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0892A -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제어유닛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제어유닛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0892A
KR20150090892A KR1020157013048A KR20157013048A KR20150090892A KR 20150090892 A KR20150090892 A KR 20150090892A KR 1020157013048 A KR1020157013048 A KR 1020157013048A KR 20157013048 A KR20157013048 A KR 20157013048A KR 20150090892 A KR20150090892 A KR 20150090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engine control
engine
mounting
bon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3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주
Original Assignee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공업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090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08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02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with the engine main axis, e.g. crankshaft axis, substantially in or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bstract

트랙터와 같은 농업용 작업차량에 엔진제어유닛을 취부시키기 위한 구조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제어유닛 취부구조는, 보닛에 의해 보호되는 엔진룸 바닥 측에 엔진을 보닛 길이방향으로 배치하고, 배기가스 정화를 위한 후처리장치는 엔진과 평행하게 보닛 길이방향으로 엔진룸 일측에 편향되게 배치하며, 보닛 취부를 위한 보닛취부대는 엔진 뒤쪽 엔진룸 후방에 보닛 폭방향으로 배치하고, 후처리장치로부터 먼쪽에 위치한 보닛취부대 일측에 엔진제어유닛을 취부하여, 후처리장치 반대편의 엔진 흡기매니폴더 상부공간에 엔진제어유닛이 배치되도록 한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제어유닛 취부구조{ENGINE CONTROL UNIT MOUNTING STRUCTURE FOR FARM VEHICLE}
본 발명은 엔진제어유닛(ECU)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제한된 엔진룸 공간에 엔진을 통합적으로 전자 제어하는 엔진제어유닛(ECU)을 취부시키기 위한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제어유닛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트랙터(Tractor)'라 불리우는 농업용 작업차는 구조적으로 일반 자동차와 비슷하지만 강력한 엔진을 장착하고 있어 견인력이 좋고 튼튼하여 경작용(耕作用)으로 주로 이용되고 있다. 경작의 용도로 활용하기 위해 기체 후방에 다양한 형태의 작업기, 예를 들어 복토 내지는 정지작업을 위한 로터리 장치를 선택적으로 부착하거나 떼어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농업용 작업차량에서 작업기 구동을 위한 회전력은 농용 작업차량의 주행동력을 출력하는 메인 엔진으로부터 발생된다. 종래 농업용 작업차량은, 풋 악셀 페달 또는 핸드 악셀 페달(핸드 악셀 레버)의 조작에 따른 케이블 변위 및 그에 따른 스로틀 밸브 개도량 조절 등에 의해서 엔진동작이 제어되는 기계식 방식을 일반적으로 채택하여 왔다.
그러나 기계식으로 엔진동작을 제어하는 방식은 점화시기, 연료분사시기, 아이들 회전수 등 엔진 핵심기능의 정밀한 제어가 어려워 전체적인 차량 성능(동력성능, 연비, 배기가스 제어 등)을 향상시키는 것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디젤엔진의 배기가스 규제를 강화하고 있는 최근의 추세에서 해당 규제를 충족시키기에 기술적으로 한계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유럽이나 북미 등 선진국에서 시행하고 있는 Tier 4 수준의 강력한 배기가스 규제를 충족시키고 차량의 전반적인 성능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기존 일반 자동차에나 적용되던 엔진 통합적인 제어를 위한 엔진제어유닛(ECU; Electric Control Unit)을 농업용 작업차량에도 적용시키려는 노력이 확산되고 있다.
전자식으로의 전환을 위해 기 양산 중인 농업용 작업차량에 엔진제어유닛을 적용하려면, 엔진제어유닛 설치를 위한 스페이스 확보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엔진룸 내 전체적인 레이 아웃(ray-out)을 바꾸거나 엔진룸 공간을 증대시켜야 하므로, 작업차량의 전체적인 외형이 달라지거나 크기가 커져야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엔진제어유닛은 고온의 복사열이나 외부에서 유입되는 수분 등에 의해 치명적인 오작동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고온의 복사열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여야 하는데 협소한 엔진룸 공간 내에서 엔진제어유닛이 취부 가능한 위치는 극히 제한적이기 때문에, 이를 취부함에 있어 곤란함이 수반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 농용 작업차량의 엔진룸 공간을 증대시키거나 레이아웃을 변경하지 않고도 제한된 공간 내에 엔진제어유닛을 효율적으로 취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복사열 및 외부에서 유입되는 수분으로부터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위치에 엔진제어유닛을 취부함으로써 엔진제어유닛 오작동의 최소화를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보닛에 의해 보호되는 엔진룸 바닥 측에 엔진을 보닛 길이방향으로 배치하고, 배기가스 정화를 위한 후처리장치는 엔진과 평행하게 보닛 길이방향으로 엔진룸 일측에 편향되게 배치하며, 보닛 취부를 위한 보닛취부대는 엔진 뒤쪽 엔진룸 후방에 보닛 폭방향으로 배치하고, 후처리장치 반대편의 보닛취부대 측부에 엔진제어유닛을 취부하여 엔진 흡기매니폴더 상방에 위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제어유닛 취부구조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후처리장치 반대편의 상기 보닛취부대의 세로부재와 엔진 흡기측 흡기매니폴드 상부에 각각 엔진제어유닛 취부를 위한 제1 취부브래킷과 제2 취부브래킷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취부브래킷을 통해 엔진제어유닛 측으로 차량 주행 또는 정지 중 엔진 구동에 따른 진동이 전달되지 않도록, 복수의 방진마운트를 이용하여 상기 엔진제어유닛을 취부브래킷에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취부브래킷을 통해 엔진제어유닛을 상기 후처리장치 반대편에 취부시킴에 있어서,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후처리장치와 평행한 배치를 이루도록 상기 엔진제어유닛을 보닛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상기 후처리장치와 엔진제어유닛 사이에는 차열판을 설치함으로써, 후처리장치 동작 중 발생한 고온의 복사열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후처리장치와 마주하는 측 엔진제어유닛 일면을 소정 간격을 두고 덮도록 상기 차열판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후처리장치 반대편 상기 보닛취부대의 세로부재에 상기 엔진제어유닛 취부를 위한 제3 취부브래킷을 설치하고, 상기 보닛취부대의 강성 보강을 위해 엔진룸 내에 보닛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보강부재 상에 상기 엔진제어유닛 취부를 위한 제4 취부브래킷을 연결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부재의 일단은 보닛취부대를 구성하는 가로부재에 연결하고, 대향부 타단은 보닛취부대 전방에 위치한 압축기의 외연에 부착되는 보조지지판에 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역시 상기 후처리장치와 평행한 배치를 이루도록 상기 엔진제어유닛을 보닛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후처리장치와 마주보는 측 엔진제어유닛 일면을 소정 간격을 두고 덮는 차열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열판에 상기 엔진제어유닛을 장착하고, 상기 엔진제어유닛이 장착된 차열판을 상기 제3, 제4 취부브래킷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차열판에 엔진제어유닛을 장착함에 있어서는 복수의 방진마운트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제어유닛 취부구조에 따르면, 엔진룸 내에서 흡기매니폴드 직상부로 확보되는 여유공간에 엔진제어유닛이 취부됨으로써, 종래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룸 공간을 키우거나 레이아웃 변경 없이도 제한된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엔진제어유닛을 추가로 장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엔진제어유닛이 고온의 복사열을 발생하는 배기가스 후처리장치 반대편에 위치하면서 주행 시 빗물이 유입될 수 있는 엔진룸 바닥 측으로부터 상당거리 이격된 공간 상에 배치됨으로써, 고온의 복사열과 수분으로부터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고, 따라서 외부요인에 의한 엔진제어유닛의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사열로부터 보호되고 수분으로부터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는 위치에 엔진제어유닛이 위치하면서도 구조적으로는 차량 운전석에서 근접한 보닛취부대 상에 엔진제어유닛이 배치됨으로써, 운전석의 기체 조작부와 엔진제어유닛 간 전기적 연결을 위한 배선경로를 최단으로 할 수 있고, 따라서 자재비 절감과 배선작업의 용이함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제어유닛 취부구조를 보여주기 위해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룸 내부를 차체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차체 전방에서 엔진룸 내부를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난 엔진룸을 엔진제어유닛이 설치된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4은 도 1에 나타난 엔진룸을 평면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5는 도 1에 나타난 엔진룸을 엔진룸 후방의 보닛브래킷 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요부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요부확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엔진제어유닛 취부구조를 보여주기 위해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룸 내부를 차체 측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엔진룸 내부를 차체 전방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0은 도 8에 나타난 엔진룸을 엔진제어유닛이 설치된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11은 도 8에 나타난 엔진룸을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12는 도 8에 나타난 엔진룸을 엔진룸 후방의 보닛취부대 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부를 확대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나타난 본 발명의 요부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요부 확대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소지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도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설명될 용어 중 보닛 길이방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고자 하는 엔진제어유닛이 적용될 농업용 작업차량의 전후 길이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인 것으로 정의하여 설명하며, 보닛의 폭방향은 상기 작업차량의 좌우 폭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인 것으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제어유닛 취부구조를 보여주기 위해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룸 내부를 차체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2는 차체 전방에서 엔진룸 내부를 바라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나타난 엔진룸을 엔진제어유닛이 설치된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며, 도 4와 도 5는 도 1에 나타난 엔진룸을 평면과 엔진룸 후방의 보닛브래킷 방향에서 각각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과 관련한 농업용 작업차량은 운전석 전방의 공간에 엔진룸을 구비한다. 엔진룸은 차체 뼈대를 이루는 차체프레임(2)과 보닛(1, 도 5 참조)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보닛(1)에 의해 보호된다. 엔진룸에는 엔진(3)을 비롯하여, 엔진제어유닛(ECU, 4), 오일스트레이너(5), 제너레이터(6), 라디에이터(7), 터보차져(8), 배기가스 정화를 위한 후처리장치(9) 등이 탑재된다.
엔진(3)은 풋악셀페달 또는 핸드악셀레버의 변위를 센서가 감지하고, 그 감지된 변위 값을 기반으로 한 엔진제어유닛(4)의 제어로서 출력이 조절되는 전자식 다기통 디젤엔진(diesel engine)일 수 있으며, 보닛(1)에 의해 보호되는 엔진룸 바닥 측 중앙에 보닛(1)의 길이방향을 따라 종(縱) 배치된다.
엔진제어유닛(4)은 도시되지 않은 에어 플로우 미터(air flow meter)로부터의 흡입 공기량과, 크랭크 각 센서(crank angle sensor)로부터 획득되는 피스톤의 위치정보 등에 근거하여 연료의 분사량 및 분사 타이밍(timing)을 결정하여 인젝터에 관련 신호를 전달하며, 인젝터는 상기 신호에 따라 지시 받은 연료 분사량 및 분사 타이밍에 맞춰 실린더 내에 연료를 분사한다.
실린더 내에 분사된 연료는 실린더 내에서 공기와 고르게 혼합되고 피스톤의 상승 운동에 의해 강하게 압축되어 착화하는 것에 의해 연소되고, 연소에 의해 실린더 내의 가스가 급격하게 팽창하는 힘에 의해 피스톤이 하강 운동을 하면서 크랭크 축을 회전시켜 출력이 얻어지며, 그 발생된 출력은 차량 주행 또는 작업기 구동을 위한 동력으로 쓰인다.
연소 후에 엔진(3)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배기매니폴드(미도시)와 도관(11)을 거쳐 보닛(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엔진룸 일측으로 편향 배치된 후처리장치(9, 도 2 내지 도 4 참조)로 도입되고, 후처리장치(9)에서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산화시키고 걸러내는 일련의 정화처리가 행해진다. 후처리장치(9)는 디젤산화촉매(DOC, 9a)와 디젤입자필터(DPF, 9b)가 직렬로 결합된 구성일 수 있다.
터보차져(8)(turbocharger, 도 2참조)는 엔진(3) 배기측의 배기매니폴드와 후처리장치(9) 사이의 도관(11) 상에 위치하며, 배출가스 압력으로 구동되어 흡입공기를 고압으로 압축시켜 실린더로 강제 송출한다. 그리고, 제너레이터(6)는 엔진(3)과 전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얻어진 엔진(3) 출력으로 전장품 구동을 위한 전기를 발생시킨다.
과열방지용 냉각수는 엔진(3)을 경유하여 라디에이터(7)로 유입되고 냉각팬 구동으로 흡입되는 외기에 의해 냉각된다. 라디에이터(7)는 상기 후처리장치(9) 전방의 엔진룸에 보닛 폭방향으로 배치되며, 라디에이터(7) 반대쪽 후처리장치(9) 후방에는 엔진 플라이휠 하우징(17)에 고정되면서 보닛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보닛취부대(12)가 위치하게 된다.
보닛취부대(12) 상단에는 상향 여닫이 형태로 보닛(1)이 취부될 수 있도록 보닛측의 힌지체와 연결되는 보닛 힌지체(13, 도 5 참조)가 마련되고, 엔진(3)의 총괄적 제어를 위한 엔진제어유닛(4)은 후처리장치(9)의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보닛취부대(12) 측부에 취부됨으로써 흡기매니폴드(10)의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엔진제어유닛(4)이 취부되는 위치 및 취부구조에 대해서는 이하 도 6 및 도 7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부를 확대 도시한 요부확대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요부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엔진제어유닛(4)은 한 쌍의 제1 취부브래킷(14a)과 제2 취부브래킷(14b)을 통해 후처리장치(9) 반대편의 흡기매니폴드(10) 상부공간에 안정적으로 취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취부브래킷(14a)은 상기 후처리장치(9) 반대편에 위치된 보닛취부대(12)의 세로부재(120)에 용접 또는 볼트 결합을 통해 고정되며, 제2 취부브래킷(14b)은 엔진(3)의 흡기매니폴드(10) 상부에 일체 또는 볼트을 통해 고정된다.
엔진제어유닛(4)은 상기 제1 취부브래킷(14a)과 상기 제2 취부브래킷(14b)에 각각 일측과 대향부 타측이 접하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차량 주행 중의 각종 진동이나 차량 정지 중의 엔진 구동에 따른 진동이 제1, 제2 취부브래킷(14a)(14b)을 통해 엔진제어유닛(4)에 고스란히 전달된다면 치명적인 오류가 발생하거나 전기적 접촉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양 취부브래킷(14a)(14b)에 엔진제어유닛(4)을 연결시킴에 있어서는 방진마운트(15), 예컨대 방진고무로 피복된 볼트-너트를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엔진제어유닛(4)의 취부에 있어 그 배치방향은, 엔진제어유닛(4)의 외형을 구성하는 면 중 면적이 가장 넓은 일면이 반대편에 위치한 후처리장치(9)와 마주보면서 평행을 이루는 배치형태가 되도록 보닛의 길이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취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처리장치(9)의 재생과정 중 발생하는 고온의 복사열에 의한 악영향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상기 후처리장치(9)와 엔진제어유닛(4) 사이, 바람직하게는 도 6 내지 도 7과 같이 후처리장치(9)와 마주하는 엔진제어유닛(4)의 일면을 소정의 간격을 두면서 덮도록 설치되는 차열판(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열판(16)은 고온 복사열이 상기 엔진제어유닛(4)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며, 엔진제어유닛(4)의 일면을 충분히 커버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으로 된 판상의 석면이나 강판제(鋼板製)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엔진제어유닛 취부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는, 엔진제어유닛의 취부를 위한 일부 취부브래킷의 구조와 마운팅 위치, 상기 취부브래킷과 엔진제어유닛 간 결합구조 등의 일부 구조를 제외하고는 주요 구성품의 엔진룸 내 위치나 배치형태 등에 있어서 전술한 일 실시예와 차이가 없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면서 전술한 일 실시예와의 차이점에 해당하는 부분을 중심으로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한 쌍의 제3 취부브래킷(14c)과 제4 취부브래킷(14d)을 통해 후처리장치(9) 반대편의 흡기매니폴더(10) 상부공간에 위치되도록 엔진제어유닛(4)을 취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취부 브래킷(14c)은 전술한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후처리장치(9) 반대편 보닛취부대(12)의 세로부재(120)에 용접 또는 볼트 결합 등을 통해 고정될 수 있으며, 제4 취부브래킷(14d)은 상기 보닛취부대(12)의 강성 보강 또는 배선을 위해 엔진룸 내에 보닛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보강부재(18) 상에 용접 또는 볼트 결합 등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부재(18)의 일단은 보닛취부대(12)를 구성하는 가로부재(122)에 고정되며, 대향부 타단은 보닛취부대(12) 전방에 위치하게 되는 압축기(19)의 외연에 부착되는 보조지지판(20)에 용접이나 볼트 결합 등을 통해 고정된다.
엔진제어유닛(4) 취부에 있어 그 배치방향은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엔진제어유닛(4)의 외형을 구성하는 면 중 면적이 가장 넓은 일면이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후처리장치(9)와 마주보는 형태가 되도록 보닛의 길이방향으로 취부될 수 있으며, 후처리장치(9)와 마주하는 상기 일면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덮도록 차열판(16)이 설치된다.
차열판(16)은 엔진제어유닛(4)과 함께 상기 한 쌍의 취부브래킷(14c)(14d)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차열판(16)에 엔진제어유닛(4)을 먼저 결합시켜 하나의 구성품을 이루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차열판(16)을 양 취부브래킷(14c)(14d)에 연결시켜 엔진제어유닛(4)이 취부될 수 있도록 하면, 조립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차열판(16)에 엔진제어유닛(4)을 부착시킴에 있어서는, 앞서 설명한 방진마운트(15)를 이용하면 상기 차열판(16)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충분히 저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엔진에 연결된 일 실시예의 흡기매니폴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진동이 덜한 보강부재에 취부브래킷을 연결하여 엔진제어유닛의 일부가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즉,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제어유닛 취부구조에 비해 엔진이 발생시키는 진동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자유롭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엔진제어유닛의 취부구조에 따르면, 엔진룸 내에서 흡기매니폴드 직상부로 확보되는 여유공간에 엔진제어유닛을 취부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룸 공간을 키우거나 레이아웃을 변경하지 않고도 제한된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엔진제어유닛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엔진제어유닛이 고온의 복사열을 발생하는 배기가스 후처리장치 반대편에 위치하면서 주행 시 빗물이 유입될 수 있는 엔진룸 바닥 측으로부터 상당거리 이격된 공간 상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고온의 복사열과 수분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고, 결국 외부요인에 의한 엔진제어유닛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사열로부터 보호되고 수분으로부터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는 위치에 엔진제어유닛이 위치하면서도 구조적으로는 차량 운전석에서 근접한 보닛 취부브래킷 상에 배치됨으로써, 운전석의 기체 조작부와 엔진제어유닛 간 전기적 연결을 위한 배선경로를 최단으로 할 수 있고, 따라서 원가 절감과 배선작업의 용이함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농업용 작업차량의 제한된 엔진룸 공간에 엔진을 통합적으로 전자 제어하는 엔진제어유닛(ECU)을 취부시키기 위한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제어유닛 취부구조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2)

  1. 전자식 엔진을 탑재한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제어유닛(ECU)을 엔진룸에 취부하기 위한 구조로서,
    보닛에 의해 보호되는 엔진룸 바닥 측에 엔진을 보닛 길이방향으로 배치하고, 배기가스 정화를 위한 후처리장치는 엔진과 평행하게 보닛 길이방향으로 엔진룸 일측에 편향되게 배치하며, 보닛 취부를 위한 보닛취부대는 엔진 뒤쪽 엔진룸 후방에 보닛 폭방향으로 배치하고, 후처리장치 반대편의 보닛취부대 측부에 엔진제어유닛을 취부하여 엔진 흡기매니폴더 상방에 위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제어유닛 취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장치 반대편의 상기 보닛취부대의 세로부재와 엔진 흡기측 흡기매니폴드 상부에 각각 상기 엔진제어유닛 취부를 위한 제1 취부브래킷과 제2 취부브래킷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제어유닛 취부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제어유닛을 복수의 방진마운트를 이용해 상기 제1, 제2 취부브래킷에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제어유닛 취부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장치와 평행한 배치를 이루도록 상기 엔진제어유닛을 보닛 길이방향으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제어유닛 취부구조.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장치와 엔진제어유닛 사이에 설치되는 차열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제어유닛 취부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장치와 마주하는 측 엔진제어유닛 일면을 소정 간격을 두고 덮도록 상기 차열판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제어유닛 취부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장치 반대편 상기 보닛취부대의 세로부재에 상기 엔진제어유닛 취부를 위한 제3 취부브래킷을 설치하고,
    상기 엔진룸 내에 보닛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보강부재 상에 상기 엔진제어유닛 취부를 위한 제4 취부브래킷을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제어유닛 취부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의 일단은 보닛취부대를 구성하는 가로부재에 연결하고, 대향부 타단은 보닛취부대 전방에 위치한 압축기의 외연에 부착되는 보조지지판에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제어유닛 취부구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장치와 평행한 배치를 이루도록 상기 엔진제어유닛을 보닛의 길이방향으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제어유닛 취부구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장치와 마주보는 측 엔진제어유닛 일면을 소정 간격을 두고 덮는 차열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제어유닛 취부구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열판에 상기 엔진제어유닛을 장착하고, 엔진제어유닛이 장착된 상기 차열판을 상기 제3, 제4 취부브래킷에 각각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제어유닛 취부구조.
  12. 제11항에 있어서,
    복수의 방진마운트를 이용해 상기 차열판에 엔진제어유닛을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제어유닛 취부구조.
KR1020157013048A 2012-11-20 2013-11-20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제어유닛 취부구조 KR201500908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32024 2012-11-20
KR1020120132024 2012-11-20
PCT/KR2013/010588 WO2014081201A1 (ko) 2012-11-20 2013-11-20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제어유닛 취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892A true KR20150090892A (ko) 2015-08-06

Family

ID=50776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3048A KR20150090892A (ko) 2012-11-20 2013-11-20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제어유닛 취부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50090892A (ko)
WO (1) WO20140812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30514B1 (en) * 2015-07-31 2020-09-09 Yanmar Co., Ltd. Tracto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2631B2 (ja) * 1997-04-07 2003-01-0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子ユニットのエアボックス内取付構造
JP2008149815A (ja) * 2006-12-15 2008-07-03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車載部品取付構造及び車載部品の取付方法
KR20110104300A (ko) * 2010-03-16 2011-09-22 대동공업주식회사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제어유닛 배치구조
GB2484282A (en) * 2010-10-04 2012-04-11 Agco Sa Agricultural Tractor Control System
KR101439117B1 (ko) * 2011-02-22 2014-09-11 대동공업주식회사 농용 작업차량의 엔진제어유닛 취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81201A1 (ko) 201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62369B2 (ja) エンジン装置
JP5580178B2 (ja) エンジン装置
US9855837B2 (en) Work vehicle
JP6200682B2 (ja) トラクタ
WO2011135898A1 (ja) エンジン
US10533474B2 (en) Engine device
CA2941361A1 (en) Engine device
KR20160096586A (ko) 작업 차량
KR20170054494A (ko) 엔진 장치
KR20150033609A (ko) 엔진 장치
JP6132799B2 (ja) 作業車両
KR102227899B1 (ko) 작업 차량
KR20160104615A (ko) 엔진 장치
KR102049135B1 (ko) 엔진장치
JP2014025402A (ja) エンジン装置
KR20150090892A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제어유닛 취부구조
JP6177005B2 (ja) 作業車両
JP6147213B2 (ja) エンジン装置
JP6162519B2 (ja) トラクタ
JP6157966B2 (ja) トラクタ
JP6033026B2 (ja) エンジン装置
JP5508629B2 (ja) エンジン
JP6120796B2 (ja) 作業車両
JP6129733B2 (ja) エンジン装置
JP2017145805A (ja) エンジ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