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0916A - 조직-등가 바이오플라스틱 소재 - Google Patents

조직-등가 바이오플라스틱 소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0916A
KR20150090916A KR1020157017272A KR20157017272A KR20150090916A KR 20150090916 A KR20150090916 A KR 20150090916A KR 1020157017272 A KR1020157017272 A KR 1020157017272A KR 20157017272 A KR20157017272 A KR 20157017272A KR 20150090916 A KR20150090916 A KR 20150090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ssue
solution
hyaluronic acid
equivalent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7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올가 이바노브나 불러츠카야
라밀 라파일레비치 라크마툴린
타티아나 이바노브나 부르트세바
아베이 이즈불라토비치 아델신
Original Assignee
지-그룹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그룹 엘엘씨 filed Critical 지-그룹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50090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09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09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6/002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0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61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6/008Hydrogels or hydrocoll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2Polypeptides or derivatives thereof, e.g. degradation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C08L5/08Chitin; Chondroitin sulfate;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약제, 및 특히 연소학, 외과수술학 및 화장학에 관한 것으로, 상피조직 중 결손을 대체할(증발과 감염에 대한 보호) 그리고 재생을 자극하는 용도의 바이오 플라스틱 소재에 관한 것이다.
연구결과 상처치유 효과가 증가되었다. 조직-등가 바이오 플라스틱 소재는 매트릭스 형태로 기질을 포함하며, 이때 소재는 히알루론산의 천연형태이고, 조직-등가 바이오 플라스틱 소재는 히알루론산의 1.5 % 용액과 펩티드 복합체의 5 % 용액을 포함하며, 이들은 점성 탄성 겔이 형성될 때까지 혼합하고, 기초단계에 있게한 다음, 5-7 시간 동안 공정을 거쳐 생물안전작업대(biosafety cabinet)에서 자외선 광중합시켜 다음의 정량적 비율, ㎖로 조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다 음)
- 히알유론산 용액의 1.5 % 용액: 80-90 %;
- 펩티드 복합체의 5 % 용액: 10-20 %;
- 최종 소재는 천공(perforations)과 절흔(notches)를 갖는다.

Description

조직-등가 바이오플라스틱 소재{Histo-equivalent bioplastic material}
본 발명은 주로 열상학, 외상, 화장학 분야에서 사용되는 약제(medicine)에 관한 것으로, 피부의 상피조직(epithelium tissues)의 결손 대체용(증발 및 감염으로부터의 보호) 및 재생촉진용 바이오플라스틱 소재로서의 용도를 찾고자 하는 것이다.
고기능성 및 심미성 결과를 보이는 기관-특이적 재생 효과를 갖기 위하여 새로운 생분해성, 플라스틱 및 생체에 적합한 소재의 개발과 연구는 현대 재생의학 및 피부이식학 분야에서 현실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신소재는 감수성 있는 조직의 특이형태학적 순응을 구비해야하고 그리고 기능성 회복을 촉진해야됨은 틀림없다.(Bioartificial organs, 1999; Biocompatibility, 1999; Sudesh et al., 2000; 2004; Biopolymers for Medicinal and Pharmaceutical Applications, 2005).
일반적으로, 새로운 기능성질을 갖는 바이오소재, 소위 조직-등가 바이오플라스틱 소재(histo-equivalent bioplastic materials; HEB)에 기초를 둔 조직-공학설비 및 생인공기관(bioartificial organs)의 발전과 관련한 의료 생체공학의 가장 최근 영역이 활성화되어 연구 진행중이다(Shumakov, 1995; Shumakov et al., 2003; Stilman, 2006). 이와 같은 소재의 핵심적인 성질은 전신 및 국소적 축적없이 생화학사이클 중에서 중간체 및 최종제품의 포함으로 자연적인 대사경로를 통하여 생분해능을 갖는 것이며, 예로서는 락트산(lactic acid)와 글리콜산(glycolic acid)이 클렙스사이클(krebs cycle)에 관련되어 있다. 나아가, 이런 소재는 비독성이어야 하고, 혈류 흐름 중 그들의 농도가 최대 허용치를 넘어서서는 안된다 (Volova T.G., 2003).
바이오소재(biomalerials)의 생리적 대사는, 조직-공학적 설비의 프레임 기초를 구성하며, 염증반응의 분명한 효과 없이 교정공정의 평형을 결정하고, 이물질(foreign body)에 신체응답을 피하는, 면역거절현상을 예방한다(Shishatskaya E., 2011).
신 조직-등가 바이오플라스틱 소재(bioplastic materials; BM)의 개발은 그들의 강력한 성질의 생분해와 동력의 동적연구 뿐만 아니라 재생공정의 영향 및 성질을 평가하는데 기초를 두고 있다. 이런 영향의 본질과 심각성은 소재 자체의 물리화학적 성질의 조합과 수용 유기체의 생리 및 생화학적 반응의 응답강도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생화학 보합성(biochemical complementarity)의 최대 등급을 갖는 신규 생분해성 소재의 개발은 매트릭스 제공에 기초를 두며, 고분자 복합제로 구성되고, 신체 자기 효소시스템과 다른 용해제(lytic agents)에 노출되어있다.
여기서, 생분해성 소재의 이상적 다변화는 다음과 같은 구비사항을 갖추어야한다;
1. 고분자물은, 자연 대사경로 중에서 생분해 진행기간에 구비되고, 면역-염증 반응의 근원이 아니어야 한다.
2. 신체 보호세포의 신호 백혈구 주화성(chemotaxis) 상태에서, 재생 기전 중에서 소재의 대사 중간체 및/또는 최종제품을 포함(inclusion)한다.
3. 소재의 생분해 시간과 회복공정의 지연 사이에 최대순응(maximum compliance)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최적 면역-생화학 순응이라는 관점에서, 신규 생분해 소재의 개발을 위한 상기 구비사항의 이행은 기관-특이 조직발생의 최적의 형태학적 및 기능적 결과를 제공한다.
생분해소재의 발전 관련 초기 연구는 천연 중합체(콜라겐, 셀룰로오즈, 및 기타)에 초점이 맞춰졌으며, 그 후 화학합성의 제품에 대하여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와 같은 생분해성 중합체의 예로는 폴리안히드라이드류, 폴리에스텔류, 폴리아크릴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류), 폴리우레탄류가 있다. 소재의 용해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밝혀진 몇몇 핵심요소가 있는데; 친수성(hydrophilicity)/소수성(hydrophobicity), 무정(amorphous)/결정(crystalline) 상태, 분자량(molecular weight), 이종원자(heteroatoms)(예를 들면, 탄소에 부가한) 등이 요소이다(Khlusov I.A., 2007).
분명히, 가장 유망한 것은 다음 소재로 분쇄에 의해 쳔연 단량체를 형성하는 소재이다. 예를 들면, 폴리락티드류(polylactides), 폴리글리콜리드류(polyglycolides), 폴리옥시알카노에이트류(polyoxyalkanoates) 및 이들의 코폴리머의 분쇄(cleavage)는, 각각, 락트산, 글리콜산, 히드록시뷰티르산을 제공하며, 이들은 천연경로로 신체에서 배출된 물과 이산화탄소로 클렙스 사이클(krebs cycle)을 통하여 변형된다.
본원발명의 모범형태는 나노구조를 갖는 바이오플라스틱 소재(러시아 특허 제2425694호, 2011. 08. 10.공고)로,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의 천연 형태를 포함하며, 광학 교차연결에 의하여 얻어진 나노구조의 히알유론산을 포함한 나노구조의 매트릭스에 기초를 둔 것으로, 세포 구조를 50 내지 100 nm범위로 갖는다.
이와 같은 히알유론산과 콜라겐의 고분자물의 구조적 유기체는, 탄력성(elasticity), 증가된 접착력(increased adhesion), 배출성(drainage properties), 투명성(transparency)을 갖는 생소재(biomaterial)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얻어진 바이오플라스틱 소재의 고분자 구조물은 임상면에서 충분한 효과를 보여주진 않는다.
1. 소재의 구조물은 상처치유 공정 조건에서, 유니폼 코팅을 형성하여 단일상(monophasic)이며, 따라서 변형하여 건조 딱지(dry scab)를 형성한다. (Rakhmatullin R.R. 히알루론산에 기초한 바이오플라스틱 소재; 약리학적 성질의 생물물리학적 관점 pharmacy, 2011, No. 4. pp 37-39). 임상학자의 피드백에 따르면, 균질한 건조 생물학적 딱지는 필수적으로 딱지의 습윤과 함께 매일 붕대로 감는 것이 필요하며, 궁극적으로 치유를 지연시키고 또한 기능, 즉 조인트의 제한을 동반한 반흔(scarring)을 남긴다.
2. 복합 나노구조로 된 유기체는 분명 상처에서 생대사(biometabolization)를 복잡하게하며, 즉, 치료공정동안 용해되지않으며, 2차 감염의 이유가 되며, 결과적으로, 상처진행을 복잡하게한다. 따라서, 붕대로 감는 동안 상처로부터 소재를 제거할 필요가 있으나, 건조딱지는 기초를 이루는 조직에 확실하게 영향을 주며, 이런 절차는 상처에 외상을 주고 환자에게 통증을 준다.
3. 생소재의 단일상 나노구조 유기체는 상처 체액의 효과적인 배출을 제공하지 않으며, 생소재하 체액의 축적을 일으키며, 따라서 외과용메스(scalpel)를 사용하여 소재를 붕대로 감는 동안 펀치할 필요가 있으며, 거기에 배출공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Rakmatullin R.R., Burlutskaya O.Z., Adelshina L.R., Burtseva T.I. 유전적 표피 박리증 환자에서 피부결손을 복원하는 신규방법의 효과, 임상적 관찰. Current Pediatric issues, 2011, V. 10, No. 2, pp 190-192). 이와 같은 처치 방해 상처들은 환자 특히 어린이에게 통증 내성을 보인다.
따라서, 바이오플라스틱 소재의 나노구조물은 최상의 생체공학 성질(접착성, 투명성)을 제공하지만, 바람직한 상처 치유를 제공하지 않으며,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피부의 상피조직의 결손 대체용(증발 및 감염으로부터의 보호) 및 재생 촉진용 바이오플라스틱 소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은 상처를 치유하는 효과를 개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매트릭스 기제로 구성된, 조직-등가 바이오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하여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소재로 히알루론산의 천연형태에 관한 것으로, 조직-등가 바이오플라스틱 소재는 1.5 % 히알루론산 용액과 5 % 펩타이드 복합체 용액을 포함하며, 이들을 혼합하여 베드상에 위치한 점성있는 탄성겔을 형성하고, 다음의 비율과 ㎖가 되도록 층류 후드(laminar flow food) 중에서 5-7 시간 동안 노출시켜 조직-등가 바이오플라스틱 소재를 제공한다.
- 1.5 % 히알루론산 용액 - 80~90;
- 5 % 펩타이드 복합체 용액 - 10~20;
여기서, 제조된 소재는 구멍(perforation)과 절흔(notches)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흔(scarring) 및 변형(deformation) 없이 상피조직의 결손을 최적으로 재생시키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조직-등가 바이오플라스틱 소재의 미세완화(microrelief)에 관한 도이고;
도 2는 조직-등가 바이오플라스틱 소재 표면에서 접착력 분포도 (distribution of adhesion forces)에 관한 것이며,
도 3은 바이오 소재와 인체부피 패턴의 완화(relief) 유사성 관련 도이고;
도 4는 상처부위에 위치한 바이오 소재의 2상 구조의 다이아그램이며(1-쉬트, 2-히드로콜로이드);
도 5는 세포배양후 바이오소재의 원자 분광 이미지에 관한 도이고;
도 6은 조직-등가 바이오플라스틱 소재의 절흔(notches)과 구멍(holes)의 배열 관련 도이며(3-배출용 절흔, 4-자가조직 또는 세포용 구멍);
도 7은 당뇨환자의 좌측다리의 영양 궤양(trophic ulcers)에 관한 도이고;
도 8과 9는 당뇨환자의 좌측다리 궤양에 바이오플라스틱 적용 공정(steps)도이며;
도 10과 11은 당뇨환자의 좌측다리 궤양 치유 상태(stages)도이다.
펩티드 복합체의 조성은 하기 표상의 나타낸 히알루론산의 히드로 콜로이드(hydrocolloid)를 포함하며, 그로부터 펩티드 복합체는 분자량이 244 내지 459 Da인 범위를 갖는 상이한 아미노산 조성물을 갖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제시된 펩티드 가운데, 지방성 아미노산(루신, 이소루신, 알라닌, 글리신), 극성 미충전 아미노산 잔기(트레오닌, 프롤린, 히스티딘, 세린), 극성 충전 아미노산 잔기(알기닌, 글루타민, 아스파라긴, 리진, 알기닌)은 널리 알려져 있다. 부가적으로, 방향족 아미노산 잔기(트립토판)과 극성 미충전 아미노산 잔기를 포함하는 펩티드를 함유한, 이소루신 이량체 및 중합체 트리펩타이드류가 있다.
Figure pct00001
데모신(demosine)(아미노산, 리진 유도체)는 펩티드 분획 중에 존재가 중요하다. 가지구조로 인하여 4채의 아미노산을 갖으며, 네개의 펩티드 사슬은 데모신의 1개 분자물로 할애할 수 있다. 이는 조직-등가 바이오플라스틱 소재가 2상 구조(two-phase structure)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신규의 생소재의 2상 구조는 상처 중 적당한 생리학적 딱지(scab)의 형성을 허용하며, 평판밖에 있어서, 상처 측면에 있어서 점성 히드로콜로이드를 형성한다.
부가하여, 신규 생소재의 2상 구조는 긴장도가 달라 그들의 유일한 거대 완화(macrorelief)패턴을 제공한다. 조직-등가 바이오플라스틱 생소재의 거대표면은 유일한 외관을 보이며 인체 피부 지문(dermatographics)과 매우 유사성을 보인다.
아미노산의 극성(polarities) 차이로 인하여, 표면 긴장에너지 효과는 상승하고, 유일한 미세완화 형성에 영향을 준다.
원자 흡광 데이터의 이미지는 유일한 완화를 갖는 유사 형태의 구면 형성(globular formations)으로 제제의 표면 미세구조(surface ultrastructure)를 보인다.
체세포(somatic cell)의 접착은 고표면에너지(친수성 표면에서)를 갖는 소재의 표면에서 더욱 활발히 일어나며, 동시에 기초 세포진행(성장, 분화, 이주)은 기질완화의 기하학적 및 차원적 특징까지 폭넓게 확장되는데 영향을 미친다(Hertz H. Uber die Beruhrung Fester Elastischer Korper (탄성고체의 접촉) J. Reine Angew, 2011, No. 292, pp. 156-171).
본 발명에 따라, 결과적으로 83 ℃인 물의 접촉각도를 고정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여 생소재의 친수성/소수성 성질을 평가하면, 연구자들은 기초적으로 접착작업을 계산하였으며, 이때 거칠기 계수(조도계수, roughness coefficient)를 참작하였는바, 99.88 mN/M과 동일하였고, 적당하게 습윤된 신규소재의 표면을 특징으로 한다.
접착력 표시를 위한 모드에서 생중합체의 표면의 부가적 이미징은 강한 접착력을 갖는 부분면적을 배치하였다.
접착력의 표면에너지는 재생동안 그들 세포의 이주효과를 평가하도록 허용하는 바이오플라스틱 소재의 중요한 특징이다.
상이한 접착을 보이는 국소면적의 존재는 유도된 세포순서와 전체표면에 걸쳐 균질한 분포를 보증한다. (Hallab N.J., Bundy K.J., O'conner K. 등, 금속성 및 중합성의 바이오소재 표면에너지와 유도세포접착을 위한 표면 거칠기 특징의 평가조직공학, 2001, Vol. 7, No. 1, pp 55-71)
조직-등가 바이오플라스틱 소재의 표면에 대한 물의 열역학 연구가 습윤각도를 제한하여 평가될 때, 측정된 접착력 가치는 진수성/소수성 성질을 갖는 이상성(biphasic) 바이오 소재를 특정한다. 이들은 이극성 물질(heteropolar substances)의 존재 때문이고(펩티드 복합체의 아미노산들), 소재의 매트릭스 베이스와 같이 작용하는 히알루론산의 히드로콜로이드의 구조중에 공간적으로 분포되어져 있다.
이는 접착-접촉 원자간력 현미경(adhesion-contact atomic force microscopy) 모드중 바이오소재 표면의 직접 시각화로 입증되었다. 얻어진 결과는 면적의 존재를 나타내고, 바이오 소재 표면에 접착력을 보여주는 가시화된 면적과 관련이 있어 중요하다.
차례로, 기질로서 조직-등가 바이오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하는 중간엽기질 줄기세포(mesenchymal stromal stem cells)의 배양한 다음, 표면의 원자간력 현미경으로 폭 3.7 ㎛의 직사각형(oblong) 형태의 세포 존재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행하였다. 계속하여 더욱 상세한 연구에 의해 세포표면에서 서로 얽힌 근모성 섬유(fibrillar fiber) 존재가 나타났다. 그들의 위치의 유사한 성질은 배양된 중간엽 줄기세포 이식의 존재에 대한 증거가 되며, 그들은 하부에 있는 매트릭스 중에 침윤하는 기질 표면에 활성적으로 상호작용 함으로서 입증되었다.
따라서, 펩티드 복합체의 존재는 바이오 소재의 2상 구조의 조합을 제공하며, 상처중 적당한 생물학적 딱지(scab)형성의 기초가 된다(바깥표면에 평판, 내부 히드로콜로이드).
조직-등가 바이오플라스틱 소재는 상처 체액의 효과적인 배출을 위한 관통된 미세천공(microperforation)을 갖는다.
바이오소재와 상피조직(epithelium tissues)(피부)사이의 구조와 외관의 최대 형태학적 유사성은, 발명의 제목 중 용어인 조직-등가 바이오플라스틱(Histo-equivalent bioplastic material) 소재의 이유를 말한다.
조직-등가 바이오플라스틱 소재는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재료소재로서, 탄성 평판을 형성할 수 있는 섬유 나노구조를 갖는 천연형태의 히알루론산과 펩티드 복합체를 사용하였다. 히알루론산의 천연형태는 이식과 세포천공을 위하여 최적의 조건을 제공하고, 생존가능한 조직편인 재료원을 조직-등가 바이오플라스틱 소재의 미세천공(세포성 세포의 일종) 영역에 배열한다.
1.5 % 히알루론산 용액을 제조한 다음 5 % 펩티드 복합체 용액을 실온에서 제조한다. 다음 혼합하여 점성있는 탄성 겔을 형성한다. 다음 점성있는 탄성 겔을 베드-몰드에 배열하고 특별히 고안된 층류 후드(laminar flow hood) 중에서 자외선 광중합(ultraviolet photopolymerization) 시킨다.
이런 목적을 위하여, 특히 미세기후(microclimate, 접지기후)(온도는 0-3 ℃이고, 습도는 50~55 %이며, 송풍량 0.50 m/s으로 통풍)를 층류 후드 중에서 유지한다.
다음 혼합물을 자외선 방사를 5-7 시간동안 방출시킨다. 제조된 소재를 천공과 포장을 위한 장치로 이동시킨다. 결과적으로, 백색의 탄성 평판이 몰드 중에서 형성되며, 이는 인체피부패턴의 피부지문(dermatoglyphics)과 아주 유사하였다.
평판(plate)을 둥글게 자르고(최고직경은 15 ㎝이고, 최소직경은 11 ㎝이다), 둥근 평판의 면적은 성인 손바닥의 평균 면적과 일치한다. 의약적으로는, 성인손바닥크기는 약 체표면의 5 %정도라고 고려되며, 예를 들면 화상면적은 이런 방법으로 평가된다.
다음, 둥근 구멍(round holes)을 구멍 펀처(hole puncher)로 펀치하고, 다음 절흔(notches)를 특이한 칼로 기계적으로 자른다. 일정하게 분배된 절흔(notches)은 상처 상출물(wound exudate)의 배출을 위하여 그리고 바이오소재와 하부조직(underlying tissue) 사이에 개선된 접착을 위하여 필요하다. 직경이 3 mm인 둥근 구멍은 상피조직용 플랜팅 홀(planting holes)로서 역할한다. 이들 조직은 환자의 자가조직이며, 외상치료 동안 상처의 에지로부터 절개된다. 나아가 그들은 상처의 효과적인 상피화(epithelization)(치유)용 세포의 재원으로 공급된다. 상피조직의 결손이 있는 환자에서 임상사용 결과, 조직-등가 바이오플라스틱 소재는 적당한 생물학적 딱지(scab)를 형성하고 빠른 상처치유를 촉진한다.
조직-등가 바이오플라스틱 소재는 종래의 치료 중 도움을 받을 수 없는 환자에게 유효함이 입증되었음을 알게 된 것이 중요하다.
임상실험
쿠반딕크에 사는 59세 여인 환자 A가 2011. 12. 16. JSC "RZD"의 오렌버그 철도역에 있는 오렌버그 지방 임상병원의 제4 외과병동에 입원하였으며, 환자는 왼쪽 다리에 거대 순환성 괴사성 영양궤양을 앓고; 중증 2형 당뇨병; 다리의 알러지성 피부염; 빈혈을 앓고 있었다. 환자는 괴사하는 단독(erysipelas)로부터 얻은 궤양 발생 후 1년 동안을 질환으로부터 고통받았다. 결손크기는-상처베드중 근막(fascia)과 힘줄(tendons)의 요인을 갖는 다리의 하부 3 분점(lower third)에서 중간 3 분점(middle third)까지 8 내지 10 ㎝ 두께의 순환밴드 정도이다. 모든 치료방법에는 사전에 방부제, 연고제 및 여러 상처 도포제를 갖는 붕대를 포함하여 사용되었으며, 환자에게 어떠한 치료 영향을 주지 않으며 특히 통증에 내성을 보이지는 않았다. 입원에 따라, 상처의 외과적 죽은 조직제거술(debridement)을 시행하였고, 괴사 영역은 절제하고, 살아있는 피부조직 0.5 내지 1 mm 크기의 둥근 편을 얻었다. 다음 직경 3 mm의 미세천공 및 구조상 절흔를 갖는 조직-등가 바이오플라스틱 소재를 준비된 상처에 적용시켰다. 바이오소재를 상처에 접착시킨 후 탄성 평판으로 변형시킨 다음, 생리식염수로 처리한 환자의 살아있는 조직편을 바이오소재 천공에 넣었다. 모든 미세천공이 조직편으로 채워진 후, 살균 헝겁과 붕대를 그들위에 적용시켰다.
중복이환(comorbidity)의 보정으로 복합체 보존치료의 장기진행을 수행하였다. 상처영역에서 바이오 소재의 2상 구조의 형성이 관찰되었으며; 외부면은 생물학적 딱지이고, 내부면은 히드로콜로이드였다.
상처를 소독한 후, 연변(가장자리) 상피화로 순환결손으로 새살이 나오는 평면을 형성하였다.
조직-등가 바이오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하면, 히알루론산, 콜라겐타입 III 및 엘라스틴을 자체 합성하기 위하여 CD44 수용체를 촉진시켜 섬유세포(fibroblasts)에 대한 가장 강력한 자극효과를 갖는 것이 발견되었으며, 비대반흔(hypertrophic scars)형성을 방지함으로써 촉진된다.
특허발명에 따른 바이오소재로 치료한 결과, 적용 후 2-3 시간 경과 후 두통이 사라졌다는 보고가 모든 환자에서 밝혀졌다. 결과적으로, 상처영역에서 수축 변화의 현상은 없었음이 관찰되었고, 피부의 충분한 재생을 보였다.
본 발명의 바이오 소재의 사용은 염증응답(패혈증) 및 회복기간 동안 비대반흔 형성을 방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환자 중 알러지 및/또는 염증 반응의 케이스는 관찰된바 없었다.
따라서, 원형(prototype)과 비교시, 연구는 조직-등가 바이오플라스틱 소재는 적당한 생물학적 딱지(scab) 형성을 할 수 있고 반흔 없이 좋은 미적 결과로 상처치유를 자극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또한 인체에 있어서 상피조직에 대한 높은 생체적합성(biocompatibility)을 갖음을 보여준다.
청구된 조직-등가 바이오플라스틱 소재는 신규한 것으로, 이극성(heteropolar)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티드 복합체의 최초 조성물이다. 이 펩티드 복합체의 존재는 바이오 소재의 2상 구조(two-phase structure)의 형성을 위하여 제공되며, 상처중 적당한 생물학적 딱지(scab) 형성을 위하여 기초가 된다(평판은 외면이고, 히드로콜로이드는 내면이다).
조직-등가 바이오플라스틱 소재는 상처 체액의 효과적인 배출을 위하여 관통하는 미세천공을 갖는다. 이 조직-등가 바이오 플라스틱 소재의 특이한 특징은 2상 상처 덮개(two-phase wound covering)를 형성하는 능력이 있으며, 따라서, 적당한 생물학적 딱지를 형성하는 능력이 있으며, 효과적으로 상처 체액을 배출하는 능력이 있어, 결과적으로 반흔(scarring) 및 변형(deformation)없이 상피조직의 결손을 최적으로 재생시킨다. 부가해서, 바이오 소재는 환자 자가조직을 위하여 특이한 플랜팅 구멍(planting holes)을 갖으며, 상처치유를 위한 세균 면적(germ areas)이 형성된다.

Claims (1)

  1. 히알루론산의 천연형태를 소재로 사용한, 매트릭스 형태의 베이스로 구성된 조직-등가 바이오플라스틱 소재에 있어서, 조직-등가 바이오플라스틱이 1.5 % 히알루론산 용액과 5 % 펩티드 복합체 용액을 포함하며, 혼합하여 베드 중에 배치된 점성 탄성겔을 형성하고, 5-7 시간 동안 층류 후드(laminar flow hood) 중에서 자외선 광중합(ultraviolet photopolymerisation)시켜, 다음의 정량적 비율, ㎖로 조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등가 바이오플라스틱 소재.
    (다 음)
    - 1.5 % 히알유론산 용액 - 80-90;
    - 5 % 펩티드 복합체 용액 - 10-20 ;
    여기서, 제조된 소재는 천공(perforation)과 절흔(notches)를 갖는다.
KR1020157017272A 2013-02-21 2013-09-12 조직-등가 바이오플라스틱 소재 KR201500909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RU2013107843 2013-02-21
RU2013107843/15A RU2513838C1 (ru) 2013-02-21 2013-02-21 Гистоэквивалент-биопластический материал
PCT/RU2013/000795 WO2014129929A1 (ru) 2013-02-21 2013-09-12 Гистоэквивалент-биопластический материал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916A true KR20150090916A (ko) 2015-08-06

Family

ID=50481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7272A KR20150090916A (ko) 2013-02-21 2013-09-12 조직-등가 바이오플라스틱 소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878067B2 (ko)
EP (1) EP2959924A4 (ko)
KR (1) KR20150090916A (ko)
CN (1) CN104870026A (ko)
AU (1) AU2013378873B2 (ko)
CA (1) CA2898848A1 (ko)
RU (1) RU2513838C1 (ko)
SG (1) SG11201503941QA (ko)
WO (1) WO20141299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57529C1 (ru) * 2014-08-12 2015-07-2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Лаборатория Матрикс Микродисперсный гистоэквивалент-биопластический материал
RU2619257C1 (ru) * 2016-09-14 2017-05-12 Константин Александрович Корейба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дефектов мягких тканей у больных с синдромом диабетической стопы
RU2644306C1 (ru) * 2016-11-22 2018-02-08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ДЖИ-Групп"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дефектов покровных тканей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863C (zh) * 1995-11-15 2003-01-15 生化学株式会社 光固化交联透明质酸凝胶、其制备方法和生物医学材料
US7217853B2 (en) * 2002-05-24 2007-05-15 Corium International, Inc. Composition for cushions, wound dressings and other skin-contacting products
AU2003254674A1 (en) * 2002-08-09 2004-02-25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Canada Bio-synthetic matrix and uses thereof
JP4619789B2 (ja) * 2002-10-04 2011-01-26 ナノマトリッ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皮膚およびその他の組織のためのシーラント
US20050079202A1 (en) * 2003-05-30 2005-04-14 Guohua Chen Implantable elastomeric depot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KR20100049039A (ko) * 2007-06-25 2010-05-11 리포펩타이드 아베 신규한 의약제
JP5795166B2 (ja) * 2007-11-28 2015-10-14 オルガノジェネシス インク. 生命工学による組織コンストラクト並びに生産及び使用のための方法
JP2012501320A (ja) * 2008-08-27 2012-01-19 株式會社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 コラーゲンペプチドを含有する皮膚美容改善用組成物
FR2941231B1 (fr) * 2009-01-16 2016-04-01 Sederma Sa Nouveaux peptides, compositions les comprenant et utilisations cosmetiques et dermo-pharmaceutiques.
RU2425694C1 (ru) * 2010-04-14 2011-08-1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Оренбург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Наноструктурированный биопластический материал
RU2438648C1 (ru) * 2010-08-02 2012-01-10 Рамиль Рафаилевич Рахматуллин Комплексное косме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с омолаживающим и лифтинг-эффектом
EP2872115A4 (en) * 2012-07-13 2016-04-06 Univ Tufts Encapsulation of immiscible phases in silk fibroin biomateri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3378873B2 (en) 2016-07-14
EP2959924A4 (en) 2016-08-17
SG11201503941QA (en) 2015-07-30
US20160256603A1 (en) 2016-09-08
WO2014129929A1 (ru) 2014-08-28
EP2959924A1 (en) 2015-12-30
US9878067B2 (en) 2018-01-30
CN104870026A (zh) 2015-08-26
RU2513838C1 (ru) 2014-04-20
CA2898848A1 (en) 2014-08-28
AU2013378873A1 (en) 2015-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til et al. Silk fibroin and silk-based biomaterial derivatives for ideal wound dressings
Arif et al. Polymer-based biomaterials for chronic wound management: Promises and challenges
Zandi et al. Biomimetic nanoengineered scaffold for enhanced full-thickness cutaneous wound healing
Memic et al. Latest progress in electrospun nanofibers for wound healing applications
Wang et al. Polydopamine-coated Antheraea pernyi (A. pernyi) silk fibroin films promote cell adhesion and wound healing in skin tissue repair
Li et al. Hydrogel cross-linked with dynamic covalent bonding and micellization for promoting burn wound healing
de Oliveira Barud et al. A multipurpose natural and renewable polymer in medical applications: Bacterial cellulose
Rajendran et al. A review on nanoparticle based treatment for wound healing
Alizadehgiashi et al. Multifunctional 3D-printed wound dressings
Urie et al. Inorganic nanomaterials for soft tissue repair and regeneration
Sharma et al. Collagen-based formulations for wound healing: A literature review
Ramanathan et al. Fabrication of biohybrid cellulose acetate-collagen bilayer matrices as nanofibrous spongy dressing material for wound-healing application
Govindarajan et al. Fabrication of hybrid collagen aerogels reinforced with wheat grass bioactives as instructive scaffolds for collagen turnover and angiogenesis for wound healing applications
Feksa et al. Hydrogel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Li et al. Reinforced collagen with oxidized microcrystalline cellulose shows improved hemostatic effects
Ijaola et al. Polymeric biomaterials for wound healing applications: A comprehensive review
V Singh et al. Nanomaterials: new generation therapeutics in wound healing and tissue repair
Berce et al. Cutaneous wound healing using polymeric surgical dressings based on chitosan, sodium hyaluronate and resveratrol. A preclinical experimental study
Hasatsri et al.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the innovative bilayered wound dressing made of silk and gelatin: safety and efficacy tests using a split-thickness skin graft model
Sethuram et al. Therapeutic applications of electrospun nanofibers impregnated with various biological macromolecules for effective wound healing strategy–a review
Du et al. Nanomaterials for wound healing: scope and advances
Petersen et al. Current and future applications of nanotechnology in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Gao et al. One-pot synthesis of bioadhesive double-network hydrogel patch as disposable wound dressing
KR20150090916A (ko) 조직-등가 바이오플라스틱 소재
Zhang et al. A Biomimetic Adhesive and Robust Janus Patch with Anti-Oxidative, Anti-Inflammatory,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for Tendon Rep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