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1906A - 스팀생성기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스팀생성기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1906A
KR20150091906A KR1020140012714A KR20140012714A KR20150091906A KR 20150091906 A KR20150091906 A KR 20150091906A KR 1020140012714 A KR1020140012714 A KR 1020140012714A KR 20140012714 A KR20140012714 A KR 20140012714A KR 20150091906 A KR20150091906 A KR 20150091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cabinet
laundry
drum
t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2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석
박대윤
김성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2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1906A/ko
Publication of KR20150091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19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40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8Detachable or door-mounted drying arrangements for wash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스팀 생성기; 및 상기 스팀 생성기에서 생성된 스팀을 선택적으로 상기 드럼 또는 상기 캐비닛 외부로 공급하는 스팀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구현하여 캐비닛 내부에 장착된 스팀생성기에서 생성된 스팀을 캐비닛 외부에서 다용도로 활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팀생성기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STEAM GENERATOR}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스팀생성기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 또는 건조기와 같은 의류처리장치는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을 포함한다. 또한, 세탁기의 경우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를 더 포함하며, 드럼은 터브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는 세탁물의 살균 및 오염물의 효과적인 제거, 건조시의 구김방지 등을 위해 드럼에 스팀을 분사하는 구성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캐비닛 내부에 스팀생성기가 설치된다.
이러한 스팀생성기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스팀생성기가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생성된 스팀이 드럼으로 공급되므로 스팀이 분사되는 위치와 세탁물 사이가 비교적 멀어 세탁물의 국부적인 부분에 집중적으로 스팀을 분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팀이 드럼으로만 공급되므로 드럼에 투입된 세탁물에만 스팀을 사용할 수 있어 스팀의 활용이 제한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의류처리장치의 캐비닛 내부에서 생성된 스팀을 캐비닛 외부에서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의류처리장치의 캐비닛 외부에 세탁물을 거치하여 세탁물을 국부적으로 스팀 처리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별도로 마련된 공간에 의류를 거치하고 스팀을 공급하여 의류에 잔류하는 냄새, 구김 또는 습기 등의 제거, 살균, 건조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스팀 생성기; 및 상기 스팀 생성기에서 생성된 스팀을 선택적으로 상기 드럼 또는 상기 캐비닛 외부로 공급하는 스팀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측면은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스팀생성기에서 생성된 스팀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드럼에 공급하거나 캐비닛 외부로 공급하여 스팀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스팀 공급수단은, 상기 캐비닛 외부로 연장되는 스팀 공급관; 및 상기 스팀 공급관의 단부에 구비되는 스팀 분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스팀 공급수단은 상기 스팀 생성기로부터 추출된 스팀이 가이드되는 가이드 호스; 및 상기 가이드 호스의 단부에 위치하는 스팀 분사관;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스팀 분사관의 단부에는 대향하는 임의의 표면에 대해서 스팀을 분사하기 위한 스팀 분사노즐이 장착되고, 상기 스팀 분사관에는 파지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의 측면은 사용자가 상기 스팀 분사관을 파지하여 원하는 곳에 스팀을 용이하게 분사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캐비닛에 장착되는 세탁물 거치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의 측면은 세탁물 거치수단에 세탁물을 거치하고 캐비닛 외부로 스팀을 공급하여 상기 세탁물을 적절하게 스팀처리 가능하다.
상기 세탁물 거치수단은 세탁물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트레이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트레이에는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의 저면에는 응축수 포집수단이 배치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의 측면은 세탁물에 스팀 분사시 트레이 하부로 응축수가 빠져 응축수 포집수단에 모이므로 응축수의 처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세탁물 거치수단의 다른 실시예로서 복수 개의 통기공이 형성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햄퍼를 포함하고, 상기 스팀 공급수단은 상기 햄퍼 측으로 스팀을 공급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의 측면은, 세탁물을 종류별로 상기 햄퍼에 모아놓았다가 필요할 때 상기 햄퍼로 스팀을 분사하여 살균 및 스팀처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세탁물 거치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캐비넷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컬럼; 및 상기 컬럼의 좌우측으로 연장되는 옷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팀 공급수단은 상기 옷걸이부 측으로 스팀을 공급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의 측면은 옷걸이부에 세탁물이 거치된 상태에서 스팀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세탁물의 구김제거, 탈취 및 건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드럼으로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 및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세탁물 거치수단은 상기 도어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 공급수단은 상기 도어에 배치된 세탁물 거치수단에 스팀을 공급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의 측면은 캐비닛 외부에 별도의 공간을 마련하지 않고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에 세탁물 거치수단을 형성하므로 의류처리장치의 크기가 증가하지 않고 별도의 공간에서 스팀세탁, 건조 기타 세탁물의 스팀처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캐비닛 내부에서 생성된 스팀을 캐비닛 내부 및 외부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Ⅰ-Ⅰ방향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상부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의 세탁물 거치수단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실시예의 제1 도어의 확대사시도,
도 9는 도 8의 Ⅱ-Ⅱ 방향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실시예의 옷걸이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12는 도 11의 실시예의 옷걸이의 상세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세탁기에 적용된 경우를 대상으로 하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회전하는 드럼이 구비되고 세탁물이 상기 드럼에 투입되어 처리되는 건조기나 건조 겸용 세탁기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110)과,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터브(21)와, 상기 터브(2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31)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캐비닛(110)의 전면 상측에는 세탁기의 조작을 위한 각종 조작수단(112)과 세탁기의 작동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114)가 장착되는 컨트롤 패널(116)이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 패널(116)은 상기 캐비닛(11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 패널(116)을 통해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제어부(1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180)는 기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상기 컨트롤 패널(116)을 통해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각종 부품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캐비닛(110)의 전면 상측에는 세탁과정에서 사용될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투입장치(118)가 구비된다. 상기 세제투입장치(118)에는 제1 급수관(43)이 연결되고 상기 제1 급수관(43)에는 급수밸브(45)가 마련된다. 상기 급수밸브(45)는 원수공급관(41)을 통해 외부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제1 급수관(43) 또는 제2 급수관(151)으로 공급하거나 공급되는 수량을 조절한다. 이러한 급수밸브(45)는 제어부(180)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세제투입장치(118)는 수납식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캐비닛 외부에서 열어 세제를 투입할 수 있으며, 상기 세제투입장치(118)가 상기 캐비닛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급수관(43)을 통해 물이 공급되고 상기 세탁수 공급관(47)을 통해 상기 터브(21)로 세제가 섞인 물이 공급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 급수관(43)은 상기 터브(21)에 바로 연결되어 세제가 섞이지 않은 물을 상기 터브로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 캐비닛(110)의 전면에는 세탁물이 드럼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세탁물 투입구(11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에는 스프링(22) 및 댐퍼(23)에 의해 상기 터브(21)가 지지되어 있다.
도어(120)는 도 1을 기준으로 좌측에 좌측에 힌지 어셈블리가 구비되어, 힌지와의 결합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도어(120)는 상기 캐비닛(110)의 전면에 형성되는 세탁물 투입구(111)를 개폐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터브(21)는 전방이 개방된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터브(21)의 내부에는 드럼(31)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드럼(31)은 전방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원주면에는 복수의 관통공(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드럼(31)의 내면에는 세탁물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리프트(35)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터브(21)의 후방부에는 상기 드럼(31)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모터(25)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드럼(31)의 저부에는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배수펌프(28)가 설치된 배수유로(27)가 구비되어 있다.
스팀생성기(150)는 상기 터브(21) 상측에 설치되고 제2 급수관(151)을 통해 공급되는 세탁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한다. 제2 급수관(151)은 상기 급수밸브(45)에서 분지되고 상기 스팀생성기(150)와 연결되어 상기 스팀생성기(150)에 세탁수를 공급한다. 상기 스팀생성기(150)는 내부에 세탁수가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밀폐형 압력용기(미도시)를 구비한다. 또한 스팀생성기(150)는 상기 세탁수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가열하는 히터(미도시)를 더 구비한다.
스팀 공급수단은 상기 스팀생성기(150)에서 생성된 스팀을 상기 드럼(31) 또는 상기 캐비닛(110)의 외부로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이러한 스팀 공급수단은 상기 스팀생성기(150)의 스팀토출로에 구비되는 스팀공급 제어밸브(160)를 포함한다. 또한 스팀 공급수단은 상기 스팀공급 제어밸브(160)에서 분지되어 상기 드럼으로 스팀을 공급하는 제1 스팀 공급관(161) 및 상기 스팀공급 제어밸브(160)에서 분지되어 상기 캐비닛 외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제2 스팀 공급관(163)을 포함한다. 상기 스팀공급 제어밸브(160)는 상기 제1 스팀 공급관(161) 또는 상기 제2 스팀 공급관(163)으로 스팀이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80)에 의해 제어된다.
상술한 구성의 측면은, 스팀을 상기 드럼으로 공급하여 세탁물의 살균, 건조 기타 스팀을 사용한 의류처리에 사용할 수도 있고, 스팀을 상기 캐비닛 외부로 공급하여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1 스팀 공급관(161)은 상기 터브(21)의 입구 테두리에 구비된 개스킷까지 연장되고 끝단에 드럼용 스팀노즐(162)이 구비된다. 상기 드럼용 스팀노즐(162)은 상기 개스킷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스팀을 상기 드럼(31) 내부로 분사한다.
상기 제2 스팀 공급관(163)은 상기 스팀공급 제어밸브(160)에서 상기 캐비닛(110) 외부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스팀 공급관(16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의 상면(110a)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캐비닛의 상면(110a)에는 상기 제2 스팀 공급관(163)을 상기 캐비닛에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연결부(17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71)는 상기 제2 스팀 공급관(163)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2 스팀 공급관(163)은 상기 연결부(171)를 경유하여 상기 캐비닛(110)의 외부로 더 연장되고, 끝에 스팀 분사부가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110) 외부로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다만, 도 1에서는 상기 제2 스팀 공급관(163)과 상기 스팀 분사부 사이에 가이드 호스(173)가 더 구비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 호스(173)는 일단이 상기 연결부(171)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호스(173)는 유연하게 구부릴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벨로우즈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스팀 분사부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호스(173)의 끝에는 스팀 분사부의 일 실시예로서 스팀 분사관(175)이 구비된다. 상기 스팀 분사관(175)은 소정길이로 연장되는 관으로, 상기 가이드 호스(173)에서 스팀 분사판(177)으로 스팀이 이동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팀 분사관(175)에는 파지부(176)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스팀 분사관(175)을 용이하게 파지하여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스팀 분사관(175)의 단부에는 저면에 복수 개의 스팀 분사노즐이 형성된 스팀 분사판(177)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스팀 분사판(177)과 상기 스팀 분사관(175)의 연결부는 상기 스팀 분사판(177)이 상기 스팀 분사관(175)에 대해서 다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측면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캐비닛 외부로 공급된 스팀을 다용도로 사용하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팀 분사판(177)에서 분사되는 스팀으로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설치된 장소를 청소할 수도 있고 옷걸이에 걸려있는 의류에 스팀을 분사하여 국부적인 구김을 빠르게 제거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스팀공급 제어밸브(160)를 제어하여 상기 스팀생성기(150)에서 생성된 스팀이 드럼 또는 캐비닛 외부로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컨트롤 패널을 통해 입력된 제어명령 또는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스팀공급을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상기 제1 실시예를 바탕으로 상기 가이드호스(173)와 상기 스팀 분사부가 분리가능하게 변형된 실시예이다. 상기 스팀 분사부는 일단에 구비되는 스팀 분사구(177')의 형상이 다양하게 형성된 어댑터 형태의 스팀 분사관(175')을 복수 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스팀분사구(177')는 캐비닛 외부로 배출되는 스팀의 사용용도에 맞추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팀을 캐비닛 외부로 분사하여 공기의 습도를 높이고자 할 경우 상기 스팀 분사구(177')는 저압의 스팀이 소량으로 분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스팀을 캐비닛 외부로 고압으로 분사하여 국부적으로 형성된 오염물을 제거하고자 할 경우 일정 이상의 압력으로 분사되는 직경의 분사노즐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스팀 분사구는 넓은 면적에 고르게 스팀을 공급하도록 슬릿 형태의 분사노즐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 호스(173)의 단부에 제1 체결부(174a)가 형성되고 상기 스팀 분사관(175')의 단부에 상기 제1 체결부(174a)와 체결 및 분리되는 제2 체결부(174b)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체결부(174a)와 상기 제2 체결부(174b)는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경에 삽입되는 형태로 체결될 수 있다. 체결을 위한 구체적인 구성은 두 개의 관이 분리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는 어떠한 구성이어도 좋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의 캐비닛에 세탁물 거치수단이 더 구비된 것이다.
상기 세탁물 거치수단은 스팀처리를 위해 세탁물을 거치할 수 있는 공간으로, 상기 캐비닛의 상면(110a)에 수납되어 설치된다. 상기 세탁물 거치수단은 세탁물이 거치될 수 있는 트레이(310), 상기 트레이 아래에 설치되는 응축수 포집수단(320) 및 상기 응축수 포집수단으로 모인 응축수가 배출될 수 있는 배수부(340)를 포함한다.
상기 응축수 포집수단(320)은 상기 트레이(310) 아래에 구비되는 물받이 통이다. 이러한 상기 응축수 포집수단(320)은 상면이 개방되고 소정의 깊이를 갖는 접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의 상면(110a)이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마련된 공간에 설치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응축수 포집수단(320)은 테두리부가 플랜지로 형성되어 캐비닛의 상면(110a)에 형성된 절개부 테두리에 걸쳐지며, 청소를 위해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응축수 포집수단(320)은 저면(323)이 배수공(321)을 향해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응축수 포집수단에 모인 응축수가 상기 배수공(321) 쪽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수공(321)은 상기 응축수 포집수단(320)의 측벽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다만, 상기 배수공은 상기 저면(323)의 최하단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의 측면은 세탁물에 스팀이 분사될 때 발생하는 응축수를 빠르게 배수공으로 흐르도록 하여 응축수 포집수단의 용량이 작더라도 응축수가 넘치지 않고 용이하게 배수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배수공(321)은 배수부(340)와 연결되어 응축수를 배출한다. 상기 배수부(340)은 상기 캐비닛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배수펌프(28)로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측면은 배수부(340)로 모이는 응축수가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배수펌프(28)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배수펌프(28)를 더 제어하여 배수부(340)로 모인 응축수를 빠르게 배출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310)는 세탁물을 거치하여 고정하고 스팀이 세탁물에 분사될 때 생기는 응축수가 상기 응축수 포집수단(320)으로 모일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트레이(310)는 복수 개의 관통공(311)이 형성된 판 형상으로, 상기 트레이의 상면에 모이는 응축수가 상기 관통공(311)을 통해 상기 트레이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상기 트레이(310)는 상기 응축수 포집수단(320)의 개구된 상면을 거의 덮도록 설치된다. 다만, 상기 트레이(310)의 형상은 거치하려는 세탁물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트레이는 상기 응축수 포집수단으로부터 위로 연장되고 상면에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트레이(310)는 테두리부(312)가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응축수 포집수단(320)의 개구부 측벽면에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부(312)가 응축수 포집수단(320)의 개구부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세탁물 거치수단은 커버부(330)를 더 포함하여 상기 트레이(310) 및 상기 응축수 포집수단(320)이 설치된 부분을 개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부(330)는 상기 캐비닛의 상면(110a)과 힌지축으로 체결되어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세탁물 거치수단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커버부(330)를 닫아 이물질이 상기 세탁물 거치수단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세탁물 거치수단은, 사용자가 캐비닛 외부에서도 간편하게 세탁물을 스팀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세탁물에 국부적으로 고온고압의 스팀처리가 필요할 경우 사용자는 상기 트레이에 세탁물의 해당 부분을 거치하고 고압의 스팀분사를 할 수 있는 스팀분사관(175')을 상기 가이드호스(173)에 연결한 후 상기 세탁물로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따라서 캐비닛 외부에서도 세탁물을 적절하게 스팀처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국부적으로 고압의 스팀을 용이하게 분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상술한 제3 실시예의 세탁물 거치수단이 변형된 실시예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 호스(173)의 단부에 분사노즐(178)이 바로 장착된 경우를 도시하였다. 다만, 가이드 호스(173)의 단부에는 다양한 형태의 분사노즐을 구비한 스팀 분사부가 구비될 수 있음은 상술하였다.
상기 세탁물 거치수단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캐비닛(110)의 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세탁물 거치수단은 복수 개의 통기공이 형성된 햄퍼(310'), 상기 햄퍼(310')가 하나 이상 거치되고 저면으로 응축수가 모이는 햄퍼 거치대(320'), 상기 햄퍼 거치대의 저면에서 상기 캐비닛 내부의 배수수단으로 연장되는 배수부(340')를 포함한다.
상기 햄퍼(310')는 원통 또는 사각통의 세탁물 거치부이다. 상기 햄퍼(310')는 상면에 개구되어 내부로 세탁물이 투입될 수 있다. 이러한 햄퍼(310')는 복수 개가 서로 다른 색깔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색깔에 따라 직관적으로 서로 분리해서 처리해야 할 세탁물 별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다.
상기 햄퍼 거치대(320')는 상면에 하나 이상의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햄퍼(310')가 개구에 끼워져 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햄퍼 거치대(320')는 내부공간이 상기 햄퍼(310')의 통기공과 연통되고 저면이 상기 배수부(340')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햄퍼(310') 내에서 생성되는 응축수가 상기 배수부(340')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배수부(340')은 상기 햄퍼 거치대(320')의 저면에서 상기 캐비닛 내부로 연장되고 상기 배수펌프(28)로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측면은 배수부(340')로 모이는 응축수가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배수펌프(28)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분사노즐(178)은 상기 가이드 호스(173)를 통해 캐비닛 외부로 공급되는 스팀을 상기 햄퍼(310')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살균 기타 스팀처리가 필요한 세탁물을 상기 햄퍼(310')에 모아두었다가 상기 분사노즐(178)을 상기 햄퍼(310') 내부에 배치하여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스팀이 상기 햄퍼(310') 내부로 분사되면서 생성되는 응축수는 상기 햄퍼의 통기공을 통해 상기 햄퍼 거치대(320')의 저면으로 모이고, 상기 배수부(340')를 통해 배수된다.
상기 분사노즐(178)은 상기 햄퍼(310')에 담긴 세탁물에 스팀을 분사하기 위한 노즐로, 상기 햄퍼로 적절히 스팀을 분사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5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도 2에서 상기 제2 스팀공급관(163)이 변형된 실시예로, 제2 스팀공급관이 상기 스팀공급 제어밸브(160)에서 분지되어 상기 도어(120)로 연장된다. 그리고 연결부(171)는 구비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어(120)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보조터브용 급수수단과 상기 세탁수를 도어에서 배수하기 위한 보조터브용 배수수단이 더 구비된다. 다만, 상기 보조터브용 급수수단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도어(120)에는 보조터브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터브로 세탁수 및 스팀이 공급되어 세탁물의 세탁, 스팀세탁, 스팀건조 및 살균 등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도어(120)는 보조터브를 형성하는 보울부재(123)가 도어 프레임(122)에 설치된다. 상기 도어 프레임(122)은 도어(120)의 외주를 형성하는 링 형상의 프레임으로, 중앙이 원형으로 개구되어 보조터브의 투입구(121)가 형성된다. 그리고 보조도어(130)는 상기 도어 프레임의 좌측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상기 보조터브의 투입구(121)를 개폐한다.
보울 부재(123)는 속이 빈 원통으로 세탁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인 보조터브를 형성하고, 전면이 개구되어 상기 도어 프레임에 형성된 투입구(121)와 연통된다. 상기 보울 부재(123)는 외주 측면이 상기 보조터브의 세탁물 투입구(111)에 둘러싸이게 배치되고, 상기 보울 부재의 후면은 상기 보조터브의 개구를 거의 막아 드럼(31)에 수용되는 세탁물이 상기 보울 부재와 상기 세탁물 투입구(111) 사이에 끼지 않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보울 부재(123)는 외주부 테두리가 상기 도어 프레임(122)에 고정되어 지지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 프레임(122)은 상기 도어 프레임의 전면을 형성하는 아우터 프레임(122a)과 상기 도어 프레임의 후면을 형성하는 이너 프레임(122b)을 포함한다. 상기 보울 부재(123)는 외주부 테두리가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아우터 프레임(122a)과 상기 이너 프레임(122b) 사이에 끼움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보울 부재(123)가 상기 도어 프레임(122)에 고정되면, 도어(120)가 닫혔을 때 상기 세탁물 투입구(111)는 상기 도어 프레임(122) 및 상기 보울 부재(123)의 후방면에 의해 밀폐된다. 이때 상기 이너 프레임(122b)에 탄성력이 있는 링 형상의 밀착부재(122c)가 부착되어 상기 도어 프레임(122)과 상기 세탁물 투입구(111)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측면은, 도어(120)에 보조터브가 형성되므로 의류처리장치에 일정 공간을 차지하면서도 도어의 기능밖에 하지 않았던 공간이 터브로 활용되어 의류처리장치의 캐비닛에 별도의 세탁물 거치수단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공간활용이 효율적이다. 또한, 복수 개의 공간에서 세탁, 스팀세탁, 살균 및 헹굼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의 측면은, 보조터브가 도어 내부에 구비되는 만큼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터브(21)보다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아 소량의 세탁물을 세탁하기 용이하다. 또한 밀폐되는 공간에 스팀을 공급하므로 고온고압의 스팀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도어의 힌지 어셈블리(140)는 상기 도어(120)가 상기 세탁물 투입구(111)를 개폐할 때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움직이도록 설치된다. 상기 힌지 어셈블리(140)는, 상기 도어 프레임(122)의 후면, 즉 이너 프레임(122b)에 체결되고 상기 캐비닛(110)의 전면과 힌지축으로 연결되는 힌지 지지부(141)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상기 힌지 지지부(141)는 상기 힌지축이 관통하는 힌지축 수용부(142)가 측면 모서리에 나란히 형성된다. 또한, 상기 힌지 지지부(141)에는 상기 캐비닛(110)의 전면과 상기 도어 프레임(122) 사이에 커플러(270)가 수용되는 공간(143)이 더 형성된다.
보조터브용 급수수단은 도 2의 급수밸브(45)에서 분지되거나 상기 세제투입장치(118)에 연결되고, 상기 힌지 어셈블리(140)를 경유하여 상기 도어로 연장되어 상기 보조터브로 세탁수를 공급한다. 이러한 상기 보조터브용 급수수단은, 상기 도어 프레임의 내주면 상부에 설치되고 세탁수를 상기 보조터브 내로 분사하는 보조 터브용 세탁수 분사노즐(265), 상기 세탁수 분사노즐로 세탁수를 공급하고 상기 도어 프레임을 따라 상기 힌지 어셈블리(140)까지 연장되는 보조터브용 급수관(263) 및 상기 힌지 어셈블리(140)에서 상기 급수관(263)과 연결되고 상기 세제투입장치(118) 또는 상기 급수밸브(45)로 연장되는 급수 연결관(미도시)를 포함한다.
다만 이러한 보조터브용 급수수단은 구비되지 않고 후술하는 제2 스팀 공급관(283)만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스팀 공급관(283)은 상기 스팀공급 제어밸브(160)에서 분지되고 상기 힌지 어셈블리(140)를 경유하여 상기 도어 프레임(122)을 따라 상기 보조터브의 상부로 연장된다. 이러한 상기 제2 스팀 공급관(283)은 상기 보조터브의 상부에 관통형성된 보조터브용 스팀분사노즐(285)과 연결된다.
보조터브용 배수수단은 상기 보조터브에서 상기 힌지 어셈블리(140)를 경유하여 상기 캐비닛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보조터브 내의 세탁수 또는 응축수를 배수한다. 이러한 보조터브용 배수수단은 상기 보조터브 내의 세탁수 또는 응축수가 배수되는 보조터브용 배수공(265), 상기 보조터브용 배수공과 연통되고 상기 도어 프레임을 따라 상기 힌지 어셈블리(140)까지 연장되는 보조터브용 배수관(273), 상기 배수관(273)에 설치되는 배수 밸브(274), 상기 힌지 어셈블리(140)에서 상기 보조터브용 배수관(273)과 연결되고 도 2의 배수펌프(282)로 연장되는 배수 연결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배수공(265)은 상기 도어 프레임(122)의 내주면 하부 중심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터브 내부의 세탁수 또는 응축수가 용이하게 배수된다. 상기 배수밸브(274)는 상기 도어 프레임(122) 내부에서 상기 보조터브용 배수관(273)의 중간에 설치되어 배수를 조절한다. 상기 배수밸브(274)가 열리면 세탁수 또는 응축수는 상기 배수펌프(282)에 의해 배출된다.
상기 배수밸브(274)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전기적 배선(미도시)은 상기 도어 프레임(122)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힌지 어셈블리(140)를 통해 상기 캐비닛(110) 내부로 연결된다. 이러한 전기적 배선은 상기 제어부(1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배수밸브(274)는 상기 제어부(180)에 의해 제어된다.
커플러(270)는 상술한 보조터브용 급수수단 및 배수수단과 상기 제2 스팀 공급관을 서로 고정하고 상기 힌지 어셈블리(140)를 경유하여 상기 캐비닛 내부로 연장되도록 한다. 상기 커플러(270)는 상기 보조터브용 급수수단과 연통되는 급수측 호스(262), 상기 보조터브용 배수수단과 연통되는 배수측 호스(272) 및 상기 제2 스팀 공급관(283)과 연통되는 스팀측 호스(282)를 각각 구비한다. 급수측 호스(262), 배수측 호스(272), 스팀측 호스(282)는 각각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도어(120)가 회동하면서 움직이더라도 캐비닛 내부의 각 구성과 연결이 잘 유지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는 세탁물 거치수단(350)이 상기 캐비닛(110)의 상부에 설치되되 의류수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캐비닛 형태로 형성된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구성은 도 2와 동일하므로 도 2와 도면부호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세탁물 거치수단(350)은 전면이 개방되고 의류가 수납될 수 있는 빈 공간이 구비된 전장실(351)와 상기 전장실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35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세탁물 거치수단(350)은 상기 전장실(351)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스팀 공급관(163)과 연통되어 스팀이 유입되는 스팀 분사부(3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팀 분사부(360)는 속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스팀이 유입된다. 또한 상면에 복수 개의 관통공(361)이 형성되어 유입된 스팀이 상기 전장실(351) 내부로 분사된다.
상기 캐비닛의 상면(110a)에 설치된 연결부(171)는 상기 전장실(351)의 하면을 관통하여 상기 캐비닛(110)과 상기 세탁물 거치수단(350)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스팀 공급관(163)은 상기 연결부(171)를 통해 상기 스팀 분사부(360)까지 연장되어 상기 스팀 분사부(360)로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장실(351)은 상부에 옷걸이가 거치될 수 있는 막대(355)가 수평으로 연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장실(351)에 옷을 옷걸이에 건 상태로 수납하고 상기 전장실(351)로 스팀을 공급하여 냄새 및 구김제거, 건조 등의 처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미도시되었으나, 상기 세탁물 거치수단(350)에는 상기 스팀의 순환을 위한 송풍수단, 상기 스팀의 배출을 위한 배기수단, 전장실 내 공기의 제습을 위한 열교환수단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1은 상술한 제6 실시예의 세탁물 거치수단이 변형된 실시예이고, 도 12는 도 11의 스팀 분사부의 확대도이다. 상기 전장실(351)에는 옷걸이 형상으로 형성된 스팀 분사부(3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 분사부(360')는 상의의 어깨부분을 지지하기 위해 좌우로 연장되는 어깨지지부(363), 상기 어깨지지부에서 상기 전장실의 하부로 연장되고 스팀을 상기 어깨지지부로 공급하는 연결지지부(365) 및 상기 전장실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스팀 공급관(163)과 연통되어 스팀이 유입되는 스팀유입부(367)를 포함한다.
상기 어깨 지지부(363)와 상기 연결지지부(365)는 내부에 빈 공간(364)이 마련되어 상기 스팀유입부(367)로 유입된 스팀이 내부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깨 지지부와 상기 연결지지부는 외면에 관통공(366)이 복수 개 형성되어 스팀이 상부로 유동하면서 상기 관통공(366)을 통해 분사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측면은, 상기 스팀 분사부(360')가 옷걸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의가 형태가 유지된 상태에서 스팀처리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스팀 분사부를 따라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의 안쪽에서 골고루 스팀이 분사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1 : 터브 31 : 드럼
25 : 구동수단 110 : 캐비닛
116 : 컨트롤 패널 118 : 세제공급장치
120 : 도어 130 : 보조도어
140 : 힌지어셈블리 150 : 스팀생성기
160 : 스팀공급 제어밸브 180 : 제어부

Claims (6)

  1.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스팀 생성기; 및
    상기 스팀 생성기에서 생성된 스팀을 선택적으로 상기 드럼 또는 상기 캐비닛 외부로 공급하는 스팀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공급수단은,
    상기 캐비닛 외부로 연장되는 스팀 공급관; 및
    상기 스팀 공급관의 단부에 구비되는 스팀 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공급수단은
    상기 스팀 생성기로부터 추출된 스팀이 가이드되는 가이드 호스; 및
    상기 가이드 호스의 단부에 위치하는 스팀 분사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분사관에는 파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분사관의 단부에는 대향하는 임의의 표면에 대해서 스팀을 분사하기 위한 스팀 분사노즐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 장착되는 세탁물 거치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40012714A 2014-02-04 2014-02-04 스팀생성기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KR201500919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714A KR20150091906A (ko) 2014-02-04 2014-02-04 스팀생성기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714A KR20150091906A (ko) 2014-02-04 2014-02-04 스팀생성기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1906A true KR20150091906A (ko) 2015-08-12

Family

ID=54056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2714A KR20150091906A (ko) 2014-02-04 2014-02-04 스팀생성기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19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3520A (ko) * 2019-07-02 2021-01-12 김상일 증류수를 이용한 사물인터넷형 세탁장치 및 그 관리서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3520A (ko) * 2019-07-02 2021-01-12 김상일 증류수를 이용한 사물인터넷형 세탁장치 및 그 관리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2364B1 (ko) 세탁 및 건조 장치
KR102421649B1 (ko) 의류처리장치
KR100760762B1 (ko) 건조 세탁기
SK50302012U1 (sk) A method of removing folds of the laundry and corresponding washing machine
EP2061923B1 (en) Washing machine
KR20090105120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A2659256A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US8769997B2 (en) Laundry machine
KR20180006000A (ko) 의류처리장치
WO2008013411A2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10009918A (ko) 세탁물 처리기기
EP3543394A1 (en) Drying apparatus, and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same
JP5012937B2 (ja) 洗濯乾燥機
KR20120022364A (ko) 세탁장치
KR102401039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43582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634171B1 (ko) 세탁기
KR20150091906A (ko) 스팀생성기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KR102141562B1 (ko) 스팀생성기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KR20100124128A (ko) 액체 분사 장치를 갖는 세탁기
KR102316086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036038B1 (ko) 드로워 타입의 미스트 공급장치를 가진 건조겸용 세탁기
KR20090105124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100124126A (ko) 액체 분사 장치를 갖는 세탁기
KR101208531B1 (ko)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