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7920B1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7920B1
KR102237920B1 KR1020140012305A KR20140012305A KR102237920B1 KR 102237920 B1 KR102237920 B1 KR 102237920B1 KR 1020140012305 A KR1020140012305 A KR 1020140012305A KR 20140012305 A KR20140012305 A KR 20140012305A KR 102237920 B1 KR102237920 B1 KR 102237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isplay device
light leakage
disposed
leakage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2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1725A (ko
Inventor
이진학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2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7920B1/ko
Publication of KR20150091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1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7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8Touch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유효 영역 및 비유효 영역을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 상기 비유효 영역 상의 빛샘 방지층 및 상기 빛샘 방지층 상의 인쇄층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상기 빛샘 방지층과 동일한 색상을 가지는 표시장치 고정부; 및 상기 표시장치 고정부 상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실시예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전자 제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화상에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stylus) 등의 입력 장치를 접촉하는 방식으로 입력을 하는 터치 패널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은 크게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과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로 구분될 수 있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입력 장치의 압력에 의하여 유리와 전극이 단락되어 위치가 검출된다.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손가락이 접촉했을 때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이 변화하는 것을 감지하여 위치가 검출된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은 반복 사용에 의하여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스크래치(scratch)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구성이 뛰어나고 수명이 긴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한편, 터치 패널은 위치를 감지하는 유효 영역과 이 유효 영역의 주위에 배치되는 비유효 영역이 정의되는 커버 윈도우 및/또는 기판을 포함한다. 이러한 비유효 영역에는 인쇄층이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인쇄층은 배선 전극 및 배선 전극을 외부 회로와 연결하는 인쇄 회로 기판 등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소정의 색을 가지는 물질을 인쇄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터치 패널 상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기 위해 표시 장치 모듈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 장치 모듈에는 액정 패널 등의 표시 패널 등을 고정하기 위한 형합물, 즉, 고정부가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는 터치 패널의 비유효 영역 상에서 연장하여, 유효 영역까지 연장될 수 있고, 이러한 고정부가 외부에서 시인됨으로써,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표시장치가 요구된다.
실시에는 향상된 시인성 및 신뢰성을 가지는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유효 영역 및 비유효 영역을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 상기 비유효 영역 상의 빛샘 방지층 및 상기 빛샘 방지층 상의 인쇄층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상기 빛샘 방지층과 동일한 색상을 가지는 표시장치 고정부; 및 상기 표시장치 고정부 상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는 빛샘 방지층을 터치 패널 상에 배치되는 표시장치 고정부와 동일한 색으로 형성함에 따라, 터치 패널의 유효 영역 상에서 고정부가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빛샘 방지층을 커버 윈도우의 인쇄층 상에 배치하고, 인쇄층의 단차를 메우면서 형성함에 따라 터치 패널에서 인쇄층의 단차에 의해 인쇄층 상에 배치되는 전극 등에서 발생하는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는 전체적인 신뢰성 및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표시장치 고정부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 2의 A-A' 영역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다른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표시장치 고정부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 4의 A-A' 영역을 따라 절단한 다른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표시장치 고정부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 2의 A-A' 영역을 따라서 절단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다른 타입에 따른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사시도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터치 패널, 액정 패널(2100) 및 백라이트 유닛(2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은 커버 윈도우, 빛샘 방지층 및 인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윈도우(100)는 유효 영역(AA)및 비유효 영역(UA)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유효 영역(AA)은 사용자의 터치 명령 입력이 가능한 영역을 의미하며, 상기 비유효 영역(UA)은 상기 유효 영역(AA)과 반대되는 개념으로서, 사용자의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활성화되지 않아서 터치 명령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는 영역을 의미한다
상기 커버 윈도우(100)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 윈도우(100)는 강화 유리, 반강화 유리, 소다라임 유리, 강화 플라스틱 또는 연성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윈도우(100)의 일면 상에는 빛샘 방지층(900), 인쇄층(200), 감지전극(300) 및 배선 전극(4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빛샘 방지층(900), 상기 인쇄층(200) 및 상기 배선 전극(400)은 상기 비유효 영역(UA) 상에 배치되고, 상기 감지 전극(300)은 상기 유효 영역(A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전극(300)은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감지 전극(300)은 투명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 전극(300)은 인듐주석산화물(ITO) 등의 투명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전극(200)은 제 1 감지 전극(310), 제 2 감지 전극(320) 및 브리지 전극(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 및 상기 브리지 전극(330)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 및 상기 브리지 전극(330)은 커버 윈도우의 동일한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전극(330)은 예를 들어, 바(bar)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브리지 전극(330)은 상기 유효 영역(AA) 상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하는 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전극(330)은 이후에 설명하는 제 1 감지 전극(310)을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은 상기 유효 영역(AA) 상에 배치되어 터치를 감지하는 센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은 상기 유효 영역(AA) 상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은 상기 일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전극(330) 상에는 절연층 또는 절연 패턴이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은 상기 절연 패턴(351)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은 상기 브리지 전극(330)의 양단에 연결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과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은 브리지 전극과 절연물질에 의해 서로 쇼트되어 단락되지 않고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유효 영역(AA) 상에는 제 1 감지 전극(310) 및 제 2 감지 전극(3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은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을 감싸는 절연층(352)을 배치하고,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의 위치와 대응되는 상기 절연층(352) 상에 관통홀을 형성한 후, 상기 절연층(352) 상에 브리지 전극(330)을 배치하여, 상기 제 2 감지 전극들을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과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은 브리지 전극과 절연물질에 의해 서로 쇼트되어 단락되지 않고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선 전극(400)은 상기 인쇄층(2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선 전극(400)은 제 1 배선 전극(410) 및 제 2 배선 전극(420)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배선 전극(400)은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과 연결되는 상기 제 1 배선 전극(41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과 연결되는 상기 제 2 배선 전극(4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배선 전극(410) 및 상기 제 2 배선 전극(420)은 인쇄회로기판(700)과 연결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배선 전극(410) 및 상기 제 2 배선 전극(420)은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으로부터 감지되는 터치신호를 상기 구동칩(710)이 실장된 상기 인쇄회로기판(700)에 전달하여 터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700)은 예를 들어,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FPCB)일 수 있다.
상기 제 1 배선 전극(510) 및 상기 제 2 배선 전극(520)은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배선 전극(510) 및 상기 제 2 배선 전극(520)은 은(Ag) 또는 구리(Cu) 등의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빛샘 방지층(900) 및 상기 인쇄층(200)은 상기 비유효 영역(U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빛샘 방지층(900)은 상기 커버 윈도우와 접촉하며 배치되고, 상기 인쇄층(200)은 상기 빛샘 방지층(900)과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쇄층(200)은 제 1 인쇄층(210) 및 제 2 인쇄층(220)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인쇄층(210)은 상기 빛샘 방지층(900)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인쇄층(220)은 상기 제 1 인쇄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빛샘 방지층(900)은 상기 제 1 인쇄층(210)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여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빛샘 방지층(900)은 상기 제 1 인쇄층(210)에 의해 덮여지는 비노출 영역(NNA)와 상기 제 1 인쇄층(210)의 의해 덮여지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 영역(N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빛샘 방지층(900), 상기 제 1 인쇄층(210) 및 상기 제 2 인쇄층(220)은 상기 비유효 영역 상에 유색 잉크를 인쇄하여 형성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빛샘 방지층(900), 상기 제 1 인쇄층(210) 및 상기 제 2 인쇄층(220)은 검정색, 흰색 또는 다양한 컬러색의 유색 잉크를 인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빛샘 방지층(900)은 상기 비유효 영역의 일단 및 타단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이격하며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빛샘 방지층(900)은 상기 비유효 영역의 일단에서 일정 거리만큼 이격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비유효 영역의 타단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빛샘 방지층(900)은 상기 비유효 영역의 전면에 형성되지 않고 일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인쇄층(210) 및 상기 제 2 인쇄층(220)은 상기 비유효 영역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유효 영역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상기 제 1 인쇄층(210)은 상기 빛샘 방지층이 일부 노출되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인쇄층(210)은 상기 빛샘 방지층(900)이 형성되지 않는 커버 윈도우(100)의 비유효 영역에서 시작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인쇄층(210)은 상기 빛샘 방지층(900)의 측면 및 상면과 접촉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인쇄층(210)과 상기 제 2 인쇄층(220)은 서로 다른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인쇄층(210)은 상기 제 2 인쇄층(22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인쇄층(210)과 상기 제 2 인쇄층(220)은 상기 폭의 차이에 따라 단차 영역(S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상기 빛샘 방지층은, 상기 단차 영역과 중첩되며, 상기 비유효 영역의 일단에서, 상기 비유효 영역의 타단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빛샘 방지층은 상기 단차 영역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상기 제 1 인쇄층과 상기 제 2 인쇄층의 색차를 완화할 수 있다.
즉, 상기 빛샘 방지층이 검정색이고, 인쇄층이 흰색일 때, 터치 패널이 오프 상태인 경우, 상기 유효 영역은 외부에서 검정색으로 보일 수 있고, 상기 비유효 영역은 상기 빛샘 방지층에 의한 검정색과, 상기 인쇄층에 의한 흰색이 혼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단차부에서 색차가 발생하는 영역을 상기 빛샘 방지층에 의해 유효 영역과 동일한 검정색으로 보이게하여, 유효 영역과 빛샘 방지층 영역을 육안으로 구분할 수 없게 되고, 또한, 상기 인쇄층은 단차 영역이 제거되는 부분만 식별되므로, 인쇄층 영역에서는 제 1 인쇄층과 제 2 인쇄층의 전체적인 색차를 완화할 수 있다.
상기 빛샘 방지층(900), 상기 제 1 인쇄층(210) 및 상기 제 2 인쇄층(220)은 일정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빛샘 방지층(900)은 상기 제 1 인쇄층(210) 및 상기 제 2 인쇄층(220)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빛샘 방지층(900)은 3㎛ 내지 5㎛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인쇄층(210) 및 상기 제 2 인쇄층(220)은 약 5㎛ 내지 약 8㎛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인쇄층(210) 및 상기 제 2 인쇄층(220)의 두께가 약 5㎛ 미만인 경우, 외부에서 배선 전극 등이 시인되어 시인성이 나빠질 수 있고, 약 8㎛를 초과하는 경우, 인쇄층의 두께가 두꺼워 짐에 따라, 단차부가 커져 전극 등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고, 터치 패널의 두께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빛샘 방지층(900)의 두께가 약 3㎛ 미만인 경우, 유효 영역에서 상기 액정표시장치에 의해 빛샘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약 5㎛를 초과하는 경우, 인쇄층들과의 단차부가 커지고, 두께가 증가할 수 있다.
상기 빛샘 방지층(900)은 상기 제 1 인쇄층(210) 및 상기 제 2 인쇄층(220)과 다른 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빛샘 방지층(900)은 검정색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인쇄층(210) 및 상기 제 2 인쇄층(220)은 흰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 상에는 액정 패널(2100) 및 백라이트 유닛(2200)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터치 패널의 하면에는 액정 패널(2100)이 배치되고, 상기 액정 패널(2100)의 하면에는 백라이트 유닛(2200)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백라이트 유닛(2200)에서 출사되는 광은 상기 액정 패널(2100)을 통해 상기 터치 패널로 입사될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2200)은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정 패널(2100)은 통과하는 광의 세기를 조절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액정패널(2100)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이다. 상기 액정패널(2100)은 TFT기판, 컬러필터기판, 두 기판들 사이에 개재되는 액정층 및 편광필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정 패널(2100)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2200)은 이들을 고정하는 표시장치 고정부(23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 고정부(2300)는 상기 터치 패널의 유효 영역(AA) 방향으로 일부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액정 패널(2100)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2200)은 상기 터치 패널의 유효 영역 상에 위치되고, 상기 표시장치 고정부(2300)는 상기 터치 패널의 비유효 영역(UA) 상에 배치되며, 일부분이 상기 유효 영역(AA)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의 상기 빛샘 방지층(900)은 상기 표시장치 고정부(2300)와 동일한 색을 가질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표시장치 고정부(2300)가 검정색인 경우, 상기 빛샘 방지층(900)도 검정색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표시장치 고정부(2300)가 청색 또는 적색인 경우, 상기 빛샘 방지층(900)도 적색 또는 청색 잉크를 사용하여 적색 또는 청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빛샘 방지층(900)의 노출 영역(NA)은 상기 표시장치 고정부(2300)와 동일한 색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빛샘 방지층(900)의 노출 영역(NA)과 비노출 영역(NNA)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색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노출 영역(NA)은 상기 표시장치 고정부(2300)와 동일한 색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터치 패널의 유효 영역 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표시장치 고정부(2300)가 외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장치 고정부(2300)가 일정한 색을 가지는 경우, 상기 터치 패널의 유효 영역 상에서, 상기 표시장치 고정부(2300)가 시인될 수 있으나, 상기 빛샘 방지층을 상기 표시장치 고정부(2300)와 동일한 색으로 형성함으로써, 표시장치 고정부(2300)와 빛샘 방지층이 육안으로 구분되지 않도록 하여, 외부에서 표시장치 고정부(2300)를 시인할 수 없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터치 패널의 유효 영역 상에서 액정 패널 및 백라이트 유닛 등을 고정하는 표시장치 고정부가 노출되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설명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대한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대한 설명과 동일 유사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터치 패널은, 커버 윈도우(100) 상에 배치되는 제 1 인쇄층(210), 제 2 인쇄층(220) 및 빛샘 방지층(900)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인쇄층(210)은 상기 커버 윈도우의 비유효 영역과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2 인쇄층(220)은 제 1 인쇄층(210) 상에 배치되며, 상기 빛샘 방지층(900)은 상기 제 2 인쇄층(220) 상에 배치될 수 잇다.
상기 제 1 인쇄층(210)과 상기 제 2 인쇄층(220)은 서로 다른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인쇄층(210)의 폭은 상기 제 2 인쇄층(22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인쇄층(210)과 상기 제 2 인쇄층(220)은 상기 폭의 차이에 따라 단차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빛샘 방지층(900)은 상기 제 2 인쇄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빛샘 방지층(900)은 상기 단차 영역을 메우면서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빛샘 방지층(900)은 상기 제 2 인쇄층의 상면(221) 및 측면(222), 상기 제 1 인쇄층의 상면(211) 및 측면(212)과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 상에는 액정 패널(2100) 및 백라이트 유닛(22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정 패널(2100)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2200)을 고정하는 표시장치 고정부(2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빛샘 방지층(900)은 상기 표시장치 고정부(2300)와 동일한 색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표시장치 고정부(2300)가 검정색인 경우, 상기 빛샘 방지층(900)도 검정색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표시장치 고정부(2300)가 청색 또는 적색인 경우, 상기 빛샘 방지층(900)도 적색 또는 청색 잉크를 사용하여 적색 또는 청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터치 패널의 유효 영역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표시장치 고정부(2300)가 외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장치 고정부(2300)가 일정한 색을 가지는 경우, 터치 패널의 유효 영역 상에서, 표시장치 고정부(2300)가 시인될 수 있으나, 상기 빛샘 방지층을 상기 표시장치 고정부(2300)와 동일한 색으로 형성함으로써, 표시장치 고정부(2300)와 빛샘 방지층이 육안으로 구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터치 패널의 유효 영역 상에서 표시 모듈 등을 고정하는 표시장치 고정부가 노출되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는, 상기 빛샘 인쇄층이 상기 제 1 인쇄층 및 상기 제 2 인쇄층의 단차부를 메우면서 배치됨에 따라, 인쇄층들 간의 경사를 완만하게 함으로써, 인쇄층을 타고 넘어오는 배선 전극 및 감지 전극 등이 단차부에 의해 크랙 등이 발생하여 터치 패널에서 단선 등의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신뢰성 및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다른 타입에 따른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설명한다. 다른 타입에 따른 표시장치에 대한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표시장치에 대한 설명과 동일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타입에 따른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는, 터치 패널이 커버 윈도우(100) 상에 배치되는 기판(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500)은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기판(50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윈도우(100) 및 상기 기판(500)은 광학용 투명 접착제(OCA) 등의 투명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윈도우(100)와 상기 기판(500)은 유효 영역 및 비유효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유효 영역 및 상기 비유효 영역은 앞서 설명한 의미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윈도우(100)의 유효 영역에는 제 1 감지 전극(31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윈도우(100)의 비유효 영역에는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과 연결되는 제 1 배선 전극(41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500)의 유효 영역에는 제 2 감지 전극(32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500)의 비유효 영역에는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과 연결되는 제 2 배선 전극(42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배선 전극(410)과 상기 제 2 배선 전극(420)은 각각 인쇄회로기판(7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또 다른 타입에 따른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는, 터치 패널이 상기 커버 윈도우(100) 상에 배치되는 제 1 기판(510) 및 제 2 기판(5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기판(510) 및 상기 제 2 기판(520)은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기판(510) 및 상기 제 2 기판(52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윈도우(100), 상기 제 1 기판(510) 및 상기 제 2 기판(520)은 광학용 투명 접착제(OCA) 등의 투명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윈도우(100), 상기 제 1 기판(510) 및 상기 제 2 기판(520)은 유효 영역 및 비유효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 영역 및 상기 비유효 영역은 앞서 설명한 의미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기판(510)의 유효 영역에는 제 1 감지 전극(31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기판(510)의 비유효 영역에는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과 연결되는 제 1 배선 전극(41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기판(520)의 유효 영역에는 제 2 감지 전극(32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기판(520)의 비유효 영역에는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과 연결되는 제 2 배선 전극(42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배선 전극(410)과 상기 제 2 배선 전극(420)은 각각 인쇄회로기판(7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유효 영역 및 비유효 영역을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 상기 비유효 영역 상의 빛샘 방지층 및 상기 빛샘 방지층 상의 인쇄층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상기 빛샘 방지층과 동일한 색상을 가지는 표시장치 고정부; 및
    상기 표시장치 고정부 상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빛샘 방지층은,
    상기 인쇄층에 의해 덮여지는 비노출 영역 및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노출 영역은 표시장치 고정부와 동일한 색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 고정부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빛샘 방지층보다 상기 유효 영역측으로 돌출되는 표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빛샘 방지층은 상기 비유효 영역의 일단 및 타단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이격하여 배치되는 표시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상기 빛샘 방지층 상에 배치되는 제 1 인쇄층 및 상기 제 1 인쇄층 상에 배치되는 제 2 인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인쇄층 및 상기 제 2 인쇄층은 단차부를 가지며 배치되고,
    상기 빛샘 방지층은, 상기 단차부와 중첩되며, 상기 비유효 영역의 일단에서 상기 비유효 영역의 타단으로 연장하며 배치되는 표시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쇄층은 상기 빛샘 방지층의 측면 및 상면과 접촉하며 배치되는 표시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빛샘 방지층은 검정색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층은 흰색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8. 삭제
  9. 삭제
KR1020140012305A 2014-02-03 2014-02-03 표시장치 KR102237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305A KR102237920B1 (ko) 2014-02-03 2014-02-03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305A KR102237920B1 (ko) 2014-02-03 2014-02-03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1725A KR20150091725A (ko) 2015-08-12
KR102237920B1 true KR102237920B1 (ko) 2021-04-08

Family

ID=54056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2305A KR102237920B1 (ko) 2014-02-03 2014-02-03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792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073B1 (ko) 2012-07-16 2013-09-17 주식회사 시노펙스 다색 구현이 가능한 윈도우 일체형 터치패널 및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9513A (ko) * 2012-02-02 2013-08-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1507503B1 (ko) * 2012-05-29 2015-03-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073B1 (ko) 2012-07-16 2013-09-17 주식회사 시노펙스 다색 구현이 가능한 윈도우 일체형 터치패널 및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1725A (ko) 2015-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87922B2 (en) Display device with touch panel having X, Y and dummy electrodes
KR102187911B1 (ko) 터치 패널
KR102175699B1 (ko) 터치패널
KR101013037B1 (ko) 터치패널센서
KR101330757B1 (ko) 터치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813785B1 (ko) 터치 디바이스
KR102098386B1 (ko) 터치 패널
KR20150033468A (ko) 터치 패널
KR102119818B1 (ko) 터치 패널
KR20120100508A (ko) 터치스크린패널 표시장치
CN109284026B (zh) 触摸型显示设备和用于感测触摸的方法
KR102152830B1 (ko) 터치 패널
KR102166252B1 (ko) 터치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030232B1 (ko) 터치패널센서
KR102237920B1 (ko) 표시장치
CN112181198B (zh) 触控模组及电子设备
KR102187445B1 (ko) 터치 윈도우
KR102212879B1 (ko) 터치 패널
KR102187648B1 (ko) 터치 패널
TW201543980A (zh) 觸控裝置及其覆蓋模組
KR102237811B1 (ko) 터치 패널
KR102237941B1 (ko) 터치 윈도우
KR102175769B1 (ko) 터치 패널
KR102187672B1 (ko) 터치 패널
KR102237791B1 (ko) 터치 윈도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