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2704A - 푸시 스위치 - Google Patents

푸시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2704A
KR20150092704A KR1020150003264A KR20150003264A KR20150092704A KR 20150092704 A KR20150092704 A KR 20150092704A KR 1020150003264 A KR1020150003264 A KR 1020150003264A KR 20150003264 A KR20150003264 A KR 20150003264A KR 20150092704 A KR20150092704 A KR 20150092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heet
welded
case
push switch
movabl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3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8497B1 (ko
Inventor
도시아키 미즈코시
히데타카 사토
아키라 가네코
아리노부 모토카와
가즈히로 미야카와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92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2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5/00Movable contacts
    • H01H2205/016Separate bridge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5/00Tactile feedback
    • H01H2215/004Collapsible dome or bub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3/00Casings
    • H01H2223/002Casings sealed
    • H01H2223/003Membrane embracing all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7/00Dimensions; Characteristics
    • H01H2227/026Separate dome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9/00Manufacturing
    • H01H2229/02Las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9/00Manufacturing
    • H01H2229/036Manufacturing ultrasonic

Abstract

외연부가 말려 올라가기 어렵게 커버 시트가 용착된 푸시 스위치를 제공한다.
푸시 스위치(100)에서는, 상방 측이 개구(1b)로 되어 있고, 내부에 고정 접점부(1c)가 설치됨과 함께 가동 접점 부재(3)를 수용하는 수용부(1a)를 구비한 케이스(1)와, 개구(1b)를 덮도록 용착에 의해 케이스(1)의 상면에 장착되는 커버 시트를 갖고 있는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 케이스(1)의 상면은, 커버 시트와의 사이에서 용착되는 피용착부(1d)로 되어 있고, 개구(1b)의 주위의 전체 둘레에 걸쳐 용착되는 전체 둘레 용착 부분(SP)과,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커버 시트의 외연부까지 용착되는 외연 용착 부분(OP)이 커버 시트와 케이스(1)의 피용착부(1d)의 사이에서 형성되어, 커버 시트가 케이스(1)의 상면에 장착되어 있는, 구성으로 했다.

Description

푸시 스위치{PUSH SWITCH}
본 발명은, 푸시 스위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밀봉용의 시트가 케이스에 용착된 푸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는, 가동 접점 등을 수납하기 위해, 케이스에 수납용의 공간이 설치되어 있다. 사용 용도에 따라서는, 푸시 스위치는, 케이스에 설치된 수납용의 공간을 밀폐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수납용의 공간을 밀폐하기 위해, 수납용 공간의 개구를 시트로 덮고, 시트와 케이스를 용착에 의해 고정한 푸시 스위치가 있다. 이와 같은 푸시 스위치로서는, 하기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푸시 스위치가 알려져 있다.
이하, 도 7을 이용하여,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푸시 스위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푸시 스위치(900)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푸시 스위치(900)는, 스위치 접점부가 배치된 케이스(911) 상(上)이 보호 시트(915)로 덮여 구성되는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 보호 시트(915)는 레이저 조사에 의해 케이스(911)에 용착 고정되고, 또한 그 용착 고정 개소가 보호 시트(915)의 점착 마진에 해당하는 범위 내에 있어서 부분적인 선 형상의 제 1 용착 고정 개소(921)에서 용착 고정되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3-58380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푸시 스위치(900)는, 보호 시트(915)를 선 형상의 제 1 용착 고정 개소(921)에서 케이스(911)에 용착 고정하고, 케이스(911)에 설치된 수납용의 공간을 밀폐하고 있다. 그러나, 푸시 스위치(900)는, 제 1 용착 고정 개소(921)가 선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보호 시트(915)의 외연부가 케이스(911)에 용착되어 있지 않다. 용착되어 있지 않은 보호 시트(915)의 외연부는, 납땜 등의 가열에 의해 말려 올라가고, 말려 올라간 외연부가 푸시 스위치(900)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손잡이에 접촉하여 조작 감촉이 나빠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외연부가 말려 올라가기 어렵게 커버 시트가 용착된 푸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는, 상방 측이 개구로 되어 있고, 내부에 고정 접점부가 설치됨과 함께 가동(可動) 접점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한 케이스와, 상기 개구를 덮도록 용착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장착되는 커버 시트를 갖고 있는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면은, 상기 커버 시트와의 사이에서 용착되는 피(被)용착부로 되어 있고, 상기 개구의 주위의 전체 둘레에 걸쳐 용착되는 전체 둘레 용착 부분과,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상기 커버 시트의 외연부까지 용착되는 외연 용착 부분이 상기 커버 시트와 상기 케이스의 피용착부의 사이에서 형성되어, 상기 커버 시트가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장착되어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청구항 2에 기재된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는, 상기 케이스의 피용착부와 상기 커버 시트의 사이는 용착에 의해 용착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연 용착 부분의 용착층은, 상기 전체 둘레 용착 부분의 용착층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청구항 3 및 청구항 4에 기재된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는, 상기 커버 시트와 상기 케이스의 피용착부의 사이에는, 상기 개구의 가장자리부까지 용착되는 내연 용착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청구항 5 및 청구항 6에 기재된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는, 상기 내연 용착 부분의 용착층은, 상기 전체 둘레 용착 부분의 용착층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청구항 7에 기재된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는, 상기 케이스는, 상기 수용부의 내부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가동 접점 부재를 상방으로부터 평면에서 봤을 때의 외형을 따르도록 돌출됨과 함께, 상기 수용부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개구의 가장자리부까지 연속해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상면은, 상기 피용착부이고, 상기 커버 시트와 용착되어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청구항 8에 기재된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는, 상기 케이스 및 상기 커버 시트를 상방으로부터 평면에서 봤을 때, 상기 커버 시트의 외형 형상은, 상기 케이스의 외형 형상을 따르도록 형성됨과 함께, 상기 케이스의 외형 형상의 내측에 들어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 시트의, 상기 개구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 시트는 적어도 일부가 점착재에 의해 점착되어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청구항 9에 기재된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는, 상기 커버 시트와 상기 가동 접점 부재의 사이에 배치된 누름자 부재를 갖고, 상기 커버 시트와 상기 누름자 부재는 용착되어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커버 시트가 개구의 주위의 전체 둘레에 걸쳐 용착됨과 함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커버 시트의 외연부까지 용착됨으로써 케이스에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커버 시트의 외연부까지 커버 시트가 용착됨으로써, 커버 시트의 외연부가 말려 올라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외연부가 말려 올라가기 어렵게 시트가 용착된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외연 용착 부분의 용착층을 얇게 함으로써, 용착 시에 외연 용착 부분에 소요되는 열 에너지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과잉의 열 에너지에 의해 케이스의 외형부에 처짐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시트의 외연부가 말려 올라가기 어렵고, 케이스의 외형부에 처짐이 없는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청구항 3 및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개구의 가장자리부까지 용착함으로써, 조작 시에 커버 시트가 비틀리기 어려워진다. 커버 시트가 비틀리기 어려워짐으로써, 조작 감촉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청구항 5 및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내연 용착 부분의 용착층을 얇게 함으로써, 용착 시에 내연 용착 부분에 소요되는 열 에너지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과잉의 열 에너지에 의해 개구의 가장자리부에 처짐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개구의 가장자리부의 처짐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조작 감촉의 열화, 가동 접점 부재의 동작 문제, 가동 접점 부재와 고정 접점 부재의 접촉 불량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 감촉이 좋고, 문제가 발생하기 어려운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돌출부를 가동 접점 부재의 외형을 따르도록 돌출 형성함으로써, 조립 시에 가동 접점 부재가 돌출부를 따라 배치되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해진다. 또, 돌출부를 개구의 가장자리부의 위치까지 설치함으로써, 돌출부의 상면을 피용착부로 할 수 있고, 용착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조립성이 좋고, 수용부의 밀폐성이 좋은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청구항 8의 발명에 의하면, 개구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커버 시트를 케이스에 점착재에 의해 점착함으로써 용착 전에 가(假)고정해 두어, 용착 시의 위치 어긋남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수용부의 밀폐성을 더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는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청구항 9의 발명에 의하면, 커버 시트와 가동 접점 부재의 사이에 누름자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가동 접점 부재의 소정의 범위에 조작력을 집중시킬 수 있다. 또, 커버 시트와 누름자 부재를 용착함으로써, 가동 접점 부재와 누름자 부재의 접촉 위치가 어긋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조작 감촉이 안정되어 있는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하면, 외연부가 말려 올라가기 어렵게 커버 시트가 용착된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푸시 스위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푸시 스위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의 (a)는 푸시 스위치(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의 (b)는 도 2의 (a)에 나타내는 Z1 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푸시 스위치(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동 접점 부재(3)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의 (a)는 가동 접점 부재(3)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의 (b)는 도 3의 (a)에 나타내는 Y2 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가동 접점 부재(3)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케이스(1)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의 (a)는 케이스(1)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의 (b)는 도 4의 (a)에 나타내는 Z1 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케이스(1)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기재된 단면 B-B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고, 도 5의 (a)는 조작되기 전의 푸시 스위치(1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의 (b)는 조작된 푸시 스위치(1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체 둘레 용착 부분(SP), 외연 용착 부분(OP) 및 내연 용착 부분(IP)의 대략의 개소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푸시 스위치(900)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 1 실시형태]
이하에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푸시 스위치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처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푸시 스위치의 구성에 대해 도 1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푸시 스위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푸시 스위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의 (a)는 푸시 스위치(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의 (b)는 도 2의 (a)에 나타내는 Z1 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푸시 스위치(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동 접점 부재(3)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의 (a)는 가동 접점 부재(3)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의 (b)는 도 3의 (a)에 나타내는 Y2 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가동 접점 부재(3)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케이스(1)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의 (a)는 케이스(1)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의 (b)는 도 4의 (a)에 나타내는 Z1 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케이스(1)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푸시 스위치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1)와, 커버 시트(2)와, 가동 접점 부재(3)와, 누름자 부재(4)를 갖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가동 접점 부재(3)는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지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Z1 방향 측)으로부터 평면에서 보면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가동 접점 부재(3)는, 중앙부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돔 형상으로 형성된 돔부(3a)를 갖고, 길이 방향(X1-X2 방향)의 양단(兩端)에는 돔부(3a)에 연속해서 다리부(3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돔부(3a)의 가장 돌출되어 있는 개소를 정상부(3c)라고 한다. 가동 접점 부재(3)는 탄성을 구비하여, 정상부(3c) 측을 가압하면 휜 후에 반전 동작함과 함께, 가압이 해제되면 가압 전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케이스(1)는, 광이 투과되기 어려운 흑색 등의 암색계의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고, 금속판이 인서트 성형되어 있다. 케이스(1)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 측이 개구(1b)로 되어 있고, 내부에 고정 접점부(1c)가 설치됨과 함께 가동 접점 부재(3)를 수납 가능한 크기의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 수용부(1a)를 구비하고 있다. 또, 케이스(1)는, 수용부(1a)의 내부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1e)를 갖고 있다. 돌출부(1e)는, 가동 접점 부재(3)를 상방(도 3에 나타내는 Z1 방향 측)으로부터 평면에서 봤을 때의 외형을 따르도록 돌출됨과 함께, 수용부(1a)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개구(1b)의 가장자리부까지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 돌출부(1e)의 상면을 포함하는 케이스(1)의 상면은, 용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피용착부(1d)로 되어 있다. 케이스(1)에 인서트 성형된 금속판은, 수용부(1a)의 내부 바닥면과, 케이스(1)의 길이 방향(X1-X2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수용부(1a)의 내부 바닥면에 노출된 금속판은 고정 접점부(1c)를 형성하고, 고정 접점부(1c)는 수용부(1a)의 내부 바닥면의 중앙에 설치된 중앙 접점부(1f)와, 수용부(1a)의 내부 바닥면의 네 모서리에 설치된 외주 접점부(1g)로 이루어지며, 중앙 접점부(1f)와 외주 접점부(1g)는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또한, 중앙 접점부(1f)는 3분할된 원 형상으로 노출되어 있고, 3분할된 중앙 접점부(1f)는,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음과 함께, 4개의 외주 접점부(1g)끼리는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케이스(1)의 길이 방향의 일방(X2 방향 측)으로 돌출된 금속판은, 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제 1 접속 단자(1h)를 형성하고, 타방으로 돌출된 금속판은 제 2 접속 단자(1k)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중앙 접점부(1f)와 제 1 접속 단자(1h)는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함께, 외주 접점부(1g)와 제 2 접속 단자(1k)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커버 시트(2)는 광을 투과 가능한 합성 수지재의 시트로 이루어지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 시트(2)를 상방(Z1 방향 측)으로부터 평면에서 봤을 때,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시트(2)는 개구(1b)를 덮는 것이 가능한 크기이고, 커버 시트(2)의 외형 형상은, 케이스(1)의 외형 형상을 따르도록 형성됨과 함께, 케이스(1)의 외형 형상의 내측에 들어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커버 시트(2)의, 도 2에 나타내는 A부 영역 내의 이면(Z2 방향 측의 면)에는, 점착성을 구비한 점착재가 설치되어 있다.
누름자 부재(4)는 광이 투과되기 어려운 흑색 등의 암색계의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푸시 스위치(100)의 구조에 대해 도 2, 도 5 및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2에 기재된 단면 B-B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고, 도 5의 (a)는 조작되기 전의 푸시 스위치(1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의 (b)는 조작된 푸시 스위치(1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5에 있어서는,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해, 각 구성 부품의 두께 치수의 비율이나 외주 접점부(1g)의 위치 등 실제의 구조와 다른 부분도 있다.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체 둘레 용착 부분(SP), 외연 용착 부분(OP) 및 내연 용착 부분(IP)의 대략의 개소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시트(2)의 점착재가 설치된 면(도 2 참조)의 중앙부에, 누름자 부재(4)는 반구면이 커버 시트(2)에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커버 시트(2)와 누름자 부재(4)의 반구면의 일부는 용착되며, 누름자 부재(4)는 커버 시트(2)에 고정된다. 또한, 용착은, 커버 시트(2) 측으로부터의 레이저광의 조사에 의해 열 에너지를 부여함으로써 행한다. 레이저광에 의한 용착 이외의 방법, 예를 들면, 초음파 용착으로 용착해도 된다. 또, 케이스(1)는, 가동 접점 부재(3)를 수용부(1a)에 수용한다. 수용부(1a)에 수용된 가동 접점 부재(3)는 정상부(3c)가 상방(Z1 방향 측)이 됨과 함께, 다리부(3b)가 외주 접점부(1g)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또, 가동 접점 부재(3)는 돌출부(1e)로 안내되어 배치된다. 커버 시트(2)는, 누름자 부재(4)와 가동 접점 부재(3)가 대향함과 함께, 개구(1b)를 덮도록 케이스(1)의 상면에 장착되고, 점착재에 의해 점착된다. 즉, 커버 시트(2)의, 개구(1b)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케이스(1)와 커버 시트(2)는 적어도 일부가 점착재에 의해 점착되어, 가고정된다. 커버 시트(2)와 가동 접점 부재(3)의 사이에 배치된 누름자 부재(4)는, 가동 접점 부재(3)의 정상부(3c)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된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1) 및 커버 시트(2)를 상방으로부터 평면에서 봤을 때, 커버 시트(2)는 케이스(1)의 외형 형상의 내측에 들어가 있다. 또, 커버 시트(2)는, 누름자 부재(4)에 대응하는 개소가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가고정된 케이스(1)와 커버 시트(2)는, 케이스(1)의 상면 및 돌출부(1e)의 상면인 피용착부(1d)와 커버 시트(2)의 사이에서 용착되고, 용착에 의해 장착된다. 이때, 점착재에 의해 가고정되어 있는 부분을 제외하고 용착되게 된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시트(2)(도 5 참조)와 케이스(1)의 피용착부(1d)의 사이에는, 개구(1b)의 주위의 전체 둘레에 걸쳐 용착되는 전체 둘레 용착 부분(SP)과,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커버 시트(2)의 외연부까지 용착되는 외연 용착 부분(OP)과, 개구(1b)의 가장자리부까지 용착되는 내연 용착 부분(IP)이 형성되고, 커버 시트(2)가 케이스(1)의 상면(피용착부(1d))에 장착되어 있다.
또,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1)의 피용착부(1d)와 커버 시트(2)의 사이는 용착에 의해 용착층(WL)이 형성되어 있다. 외연 용착 부분(OP)에 대응하는 개소의 용착층(WL)은, 전체 둘레 용착 부분(SP)에 대응하는 개소의 용착층(WL)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고, 내연 용착 부분(IP)에 대응하는 개소의 용착층(WL)은, 전체 둘레 용착 부분(SP)에 대응하는 개소의 용착층(WL)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 시트(2)와 케이스(1)의 용착은, 점착재가 점착되어 있는 부분 이외의 부분에, 커버 시트(2)의 상방 측으로부터 레이저광을 조사하고, 케이스(1)의 피용착부(1d)와 커버 시트(2)의 사이에 열 에너지를 부여함으로써 용착되어 있다. 또한, 레이저광에 의한 열 에너지를 바꾸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레이저광의 출력을 조정함으로써, 레이저광에 의해 부여되는 열 에너지가 바뀌어, 용착층(WL)의 두께를 바꿀 수 있다. 예를 들면, 레이저광의 출력을 크게 하면 열 에너지가 커져, 용착층(WL)의 두께는 두꺼워지고, 레이저광의 출력을 작게 하면 열 에너지가 작아져 용착층(WL)의 두께는 얇아진다. 이와 같이 레이저광의 출력에 의해 열 에너지를 조정함으로써, 전체 둘레 용착 부분(SP), 외연 용착 부분(OP) 및 내연 용착 부분(IP)에 있어서의 용착층(WL)의 두께를 다르게 할 수 있다. 또, 레이저광에 의한 용착 방법을 설명했지만, 초음파 용착 등, 별도의 방법으로 용착해도 된다.
다음으로 푸시 스위치(100)의 동작에 대해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조작 전의 상태에 있어서는,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푸시 스위치(100)는, 가동 접점 부재(3)와 중앙 접점부(1f)는 이간되어 있고, 중앙 접점부(1f)와 외주 접점부(1g)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다음으로,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시트(2) 및 누름자 부재(4)를 개재하여 가동 접점 부재(3)를 하방(Z2 방향)으로 가압하면, 가동 접점 부재(3)는 정상부(3c)의 근처가 가압되어, 하방으로 휜 후에 반전 동작하고, 정상부(3c)의 이면 측이 중앙 접점부(1f)에 접촉한다. 가동 접점 부재(3)와 중앙 접점부(1f)가 접촉함으로써, 가동 접점 부재(3)를 개재하여, 중앙 접점부(1f)와 외주 접점부(1g)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가동 접점 부재(3)에의 가압을 해제하면, 가동 접점 부재(3)의 탄성력에 의해, 푸시 스위치(100)는 조작 전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가동 접점 부재(3)를 가압 조작하고, 중앙 접점부(1f)와 외주 접점부(1g)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를 전환함으로써, 푸시 스위치(100)는 푸시 스위치로서 기능한다.
이하, 본 실시형태로 한 것에 의한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100)에서는, 상방 측이 개구(1b)로 되어 있고, 내부에 고정 접점부(1c)가 설치됨과 함께 가동 접점 부재(3)를 수용하는 수용부(1a)를 구비한 케이스(1)와, 개구(1b)를 덮도록 용착에 의해 케이스(1)의 상면에 장착되는 커버 시트(2)를 갖고 있는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 케이스(1)의 상면은, 커버 시트(2)와의 사이에서 용착되는 피용착부(1d)로 되어 있고, 개구(1b)의 주위의 전체 둘레에 걸쳐 용착되는 전체 둘레 용착 부분(SP)과,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커버 시트(2)의 외연부까지 용착되는 외연 용착 부분(OP)이 커버 시트(2)와 케이스(1)의 피용착부(1d)의 사이에서 형성되어, 커버 시트(2)가 케이스(1)의 상면에 장착되어 있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따라, 커버 시트(2)가, 전체 둘레 용착 부분(SP)에서 개구(1b)의 주위의 전체 둘레에 걸쳐 용착됨과 함께, 외연 용착 부분(OP)에서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커버 시트(2)의 외연부까지 용착됨으로써, 케이스(1)에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커버 시트(2)의 외연부까지 커버 시트(2)가 케이스(1)에 용착됨으로써, 커버 시트(2)의 외연부가 말려 올라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외연부가 말려 올라가기 어렵게 시트가 용착된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 제 1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100)에서는, 케이스(1)의 피용착부(1d)와 커버 시트(2)의 사이는 용착에 의해 용착층(WL)이 형성되어 있고, 외연 용착 부분(OP)의 용착층(WL)은, 전체 둘레 용착 부분(SP)의 용착층(WL)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따라, 외연 용착 부분(OP)의 용착층(WL)을 얇게 함으로써, 용착 시에 외연 용착 부분(OP)에 소요되는 열 에너지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과잉의 열 에너지에 의해 케이스(1)의 외형부에 처짐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시트(2)의 외연부가 말려 올라가기 어렵고, 케이스(1)의 외형부에 처짐이 없는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 제 1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100)에서는, 커버 시트(2)와 케이스(1)의 피용착부(1d)의 사이에는, 개구(1b)의 가장자리부까지 용착되는 내연 용착 부분(IP)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따라,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개구(1b)의 가장자리부까지 커버 시트(2)를 용착함으로써, 조작 시에 커버 시트(2)가 비틀리기 어려워진다. 커버 시트(2)가 비틀리기 어려워짐으로써, 조작 감촉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 커버 시트(2)와 가동 접점 부재(3)의 사이에 누름자 부재(4)가 배치되어 있지만,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개구(1b)의 가장자리부까지 커버 시트(2)를 용착함으로써, 누름자 부재(4)가 가동 접점 부재(3)를 가압하는 개소가 어긋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 감촉의 변화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제 1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100)에서는, 내연 용착 부분(IP)의 용착층(WL)은, 전체 둘레 용착 부분(SP)의 용착층(WL)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따라 내연 용착 부분(IP)의 용착층(WL)을 얇게 함으로써, 용착 시에 내연 용착 부분(IP)에 소요되는 열 에너지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과잉의 열 에너지에 의해 개구(1b)의 가장자리부에 처짐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개구(1b)의 가장자리부의 처짐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조작 감촉의 열화, 가동 접점 부재(3)의 동작 문제, 가동 접점 부재(3)와 고정 접점부(1c)의 접촉 불량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 감촉이 좋고, 문제가 발생하기 어려운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 제 1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100)에서는, 케이스(1)는, 수용부(1a)의 내부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1e)를 갖고, 돌출부(1e)는, 가동 접점 부재(3)를 상방으로부터 평면에서 봤을 때의 외형을 따르도록 돌출됨과 함께, 수용부(1a)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개구(1b)의 가장자리부까지 연속해서 형성되며, 돌출부(1e)의 상면은, 피용착부(1d)이고, 커버 시트(2)와 용착되어 있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따라, 돌출부(1e)를 가동 접점 부재(3)의 외형을 따르도록 돌출 형성함으로써, 조립 시에 가동 접점 부재(3)가 돌출부(1e)를 따라 배치되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해진다. 또, 돌출부(1e)를 개구(1b)의 가장자리부의 위치까지 설치함으로써, 돌출부(1e)의 상면을 피용착부(1d)로 할 수 있고, 용착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조립성이 좋고, 수용부(1a)의 밀폐성이 좋은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 제 1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100)에서는, 케이스(1) 및 커버 시트(2)를 상방으로부터 평면에서 봤을 때, 커버 시트(2)의 외형 형상은, 케이스(1)의 외형 형상을 따르도록 형성됨과 함께, 케이스(1)의 외형 형상의 내측에 들어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커버 시트(2)의, 개구(1b)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케이스(1)와 커버 시트(2)는 적어도 일부가 점착재에 의해 점착되어 있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따라, 개구(1b)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커버 시트(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 있어서, 커버 시트(2)를 케이스(1)에 점착재에 의해 점착함으로써 용착 전에 가고정해 두어, 용착 시의 위치 어긋남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수용부(1a)의 밀폐성을 더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는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 제 1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100)에서는, 커버 시트(2)와 가동 접점 부재(3)의 사이에 배치된 누름자 부재(4)를 갖고, 커버 시트(2)와 누름자 부재(4)는 용착되어 있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따라, 커버 시트(2)와 가동 접점 부재(3)의 사이에 누름자 부재(4)를 설치함으로써, 가동 접점 부재(3)의 소정의 범위에 조작력을 집중시킬 수 있다. 또, 커버 시트(2)와 누름자 부재(4)를 용착함으로써, 가동 접점 부재(3)와 누름자 부재(4)의 접촉 위치가 어긋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조작 감촉이 안정되어 있는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푸시 스위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변형해서 실시할 수 있고, 이들의 실시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변형예 1]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체 둘레 용착 부분(SP)은 개구(1b)의 주위의 전체 둘레에 걸쳐 용착되는 구성으로 했다. 그러나, 수용부(1a) 내부의 공기의 퇴피 장소가 없기 때문에, 푸시 스위치(100)를 조작했을 때에 조작 감촉이 나빠지는 것이나, 최악의 경우, 푸시 스위치로서 기능하지 않게 되는 바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도 생각된다. 그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실질적으로 밀폐 상태(공기의 출입은 할 수 있지만 수분의 유입은 막을 수 있는 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전체 둘레 용착 부분(SP)(외연 용착 부분(OP) 및 내연 용착 부분(IP)도 포함시켜)의 일부를 중단시켜, 공기 퇴피를 설치해도 된다.
[변형예 2]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커버 시트(2)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점착재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커버 시트(2)의 가고정을 행할 수 있고, 개구(1b)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이면, 점착재의 위치를 바꾸어도 된다.
[변형예 3]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커버 시트(2)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점착재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커버 시트(2)의 가고정을 별도의 수단에 의해 행할 수 있는 것이면, 점착재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변형예 4]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동 접점 부재(3)를 1개 이용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필요에 따라 복수 개 겹쳐 이용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1: 케이스 1a: 수용부
1b: 개구 1c: 고정 접점부
1d: 피용착부 1e: 돌출부
1f: 중앙 접점부 1g: 외주 접점부
1h: 제 1 접속 단자 1k: 제 2 접속 단자
2: 커버 시트 3: 가동 접점 부재
3a: 돔부 3b: 다리부
3c: 정상부 4: 누름자 부재
100: 푸시 스위치 IP: 내연 용착 부분
OP: 외연 용착 부분 SP: 전체 둘레 용착 부분
WL: 용착층

Claims (9)

  1. 상방 측이 개구로 되어 있고, 내부에 고정 접점부가 설치됨과 함께 가동 접점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한 케이스와,
    상기 개구를 덮도록 용착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장착되는 커버 시트를 갖고 있는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면은, 상기 커버 시트와의 사이에서 용착되는 피용착부로 되어 있고,
    상기 개구의 주위의 전체 둘레에 걸쳐 용착되는 전체 둘레 용착 부분과,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상기 커버 시트의 외연부까지 용착되는 외연 용착 부분이, 상기 커버 시트와 상기 케이스의 피용착부의 사이에서 형성되어, 상기 커버 시트가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피용착부와 상기 커버 시트의 사이는 용착에 의해 용착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연 용착 부분의 용착층은, 상기 전체 둘레 용착 부분의 용착층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시트와 상기 케이스의 피용착부의 사이에는, 상기 개구의 가장자리부까지 용착되는 내연 용착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시트와 상기 케이스의 피용착부의 사이에는, 상기 개구의 가장자리부까지 용착되는 내연 용착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 용착 부분의 용착층은, 상기 전체 둘레 용착 부분의 용착층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 용착 부분의 용착층은, 상기 전체 둘레 용착 부분의 용착층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수용부의 내부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가동 접점 부재를 상방으로부터 평면에서 봤을 때의 외형을 따르도록 돌출됨과 함께, 상기 수용부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개구의 가장자리부까지 연속해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상면은, 상기 피용착부이고, 상기 커버 시트와 용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및 상기 커버 시트를 상방으로부터 평면에서 봤을 때, 상기 커버 시트의 외형 형상은, 상기 케이스의 외형 형상을 따르도록 형성됨과 함께, 상기 케이스의 외형 형상의 내측에 들어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 시트의, 상기 개구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 시트는 적어도 일부가 점착재에 의해 점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시트와 상기 가동 접점 부재의 사이에 배치된 누름자 부재를 갖고,
    상기 커버 시트와 상기 누름자 부재는 용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KR1020150003264A 2014-02-05 2015-01-09 푸시 스위치 KR1016884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20447 2014-02-05
JP2014020447A JP6249483B2 (ja) 2014-02-05 2014-02-05 プッシュスイ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704A true KR20150092704A (ko) 2015-08-13
KR101688497B1 KR101688497B1 (ko) 2016-12-21

Family

ID=53731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3264A KR101688497B1 (ko) 2014-02-05 2015-01-09 푸시 스위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249483B2 (ko)
KR (1) KR101688497B1 (ko)
CN (1) CN104821250B (ko)
TW (1) TWI5379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32938B2 (ja) * 2016-06-28 2020-01-22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
CN110268495A (zh) * 2017-02-28 2019-09-20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按压开关
CN111316392B (zh) * 2017-10-30 2022-02-22 阿尔卑斯阿尔派株式会社 按压开关
FR3084514B1 (fr) * 2018-07-25 2021-02-26 C&K Components S A S Commutateur electrique a effet tactile avec positionnement axial du troncon d'actionnement de l'actionneur souple
CN113646858A (zh) * 2019-04-10 2021-11-12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按键开关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55773A1 (en) * 2010-09-07 2012-03-08 Panasonic Corporation Push switc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3058380A (ja) 2011-09-08 2013-03-28 Panasonic Corp プッシュスイッチ
JP2013093313A (ja) * 2011-10-05 2013-05-16 Mitsumi Electric Co Ltd スイッチ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4529U (ja) * 1983-10-12 1985-05-0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押釦スイツチ
US7862671B2 (en) * 2007-01-11 2011-01-04 Dow Global Technologies Inc. Welding of a polymeric material and structures formed thereby
DE102010037551A1 (de) * 2010-09-15 2012-03-15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Schal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55773A1 (en) * 2010-09-07 2012-03-08 Panasonic Corporation Push switc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3058380A (ja) 2011-09-08 2013-03-28 Panasonic Corp プッシュスイッチ
JP2013093313A (ja) * 2011-10-05 2013-05-16 Mitsumi Electric Co Ltd 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49483B2 (ja) 2017-12-20
JP2015149149A (ja) 2015-08-20
KR101688497B1 (ko) 2016-12-21
TW201539503A (zh) 2015-10-16
CN104821250B (zh) 2017-04-12
CN104821250A (zh) 2015-08-05
TWI537999B (zh) 2016-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8497B1 (ko) 푸시 스위치
JP5906377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6192348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6051417B1 (ja) スイッチケース及びスイッチ
JP2014220039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WO2014033906A1 (ja) 角形二次電池
WO2017154694A1 (ja) プッシュスイッチ
US10354815B2 (en) Push switch
KR20140139862A (ko) 배터리 팩
WO2019017195A1 (ja) ブレーカー及びそれを備えた安全回路
JP2007299588A (ja) 押釦スイッチおよびこの押釦スイッチの作製に用いられる接点ばね付きシート
JP6045072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6632938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WO2018159050A1 (ja) プッシュスイッチ
KR101816776B1 (ko) 푸시 스위치
US10515771B2 (en) Switch unit
JP2020035515A (ja) ブレーカー、安全回路及び2次電池パック
WO2018159048A1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3178598U (ja) 押釦スイッチ
WO2018159049A1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2016062729A (ja) ブレーカー及びそれを備えた安全回路並びに2次電池回路
JP2014123548A (ja) スイッチ
JP2017182998A (ja) 電池パック
JP2018125229A (ja) プッシュスイッ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0166984A (ja) 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