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2522A - 터치 패널 - Google Patents

터치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2522A
KR20150092522A KR1020140012998A KR20140012998A KR20150092522A KR 20150092522 A KR20150092522 A KR 20150092522A KR 1020140012998 A KR1020140012998 A KR 1020140012998A KR 20140012998 A KR20140012998 A KR 20140012998A KR 20150092522 A KR20150092522 A KR 20150092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layer
disposed
printed layer
sensing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2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2830B1 (ko
Inventor
허성호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2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2830B1/ko
Priority to US14/613,433 priority patent/US9645687B2/en
Publication of KR20150092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2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유효 영역 및 비유효 영역이 정의되는 커버 윈도우; 상기 비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는 인쇄층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층은, 제1 인쇄층 및 상기 제1 인쇄층 상의 제2 인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인쇄층은 상기 제1 인쇄층과 이격되어 배치된다.

Description

터치 패널{TOUCH PANEL}
실시예는 터치 패널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전자 제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화상에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stylus) 등의 입력 장치를 접촉하는 방식으로 입력을 하는 터치 패널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은 크게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과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로 구분될 수 있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입력 장치의 압력에 의하여 유리와 전극이 단락되어 위치가 검출된다.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손가락이 접촉했을 때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이 변화하는 것을 감지하여 위치가 검출된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은 반복 사용에 의하여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스크래치(scratch)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구성이 뛰어나고 수명이 긴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한편, 터치 패널은 위치를 감지하는 유효 영역과 이 유효 영역의 주위에 배치되는 비유효 영역이 정의되는 커버 윈도우 및/또는 기판을 포함한다. 이러한 비유효 영역에는 인쇄층이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인쇄층은 배선 전극 및 배선 전극을 외부 회로와 연결하는 인쇄 회로 기판 등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소정의 색을 가지는 물질을 인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인쇄층은 유색 잉크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색에 따라, 적어도 2도 이상의 도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인쇄층들의 단차로 인해, 커버 윈도우 및 기판을 라미네이션 시에 기포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해 불량 발생율이 증가하고 신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실시예는 향상된 시인성 및 신뢰성을 가지는 터치 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유효 영역 및 비유효 영역이 정의되는 커버 윈도우; 상기 비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는 인쇄층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층은, 제1 인쇄층 및 상기 제1 인쇄층 상의 제2 인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인쇄층은 상기 제1 인쇄층과 이격되어 배치된다.
실시예에서는 제2 인쇄층이 제1 인쇄층과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커버 윈도우상에 형성되는 인쇄층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커버 윈도우와 기판을 라미네이션 할 때, 인쇄층의 두께로 인한 기포 발생율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즉, 기존에는 상기 제1 인쇄층이 상기 제2 인쇄층 대비 인쇄 도수가 높아 상기 기판을 커버 윈도우에 라미네이션 할 경우, 유효 영역에 기포 발생율이 높고, 이에 따라 불량률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실시예에서는 제2 인쇄층이 기판 상에 배치되므로 인쇄층 단차로 인한 라미네이션 불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인쇄층이 상기 커버 윈도우로부터 떨어져 위치함으로써, 시인성을 향상할 수 있다. 즉, 기존에는 어두운 색을 갖는 상기 제2 인쇄층이 상기 커버 윈도우 상에 형성되어, 상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외관상 좋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실시예에서는 제2 인쇄층이 기판 상에 배치되므로 블랙 띠가 비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일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A-A' 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B-B’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9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패널이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하여 변형될 수 있으므로,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커버 윈도우(100) 및 기판(5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윈도우(100)는 유효 영역(AA)및 비유효 영역(UA)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유효 영역(AA)은 사용자의 터치 명령 입력이 가능한 영역을 의미하며, 상기 비유효 영역(UA)은 상기 유효 영역(AA)과 반대되는 개념으로서, 사용자의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활성화되지 않아서 터치 명령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는 영역을 의미한다
상기 커버 윈도우(100)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 윈도우(100)는 강화 유리, 반강화 유리, 소다라임 유리, 강화 플라스틱 또는 연성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500)은 상기 커버 윈도우(100) 상에 배치된다. 상기 기판(500)은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기판(50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윈도우(100) 및 상기 기판(500)은 광학용 투명 접착제(OCA) 등의 투명 접착제(600)를 사용하여 접착될 수 있다.
상기 기판(500)은 유효 영역(AA) 및 비유효 영역(UA)을 포함한다. 상기 유효 영역(AA) 및 비유효 영역(UA)은 앞서 설명한 의미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기판(500) 상에 감지 전극(300) 및 배선 전극(4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전극(300)은 상기 유효 영역(AA)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배선 전극(400)은 상기 비유효 영역(U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전극(300)은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감지 전극(300)은 투명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 전극(300)은 인듐주석산화물(ITO) 등의 투명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전극(300)은 제 1 감지 전극(310), 제 2 감지 전극(320) 및 브리지 전극(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 및 상기 브리지 전극(330)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 및 상기 브리지 전극(330)은 기판(500)의 동일한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전극(330)은 예를 들어, 바(bar)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브리지 전극(330)은 상기 유효 영역(AA) 상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하는 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전극(330)은 이후에 설명하는 제 1 감지 전극(310)을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전극(330) 상에는 절연층(350)이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브리지 전극(330) 상에는 부분적으로 절연층(35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브리지 전극(330)이 바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브리지 전극(330)의 일단 및 타단 즉, 양단 부분을 제외한 영역 상에는 절연층(35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 전극(31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은 상기 유효 영역(AA) 상에 배치되어 터치를 감지하는 센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은 상기 유효 영역(AA) 상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은 상기 일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 전극(31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 중 어느 하나는 신호를 송신하는 역할을 하고, 나머지 하나는 터치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 중 어느 하나의 감지 전극은 상기 절연층(350) 상에 배치되고, 또 다른 하나는 상기 브리지 전극(330)의 양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은 상기 절연층(350)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은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부(34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은 상기 브리지 전극(330)의 양단에 연결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과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은 브리지 전극과 절연물질에 의해 서로 쇼트되어 단락되지 않고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앞선 설명에서는 브리지 전극, 절연 물질 및 감지 전극 순으로 적층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감지 전극, 절연 물질 및 브리지 전극순으로 적층될 수 있다.
상기 기판(500)의 비유효 영역(UA)에는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과 연결되는 제 1 배선 전극(41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500)의 비유효 영역(UA)에는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과 연결되는 제 2 배선 전극(42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배선 전극(410)과 상기 제 2 배선 전극(420)은 각각 인쇄회로기판(7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배선 전극(410) 및 상기 제 2 배선 전극(420)은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으로부터 감지되는 터치신호를 상기 구동칩(710)이 실장된 상기 인쇄회로기판(700)에 전달하여 터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700)은 예를 들어,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FPCB)일 수 있다.
상기 제 1 배선 전극(410)과 상기 제 2 배선 전극(420)은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배선 전극(410)과 상기 제 2 배선 전극(420)은 은(Ag) 또는 구리(Cu) 등의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비유효 영역(UA) 상에는 인쇄층(210, 220, 23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윈도우(100)의 비유효 영역(UA) 및 상기 기판(500)의 비유효 영역(UA)에 각각 인쇄층(210, 220, 230)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 윈도우(100)의 비유효 영역(UA)에 제1 인쇄층(210) 및 제3 인쇄층(23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판(500)의 비유효 영역(UA)에 제2 인쇄층(220)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인쇄층(220)은 상기 제1 인쇄층(210)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인쇄층(220)은 상기 제3 인쇄층(230)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인쇄층(210)은 상기 커버 윈도우(100)와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인쇄층(210)은 상기 비유효 영역(UA)의 일단에서 시작하여 상기 상기 비유효 영역(UA)과 상기 유효 영역(AA)의 경계선(G) 방향으로 연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인쇄층(210)은 2도 이상의 도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인쇄층(210)은 1도 인쇄층(211) 및 2도 인쇄층(2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인쇄층(230)은 상기 비유효 영역(UA) 상에 배치되는 전극 등을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인쇄층(210) 상에 제3 인쇄층(230)은 흑색 잉크 또는 백색 잉크 등을 상기 커버 윈도우(100)의 비유효 영역(UA) 상에 도포하고, 이를 경화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인쇄층(230)은 상기 제1 인쇄층(210)과 서로 다른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인쇄층(210)은 백색 잉크를 사용하여 백색 인쇄층일 수 있고, 상기 제3 인쇄층(230)은 흑색 잉크를 사용하여 흑색 인쇄층일 수 있다.
상기 제2 인쇄층(220)은 상기 기판(500)과 접촉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인쇄층(220)은 상기 기판(500) 상에 배치되는 감지 전극(300)과 접촉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인쇄층(220)은 상기 기판(500)의 가장자리 영역 즉, 유효 영역(AA)과 비유효 영역(UA)의 경계선(G)을 둘러싸며 띠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인쇄층(220)과 감지 전극(300)이 모두 커버 윈도우(100)와 마주하는 기판(500)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인쇄층(220)과 감지 전극(300)이 각각 기판(500)의 반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인쇄층(200)은 커버 윈도우(100)와 마주하는 기판(500)의 일면 상에 형성되고, 감지 전극(300)은 기판(500)의 일면과 반대면인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인쇄층(220)에 의해 상기 유효 영역(AA)과 비유효 영역(UA)의 경계선(G)에서 LCD에 의해 빛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인쇄층(220)은 상기 제1 인쇄층(210)과 서로 다른 색깔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인쇄층(220)은 상기 제3 인쇄층(230)과 서로 동일한 색깔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인쇄층(220)은 상기 기판(500) 상에 배치되고, 액정표시장치(LCD) 등을 수용하는 케이스의 색과 동일한 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스가 흑색인 경우, 상기 제2 인쇄층(220)의 색도 흑색일 수 있고, 상기 케이스가 다른 색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제2 인쇄층(220)도 상기 케이스의 색과 동일 유사한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인쇄층(210), 상기 제2 인쇄층(220) 및 상기 제3 인쇄층(230)은 일정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인쇄층(230)은 상기 제1 인쇄층(210)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인쇄층(230)은 3㎛ 내지 5㎛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인쇄층(210)은 약 5㎛ 내지 약 8㎛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인쇄층(210)의 두께가 약 5㎛ 미만인 경우, 외부에서 배선 전극 등이 시인되어 시인성이 나빠질 수 있고, 약 8㎛를 초과하는 경우, 인쇄층의 두께가 두꺼워 짐에 따라, 터치 패널의 두께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인쇄층(220)의 두께가 약 3㎛ 미만인 경우, 유효 영역(AA)에서 상기 액정표시장치에 의해 빛샘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약 5㎛를 초과하는 경우, 두께가 증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인쇄층(220)이 상기 제1 인쇄층(210)과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상기 커버 윈도우(100)상에 형성되는 인쇄층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커버 윈도우(100)와 상기 기판(500)을 라미네이션 할 때, 인쇄층의 두께로 인한 기포 발생율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즉, 기존에는 상기 제1 인쇄층(210)이 상기 제2 인쇄층(220) 대비 인쇄 도수가 높아 상기 기판을 커버 윈도우에 라미네이션 할 경우, 유효 영역에 기포 발생율이 높고, 이에 따라 불량률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실시예에서는 제2 인쇄층(220)이 기판(500) 상에 배치되므로 인쇄층 단차로 인한 라미네이션 불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인쇄층(220)이 상기 커버 윈도우(100)로부터 떨어져 위치함으로써, 시인성을 향상할 수 있다. 즉, 기존에는 어두운 색을 갖는 상기 제2 인쇄층(220)이 상기 커버 윈도우(100) 상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면에서 바라볼 때 외관상 좋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실시예에서는 제2 인쇄층(220)이 기판(500) 상에 배치되므로 흑색 띠가 비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앞선 설명에서는, 제1 인쇄층, 제2 인쇄층 및 제3 인쇄층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인쇄층의 색 및 두께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제3 인쇄층보다 폭이 작은 상기 제3 인쇄층 상의 추가 인쇄층들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설명한다. 명확하고 간략한 설명을 위해 앞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에서는, 제2 인쇄층(220)은 커버 윈도우(100)와 마주하는 기판(500)의 일면 상에 형성되고, 감지 전극(300)은 기판(500)의 일면과 반대면인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에서는 커버 윈도우(100) 상에 제1 인쇄층(210)이 배치되고, 기판(500) 상에 제2 인쇄층(240)이 배치된다.
상기 제2 인쇄층(240)은 상기 비유효 영역(UA)의 일단에서 시작하여, 상기 비유효 영역(UA)과 상기 유효 영역(AA)의 경계선(G) 방향으로 연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인쇄층(240)을 통해 이전 실시예에서 설명한 도 3의 제3 인쇄층(도 3의 230 참조)을 생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커버 윈도우(100) 상에 배치되는 인쇄층들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 윈도우(100) 및 상기 기판(500) 합착 시, 기포 발생율 및 불량 발생율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인쇄층(240)을 통해 상기 비유효 영역(UA)에 배치되는 배선(400) 등의 비침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LCD에 의해 빛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인쇄층만으로 상기 두 가지 기능을 모두 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에서는, 제2 인쇄층(240)은 커버 윈도우(100)와 마주하는 기판(500)의 일면 상에 형성되고, 감지 전극(300)은 기판(500)의 일면과 반대면인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인쇄층(220)이 상기 기판(500) 상에서 감지 전극(300)이 배치되는 면과 반대되는 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 전극(300)은 커버 윈도우(100)와 마주하는 기판(500)의 일면 상에 형성되고, 제2 인쇄층(220)은 기판(500)의 일면과 반대면인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2 인쇄층(220)은 상기 기판(500)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고, 인쇄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인쇄층(220)이 비유효 영역(UA)의 일단에서 시작하여, 상기 비유효 영역(UA)과 상기 유효 영역(AA)의 경계선(G) 방향으로 연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배선 전극(400)의 비침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9를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에서는, 제2 인쇄층(220)은 커버 윈도우(100)와 마주하는 기판(500)의 일면 상에 형성되고, 감지 전극(300)은 기판(500)의 일면과 반대면인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비유효 영역(UA)의 일단에서 시작하여, 상기 비유효 영역(UA)과 상기 유효 영역(AA)의 경계선(G) 방향으로 연장하여 배치되는 상기 제2 인쇄층(240)은 상기 기판(500) 상에 감지 전극(300)이 배치되는 면과 반대되는 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 전극(300)은 커버 윈도우(100)와 마주하는 기판(500)의 일면 상에 형성되고, 제2 인쇄층(220)은 기판(500)의 일면과 반대면인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인쇄층(220)과 감지 전극(300)이 각각 기판(500)의 일면, 타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2 인쇄층(240)은 상기 기판(500)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고, 인쇄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 윈도우(100) 상에 배치되는 제 1 기판(510) 및 제 2 기판(5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기판(510) 및 상기 제 2 기판(520)은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기판(510) 및 상기 제 2 기판(52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윈도우(100), 상기 제 1 기판(510) 및 상기 제 2 기판(520)은 광학용 투명 접착제(OCA) 등의 투명 접착제(610, 620)를 사용하여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윈도우(100), 상기 제 1 기판(510) 및 상기 제 2 기판(520)은 유효 영역(AA) 및 비유효 영역(U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 영역(AA) 및 상기 비유효 영역(UA)은 앞서 설명한 의미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기판(510)의 유효 영역(AA)에는 제 1 감지 전극(31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기판(510)의 비유효 영역(UA)에는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과 연결되는 제 1 배선 전극(41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기판(520)의 유효 영역(AA)에는 제 2 감지 전극(32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기판(520)의 비유효 영역(UA)에는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과 연결되는 제 2 배선 전극(42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배선 전극(410)과 상기 제 2 배선 전극(420)은 각각 인쇄회로기판(7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도 12를 참조하면, 제2 인쇄층(220)은 상기 제1 기판(510) 상에 배치되는 제4 인쇄층(221) 및 상기 제2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5 인쇄층(22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각 기판 상에 인쇄층이 배치됨으로써, LCD 빛 차폐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제4 인쇄층(221)과 감지 전극(300)이 모두 커버 윈도우(100)와 마주하는 제1 기판(510)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4 인쇄층(221)과 감지 전극(300)이 각각 제1 기판(510)의 반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인쇄층(221)은 커버 윈도우(100)와 마주하는 제1 기판(510)의 일면 상에 형성되고, 감지 전극(300)은 제1 기판(510)의 일면과 반대면인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5 인쇄층(222)이 제1 기판(510)과 대향하는 제2 기판(520)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5 인쇄층(222)도 제2 기판(520)의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기판(510) 상에만 제4 인쇄층(221)이 배치되거나, 도 14을 참조하면, 상기 제2 기판(520) 상에만 상기 제5 인쇄층(222)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제4 인쇄층(241) 및 제5 인쇄층(242)은 상기 비유효 영역(UA)의 일단에서 시작하여, 상기 비유효 영역(UA)과 상기 유효 영역(AA)의 경계선(G) 방향으로 연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 인쇄층(241) 및 제5 인쇄층(242을 통해 앞서 설명한 도 6의 제3 인쇄층(도 5의 230 참조)을 생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커버 윈도우(100) 상에 배치되는 인쇄층들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 윈도우(100) 및 상기 기판(510, 520) 합착 시, 기포 발생율 및 불량 발생율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인쇄층(241) 및 제5 인쇄층(242)을 통해 상기 비유효 영역(UA)에 배치되는 배선 전극(400) 등의 비침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LCD에 의해 빛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인쇄층만으로 상기 두 가지 기능을 모두 할 수 있다. 제4 인쇄층(241) 및 제5 인쇄층(242)이 각각 제1 기판(510) 및 제2 기판(520)의 타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 제 1 감지 전극(310) 및 제 2 감지 전극(320)과 반대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기판(510) 상에만 제4 인쇄층(241)이 배치되거나, 도 17를 참조하면, 상기 제2 기판(520) 상에만 상기 제5 인쇄층(242)이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기판(510) 상에 배치되는 제4 인쇄층(221)은 비유효 영역(UA)의 일단에서 시작하여, 상기 비유효 영역(UA)과 상기 유효 영역(AA)의 경계선(G) 방향으로 연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배선 전극(400)의 비침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제2 기판(520) 상에 배치되는 제5 인쇄층(242)은 비유효 영역(UA)의 일단에서 시작하여, 상기 비유효 영역(UA)과 상기 유효 영역(AA)의 경계선(G) 방향으로 연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5 인쇄층(242)은 상기 제2 기판(520)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고, 인쇄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20은 앞서 설명한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이동식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고하면, 상기 이동식 단말기(1000)는 유효 영역(AA) 및 비유효 영역(U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 영역(AA)은 손가락 등의 터치에 의해 터치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비유효 영역에는 명령 아이콘 패턴부 및 로고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0에서는 일례로, 이동식 단말기에 대해 도시되어 있으나, 앞서 설명한 터치 패널은 이동식 단말기 이외에도 터치 패널이 적용될 수 있는 자동차, 가전제품 등 다양한 전자 제품에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유효 영역 및 비유효 영역이 정의되는 커버 윈도우;
    상기 비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는 인쇄층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층은,
    제1 인쇄층 및 상기 제1 인쇄층 상의 제2 인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인쇄층은 상기 제1 인쇄층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터치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쇄층은 상기 커버 윈도우에 직접 배치되는 터치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쇄층은 상기 제1 인쇄층과 다른 색으로 형성되는 터치 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윈도우 상에 배치되는 기판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쇄층은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터치 패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전극이 배치되는 터치 패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쇄층은 상기 감지전극 상에 배치되는 터치 패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쇄층은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감지전극이 배치되는 면과 반대되는 면에 배치되는 터치 패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영역 및 상기 비유효 영역 사이의 경계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인쇄층은 상기 경계선과 오버랩되도록 상기 경계선을 둘러싸며 배치되는 터치 패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쇄층은 상기 비유효 영역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경계선을 둘러싸며 배치되는 터치 패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쇄층은 백색층이고,
    상기 제2 인쇄층은 흑색층인 터치 패널.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쇄층 상의 제3 인쇄층을 더 포함하는 터치 패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인쇄층은 상기 제2 인쇄층과 동일한 색으로 형성되는 터치 패널.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전극은 상기 제1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1 감지전극 및
    상기 제2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2 감지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쇄층은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판 상에 배치되는 터치 패널.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쇄층은,
    상기 제1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4 인쇄층; 및
    상기 제2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5 인쇄층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KR1020140012998A 2014-02-05 2014-02-05 터치 패널 KR102152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998A KR102152830B1 (ko) 2014-02-05 2014-02-05 터치 패널
US14/613,433 US9645687B2 (en) 2014-02-05 2015-02-04 Touch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998A KR102152830B1 (ko) 2014-02-05 2014-02-05 터치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522A true KR20150092522A (ko) 2015-08-13
KR102152830B1 KR102152830B1 (ko) 2020-09-07

Family

ID=53754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2998A KR102152830B1 (ko) 2014-02-05 2014-02-05 터치 패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45687B2 (ko)
KR (1) KR1021528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39116B (zh) * 2015-07-11 2023-07-14 宸新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制作方法
US10087652B2 (en) 2016-12-20 2018-10-02 Schlage Lock Company Llc Door lock having day-night visible keypad
CN109471547B (zh) * 2017-09-08 2020-04-14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一种触控显示面板和显示装置
WO2021081041A1 (en) * 2019-10-23 2021-04-29 Idd Aerospace Corporation Cursor control device with printed touch senso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21699A1 (en) * 2010-03-11 2011-09-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uch screen apparatus
US20120113032A1 (en) * 2010-11-08 2012-05-10 Mikiya Itakura Touch screen pane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120067031A (ko) * 2010-12-15 2012-06-25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US20130082961A1 (en) * 2011-09-30 2013-04-04 Wintek Corporation Touch-sensitive device and touch-sensitive display device
US20130277197A1 (en) * 2010-05-11 2013-10-24 Tpk Touch Solutions Inc. Dual-substrate capacitive touch panel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6533A (ko) 2009-01-23 2010-08-02 남동식 터치스크린 패드의 제조방법
KR101135944B1 (ko) 2009-03-06 2012-04-18 이영우 킥보드
US20110279398A1 (en) * 2010-05-12 2011-11-17 Harald Philipp Touch screen electrode enhancements
KR101684488B1 (ko) 2010-11-30 2016-12-08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터치 입력 기능을 가지는 표시 패널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21699A1 (en) * 2010-03-11 2011-09-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uch screen apparatus
US20130277197A1 (en) * 2010-05-11 2013-10-24 Tpk Touch Solutions Inc. Dual-substrate capacitive touch panel
US20120113032A1 (en) * 2010-11-08 2012-05-10 Mikiya Itakura Touch screen pane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120067031A (ko) * 2010-12-15 2012-06-25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US20130082961A1 (en) * 2011-09-30 2013-04-04 Wintek Corporation Touch-sensitive device and touch-sensitive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645687B2 (en) 2017-05-09
KR102152830B1 (ko) 2020-09-07
US20150220180A1 (en) 2015-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7911B1 (ko) 터치 패널
KR102175563B1 (ko) 터치 패널
KR20150069950A (ko) 터치 패널
KR102175699B1 (ko) 터치패널
KR102098386B1 (ko) 터치 패널
KR20150033468A (ko) 터치 패널
KR102119818B1 (ko) 터치 패널
KR102119827B1 (ko) 터치 패널
KR102098385B1 (ko) 터치 패널
KR102262553B1 (ko) 터치 패널
KR102152830B1 (ko) 터치 패널
KR102095240B1 (ko) 좁은 베젤영역을 갖는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KR20150107139A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87925B1 (ko) 터치 패널
CN112181198B (zh) 触控模组及电子设备
KR102119753B1 (ko) 터치 패널
KR102237811B1 (ko) 터치 패널
KR102237833B1 (ko) 터치 패널
KR102212879B1 (ko) 터치 패널
KR102175769B1 (ko) 터치 패널
KR20150026620A (ko) 터치 패널
KR102187672B1 (ko) 터치 패널
KR102237920B1 (ko) 표시장치
KR102187659B1 (ko) 터치 패널
KR102187954B1 (ko)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