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4392A - 드럼 스크린 및 그 제조장치, 그리고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드럼 스크린 및 그 제조장치, 그리고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4392A
KR20150094392A KR1020140015629A KR20140015629A KR20150094392A KR 20150094392 A KR20150094392 A KR 20150094392A KR 1020140015629 A KR1020140015629 A KR 1020140015629A KR 20140015629 A KR20140015629 A KR 20140015629A KR 20150094392 A KR20150094392 A KR 20150094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upport bar
unit
electrode roller
scr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5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군
Original Assignee
문재관
이상군
문진우
문영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재관, 이상군, 문진우, 문영관 filed Critical 문재관
Priority to KR1020140015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4392A/ko
Publication of KR20150094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3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0Filter screens essentially made of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0Filtering material manufacturing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포트바에 와이어가 일정 간격을 가지며 나선형으로 감기는 드럼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드럼 스크린은, 원통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서포트바; 및 서포트바의 외측 또는 내측에 간격을 유지하며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융착되고, 일측 또는 양측에 간격돌기가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와이어;를 포함하며, 간격돌기에 의해 와이어의 최소 간격이 확보된다.

Description

드럼 스크린 및 그 제조장치, 그리고 그 제조방법{DRUM SCREEN AND MANUFACTURING EQUIPMENT THEREOF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드럼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포트바에 와이어가 일정 간격을 가지며 나선형으로 감기는 드럼 스크린 및 그 제조장치, 그리고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드럼 스크린은 물을 통과시키면서 물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것으로, 담수화설비, 하수처리장, 산업폐수처리장 등에 사용된다. 뿐만 아니라, 화물선에서 화물을 하역할 때 선박의 안정성을 위해 바닷물을 유입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바닷물과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을 거르는데 드럼 스크린을 이용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드럼 스크린을 이용할 수 있는 분야는 다양하다.
종래의 드럼 스크린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드럼 스크린을 나타낸 절개 사시도이며, 도 2는 서포트바의 외측에 웨지 와이어를 끼우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드럼 스크린(10)은 삼각형 단면을 갖는 링 형상의 웨지 와이어(10a), 및 웨지 와이어(10a)의 내측에서 웨지 와이어(10a)에 융착되어 웨지 와이어(10a)를 지지하는 서포트바(10b)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드럼 스크린의 제작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복수 개의 서포트바(10b)를 원통형으로 배열하고, 서포트바(10b)의 외측에 링으로 된 다수의 웨지 와이어(10a)를 일정간격으로 끼우면서 서포트바(10b)와 용접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와 제작과정을 거치는 웨지 와이어형 드럼 스크린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첫째, 링형태로 형성된 다수의 웨지 와이어를 서포트바의 외측에 일일이 수작업에 의해 끼워넣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제작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다수의 웨지 와이어가 동일 간격으로 배열되어야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종래기술에 따른 드럼 스크린의 경우 서포트바에 웨지 와이어를 용접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변형에 의해 웨지 와이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열변형이 심한 경우 이웃하는 웨지 와이어들이 서로 붙어버려 여과 기능이 현저히 떨어지는 경우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87-0006288호(1987.07.10.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7412호(2013.02.27.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2305호(2001.10.06.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2736호(2006.12.06.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하나의 와이어를 서포트바에 나선형으로 복수 회 감는 방식으로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는 드럼 스크린 및 그 제조장치, 그리고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와이어가 서포트바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감길 수 있도록 하되, 융착시 와이어가 열변형되더라도 와이어의 최소 간격이 확보될 수 있는 드럼 스크린 및 그 제조장치, 그리고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드럼 스크린은, 원통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서포트바; 및 서포트바의 외측 또는 내측에 간격을 유지하며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융착되고, 일측 또는 양측에 간격돌기가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와이어;를 포함하며, 간격돌기에 의해 와이어의 최소 간격이 확보된다.
와이어에는 스크래치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간격돌기는 와이어를 가압하여 스크래치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가압되는 부분이 측방향으로 늘어나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럼 스크린 제조장치는, 복수 개의 서포트바 일단을 원통형으로 지지하면서 회전시키고, 서포트바의 길이방향으로 측방향 이동되어, 서포트바의 외측 또는 내측에 와이어가 나선형으로 감기도록 하는 제1 회전 유닛; 공급되는 와이어에 스크래치를 형성하면서 스크래치의 일측 또는 양측에 측방향으로 간격돌기를 돌출 형성하는 스크래치 유닛; 및 서포트바와 와이어를 융착시키는 융착 유닛;을 포함한다.
융착 유닛은, 서포트바에 의해 형성되는 원통의 중심에 위치되어, 서포트바와 와이어 중 안쪽에 위치되는 것과 접촉되는 제1 전극롤러; 및 서포트바에 의해 형성되는 원통의 바깥에 위치되어, 서포트바와 와이어 중 바깥쪽에 위치되는 것과 접촉되며, 제1 전극롤러와 반대극을 갖는 제2 전극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럼 스크린 제조장치는, 제2 전극롤러를 승강시키는 승강 유닛을 더 포함한다.
스크래치 유닛은, 외주연에 가압돌기가 간격을 두고 형성된 스크래치 롤러를 이용해 와이어에 일정간격으로 스크래치를 형성하고, 스크래치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간격돌기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다른 드럼 스크린 제조장치는, 와이어의 공급경로에 위치되어 쐐기형 와이어가 틀어지거나 쳐지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와이어 가이드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럼 스크린 제조장치는, 제2 전극롤러의 원주면에 묻은 이물을 제거하는 전극롤러 청소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럼 스크린 제조장치는, 전극롤러 청소 유닛을 이용해 제2 전극롤러의 원주면에 묻은 이물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제2 전극롤러의 원주면으로 세척수를 공급하여 벗겨진 이물을 씻어주는 전극롤러 세척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럼 스크린 제조장치는, 제1 회전 유닛의 맞은편에 설치되어 서포트바들의 타단을 지지하면서 회전시키되 제1 회전 유닛과 동일한 구동속도 및 구동방향을 갖도록 작동되는 제2 회전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럼 스크린 제조방법은, 복수 개의 서포트바를 원통형으로 배열하고, 서포트바의 외측 또는 내측에 와이어를 감아 드럼 스크린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와이어의 일측 또는 양측에 측방향으로 간격돌기를 돌출 형성하고, 간격돌기가 형성된 와이어를 서포트바의 외측 또는 내측에 간격이 일정하도록 나선형으로 감은 다음, 서포트바와 와이어를 융착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 드럼 스크린 제조방법에 따르면, 외주연에 복수 개의 가압돌기가 형성된 스크래치 롤러를 이용해 와이어에 스크래치를 형성하면서 스크래치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간격돌기를 형성한다.
본 발명 드럼 스크린 제조방법에 따르면, 복수 개의 서포트바를 지지하는 회전 유닛을 구동하여 서포트바를 회전시키고, 서포트바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회전 유닛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와이어가 서포트바에 나선형으로 자동 감긴다.
본 발명 드럼 스크린 및 그 제조장치, 그리고 제조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이 있다.
첫째, 원통형으로 배열된 서포트바의 외측 또는 내측에 하나의 와이어를 나선형으로 복수 회 감아 드럼 스크린을 제작함으로써, 드럼 스크린의 제작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둘째, 와이어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간격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와이어가 서포트바와 융착되는 과정에서 와이어가 열변형에 의해 팽창하더라도 이웃하는 두 나선부 사이의 최소 간격이 간격돌기에 의해 확보되기 때문에 여과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셋째, 전극롤러 청소 유닛과 전극롤러 세척 유닛을 이용해 전극롤러의 원주면에 달라붙은 이물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서포트바와 와이어의 융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드럼 스크린을 나타낸 절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드럼 스크린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서포트바의 외측에 웨지 와이어를 끼우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럼 스크린을 구성하는 서포트바에 와이어를 감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럼 스크린의 정면도.
도 5는 서포트바에 와이어가 감기면서 융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와이어의 저면도.
도 7은 서포트바에 와이어가 일정간격으로 가지면서 나선형으로 감긴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럼 스크린 제조장치의 평면도.
도 9는 도 8의 우측면도.
도 10은 도 8에서 와이어 공급유닛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정면도.
도 11은 메인 바디의 일 측면에 장치들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와이어에 스크래치가 형성되고, 와이어가 서포트바로 공급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제1 회전유닛의 서포트바 고정부에 서포트바가 고정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전극롤러 청소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5는 전극롤러 세척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 스크린 및 그 제조장치, 그리고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럼 스크린을 구성하는 서포트바에 와이어를 감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럼 스크린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드럼 스크린(10)은 서포트바(11), 및 와이어(12)를 포함한다.
서포트바(11)는 복수 개가 원통 형상으로 배열된다. 서포트바(11)의 배열에 의해 형성되는 원통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즉, 서포트바(11)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가면서 단면이 동일한 원통일 수도 있고, 단면이 확장되거나 축소되는 원통일 수도 있다.
와이어(12)는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서포트바(11)의 외측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면서 나선형으로 다수 회 감긴다. 하나의 와이어(12)를 서포트바(11)의 전체에 걸쳐서 감을 수도 있고, 둘 이상의 와이어(12)를 연속 공급하여 감을 수도 있다.
와이어(12)에는 동일한 깊이와 크기를 갖는 스크래치(12a)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되며, 스크래치(12a)의 양쪽으로는 간격돌기(12b)가 와이어(12)의 양측방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다. 간격돌기(12b)의 크기는 동일하다.
와이어(12)를 서포트바(11)에 나선형으로 감을 때 간격이 자동으로 제어된다. 그런데, 와이어(12)와 서포트바(11)를 용접에 의해 융착시키는 과정에서 융착부가 열팽창되어 나선부 사이의 간격이 좁아질 수 있다. 이 경우 열팽창되는 나선부가 이웃하는 나선부에 형성된 간격돌기(12b)와 접촉될 때까지는 변형이 이루어지나, 간격돌기(12b)와 접촉된 이후로는 간격돌기(12b)로 인해 변형이 방지되기 때문에, 간격돌기(12b)의 크기만큼 나선부 사이의 간격이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드럼 스크린은 여과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도 5는 서포트바에 와이어가 감기면서 융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서포트바(11)는 사각의 단면을 가지며, 와이어(12)와 용접되기 전 와이어(12)와 접하는 바깥면에 쐐기 형태의 용접부(11a)가 형성된다. 용접과정에서 용접부(11a)가 녹아 서포트바(11)와 와이어(12)를 융착시킨다.
도 6은 와이어의 저면도이고, 도 7은 서포트바에 와이어가 일정간격으로 가지면서 나선형으로 감긴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와이어(12)의 단면은 삼각형으로 쐐기 형태를 가지며 서포트바(11)의 외측에 일정간격으로 감길 때 바깥쪽으로 벌어진다. 이러한 감김구조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드럼 스크린은 외부에서 내부로 물을 유입하면서 이물질을 걸러주는 형태를 가진다. 이와 달리, 와이어(12)가 내측을 향해 벌어지는 형태를 갖는 드럼 스크린의 경우, 내부에서 외부로 물을 배출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진다.
한편, 와이어(12)에는 동일 크기를 갖는 스크래치(12a)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스크래치(12a)의 양쪽에는 간격돌기(12b)가 와이어(12)의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간격돌기(12b)는 연질의 와이어(12)를 가압하여 스크래치(12a)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가압되는 부분이 측방향으로 늘어나 형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럼 스크린 제조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우측면도이며, 도 10은 도 8에서 와이어 공급유닛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메인 바디의 일 측면에 장치들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드럼 스크린 제조장치(1)는, 프레임 바디(100), 메인 바디(110), 제1 회전 유닛(120), 스크린 로딩 유닛(130), 슬라이딩 유닛(140), 제2 회전 유닛(150), 와이어 공급 유닛(160), 스크래치 유닛(170), 와이어 가이드 유닛(180), 융착 유닛(190), 승강 유닛(200) 및 제어 유닛(210)을 포함한다.
프레임 바디(100)는 평평한 바닥에 고정되며, 그 위에 스크린 로딩 유닛(130)이 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메인 바디(110)가 고정 설치된다.
메인 바디(110)는 프레임 바디(100)의 상부에 입설되는 것으로, 그 상부에 제2 회전 유닛(150), 스크래치 유닛(170), 와이어 가이드 유닛(180), 융착 유닛(190) 및 승강 유닛(200)이 설치된다. 스크래치 유닛(170), 와이어 가이드 유닛(180), 융착 유닛(190) 및 승강 유닛(200)은 메인 바디(110)의 측면 중 제1 회전 유닛(120) 쪽을 향하는 일 측면에 설치된다.
제1 회전 유닛(120)은 스크린 로딩 유닛(130)의 상부에 설치되며 복수 개의 서포트바(11) 일단을 원통형으로 지지하면서 회전시킨다. 제1 회전 유닛(120)은 스크린 로딩 유닛(130)의 상부에 고정되는 구동모터(121), 및 구동모터(121)의 구동축 단부에 장착되어 서포트바(11)가 고정되는 서포트바 고정부(122)를 포함한다.
스크린 로딩 유닛(130)은 프레임 바디(100)의 상면에 측 방향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상부에 제1 회전 유닛(120)을 지지한다. 스크린 로딩 유닛(130)은 메인 바디(110)의 일 측면을 향하거나 일 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슬라이딩 유닛(140)은 프레임 바디(100)에 설치되어 스크린 로딩 유닛(130)을 측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슬라이딩 유닛(140)은, 프레임 바디(100)의 상면에서 메인 바디(110)의 일 측면을 향해 길게 설치되며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한 쌍의 슬라이딩 레일(141), 슬라이딩 레일(141) 사이에 설치되는 스크류(142), 스크류(142)의 일단에 결합되며 스크류(142)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43)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레일(141)에 스크린 로딩 유닛(130)의 하부 전후 측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스크류(142)에 스크린 로딩 유닛(130)의 하부 중심 측이 나사 결합된다.
제2 회전 유닛(150)은 메인 바디(110)에 설치되어 서포트바(11)의 타단을 지지하면서 서포트바(11)를 회전시킨다. 제2 회전 유닛(150)은, 구동모터(151)와, 구동모터(151)와 벨트를 통해 연동되어 회전하며 서포트바(11)의 타단이 지지되는 서포트바 지지롤러(152)를 포함한다. 서포트바 지지롤러(152)의 양 측면 중 메인 바디(110)의 일 측면으로 노출되는 일 측면에는 서포트바(11)의 타단이 탈거 가능하게 삽입되는 복수 개의 서포트바 삽입홈(미도시)이 이격 형성된다. 제1 회전 유닛(120)이 메인 바디(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와이어(12)가 서포트바(11)에 감기면 서포트바(11)의 타단은 서포트바 지지롤러(152)로부터 점차적으로 탈거된다. 제2 회전 유닛(150)의 구동모터(151)는 제1 회전 유닛(120)의 구동모터(121)와 연동하여 동일한 구동속도 및 구동방향을 갖도록 작동된다.
와이어 공급 유닛(160)은 프레임 바디(100)의 전방에 위치되는 것으로, 와이어(12)를 코일 형태로 감고 있다가 메인 바디(110)의 일 측면 쪽으로 와이어(12)를 연속하여 공급한다.
스크래치 유닛(170)은 메인 바디(110)의 일 측면에서 와이어 가이드 유닛(180)의 앞쪽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와이어(12)에 일정 간격으로 스크래치를 형성한다. 와이어(12)의 폭방향으로 스크래치를 형성하면서 스크래치의 양쪽으로 간격돌기를 형성하게 된다.
와이어 가이드 유닛(180)은 메인 바디(110)의 일 측면에서 스크래치 유닛(170)의 뒷쪽에 설치되어 스크래치가 형성된 와이어(12)를 서포트바(11)에 직교되게 공급하며 쐐기 형태의 와이어가 쳐지거나 꼬이는 것을 방지한다.
융착 유닛(190)은 서포트바(11)와 와이어(12)를 융착시킨다. 융착방식으로는 저항용접 등 다양한 용접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1,2 전극롤러(191)(192)에 의한 저항용접이 적용된다. 융착 유닛(190)은, 원통형으로 배치되는 서포트바(11)의 안쪽에 위치되어 서포트바(11)의 내 측면에 접촉되는 제1 전극롤러(191), 및 서포트바(11)의 외측에 위치되어 와이어(12)의 외 측면에 접촉되는 제2 전극롤러(19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전극롤러(191)에 (-)전류가 흐르고 제2 전극롤러(192)에 (+)전류가 흐르나, 전류의 흐름이 반대일 수 있다.
승강 유닛(200)은 메인 바디(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2 전극롤러(192)를 승강시키며 서포트바(11)와 와이어(12) 융착시 제2 전극롤러(192)가 와이어(12)의 외측면에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승강 유닛(200)은 메인 바디(110)의 일 측면에 상하로 길게 설치되며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한 쌍의 승강 레일(201), 승강 레일(201) 사이에 길게 설치되는 스크류(202), 메인 바디(11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스크류(202)의 상단과 결합되는 구동모터(203), 스크류(202)에 나사 결합되어 승강되는 승강부재(204), 승강부재(204)에 스프링(205)을 이용해 탄성 지지되며 제2 전극롤러(192)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롤러 지지부(206)를 포함한다.
제어 유닛(210)은 제1,2 회전 유닛(120)(150)의 작동, 슬라이딩 유닛(140)의 작동, 스크래치 유닛(170)의 작동, 융착 유닛(190)의 작동 및 승강 유닛(200)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한다. 와이어(12)가 서포트바(11)의 외측에 나선형으로 감길 때 나선부 사이의 간격 조정은 제1,2 회전 유닛(120)(150)을 구성하는 구동모터(121)(151)의 구동속도와, 스크린 로딩 유닛(130)의 슬라이딩 속도를 제어 유닛(210)의 제어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도 12는 와이어에 스크래치가 형성되고, 와이어가 서포트바로 공급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제1 회전유닛의 서포트바 고정부에 서포트바가 고정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와이어 공급 유닛(160)으로부터 공급되는 와이어(12)는 일차적으로 스크래치 유닛(170)을 거치면서 스크래치(12a)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스크래치 유닛(170)은, 와이어(12)의 이동 경로 하방에 설치되어 와이어(12)의 하부를 가압하여 스크래치를 형성하는 스크래치 롤러(171)와, 와이어(12)를 사이에 두고 스크래치 롤러(171)의 상방에 설치되어 스크래치 롤러(171)로 와이어(12)를 가압할 때 와이어(12)를 받쳐주는 지지롤러(172)로 구성된다. 스크래치 롤러(171)의 원주면에는 스크래치 형성을 위한 복수 개의 가압돌기(미도시)가 동일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다.
스크래치 유닛(170)을 통과하면서 스크래치가 형성된 와이어(12)는 와이어 가이드 유닛(180)을 통해 이동이 가이드되면서 서포트바(11)로 공급된다. 스크래치 유닛(170)은 와이어(12)의 이동경로 상,하방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 롤러(181)로 구성된다. 이러한 스크래치 유닛(170)은 와이어(12)가 쳐지지 않도록 공급함과 동시에 와이어(12)의 쐐기 부분이 틀어지지 않도록 한다. 즉, 쐐기 부분이 위로 향하도록 공급되어야 와이어(12)가 서포트바(11)에 감길 때 쐐기 부분이 바깥쪽을 향하게 벌어진다.
제2 회전 유닛(150)을 구성하는 서포트바 지지롤러(152)의 일 측면 중심에는 제1 전극롤러(191)가 장착된다. 제1 전극롤러(191) 주위에는 복수 개의 서포트바(11)가 탈거 가능하게 끼워지는 서포트바 끼움홈이 이격 형성된다.
복수 개의 서포트바(11)의 타단을 제1 전극롤러(191) 주위에 삽입한 상태에서 제1 회전 유닛(120)을 작동하여 서포트바(11)를 회전시키면서 와이어(12)를 서포트바(11)에 직교되게 공급하고, 스크린 로딩 유닛(130)을 메인 바디(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와이어(12)가 서포트바(11)의 외측면에 나선형으로 감기게 된다.
와이어(12)가 서포트바(11)의 외측에 감기는 과정에서 제1 전극롤러(191)가 서포트바(11)의 내측면과 접촉되고 제2 전극롤러(192)는 와이어(12)의 외측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서포트바(11)의 외측면에 형성된 용접부(11a)가 녹으면서 서포트바(11)와 와이어(12)를 견고하게 융착시킨다. 제2 전극롤러(192)는 승강 유닛(200)을 구성하는 스프링(205)에 의해 항상 와이어(12)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와이어(12)가 감기면서 서포트바(11)와 함께 회전할 때 와이어(12)와의 마찰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한편, 제1 회전 유닛(120)을 구성하는 서포트바 고정부(122)는, 구동모터의 구동축(121a) 단부에 장착되며 서포트바(11)의 일단을 관통시키면서 지지하는 원형의 지지판(122a)과, 구동모터의 구동축(121a)에서 지지판(122a)과 이격되게 장착되어 지지판(122a)을 관통한 서포트바(11)의 구부러진 일단을 지지판(122a) 쪽으로 밀어 가압하는 가압판(122b)을 구성된다. 서포트바(11)의 일단은 지지판(122a)을 관통한 상태에서 절곡되며 절곡부가 가압판(122b)에 의해 가압되고 단부가 지지판(122a)에 밀착됨으로써, 서포트바 고정부(122)에 견고히 고정된다.
도 14는 전극롤러 청소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메인 바디(110)의 일 측면에는 제2 전극롤러(192)를 청소하기 위한 전극롤러 청소 유닛(220)이 설치된다. 제2 전극롤러(192)를 와이어(12)에 접촉시켜 저항용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제2 전극롤러(192)에는 이물이 달라붙게 되고 이물층이 두꺼워지면 저항용접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없다. 따라서, 전극롤러 청소 유닛(220)을 통해 제2 전극롤러(192)에 달라붙은 이물층을 벗겨내게 된다.
제2 전극롤러(192)에 달라붙은 이물층을 벗겨내는 작업은 후술할 바이트(227)를 제2 전극롤러(192)의 원주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제2 전극롤러(192)를 회전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전극 롤러 청소 유닛(220)은, 브라켓(221), 구동모터(222), 구동모터 지지판(223), 스크류(224), 연동기어(225)(226), 바이트 고정부(228)를 포함한다.
브라켓(221)은 승강 유닛(200)을 구성하는 롤러 지지부(206)의 측부에 고정 설치되어, 제2 전극롤러(192)와 함께 승강된다.
구동모터(222)는 스크류(224)를 통해 브라켓(221)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 전극롤러(192)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구동모터(222)는 스크류(224)에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구동모터 지지판(223)의 상부에 장착된다.
연동기어(225)(226)는 제2 전극롤러(192)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동모터(222)의 구동력을 제2 전극롤러(192)로 전달하는 것으로, 구동모터(222)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제1 연동기어(225)와, 제2 전극롤러(192)의 회전축에 장착되며 제1 연동기어(225)와 맞물리는 제2 연동기어(226)로 구성된다. 구동모터(222)가 측방향 이동됨에 따라 제1,2 연동기어(225)(226)는 서로 맞물리거나 이격된다.
브라켓(221)의 측면에는 바이트(227)를 고정하기 위한 바이트 고정부(228)가 설치된다. 바이트(227)는 상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바이트 고정부(228)는, 브라켓(221)의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 몸체(228a)와, 고정 몸체(228a)를 관통하며 단부에 바이트(227)가 물리는 바이트 위치 이동부(228b)가 구비된다. 바이트 위치 이동부(228b)는 고정 몸체(228a) 상에서 위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바이트 위치 이동부(228b)의 위치를 조정하여 바이트(227)를 제2 전극롤러(192)에 접촉시키거나 제2 전극롤러(192)와 이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극롤러 청소 유닛(220)을 통해 제2 전극롤러(192)를 청소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제2 전극롤러(192)를 청소하지 않는 경우에는 구동모터(222)의 구동은 정지되고 제1,2 연동기어(225)(226)는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아울러 바이트(227)도 제2 전극롤러(192)로부터 이격된다.
제2 전극롤러(192)를 청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크류(224)를 회전시켜 구동모터(222)를 제1 연동기어(224) 쪽으로 위치이동시킴으로써 제2 연동기어(226)가 제1 연동기어(225)와 맞물리도록 하고, 바이트 위치 이동부(228b)를 조작하여 바이트(227)가 제2 전극롤러(192)의 원주면에 접촉되도록 한다.
이어서 구동모터(222)를 구동시키면 제2 전극롤러(192)가 회전하게 되고, 제2 전극롤러(192)의 원주면에 달라붙은 이물들이 벗겨진다.
도 15는 전극롤러 세척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프레임 바디(100)와 메인 바디(110)에는 제2 전극롤러(192)를 청소할 때 벗겨지는 이물을 씻어내기 위한 전극롤러 세척 유닛(230)이 구비된다. 바이트(226)로 제2 전극롤러(192)에 달라붙은 이물들을 벗겨내는 과정에서 세척수를 제2 전극롤러(192)로 분사함으로써 이물들이 완벽하게 제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극롤러 세척 유닛(230)은, 프레임 바디(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세척수 탱크(231)와, 메인 바디(110)의 일 측면에 설치되어 제2 전극롤러(192)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232)과, 세척수 탱크(231)의 세척수를 분사노즐(232)로 공급하는 급수펌프(233), 및 제2 전극롤러(192)의 하방에 설치되어 분사노즐(232)로부터 분사되어 낙하하는 세척수를 받는 세척수 받이(234)를 포함한다. 세척수 받이(234)에 모인 세척수는 세척수 탱크(231)로 이송되어 재사용된다. 세척수 받이(234)와 세척수 탱크(231)를 연결하는 세척수 이송경로 또는 세척수 탱크(231)와 급수펌프(233)를 연결하는 세척수 이송경로 상에는 세척수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미도시)가 구비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드럼 스크린 및 그 제조장치, 그리고 그 제조방법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간격돌기가 와이어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구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간격돌기가 와이어의 일측으로만 돌출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와이어가 서포트바의 외측에 감기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와이어가 서포트바의 내측에 감길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쐐기 형태의 와이어가 갖는 형태에 있어서, 본원발명에서와 같이 스크린의 바깥쪽으로 벌어져 외부로부터 스크린 내로 물이 유입되면서 여과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스크린의 안쪽으로 벌어져 스크린 내부로부터 외부로 물이 배출되면서 여과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10 : 드럼 스크린 11 : 서포트바
12 : 와이어 12a : 스크래치
12b : 간격돌기 100 : 프레임 바디
110 : 메인 바디 120 : 제1 회전 유닛
121 : 구동모터 122 : 서포트바 고정부
130 : 스크린 로딩 유닛 140 : 슬라이딩 유닛
141 : 슬라이딩 레일 142 : 스크류
143 : 구동모터 150 : 제2 회전 유닛
151 : 구동모터 152 : 서포트바 지지롤러
160 : 와이어 공급 유닛 170 : 스크래치 유닛
171 : 스크래치 롤러 172 : 지지롤러
180 : 와이어 가이드 유닛 181 : 가이드 롤러
190 : 융착 유닛 191 : 제1 전극롤러
192 : 제2 전극롤러 200 : 승강 유닛
201 : 승강 레일 202 : 스크류
203 : 구동모터 204 : 승강부재
205 : 스프링 206 : 롤러 지지부
210 : 제어 유닛 220 : 전극롤러 청소 유닛
221 : 브라켓 222 : 구동모터
223 : 구동모터 지지판 224 : 스크류
225 : 제1 연동기어 226 : 제2 연동기어
227 : 바이트 228 : 바이트 고정부
230 : 전극롤러 세척 유닛 231 : 세척수 탱크
232 : 분사노즐 233 : 급수펌프
234 : 세척수 받이

Claims (13)

  1. 원통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서포트바; 및
    상기 서포트바의 외측 또는 내측에 간격을 유지하며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융착되고, 일측 또는 양측에 간격돌기가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간격돌기에 의해 상기 와이어의 최소 간격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스크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에는 스크래치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간격돌기는 상기 와이어를 가압하여 스크래치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가압되는 부분이 측방향으로 늘어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스크린.
  3. 복수 개의 서포트바 일단을 원통형으로 지지하면서 회전시키고, 상기 서포트바의 길이방향으로 측방향 이동되어, 상기 서포트바의 외측 또는 내측에 와이어가 나선형으로 감기도록 하는 제1 회전 유닛;
    공급되는 와이어에 스크래치를 형성하면서 스크래치의 일측 또는 양측에 측방향으로 간격돌기를 돌출 형성하는 스크래치 유닛; 및
    상기 서포트바와 와이어를 융착시키는 융착 유닛;을 포함하는 드럼 스크린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 유닛은,
    상기 서포트바에 의해 형성되는 원통의 중심에 위치되어, 서포트바와 와이어 중 안쪽에 위치되는 것과 접촉되는 제1 전극롤러; 및
    상기 서포트바에 의해 형성되는 원통의 바깥에 위치되어, 서포트바와 와이어 중 바깥쪽에 위치되는 것과 접촉되며, 제1 전극롤러와 반대극을 갖는 제2 전극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스크린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롤러를 승강시키는 승강 유닛을 더 포함하는 드럼 스크린 제조장치.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치 유닛은, 외주연에 가압돌기가 간격을 두고 형성된 스크래치 롤러를 이용해 상기 와이어에 일정간격으로 스크래치를 형성하고, 스크래치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간격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스크린 제조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공급경로에 위치되어 쐐기형 와이어가 틀어지거나 쳐지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와이어 가이드 유닛을 더 포함하는 드럼 스크린 제조장치.
  8.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롤러의 원주면에 묻은 이물을 제거하는 전극롤러 청소 유닛을 더 포함하는 드럼 스크린 제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롤러 청소 유닛을 이용해 제2 전극롤러의 원주면에 묻은 이물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제2 전극롤러의 원주면으로 세척수를 공급하여 벗겨진 이물을 씻어주는 전극롤러 세척 유닛을 더 포함하는 드럼 스크린 제조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유닛의 맞은편에 설치되어 상기 서포트바들의 타단을 지지하면서 회전시키되 상기 제1 회전 유닛과 동일한 구동속도 및 구동방향을 갖도록 작동되는 제2 회전 유닛을 더 포함하는 드럼 스크린 제조장치.
  11. 복수 개의 서포트바를 원통형으로 배열하고, 상기 서포트바의 외측 또는 내측에 와이어를 감아 드럼 스크린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와이어의 일측 또는 양측에 측방향으로 간격돌기를 돌출 형성하고, 간격돌기가 형성된 와이어를 상기 서포트바의 외측 또는 내측에 간격이 일정하도록 나선형으로 감은 다음, 상기 서포트바와 와이어를 융착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드럼 스크린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외주연에 복수 개의 가압돌기가 형성된 스크래치 롤러를 이용해 와이어에 스크래치를 형성하면서 스크래치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간격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스크린 제조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서포트바를 지지하는 회전 유닛을 구동하여 서포트바를 회전시키고, 서포트바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회전 유닛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상기 와이어가 상기 서포트바에 나선형으로 자동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스크린 제조방법.
KR1020140015629A 2014-02-11 2014-02-11 드럼 스크린 및 그 제조장치, 그리고 그 제조방법 KR201500943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629A KR20150094392A (ko) 2014-02-11 2014-02-11 드럼 스크린 및 그 제조장치, 그리고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629A KR20150094392A (ko) 2014-02-11 2014-02-11 드럼 스크린 및 그 제조장치, 그리고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392A true KR20150094392A (ko) 2015-08-19

Family

ID=54057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5629A KR20150094392A (ko) 2014-02-11 2014-02-11 드럼 스크린 및 그 제조장치, 그리고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43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86169A (zh) * 2017-09-28 2020-07-07 阿奎塞腾斯集团有限公司 用于制造基于金属丝的筛网过滤器的系统及相关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86169A (zh) * 2017-09-28 2020-07-07 阿奎塞腾斯集团有限公司 用于制造基于金属丝的筛网过滤器的系统及相关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3228B1 (ko) 이물제거장치
KR101516810B1 (ko) 원뿔형 드럼스크린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528296B1 (ko) 드럼 스크린
KR20150094392A (ko) 드럼 스크린 및 그 제조장치, 그리고 그 제조방법
JP6900267B2 (ja) 通電ベルトの製造方法
JP2017000910A (ja) 縦型濾過濃縮装置
CN112707203A (zh) 一种钢带收卷设备
KR101531199B1 (ko) 드럼스크린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570467B1 (ko) 원뿔형 드럼스크린
KR101636555B1 (ko) 기판용 필름의 재활용을 위한 피착물 박리장치
KR101560560B1 (ko) 관정용 스크린
KR101206986B1 (ko) 철 폼 전해 도금 장치
JP4171053B2 (ja) 電解洗浄装置
KR101030347B1 (ko) 용접와이어용 강판의 연속 권취장치
KR101531201B1 (ko) 선박 평형수 필터장치
CN216807047U (zh) 一种用于污泥清理的输送装置
KR200250990Y1 (ko) 싱크롤 표면홈 내측 이물질 제거장치
KR20120124895A (ko) 오폐수처리용 침지형 평막모듈의 막 세척장치
KR101780328B1 (ko) 잉곳 절단 장치, 와이어 세정기 및 잉곳 절단 와이어 세정 방법
CN207309726U (zh) 一种无酸环保型金属材料处理装置的除锈辊
CN215713502U (zh) 一种输送装置及工件处理系统
KR101671094B1 (ko) 드럼스크린이 설치된 복류수 처리시스템의 퇴적물 처리장치
JP2017000908A (ja) 縦型濾過濃縮装置
KR101031505B1 (ko) 길이가 긴 롤브러시의 휨 방지구조
CN111517409A (zh) 用于污水处理的明渠式紫外线消毒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