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0989A - 해삼 대량생산을 위한 양식용 인공어초 - Google Patents

해삼 대량생산을 위한 양식용 인공어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0989A
KR20150090989A KR1020140112961A KR20140112961A KR20150090989A KR 20150090989 A KR20150090989 A KR 20150090989A KR 1020140112961 A KR1020140112961 A KR 1020140112961A KR 20140112961 A KR20140112961 A KR 20140112961A KR 20150090989 A KR20150090989 A KR 20150090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main body
sea cucumber
artificial fish
s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2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용택
임아름
서대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진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진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진기업
Publication of KR20150090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09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3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ponges, sea urchins or sea cucumb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삼 양식용 인공어초에 관한 것으로서, 조류가 약한 위치의 해저에 설치되는 내만형 인공어초와, 조류가 심한 위치의 해저에 설치되는 외만형 인공어초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내만형 인공어초는 복수의 파이프를 서로 인접하여 배치하여 형성되는 해삼은신처와, 상기 복수의 파이프를 수용하는 원통형상의 외부본체와, 상기 외부본체를 구비하는 그물망을 구비하며, 상기 외만형 인공어초는 일정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해삼은신처와, 상기 본체부의 저면에 체결되어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무게추와, 상기 본체부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연결고리부와, 상기 본체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해삼 및 해수가 유통하는 중앙통로를 구비하여, 해삼의 은신처를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다량으로 설치할 수 있고, 다수의 외만형 인공어초를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적층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해삼의 대량 양식을 저렴하면서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조류가 약하거나 심한 지역 등 인공어초가 설치되는 주변의 환경을 고려하여 주변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

Description

해삼 대량생산을 위한 양식용 인공어초{ARTIFICIAL FISH BANK FOR SEA CUCUMBER}
본 발명은 해삼 양식용 인공어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해삼을 인공으로 대량 양식하기 위한 해삼 대량 생산을 위한 양식용 인공어초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해삼의 수요가 크게 늘면서 어민들의 소득도 증대되고 있는데, 극피동물인 해삼은 바다의 인삼과 같은 최고의 스테미너 식품으로 인기가 날로 높아가고 있다.
해삼의 주요 아미노산 성분은 알기닌, 시스틴이며 담즙성분인 타우린도 많아 빈혈을 예방 치료하며, 간장의 운동을 원활하게 해 준다. 특히 칼슘과 탄닌 성분은 암과 위궤양까지 예방하며, 식욕을 돋우고 신진대사를 증진하고 칼로리가 적어 비만 예방에도 효과적이고 고혈압, 동맥경화, 당뇨환자, 비만자 등의 건강식품으로도 유용하다.
전복이나 다른 어류들은 대부분 양식기술이 발달하여 가두리 양식장이나 내수면 양식기술이 많이 보급되고 있으나 해삼의 양식기술은 아직까지 체계화되지 않아 대량양식 및 가공기술이 발달하지 못하고 있다. 해삼양식방법의 일환으로 인공어초, 양식틀 등 다양한 종류의 해삼양식 기술들이 공개되어 있으나 대부분의 기술들이 현실성이 없어 실제 현장에서 이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해삼의 주요습성을 고려하지 않은 것에 기인한 것이다. 해삼의 특성은 낮에는 은신하고 있다가 야행성으로 밤에만 활동하여 먹이를 먹고 있는 습관을 가지고 있고 특히 해삼은 자기 혼자 숨을 수 있는 은신처를 찾으며, 해삼이 주로 서식하는 바다 속을 보면 돌이나 바위틈이 많은 곳에 주로 서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해삼 양식은 은신처를 적절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해삼은 수온 15~18도에서 성장이 왕성하나, 수온이 높은 시기에는 먹이를 거의 먹지 않는다. 따라서 소화관은 퇴화되며, 수온이 25도 이상 되는 시기에는 소화관이 작아져서 최소로 되는데 이때가 하면기(夏眠期)이다. 또한 해삼은 수온이 5도 이하의 시기에는 먹이를 거의 먹지 않는데, 이때가 동면기(冬眠期)이다. 해삼의 이런 생태생리적인 특성 때문에 우리나라의 자연환경에서는 성장기간이 짧을 뿐만 아니라,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양식으로 육성하는 방법에도 한계가 있다. 또한, 해삼은 부유하여 생활하지 않고, 바닥 등에 부착하여 서식하는 습성의 특성이 있다.
이러한 해삼의 특성으로 인하여, 바다에서 양식하는 경우에는 해삼의 양식성공율이 매우 낮고 해삼에 영향을 주는 외부의 환경요인을 적절하게 조절하기 어렵기 때문에, 최근에는 해안가 인근의 육상에서 양식용 수조를 설치하여 해삼을 육상에서 양식하는 육상양식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해삼양식을 위한 인공어초에 있어서는, 인공어초에 설치되는 각각의 해삼은신처를 별도로 제조하여야 하므로, 해삼은신처 및 인공어초의 제조에 많은 비용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양식장 주변과 조류가 심한 바다의 해저 등 인공어초가 설치되는 주변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동일한 형태로 제조되기 때문에 해삼양식의 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 10-0666032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삼의 은신처를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다량으로 설치할 수 있는 해삼대량생산을 위한 양식용 인공어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공어초가 설치되는 주변의 환경을 고려하여 주변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해삼의 양식 성공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해삼대량생산을 위한 양식용 인공어초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해삼대량생산을 위한 양식용 인공어초는, 조류가 약한 위치의 해저에 설치되는 내만형 인공어초와, 조류가 심한 위치의 해저에 설치되는 외만형 인공어초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내만형 인공어초는 복수의 파이프를 서로 인접하여 배치하여 형성되는 해삼은신처와, 상기 복수의 파이프를 수용하는 원통형상의 외부본체와, 상기 외부본체를 구비하는 그물망을 구비하며, 상기 외만형 인공어초는 일정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해삼은신처와, 상기 본체부의 저면에 체결되어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무게추와, 상기 본체부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연결고리부와, 상기 본체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해삼 및 해수가 유통하는 중앙통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내만형 인공어초는 상기 그물망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외부본체에 연결되며 하광상협의 깔대기 형상을 이루도록 격자형상으로 형성된 뼈대부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고리부는, 상기 외만형 인공어초를 인양부표에 연결하는 연결로프가 체결되는 연결고리와, 일끝단이 상기 연결고리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끝단은 상기 본체부의 모서리를 관통하여 상기 무게추에 연결되는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이 관통한 상기 본체부의 체결구멍을 덮는 연결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의 상하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요철부에서 끼워맞춤되어 복수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중앙통로의 내부면에는 인접한 중앙통로와 연통하는 통과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는 폐파레트이고 상기 해삼은신처는 중공의 파이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부에 중공을 형성하거나 폐파레트에 중공의 파이프를 설치하여 해삼의 은신처를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다량으로 설치할 수 있고, 다수의 외만형 인공어초를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적층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해삼의 대량 양식을 저렴하면서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조류가 약하거나 심한 지역 등 인공어초가 설치되는 주변의 환경을 고려하여 주변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내만형 인공어초와 외만형 인공어초가 복수개 설치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내만형 인공어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내만형 인공어초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외만형 인공어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A-A'를 따라 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외만형 인공어초의 연결고리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외만형 인공어초가 복수 개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해삼 대량생산을 위한 양식용 인공어초에 대하여 실시예로써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해삼 대량생산을 위한 양식용 인공어초(1)는 조류가 약한 위치의 해저에 설치되는 내만형 인공어초(10)와, 조류가 심한 위치의 해저에 설치되는 외만형 인공어초(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내만형 인공어초 및 상기 외만형 인공어초는 연결로프(3)를 통해 바다위 표면에 설치된 인공부표(2)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내만형 인공어초(10)는 파도와 풍랑이 약하고 조류가 약하며 먹이가 풍부한 바다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만형 인공어초는 조류가 약하고 해삼이 많이 서식하고 있는 위치에 설치되기 때문에, 인공어초의 크기가 크며 유동성이 다소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내만형 인공어초(10)는 해삼은신처(13)와, 외부본체(11)와, 뼈대부(15)와, 그물망(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해삼은신처(13)는 중공의 파이프를 일정 단위 길이로 절단하고, 복수의 절단된 파이프를 서로 인접하게 세워 설치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부본체(11)는 세워설치된 상기 복수의 파이프로 구성된 상기 해삼은신처를 둘러싸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높이는 상기 해삼은신처의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외부본체의 상부면은 개방되고, 하부면은 상기 해삼은신처를 지지하되 해수가 유통될 수 있도록 미세한 구멍이 천공된 플레이트로 형성된다.
상기 뼈대부(15)는 상기 외부본체에 체결되거나 상기 외부본체의 외주면 및 하부면까지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굵은 철사 등을 격자형태로 교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뼈대부는 상기 외부본체에 가까운 쪽의 직경이 크고 상부로 갈수록 그 직경이 작아지는 하광상협의 깔대기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해삼은신처 및 상기 외부본체를 둘러싸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해삼은신처의 상부에 해삼의 활동공간을 확보하기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그물망은 상기 외부본체와 상기 뼈대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외부본체의 하부면에는 무게추(12)가 설치되며, 상기 외부본체의 외주면의 일측에는 연결고리(1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무게추(12)는 예를 들면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인공어초를 바다에 투입할 때에 용이하게 해저 바닥면에 안착될 수 있음과 동시에 풍랑이나 조류에 의해 어초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내만형 인공어초(1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해삼은신처를 세워설치하지 않고, 눕혀서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뼈대부 및 상기 그물망은 상기 해삼은신처 및 상기 외부본체를 양측에서 감싸고 상기 그물망의 출입구가 양측에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만형 인공어초(20)는, 주로 씨뿌림양식장, 해삼섬, 가두양식장, 전복양식장, 축제식양식장, 육상양식장의 주변의 바닥이나 저면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파도와 풍랑 그리고 조류가 심한 위치에서 해저바닥에 가급적 달라붙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만형 인공어초는 조류가 심한 위치에 설치되기 때문에, 위치이동이 가급적 없고 내부에 해수 등의 유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만형 인공어초(20)는 본체부(21)와, 해삼은신처(22)와, 무게추(23)와, 연결고리부(25)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부(21)는 일정 두께를 갖는 판 형상 또는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해삼은신처가 마련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의 상하부면에는 요철부(21a)가 형성된다.
상기 요철부를 형성함으로써,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를 복수 개 적층할 때에, 상부의 본체부의 하부면의 요철부가 하부의 본체부의 상부면의 요철부에 끼워맞춤되어 적층 및 체결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안정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인공어초에 가해지는 조류에 의한 상기 인공어초의 위치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해삼은신처(22)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를 길이방향으로 천공하여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해삼은신처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복수 개의 구멍을 천공하여 복수 개의 해삼은신처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하나의 상기 인공어초에 복수 개의 해삼은신처를 다량으로 설치하여 해삼의 대량양식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의 하부면에는 무게추(23)가 설치된다. 상기 무게추(23)는 예를 들면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인공어초를 바다에 투입할 때에 용이하게 해저 바닥면에 안착될 수 있음과 동시에 풍랑이나 조류에 의해 어초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연결로프를 체결하기 위한 연결고리부(25)가 마련된다. 상기 연결고리부(25)는 연결고리(25a)와, 연결봉(25b)과, 연결캡(26)을 구비한다.
상기 연결고리(25a)에는 인양부표에 연결하는 연결로프가 체결되며, 상기 연결봉(25b)은 외주면에 나사산(25c)이 형성되고, 일끝단이 상기 연결고리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끝단은 상기 무게추에 연결된다. 상기 무게추의 중앙부분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내부면에는 상기 연결봉(25b)의 나사산(25c)과 나사결합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캡은 상기 연결봉이 관통한 상기 본체부의 체결구멍을 덮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결봉을 상기 본체부의 체결구멍을 관통하도록 삽입한 후에 상기 연결봉의 나사산을 상기 무게추의 나사산에 나사결합한 후, 상기 연결캡을 씌움으로써 상기 본체부와 상기 연결고리의 체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본체부를 적층할 경우, 적층되는 본체부의 요철부를 통해 용이하게 끼워맞춤한 다음, 연결봉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기만 하면, 복수개 적층된 본체부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상기 외만형 인공어초(20)는 조류가 심한 위치에 설치되기 조류가 심한 위치에 설치되기 때문에, 조류에 의해 상기 인공어초가 이탈되거나 위치이동이 가급적 없도록 상기 외만형 인공어초의 내부에 해수 등의 유통을 위한 중앙통로(24)를 마련한다.
상기 중앙통로(24)는 상기 본체부를 상하방향으로 천공하여 형성되며, 상기 중앙통로를 통하여 상기 외만형 인공어초에 서식하는 해삼의 자유로운 유동을 확보함과 동시에 해수가 상기 중앙통로를 통해 저항이 적게 유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통로(24)는 하나의 상기 외만형 인공어초에 복수 개 설치할 수 있으며, 복수 개 설치된 상기 중앙통로에는 인접한 중앙통로와 연통되는 통과홀을 형성하여 해삼의 자유로운 유동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만형 인공어초의 상기 본체부는 일정 두께를 갖는 판형상 또는 상자 형상으로 콘크리트 재질, 금속재질 또는 PVC 재질로 제작할 수도 있으나, 폐자재를 이용하여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본체부를 폐파레트를 이용하여 형성하고, 물품의 인양을 위해 폐파레트에 형성된 빈 공간에 중공의 파이프를 체결하여 상기 중공의 파이프를 해삼은신처로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폐자재를 활용하여 저렴하면서도 용이하게 인공어초의 본체부를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 양식용 인공어초
10 : 내만형 인공어초
20 : 외만형 인공어초

Claims (6)

  1. 조류가 약한 위치의 해저에 설치되는 내만형 인공어초와, 조류가 심한 위치의 해저에 설치되는 외만형 인공어초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내만형 인공어초는, 복수의 파이프를 서로 인접하여 배치하여 형성되는 해삼은신처와, 상기 복수의 파이프를 수용하는 원통형상의 외부본체와, 상기 외부본체를 구비하는 그물망을 구비하며,
    상기 외만형 인공어초는, 일정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해삼은신처와, 상기 본체부의 저면에 체결되어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무게추와, 상기 본체부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연결고리부와, 상기 본체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해삼 및 해수가 유통하는 중앙통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삼대량생산을 위한 양식용 인공어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만형 인공어초는 상기 그물망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외부본체에 연결되며 하광상협의 깔대기 형상을 이루도록 격자형상으로 형성된 뼈대부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는 해삼대량생산을 위한 양식용 인공어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리부는,
    상기 외만형 인공어초를 인양부표에 연결하는 연결로프가 체결되는 연결고리와,
    일끝단이 상기 연결고리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끝단은 상기 본체부의 모서리를 관통하여 상기 무게추에 연결되는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이 관통한 상기 본체부의 체결구멍을 덮는 연결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삼대량생산을 위한 양식용 인공어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하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요철부에서 끼워맞춤되어 복수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삼대량생산을 위한 양식용 인공어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통로의 내부면에는 인접한 중앙통로와 연통하는 통과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삼대량생산을 위한 양식용 인공어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폐파레트이고, 상기 해삼은신처는 중공의 파이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삼대량생산을 위한 양식용 인공어초.



KR1020140112961A 2014-01-29 2014-08-28 해삼 대량생산을 위한 양식용 인공어초 KR201500909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11159 2014-01-29
KR1020140011159 2014-01-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989A true KR20150090989A (ko) 2015-08-07

Family

ID=53886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2961A KR20150090989A (ko) 2014-01-29 2014-08-28 해삼 대량생산을 위한 양식용 인공어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098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20770A (zh) * 2018-11-15 2019-01-18 鲁东大学 一种用于海参资源养护的大型海藻增殖装置及方法
KR102500637B1 (ko) * 2022-04-22 2023-02-16 주식회사 수정해양개발 수중저연승 시설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20770A (zh) * 2018-11-15 2019-01-18 鲁东大学 一种用于海参资源养护的大型海藻增殖装置及方法
CN109220770B (zh) * 2018-11-15 2021-01-05 鲁东大学 一种用于海参资源养护的大型海藻增殖装置及方法
KR102500637B1 (ko) * 2022-04-22 2023-02-16 주식회사 수정해양개발 수중저연승 시설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443664U (zh) 一种简易人工鱼礁
CN204837543U (zh) 一种可扩展可定位人工鱼礁
KR101395758B1 (ko) 해삼용 인공어초
KR101731014B1 (ko) 먹이 공급기능을 갖는 해삼어초
KR101475414B1 (ko) 육상축제식 양식장을 활용한 어패류의 고생산성 양식을 위한 원스톱(One-stop) 복합 양식 시스템 및 양식 방법
CN103598123B (zh) 真蛸半隔离海水养殖网箱及其养殖方法
KR101549056B1 (ko) 문어 은신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해상 가두리 양식장
CN206024919U (zh) 一种平胸龟的规模化仿生态繁殖驯养池
KR101286078B1 (ko) 침하식 해삼 가두리 양식 장치
KR20150090989A (ko) 해삼 대량생산을 위한 양식용 인공어초
KR101657774B1 (ko) 육상 수조용 부착생물 육성 장치
CN106305503A (zh) 一种可扩展可定位人工鱼礁
RU2504150C1 (ru) Рыбоводный комплекс
CN103798119B (zh) 池塘多功能浮萍培育网箱
CN104365509A (zh) 海参育苗方法
KR101427538B1 (ko) 도루묵 산란 및 보육을 위한 어소
CN103782930A (zh) 一种海洋牧场组合智能化深水网箱
KR101582104B1 (ko) 굴 양식 설비
KR20110111337A (ko) 해삼 양식용 2중 삼각어초
CN109122566A (zh) 一种促使虎纹蛙集中产卵的高存活养殖方法及其养殖设备
CN103190367A (zh) 一种收集泥东风螺卵囊的方法及采卵器
CN103190362B (zh) 一种浮动式生态型人工鱼礁的制作方法
CN207118494U (zh) 一种蟾蜍卵孵化及蝌蚪培育网箱
CN206150186U (zh) 一种能够着生水草的人工渔礁
CN104351127A (zh) 一种牛蛙的生态散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