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5264A -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5264A
KR20150095264A KR1020140016375A KR20140016375A KR20150095264A KR 20150095264 A KR20150095264 A KR 20150095264A KR 1020140016375 A KR1020140016375 A KR 1020140016375A KR 20140016375 A KR20140016375 A KR 20140016375A KR 20150095264 A KR20150095264 A KR 20150095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skin
color information
thickness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6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0011B1 (ko
Inventor
정춘복
남개원
이명렬
김명준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40016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011B1/ko
Publication of KR20150095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5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2Face or body powders for grooming, adorning or absorb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pectrometry And Color Measurement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는 동일한 색상의 파우더가 도포된,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진 복수의 인조피부 또는 실제 피부를 촬영하여 촬영된 복수의 영상의 색상 정보를 측정하는 색상 측정부 및 상기 복수의 인조피부 또는 실제 피부 각각의 색상 정보, 상기 파우더 자체의 색상 정보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의 색상 정보를 이용하여 도포된 파우더의 투과도 및 두께를 추정하는 파우더 특징 추정부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CORLOR SIMULAT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URFACE PAINTED MAKE-UP MATERIAL}
본 발명은 색상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인조스킨을 이용하여 메이크업 재료가 도표 된 표면의 색상을 시뮬레이션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련된 것이다.
파우더와 같은 메이크업 재료가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된 경우 동일한 색상의 메이크업 재료라 하더라도 사용자의 피부톤에 따라서 서로 다른 색상 및 질감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메이크업 재료가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되었을 때 가장 적절한 파우더의 색상을 고르기 위해서는 다양한 메이크업 재료를 피부에 바르는 실험을 수행해야 한다. 한편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피부를 촬영하여 가상 공간상에서 가상의 파우더를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하는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이러한 실험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피부 표면의 색상 시뮬레이션 방법은 쿠벨라 뭉크(kubelka-munk) 모델을 사용하였다. 쿠벨라 뭉크 모델은 하나의 인조스킨에 대하여 파장별 반사도를 측정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쿠벨라 뭉크 모델은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후 보정(Calibration)이 어렵고,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두께에 대한 패턴을 구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10-0047863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의 색상에 대한 시뮬레이션에 있어서 조금 더 단순화된 시뮬레이션 방식이 요구되며, 더 나아가서는 도포된 두께 패턴을 추정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장치는, 동일한 색상의 파우더가 도포된,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진 복수의 인조피부 또는 실제 피부를 촬영하여 촬영된 복수의 영상의 색상 정보를 측정하는 색상 측정부, 상기 복수의 인조피부 또는 실제 피부 각각의 색상 정보, 상기 파우더 자체의 색상 정보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의 색상 정보를 이용하여 도포된 파우더의 투과도 및 두께를 추정하는 파우더 특징 추정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조피부 또는 실제 피부 각각의 색상 정보, 상기 파우더 자체의 색상 정보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의 색상 정보는 RGB(RED-GREEN-BLUE)값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우더 특징 추정부는, 상기 복수의 인조피부 또는 실제 피부 중 하나의 인조피부 또는 실제 피부에 도포된 파우더의 두께를 1로 고정하여, 상기 도포된 파우더의 투과도 및 두께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우더 특징 추정부는, 하기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상기 도포된 파우더의 투과도 및 두께를 추정하되,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i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진 인조피부 또는 실제 피부의 개수이고, 상기 C는 상기 색상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인조피부 또는 실제 피부의 색상 정보이고, P는 도포된 파우더 고유의 색상 정보이고, 상기 β는 도포된 파우더의 투과도, T는 도포된 파우더의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T 중 하나는 1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우더 특징 추정부는, 최소자승법(least square method)을 상기 수학식1에 적용하여 상기 도포된 파우더의 투과도 및 두께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우더 특징 추정부는, 상기 도포된 파우더의 투과도를 상기 두께보다 우선적으로 추정하고,
추정된 상기 도포된 파우더의 투과도 값을 하기의 수학식2에 적용하고,
[수학식 2]
Figure pat00002
상기 도포된 파우더의 두께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인조피부 또는 실제 피부 각각의 색상 정보 및 상기 파우더 자체의 색상 정보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피부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에 가상 파우더를 도포하여 가상 파우더가 도포된 사용자의 피부의 색상정보를 시뮬레이션하는 메이크업 시뮬레이션 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메이크업 시뮬레이션 부는, 상기 파우더 특징 추정부에의해 추정된 파우더의 투과도 및 두께에 대한 파라미터를 상기 가상 파우더에 적용하여 상기 가상 파우더가 도포된 사용자의 피부의 색상 정보를 시뮬레이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장치에 있어서, 표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표시부는, 상기 시뮬레이션된 상기 사용자의 피부의 색상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방법은, 동일한 색상의 파우더가 도포된,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진 복수의 인조피부 또는 실제 피부를 촬영하는 단계 촬영된 복수의 영상의 색상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인조피부 또는 실제 피부 각각의 색상 정보, 상기 파우더 자체의 색상 정보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의 색상 정보를 이용하여 도포된 파우더의 투과도 및 두께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조피부 또는 실제 피부 각각의 색상 정보, 상기 파우더 자체의 색상 정보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의 색상 정보는 RGB(RED-GREEN-BLUE)값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포된 파우더의 투과도 및 두께를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인조피부 또는 실제 피부 중 하나의 피부에 도포된 파우더의 두께를 1로 고정하여, 상기 도포된 파우더의 투과도 및 두께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포된 파우더의 투과도 및 두께를 추정하는 단계는, 하기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상기 도포된 파우더의 투과도 및 두께를 추정하되,
[수학식 1]
Figure pat00003
상기 i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진 인조피부 또는 실제 피부의 개수이고, 상기 C는 상기 색상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인조피부 또는 실제 피부의 색상 정보이고, P는 도포된 파우더 고유의 색상 정보이고, 상기 β는 도포된 파우더의 투과도, T는 도포된 파우더의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방법에 있어서, 상기 T 중 하나는 1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포된 파우더의 투과도 및 두께를 추정하는 단계는, 최소자승법(least square method)을 상기 수학식1에 적용하여 상기 도포된 파우더의 투과도 및 두께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포된 파우더의 투과도 및 두께를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도포된 파우더의 투과도를 상기 두께보다 우선적으로 추정하고, 추정된 상기 도포된 파우더의 투과도 값을 하기의 수학식2에 적용하여
[수학식 2]
Figure pat00004
상기 도포된 파우더의 두께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피부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에 가상 파우더를 도포하여 가상 파우더가 도포된 사용자의 피부의 색상정보를 시뮬레이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시뮬레이션하는 단계는, 상기 파우더 특징 추정부에의해 추정된 파우더의 투과도 및 두께에 대한 파라미터를 상기 가상 파우더에 적용하여 상기 가상 파우더가 도포된 사용자의 피부의 색상 정보를 시뮬레이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된 상기 사용자의 피부의 색상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쿠벨카 뭉크 모델보다도 구조가 단순하며, 이로 인하여 정확한 보정이 가능하며 또한 도포된 파우더의 투과율뿐만 아니라 두께에 대한 파라미터도 구할 수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보다 더 사실적인 색상을 추정하고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3은 도2의 영역(R)의 피부의 색상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요소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장치(1000)에 따라 파우더의 빛 투과도β는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4를 참조하면 서로 다른 색상의 인조피부(C1-C3)에 파우더(P)를 도포하여 측정된 결과β를 나타낸다.
도5는 도4에서 측정된 β값과, 수학식 4를 이용하여 획득한 T를 이용하여 실제 사용자의 피부를 촬영한 영상에 파우더(P)를 도포한 경우를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다만,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는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이거나, 또는 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unit)", "모듈(module)", "장치" 또는 "시스템" 등은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 등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 장치 또는 시스템 등은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object), 실행 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및/또는 컴퓨터(computer)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터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컴퓨터의 양쪽이 모두 본 명세서의 부, 모듈, 장치 또는 시스템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실시예들이 도면에 제시된 순서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되었다. 간단히 설명하기 위하여 상기 방법은 일련의 블록들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블록들의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몇몇 블록들은 다른 블록들과 본 명세서에서 도시되고 기술된 것과 상이한 순서로 또는 동시에 일어날 수도 있으며, 동일한 또는 유사한 결과를 달성하는 다양한 다른 분기, 흐름 경로, 및 블록의 순서들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방법의 구현을 위하여 도시된 모든 블록들이 요구되지 않을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일련의 과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장치(1000)는 색상 측정부(100), 파우더 특징 추정부(200)를 포함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데이터베이스(300), 메이크업 시뮬레이션부(400) 및 표시부(5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장치는, 인조피부 또는 실제 피부 또는 실제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된 파우더가 상기 인조피부 또는 실제 피부 또는 사용자의 피부의 색상에 미치는 파라미터들을 검출하고, 이 파라미터르 이용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가상의 파우더를 도포했을 시 나타나는 피부의 색상을 시뮬레이션 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2를 참조하면 색상 측정부(100)가 인조피부 또는 실제 피부(f)에 도포된 파우더 영역(R)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을 컴퓨터로 보낸다. 컴퓨터는 촬영된 영상의 색상정보와 도포된 파우더 고유의 색상정보 및 인조피부 또는 실제 피부 고유의 색상정보를 이용하여 도포된 파우더의 투과도 및 두께에 대한 파라미터를 구하고, 이 파라미터를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고, 이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파우더가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된 경우에 사용자의 피부의 색상을 시뮬레이션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컴퓨터는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장치(1000)을 일 예시일 수 있고, 상기 구성요소들(200,300,400,5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색상 측정부(100)는 동일한 파우더가 도포된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진 복수의 인조피부 또는 실제 피부를 촬영하고, 촬영된 복수의 영상의 색상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색상 정보는 RGB(RED-GREEN-BLUE) 또는 CMYK(CYAN-MAGENTA-YELLOW-BLACK) 값일 수 있다.
예컨대, 색상 측정부(100)는 동일한 색상을 가진 파우더를 복수개의 인조피부 또는 실제 피부에 도포하고, 파우더가 도포된 인조피부 또는 실제 피부를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도2에 나타난 실험이 복수 회 실시될 필요가 있다. 인조피부 또는 실제 피부의 수만큼 색상 측정부(100)에의해 촬영된 영상 및 이 영상에 대한 색상정보가 생성된다. 상기 색상정보가RGB값인 경우 각각의 값은 벡터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색상정보"는 해당되는 요소에 대한 RGB(RED-GREEN-BLUE)값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파우더 특징 추정부(200)는 상기 색상 측정부(100)가 생성한 촬영된 영상의 색상정보, 복수의 인조피부 또는 실제 피부 각각의 색상정보 및 파우더 자체의 색상정보를 이용하여 도포된 파우더의 특징을 추정할 수 있다. 상기 도포된 파우더의 특징은 예컨대 도포된 파우더의 투과도 및 두께를 포함할 수 있다. 파우더 특징 추정부(200)는 이렇게 추정된 파우더의 투과도 및 두께에 대한 요소를 파라미터화 하여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300)는 휘발성 또는 비 휘발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인조피부 또는 실제 피부 각각의 색상정보, 상기 파우더 자체의 색상정보는 데이터베이스(300)에 미리 저장되어 있어서 상기 파우더 특징 추정부(200)가 저장된 상기 색상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복수의 인조피부 또는 실제 피부 각각의 색상정보 및 상기 파우더 자체의 색상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을 위해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장치(1000)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패드,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은 사용자 입력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도3은 도2의 영역(R)의 피부의 색상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요소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3에서 구성요소(1)은 인조피부 또는 실제 피부를 나타내고, 구성요소(2)는 파우더 도포층을 나타낸다. 다른 실시예에서 구성요소(1)은 사용자의 실제 피부를 나타낼 수도 있다.
파우더가 도포되어 나타나는 색상은 빛이 파우더 도포층(2)에서만 반사하여 나타나는 색상(C1)과 빛이 파우더 도포층(2) 및 피부(1)를 투과하여 나타나는 색상(C2)의 합(C= C1 + C2)으로 나타난다. 여기서, 파우더 도포층의 투과율을 α라 하고, 피부(1)의 색상을 S라고하면 C2 = αS로 표현될 수 있다. α는 파장마다 다르며, RGB 색상을 사용하는 경우 α는 RGB벡터값을 나타낸다. 따라서 (1-α)는 불투명도이고, 도포층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투과율α는 작아지고 불투명도 (1-α)는 커진다. 예컨대 α=0(매우 두꺼운 경우)인 경우 (1-α)는 1이된다. 즉, 도포 두께가 매우(무한대에 가까운) 큰 경우, 파우더의 색상을 P라고 하면 C1=(1-α)P가 된다. 또한 투과율 α는 도포층의 두께가 커짐에 따라서 작아지므로, Beer'law를 적용하면 α=βT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파우더가 도포되어 나타나는 피부의 색상(또는 파우더가 도포되어 나타나는 피부를 촬영하여 얻은 영상의 색상)(C)는 아래의 수학식1로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5
상기 i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진 인조피부 또는 실제 피부의 갯수이고, 상기 C는 상기 색상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인조피부 또는 실제 피부의 색상 정보이고, P는 도포된 파우더 고유의 색상 정보이고, 상기 β는 도포된 파우더의 투과도, T는 도포된 파우더의 두께이다. 여기서, i의 개수만큼의 동일한 색상의 파우더가 도포된 인조피부 또는 실제 피부를 촬영하여 색상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한다. 상기 i는 임의의 자연수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2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C, S, P,β는 RGB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Ci, Si --는 i번째 인조스킨에서의 피부와 파우더층의 색상의 합성색(C)과 인조스킨 고유의 색상정보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P는 파우더층의 두께가 무한대일 때의 색상으로 파우더 자체의 색상이다. P는 파우더 팩트를 직접 촬영하여 구할 수 있다. β는 얇은 두께의 파우더를 통과한 빛의 색상으로 일정 두께를 기준으로 측정하며 0에서 1사이의 RGB값을 갖는다. 예컨대 T=0이면 C=S이고, T가 무한대이면 C=P가 된다. 수학식1을 참조하면, 파우더층의 두께(T)에 따라 피부와 파우더의 색상의 합성색(C)가 변화되며, 파우더 고유 특성인 β에 따라서도 합성색(C)가 변화될 수있다.
예컨대, i=3인 경우를 예로들면, 상기 파우더 특징 추정부(200)는 아래의 수학식2를 이용하여 β 및 T1 내지 T3를 구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6
이때, 파우더 특징 추정부(200)는 상기 수학식2의 근사식의 오류가 최소화가 되도록 최소자승법(least square method)을 이용하여 해(β, T)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βT의 값이 유지되면서, β 와 T 값이 변화될 수 있기 때문에,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특징 추정부(200)는 Ti 중 하나를 1로 고정하여 근사식의 최적해를 구할 수 있다. 상기 1은 임의의 단위에 대한 값일 수 있다. 예컨대 T3을 1로 고정한 경우, 수학식2는 아래 수학식 3이 된다.
[수학식 3]
Figure pat00007
파우더 특징 추정부(200)는 파우더층의 빛 투과도 β는 모든 점에서 같은 값이므로, 도포영역(R) 중 임의의 점에서 파우더층의 빛 투과도를 우선적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파우더층의 빛 투과도β가 결정된 후 아래 수학식4를 이용하여 T를 구할 수도 있다.
[수학식 4]
Figure pat00008
다른 일 실시예에서,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장치(1000)는 사용자의 피부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에 가상 파우더를 도포하여 가상 파우더가 도포된 사용자의 피부의 색상정보를 시뮬레이션하는 메이크업 시뮬레이션 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이크업 시뮬레이션부(400)는 상기 파우더 특징 추정부에의해 추정된 파우더의 투과도 및 두께에 대한 파라미터를 상기 가상 파우더에 적용하여 상기 가상 파우더가 도포된 사용자의 피부의 색상 정보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 메이크업 시뮬레이션부(400)는 촬영된 영상에 특정 색상의 파우더를 도포한 경우 발현되는 색상을 예측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영상을 입력 받고, 사용자 명령에 따라 특정 파우더를 입력 받은 영상의 특정 부분에 도포하여 나타나는 색상을 시뮬레이션 하되,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특징 추정부(300)가 추정한 파우더의 두께 및 투과도에 대한 파라미터(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장치(1000)는 표시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500)는 LCD, LED, OLED, PDP 등과 같은 임의의 디스플레이 기술을 이용한 표시장치 일 수 있다. 표시부(500)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메이크업 시뮬레이션부(400)에 의해 시뮬레이션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파우더를 사용자의 피부에 실제로 도포하지 않고, 원하는 파우더에 대응하는 가상 파우더를 피부에 도포하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도포된 후 나타나는 피부의 색상을 확인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장치(1000)에 따라 파우더의 빛 투과도 β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4를 참조하면 서로다른 색상의 인조피부(C1-C3)에 파우더(P)를 도포하여 측정된 결과β를 나타낸다.
도5는 도4에서 측정된 β값과, 수학식 4를 이용하여 획득한 T를 이용하여 실제 사용자의 피부를 촬영한 영상에 파우더(P)를 도포한 경우를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방법은 동일한 색상의 파우더가 도포된,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진 복수의 인조피부 또는 실제 피부를 촬영하는 단계(S1), 촬영된 복수의 영상의 색상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S2), 상기 복수의 인조피부 또는 실제 피부 각각의 색상 정보, 상기 파우더 자체의 색상 정보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의 색상 정보를 이용하여 도포된 파우더의 투과도 및 두께를 추정하는 단계(S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인조피부 또는 실제 피부 각각의 색상 정보, 상기 파우더 자체의 색상 정보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의 색상 정보는 RGB(RED-GREEN-BLUE)값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도포된 파우더의 투과도 및 두께를 추정하는 단계(S3)는, 상기 복수의 인조피부 또는 실제 피부 중 하나의 피부에 도포된 파우더의 두께를 1로 고정하여, 상기 도포된 파우더의 투과도 및 두께를 추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포된 파우더의 투과도 및 두께를 추정하는 단계(S3)는, 하기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상기 도포된 파우더의 투과도 및 두께를 추정하되, 수학식1에서 상기 i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진 인조피부 또는 실제 피부의 갯수이고, 상기 C는 상기 색상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인조피부 또는 실제 피부의 색상 정보이고, P는 도포된 파우더 고유의 색상 정보이고, 상기β는 도포된 파우더의 투과도, T는 도포된 파우더의 두께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T 중 하나는 1일 수도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방법의 상기 도포된 파우더의 투과도 및 두께를 추정하는 단계(S3)는, 최소자승법(least square method)을 상기 수학식1에 적용하여 상기 도포된 파우더의 투과도 및 두께를 추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포된 파우더의 투과도 및 두께를 추정하는 단계(S3)는 상기 도포된 파우더의 투과도를 상기 두께보다 우선적으로 추정하고, 추정된 상기 도포된 파우더의 투과도 값을 하기의 수학식4에 적용하여, 상기 도포된 파우더의 두께를 추정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방법은 사용자의 피부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에 가상 파우더를 도포하여 가상 파우더가 도포된 사용자의 피부의 색상정보를 시뮬레이션하는 단계(S4)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시뮬레이션하는 단계(S4)는, 상기 파우더 특징 추정부에의해 추정된 파우더의 투과도 및 두께에 대한 파라미터를 상기 가상 파우더에 적용하여 상기 가상 파우더가 도포된 사용자의 피부의 색상 정보를 시뮬레이션 할 수도 있다.
또한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방법은 상기 시뮬레이션된 상기 사용자의 피부의 색상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방법은 상기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장치의 각 구성요소들(하드웨어)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단계의 설명은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장치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인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9)

  1. 동일한 색상의 파우더가 도포된,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진 복수의 인조피부 또는 실제 피부를 촬영하여 촬영된 복수의 영상의 색상 정보를 측정하는 색상 측정부;
    상기 복수의 인조피부 또는 실제 피부 각각의 색상 정보, 상기 파우더 자체의 색상 정보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의 색상 정보를 이용하여 도포된 파우더의 투과도 및 두께를 추정하는 파우더 특징 추정부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조피부 또는 실제 피부 각각의 색상 정보, 상기 파우더 자체의 색상 정보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의 색상 정보는 RGB(RED-GREEN-BLUE)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더 특징 추정부는,
    상기 복수의 인조피부 또는 실제 피부 중 하나의 피부에 도포된 파우더의 두께를 1로 고정하여,
    상기 도포된 파우더의 투과도 및 두께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더 특징 추정부는,
    하기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상기 도포된 파우더의 투과도 및 두께를 추정하되,
    [수학식 1]
    Figure pat00009

    상기 i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진 인조피부 또는 실제 피부의 갯수이고, 상기 C는 상기 색상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인조피부 또는 실제 피부의 색상 정보이고, P는 도포된 파우더 고유의 색상 정보이고, 상기 β는 도포된 파우더의 투과도, T는 도포된 파우더의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T 중 하나는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더 특징 추정부는,
    최소자승법(least square method)을 상기 수학식1에 적용하여 상기 도포된 파우더의 투과도 및 두께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더 특징 추정부는,
    상기 도포된 파우더의 투과도를 상기 두께보다 우선적으로 추정하고,
    추정된 상기 도포된 파우더의 투과도 값을 하기의 수학식2에 적용하여
    [수학식 2]
    Figure pat00010

    상기 도포된 파우더의 두께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데이터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인조피부 또는 실제 피부 각각의 색상 정보 및 상기 파우더 자체의 색상 정보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피부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에 가상 파우더를 도포하여 가상 파우더가 도포된 사용자의 피부의 색상정보를 시뮬레이션하는 메이크업 시뮬레이션 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메이크업 시뮬레이션 부는,
    상기 파우더 특징 추정부에의해 추정된 파우더의 투과도 및 두께에 대한 파라미터를 상기 가상 파우더에 적용하여 상기 가상 파우더가 도포된 사용자의 피부의 색상 정보를 시뮬레이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표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표시부는, 상기 시뮬레이션된 상기 사용자의 피부의 색상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장치.
  11. 동일한 색상의 파우더가 도포된,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진 복수의 인조피부 또는 실제 피부를 촬영하는 단계;
    촬영된 복수의 영상의 색상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인조피부 또는 실제 피부 각각의 색상 정보, 상기 파우더 자체의 색상 정보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의 색상 정보를 이용하여 도포된 파우더의 투과도 및 두께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조피부 또는 실제 피부 각각의 색상 정보, 상기 파우더 자체의 색상 정보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의 색상 정보는 RGB(RED-GREEN-BLUE)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된 파우더의 투과도 및 두께를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인조피부 또는 실제 피부 중 하나의 피부에 도포된 파우더의 두께를 1로 고정하여,
    상기 도포된 파우더의 투과도 및 두께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된 파우더의 투과도 및 두께를 추정하는 단계는,
    하기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상기 도포된 파우더의 투과도 및 두께를 추정하되,
    [수학식 1]
    Figure pat00011

    상기 i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진 인조피부 또는 실제 피부의 갯수이고, 상기 C는 상기 색상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인조피부 또는 실제 피부의 색상 정보이고, P는 도포된 파우더 고유의 색상 정보이고, 상기 β는 도포된 파우더의 투과도, T는 도포된 파우더의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T 중 하나는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된 파우더의 투과도 및 두께를 추정하는 단계는,
    최소자승법(least square method)을 상기 수학식1에 적용하여 상기 도포된 파우더의 투과도 및 두께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된 파우더의 투과도 및 두께를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도포된 파우더의 투과도를 상기 두께보다 우선적으로 추정하고,
    추정된 상기 도포된 파우더의 투과도 값을 하기의 수학식2에 적용하여
    [수학식 2]
    Figure pat00012

    상기 도포된 파우더의 두께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피부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에 가상 파우더를 도포하여 가상 파우더가 도포된 사용자의 피부의 색상정보를 시뮬레이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시뮬레이션하는 단계는, 상기 파우더 특징 추정부에의해 추정된 파우더의 투과도 및 두께에 대한 파라미터를 상기 가상 파우더에 적용하여 상기 가상 파우더가 도포된 사용자의 피부의 색상 정보를 시뮬레이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된 상기 사용자의 피부의 색상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방법.
KR1020140016375A 2014-02-13 2014-02-13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102200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6375A KR102200011B1 (ko) 2014-02-13 2014-02-13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6375A KR102200011B1 (ko) 2014-02-13 2014-02-13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5264A true KR20150095264A (ko) 2015-08-21
KR102200011B1 KR102200011B1 (ko) 2021-01-08

Family

ID=54058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6375A KR102200011B1 (ko) 2014-02-13 2014-02-13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0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5552A (ko) * 2020-07-31 2022-02-08 (주)아모레퍼시픽 메이크업 들뜸 특성을 평가하는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8560A (ja) * 1995-12-22 1997-07-11 Kao Corp 化粧肌色の予測方法
KR20100047863A (ko) 2007-08-10 2010-05-10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메이크업 시뮬레이션 시스템, 메이크업 시뮬레이션 장치, 메이크업 시뮬레이션 방법 및 메이크업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JP2010198382A (ja) * 2009-02-25 2010-09-09 Kao Corp 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3145191A (ja) * 2012-01-16 2013-07-25 Kao Corp 化粧膜の評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8560A (ja) * 1995-12-22 1997-07-11 Kao Corp 化粧肌色の予測方法
KR20100047863A (ko) 2007-08-10 2010-05-10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메이크업 시뮬레이션 시스템, 메이크업 시뮬레이션 장치, 메이크업 시뮬레이션 방법 및 메이크업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JP2010198382A (ja) * 2009-02-25 2010-09-09 Kao Corp 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3145191A (ja) * 2012-01-16 2013-07-25 Kao Corp 化粧膜の評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5552A (ko) * 2020-07-31 2022-02-08 (주)아모레퍼시픽 메이크업 들뜸 특성을 평가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0011B1 (ko) 2021-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50423B2 (ja) シミュレート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記憶媒体
KR101800102B1 (ko) 피부 진단 및 화상 처리 방법
CN103091615B (zh) 测量图像传感器的响应曲线的方法及装置
JP2009515149A5 (ko)
JP7189391B2 (ja) メタルデコのデジタルプルーフ工程
KR20150061339A (ko) 분장 컬러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방법
Lu et al. RealPigment: Paint compositing by example
KR20150095264A (ko)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JP7436453B2 (ja) 塗色検索装置
JP2012517615A (ja) カラーデバイスの特性化に品質評価を提供する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Shimizu et al. A computer aided color appearance design system for metallic car paint
JP2006267115A (ja) メイクアップ化粧料の選択装置
WO2020049860A1 (ja) 塗色評価画像の生成方法、生成プログラムおよび塗色評価画像生成装置
JP2024042521A (ja) 色情報推定方法および色情報推定装置
US9959663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procedural textures on an object
JP2013213712A (ja) 画質評価方法、画質評価装置および画質評価プログラム
JP2011227098A (ja) 塗色の質感マップのデータ構造が記録され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Märki et al. ColorBrush: Animated diffusion for intuitive colorization simulating water painting
JP2023532527A (ja) パーソナライズされた正確な仮想メイクアップトライオン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Tilinger et al. Spectral Radiosity rendering application for lighting researches
BR112022001060B1 (pt) Processo de prova digital de artigo de decoração metálico
Cortea et al. NOTES ON THE PRESERVATION OF THE NEW WAVE OF MODELING MATERIALS USED IN CONTEMPORARY ART
KR20180034968A (ko) 화장료의 색상 커버력 측정 시스템 및 커버력 측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