-2008-0001688. 10-1989-0012409. 10-2008-0070015. 10-2006-0040622. 10-2008-0103695 호 등은 주로 모니터의 영상을 유리윈도우에 반사시켜 그 잔상(殘像)을 관측하는 구조로서 영상에 대한 특별한 집광구조 또는 외광 차단 기능이 없어서 영상 자체가 흐려서 실용화 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출원번호 특허 10-2007-017456 대한민국 출원번호 특허 10-1990-0013480 대한민국 출원번호 특허10-2008-0001688. 대한민국 출원번호 특허 10-1989-0012409. 대한민국 출원번호 특허10-2008-0070015. 대한민국 출원번호 특허 10-2006-0040622. 대한민국 출원번호 특허10-2008-0103695.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는 투명한 유리창 구조에 영상을 반사시켜 그 잔상을 시청하는 구조는 낮에 운전 시 햇빛이 직접 조사하거나 외부가 밝을 시 그 밝기가 저하되어 시청이 매우 어렵게 되어 사실상 사용이 불가능해진다.
또한 도1과 같이 프로젝터 전단에 일반 스크린 과 50%투과 50%반사하는 하프밀러 구조의 구면경 구조로만으로는 이 역시 밝기가 충분하지 않아 낮에 사용이 불가능 하다
일반 반사스크린의 경우 반사율이 높아지면 화면의 일부만 밝게 보이는 핫스팟 현상이 발생하여 반사율을 2%이상 올릴 수가 없다
이러한 2%의 밝기를 하프밀러에서 또 한번 50% 낮추어 1%의 밝기로 시청하게 되고 이마저 외부에서 햇빛 등 외광이 입사할 시 영상이 보이지 않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가장 큰 기술적 과제는 외부로부터 입사하는 햇빛, 외광으로부터 얼마만큼 영상의 밝기를 증대 할 수 있는지가 중요한 기술적 관건 된다.
본 발명에서는 스크린의 구조를 컨카아브 형태의 구면(球面)반사스크린 구조로 하되 프로젝터유닛의 투사거리와 구면반사스크린의 초점거리를 일치하게 구면곡률을 구성하되 그 표면의 반사율은 2~80%까지 집광반사하는 렌즈 작용을 하는 스크린으로 구성한다.
또 하나의 방법은 내부에서 외부로는 투과하고 외광은 흡수 또는 반사하여 차단하는 차단필름을 결합 구성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반사율 2-80%의 고광도를 갖는 컨케이브 구조의 구면 반사스크린은 종래 1%의 반사율 대비 2배-80배의 밝기로 영상의 밝기를 증대하면서 프로젝터 유닛의 투사거리와 컨케이브의 구면 곡률(R)이 갖는 구면반사스크린의 초점거리가 일치하여 핫스팟이 없는 균일한 밝기로 영상을 구현한다.
또한 차단필름(4)은 도6과 같이 경사각(∠A)으로 사각 설치시 설치 각도 기준 하여 외광차단면(X)은 평행이 되고 이 부분은 암색 또는 반사면으로 되어있어 자동차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외광(c)을 흡수하거나 반사하고 내부의 운전자의 시각(d)은 상기 경사각(∠A)에 의해 평행이 되므로 그대로 통과하므로 외부를 관측하게 된다.
따라서 하프밀러 이면에 구비되는 외광차단 필름은 외부에서 들어오는 빛은 차단하고 내부에서 외부로 보는 외부 전경은 50% 이상 투과 하므로 종래 대비 4배 이상의 영상 밝기를 증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구조 대비 상기 구면반사스크린에서 2-80배. 차단필름에서 4배, 이를 결합 구성시는 8-320배의 고광도 밝기를 실현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사용시 설명도
도2는 본 발명의 작용설명도
도3은 본 발명의 광학적 구성 설명도
도4는 구면반사스크린의 표면반사율
도5는 구면반사스크린과 구면반사스크린 이면에 결합된 차단필름에 대한 설명도
도6은 별도 구비된 차단필름과 차단필름에 대한 설명도
도7은 차량 윈도우에 부착된 차단 필름에 대한 설명도
도8은 차량에 구비된 망원경 적외선 카메라 및 후방카메라 구성에 대한 설명도
도1 및 도2와 같이 자동차(7) 대시 보드 상면, 차량 윈도우(8) 전면에 프로젝터 유닛(1)을 하부에 구비하고, 그 상단에 구면 일부는 투과하고 일부는 반사하는 구면반투명경(3)을 구비하고, 상기 프로젝터 유닛(1) 전면에 구면 반사 스크린(2)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프로젝터 유닛(1)과 구면 반투명경(3) 및 구면반사스크린(2)은 하나의 케이스 (5)내부에 고정하여 각 구성간의 광학적 간격과 구조를 유지한다.
즉, 도3과 같이 프로젝터 유닛(1)의 투사렌즈부터 구면 반사 스크린(2)이 갖는 투사거리(D1) (이하:D1이라 한다)와 구면 반사스크린(2)의 구면곡률 반경(R1) (이하 R1이라 한다) R1=2 X D1으로 구성한다.
또한 구면반사스크린(2)과 구면반투명(3)의 간격 D2(이하D2라 한다)의 구성은 D= R2/2 로 한다.
이와 같은 이유는 구면곡률 (R)이 갖는 초점거리 F=R/2 이므로 각각이므로 구면 반사스크린의 위치 구면 반투명경(3)이 갖는 초점 위치에 구면 반사스크린을 구비하고 구면 반사스크린과 프로젝터유닛(1)의 투사거리 D1을 일치하게 하기 위함이다
즉, 프로젝터 유닛(1)의 투사거리 D1과 구면반사스크린(2)이 갖는 곡률 R1 이 갖는 초점거리가 일치하고 구면반사 스크린(2)과 구면반투명(3)이 갖는 간격은 구면 반투명(3)이 갖는 곡률(R2)의 초점거리와 일치하게 한다.
예를 들면 D1 = 100m/m
D2 = 120m/m
R1 = 200m/m
R2 = 240m/m로 구성 한다.
그러나 상기의 지수는 구면 반사스크린(2)의 반사율이 100%일 경우를 가정한 것이고 구면반사스크린(2)의 반사율이 2% 일때는 프로젝터 유닛(1)의 투사거리D1과 구면반사스크린(2)의 곡률 R1이 갖는 초점거리가 일치되는 오차범위는 약 30%까지 가능하다.
즉 반사율 2%일때는 핫스팟 현상이 시각적으로 거슬리지 않으나 구면반사스크린(2)의 반사율이 80% 일때는 그만큼 정밀해야 핫스팟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그 오차범위가 5% 이내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프로젝터 유닛(1)의 투사거리 D1과 구면반사스크린(2)의 곡률 R1에 의한 초점거리 오차 범위는 30% 까지로 한다.
이러한 광학적 구조는 프로젝터 유닛(1)에서 구면반사 스크린(2)으로 투사되는 영상은 구면 반사스크린(2)에서 2~80%의 반사율로 반사하되 상기와 같이 높은 반사면임에도 핫 스팟 없이 화면이 균일한 밝기로 매우 밝은 영상이 시현된다.
또한 이와 같은 구면 반사 스크린(2)의 영상 위치가 구면반투명경(3)이 갖는 초점거리 위치에 위치하므로 구면 반투명경(3)은 초점거리 위치에 있는 상기 구면반사스크린(2)의 영상만 확대하고 초점거리를 벗어난 위치의 영상은 외부로 확산하므로 영상의 밝기가 증대하게 된다.
이러한 구면반투명경(3)의 반사율과 투과율은 각각 50%:50%를 기준하여 용도에 따라 80% : 20% 또는 20% : 80% 까지 가감 조정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은 성능을 얻기 위해서는 구면반사스크린(2)의 표면반사율의 구성이 매우 중요하게 된다.
즉, 도4와 같이 스크린 재질은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실버 등 백색 계통의 재질로 하고 그 표면에 입자도(M)는 60매시에서 2,000매시 사이로 한다.
스크린 재질의 표면 경도에 따라 다르나 입자도(M)60~800매시의 반사율은 2-10%이고, 점차 비율대로 높아져 입자도(M) 800-1500매시의 반사율은 10%-40%, 입자도(M) 1,500~6,000매시는 40%-80%의 반사율을 갖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스크린의 표면 입자도는 영상의 해상도에 결정적 작용을 하나 반사율은 표면에 입자도 뿐만 아니라 표면의 반사면, 재질 경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를 감안하여 가감 결정한다
이와 같은 표면의 구성은 여러 재질로 구성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루미늄 호일 표면을 롤러로 압연할 시 롤러에 의해 그 표면의 반사율을 조정할 수 있으며, 스테인리스 등 금속 표면을 재질로 할 시는 상기 입자도(M)에 의한 매시(Mash)로 표면을 부식하는 방법으로 할 수 있다
.
스틸, 구리 , 합금을 스크린 표면으로 할 시는 표면 상기 입자도 를 표면 입자도(M) 로 구성하고 그 표면에 크롬, 실버 등 백색 계통으로 표면 처리한다.
또한 상기 구면반사스크린(2)은 금속을 가압하여 표면의 입자도를 적정한 반사율로 처리 한 다음 그 표면을 산화처리, 크롬 처리 등의 화학처리를 하거나 구면형태를 플라스틱으로 사출하고 그 표면을 적정한 반사율이 나오도록 표면처리 한 다음 알루미늄 진공 코팅처리를 하여 구성 할수 있다.
도5 와 같이 구면 반투명경(3) 이면에 구비된 차단 필름(4)의 구조는 운전자(6)가 구면 반투명경(3)을 통하여 외부시야(d)는 80% 이상 투과한다
즉 차단필름(4) 표면의 프리즘의 각도가 외부시야(d) 방향 대비 평행 방향으로 구비되고 차량의 외부 윈도우를 통해 구면반투명(3)으로 입사하는 외광(c)은 반사면(A)이 구비된 차단필름(4) 표면의 프리즘에 의해 반사되도록 되어 있어서 외광(c)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도1과 같이 반사율 2-80%의 구면 반사 스크린(2)의 구조를 구성 할 시 종래 1%의 반사율을 갖는 스크린 대비 2~ 80배의 밝기로 증대된다
도1의 구조에 도5와 같은 차단필름(4)를 구면 반투명경(3) 이면에 결합할 시 외광(c)은 차단되고 투과 광량은 80%이므로 영상의 밝기가 외광으로부터 4배 이상의 밝기로 증대된다.
도1과 같이 2-80%의 반사율을 갖는 구면반사스크린(2)과
외광은 차단하고 내부에서 외부는 50%이상 투과하는 차단 필름(4)이 결합된 구면 반투명경(3)으로 구성할 시 구면반사스크린(2)에서 80배, 구면 반투명경(3)에서 최대 8배 도합 최대 320배의 밝기 증대 효과를 기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차단필름(4)은 도5와 같이 구면 반사 스크린(2) 이면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도6과 같이 차단필름(4)을 별도의 각도 조정장치에 의해 별도로 구비하여 구면 반사스크린(2)과 외부에서 입사하는 외광대비 반사각이 맞지 않을 경우 별도로 차단필름(4)의 차단각도를 조정하여 사용할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5. 도6과 같이 차단필름(4)이 필요 경사각(∠A)으로 사각 설치시 설치 각도 기준 하여 외광차단면(X)은 평행이 되고 이 부분은 암색 또는 반사면으로 되어있어 자동차 외부로 들어오는 외광(c)을 흡수하거나 반사하고 내부의 운전자의 시각(d)은 상기 경사각(∠A)에 의해 평행이 되는 운전자의 시각(d)은 그대로 통과하므로 외부를 관측하게 된다.
즉 차단필름(4)의 외광차단면(x)이 필름 수평대비 30도 각도로 형성 되였다면 차단 필름(4) 도 30도 각도 사각으로 설치해야 한다
이러한 외광차단면(X) 의 형성 두께 또는 면적은 전체 면적대비 20%-50% 미만으로 형성 함으로서 상기 경사각(∠A)에 의한 일정 각도로 입사되는 외광은 50-80% 이상 흡수하고 내부에서 외부로 보는 외부 경관의 투과율은 50-80% 이상이 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차단필름(4)은 상기와 같이 고정된 경사각(∠A)으로 구성되어야 외광차단면(x)은 흡수되고 운전자의 시각(d)은 통과되므로 차단필름(4)의 경사각(∠A)이 중요 하다
따라서 도6과 같이 구면반투명경(3)이면에 본 차단필름(4)을 부착하면 구면반투명경(3)의 반사각도와 차단필름(x)의 설치각도가 다를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를 감안하여 그 이면에 차단필름(4)을 별도 회전 하게하여 차단필름(4)의 설치 각도를 고정 할수 있다
도 7과 같이 자동차 윈도우(8)는 그 경사각이 일정하므로 본 차단 필름을 본 발명의 이면 부분에 해당되는 자동차 윈도우(8)에 별도 부착 구성 사용 할수 있다
도8 처럼 자동차(7) 내부 운전석 상단에 망원렌즈 또는 적외선 카메라 CCTV 등의 카메라 (10)장치를 부착하고 필요에 따라 선택 관측 할 수 있다.
특히, 적외선 카메라 장치는 조명이 없는 야간 운전, 안갯속 운전 등에 매우 효율적이다.
또한 도7 처럼 자동차(7) 후방에 후방카메라(1)를 부착하여 후진 변환 할 시는 자동적으로 후방의 영상이 나타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의 고광도 헤드-업 디스플레이 구조는 물론 항공기. 선박용의 헤드업 디스플레이로도 사용할 수 있다.
1. 프로젝터 유닛 2. 구면반사 스크린, 3, 구면 반투명경. 4, 차단 필름. 5. 케이스.
6.운전자, 7. 차량. 8.윈도우 D1.투사거리. D2.초점거리 R1. 구면반사스크린의 구면 곡률 R2. 구면 반투명경의 곡률. A.반사면. B. 산란면 M;입자도
c.외광 d. 운전자 외부 투시각 e. 영상

Claims (5)

  1. 고광도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스크린 장치를 구면반사스크린(2)으로 구성하되
    프로젝터 유닛(1)의 투사거리(D1)와 구면 반사 스크린(2)의 곡률 (R)이 갖는 초점거리는 오차범위 30%이내에서 상호 일치하게 구성하고
    상기 구면 반사 스크린(2)이 갖는 표면의 반사율은 2%이상 80%미만의 반사면으로 구성하되 색상은 알루미늄, 스테인리스의 색상이 갖는 백색 반사면으로 구성한 것이 특징인 고광도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구면반사스크린(2)의 영상의 위치가 구면 반투명경(3)이 갖는 초점거리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광도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구면 반투명(3) 이면에 외광은 차단되고 내부에서 외부로는 투과되는 차단 필름(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광도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외광은 차단되고 내부에서 외부로는 투과되는 차단필름(4)이 구면 반투명경(3) 이면에 별도로 설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인 고광도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구면 반투명경(3)이 위치하는 자동차 유리창 윈도우(8) 면적에 외광은 차단되고 내부에서 외부로는 투과 되는 차단필름(4)이 구성되는 것이 특징인 고광도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0069817A 2014-02-25 2014-06-10 고광도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10045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494A KR20150100477A (ko) 2014-02-25 2014-12-01 고광도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0186771A KR102028462B1 (ko) 2014-02-25 2014-12-23 고광도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2150 2014-02-25
KR1020140022150 2014-02-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0452A true KR20150100452A (ko) 2015-09-02

Family

ID=5388205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9817A KR20150100452A (ko) 2014-02-25 2014-06-10 고광도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0169494A KR20150100477A (ko) 2014-02-25 2014-12-01 고광도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0186771A KR102028462B1 (ko) 2014-02-25 2014-12-23 고광도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9494A KR20150100477A (ko) 2014-02-25 2014-12-01 고광도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0186771A KR102028462B1 (ko) 2014-02-25 2014-12-23 고광도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835857B2 (ko)
JP (1) JP6641088B2 (ko)
KR (3) KR20150100452A (ko)
CN (1) CN104865703A (ko)
IN (1) IN2015DE003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970U (ko) * 2017-04-07 2018-10-17 이-리드 일렉트로닉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협각 확산 시트를 갖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82193B2 (ja) * 2014-07-28 2018-02-21 クラリオン株式会社 物体検出装置
CN105511079B (zh) * 2016-01-08 2018-11-20 北京乐驾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hud的侧向光路传播系统及方法
CN105527710B (zh) * 2016-01-08 2018-11-20 北京乐驾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抬头显示系统
US9535423B1 (en) * 2016-03-29 2017-01-03 Adasworks Kft. Autonomous vehicle with improved visual detection ability
KR101866049B1 (ko) * 2016-08-30 2018-06-11 (주)에이스테크 Hud용 휴대폰 케이스
CN106448339A (zh) * 2016-10-19 2017-02-22 华南理工大学 基于增强现实和生物反馈的驾驶培训系统
CN106873160A (zh) * 2017-02-28 2017-06-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车载抬头显示装置及汽车
JP6706802B2 (ja) * 2017-05-31 2020-06-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表示システム、電子ミラーシステム及びそれを備える移動体
JP2020140139A (ja) * 2019-02-28 2020-09-03 ソニー株式会社 頭部装着型ディスプレイ及び眼鏡
JP7476892B2 (ja) * 2019-06-06 2024-05-01 日本精機株式会社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KR20210143474A (ko) * 2020-05-20 2021-11-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외부광 차단 기능을 갖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CN117991506A (zh) * 2022-10-27 2024-05-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虚像显示设备和交通工具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41191A1 (fr) * 1978-11-07 1980-06-06 Thomson Csf Systeme de visualisation monte sur un casque
JPS6088925A (ja) * 1983-10-21 1985-05-18 Toyota Motor Corp ヘツドアツプデイスプレイ装置
JPS62157630U (ko) * 1986-03-29 1987-10-06
US5014346A (en) 1988-01-04 1991-05-07 Motorola, Inc. Rotatable contactless antenna coupler and antenna
JP2734054B2 (ja) 1989-02-03 1998-03-30 ソニ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のトラッキングエラー検出装置及びトラッキングエラー検出方法
JPH11167355A (ja) * 1997-12-03 1999-06-22 Kobe Kokusai Kaikan:Kk 画像合成装置
JP2000039581A (ja) * 1998-07-22 2000-02-08 Asahi Glass Co Ltd 情報表示装置
KR200190499Y1 (ko) * 1999-11-12 2000-08-01 최해용 초점투사용 반사구면스크린
KR100440498B1 (ko) * 2001-08-21 2004-07-15 최해용 광시야 고휘도 영상 시스템(廣視野 高輝度 映像係)
KR100576612B1 (ko) * 2003-05-31 2006-05-04 최해용 표면 반사형 불연재 금속 스크린 및 동 스크린의 제조방법
KR20070017456A (ko) 2004-05-19 2007-02-12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콘텐츠 데이터 재생장치
US7355796B2 (en) * 2004-07-19 2008-04-08 Colorlink, Inc. Automobile windshield for HUD system
DE102005012011A1 (de) * 2005-03-16 2006-09-28 Carl Zeiss Jena Gmbh Projektionseinheit für ein Head-Up-Display
US7732202B2 (en) 2005-10-21 2010-06-08 International Stem Cell Corporation Oxygen tension for the parthenogenic activation of human oocytes for the production of human embryonic stem cells
KR20060040622A (ko) 2006-04-07 2006-05-10 김인숙 유리창 프레임의 절곡 안내홈 성형장치
JP4895324B2 (ja) * 2006-11-27 2012-03-14 日本精機株式会社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8262039A (ja) * 2007-04-12 2008-10-30 Nippon Seiki Co Ltd 発光装置
KR20080103695A (ko) 2007-05-25 2008-11-28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엠보 무늬가 인날된 투습방수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방법
US7952059B2 (en) * 2007-06-13 2011-05-31 Eyes Of God, Inc. Viewing system for augmented reality head mounted display with rotationally symmetric aspheric lenses
KR20080001688A (ko) 2007-10-31 2008-01-03 주식회사 골든오일 잔여 티켓 판매 장치
JP2009128565A (ja) * 2007-11-22 2009-06-11 Toshiba Corp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JP2009150947A (ja) * 2007-12-19 2009-07-09 Hitachi Ltd 車両用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5392613B2 (ja) * 2009-09-28 2014-01-22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JP5370427B2 (ja) * 2011-07-24 2013-12-18 株式会社デンソー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3205649A (ja) * 2012-03-28 2013-10-07 Toshiba Corp 表示装置
KR101319587B1 (ko) 2012-04-17 2013-10-16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US8570651B1 (en) * 2012-06-04 2013-10-29 Hae-Yong Choi Both side screen for combined use of 2D/3D images
CN102745084A (zh) * 2012-07-04 2012-10-24 浙江工业大学 多信息显示的车用抬头显示装置
JP2014026244A (ja) * 2012-07-30 2014-02-06 Jvc Kenwood Corp 表示装置
US20150293355A1 (en) * 2012-10-10 2015-10-15 Renault S.A.S. Head-up display device and method
JP5851979B2 (ja) * 2012-12-26 2016-02-0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US9164281B2 (en) * 2013-03-15 2015-10-20 Honda Motor Co., Ltd. Volumetric heads-up display with dynamic focal plane
TWI541543B (zh) * 2013-10-21 2016-07-1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分光模組及應用其之投影裝置
JP6369017B2 (ja) * 2013-12-03 2018-08-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虚像表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970U (ko) * 2017-04-07 2018-10-17 이-리드 일렉트로닉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협각 확산 시트를 갖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172734A (ja) 2015-10-01
KR20150100479A (ko) 2015-09-02
KR20150100477A (ko) 2015-09-02
US9835857B2 (en) 2017-12-05
CN104865703A (zh) 2015-08-26
US20150241694A1 (en) 2015-08-27
JP6641088B2 (ja) 2020-02-05
KR102028462B1 (ko) 2019-11-04
IN2015DE00345A (ko) 2015-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00452A (ko) 고광도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CN104554004B (zh) 一种抬头数字显示系统
CN101512433B (zh) 高对比度投影屏
US9791697B2 (en) Screen
CN104062839B (zh) 一种带正向投影光学屏幕的投影系统
US20110267702A1 (en) Head up display system
TW200500784A (en) Reflection type screen
DE112019005191T5 (de) Bildanzeigevorrichtung
US20160318448A1 (en) Blind spot assist device
CN206523704U (zh) 窄角扩散片抬头显示设备
CN1350191A (zh) 背投式显示装置及应用于它的透射型荧光屏
JP2018205446A (ja) 表示システム、電子ミラーシステム及びそれを備える移動体
KR101373313B1 (ko) 투과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JP2021177252A (ja) スクリーン及び映像表示システム
JP3210705U (ja) 狭隅角拡散片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
US11454930B2 (en) Holographic image display device
AU2003232465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an image
JP2018109687A (ja) 反射スクリーン、映像表示装置
CN108427192A (zh) 窄角扩散片抬头显示设备
US11202020B2 (en) Lens system for a camera objective, camera objective and method for producing a lens system
KR102413740B1 (ko)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WO2020226072A1 (ja) 表示システム、表示方法及び透明表示体
US10324288B2 (en) Vehicle display system absorbing ambient light
JP2007293171A (ja) 反射型プロジェクションスクリーンおよび映像表示装置
JP2006285096A (ja) 反射型投影システム、反射スクリー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