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2519A - 수화열 용융 수지의 피복에 의한 접합 성능 향상의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폴리머 보강근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수화열 용융 수지의 피복에 의한 접합 성능 향상의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폴리머 보강근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2519A
KR20150092519A KR1020140012995A KR20140012995A KR20150092519A KR 20150092519 A KR20150092519 A KR 20150092519A KR 1020140012995 A KR1020140012995 A KR 1020140012995A KR 20140012995 A KR20140012995 A KR 20140012995A KR 20150092519 A KR20150092519 A KR 20150092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heat
thermoplastic resin
core
hyd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2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8290B1 (ko
Inventor
김태헌
황지현
김형열
박기태
유영준
이상윤
서동우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12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8290B1/ko
Publication of KR20150092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2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7Reinforcing element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e.g. of glass, of plastics, or not exclusively made of metal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봉형상의 심재(10)와; 콘크리트의 수화열에 의해 용융되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져 상기 심재(10)의 외면에 피복되어 있는 열수지막(2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콘크리트 구조물(2)에 매립되었을 때 콘크리트의 양생과정에서 발생하는 수화열에 의해 열수지막(20)이 용융되면서 콘크리트와의 부착 및 일체화가 증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FRP 보강근과, 그 제작 방법 및 이러한 하이브리드 FRP 보강근이 콘크리트 내에 매립되어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수화열 용융 수지의 피복에 의한 접합성능 향상의 하이브리드 섬유보강폴리머 보강근, 그 제작방법 및 섬유보강폴리머 보강근을 매립하고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Hybrid FRP Bar having Thermoplastic Resin Coating,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Concrete Member having such FRP Bar Reinforcement}
본 발명은 수지와 섬유를 포함하여 만들어진 하이브리드 섬유보강폴리머 보강근과 그 제작방법, 그리고 이러한 하이브리드 폴리머 보강근이 매립되어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섬유보강폴리머(Fiber Reinforced Polymer/"FRP")를 이용하여 제작한 봉형상의 보강근(이하, "FRP 보강근"이라고 약칭함)을 제작할 때, 수화열에 의해 용융되는 열가소성 수지에 의한 열수지막을 FRP 보강근의 심재의 표면에 코팅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작을 위해 FRP 보강근이 콘크리트에 매립되었을 때, 콘크리트의 양생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화열에 의해 열수지막의 열가소성 수지가 용융됨으로써, FRP 보강근과 콘크리트가 서로 강력하게 부착되어 일체화될 수 있게 하는 새로운 구성의 수화열 용융 수지의 피복에 의한 접합성능 향상의 하이브리드 FRP 보강근, 그 제작방법 및 하이브리드 FRP 보강근을 매립하고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철근의 부식에 의한 기능 상실 등을 대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배근되는 철근을 대신하거나 또는 철근을 보조하는 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FRP 보강근이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FRP 보강근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을 위하여 사용된다는 점을 감안하여 통상적으로 "FRP 리바"라고도 부른다.
그런데 종래의 FRP 보강근의 경우, 표면이 수지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매우 매끈한 표면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콘크리트에 매립되었을 때, 콘크리트와 견고한 부착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부착성능에 문제가 발생하고, 그에 따라 FRP 보강근과 콘크리트가 일체로 거동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종래에는 FRP 보강근에 섬유를 감거나 피복하여 인위적인 변형을 가하는 경우가 있는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3809호에는 이와 같이 표면에 섬유를 피복한 FRP 보강근에 대한 종래 기술의 일예가 개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위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3809호에 개시된 FRP 보강근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의 FRP 보강근의 경우,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제1섬유(101)를 수지(111)에 함침시킨 상태에서 성형노즐(도시되지 않음)을 통과시켜서 수지(111) 내에 제1섬유(101)가 복수개로 배치된 봉형상의 심재(110)를 만들고, 상기 심재(110)의 표면에 제2섬유(102)를 권취하여 감아서 굴곡을 만든 후, 그물망 같은 형태로 제3섬유(103)가 제2섬유 위를 감싸서 덮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FRP 보강근의 표면에 섬유를 덮는다고 하더라도, 섬유 역시 그 표면은 수지로 덮여있기 때문에, 여전히 표면이 매끄러운 상태에 있게 되며, 따라서 콘크리트에 매립되었을 때, 콘크리트와 충분한 부착성능을 발휘하지 못할 수 있다.
또다른 종래의 방법으로는 FRP 보강근의 피복에 가루물질을 도포하는 방안도 제시되고 있으나, 도포된 가루물질이 쉽게 FRP 보강근으로부터 탈락하게 되어, 기대한 만큼의 충분한 부착성능을 발휘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43809호(2011. 06. 22. 공고) 참조.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하이브리드 FRP 보강근이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립되었을 때 표면의 수지가 수화열에 의해 용융됨으로써 하이브리드 FRP 보강근과 콘크리트가 견고하게 부착 결합되어 하이브리드 FRP 보강근과 콘크리트가 일체로 거동할 수 있게 하는 하이브리드 FRP 보강근과 그 제작방법, 그리고 이러한 하이브리드 FRP 보강근이 매립되어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봉형상의 심재와; 콘크리트의 수화열에 의해 용융되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져 상기 심재의 외면에 피복되어 있는 열수지막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립되었을 때 콘크리트의 양생과정에서 발생하는 수화열에 의해 열수지막이 용융되면서 콘크리트와의 부착 및 일체화가 증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FRP 보강근과, 그 제작 방법 및 이러한 하이브리드 FRP 보강근이 콘크리트 내에 매립되어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이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를 심재의 외면에 피복하기 전에, 각각 반원형 단면을 가지도록 강관을 길이 방향으로 2등분한 형태를 가지며 그 내면에 요철 형성용 돌기가 돌출되어 구비되어 있는 한 쌍의 표면요철 성형판을 구비한 표면요철 성형기계를 이용하여, 한 쌍의 표면요철 성형판의 내면 사이에 심재를 배치하고; 한 쌍의 표면요철 성형판을 서로 결합하여 원형 단면을 가지는 강관 형태로 만들어서, 표면요철 성형판의 내면에 구비되어 있는 요철 형성용 돌기가, 수지로 이루어진 심재의 표면을 파고들어가 박히게 하여 심재의 표면에 오목한 충진 홈을 형성하여; 열가소성 수지가 심재의 외면에 피복될 때, 열가소성 수지가 상기 충진 홈에 채워져 있게 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콘크리트 내에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FRP 보강근이 매립된 상태에서 콘크리트가 경화되면, 수화열에 의해 열수지막이 용융되면서 접착제로서 기능하게 되어 콘크리트와 하이브리드 FRP 보강근 사이를 견고하게 부착시켜서 콘크리트와 하이브리드 FRP 보강근이 일체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FRP 보강근이 매립되어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은, 하이브리드 FRP 보강근과 콘크리트가 일체로 거동하게 되어 우수한 구조적 성능을 발휘하게 되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FRP 보강근의 심재로서 수지와 섬유다발로 이루어진 심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 A-A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FRP 보강근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선 B-B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안된 표면요철 성형기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표면요철 성형기계에 심재를 배치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선 C-C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표면요철 성형기계를 맞물리게 하여 심재의 표면에 표면 요철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도 7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9는 표면 요철 형성 후, 심재를 표면요철 성형기계로부터 빼내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선 D-D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콘크리트 내에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FRP 보강근이 매립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2는 종래 기술에 의한 FRP 보강근의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FRP 보강근은, 수지로 함침된 섬유를 다발로 집속하여 인발함으로써 제작한 봉형상의 심재만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도 있지만, 이러한 심재의 표면에 추가적인 섬유층을 피복한 것일 수도 있으며, 더 나아가 강재로 제작된 철근을 심재로 삼아서, 철근의 표면을 추가적인 수지 피막층으로 완전히 코팅하거나 또는 추가적인 수지함침 섬유층으로 완전히 피복한 봉형상의 부재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전체에서, "심재"라는 용어는 섬유와 수지로 제작된 봉형상의 부재뿐만 아니라 봉형상의 철근, 그리고 봉형상의 철근 표면에 추가적인 수지 피막층이 피복된 것과 추가적인 섬유층이 피복된 것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이며, 이러한 이유에서 본 발명에 따른 FRP 보강근은 "하이브리드" FRP 보강근이라고 칭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FRP 보강근을 이루는 심재의 일예로서, 수지로 함침된 섬유를 다발로 집속하여 인발함으로써 봉형상으로 제작된 심재(10)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도 1의 선 A-A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수지로 함침된 섬유를 다발로 집속하여 인발함으로써 봉형상으로 제작된 심재(10)의 경우, 수지(11)의 내부에 섬유(12)가 분포되어 있는 단면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는 심재(10)의 외면을 콘크리트의 수화열에 의해 용융되는 열가소성 수지로 도포함으로써, 심재(10)의 외면에 열수지막(20)을 형성하게 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FRP 보강근(1)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FRP 보강근(1)의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도 3의 선 B-B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가 양생될 때 발생하는 수화열의 범위 내에, 수지의 용융온도가 존재하게 되는 특성을 가지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열수지막(20)을 심재(10)의 외면에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FRP 보강근(1)은, 심재(10)와, 콘크리트의 수화열에 의해 용융되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져 상기 심재(10)의 외면에 도포되어 심재(10)의 외면을 피복하고 있는 열수지막(20)으로 이루어진 단면 구조를 가진다.
콘크리트가 양생되면서 발생되는 수화열은 시멘트의 종류와 혼입량, 혼화재의 종류, 혼화재의 혼입량 등의 변화에 의해 달라지는 콘크리트의 종류에 따라 그 범위가 다르지만 대략 최고온도 섭씨 50도 내지 90도의 범위를 가진다. 한편, 열가소성 수지의 경우, 용융되는 온도 즉, 융점 온도 또는 연화점 온도는 대략 섭씨 50도부터 시작되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종류에 맞추어서 연상되는 수화열에 대응되는 연화점 온도를 가지는 열가소성 수지를 선택하여 열수지막(20)의 형성 재료로 이용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심재(10)의 외면에 콘크리트의 수화열에 의해 용융되는 열가소성 수지를 도포하여 열수지막(20)을 형성함에 있어서, 열수지막(20)이 심재(10)의 표면에 밀착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아래에서 설명하는 표면요철 성형기계(200)를 이용하여 심재(10)에 추가적인 가공을 더 할 수도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에서 새롭게 제안하는 표면요철 성형기계(200)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5에 도시된 표면요철 성형기계(200)에 심재(10)를 배치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도 6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종방향(심재의 길이 방향)으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는 표면요철 성형기계(200)를 맞물리게 하여 심재(10)의 표면에 표면 요철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표면 요철 형성 후, 심재(10)를 표면요철 성형기계(200)로부터 빼내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는 표면요철 성형기계(200)로부터 심재(10)를 빼내는 상태를 단면 형태로 보여주는 도 9의 선 D-D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표면요철 성형기계(200)는, 각각 반원형 단면을 가지도록 강관을 길이 방향으로 2등분한 형태의 한 쌍의 표면요철 성형판(201, 202)으로 이루어진다. 작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한 쌍의 표면요철 성형판(201, 202)의 일측은 힌지부(204)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표면요철 성형판(201, 202)의 내면에는 요철 형성용 돌기(203)가 돌출되어 구비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한 쌍의 표면요철 성형판(201, 202)의 내면 사이에 심재(10)를 배치한 후, 한 쌍의 표면요철 성형판(201, 202)을 서로 결합하여 원형 단면을 가지는 강관 형태로 만들게 되면, 표면요철 성형판(201, 202)의 내면에 구비되어 있는 요철 형성용 돌기(203)가, 수지로 이루어진 심재(10)의 표면을 파고들어가 박히면서 심재(10)의 표면에 오목한 충진 홈(13)이 형성된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본 발명에서 심재(10)는, 수지로 함침된 섬유 다발의 집속으로 이루어진 것 이외에도, 이러한 심재의 표면에 추가적인 섬유층을 피복한 것, 또는 철근을 심재로 삼아서 철근의 표면에 추가적인 수지 피막층을 코팅한 것이나 추가적인 수지함침 섬유층을 피복한 것일 수 있는데, 어떤 경우라도 심재(10)의 표면에는 요철 형성용 돌기(203)가 박힐 수 있으므로,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심재(10)의 표면에 충진 홈(13)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충진 홈(13)이 형성되면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표면요철 성형판(201, 202)을 서로 분리 개방시켜서 심재(10)를 빼내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힌지연결된 한 쌍의 표면요철 성형판(201, 202)으로 이루어진 표면요철 성형기계(200)를 이용하게 되면, 한 쌍의 표면요철 성형판(201, 202) 사이에 심재(10)를 배치하고 한 쌍의 표면요철 성형판(201, 202)을 서로 결합하는 작업에 의해 충진 홈(13)을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작업이 간소화되고 많은 개수의 심재를 가공하는데 드는 비용과 시간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충진 홈(13)을 형성함에 있어서, 그 도구가 반드시 한 쌍의 표면요철 성형판으로 이루어진 도면상의 표면요철 성형기계(200)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기타 방법을 통해서 오목한 충진 홈(13)을 심재(10)의 표면에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며, 심재(10)의 표면을 또다른 방식과 형태로 거칠게 만들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심재(10)에서 충진 홈(13)은 반드시 형성되지 아니하여도 무방하다. 그러나 심재(10)의 표면에 충진 홈(13)을 형성하거나 또는 심재(10)의 표면을 기타 다양한 방법으로 거친 표면으로 만들게 되면 후술하는 것처럼 열수지막(20)을 일체화된 상태로 심재(10)의 표면에 피복 형성하는데 매우 유리하다.
이와 같이 표면에 충진 홈(13)이 형성되도록 심재(10)가 제작되어 준비된 후에는, 콘크리트가 양생되면서 발생하는 수화열에 의해 녹을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를 심재(10)의 표면에 소정 두께로 도포함으로써, 심재(10)의 표면에 열수지막(20)을 코팅 형성하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심재(10)의 표면에 충진 홈(13)을 형성한 경우에는, 열가소성 수지를 도포할 때, 열가소성 수지가 충진 홈(13)에도 채워지면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단면 상태를 가지게 되며, 이러한 충진 홈(13)에 의해 열수지막(20)이 심재(10)의 표면에 더욱 일체화된 상태로 피복되는 유리한 효과가 발휘된다. 열수지막(20)의 온도가 내려가면서 열가소성 수지가 경화됨으로써, 열수지막(20)이 심재(10)에 피복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FRP 보강근(1)의 제작이 완료된다.
심재(10)와, 그 표면에 코팅된 열수지막(20)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작된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FRP 보강근(1)은,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강하는데 이용된다. 도 11에는 콘크리트 구조물(2)의 콘크리트(21) 내에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FRP 보강근(1)이 매립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작을 위하여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되는 과정에서는 시멘트의 수화반응에 의해 높은 온도의 수화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콘크리트의 수화열은, 열수지막(20)을 이루는 열가소성 수지의 녹는점(용융점 또는 연화점) 보다 높다.
본 발명에서는 거푸집에, 미리 제작해둔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FRP 보강근(1)을 배치한 상태에서 굳지 않은 콘크리트(21)를 타설하여, 콘크리트(21) 내에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FRP 보강근(1)이 매립되도록 콘크리트 구조물(2)을 제작하게 된다. 이와 같은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콘크리트(21) 내에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FRP 보강근(1)이 매립된 상태에서 콘크리트(21)가 경화되면서 수화열이 발생하게 되고, 수화열에 의한 온도가 열수지막(20)을 이루는 열가소성 수지의 연화점 이상이 되면 수화열에 의해 열수지막(20)이 연화되기 시작하고, 수화과정이 계속되면서 열수지막(20)은 충분이 용융된다. 즉, 콘크리트의 양생 동안에 콘크리트와 하이브리드 FRP 보강근(1)의 표면 사이에 용융된 상태의 수지가 존재하는 상태가 되어, 콘크리트와 하이브리드 FRP 보강근 사이를 견고하게 부착시키는 일종의 접착제로서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용융"은 액상으로 흐르는 형태가 되는 상태에 이르기 전에, 접착성을 가질 정도로 끈적거리는 상태로 연화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콘크리트의 양생이 진행되면서 수화열이 감소하게 되고, 그에 따라 용융되었던 열가소성 수지는 경화되며, 그에 따라 콘크리트와 하이브리드 FRP 보강근(1)은 완전히 부착되어 일체를 이루게 된다. 즉,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열수지막(20)이 콘크리트 양생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화열에 의해 연화되어 녹은 후, 다시 경화되면서 콘크리트와 하이브리드 FRP 보강근(1) 사이에 매우 견고한 부착과 그에 따른 일체화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FRP 보강근이 매립되어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2)은, 하이브리드 FRP 보강근과 콘크리트가 일체로 거동하게 되어 우수한 구조적 성능을 발휘하게 되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이브리드 FRP 보강근이 콘크리트와 견고하게 부착되어 일체로 구조적인 거동을 하게 되므로, 해양구조물과 같이 철근의 부식이 우려되는 사용처에서도 안심하고 하이브리드 FRP 보강근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콘크리트 구조물(2)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말뚝, 거더 등 보강을 위하여 철근을 배치하고자 하는 어떠한 형태의 콘크리트 구조물(2)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FRP 보강근을 철근 대용으로 또는 철근과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1: 하이브리드 FRP 보강근
2: 콘크리트 구조물
10: 심재
11: 수지
12: 섬유
13: 충진 홈
20: 열수지막

Claims (5)

  1. 봉형상의 심재(10)와;
    콘크리트의 수화열에 의해 용융되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져 상기 심재(10)의 외면에 피복되어 있는 열수지막(2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콘크리트 구조물(2)에 매립되었을 때 콘크리트의 양생과정에서 발생하는 수화열에 의해 열수지막(20)이 용융되면서 콘크리트와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FRP 보강근.
  2. 제1항에 있어서,
    열수지막(20)이 피복되기 전에, 심재(10)의 표면에는 오목한 충진 홈(13)이 형성되어 있어서, 열수지막(20)이 피복될 때 열수지막(20)을 이루는 열가소성 수지가 상기 충진 홈(13)에도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FRP 보강근.
  3. 봉형상의 심재(1) 외면에, 콘크리트의 수화열에 의해 용융되는 열가소성 수지를 피복함으로써, 심재(10)의 외면에 열수지막(20)이 형성되도록 하여, 콘크리트 구조물(2)에 매립되었을 때 콘크리트의 양생과정에서 발생하는 수화열에 의해 열수지막(20)이 용융되면서 콘크리트와의 부착 및 일체화가 증진되는 하이브리드 FRP 보강근을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FRP 보강근의 제작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를 심재(10)의 외면에 피복하기 전에,
    각각 반원형 단면을 가지도록 강관을 길이 방향으로 2등분한 형태를 가지며 그 내면에 요철 형성용 돌기(203)가 돌출되어 구비되어 있는 한 쌍의 표면요철 성형판(201, 202)을 구비한 표면요철 성형기계(200)를 이용하여, 한 쌍의 표면요철 성형판(201, 202)의 내면 사이에 심재(10)를 배치하고;
    한 쌍의 표면요철 성형판(201, 202)을 서로 결합하여 원형 단면을 가지는 강관 형태로 만들어서, 표면요철 성형판(201, 202)의 내면에 구비되어 있는 요철 형성용 돌기(203)가, 수지로 이루어진 심재(10)의 표면을 파고들어가 박히게 하여 심재(10)의 표면에 오목한 충진 홈(13)을 형성하여;
    열가소성 수지가 심재(10)의 외면에 피복될 때, 열가소성 수지가 상기 충진 홈(13)에 채워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FRP 보강근의 제작방법.
  5. 콘크리트(21)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구조물(2)로서,
    거푸집에 청구항 제1항 또는 청구항 제2항에 의한 하이브리드 FRP 보강근(1)을 배치한 상태에서 굳지 않은 콘크리트(21)를 타설하여, 콘크리트(21) 내에 청구항 제1항 또는 제2항에 의한 하이브리드 FRP 보강근(1)이 매립된 상태에서 콘크리트(21)가 양생되고, 콘크리트의 양생 과정에서 수화열에 의해 열수지막(20)이 용융되어 콘크리트(21)와 청구항 제1항 또는 제2항에 의한 하이브리드 FRP 보강근(1)이 부착되어 일체를 이루는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FRP 보강근이 배근된 콘크리트 구조물.
KR1020140012995A 2014-02-05 2014-02-05 수화열 용융 수지의 피복에 의한 접합 성능 향상의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폴리머 보강근의 제작방법 KR101548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995A KR101548290B1 (ko) 2014-02-05 2014-02-05 수화열 용융 수지의 피복에 의한 접합 성능 향상의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폴리머 보강근의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995A KR101548290B1 (ko) 2014-02-05 2014-02-05 수화열 용융 수지의 피복에 의한 접합 성능 향상의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폴리머 보강근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519A true KR20150092519A (ko) 2015-08-13
KR101548290B1 KR101548290B1 (ko) 2015-08-28

Family

ID=54056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2995A KR101548290B1 (ko) 2014-02-05 2014-02-05 수화열 용융 수지의 피복에 의한 접합 성능 향상의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폴리머 보강근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82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36616A (zh) * 2015-10-20 2018-06-08 中央大学校产学协力团 预制预应力混凝土板及制造方法和预制预应力混凝土构件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23312B2 (ja) 2006-06-27 2011-02-02 藤森工業株式会社 防水シート及び防水シートの補修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36616A (zh) * 2015-10-20 2018-06-08 中央大学校产学协力团 预制预应力混凝土板及制造方法和预制预应力混凝土构件制造方法
CN108136616B (zh) * 2015-10-20 2021-07-30 中央大学校产学协力团 预制预应力混凝土板及制造方法和预制预应力混凝土构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8290B1 (ko) 2015-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62734B2 (ja) 繊維補強プラスチックから成る補強用部材を製造する方法及びこの方法に従って製造された補強用部材
TWI623672B (zh) Composite pipe for supporting structur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6839190B2 (ja) 複合材料を製造するための強化付加製造プロセス
JP2014510879A5 (ko)
KR102424462B1 (ko) 유리섬유 보강재 및 그 제조장치
TW201412506A (zh) 利用PMI發泡體核心之Pul(拉擠成形)-核心法
KR101548290B1 (ko) 수화열 용융 수지의 피복에 의한 접합 성능 향상의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폴리머 보강근의 제작방법
CN103496175B (zh) 一种玻璃钢烟囱烟道的整体缠绕成型加强筋的制备方法
KR101956435B1 (ko) 내화, 부착 성능을 향상시킨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매립형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방법
CN111086195B (zh) 一种frp带状螺旋箍筋及其制备方法
DK163284B (da) 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af et roerstykke
KR100526763B1 (ko) 연속식 파이프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파이프
EA023958B1 (ru) Арматурная сетка из композитного материала
JP7351267B2 (ja) 高圧タンクの製造方法
JP7288767B2 (ja) 構造体の構築方法
US20100043957A1 (en) Process for Reducing Wrinkles in Composite Laminated Structures
KR101991723B1 (ko) 섬유 강화 플라스틱 배관 제조 방법
RU2488486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олых изделий из композиционных материалов
CN110539508A (zh) 一种高强纤维增强复合材料连接件及其配方与制作工艺
JPH04151232A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製角パイプの製造方法
RU2641418C1 (ru) Секция жёсткого двухслойно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и способ её изготовления (варианты)
JP2770741B2 (ja) プレストレストセメント系複合部材の製造方法
KR101614850B1 (ko) 다분할 조각 구조의 섬유보강폴리머 보강재 및 그 제작방법
JPH03268926A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ツクパイプ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20103969A (ko) 유체이송용 파이프의 연속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파이프 및 파이프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