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2021A - 자동개폐 풍력발전장치 - Google Patents

자동개폐 풍력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2021A
KR20150092021A KR1020150017428A KR20150017428A KR20150092021A KR 20150092021 A KR20150092021 A KR 20150092021A KR 1020150017428 A KR1020150017428 A KR 1020150017428A KR 20150017428 A KR20150017428 A KR 20150017428A KR 20150092021 A KR20150092021 A KR 20150092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ind
circular
plates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7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4845B1 (ko
Inventor
남정호
Original Assignee
남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정호 filed Critical 남정호
Publication of KR20150092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2021A/ko
Priority to PCT/KR2016/00107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6126064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4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4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6Rotors
    • F03D3/061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aerodynamic shape, e.g. aerofoil prof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05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the axis being vert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6Rotors
    • F03D3/062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elements
    • F03D3/064Fixing wind engaging parts to rest of r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7/00Controlling wind motors 
    • F03D7/06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중심 고정축을 중심으로 상, 하 회전판을 동일하게 제작 설치하여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하고 상, 하 회전판 공간에 자동개폐기에 부착시킨 개폐판에 바람이 어느 방향에서 불어도 바람이 부딪히는 힘에 의해 뒤로 닫히면 후측에 설치된 과회전 방지축에 의해 뒤로 밀리지 않아 바람의 부딪히는 힘을 얻어 원형회전체가 회전하면서 과회전 방지축의 위치가 변하여 개폐판 전면에 위치하는 현상으로 과회전 방지축에서 이격되면서 바람의 힘에 의해 자동적으로 닫히고, 열리고를 반복하는 자동개폐기에 힘을 얻도록 하여 회전하는 원형회전체 밑면에 부착 설치된 다극, 저속발전기는 원통형으로 중앙은 뚫려 있고 발전기 중심에 구리선으로 코일을 고정자로 다수개 제작, 원형으로 배열하여 고정시키고 고정자 양면에 회전자를 동일한 규격으로 같은 개수로 제작, 설치하여 고정자(코일)을 통과시키면 자기장이 발생, 전기를 생산하도록 하고 회전체 후면측에 설치된 수평날개판 상부에 부착 설치된 풍향판을 이용하여 원형회전체를 중심으로 360°회전하도록 하였으며 경사지게 설치된 수평날개판은 바람이 강하게 불면 원형회전체쪽으로 밀리면서 수평날개판 지지대에 설치된 제어판으로 원형회전체 밑면에 설치된 제어마찰판에 접촉되어 제어기능이 작동하여 원형회전체 과속 회전을 방지하고 발전장치 자체 파손을 예방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폐 풍력 발전장치

Description

자동개폐 풍력 발전장치{omitted}
본 발명은 자동개폐 풍력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중심 고정축에 하, 상 원형회전판을 동일하게 제작, 분리 설치하고 회전판 공간에 다수개의 과회전방지축과 고정축을 수직 설치하여 평면적이 넓은 개폐판을 부착시켜 자동개폐기로 형성시켜 바람이 어느 방향에서 불어도 바람의 힘을 받는 자동개폐기는 뒤로 닫히고, 열리고를 함으로써 닫히는 자동개폐기는 바람의 힘을 받고 바람을 받지 않는 자동개폐기는 회전에 저항을 주지 않는 원형회전체를 형성시키고 밑면에 다극, 저속발전기를 제작 부착시켜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낮은 풍속에서 전기생산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원형회전체 후측에 경사지게 수평날개판을 설치하여 바람이 강하게 불면 수평날개판이 위로 상승하여 원형회전체 쪽으로 밀리면서 수평날개 지지대에 고정 설치된 제어판을 이용하여 하 회전체 밑면에 설치된 제어마찰판에 접촉하여 제어작동을 수행하여 원형회전체 과회전을 방지하며 발전장치 자체 파손을 예방하며 낮은 풍속에서도 전기를 발전하여 발전효율을 향상시키도록 고안된 자동개폐 풍력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람이라 함은 대기의 밀도차에 의해 공기가 이동하는 현상으로 바람을 이용하는 수직, 수평형 날개를 이용하여 화석연료 고갈을 대비하여 대체 에너지를 생산하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많은 수직형 소형 풍력 발전장치들이 개발되어 상용화를 위하여 노력하고 있으나 좋은 성과를 거두지 못하는 현실이다.
또한, 수직형 소형 풍력 발전장치들은 다수개의 수직 날개를 이용하여 전기생산량을 높이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으나 수직 날개들이 고정 설치되어 있으므로 다수개 수직 날개 중 몇 개의 수직날개에 바람 마찰이 생기면서 바람마찰의 힘에 의해 수직형 소형풍력장치가 회전하면 반대편 수직 날개들은 바람의 마찰을 받지 않으면서 바람마찰을 받는 형태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회전하면서 저항력을 많이 받아 회전력을 약하시키고 발전량을 상승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수직형 소형풍력장치들은 낮은 풍속에서도 발전할 수 있는 발전기가 개발되어 상용화 되어야 발전효율을 높일수 있으나 현재로서는 전기생산 효율이 높은 발전기가 없는 현실이다.
수직형 소형풍력장치들은 바람이 많이 불면 수직날개에 바람마찰에 의해 힘이 많이 가해져 풍력발전장치가 과회전 하면서 풍력발전장치 자체가 파괴되므로 과회전을 방지 못하므로 수직형 풍력발전장치들을 확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중심 고정축을 하, 상 회전판을 동일하게 제작, 설치공간에 다수개 과회전방지축과 고정축을 수직으로 설치 바같면에는 하, 상 베어링을 고정시키고 베어링 바같면에는 원통형 회전관을 설치 한쪽면에는 개폐판을 부착 평면적이 넓은 다수개 개폐판에 바람이 어느 방향에서 불어도 개폐판에 바람이 부딪히는 힘에 의해 개폐판이 뒤로 닫히면서 회전의 힘을 얻은 반대편 다수개 개폐기는 바람이 부딪쳐 뒤로 열리면서 바람 마찰의 저항력을 적게 받는 원형회전체로 형성시켜 회전력을 상승시키는 역활을 하도록 하였으며
낮은 풍속에서도 전기를 발전하는 다극, 저속 발전기 형태는 원통형으로 중앙은 뚫려있고 밑면은 평면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내쪽 외벽과 외쪽 외벽은 요철형태를 가지며 윗쪽은 평면으로 회전하도록 하였으며 발전기 중심에 고정자를 설치하고 양면에 회전자를 동일 규격으로 같은 개수로 제작 설치하여 같은 방향으로 동일하게 회전하도록 하여 많은 전기가 발전되도록 하였다.
원형 회전체 후측에 설치된 수평날개지지대 상부에 수평날개를 경사지게 설치하고 수평날개 상면에 풍향 표시판을 설치하고 수평날개지지대는 좌-우, 우-좌로 이동 가능하며 360°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었으며, 수평날개지지대에 반원형 형태의 제어판을 설치하여 바람이 강하게 불면 수평날개가 위로 상승하면서 원형회전체 쪽으로 밀리는 힘으로 하 회전판 밑면에 설치된 마찰판에 부딪치어 마찰되면서 브레이크 작동을 수행하도록 하였으며 원형회전체의 과회전을 방지하며 풍력발전기 자체 파손을 예방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바람을 직접받아 회전하는 원형회전체 회전부와 하 회전판 밑면에 부착되어 원형회전체 회전의 힘에 의해 같은 방향으로 동일하게 회전하는 원통형 다극, 저속 발전기 발전부와 중심지지대에 설치된 수평날개지지대 상부에 수평날개를 경사지게 고정시키고 수평날개지지대에 돌출되게 브레이크 작동을 하도록 반원형 제어판이 설치되어 원형회전체의 과회전을 방지하는 제어부로 구성되어 있다.
하, 상 회전판 공간에 과회전 방지축과 자동개폐기를 다수개 설치하면서 평면적이 넓은 개폐판을 부착시켜 바람이 어느 방향에서 불어도 바람의 힘을 받는 개폐판은 뒤로 닫히는 힘으로 회전력을 얻어 원형 회전체를 회전시키고, 바람을 받지 않는 개폐판은 열리어 회전의 저항력을 주지 않고 원형 회전체를 따라 회전하므로 개폐판이 닫히고, 열리고를 자동적으로 이행하도록 하여 강한 회전력이 발생되도록 하였으며,
발전기의 형태는 원통형으로 중앙은 뚫려있고 밑면은 평면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내측 외벽과 외측 외벽은 요철 형태를 가지며 윗면은 평면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며 발전기 중심에 다수개 고정자(구리 코일)을 제작하여 원형으로 고정시키고 고정자 양면에 다수개 회전자(영구자석)을 동일한 규격으로 같은 개수로 제작 설치하고 같은 방향으로 동일하게 회전하도록 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다극, 저속 발전기이며
원형회전체 후측에 경사지게 수평날개판을 설치하여 바람이 강하게 불면 수평날개판이 위로 상승하면서 하 회전판 쪽으로 밀리면서 밀리는 힘을 이용하여 수평날개판 지지대에 돌출되게 설치된 반원형 제어판이 하 회전판 밑면에 원형으로 부착된 브레이크 마찰판에 마찰됨으로 제어 효과를 얻어 원형회전체 과회전을 방지하며 파손을 예방하는 역활을 이행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자동개폐 풍력발전장치는 수직으로 설치됨으로 발전시설의 설치공간이 적게 소요 되므로 부지 확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자동개폐 풍력발전장치는 바람에 의해 작동됨으로서 별도의 연료가 소요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자동개폐 풍력발전장치는 바람으로 가동하므로 소음이 발생되지 않고 주변 자연 환경에 영향을 해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폐기물이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수직형 기존 소형 풍력발전기 개략적인 사시 구조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를 자동개폐 풍력발전장치의 개략적인 상부 평면 구조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 풍력발전장치의 개략적인 측면 단면 구성도이다
도4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 풍력발전장치의 개략적인 사시 구성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 풍력발전장치의 개폐판의 작동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회전도이다
도6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 풍력발전장치의 다극, 저속 발전기의 개략적인 평면 구성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 풍력발전장치의 개략적인 다극, 저속 발전기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 풍력발전장치의 개략적인 수평날개 지지대 사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들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확대 강조 할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발전장치의 개략적인 평면 구조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발전장치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에 예시된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자동개폐 풍력발전장치는 바람이 어느 방향에서 불어도 자동개폐기 개폐판이 닫히고, 열리는 원형회전체부와 하 회전판 밑면에 부착된 다극, 저속 발전부와 바람을 받아 풍향을 표시하며 바람이 강하게 불면 제어기능을 갖는 제어부로 구성되어 있다.
동일한 형체를 가지는 하, 상 회전판(16-1)(20-1)와 하 회전판(16-1) 밑면에 부착된 다극 저속발전기(22)(발전기라 표기)와 수평날개판 지지대(23) 상면에 수평 날개판(23-3)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심지지대(1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중심고정축(12)를 기준으로 하, 상 회전판(16-1)(20-1)을 배열하였으며
중심고정축(12) 바같에 하, 상 베어링(13)을 설치하였으며
내측지지판(14) 중심에 접합구(14-1)을 천공시켜, 하,상 베어링(13) 바같면과 접합시켜 동일하게 회전하도록 설치하였으며
하, 상 외측회전판(15)과 하,상 내측지지판(14)을 연결하는 다수개 연결판(16)을 제작, 연결 고정시키고
하, 상 회전판(16-1)(20-1) 공간에 다수개의 고정축(19-1)를 제작, 수직으로 설치하고 바같면에는 하, 상 베어링(19-2)을 설치하고 바같면에는 원통형 회전관(19-3)을 설치하고 한쪽면에는 개폐판(19-4)을 부착시켜 자동개폐기(19)를 형성시키어 회전이 용이하도록 하였으며
하 회전판(16-1) 밑면에 돌출된 연결핀으로 다극,저속 발전기(발전기로 표기)를 부착, 고정 시키도록 하였으며
원형 회전체 후측에 수평날개 판을 설치하기 위하여 중심지지대(11)에 수평날개판지지대(23)가 좌우로 이동되며 360°유동되게 설치하여 브레이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수평날개판지지대(23) 부분에 돌출되게 반원형 제어판을 설치하였다.
상기 부분별로 구성된 개략적인 설명을 순서대로 설명한다.
원형회전체(1)로 구성된 각 부분별로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중심지지대(11)의 상부에 중심고정축(12)을 동일한 형체를 가지는 하, 상 회전판(16-1)(20-1)를 배열하여
중심 고정축(12) 바같면에 하, 상 베어링을(13) 설치하고 하, 상 내측지지판(14)을 제작하면서 중심에 접합구(14-1)를 천공시켜 놓고 바같면을 따라 다수개 결합구(14-2)를 천공시키고, 바같쪽에는 하, 상 외측회전판(15)을 제작 배열하고,
다수개 하, 상 연결판(16)을 동일하게 제작하여 하, 상 내측지지판(14)과 외측회전판(15)을 고정시켜 동일하게 회전하는 하, 상 회전판(16-1)(20-1)으로 형성시켰으며
하, 상 내측지지판(14)에 과회전방지축(18)을 고정 설치하여 개폐판(19-4)이 뒤로 닫히면 뒷편으로 밀리지 못하도록 하여 바람이 개폐판(19-4)에 부딪치는 힘을 이용하여 원형회전체(1)을 회전시키는 힘을 얻도록 하였으며
하, 상 외측회전판(15)에 고정축(19-1)을 수직으로 고정시키고 끝부분에 하, 상 베어링(19-2)을 설치하고 바같면에도 원통형 회전관(19-3)을 설치하고 한쪽면에는 개폐판(19-4)를 부착시켜 자동개폐기(19)로 형성시켰으며
자동개폐기(19) 길이대로 개폐판(22-2)을 고정시키어 바람의 방향과 속도에 관계없이 개폐판(19-4)은 평면으로 넓은 면적을 가지어 바람을 직접 받아 힘을 얻어 자동개폐기(19)와 함께 닫히고, 열리고를 반복적으로 이행하도록 하여
자동개폐기(19)에 부착 고정 설치된 개폐판(19-4)은 바람이 어느 방향에서 불어도 바람을 받는 다수개 개폐판(19-4)은 뒤로 닫히면서 과회전 방지축(18)에 부딪혀 개폐판(19-4)이 뒤쪽으로 밀리지 않으므로 바람의 부딪히는 힘에 의해 원형회전체(1)을 회전시키는 힘을 얻으며
자동개폐기(19)에 부착, 고정 설치된 개폐판(19-4)은 바람이 어느 방향에서 불어도 바람을 받지 않는 다수개 개폐판(19-4)은 과회전 방지축(18)에서 이격되어 열리면서 원형회전체(1) 회전의 힘에 의해 따라 회전하므로 회전에 저항을 적게 받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바람을 많이 받도록 설치된 개폐판(19-4)은 평면적이 크므로 낮은 풍속에도 회전력이 크고 회전수가 높으므로 자동개폐기(19)에 고정 설치된 개폐판(19-4)이 바람에 의해 닫히고, 열리고를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원형회전체(1)을 회전시키는 높은 힘을 얻도록 고안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다극, 저속 발전기(22)(발전기라 표기) 원통형으로 발전기 중앙은 뚫려 있고 발전기 외장(22-1)과 발전기 내측외장(22-2)는 요철 형태를 가지며 발전기 하부(22-3)은 평면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부 회전판(22-4)은 회전되도록 구성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발전기 하부(22-3)는 평면으로 발전기 외측외장(22-1)과 발전기 내측외장(22-2)이 탈착이 용이하도록 나사구(미표기)로 연결되도록 하였으며 발전기(22) 자체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발전기 상부회전판(22-4)은 평면으로 외측외장(22-1)과 내측외장(22-2)이 이격되어 회전하도록 하며 발전기(22) 외관의 형체를 가지며
발전기(22) 내측 중심에는 구리선으로 코일을 다수개 제작하여 고정자(22-13)로 만들어 원형으로 배열하여 고정시키고
고정자(22-13)의 이탈과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발전기하부(22-2) 내측면에 양면
Figure pat00001
고정판(22-14)을 고정 설치하여 고정자(22-13)을 접합시키도록 하였고
고정자(22-13) 상부 양면에는 고정자(22-13)을 중심으로 회전자(22-5)(22-10)가 양면에서 회전하도록 회전자(22-5)(22-10)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베어링
Figure pat00002
마찰판(22-15)을 고정 설치하여 회전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발전기(22)내의 내측회전자(영구자석)(22-6)을 고정, 부착시켜 놓은 내측 회전자판(22-5)을 발전기 내측면 외장(22-2)내측에 설치하고 내측회전자판(22-5) 하단에는 베어링(22-7)을 고정 설치하여 내측 회전자판(22-5)에 부착 고정된 회전자(22-6)와 같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였으며
내측회전자판(22-5) 상부에도 베어링(22-8)을 돌출되게 제작하여 고정자 마찰판(22-15)과 일정한 간격으로 회전하도록 설치하고 베어링(22-8) 상부에는 발전기 상부회전판(22-4)과 접합시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였으며
발전기(22)내의 외측회전자(자석)(22-10)을 고정, 부착시켜 놓은 외측회전자판(22-9)를 발전기 외측면 내장 내측에 설치하고 외측회전자판(22-9) 하단에는 베어링(22-11)을 고정 설치하여 외측회전자판(22-9)에 부착 고정된 회전자(22-10)와 같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였으며
외측회전자판(22-9) 상부에도 베어링(22-12)를 돌출되게 제작하여 고정자 마찰판(22-15)과 일정한 간격으로 회전하도록 설치하고 베어링(22-12) 상부에는 발전기 상부회전판(22-4)과 접합시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였으며
발전기(22)의 상부회전판(22-4)은 평면으로 양면에는 발전기 외장(22-1) 내측외장(22-2)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탑(
Figure pat00003
)형태를 가지며
발전기 (22) 상부회전판(22-4) 밑면 양면에 내측회전자판(22-5)과 외측회전자판(22-9)을 접합 고정시키어 내,외측 회전자판이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였으며
발전기(22) 상부회전판(22-4) 상면에는 원형회전체(1) 하 회전판(16-1) 밑면에 돌출되게 고정 설치된 발전기 연결핀과 결합되도록 천공되어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발전기(22)은 고정자(22-13)을 중심으로 양면에 회전자(22-5)(22-10)와 똑같은 규격과 개수로 제작 N-S극이 마주보게 내 외측 회전자판(22-5)(22-9)에 부착, 설치하여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어 고정자(22-13)을 통과하면서 자기장이 발생되어 저속에서도 전기가 생산되면서 발전 효율을 높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수평날개판(23)는 원형회전제(1)의 후측에 설치되어 중심지지대(11) 외측에 고정베어링(23-1)과 연결가변대 고정베어링(23-7)을 하, 상 분리 설치하고, 수평날개판지지대(23)과 연결가변대(23-6)을 사다리 형태로 제작하여고,
고정베어링(23-1) 양면에 돌출되게 수평날개판 지지대 고정핀(23-2) 설치하여 수평날개판 지지대(23)와 접합 유동되게 고정시켰으며
수평날개판 지지대(23) 상부에 경사지게 수평날개판(23-3)을 설치하여 어느 방향에서 바람이 강하게 불면 경사지게 설치된 수평날개판(23-3)이 위로 상승하면서 원형회전체(1)쪽으로 밀리면서 제어판(23-8)에 의해 브레이크로 작동하도록 하였으며
수평날개판(23-3) 상면에 부착시킨 풍향판(23-4)은 바람의 방향을 표시하며 수평날개판 지지대(23)와 같은 방향으로 360°회전하도록 설치되었으며
중심지지대(11)에 설치된 가변대 베어링(23-7) 양면에 돌출되게 가변대 고정핀(23-5)을 고정시켜 연결가변대(23-6)(연결가변대로 표기)와 접합 연결시켜 중심에 직사각형 형태의 구멍을 천공시켜 가변대 고정핀(23-5)에서 좌-우 이동하도록 하고 반대편 끝단에는 수평날개판 지지대(23)에서 유동되게 결합시켜 수평날개판 지지대(23)의 유동에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수평날개판 지지대(23)에 유동되게 결합 설치된 연결가변대(23-6)와 수평날개판 지지대(23)의 중간에 돌출되게 반원형 제어판(23-8)을 고정 설치하여 제어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여 하 회전판(16-1)의 밑면에 돌출되게 원형으로 부착 제어마찰판(브레이크 마찰판)(21)과 수평되게 설치하였으며
바람이 강하게 불면 풍향판은(23-4) 바람의 방향 표시하고 수평날개판(23-3)은 경사지게 설치 되었으므로 바람의 힘에 의해 원형회전체(1)쪽으로 밀리면서 수평날개판 지지대(23)에 설치된 반원형제어판(23-9)을 하 회전판(16-1) 밑면에 부착 설치된 제어마찰판(브레이크 마찰판)(21)에 마찰시켜 제어작용하며
원형회전체(1)의 과회전을 방지하고 자체의 파손을 예방하는 효과를 가지며 바람이 어느 방향에서 불어도 바람의 후면에서 원형회전체(1)을 중심으로 360°회전하도록 하여 발전장치 자체를 보호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사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경 및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한다.
1 : 원형회전체 11 : 중심 지지대
12 : 중심 고정축 13 : 하, 상 베어링
14 : 하, 상 내측지지판
14-1 : 접합구
14-2 : 결합구
15 : 하, 상 외측회전판
15-1 : 결합구
16 : 하, 상 연결판
16-1 : 하 회전판
17 : 하, 상 회전관
18 : 과회전 방지축
19 : 자동개폐기
19-1 : 고정축
19-2 : 하, 상 베어링
19-3 :원통형 회전관
19-4 : 개폐판
20 : 발전기와 연결핀(나사형태)
20-1 : 상 회전판
21 : 제어 마찰판(브레이크마찰판)
21-1 : 고정축
21-2 : 원통형 회전관
22 : 다극, 저속 발전기 22-1 : 발전기 외장
22-2 : 발전기 내측외장 22-3 : 발전기 하부
22-4 : 발전기 상부회전판 22-5 : 내측 회전자판
22-6 : 내측회전자(자석) 22-7 : 하부베어링
22-8 : 상부베어링 22-9 : 외측회전자판
22-10 : 외측회전자(자석) 22-11 : 하부베어링
22-12 : 상부베어링 22-13 : 고정자
22-14 : 고정자 하, 상 양면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고정판
22-15 : 베어링마찰판 22-16 : 연결구
23 : 수평날개판 지지대
23-1 : 하, 상 고정베어링
23-2 : 수평날개판 지지대 고정핀
23-3 : 수평날개판
23-4 : 풍향판
23-5 가변대 고정핀
23-6 : 연결가변대
23-7 : 가변대베어링
23-8 : 제어판(브레이크)

Claims (4)

  1. 지지대를 수직으로 고정시켜 설치하고, 상부에 설치한 중심고정축 바같면에는 하, 상으로 베어링을 분리 설치하고, 바같면에는 내측지지판을 같은 규격으로 제작하면서 중심에 베어링에 접합시킬 접합구를 천공시키고 바같면을 따라 결합구를 다수개 천공시키고, 바같쪽으로 일정 간격의 공간이 생기도록 확대된 원형의 하, 상 외측회전판을 같은 규격으로 제작하면서 내측지지판 결합구와 같은 결합구를 천공하고 내측지지판과 외측회전판을 배열하여 동일한 규격으로 제작한 연결판으로 다 다수개 고정시켜 하부, 상부회전판으로 형성하고, 내측지지판과 외측회전판 사이의 발생한 공간은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공기마찰에 의한 부력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하여, 하, 상 베어링에 접합 시키면서 발생한공간에 길이가 같은 다수개 과회전방지축과 자동개폐기를 제작, 수직으로 설치하여 같이 회전하도록 구성된 원형회전체를 형성시키고, 밑면에 다극 저속발전기를 설치하고 원형회전체 후면에 경사지게 설치된 수평날개판 지지대에 반원형 제어판이 원형회전체밑면에 설치된 제어마찰판에 접촉하여 제어 기능이 가동하여 과속회전을 방지하고 발전장치 자체 파손을 예방하도록 구성된 자동개페 풍력발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하부, 상부회전판을 분리 설치한 수직 공간 내측에는 다수개 과회전방지축을 제작하여 천공된 결합구를 이용하여 수직으로 볼트로 결합시키고, 회전판에도 같은 개수로 제작한 고정축을 사용하여 과회전방지축과 같은 방법으로 고정시켜 하부, 상부회전판 간격을 유지시키고, 원형회전체 변형을 방지하고 고정축 바깥면에는 하, 상으로 베어링을 설치하여 고정시키고, 바같면에는 원통형 회전관을 수직으로 설치하면서 한쪽면에는 가볍고 강한 재질로 직사각 형태로 과회전방지축에 부딪치도록 개폐판을 제작하여 부착시켜 자동개폐기로 형성시키고, 내측에 설치된 과회전방지축은 외측에 설치된 자동개폐기 개폐판의 후면에 위치하므로 바람이 어느 방향에서 불어도 자동개폐기 개폐판에 접촉되어 뒤로 밀리어 과회전방지축에 부딪쳐 밀리지 않고 닫히면 바람의 힘에 의해 원형회전체가 회전하면 위치가 변하여 자동개폐기 개폐판 전면에 위치하게 되므로 자동개폐기 개폐판이 이격되면서 열리어 저항을 주지 않고 따라 회전하므로 자동개폐기 개폐판은 닫히고, 열리고를 연속으로 이행하여 바람의 힘을 많이 받아 높은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회전 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된 특징을 가지는 자동개폐 풍력발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원형회전체 밑면에 연결핀으로 고정시켜 놓은 다극 저속발전기는 중앙은 뚫려있고, 내, 외관은 요철형태를 가지며, 하면은 고정되고, 상부회전판은 회전하도록 구성된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부회전판 상면에는 연결구로 천공되어 있으며, 발전하면서 발생하는 열을 요철형상의 넓은 면적을 이용하여 낮추고, 기기를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 외관을 가지며, 중심에 절연재를 사용하여
    Figure pat00006
    형태로 원형으로 제작하여, 하면에 볼트로 고정시키고 구리선으로 코일을
    Figure pat00007
    형태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상과 각도에 맞추어 홀수로 다수개 제작하여 배열하여 고정시키고, 각 코일마다 연결선으로 연결시켜 외부로 배출시키고, 코일 상부에도 절연재를 사용하여 하부
    Figure pat00008
    형태와 동일한
    Figure pat00009
    형을 원형으로 제작하여 코일 상부에 끼워 넣어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켜 고정자를 형성시키고,
    Figure pat00010
    형태의 양면에는 내, 외측 회전자판 상부에 설치된 베어링 마찰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다극, 저속 발전기내의 고정자를 중심으로 내, 외측 회전자판을 설치하면서 회전하는 형태와 원형각도에 따라 동일한 자력과 규격으로 같은 짝수로 회전자을 제작하여 N-S극이 마주보게 부착시켜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고정자(코일)를 통과하면서 자기장이 발생하여 전기가 발생되도록 하고 내,외측 회전자판 하부에는 원형각도와 규격대로 베어링을 각각 설치하여 회전자판 하중을 받아주고 고정자와의 간격을 유지시키며, 상부에도 베어링을 각각 고정자 마찰판에 접촉되도록 제작하여 설치하고 간격을 유지시키며, 내, 외측 회전자판 상부와 상부회전판 밑면에 볼트로 결합시키면 내, 외장과 상부회전판이 이격되도록 탑(
    Figure pat00011
    )형태를 가지어 회전하는 상부회전판과 내, 외측 회전자와 같은 방향 동일한 회전수를 가지며, 회전은 좌-우, 우-좌로 회전 방향이 바뀌어도 전기가 발생하도록 구성하였으며, 상부회전판의 연결구와 원형회전체 밑면에 설치된 연결핀으로 다극·저속 발전기를 연결시켜 회전방향과 회전수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폐 풍력발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중심지지대를 수직으로 하, 상 베어링을 분리, 고정시키고 하 베어링 바같면 양면에는 고정핀을 설치하고, 수평날개판 지지대는 두개의 평판을 사다리 형태로 제작 경사지게 고정시면서, 상부쪽에는 수평날개판 바같면이 밑으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하고, 수평날개판 상면 중심에는 풍향판을 고정시키고 지지대 일부분에는 가변대와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구를 천공하고, 일부분에도 원형회전체 방향으로 돌출되게 반원형 제어판을 제작하여 설치하고, 하부쪽에는 유동할수 있도록 유동구를 천공 시켜놓고 유동구를 이용하여 상, 하로 유동되도록 하 베어링 양면고정판에 결합시키고, 상 베어링 바같면 양면에는 고정핀을 설치하고, 수평날개판 지지대와 연결시켜주는 가변대는 두개의 평판을 사다리 형태로 제작하면서 한쪽면에 양면 고정핀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수평으로 직사각형 구멍을 내어 좌-우, 우-좌로 이동하도록 양면 고정핀에 부착시키고 한쪽면에는 수평날개판 지지대에 설치된 결합구에 가변대가 유동되도록 결합시키고, 수평날개판 상면에 설치된 풍향판은 바람의 부는 방향을 표시하고 원형회전체를 중심으로 360°수평날개판 지지대와 결합된 가변대가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었으며, 수평날개판 지지대 일부분에 설치된 반원형 제어판은 강한 바람에 경사지게 설치된 수평날개판 밑면에 마찰되어 위로 상승하면서 원형회전체 방향으로 밀어주면 원형회전체 밑면에 원형으로 설치된 제어마찰판에 접촉되어 제어기능이 가동하여 과속회전을 방지하고 발전장치 자체파손을 예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폐 풍력발전장치
KR1020150017428A 2014-02-04 2015-02-03 자동개폐 풍력발전장치 KR101684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1076 WO2016126064A2 (ko) 2015-02-03 2016-02-01 자동개폐 풍력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363 2014-02-04
KR20140012363 2014-0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021A true KR20150092021A (ko) 2015-08-12
KR101684845B1 KR101684845B1 (ko) 2016-12-16

Family

ID=54056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7428A KR101684845B1 (ko) 2014-02-04 2015-02-03 자동개폐 풍력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48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049B1 (ko) * 2019-12-11 2020-01-14 남정호 풍력발전기용 회전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5249B1 (ko) 2021-02-18 2023-06-1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전 방향 바람에서 에너지를 생성하는 스택형 디스크 모양 마찰대전 발전기 및 그 작동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4353A (ko) * 2005-01-19 2006-07-24 유병수 풍력 발전기
KR20090042895A (ko) * 2009-04-13 2009-05-04 박광 풍력발전기용 수직축 풍차장치
KR20120097131A (ko) * 2011-02-24 2012-09-03 태창엔이티 주식회사 수직형 풍력발전기 시스템의 브레이크 장치
JP2013029028A (ja) * 2011-07-26 2013-02-07 Junji Shimada 垂直軸風車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4353A (ko) * 2005-01-19 2006-07-24 유병수 풍력 발전기
KR20090042895A (ko) * 2009-04-13 2009-05-04 박광 풍력발전기용 수직축 풍차장치
KR20120097131A (ko) * 2011-02-24 2012-09-03 태창엔이티 주식회사 수직형 풍력발전기 시스템의 브레이크 장치
JP2013029028A (ja) * 2011-07-26 2013-02-07 Junji Shimada 垂直軸風車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049B1 (ko) * 2019-12-11 2020-01-14 남정호 풍력발전기용 회전체
WO2021118043A1 (ko) * 2019-12-11 2021-06-17 남정호 풍력발전기용 회전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4845B1 (ko) 2016-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5612A (ko) 풍력발전장치
KR101539321B1 (ko) 지붕 배기팬 설치형 발전기
RU2013133726A (ru) Ветросиловой ротор и способ выработки энергии с его помощью
KR102448925B1 (ko) 수직축 풍력발전기
KR20150092021A (ko) 자동개폐 풍력발전장치
KR200383987Y1 (ko) 수직축 풍력발전기용 회전날개의 가변장치
KR101049452B1 (ko) 풍력발전시스템
US2010013580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energy using wind power
US2010012921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Energy Using Wind Power
KR101169212B1 (ko) 수직축 풍력발전장치
JP2011064202A (ja) 風車
KR101552566B1 (ko) 수력 발전장치
KR101566525B1 (ko) 와류 발생 조립체
PT2459873E (pt) Uma turbina eólica
WO2016126064A2 (ko) 자동개폐 풍력 발전장치
CN102953937B (zh) 综合风力发电系统
JP2017516011A (ja) 風力タービン機用の羽根装置
JP2009287516A (ja) 縦軸型風車
KR101503358B1 (ko) 수평형 풍력발전기
JP3205043U (ja) プロペラ装置
KR20110089952A (ko) 풍력발전용 멀티 터빈
KR101382206B1 (ko) 무공해 발전 장치
KR101416963B1 (ko) 풍력 발전장치
KR101943845B1 (ko) 수평형 풍력발전기
JP5975760B2 (ja) 水循環式水力発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