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5552A - 메이크업 들뜸 특성을 평가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메이크업 들뜸 특성을 평가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5552A
KR20220015552A KR1020200095682A KR20200095682A KR20220015552A KR 20220015552 A KR20220015552 A KR 20220015552A KR 1020200095682 A KR1020200095682 A KR 1020200095682A KR 20200095682 A KR20200095682 A KR 20200095682A KR 20220015552 A KR20220015552 A KR 20220015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kin
region
makeup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5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5260B1 (ko
Inventor
장수임
이명렬
김은주
정유철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200095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260B1/ko
Publication of KR20220015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5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29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using visual det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12Biomedical image inspection
    • G06T7/0014Biomedical image inspection using an image reference approac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G06T7/62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of area, perimeter, diameter or volu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90Determination of colour characteristic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021/1765Method using an image detector and processing of image signal
    • G01N2021/177Detector of the video camera typ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021/1789Time resolv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7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 G01N2021/473Compensating for unwanted scatter, e.g. reliefs, mar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87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based on image processing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Geome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실시예들은 제1 시간에서 상기 대상의 피부를 촬영한 제1 피부 영상 및 상기 제1 시간 이후의 제2 시간에서 상기 대상의 피부를 촬영한 제2 피부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피부 영상 및 제2 피부 영상을 전처리하는 단계 - 전처리 영상에서 들뜸 부분의 전체 영역의 색상과 들뜨지 않은 영역의 색상의 차이가 보다 명확하게 구별됨; 및 전처리된 제1 및 제2 피부 영상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밝기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의 피부의 들뜸 특성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들뜸 특성 평가 장치 및 방법에 관련된다.

Description

메이크업 들뜸 특성을 평가하는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EVALUATING MAKEUP SEPARATING CARACTERSTICS}
본 발명은 피부의 상태 변화를 분석하는 것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상의 피부에 도포된, 메이크업 시료의 들뜸 특성(예컨대, 들뜸 상태의 변화)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련된다.
메이크업은 피부의 결점을 감추기 위하여 피부 위에 (예컨대, 화장품 등과 같은) 메이크업 제품의 시료를 피부 위에 고르게 도포하는 행위로서, 피부의 잡티를 가리거나 피부결을 완만하게 보이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 피부에서 생성되는 물질(예컨대, 피지, 땀, 또는 기타 분비물 등)이나 외부의 환경(예컨대, 온도, 습도 등)에 의해 최초의 메이크업 상태가 유지되지 않고 변형된다. 대표적인 메이크업의 변형으로서 뭉침과 들뜸 현상이 있다.
메이크업의 들뜸은 화장막이 피부와 분리되는 현상으로 메이크업 들뜸 현상은 화장막이 피부와 분리되는 현상으로 makeup separating, flaky skin on makeup 등의 영어표현으로 번역된다. 메이크업 들뜸은 메이크업 시료가 가지고 있었던 수분이 증발하면서 시료의 원료(예컨대, 파운데이션의 원료가 되는 파우더 등)가 남게 되는 것을 원인으로 가질 수도 있다. 그러면, 피부가 고르지 않게 보이는 효과가 나타날 수도 있다. 또는, 메이크업 들뜸은 피부에 처음 메이크업을 한 직후와 달리 시간이 흐르면 피부 자체가 건조해져서 각질의 끝이 일어나게 되는 것을 다른 원인으로 가질 수도 있다. 그러면, 편평하지 않고 들떠있는 각질층 위에 메이크업 시료가 균일하지 않게 도포되어 있는 효과가 나타날 수도 있다.
한편, 메이크업의 뭉침은 피부의 주름과 같은, 피부의 굴곡 부위에 반복적인 접힘에 의해 메이크업 시료가 이동하여 도포했던 두께의 변형이 생겨 두껍게 도포되어 색상의 차이가 발생한 현상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메이크업의 뭉침과 들뜸은 분리하여 평가되어야 한다. 특히, 메이크업의 뭉침은 표정 주름 사이에서 주로 발생하지만, 메이크업 들뜸은 이마, 볼 부위 등 피부가 접히지 않는 부위에서도 일어나는 현상으로 뭉침 현상과는 차이가 있다.
종래의 대부분의 실시예들은 메이크업의 두께에 기초하여 메이크업의 뭉침 정도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뭉침 평가법은 피부 영상을 촬영하고, 뭉침이 주로 발생하는 얼굴 굴곡에 따른 색상 차를 제거하기 위한 평탄화(Flatten) 처리를 하여 메이크업의 뭉침을 평가하였다.
메이크업의 이동으로 뭉침 영역에서 메이크업 시료의 두께가 두꺼워졌기 때문에 종래의 뭉침 평가법은 피부색의 변화가 명확하게 나타나 뭉친 부위를 분리하기 용이하다. 시료의 두께가 두꺼워질 경우, 뭉침 영역과 비-뭉침 영역 상의 피부색의 차이가 명확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의 뭉침 평가법을 이용하면 뭉침을 평가하는데 높은 정확성을 가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뭉침 평가법을 이용하여 들뜸을 평가를 하면 들뜬 부위를 정확하게 잡아내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메이크업이 들뜨는 부위는 넓은 면적에 편평한 곳이 주로 들뜨고 색상의 차이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아 구별이 어렵기 때문이다. 즉, 종래의 뭉침 평가법으로는 메이크업의 들뜸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넓은 면적에 편평한 곳이 주로 들뜨고 색상의 차이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아, 종래의 뭉침 평가법으로는 분석이 불가능하였던, 피부의 들뜸 부분의 상태를 정확하게 측정 및/또는 평가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들뜸 특성 평가 장치는: 메이크업 제품의 시료가 도포된 대상의 피부를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 제1 시간에서 상기 대상의 피부를 촬영한 제1 피부 영상 및 상기 제1 시간 이후의 제2 시간에서 상기 대상의 피부를 촬영한 제2 피부 영상을 전처리하는 영상 처리부 - 전처리 영상에서 들뜸 부분의 전체 영역의 색상과 들뜨지 않은 영역의 색상의 차이가 보다 명확하게 구별됨; 및 전처리된 제1 및 제2 피부 영상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밝기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의 피부의 들뜸 특성을 평가하는 메이크업 분석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영상 촬영부는, 안면 유분 또는 메이크업 시료의 수분에 의한 피부의 반사광을 감소하는 반사방지 필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입력 영상 내 특정 영역에서 색상의 차이와 경계가 보다 명확한 영상을 출력하는 하이패스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영역은 메이크업 시료가 들뜬 부분 전체에서 들뜬 부분의 영역과 들뜨지 않은 부분의 경계를 형성하고 상대적으로 낮은 편평도를 갖는 영역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하이패스 필터가 적용된 제1 및 제2 피부 영상에서 일부 영역을 패치로 추출하도록 더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이크업 분석부는, 전처리된 제1 및 제2 피부 영상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밝기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잔차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잔차 영상은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생성되며,
[수학식]
잔차 값 = (Image 1 - Image 2) + a
여기서, Image 1은 제1 피부 영상의 밝기(intensity)를 나타내고, Imae 2는 제2 피부 영상의 밝기(intensity)를 나타내고, a는 미리 설정된 양의 상수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이크업 분석부는, 상기 잔차 영상에 역치 값을 적용하여, 역치 값 보다 낮은 밝기의 영역을 들뜸 영역으로 검출하고, 그리고 상기 들뜸 영역의 면적을 산출하도록 더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역치 값은 들뜸이 발생한 것에 대응한 색상 변화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이크업 분석부는, 상기 잔차 영상에서 상기 역치 값 이상의 영역과 상기 들뜸 영역 간의 밝기 차이를 증가시킨 대조 영상을 생성하도록 더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들뜸 특성 평가 방법은: 제1 시간에서 상기 대상의 피부를 촬영한 제1 피부 영상 및 상기 제1 시간 이후의 제2 시간에서 상기 대상의 피부를 촬영한 제2 피부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피부 영상 및 제2 피부 영상을 전처리하는 단계 - 전처리 영상에서 들뜸 부분의 전체 영역의 색상과 들뜨지 않은 영역의 색상의 차이가 보다 명확하게 구별됨; 및 전처리된 제1 및 제2 피부 영상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밝기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의 피부의 들뜸 특성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피부 영상 및 제2 피부 영상에 포함된 특정 영역에서 색상의 차이와 경계가 보다 명확해지도록 영상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특정 영역은 메이크업 시료가 들뜬 부분 전체에서 들뜬 부분의 영역과 들뜨지 않은 부분의 경계를 형성하고 상대적으로 낮은 편평도를 갖는 영역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대상의 피부의 들뜸 특성을 평가하는 단계는, 전처리된 제1 및 제2 피부 영상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밝기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잔차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잔차 영상은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생성되며,
[수학식]
잔차 값 = (Image 1 - Image 2) + a
여기서, Image 1은 제1 피부 영상의 밝기(intensity)를 나타내고, Imae 2는 제2 피부 영상의 밝기(intensity)를 나타내고, a는 미리 설정된 양의 상수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대상의 피부의 들뜸 특성을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잔차 영상에 역치 값을 적용하여, 역치 값 보다 낮은 밝기의 영역을 들뜸 영역으로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역치 값은 들뜸이 발생한 것에 대응한 색상 변화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하고, 상기 컴퓨터에 의해 동작 가능한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 명령어는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가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들뜸 특성 평가 방법을 수행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들뜸 특성 평가 장치는 메이크업 시료가 도포된 대상의 피부의 들뜸 특성을 평가할 수도 있다. 상기 들뜸 특성의 평가는 피부에서 메이크업이 들뜬 부분을 들뜸 영역으로 정확하게 검출하거나, 또는 들뜸 영역의 개수/면적 등을 통해 정량적으로 수행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 또는 종래 기술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필요한 도면이 아래에서 간단히 소개된다. 아래의 도면들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목적일 뿐 한정의 목적이 아니라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아래의 도면들에서 과장, 생략 등 다양한 변형이 적용된 일부 요소들이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들뜸 특성을 평가하는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들뜸 특성 평가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되지 않은 제1 및 제2 패치이다.
도 4는, 도 3의 제1 및 제2 패치를 전처리한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차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잔차 영상에 역치 값이 적용된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종래의 뭉침 평가법을 이용하여 실제 메이크업이 들뜬 부분을 평가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 또는 도 2의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실제 메이크업이 들뜬 부분을 평가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항목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항목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들뜸 특성을 평가하는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메이크업 들뜸 특성을 평가하는 장치(이하, "들뜸 특성 평가 장치")(1)는 영상 촬영부(10), 영상 처리부(30), 및 메이크업 분석부(50)를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들뜸 특성 평가 장치(1)는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전적으로 소프트웨어이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시스템은 데이터 처리 능력이 구비된 하드웨어 및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운용 소프트웨어를 통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unit)", "시스템" 및 "장치" 등의 용어는 하드웨어 및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또는 다른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기기일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는 실행중인 프로세스, 객체(object), 실행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등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들뜸 특성 평가 장치(1)의 개념들(예를 들어, 구성요소(10, 30, 50)의 동작들)은 (Canfield사(Fairfield, NJ, USA)의 VISIA-CR® 시스템과 같은) 피부 분석용 영상 시스템 또는 컴퓨터용 소프트웨어 또는 고객용 앱으로서 다양한 컴퓨팅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 장치, 컴퓨터 등)에 통합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는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도록 설계되고, 그리고 영상 내 대상의 피부의 들뜸 영역을 검출 및/또는 들뜸 특성을 평가하고, 나아가 동작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영상 촬영부(10)는 대상의 피부를 촬영하는 구성요소로서, 본 기술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영상 촬영기기로 구현될(implemented)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 촬영부(10)는 대상의 피부 영상을 촬영하여 광학 영상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영상 촬영부(10)는 Canfield사(Fairfield, NJ, USA)의 VISIA-CR® 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 촬영부(10)는 반사방지 필터(11)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반사방지 필터(11)는, 예를 들어 크로스 필터(corss-filter)일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진 않는다.
상기 반사방지 필터(11)는 안면 유분 또는 메이크업 시료의 수분에 의한 피부의 반사광을 감소시킨다. 상기 반사방지 필터(11)는 안면 유분 또는 메이크업 시료의 수분이 들뜸 특성의 평가를 위한 색상 분석에 오차를 야기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영상 촬영부(10)는 제1 시간에서 대상의 피부를 포함한 제1 피부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시간에서 동일한 대상의 피부를 포함한 제2 피부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촬영되는 피부는 화장품의 도포와 같은, 메이크업이 수행되는 영역이다. 예를 들어, 상기 촬영되는 피부는 얼굴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일 수도 있다.
상기 제1 시간은 제2 시간 보다 이전의 시간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시간은 메이크업 직후일 수도 있다. 메이크업 직후 시간은 메이크업 완료 시간으로부터 수초(few seconds), 또는 수분(few mintues)의 시간이다. 메이크업 직후 시간에 촬영된 상기 제1 피부 영상은 메이크업 완료 이후 메이크업 상태의 변형(예를 들어, 들뜸 또는 뭉침 등)이 발생하지 않은 피부를 표현한다.
상기 제2 시간은 상기 제1 시간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지나, 메이크업 상태의 변형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시간이다. 메이크업 직후로부터 들뜸이 육안으로 관찰되기 시작되는 시간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시간은 상기 제1 시간으로부터 수 시간(예를 들어, 5 내지 7 시간)일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2 시간이 이에 제한되진 않으며, 피부의 특성이나 메이크업 제품의 물질(예컨대, 화장료)에 따라서 다양한 제2 시간이 활용될 수도 있다.
영상 촬영부(10)는 영상 데이터(예를 들어, 제1 피부 영상 및 제2 피부 영상)를 다른 구성요소들(30 또는 5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영상 처리부(30)는 영상 촬영부(10)로부터 제공된 피부 영상에서 들뜸 영역의 경계가 보다 선명해지도록 영상을 전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 처리부(30)는 하이패스 필터(high-pass filter)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하이패스 필터에 의해 영상 내 색상의 차이와 경계가 명확하게 되고, 하이패스 필터가 적용된 피부 영상은 들뜸 영역의 경계가 보다 선명하게 변형된다.
메이크업 들뜸이 발생하는 영역 전체에서 특정 영역은 들뜨지 않은 부분과 색상 차이가 크다. 상기 특정 영역은 들뜸 상태가 주로 나타나는 영역으로서, 전체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가지고, 들뜬 시료 층이 상대적으로 큰 편평도(예를 들어, 완전 또는 거의 평탄함(flat))를 가진다. 반면, 다른 특정 영역은 들뜨지 않은 부분과 색상 차이가 크지 않아, 구별이 어렵다. 상기 다른 특정 영역은 전체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을 가지고, 들뜬 시료 층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평도(예를 들어, 편평하지 않고 경사가 상대적으로 심함)를 가진다. 상기 다른 특정 영역이 들뜸 영역의 경계를 형성한다.
상기 하이패스 필터에 의해 상기 다른 특정 영역 내 픽셀 간 경계가 명확하게 되어 결국 상기 다른 특정 영역의 색상과 들뜨지 않은 부분의 색상 차이가 더욱 증가한다.
즉, 메이크업이 들뜨는 부위는 넓은 면적에서 편평한 곳이 주로 들뜨기 때문에, 하이패스 필터가 적용되어야 적용 영상에서 개별 들뜸 부분의 전체 영역의 색상과 들뜨지 않은 영역의 색상의 차이가 보다 명확하게 구분되어, 결국 들뜸 부분의 전체 영역의 경계가 명확해진다.
또한, 영상 처리부(30)는 피부 영상의 부분 영역을 추출하는 동작, 예를 들어 크로핑(cropping) 처리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 처리부(30)는 제1 피부 영상과 제2 피부 영상에서 동일한 부분 영역을 지정하고, ROI(Region of Interest) 패치로 추출할 수도 있다. 그러면, 제1 피부 영상의 ROI 패치(이하, "제1 패치")와 제2 피부 영상의 ROI 패치(이하, "제2 패치")의 피부 부분 영역에 대한 들뜸 특성이 평가된다.
영상 처리부(30)는 전처리된 제1 피부 영상과 전처리된 제2 피부 영상을 메이크업 분석부(50)에 제공할 수도 있다.
메이크업 분석부(50)는 전처리된 제1 및 제2 영상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이용하여 대상의 피부의 메이크업 상태의 변화를 분석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메이크업 분석부(50)는 전처리된 제2 피부 영상의 전부 또는 일부(예컨대, 제2 패치)와 전처리된 제1 피부 영상의 전부 또는 일부(예컨대, 제1 패치)에 기초하여 대상의 피부의 들뜸 특성을 평가할 수도 있다. 상기 대상의 피부의 들뜸 특성은 제1 시간으로부터 제2 시간 동안의 대상의 메이크업 상태의 변화로 인해 들뜸의 발생 여부, 및 메이크업 시료가 들뜬 부분의 정도(예컨대, 개수, 면적 등)를 포함한다.
상기 메이크업 분석부(50)는, 상기 대상의 들뜸 특성을 정량적으로 산출하기 위해, 전처리된 제1 및 제2 피부 영상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밝기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잔차 영상을 생성한다.
메이크업 분석부(50)는 상기 전처리된 제1 피부 영상(예컨대 제1 패치)과 제2 피부 영상(예컨대 제2 패치)을 다음의 수학식에 적용한다.
[수학식 1]
잔차 값 = (Image 1 - Image 2) + a
여기서, Image 1은 제1 피부 영상의 밝기(intensity)를 나타내고, Imae 2는 제2 피부 영상의 밝기(intensity)를 나타낸다. 잔차 값은 동일한 위치(예컨대, 동일한 픽셀)의 밝기의 차이에 기초한다.
a는 미리 설정된 양의 상수로서, 영상의 모든 영역 범위에서 밝기의 차이 값을 양수로 보정 가능한 값을 가진다. 잔차 값이 양수이여야 영상으로 구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a는 예를 들어 125 내지 130(예컨대, 128)일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영상 촬영부(10)의 촬영 사양(예컨대, 해상도 등), 대상 피부에 따라 다양한 값을 가질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이크업 분석부(50)는 상기 밝기 차이에 기초하여 잔차 영상(residual image)을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잔차 영상은 상기 잔차 값에 대응한 밝기를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학식 1에서 사용된 영상이 패치인 경우, 상기 잔차 영상의 사이즈는 패치의 사이즈에 대응한다.
잔차 영상은 피부에서 시료가 들뜬 부분이 들뜨지 않은 부분과 구별되도록 구성된다. 잔차 영상 잔차 영상에서는 들뜸 영역이 어두운 부분으로 표현된다.
또한, 메이크업 분석부(50)는 미리 설정된 역치 값을 상기 잔차 영상에 적용하도록 더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역치 값은 영상 내 색상의 변화가 최소한으로 발생하는 시점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역치 값은 들뜸이 발생한 것에 대응한 최소한의 색상 변화를 나타내나.
잔차 영상이 상기 역치 값 보다 더 큰 밝기의 픽셀을 가지면, 제2 영상의 촬영 시점에 해당 픽셀에서 최소한의 색상 변화 보다 더 큰 색상 변화가 발생한 것을 나타낸다. 또한, 해당 픽셀에서 들뜸이 발생한 것을 나타낸다.
메이크업 분석부(50)는 역치 값을 적용하여 들뜸 영역을 검출할 수도 있다. 상기 잔차 영상에서 역치 값 보다 낮은 밝기의 영역이 들뜸 영역으로 검출된다.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들뜸 영역의 개수가 산출된다.
또한, 메이크업 분석부(50)는 역치 값을 적용하여 들뜸 영역의 면적을 산출할 수도 있다. 영상(또는 패치)에 나타난 피부 영역에서 발생한 들뜸 영역의 면적은 잔차 영상의 픽셀로 정량화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이크업 분석부(50)는 역치 값을 잔차 영상에 적용하여 들뜸 영역과 비-들뜸 영역을 더욱 구별한 영상(대조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메이크업 분석부(50)는 잔차 영상에서 역치 값 보다 높은 값을 갖는 부분의 원래 밝기(intensity)를 보다 높게 변경할 수도 있다. 그러면 해당 영역은 보다 밝게 표시된다. 또한, 메이크업 분석부(50)는 잔차 영상에서 역치 값 보다 낮은 값을 갖는 부분의 원래 밝기(intensity)를 보다 높게 변경할 수도 있다. 그러면, 해당 영역은 보다 어둡게 표시된다.
결국, 잔차 영상에 역치 값을 적용한 대조 영상에서 들뜸 영역이 보다 어둡게 변경되어, 비-들뜸 영역과 보다 명백하게 구별될 수도 있다.
메이크업 분석부(50)는 상기 잔차 영상 또는 상기 대조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들뜸 특성 평가 장치(1)는 사용자에게 들뜸 영역 평가 결과를 보다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이크업 분석부(50)는 상기 대조 영상에서 들뜸 영역의 면적을 산출할 수도 있다.
상기 들뜸 특성 평가 장치(1)가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서술되지 않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예측 시스템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데이터 엔트리를 위한 입력 장치, 및 디스플레이, 인쇄 또는 다른 데이터 표시를 위한 출력 장치, 메모리와 같은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 서술된 동작에 필요한 다른 하드웨어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메이크업 들뜸 특성을 평가하는 방법(이하, "들뜸 특성 평가 방법")은 프로세서를 포함한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프로세서를 포함한 컴퓨팅 장치는, 예를 들어 상기 들뜸 특성 평가 장치(1) 또는 일부 구성요소(예컨대, 영상 처리부(30) 및/또는 메이크업 분석부(50))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다른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서, 상기 들뜸 특성 평가 방법이 상기 들뜸 특성 평가 장치(1)에 의해 수행되는 실시예들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들뜸 특성 평가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들뜸 특성 평가 방법은: (예를 들어, 영상 처리부(30)에 의해) 대상의 제1 피부 영상 및 제2 피부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1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피부 영상 및 제2 피부 영상은 상기 영상 촬영부(10)에 의해 생성된 영상일 수도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피부 영상은 대상의 촬영된 피부 영역 중 일부 또는 전부에서 메이크업 들뜸 상태의 변화를 분석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들뜸 특성 평가 방법은: 상기 제1 피부 영상 및 제2 피부 영상을 전처리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S30)는: 제1 피부 영상 및 제2 피부 영상에서 동일한 서브 영역을 지정하는 단계; 및 지정된 서브 영역의 패치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지정된 서브 영역의 패치는 평가 부분을 포함하며, ROI 패치로 지칭된다.
또한, 상기 단계(S30)는: 제1 피부 영상 및 제2 피부 영상을 하이패스 필터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피부 영상 및 제2 피부 영상에 하이패스 필터가 적용되어, 상기 제1 피부 영상 및 제2 피부 영상에 포함된 특정 영역에서 색상의 차이와 경계가 보다 명확해지도록 영상을 처리된다. 여기서, 상기 특정 영역은 메이크업 시료가 들뜬 부분 전체에서 들뜬 부분의 영역과 들뜨지 않은 부분의 경계를 형성하고 상대적으로 낮은 편평도를 갖는 영역일 수도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상기 하이패스 필터에 적용되는 영상은 상기 제1 패치 및 제2 패치일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되지 않은 제1 및 제2 패치이고, 도 4는, 도 3의 제1 및 제2 패치를 전처리한 결과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도 4의 전처리된 제1 패치 및 제2 패치가 도 3의 전처리되지 않은 제1 패치 및 제2 패치 보다 높은 선명도를 가짐으로써, 메이크업 시료가 실제로 들뜬 부분의 경계가 보다 명확하게 구별된다.
상기 들뜸 특성 평가 방법은: 단계(S30)의 영상으로부터 상기 대상의 메이크업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S5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이크업 상태는 들뜸 상태의 변화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들뜸 상태의 변화는: 들뜸 상태의 변화 여부 및/또는 변화 정도를 포함하며, 들뜸 영역의 개수, 개별 들뜸 영역의 면적 등에 의해 정량화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S50)는: 제1 시간으로부터 제2 시간 동안의 상기 대상의 들뜸 상태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단계(S30)의 영상을 상기 수학식 1에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된 잔차 값에 기초하여 잔차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차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수학식 1에 따른 잔차 값에 기초하여 도 5의 잔차 영상이 산출된다. 잔차 영상에서 메이크업 시료가 실제로 들뜬 부분이 광학 영상 또는 전처리 영상 보다 식별력이 있게 표현된다.
또한, 상기 단계(S50)는 상기 잔차 영상에 미리 설정된 역치 값을 적용하여 상기 잔차 영상에서 들뜸 영역의 면적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단계(S50)에서 역치 값 보다 낮은 밝기를 갖는 픽셀의 면적이 산출됨으로써, 들뜸 영역의 면적이 정량적으로 산출된다.
또한, 상기 단계(S50)에서 대조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도 6은, 도 5의 잔차 영상에 역치 값이 적용된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5의 잔차 영상에 역치 값을 적용한 대조 영상을 획득할 수도 있다. 상기 대조 영상은 상기 역치 값 보다 높은 밝기를 갖는 픽셀의 밝기를 증가시키고, 상기 역치 값 보다 낮은 밝기를 갖는 픽셀의 밝기는 감소시킨 영상이다.
상기 들뜸 영역은 잔차 영상 또는 대조 영상에서 상기 역치 값 보다 낮은 밝기를 갖는, 상대적으로 어두운 영역으로 표현된다. 상기 들뜸 영역은 대조 영상에서 비-들뜸 영역에 대해 보다 선명하게 구별된다.
이러한 단계(S50)의 과정은 전술한 메이크업 분석부(50)의 동작과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들뜸 특성 평가 장치(1) 및 방법은, 종래의 뭉침 평가법을 이용할 경우 정확하게 평가할 수 없는 메이크업이 들뜬 부분을 보다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들뜸 특성 평가 장치(1) 및 방법은 메이크업 제품의 메이크업 지속성을 평가하는데 활용될 수도 있다.
도 7은 종래의 뭉침 평가법을 이용하여 실제 메이크업이 들뜬 부분을 평가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1 또는 도 2의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실제 메이크업이 들뜬 부분을 평가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는 들뜸 특성 평가 장치(1) 및/또는 방법을 이용하여 실제 메이크업이 들뜬 부분을 평가한 결과가 표시된다.
도 7을 참조하면, 기존의 뭉침 평가법을 이용하여 메이크업 상태가 들떴는지를 분석할 경우, 실제로는 메이크업이 들뜨지 않은 부분이 들뜸 영역으로 검출될 수도 있다(도 7 오른편에 동그라미로 표시됨). 또한, 들뜸 영역으로 검출되어야 하는, 실제로 메이크업이 들떠있는 부분이 검출되지 않을 수도 있다(도 7 왼편에 화살표로 표시됨).
그러나,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 따른 들뜸 특성 평가 장치(1) 및 방법을 이용하면, 실제로 메이크업이 들뜬 부분이 들뜸 영역으로 정확하게 검출되는 것이 확인된다.
이러한 들뜸 특성 평가 장치(1) 및 방법을 통해 대상의 피부의 들뜸 특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들뜸 특성 평가 장치(1) 및 방법은 메이크업 제품의 메이크업 지속성을 평가하는데 활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메이크업 제품에 대해 들뜸 특성을 평가하고, 동일한 대상에 대해 상기 제1 메이크업 제품과 상이한 원료로 이루어진 제2 메이크업 제품에 대해 들뜸 특성을 평가하면, 상기 제2 메이크업 제품과 제1 메이크업 제품의 지속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도 있다. 들뜸 발생 정도가 낮은 제품이 높은 지속성을 갖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들뜸 특성 평가 장치(1) 및 방법에 의한 동작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 구성되는 프로그램 제품과 함께 구현되고, 이는 기술된 임의의 또는 모든 단계, 동작, 또는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메이크업 제품의 시료가 도포된 대상의 피부를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
    제1 시간에서 상기 대상의 피부를 촬영한 제1 피부 영상 및 상기 제1 시간 이후의 제2 시간에서 상기 대상의 피부를 촬영한 제2 피부 영상을 전처리하는 영상 처리부 - 전처리 영상에서 들뜸 부분의 전체 영역의 색상과 들뜨지 않은 영역의 색상의 차이가 보다 명확하게 구별됨; 및
    전처리된 제1 및 제2 피부 영상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밝기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의 피부의 들뜸 특성을 평가하는 메이크업 분석부를 포함하는 들뜸 특성 평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촬영부는,
    안면 유분 또는 메이크업 시료의 수분에 의한 피부의 반사광을 감소하는 반사방지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뜸 특성 평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입력 영상 내 특정 영역에서 색상의 차이와 경계가 보다 명확한 영상을 출력하는 하이패스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영역은 메이크업 시료가 들뜬 부분 전체에서 들뜬 부분의 영역과 들뜨지 않은 부분의 경계를 형성하고 상대적으로 낮은 편평도를 갖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뜸 특성 평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하이패스 필터가 적용된 제1 및 제2 피부 영상에서 일부 영역을 패치로 추출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뜸 특성 평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이크업 분석부는,
    전처리된 제1 및 제2 피부 영상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밝기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잔차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잔차 영상은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생성되며,
    [수학식]
    잔차 값 = (Image 1 - Image 2) + a
    여기서, Image 1은 제1 피부 영상의 밝기(intensity)를 나타내고, Imae 2는 제2 피부 영상의 밝기(intensity)를 나타내고, a는 미리 설정된 양의 상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뜸 특성 평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이크업 분석부는,
    상기 잔차 영상에 역치 값을 적용하여, 역치 값 보다 낮은 밝기의 영역을 들뜸 영역으로 검출하고, 그리고
    상기 들뜸 영역의 면적을 산출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역치 값은 들뜸이 발생한 것에 대응한 색상 변화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뜸 특성 평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이크업 분석부는,
    상기 잔차 영상에서 상기 역치 값 이상의 영역과 상기 들뜸 영역 간의 밝기 차이를 증가시킨 대조 영상을 생성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8.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들뜸 특성 평가 방법에 있어서,
    제1 시간에서 상기 대상의 피부를 촬영한 제1 피부 영상 및 상기 제1 시간 이후의 제2 시간에서 상기 대상의 피부를 촬영한 제2 피부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피부 영상 및 제2 피부 영상을 전처리하는 단계 - 전처리 영상에서 들뜸 부분의 전체 영역의 색상과 들뜨지 않은 영역의 색상의 차이가 보다 명확하게 구별됨; 및
    전처리된 제1 및 제2 피부 영상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밝기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의 피부의 들뜸 특성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들뜸 특성 평가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피부 영상 및 제2 피부 영상에 포함된 특정 영역에서 색상의 차이와 경계가 보다 명확해지도록 영상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영역은 메이크업 시료가 들뜬 부분 전체에서 들뜬 부분의 영역과 들뜨지 않은 부분의 경계를 형성하고 상대적으로 낮은 편평도를 갖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뜸 특성 평가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의 피부의 들뜸 특성을 평가하는 단계는,
    전처리된 제1 및 제2 피부 영상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밝기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잔차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잔차 영상은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생성되며,
    [수학식]
    잔차 값 = (Image 1 - Image 2) + a
    여기서, Image 1은 제1 피부 영상의 밝기(intensity)를 나타내고, Imae 2는 제2 피부 영상의 밝기(intensity)를 나타내고, a는 미리 설정된 양의 상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뜸 특성 평가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의 피부의 들뜸 특성을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잔차 영상에 역치 값을 적용하여, 역치 값 보다 낮은 밝기의 영역을 들뜸 영역으로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역치 값은 들뜸이 발생한 것에 대응한 색상 변화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뜸 특성 평가 방법.
  12.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하고, 상기 컴퓨터에 의해 동작 가능한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 명령어가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가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들뜸 특성 평가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200095682A 2020-07-31 2020-07-31 메이크업 들뜸 특성을 평가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485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682A KR102485260B1 (ko) 2020-07-31 2020-07-31 메이크업 들뜸 특성을 평가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682A KR102485260B1 (ko) 2020-07-31 2020-07-31 메이크업 들뜸 특성을 평가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552A true KR20220015552A (ko) 2022-02-08
KR102485260B1 KR102485260B1 (ko) 2023-01-06

Family

ID=80252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682A KR102485260B1 (ko) 2020-07-31 2020-07-31 메이크업 들뜸 특성을 평가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26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0060A (ko) * 2010-11-10 2012-05-1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메이크업 제품의 피부 밀착력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 방법
US20120300050A1 (en) * 2011-05-27 2012-11-29 Lvmh Recherche Method for characterizing the tone of the skin and integuments
KR20140069885A (ko) * 2012-11-30 2014-06-10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의 효능 평가를 위한 피부 이미지 생성 방법 및 장치
KR20150095264A (ko) * 2014-02-13 2015-08-21 (주)아모레퍼시픽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0060A (ko) * 2010-11-10 2012-05-1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메이크업 제품의 피부 밀착력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 방법
US20120300050A1 (en) * 2011-05-27 2012-11-29 Lvmh Recherche Method for characterizing the tone of the skin and integuments
KR20140069885A (ko) * 2012-11-30 2014-06-10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의 효능 평가를 위한 피부 이미지 생성 방법 및 장치
KR20150095264A (ko) * 2014-02-13 2015-08-21 (주)아모레퍼시픽 메이크업 재료가 도포된 표면 색상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5260B1 (ko) 202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47730B2 (ja) 顔検知を用いた顔及び肌の自動美化
US11069057B2 (en) Skin diagnostic device and skin diagnostic method
Emami et al. Facial recognition using OpenCV
EP2333720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on of specularity in an image
US200200810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enhancing graphical images
Chantharaphaichi et al. Automatic acne detection for medical treatment
CN107123124B (zh) 视网膜图像分析方法、装置和计算设备
Chang et al. Automatic facial skin defect detection system
US1065022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ich determines category to which object in image belongs, method therefor, and object discrimination apparatus
Brémond et al. Saliency maps of high dynamic range images
CN110012287B (zh) 基于视网膜感知的数字相机影像传感器的脏污自检方法
CN107705279B (zh) 实现双重曝光的图像数据实时处理方法及装置、计算设备
JP6185807B2 (ja) シワ状態分析方法及びシワ状態分析装置
JP6527765B2 (ja) シワ状態分析装置及びシワ状態分析方法
KR20100077607A (ko) 노이즈 필터
KR20230016571A (ko) 필름 검사 장치, 필름 검사 방법 및 프로그램
EP3580725A1 (en) A method of matching colours
US20100226578A1 (en) Object detecting apparatus, and object detecting method
WO2018203514A1 (ja) 画像解析評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画像解析評価装置
KR20220015552A (ko) 메이크업 들뜸 특성을 평가하는 장치 및 방법
Madooei et al. Detecting specular highlights in dermatological images
JP2014217456A (ja) 素肌または化粧肌の質感評価方法
Yan et al. Recording and documenting the chromatic information of architectural heritage
JP6730051B2 (ja) 肌状態評価方法
Yang et al. A method of steel strip image segmentation based on local gray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