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5722A - 로컬 네트워크 장치들의 클라우드 기반 전력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로컬 네트워크 장치들의 클라우드 기반 전력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5722A
KR20150095722A KR1020157017552A KR20157017552A KR20150095722A KR 20150095722 A KR20150095722 A KR 20150095722A KR 1020157017552 A KR1020157017552 A KR 1020157017552A KR 20157017552 A KR20157017552 A KR 20157017552A KR 20150095722 A KR20150095722 A KR 20150095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management
devices
management service
endpoint devices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7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2804B1 (ko
Inventor
글렌 스톤
마푸즈 라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095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5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2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purposes of a change of settings, e.g. optimising configuration for enhancing reliability
    • H04L41/083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purposes of a change of settings, e.g. optimising configuration for enhancing reliability for reduction of network energy consum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4Hybrid switching systems
    • H04L12/6418Hybrid transpor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09Monitoring remote activity, e.g. over telephone lines or networ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전력 관리를 위한 방법은 원격 전력 관리 서비스에 하나 이상의 엔드포인트 장치들을 등록하고 가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엔드포인트 장치들은 로컬 네트워크와 연결된다. 하나 이상의 엔드포인트 장치들의 전력 상태 정보가 획득된다. 하나 이상의 엔드포인트 장치들의 전력 상태는 원격 전력 관리 서비스를 사용하여 변경된다.

Description

로컬 네트워크 장치들의 클라우드 기반 전력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LOUD BASED POWER MANAGEMENT OF LOCAL NETWORK DEVICE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의 전력 관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한 로컬 네트워크 장치들의 저 전력 관리에 관한 것이다.
전력 관리는 장치의 기능이다. 휴대용 전자 장치와 같은 장치는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저 전력 모드들을 사용한다. 범용 플러그 앤 플레이(UPnP) 저 전력은 저 전력 관리를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하지만, 프록시로서의 역할을 하고, 저 전력 가능 장치들을 관리하기 위해 장치가 홈 네트워크에 위치할 것을 요구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로컬 네트워크에서 전자 장치들의 저 전력 관리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또는 서버를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전력 관리를 위한 방법은 원격 전력 관리 서비스에 하나 이상의 엔드포인트(endpoint) 장치들을 등록하고 가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엔드포인트 장치들은 로컬 네트워크와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엔드포인트 장치들의 전력 상태 정보가 획득된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엔드포인트 장치들의 전력 상태는 원격 전력 관리 서비스를 사용하여 변경된다.
다른 실시예는 전력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서버, 및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엔드포인트 장치들을 등록하고 가입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서비스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는 하나 이상의 엔드포인트 장치들의 전력 상태 정보를 또한 획득하고, 하나 이상의 엔드포인트 장치들의 전력 상태를 변경하기 위해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특정한 하나의 엔드포인트 장치에 전력 상태 정보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는 전력 관리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판독 가능한 실체가 있는 저장 매체(tangible storage medium)를 포함하고,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시스템에 의한 실행을 위한 명령들을 저장한다. 상기 방법은 원격 전력 관리 서비스에 하나 이상의 엔드포인트 장치들을 등록하고 가입하는 단계, 엔드포인트 장치들의 원격 전력 관리 서비스에 의해 전력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원격 전력 관리 서비스를 사용하여 로컬 네트워크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엔드포인트 장치들의 전력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들 및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다른 양태 및 장점들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의 원리들을 예로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할 때, 다음의 상세 설명에서 명백해질 것이다.
사용의 바람직한 모드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특징 및 장점들의 보다 완전한 이해를 위해, 첨부 도면들과 함께 다음의 상세 설명을 참조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저 전력 관리를 위한 아키텍처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로컬 네트워크에 클라우드를 통해 제공되는 저 전력 관리 서비스들에 대한 예시적인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로컬 네트워크에 클라우드를 통해 제공되는 저 전력 관리 서비스들에 대한 다른 예시적인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로컬 네트워크의 클라우드 기반 저 전력 관리를 위한 프로세스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팅 환경을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팅 환경을 도시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저 전력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팅 환경을 도시한다.
도 9는 일 실시예를 구현하는 컴퓨팅 시스템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을 도시하는 하이-레벨 블록도이다.
다음의 설명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일반적인 원리들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 청구된 발명의 개념들을 한정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 기능들은 다양한 가능한 조합 및 순열들의 각각으로 다른 기술된 특징들과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특별하게 정의되지 않는다면, 모든 용어들은 당업자들에 의해 이해되는 및/또는 사전, 논문 등에서 정의되는 의미들뿐만 아니라, 명세서에서 암시되는 의미들을 포함하여 가능한 한 넓은 해석을 제공해야 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클라우드 기반 컴퓨팅 환경으로부터 로컬 네트워크(예를 들어, 홈 네트워크)에서 엔드포인트 장치들에 전력 관리 서비스들 또는 전력 관리 서버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는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들을 통해 전력 관리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엔드포인트 전자 장치들은 무선 통신 링크와 같은 통신 링크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는 모바일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장치의 예들로는 휴대폰 장치, 모바일 태블릿 장치, 스마트 모바일 장치 등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원격 전력 관리 서비스에 하나 이상의 엔드포인트 장치들을 등록하고 가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관리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엔드포인트 장치들은 로컬 네트워크와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엔트포인트 장치들의 전력 상태 정보가 획득된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엔드포인트 장치들의 전력 상태는 원격 전력 관리 서비스를 사용하여 변경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은 클라우드에서 처리를 제공하고, 동시에 장치들에서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사용으로 로컬(예를 들어, 홈) 네트워크 장치들에 대한 전력 관리를 제공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전력 관리를 위한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저 전력 장치들이 수면 상태 또는 모드로부터 깨어나거나 저 전력 상태로 진입하기 위해 홈 네트워크에서 저 전력 프록시 장치에 대한 의존성을 제거한다. 일 실시예는 홈 네트워크 외부의 장치 또는 서비스에 전력 상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홈 네트워크에서 장치들을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하고, 클라우드로부터 홈 네트워크에서 이용 가능하지만 홈 네트워크에서 자신을 광고하지 않는 장치들(예를 들어, 장치들은 현재 수면 상태 또는 모드에 있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홈 네트워크에서 장치를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는 홈 네트워크에서 장치의 전력 상태를 변경하기 위해 클라우드에서 서비스 또는 장치를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통신 시스템(10)은 발신 통신 작업(송신 장치(12)을 개시하는 통신 장치, 및 송신 장치(12)가 통신 네트워크(110) 내에서 다른 통신 장치들과의 통신 작업들을 개시하고 수행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네트워크(1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10)은 송신 장치(12)로부터 통신 작업을 수신하는 통신 장치(수신 장치(11))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은 여러 개의 송신 장치(12) 및 수신 장치(11)를 포함할 수 있지만, 도면을 단순화하기 위해 도 1에는 각각에 대해 단지 하나씩만 도시된다.
통신 네트워크를 생성하도록 동작하는 모든 적합한 회로, 장치, 시스템 또는 이들의 조합(예를 들어, 통신 탑 및 원거리 통신 서버들을 포함하여 무선 통신 인프라 구조)이 통신 네트워크(110)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110)는 모든 적합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통신 네트워크(110)는 예를 들어, 기존 전화선, 케이블 TV, Wi-Fi(예를 들어, 802.11 프로토콜), 블루투스® 고 주파수 시스템(예를 들어, 900 MHz, 2.4 GHz, 및 5.6 GHz 통신 시스템), 적외선, 다른 상대적으로 로컬화된 무선 통신 프로토콜, 또는 이들의 조합을 지원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통신 네트워크(110)는 무선 및 휴대 전화 및 개인 이메일 장치(예를 들어, 블랙베리®)에 의해 사용되는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토콜들은 예를 들어, GSM(이동 통신용 글로벌 시스템), GSM 플러스 EDGE(인핸스드 데이터 GSM 환경), CDMA(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쿼드 밴드, 및 다른 셀룰러 프로토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장거리 통신 프로토콜은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한 음성(VOIP) 또는 지역 네트워크(LAN)를 사용하여 전화를 걸거나 수신하는 프로토콜 및 Wi-Fi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110) 내에 위치할 때, 송신 장치(12) 및 수신 장치(11)는 경로(13)와 같은 양방향 통신 경로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송신 장치(12)와 수신 장치(11)는 둘 다 통신 작업을 개시하고, 개시된 통신 작업을 수신할 수 있다.
송신 장치(12) 및 수신 장치(11)는 통신 작업들을 전송하고 수신하는 모든 적합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장치(12) 및 수신 장치(11)는 미디어 플레이어, 휴대폰이나 유선 전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기능이 있는 개인 이메일 또는 메시징 장치, 휴렛 패커드 사(캘리포니아주 팔로 알토)가 판매하는 iPAQ 포켓 PC와 같은 포켓 크기의 개인용 컴퓨터, 개인 정보 단말기(PDA), 데스크톱 컴퓨터, 랩톱 컴퓨터, 및 무선(무선 가능 보조 시스템의 도움으로 또는 도움 없이) 또는 유선 경로(예를 들어, 기존 전화선을 사용하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모든 다른 장치, TV 장치, 디스크 플레이어, DVD, ST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작업들은 예를 들어, 음성 통신(예를 들어, 전화 통화), 데이터 통신(예를 들어, 이메일, 문자 메시지, 미디어 메시지), 또는 이들의 조합(예를 들어, 화상 회의)을 포함하여, 모든 적합한 형태의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20)를 포함하는 시스템(100)의 기능적 블록도를 도시한다. 송신 장치(12)와 수신 장치(11)는 둘 다 전자 장치(120)의 기능 모두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20)는 디스플레이(121), 마이크로폰(122), 오디오 출력(123), 입력 메커니즘(124), 통신 회로(125), 제어 회로(126), 카메라 모듈(127), 위성 위치 시스템(GPS) 수신기 모듈(128), 저 전력 모듈(129), 및 다른 적합한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이동형 또는 고정형 전자 장치, 홈 네트워크 장치, 휴대용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력 상태 정보는 클라우드 또는 네트워크(160), 통신 네트워크(110) 등을 사용하거나 저 전력 모듈(129)을 사용하여 획득되거나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클라우드(160)는 직접 또는 홈이나 로컬 네트워크(150)를 통해 전자 장치(120)와 통신(예를 들어, 송신/수신)할 수 있는 전력(관리) 서비스(17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오디오 출력(123), 디스플레이(121), 입력 메커니즘(124), 통신 회로(125) 및 마이크로폰(122)에 의해 이용되는 모든 어플리케이션들은 제어 회로(126)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관리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다른 튜닝 장치들에 음악을 전송할 수 있는 핸드헬드 음악 플레이어는 전자 장치(120)에 통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오디오 출력(123)은 전자 장치(120)의 사용자에게 오디오를 제공하는 모든 적합한 오디오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출력(123)은 전자 장치(120)에 들어가 있는 하나 이상의 스피커(예를 들어, 모노 또는 스테레오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디오 출력(123)은 전자 장치(120)에 원격으로 결합되는 오디오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출력(123)은 유선(예를 들어, 잭을 사용하여 전자 장치(120)에 결합) 또는 무선(예를 들어, 블루투스® 헤드폰 또는 블루투스® 헤드셋)으로 통신 장치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21)는 사용자에게 보이는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모든 적합한 스크린 또는 영사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21)는 전자 장치(120)에 통합되는 스크린(예를 들어, LCD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디스플레이(121)는 전자 장치(120)로부터 멀리 떨어진 표면에 콘텐트의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영사 시스템(예를 들어, 비디오 영사기) 또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1)는 제어 회로(126)의 방향 하에서 콘텐트(예를 들어, 이용 가능한 미디어 선택들에 관한 정보 또는 통신 작업들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력 메커니즘(124)은 전자 장치(120)에 사용자 입력 또는 명령들을 제공하는 모든 적합한 메커니즘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입력 메커니즘(124)은 버튼, 키패드, 다이얼, 클릭 휠(click wheel), 또는 디스플레이(121)와 통합된 터치 스크린과 같이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입력 메커니즘(124)은 멀티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메커니즘은 스크린과 클릭 휠이나 다른 사용자 입력 장치의 조합, 또는 터치 스크린에서 구현될 수 있는, 로터리 전화 또는 멀티 버튼 키패드를 모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 회로(125)는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110), 도1)에 연결하고, 전자 장치(120)로부터 통신 네트워크 내의 다른 장치들로 통신 작업 및 미디어를 전송하는 모든 적합한 통신 회로 작업일 수 있다. 통신 회로(125)는 예를 들어, Wi-Fi(예를 들어, 802.11 프로토콜), 블루투스® 고 주파수 시스템(예를 들어, 900 MHz, 2.4 GHz, 및 5.6 GHz 통신 시스템), 적외선, GSM, GSM 플러스 EDGE, CDMA, 쿼드밴드 및 다른 셀룰러 프로토콜들과 같은 모든 적합한 통신 프로토콜, VOIP, 또는 다른 적합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 네트워크와 인터페이스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통신 회로(125)는 모든 적합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 네트워크를 생성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회로(125)는 다른 통신 장치들에 연결하기 위해 단거리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단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회로(125)는 블루투스® 헤드셋과 전자 장치(120)를 결합하기 위해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로컬 통신 네트워크를 생성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회로(126)는 전자 장치(120)의 성능 및 작업들을 제어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제어 회로(126)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버스(예를 들어, 전자 장치(120)의 다른 구성 요소들에 명령들을 전송하기 위해), 메모리, 저장 장치, 또는 전자 장치(120)의 작업들을 제어하기 위한 모든 다른 적합한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를 구동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입력들을 처리할 수 있다. 메모리 및 저장 장치는 캐시,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ROM), 및/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운영 체계,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 및 프로세서 기능들과 같은 장치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펌웨어를 저장하는 단계 전용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는 전자 장치(120)가 통신 작업(예를 들어, 통신 작업들과 관련된 연락처 정보를 저장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이한 미디어 유형 및 미디어 항목들과 관련된 정보, 전력 상태 정보 등을 저장)을 수행하는 다른 장치들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회로(126)는 전자 장치(120)에서 구현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작업들을 수행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모든 적합한 개수 또는 유형의 어플리케이션들이 구현될 수 있다. 다음의 논의는 상이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열거하지만, 어플리케이션들의 일부 또는 전부가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로 결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20)는 자동 음성 인식(ASR) 어플리케이션, 대화 어플리케이션, 갤러리 어플리케이션과 편집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달력 어플리케이션, 연락처 목록 어플리케이션, 지도 어플리케이션, 미디어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QuickTime, MobileMusi.app 또는 MobileVideo.ap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20)는 통신 작업들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20)는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메일 어플리케이션, 전화 어플리케이션, 음성메일 어플리케이션,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채팅용), 화상 회의 어플리케이션, 팩스 어플리케이션, 또는 모든 적합한 통신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모든 다른 적합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20)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폰(12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20)는 통신 작업 시 사용자가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오디오)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또는 통신 작업을 확립하는 수단으로서, 또는 물리적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서 마이크로폰(122)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전자 장치(120)에 통합될 수 있거나, 전자 장치(120)에 원격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122)은 유선 헤드폰에 통합될 수 있고, 또는 마이크로폰(122)은 무선 헤드셋에 통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20)는 전면 마이크로폰(122) 및 후면 마이크로폰(12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면 및 후면 마이크로폰(122)은 한번에 하나씩 또는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20)는 통신 작업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모든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20)는 전원 공급 장치, 호스트 장치에 결합하는 포트 또는 인터페이스들, 보조 입력 메커니즘(예를 들어, ON/OFF 스위치), 또는 모든 다른 적합한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모든 적합한 방법을 사용하여 통신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전자 장치(120)를 지시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사용자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수신 전화, 이메일 또는 문자 메시지, 인스턴트 메시지)로부터의 통신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통신 요청을 수락함으로써 통신 작업을 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는 다른 통신 장치를 식별하고, 통신 작업(예를 들어, 전화 번호 다이얼링, 이메일 전송, 문자 메시지 타이핑, 또는 채팅 스크린 이름 선택 및 채팅 요청 전송)을 개시하기 위한 요청을 전송함으로써 통신 작업을 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GPS 수신기 모듈(128)은 모바일 장치(즉,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나침반 모듈은 모바일 장치의 방향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고, 가속도계 및 자이로스코프 모듈은 모바일 장치의 기울기(tilt)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TV 또는 TV 컴포넌트 시스템과 같은 고정형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이미지 캡처링 설정, 편집 기능, 이미지 저장 및 공유 기능 등을 제공하는 카메라 모듈(127)과 상호 운용하는 복수의 카메라(예를 들어, 전면/정면 카메라, 후면/반대편 카메라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로컬 네트워크(150)에 클라우드(160)를 통해 제공되는 전력 또는 저 전력(관리) 서비스(170)에 대한 예시적 시나리오(300)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로컬 네트워크(150)(예를 들어, 홈 네트워크)는 복수의 엔드포인트 전자 장치(320)(예를 들어, 로컬 엔드포인트)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미디어 서버(310)가 로컬 네트워크(150)에 또한 포함된다. 일 실시예에서, 엔드포인트 전자 장치(320) 및 미디어 서버(310)는 클라우드(160)에서 전력 서비스(170)를 탐색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력 서비스(170)는 엔드포인트 전자 장치(320) 및 미디어 서버(310) 및 로컬 네트워크(150)에 속하는 다른 엔드포인트 또는 제어 포인트들에 정적으로 구성될 수 있는 균일한 리소스 링크(URL)와 관련된다.
일 실시예에서, 저 전력 제어 포인트는 클라우드(160)의 전력 서비스(170)로부터, 또는 엔드포인트 전자 장치(320) 및 미디어 서버(310)로부터 전력 상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력 장치(170)는 저 전력 제어 포인트(175)를 포함하고, 로컬 네트워크(150)에서 엔드포인트 전자 장치(320) 및 미디어 서버(310)로부터 전력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 전력 제어 포인트들은 엔드포인트 전자 장치(320) 및 미디어 서버(310)의 전력 상태 또는 모드가 (예를 들어, 활성 상태 또는 모드에서 수면 상태 또는 모드 등까지 사이에서) 변할 때 엔드포인트 전자 장치(320) 및 미디어 서버(310)(예를 들어, 저 전력 엔드포인트)로부터 전력 상태 액션 정보(예를 들어, 전력 상태 또는 모드의 변화)를 또한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클라우드(160)에서 전력 서비스(170)는 홈 네트워크, 예를 들어 CDS에서 임의의 다른 장치들에 의해 그것을 대신하여 로컬 광고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광고 문서에서 모든 위치 정보는 클라우드(160)에서 전력 서비스(170)의 URL을 포함해야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력 서비스(170)는 도메인 이름 시스템(DNS) 기반 서비스 탐색 또는 다른 광역 서비스 탐색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탐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력 서비스(170)는 로컬 네트워크(150)에서 엔드포인트 장치들(예를 들어, 전자 장치(320), 미디어 서버(310) 등)을 등록하고 가입한다. 일 실시예에서, 로컬 네트워크(150)에서 엔드포인트 장치들이 전력 서비스(170)를 사용하기를 원하는 경우, 엔드포인트 장치들은 클라우드(160)에서 전력 서비스(170)를 등록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력 서비스(170)는 로컬 네트워크(150)에서 엔드포인트 장치들에 대한 등록 및 가입 액션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력 장치(170)는 등록 액션으로서 로컬 네트워크(150) 엔드포인트들을 탐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클라우드(160)에 대한 로컬 네트워크(150) 엔드포인트들의 광고가 전력 서비스(170)를 위해 요구된다.
일 실시예에서, 로컬 네트워크(150)에서 저 전력 엔드포인트 장치(예를 들어, 미디어 서버(310), 전자 장치(320) 등)는 범용 플러그 앤 플레이(UPnP) 이벤팅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클라우드(160)에서 전력 서비스(170)에 장치의 전력 상태 정보를 통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 전력 제어 포인트(175)는 액션을 호출하여 로컬 네트워크(150) 장치들로부터 전력 상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력 서비스(170)는 로컬 네트워크(150)에서 모든 등록된 저 전력 엔드포인트들로부터 전력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
일 실시예에서, 저 전력 엔드포인트가 그의 전력 상태를 변경하면, 저 전력 엔드포인트는 클라우드(160)에서 전력 서비스(170)에 상태 정보의 변화를 통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로컬 네트워크(150) 전자 장치는 수면 상태 또는 모드에 있을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찾기 위해 클라우드(160)에서 전력 서비스(170)를 사용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력 서비스(170)가 해당 엔드포인트 장치에 대한 전력 상태 정보를 획득하면, 로컬 네트워크(150) 장치는 전력 서비스(170)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엔드포인트 장치를 깨울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로컬 네트워크(150)에 클라우드(160)를 통해 제공되는 전력 서비스(170)에 대한 다른 예시적 시나리오(400)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장치들과 같은 원격 장치들은 로컬 네트워크(150) 상에서 엔드포인트 장치들이 저 전력 상태 또는 모드에 있을 수 있는 동안 매체(예를 들어, 인터넷(420))를 통해 로컬 네트워크(150)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장치(120)는 로컬 네트워크(150)에 대한 게이트웨이(410)에 액세스하기 위해 인터넷(420)을 사용한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장치들은 로컬 네트워크(150)의 일부가 되기 위해 예를 들어 디지털 리빙 네트워크 얼라이언스(DLNA) 원격 액세스 가이드라인, 가상 사설 네트워크(VPN) 등의 원격 액세스 기법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지 로컬 네트워크(150) 엔드포인트 장치들이 지원을 위해 필요한 것처럼, 원격 액세스 장치(120)는 UPnP 저 전력을 지원하고, 클라우드(160)에서 전력 서비스(170)에 액세스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해야 한다. 일 실시예에서, 원격 장치(120)는, 단지 로컬 네트워크(150) 상에서 그것이 물리적인 했던 것처럼, 로컬 네트워크(150) 엔드포인트 장치들을 탐색하고 깨울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로컬 네트워크에 대한 (예를 들어, 서비스 또는 서버를 사용하는) 클라우드 기반 저 전력 관리를 위한 프로세스(6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로컬/홈 네트워크(예를 들어, 로컬 네트워크(150))와 연결된 엔드포인트 장치들(예를 들어, 미디어 서버(310), 전자 장치(320) 등)에 의해 저 전력 관리 서비스(예를 들어, 전력 서비스(170), 도 3 및 도 4)를 위해 프로세스 블록(610)에서 탐색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탐색은 저 전력 관리 서비스에 대한 링크와 엔드포인트 장치들을 정적으로 구성하는 단계,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특정 장치를 사용하여 저 전력 관리 서비스를 광고하는 단계, 및 저 전력 관리 서비스를 탐색하기 위해 엔드포인트 장치들에 의해 광역 서비스 탐색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블록(620)은 저 전력 관리 서비스에 하나 이상의 엔드포인트 장치들을 등록하고 가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등록하고 가입하는 단계는 엔드포인트 장치들을 등록하기 위해 저 전력 관리 서비스에 의한 가입 및 등록을 제공하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등록은 저 전력 관리 서비스에 광고된 엔드포인트 장치들의 저 전력 관리 서비스에 의해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블록(630)은 등록 및 가입된 엔드포인트 장치들의 저 전력 관리 서비스에 의해 전력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력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엔드포인트 장치들로부터 저 전력 관리 서비스에 의해 전력 상태 정보의 통지를 수신하는 단계, 액션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엔드포인트 장치들로부터 저 전력 관리 서비스에 의해 전력 상태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제어 포인트로부터 전력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블록(640)은 저 전력 관리 서비스를 사용하여 로컬 네트워크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엔드포인트 장치들의 전력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엔드포인트 장치들의 전력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활성 상태 장치들에 저 전력 상태에 있는 하나 이상의 장치들에 대한 저 전력 관리 서비스에 의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저 전력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장치들의 상태를 활성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저 전력 관리 서비스는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력 상태 정보는 로컬 네트워크로부터 가져와서 클라우드 네트워크로 푸시된다.
도 6 및 도 7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저 전력 관리 실시예들이 활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한 네트워킹 환경(700 및 800)의 예들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환경(700)에서, 클라우드(710)는 로컬 네트워크 전자 장치(712)와 같은(예를 들어, 전자 장치(120)와 유사한) 사용자 컴퓨팅 장치들에 대해 (다른 예들 중에서, 저 전력 관리 서비스, 네트워크 서비스와 같은) 서비스들(720)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제공업체들을 통해, 또는 온라인 서비스의 다른 제공업체들을 통해 클라우드(710)에서 서비스들이 제공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들(720)은 개시된 기법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저 전력 관리 처리 및 서비스, 정보 저장 서비스, 네트워킹 사이트, 또는 사용자 전자 장치 정보가 연결된 장치들에 저장되고 분산되는 다른 서비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양한 전자 장치(712)들은 이동형 또는 고정형 전자 장치, 하나 이상의 이미지 또는 비디오를 캡처하는 이미지 또는 비디오 캡처 장치 등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712)들은 직접적으로 (예를 들어,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의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사용하여) 또는 개인용 컴퓨터, 모바일 장치, 착용 가능한 장치, 또는 다른 네트워크 컴퓨팅 장치와 같은, 로컬 컴퓨터(730)에 정보를 우선 전달함으로써 클라우드(710) 상에서 서비스(720)에 저 전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7에 도시된 환경(8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우드(710)는 다양한 스크린 디스플레이 크기를 가질 수 있는 연결된 전자 장치들(120a 내지 120n)에 저 전력 관리 실시예들을 포함하는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20a)는 개인용 컴퓨터, 랩톱, 또는 다른 유사 네트워크 연결 장치 상에서 이용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중간 크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갖는 장치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20b)는 휴대성이 높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예를 들어, 작은 크기 스크린)을 갖는 장치를 나타낸다.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20b)는 스마트폰, PDA, 태블릿 컴퓨터, 휴대용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미디어 플레이어, 착용 가능한 장치 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2n)는 큰 보기 화면을 갖는 연결된 장치를 나타낸다.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20n)는 TV 스크린(예를 들어, 스마트 TV) 또는 TV나 이미지 영사기(예를 들어, 셋톱 박스 또는 게임 콘솔)에 이미지 출력을 제공하는 다른 장치, 또는 유사 이미지 디스플레이 출력을 갖는 다른 장치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20a 내지 120n)는 이미지 캡처링 하드웨어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20b)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를 갖는 모바일 장치일 수 있고, 전자 장치(120n)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액세서리를 갖는 엔터테인먼트 콘솔에 결합된 TV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 환경들(700 및 800)에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는 클라우드(710)에 의해 적어도 일부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저 전력 관리 기법들은 로컬 컴퓨터(730) 상의 소프트웨어, 전자 장치(120)들 중 하나, 및/또는 전자 장치(120a 내지 120n)에서 구현된다.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저 전력 관리 기법들은 클라우드에서 구현되고, 로컬 네트워크에서 프록시 장치 없이 로컬 네트워크 장치들(120a 내지 120n)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저 전력 관리 정보는 전자 장치(120)로부터 하나 이상의 플랫폼에 걸쳐 공유된다. 일반적으로, 저 전력 관리 제어는 로컬 네트워크 내에서만 이용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저 전력 관리 서비스들은 복수의 전자 장치(120)에 제공되고, 복수의 네트워크에 걸쳐 공유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저 전력 관리 시스템의 예시적 사용자들을 도시하는 블록도(900)이다. 일 실시예에서, 저 전력 정보(예를 들어, 전력 모드, 전력 상태 등)를 제공할 수 있는 각각의 전자 장치(120)를 갖는 각각의 사용자(910, 920, 930)들이 도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20)들은 원격으로 배치된 서버 또는 클라우드일 수 있는, 저 전력 관리 제어기(940)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저 전력 관리 제어기(940)가 원격으로 배치된 서버 또는 클라우드인 경우, 서버 또는 클라우드는 무선 모뎀, 전자 장치(120)와 관련된 통신 네트워크 등을 사용하여 액세스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 전력 관리 제어기(940)는 전자 장치(120)들과의 양방향 통신을 위해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저 전력 관리 제어기(940)는 (예를 들어, 인터넷과 같은 공용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서버(950)와 통신하고, 데이터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서버(950)들은 매우 다양한 네트워크 제공업체들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운영되는 서버들일 수 있고,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상호 의존성(예를 들어, 친구, 비지니스 관계, 가족 등)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전자 장치들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들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서버에 의해 저장되는 전자 장치 정보의 일부는 개인적인 것이지만, 정보의 일부는 공용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 이름, 사진, 및 일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기본 프로필)일 수 있다. 또한, 일부 예에서, 사용자 개인 정보는 사용자의 로그인 및 비밀번호 정보를 사용하여 액세스될 수 있다. 사용자의 네트워크 계정으로부터 이용 가능한 정보는 비쌀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친구 목록, 현재 위치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현장에 "체크 인"했는 지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확립되는 프라이버시 설정에 따라, 이러한 정보의 적어도 일부는 공개적으로 이용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개인 또는 공용 네트워크 정보는 네트워크 운영자에 의해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서버(950)와 통신함으로써 검색되고 액세스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 전력 관리 제어기(940)는 저 전력 관리 어플리케이션 또는 방법과 관련된 동작들을 수행한다.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저 전력 관리 제어기(940)는 복수의 전자 장치(또는 단지 하나의 로컬 전자 장치)로부터 장치 정보를 수신하고, 두 개 이상의 전자 장치들 간의 관계들을 결정하고, 결정된 관계들을 기반으로 하여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 또는 저 전력 관리 서비스에 저 전력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 전력 관리 제어기(940)는, 저 전력 관리 제어기(940)에 의해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동작들이 다른 분산된 컴퓨팅 환경(예를 들어,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원격 서버에 의해 구현될 필요가 없다.
도 9는 일 실시예를 구현하는 컴퓨팅 시스템(500)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을 도시하는 하이-레벨 블록도이다. 시스템(500)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511)(예를 들어, ASIC, CPU 등)를 포함하고, (그래픽, 문자 및 다른 데이터를 표시하는) 전자 디스플레이 장치(512), 주 메모리(513)(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저장 장치(514)(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이동식 저장 장치(515)(예를 들어, 이동식 저장 드라이브, 이동식 메모리 모듈, 자기 테이프 드라이브,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 저장된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를 갖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516)(예를 들어, 키보드, 터치 스크린, 키패드, 포인팅 장치), 및 통신 인터페이스(517)(예를 들어, 모뎀, (WiFi, 셀룰러와 같은) 무선 송수신기, (이터넷 카드와 같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통신 포트, 또는 개인용 컴퓨터 메모리 카드 국제 연합(PCMCIA) 슬롯 및 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517)는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가 인터넷(550), 모바일 전자 장치(551), 서버(552), 네트워크(553) 등을 통해 컴퓨터 시스템과 외부 장치들 사이에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시스템(500)은 전술한 장치/모듈들(511 내지 517)이 연결되는 통신 인프라구조(518)(예를 들어, 통신 버스, 크로스 오버 바(cross-over bar), 또는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517)를 통해 전달되는 정보는 전자 신호, 전자기 신호, 광 신호, 또는 신호들을 전달하는 통신 링크를 통해, 통신 인터페이스(517)에 의해 수신될 수 있는 다른 신호들과 같은 신호의 형태일 수 있고, 유선이나 케이블, 광섬유, 전화선, 휴대폰 링크, 무선 주파수(RF) 링크, 및/또는 다른 통신 채널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모바일폰과 같은 모바일 무선 장치에서의 일 실시예의 하나의 구현에서, 시스템(500)은 오디오 출력(123)과 같은 오디오 캡처 장치(519) 및 카메라(15)와 같은 이미지 캡처 장치(520)를 또한 포함한다. 또한, 시스템(500)은 MMS 모듈(521), SMS 모듈(522), 이메일 모듈(523), 소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SNI) 모듈(524), 오디오/비디오(AV) 플레이어(525), 웹 브라우저(526), 이미지 캡처 모듈(527)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50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저 전력 관리 모듈(530)을 또한 포함한다. 운영 체계(519)에 따른 상기 저 전력 관리 모듈(530)의 하나의 구현이 시스템(500)의 메모리에 상주하는 실행 가능한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러한 모듈들은 펌웨어 등에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은 스트리밍 데이터를 취득하고 통신하기 위해 WebRTC의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WebRTC의 사용은 다음의 API들, 즉MediaStream(예를 들어, 사용자의 카메라 및 마이크로폰으로부터와 같은,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액세스를 얻기 위해), RTCPeerConnection(예를 들어, 암호화 및 대역폭 관리를 위한 설비들을 갖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 전화), RTCDataChannel(예를 들어, 일반 데이터의 피어투피어 통신을 위해) 등 중 하나 이상을 구현한다.
일 실시예에서, MediaStream API는 미디어의 동기화된 스트림들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카메라 및 마이크로폰 입력으로부터 가져온 스트림은 동기화된 비디오 및 오디오 트랙들을 가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은 브라우저들(예를 들어, 피어들) 사이에서 스트리밍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해 RTCPeerConnection API를 구현할 수 있지만, 통신을 조정하고 제어 메시지들을 전송하기 위해 시그널링(예를 들어, SIP 또는 XMPP와 같은 메시징 프로토콜 및 모든 적당한 듀플렉스(양방향) 통신 채널)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그널링은 세 가지 유형의 정보, 즉 세션 제어 메시지(예를 들어, 통신 및 보고 오류들을 초기화하고 닫기 위해), 네트워크 구성(예를 들어, 컴퓨터의 IP 주소 및 포트 정보), 및 미디어 기능들(예를 들어, 코덱 및 해상도들이 브라우저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것 및 그것이 통신하기를 원하는 브라우저)을 교환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RTCPeerConnection API는 피어들 사이에서 스트리밍 데이터의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통신을 처리하는 WebRTC 구성 요소이다. 일 실시예에서, 구현은 다음의 프로세스들에 의한 것과 같이, API를 사용하여 통신을 위한 채널을 확립한다: 클라이언트 A는 고유 ID를 생성하고, 클라이언트 A는 그의 ID를 전달하는 App Engine app로부터 채널 토큰을 요청하고, App Engine app는 채널 API로부터 클라이언트의 ID에 대한 채널 및 토큰을 요청하고, App는 클라이언트 A에 토큰을 전송하고, 클라이언트 A는 소켓을 열고 서버 상의 채널 셋업 상에서 듣는다. 일 실시예에서, 구현은 다음의 프로세스들에 의해 메시지를 전송한다: 클라이언트 B는 업데이트와 함께 App Engine app에 POST 요청을 하고, App Engine app는 채널에 대한 요청을 전달하고, 채널은 클라이언트 A에 메시지를 전달하고, 클라이언트 A의 온메시지 콜백(onmessage callback)이 호출된다.
일 실시예에서, WebRTC는 일대일 통신을 위해, 또는 직접, 피어-투-피어로, 또는 중앙 서버를 통해 서로 통신하는 복수의 피어 각각과 통신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게이트웨이 서버들은 브라우저 상에서 실행하는 WebRTC app가 전자 장치들과 인터랙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RTCDatachannel API는 낮은 대기 시간 및 높은 스루풋으로, 임의의 데이터의 피어-투-피어 교환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현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WebRTC는 RTCPeerConnection API 세션 셋업, 우선 순위, 신뢰할 수 있고 신뢰할 수 없는 전달 의미, 빌트인 보안(DTLS), 및 혼잡 제어를 갖는 복수의 동시 채널, 및 오디오 또는 비디오와 함께 또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 없이 사용하는 능력을 레버리지(leverage)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당업자들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상기 아키텍처들에 따른 전술한 예시적 아키텍처들은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한 프로그램 명령, 소프트웨어 모듈, 마이크로코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아날로그/논리 회로, 주문형 집적 회로, 펌웨어, 소비자 전자 장치, AV 장치, 무선/유선 송신기, 무선/유선 수신기, 네트워크, 멀티미디어 장치 등과 같이 여러 가지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키텍처의 실시예들은 전체 하드웨어 실시예, 전체 소프트웨어 실시예,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요소 모두를 포함하는 실시예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장치(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들의 블록도 및/또는 흐름도 예시를 참조하여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을 기술했다. 이러한 예시/다이어그램들의 블록 각각, 또는 이들의 조합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제공될 때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하는 명령들이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에서 지정된 기능/동작들을 구현하는 수단을 생성하도록, 기계를 생산한다. 흐름도/블록도들에서 각각의 블록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로직을 나타낼 수 있다. 대안적 구현들에서,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은 도면들에서 언급된 순서를 벗어나서, 동시에 등으로 발생할 수 있다.
용어 "컴퓨터 프로그램 매체", "컴퓨터 사용 가능 매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설치된 하드 디스크, 이동식 저장 드라이브, 보조 메모리, 주 메모리와 같은 매체를 일반으로 언급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들은 컴퓨터 시스템에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수단이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이 데이터, 명령, 메시지나 메시지 패킷,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부터의 다른 판독 가능 정보를 판독할 수 있도록 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ROM,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 메모리, CD-ROM, 및 다른 영구 저장 장치와 같은 비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시스템들 사이에서 데이터 및 컴퓨터 명령들과 같은 정보를 전송하기에 유용하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명령들이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 블록 또는 블록들에서 지정되는 기능/행동을 구현하는 명령들을 포함하여 제조의 물품을 생산하도록,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은 컴퓨터,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 또는 특정 방식으로 기능하는 다른 장치들을 지시할 수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블록도 및/또는 흐름도들을 나타내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은 컴퓨터 구현 프로세스를 생산하기 위해 그 위에서 수행되는 일련의 동작들을 야기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래밍 가능 데이터 처리 장치, 또는 처리 장치들 상에 로딩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즉, 컴퓨터 제어 로직)들은 주 메모리 및/또는 보조 메모리에 저장된다. 컴퓨터 프로그램들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또한 수신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들은 실행될 때 컴퓨터 시스템이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실행될 때, 컴퓨터 프로그램들은 프로세서 및/또는 멀티 코어 프로세서가 컴퓨터 시스템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들은 컴퓨터 시스템의 제어기들을 나타낸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판독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실시예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시스템에 의한 실행을 위해 명령들을 저장하는 유형의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특정 버전을 참조하여 하나 이상의 구현들을 기술하였지만, 다른 버전들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 범위의 사상 및 범위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 바람직한 버전들의 설명에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Claims (13)

  1. 전력 관리를 위한 방법으로서,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엔드포인트 장치들을 원격 전력 관리 서비스에 등록하고 가입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엔드포인트 장치들의 전력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 전력 관리 서비스를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엔드포인트 장치들의 전력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전력 관리 서비스에 등록하고 가입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엔드포인트 장치들로부터 상기 원격 전력 관리 서비스를 탐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엔드포인트 장치들의 전력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활성 상태 장치들에 저 전력 상태에 있는 하나 이상의 장치들에 대한 상기 원격 전력 관리 서비스에 의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저 전력 상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장치들의 상태를 활성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원격 전력 관리 서비스를 탐색하는 단계는,
    상기 원격 전력 관리 서비스에 링크와 상기 엔드포인트 장치들을 정적으로 구성하는 단계;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특정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원격 전력 관리 서비스를 광고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 전력 관리 서비스를 탐색하기 위해 상기 엔드포인트 장치들에 의한 광역 서비스 탐색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전력 관리 서비스에 하나 이상의 엔드포인트 장치들을 등록하고 가입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엔드포인트 장치들을 등록하고 가입하는 상기 원격 전력 관리 서비스, 및 상기 원격 전력 관리 서비스에 광고된 상기 하나 이상의 엔드포인트 장치들을 탐색하여 등록을 가입하고 제공하는 가입하는 상기 전력 관리 서비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엔드포인트 장치들의 상기 원격 전력 관리 서비스에 의해 전력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엔드포인트 장치들로부터 상기 원격 전력 관리 서비스에 의해 상기 전력 상태 정보의 통지를 수신하는 단계;
    액션(action)을 사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엔드포인트 장치들로부터 상기 원격 전력 관리 서비스에 의해 상기 전력 상태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제어 포인트로부터 상기 전력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전력 관리 서비스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엔드포인트 장치들로부터 전력 상태 변화의 통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전력 관리 서비스는,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상태 정보는, 상기 로컬 네트워크로부터 끌어오거나 클라우드 네트워크로 푸시(push)되는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엔드포인트 장치들은, 하나 이상의 홈 네트워크 장치들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엔드포인트 장치들은, 모바일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전자 장치는, 휴대폰, 태블릿 장치, 및 모바일 컴퓨팅 장치 중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2. 서버에 있어서,
    전력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엔드포인트 장치들을 등록하고 가입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엔드포인트 장치들의 전력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및 하나 이상의 엔드포인트 장치들의 전력 상태를 변경하기 위해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특정한 하나의 엔드포인트 장치에 전력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서비스를 포함하는 서버.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제1 항 내지 제12 항 중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서버.
KR1020157017552A 2012-12-14 2013-12-03 로컬 네트워크 장치들의 클라우드 기반 전력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0828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737235P 2012-12-14 2012-12-14
US61/737,235 2012-12-14
US13/975,005 US9882743B2 (en) 2012-12-14 2013-08-23 Cloud based power management of local network devices
US13/975,005 2013-08-23
PCT/KR2013/011131 WO2014092372A1 (en) 2012-12-14 2013-12-03 Method and apparatus for cloud based power management of local network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5722A true KR20150095722A (ko) 2015-08-21
KR102082804B1 KR102082804B1 (ko) 2020-04-16

Family

ID=50932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7552A KR102082804B1 (ko) 2012-12-14 2013-12-03 로컬 네트워크 장치들의 클라우드 기반 전력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882743B2 (ko)
EP (1) EP2932651B1 (ko)
KR (1) KR102082804B1 (ko)
CN (1) CN104871481B (ko)
WO (1) WO20140923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018624A1 (de) * 2013-11-06 2015-05-07 Unify Gmbh & Co. Kg Verfahren zum sicheren und dynamischen Nachladen von zusätzlicher Software von einem WebRTC-Server in einen WebRTC-Client
CN104683743A (zh) * 2013-11-29 2015-06-03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远程监控方法、信号采集设备、远程监控设备和系统
WO2016001931A1 (en) * 2014-07-02 2016-01-07 Humavox Ltd. Cloud based power management system for electronic devices
KR101629169B1 (ko) * 2014-12-30 2016-06-13 주식회사 경동원 WebRTC와 서비스워커 기반의 홈네트워크시스템 및 방법
KR102340230B1 (ko) * 2015-01-16 2021-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두 디바이스 간 근거리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028225B2 (en) * 2015-08-26 2018-07-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fficient usage of internet services on mobile devices
US10080193B1 (en) * 2016-03-24 2018-09-18 Amazon Technologies, Inc. Power efficient wireless connectivit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75269A1 (en) * 2004-10-06 2006-04-06 Nokia Corporation Distributed link-layer wake-up agent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universal plug and play function with low power proxy
US20090172163A1 (en) * 2007-12-31 2009-07-02 Verdiem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of on-demand waking of computer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06617B1 (en) 2000-11-17 2005-06-1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ntelligent appliance home network
KR100439596B1 (ko) 2002-03-02 2004-07-12 이경목 홈 네트워크 기기 관리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050233780A1 (en) 2004-04-20 2005-10-20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ower management in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JP2006025474A (ja) 2004-07-06 2006-01-26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電気機器への電力供給管理方法および電力管理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20060075100A1 (en) * 2004-09-28 2006-04-06 Nokia Corporation System, device, software and method for providing enhanced UPnP support on devices
US8086886B2 (en) 2007-08-31 2011-12-27 Silicon Image, Inc. Group power management of network devices
US8645507B2 (en) 2008-11-05 2014-02-04 Siemens Enterprise Communications, Inc. Power management for a communications system
JP5446922B2 (ja) 2010-01-25 2014-03-19 ソニー株式会社 電力管理装置、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登録方法
US20120271472A1 (en) * 2011-04-22 2012-10-25 Joulex, Inc. System and methods for sustainable energy management, monitoring, and control of electronic devices
US8380860B2 (en) 2010-11-09 2013-02-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ducing carbon footprint and providing power savings in session initiated protocol conferenc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75269A1 (en) * 2004-10-06 2006-04-06 Nokia Corporation Distributed link-layer wake-up agent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universal plug and play function with low power proxy
US20090172163A1 (en) * 2007-12-31 2009-07-02 Verdiem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of on-demand waking of comput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871481B (zh) 2019-02-19
EP2932651A4 (en) 2016-07-20
EP2932651A1 (en) 2015-10-21
US20140173304A1 (en) 2014-06-19
CN104871481A (zh) 2015-08-26
KR102082804B1 (ko) 2020-04-16
US9882743B2 (en) 2018-01-30
EP2932651B1 (en) 2018-01-03
WO2014092372A1 (en) 2014-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2804B1 (ko) 로컬 네트워크 장치들의 클라우드 기반 전력 관리 방법 및 장치
US11330065B2 (en) Application connection for devices in a network
KR101939773B1 (ko) 다중 카메라를 이용하여 다중 채널 비디오 채팅을 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US9838528B2 (en) Voice and video calling over long term evolution-based user interface
US7936734B2 (en) Portable cellular enhancer
US20110222466A1 (en) Dynamically adjustable communications services and communications links
US20130329114A1 (en) Image magnifier for pin-point control
EP2114052A1 (en) Differentiated message delivery notification
KR102472916B1 (ko) 대화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8511844A (ja) モバイル・デバイス上のアプリケーションからリモート・ウェブ・クライアントを扱うための技法
KR20140113503A (ko) 영상 통신 방법 및 그 영상 통신 시스템
US20150149566A1 (en) Messaging service active device
US10511569B2 (en) Techniques for providing multi-modal multi-party calling
WO2016042764A1 (ja) 接続方法、接続システム、携帯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844454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이를 이용한 사용자 편의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6072970A (ja) 伝送管理装置、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伝送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40295806A1 (en) Encoded identifier based network
EP3657826B1 (en) Application connection for devices in a network
US20230199040A1 (en) Computerized system and method for suppressing audio leakage
EP2034699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interactions between a user and peers
CA2782780A1 (en) Collaborative media sharing
JPWO2011161862A1 (ja) 移動通信システム
JP2014143658A (ja) 通信端末、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