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4831A - 회분식 반응조의 공정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회분식 반응조의 공정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4831A
KR20150094831A KR1020140014941A KR20140014941A KR20150094831A KR 20150094831 A KR20150094831 A KR 20150094831A KR 1020140014941 A KR1020140014941 A KR 1020140014941A KR 20140014941 A KR20140014941 A KR 20140014941A KR 20150094831 A KR20150094831 A KR 20150094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entration
measured
measuring
reaction
nitro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4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세영
Original Assignee
(주)수엔지니어링 & 컨설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수엔지니어링 & 컨설팅 filed Critical (주)수엔지니어링 & 컨설팅
Priority to KR1020140014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4831A/ko
Publication of KR20150094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8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회분식 반응조의 공정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반응조 내부로 폐수가 유입됨과 동시에 반응조 내부의 교반기가 가동되며 탈질화 반응이 진행되는 경우에, 질산성 질소의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질산성 질소의 농도가 소정의 농도값 이하인 경우에 교반기의 가동을 중단하고, 공기 공급 장치를 가동시키는 과정을 통해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분식 반응조에서 측정한 질산성 질소의 농도와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를 측정값에 기초한 공정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공기공급장치의 효율적 운영이 가능하게 되며, 그에 따라 에너지 비용 절감과 함께 질소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회분식 반응조의 공정 제어 방법{Process Controlling Method in Sequencing Batch Reactor}
본 발명은 회분식 반응조의 공정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분식 반응조에서 측정한 질산성 질소 농도와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의 실시간 측정값에 기초한 공정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공기공급장치의 효율적 운영이 가능하게 되며, 그에 따라 에너지 비용 절감과 함께 질소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최적의 회분식 반응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속 회분식 반응조(Sequencing Batch Reactor: SBR)는 활성슬러지 공정의 일종으로 유입(Fill), 반응(React), 침전(Settle), 배출(Draw), 휴지(Idle)의 주기를 반복하면서 단일 반응조에서 유기물 제거, 질소제거, 고액분리, 슬러지 배출을 회분식으로 수행한다.
유입(Fill) 공정인 하수 유입은 대략 한 주기시간의 50%를 차지하며 유입주기 동안 생물학적 유기물 제거반응, 탈질화 반응, 그리고 질산화 반응을 수행하며 하수 유입이 멈춘 후 반응(React) 공정에서 생물학적 반응은 지속된다.
반응공정 이후 동일 반응조에서 침전(Settle)에 의한 고액분리 기능이 수행된다. 처리된 상등수는 배출(Draw)공정 시간에 디켄터에 의해 유출된다. 처리의 한 단계가 끝나면 다른 반응조와 주기 시간을 조정하고 폐슬러지를 배출하기 위해 휴지(Idle)시간을 갖는다.
이와 같은 SBR 공정은 단일 반응조에서 유입, 반응, 침전, 배출, 휴지 공정 주기(시간)를 조절하는 자동화 운전이 가능하여 유입 부하량 변동, 계절별 수온 변화에 따른 효율적인 운영변수 조절이 필요하다.
SBR의 자동화 기술은 유입, 반응, 침전, 배출, 휴지의 주기별 운영 시간을 설정하여 운영한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SBR 운영의 1 주기 내에서의 적정 시간 배분이 어려워 호기성 조건에서의 질산화 반응과 무산소 조건에서의 탈질화 반응 간 적정 시간 분배가 어려워 질소 처리효율이 감소되어 방류수 수질기준 준수의 불안정성이 가중되며 불필요한 공기공급시설의 가동으로 에너지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회분식 반응조에서 측정한 질산성 질소 농도와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의 실시간 측정값에 기초한 공정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공기공급장치의 효율적 운영이 가능하게 되며, 그에 따라 에너지 비용 절감과 함께 질소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최적의 회분식 반응조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회분식 반응조의 공정 제어 방법은, 폐수의 유입 공정, 반응 공정, 침전 공정, 배출 공정, 및 휴지 공정이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회분식 반응조에서의 공정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반응조 내부로 폐수가 유입됨과 동시에 상기 반응조 내부의 교반기가 가동되며 탈질화 반응이 진행되는 경우에, 질산성 질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b) 측정된 상기 질산성 질소의 농도가 제1 농도값 이하인 경우에 상기 교반기의 가동을 중단하고, 공기 공급 장치를 가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 단계 이후, 상기 (b) 단계 이전에, 측정된 상기 질산성 질소의 농도가 제1 농도값 초과인 경우에 상기 폐수의 유입 지속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폐수의 유입 지속 시간이 제1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교반기의 가동을 중단하고, 상기 공기 공급 장치를 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 단계 이후에, (c)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제2 농도값 이하인 경우에 상기 공기 공급 장치의 가동을 중단하고, 교반기를 가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b) 단계 이후에, (c)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제2 농도값 초과인 경우에 상기 폐수의 유입 지속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폐수의 유입 지속 시간이 제2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폐수의 유입을 중단시킴으로써, 상기 유입 공정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e) 상기 반응 공정을 시작하되, 상기 교반기가 가동되며 탈질화 반응이 진행되는 경우에, 질산성 질소의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질산성 질소의 농도가 제3 농도값 이하인 경우에 상기 교반기의 가동을 중단하고, 상기 공기 공급 장치를 가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e) 상기 반응 공정을 시작하고, 상기 교반기가 가동되며 탈질화 반응이 진행되는 단계에서, 질산성 질소의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질산성 질소의 농도가 제3 농도값 초과인 경우에 상기 반응 공정의 지속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f) 상기 반응 공정의 지속 시간이 제3 기준 시간 이하인 경우에 상기 교반기의 가동과 상기 공기 공급 장치의 중단이 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f) 단계 이후에, (g)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제4 농도값 이하인 경우에 상기 공기 공급 장치의 가동을 중단하고, 교반기를 가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f) 단계 이후에, (g)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제4 농도값 초과인 경우에 상기 반응 공정의 지속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및 (h) 상기 반응 공정의 지속 시간이 제4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반응 공정을 중단하고, 상기 침전 공정을 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g) 단계 이후에, (i) 질산성 질소의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질산성 질소의 농도가 제3 농도값 초과인 경우에 상기 반응 공정의 지속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분식 반응조에서 측정한 질산성 질소의 농도와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를 측정값에 기초한 공정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공기공급장치의 효율적 운영이 가능하게 되며, 그에 따라 에너지 비용 절감과 함께 질소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분식 반응조의 공정 제어 시스템의 구조도,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분식 반응조의 공정 제어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분식 반응조(100)의 공정 제어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분식 반응조(100)의 공정 제어 시스템은 회분식 반응조(100) 이외에도, 하수유입 펌프(110), 교반기(120), 질산성 질소 측정기(130), 암모니아성 질소 측정기(140), 공기공급 장치(150), 산소 측정기(160), 타이머(170), 처리수 유출 디켄터(180), 및 슬러지 배출 펌프(190)를 포함한다.
우선, 타이머(170)는 회분식 반응조(100)의 운영 주기를 설정하여 유입, 반응, 침전, 배출, 휴지의 단계에 따른 시간 제어를 수행한다.
하수유입 펌프(110)는 시간 제어에 의한 유입단계에서 일정 용량의 원하수를 반응조 내부로 이송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교반기(120)는 시간 제어와 농도 제어에 의해 무산소 조건에서의 탈질 반응을 유도하기 위하여 반응조 MLSS를 혼합한다.
한편, 질산성 질소 측정기(130)와 암모니아성 질소 측정기(140)는 회분식 반응조(100) 내에서 각각 측정한 질산성 질소의 농도값과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값에 기초하여 송풍기 등의 공기공급 장치(150)를 제어하고, 공기공급 장치(150)는 타이머(170)에 의한 시간 제어와 질산성 질소 측정기(130)와 암모니아성 질소 측정기(140)에 의한 농도 제어에 의해 호기 조건에서의 생물학적 질산화 반응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산소 측정기(160)는 회분식 반응조(100) 내에서 측정한 산소 농도값에 기초하여 공기공급 장치(150)를 농도 제어하고, 처리수 유출 디켄터(180)는 시간 제어에 의해 침전 단계 이후 처리수를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슬러지 배출 펌프(190)는 시간 제어에 의해 휴지 단계에서 일정량의 폐슬러지를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분식 반응조(100)의 공정 제어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분식 반응조(100)의 공정 제어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를 설명하면, 먼저, 관리자는 타이머(170)에 회분식 반응조(100)의 공정 제어의 기준이 되는 복수의 기준 시간(A,b,C,d,E,F,G)을 각각 입력 및 설정하고, 또한 관리자는 회분식 반응조(100)의 공정 제어의 기준이 되는 각 기준 농도값(M,N,P,Q)을 제어장치에 각각 입력 및 설정하여(S211), 질산성 질소 측정기(130), 암모니아성 질소 측정기(140), 및 산소 측정기(160)를 제어한다.
그 다음, 본 발명에 따른 회분식 반응조(100)의 공정 제어의 시작에 따라 타이머(170)는 하수유입 펌프(110)의 동작을 명령하고, 그에 따라 하수유입 펌프(110)는 원하수를 회분식 반응조(100) 내부로 이송한다(S213).
한편, 타이머(170)는 전술한 S213 단계의 하수 유입 공정의 진행 시간이 기 설정된 기준시간(A:제2 기준시간, 예를 들면, 180분)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215), 소정의 제2 기준시간(A: 예를 들면, 180분) 이하인 경우에 타이머(170)는 교반기(120)를 가동시키고, 공기공급 장치(150)를 중단시킨다(S217).
질산성 질소 측정기(130)는 회분식 반응조(100) 내부의 질산성 질소 농도를 측정하며 측정된 농도값이 제1 농도값(M: 예를 들면, 12mg/L)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19).
그에 따라, 측정된 질산성 질소의 농도값이 제1 농도값 이하인 경우에 제어 장치는 제어 명령을 통해 교반기(120)의 가동을 중단하고, 공기공급 장치(150)를 가동시킨다(S221).
한편, 전술한 S219 단계에서 질산성 질소 측정기(130)가 측정한 농도값이 제1 농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제어 장치는 하수 유입 공정의 진행 시간이 제1 기준시간(b: 예를 들면, 80분)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223), 그에 따라 하수 유입 공정의 진행 시간이 제1 기준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타이머(170)에 의한 공기공급 장치(150)의 가동을 중단하고, 교반기(120)를 가동시킨다(S217).
한편, 전술한 S221 단계의 실행 이후에, 질산성 질소 측정기(130)는 전술한 S219 단계에서 측정된 질산성 질소의 농도값이 제1 농도값 이하임을 알리는 신호를 송신하며, 이에 암모니아성 질소 측정기(140)는 회분식 반응조(100) 내부의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농도가 제2 농도값(N:예를 들면 2.0mg/L)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25).
그에 따라, 측정된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제2 농도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제어 장치는 제어 명령을 통해 공기공급 장치(150)의 가동을 중단하고, 교반기(120)를 가동시킨다(S227).
한편, 전술한 S225 단계에서, 측정된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제2 농도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제어 장치는 하수 유입 공정의 진행 시간이 제2 기준시간(A: 예를 들면, 180분)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229), 그에 따라 하수 유입 공정의 진행 시간이 제1 기준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타이머(170)는 하수유입 펌프(110)의 가동을 중단시킴으로써, 회분식 반응조(100)에서의 유입 공정을 종료하게 된다(S233).
한편, 전술한 S227 단계의 실행 이후에, 제어 장치는 전술한 S225 단계에서 측정된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값이 제2 농도값 이하임을 모니터링하며, 이에 질산성 질소 측정기(130)에 의해 회분식 반응조(100) 내부의 질산성 질소의 농도를 모니터링하고, 측정된 농도가 제1 농도값(M:예를 들면 12.0mg/L)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31).
만약, 측정된 질산성 질소의 농도가 제1 농도값을 초과하는 경우라면, S232 단계로 진행되며, 측정된 질산성 질소의 농도가 제1 농도값 이하인 경우에는 제어 장치는 하수 유입 공정의 진행 시간이 제2 기준시간(A: 예를 들면, 180분)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229), 그에 따라 하수 유입 공정의 진행 시간이 제1 기준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타이머(170)는 하수유입 펌프(110)의 가동을 중단시킴으로써, 회분식 반응조(100)에서의 유입 공정을 종료하게 된다(S233).
만약, 전술한 S229 단계에서 하수 유입 공정의 진행 시간이 제1 기준시간 이하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전술한 S221 단계로 진행된다.
한편, S231 단계에서 질산성 질소의 농도가 제1 농도값 이상인 경우에는 S232단계로 진행되며 제어장치는 하수 유입공정의 진행시간 제2기준시간 (A: 예를 들면, 180분)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S232), 그에 따라 하수유입공정의 진행시간이 제1기준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타이머(170)는 하수유입 펌프(110)의 가동을 중단시킴으로써, 회분식 반응조(100)에서의 유입 공정을 종료하게 된다(S233).
만약, 전술한 S232 단계에서 하수 유입 공정의 진행 시간이 제1 기준시간 이하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전술한 S227 단계로 진행된다.
한편, S233 단계로서 유입 공정의 실행은 종료되며, 반응 공정이 시작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타이머(170)는 반응 공정의 진행 시간이 제4 기준 시간(C: 예를 들면, 60분)이하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S235), 타이머(170)는 공기공급 장치(150)의 가동을 중단시킴과 동시에 교반기(120)를 가동시킴으로써 탈질화 반응을 진행시킨다(S237).
이와 동시에 제어 장치는 질산성 질소 측정기(130)가 측정한 농도를 모니터링하고, 질산성 질소의 농도가 제3 농도값(P: 예를 들면, 12.0mg/L)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39).
그에 따라, 질산성 질소의 농도가 제3 농도값(P: 예를 들면, 12.0mg/L) 이하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제어 장치는 제어 신호를 통해 교반기(120)의 동작을 중단하고, 공기공급 장치(150)를 동작시킨다(S241).
한편, 전술한 S239 단계에서, 측정된 질산성 질소의 농도가 제3 농도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제어 장치는 타이머(170)에 제3 농도값 초과 상태를 알리는 신호를 송신하며, 이에 타이머(170)는 반응 공정의 진행 시간이 제3 기준시간(d: 예를 들면, 30분)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243), 그에 따라 반응 공정의 진행 시간이 제3 기준시간 이하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타이머(170)는 제어 신호를 통해 교반기(120)의 동작을 중단하고, 공기공급 장치(150)를 동작시킨다(S241).
그 다음, 제어 장치는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를 모니터링하며, 해당 농도가 제4 농도값(Q: 예를 들면, 2.0mg/L)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45).
그에 따라, 암모니아성 질소의 측정 농도가 제4 농도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제어 장치는 제어 명령을 통해 교반기(120)를 동작시키고, 공기공급 장치(150)의 동작을 중단시킨다(S247).
한편, 전술한 S245 단계에서 암모니아성 질소의 측정 농도가 제4 농도값 초과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제어 장치는 타이머(170)에 측정농도가 제4 농도값을 초과하였음을 알리는 신호롤 송신하고, 이에 따라 타이머(170)는 반응 공정의 진행 시간이 제4 기준시간(C: 예를 들면, 60분)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49).
그에 따라, 반응 공정의 진행 시간이 제4 기준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타이머(170)는 교반기(120)와 공기공급 장치(150)의 가동을 중단시킴으로써, 반응 공정을 종료하고 침전 공정을 시작하게 된다(S255). 뿐만 아니라, 전술한 S235 단계에서도 반응 공정의 진행 시간이 제4 기준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타이머(170)는 동일하게 전술한 S255 단계를 실행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S247 단계의 실행 이후에, 제어 장치는 질산성 질소의 측정 농도가 제3 농도값(P: 예를 들면, 12.0mg/L)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251), 질산성 질소의 측정 농도가 제3 농도값 이하인 경우는 전술한 S249 단계가 실행된다.
전술한 S251 단계에서, 질산성 질소의 측정 농도가 제3 농도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제어 장치는 반응 공정의 진행 시간이 제4 기준시간(C: 예를 들면, 60분)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53).
그에 따라, 반응 공정의 진행 시간이 제4 기준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타이머(170)는 교반기(120)와 공기공급 장치(150)의 가동을 중단시킴으로써, 반응 공정을 종료하고 침전 공정을 시작하게 된다(S255).
침전 공정의 시작에 따라 타이머(170)는 침전 공정의 진행 시간을 측정하고, 측정된 진행 시간이 제5 기준 시간(E: 예를 들면, 60분)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S257), 타이머(170)는 공기공급 장치(150) 및 교반기(120)의 가동중단상태를 지속시키고, 처리수 유출 디켄터(180)를 가동시킴으로써, 처리수 배출 공정을 실행한다(S259).
처리수 배출 공정의 시작에 따라 타이머(170)는 처리수 배출 공정의 진행 시간을 측정하고, 측정된 진행 시간이 제6 기준 시간(F: 예를 들면, 40분)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S261), 타이머(170)는 공기공급 장치(150), 교반기(120), 처리수 유출 디켄터(180)의 가동을 중단시키고, 슬러지 배출 펌프(190)를 가동시킴으로써 슬러지 배출 공정을 실행한다(S263).
슬러지 배출 공정의 시작에 따라 타이머(170)는 슬러지 배출 공정의 진행 시간을 측정하고, 측정된 진행 시간이 제7 기준 시간(G: 예를 들면, 20분)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S265), 타이머(170)는 공기공급 장치(150), 교반기(120), 슬러지 배출 펌프(190)의 가동을 중단시킴으로써 휴지 공정을 실행한다(S267).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회분식 반응조, 110: 하수유입 펌프,
120: 교반기, 130: 질산성 질소 측정기,
140: 암모니아성 질소 측정기, 150: 공기공급 장치,
160: 산소 측정기, 170: 타이머,
180: 처리수 유출 디켄터, 190: 슬러지 배출 펌프.

Claims (11)

  1. 폐수의 유입 공정, 반응 공정, 침전 공정, 배출 공정, 및 휴지 공정이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회분식 반응조에서의 공정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반응조 내부로 폐수가 유입됨과 동시에 상기 반응조 내부의 교반기가 가동되며 탈질화 반응이 진행되는 경우에, 질산성 질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b) 측정된 상기 질산성 질소의 농도가 제1 농도값 이하인 경우에 상기 교반기의 가동을 중단하고, 공기 공급 장치를 가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회분식 반응조의 공정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후, 상기 (b) 단계 이전에,
    측정된 상기 질산성 질소의 농도가 제1 농도값 초과인 경우에 상기 폐수의 유입 지속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회분식 반응조의 공정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폐수의 유입 지속 시간이 제1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교반기의 가동을 중단하고, 상기 공기공급장치를 가동시키는 것인 회분식 반응조의 공정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후에,
    (c)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제2 농도값 이하인 경우에 상기 공기 공급 장치의 가동을 중단하고, 교반기를 가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회분식 반응조의 공정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후에,
    (c)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제2 농도값 초과인 경우에 상기 폐수의 유입 지속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폐수의 유입 지속 시간이 제2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폐수의 유입을 중단시킴으로써, 상기 유입 공정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회분식 반응조의 공정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e) 상기 반응 공정을 시작하고, 상기 교반기가 가동되며 탈질화 반응이 진행되는 단계에서, 질산성 질소의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질산성 질소의 농도가 제3 농도값 이하인 경우에 상기 교반기의 가동을 중단하고, 상기 공기 공급 장치를 가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회분식 반응조의 공정 제어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e) 상기 반응 공정을 시작하되, 상기 교반기가 가동되며 탈질화 반응이 진행되는 경우에, 질산성 질소의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질산성 질소의 농도가 제3 농도값 초과인 경우에 상기 반응 공정의 지속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회분식 반응조의 공정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f) 상기 반응 공정의 지속 시간이 제3 기준 시간 이하인 경우에 상기 교반기의 가동과 상기 공기 공급 장치의 중단이 지속되는 것인 회분식 반응조의 공정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 이후에,
    (g)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제4 농도값 이하인 경우에 상기 공기 공급 장치의 가동을 중단하고, 교반기를 가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회분식 반응조의 공정 제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 이후에,
    (g)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가 제4 농도값 초과인 경우에 상기 반응 공정의 지속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및
    (h) 상기 반응 공정의 지속 시간이 제4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반응 공정을 중단하고, 상기 침전 공정을 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회분식 반응조의 공정 제어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 이후에,
    (i) 질산성 질소의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질산성 질소의 농도가 제3 농도값 초과인 경우에 상기 반응 공정의 지속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회분식 반응조의 공정 제어 방법.
KR1020140014941A 2014-02-10 2014-02-10 회분식 반응조의 공정 제어 방법 KR201500948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941A KR20150094831A (ko) 2014-02-10 2014-02-10 회분식 반응조의 공정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941A KR20150094831A (ko) 2014-02-10 2014-02-10 회분식 반응조의 공정 제어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7229A Division KR20160093575A (ko) 2016-06-21 2016-06-21 회분식 반응조의 공정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831A true KR20150094831A (ko) 2015-08-20

Family

ID=54058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4941A KR20150094831A (ko) 2014-02-10 2014-02-10 회분식 반응조의 공정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483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578B1 (ko) * 2016-01-08 2016-03-07 주식회사 한일이엔지 연속회분식 반응기의 고효율 운전방법 및 장치
KR102267624B1 (ko) * 2020-06-18 2021-06-21 (주)티에스케이코퍼레이션 연속회분식 수처리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578B1 (ko) * 2016-01-08 2016-03-07 주식회사 한일이엔지 연속회분식 반응기의 고효율 운전방법 및 장치
KR102267624B1 (ko) * 2020-06-18 2021-06-21 (주)티에스케이코퍼레이션 연속회분식 수처리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0650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control of mixing and aeration in treatment processes
JP2016512169A5 (ko)
CN107540069A (zh) 一种全自动混凝剂投加系统
Lee et al. Evaluation of aeration energy saving in two modified activated sludge processes
KR20150094831A (ko) 회분식 반응조의 공정 제어 방법
JP2008260002A (ja) 曝気装置の運転制御方法
KR20160093575A (ko) 회분식 반응조의 공정 제어 방법
CN110606545A (zh) 一种乡镇污水处理用曝气系统及其控制方法
CN210825600U (zh) 一种乡镇污水处理用曝气系统
JP4464851B2 (ja) 曝気装置の運転制御方法
JP2006272261A (ja) 汚水処理方法及び装置
AU2015298397A1 (en) Sequencing batch facility and method for reducing the nitrogen content in waste water
JPH0389993A (ja) 排水のリン濃度制御方法
JP3942488B2 (ja) 間欠曝気法の制御方法及び装置
CN107406286B (zh) 用于控制处理装置方法、用于处理设备的处理装置以及处理设备
JP2004344782A5 (ko)
Bai et al. High nitrite accumulation and strengthening denitrification for old-age landfill leachate treatment using an autocontrol two-stage hybrid process
CN202519138U (zh) 污泥储池搅拌设备间歇运行控制装置
JP3762688B2 (ja) 汚水処理装置
CN102455661A (zh) 适用于污水处理系统中的搅拌器的自适应控制方法
JP6024232B2 (ja) 活性汚泥濃度制御方法
JP2002336892A (ja) 間欠汚水処理における制御方法
CN112010424B (zh) 一种部分亚硝化反应调控方法及装置
JPH034994A (ja) 廃水処理装置
Smith et al. Optimizing aerobic digester operation to minimize energy consumption and nutrient recy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