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5655A - 자동차의 차실용 보호 장치, 특히 차양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차실용 보호 장치, 특히 차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5655A
KR20150095655A KR1020157015251A KR20157015251A KR20150095655A KR 20150095655 A KR20150095655 A KR 20150095655A KR 1020157015251 A KR1020157015251 A KR 1020157015251A KR 20157015251 A KR20157015251 A KR 20157015251A KR 20150095655 A KR20150095655 A KR 20150095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sheet
guide
profile
cov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5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쿠스 힌텐나흐
베른트 슈타르쯔만
잔 레카르
Original Assignee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50095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56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19Roller blinds powered, e.g. by electric, hydraulic or pneumatic actuators
    • B60J1/2027Roller blinds powered, e.g. by electric, hydraulic or pneumatic actuators with a buckle-proof guided flexible actuating element acting on the draw bar for pushing or push-pulling, e.g. a Bowden c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44Draw bars, including elements attached to it, e.g. sliding shoes, gripping elements or pull co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47End position holding means, e.g. suction cups, hooks on a vehicle, indentations on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52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61Tensioning systems for keeping the blind taut when in use, other than spring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60J1/208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openable windows, e.g. side window

Abstract

1. 본 발명은 차실용 보호 장치, 특히 차양 장치에 관한 것이다.
2.1. 차실용 보호 장치이며, 조밀하게 보관된 정지 위치와 하나 이상의 펼쳐 고정된 기능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요성 평면 시트뿐만 아니라, 차량에 고정 장착된 작동 위치에서 상호 간에 비평행하게 연장되고 그 내에서는 평면 시트의 인출 프로파일이 안내되는 측면 가이드 레일들도 포함하는 상기 보호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가이드 레일이 펼쳐 고정된 평면 시트의 측면 에지를 덮기 위한 커버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상기 보호 장치는 공지되었다.
2.2. 본 발명에 따라서, 커버 프로파일은 평면 시트의 측면 에지를 위한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슬롯을 형성하며, 이 가이드 슬롯의 폭은, 측면 에지가 평면 시트의 펼쳐 고정된 기능 위치에서 자신의 전체 길이에 걸쳐 가이드 슬롯 안쪽으로 돌출되는 정도의 크기로 선택된다.
2.3. 본 발명은 승용차에서 이용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차실용 보호 장치, 특히 차양 장치{PROTECTIVE DEVICE, IN PARTICULAR SHADING DEVICE, FOR A VEHICLE INTERIOR OF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차실을 위한 보호 장치, 특히 차양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보호 장치는, 조밀하게 보관되는 정지 위치(rest position)와 하나 이상의 펼쳐 고정되는 기능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요성 평면 시트(flexible plane sheet) 뿐 아니라, 차량에 고정 장착된 작동 위치에서 상호 간에 비평행(nonparallel)하게 연장되고 그 내에서는 평면 시트의 인출 프로파일(pull-out profile)이 안내되는 측면 가이드 레일들(lateral guide rail)도 포함하며, 각각의 가이드 레일은 펼쳐 고정된 평면 시트의 측면 에지(side edge)를 덮기 위한 커버 프로파일(cover profile)을 포함한다.
상기 유형의 보호 장치는 DE 2004 041 385 A1로부터 승용차의 측면 윈도우를 위한 차양 장치의 형태로 공지되었다. 공지된 차양 장치는 조밀하게 보관되는 정지 위치와 측면 윈도우 앞쪽에서 펼쳐 고정되는 기능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요성 평면 시트를 포함한다. 가요성 평면 시트는 자신의 대향하는 측면 에지들 상에 각각의 비후부(thickening)를 포함하며, 이 비후부는 측면 가이드 레일들 내에서 지지된다. 평면 시트의 전방 단부면 영역(frontal end face range)은, 측면 가이드 레일들 내에서 구동 유닛에 의해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는 인출 프로파일 상에 고정된다. 구동 유닛은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푸시-풀 수단들(push-pull means)을 포함하며, 이 푸시-풀 수단들은 인출 프로파일을 포착하면서 가이드 레일들의 내부에서 이동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종래 기술에 비해 개량된 기능을 갖는 최초에 언급한 유형의 보호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는, 커버 프로파일이 평면 시트의 측면 에지를 위한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슬롯(guide slot)을 형성하며, 이 가이드 슬롯의 폭은, 측면 에지가 평면 시트의 펼쳐 고정되는 기능 위치에서 자신의 전체 길이에 걸쳐 커버 프로파일 안쪽으로 돌출될 정도의 크기로 선택되는 것을 통해 해결된다. 그러므로 커버 프로파일의 가이드 슬롯의 폭은, 평면 시트의 측면 에지의 세로방향 정렬부에 상대적으로 (가이드 슬롯의 세로방향으로 볼 때) 커버 프로파일 내지 가이드 슬롯 사이의 선형 가이드(line guide)가 이탈될 때에도 상기 측면 에지가 항상 커버 프로파일, 다시 말해 커버 프로파일의 가이드 슬롯을 통해 덮이는 정도의 크기로 선택된다. 그 결과, 가요성 평면 시트가 자신의 인출된 기능 위치에 위치될 때, 커버 프로파일과 평면 시트 사이에 보이는 틈새(viewing clearance)는 잔존하지 않게 되는 점이 보장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세로방향 연장부에서 보이는 자신의 곡률이 평면 시트의 펼쳐 고정되는 기능 위치에서 평면 시트의 측면 에지들의 세로방향 연장부로부터 이탈되는 측면 가이드 레일들을 포함하는 보호 장치를 위해 적합할 뿐만 아니라, 상호 간에 비평행하고, 그리고/또는 평면 시트의 각각의 측면 에지의 세로방향 연장부에 대해 비평행한 직선으로 정렬된 가이드 레일들을 위해서도 적합하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각각의 커버 프로파일의 가이드 슬롯은 자신의 세로방향으로, 그리고/또는 자신의 가로방향으로 갈수록 깔때기 형태로 테이퍼(taper)된다. 그 결과, 평면 시트가 자신의 정지 위치에서 펼쳐 고정되는 기능 위치로 이동할 때 평면 시트의 측면 에지들을 위한 삽입 가이드(insertion guide)가 제공된다. 평면 시트의 각각의 측면 에지가 그 내로 밀어 넣어져야 하는 커버 프로파일의 가이드 슬롯은 세로방향으로, 그에 따라 평면 시트의 인출 방향으로 갈수록 테이퍼되고, 그리고/또는 가로방향으로, 다시 말하면 평면 시트의 인출 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갈수록 테이퍼된다.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과제는, 평면 시트의 각각의 측면 에지에 각각의 측면 에지의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는 측면 가이드 스트립(lateral guide strip)이 할당되며, 그리고 커버 프로파일은 가이드 스트립을 수용하는 가이드 프로파일을 포함하고, 이 가이드 프로파일 내에서 가이드 스트립은 지속적으로 잔존하는 것을 통해서도 해결된다. 평면 시트의 각각의 측면 에지와 연결되는 평면 시트의 대향하는 세로방향 측면들 상의 두 가이드 스트립은 중공 프로파일로서 형성된 가이드 프로파일들과 함께 평면 시트를 위한 가로방향 지지부(transversal support)를 형성하며, 그럼으로써 평면 시트의 측면 에지들은 가이드 레일들로부터, 그에 따라 커버 프로파일들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빠져나갈 수 없게 된다. 평면 시트의 측면 에지들의 영역에 위치하는 가이드 스트립들은, 평면 시트가 자신의 정지 위치 또는 자신의 기능 위치에 위치되는지와 무관하게, 커버 프로파일의 상응하는 가이드 프로파일 내에 지속적으로 삽입된다. 측면 에지들과 연결된 가이드 스트립들은 인출 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평면 시트를 위한 형태 결합식 지지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추가 구현예에서, 가이드 프로파일의 수용 횡단면은 가이드 스트립의 가로방향으로 가이드 스트립의 폭보다 보상 경로(compensation path)만큼 더 넓은 폭을 보유하며, 보상 경로는 평면 시트의 인출 방향에 상대적인 비평행한 가이드 레일들의 각도를 기반으로 결정된다. 보상 경로는 인출된 기능 위치에서 평면 시트의 측면 에지의 연장부와 고정 배치된 커버 프로파일들의 비평행한 연장부 사이에서 필요한 공차를 고려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구현예에서, 중공 프로파일은 가로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그리고 가로방향에서 중간 위치에 중공 프로파일을 인장된 상태로 유지하는 스프링 수단들이 제공된다. 가이드 스트립을 수용하는 중공 프로파일은, 상기 중간 위치에서부터, 고정된 커버 프로파일을 통해 정의되는 가이드 경로(guide path)와 평면 시트의 할당된 측면 에지의 실제 인출 경로(pull-out path) 사이의 각각의 편차에 따라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보상 경로는 10과 20㎜ 사이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15㎜이다. 가로방향에서의 상기 보상 경로는 승용차의 측면 윈도우들을 위한 차양 장치들의 경우 통상의 인출 길이와 관련하여 약 300과 400㎜ 사이이다.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과제는, 커버 프로파일 내에, 인출된 기능 위치에서 평면 시트의 측면 에지를 가로방향에서 파지하는 클램핑 수단들이 제공되며, 이 클램핑 수단들은, 커버 프로파일의 내부에서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면 시트의 인출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가로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하나 이상의 클램핑 스트립(clamping strip)을 포함하는 것을 통해서도 해결된다. 하나 이상의 클램핑 스트립에는 바람직하게는 기계식으로 작동하면서 평면 시트의 할당된 측면 에지를 위한 릴리스 위치와 클램핑 위치 사이에서 클램핑 스트립을 이동시키는 제어 수단들이 할당된다. 바람직하게 제어 수단들은 인출된 기능 위치의 도달 여부에 따라서 인출 프로파일을 통해 제어되며, 하나 이상의 클램핑 스트립은 평면 시트의 인출된 기능 위치에 도달한 후에 비로소 클램핑 위치로 전환된다.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과제는, 평면 시트의 두 측면 에지가, 자신들의 길이에 걸쳐, 세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측면 에지들의 세로방향으로 작동할 수 있는 탄성 인장 수단들(elastic tensioning means)을 구비하고, 고정된 아치 섹션들(arched section)이 제공되고, 평면 시트는 펼쳐 고정된 기능 위치에서 상기 아치 섹션들에 걸쳐 연장되며, 그리고 탄성 인장 수단들은 인출된 기능 위치에서 각각 외면에서 아치 섹션들을 스쳐 이동되는 것을 통해서도 해결된다. 그 결과, 평면 시트는 펼쳐 고정된 기능 위치에서 가로방향으로 아치 섹션들을 통해 편향되고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탄성 인장 수단들에 의해 아치 섹션들을 통해 인장된 상기 위치에서 고정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아치 섹션들은 대향하는 가이드 레일들의 커버 프로파일들의 영역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아치 섹션들은 커버 프로파일의 내부에 배치되거나, 적어도 커버 프로파일들을 통해 덮인다.
본 발명의 추가 장점들 및 특징들은, 특허청구범위에서, 그리고 도면들에 따라서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하기 설명내용에서 제시된다.
도 1은 측면 윈도우를 위한 차양 장치의 형태로 본 발명에 따른 보호 장치의 일 실시예를 포함한 차실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차양 장치의 일부분을 절단하여 도시한 개략적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측면 가이드 레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과 유사하게 차양 장치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 등측도(isometric view)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가이드 레일의 부분 영역을 안쪽에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 및 도 5와 유사하게 가이드 레일 프로파일을 도시한 개략적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양 장치의 추가 실시예의 부분 영역을 도시한 개략적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차양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 및 도 8에 따른 차양 장치의 가이드 레일 섹션의 일부분을 절단하여 도시한 개략적 확대도이다.
도 10은 가이드 레일의 영역에서 본 발명에 따른 차양 장치의 추가 실시예의 일부분을 절단하여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2가지 상이한 기능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차양 장치의 추가 실시예의 일부분을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도면에 가이드 레일 프로파일의 확대된 횡단면도를 함께 통합하여 2가지 상이한 기능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차양 장치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차양 장치의 추가 실시예의 일부분을 절단하여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따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차양 장치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따른 차양 장치의 부분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승용차의 차실(F)은 운전석 및 조수석 측의 차량 시트들뿐만 아니라 벤치형 리어 시트(1)를 포함한다. 차실(F)의 대향하는 측면 표면들 상에서 벤치형 리어 시트(1)의 영역에 각각 하나의 측면 윈도우(2)가 제공되며, 이 측면 윈도우는 차양 장치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차양 장치는 광 빔 및/또는 열 방사선을 흡수하는 표면 재료로 이루어진 가요성 평면 시트를 포함하며, 이 평면 시트는 권취 샤프트(4)(winding shaft) 상에 권취 및 권출 가능하게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을 위해 이용될 수 있는 가요성 평면 시트는 보충되거나 대체되는 방식으로 방음 특성을 보유할 수 있으며, 표면 재료는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권취 샤프트(4)는 측면 윈도우(2)를 위한 윈도우 개구부(window opening)의 하부에서 차실(F)의 측면 클래딩(side cladding) 내에 공간적으로 통합되어 있다. 가요성 평면 시트는 자신의 (인출 방향에서 상부 방향으로 바라볼 때) 전방의 단부면 영역에 형태 안정적인 인출 프로파일(6)을 포함하며, 이 인출 프로파일은 구동 수단들(8)에 의해 평면 시트(5)의 펼쳐 고정되는 기능 위치로 상향 변위될 수 있고, 평면 시트(5)의 권출되는 정지 위치의 방향으로 하향 변위될 수 있다. 인출 프로파일(6)은 대향하는 측면 가이드 레일들(3) 내에서 안내된다. 대향하고 차량에 고정된 가이드 레일들(3)은 상호 간에 비평행하게 정렬된다. 각각의 가이드 레일(3)은 구동 전달 수단으로서 이용되는 가요성 샤프트(8)(flexible shaft)를 안내하기 위한 프로파일 영역(10)을 포함하며, 가요성 샤프트는 신축 방식(telescopic)으로 변위 가능한 인출 프로파일(6)의 신장 연장부(7)를 포착한다. 그 외에, 각각의 가이드 레일(3)은 가요성 평면 시트(5) 쪽으로, 다시 말하면 측면 윈도우(2)의 윈도우 중심 쪽으로 향해 있고, 가요성 평면 시트(5)의 각각의 측면 에지(12)의 수용을 위한 공동부(cavity)를 형성하는 커버 프로파일(9)을 구비한다. 가요성 평면 시트(5)의 측면 에지(12)는 본 발명의 의미에서 가이드 슬롯으로서 이용되는 세로방향 슬롯(11)을 통과하여 커버 프로파일(9)의 공동부 안쪽으로 돌출되며, 그럼으로써 평면 시트(5)의 인출된 기능 위치에서 측면 에지(12)와 각각의 가이드 레일(3)의 커버 프로파일(9) 사이에는 보이는 틈새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커버 프로파일(9)은, 자신의 공동부의 폭과 관련하여, 가요성 평면 시트(5)의 인출 또는 인입 동안 가이드 레일(3)의 고정된 정렬부와 측면 에지(12)의 이동 경로 사이의 차이가 보상될 수 있는 방식으로 치수 설계된다.
정지 위치에서 인출된 기능 위치로 인출 프로파일(6)이 상향 이동될 때 가요성 평면 시트(5)의 측면 에지(12)가 가이드 레일(3a)의 커버 프로파일(9a) 내로 삽입되는 점을 보장하기 위해, 커버 프로파일(9a)의 세로방향 슬롯(11a)은 적어도 자신의 길이의 부분 영역에 걸쳐서 깔때기 형태로 테이퍼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이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서 확인할 수 있다. 그 밖의 점에서 도 4 및 도 5에 따른 차양 장치는 앞서 도 1 및 도 2에 따라서 설명한 차양 장치와 구별되지 않으며, 따라서 반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도 1 및 도 2에 대한 설명내용이 참조된다.
도 1 내지 도 4와 유사한 추가 차양 장치의 경우, 가이드 레일 프로파일(3b)은 마찬가지로 가요성 평면 시트의 측면 에지의 수용을 위한 공동부를 포함하는 커버 프로파일(9b)을 구비한다. 상기 공동부는 대향하는 가이드 레일(3b)(미도시) 방향으로 세로방향 슬롯(11b)에 의해 개방되어 있으며, 이 세로 방향 슬롯은 가로방향에서 커버 프로파일(9b)의 공동부의 안쪽으로 갈수록 깔때기 유형으로 테이퍼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이런 가로방향의 깔때기형 테이퍼부는 도 4와 도 5에 따라서 도시된 것처럼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향의 테이퍼부와 조합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차양 장치는 원칙상 도 1 및 도 2에 따른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되고 배치된다. 그러므로 하기에서는 반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차이점만이 다루어진다. 가요성 평면 시트(5c)는 자신의 전방 단부면 영역 상에 고정 배치된 형태 안정적인 인출 프로파일(6c)에 의해 상향 인출되거나, 또는 하부 방향으로 하강된다. 인출 프로파일(6c)은 가요성 샤프트들(8c)의 형태인 2개의 구동 전달 수단에 의해 2개의 대향하는 가이드 레일(3c) 내에서 파지되어 가이드 레일들(3c)의 세로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인출 프로파일(6c)의 인출 방향 쪽으로 비평행한 가이드 레일들(3c)의 보상을 위해, 인출 프로파일(6c) 내에는 (도 1 및 도 2에 따른 실시예에서처럼) 대향하는 단부면들 상에 신축 방식으로 변위될 수 있는 신장 섹션이 각각 할당되며, 각각의 구동 전달 수단, 다시 말하면 가요성 샤프트(8c)의 단부 영역이 상기 신장 섹션을 포착한다.
가요성 평면 시트(5c)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는, 가요성 평면 시트(5c)의 대향하는 측면 에지들(12c)은 각각의 가이드 스트립(13)을 구비하며, 이 가이드 스트립은 커버 프로파일(9c) 내부의 가이드 프로파일 섹션(15) 내에서 세로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안내된다. 각각의 가이드 스트립(13)은 중앙에 배치된 웨브 영역(web range)에 의해 각각의 측면 에지(12c)와 연결되며, 웨브 영역은 커버 프로파일(9c)의 공동부를 향해 개방된 세로방향 슬롯을 통과하여 돌출된다. 가이드 스트립(13)은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평면 시트(5c)의 측면 에지(12c)보다 더 높은 형태 안정성을 보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스트립(13)은 테프론 스트립(teflon strip)으로서 형성된다. 가이드 스트립(13)은 인출 방향에서 전방인 자신의 단부 영역 상에 삽입 웨브(14)(insertion web)를 구비하며, 이 삽입 웨브는 가이드 스트립(13)의 가이드 경로에 상대적으로 커버 프로파일(9c)의 공동부 안쪽으로 복귀되어 가이드 스트립(13)의 단부 영역의 안정화에 기여한다. 도 7 내지 도 9에 따라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가이드 스트립(13)의 폭은 커버 프로파일(9c) 내부의 가이드 프로파일 섹션(15)의 폭보다 더 작다. 가이드 스트립(13)은 중간 위치에서 바깥쪽 및 안쪽에 위치하는 가이드 프로파일 섹션(15)의 에지 영역들을 향해 각각의 이격 간격을 가지며, 이 이격 간격은, 가요성 평면 시트(5c)의 인출 또는 인입 과정 동안 가이드 레일(3c)의 정렬부와 측면 에지(12c)의 이동 경로 사이의 보상 경로에 상응한다. 가요성 평면 시트(5c)의 측면 에지(12c)와 견고하게 결합된 가이드 스트립(13)은, 가요성 평면 시트(5c)가, 자신의 대향하는 측면 에지들(12c)로, 측면 윈도우(4)가 차양되는 펼쳐 고정된 기능 위치에서 커버 프로파일들(9c)로부터 빠져나갈 수 없도록 보장한다. 이런 위험은, 특히 승용차의 주행 동안 상응하는 측면 윈도우(4)가 개방되어 그로 인해 발생하는 인장 유동이 가요성 평면 시트(5c) 상에 작용할 경우 존재한다.
도 10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각각의 측면 에지(12d)의 가이드 스트립(13d)을 위한 보상 경로는, 도 7 내지 도 9에 따른 실시예에서 해당된 경우처럼, 가이드 스트립(13d)의 폭에 상대적으로 그에 상응하게 더 넓은 가이드 프로파일의 형성을 통해 달성되지 않는다. 오히려 도 10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가이드 프로파일 섹션(15d)은 가로방향으로 차량에 고정된 가이드 레일에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10에 도시되지 않은 차량에 고정된 가이드 레일은 고정된, 다시 말하면 차량에 고정된 프로파일 영역(10d)을 포함하며, 이 프로파일 영역은 구동 전달 수단(8d)의 변위를 위해 제공된 것이다. 가이드 레일의 프로파일 영역이면서 차량에 고정된 상기 프로파일 영역(10d)은 가로방향으로 바깥쪽을 향해 돌출된 웨브 프로파일 섹션(16)을 구비하며, 이 웨브 프로파일 섹션 내에서는 가이드 프로파일 섹션(15d)이 가로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된다. 웨브 프로파일 섹션(16)과 가이드 프로파일 섹션(15d) 사이에서 작동하는 스프링 어셈블리(17)는 가이드 프로파일 섹션(15d)을 지속적으로 측면에서 바깥쪽을 향해 당기며, 그럼으로써 가요성 평면 시트의 측면 에지(12d) 및 가이드 스트립(13d) 상에 바깥쪽을 향해 가로방향 장력이 가해진다.
도 11a 및 도 11b에 따른 차양 장치의 실시예의 경우, 대향하는 측면들에서 가요성 평면 시트 및 자신의 인출 프로파일(6e)에는 각각의 가이드 레일(3e)이 할당되며, 이 가이드 레일은 공동부를 형성하는 커버 프로파일(9e)뿐만 아니라 구동 전달 수단(8e)을 위한 프로파일 영역(10e)도 구비한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상대적으로 동일한 기능의 부재들은 동일한 도면부호들을 갖지만, 그러나 그 도면부호들에 알파벳 e가 추가되어 있다. 반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차양 장치의 본 실시예에서도, 전술한 실시예들과 다른 중요한 차이점만이 다루어진다. 도 11a 및 도 11b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각각의 측면 에지(12e)는 인출된 기능 위치로 인출 프로파일(6e)의 상응하는 인출 과정 동안 커버 프로파일(9e)의 공동부 내부에서 느슨하게 안내된다. 측면 에지(12e)는 이동 가능한 클램핑 스트립(18)과, 3각형 횡단면 프로파일을 보유하면서 클램핑 스트립(18)에 할당된 정지 웨브(19)(stop web) 사이에서 연장된다. 정지 웨브(19)는 가이드 레일(3e)의 중공 프로파일의 고정 부분이며 커버 프로파일(9e)의 공동부 내에 통합된다. 클램핑 스트립(18)은 가요성 평면 시트의 인출 경로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된다. 클램핑 스트립은, 가이드 레일의 내부에서 도 11a에 따른 릴리스 위치와 도 11b에 따른 클램핑 위치 사이에서 자신의 종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릴리스 위치에서 측면 에지(12e)로 향하는 클램핑 스트립(18)의 접촉면은 커버 프로파일(9e) 내부의 상응하는 중공 프로파일 섹션들과 대략 일직선으로 폐쇄된다. 클램핑 위치에서는 클램핑 스트립(18)은 도 11b의 도면에 따라서 시계 바늘과 같은 방향으로 상향 회동되며, 그럼으로써 측면 에지(12e)는 클램핑 스트립(18)의 상응하는 접촉면과 정지 웨브(19)의 측면 플랭크(side flank) 사이에서 끼임 고정된다. 그 결과, 측면 에지(12e) 상에, 그에 따라 전체 가요성 평면 시트 상에, 도 11b에서 화살표로 알 수 있는 것처럼, 가로 방향에서 바깥쪽으로 향하는 인장 하중이 생성된다.
도 12a 및 도 12b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앞서 도 11a 및 도 11b의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한 것과 유사한 클램핑과, 가요성 평면 시트(5f)에 대해 바깥쪽으로 향하는 인장 작용이 달성된다. 도 12a 및 도 12b에 따른 차양 장치는, 인출 프로파일(6f)이 측면 윈도우(2)를 위한 윈도우 개구부의 하부 에지 영역에서 폐쇄되는 정지 위치로부터 펼쳐 고정되는 기능 위치의 방향으로 상향 인출되는 가요성 평면 시트(5f)를 포함한다. 도 12a에는, 가요성 평면 시트(5f)의 부분적으로 인출된 기능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b에는, 평면 시트(5f)의 완전히 인출되어 펼쳐 고정된 기능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가요성 평면 시트(5f) 및 인출 프로파일(6f)을 위한 측면 가이드 레일(3f)에 대한 도 12a 및 도 12b에 통합되어 있는 횡단면도에 따라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가이드 레일(3f)의 커버 프로파일(9f)의 공동부 내에는 가이드 레일(3f)의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는 2개의 클램핑 로드(18f)가 제공되며, 이들 클램핑 로드는 하중을 받지 않는 정지 상태에서 가이드 레일(3f)의 세로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다. 두 클램핑 로드(18f)는 대향하는 측면들에서 가요성 평면 시트(5f) 및 인출 프로파일(6f)을 좌우에서 둘러싼다. 가요성 평면 시트의 각각의 측면 에지(12f)는 외면에 에지 비후부를 구비하며, 클램핑 로드들(18f)은 자신들의 클램핑 위치로 전환될 때 상기 에지 비후부 상에 작용할 수 있다. 가요성 평면 시트(5f)가 자신의 완전히 인출된 기능 위치에 도달했다면, 곧바로 제어 수단(20)은 단부면에서 클램핑 로드들(18f) 상에 작용하고, 그 결과 클램핑 로드들은 탄력적으로 휘어진다. 휨은 클램핑 로드들(18)의 단부면 좌굴(buckling)로 인해 측면에서 바깥쪽을 향해 수행된다. 커버 프로파일(9f) 내에서 인출 프로파일(6f)의 수용을 위한 세로방향 슬롯에 대향하는 면 상에는 그루브형 함몰부(groove-shaped depression)가 제공되며, 이 함몰부 내로는 클램핑 로드들(18f)이 바깥쪽을 향해 휘어질 때 밀어 넣어질 수 있다. 그 외에, 클램핑 로드들(18f)은, 바깥쪽을 향해 휘어질 때, 도 12b에 따른 횡단면도에서 화살표들에 따라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서로 향해 이동되는 방식으로 안내된다. 그 결과, 클램핑 로드들(18f)은 측면 에지(12f)의 에지 비후부를 안쪽에서 고정한다. 그러므로 각각의 측면 에지(12f)는 측면에서 바깥쪽을 향해, 다시 말하면 인출 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인장 하중을 받게 된다. 이런 장력 및 고정은, 도 11a 및 도 11b에 따른 실시예에서처럼, 측면 에지들(12f)이 하중이 가요성 평면 시트 상에 작용할 때 커버 프로파일(9f)로부터 빠져나갈 수 있는 점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가요성 평면 시트의 인출된 기능 위치에서 가요성 평면 시트의 할당된 측면 에지(12f)와 각각의 가이드 레일(3f) 사이에서 보이는 틈새의 발생은 신뢰성 있게 방지된다.
도 13 내지 도 16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차양 장치는 마찬가지로 자신의 전방의 단부면 영역에 형태 안정적인 인출 프로파일(6g)을 구비한 가요성 평면 시트(5g)를 포함한다. 인출 프로파일(6g)은 앞서 기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구동 전달 수단들(8g)에 의해 대향하는 가이드 레일들(3g) 내에서 변위된다. 도 13 내지 도 16에 따른 차양 장치의 실시예의 경우, 가요성 평면 시트(5g)는 외주를 따라서 인장 수단으로서 이용되는 탄성 인장 스트링(22, 23)(elastic tensioning string)을 구비하며, 이 탄성 인장 스트링은 측면 에지들(12g)에서 연장되고 인출 프로파일(6g)의 연장부에서 상응하는 편향 수단을 통해 편향된다. 스프링 밸런서 수단(23)(spring balancer mean)은 인장 스트링(22)을 예압한다. 인장 스트링 어셈블리(22, 23)는, 이 인장 스트링 어셈블리가 지속적으로 인장 응력 상태로 있도록 선택된다.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인장 스트링 어셈블리는 평면 시트(5g)의 권취된 정지 위치에서, 또는 인출되는 기능 위치의 방향으로 인출 과정 동안에도 무장력 상태이다. 장력은, 가요성 평면 시트가 측면 윈도우(2)를 완전하게 덮는 완전히 인출된 기능 위치에 인출 프로파일(6g)이 도달했을 때 비로소 가해진다. 이어서 인장 스트링 어셈블리는 인장 상태가 되며, 그럼으로써 측면 에지들이 인장된다. 가이드 레일들(3g) 내부의 커버 프로파일들(9g)은 내면에, 가이드 레일들의 연장부보다 더 강한 곡률을 갖는 아치 섹션들(21)을 구비한다. 그 결과, 인출 과정 동안 평면 시트(5g)의 상응하는 표면 섹션들은 아치 섹션들(21)의 영역에서 편향된다. 인장 스트링 어셈블리(22, 23)의 장력을 통해, 평면 시트는 강제적으로 상기 아치 섹션들(21)을 넘어서 인장되며, 그럼으로써 강제적으로 가요성 평면 시트(5g) 상에 가로방향 장력이 설정된다.
도 13 내지 도 16에 따른 차양 장치의 나머지 기능 부분들 및 섹션들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상응한다. 기능이 동일한 부분들 및 섹션들은 알파벳 g가 추가된 동일한 도면부호들을 갖는다. 그러므로 반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보충적으로, 앞서 나열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내용이 참조된다.

Claims (8)

  1. 자동차의 차실용 보호 장치, 특히 차양 장치이며, 상기 보호 장치는 조밀하게 보관되는 정지 위치와 하나 이상의 펼쳐 고정되는 기능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요성 평면 시트뿐만 아니라, 차량에 고정 장착된 작동 위치에서 상호 간에 비평행하게 연장되고 그 내에서는 평면 시트의 인출 프로파일이 안내되는 측면 가이드 레일들도 포함하고, 각각의 가이드 레일은 펼쳐 고정된 평면 시트의 측면 에지를 덮기 위한 커버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상기 보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로파일(9 내지 9g)은 상기 평면 시트(5 내지 5g)의 측면 에지(12 내지 12g)를 위한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슬롯을 형성하며, 이 가이드 슬롯의 폭은, 상기 측면 에지가 평면 시트의 펼쳐 고정되는 기능 위치에서 자신의 전체 길이에 걸쳐 상기 커버 프로파일 안쪽으로 돌출되는 정도의 크기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차실용 보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롯(11a, 11b)은 자신의 세로방향으로, 그리고/또는 자신의 가로방향으로 갈수록 깔때기 형태로 테이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차실용 보호 장치.
  3. 제1항의 전제부에 있어서, 또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시트의 각각의 측면 에지(12c, 12d)에, 각각의 측면 에지의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측면 가이드 스트립(13, 13d)이 할당되며, 그리고 상기 커버 프로파일(9c, 9d)은 가이드 스트립을 수용하는 가이드 프로파일(15c, 15d)을 포함하고, 이 가이드 프로파일 내에서 상기 가이드 스트립(13, 13d)은 지속적으로 잔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차실용 보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로파일(15)의 수용 섹션은 상기 가이드 스트립(13)의 가로방향에서 상기 가이드 스트립의 폭보다 보상 경로만큼 더 넓은 폭을 보유하며, 상기 보상 경로는 상기 평면 시트의 인출 방향에 대해 비평행한 가이드 레일들(3c)의 각도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차실용 보호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중공 프로파일(15d)은 가로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그리고 상기 중공 프로파일(15d) 상에 가로방향에서 바깥쪽을 향해 스프링 장력을 가하는 스프링 수단들(17)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차실용 보호 장치.
  6. 제1항의 전제부에 있어서, 또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로파일(9e, 9f) 내에, 인출된 기능 위치에서 상기 평면 시트의 측면 에지(12e, 13f)를 가로방향에서 파지하는 클램핑 수단들(18, 18f)이 제공되며, 이 클램핑 수단들은, 상기 커버 프로파일(9e, 9f)의 내부에서 적어도 실질적으로 상기 평면 시트의 인출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가로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하나 이상의 클램핑 스트립(18, 18f)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차실용 보호 장치.
  7. 제1항의 전제부에 있어서, 또는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시트의 두 측면 에지(12g)는, 자신들의 길이에 걸쳐, 세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측면 에지들(12g)의 세로방향으로 작동할 수 있는 탄성 인장 수단들(22, 23)을 구비하고, 고정된 아치 섹션들(21)이 제공되고, 상기 평면 시트(5g)는 펼쳐 고정된 기능 위치에서 상기 아치 섹션들에 걸쳐 연장되며, 그리고 상기 탄성 인장 수단들(22, 23)은 인출된 기능 위치에서 각각 외면에서 상기 아치 섹션들(21)을 스쳐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차실용 보호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 섹션들(21)은 상기 대향하는 가이드 레일들(3g)의 커버 프로파일들(9g)의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차실용 보호 장치.
KR1020157015251A 2012-12-10 2013-12-09 자동차의 차실용 보호 장치, 특히 차양 장치 KR201500956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222658.3A DE102012222658A1 (de) 2012-12-10 2012-12-10 Schutzvorrichtung, insbesondere Beschattungs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innenraum eines Kraftfahrzeugs
DE102012222658.3 2012-12-10
PCT/EP2013/075992 WO2014090759A1 (de) 2012-12-10 2013-12-09 Schutzvorrichtung, insbesondere beschattungs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innenraum eines kraftfahrzeug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5655A true KR20150095655A (ko) 2015-08-21

Family

ID=49911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5251A KR20150095655A (ko) 2012-12-10 2013-12-09 자동차의 차실용 보호 장치, 특히 차양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928712B1 (ko)
KR (1) KR20150095655A (ko)
CN (1) CN105073463B (ko)
DE (1) DE102012222658A1 (ko)
WO (1) WO20140907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18566A1 (de) * 2014-08-01 2016-02-04 Bos Gmbh & Co. Kg Beschattungsvorrichtung für ein transparentes Flächenteil eines Kraftfahrzeugs
DE102014215153B4 (de) * 2014-08-01 2022-01-27 Bos Gmbh & Co. Kg Beschattungsvorrichtung für ein transparentes Flächenteil eines Kraftfahrzeugs
DE102014215150A1 (de) 2014-08-01 2016-02-04 Bos Gmbh & Co. Kg Beschattungsvorrichtung für ein transparentes Flächenteil eines Kraftfahrzeugs
FR3044974B1 (fr) * 2015-12-14 2017-12-29 Advanced Comfort Systems France Sas - Acs France Dispositif d'occultation d'une surface vitree d'un pavillon de vehicule automobile a rails non paralleles.
DE102016202016A1 (de) * 2016-02-10 2017-08-10 Bos Gmbh & Co. Kg Beschattungssystem für einen Fahrzeuginnenraum
US11203255B2 (en) * 2017-05-11 2021-12-21 Bos Gmbh & Co. Kg Protect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interior
DE102021116011A1 (de) * 2021-06-21 2022-12-22 Webasto SE Führungsschiene, Rolloanordnung und Fahrzeugdach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91765A (en) * 1945-12-22 1949-12-20 Chester G Rambo Retractable antiglare device
DE10046553A1 (de) * 2000-09-19 2002-04-04 Bos Gmbh Fensterrollo für gekrümmte oder nicht rechteckige Fahrzeugfenster
JP2005104450A (ja) 2003-09-09 2005-04-21 Asmo Co Ltd サンシェード装置
DE102004017023A1 (de) * 2004-04-02 2005-10-20 Reum Gmbh & Co Betriebs Kg Fensterrollo für Kraftfahrzeuge
DE102006023813B4 (de) * 2006-05-20 2008-10-02 Daimler Ag Rollosystem mit Querspann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2222658A1 (de) 2014-06-12
EP2928712B1 (de) 2019-09-25
EP2928712A1 (de) 2015-10-14
CN105073463A (zh) 2015-11-18
WO2014090759A1 (de) 2014-06-19
CN105073463B (zh) 2017-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95655A (ko) 자동차의 차실용 보호 장치, 특히 차양 장치
JP6324698B2 (ja) 自動車のためのルーフ開放構造
US7971626B2 (en) Protective device for a vehicle interior
JP6517646B2 (ja) シェード装置
US20130038092A1 (en) Vehicle Roller Blind Arrangement, Subassembly with a Vehicle Roller Blind Arrangement, and Roof Arrangement
US20090078379A1 (en) Side window roller blind with insertion aid
AU2015411917B2 (en) Shading device of a vehicle
KR20010078789A (ko) 후방 창의 롤-업식 블라인드
US20040040676A1 (en) Shade tarp as sun shield
EP2484545A1 (en) Roll shade device
KR102089933B1 (ko) 롤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개방 루프 구조체
US9764624B2 (en) Shading device for a transparent surface part of a motor vehicle
DE10101491C1 (de) Rollo für ein durchsichtiges Dachteil in einem Fahrzeugdach
KR102291572B1 (ko) 자동차용 차양 시스템
US9227486B2 (en) Shading arrangement for a vehicle having two shading units and method for mounting a shading arrangement
EP1796929A1 (de) Abdeckvorrichtung für eine fahrzeugverglasung
US20170314309A1 (en) Shading device for a window of an automotive vehicle
CN112440697B (zh) 遮阳系统及其部件的制造方法
JP2004099031A (ja) 自動車ウインドウのための日除け用ローラブラインド装置
DE202007012954U1 (de) Sonnenrollomechanismus
US20090014135A1 (en) Lateral guide for shading roller blind, and shading roller blind for motor vehicles
CN107150575B (zh) 用于车辆内部空间的遮蔽装置
US11318822B2 (en) Shad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guide rail, vehicle roof and motor vehicle
DE102015205771B3 (de) Laderaumabdeckung für einen Personenkraftwagen
DE202004020095U1 (de) Fensterrollo für ein Fahrzeugfens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