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4113B1 - Float type level transmitter equipped with a measurement error resolution device due to particle adhesion - Google Patents

Float type level transmitter equipped with a measurement error resolution device due to particle adhes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4113B1
KR102434113B1 KR1020220065003A KR20220065003A KR102434113B1 KR 102434113 B1 KR102434113 B1 KR 102434113B1 KR 1020220065003 A KR1020220065003 A KR 1020220065003A KR 20220065003 A KR20220065003 A KR 20220065003A KR 102434113 B1 KR102434113 B1 KR 102434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
level transmitter
type level
measurement error
pneumatic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50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성필
정석우
김문현
권인구
윤용승
성대진
Original Assignee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현대오일뱅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현대오일뱅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Priority to KR1020220065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411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1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5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elements rigidly fixed to, and rectilinearly moving with, the floats as transmission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6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of the free float type without mechanical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7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of the free float type without mechanical transmission elements using magnet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80Arrangements for signal proces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5/00Testing or calibration of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volume flow or liquid level or for metering by volume
    • G01F25/20Testing or calibration of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volume flow or liquid level or for metering by volume of apparatus for measuring liquid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0Process efficiency
    • Y02P20/133Renewable energy sources, e.g. sunl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dustrial Ga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 type level transmitter including a device for solving a measurement error due to particle attachment. This float type level transmitter includes: a recirculation tank having a hollow in an upper part and storing discharged water containing particulate substances for the recirculation of the discharged water; a body part including a stem installed in the recirculation tank in the form of penetrating the hollow, a head connected with one side of an upper part of the stem, and a flange located between the stem and the head to reinforce the connection; a float part located below the flange, and including a float vertically movabl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m; a pneumatic cylinder part located between the flange and the float, and including a pneumatic cylinder installed below the flange, a spring connected with one side of the pneumatic cylinder, and a cylinder head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pring to come in contact with the float to force the float to be moved downward; a stopper part including a stopper for preventing the float from being moved upward and separated; and a noncontact sensor part comprising a noncontact sensor installed in the form of being surrounded by the outer surface of one side of a lower part of the stem to sense a minimum required water level of the discharged water, and a switch located on one side of an upper part of the noncontact sensor to supply the discharged water into the recirculation tank when the float is moved downwar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smooth water level measurement and prevention of pump damage.

Description

입자부착에 의한 측정오류 해결장치를 구비한 플로트식 레벨트랜스미터{Float type level transmitter equipped with a measurement error resolution device due to particle adhesion}Float type level transmitter equipped with a measurement error resolution device due to particle adhesion

본 발명은 석탄, 석유코크스 등과 같은 고체입자 연료를 사용하여 고온·고압 조건에서 합성가스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가스화기의 하부 ??쳐에서 발생하는 미 반응된 입자 및 ash가 함유된 배출수를 여과한 후 재순환하는 역할의 배출수 재순환 탱크 수위측정용 레벨트랜스미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filtering discharged water containing unreacted particles and ash gener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gasifier in the process of converting to syngas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conditions using solid particle fuels such as coal and petroleum coke. It relates to a level transmitter for measuring the water level in the discharge water recirculation tank, which plays a role of recirculation.

21세기 주요 에너지원은 천연가스, 전기, 초청정 연료유와 더불어 수소가 대세로서 재생가능에너지원 전기와 CO2의 고부가가치 가스화/연료화가 부각되고 있고 청정하면서 사용이 용이한 가스/액체연료유 사용 확대가 예상되며 특히 수소 에너지원을 저렴하게 확보하여야 할 필요성이 크지만 아직 경제성 미확보로 기술개발과 실증이 요구되고 있다.In the 21st century, hydrogen is the main energy source along with natural gas, electricity, and ultra-clean fuel oil, and high value-added gasification/fueliz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electricity and CO2, is emerging. Clean and easy-to-use gas/liquid fuel oil is used. Expansion is expected, and there is a great need to secure hydrogen energy sources at an affordable price, but technology development and demonstration are required because economic feasibility is not yet secured.

특히, 수소의 생산방향 측면에서 화석연료인 중유, 천연가스를 개질하거나 제철소 또는 정유화학 공정중에서 발생하는 부생수소를 에너지원으로 하는 그레이(Gray) 수소 기술, 미활용에너지원인 저급석탄, 석유코크스, 바이오매스, 폐기물등을 이용하여 합성가스를 생산하고 이를 개질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블루(Blue) 수소 기술 및 재생가능한 에너지원을 이용하여 물이 전기분해를 통해 수소를 생산하는 그린(Green) 수소 기술로 통상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erms of the production direction of hydrogen, gray hydrogen technology that uses by-product hydrogen generated during reforming of fossil fuels such as heavy oil and natural gas or steel mills or refining and chemical processes as an energy source, low-grade coal, petroleum coke, and bio Blue hydrogen technology produces hydrogen by using mass and waste and reforms it to produce hydrogen, and green hydrogen technology that produces hydrogen through electrolysis of water using a renewable energy source. can be classified normally.

이에 실증화 단계가 아닌 그린 수소 기술로 진입하기 전에 시장에서 요구하는 수소생산을 위한 블루수소 기술의 개발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수소생산 플랜트 및 합성가스 플랜트 시장의 지속 성장이 예상되고 장기적으로는 수소 플랜트, 단기적으로는 청정합성가스 플랜트가 해외수출 플랜트 시장에서 핵심분야로 판단되며 국내의 경우 자체 합성가스 시장도 크고 수소도시, 수소연료전지자동차 등 수소시장이 급속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므로 실증, 사업화, 해외수출, 국부창출의 플랜트 기술투자 정책에 적합한 분야로 판단된다.Therefore, it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blue hydrogen technology for hydrogen production required by the market before entering green hydrogen technology rather than the demonstration stage. Plant, in the short term, clean syngas plants are considered to be a key sector in the overseas export plant market. It is judged to be a suitable field for the plant technology investment policy of overseas export and creation of national wealth.

본 발명의 석유코크스 수소생산을 위한 플랜트와 관련된 기술은 다수의 융합기술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The technology related to the plant for petroleum coke hydrogen prod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through a number of fusion technologies.

일반적으로 가스화기는 석탄이나 중유등의 탄화수소 연료를 사용하여, 전력, 화학물질, 산업용 가스 등을 생산하기 위한 합성가스를 제조하는 고효율 설비이다. 이러한 가스화기를 통하여 수소(H2)와 일산화탄소(CO)를 함유한 합성가스를 생성한다.In general, a gasifier is a high-efficiency facility that uses hydrocarbon fuels such as coal or heavy oil to produce syngas to produce electric power, chemicals, industrial gas, and the like. Syngas containing hydrogen (H2) and carbon monoxide (CO) is generated through this gasifier.

또한 일반적으로 가스화기는 내측으로 공급된 미분탄의 성분들 중 유기물 성분이 산소와의 반응에 의해 수소와 일산화탄소가 주성분인 합성가스로 전환되어 출구를 통해 후단 공정을 위해 빠져나가도록 하고, 무기물 성분, 즉 회분 중에서 일부가 비산재 형태의 미세입자로 합성가스와 함께 후단 공정으로 빠져나가지만, 미반응된 미세입자의 경우, 하부의 ??쳐에 채워진 냉각수에 떨어져서 급랭이 이루어지게 되고, 냉각수는 오염수가 되며, 급랭이 이루어지는 미세입자는 일정 시간동안 ??쳐에 저장되었다가 주기적으로 배출된다.In addition, in general, in the gasifier, organic components among the components of the pulverized coal supplied to the inside are converted into syngas containing hydrogen and carbon monoxide as main components by reaction with oxygen, and exit through the outlet for the downstream process, and inorganic components, that is, Part of the ash is fine particles in the form of fly ash, which are passed out together with the synthesis gas to the downstream process, but in the case of unreacted fine particles, they fall into the cooling water filled in the lower chamber and are rapidly cooled, and the cooling water becomes contaminated water. , the fine particles undergoing rapid cooling are stored in the chambe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n are periodically discharg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2317351 호에서는 케이스 내부에 미세입자가 함유된 배출수를 유입하기 위해 배출수유입배출부가 개방되고, 유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여과수배출부 및 탈수배출부가 개방되는 배출수유입단계, 상기 배출수의 유입이 완료되면 상기 탈수배출부는 폐쇄되고, 지속적으로 상기 배출수유입배출부는 배출수를 유입하고, 여과수배출부는 여과된 배출수를 배출하기 위해 개방되어 있는 여과단계, 상기 여과단계가 정지되면서, 상기 배출수유입배출부를 통해 배출수를 통해 배출되고, 여과수배출부는 폐쇄되며, 탈수배출부는 개방되어 있는 여과정지단계, 상기 여과정지단계에서 배출수가 모두 배출된 후, 상기 필터여과부의 회전을 통해 필터여과부의 미세입자의 탈수를 위해 탈수배출부만 개방되어 있는 탈수운전단계, 상기 탈수운전단계가 정지되면, 필터여과부 내측에 위치한 미세입자의 탈리를 위해 미세입자탈리부 및 고압분사노즐부가 상하 운전하면서, 필터여과부는 회전운전하는 필터여과부재생단계 및 상기 필터여과부재생단계에서 탈리된 미세입자를 이송, 저장 및 배출하는 미세입자배출단계로 운전되는 미세입자 여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16734호에서는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 내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복수의 채널(200); 상기 채널 사이에 위치하며 다공성 촉매부가 부분적으로 형성된 촉매투과부(300); 상기 케이스의 측면으로 유입되는 반응가스 유입부(400); 및 상기 채널로 열교환을 위하여 유체가 이동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2개의 헤더부(500);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채널은 1개 이상의 환형으로 상기 케이스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환형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환형부로 형성된 복수의 채널 사이에 접하면서 상기 촉매투과부가 형성되고, 상기 환형부(210)에는 최외곽환형부(211)의 양 끝단에 상기 케이스의 상하부의 사이에 상기 유입되는 반응가스의 내부 순환 및 균일 분산을 유도하기 위한 유동부재(213) 및 단면이 원형인 채널형부재(21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촉매투과부를 포함하는 수성가스전환 등온 촉매 반응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16737호에서는 본 발명은 원통형의 반응기 케이스, 상기 케이스 중심부에 위치하고 유체가 이동가능한 중심튜브, 상기 케이스 상부에 연결되어 내부로 유체가 공급되도록 하는 유체공급부, 상기 유체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유체의 촉매 반응을 위해 복수개로 분할된 구획으로 형성 되어있으며, 하나의 구획은 상단, 중단, 하단으로 형성되어,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단 및 하단만 개방되어 있고, 중단 및 하단 일측에 촉매를 포함하는 형태인 제1촉매층, 상기 제1촉매층에 포함되며 유체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유체가 상기 제1촉매층의 상단으로 이동시키는 제1분배부, 상기 제1촉매층에 포함되며 제1분배부에 의해 분배된 유체가 제1촉매층의 촉매를 통해 촉매반응 후 하단을 통해 다른 구획의 유체와 상기 중심튜브에서 합류되도록 이동시키는 제1합류부, 상기 케이스 하부에 연결되어 제1합류부를 통해 중심튜브로 이동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유체배출부, 상기 유체공급부 일측에 위치하여 냉각수를 배출하는 냉각수배출부 및 상기 유체배출부 일측에 위치하여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공급부를 포함하는 수성 가스 전환 반응기가 개시되어 있다.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317351, the discharged water inlet and outlet is opened to introduce the discharged water containing fine particles inside the case, and the filtered water discharge and dehydrated discharge are opened to facilitate the inflow. When the inflow of the discharged water is completed, the dewatering discharge unit is closed, the discharged water inlet and discharge unit continuously flows in the discharged water, and the filtered water discharge unit is opened to discharge the filtered discharged water. It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water through the inlet and outlet, the filtered water discharge unit is closed, and the dewatering discharge unit is open. After all of the discharged water is discharged in the filtration stop step and the filtration stop step, the fine particles of the filter filtration unit through the rotation of the filter filtration unit In the dehydration operation step in which only the dehydration discharge part is opened for dehydration of Part relates to a fine particle filtering device operated in a filter filter unit regeneration step of rotating operation and a fine particle discharging step of transporting, storing and discharging the fine particles desorbed in the filter filter unit regeneration step.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316734, a case 100; a plurality of channels 200 formed vertically inside the case; a catalyst permeation unit 300 positioned between the channels and partially formed with a porous catalyst unit; a reaction gas inlet 400 introduced to the side of the case; and at least two header parts 500 formed to move the fluid to the channel for heat exchange; wherein, the plurality of channels are one or more annular and an annular part 210 is formed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case, , The catalyst permeation part is formed while in contact between the plurality of channels formed by the annular part, and the annular part 210 has the outermost annular part 211 at both ends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case. Disclosed is a water gas conversion isothermal catalytic reaction apparatus comprising a catalyst permea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a flow member 213 and a channel-shaped member 214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for inducing internal circulation and uniform dispersion are form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316737,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cylindrical reactor case, a center tub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case and movable with a fluid, a fluid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case to supply a fluid to the inside, and the fluid supply unit It is formed into a plurality of compartments for the catalytic reaction of the fluid supplied through the A first catalyst layer including a catalyst, a first distribution unit included in the first catalyst layer and configured to move the fluid supplied through the fluid supply unit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catalyst layer, a first distribution unit included in the first catalyst layer A first confluence part that moves the fluid distributed by the catalytic reaction through the catalyst of the first catalyst layer to merge with the fluid of another compartment through the lower end in the center tube,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case and is connected to the center tube through the first confluence part A water gas conversion reactor comprising a fluid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o the outside moved to the outside, a cooling water discharge unit located at one side of the fluid supply unit to discharge cooling water, and a cooling water supply unit located at one side of the fluid discharge unit to supply cooling water has been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13690호에서는 석유코크스의 가스화를 통해서 생성된 일산화탄소를 포함하는 가스 및 스팀을 포함하는 반응가스를 공급하여 고온촉매 및/또는 저온촉매와 반응시켜 수소로 전환시킨 합성가스를 만들기 위하여 철 킬레이트(iron chelate) 수용액을 이용하는 공정으로 철 킬레이트와 합성가스를 병류로 접촉시켜 합성가스 내에 있는 고농도 황화수소(H2S)를 제거하므로써, 황(S)으로 직접 회수할 수 있는 철 킬레이트 수용액을 이용한 수소생산을 위한 석유코크스 합성가스화 공정 중 흡수제의 소모량이 낮고 접촉효율이 증가된 고농도 황화수소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합성가스가 유입되어, 황화수소가 제거되고, 상기 황화수소가 제거된 합성가스가 배출되도록 연속된 U자관 형태의 복수의 반응관(100); 상기 반응관의 최상부와 각각 연결되어 철 킬레이트 수용액을 공급하는 공급관(200); 상기 공급관과 연결되는 상기 반응관 최상부의 내부로 각각 형성된 상기 철 킬레이트 수용액을 분사하는 가압분사노즐(110); 상기 반응관의 최하부 각각에 형성된 상기 황화수소를 포집한 철 킬레이트 수용액이 배출되는 배출관(210); 상기 복수의 배출관이 개별적으로 연결된 상기 황화수소를 포집한 철 킬레이트 수용액을 저장하는 수위조절조(300); 상기 수위조절조로부터 상기 황화수소를 포집한 철 킬레이트 수용액을 감압하여 산소 또는 공기와 접촉시켜 기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313690, a gas containing carbon monoxide generated through gasification of petroleum coke and a reaction gas containing steam are supplied and reacted with a high-temperature catalyst and/or a low-temperature catalyst to convert syngas into hydrogen. It is a process using an aqueous iron chelate solution to make an iron chelate aqueous solution that can be directly recovered as sulfur (S) by removing the high concentration hydrogen sulfide (H2S) in the synthesis gas by contacting the iron chelate and the synthesis gas in co-current flow. It relates to a high-concentration hydrogen sulfide removal device with a low consumption of absorbent and increased contact efficiency during the petroleum coke synthesis gasification process for hydrogen production, wherein the synthesis gas is introduced, the hydrogen sulfide is removed, and the hydrogen sulfide is continuously discharged such that the synthesis gas is discharged. a plurality of reaction tubes 100 in the form of a U-tube; a supply pipe 200 connected to the top of the reaction tube to supply an aqueous iron chelate solution; a pressurized injection nozzle 110 for spraying the iron chelate aqueous solution formed into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reaction tube connected to the supply tube; a discharge pipe 210 through which an aqueous iron chelate solution containing the hydrogen sulfide formed in each of the lowermost portions of the reaction tube is discharged; a water level control tank 300 for storing the iron chelate aqueous solu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discharge pipes are individu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collect the hydrogen sulfide; The iron chelate aqueous solution in which the hydrogen sulfide has been collected from the water level control tank is reduced in pressure and brought into contact with oxygen or air.

포 유동화를 통해 철 킬레이트 수용액을 재생하는 재생조(400); 상기 재생조로부터 공급되는 철 킬레이트 수용액내의 황을 원소 황으로 침전시켜 철 킬레이트 수용액과 분리하는 침전조(500); 및 상기 침전조에서 철 킬레이트 수용액을 상기 공급관으로 공급 및 저장하기 위한 저장조(600);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반응관 사이에는 상기 합성가스의 유속을 급격하게 낮추고 상기 철 킬레이트 수용액의 소모량을 줄이면서 접촉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직각삼각형 형태의 정전분무반응기(700);를 추가로 포함하는 석유코크스 합성가스 내 고농도 황화수소를 연속적으로 제거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Regeneration tank 400 for regenerating the iron chelate aqueous solution through fabric fluidization; a precipitation tank 500 for precipitating sulfur in the iron chelate aqueous solution supplied from the regeneration tank as elemental sulfur to separate it from the iron chelate aqueous solution; and a storage tank 600 for supplying and storing the iron chelate aqueous solution from the precipitation tank to the supply pipe, and abruptly lowering the flow rate of the synthesis gas between the plurality of reaction pipes while reducing the consumption of the iron chelate aqueous solution Disclosed is an apparatus for continuously removing high-concentration hydrogen sulfide in petroleum coke syngas further comprising;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13692호에서는 합성가스가 유입되어, 황화수소가 제거되고, 상기 황화수소가 제거된 합성가스가 배출되도록 형성된 U자관 형태의 반응관(100); 상기 반응관의 전단에 형성된 철 킬레이트 수용액이 분사되어 용매 커튼막이 형성되는 주반응관(200); 상기 주반응관의 최상부와 상기 반응관과 연결되어 상기 철 킬레이트 수용액을 공급하는 공급관(300); 상기 공급관과 연결되는 상기 주반응관 내부로 각각 형성된 상기 철 킬레이트 수용액을 분사하는 복수의 제1가압분사노즐(210); 상기 주반응관의 최하부 형성되는 상기 황화수소를 포집한 철 킬레이트 수용액이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관(220); 상기 복수의 배출관이 개별적으로 연결된 상기 황화수소를 포집한 철 킬레이트 수용액을 저장하는 수위조절조(400); 상기 수위조절조로부터 상기 황화수소를 포집한 철 킬레이트 수용액을 감압하여 산소 또는 공기와 접촉시켜 기포 유동화를 통해 철 킬레이트 수용액을 재생하는 재생조(400); 상기 재생조로부터 공급되는 철 킬레이트 수용액내의 황을 원소 황으로 침전시켜 철 킬레이트 수용액과 분리하는 침전조(500); 및 상기 침전조에서 철 킬레이트 수용액을 상기 공급관으로 공급 및 저장하기 위한 저장조(6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압분사노즐은 상기 주반응관의 길이방향(RL)으로 상기 배출관 형성위치를 기준으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주반응관의 단면방향(RC)으로 동일단면상에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제1가압분사노즐은 상기 주반응관의 동일단면상의 상부단면선(RCU)을 기준으로 180도 영역에 10도 내지 25도의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가압분사노즐은 상기 주반응관의 길이방향(RL)으로 상기 주반응관의 동일단면상의 상부단면선(RCU)을 기In Korean Patent No. 10-2313692, a reaction tube 100 in the form of a U tube is formed so that synthesis gas is introduced, hydrogen sulfide is removed, and the synthesis gas from which the hydrogen sulfide is removed is discharged; a main reaction tube 200 in which an aqueous iron chelate solution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reaction tube is sprayed to form a solvent curtain film; a supply pipe 300 connected to the uppermost part of the main reaction tube and the reaction tube to supply the iron chelate aqueous solution; a plurality of first pressurized spray nozzles 210 for spraying the iron chelate aqueous solution respectively formed into the main reaction tube connected to the supply tube; a plurality of discharge pipes 220 through which the iron chelate aqueous solution collecting the hydrogen sulfide formed in the lowermost part of the main reaction tube is discharged; a water level control tank 400 for storing the iron chelate aqueous solu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discharge pipes are individu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collect the hydrogen sulfide; a regeneration tank 400 for regenerating the iron chelate aqueous solution through bubble fluidization by reducing the pressure of the iron chelate aqueous solution in which the hydrogen sulfide is collected from the water level control tank and contacting it with oxygen or air; a precipitation tank 500 for precipitating sulfur in the iron chelate aqueous solution supplied from the regeneration tank as elemental sulfur to separate it from the iron chelate aqueous solution; and a storage tank 600 for supplying and storing the iron chelate aqueous solution from the precipitation tank to the supply pipe, wherein the first pressurized injection nozzle is loc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L) of the main reaction pipe based on the position where the discharge pipe is formed A plurality may be formed, a plurality of are formed on the same cross-section in the cross-sectional direction (RC) of the main reaction tube, and the first pressurized injection nozzle is 180 degrees based on an upper cross-sectional line (RCU) on the same cross-section of the main reaction tube. It is formed at intervals of 10 degrees to 25 degrees in the region, and the first pressurized injection nozzle is formed along the upper section line RCU on the same cross-section of the main reaction tub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L of the main reaction tube.

준으로 형성 각도를 변경하면서 형성되고, 배출관이 형성된 상기 반응관의 최하부는 소정량의 상기 황화수소를 포집한 철 킬레이트 수용액이 잔존하도록 상기 수위조절조에서 수위를 조절하며, 상기 주반응관의 후단에 연통되어 형성되는 상기 반응관의 수직방향의 소정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가압분사노즐(110);을 포함하고, 상기 반응관의 최하부에 형성되는 상기 황화수소를 포집한 철 킬레이트 수용액이 배출되는 반응관배출관(120); 을 포함하는 용매 커튼 막을 이용한 고농도 황화수소 제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It is formed while changing the angle of formation to a semi-quasi, and the lowermost part of the reaction tube in which the discharge tube is formed adjusts the water level in the water level control tank so that the iron chelat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hydrogen sulfide remains, and at the rear end of the main reaction tube and a plurality of second pressurized injection nozzles 110 form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reaction tube, which are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nd the iron chelate aqueous solution that collects the hydrogen sulfide formed in the lowermost portion of the reaction tube is discharged reaction tube discharge tube 120; A high-concentration hydrogen sulfide removal device using a solvent curtain membrane comprising a.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00741호에서는 수소생산을 위한 석유코크스 합성가스화 공정 중 롤벤딩된 파이프 또는 캡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용접대상물, 상기 용접대상물을 용접하기 위한 프레임으로 형성된 작업대, 상기 작업대 상면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용접대상물의 용접을 위한 용접부, 상기 작업대 상면 다른 일측에 위치하여 용접 대상인 캡을 고정하기 위한 캡고정부, 상기 작업대 상면 다른 일측에 위치하여 용접 대상인 롤벤딩된 파이프를 고정하기 위한 파이프고정부, 상기 작업대 상면 상기 캡고정부 및 파이프 고정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용접부를 통해 상기 용접대상물이 용접될 때, 균일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가 분사되는 에어쿨링부를 포함함하는 롤벤딩 용접장치를 개시하고 있다.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300741, in the process of petroleum coke synthesis gasification for hydrogen production, one or more welding objects among pipes or caps rolled-bent, a workbench formed as a frame for welding the welding objects, and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bench A welding part for welding the object to be welded, a cap fixing part for fixing a cap to be welded by being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 bench, a pipe fixing part for fixing a pipe to be welded by being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 bench , A roll bending welding apparatus including an air cooling part positioned between the cap fixing part and the pipe fixing par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 table and spraying air to maintain a uniform temperature when the welding object is welded through the welding part is starting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51661호에서는 수소생산을 위한 석유코크스 합성가스화 공정 중 캠 및 파이프의 버핑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캡 또는 파이프인 버핑대상물, 상기 버핑대상물의 버핑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프레임으로 형성된 작업대, 상기 작업대 상면 일측 프레임에 설치되어 버핑대상물을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작업대 상면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에 고정된 버핑대상물의 내부를 버핑하기 위한 내부버핑부, 상기 작업대 상면 다른 일측에 설치되는 제2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2레일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부의 고정된 버핑대상물의 외부를 버핑하기 위한 외부 버핑부를 포함하는 버핑을 위한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351661 relates to an apparatus for buffing a cam and a pipe during a petroleum coke synthesis gasification process for hydrogen production, a buffing object that is a cap or a pipe, and a frame for performing the buffing operation of the buffing object A work table formed of Disclosed is an apparatus for buffing that includes a second rail installed on one side, and an external buffing part positioned on the second rail for buffing the outside of the fixed part of the buffing object.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92411호에서는 석유코크스 가스화공정에서 생산된 합성가스를 공급하는 원료가스 공급부(10); 공급수를 공급하는 워터 공급부(20); 상기 워터 공급부(20)에 공급된 공급수를 이용하여 과열스팀을 안정적으로 생산하는 스팀발생기(100); 상기 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원료가스와 상기 스팀발생기(100)에서 생산되는 스팀을 이용하여 제1온도조건에서 수소를 포함하는 제1가스를 생성하고, 이를 배출하는 고온반응기(210); 상기 고온반응기(210)에서 배출되는 중간생산물과 상기 스팀발생기(100)에서 생산되는 스팀을 이용하여 제2온도조건에서 고농도 H2를 포함하는 제2가스를 생성하고 이를 배출하는 저온반응기(220); 및 상기 제2가스 내 수소를 분리하는 수소분리기(400);를 포함하고, 상기 스팀발생기(100)는 다단 스팀생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온반응기(220)에서 배출되는 제2가스를 이용하여 상기 워터 공급부(20)에서 공급되는 공급수를 예열하고, 상기 예열된 공급수는 상기 스팀발생기(100)의 제1스팀생산부(101)에 공급되어 제1스팀을 생산하고, 이를 스팀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292411, a raw material gas supply unit 10 for supplying syngas produced in the petroleum coke gasification process; a water supply unit 20 for supplying supply water; a steam generator 100 for stably producing superheated steam using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unit 20; a high-temperature reactor 210 for generating a first gas containing hydrogen under a first temperature condition using the raw material gas supplied from the supply unit 10 and the steam produced from the steam generator 100, and discharging it; a low-temperature reactor 220 for generating a second gas containing a high concentration of H2 under a second temperature condition using the intermediate product discharged from the high-temperature reactor 210 and the steam produced from the steam generator 100 and discharging it; and a hydrogen separator 400 for separating hydrogen in the second gas, wherein the steam generator 100 includes a multi-stage steam production unit, and uses the second gas discharged from the low-temperature reactor 220 to The supply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20 is preheated, and the preheated supply water is supplied to the first steam production unit 101 of the steam generator 100 to produce the first steam, which is then steamed.

드럼(110)으로 공급하며, 상기 스팀드럼(110) 내의 혼합스팀의 일부는 상기 스팀발생기(100)의 제2스팀생산부(102)에 공급되어 제2스팀을 생산하고, 이를 상기 스팀드럼(110)에 순환 공급되며, 상기 스팀드럼(110) 내의 혼합스팀의 일부는 상기 스팀발생기(100)의 제3스팀생산부(103)에 공급되어 제3스팀을 생산하여 상기 고온반응기(210) 및 상기 저온반응기(220)에 공급하는 과열 스팀을 안정적으로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순도 수소생산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It is supplied to the drum 110 , and a part of the mixed steam in the steam drum 110 is supplied to the second steam production unit 102 of the steam generator 100 to produce the second steam, which is then used in the steam drum 110 . ), and a part of the mixed steam in the steam drum 110 is supplied to the third steam production unit 103 of the steam generator 100 to produce third steam to the high temperature reactor 210 and the low temperature A high-purity hydrogen production system is disclosed that stably produces superheated steam supplied to the reactor 220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922426호에서는 본 발명의 원천 발명으로써 합성가스에서 순도 99% 이상의 수소 및 이산화탄소를 연속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합성가스가 공급배관(100)을 통해 상기 합성가스 중 수소를 제외한 성분들을 선택적으로 흡착할 수 있는 복수의 제1흡착제가 충진된 제1흡착탑(110) 또는 제2흡착탑(120)을 통과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제1흡착탑 또는 제2흡착탑을 경유하여 고순도로 정제된 수소는 수소배관(130)을 통해 수소 저장조(140)에 포집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제1흡착탑 또는 제2흡착탑 중 상기 제1테일가스로 포화된 제1흡착제를 세정하기 위한 흡착탑은 선택적으로 상기 수소 생산을 중지하고 상기 제1흡착탑 또는 제2흡착탑의 제1테일가스배관(150)상에 형성된 제1진공펌프(160)에 의해서 상기 흡착탑에서 제1테일가스를 분리하여 세정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분리된 상기 제1테일가스는 상기 제1진공펌프 후단에 형성된 가스드라이어(200)를 통과하면서 수분을 제거한 제2차테일가스를 배출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의 상기 가스드라이어를 통과한 상기 제2테일가스는 제2테일가스배관(210)을 통해 상기 제2차테일가스 중 이산화탄소를 흡착할 수 있는 제2흡착제가 충진된 제3흡착탑(220) 또는 제4흡착탑(230)을 통과하는 제5단계; 상기 제5단계에서 상기 제3흡착탑 또는 제4흡착탑을 경유하여 흡착되지 않은 상기 제2테일가스는 순환배관(240)을 통해 상기 가스드라이어로 순환공급되는 제6단계; 상기 제6단계에서 상기 제3흡착탑 또는 제4흡착탑 중 이산화탄소로 포화된 상기 제2흡착제를 세정하기 위한 흡착탑은 선택적으로 상기 제2테일가스의 상기 가스드라이어로의 순환공급을 중지하고 상기 제3흡착탑 또는 제4흡착탑의 제3테일가스배관(250)상에 형성된 제2진공펌프(260)에 의해서 상기 흡착탑에서 상기 이산화탄소를 분리하여 세정되는 제7단계; 및 상기 제7단계어서 분리된 상기 이산화탄소는 상기 제2진공펌프 후단의 이산화탄소 배관(280)을 통해 이산화탄소저장조(290)에 저장되는 제8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흡착탑 및 제2흡착탑의 흡착압력은 0.3 내지 0.8 MPa이며, 탈착압력은 -0.06 내지 0.88 MPa이고, 상기 제3흡착탑 및 제4흡착탑의 0.001 내지 0.07 MPa이며, 탈착압력은 -0.07 내지 0.06 MPa인 순도 99% 이상의 수소 및 이산화탄소를 연속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흡착과정 중 수소회수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Korean Patent No. 10-22922426 discloses a method for continuously separating hydrogen and carbon dioxide with a purity of 99% or more from syngas as a source in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syngas is supplied through a supply pipe 100 in the syngas. A first step of passing through the first adsorption tower 110 or the second adsorption tower 120 filled with a plurality of first adsorbents capable of selectively adsorbing components other than hydrogen; a second step in which hydrogen purified to high purity via the first or second adsorption tower in the first step is collected in a hydrogen storage tank 140 through a hydrogen pipe 130; In the second step, the adsorption tower for cleaning the first adsorbent saturated with the first tail gas among the first adsorption tower or the second adsorption tower selectively stops the hydrogen production, and the first adsorption tower or the first adsorption tower of the second adsorption tower a third step of separating and cleaning the first tail gas from the adsorption tower by the first vacuum pump 160 formed on the tail gas pipe 150; a fourth step of discharging the second tail gas from which moisture is removed while the first tail gas separated in the third step passes through a gas dryer 200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vacuum pump; A third adsorption tower ( 220) or a fifth step of passing the fourth adsorption tower 230; a sixth step in which the second tail gas not adsorbed via the third adsorption tower or the fourth adsorption tower in the fifth step is circulated and supplied to the gas dryer through a circulation pipe 240; In the sixth step, the adsorption tower for cleaning the second adsorbent saturated with carbon dioxide among the third adsorption tower or the fourth adsorption tower selectively stops the circulation supply of the second tail gas to the gas dryer, and the third adsorption tower or a seventh step of separating and cleaning the carbon dioxide from the adsorption tower by the second vacuum pump 260 formed on the third tail gas pipe 250 of the fourth adsorption tower; and an eighth step in which the carbon dioxide separated in the seventh step is stored in a carbon dioxide storage tank 290 through a carbon dioxide pipe 280 at the rear end of the second vacuum pump. The adsorption pressure is 0.3 to 0.8 MPa, the desorption pressure is -0.06 to 0.88 MPa, the third and fourth adsorption towers are 0.001 to 0.07 MPa, and the desorption pressure is -0.07 to 0.06 MPa of 99% or more purity of hydrogen and carbon dioxide A method for continuously separating the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hydrogen recovery rate during the adsorption process is lowered.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005508호에서는 원료 공급관과 연결된 다수개의 흡착탑과, 상기 흡착탑에서 정제된 수소가 포집되는 수소 저장조와, 상기 각 흡착탑에 연결된 다수의 관들을 개폐하는 밸브로 이루어진 압력변동흡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착탑은, 그 내부에 상기 원료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수소 혼합기체에 포함되어 있는 이산화탄소와 메탄 및 일산화탄소의 제거가 가능한 활성탄과 제올라이트 13X, 제올라이트 5A 및 제올라이트 5A가 아닌 이산화탄소 선택성 흡착제의 흡착제가 다층 구조로 충진되고, 상기 흡착탑 내의 흡착제에 순차적으로 흡착되어 배출되는 수소 중에 일산화탄소 함유량을 최소로 하는 압력변동흡착장치를 이용한 수소 정제 방법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수소회수율을 높이기 위한 합성가스내 수소와 이산화탄소를 연속적으로 동시에 고농도로 분리하는 방법에 대한 기술은 개시된 바 없다. 선행문헌 10은 비용융 방식의 분류층 가스화기에서 가스화 반응시, 일부 무거운 비산재를 ??쳐의 냉각수를 이용하여 처리함으로써, 집진장치에서의 분진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고, 고압으로 운전되는 가스화기의 ??쳐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수와 함께 빠져나오는 황화수소가스를 액상과 가스상으로 분리시켜 처리함으로써, 대기중으로 악취가스의 발생없이 냉각수를 가스화기에 재순환시킬 수 있는 비용융 가스화기의 비산재 및 배출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9-0005508, a pressure swing adsorption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adsorption towers connected to a raw material supply pipe, a hydrogen storage tank in which hydrogen purified in the adsorption tower is collected, and a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a plurality of pipes connected to each adsorption tower In the above, the adsorption tower is an adsorbent of a carbon dioxide selective adsorbent other than activated carbon and zeolite 13X, zeolite 5A and zeolite 5A capable of removing carbon dioxide, methane and carbon monoxide contained in the hydrogen mixture gas supplied through the raw material supply pipe therein is filled in a multi-layer structure, is sequentially adsorbed by the adsorbent in the adsorption tower, and a technique for a hydrogen purification method using a pressure swing adsorption device that minimizes the carbon monoxide content in the discharged hydrogen is disclosed, but synthesis gas for increasing the hydrogen recovery rate There is no technology disclosed for a method for continuously and simultaneously separating hydrogen and carbon dioxide in high concentration. Prior Document 10 discloses that, during the gasification reaction in a fractionated bed gasifier of a non-melting type, some heavy fly ash is treated using cooling water of the quencher, thereby reducing the dust load in the dust collector and operating at a high pressure. Fly ash and waste water treatment device of non-melting gasifier that can recirculate cooling water to gasifier without generating odor gas in the atmosphere by separating and treating hydrogen sulfide gas, which escapes together with cool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reactor, into liquid and gaseous phases and to a treatment method.

본 발명은 회분이 비산재 형태로 발생되는 비용융 가스화기의 ??쳐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수를 상기 비용융 가스화기에 재공급하도록 설치되고, 개폐를 위한 밸브와 냉각수의 이송을 위한 펌프가 각각 설치되는 순환라인; 상기 순환라인에 설치되고, 상기 ??쳐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에 포집된 비산재를 분리하는 하이드로 사이클론; 상기 하이드로 사이클론의 후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순환라인에 설치되고, 냉각수에 함유된 황화수소가스를 분리하는 가스분리기; 상기 가스분리기에 의해 분리되는 황화수소가스를 연소 처리하는 가스연소부; 및 상기 가스분리기의 후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순환라인에 설치되고, 상기 순환라인을 통해 순환되는 냉각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비용융 가스화기의 비산재 및 배출수 처리장치와 이의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o re-supply the cool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actuator of the non-melting gasifier, in which ash is generated in the form of fly ash, to the non-melting gasifier, and a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and a pump for transferring the coolant are respectively installed. circulation line; a hydro cyclone installed in the circulation line and separating the fly ash collected in the cooling water supplied from the actuator; a gas separator installed in the circulation line so as to be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hydrocyclone and separating hydrogen sulfide gas contained in the cooling water; a gas combustion unit for burning and processing the hydrogen sulfide gas separated by the gas separator; and a storage tank installed in the circulation line to be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gas separator and for storing cooling water circulated through the circulation line.

선행문헌 11은 압력탱크의 수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팽창탱크 또는 수충격 방지 탱크와 같이 배관 시스템에 사용되는 압력탱크에서 수위를 측정하는 레벨트랜스미터의 이상 유무를 검출하여 압력탱크의 수위를 정밀하고 신뢰성 있게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Prior Document 11 relates to a water level control method of a pressure tank, and more particularly, by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bnormality in a level transmitter for measuring the water level in a pressure tank used in a piping system such as an expansion tank or a water shock prevention tank, the pressure tank It relates to a method for precisely and reliably controlling the water level of

그러나, 종래 기술에는 배출수 재순환탱크에 설치되어 수위 측정을 하는 역할의 플로트식 레벨 트랜스미터 장치의 측정오류를 해결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지 않다.However, the prior art does not disclose a device for solving the measurement error of the float type level transmitter device installed in the discharge water recirculation tank serves to measure the water level.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51661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35166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17351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31735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16734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31673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16737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31673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13690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313690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13692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31369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00741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30074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92411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29241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92426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29242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36852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43685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69126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069126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가스화기, 스크러버 등의 장치에서 발생되는 미반응된 미세입자, ash 등은 일차적으로 여과 후 냉각수 재순환을 위한 배출수 재순환 탱크로 공급되어지는데, 본 발명은 배출수 재순환탱크에 설치되어 수위 측정을 하는 역할의 플로트식 레벨 트랜스미터 장치의 측정오류를 해결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is that unreacted fine particles, ash, etc. generated in devices such as gasifiers and scrubbers are primarily filtered and then supplied to the exhaust water recirculation tank for cooling water recirculation. Howev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for solving the measurement error of the float type level transmitter device that is installed in the discharge water recirculation tank and serves to measure the water level.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되어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Other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에 중공을 갖으며 입자상 물질을 포함하는 배출수의 재순환을 위해 배출수가 저장되는 재순환탱크, 상기 중공을 관통하는 형태로 상기 재순환탱크 내에 설치되는 스템, 상기 스템의 상부 일측면과 연결되는 헤드, 상기 스템과 헤드 사이에 위치하여 연결을 보강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플랜지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스템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이 가능한 플로트를 포함하는 플로트부, 상기 플랜지와 상기 플로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플랜지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공압실린더, 상기 공압실린더 일측에는 스프링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의 일측에는 상기 플로트와 맞닿는 실린더헤드를 포함하여 상기 플로트를 하방으로 강제 이동시키기 위한 공압실린더부, 상기 플로트의 상방이동 및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를 포함하는 스토퍼부, 상기 스템의 하부 일측 외부면에 둘러쌓인 형태로 설치되어 배출수의 최저필요수위를 감지하는 비접촉센서 및 상기 비접촉센서 상부 일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플로트가 하방 이동시 배출수를 상기 재순환탱크 내로 공급하기 위한 스위치로 이루어진 비접촉센서부를 포함하는 입자부착에 의한 측정오류 해결장치를 구비한 플로트식 레벨트랜스미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s is a recirculation tank having a hollow at the top and storing discharged water for recirculation of discharged water containing particulate matter, a stem installed in the recirculation tank in a form penetrating the hollow, A head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stem, a body portion including a flange positioned between the stem and the head to reinforce the connection, a float located below the flange and movable up and dow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m. a float part including, a pneumatic cylinder positioned between the flange and the float and installed under the flange, a spring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neumatic cylinder, and a cylinder head in contact with the float at one side of the spring. A pneumatic cylinder part for forcibly moving the float downward, a stopper part including a stopper for preventing upward movement and separation of the float, is installed in a form surrounded by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side of the stem to reduce the minimum required level of discharged water Float type level having a measurement error resolution device by particle attachment comprising a non-contact sensor for detecting and a non-contact sensor unit located on one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non-contact sensor and comprising a switch for supplying discharged water into the recirculation tank when the float moves downward transmitter is provided.

또한, 상기 공압실린더부는 에어 공급을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를 1개 이상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neumatic cylinder unit may include one or more solenoid valves for supplying air.

또한, 상기 공압실린더는 0.01bar 내지 8bar의 공압이 가해져 실린더가 플로트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bar 내지 7bar, 더 바람직하게는 6bar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neumatic cylinder may be driven to move the float downward by applying a pneumatic pressure of 0.01 bar to 8 bar, preferably 4 bar to 7 bar, and more preferably 6 bar.

상기 가해지는 압력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조절될 수 있다.The applied pressure may be adjusted through the solenoid valve.

또한, 상기 공압실린더는 플로트가 배출수에 포함되어 있는 입자상 물질에 의해 상기 몸체부에 고착되어, 상기 비접촉센서에서 최저필요수위가 감지되지 않으면서 스위치가 눌리지 않으면 작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neumatic cylinder may operate if the float is fixed to the body by the particulate matter contained in the discharged water, and the switch is not pressed while the minimum required water level is not detected by the non-contact sensor.

또한, 상기 공압실린더부는 상기 플로트를 강제로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비접촉센서부의 스위치가 눌리면 에어 공급이 중단되고, 에어를 배출하면서 공압실린더가 원위치로 회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neumatic cylinder unit forcibly moves the float downward so that when the switch of the non-contact sensor unit is pressed, air supply is stopped, and the pneumatic cylinder may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while discharging the air.

또한, 상기 비접촉센서부에서 플로트가 하방 이동시 스위치에 접촉되면 발생하는 제어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신호선 또는 동력선이 몸체부, 플로트부 및 공압실린더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a signal line or a power line may be connected to any one or more of the body portion, the float portion, and the pneumatic cylinder portion in order to transmit a control signal generated when the float is moved downward in the non-contact sensor portion and is in contact with the switch.

또한, 상기 레벨트랜스미터는 운전제어를 위해 내부 또는 외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vel transmitter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in any one or more of the inside or the outside for operation control.

또한, 상기 제어부는 유선 또는 무선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전달받아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operation by receiving any one of a wired or wireless signal.

또한, 상기 비접촉센서부는 압력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의 일측면에 압력센서가 위치하여 스위치가 눌리면 압력센서가 눌릴 수 있다.In addition, the non-contact sensor unit includes a pressure sensor, and the pressure sensor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switch so that when the switch is pressed, the pressure sensor can be pressed.

또한, 상기 비접촉센서부의 스위치보다 돌출이 적은 형태의 보조 스위치를 1개 이상 포함하여 상기 스위치가 정상작동이 불가하여도 보조스위치가 스위치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In addition, including one or more auxiliary switches of a form less protruding than the switch of the non-contact sensor unit, the auxiliary switch can take over the role of the switch even if the normal operation of the switch is impossible.

또한, 상기 재순환탱크 밑면으로부터 전체길이 대비 상방 15% 내지 25% 위치에 비접촉센서부가 위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on-contact sensor unit may be located at a position 15% to 25% above the entire length from the bottom of the recirculation tank.

또한, 상기 공압실린더는 0.01bar 내지 8bar의 공압이 가해져 실린더가 플로트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neumatic cylinder may be driven to move the float downward by applying a pneumatic pressure of 0.01 bar to 8 bar.

또한, 상기 비접촉센서에서 감지되는 최저필요수위가 100mm 내지 500mm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minimum required water level detected by the non-contact sensor may be 100mm to 500mm.

또한, 상기 재순환탱크에 배출수의 공급 및 배출을 위한 배출수 유출입구를 1개 이상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irculation tank may include one or more discharge water outlets for supplying and discharging the discharged water.

또한, 상기 배출수 유출입구에는 배출수에 포함된 입자상물질을 1차 제거하기 위한 필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charge water outlet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for primary removal of particulate matter contained in the discharge water.

또한, 상기 가해지는 공압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도록 조절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pplied pneumatic pressure may be adjusted to be gradually increased or decreased.

또한, 상기 가해지는 공압은 상기 플로트에 순간적으로 최대압력을 가해 충격을 주도록 구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pplied pneumatic pressure may be driven to give an impact by momentarily applying a maximum pressure to the float.

또한, 상기 최대압력을 가해 충격을 주는 구동을 반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to give an impact by applying the maximum pressure may be repeated.

또한, 상기 배출수 유출입구에는 배출수의 유출입/중지를 위한 덮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charge water outlet may further include a cover for inflow / stop of the discharge water.

또한, 상기 필터는 역세필터일 수 있다.Also, the filter may be a backwash filter.

또한, 상기 몸체부에는 배출수의 유속을 감지하기 위한 유속감지센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flow rate sensor for detecting the flow rate of the discharged water.

본 발명은 미세입자를 탈리시킴으로써 고착문제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sticking problem by detaching the fine particles.

또한, 고착문제를 방지하면서 물이 혼합되도록 구성되어 원활한 수위 측정 및 펌프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configured to mix water while preventing the sticking problem, so that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smooth water level measurement and damage to the pump.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레벨트랜스미터의 작동순서에 따른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에어 공급시 공압실린더의 작동에 따른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1 shows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level transmitt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neumatic cylinder when supplying ai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examples for easily explaining the content and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b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changed. In addition, it will be natural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se examples.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In addition,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appropriately defines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one. Therefore, since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s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that can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레벨트랜스미터의 작동순서에 따른 동작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에어 공급시 공압실린더의 작동에 따른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1 shows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level transmitter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neumatic cylinder when supplying 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상부에 중공을 갖으며 입자상 물질을 포함하는 배출수의 재순환을 위해 배출수가 저장되는 재순환탱크(110), 상기 중공을 관통하는 형태로 상기 재순환탱크 내에 설치되는 스템(120), 상기 스템의 상부 일측면과 연결되는 헤드(130), 상기 스템과 헤드 사이에 위치하여 연결을 보강하는 플랜지(140)를 포함하는 몸체부(100), 상기 플랜지(140)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스템(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이 가능한 플로트(210)를 포함하는 플로트부(200), 상기 플랜지(140)와 상기 플로트(21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플랜지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공압실린더(310), 상기 공압실린더 일측에는 스프링(320)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의 일측에는 상기 플로트와 맞닿는 실린더헤드(330)를 포함하여 상기 플로트를 하방으로 강제 이동시키기 위한 공압실린더부(300), 상기 플로트의 상방이동 및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410)를 포함하는 스토퍼부(400), 상기 스템의 하부 일측 외부면에 둘러쌓인 형태로 설치되어 배출수의 최저필요수위를 감지하는 비접촉센서(510) 및 상기 비접촉센서 상부 일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플로트가 하방 이동시 배출수를 상기 재순환탱크 내로 공급하기 위한 스위치(520)로 이루어진 비접촉센서부(500)를 포함하는 입자부착에 의한 측정오류 해결장치를 구비한 플로트식 레벨트랜스미터(10)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llow at the top and a recirculation tank 110 in which discharged water is stored for recirculation of discharged water containing particulate matter, a stem 120 installed in the recirculation tank in a form penetrating the hollow, and the stem of A head 130 connected to an upper side surface, a body portion 100 including a flange 140 positioned between the stem and the head to reinforce the connection, a lower side of the flange 140, and the stem 120 ) A float unit 200 including a float 210 movable up and dow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ocated between the flange 140 and the float 210, and a pneumatic cylinder 310 installed under the flange. , A spring 32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neumatic cylinder, and one side of the spring includes a cylinder head 330 in contact with the float, a pneumatic cylinder part 300 for forcibly moving the float downward, the float A stopper part 400 including a stopper 410 for preventing the upward movement and departure of the stem, a non-contact sensor 510 installed in a form surrounded by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side of the stem to detect the minimum required level of the discharged water 510 and A float having a measurement error solving device by particle attachment including a non-contact sensor unit 500 located on one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non-contact sensor and comprising a switch 520 for supplying discharged water into the recirculation tank when the float moves downward. An expression level transmitter (10) is provided.

또한, 상기 공압실린더부는 에어 공급을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340)를 1개 이상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neumatic cylinder unit may include one or more solenoid valves 340 for supplying air.

또한, 상기 공압실린더부는 솔레노이브 밸브와 스프링의 움직임을 통해 스프링이 팽창과 수축작동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neumatic cylinder unit may expand and contract the spring through the movement of the solenoid valve and the spring.

또한, 상기 공압실린더는 플로트가 배출수에 포함되어 있는 입자상 물질에 의해 상기 몸체부에 고착되어, 상기 비접촉센서에서 최저필요수위가 감지되지 않으면서 스위치가 눌리지 않으면 작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neumatic cylinder may operate if the float is fixed to the body by the particulate matter contained in the discharged water, and the switch is not pressed while the minimum required water level is not detected by the non-contact sensor.

또한, 상기 공압실린더부는 상기 플로트를 강제로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비접촉센서부의 스위치가 눌리면 에어 공급이 중단되고, 에어를 배출하면서 공압실린더가 원위치로 회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neumatic cylinder unit forcibly moves the float downward so that when the switch of the non-contact sensor unit is pressed, air supply is stopped, and the pneumatic cylinder may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while discharging the air.

또한, 상기 비접촉센서부에서 플로트가 하방 이동시 스위치에 접촉되면 발생하는 제어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신호선 또는 동력선이 몸체부, 플로트부 및 공압실린더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a signal line or a power line may be connected to any one or more of the body portion, the float portion, and the pneumatic cylinder portion in order to transmit a control signal generated when the float is moved downward in the non-contact sensor portion and is in contact with the switch.

또한, 상기 레벨트랜스미터는 운전제어를 위해 내부 또는 외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vel transmitter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in any one or more of the inside or the outside for operation control.

또한, 상기 제어부는 유선 또는 무선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전달받아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operation by receiving any one of a wired or wireless signal.

또한, 상기 비접촉센서부는 압력센서(521)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의 일측면에 압력센서가 위치하여 스위치가 눌리면 압력센서가 눌릴 수 있다.In addition, the non-contact sensor unit includes a pressure sensor 521, and the pressure sensor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switch so that when the switch is pressed, the pressure sensor can be pressed.

또한, 상기 비접촉센서부의 스위치보다 돌출이 적은 형태의 보조 스위치를 1개 이상 포함하여 상기 스위치가 정상작동이 불가하여도 보조스위치가 스위치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In addition, including one or more auxiliary switches of a form less protruding than the switch of the non-contact sensor unit, the auxiliary switch can take over the role of the switch even if the normal operation of the switch is impossible.

또한, 상기 재순환탱크 밑면으로부터 전체길이 대비 상방 15% 내지 25% 위치에 비접촉센서부가 위치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 위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non-contact sensor unit may be located at a position 15% to 25% above the entire length from the bottom of the recirculation tank, and preferably at a position 20%.

또한, 상기 비접촉센서에서 감지되는 최저필요수위가 100mm 내지 500m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0mm 내지 400mm 일 수 있으며, 필요에 의해 최저필요수위의 변동됨에 따라 대응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inimum required water level sensed by the non-contact sensor may be 100 mm to 500 mm, preferably 200 mm to 400 mm, and may respond as the minimum required water level fluctuates as needed.

또한, 상기 재순환탱크에 배출수의 공급 및 배출을 위한 배출수 유출입구(600)를 1개 이상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irculation tank may include one or more discharge water outlet 600 for supplying and discharging the discharged water.

또한, 상기 배출수 유출입구에는 배출수에 포함된 입자상물질을 1차 제거하기 위한 필터(61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charge water outlet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610 for primarily removing particulate matter contained in the discharged water.

또한, 상기 배출수 유출입구에 포함된 필터는 교체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lter included in the discharge water outlet may be replaceable.

또한, 상기 필터는 10㎛ 내지 10,000㎛의 메쉬홀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lter may have a mesh hole of 10㎛ to 10,000㎛.

또한, 상기 가해지는 공압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도록 조절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pplied pneumatic pressure may be adjusted to gradually increase or decrease.

또한, 상기 가해지는 공압은 상기 플로트에 순간적으로 최대압력을 가해 충격을 주도록 구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pplied pneumatic pressure may be driven to give an impact by momentarily applying a maximum pressure to the float.

또한, 상기 최대압력을 가해 충격을 주는 구동을 반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to give an impact by applying the maximum pressure may be repeated.

또한, 상기 배출수 유출입구에는 배출수의 유출입/중지를 위한 덮개(62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charge water outlet may further include a cover 620 for inflow/stop of the discharge water.

또한, 상기 필터는 역세필터일 수 있다.Also, the filter may be a backwash filter.

또한, 상기 몸체부에는 배출수의 유속을 감지하기 위한 유속감지센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flow rate sensor for detecting the flow rate of the discharged water.

또한, 상기 필터는 재순환탱크 내에 배출수가 유입되어 있을 경우 부하되는 압력을 견디기 위해 고정장치를 통해 고정될 수 있으며, 필터를 고정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느 것이라도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lter may be fixed through a fixing device to withstand the pressure applied when the discharged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recirculation tank, and any type capable of fixing the filter may be used.

또한, 상기 입자부착에 의한 측정오류 해결장치를 구비한 플로트식 레벨트랜스미터를 작동하기 위한 구성들의 제어 또는 조작을 위한 제어수단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구성들은 유선 또는 무선 신호를 통해 제어수단과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거나, 외부에 별도의 구성을 통해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or manipulating the components for operating the float type level transmitter having a measurement error solving device by the particle attachment, and the components are controlled through a wired or wireless signal. and a signal can be exchanged, and the control means may be installed in the body portion or may be provided externally through a separate configuration.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representative embodiments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understand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the claims and equivalents.

10: 입자부착에 의한 측정오류 해결장치를 구비한 플로트식 레벨트랜스미터
100: 몸체부
110: 재순환탱크
120: 스템
130: 헤드
140: 플랜지
200: 플로트부
210: 플로트
300: 공압실린더부
310: 공압실린더
320: 스프링
330: 실린더헤드
340: 솔레노이드 밸브
400: 스토퍼부
410: 스토퍼
500: 비접촉센서부
510: 비접촉센서
520: 스위치
10: Float type level transmitter equipped with a measurement error resolution device due to particle adhesion
100: body
110: recirculation tank
120: stem
130: head
140: flange
200: float unit
210: float
300: pneumatic cylinder unit
310: pneumatic cylinder
320: spring
330: cylinder head
340: solenoid valve
400: stopper part
410: stopper
500: non-contact sensor unit
510: non-contact sensor
520: switch

Claims (20)

상부에 중공을 갖으며 입자상 물질을 포함하는 배출수의 재순환을 위해 배출수가 저장되는 재순환탱크;
상기 중공을 관통하는 형태로 상기 재순환탱크 내에 설치되는 스템, 상기 스템의 상부 일측면과 연결되는 헤드, 상기 스템과 헤드 사이에 위치하여 연결을 보강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플랜지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스템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이 가능한 플로트를 포함하는 플로트부;
상기 플랜지와 상기 플로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플랜지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공압실린더, 상기 공압실린더 일측에는 스프링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의 일측에는 상기 플로트와 맞닿는 실린더헤드를 포함하여 상기 플로트를 하방으로 강제 이동시키기 위한 공압실린더부;
상기 플로트의 상방이동 및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를 포함하는 스토퍼부;
상기 스템의 하부 일측 외부면에 둘러쌓인 형태로 설치되어 배출수의 최저필요수위를 감지하는 비접촉센서 및 상기 비접촉센서 상부 일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플로트가 하방 이동시 배출수를 상기 재순환탱크 내로 공급하기 위한 스위치로 이루어진 비접촉센서부를 포함하는 입자부착에 의한 측정오류 해결장치를 구비한 플로트식 레벨트랜스미터.
a recirculation tank having a hollow in the upper portion and storing the discharged water for recirculation of the discharged water containing particulate matter;
a stem installed in the recirculation tank in a form penetrating the hollow, a head connected to an upper side of the stem, and a body portion including a flange positioned between the stem and the head to reinforce the connection;
a float part located below the flange and including a float capable of vertical movemen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m;
A pneumatic cylinder positioned between the flange and the float, a pneumatic cylinder installed under the flange, a spring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neumatic cylinder, and a cylinder head in contact with the float at one side of the spring to force the float downward. a pneumatic cylinder unit for moving;
a stopper portion including a stopper for preventing upward movement and separation of the float;
A non-contact sensor that is installed in a form surrounded by the outer surface of one lower side of the stem to detect the minimum required level of the discharged water, and a switch for supplying discharged water into the recirculation tank when the float moves downward by being located on one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non-contact sensor A float-type level transmitter having a device for solving measurement errors by particle adhesion including a non-contact sensor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실린더부는 에어 공급을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를 1개 이상 포함하는 입자부착에 의한 측정오류 해결장치를 구비한 플로트식 레벨트랜스미터.
According to claim 1,
The pneumatic cylinder unit is a float type level transmitter having a measurement error resolution device by particle attachment including one or more solenoid valves for air supp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실린더는 플로트가 배출수에 포함되어 있는 입자상 물질에 의해 상기 몸체부에 고착되어, 상기 비접촉센서에서 최저필요수위가 감지되지 않으면서 스위치가 눌리지 않으면 작동하는 입자부착에 의한 측정오류 해결장치를 구비한 플로트식 레벨트랜스미터.
According to claim 1,
In the pneumatic cylinder, the float is fixed to the body part by the particulate matter contained in the discharged water, and the non-contact sensor has a measurement error solving device by particle adhesion that operates when the switch is not pressed while the minimum required water level is not detected. One float level transmit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실린더부는 상기 플로트를 강제로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비접촉센서부의 스위치가 눌리면 에어 공급이 중단되고, 에어를 배출하면서 공압실린더가 원위치로 회귀하는 입자부착에 의한 측정오류 해결장치를 구비한 플로트식 레벨트랜스미터.
According to claim 1,
The pneumatic cylinder part forcibly moves the float downward so that when the switch of the non-contact sensor part is pressed, the air supply is stopped, and the pneumatic cylinder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while discharging the air. level transmit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센서부에서 플로트가 하방 이동시 스위치에 접촉되면 발생하는 제어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신호선 또는 동력선이 몸체부, 플로트부 및 공압실린더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연결되는 입자부착에 의한 측정오류 해결장치를 구비한 플로트식 레벨트랜스미터.
According to claim 1,
In the non-contact sensor unit, a signal line or a power line is connected to any one or more of the body, the float and the pneumatic cylinder in order to transmit a control signal generated when the float touches the switch when moving downward. Equipped with a float type level transmit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트랜스미터는 운전제어를 위해 내부 또는 외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입자부착에 의한 측정오류 해결장치를 구비한 플로트식 레벨트랜스미터.
According to claim 1,
The level transmitter is a float-type level transmitter having a measurement error resolution device by particle attachment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in any one or more of the inside or the outside for operation contro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유선 또는 무선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전달받아 운전을 제어하는 입자부착에 의한 측정오류 해결장치를 구비한 플로트식 레벨트랜스미터.
7.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trol unit is a float type level transmitter equipped with a measurement error resolution device by particle attachmen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by receiving any one of a wired or wireless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센서부는 압력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의 일측면에 압력센서가 위치하여 스위치가 눌리면 압력센서가 눌리는 입자부착에 의한 측정오류 해결장치를 구비한 플로트식 레벨트랜스미터.
According to claim 1,
The non-contact sensor unit includes a pressure sensor, and a pressure sensor is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switch, and when the switch is pressed, the pressure sensor is pressed.
제1항 있어서,
상기 비접촉센서부의 스위치보다 돌출이 적은 형태의 보조 스위치를 1개 이상 포함하여 상기 스위치가 정상작동이 불가하여도 보조스위치가 스위치의 역할을 대신하는 입자부착에 의한 측정오류 해결장치를 구비한 플로트식 레벨트랜스미터.
The method of claim 1,
Float type equipped with a device for solving measurement errors by particle adhesion in which the auxiliary switch replaces the role of the switch even if the switch cannot operate normally, including at least one auxiliary switch of a form less protruding than the switch of the non-contact sensor unit level transmit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순환탱크 밑면으로부터 전체길이 대비 상방 15% 내지 25% 위치에 비접촉센서부가 위치하는 입자부착에 의한 측정오류 해결장치를 구비한 플로트식 레벨트랜스미터.
According to claim 1,
A float-type level transmitter having a device for solving measurement errors due to particle attachment in which a non-contact sensor is positioned at a position 15% to 25% above the total length from the bottom of the recirculation tan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실린더는 0.01bar 내지 8bar의 공압이 가해져 실린더가 플로트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되는 입자부착에 의한 측정오류 해결장치를 구비한 플로트식 레벨트랜스미터.
According to claim 1,
The pneumatic cylinder is a float type level transmitter equipped with a device for solving measurement errors by particle adhesion in which the cylinder is driven to move the float downward by applying a pneumatic pressure of 0.01 bar to 8 ba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센서에서 감지되는 최저필요수위가 100mm 내지 500mm인 입자부착에 의한 측정오류 해결장치를 구비한 플로트식 레벨트랜스미터.
4. The method of claim 3,
A float type level transmitter having a measurement error resolution device by particle adhesion of which the minimum required water level detected by the non-contact sensor is 100 mm to 500 m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순환탱크에 배출수의 공급 및 배출을 위한 배출수 유출입구를 1개 이상 포함하는 입자부착에 의한 측정오류 해결장치를 구비한 플로트식 레벨트랜스미터.
According to claim 1,
A float-type level transmitter having a measurement error solving device by particle attachment including one or more outlets for supplying and discharging the wastewater to the recirculation tank.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 유출입구에는 배출수에 포함된 입자상물질을 1차 제거하기 위한 필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입자부착에 의한 측정오류 해결장치를 구비한 플로트식 레벨트랜스미터.
14. The method of claim 13,
A float-type level transmitter having a measurement error resolution device by particle attachment further comprising a filter for primary removal of particulate matter contained in the discharged water at the outlet of the discharged wat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해지는 공압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도록 조절되는 입자부착에 의한 측정오류 해결장치를 구비한 플로트식 레벨트랜스미터.
12. The method of claim 11,
A float type level transmitter having a measurement error-solving device by particle adhesion that is controlled so that the applied pneumatic pressure can be gradually increased or decrease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해지는 공압은 상기 플로트에 순간적으로 최대압력을 가해 충격을 주도록 구동하는 입자부착에 의한 측정오류 해결장치를 구비한 플로트식 레벨트랜스미터.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applied pneumatic pressure is a float type level transmitter equipped with a measurement error resolution device by particle attachment that drives to apply the maximum pressure instantaneously to the float to give an impact.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압력을 가해 충격을 주는 구동을 반복하는 입자부착에 의한 측정오류 해결장치를 구비한 플로트식 레벨트랜스미터.
17. The method of claim 16,
A float-type level transmitter having a measurement error-solving device by particle adhesion that repeats driving to apply the maximum pressure to give an impac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 유출입구에는 배출수의 유출입/중지를 위한 덮개를 추가로 포함하는 입자부착에 의한 측정오류 해결장치를 구비한 플로트식 레벨트랜스미터.
14. The method of claim 13,
A float type level transmitter having a measurement error resolution device by particle attachment further comprising a cover for inflow/stop of the discharge water at the discharge water outle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역세필터인 입자부착에 의한 측정오류 해결장치를 구비한 플로트식 레벨트랜스미터.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filter is a backwash filter, a float type level transmitter equipped with a measurement error resolution device due to particle adhes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배출수의 유속을 감지하기 위한 유속감지센서를 추가로 포함하는 입자부착에 의한 측정오류 해결장치를 구비한 플로트식 레벨트랜스미터
According to claim 1,
A float type level transmitter having a measurement error resolution device by particle attachment further comprising a flow rate sensor for detecting the flow rate of the discharged water in the body portion
KR1020220065003A 2022-05-26 2022-05-26 Float type level transmitter equipped with a measurement error resolution device due to particle adhesion KR1024341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003A KR102434113B1 (en) 2022-05-26 2022-05-26 Float type level transmitter equipped with a measurement error resolution device due to particle adhe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003A KR102434113B1 (en) 2022-05-26 2022-05-26 Float type level transmitter equipped with a measurement error resolution device due to particle adhes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4113B1 true KR102434113B1 (en) 2022-08-22

Family

ID=83103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5003A KR102434113B1 (en) 2022-05-26 2022-05-26 Float type level transmitter equipped with a measurement error resolution device due to particle adhes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411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6878B1 (en) 2023-03-28 2023-10-11 제이엔케이히터(주) High-purity hydrogen production high temperature reactor through water gas shift reaction during the syngas production process using petroleum coke
KR102593782B1 (en) 2023-03-28 2023-10-26 제이엔케이히터(주) High-purity hydrogen production system through water gas shift reaction during the syngas production process using petroleum coke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7554U (en) * 1996-09-24 1998-07-06 김종진 Level measurement device for high viscosity insulating coating solution
KR101069126B1 (en) 2010-09-09 2011-09-30 양재구 Water level control method of pressure tank in pipeline system with level transmeter and level switch
KR101436852B1 (en) 2013-05-07 2014-09-11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Apparatus for treating fly ash and drain water of non-slagging gasifier and method thereof
KR20150094356A (en) * 2014-02-11 2015-08-19 아몽솔루션(주) Automatic cleaner for watermark
KR102020496B1 (en) * 2018-07-10 2019-09-10 주식회사 포스코 Water level gauge
KR102292411B1 (en) 2021-05-31 2021-08-24 제이엔케이히터(주) High-purity hydrogen production system through water gas conversion reaction during petroleum coke synthesis gasification process for hydrogen production
KR102292426B1 (en) 2021-05-31 2021-08-25 주식회사 아스페 Simultaneous separation method of hydrogen and carbon dioxide after WGS during the synthesis gasification process of petroleum coke for hydrogen production
KR102300741B1 (en) 2021-05-31 2021-09-13 피티케이(주) Roll-bending welding device during the synthesis gasification process of petroleum coke for hydrogen production
KR102313692B1 (en) 2021-05-31 2021-10-19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High-concentration hydrogen sulfide removal device using solvent curtain membrane
KR102313690B1 (en) 2021-05-31 2021-10-19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High-concentration hydrogen sulfide removal device with low consumption of absorbent and increased contact efficiency during the synthesis gasification process of petroleum coke for hydrogen production
KR102316734B1 (en) 2021-05-31 2021-10-26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Water gas conversion isothermal catalytic reaction device including a catalytic membrane
KR102316737B1 (en) 2021-05-31 2021-10-26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Water gas shift reactor capable of uniform temperature control
KR102317351B1 (en) 2021-05-31 2021-10-27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Filtering device for fine particles contained in the exhaust water of the gasifier quencher
KR102351661B1 (en) 2021-05-31 2022-01-17 피티케이(주) A device for buffing caps and pipes during the synthesis gasification process of petroleum coke for hydrogen production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7554U (en) * 1996-09-24 1998-07-06 김종진 Level measurement device for high viscosity insulating coating solution
KR101069126B1 (en) 2010-09-09 2011-09-30 양재구 Water level control method of pressure tank in pipeline system with level transmeter and level switch
KR101436852B1 (en) 2013-05-07 2014-09-11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Apparatus for treating fly ash and drain water of non-slagging gasifier and method thereof
KR20150094356A (en) * 2014-02-11 2015-08-19 아몽솔루션(주) Automatic cleaner for watermark
KR102020496B1 (en) * 2018-07-10 2019-09-10 주식회사 포스코 Water level gauge
KR102292411B1 (en) 2021-05-31 2021-08-24 제이엔케이히터(주) High-purity hydrogen production system through water gas conversion reaction during petroleum coke synthesis gasification process for hydrogen production
KR102292426B1 (en) 2021-05-31 2021-08-25 주식회사 아스페 Simultaneous separation method of hydrogen and carbon dioxide after WGS during the synthesis gasification process of petroleum coke for hydrogen production
KR102300741B1 (en) 2021-05-31 2021-09-13 피티케이(주) Roll-bending welding device during the synthesis gasification process of petroleum coke for hydrogen production
KR102313692B1 (en) 2021-05-31 2021-10-19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High-concentration hydrogen sulfide removal device using solvent curtain membrane
KR102313690B1 (en) 2021-05-31 2021-10-19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High-concentration hydrogen sulfide removal device with low consumption of absorbent and increased contact efficiency during the synthesis gasification process of petroleum coke for hydrogen production
KR102316734B1 (en) 2021-05-31 2021-10-26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Water gas conversion isothermal catalytic reaction device including a catalytic membrane
KR102316737B1 (en) 2021-05-31 2021-10-26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Water gas shift reactor capable of uniform temperature control
KR102317351B1 (en) 2021-05-31 2021-10-27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Filtering device for fine particles contained in the exhaust water of the gasifier quencher
KR102351661B1 (en) 2021-05-31 2022-01-17 피티케이(주) A device for buffing caps and pipes during the synthesis gasification process of petroleum coke for hydrogen produc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6878B1 (en) 2023-03-28 2023-10-11 제이엔케이히터(주) High-purity hydrogen production high temperature reactor through water gas shift reaction during the syngas production process using petroleum coke
KR102593782B1 (en) 2023-03-28 2023-10-26 제이엔케이히터(주) High-purity hydrogen production system through water gas shift reaction during the syngas production process using petroleum cok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4113B1 (en) Float type level transmitter equipped with a measurement error resolution device due to particle adhesion
US11760631B2 (en) Method of producing a cooled syngas of improved quality
KR102313692B1 (en) High-concentration hydrogen sulfide removal device using solvent curtain membrane
KR102292426B1 (en) Simultaneous separation method of hydrogen and carbon dioxide after WGS during the synthesis gasification process of petroleum coke for hydrogen production
US8685151B2 (en) Multiple fixed-fluidized beds for contaminant removal
KR102430685B1 (en) High concentration hydrogen sulfide removal device in solution bath type
CN112063422B (en) Blast furnace gas desulfurization and sulfur resource utilization method and device
KR102313690B1 (en) High-concentration hydrogen sulfide removal device with low consumption of absorbent and increased contact efficiency during the synthesis gasification process of petroleum coke for hydrogen production
KR102438343B1 (en) Petroleum Coke Slurry Manufacturing Equipment
KR102466732B1 (en) H2 and CO2 separation method with VPSA applied to increase hydrogen recovery rate
KR101538341B1 (en) System for removing high hydrogen sulfide using iron chelate aqueous solution
CN103316563A (en) Desulfuriz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for semi-coke tail gas and usage method of same
CA3192314A1 (en) Sorption-enhanced water-gas shift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a co2 product stream and an h2 product stream
AU2009311624B9 (en) Multiple fixed-fluidized beds for contaminant remov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