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4356A - Automatic cleaner for watermark - Google Patents

Automatic cleaner for waterma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4356A
KR20150094356A KR1020140015555A KR20140015555A KR20150094356A KR 20150094356 A KR20150094356 A KR 20150094356A KR 1020140015555 A KR1020140015555 A KR 1020140015555A KR 20140015555 A KR20140015555 A KR 20140015555A KR 20150094356 A KR20150094356 A KR 20150094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means
water level
brush
wat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55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55834B1 (en
Inventor
조호상
Original Assignee
아몽솔루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몽솔루션(주) filed Critical 아몽솔루션(주)
Priority to KR1020140015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5834B1/en
Publication of KR20150094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3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5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58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dip members, e.g. dip-sti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3/00Surveying specially adapted to open water, e.g. sea, lake, river or can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3/00Component parts of indicators for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3/02Scales; Di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cleaner for a watermark that is capable of cleaning when a watermark for measuring a water level of a river or the like is polluted. The automatic cleaner comprises: a watermark (100) which is provided up and down on one side of a bridge and in which graduations representing a height of water are indicated; a cleaning means (200) which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watermark (100) and is used to clean a front face of the watermark (100); a support frame (300) which guides the cleaning means (200) to move up and down; a control unit (400) which controls the cleaning means (200) to operate and move up and down; an emergency stopping mechanism (500) which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leaning means (200) and prevents a collision with ice or a solid object when the cleaning means (200)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ork efficiency is improved, and accidents are prevented.

Description

수위표 오토클리너 {Automatic cleaner for watermark}Automatic cleaner for watermark

본 발명은 수위표 오토클리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강물 등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표가 오염된 경우에는 자동으로 청소할 수 있는 수위표 오토클리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level auto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level auto cleaner that can be automatically cleaned when a water level table for measuring the water level of a river or the like is contaminated.

우리나라의 홍수는 여름철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에 따른 장마와, 폭우를 동반하는 태풍으로 인한 집중호우에 의해 발생한다. 호우 발생빈도가 높은 지역으로는 남해안, 지리산 부근의 산청지방과 강화도를 중심으로 한 경기북부지방, 대관령 부근의 산간지방과 제주도 지방이다. The floods in Korea are caused by the rainy season due to the effects of the North Pacific high pressure in summer and the heavy rain caused by typhoons accompanied by heavy rainfall. The high frequency of heavy rainfall is the southern coastal area, the Sancheong area near Jiri Mountain, the Gyeonggi province centered on Ganghwa Island, and the mountainous region near Daegwallyeong and Jeju province.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서 매해 홍수를 대비하여 낙동강 지역 등에 수위표를 설치하여 실시간으로 수위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Due to this feature, water level information can be monitored in real time by installing a water level table in Nakdong River area in preparation for flood every year.

그러나 수위표가 물속에 장기간 잠겨있는 탓으로 이물질들이 수위표 표면에 생겨 자동으로 수위를 인식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런 경우에는 사람이 수위표 표면을 직접 세정해줘야만 자동으로 수위를 인식할 수 있다. However, since the water mark is immersed in the water for a long time, foreign matter is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water mark, and the water mark is not automatically recognized. In this case, the person can automatically recognize the water level only by directly cleaning the surface of the water level table.

즉, 한국 특허출원 제10-2004-0074257호에서와 같은 다양한 수위 측정장치들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수위를 자동으로 청소하는 장치는 없으므로 사람이 위험을 무릅쓰고 직접 수위표에 근접하여 청소를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although various water level measuring devices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4-0074257 have been disclosed, there is no automatic water level cleaning device, so it is necessary for the person to be cleaned close to the water level table at risk There is a problem.

특허출원 제10-2004-0074257호Patent Application No. 10-2004-0074257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오염된 수위표를 자동으로 세정하고 청결한 수위표를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위표 오토클리너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table auto cleaner capable of automatically cleaning a contaminated water level table and managing a clean water level tabl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수위표 오토클리너는, 다리의 일측에 상하로 구비되며, 물의 높이를 나타내는 눈금이 표시된 수위표와; 상기 수위표의 일측에 설치되며, 수위표의 전면을 청소하는데 사용되는 세정수단과; 상기 수위표의 일측에 상하로 구비되며, 상기 세정수단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세정수단의 작동과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세정수단의 일측에 구비되며, 세정수단의 상하 이동시에 얼음 또는 견고한 물체와의 충돌이 방지되도록 하는 비상정지기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ter level indicator auto-cleaner comprising: a water level indicator provided on one side of a leg, the water level indicator being indicative of a height of water; A cleaning mean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water level table and used for cleaning the front surface of the water level table; A support fram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water level table and guiding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cleaning means; A control uni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for controlling operation and up-and-down movement of the cleaning unit; And an emergency stop mechanism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leaning means for preventing collision with ice or a rigid object when the cleaning means moves up and down.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부에는, 상기 세정수단의 상측 이동을 제한하는 상단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세정수단의 일측에는, 상기 세정수단이 수면에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는 수위검지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An upper end sensor for restricting upward movement of the cleaning means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And a water level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that the cleaning means reaches the water surface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leaning means.

상기 세정수단은, 상기 수위표의 전면에 접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러쉬와; 상기 브러쉬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브러쉬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브러쉬모터와; 상기 지지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유동하며, 상기 브러쉬와 브러쉬모터가 장착되는 본체프레임;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leaning means includes: a brush which is in contact with a front surface of the water level table and is rotatably installed; A brush moto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rush to provide rotational power to the brush; And a main body frame vertically flowing along the support frame and on which the brush and the brush motor are mounted.

상기 비상정지기구는, 상기 본체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하로 탄성 유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완충수단과; 상기 본체프레임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완충수단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차단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mergency stop mechanism may include: buffer mean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frame and installed to allow upward and downward elastic flow; And a blocking sensor fixedly mounted on the main body fram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buffering means is in proximity to the main body frame.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본체프레임의 일측에 상하로 설치되며, 가는 환봉 형상을 가지는 완충봉과; 상기 완충봉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며, 완충봉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상단편 및 하단편과; 상기 완충봉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단편에 하측으로의 압축력을 가하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buffer means comprises: a cushioning rod vertical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frame and having a thin round bar shape; An upper piece and a lower piece each having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cushioning rod and formed respectively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ushioning rod; And a return spring install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buffer rod and applying a downward compressive force to the lower end.

본 발명에 의한 수위표 오토클리너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water table auto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서는 수위표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세정수단이 구비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사람이 직접 수위표를 청소하는 것이 불필요하므로, 청소능률이 향상됨은 물론, 안전사고가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cleaning means for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water level table is provided. Therefore, since it is unnecessary for the person to clean the water level table as in the conventional art, the efficiency of cleaning is improved and safety accidents ar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비상정지기구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강물이 얼거나 수면에 고체가 돌출된 경우에는 자동으로 세정수단의 하강이 정지되므로, 기계의 파손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an emergency stop mechanism is further provided. Therefore, when the river freezes or the solid protrudes to the water surface, the descent of the washing means is automatically stopped, thereby preventing the breakage of the machin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위표 오토클리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상반부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지지프레임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세정수단과 비상정지기구의 상세구성을 보인 전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세정수단과 비상정지기구의 상세구성을 보인 후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수위표 오토클리너가 지지프레임의 상단에 정지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수위표 오토클리너가 하측으로 내려와 비상정지수단에 의해 정지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ectional view of a top half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water level auto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support fram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leaning means and an emergency stop mechanism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rear view show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cleaning means and the emergency stop mechanism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use state showing a state where the water level auto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opp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6 is a state of use in which the water level auto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owered and stopped by the emergency stop means.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수위표 오토클리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water level auto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수위표 오토클리너의 일 실시예가 설치된 상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FIG. 1 schematically shows a state where an embodiment of a water level auto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위표 오토클리너는, 물의 높이를 나타내는 눈금이 표시된 수위표(100)와, 상기 수위표(100)의 전면을 청소하는데 사용되는 세정수단(200)과, 상기 세정수단(20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지지프레임(300)과, 상기 지지프레임(3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세정수단(200)의 작동과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0)와, 상기 세정수단(200)의 상하 이동시에 얼음 또는 견고한 물체와의 충돌이 방지되도록 하는 비상정지기구(500) 등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water level auto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level table 100 having a scale indicating the height of water, a cleaning means 200 used to clean the entire surface of the water level table 100, A support frame 300 for guiding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cleaning means 200; a control unit 40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30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and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cleaning means 200; And an emergency stop mechanism 500 for preventing collision with ice or a rigid object when the cleaning means 200 is moved up and down.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강물(10)을 가로질러 다리(20)가 횡으로 설치되며, 이러한 다리(20)는 다수의 교각(30)에 의해 지탱된다.More specifically, bridges 20 are installed transversely across the river 10, and these bridges 20 are supported by a plurality of bridges 30. As shown in FIG.

상기 다리(20)의 좌측에는 제어부(400)가 구비되며, 이러한 제어부(400)는 중앙제어부와 모터 컨트롤러 등 다수의 제어기기들로 이루어지며, '관측소'라고 불리는 건물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control unit 400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legs 20. The control unit 400 includes a plurality of control devices such as a central control unit and a motor controller and is preferably installed in a building called an ' Do.

상기 교각(30)에는 상하로 지지프레임(300)이 설치되고, 이러한 지지프레임(300)의 전면에는 수위표(100)가 설치된다.The pier 30 is vertically provided with a support frame 300 and a water level table 100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300.

상기 수위표(100)는, 전면에는 높이를 나타내는 눈금이 표시되어 강물이나 바닷물 등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눈금은 1㎝단위로 표시되고 숫자표시는 10㎝단위로 표시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숫자는 상측으로 갈수록 크기가 증가하도록 새겨지는 것이 일반적이다.In the water level table 100, a scale indicative of the height is displayed on the front surface, and is for measuring the water level of the river or sea water. The scale is preferably displayed in 1 cm increments, and the numerical value is preferably displayed in 10 cm increments. And, the number is generally engraved to increase in size toward the upper side.

상기 지지프레임(300)의 상측에는 상부박스(110)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박스(110)는 상기 다리(20)의 전면 등에 고정 설치되며, 내부에는 윈치(winch: 원통형의 드럼에 와이어 로프를 감아 도르래를 이용해서 중량물(重量物)을 높은 곳으로 들어올리거나 끌어당기는 기계)가 구비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지지로프(320)의 노출 길이를 조절한다.An upper box 110 is installed above the support frame 300. The upper box 110 is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leg 20 or the like, and a winch is wound around a cylindrical drum by using a pulley to lift or pull a heavy object to a high place, Machine) is provided to adjust the exposure length of the support rope 320 described below.

상기 지지프레임(300)에는 본체박스(310)가 상하로 유동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본체박스(3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의 박스 형태의 외관을 가지며, 아래에서 설명할 세정수단(200)을 구성하는 부품들이 대부분 내부에 내장된다.The main body box 310 is installed in the support frame 300 so as to flow upward and downward. As shown in the figure, the main body box 310 has a rectangular box-like appearance and most of the parts constituting the cleaning means 200 described below are built in the main body.

상기 본체박스(310)는 지지로프(320)에 의해 상기 상부박스(110)와 연결된다. 상기 지지로프(320)는 내부가 중공된 로프(rope)로 이루어지며, 지지로프(320)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세정수단(200)이나 차단센서(550)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이나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전달선 등이 내장된다.The body box 310 is connected to the upper box 110 by a support rope 320. The support rope 320 is made of a hollow rope and a power line for supplying power to the cleaning means 200 or the shutoff sensor 550 or the like And a signal transmission line for transmitting a signal.

상기 지지로프(320)의 상단은 상기 상부박스(110) 내부에 내장되는 윈치에 감기게 되어, 상기 본체박스(310)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로프(3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박스(310)의 좌우 양단을 지지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The upper end of the support rope 320 is wound on a winch built in the upper box 110 to control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main box 310. The support ropes 320 may be paired as shown in FIG. 1 and may be installed to suppor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main body box 310.

상기 제어부(400)는, 아래에서 설명할 세정수단(200)의 작동과 상하이동의 제어는 물론, 아래에서 설명할 각종 센서나 수위검지수단 등으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각 부품의 작동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의 기능을 수행한다.The control unit 400 senses signals transmitted from various sensors and level detecting means to be described below as well as the operation of the cleaning means 200 and the control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to be described below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And performs the functions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상기 본체박스(310)의 하측으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쉬(210)가 구비되며, 이러한 브러쉬(210)는 아래에서 설명할 세정수단(200)의 일 구성요소가 된다.Below the body box 310, a brush 210 is provided as shown, and the brush 210 is a component of the cleaning means 200 described below.

상기 본체박스(310)의 우측으로는 아래에서 설명할 세정수단(200)이 수면에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는 수위검지수단(600)이 구비된다.On the right side of the main body box 310, a level detecting means 600 for detecting that the cleaning means 20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reaches the water surface is provided.

상기 수위검지수단(600)은, 상기 본체박스(310)의 하단 또는 브러쉬(210)가 수면에 닿았는지의 여부를 1차적으로 감지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이러한 수위검지수단(600)은, 물 위에 뜨는 부표(浮標)와 같은 것을 구성되어 수면에 닿았음을 상기 제어부(400)로 직접 전달하거나, 기구적으로 상기 본체박스(310)의 하강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본체박스(310)의 하강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아래에서 설명할 세정수단(200)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상기 브러쉬(210)에 의해 수위표(100)의 청소가 진행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변기에 설치되는 물 수위조절장치와 같이 기구적으로 모터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세정수단(20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위검지수단(600)이 물을 통한 전기의 통전에 의해 수위를 감지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level detecting means 600 primarily detects whether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box 310 or the brush 210 touches the surface of the water. Therefore, the water level detecting means 600 is configured such as a buoy on the water to directly transmit the touch to the water surface to the control unit 400, or to mechanically lower the body box 310 The cleaning device 200 described below is automatically operated to stop the descent of the main body box 310 and to stop the descent of the water level table 100 by the brush 210. [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cleaning to proceed. That is, it can be configured to mechanically cut off the power supply of the motor o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leaning means 200, such as a water level control device installed in the toile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level detecting means (600) is configured to detect the water level by energization of electricity through water.

상기 비상정지기구(5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박스(310)의 우측에 설치된다. 즉, 아래에서 설명할 세정수단(200)의 우측에 구비되어, 세정수단(200)의 상하 이동시에 얼음 또는 견고한 물체와의 충돌이 방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emergency stop mechanism 500 is installed on the right side of the main body box 310 as shown in FIG. That is, it is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cleaning means 200 to be described below, and serves to prevent collision with ice or a rigid object when the cleaning means 200 is moved up and down.

따라서, 상기 비상정지기구(500)는, 완충기능을 가지는 완충수단(510)과, 상기 완충수단(510)의 작동에 따라 상기 본체박스(310)의 하강을 정지시키는 차단센서(550) 등으로 이루어진다.The emergency stop mechanism 500 may include a buffering means 510 having a buffering function and a blocking sensor 550 for stopping the lowering of the body box 31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uffering means 510 .

상기 차단센서(550)는, 근접센서로 이루어져 상기 완충수단(510)의 상단이 근접하는 경우에는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400)에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아래에서 설명할 세정수단(200)이 구비된 상기 본체박스(310)의 하강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비상정지기구(500)의 기능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살펴본다.The blocking sensor 550 may be a proximity sensor that detects the proximity of the upper end of the buffering means 510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400 so that the detaching means 200 Thereby stopping the lowering of the main body box 310. The function of the emergency stop mechanism 5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상기 지지프레임(300)의 상단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세정수단(200)의 상측 이동을 제한하는 상단센서(330)가 구비된다.The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300 is provided with an upper sensor 330 for restricting upward movement of the cleaning means 200 described below.

상기 상단센서(330)는, 상기 본체박스(310)의 상단이 상승하는 경우에 상승을 차단하여 상기 본체박스(310)가 상기 상부박스(110)에 부딪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근접센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The upper sensor 330 may be a proximity sensor for preventing the main body box 310 from bumping against the upper box 110 when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box 310 is raised Do.

근접센서는, '근접스위치'라고도 하는 것으로, 스위치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스위치를 일컫는다. The proximity sensor, which is also referred to as a 'proximity switch', refers to a switch that detects the presence of an object approaching the detection surface of a switch or an object existing in the vicinity thereof without mechanical contact using the force of an electromagnetic field.

물론, 상기 상단센서(330)는 근접센서 외에 직접 접촉에 의해 상기 제어부(400)로 신호를 전달하거나, 기구적으로 상기 상부박스(110) 또는 본체박스(310) 등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본체박스(310)의 상승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Of course, the upper sensor 330 may transmit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400 by directly contacting the proximity sensor or sh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upper box 110 or the body box 310 mechanically And may be configured to stop the lifting of the main body box 310. [

도 2에는 상기 지지프레임(300)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2 is a plan view of the support frame 300.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300)은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한 쌍의 세로프레임(302)과, 상기 한 쌍의 세로프레임(302) 사이를 연결하는 가로프레임(304) 등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support frame 300 includes a pair of vertical frames 302, which are elongated vertically, and a horizontal frame 304, which connects the pair of vertical frames 302.

상기 세로프레임(302)의 단면은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며, 좌측의 세로프레임(302)은 'ㄹ'자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세로프레임(302)에는 좌우 양단으로부터 중앙부 내측으로 함몰된 '⊃' 및 '⊂'형상의 대칭되는 수용홈(302')이 각각 형성되고, 이러한 수용홈(302')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회전바퀴(236)가 수용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ross section of the vertical frame 302 has a shape symmetrical to the left and right, and the vertical frame 302 on the left has an 'd' shape. Therefore, the pair of vertical frames 302 are formed with symmetrical receiving grooves 302 'shaped in the shape of' ⊃ 'and' ⊂ 'that are recessed from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vertical frame 302 to the inside of the central portion. A spinning wheel 236, described below, is received.

상기 가로프레임(304)은, 가는 직사각형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상하로 등(等) 간격을 가지도록 다수 개가 좌우로 설치된다.The horizontal frame 304 is formed of a thin rectangular flat plate,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304 are provided horizontally so as to have an upward, downward, etc. spacing.

도 3 및 도 4에는 상기 본체박스(310) 내부에 구비되는 세정수단(200)과 상기 비상정지기구(500)의 상세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3에는 상기 본체박스(310) 내부에 구비되는 세정수단(200)과 상기 비상정지기구(500)의 전방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세정수단(200)과 비상정지기구(500)의 후면도가 도시되어 있다.3 and 4 show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cleaning means 200 and the emergency stop mechanism 500 provided in the body box 310. As shown in FIG. 3 show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cleaning means 200 and the emergency stop mechanism 500 provided inside the body box 310. The cleaning means 200 and the emergency stop mechanism 500 Is shown in a rear view.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정수단(200)은, 상기 수위표(100)의 전면에 접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러쉬(210)와, 상기 브러쉬(2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브러쉬(210)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브러쉬모터(220)와, 상기 지지프레임(300)을 따라 상하로 유동하며 상기 브러쉬(210)와 브러쉬모터(220)가 장착되는 본체프레임(230) 등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cleaning means 200 includes a brush 210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water level table 100, and a brush (not shown)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rush 210 And a main body frame 230 which flows upward and downward along the support frame 300 and on which the brush 210 and the brush motor 220 are mounted, and the like .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직사각형상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본체프레임(230)이 좌우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More specifically, the body frame 230, which is a rectangular flat plate, is formed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right and left direction.

상기 본체프레임(230)은, 상기 지지프레임(300)을 따라 상하로 유동하며, 상기 브러쉬(210)와 브러쉬모터(220)가 장착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이러한 본체프레임(230)의 좌우 양단에는 'ㄴ'자로 절곡된 측판(232)이 각각 연결된다.The main body frame 230 flows upward and downward along the support frame 300 and is a portion where the brush 210 and the brush motor 220 are mounted.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main body frame 230 are connected to the side plates 232 bent in a "? &Quot;

상기 좌우의 측판(23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와 '┗'형상(도 3의 하방에서 볼 경우)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좌우 측판(232)의 후단부는 다시 내측으로 대칭되게 돌출되어 바퀴편(234)을 형성하며, 이러한 바퀴편(234)에는 각각 2개의 회전바퀴(236)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232 are formed of '┛' and '┗' shapes (as viewed from below in FIG. 3) as shown. The rear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232 are symmetrically protruded inwardly to form wheel pieces 234. Two wheel 236 are rotatably mounted on the wheel pieces 234.

따라서, 상기 회전바퀴(236)는, 상기 지지프레임(300)의 수용홈(302')에 각각 삽입되어, 구름운동을 하게 된다.Therefore, the rotating wheels 236 ar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s 302 'of the supporting frame 300, respectively, to perform rolling motion.

상기 측판(232)의 하단 전면에는 지지단(240)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이러한 지지단(240)에 브러쉬축(242)이 설치된다.A support end 240 protrudes for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side plate 232 and a brush shaft 242 is installed at the support end 240.

상기 브러쉬축(242)은 가는 환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단이 상기 좌우의 지지단(24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브러쉬축(242)의 외면에 상기 브러쉬(210)가 고정 장착된다. 또한, 상기 브러쉬축(242)의 우측단에는 브러쉬풀리(244)가 더 형성된다.The brush shaft 242 has a thin round bar shape and both ends are rotatably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support ends 240, respectively. The brush 210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rush shaft 242. A brush pulley 244 is further formed at the right end of the brush shaft 242.

상기 브러쉬(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솔(brush)로 이루어지고, 중앙부를 가로지르는 상기 브러쉬축(242)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브러쉬축(242)의 좌우 양단은 지지단(2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brush 210 is formed of a cylindrical brush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is rotatably mounted on the brush shaft 242 across the central portion. That is,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brush shaft 242 are rotatably mounted on the support end 240.

상기 세정수단(200)이 상기 지지프레임(300)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브러쉬(210)는 상기 수위표(100)의 전면에 접하게 되어 수위표(100)의 청소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cleaning means 200 is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300, the brush 21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ntire surface of the water level table 100 to clean the water level table 100.

상기 브러쉬모터(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러쉬(21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브러쉬(210)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즉, 상기 브러쉬모터(220)는, 상기 본체프레임(230)의 전면에 고정 장착된다.The brush motor 220 is installed above the brush 210 to provide a rotational power to the brush 210. That is, the brush motor 220 is fixedly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frame 230.

상기 브러쉬모터(220)의 우측으로는 모터축(222)이 돌출되고, 이러한 모터축(222)에는 모터풀리(224)가 형성된다. 상기 모터풀리(224)는 상기 브러쉬모터(220)의 회전을 상기 브러쉬(210)에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A motor shaft 222 protrudes to the right of the brush motor 220 and a motor pulley 224 is formed on the motor shaft 222. The motor pulley 224 is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 of the brush motor 220 to the brush 210.

따라서, 상기 모터풀리(224)와 브러쉬풀리(244)는 연결벨트(25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벨트(250)는 고무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 마찰력에 의해 회전 동력을 전달하거나, 체인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motor pulley 224 and the brush pulley 24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ng belt 250. The connection belt 250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and may transmit rotational power by frictional force, or may be formed of a chain or the like.

상기 본체프레임(230)의 우측에는 상기 비상정지기구(500)가 설치된다. 즉, 상기 본체프레임(230)의 우측 측판(232)에 비상정지기구(500)가 고정 장착된다.The emergency stop mechanism 500 is installed on the right side of the main body frame 230. That is, the emergency stop mechanism 500 is fixedly mounted on the right side plate 232 of the main body frame 230.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본체프레임(230)의 우측 측판(232)에는 'ㄴ'자 형상의 완충단(502)이 형성되고, 이러한 완충단(502)의 상단에는 상기 차단센서(55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완충단(502)의 하단에는 상기 완충수단(510)이 구비된다.Specifically, a 'C' shaped buffer stage 502 is formed on the right side plate 232 of the body frame 230, and the cutoff sensor 550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buffer stage 502 . At the lower end of the buffer stage 502, the buffer means 510 is provided.

상기 차단센서(550)는, 근접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완충수단(510)의 근접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즉, 상기 완충수단(510)의 상단이 상기 차단센서(550)에 근접하면, 이러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400)에 전달하여 상기 세정수단(200)의 하강을 멈추게 한다.The shut-off sensor 550 is made up of a proximity sensor, and determines whether the buffering means 510 is in close proximity. That is, when the upper end of the buffering means 510 approaches the blocking sensor 550, this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400 to stop the lowering of the cleaning means 200.

상기 완충수단(510)은, 상기 본체프레임(230)의 우측에 구비되며, 상하로 탄성 유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외부의 딱딱한 물체가 하측에 부딪히는 경우에도 파손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The buffering means 510 is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main body frame 230 so as to be elastically flowable upward and downward to prevent breakage even when an external rigid object hits the lower side.

상기 완충수단(510)은, 가는 환봉 형상을 가지는 완충봉(512)과, 상기 완충봉(512)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상단편(514) 및 하단편(516)과, 상기 하단편(516)에 하측으로의 압축력을 가하는 복귀스프링(518) 등으로 구성된다.The buffering means 510 includes a cushioning rod 512 having a thin round bar shape and a top piece 514 and a bottom piece 516 formed at the top and bottom ends of the cushioning rod 512, And a return spring 518 for applying a downward compressive force to the lower portion 516 and the like.

상기 완충봉(51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단(502)의 우측단에 상하로 설치된다. 즉, 상기 완충단(502)의 우측단에는 상하로 관통된 봉홀(502')이 형성되고, 이러한 봉홀(502')에 상기 완충봉(512)이 삽입 설치된다.The cushioning rod 512 is installed at the right end of the buffer stage 502 as shown in FIG. That is, at the right end of the buffer stage 502, a seal hole 502 'penetrating up and down is formed, and the buffer bar 512 is inserted into the seal hole 502'.

상기 봉홀(502')의 내경은, 상기 완충봉(512)의 외경보다는 크게 형성되고, 상기 상단편(514) 및 하단편(516)의 외경보다는 작은 크기를 가진다. 즉, 상기 완충봉(512)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상단편(514) 및 하단편(516)의 외경, 상기 완충봉(512)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고, 상기 봉홀(502')의 내경은 상기 상단편(514) 및 하단편(516)의 외경보다 작다. 따라서, 상기 완충봉(512)은 상기 봉홀(502')에 삽입 설치된 상태로 상하로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The inner diameter of the seal hole 502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cushioning rod 512 and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end piece 514 and the lower end piece 516. That is, 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piece 514 and the lower piece 516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ushioning rod 512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cushioning hole 512 ar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cushioning rod 512, Is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end piece 514 and the lower end piece 516. Accordingly, the cushioning rods 512 are not vert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seal holes 502 '.

상기 복귀스프링(518)은, 상기 완충봉(512)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복귀스프링(518)은, 항상 상기 하단편(516)에 하측으로의 압축력을 가하게 된다.The return spring 518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buffer rod 512 and is formed of a compression spring. Therefore, the return spring 518 applies compressive force downward to the lower end piece 516 at all times.

상기 완충단(502)에는 물을 감지하는 상기 수위검지수단(600)이 설치된다.The buffer stage 502 is provided with the level detecting means 600 for detecting water.

상기 수위검지수단(6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되게 상하로 길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전극봉(610)과, 상기 전극봉(610)을 지지하는 지지판(620) 등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level detecting means 600 includes a pair of electrode bars 610 that are vertically and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supporting plate 620 that supports the electrode bars 610.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완충단(502)의 저면에는 원판 형상의 지지판(620)이 부착 설치되고, 이러한 지지판(620)에는 한 쌍의 전극봉(610)이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전극봉(610)은 가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하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서로 극이 다른 전기가 흐르게 된다.More specifically, a disk-shaped support plate 620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buffer stage 502, and a pair of electrode bars 610 protrude downward from the support plate 620. The pair of electrode rods 610 have a thin columnar shape and are formed so as to have the same length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have different polarities from each other.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전극봉(610)이 물에 닿게 되면, 두 전극봉(610)이 도통이 되므로 이러한 도통 신호가 제어부(400)로 전달된다. 이처럼 상기 한 쌍의 전극봉(610)이 평상시에는 서로 통전이 되지 않다가, 물에 닿으면 도통이 되므로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물 표면에 근접하였는지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when the pair of electrode rods 610 are exposed to water, the two electrode rods 61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conduction signals ar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400. As described above, the pair of electrode rods 610 are not energized when they are normally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the electrodes 610 are in contact with water, they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본체프레임(230)에는 상기 세정수단(200)과 본체프레임(230)의 상하 이동거리를 계산함으로써 수위를 측정하도록 하는 거리측정수단(700)이 더 구비된다.The body frame 230 is further provided with distance measuring means 700 for measuring the water level by calculating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distances of the cleaning means 200 and the body frame 230.

상기 거리측정수단(700)은, 엔코더(encoder)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세정수단(200)과 본체프레임(230)의 상하 이동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리측정수단(700)은 회전각을 펄스 신호로 변환하는 '로터리 엔코더'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기계적인 길이(상하의 이동거리)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판독 오차를 작게 할 뿐 아니라, 마이크로 프로세서나 컴퓨터 등을 이용한 측정 데이터의 처리가 쉬워지는 이점이 있다. 즉, 상기 거리측정수단(700)에 의해 계산된 상기 세정수단(200)과 본체프레임(230)의 상하 이동거리가 상기 제어부(400)로 전달되어, 수위의 측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The distance measuring means 700 is an encoder or the like and is a device for measuring the vertical moving distance between the cleaning means 200 and the main body frame 230. More preferably, the distance measuring means 700 includes a rotary encoder for converting the rotation angle into a pulse signal.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not only the reading error is reduced by converting the mechanical length (moving distanc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nto a digital signal, but also the processing of measurement data using a microprocessor, a computer, or the like is facilitated. That is, the vertical moving distance of the cleaning means 200 and the body frame 230 calculated by the distance measuring means 70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400, and the water level can be measured.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거리측정수단(700)은, 상기 본체프레임(23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엔코더고정단(710)과, 상기 엔코더고정단(710)의 양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바퀴(720)와, 상기 회전바퀴(720)의 회전각을 펄스 신호로 변환하는 엔코더(730) 등으로 이루어진다.Specifically, the distance measuring means 700 includes an encoder fixed end 710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frame 230 and a pair of rotating wheels 710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encoder fixed end 710 An encoder 730 for conver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ry wheel 720 into a pulse signal, and the like.

상기 엔코더고정단(7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프레임(230)의 중앙 상단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이러한 엔코더고정단(710)의 좌우 양단에는 회전바퀴(72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encoder fixed end 710 protrudes upward from the center upper end of the main body frame 230 as shown in the figure. On both right and left ends of the encoder fixed end 710, a rotary wheel 720 is rotatably Respectively.

상기 회전바퀴(720)는, 상기 세정수단(200)이 상기 수위표(100)의 전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때 회전되고, 이러한 상기 회전바퀴(720)의 회전 상태가 상기 엔코더(730)에 전달된다.The rotary wheel 720 is rotated when the cleaning means 200 moves up and down along the front surface of the water level table 100 and the rotation state of the rotary wheel 720 is transmitted to the encoder 730 do.

상기 엔코더(730)는 상기에서 설명한 '로터리 엔코더'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로터리 엔코더'는, '펄스 계수식 센서(pulse counting-type sensor)'라고도 불리며, 기본 원리는 이미 알려진 것이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의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encoder 730 includes the above-described 'rotary encoder'. Such a 'rotary encoder' is also called a 'pulse counting-type sensor', and since the basic principle is already know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수위표 오토클리너의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수위표 오토클리너가 지지프레임의 상단에 정지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수위표 오토클리너가 하측으로 내려와 비상정지수단에 의해 정지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water level auto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FIG. FIG. 5 shows a state where the level indicator auto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opp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FIG. 6 shows a state where the level indicator auto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owered and stopped by the emergency stop means, .

먼저 도 5에서와 같이, 평소에는 상기 세정수단(200)은 지지프레임(300)에 장착된 상태로 지지프레임(300)의 상단에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이때에는 사용자는 상기 수위표(100)의 눈금을 읽어 강물이나 바다 또는 호수의 수위를 측정하게 된다.First, as shown in FIG. 5, the cleaning means 200 normally remains stationary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300 while being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300. Accordingly, at this time, the user reads the scale of the water level table 100 to measure the water level of a river, a sea, or a lake.

그러다가, 상기 수위표(100)가 오염되어 눈금 측정이 어렵다고 판단되면, 사용자는 상기 제어부(400)에 명령을 내려 상기 세정수단(200)을 작동시킨다.The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ater level table 100 is contaminated and the scale measurement is difficult, the user commands the control unit 400 to operate the cleaning means 200.

상기 제어부(400)의 명령은 상기 상부박스(110)로 전달되어, 내부의 윈치(도시되지 않음)에 감겨진 상기 지지로프(320)를 풀게 되어, 지지로프(320)에 메달려 있는 상기 세정수단(200)이 하측으로 하강한다.The command of the controller 400 is transmitted to the upper box 110 to unwind the support rope 320 wrapped around an inner winch (not shown) (200) descends downward.

상기 세정수단(200)이 하강하다가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수위검지수단(600)이 물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세정수단(200)은 하강을 멈추게 되고, 다음으로는 상기 브러쉬모터(220)에 의해 브러쉬(210)가 회전하여 수위표(100)를 청소하게 된다.1, when the water level sensing means 600 senses water, the cleaning means 200 stops descending, and then the brush motor 220 is stopped. The brush 210 rotates to clean the water level table 100.

그리고, 이때 상기 세정수단(200)은 상하 운동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수위표(100)의 전면을 전체적으로 청소할 수 있도록 상하로 운동하면서, 상기 브러쉬(210)로 수위표(100)를 청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leaning means 200 move up and down. That is, it is preferable to clean the water level table 100 with the brush 210 while moving up and down to clean the entire surface of the water level table 100.

또한, 상기 브러쉬(210)는 물속으로 일정 거리 하강을 계속하면서 수위표(100)의 청소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수위가 더 낮아질 수 있으므로, 청소시에 수면 위로 노출되지 않은 수위표(100) 부분도 청소 가능하도록 상기 브러쉬(210)가 일정 구간 하측으로 더 내려가면서 청소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In addition, the brush 210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water level table 100 is cleaned while continuing to descend a certain distance in the water. That is, since the water level may be lowered,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so that the brush 210 is further lowered to a lower side of the water level so that the water level table 100, which is not exposed above the water surface, can be cleaned.

상기와 같은 세정수단(200)의 상하운동과 브러쉬(2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수위표(100)의 청소가 완료되면,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상기 세정수단(200)은 상기 지지프레임(300)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한다.When the cleaning table 200 is completely cleaned by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cleaning unit 200 and the rotation of the brush 210, As shown in Fig.

상기 세정수단(200)이 상측으로 이동하면 결국에는 상기 차단센서(550)가 상기 상단센서(330)에 닿게 되고, 상단센서(330)는 차단센서(550)의 근접을 상기 제어부(400)에 전달하여 상기 세정수단(200)이 자동으로 정지하도록 한다.When the cleaning means 200 moves upward, the shutoff sensor 550 reaches the upper sensor 330 and the upper sensor 330 closes the shutoff sensor 550 to the control unit 400 So that the cleaning means 200 automatically stops.

도 6에는 상기 비상정지기구(500)에 의해 상기 세정수단(200)의 하강이 자동으로 정지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즉, 강물 등이 추위로 얼어붙은 경우이거나 수면 위에 딱딱한 고체가 있는 경우에는, 도 5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세정수단(200)이 점차 하강하면, 상기 완충수단(510)의 하단편(516)이 얼음이나 고체의 상면에 닿게 된다.FIG.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descent of the cleaning means 200 is automatically stopped by the emergency stop mechanism 500. That is, when a river or the like freezes in the cold or there is a solid solid on the water surface, when the cleaning means 200 is gradually lower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00 in the state of FIG. 5, 510 touches the top surface of the ice or solid.

이렇게 되면, 상기 하단편(516)은 복귀스프링(518)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완충수단(510)의 상단이 상측으로 올라오게 되어 상기 차단센서(550)에 근접한다.The upper end of the buffering means 510 is moved upward to close the blocking sensor 550. In this case, the upper end of the buffering unit 510 is moved upwards to overcome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spring 518, .

상기 완충수단(510)의 상단편(514)이 상기 차단센서(550)에 근접하면, 이러한 정보가 상기 제어부(400)에 전달되어 상기 세정수단(200)의 하강은 자동으로 정지한다.When the upper end 514 of the buffering means 510 approaches the shutoff sensor 550, this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400 so that the descent of the cleaning means 200 automatically stops.

이와 같이, 상기 비상정지기구(500)에 의해 수면이 얼거나, 고체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세정수단(200)이 수면에 도달하기 전에 정지되므로, 세정수단(200)이나 상기 수위검지수단(600) 등의 부품 손상이 방지되는 것이다.When the surface of the water is frozen or solid by the emergency stop mechanism 500, the cleaning means 200 and the level detecting means 600 are stopped before the cleaning means 200 reaches the water surface, And the like.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any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수위표 110. 상부박스
200. 세정수단 210. 브러쉬
220. 브러쉬모터 230. 본체프레임
240. 지지단 250. 연결벨트
300. 지지프레임 310. 본체박스
320. 지지로프 330. 상단센서
400. 제어부 500. 비상정지기구
510. 완충수단 550. 차단센서
600. 수위검지수단 710. 엔코더고정단
100. Water table 110. Top box
200. Cleaning means 210. Brush
220. Brush motor 230. Body frame
240. Support end 250. Connecting belt
300. Support frame 310. Body box
320. Support rope 330. Upper sensor
400. Control unit 500. Emergency stop mechanism
510. Buffering means 550. Breaking sensor
600. Level detecting means 710. Encoder fixing stage

Claims (5)

다리의 일측에 상하로 구비되며, 물의 높이를 나타내는 눈금이 표시된 수위표(100)와;
상기 수위표(100)의 일측에 설치되며, 수위표(100)의 전면을 청소하는데 사용되는 세정수단(200)과;
상기 수위표(100)의 일측에 상하로 구비되며, 상기 세정수단(20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지지프레임(300)과;
상기 지지프레임(3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세정수단(200)의 작동과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0)와;
상기 세정수단(2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세정수단(200)의 상하 이동시에 얼음 또는 견고한 물체와의 충돌이 방지되도록 하는 비상정지기구(5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표 오토클리너.
A water level table 10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legs and having a scale indicating the height of the water;
A cleaning means 200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water level table 100 and used to clean the entire surface of the water level table 100;
A support frame 300 verticall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water level table 100 and guiding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cleaning means 200;
A control unit 40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300 for controlling operation and up-and-down movement of the cleaning unit 200;
And an emergency stop mechanism (50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leaning means (200) for preventing collision with ice or a rigid object when the cleaning means (200) is vertically moved. Table Auto Clean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300)의 상단부에는, 상기 세정수단(200)의 상측 이동을 제한하는 상단센서(330)가 구비되며;
상기 세정수단(200)의 일측에는, 상기 세정수단(200)이 수면에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는 수위검지수단(60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표 오토클리너.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an upper sensor (330)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300) to limit upward movement of the cleaning means (200);
And a water level detecting means (600) for detecting that the cleaning means (200) reaches the water surface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leaning means (20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단(200)은,
상기 수위표(100)의 전면에 접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러쉬(210)와;
상기 브러쉬(2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브러쉬(210)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브러쉬모터(220)와;
상기 지지프레임(300)을 따라 상하로 유동하며, 상기 브러쉬(210)와 브러쉬모터(220)가 장착되는 본체프레임(23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표 오토클리너.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leaning means (200)
A brush 210 contacting the front surface of the water level table 100 and being rotatably installed;
A brush motor 22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rush 210 to provide rotational power to the brush 210;
And a body frame (230) which flows upward and downward along the support frame (300) and on which the brush (210) and the brush motor (220) are mounte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정지기구(500)는,
상기 본체프레임(23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하로 탄성 유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완충수단(510)과, 상기 본체프레임(230)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완충수단(510)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차단센서(55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수위검지수단(600)은,
서로 이격되게 상하로 길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전극봉(610)과, 상기 전극봉(610)을 지지하는 지지판(62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한 쌍의 전극봉(610)이 물을 통해 도통되는 것에 의해 수위가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표 오토클리너.
4.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emergency stop mechanism (500)
A shock absorber 51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frame 230 and installed to be able to elastically flow up and down; a main body frame 230 fixedly mounted on the main body frame 230, A sensor 550;
The level detecting means (600)
A pair of electrode rods 610 that are vertically and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support plate 620 that supports the electrode rods 610. The pair of electrode rods 61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water And the water level is detecte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510)은,
상기 본체프레임(230)의 일측에 상하로 설치되며, 가는 환봉 형상을 가지는 완충봉(512)과;
상기 완충봉(512)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며, 완충봉(512)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상단편(514) 및 하단편(516)과;
상기 완충봉(512)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단편(516)에 하측으로의 압축력을 가하는 복귀스프링(5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표 오토클리너.
5.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buffer means (510)
A cushioning rod 512 vertical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frame 230 and having a thin round bar shape;
A top piece 514 and a bottom piece 516 each having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cushioning rod 512 and formed respectively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ushioning rod 512;
And a return spring (518) installed to surround an outer surface of the cushioning rod (512) and applying a downward compressive force to the lower end piece (516).
KR1020140015555A 2014-02-11 2014-02-11 Automatic cleaner for watermark KR1015558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555A KR101555834B1 (en) 2014-02-11 2014-02-11 Automatic cleaner for waterma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555A KR101555834B1 (en) 2014-02-11 2014-02-11 Automatic cleaner for waterma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356A true KR20150094356A (en) 2015-08-19
KR101555834B1 KR101555834B1 (en) 2015-09-25

Family

ID=54057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5555A KR101555834B1 (en) 2014-02-11 2014-02-11 Automatic cleaner for waterma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5834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550Y1 (en) * 2016-03-07 2017-02-09 아몽솔루션(주) Auto-recognition system for water level have development function
KR20220011527A (en) * 2020-07-21 2022-01-28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A Level Indicator for Tanks
KR102434113B1 (en) * 2022-05-26 2022-08-22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Float type level transmitter equipped with a measurement error resolution device due to particle adhes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759Y1 (en) 2002-06-20 2002-10-04 강진호 Braking system of automatic car wash
JP2010107701A (en) 2008-10-30 2010-05-13 Seiko Epson Corp Method and device for coloring len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550Y1 (en) * 2016-03-07 2017-02-09 아몽솔루션(주) Auto-recognition system for water level have development function
KR20220011527A (en) * 2020-07-21 2022-01-28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A Level Indicator for Tanks
KR102434113B1 (en) * 2022-05-26 2022-08-22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Float type level transmitter equipped with a measurement error resolution device due to particle adhe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5834B1 (en) 2015-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6850B2 (en) Combined hydrological monitoring system
KR101371049B1 (en) Measuring instrument for water level, height or depth
KR101555834B1 (en) Automatic cleaner for watermark
CN213363937U (en) Water amount monitoring device for foundation pit support structure
KR101421237B1 (en) Waterlevel interlocking type Monitoring Device
TW201443316A (en) Monitoring device for monitoring bridge foundations' riverbed scouring depth and accretion depth
KR101294133B1 (en) A measurement device of the flow rate
KR101119557B1 (en) Overload prevent device for the floodgate shutters
CN106352849B (en) A kind of deformation of deep excavation monitoring alarm
CN206020444U (en) A kind of bottom-sitting type acoustic Doppler fluid velocity profile instrument mounting bracket
CN102338656A (en) Device for measuring height of water level and giving early warning about height of water level
KR200482550Y1 (en) Auto-recognition system for water level have development function
KR101096826B1 (en) measuring flow means mount suitable for bridge
KR101596820B1 (en) Method of auto-recognition for water level
CN206990065U (en) A kind of hydraulic engineering condensate tank of dehumidifier
KR101330114B1 (en) Fluid level detection apparatus
CN207351523U (en) Based on the liquid level alarming switch detection device of static liquid level and its caliberating device of alarming line
JP5394511B2 (en) Support device
CN214621395U (en) Hydraulic engineering construction water level monitoring devices
CN208872383U (en) A kind of float-type liquid level tester
CN114184259B (en) River course rivers monitoring flood control system
CN103644952B (en) A kind of water level measurer for vertical-shaft inter-crystalline brine
CN208833336U (en) A kind of liquid level emasuring device
CN220649636U (en) Online calibrating device of liquid flow
CN203688029U (en) Silo intercrystalline bittern floodome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