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2462A - Data driv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ata driv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2462A
KR20150092462A KR1020140012865A KR20140012865A KR20150092462A KR 20150092462 A KR20150092462 A KR 20150092462A KR 1020140012865 A KR1020140012865 A KR 1020140012865A KR 20140012865 A KR20140012865 A KR 20140012865A KR 20150092462 A KR20150092462 A KR 20150092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ignal
data
signal
converter
mu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28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65846B1 (en
Inventor
김승태
권오경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2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846B1/en
Publication of KR20150092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24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8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omprising more than three subpixels, e.g. red-green-blue-white [RGBW]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97Special arrangements with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of display data in the drivers for data electrodes, in a pre-processing circuitry delivering display data to said drivers or in the matrix panel, e.g. multiplexing plural data signals to one D/A converter or demultiplexing the D/A converter output to multiple colum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8Details of image data interface between the display device controller and the data line driver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ata driver which includes: a DA converter which converts a digital signal to an analog signal; and an output circuit part which is located on the rear of the DA converter, and outputs three color data signals and one black voltage by corresponding to the data state of one reference data signal.

Description

데이터 구동부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DATA DRIV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driver and a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데이터 구동부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driver and a display using the same.

정보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와 정보간의 연결 매체인 표시장치의 시장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LED), 전기영동표시장치(Electro Phoretic Display; EPD) 및 플라즈마액정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등과 같은 표시장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As the information technology is developed, the market of display devices, which is a connection medium between users and information, is getting larger. Accordingly,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n electrophoretic display (EPD), and a plasma display panel (PDP) ) Have been increasingly used.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사용되는 유기전계발광소자는 두 개의 전극 사이에 발광층이 형성된 자발광소자이다.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전자(electron) 주입전극(cathode)과 정공(hole) 주입전극(anode)으로부터 각각 전자와 정공을 발광층 내부로 주입시켜, 주입된 전자와 정공이 결합한 엑시톤(exciton)이 여기 상태로부터 기저상태로 떨어질 때 발광하는 소자이다.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used in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is a self-luminous device in which a light emitting layer is formed between two electrodes.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injects electrons and holes from the electron injecting electrode and the hole injecting electrode into the light emitting layer, and excites the excited electrons and holes, And emits light when it is dropped to the ground state.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표시패널에 스캔신호, 데이터신호 및 전원 등이 공급되면, 표시패널의 선택된 서브 픽셀에 포함된 트랜지스터 등이 구동하게 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 등에 의해 형성된 전류에 대응하여 유기 발광다이오드가 발광을 하게 됨으로써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When a scan signal, a data signal, a power supply, and the like are supplied to a display panel, a transistor included in a selected sub-pixel of the display panel is driv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mits light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formed by the transistor or the like, thereby displaying an image.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중 일부는 광효율을 증가시키면서 순색의 휘도 저하 및 색감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을 포함하는 서브 픽셀 구조를 갖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이하 RGBW OLED로 약기함)로 구현된다.Some of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s ar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s having a sub-pixel structure including red, green, blue, and white (hereinafter referred to as RGBW OLEDs) in order to prevent luminance decline and color degradation of pure- ).

RGBW OLED는 RGB 형태로 입력된 데이터신호를 RGBW 형태의 데이터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표시패널에 공급한다. 그러므로, RGBW OLED는 RGBW 서브 픽셀들을 구동하기 위해 4개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DAC) 및 4개의 증폭부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구동부를 요구한다.The RGBW OLED converts a data signal input in the RGB format into a data signal in the RGBW format and supplies it to the display panel. Therefore, the RGBW OLED requires a data driver including four digital-analog converters (DACs) and four amplifiers to drive the RGBW subpixels.

RGBW OLED는 광효율을 증가시키면서 순색의 휘도 저하 및 색감 저하를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종래에 제안된 RGBW OLED는 RGB만 사용하는 OLED 대비 데이터구동부의 크기가 크고, 제작시 고비용을 초래하는바 이의 개선이 요구된다.RGBW OLED has an advantage of preventing deterioration of brightness and color saturation of pure color while increasing light efficiency. However, in the RGBW OLED proposed in the related art, the size of the data driver is larger than that of the OLED using only the RGB, and it is required to improve the cost, which causes high cost in manufacturing.

상술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DA변환부나 증폭부의 수를 줄여 데이터 구동부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는 데이터 구동부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입력 주파수를 감소시키고, 정적(static) 소모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데이터 구동부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data driver capable of reducing the number of DA converters and amplifiers and reducing a size of a data driver and reducing a fabrication cost, and a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ata driver capable of reducing an input frequency and reducing a static consumption power, and a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은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DA변환부; 및 상기 DA변화부의 후단에 위치하며, 1개의 참조데이터신호의 데이터 상태에 대응하여 3개의 컬러데이터신호와 1개의 블랙전압을 출력하는 출력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gital-to-analog converter comprising: a DA converter for converting a digital signal into an analog signal; And an output circuit part positioned at a rear end of the DA changing part and outputting three color data signals and one black voltage corresponding to a data state of one reference data signal.

상기 출력회로부는 상기 DA변환부의 후단에 위치하며, 상기 1개의 참조데이터신호에 대응하여 RGBW 데이터신호 중 선택된 3개의 컬러데이터신호를 출력함과 더불어 상기 RGBW 데이터신호 중 비선택된 1개의 데이터신호를 대신하여 상기 1개의 블랙전압을 출력하는 먹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output circuit portion is disposed at a rear end of the DA conversion portion and outputs three color data signals selected from the RGBW data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one reference data signal and outputs one of the RGBW data signals, And outputting the one black voltage.

상기 출력회로부는 상기 1개의 참조데이터신호의 데이터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1개의 블랙전압이 출력되는 단자가 가변 될 수 있다.The output circuit may vary the terminal to which the one black voltage is output in response to the data state of the one reference data signal.

상기 DA변환부는 3개이고, 상기 출력회로부는 상기 먹스부의 후단에 위치하며, 상기 먹스부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를 갖는 증폭부를 포함하되, 상기 먹스부의 개수는 4개일 수 있다.The DA converter includes three DA converter sections, and the output circuit section includes an amplifier section located at a rear end of the mux section and having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mux sections, wherein the number of the mux sections may be four.

상기 DA변환부는 3개이고, 상기 출력회로부는 상기 3개의 DA변환부와 상기 먹스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DA변환부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를 갖는 증폭부를 포함하되, 상기 먹스부의 개수는 4개일 수 있다.Wherein the DA converter has three DA converter sections, and the output circuit section includes an amplifier section positioned between the three DA converter section and the mux section and having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DA converter section, wherein the number of the mux sections is four have.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데이터 구동부; 상기 데이터 구동부를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부; 및 상기 타이밍 제어부에 각종 신호를 공급하는 시스템 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1개의 참조데이터신호의 데이터 상태에 대응하여 3개의 컬러데이터신호와 1개의 블랙전압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panel comprising: a display panel; A data driver driving the display panel; A timing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ata driver; And a system board unit for supplying various signals to the timing controller, wherein the data driver outputs three color data signals and one black voltage corresponding to a data state of one reference data signal, Lt; / RTI >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DA변환부와, 상기 DA변화부의 후단에 위치하는 출력회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회로부는 상기 1개의 참조데이터신호에 대응하여 RGBW 데이터신호 중 선택된 3개의 컬러데이터신호를 출력함과 더불어 상기 RGBW 데이터신호 중 비선택된 1개의 데이터신호를 대신하여 상기 1개의 블랙전압을 출력하는 먹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data driver includes a DA converter for converting a digital signal into an analog signal and an output circuit part positioned at a rear end of the DA changing part, And outputting the one black voltage instead of one non-selected one of the RGBW data signals.

상기 출력회로부는 상기 1개의 참조데이터신호의 데이터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1개의 블랙전압이 출력되는 단자가 가변 될 수 있다.The output circuit may vary the terminal to which the one black voltage is output in response to the data state of the one reference data signal.

상기 DA변환부는 3개이고, 상기 출력회로부는 상기 먹스부의 후단에 위치하며, 상기 먹스부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를 갖는 증폭부를 포함하되, 상기 먹스부의 개수는 4개일 수 있다.The DA converter includes three DA converter sections, and the output circuit section includes an amplifier section located at a rear end of the mux section and having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mux sections, wherein the number of the mux sections may be four.

상기 DA변환부는 3개이고, 상기 출력회로부는 상기 3개의 DA변환부와 상기 먹스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DA변환부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를 갖는 증폭부를 포함하되, 상기 먹스부의 개수는 4개일 수 있다.Wherein the DA converter has three DA converter sections, and the output circuit section includes an amplifier section positioned between the three DA converter section and the mux section and having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DA converter section, wherein the number of the mux sections is four have.

상기 시스템 보드부 및 상기 타이밍 제어부 중 하나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RGB 데이터신호를 RGBW 데이터신호로 변환하되, 상기 RGBW 데이터신호 중 선택된 3개의 데이터신호를 상기 3개의 컬러데이터신호로 정의하고, 상기 RGBW 데이터신호 중 비선택된 1개의 데이터신호를 상기 1개의 참조데이터신호로 정의할 수 있다.One of the system board section and the timing control section converts an RGB data signal supplied from the outside into an RGBW data signal, defines three data signals selected from the RGBW data signals as the three color data signals, One non-selected data signal among the signals can be defined as the one reference data signal.

상기 3개의 컬러데이터신호를 구성하는 데이터의 비트는 각각 10 비트로 설정되고, 상기 1개의 참조데이터신호를 구성하는 데이터의 비트는 2 비트로 설정될 수 있다.The bits of the data constituting the three color data signals are each set to 10 bits and the bits of the data constituting the one reference data signal may be set to two bits.

본 발명은 DA변환부의 수를 줄여 데이터 구동부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타이밍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신호의 비트 수가 감소하므로 데이터 구동부의 입력 주파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DA변환부나 증폭부의 수가 줄어들게 되므로 데이터 구동부의 정적(static) 소모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DA변환부나 증폭부의 수를 줄여 데이터 구동부의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size of the data driver by reducing the number of DA converters. Further, since the number of bits of the data signal output from the timing controller is reduced, the input frequency of the data driver can be reduced. Also, since the number of DA converters and amplifiers is reduced, static power consumption of the data driver can be reduc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number of DA conversion sections and amplifying sections and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of the data driv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서브 픽셀의 개략적인 회로 구성 예시도.
도 3은 서브 픽셀의 개략적인 단면 계층도.
도 4는 서브 픽셀의 다양한 배치 예시도.
도 5는 데이터신호의 변환 예시도.
도 6은 타이밍 제어부와 데이터 구동부 간의 인터페이스 구성 예시도.
도 7은 데이터 구동부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8은 종래 데이터 구동부의 일부 구성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의 일부 구성 간의 비교 예시도.
도 9는 종래 데이터 구동부에 공급되는 데이터신호의 체계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에 공급되는 데이터신호의 체계 간의 비교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의 일부 구성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의 구동 예시도.
도 12는 종래 데이터 구동부의 일부 구성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의 일부 구성 간의 비교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의 일부 구성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의 구동 예시도.
1 is a schematic view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circuit configuration example of a subpixel; Fig.
Figure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hierarchical view of a subpixel.
4 shows various exemplary arrangements of subpixels.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onversion of a data signal.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nterface configuration between a timing controller and a data driver;
7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data driver;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parison between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onventional data driver and a configuration of a part of the data driv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parison between a system of a data signal supplied to a conventional data driver and a system of a data signal supplied to a data driv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art of a data driv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riving example of a data driv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parison between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data driver and a configuration of a part of a data driv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data driv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driving example of a data driv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정보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와 정보간의 연결 매체인 표시장치의 시장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LED), 전기영동표시장치(Electro Phoretic Display; EPD) 및 플라즈마액정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등과 같은 표시장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As the information technology is developed, the market of display devices, which is a connection medium between users and information, is getting larger. Accordingly,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n electrophoretic display (EPD), and a plasma display panel (PDP) ) Have been increasingly used.

앞서 설명된 표시장치 중 일부는 RGB 데이터신호를 RGBW 데이터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이용하여 표시 패널에 영상을 표시한다. 그런데, RGBW 데이터신호를 사용하는 표시장치는 RGB 데이터신호만 사용하는 표시장치 대비 데이터구동부의 크기가 크고, 제작시 고비용을 초래하는바 이의 개선이 요구된다.Some of the display devices described above convert an RGB data signal to an RGBW data signal and use it to display an image on a display panel. However, the display device using the RGBW data signal is required to be improved in the size of the data driver as compared with the display device using only the RGB data signal, resulting in high cost in manufacturing.

이하의 설명에서는 표시장치 중 하나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하나의 예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RGB 데이터신호를 RGBW 데이터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이용하여 표시 패널에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which is one of the display devices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display device that converts an RGB data signal into an RGBW data signal and displays the image on a display panel using the RGB data signal.

<제1실시예>&Lt; Embodiment 1 >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서브 픽셀의 개략적인 회로 구성 예시도이며, 도 3은 서브 픽셀의 개략적인 단면 계층도이고, 도 4는 서브 픽셀의 다양한 배치 예시도이며, 도 5는 데이터신호의 변환 예시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 of a subpixel, FIG. 3 is a schematic cross-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various arrangements of subpixels, and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onversion of a data signal.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는 시스템 보드부(130, SYSTEM), 타이밍 제어부(140, T-CON), 데이터 구동부(150, SD-IC), 스캔 구동부(160, GD-IC) 및 표시 패널(170, PANEL)이 포함된다.1,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ccording to the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ystem board unit 130, a timing controller 140, a data driver 150, a SD-IC , A scan driver 160 (GD-IC), and a display panel 170 (PANEL).

시스템 보드부(130)는 외부로부터 RGB 데이터신호(RGB)를 공급받고, RGB 데이터신호(RGB)를 RGBW 데이터신호로 변환함과 더불어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수직 동기신호, 수평 동기신호 및 클럭신호 등과 같은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시스템 보드부(130)는 RGB 데이터신호(RGB)를 RGBW 데이터신호로 변환할 때, 컬러데이터신호(DDATA)와 참조데이터신호(BDATA)를 포함하는 데이터 체계로 구분하여 변환한다. 컬러데이터신호(DDATA)는 표시 패널(170)의 RGBW 서브 픽셀 중 선택된 3개의 서브 픽셀을 발광시키는 신호로 정의될 수 있다. 반면, 참조데이터신호(BDATA)는 RGBW 서브 픽셀 중 비선택된 1개의 서브 픽셀을 비발광시키는 신호로 정의될 수 있다. 참조데이터신호(BDATA)는 데이터 구동부(150)의 내부에 포함된 출력회로부를 제어하는 선택신호로 이용된다. 한편, RGB 데이터신호(RGB)를 RGBW 데이터신호로 변환하는 동작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타이밍 제어부(140)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The system board unit 130 receives an RGB data signal RGB from the outside, converts the RGB data signal RGB into an RGBW data signal, and outputs a data enable signal, a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a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And outputs the same drive signal. The system board unit 130 converts the RGB data signal RGB into a data system including the color data signal DDATA and the reference data signal BDATA. The color data signal DDATA may be defined as a signal for causing three selected sub-pixels of the RGBW sub-pixels of the display panel 170 to emit light. On the other hand, the reference data signal BDATA may be defined as a signal that causes non-selected one of the RGBW subpixels to emit no light. The reference data signal BDATA is used as a selection signal for controlling the output circuit included in the data driver 150. Meanwhile, the operation of converting the RGB data signal (RGB) to the RGBW data signal may be performed in the timing controller 140 described below.

타이밍 제어부(140)는 시스템 보드부(130)로부터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수직 동기신호, 수평 동기신호 및 클럭신호 등과 같은 구동신호와 더불어 컬러데이터신호(DDATA)와 참조데이터신호(BDATA)를 공급받는다. 타이밍 제어부(140)는 구동신호에 기초하여 스캔 구동부(16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와 데이터 구동부(15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를 출력한다. 타이밍 제어부(140)는 구동신호를 기준으로 생성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와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에 대응하여 컬러데이터신호(DDATA)와 참조데이터신호(BDATA)를 출력한다.The timing controller 140 receives a drive signal such as a data enable signal, a vertical sync signal, a horizontal sync signal, and a clock signal from the system board unit 130 and receives the color data signal DDATA and the reference data signal BDATA . The timing controller 140 generates a gate timing control signal GDC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timing of the scan driver 160 and a data timing control signal DDC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timing of the data driver 150 based on the driving signal. . The timing controller 140 outputs the color data signal DDATA and the reference data signal BDATA in accordance with the gate timing control signal GDC and the data timing control signal DDC generated based on the driving signal.

데이터 구동부(150)는 타이밍 제어부(14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에 응답하여 컬러데이터신호(DDATA)를 샘플링하고 래치하여 감마 기준전압에 대응하여 아날로그데이터신호로 변환한다. 데이터 구동부(150)는 참조데이터신호(BDATA)에 대응하여 컬러데이터신호(DDATA)에 포함된 RGBW 데이터신호 중 선택된 3개의 데이터신호를 데이터라인들(DL1 ~ DLn)을 통해 출력한다. 데이터 구동부(150)는 IC(Integrated Circuit) 형태로 형성된다.The data driver 150 samples and latches the color data signal DDATA in response to the data timing control signal DDC supplied from the timing controller 140 and converts it into an analog dat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gamma reference voltage. The data driver 150 outputs the selected three data signals among the RGBW data signals included in the color data signal DDATA through the data lines DL1 to DLn in response to the reference data signal BDATA. The data driver 150 is formed in the form of an IC (Integrated Circuit).

스캔 구동부(160)는 타이밍 제어부(140)로부터 공급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에 응답하여 게이트전압의 레벨을 시프트시키면서 스캔신호를 출력한다. 스캔 구동부(160)는 스캔라인들(SL1 ~ SLm)을 통해 스캔신호를 출력한다. 스캔 구동부(160)는 IC(Integrated Circuit) 형태로 형성되거나 표시 패널(170)에 게이트인패널(Gate In Panel) 방식으로 형성된다.The scan driver 160 outputs a scan signal while shifting the level of the gate voltage in response to the gate timing control signal GDC supplied from the timing controller 140. The scan driver 160 outputs a scan signal through the scan lines SL1 to SLm. The scan driver 160 is formed in the form of an integrated circuit (IC) or a gate-in-panel (GATE) panel in the display panel 170.

표시 패널(170)은 광효율을 증가시키면서 순색의 휘도 저하 및 색감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적색 서브 픽셀(SPr), 녹색 서브 픽셀(SPg), 청색 서브 픽셀(SPb) 및 백색 서브 픽셀(SPw)(이하 RGBW 서브 픽셀로 약기)을 포함하는 서브 픽셀 구조로 구현된다. 즉, 1개의 픽셀(P)은 RGBW 서브 픽셀(SPr, SPg, SPb, SPw)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픽셀(P)은 표시 패널(170)의 해상도에 대응하여 다수로 형성된다.The display panel 170 includes a red subpixel SPr, a green subpixel SPg, a blue subpixel SPb and a white subpixel SPw (hereinafter referred to as &quot; RGBW subpixel). &Lt; / RTI &gt; That is, one pixel P is made up of RGBW subpixels (SPr, SPg, SPb, SPw). These pixels P are form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resolution of the display panel 17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서브 픽셀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SW), 구동 트랜지스터(DR), 커패시터(Cst), 보상회로(CC) 및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가 포함된다.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DR)에 의해 형성된 구동 전류에 따라 빛을 발광하도록 동작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SW)는 제1스캔라인(SL1)을 통해 공급된 스캔신호에 응답하여 제1데이터라인(DL1)을 통해 공급되는 컬러데이터신호가 커패시터(Cst)에 데이터전압으로 저장되도록 스위칭 동작한다. 구동 트랜지스터(DR)는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데이터전압에 따라 제1전원배선(VDD)과 그라운드배선(GND) 사이로 구동 전류가 흐르도록 동작한다.As shown in FIG. 3, one sub-pixel includes a switching transistor SW, a driving transistor DR, a capacitor Cst, a compensation circuit CC,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operates to emit light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current generated by the driving transistor DR. The switching transistor SW performs a switching operation so that the color data signal supplied through the first data line DL1 is stored as a data voltage in the capacitor Cst in response to the scan signal supplied through the first scan line SL1 . The driving transistor DR operates so that the driving current flows between the first power supply line VDD and the ground line GND in accordance with the data voltage stored in the capacitor Cst.

보상회로(CC)는 구동 트랜지스터(DR)의 문턱전압 등을 보상하기 위해 추가되는 회로이다. 따라서, 보상회로(CC)는 서브 픽셀의 구성에 따라 생략될 수 있지만, 통상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와 커패시터로 구성된다. 보상회로(CC)의 구성은 매우 다양한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The compensation circuit CC is a circuit added to compensate the threshold voltage of the driving transistor DR and the like. Thus, the compensation circuit CC may be omitted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of the subpixel, but is usually composed of one or more transistors and capacitors. The configuration of the compensation circuit (CC) is very various, and a detailed illustration and description thereof are omitted.

하나의 서브 픽셀은 스위칭 트랜지스터(SW), 구동 트랜지스터(DR), 커패시터(Cst) 및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를 포함하는 2T(Transistor)1C(Capacitor) 구조로 구성된다. 그러나 보상회로(CC)가 추가된 경우 3T1C, 4T2C, 5T2C 등으로 구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서브 픽셀은 구조에 따라 전면발광(Top-Emission) 방식, 배면발광(Bottom-Emission) 방식 또는 양면발광(Dual-Emission) 방식으로 형성된다.One subpixel is composed of a 2T (Transistor) 1C (Capacitor) structure including a switching transistor SW, a driving transistor DR, a capacitor Cst,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However, when the compensation circuit (CC) is added, it is composed of 3T1C, 4T2C, 5T2C, and the like. The subpixels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may be formed by a top emission method, a bottom emission method, or a dual emission method according to the structure.

한편, RGBW 서브 픽셀(SPr, SPg, SPb, SPw)은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다이오드 또는 백색 유기 발광다이오드(WOLED)와 RGB 컬러필터(CFr, CFg, CFb)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백색 유기 발광다이오드(WOLED)와 RGB 컬러필터(CFr, CFg, CFb)를 사용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the RGBW subpixels SPr, SPg, SPb and SPw are formed by us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r a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WOLED which emits red, green, blue and white and RGB color filters CFr, CFg and CFb . The method of using the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WOLED) and the RGB color filters (CFr, CFg, CFb) is as follows.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RGBW 서브 픽셀(SPr, SPg, SPb, SPw)은 트랜지스터부(TFT), RGB 컬러필터(CFr, CFg, CFb) 및 백색 유기 발광다이오드(WOLED)를 포함한다. 반면, 백색 서브 픽셀(SPw)은 트랜지스터부(TFT) 및 백색 유기 발광다이오드(WOLED)를 포함한다. RGB 서브 픽셀(SPr, SPg, SPb)은 백색 유기 발광다이오드(WOLED)로부터 출사된 백색의 광을 적색, 녹색 및 청색으로 변환시키므로 RGB 컬러필터(CFr, CFg, CFb)가 포함된다. 이와 달리, 백색 서브 픽셀(SPw)은 백색 유기 발광다이오드(WOLED)로부터 출사된 백색의 광을 그대로 출사하므로 컬러필터가 미포함되지만 투과율이 높은 W 컬러필터를 사용하기도 한다.3, the RGBW subpixels SPr, SPg, SPb, and SPw include a transistor TFT, RGB color filters CFr, CFg, and CFb, and a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WOLED. On the other hand, the white subpixel SPw includes a transistor portion TFT and a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WOLED. The RGB subpixels SPr, SPg and SPb convert the white light emitted from the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WOLED to red, green and blue, and therefore include the RGB color filters CFr, CFg and CFb. Alternatively, the white subpixel SPw emits white light emitted from the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WOLED as it is, so that a W color filter having a high transmittance is used although the color filter is not included.

RGBW 서브 픽셀(SPr, SPg, SPb, SPw)을 사용하는 방식은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 물질을 독립적으로 각 서브 픽셀에 증착하던 방식과 달리 백색 발광 물질을 모든 서브 픽셀에 증착한다. 이 때문에, 이 방식은 파인 메탈 마스크(Fine Metal Mask)를 미사용하고도 대형화가 용이하다. 또한, 컬러필터의 투과율이 50%라고 가정하면, W 서브 픽셀은 RGB 서브 픽셀 대비 적어도 2배의 효율을 갖게 되므로 W 서브 픽셀의 사용 비율에 따라 수명 연장과 더불어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게 된다.The method using RGBW subpixels SPr, SPg, SPb, and SPw deposits a white light emitting material on all subpixels unlike the method in which red, green, and blue light emitting materials are independently deposited on each subpixel. Therefore, this method is easy to enlarge even if a fine metal mask is not used. Assuming that the transmittance of the color filter is 50%, the W subpixel is at least twice as efficient as the RGB subpixel, so that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along with the life span according to the usage ratio of the W subpixel.

표시 패널(170)은 색 순도 향상이나 표현력 향상은 물론 목표 색좌표를 맞추기 위해 서브 픽셀을 다양하게 배치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 패널(170)은 도 4의 (a)와 같이 RGBW 서브 픽셀(SPr, SPg, SPb, SPw)의 순서로 배치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70)은 도 4의 (b)와 같이 WRGB 서브 픽셀(SPw, SPr, SPg, SPb)의 순서로 배치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70)은 도 4의 (c)와 같이 WGBR 서브 픽셀(SPw, SPg, SPb, SPr)의 순서로 배치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70)은 도 4의 (d)와 같이 RWGB 서브 픽셀(SPr, SPw, SPg, SPb)의 순서로 배치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70)은 도 4의 (e)와 같이 BGWR 서브 픽셀(SPb, SPg, SPw, SPr)의 순서로 배치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표시 패널(170)은 앞서 도시 및 설명한 예시 외에도 다양한 순서로 배치된 서브 픽셀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display panel 170 can arrange the subpixels in various ways to improve the color purity and the expressive power as well as the target color coordinates. For example, the display panel 17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RGBW subpixels SPr, SPg, SPb, and SPw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FIG. 4A. In addition, the display panel 17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WRGB subpixels SPw, SPr, SPg, and SPb are arranged in the order as shown in FIG. 4B. In addition, the display panel 17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WGBR subpixels (SPw, SPg, SPb, SPr) are arranged in the order as shown in FIG. 4C. Also, the display panel 17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RWGB subpixels SPr, SPw, SPg, and SPb are arranged in the order as shown in FIG. 4 (d). Also, the display panel 17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BGWR subpixels (SPb, SPg, SPw, SPr)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FIG. 4 (e). The display panel 170 may have a sub-pixel structure arranged in various orders besides the examples shown and described above.

앞서 설명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RGBW 서브 픽셀(SPr, SPg, SPb, SPw)을 이용하여 표시 패널(170)에 원하는 색좌표가 표현되도록 W 서브 픽셀(SPw)과 더불어 RGB 서브 픽셀(SPr, SPg, SPb) 중 일부 또는 전부를 보상 발광시킨다.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described above includes RGB subpixels SPr, SPg, SPb, and SPw in addition to W subpixels SPw so that a desired color coordinate is represented on the display panel 170 using RGBW subpixels SPr, SPg, , SPb) to compensate for light emission.

이를 위해, 시스템 보드부(130)는 내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RGB 데이터신호를 RGBW 데이터신호를 포함하는 컬러데이터신호와 참조데이터신호로 변환한다. 시스템 보드부(130)는 RGB 데이터신호 중 가장 낮은 휘도값을 갖는 데이터신호를 기반으로 데이터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system board 130 converts the RGB data signal into a color data signal including the RGBW data signal and a reference data signal using an internal algorithm. The system board unit 130 may perform data conversion based on a data signal having the lowest luminance value among RGB data signals.

예컨대, 도 5와 같이 B 데이터신호는 RG 데이터신호 대비 가장 낮은 휘도값을 가지므로 B 데이터신호의 휘도값을 W 데이터신호로 대체하고, B 데이터신호를 0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RG 데이터신호의 휘도를 0으로 설정된 B 데이터신호를 기반으로 낮춘다. 그 결과 RGB 데이터신호의 휘도는 데이터 변환 전(도 5의 (a)) 80, 120, 50으로 설정되었지만, 데이터 변환 후(도 5의 (b)) 30, 70, 0, 50으로 변경된다. 이때, RBW 데이터신호의 휘도값은 0이 아니므로 컬러데이터신호가 되고, B 데이터신호의 휘도값은 0에 해당하므로 참조데이터신호가 된다.For example, since the B data signal has the lowest luminance value relative to the RG data signal as shown in FIG. 5, the luminance value of the B data signal is replaced with the W data signal, and the B data signal is set to zero. And lowers the luminance of the RG data signal based on the B data signal set to zero. As a result, the luminance of the RGB data signal is set to 80, 120, and 50 before data conversion (FIG. 5A), but is changed to 30, 70, 0, and 50 after data conversion (FIG. At this time, since the luminance value of the RBW data signal is not 0, it becomes a color data signal and the luminance value of the B data signal corresponds to 0, which is a reference data signal.

위의 예는 시스템 보드부(130)에 의한 데이터 변환의 이해를 돕기 위해 휘도값을 단순 수치화하여 설명한 것임을 참조한다. 또한, 위의 예에서는 B 데이터신호의 휘도값과 W 데이터신호의 휘도값이 1:1 개념으로 대체되고 RG 데이터신호의 휘도값이 B 데이터신호의 휘도값에 대응하여 동일한 수치로 낮아지는 것을 일례로 설명하였다.It is noted that the above example is merely numerical description of the luminance value to help understand the data conversion by the system board unit 130. [ In the above example, the luminance value of the B data signal and the luminance value of the W data signal are replaced by the 1: 1 concept and the luminance value of the RG data signal is lowered to the same value corresponding to the luminance value of the B data signal Respectively.

하지만,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데이터 변환시 수행되는 보상방법에 따라 RGB 데이터신호 중 하나의 휘도값은 0으로 설정될 수 있고 또한 0이 아닌 데이터신호의 휘도값이 낮아지는 범위는 비동일할 수 있다.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luminance value of one of the RGB data signals may be set to 0 according to the compensation method performed at the time of data conversion, and the range of the luminance value of the non-zero data signal may be unequal .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데이터 구동부와 관련된 설명을 구체화한다.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data driver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타이밍 제어부와 데이터 구동부 간의 인터페이스 구성 예시도이며, 도 7은 데이터 구동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8은 종래 데이터 구동부의 일부 구성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의 일부 구성 간의 비교 예시도이며, 도 9는 종래 데이터 구동부에 공급되는 데이터신호의 체계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에 공급되는 데이터신호의 체계 간의 비교 예시도이다.7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data driver,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ortion of the conventional data driver and a portion of the data driv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face configuration between the timing controller and the data driver,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parison between a system of a data signal supplied to a conventional data driver and a system of a data signal supplied to the data driv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밍 제어부(140)와 데이터 구동부(150)는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IF1, IF2)에 의해 체결된다. 타이밍 제어부(140)는 자신의 제1인터페이스(IF1)를 통해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와 더불어 컬러데이터신호(DDATA) 및 참조데이터신호(BDATA)를 송신한다. 데이터 구동부(150)는 자신의 제2인터페이스(IF2)를 통해 타이밍 제어부(14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와 더불어 컬러데이터신호(DDATA) 및 참조데이터신호(BDATA)를 수신한다. 데이터 구동부(150)는 수신된 참조데이터신호(BDATA)에 대응하여 컬러데이터신호(ADATA)에 포함된 RGBW 데이터신호 중 선택된 3개의 데이터신호를 출력한다.As shown in FIG. 6, the timing controller 140 and the data driver 150 are connected by data communication interfaces IF1 and IF2. The timing control unit 140 transmits the color data signal DDATA and the reference data signal BDATA together with the data timing control signal DDC through the first interface IF1 of its own. The data driver 150 receives the color data signal DDATA and the reference data signal BDATA in addition to the data timing control signal DDC transmitted from the timing controller 140 via the second interface IF2. The data driver 150 outputs the selected three data signals out of the RGBW data signals included in the color data signal ADATA in response to the received reference data signal BDATA.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구동부(150)에는 쉬프트 레지스터부(151), 래치부(152), 감마전압 생성부(154),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이하 DA변환부로 약기함)(153) 및 출력회로부(155)가 포함된다.7, the data driver 150 includes a shift register unit 151, a latch unit 152, a gamma voltage generator 154, a digital-to-analog conver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DA converter 153) And an output circuit portion 155 are included.

타이밍 제어부(14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에는 소스 스타트 펄스(Source, Start Pulse, SSP), 소스 샘플링 클럭(Source Sampling Clock, SSC), 소스 출력 인에이블신호(Source Output Enable, SOE) 등이 포함된다. 소스 스타트 펄스(SSP)는 데이터 구동부(150)의 데이터 샘플링 시작 시점을 제어한다. 소스 샘플링 클럭(SSC)은 라이징 또는 폴링 에지에 기준하여 데이터 구동부(150) 내에서 데이터의 샘플링 동작을 제어하는 클럭신호이다. 소스 출력 인에이블신호(SOE)는 데이터 구동부(150)의 출력을 제어한다.A source sampling clock (SSC), a source output enable signal (SOE), and the like are input to the data timing control signal (DDC) ) And the like. The source start pulse SSP controls the data sampling start timing of the data driver 150. The source sampling clock SSC is a clock signal for controlling the sampling operation of data in the data driver 150 based on the rising or falling edge. The source output enable signal SOE controls the output of the data driver 150.

쉬프트 레지스터부(151)는 타이밍 제어부(140)로부터 출력된 소스 스타트 펄스(SSP)와 소스 샘플링 클럭(SSC)에 응답하여 샘플링신호(SAM; Sampling Signal)를 출력한다.The shift register unit 151 outputs a sampling signal SAM in response to the source start pulse SSP and the source sampling clock SSC output from the timing controller 140.

래치부(152)는 쉬프트 레지스터부(151)로부터 출력된 샘플링신호(SAM; Sampling Signal)에 응답하여 디지털 형태의 컬러데이터신호(DDATA)를 순차적으로 샘플링하고 소스 출력 인에이블신호(SOE)에 대응하여 샘플링된 1 라인 분의 컬러데이터신호(DDATA)를 동시에 출력한다. 래치부(152)는 적어도 2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상 하나만 도시 및 설명하였다.The latch unit 152 sequentially samples the digital data signal DDATA in response to the sampling signal SAM output from the shift register unit 151 and outputs the sampled data signal DDATA in response to the source output enable signal SOE And simultaneously outputs sampled color data signals DDATA for one line. The latch portion 152 may be composed of at least two latches, but only one of them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감마전압 생성부(154)는 외부 또는 내부로부터 공급된 전압 또는 신호에 대응하여 제1 내지 제n감마계조전압(GMA1 ~ GMAn)을 생성한다. 액정표시장치의 경우, 제1 내지 제n감마계조전압(GMA1 ~ GMAn)에 정극성 감마계조전압과 부극성 감마계조전압이 포함된다. 즉, 표시장치의 특성에 따라 감마전압 생성부(154)에는 정극성 감마계조전압을 생성하는 정극성 감마전압 생성부와 부극성 감마계조전압을 생성하는 부극성 감마전압 생성부가 포함될 수도 있다.The gamma voltage generator 154 generates first to n-th gamma gradation voltages GMA1 to GMAn corresponding to voltages or signals supplied from the outside or the inside. In the cas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first to n-th gamma gradation voltages (GMA1 to GMAn) include a positive gamma gradation voltage and a negative gamma gradation voltage. That is, the gamma voltage generator 154 may include a positive gamma voltage generator for generating a positive gamma gradation voltage and a negative gamma voltage generator for generating a negative gamma gradation voltage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play device.

DA변환부(153)는 감마전압 생성부(154)로부터 출력된 제1 내지 제n감마계조전압(GMA1 ~ GMAn)에 대응하여 1 라인 분의 컬러데이터신호(DDATA)를 아날로그 형태의 컬러데이터신호(ADATA)로 변환한다. DA변환부(153)는 RGBW 데이터신호 중 선택된 3개의 데이터신호를 출력한다.The DA converter 153 converts the color data signal DDATA for one line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to nth gamma gradation voltages GMA1 to GMAn output from the gamma voltage generator 154 into analog color data signals (ADATA). The DA converter 153 outputs three data signals selected from the RGBW data signals.

출력회로부(155)는 DA변환부(153)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형태의 컬러데이터신호(ADATA)를 증폭(또는 증폭 및 보상)하여 각 데이터라인에 출력한다. 출력회로부(155)는 디지털 형태의 참조데이터신호(BDATA)에 대응하여 아날로그 형태의 컬러데이터신호(ADATA)에 포함된 RGBW 데이터신호 중 선택된 3개의 데이터신호를 출력한다.The output circuit section 155 amplifies (or amplifies and compensates) the analog color data signal ADATA output from the DA converter section 153, and outputs the amplified color data signal ADATA to each data line. The output circuit portion 155 outputs the selected three data signals among the RGBW data signals included in the analog type color data signal ADATA in correspondence with the digital reference data signal BDATA.

이하, 데이터 구동부(150)에 포함된 1개의 픽셀 구동부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해 비교 설명을 한다.Hereinafter,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pixel driver included in the data driver 150. FIG.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150)는 1개의 픽셀 구동부가 DA변환부(153)와 출력회로부(155)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DA변환부(153)는 적색 DA변환부(R DAC), 녹색 DAC변환부(G DAC), 청색 DA변환부(B DAC) 및 백색 DAC변환부(W DAC)로 구성된다. 적색 DA변환부(R DAC)는 적색 서브 픽셀을 구동하는 R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한다. 녹색 DAC변환부(G DAC)는 녹색 서브 픽셀을 구동하는 G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한다. 청색 DA변환부(B DAC)는 청색 서브 픽셀을 구동하는 B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한다. 백색 DAC변환부(W DAC)는 백색 서브 픽셀을 구동하는 W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한다.As shown in FIG. 8A, the data driver 150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cludes a DA converter 153 and an output circuit 155. Specifically, the DA converter 153 includes a red DA converter R DAC, a green DAC converter G DAC, a blue DA converter B DAC, and a white DAC converter W DAC. The red DA converter R DAC converts the R data signal driving the red sub-pixel into an analog form. The green DAC conversion unit G DAC converts the G data signal driving the green subpixel into an analog form. The blue DA converter (B DAC) converts the B data signal driving the blue subpixel into analog form. The white DAC converter W DAC converts the W data signal driving the white sub-pixel into an analog form.

출력회로부(155)는 제1증폭부(OP1), 제2증폭부(OP2), 제3증폭부(OP3) 및 제4증폭부(OP4)로 구성된다. 제1증폭부(OP1)는 적색 DAC변환부(R DAC)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며 R 데이터신호를 증폭한다. 제2증폭부(OP2)는 녹색 DAC변환부(G DAC)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며 G 데이터신호를 증폭한다. 제3증폭부(OP3)는 청색 DA변환부(B DAC)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며 B 데이터신호를 증폭한다. 제4증폭부(OP4)는 백색 DAC변환부(W DAC)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며 W 데이터신호를 증폭한다.The output circuit unit 155 includes a first amplifying unit OP1, a second amplifying unit OP2, a third amplifying unit OP3, and a fourth amplifying unit OP4. The first amplifying unit OP1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red DAC converting unit R DAC and amplifies the R data signal. The second amplifying unit OP2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green DAC converting unit G DAC and amplifies the G data signal. The third amplifying unit OP3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blue DA converting unit B DAC and amplifies the B data signal. The fourth amplifying unit OP4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white DAC converting unit W DAC and amplifies the W data signal.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타이밍 제어부는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신호(DDATA)를 RGBW 데이터신호(Red Data, Green Data, Blue Data, White Data)로 구분하여 데이터 구동부(150)에 전송한다. RGBW 데이터신호를 구성하는 데이터의 비트(bit)를 10 비트로 설정할 경우, RGBW 데이터신호를 구성하는 총 데이터의 비트는 40비트가 된다.As shown in FIG. 9A, the timing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divides a digital data signal DDATA into RGBW data signals (Red Data, Green Data, Blue Data, and White Data) 150). When the bits of the data constituting the RGBW data signal are set to 10 bits, the bits of the total data constituting the RGBW data signal are 40 bits.

종래 기술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150)는 타이밍 제어부로부터 위와 같은 체계로 구성된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신호(DDATA)가 공급되므로, 4개의 DA변환부(153)와 4개의 출력회로부(155) 등을 필요로 하게 된다.The data driver 150 according to the prior art requires four DA converters 153 and four output circuit units 155 since a digital data signal DDATA configured as above is supplied from the timing controller .

데이터 구동부(150)는 RGBW 데이터신호(Red Data, Green Data, Blue Data, White Data)의 개수에 대응하여 구성된 4개의 DA변환부(153)와 4개의 출력회로부(155) 등을 이용하여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신호(DDATA)를 아날로그 형태의 RGBW 데이터신호(ADATA)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된다.The data driver 150 generates a digital signal by using four DA converters 153 and four output circuit units 155 configur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RGBW data signals (Red Data, Green Data, Blue Data, and White Data) Converts the data signal DDATA of the analog RGBW data signal ADATA into an analog RGBW data signal ADATA and outputs the RGBW data signal ADATA.

데이터 구동부(150) 설계시, DA변환부(153)는 데이터 구동부(150) 내에서 다른 회로들 대비 가장 많은 면적을 차지한다. 그러므로, 종래 기술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150)는 DA변환부(153)의 개수 증가로 RGB 데이터신호만 사용하는 데이터 구동부 대비 데이터 구동부의 크기가 크고, 제작시 고비용을 초래하게 된다.In designing the data driver 150, the DA converter 153 occupies the largest area in the data driver 150 compared to other circuits. Therefore, the data driver 150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 large size of the data driver compared to the data driver using only the RGB data signals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DA converters 153, resulting in high manufacturing costs.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150)는 1개의 픽셀 구동부가 DA변환부(153)와 출력회로부(155)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DA변환부(153)는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 서브 픽셀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제1DA변환부(DAC1), 제2DA변환부(DAC2) 및 제3DA변환부(DAC3)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8 (b), the data driver 15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 converter 153 and an output circuit 155. Specifically, the DA converter 153 includes a first DA converter DAC1, a second DA converter DAC2, and a third A converter DAC3 that selectively drive the red, green, blue, and white subpixels .

제1DA변환부(DAC1), 제2DA변환부(DAC2) 및 제3DA변환부(DAC3)는 각각 적어도 2개의 컬러에 대한 데이터신호를 선택적으로 입력받고 이들 중 하나의 컬러에 대한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한다.The first DA converter DAC1, the second DA converter DAC2, and the third A converter DAC3 selectively receive data signals for at least two colors, and convert the data signals for one of the colors into an analog form .

출력회로부(155)는 먹스부(155b)와 증폭부(155a)를 포함한다. 먹스부(155b)는 제1먹스부(MUX1), 제2먹스부(MUX2), 제3먹스부(MUX2) 및 제4먹스부(MUX4)로 구성된다. 제1먹스부(MUX1)는 제1DA변환부(DAC1)의 출력단에 제1입력단이 연결된다. 제2먹스부(MUX2)는 제2DA변환부(DAC2)의 출력단에 제1입력단이 연결되고 제1DA변환부(DAC1)의 출력단에 제2입력단이 연결된다. 제3먹스부(MUX3)는 제3DA변환부(DAC3)의 출력단에 제1입력단이 연결되고 제2DA변환부(DAC2)의 출력단에 제2입력단이 연결된다. 제4먹스부(MUX4)는 제3DA변환부(DAC3)의 출력단에 제2입력단이 연결된다.The output circuit section 155 includes a mux section 155b and an amplification section 155a. The mux portion 155b is composed of a first mux portion MUX1, a second mux portion MUX2, a third mux portion MUX2, and a fourth mux portion MUX4. The first input terminal MUX1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DA converter DAC1. The second mux portion MUX2 has a first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DA converter DAC2 and a second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DA converter DAC1. The third multiplexer MUX3 has a first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third A / D converter DAC3 and a second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DA converter DAC2. The fourth input terminal MUX4 has a second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third A / D converter DAC3.

제1 내지 제4먹스부(MUX1 ~ MUX4)의 제3입력단은 참조데이터신호(BDATA)를 전달하는 신호라인에 모두 공통으로 연결된다. 한편, 위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먹스부(155b)라고 표현하였다. 그러나, 이는 특정 선택신호에 대응하여 특정 데이터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회로(예컨대; 트랜지스터 등)로 구성될 수 있는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third input terminals of the first to fourth multiplexers MUX1 to MUX4 are commonly connected to a signal line for transmitting the reference data signal BDATA. On the other hand, the above description is referred to as a mux portion 155b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s it can be composed of a circuit (for example, a transistor or the like) capable of outputting a specific data signal in response to a specific selection signal.

증폭부(155a)는 제1증폭부(OP1), 제2증폭부(OP2), 제3증폭부(OP3) 및 제4증폭부(OP4)로 구성된다. 제1증폭부(OP1)는 제1먹스부(MUX1)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된다. 제2증폭부(OP2)는 제2먹스부(MUX2)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된다. 제3증폭부(OP3)는 제3먹스부(MUX3)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된다. 제4증폭부(OP4)는 제4먹스부(MUX4)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된다.The amplifying unit 155a includes a first amplifying unit OP1, a second amplifying unit OP2, a third amplifying unit OP3, and a fourth amplifying unit OP4. The first amplifying unit OP1 has its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multiplexer MUX1. The second amplifying unit OP2 has its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multiplexer MUX2. The third amplifying unit OP3 has its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third multiplexer MUX3. The fourth amplifying unit OP4 has its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ourth mux portion MUX4.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타이밍 제어부는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신호(DDATA, BDATA)를 제1 내지 제3데이터신호(DAC1 Data, DAC2 Data, DAC3 Data)를 포함하는 컬러데이터신호(DDATA)와 블랙픽셀데이터(Black Pixel Data)를 포함하는 참조데이터신호(BDATA)로 구분하여 데이터 구동부(150)에 전송한다.As shown in FIG. 9B, the timing controll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lies the digital data signals DDATA and BDATA to the first to third data signals DAC1 Data, DAC2 Data, DAC3 And a reference data signal BDATA including black pixel data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data driver 150. [

이때, 제1 내지 제3데이터신호(DAC1 Data, DAC2 Data, DAC3 Data)를 포함하는 컬러데이터신호(DDATA)를 구성하는 데이터의 비트(bit)는 각 10 비트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블랙픽셀데이터(Black Pixel Data)를 포함하는 참조데이터신호(BDATA)를 구성하는 데이터의 비트는 컬러데이터신호(DDATA)보다 적어도 2비트 낮게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참조데이터신호(BDATA)를 구성하는 데이터의 비트는 2 ~ 8 비트로 설정된다.At this time, the bits of the data constituting the color data signal DDATA including the first to third data signals DAC1 Data, DAC2 Data, and DAC3 Data may be set to 10 bits each. And the bit of the data constituting the reference data signal BDATA including the black pixel data may be set to be at least two bits lower than the color data signal DDATA. For example, the bits of data constituting the reference data signal BDATA are set to 2 to 8 bits.

참조데이터신호(BDATA)를 구성하는 데이터의 비트가 2 비트로 설정된 경우,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신호(DDATA, BDATA)를 구성하는 총 데이터의 비트는 32비트가 된다. 즉,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호 체계로 데이터신호를 전송할 경우, 종래 기술 대비 최대 8비트를 절감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데이터 신호를 구성하는 데이터의 비트 수를 종래 기술 대비 절감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구동부의 입력 주파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When the bits of the data constituting the reference data signal BDATA are set to 2 bits, the bits of the total data constituting the digital data signals DDATA and BDATA are 32 bits. That is, when the data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ignal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p to 8 bits can be saved compared with the prior art. Therefore,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number of bits of the data constituting the data signal compared with the prior art, and thus can reduce the input frequency of the data driver.

앞서 설명하였듯이, 데이터 구동부(150)는 참조데이터신호(BDATA)의 데이터 상태에 대응하여 컬러데이터신호(DDATA)에 포함된 RGBW 데이터신호 중 3의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신호(ADATA)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data driver 150 converts the third data signal of the RGBW data signals included in the color data signal DDATA into the analog data signal ADATA in accordance with the data state of the reference data signal BDATA And outputs it.

컬러데이터신호(DDATA)의 제1 내지 제3데이터신호(DAC1 Data, DAC2 Data, DAC3 Data)는 표시 패널의 RGBW 서브 픽셀 중 선택된 3개의 서브 픽셀을 발광시키는 신호이다. 그리고 참조데이터신호(BDATA)의 블랙픽셀데이터(Black Pixel Data)는 표시 패널의 RGBW 서브 픽셀 중 비선택된 1개의 서브 픽셀을 비발광시키는 신호이다. 즉, 컬러데이터신호(DDATA)는 표시 패널에 컬러를 표현하는 데이터신호로 이용되지만, 참조데이터신호(BDATA)는 데이터 구동부(150)의 내부에 포함된 출력회로부를 제어하는 선택신호로 이용된다.The first to third data signals DAC1 Data, DAC2 Data, and DAC3 Data of the color data signal DDATA are signals for emitting three selected subpixels among the RGBW subpixels of the display panel. The black pixel data (BLOCK Pixel Data) of the reference data signal BDATA is a signal for causing one non-selected sub-pixel among the RGBW sub-pixels of the display panel to emit no light. That is, the color data signal DDATA is used as a data signal representing color on the display panel, but the reference data signal BDATA is used as a selection signal for controlling the output circuit portion included in the data driver 150.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150)는 타이밍 제어부로부터 위와 같은 체계로 구성된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신호(DDATA, BDATA)가 공급된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컬러데이터신호(DDATA)는 RGBW 데이터신호 중 선택된 3개의 데이터신호만 포함된다. 예컨대, 컬러데이터신호(DDATA)는 GBW 데이터신호, RBW 데이터신호, RGW 데이터신호, RGB 데이터신호 등과 같이 RGBW 데이터신호 중 하나가 제외된 형태가 된다.The data driver 15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lied with digital data signals DDATA and BDATA configured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from the timing controller. As described above, the color data signal DDATA includes only the three selected data signals out of the RGBW data signals. For example, the color data signal DDATA is a form in which one of the RGBW data signals, such as the GBW data signal, the RBW data signal, the RGW data signal, and the RGB data signal, is excluded.

타이밍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데이터신호의 체계가 이와 같음에 따라, 데이터 구동부(150)의 DA변환부(153)는 컬러데이터신호(DDATA)의 개수에 대응하여 3개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150)는 종래에 제안된 데이터 구동부 대비 표시 패널의 픽셀의 수(또는 해상도)가 증가할수록 DA변환부의 개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150)는 DA변환부의 개수를 줄일 수 있게 되므로 데이터 구동부의 크기를 작게 설계할 수 있음은 물론 설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The DA converter 153 of the data driver 150 includes three data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color data signals DDATA according to the same structure of the data signals output from the timing controller. Therefore, the data driver 15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rastically reduce the number of DA converters as the number of pixels (or resolution) of the display panel compared to the conventionally proposed data driver increases. In addition, since the data driver 15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number of DA converters, the size of the data driver can be reduced and the design cost can be reduced.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를 부가한다.Hereinafter, an example for facilitating understanding of the data driv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ded.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의 일부 구성 예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의 구동 예시도이다.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ata driv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driving example of a data driv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DA변환부(DAC1), 제2DA변환부(DAC2) 및 제3DA변환부(DAC3)는 각각 적어도 2개의 컬러에 대한 데이터신호를 선택적으로 입력받고 이들 중 하나의 컬러에 대한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한다.As shown in FIG. 10, the first DA converter DAC1, the second DA converter DAC2, and the third A converter DAC3 selectively receive data signals for at least two colors, Converts the data signal for color into an analog form.

예컨대, 제1DA변환부(DAC1)는 적색 또는 녹색 서브 픽셀을 구동하는 R 또는 G 데이터신호(R/G)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한다. 제2DA변환부(DAC2)는 녹색 또는 청색 서브 픽셀을 구동하는 G 또는 B 데이터신호(G/B)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한다. 제3DA변환부(DAC3)는 청색 또는 백색 서브 픽셀을 구동하는 B 또는 W 데이터신호(B/W)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한다.For example, the first DA converter DAC1 converts an R or G data signal (R / G) driving a red or green subpixel into an analog form. The second DA converter DAC2 converts the G or B data signal G / B driving the green or blue sub-pixel into an analog form. The third A / D converter DAC3 converts the B or W data signal (B / W) driving the blue or white subpixel into an analog form.

제1먹스부(MUX1)는 제1DA변환부(DAC1)의 출력단에 제1입력단이 연결되며 R 데이터신호의 출력을 활성화한다. 제2먹스부(MUX2)는 제2DA변환부(DAC2)의 출력단에 제1입력단이 연결되고 제1DA변환부(DAC1)의 출력단에 제2입력단이 연결되며 G 또는 B 데이터신호의 출력을 활성화한다. 제3먹스부(MUX3)는 제3DA변환부(DAC3)의 출력단에 제1입력단이 연결되고 제2DA변환부(DAC2)의 출력단에 제2입력단이 연결되며 B 또는 W 데이터신호의 출력을 활성화한다. 제4먹스부(MUX4)는 제3DA변환부(DAC3)의 출력단에 제2입력단이 연결되며 W 데이터신호의 출력을 활성화한다.The first multiplexer MUX1 has a first input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DA converter DAC1 and activates the output of the R data signal. The second multiplexer MUX2 has a first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DA converter DAC2 and a second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DA converter DAC1 to activate the output of the G or B data signal . The third multiplexer MUX3 has a first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third A / D converter DAC3 and a second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DA converter DAC2 to activate the output of the B or W data signal . The fourth input terminal MUX4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third A / D converter DAC3, and a second input terminal thereof is connected to activate the output of the W data signal.

제1 내지 제4먹스부(MUX1 ~ MUX4)의 제3입력단은 블랙전압을 공급하는 블랙전압라인(VOFF)에 모두 공통으로 연결된다. 블랙전압라인(VOFF)은 데이터 구동부의 내부 또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블랙전압을 전달한다. 블랙전압은 RGBW 서브 픽셀을 구동하는 계조전압 중 동일한 계조를 표현하면서 동일한 구동 전압을 갖는 신호로 설명될 수 있다. 블랙전압의 경우, 내부에서는 0과 같이 낮은값으로 인식되고 표시 패널(170) 상에서는 특정 서브 픽셀을 블랙으로 표시하게 된다. 블랙전압은 공통블랙전압 또는 공통계조전압 등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third input terminals of the first to fourth mux portions MUX1 to MUX4 are commonly connected to the black voltage line V OFF for supplying the black voltage. The black voltage line (V OFF ) carries the black voltage supplied from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data driver. The black voltage can be described as a signal having the same driving voltage while representing the same gray level among the gray voltage driving the RGBW subpixel. In the case of the black voltage, it is recognized as a value as low as 0 in the inside, and a specific sub pixel is displayed in black on the display panel 170. The black voltage may be defined as a common black voltage or a common gradation voltage or the like.

제1 내지 제4먹스부(MUX1 ~ MUX4)의 선택단은 참조데이터신호(BDATA)를 공급하는 참조데이터신호라인에 모두 공통으로 연결된다. 제1 내지 제4먹스부(MUX1 ~ MUX4)는 참조데이터신호(BDATA)를 선택신호로 이용한다. 제1 내지 제4먹스부(MUX1 ~ MUX4)는 참조데이터신호(BDATA)의 데이터 상태(또는 특성)에 대응하여 제1입력단을 통해 입력된 신호의 출력을 활성화하거나 제2입력단을 통해 입력된 신호의 출력을 활성화하거나, 제3입력단을 통해 입력된 신호의 출력을 활성화한다. 다만, 제1 내지 제4먹스부(MUX1 ~ MUX4) 중 하나는 참조데이터신호(BDATA)의 데이터 상태(또는 특성)에 대응하여 제3입력단을 통해 공급된 블랙전압을 출력한다.The selected terminals of the first to fourth multiplexers MUX1 to MUX4 are commonly connected to a reference data signal line for supplying the reference data signal BDATA. The first to fourth multiplexers MUX1 to MUX4 use the reference data signal BDATA as a selection signal. The first to fourth multiplexers MUX1 to MUX4 are activated to enable the output of the signal inputted through the first input terminal in response to the data state (or characteristic) of the reference data signal BDATA, Or activates the output of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third input terminal. However, one of the first to fourth multiplexers MUX1 to MUX4 outputs the black voltage supplied through the third input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data state (or characteristic) of the reference data signal BDATA.

제1증폭부(OP1)는 제1먹스부(MUX1)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며 R 데이터신호를 증폭한다. 제2증폭부(OP2)는 제2먹스부(MUX2)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며 G 데이터신호를 증폭한다. 제3증폭부(OP3)는 제3먹스부(MUX3)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며 B 데이터신호를 증폭한다. 제4증폭부(OP4)는 제4먹스부(MUX4)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며 W 데이터신호를 증폭한다.The first amplifying part OP1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mux part MUX1 and amplifies the R data signal. The second amplifying part OP2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mux part MUX2 and amplifies the G data signal. The third amplifying unit OP3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third multiplexer MUX3 and amplifies the B data signal. The fourth amplifying unit OP4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ourth mux portion MUX4 and amplifies the W data signal.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해를 돕고자 컬러데이터신호(DDATA)와 참조데이터신호(BDATA)의 데이터 상태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의 구동 예시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n example of driving the data driver according to the data states of the color data signal DDATA and the reference data signal BDATA will be described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의 (a)는 컬러데이터신호(DDATA)가 GBW 데이터신호로 구성되고, 참조데이터신호(BDATA)가 R 데이터신호(BDATA_r)로 구성된 경우 데이터 구동부의 구동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11A shows an example of driving the data driver when the color data signal DDATA is composed of a GBW data signal and the reference data signal BDATA is composed of an R data signal BDATA_r.

컬러데이터신호(DDATA)가 GBW 데이터신호로 구성되고, 참조데이터신호(BDATA)가 R 데이터신호(BDATA_r)로 구성된 경우, R 데이터신호 대신 블랙전압이 출력되도록 제1 내지 제4먹스부(MUX1 ~ MUX4) 등이 제어된다. 이 경우, 제1 내지 제3DA변환부(DAC1 ~ DAC3), 제1 내지 제4먹스부(MUX1 ~ MUX4) 및 제1 내지 제4증폭부(OP1 ~ OP4)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When the color data signal DDATA is composed of the GBW data signal and the reference data signal BDATA is composed of the R data signal BDATA_r, the first to fourth mux portions MUX1- MUX4) are controlled. In this case, the first to third A / D converters DAC1 to DAC3, the first to fourth multiplexers MUX1 to MUX4, and the first to fourth amplifiers OP1 to OP4 operate as follows.

제1DA변환부(DAC1)는 녹색 서브 픽셀을 구동하는 G 데이터신호(G)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한다. 제2먹스부(MUX2)는 제1DA변환부(DAC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2입력단이 활성화됨에 따라 G 데이터신호를 출력한다. 제2증폭부(OP2)는 제2먹스부(MUX2)로부터 출력된 G 데이터신호를 증폭한다.The first DA converter DAC1 converts the G data signal G driving the green subpixel into an analog form. The second multiplexer MUX2 outputs the G data signal as the second input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DA converter DAC1 is activated. The second amplifier OP2 amplifies the G data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multiplexer MUX2.

제2DA변환부(DAC2)는 청색 서브 픽셀을 구동하는 B 데이터신호(B)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한다. 제3먹스부(MUX3)는 제2DA변환부(DAC2)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2입력단이 활성화됨에 따라 B 데이터신호를 출력한다. 제3증폭부(OP3)는 제3먹스부(MUX3)로부터 출력된 B 데이터신호를 증폭한다.The second DA converter DAC2 converts the B data signal B driving the blue subpixel into an analog form. The third multiplexer MUX3 outputs the B data signal as the second input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DA converter DAC2 is activated. The third amplifying unit OP3 amplifies the B data signal outputted from the third multiplexing unit MUX3.

제3DA변환부(DAC3)는 백색 서브 픽셀을 구동하는 W 데이터신호(W)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한다. 제4먹스부(MUX4)는 제3DA변환부(DAC3)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2입력단이 활성화됨에 따라 W 데이터신호를 출력한다. 제4증폭부(OP4)는 제4먹스부(MUX4)로부터 출력된 W 데이터신호를 증폭한다.The third A / D converter DAC3 converts the W data signal W driving the white sub-pixel into an analog form. The fourth multiplexer MUX4 outputs the W data signal as the second input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third A / D converter DAC3 is activated. The fourth amplifying unit OP4 amplifies the W data signal output from the fourth mux portion MUX4.

반면, 제1먹스부(MUX1)는 선택신호가 R 데이터신호(BDATA_r)로 구성됨에 따라 제3입력단자를 통해 공급된 블랙전압(VOFF)를 출력한다. 이때, 제1먹스부(MUX1)로부터 출력된 블랙전압(VOFF)은 서브 픽셀을 비발광시키는 공통블랙전압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제1증폭부(OP1)는 블랙전압(VOFF)을 증폭하거나 증폭하지 않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multiplexer MUX1 outputs the black voltage (V OFF ) supplied through the third input terminal as the selection signal is composed of the R data signal (BDATA_r). At this time, the black voltage (V OFF ) output from the first multiplexer MUX1 corresponds to a common black voltage for causing the sub pixels to emit no light. Therefore, the first amplification unit OP1 may not amplify or amplify the black voltage V OFF .

도 11의 (b)는 컬러데이터신호(DDATA)가 RBW 데이터신호로 구성되고, 참조데이터신호(BDATA)가 G 데이터신호(BDATA_g)로 구성된 경우 데이터 구동부의 구동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11B shows an example of driving the data driver when the color data signal DDATA is composed of the RBW data signal and the reference data signal BDATA is composed of the G data signal BDATA_g.

컬러데이터신호(DDATA)가 RBW 데이터신호로 구성되고, 참조데이터신호(BDATA)가 G 데이터신호(BDATA_g)로 구성된 경우, G 데이터신호 대신 블랙전압이 출력되도록 제1 내지 제4먹스부(MUX1 ~ MUX4) 등이 제어된다. 이 경우, 제1 내지 제3DA변환부(DAC1 ~ DAC3), 제1 내지 제4먹스부(MUX1 ~ MUX4) 및 제1 내지 제4증폭부(OP1 ~ OP4)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When the color data signal DDATA is composed of the RBW data signal and the reference data signal BDATA is composed of the G data signal BDATA_g, MUX4) are controlled. In this case, the first to third A / D converters DAC1 to DAC3, the first to fourth multiplexers MUX1 to MUX4, and the first to fourth amplifiers OP1 to OP4 operate as follows.

제1DA변환부(DAC1)는 적색 서브 픽셀을 구동하는 R 데이터신호(R)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한다. 제1먹스부(MUX1)는 제1DA변환부(DAC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1입력단이 활성화됨에 따라 R 데이터신호를 출력한다. 제1증폭부(OP1)는 제1먹스부(MUX1)로부터 출력된 R 데이터신호를 증폭한다.The first DA converter DAC1 converts the R data signal R driving the red sub-pixel into an analog form. The first multiplexer MUX1 outputs the R data signal as the first input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DA converter DAC1 is activated. The first amplifying unit OP1 amplifies the R data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multiplexer MUX1.

제2DA변환부(DAC2)는 청색 서브 픽셀을 구동하는 B 데이터신호(B)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한다. 제3먹스부(MUX3)는 제2DA변환부(DAC2)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2입력단을 활성화하고 B 데이터신호를 출력한다. 제3증폭부(OP3)는 제3먹스부(MUX3)로부터 출력된 B 데이터신호를 증폭한다.The second DA converter DAC2 converts the B data signal B driving the blue subpixel into an analog form. The third multiplexer MUX3 activates a second input connected to the output of the second DA converter DAC2 and outputs a B data signal. The third amplifying unit OP3 amplifies the B data signal outputted from the third multiplexing unit MUX3.

제3DA변환부(DAC3)는 백색 서브 픽셀을 구동하는 W 데이터신호(W)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한다. 제4먹스부(MUX4)는 제3DA변환부(DAC3)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2입력단이 활성화됨에 따라 W 데이터신호를 출력한다. 제4증폭부(OP4)는 제4먹스부(MUX4)로부터 출력된 W 데이터신호를 증폭한다.The third A / D converter DAC3 converts the W data signal W driving the white sub-pixel into an analog form. The fourth multiplexer MUX4 outputs the W data signal as the second input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third A / D converter DAC3 is activated. The fourth amplifying unit OP4 amplifies the W data signal output from the fourth mux portion MUX4.

반면, 제2먹스부(MUX2)는 선택신호가 G 데이터신호(BDATA_g)로 구성됨에 따라 제3입력단자를 통해 공급된 블랙전압(VOFF)을 출력한다. 이때, 제2먹스부(MUX2)로부터 출력된 블랙전압(VOFF)은 서브 픽셀을 비발광시키는 공통블랙전압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제2증폭부(OP2)는 블랙전압(VOFF)을 증폭하거나 증폭하지 않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multiplexer MUX2 outputs the black voltage V OFF supplied through the third input terminal as the selection signal is composed of the G data signal BDATA_g. At this time, the black voltage (V OFF ) output from the second mux portion MUX2 corresponds to a common black voltage that causes the sub pixels to emit no light. Therefore, the second amplification unit OP2 may not amplify or amplify the black voltage V OFF .

도 11의 (c)는 컬러데이터신호(DDATA)가 RGW 데이터신호로 구성되고, 참조데이터신호(BDATA)가 B 데이터신호(BDATA_b)로 구성된 경우 데이터 구동부의 구동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11C shows an example of driving the data driver when the color data signal DDATA is composed of the RGW data signal and the reference data signal BDATA is composed of the B data signal BDATA_b.

컬러데이터신호(DDATA)가 RGW 데이터신호로 구성되고, 참조데이터신호(BDATA)가 B 데이터신호(BDATA_b)로 구성된 경우, B 데이터신호 대신 블랙전압이 출력되도록 제1 내지 제4먹스부(MUX1 ~ MUX4) 등이 제어된다.When the color data signal DDATA is composed of the RGW data signal and the reference data signal BDATA is composed of the B data signal BDATA_b, the first to fourth multiplexers MUX1 to MUX are arranged so that the black voltage is outputted instead of the B data signal. MUX4) are controlled.

도 11의 (c)에 도시된 데이터 구동부의 구동 예시는 도 11의 (a) 및 (b)의 설명을 통해 유추할 수 있으므로, 제1 내지 제3DA변환부(DAC1 ~ DAC3)와 제3먹스부(MUX3)에 대한 설명만 기재하면 다음과 같다.11A and 11B can be inferred through the description of FIGS. 11A and 11B, the first to third A / D converters DAC1 to DAC3 and the third mux (MUX3)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제1DA변환부(DAC1)는 적색 서브 픽셀을 구동하는 R 데이터신호(R)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한다. 제2DA변환부(DAC2)는 녹색 서브 픽셀을 구동하는 G 데이터신호(G)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한다. 제3DA변환부(DAC3)는 백색 서브 픽셀을 구동하는 W 데이터신호(W)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한다.The first DA converter DAC1 converts the R data signal R driving the red sub-pixel into an analog form. The second DA converter DAC2 converts the G data signal G driving the green subpixel into an analog form. The third A / D converter DAC3 converts the W data signal W driving the white sub-pixel into an analog form.

제3먹스부(MUX3)는 선택신호가 B 데이터신호(BDATA_b)로 구성됨에 따라 제3입력단자를 통해 공급된 블랙전압(VOFF)을 출력한다. 이때, 제3먹스부(MUX3)로부터 출력된 블랙전압(VOFF)은 서브 픽셀을 비발광시키는 공통블랙전압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제3증폭부(OP3)는 블랙전압(VOFF)을 증폭하거나 증폭하지 않을 수 있다.The third mux portion MUX3 outputs the black voltage V OFF supplied through the third input terminal as the selection signal is composed of the B data signal BDATA_b. At this time, the black voltage (V OFF ) output from the third mux portion MUX3 corresponds to a common black voltage for causing the sub pixels to emit no light. Therefore, the third amplifying unit OP3 may not amplify or amplify the black voltage V OFF .

도 11의 (d)는 컬러데이터신호(DDATA)가 RGB 데이터신호로 구성되고, 참조데이터신호(BDATA)가 W 데이터신호(BDATA_w)로 구성된 경우 데이터 구동부의 구동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11D shows an example of driving the data driver when the color data signal DDATA is composed of an RGB data signal and the reference data signal BDATA is composed of a W data signal BDATA_w.

컬러데이터신호(DDATA)가 RGB 데이터신호로 구성되고, 참조데이터신호(BDATA)가 W 데이터신호(BDATA_w)로 구성된 경우, W 데이터신호 대신 블랙전압이 출력되도록 제1 내지 제4먹스부(MUX1 ~ MUX4) 등이 제어된다.When the color data signal DDATA is constituted by the RGB data signal and the reference data signal BDATA is constituted by the W data signal BDATA_w, the first through fourth multiplexers MUX1- MUX4) are controlled.

도 11의 (d)에 도시된 데이터 구동부의 구동 예시는 도 11의 (a) 및 (b)의 설명을 통해 유추할 수 있으므로, 제1 내지 제3DA변환부(DAC1 ~ DAC3)와 제4먹스부(MUX3)에 대한 설명만 기재하면 다음과 같다.11A and 11B can be inferred from the description of FIGS. 11A and 11B. Therefore, the first to third A / D converters DAC1 to DAC3 and the fourth mux (MUX3)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제1DA변환부(DAC1)는 적색 서브 픽셀을 구동하는 R 데이터신호(R)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한다. 제2DA변환부(DAC2)는 녹색 서브 픽셀을 구동하는 G 데이터신호(G)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한다. 제3DA변환부(DAC3)는 청색 서브 픽셀을 구동하는 B 데이터신호(B)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한다.The first DA converter DAC1 converts the R data signal R driving the red sub-pixel into an analog form. The second DA converter DAC2 converts the G data signal G driving the green subpixel into an analog form. The third 3DA converter DAC3 converts the B data signal B driving the blue subpixel into an analog form.

제4먹스부(MUX4)는 선택신호가 W 데이터신호(BDATA_w)로 구성됨에 따라 제3입력단자를 통해 공급된 블랙전압(VOFF)을 출력한다. 이때, 제4먹스부(MUX4)로부터 출력된 블랙전압(VOFF)은 서브 픽셀을 비발광시키는 공통블랙전압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제4증폭부(OP4)는 블랙전압(VOFF)을 증폭하거나 증폭하지 않을 수 있다.The fourth mux portion MUX4 outputs the black voltage V OFF supplied through the third input terminal as the selection signal is composed of the W data signal BDATA_w. At this time, the black voltage (V OFF ) output from the fourth mux portion MUX 4 corresponds to a common black voltage which causes the sub pixels to emit no light. Therefore, the fourth amplifying unit OP4 may not amplify or amplify the black voltage V OFF .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DA변환부의 후단에 먹스부가 위치하고, 먹스부의 후단에 증폭부가 위치하는 것을 일례로 하였다. 그러나, 먹스부와 증폭부의 위치는 하기의 제2실시예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ux portion is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DA conversion portion and the amplification portion is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mux portion. However, the positions of the mux portion and the amplification portion can be changed as in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below.

<제2실시예>&Lt; Embodiment 2 >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데이터신호를 출력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데이터 구동부에 포함된 먹스부와 증폭부의 위치 및 접속 관계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대비 상이한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나머지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한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 data signal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However,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at the positions and connection relationships of the mux part and the amplifying part included in the data driver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rest are shown in Figs. 1 to 7 do.

이하, 데이터 구동부(150)에 포함된 1개의 픽셀 구동부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 비교 설명을 한다.Hereinafter, a comparison between the prior art and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pixel driver included in the data driver 150. [

도 12는 종래 데이터 구동부의 일부 구성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의 일부 구성 간의 비교 예시도이다.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parison between a part of the conventional data driver and a part of the data driv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150)는 1개의 픽셀 구동부가 DA변환부(153)와 출력회로부(155)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DA변환부(153)는 적색 DA변환부(R DAC), 녹색 DAC변환부(G DAC), 청색 DA변환부(B DAC) 및 백색 DAC변환부(W DAC)로 구성된다. 적색 DA변환부(R DAC)는 적색 서브 픽셀을 구동하는 R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한다. 녹색 DAC변환부(G DAC)는 녹색 서브 픽셀을 구동하는 G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한다. 청색 DA변환부(B DAC)는 청색 서브 픽셀을 구동하는 B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한다. 백색 DAC변환부(W DAC)는 백색 서브 픽셀을 구동하는 W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한다.As shown in FIG. 12 (a), the data driver 150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cludes a DA converter 153 and an output circuit 155. Specifically, the DA converter 153 includes a red DA converter R DAC, a green DAC converter G DAC, a blue DA converter B DAC, and a white DAC converter W DAC. The red DA converter R DAC converts the R data signal driving the red sub-pixel into an analog form. The green DAC conversion unit G DAC converts the G data signal driving the green subpixel into an analog form. The blue DA converter (B DAC) converts the B data signal driving the blue subpixel into analog form. The white DAC converter W DAC converts the W data signal driving the white sub-pixel into an analog form.

출력회로부(155)는 제1증폭부(OP1), 제2증폭부(OP2), 제3증폭부(OP3) 및 제4증폭부(OP4)로 구성된다. 제1증폭부(OP1)는 적색 DAC변환부(R DAC)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며 R 데이터신호를 증폭한다. 제2증폭부(OP2)는 녹색 DAC변환부(G DAC)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며 G 데이터신호를 증폭한다. 제3증폭부(OP3)는 청색 DA변환부(B DAC)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며 B 데이터신호를 증폭한다. 제4증폭부(OP4)는 백색 DAC변환부(W DAC)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며 W 데이터신호를 증폭한다.The output circuit unit 155 includes a first amplifying unit OP1, a second amplifying unit OP2, a third amplifying unit OP3, and a fourth amplifying unit OP4. The first amplifying unit OP1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red DAC converting unit R DAC and amplifies the R data signal. The second amplifying unit OP2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green DAC converting unit G DAC and amplifies the G data signal. The third amplifying unit OP3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blue DA converting unit B DAC and amplifies the B data signal. The fourth amplifying unit OP4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white DAC converting unit W DAC and amplifies the W data signal.

도 9의 (a)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150)는 타이밍 제어부로부터 위와 같은 체계로 구성된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신호(DDATA)가 공급되므로, 4개의 DA변환부(153)와 4개의 출력회로부(155) 등을 필요로 하게 된다.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A, since the data driver 150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supplies a digital data signal DDATA configured in the above-described scheme from the timing controller, four DA converters 153 And four output circuit units 155 and the like.

데이터 구동부(150)는 RGBW 데이터신호(Red Data, Green Data, Blue Data, White Data)의 개수에 대응하여 구성된 4개의 DA변환부(153)와 4개의 출력회로부(155) 등을 이용하여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신호(DDATA)를 아날로그 형태의 RGBW 데이터신호(ADATA)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된다.The data driver 150 generates a digital signal by using four DA converters 153 and four output circuit units 155 configur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RGBW data signals (Red Data, Green Data, Blue Data, and White Data) Converts the data signal DDATA of the analog RGBW data signal ADATA into an analog RGBW data signal ADATA and outputs the RGBW data signal ADATA.

데이터 구동부(150) 설계시, DA변환부(153)는 데이터 구동부(150) 내에서 다른 회로들 대비 가장 많은 면적을 차지한다. 그러므로, 종래 기술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150)는 DA변환부(153)의 개수 증가로 RGB 데이터신호만 사용하는 데이터 구동부 대비 데이터 구동부의 크기가 크고, 제작시 고비용을 초래하게 된다.In designing the data driver 150, the DA converter 153 occupies the largest area in the data driver 150 compared to other circuits. Therefore, the data driver 150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 large size of the data driver compared to the data driver using only the RGB data signals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DA converters 153, resulting in high manufacturing costs.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150)는 1개의 픽셀 구동부가 DA변환부(153)와 출력회로부(155)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DA변환부(153)는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 서브 픽셀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제1DA변환부(DAC1), 제2DA변환부(DAC2) 및 제3DA변환부(DAC3)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2 (b), the data driver 15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 converter 153 and an output circuit 155. Specifically, the DA converter 153 includes a first DA converter DAC1, a second DA converter DAC2, and a third A converter DAC3 that selectively drive the red, green, blue, and white subpixels .

제1DA변환부(DAC1), 제2DA변환부(DAC2) 및 제3DA변환부(DAC3)는 각각 적어도 2개의 컬러에 대한 데이터신호를 선택적으로 입력받고 이들 중 하나의 컬러에 대한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한다.The first DA converter DAC1, the second DA converter DAC2, and the third A converter DAC3 selectively receive data signals for at least two colors, and convert the data signals for one of the colors into an analog form .

출력회로부(155)는 증폭부(155a)와 먹스부(155b)를 포함한다. 증폭부(155a)는 제1증폭부(OP1), 제2증폭부(OP2) 및 제3증폭부(OP3)로 구성된다. 제1증폭부(OP1)는 제1DA변환부(DAC1)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된다. 제2증폭부(OP2)는 제2DA변환부(DAC2)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된다. 제3증폭부(OP3)는 제3DA변환부(DAC3)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된다.The output circuit section 155 includes an amplification section 155a and a mux section 155b. The amplifying unit 155a includes a first amplifying unit OP1, a second amplifying unit OP2, and a third amplifying unit OP3. The first amplifying unit OP1 has its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DA converting unit DAC1. The second amplifying unit OP2 has its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DA converting unit DAC2. The third amplifying unit OP3 has its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third A / D converting unit DAC3.

먹스부(155b)는 제1먹스부(MUX1), 제2먹스부(MUX2), 제3먹스부(MUX2) 및 제4먹스부(MUX4)로 구성된다. 제1먹스부(MUX1)는 제1증폭부(OP1)의 출력단에 제1입력단이 연결된다. 제2먹스부(MUX2)는 제2증폭부(OP2)의 출력단에 제1입력단이 연결되고 제1증폭부(OP1)의 출력단에 제2입력단이 연결된다. 제3먹스부(MUX3)는 제3증폭부(OP3)의 출력단에 제1입력단이 연결되고 제2증폭부(OP2)의 출력단에 제2입력단이 연결된다. 제4먹스부(MUX4)는 제3증폭부(OP3)의 출력단에 제2입력단이 연결된다.The mux portion 155b is composed of a first mux portion MUX1, a second mux portion MUX2, a third mux portion MUX2, and a fourth mux portion MUX4. The first input terminal MUX1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OP1. The second input terminal MUX2 has a first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amplifier OP2 and a second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OP1. The third input terminal MUX3 has a first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third amplifier OP3 and a second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amplifier OP2. The fourth input terminal MUX4 has a second input terminal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third amplifier OP3.

제1 내지 제4먹스부(MUX1 ~ MUX4)의 제3입력단은 블랙전압을 전달하는 블랙전압라인(VOFF)에 모두 공통으로 연결된다. 제1 내지 제4먹스부(MUX1 ~ MUX4)의 선택단은 참조데이터신호(BDATA)를 전달하는 참조데이터신호라인에 모두 공통으로 연결된다. 한편, 위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먹스부(155b)라고 표현하였다. 그러나, 이는 특정 선택신호에 대응하여 특정 데이터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회로(예컨대; 트랜지스터 등)로 구성될 수 있는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third input terminals of the first to fourth multiplexers MUX1 to MUX4 are commonly connected to the black voltage line V OFF which carries the black voltage. The selected terminals of the first to fourth multiplexers MUX1 to MUX4 are commonly connected to the reference data signal line for transmitting the reference data signal BDATA. On the other hand, the above description is referred to as a mux portion 155b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s it can be composed of a circuit (for example, a transistor or the like) capable of outputting a specific data signal in response to a specific selection signal.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150)는 타이밍 제어부로부터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체계(도 9의 설명 참조)로 구성된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신호(DDATA, BDATA)가 공급된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컬러데이터신호(DDATA)는 RGBW 데이터신호 중 선택된 3개의 데이터신호를 포함한다. 예컨대, 컬러데이터신호(DDATA)는 GBW 데이터신호, RBW 데이터신호, RGW 데이터신호, RGB 데이터신호 등과 같이 RGBW 데이터신호 중 하나가 제외된 형태가 된다. 참조데이터신호(BDATA)는 RGBW 데이터신호 중 비선택된 1개의 데이터신호를 포함한다.The data driver 15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lied with the data signals DDATA and BDATA in digital form composed of a scheme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see the description of FIG. 9) from the timing controller . As described above, the color data signal DDATA includes three data signals selected from RGBW data signals. For example, the color data signal DDATA is a form in which one of the RGBW data signals, such as the GBW data signal, the RBW data signal, the RGW data signal, and the RGB data signal, is excluded. The reference data signal BDATA includes one data signal that is not selected among RGBW data signals.

타이밍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데이터신호의 체계가 이와 같음에 따라, 데이터 구동부(150)의 DA변환부(153)는 컬러데이터신호(DDATA)의 개수에 대응하여 3개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150)는 종래에 제안된 데이터 구동부 대비 표시 패널의 픽셀의 수(또는 해상도)가 증가할수록 DA변환부 및 증폭부의 개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150)는 DA변환부 및 증폭부의 개수를 줄일 수 있게 되므로 데이터 구동부의 크기를 작게 설계할 수 있음은 물론 설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The DA converter 153 of the data driver 150 includes three data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color data signals DDATA according to the same structure of the data signals output from the timing controller. Therefore, the data driver 15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rastically reduce the number of DA converters and amplifiers as the number of pixels (or resolution) of the display panel compared to the conventionally proposed data driver . In addition, since the data driver 15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number of DA converters and amplifiers, the size of the data driver can be reduced and the design cost can be reduced.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를 부가한다.Hereinafter, an example for facilitating understanding of the data driv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ded.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의 일부 구성 예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의 구동 예시도이다.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ata driv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driving example of a data driv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DA변환부(DAC1), 제2DA변환부(DAC2) 및 제3DA변환부(DAC3)는 각각 적어도 2개의 컬러에 대한 데이터신호를 선택적으로 입력받고 이들 중 하나의 컬러에 대한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한다.As shown in FIG. 13, the first DA converter DAC1, the second DA converter DAC2, and the third A converter DAC3 selectively receive data signals for at least two colors, Converts the data signal for color into an analog form.

예컨대, 제1DA변환부(DAC1)는 적색 또는 녹색 서브 픽셀을 구동하는 R 또는 G 데이터신호(R/G)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한다. 제2DA변환부(DAC2)는 녹색 또는 청색 서브 픽셀을 구동하는 G 또는 B 데이터신호(G/B)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한다. 제3DA변환부(DAC3)는 청색 또는 백색 서브 픽셀을 구동하는 B 또는 W 데이터신호(B/W)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한다.For example, the first DA converter DAC1 converts an R or G data signal (R / G) driving a red or green subpixel into an analog form. The second DA converter DAC2 converts the G or B data signal G / B driving the green or blue sub-pixel into an analog form. The third A / D converter DAC3 converts the B or W data signal (B / W) driving the blue or white subpixel into an analog form.

제1증폭부(OP1)는 제1DA변환부(DAC1)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며 R 또는 G 데이터신호(R/G)를 증폭한다. 제2증폭부(OP2)는 제2DA변환부(DAC2)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며 G 또는 B 데이터신호(G/B)를 증폭한다. 제3증폭부(OP3)는 제3DA변환부(DAC3)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며 B 또는 W 데이터신호(B/W)를 증폭한다.The first amplifying unit OP1 is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DA converting unit DAC1 and amplifies the R or G data signal R / G. The second amplifying unit OP2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DA converting unit DAC2 and amplifies the G or B data signal G / B. The third amplifying unit OP3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third A / D converting unit DAC3 and amplifies the B or W data signal B / W.

제1먹스부(MUX1)는 제1증폭부(OP1)의 출력단에 제1입력단이 연결되며 R 데이터신호의 출력을 활성화한다. 제2먹스부(MUX2)는 제2증폭부(OP2)의 출력단에 제1입력단이 연결되고 제1증폭부(OP1)의 출력단에 제2입력단이 연결되며 G 또는 B 데이터신호의 출력을 활성화한다. 제3먹스부(MUX3)는 제3증폭부(OP3)의 출력단에 제1입력단이 연결되고 제2증폭부(OP2)의 출력단에 제2입력단이 연결되며 B 또는 W 데이터신호의 출력을 활성화한다. 제4먹스부(MUX4)는 제3증폭부(OP3)의 출력단에 제2입력단이 연결되며 W 데이터신호의 출력을 활성화한다. A first input terminal of the first multiplexer MUX1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OP1, and the output of the R data signal is activated. The second mux section MUX2 has a first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amplifier OP2 and a second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OP1 to activate the output of the G or B data signal . The third mux section MUX3 has a first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third amplifier OP3 and a second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amplifier OP2 to activate the output of the B or W data signal . The fourth input terminal MUX4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third amplifier OP3, and the second input terminal thereof is connected to activate the output of the W data signal.

제1 내지 제4먹스부(MUX1 ~ MUX4)의 제3입력단은 블랙전압을 전달하는 블랙전압신호라인(VOFF)에 모두 공통으로 연결된다. 제1 내지 제4먹스부(MUX1 ~ MUX4)의 선택단은 참조데이터신호(BDATA)를 전달하는 참조데이터신호라인에 모두 공통으로 연결된다.The third input terminals of the first to fourth multiplexers MUX1 to MUX4 are commonly connected to the black voltage signal line V OFF which carries the black voltage. The selected terminals of the first to fourth multiplexers MUX1 to MUX4 are commonly connected to the reference data signal line for transmitting the reference data signal BDATA.

제1 내지 제4먹스부(MUX1 ~ MUX4)는 참조데이터신호(BDATA)를 선택신호로 이용한다. 제1 내지 제4먹스부(MUX1 ~ MUX4)는 참조데이터신호(BDATA)의 데이터 상태(또는 특성)에 대응하여 제1입력단을 통해 입력된 신호의 출력을 활성화하거나 제2입력단을 통해 입력된 신호의 출력을 활성화하거나 제3입력단을 통해 입력된 신호의 출력을 활성화한다. 다만, 제1 내지 제4먹스부(MUX1 ~ MUX4) 중 하나는 참조데이터신호(BDATA)의 데이터 상태(또는 특성)에 대응하여 제3입력단을 통해 공급된 블랙전압을 출력한다.The first to fourth multiplexers MUX1 to MUX4 use the reference data signal BDATA as a selection signal. The first to fourth multiplexers MUX1 to MUX4 are activated to enable the output of the signal inputted through the first input terminal in response to the data state (or characteristic) of the reference data signal BDATA, Or activates the output of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third input terminal. However, one of the first to fourth multiplexers MUX1 to MUX4 outputs the black voltage supplied through the third input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data state (or characteristic) of the reference data signal BDATA.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해를 돕고자 컬러데이터신호(DDATA)와 참조데이터신호(BDATA)의 데이터 상태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의 구동 예시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n example of driving the data driver according to the data states of the color data signal DDATA and the reference data signal BDATA will be described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의 (a)는 컬러데이터신호(DDATA)가 GBW 데이터신호로 구성되고, 참조데이터신호(BDATA)가 R 데이터신호(BDATA_r)로 구성된 경우 데이터 구동부의 구동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14A shows an example of driving the data driver when the color data signal DDATA is composed of a GBW data signal and the reference data signal BDATA is composed of an R data signal BDATA_r.

컬러데이터신호(DDATA)가 GBW 데이터신호로 구성되고, 참조데이터신호(BDATA)가 R 데이터신호(BDATA_r)로 구성된 경우, R 데이터신호 대신 블랙전압이 출력되도록 제1 내지 제4먹스부(MUX1 ~ MUX4) 등이 제어된다. 이 경우, 제1 내지 제3DA변환부(DAC1 ~ DAC3), 제1 내지 제3증폭부(OP1 ~ OP3) 및 제1 내지 제4먹스부(MUX1 ~ MUX4)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When the color data signal DDATA is composed of the GBW data signal and the reference data signal BDATA is composed of the R data signal BDATA_r, the first to fourth mux portions MUX1- MUX4) are controlled. In this case, the first through third A / D converters DAC1 through DAC3, the first through third amplifiers OP1 through OP3, and the first through fourth multiplexers MUX1 through MUX4 operate as follows.

제1DA변환부(DAC1)는 녹색 서브 픽셀을 구동하는 G 데이터신호(G)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한다. 제1증폭부(OP1)는 제1DA변환부(DAC1)로부터 출력된 G 데이터신호를 증폭한다. 제2먹스부(MUX2)는 제1증폭부(OP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2입력단이 활성화됨에 따라 G 데이터신호를 출력한다.The first DA converter DAC1 converts the G data signal G driving the green subpixel into an analog form. The first amplifier OP1 amplifies the G data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DA converter DAC1. The second multiplexer MUX2 outputs the G data signal as the second input connected to the output of the first amplifier OP1 is activated.

제2DA변환부(DAC2)는 청색 서브 픽셀을 구동하는 B 데이터신호(B)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한다. 제2증폭부(OP2)는 제2DA변환부(DAC2)로부터 출력된 B 데이터신호를 증폭한다. 제3먹스부(MUX3)는 제2증폭부(OP2)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2입력단이 활성화됨에 따라 B 데이터신호를 출력한다.The second DA converter DAC2 converts the B data signal B driving the blue subpixel into an analog form. The second amplification unit OP2 amplifies the B data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DA conversion unit DAC2. The third multiplexer MUX3 outputs the B data signal as the second input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amplifier OP2 is activated.

제3DA변환부(DAC3)는 백색 서브 픽셀을 구동하는 W 데이터신호(W)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한다. 제3증폭부(OP3)는 제3DA변환부(DAC3)로부터 출력된 W 데이터신호를 증폭한다. 제4먹스부(MUX4)는 제3증폭부(OP3)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2입력단이 활성화됨에 따라 W 데이터신호를 출력한다.The third A / D converter DAC3 converts the W data signal W driving the white sub-pixel into an analog form. The third amplifier OP3 amplifies the W data signal output from the third A / D converter DAC3. The fourth mux section MUX4 outputs a W data signal as the second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third amplifier section OP3 is activated.

반면, 제1먹스부(MUX1)는 선택신호가 R 데이터신호(BDATA_r)로 구성됨에 따라 제3입력단자를 통해 공급된 블랙전압(VOFF)을 출력한다. 이때, 제1먹스부(MUX1)로부터 출력된 블랙전압(VOFF)은 서브 픽셀을 비발광시키는 공통블랙전압에 해당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multiplexer MUX1 outputs the black voltage V OFF supplied through the third input terminal as the selection signal is composed of the R data signal BDATA_r. At this time, the black voltage (V OFF ) output from the first multiplexer MUX1 corresponds to a common black voltage for causing the sub pixels to emit no light.

도 14의 (b)는 컬러데이터신호(DDATA)가 RBW 데이터신호로 구성되고, 참조데이터신호(BDATA)가 G 데이터신호(BDATA_g)로 구성된 경우 데이터 구동부의 구동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14B shows an example of driving the data driver when the color data signal DDATA is composed of the RBW data signal and the reference data signal BDATA is composed of the G data signal BDATA_g.

컬러데이터신호(DDATA)가 RBW 데이터신호로 구성되고, 참조데이터신호(BDATA)가 G 데이터신호(BDATA_g)로 구성된 경우, G 데이터신호 대신 블랙전압이 출력되도록 제1 내지 제4먹스부(MUX1 ~ MUX4) 등이 제어된다. 이 경우, 제1 내지 제3DA변환부(DAC1 ~ DAC3), 제1 내지 제3증폭부(OP1 ~ OP3) 및 제1 내지 제4먹스부(MUX1 ~ MUX4)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When the color data signal DDATA is composed of the RBW data signal and the reference data signal BDATA is composed of the G data signal BDATA_g, MUX4) are controlled. In this case, the first through third A / D converters DAC1 through DAC3, the first through third amplifiers OP1 through OP3, and the first through fourth multiplexers MUX1 through MUX4 operate as follows.

제1DA변환부(DAC1)는 적색 서브 픽셀을 구동하는 R 데이터신호(R)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한다. 제1증폭부(OP1)는 제1DA변환부(DAC1)로부터 출력된 R 데이터신호를 증폭한다. 제1먹스부(MUX1)는 제1증폭부(OP1)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1입력단이 활성화됨에 따라 R 데이터신호를 출력한다. The first DA converter DAC1 converts the R data signal R driving the red sub-pixel into an analog form. The first amplifier OP1 amplifies the R data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DA converter DAC1. The first multiplexer MUX1 outputs the R data signal as the first input connected to the output of the first amplifier OP1 is activated.

제2DA변환부(DAC2)는 청색 서브 픽셀을 구동하는 B 데이터신호(B)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한다. 제2증폭부(OP2)는 제2DA변환부(DAC2)로부터 출력된 B 데이터신호를 증폭한다. 제3먹스부(MUX3)는 제2증폭부(OP2)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2입력단이 활성화됨에 따라 B 데이터신호를 출력한다. The second DA converter DAC2 converts the B data signal B driving the blue subpixel into an analog form. The second amplification unit OP2 amplifies the B data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DA conversion unit DAC2. The third multiplexer MUX3 outputs the B data signal as the second input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amplifier OP2 is activated.

제3DA변환부(DAC3)는 백색 서브 픽셀을 구동하는 W 데이터신호(W)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한다. 제3증폭부(OP3)는 제3DA변환부(DAC3)로부터 출력된 W 데이터신호를 증폭한다. 제4먹스부(MUX4)는 제3증폭부(OP3)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2입력단이 활성화됨에 따라 W 데이터신호를 출력한다. The third A / D converter DAC3 converts the W data signal W driving the white sub-pixel into an analog form. The third amplifier OP3 amplifies the W data signal output from the third A / D converter DAC3. The fourth mux section MUX4 outputs a W data signal as the second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third amplifier section OP3 is activated.

반면, 제2먹스부(MUX2)는 선택신호가 G 데이터신호(BDATA_g)로 구성됨에 따라 제3입력단자를 통해 공급된 블랙전압(VOFF)을 출력한다. 이때, 제2먹스부(MUX2)로부터 출력된 블랙전압(VOFF)은 서브 픽셀을 비발광시키는 공통블랙전압에 해당한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multiplexer MUX2 outputs the black voltage V OFF supplied through the third input terminal as the selection signal is composed of the G data signal BDATA_g. At this time, the black voltage (V OFF ) output from the second mux portion MUX2 corresponds to a common black voltage that causes the sub pixels to emit no light.

도 14의 (c)는 컬러데이터신호(DDATA)가 RGW 데이터신호로 구성되고, 참조데이터신호(BDATA)가 B 데이터신호(BDATA_b)로 구성된 경우 데이터 구동부의 구동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FIG. 14C shows an example of driving the data driver when the color data signal DDATA is composed of the RGW data signal and the reference data signal BDATA is composed of the B data signal BDATA_b.

컬러데이터신호(DDATA)가 RGW 데이터신호로 구성되고, 참조데이터신호(BDATA)가 B 데이터신호(BDATA_b)로 구성된 경우, B 데이터신호 대신 블랙전압이 출력되도록 제1 내지 제4먹스부(MUX1 ~ MUX4) 등이 제어된다. When the color data signal DDATA is composed of the RGW data signal and the reference data signal BDATA is composed of the B data signal BDATA_b, the first to fourth multiplexers MUX1 to MUX are arranged so that the black voltage is outputted instead of the B data signal. MUX4) are controlled.

도 14의 (c)에 도시된 데이터 구동부의 구동 예시는 도 14의 (a) 및 (b)의 설명을 통해 유추할 수 있으므로, 제1 내지 제3DA변환부(DAC1 ~ DAC3)와 제3먹스부(MUX3)에 대한 설명만 기재하면 다음과 같다.Since the driving example of the data driver shown in FIG. 14C can be inferred from the description of FIGS. 14A and 14B, the first to third A / D converters DAC1 to DAC3, (MUX3)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제1DA변환부(DAC1)는 적색 서브 픽셀을 구동하는 R 데이터신호(R)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한다. 제2DA변환부(DAC2)는 녹색 서브 픽셀을 구동하는 G 데이터신호(G)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한다. 제3DA변환부(DAC3)는 백색 서브 픽셀을 구동하는 W 데이터신호(W)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한다.The first DA converter DAC1 converts the R data signal R driving the red sub-pixel into an analog form. The second DA converter DAC2 converts the G data signal G driving the green subpixel into an analog form. The third A / D converter DAC3 converts the W data signal W driving the white sub-pixel into an analog form.

제3먹스부(MUX3)는 선택신호가 B 데이터신호(BDATA_b)로 구성됨에 따라 제3입력단자를 통해 공급된 블랙전압(VOFF) 출력한다. 이때, 제3먹스부(MUX3)로부터 출력된 블랙전압(VOFF)은 서브 픽셀을 비발광시키는 공통블랙전압에 해당한다.The third mux portion MUX3 outputs the black voltage V OFF supplied through the third input terminal as the selection signal is composed of the B data signal BDATA_b. At this time, the black voltage (V OFF ) output from the third mux portion MUX3 corresponds to a common black voltage for causing the sub pixels to emit no light.

도 14의 (d)는 컬러데이터신호(DDATA)가 RGB 데이터신호로 구성되고, 참조데이터신호(BDATA)가 W 데이터신호(BDATA_w)로 구성된 경우 데이터 구동부의 구동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14D shows an example of driving the data driver when the color data signal DDATA is composed of an RGB data signal and the reference data signal BDATA is composed of a W data signal BDATA_w.

컬러데이터신호(DDATA)가 RGB 데이터신호로 구성되고, 참조데이터신호(BDATA)가 W 데이터신호(BDATA_w)로 구성된 경우, W 데이터신호 대신 블랙전압이 출력되도록 제1 내지 제4먹스부(MUX1 ~ MUX4) 등이 제어된다. When the color data signal DDATA is constituted by the RGB data signal and the reference data signal BDATA is constituted by the W data signal BDATA_w, the first through fourth multiplexers MUX1- MUX4) are controlled.

도 14의 (d)에 도시된 데이터 구동부의 구동 예시는 도 14의 (a) 및 (b)의 설명을 통해 유추할 수 있으므로, 제1 내지 제3DA변환부(DAC1 ~ DAC3)와 제4먹스부(MUX3)에 대한 설명만 기재하면 다음과 같다.Since the driving example of the data driver shown in FIG. 14 (d) can be inferred from the description of FIGS. 14 (a) and 14 (b), the first to third A / D converters DAC1 to DAC3, (MUX3)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제1DA변환부(DAC1)는 적색 서브 픽셀을 구동하는 R 데이터신호(R)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한다. 제2DA변환부(DAC2)는 녹색 서브 픽셀을 구동하는 G 데이터신호(G)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한다. 제3DA변환부(DAC3)는 청색 서브 픽셀을 구동하는 B 데이터신호(B)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한다.The first DA converter DAC1 converts the R data signal R driving the red sub-pixel into an analog form. The second DA converter DAC2 converts the G data signal G driving the green subpixel into an analog form. The third 3DA converter DAC3 converts the B data signal B driving the blue subpixel into an analog form.

제4먹스부(MUX4)는 선택신호가 W 데이터신호(BDATA_w)로 구성됨에 따라 제3입력단자를 통해 공급된 블랙전압(VOFF)을 출력한다. 이때, 제4먹스부(MUX4)로부터 출력된 (VOFF)은 서브 픽셀을 비발광시키는 공통블랙전압에 해당한다.The fourth mux portion MUX4 outputs the black voltage V OFF supplied through the third input terminal as the selection signal is composed of the W data signal BDATA_w. At this time, (V OFF ) output from the fourth mux portion MUX4 corresponds to a common black voltage which causes the sub pixels to emit no light.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는 3개의 DA변환부와 1개의 참조데이터신호 또는 전압을 이용하여 4개의 데이터신호(또는 데이터 전압)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실시예는 DA변환부, 증폭부 및 DA변환부와 증폭부 사이에 형성된 먹스부를 이용한다. 그리고, 제2실시예는 DA변환부, 먹스부 및 DA변환부와 먹스부 사이에 형성된 증폭부를 이용한다.As can be seen from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dr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four data signals (or data voltages) using three DA converters and one reference data signal or voltage can do. To this end, the first embodiment uses a DA conversion unit, an amplification unit, and a multiplexer formed between the DA conversion unit and the amplification unit. The second embodiment uses an amplification section formed between the DA conversion section, the mux section and the DA conversion section and the mux section.

또한,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는 컬러데이터신호와 참조데이터신호의 위치를 결정하는 신호 체계로 구성된 데이터신호를 이용한다.Also, as seen from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dr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data signal composed of a signal system for determining the positions of the color data signal and the reference data signal.

또한,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는 참조데이터신호의 데이터 상태(또는 특성)에 대응하여 공통블랙전압 또는 공통계조전압이 출력되는 단자가 가변 된다.Also, as can be seen from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dr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erminal to output a common black voltage or a common gray scale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data state (or characteristic) of the reference data signal Lt; / RTI &gt;

이상 본 발명은 DA변환부의 수를 줄여 데이터 구동부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타이밍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신호의 비트 수가 감소하므로 데이터 구동부의 입력 주파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DA변환부나 증폭부의 수가 줄어들게 되므로 데이터 구동부의 정적(static) 소모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DA변환부나 증폭부의 수를 줄여 데이터 구동부의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size of the data driver by reducing the number of DA converters. Further, since the number of bits of the data signal output from the timing controller is reduced, the input frequency of the data driver can be reduced. Also, since the number of DA converters and amplifiers is reduced, static power consumption of the data driver can be reduc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number of DA conversion sections and amplifying sections and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of the data driver.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only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ddi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lso,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30: 시스템 보드부 140: 타이밍 제어부
150: 데이터 구동부 160: 스캔 구동부
170: 표시 패널 DDATA: 컬러데이터신호
BDATA: 참조데이터신호 VOFF: 블랙전압
152: 래치부 153: 감마전압 생성부
154: DA변환부 155: 출력회로부
155b: 먹스부 155a: 증폭부
130: system board section 140: timing control section
150: Data driver 160:
170: Display panel DDATA: Color data signal
BDATA: Reference data signal V OFF : Black voltage
152: latch unit 153: gamma voltage generator
154: DA conversion unit 155: output circuit unit
155b: Mux part 155a: Amplification part

Claims (12)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DA변환부; 및
상기 DA변화부의 후단에 위치하며, 1개의 참조데이터신호의 데이터 상태에 대응하여 3개의 컬러데이터신호와 1개의 블랙전압을 출력하는 출력회로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동부.
A DA converter for converting a digital signal into an analog signal; And
And an output circuit part which is positioned at a rear end of the DA changing part and outputs three color data signals and one black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data state of one reference data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회로부는
상기 DA변환부의 후단에 위치하며, 상기 1개의 참조데이터신호에 대응하여 RGBW 데이터신호 중 선택된 3개의 컬러데이터신호를 출력함과 더불어 상기 RGBW 데이터신호 중 비선택된 1개의 데이터신호를 대신하여 상기 1개의 블랙전압을 출력하는 먹스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동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utput circuit section
And a selector which is positioned at a rear end of the DA converter and outputs three color data signals selected from the RGBW data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one reference data signal and outputs the selected one of the RGBW data signals, And a mux portion for outputting a black voltag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회로부는
상기 1개의 참조데이터신호의 데이터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1개의 블랙전압이 출력되는 단자가 가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구동부.
3. The method of claim 2,
The output circuit section
And a terminal to which the one black voltage is output is varied corresponding to a data state of the one reference data sign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A변환부는 3개이고,
상기 출력회로부는 상기 먹스부의 후단에 위치하며, 상기 먹스부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를 갖는 증폭부를 포함하되, 상기 먹스부의 개수는 4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구동부.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A conversion unit has three,
Wherein the output circuit portion includes an amplifier portion located at a rear end of the mux portion and having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mux portions, wherein the number of the mux portions is fou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DA변환부는 3개이고,
상기 출력회로부는 상기 3개의 DA변환부와 상기 먹스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DA변환부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를 갖는 증폭부를 포함하되, 상기 먹스부의 개수는 4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구동부.
The method of claim 3,
The DA conversion unit has three,
Wherein the output circuit section includes an amplifier section located between the three DA converters and the mux section and having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DA converters, wherein the number of the mux sections is four.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데이터 구동부;
상기 데이터 구동부를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부; 및
상기 타이밍 제어부에 각종 신호를 공급하는 시스템 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1개의 참조데이터신호의 데이터 상태에 대응하여 3개의 컬러데이터신호와 1개의 블랙전압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Display panel;
A data driver driving the display panel;
A timing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ata driver; And
And a system board unit for supplying various signals to the timing control unit,
Wherein the data driver outputs three color data signals and one black voltage in accordance with the data state of one reference data sign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DA변환부와, 상기 DA변화부의 후단에 위치하는 출력회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회로부는 상기 1개의 참조데이터신호에 대응하여 RGBW 데이터신호 중 선택된 3개의 컬러데이터신호를 출력함과 더불어 상기 RGBW 데이터신호 중 비선택된 1개의 데이터신호를 대신하여 상기 1개의 블랙전압을 출력하는 먹스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data driver
A DA converter for converting a digital signal into an analog signal; and an output circuit part positioned at a rear end of the DA converter,
The output circuit part outputs the three color data signals selected from among the RGBW data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one reference data signal and outputs the one black voltage instead of one non-selected one of the RGBW data signals A display comprising a mux por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회로부는
상기 1개의 참조데이터신호의 데이터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1개의 블랙전압이 출력되는 단자가 가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output circuit section
Wherein a terminal to which said one black voltage is outputted is varied corresponding to a data state of said one reference data signa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A변환부는 3개이고,
상기 출력회로부는 상기 먹스부의 후단에 위치하며, 상기 먹스부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를 갖는 증폭부를 포함하되, 상기 먹스부의 개수는 4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DA conversion unit has three,
Wherein the output circuit portion includes an amplifier portion positioned at a rear end of the mux portion and having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mux portions, wherein the number of the mux portions is fou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A변환부는 3개이고,
상기 출력회로부는 상기 3개의 DA변환부와 상기 먹스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DA변환부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를 갖는 증폭부를 포함하되, 상기 먹스부의 개수는 4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DA conversion unit has three,
Wherein the output circuit portion includes an amplification portion located between the three DA conversion portions and the mux portion and having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DA conversion portions, wherein the number of the mux portions is fou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보드부 및 상기 타이밍 제어부 중 하나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RGB 데이터신호를 RGBW 데이터신호로 변환하되,
상기 RGBW 데이터신호 중 선택된 3개의 데이터신호를 상기 3개의 컬러데이터신호로 정의하고, 상기 RGBW 데이터신호 중 비선택된 1개의 데이터신호를 상기 1개의 참조데이터신호로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ne of the system board section and the timing control section
Converts an RGB data signal supplied from the outside into an RGBW data signal,
Wherein the three data signals selected from the RGBW data signals are defined as the three color data signals and one non-selected one of the RGBW data signals is defined as the one reference data signa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컬러데이터신호를 구성하는 데이터의 비트는 각각 10 비트로 설정되고,
상기 1개의 참조데이터신호를 구성하는 데이터의 비트는 2 비트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bits of the data constituting the three color data signals are each set to 10 bits,
Wherein the bits of the data constituting the one reference data signal are set to two bits.
KR1020140012865A 2014-02-05 2014-02-05 Data driv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21658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865A KR102165846B1 (en) 2014-02-05 2014-02-05 Data driv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865A KR102165846B1 (en) 2014-02-05 2014-02-05 Data driv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462A true KR20150092462A (en) 2015-08-13
KR102165846B1 KR102165846B1 (en) 2020-10-14

Family

ID=54056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2865A KR102165846B1 (en) 2014-02-05 2014-02-05 Data driv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84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3387A (en) * 2016-09-23 2018-04-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4957A (en) * 2011-08-01 2013-02-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4957A (en) * 2011-08-01 2013-02-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3387A (en) * 2016-09-23 2018-04-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5846B1 (en) 202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9058B1 (en) Data driv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11087698B2 (en) Display device
US9093025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0969769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0535286B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ithod thereof
KR102651861B1 (en) Display device, data driving circuit and display panel
KR20140140965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60129181A (en) 4 Primary Color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90060909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reof
KR102588103B1 (en) Display device
KR102414594B1 (en)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40086509A (en) Curved flat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11393374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160078618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1966862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1906418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165846B1 (en) Data driv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190136396A (en) Display device
KR102537974B1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KR102553137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30035004A (en) Correlated color temperature transition method for rgbw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653574B1 (en) Transparent display device
KR101603304B1 (en) Data driv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070101545A (en) Display device
KR20230102896A (en)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