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0397A - 블랙박스 장치 - Google Patents

블랙박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0397A
KR20150100397A KR1020140022157A KR20140022157A KR20150100397A KR 20150100397 A KR20150100397 A KR 20150100397A KR 1020140022157 A KR1020140022157 A KR 1020140022157A KR 20140022157 A KR20140022157 A KR 20140022157A KR 20150100397 A KR20150100397 A KR 20150100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dule
black box
vehicle
cover member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2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천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2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0397A/ko
Publication of KR20150100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03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9/00Recording measured values
    • G01D9/005Solid-state data log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B60Y2400/3042Collision sensors

Abstract

제 1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장치는 충격센서와 동작 감지 센서가 설치되며, 내부 공간에 배터리와 메모리부가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카메라 모듈;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몸체를 내부 공간부에 설치하는 광투과성 재질의 커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랙박스 장치{Black box apparatus}
본 실시예는 블랙박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블랙박스 기술은 항공기 등과 같은 장비의 사고 시에 사고 원인을 밝혀내기 위해 고안된 것이나, 최근에는 교통사고의 증가와 함께 소형 카메라 모듈 및 이미지 저장의 기술의 발전에 의해 자동차나 자전거 등과 같은 개인용 탈것에도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개인용으로 사용되는 블랙박스 장치는 카메라 모듈과 저장유닛 및 전원부로 구성되어, 전방 주시를 위해 차량의 전면 유리 등에 설치되거나, 전방 및 후방 촬영을 위해 전면과 후면 유리 등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만일, 좌측 또는 우측 영상을 촬영하고자 한다면, 각 측면에 별도의 블랙박스 장치를 설치하면 된다.
이와 같이 블랙박스 장치는 설치된 후에는 블랙박스 장치에 마련된 카메라 모듈의 화각 내의 영상만을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위치의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복수 개의 블랙박스 장치를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전후 좌우의 화면을 모두 촬영할 경우, 총 4개의 카메라 모듈과 이들의 영상 처리를 위한 센터박스와 같은 별도의 제어유닛을 구비해야 하므로 장치 가격이 비싸지며, 저장 영상의 증가로 인해 메모리 장치의 용량을 크게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실시예는 1개의 카메라 모듈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블랙박스 장치를 제공한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장치는 충격센서와 동작 감지 센서가 설치되며, 내부 공간에 배터리와 메모리부가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카메라 모듈;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몸체를 내부 공간부에 설치하는 광투과성 재질의 커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장치는 충격센서와 동작 감지 센서가 설치되며, 내부 공간에 배터리와 메모리부가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되는 카메라 모듈; 상기 몸체의 중심에 동축 적으로 연결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회전 시키는 구동모듈; 및 상기 몸체를 내부 공간부에 설치하는 광투과성 재질의 커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장치는 충격센서와 동작 감지 센서가 설치되며, 내부 공간에 배터리와 메모리부가 설치되는 카메라 모듈이 설치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부를 설치 대상물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와 고정부는 서로 대응되는 지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블랙박스 장치는 차량 바깥쪽의 천장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차량 실내의 천장부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블랙박스 장치의 카메라 모듈을 회전 가능한 구조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에 의해 카메라 모듈을 회전시켜 원하는 위치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블랙박스용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후방 또는 측면의 사각 영상을 촬영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후방 카메라 모듈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후진 주차 시 후방 시야 및 주변의 사각지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수동으로 카메라 모듈의 촬영 방향을 조정할 수도 있고, 소정의 제어부에 의해 카메라 모듈의 촬영 방향을 제어할 수 있어, 기존의 블랙박스 장치와 비교할 때,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블랙박스 장치가 차량 외부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
도 4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
도 6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장치의 측면도, 그리고,
도 7은 블랙박스 장치가 차량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블랙박스 장치가 차량 외부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 도 4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 도 6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장치의 측면도, 그리고, 도 7은 블랙박스 장치가 차량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장치(100)는 원통형상의 몸체(110)와 카메라 모듈(111), 가이드 레일(112) 및 커버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10)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커버부재(120) 보다는 작은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몸체(110)의 내부에는 충격센서와 동작 감지 센서가 설치될 수 있으며, 내부 공간에 배터리와 메모리부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110)의 내부 공간은 기존의 블랙박스 장치들에 비해 넓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배터리를 구비하여, 외부 전원이 차단되었을 경우에도 수 분 내지 수십 분의 촬영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몸체(110)는 블랙박스 장치(100)의 고정 장소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과 같이 차량(10)에 설치될 경우 차량(10)의 외부 천장면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이때, 몸체(110)는 별도의 브라켓으로 고정될 수도 있고, 별도 브라켓 없이 직접 접착제 또는 나사 등과 같은 고정 수단을 통해 차량(10)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카메라 모듈(111)은 상기 몸체(11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 모듈(111)은 손떨림 기능을 포함하는 모바일 카메라 모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오토 포커싱 기능과 손떨림 보정 기능 모두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11)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기 몸체(110)의 외주면을 따라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화살표 A 방향은 상기 몸체(1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111)의 광축과 상기 중심축은 서로 수직일 수 있다.
가이드 레일(112)은 상기 카메라 모듈(111)을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 가이드 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의 중심 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111)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 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12)은 오목한 홈 또는 돌기로 구성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111)에 상보적인 형상을 마련하여, 카메라 모듈(111)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카메라 모듈(111)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 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것이든 가능하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카메라 모듈(111)을 화살표 A 방향으로 움직이기 위한 소정의 구동유닛이 마련될 수 있다. 이 구동유닛은 구동모터 등으로 마련하여, 구동모터의 회전 동작에 연동하여 카메라 모듈(111)을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예컨대, 구동모터의 출력축은 도 2에 도시된 몸체(110)의 중심 축과 동축이 되도록 배치하고, 이 출력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부재와 카메라 모듈(111)을 연결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출력축의 회전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111)은 가이드 레일(112)을 따라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110)의 상측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12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120)는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되어, 외부 오염물질의 진입을 차단함하고, 충격 등에 의해 카메라 모듈을 보호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외부 영상의 촬영을 위해 광투과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투명 수지 또는, 강화유리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카메라 모듈(111)과 대응되는 측벽만을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하고, 상부면 등은 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와 커버부재(120)는 차량(10)의 천장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몸체(110)와 커버부재(120)는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고, 카메라 모듈(111)만이 몸체(110)의 외주면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도 4 및 도 5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장치(100)는 원통형상의 몸체(110)와 카메라 모듈(111) 및 커버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10)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커버부재(120) 보다는 작은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몸체(110)의 내부에는 충격센서와 동작 감지 센서가 설치될 수 있으며, 내부 공간에 배터리와 메모리부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110)의 내부 공간은 기존의 블랙박스 장치들에 비해 넓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배터리를 구비하여, 외부 전원이 차단되었을 경우에도 수 분 내지 수십 분의 촬영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몸체(110)는 블랙박스 장치(100)의 고정 장소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과 같이 차량(10)에 설치될 경우 차량(10)의 외부 천장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때, 몸체(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중심축과 동축으로 배치되는 회전축(110a)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축(110a)은 구동모듈(110b)의 출력축으로 마련되어, 상기 구동모듈(110b)의 회전 동작에 연동하여 몸체(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카메라 모듈(111)은 상기 몸체(110)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 모듈(111)은 손떨림 기능을 포함하는 모바일 카메라 모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오토 포커싱 기능과 손떨림 보정 기능 모두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11)은 도 4 및 도 5과 같이 상기 몸체(110)의 A 방향 회전 동작에 연동하여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111)이 촬영하는 대상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화살표 A 방향은 상기 몸체(1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111)의 광축과 상기 중심축은 서로 수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110)의 상측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12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120)는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되어, 외부 오염물질의 진입을 차단함하고, 충격 등에 의해 카메라 모듈을 보호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외부 영상의 촬영을 위해 광투과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투명 수지 또는, 강화유리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카메라 모듈(111)과 대응되는 측벽만을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하고, 상부면 등은 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는 차량(10)의 천장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커버부재(120)는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고, 몸체(110)는 회전축(110a)의 회전에 따라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6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장치(1100)는 카메라 모듈(1111)이 설치되는 회전부(1112)와 고정부(111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1112)는 충격센서와 동작 감지 센서가 설치되며, 내부 공간에 배터리와 메모리부가 설치되는 카메라 모듈(1111)이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충격센서와 동작 감지 센서 등은 후술할 고정부(1113)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 모듈(1111)은 회전부(1112)의 측벽에 배치되고, 회전부(1112)의 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광축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113)는 상기 회전부(1112)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부(1112)를 설치 대상물에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1113)의 내부에는 구동모터 등과 같은 상기 회전부(1112)를 회전하기 위한 요소들이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 2 실시예의 회전축(110a)과 구동모듈(110b)과 같은 구성요소들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부(1112)와 고정부(1113)는 서로 대응되는 지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1112)의 상측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천장부가 마련되어, 비나 오물 등이 흘러내릴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장치(100)(1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의 천장면에 배치될 수도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 실내의 천장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즉, 도 7과 같이 차량(10)의 실내에 설치하더라도, 전방 및 후방, 그리고 좌우에는 유리창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외부 영상을 무리 없이 촬영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다른 블랙박스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한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장치(100)(1100)는 1개의 카메라 모듈(111)을 가지며, 이를 회전시켜 원하는 방향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즉, 평상시에는 운전자와 동일한 방향을 바라보도록 전방 주시 상태로 작동하다가, 운전자의 제어명령이나 소정의 제어 프로그램을 이용한 자동 방향제어를 통해 촬영하는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후방 주차를 운전자가 수행할 경우, 차량(10)의 천장면에 설치된 블랙박스 장치(100)는 운전자의 기어 변속 등을 감지하여, 후진 기어로 바뀌면, 이에 연동하여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하여 차량(10)의 후방을 향해 회전하여 후방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촬영된 이미지는 차량(10) 내부의 네비게이션 등에 출력될 수도 있고, 내부에 마련된 메모리부에 영상을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일반적으로 차량 후진 중에는 후방으로 움직이는 방향에서 다양한 사고가 발생할 수 있어 이를 기록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또한, 차량(10)이 좌회전 또는 우회전을 할 경우, 운전자의 방향 지시등 인가 동작 또는 핸들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상기 블랙박스 장치(100) 또한 차량(10)의 움직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10)이 좌회전을 할 때, 운전자가 핸들을 좌측으로 회전 시키면, 블랙박스 장치(100) 또한 핸들의 회전과 연동하여 촬영 중심을 차량(10)의 회전 방향 측으로 확장할 수 있다. 이 영상은 메모리부에 저장될 수도 있고, 네비게이션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차량의 좌회전 또는 우회전 시에 사각이 형성될 수도 있는 회전 방향 측의 사각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1개의 카메라 모듈(111)만으로도 다양한 위치, 또는 운전자가 원하는 위치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어, 기존의 다중 채널 블랙박스 장치에 비해 저렴하면서도 활용성은 향상 시킨 블랙박스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원통형의 몸체(110)의 내부 공간은 기존의 블랙박스들과 비교할 때, 체적을 크게 형성할 수 있어, 배터리 용량을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도 자체 배터리 전원으로 보다 긴 시간 동안 영상을 촬영할 수 있어, 사고 상황 파악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전방은 물론, 측면 및 후면 상황을 운전자의 조작 명령 또는 제어 프로그램을 이용한 자동 제어를 통해 촬영할 수 있기 때문에 충돌, 충격 등이 발생하였을 경우의 사고 원인 파악을 위한 블랙박스의 기본 기능과 함께, 사각 지역 파악 등과 같은 부가 기능을 부여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차량 100(1100); 블랙박스 장치
110; 몸체 110a; 회전축
110b; 구동모듈 111(1111); 카메라 모듈
112; 가이드 레일 120; 커버부재
1112; 회전부 1113; 고정부

Claims (7)

  1. 충격센서와 동작 감지 센서가 설치되며, 내부 공간에 배터리와 메모리부가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카메라 모듈;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몸체를 내부 공간부에 설치하는 광투과성 재질의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블랙박스 장치.
  2. 충격센서와 동작 감지 센서가 설치되며, 내부 공간에 배터리와 메모리부가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되는 카메라 모듈;
    상기 몸체의 중심에 동축 적으로 연결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회전 시키는 구동모듈; 및
    상기 몸체를 내부 공간부에 설치하는 광투과성 재질의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블랙박스 장치.
  3. 제 1 항 및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커버부재는 차량 바깥쪽의 천장부에 설치되는 블랙박스 장치.
  4. 제 1 항 및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커버부재는 차량 실내의 천장부에 설치되는 블랙박스 장치.
  5. 충격센서와 동작 감지 센서가 설치되며, 내부 공간에 배터리와 메모리부가 설치되는 카메라 모듈이 설치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부를 설치 대상물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와 고정부는 서로 대응되는 지름을 가지는 블랙박스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와 고정부는 차량 바깥쪽의 천장부에 설치되는 블랙박스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와 고정부는 차량 실내의 천장부에 설치되는 블랙박스 장치.
KR1020140022157A 2014-02-25 2014-02-25 블랙박스 장치 KR201501003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157A KR20150100397A (ko) 2014-02-25 2014-02-25 블랙박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157A KR20150100397A (ko) 2014-02-25 2014-02-25 블랙박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0397A true KR20150100397A (ko) 2015-09-02

Family

ID=54242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2157A KR20150100397A (ko) 2014-02-25 2014-02-25 블랙박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039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6039B2 (en) Front video camera module of vehicle
EP1922229B1 (en) Mounting construction for a facial image photographic camera
KR101842461B1 (ko) 상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메라 장치
US20180001836A1 (en) Inner rear-view mirror system for automobile with cameras
JP6627500B2 (ja) 車両用室内撮影装置
CN202815955U (zh) 后视镜行车记录仪
JP6627499B2 (ja) 車両用室内撮影装置
WO2018061680A1 (ja) 車両用視認装置
JP6363424B2 (ja) 後方視認装置
JP2015063190A (ja) 自動防眩装置
JP2016016834A (ja) ドライブレコーダ付きルームミラー
KR101941057B1 (ko) 다기능 adas 전방 카메라 장치
JP2003169233A (ja) 自動車装着用カメラ
KR101305279B1 (ko) 차량용 블랙박스의 조명장치
JP6552244B2 (ja) 車載機器
KR20150100397A (ko) 블랙박스 장치
JP6578167B2 (ja) 撮像装置
KR101997063B1 (ko)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JP2007106146A (ja) 車両前方及び周辺監視装置
KR100866774B1 (ko) 운전자 보조용 카메라 장치
JP2004001736A (ja) 車載用撮像装置
JP4231962B2 (ja) 車両用監視装置
KR102511624B1 (ko) 카메라 모듈
JP3281514B2 (ja) 車両用視認装置
KR101287858B1 (ko) 안전주차를 위한 카메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