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6934A - 가열조리장치 - Google Patents

가열조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6934A
KR20150096934A KR1020140017845A KR20140017845A KR20150096934A KR 20150096934 A KR20150096934 A KR 20150096934A KR 1020140017845 A KR1020140017845 A KR 1020140017845A KR 20140017845 A KR20140017845 A KR 20140017845A KR 20150096934 A KR20150096934 A KR 20150096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cooking space
space
cooking cavity
steam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7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8661B1 (ko
Inventor
박성준
Original Assignee
(주)두아스로다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두아스로다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두아스로다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40017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8661B1/ko
Publication of KR20150096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6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8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8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kers (AREA)

Abstract

가열조리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장치는 상부로 개방된 막대 모양의 조리공간; 상기 조리공간의 가열을 위한 히터; 둘레가 상기 조리공간 내벽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조리공간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압력조절부재; 상기 압력조절부재를 상기 조리공간 바닥 쪽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압력조절부재와 상기 조리공간 내벽 사이에 증기배출구멍이 형성되도록 상기 조리공간 내벽에 마련된 증기배출홈;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가열조리장치{heating cooker}
본 발명은 음식물을 막대 모양이 되도록 가열 조리하는 가열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핫바나 꼬치 등 막대형태로 성형되는 음식물은 이동 중에도 잡고 먹기가 편리하고, 별도의 용기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취식이 가능하여 바쁜 출근시간에 식사대용으로 활용되거나, 집에서 아이들 간식으로 이용되는 경우가 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음식물을 막대 형태로 간편하게 가열조리하기 위한 가열조리장치가 등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가열조리장치의 일례로 최근 “에그 쉐프(Egg Chef)”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는 것이 있다.
이러한 가열조리장치는 상부로 개방된 막대 모양의 조리공간이 히터에 의해 가열되도록 마련된 것으로, 조리공간에 날계란이나 어묵반죽과 같은 액상이나 반죽상태의 음식물을 투입하고 히터를 동작시킴에 따라, 가열조리되는 과정에서 음식물이 조리공간 형태에 대응하는 막대 모양으로 조리되면서 경화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가열조리장치의 경우, 음식물 조리시 조리공간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압에 적절히 대처할 수 없기 때문에, 조리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음식물이 조리공간 외부로 배출되거나, 음식물의 모양이 조리공간의 형태에 대응하여 일정하게 성형되도록 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 가열조리장치를 가지고 막대 형태의 음식물을 가열조리할 때, 조리자는 조리도중 수시로 별도의 가압도구를 가지고 조리공간 내부의 음식물을 조리공간 저부로 누르고 다지는 번거로운 과정을 반복해만 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가열조리 과정에서 음식물이 막대 형태로 성형되도록 마련된 것으로, 전반적인 조리과정이 자동적으로 수행되도록 함과 동시에 음식물의 모양이 조리공간의 형태에 대응하여 일정하게 성형되도록 마련된 가열조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부로 개방된 막대 모양의 조리공간; 상기 조리공간의 가열을 위한 히터; 둘레가 상기 조리공간 내벽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조리공간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압력조절부재; 상기 압력조절부재를 상기 조리공간 바닥 쪽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압력조절부재와 상기 조리공간 내벽 사이에 증기배출구멍이 형성되도록 상기 조리공간 내벽에 마련된 증기배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증기배출홈은 상기 조리공간의 상부 개구 쪽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증기배출홈은 상기 개구 양측에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된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증기배출홈은 상기 개구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증기배출홈은 상기 조리공간의 상하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열조리장치는 조리공간 바닥에 상기 조리공간 상부로 승강 가능하도록 마련된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를 승강시키도록 마련된 승강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조리장치는 상기 조리공간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마련된 덮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에는 상기 압력조절부재의 상하 슬라이딩 동작을 안내하기 위한 슬라이딩 안내유닛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조리공간은 하단이 폐쇄되고 상단이 개방된 금속재질의 조리용관 내부공간을 통해 마련되고, 상기 히터는 상기 조리용관 외면에 접하도록 상기 조리용관 둘레에 나선형태로 결합된 열선을 포함하며, 상기 열선은 상기 조리용관 외면과의 접촉면적이 증대되도록 다각형 모양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열조리장치는 막대 형태로 마련된 조리공간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압력조절부재가 음식물의 조리과정 중 조리공간의 압력변화에 대응하여 자동적으로 승강동작을 반복하면서 음식물을 조리공간 저부로 누르고 다지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액상이나 반죽상의 음식물을 가열 조리하여 막대 모양으로 성형시키는 과정이 거의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게 되어 조리자의 수작업 의존도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되며, 음식물의 모양을 조리공간의 형상에 대응하여 보다 일정하게 성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열조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열조리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열조리장치의 사시도로, 한 쪽 조리공간이 덮개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열조리장치의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조리공간을 개방하고 승강부재를 상부로 상승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열조리장치의 요부 평면도로도, 조리공간 쪽 구조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열조리장치의 요부 측단면도로, 조리공간 쪽 구조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기배출홈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열조리장치를 이용한 음식물의 조리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조리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본체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항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열조리장치는 박스형태로 마련된 본체(1)를 통해 외관을 이루며, 본체(1)의 상면 내측에는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된 막대 모양의 조리공간(11)을 형성하기 위한 조리용관(10)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조리공간(11)은 단면이 원형을 이루는 원기둥 모양으로 마련되지만, 이와 달리 조리공간(11) 및 이를 형성하는 조리용관(10)은 사각의 단면을 갖는 사각기둥이나, 삼각 단면의 삼각기둥 모양 등 막대 모양으로 보여 질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의 변형이 가능하다. 여기서 막대 모양은 길이방향을 따라 곧게 마련된 것은 물론, 다고 꺾여 있거나 표면에 굴곡을 갖는 것들을 포함한다.
조리용관(10)은 열전도율을 고려하여 알루미늄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조리공간(11)의 안쪽 면을 형성하는 조리용관(10) 내면에는 테프론과 같은 마찰저감소재가 코팅처리 될 수 있다. 조리공간(11)의 하단이 되는 조리용관(10)의 저부는 마개(21)를 통해 폐쇄된다.
본체(1) 상부에 조리공간(11)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조리용관(10)은 본체(1) 상부 내측에 상호 이격 배치된 복수개로 구성이 가능하다.
조리용관(10) 외면에는 조리공간(11)을 가열시키기 위한 히터(20)로써 열선이 설치될 수 있다. 열선은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발열하고, 인가된 전류량에 따라 발열세기가 달라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조리공간(11) 전체를 고르게 가열할 수 있도록 열선은 조리용관(10) 외면에 접하도록 나선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또 열선은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 모양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어 조리용관(10) 외면과의 접촉면적이 극대화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 전면에는 히터(20)로 인가되는 전원의 온/오프 동작과, 히터(20)의 발열정도나, 히터(20)의 발열시간 등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하기 위한 복수의 조절스위치(2a)들이 히터(20)의 발열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2b)와 함께 조리공간(11) 별로 구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조절스위치 중 일부는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발광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조리공간(11)의 입구 쪽 상부둘레에는 조리공간(11)으로 투입되는 음식물을 조리공간(11) 내부로 안내하기 위해 깔때기 모양의 가이드부(30)가 마련될 수 있으며, 가이드부(30) 둘레로 본체(1) 상부에는 조리공간(11)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덮개(40)가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부(30)는 조리용관(10)에 입구 둘레에 용접될 수 있으며, 가이드부(30) 상부 둘레에는 본체(1) 상면에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되도록 플랜지부(31)가 마련될 수 있다.
덮개(40)는 본체(1)에 힌지 결합된 후단을 기준으로 전후방으로 회동되면서 조리공간(11)을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덮개(40)의 전방의 본체(1)에는 조리공간(11)을 폐쇄시킨 상태로 덮개(40)를 본체(1)에 걸어 고정시키기 위한 잠금유닛(41)이 설치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42는 덮개(40)의 개폐동작시 손으로 잡기 위한 손잡이를 가리킨다.
따라서 이와 같은 가열조리장치를 이용할 경우, 조리공간(11)에 액상이나 반죽상태의 음식물을 넣고, 덮개(40)로 조리공간(11)을 폐쇄한 상태에서 히터(20)를 가동시키게 되면, 조리공간(11)의 음식물은 가열조리되는 과정에서 조리공간(11)의 형태에 대응하는 막대 모양으로 성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반적인 음식물 조리과정이 자동적으로 수행되도록 함과 동시에 음식물의 모양이 조리공간(11)의 형태에 대응하여 일정하게 성형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으로, 조리공간(11)에는 둘레가 상기 조리공간(11) 내벽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압력조절부재(50)가 설치되고, 압력조절부재(50)는 탄성부재(60)를 통해 조리공간(11) 바닥 쪽으로 탄성 지지되며, 조리공간(11) 내벽에는 압력조절부재(50)와 조리공간(11) 내벽 사이에 증기배출구멍이 형성되도록 증기배출홈(70)이 마련된다.
압력조절부재(50)는 조리공간(11)의 단면적 크기를 갖는 소정두께의 판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압력조절부재(50)의 중심에는 상부 쪽으로 가이드바(51)가 일체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바(51)는 덮개(40)에 형성된 체결공(4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바(51) 상단에는 가이드바(51)에 수직으로 걸림부(52)가 연장될 수 있으며, 가이드바(51) 둘레로 덮개(40) 상부에는 걸림부(52)의 슬라이딩 동작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관(53)이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관(53) 양측으로부터 걸림부(52) 양측이 끼워지도록 한 쌍의 가이드슬롯(53a)이 형성되며, 가이드관(53)의 상단에는 걸림부(52)를 걸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슬롯(53a)과 수직방향으로 걸림홈(53b)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바(51)가 가이드관(53)을 따라 슬라이딩 안내됨에 따라 압력조절부재(50)는 조리공간(11) 내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걸림부(52)를 걸림홈(53b)에 걸게 될 경우 압력조절부재(50)는 조리공간(11)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덮개(40)에 고정되며, 이 상태에서는 덮개(40)를 개방시켜도 압력조절부재(50)나 가이드바(51)가 조리공간(11)이나 가이드부(30)에 걸려 손상될 우려가 없게 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공(41)과, 가이드바(51)와, 가이드관(53) 등은 압력조절부재(50)의 상하 슬라이딩 동작을 안정적으로 안내하도록 덮개(40)에 설치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안내유닛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60)는 가이드바(51) 둘레에 끼워지는 코일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60)는 양단이 체결공(41) 쪽 덮개(40) 내면과 압력조절부재(50) 사이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압력조절부재(50)를 조리공간(11) 저부 쪽으로 탄성지지하게 된다.
평상시 압력조절부재(11)를 조리공간(11) 바닥쪽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60)는 음식물의 조리과정에서 조리공간(11) 내부 증기압력이 소정크기 이상으로 커지게 될 경우에는 압축되면서 압력조절부재(50)의 상승 동작을 허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증기배출홈(70)은 조리공간(11)의 상부 개구 쪽에 형성되어 압력조절부재(50)가 증기배출홈(70) 높이까지 상승된 상태에서 조리공간(11) 내부의 증기압이 조리공간(11) 상부로 배출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조리공간(11)의 압력이 압력조절부재(50)를 하부 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60)의 힘보다 작아지게 되면, 압력조절부재(50)는 탄성부재(60)의 누름력에 의해 다시 조리공간(11) 하부로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압력조절부재(50) 저부 쪽 조리공간(11)의 압력이 압력조절부재(50)를 누르는 탄성부재(60)의 누름력보다 다시 커지게 되면, 압력조절부재(50)는 다시 상부로 상승하게 되고, 이와 같은 압력조절부재(50)의 상승 및 하강 동작은 음식물 조리과정에서 수차례에 걸쳐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조리공간(11) 내부의 음식물은 압력조절부재(50)에 의해 조리도중 다수회에 걸쳐 저부 쪽으로 눌려지고 다져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가열조리가 완료된 상태에서 조리공간(11)의 형태에 대응하는 일정한 막대 모양으로 성형될 수 있게 된다.
증기배출홈(70)은 밀링과 같은 홀 가공방식으로 조리공간(11)의 상부로부터 조리공간(11)의 개구 일측 내벽을 호 형태로 절삭해 내거나, 개구 일측 내벽을 부분적으로 용융시키거나, 조리용관(10)의 제조과정에서 조리용관(10)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배출홈(70)은 압력조절부재(50)의 두께보다 두껍게 조리공간(10)의 상하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증기배출홈(70)의 경우 조리공간(11)의 개구 일측에 하나로만 형성할 수도 있으나,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공간(11) 내부 증기압이 상부로 보다 고르게 배출될 수 있도록 증기배출홈(70)은 조리공간(11) 개구 양측에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된 한 쌍으로 마련되거나, 도 8b와 같이 개구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 배치된 3개 이상의 복수개로도 구성이 가능하다.
또 가열조리가 완료되어 막대 모양으로 성형된 음식물을 조리공간(11) 외부로 인출하기 용이하도록 조리공간(11) 바닥에는 음식물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부로 승강 가능하도록 승강부재(80)가 마련되며, 이러한 승강부재(80)의 승강동작은 승강유닛(90)을 통해 수행된다.
다시 도 4 및 도 5를 참고해서 보면, 승강부재(80)는 마개(21) 상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며, 승강유닛(90)은 승강부재(80) 저부 중심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마개(21)에 형성된 슬라이딩홀(21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승강안내봉(91)과, 슬라이딩홀(21a)에 걸리도록 승강안내봉(91)의 하단에 마련된 걸림부(92)와, 지렛대 형태로 걸림부(92)를 들어 올릴 수 있게 걸림부(92)에 연결된 작동바(93)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바(93)는 걸림부(9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일단의 회전결합부(93a)와, 본체(1)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타단에 마련된 손잡이부(93b)와, 본체(1) 내부에 고정된 축부재(9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양단 사이의 축결합부(93c)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리공간(11) 내부 음식물의 조리가 완료되어 덮개(40)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조리자가 본체(1) 전방으로 인출되어 있는 손잡이부(93b)를 아래로 누르게 되면, 축결합부(93c)를 중심으로 작동바(93)의 회전결합부(93a)가 걸림부(92)를 상부로 들어 올리게 되며, 이에 따라 막대 형태로 조리가 완료된 음식물은 상부가 조리공간(11) 외부로 인출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조리자가 음식물 상부 쪽으로 꽂을대를 끼워 넣어 음식물을 조리공간(11) 외부로 완전하게 인출하게 되면, 음식물을 통상의 핫바나 꼬치 등의 형태로 바로 취식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가열조리장치를 이용한 음식물의 가열조리 과정을 계란을 막대 모양으로 성형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계란을 막대 형태로 가열조리 하고자 할 경우,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자는 먼저 액체 상태의 계란을 조리공간(11)에 투입하고 덮개(40)를 덮은 상태에서 계란을 조리하기에 알맞은 적정 시간과 온도로 발열하도록 히터(20)를 동작시키게 된다. 이때 압력조절부재(50)는 탄성부재(60)에 의해 탄지된 상태로 계란 상부 쪽 조리공간(11)에 위치된 상태가 된다.
계란 이외에 어묵반죽이나 고기반죽을 막대 모양으로 가열 조리하고자 할 경우, 조절스위치(2a)를 조절하여 히터의 발열시간 및 발열정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이 상태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압력조절부재(50) 저부 조리공간의 압력은 계란의 액상성분이 증발하게 되면서 형성되는 증기압에 의해 점차 증가하게 된다. 이때 조리공간(11) 내부 증기압력이 압력조절부재(50)를 저부로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60)의 탄성지지력보다 커지게 되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조절부재(50)는 저부의 증기압에 밀려 탄성부재(60)를 압축하면서 상부로 상승하게 되며,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조절부재(50)가 증기배출홈(70) 높이까지 상승하게 되면, 조리공간(11) 내부의 증기압이 증기배출구멍을 통해 상부로 배출되면서 조리공간(11) 내부의 압력은 다시 낮아지게 된다.
이때 증기배출구멍을 통해 상부로 배출되는 수증기는 조리공간(11) 상부의 가이드부(30)와 덮개(40) 내부를 통해 형성되는 완충공간에서 완충되어 응축된 상태로 덮개(40)와 본체(1) 상면 사이의 틈새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낮아진 압력조절부재(50) 저부 쪽 조리공간(11)의 압력이 압력조절부재(50)를 하부 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60)의 힘보다 작아지게 되면, 압력조절부재(50)는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60)의 누름력에 의해 다시 조리공간(11) 하부로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이후 상태에서 압력조절부재(50) 저부 쪽 조리공간(11)의 압력이 압력조절부재(50)를 누르는 탄성부재(60)의 누름력보다 다시 커지게 되면, 압력조절부재(50)는 다시 상부로 상승하게 되고, 이와 같은 압력조절부재(50)의 상승 및 하강 동작의 반복에 의해 조리공간(11) 내부의 음식물은 조리도중 다수회에 걸쳐 저부 쪽으로 눌려지고 다져지게 되어 가열조리가 완료된 상태에서 조리공간(11)의 형태에 대응하는 일정한 막대 모양으로 성형될 수 있게 된다.
조리공간(11) 내부 음식물의 조리가 완료되어 히터(20)의 동작이 정지되면, 조리자는 덮개(40)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본체(1) 전방으로 인출되어 있는 승강유닛(90)의 손잡이부(93b)를 아래로 눌러 승강부재(80)가 상부로 들어 올려 지도록 하고, 이에 따라 막대 형태로 조리가 완료된 음식물은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조리공간(11) 외부로 인출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 조리자가 음식물 상부 쪽으로 꽂을대를 끼워 넣어 음식물을 조리공간(11) 외부로 완전하게 인출하게 되면, 음식물을 핫바나 꼬치처럼 바로 취식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 10과 같이, 본체(1)는 덮개(40)와 본체(1′) 상면 사이의 틈새를 통해 배출되는 응축수를 보다 안전하게 수집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마련된 구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덮개(40)와 본체(1′) 상면 사이의 틈새를 통해 배출되는 응축수를 본체(1′) 상부 외곽 쪽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덮개(40) 주위의 본체(1′) 상면은 바깥쪽으로 하향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으며, 본체(1′) 상면 외곽 둘레에는 안내된 응축수가 범람되는 것을 막기 위한 막음판(101)이 설치될 수 있다. 또 막음판(101) 쪽으로 본체(1′) 상면에는 막음판(101) 안쪽으로 고인 응축수를 본체(1′) 하부로 낙하시키기 위한 낙하안내공(102)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낙하안내공(102) 저부의 본체(1′) 내부에는 낙하안내공(102)을 따라 낙하된 응축수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조(103)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체(1′)의 구조에서는 음식물 조리과정에서 조리공간(11)으로부터 배출되는 증기를 응축시키고, 이때 형성되는 응축수를 수집조(103)에 수집하여 보다 안전하게 버릴 수 있게 된다.
1: 본체 10: 조리용관
11: 조리공간 20: 히터
30: 가이드부 40: 덮개
50: 압력조절부재 60: 탄성부재
70: 증기배출홈 80: 승강부재
90: 승강유닛

Claims (8)

  1. 상부로 개방된 막대 모양의 조리공간;
    상기 조리공간의 가열을 위한 히터;
    둘레가 상기 조리공간 내벽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조리공간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압력조절부재;
    상기 압력조절부재를 상기 조리공간 바닥 쪽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압력조절부재와 상기 조리공간 내벽 사이에 증기배출구멍이 형성되도록 상기 조리공간 내벽에 마련된 증기배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배출홈은 상기 조리공간의 상부 개구 쪽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배출홈은 상기 개구 양측에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된 한 쌍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배출홈은 상기 개구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개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배출홈은 상기 조리공간의 상하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공간 바닥에 상기 조리공간 상부로 승강 가능하도록 마련된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를 승강시키도록 마련된 승강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공간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마련된 덮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에는 상기 압력조절부재의 상하 슬라이딩 동작을 안내하기 위한 슬라이딩 안내유닛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공간은 하단이 폐쇄되고 상단이 개방된 금속재질의 조리용관 내부공간을 통해 마련되고,
    상기 히터는 상기 조리용관 외면에 접하도록 상기 조리용관 둘레에 나선형태로 결합된 열선을 포함하며,
    상기 열선은 상기 조리용관 외면과의 접촉면적이 증대되도록 다각형 모양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장치.
KR1020140017845A 2014-02-17 2014-02-17 가열조리장치 KR101578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845A KR101578661B1 (ko) 2014-02-17 2014-02-17 가열조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845A KR101578661B1 (ko) 2014-02-17 2014-02-17 가열조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934A true KR20150096934A (ko) 2015-08-26
KR101578661B1 KR101578661B1 (ko) 2015-12-24

Family

ID=54059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845A KR101578661B1 (ko) 2014-02-17 2014-02-17 가열조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86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3840B1 (ko) 2018-01-29 2019-09-20 오문섭 상부구이용 열판 기구
KR101950966B1 (ko) 2018-07-20 2019-02-21 허윤정 에그바 조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794Y1 (ko) * 2001-05-10 2001-10-15 박중화 다목적 구이기
KR20100010808A (ko) * 2008-07-23 2010-02-02 최영준 꼬치구이기
KR101193463B1 (ko) * 2010-03-09 2012-10-24 구형우 넘치지 않는 요리용기 뚜껑
JP2013539961A (ja) * 2010-07-09 2013-10-31 ケデム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ー カンパニー 細長い食品を調理するための調理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794Y1 (ko) * 2001-05-10 2001-10-15 박중화 다목적 구이기
KR20100010808A (ko) * 2008-07-23 2010-02-02 최영준 꼬치구이기
KR101193463B1 (ko) * 2010-03-09 2012-10-24 구형우 넘치지 않는 요리용기 뚜껑
JP2013539961A (ja) * 2010-07-09 2013-10-31 ケデム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ー カンパニー 細長い食品を調理するための調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8661B1 (ko) 2015-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0470B2 (en) Double walled domed electric roasting oven
KR900004446B1 (ko)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하여 굽는 조리도구
EP3250094A1 (en) Cooking appliance with different modes for cooking different types of food products
DE202018006413U1 (de) Kochgerät und Komponenten davon
US20170251872A1 (en) Electric roasting oven having a domed lid and method of use
EP3217850B1 (en) A smokeless grill pan
US5469778A (en) Fryer basket lift
US20170318629A1 (en) Multifunction Ovens
KR101578661B1 (ko) 가열조리장치
KR20110127094A (ko) 구이판 이동구가 구비된 구이기
US20160270594A1 (en) Device for cooking food articles
KR200393115Y1 (ko) 가래 떡 구이기
US20050247211A1 (en) Cooker with latching drip tray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grease dispensing apertures in cooking pan
JP2010207378A (ja) 加熱調理器
KR200477707Y1 (ko) 구이용 불판
DE2623946C3 (de) Umluft-Wärme-, -Back- und -Bratgerät
US11071410B1 (en) Toaster dripping tray
KR101972114B1 (ko) 구이장치
WO2016142321A1 (de) Gerät zur zubereitung von lebensmitteln
CN216569618U (zh) 三明治炉
RU16386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жарки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во фритюре
KR101001613B1 (ko) 다공성 보조용기를 구비한 조리 용기
US2918861A (en) Equalizer for pressure cookers
JP4181169B2 (ja) 電磁調理器用調理方法および卓上型調理器
KR101484125B1 (ko) 전 구이용 덮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