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0663A - 렌즈구동모터 - Google Patents

렌즈구동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0663A
KR20150090663A KR1020140011567A KR20140011567A KR20150090663A KR 20150090663 A KR20150090663 A KR 20150090663A KR 1020140011567 A KR1020140011567 A KR 1020140011567A KR 20140011567 A KR20140011567 A KR 20140011567A KR 20150090663 A KR20150090663 A KR 20150090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agnet
bobbin
cover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1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9910B1 (ko
Inventor
이갑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1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9910B1/ko
Publication of KR20150090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0663A/ko
Priority to KR1020200168921A priority patent/KR1023973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8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coil systems moving upon intermittent or reversed energisation thereof by interaction with a fixed field system, e.g.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실시예는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두 개 이상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지지부 각각의 대향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마그넷을 구비하는 마그넷부; 및 상기 마그넷부의 내측면과 대응되게 배치되는 코일부;를 포함하는 렌즈구동모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렌즈구동모터{MOTOR FOR ACTUATING LENS}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조가 개선된 렌즈구동모터 및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에 마그넷을 조립시 이물질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물질은 카메라 모듈 내부에 잔존하여 카메라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 따른 구조를 가진 하우징과 상기 마그넷 조립공정은 카메라 모듈의 전반적인 제조비용이 증가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과 마그넷의 결합구조에 따른 두께가 높아서, 이를 줄이기 위한 니즈가 있다.
실시예는 제조공정을 간소화하고, 신뢰성이 향상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실시예는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두 개 이상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지지부 각각의 대향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마그넷을 구비하는 마그넷부; 및 상기 마그넷부의 내측면과 대응되게 배치되는 코일부;를 포함하는 렌즈구동모터를 제공한다.
한편, 실시예는 상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측면이 개방되는 커버캔; 중앙에 상기 개구부와 대응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캔의 내측면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두 개 이상의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캔에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지지부 각각의 대향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마그넷을 구비하는 마그넷부; 상기 하우징과 체결되는 베이스; 상기 마그넷부와 대응되게 배치되는 코일부와, 상기 코일부가 외측면에 배치되는 보빈을 포함하는 가동자; 및 상기 코일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기판;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넷은 상기 지지부와 접촉하는 면의 길이가 상기 지지부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넷은 상기 지지부와 접촉하는 면의 길이가 상기 지지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바디의 네 개의 모서리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지지부는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광축 방향의 면 또는 모서리는 상기 관통홀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곡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지지부는 하측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지지부의 고정홈과 대응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의 상측면에는 돌출되어 외부 충격 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스토퍼가 적어도 두 개 이상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자와 하우징 사이에 고정되는 외측부와, 상기 보빈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내측부와, 상기 외측부 및 내측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하측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외측부와, 상기 보빈의 상측면을 지지하는 내측부와, 상기 외측부 및 내측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상측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의 상측면에는 상기 외측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과 마그넷부의 결합 구조를 개선하여, 조립 공정의 간소화 및 내구성을 향상시켜, 신뢰성이 향상된 렌즈구동모터 및 카메라 모듈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에 마그넷부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다만, 이하에 기술될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을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에 마그넷부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는 크게 커버캔(100)과, 하우징(210) 및 마그넷부(230)를 포함하는 고정자(2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자(200)는 베이스(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는 상기 하우징(210) 내부에 배치되어 이동되는 가동자(3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가동자(300)는 후술할 상측 스프링(22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커버캔(100)은 후술할 가동자(300), 고정자(200)를 수용하여 베이스(240)에 장착됨으로써 카메라 모듈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커버캔(100)은 상측면에 개구부(110)가 형성되고 하측면이 개방되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러한 커버캔(100)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요컨대, 커버캔(100)의 형상은 상측에서 보았을 때 4각 형상 또는 8각 형상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커버캔(100)은 내측면이 후술할 베이스(240)의 측면부와 밀착하여 상기 베이스(240)에 의해 하측면이 폐쇄될 수 있으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내부 구성요소를 보호함과 동시에 외부 오염물질 침투방지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캔(100)은 핸드폰 등에 의해 발생하는 외부의 전파 간섭으로부터 카메라 모듈의 구성요소를 보호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캔(100)은 금속재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사출물 또는 금속재를 이용한 인서트 사출물 등 다양한 재질로도 형성 가능하다.
또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커버캔(100)은 추가적으로 하단부 적어도 한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체결편(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며, 베이스(240)에는 상기 체결편이 삽입되는 체결홈(미도시)이 측면에 형성되어 카메라 모듈의 더욱 견고한 밀폐 기능 및 체결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210)은 상기 커버캔(100)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크게 바디(211)와 두 개 이상의 지지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211)는 중앙에 상기 개구부(110)와 대응되는 관통홀(211a)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캔(100)의 내측면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어 하우징(210)을 상기 커버캔(100)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211)의 상측면에는 돌출되어 외부 충격 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스토퍼(211b)가 적어도 두 개 이상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211b)는 상기 하우징(210)의 모서리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보빈(310)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바디(211)의 상측면에는 후술할 상측 스프링(221)의 외측부(221a)가 안착되는 안착홈(211c)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안착홈(211c)은 상기 바디(211)의 상측면의 모서리 각각에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지지부(212)는 상기 바디(211)의 외측 또는 하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212)는 후술할 베이스(240)와 체결되어 하우징(210)을 상기 커버캔(100) 내부에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212)는 상기 바디(211)의 네 개의 모서리에 각각 배치되어 안정적으로 상기 바디(211)를 상기 커버캔(100) 내부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212)는 등 간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지지부(212)는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지지부(212)의 마주보는 면 또는 모서리는 상기 관통홀(211a)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곡면부(212a)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곡면부(212a)는 후술할 가동자(300)의 보빈(310)이 광축 방향으로 이동 시 지지부(212)와 보빈(310) 간의 상호 간섭을 제거하기 위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각의 지지부(212)는 상기 보빈(310)의 구동을 간섭하지 아니한 형상이라면 곡면부(212a)를 포함하지 않는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관하다. 즉, 상기 지지부(212)는 평면부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지지부(212)는 하측에 고정홈(212b)이 형성되어 후술할 베이스(240)의 고정돌기(241)와 결합되어 견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홈(212b)은 상기 지지부(212) 사이의 마주보는 면 이외에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부(212)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지지부(212)는 고정홈(212b)이 형성되지 않고 베이스와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마그넷부(230)는 상기 지지부(212) 각각의 대향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마그넷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그넷부(230)를 구성하는 4 개의 마그넷 각각은 외측면이 상기 커버캔(100)의 내측면과 면접할 수 있으며, 양측면이 상호 대향하는 지지부(212)에 면접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그넷은 상기 지지부와 접촉하는 면의 길이가 상기 지지부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상기 지지부와 접촉하는 면의 길이가 상기 지지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이러한 마그넷은 상면 및 양 측면만 하우징에 면접하며, 하측면은 노출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210)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적 형상은 하우징의 하단부가 실질적으로 제거되어 렌즈구동모터의 높이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마그넷과 지지부(212)와 접촉하는 면에 별도의 에폭시 등 접착물질을 추가하여 본딩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212)가 상기 바디(211)의 모서리에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마그넷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었으나, 상기 지지부(212)가 상기 바디(211)의 각 변의 중앙에 형성되었다면 상기 각각의 마그넷은 'ㄱ' 자 형태의 절곡편 또는 삼각기둥 또는 사다리꼴 기둥 등 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커버캔의 모서리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넷은 가공 시 모서리가 일부 곡면을 갖도록 가공될 수도 있다.
상기 상측 스프링(221)은 일단이 상기 하우징(210)의 안착홈(211c)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타단이 후술할 보빈(310)의 상면에 결합되어 보빈(310)을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보빈(310)의 상방 이동시 원위치로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단은 보빈(310)의 상면에 형성된 돌기와 대응되게 홀 또는 홈이 형성되어 열융착 또는 본딩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상측 스프링(221)은 판스프링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바디(211)의 안착홈(211c)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외측부(221a)와, 상기 보빈(310)의 상측면을 지지하는 내측부(221b)와, 상기 외측부(221a) 및 내측부(221b)를 연결하는 연결부(221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21c)는 바디(211)의 상측면 일부에서 관통홀(211a)의 내부까지 배치될 수 있으며, 한 번 이상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 스프링(221)외에 추가적으로 하측 스프링(2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측 스프링(222)은 상기 베이스 상부에 외측부(222a)와, 상기 보빈(310)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내측부(222b)와, 상기 외측부(222a) 및 내측부(222b)를 연결하는 연결부(222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부는 베이스 상부면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또는 베이스와 하우징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상측 스프링(221) 및/또는 하측 스프링(222)은 대략 링 형상 또는 사각 형상을 이룰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내주는 상기 보빈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대략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는 상기 하우징(210) 및/또는 베이스(240)의 형상에 지지될 수 있도록 대략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상측 스프링(221) 또는 하측 스프링(222)은 상기 코일부(320)의 권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후술할 기판으로부터 인가되는 전류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이 기판으로부터 인가되는 전류를 전달하는 단자 기능을 할 경우, 상측 스프링 또는 하측스프링은 2 개의 별개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별개 스프링은 전기적으로 서로 절연되어 있으며, 이격되어 있다. 또한, 후술할 기판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2개의 별개스프링은 기판을 향해 절곡된 벤딩부를 더 포함할수도 있으며, 상기 벤딩부를 통해 기판과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벤딩부는 베이스(240)에 형성된 홀 또는 홈을 통해 상기 베이스(240)를 기준으로 보빈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베이스(240)는 상기 하우징(210)과 체결되어 상기 커버캔(100)의 개방된 하측면을 폐쇄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240)는 상측면에 상기 지지부(212)의 고정홈(212b)과 대응되는 고정돌기(24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각각의 고정돌기(241) 외측면은 커버캔(100)의 내측면에 면접하고, 그 외의 면은 상기 하우징(210)의 고정홈(212b)에 면접할 수 있다. 또한, 그 반대로, 상기 고정홈이 베이스에, 고정돌기가 하우징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베이스는 별도의 고정돌기가 형성되지 않고, 베이스 둘레에 일정부분 또는 전둘레에 홈부를 형성하여 상기 커버캔과 결합될 수도 있다. 홈부는 커버캔과의 결합 위치 가이드를 하고, 커버캔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즉, 실시예의 베이스(240)는 하우징(210)과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는 커버캔(100)과 결합될 수 있어, 상기 베이스와 하우징은 상기 커버캔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적 형상은 렌즈구동모터의 조립공정을 더욱 단순하게 구현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체결 후 견고한 고정을 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240)는 상부에 후술할 보빈(310)이 배치될 수 있도록 상부면에 하측으로 요입된 리세스부(24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리세스부(242)의 중앙에는 후술할 렌즈부에 대응되는 통공(24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빈은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초기위치에서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과 접촉하고 있을수도 있으며, 이격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는 리세스부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설계에 따라 리세스 유무에 관계없이 상기 보빈과 베이스는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초기위치에서 접촉 또는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240)는 후술할 이미지 센서(미도시)를 보호하는 센서홀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베이스(240) 측면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240)는 필터(미도시)를 위치시키기 위한 필터 안착홈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필터안착홈은 상기 베이스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센서 홀더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필터는 상기 베이스(240)의 중앙에 형성된 통공(243)에 장착될 수 있으며, 적외선 필터(Infrared Ray Filter) 또는 블루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IR 필터는 예를 들어, 필름 재질 또는 글래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촬상면 보호용 커버유리, 커버 글래스 등의 평판 형상의 광학적 필터에 적외선 차단 코팅 물질 등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필터가 미도시된 렌즈의 외측에 설치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필터를 별도로 구성하지 않고 렌즈면에 코팅 처리하여 적외선의 차단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베이스(240)는 상기 커버캔(100)이 체결편을 포함하는 경우, 체결편(미도시)과 결합될 수 있는 체결홈(미도시)이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홈은 상기 체결편의 길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베이스(240) 외측면에 국부적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체결편을 포함한 상기 커버캔(100) 하단의 소정 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240) 외측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동자(300)는 크게 코일부(320) 및 보빈(3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빈(310)은 후술할 렌즈부와 결합되어 상기 렌즈부를 고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렌즈부와 보빈(310)의 결합방식은 나사산을 보빈(310)의 내주면과 렌즈부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하는 나사산 결합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접착제를 사용하는 무나사산 방식으로써 결합할 수도 있다. 물론, 나사산 결합 방식에서도 나사산 체결 후 접착제를 사용하여 상호 간에 더욱 견고한 장착을 도모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보빈(310)의 외주면은 후술할 코일부(320)가 권선되거나 장착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는 상기 보빈(310)의 외측면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빈(310)의 외측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는 미리 권선된 코일부를 장착할 수 있는 단턱(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미리 권선된 코일은 상기 단턱을 통해 위치 가이드되어 보빈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보빈(310)의 상측면 및/또는 하측면에는 후술할 베이스(240)의 상측에서 상기 보빈(310)이 지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상측 스프링(221) 및/또는 하측 스프링(222)이 체결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돌기의 형상은 원기둥 형상, 사각기둥 형상 등 원 형상 또는 각 형상일수 있으며, 이의 조합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코일부(320)는 상기 가이드부에 가이드 되어 상기 보빈(310)의 외측면에 권선될 수도 있으며, 미리 권선된 코일부(320)가 상기 가이드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또는, 4 개의 개별적인 코일이 상기 보빈(310)의 외측면에 90°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코일부(320)는 후술할 기판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받아 상기 마그넷부와 상호 작용하여 전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는 카메라 모듈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핸드폰 또는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카메라 폰, PDA, 스마트, 토이(toy) 등의 다종다양한 멀티미디어 분야, 나아가서는 감시 카메라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정보단말 등의 화상입력기기에 구비될 수 있다.
요컨대,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가 카메라 모듈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은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렌즈부(미도시), 기판 및 이미지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부(미도시)는 렌즈 배럴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렌즈를 지지할 수 있는 홀더 구조라면 어느 것이든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는 상기 렌즈부가 렌즈 배럴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렌즈부는 상기 베이스(240)의 상측에 배치되며, 후술할 이미지 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렌즈부는 한 개 이상의 렌즈(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판(미도시)은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측면 중앙부에 이미지 센서(미도시)가 실장될 수 있으며,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각종 소자(미도시)가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단자부 또는 하측 스프링(222) 또는 상측 스프링(221) 또는 직접적으로 상기 코일부(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렌즈구동모토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코일부에 전류를 인가해야 되며, 이를 위해 상기 기판으로부터 상기 코일부에 직접 전류를 인가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단자를 통하거나 스프링을 통해 간접적으로 코일부에 전류를 인가할수도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미도시)는 상기 렌즈부에 수용된 하나 이상의 렌즈(미도시)와 광축 방향을 따라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측면 중앙부에 실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센서는 렌즈를 통해 입사된 대상물의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접착제는 열경화성 에폭시 또는 UV 에폭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열 또는 UV의 노출에 의해 경화된다. 다만, 열경화성 에폭시를 사용하면 오븐에 이동하여 또는 직접 열을 가하여 경화하는 방식이며, UV(자외선) 에폭시를 사용하면 상기 접착제에 UV(자외선)를 가하여 경화하는 방식이다.
또한, 상기 접착제는 열경화와 UV(자외선)경화가 혼용될수 있는 에폭시일수 있으며, 열경화나 UV(자외선)경화 모두 가능하여 이중에 어느 한가지로 선택하여 경화될 수 있는 에폭시일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상기 에폭시에 한하지 않으며 접착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어느 것이든 대체 가능하다.
즉, 실시예는 하우징(210)의 구조를 개선하여 렌즈구동모터의 높이를 감소시켜 소형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이러한 구조는 종래에 비하여 단순화된 구성요소의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조립 공정의 단순화, 조립 공차 감소, 불량품 저하, 내구성 강화 등으로 인한 신뢰성이 향상된 렌즈구동모터 및 카메라 모듈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 상기 설명에 의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00: 커버캔 200: 고정자
210: 하우징 211: 바디
211b: 스토퍼 211c: 안착홈
212: 지지부 212a: 곡면부
212b: 고정홈 221: 상측 스프링
230: 마그넷부 240: 베이스
241: 고정돌기 300: 가동자
310: 보빈 320: 코일부

Claims (19)

  1.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두 개 이상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지지부 각각의 대향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마그넷을 구비하는 마그넷부; 및
    상기 마그넷부의 내측면과 대응되게 배치되는 코일부;를 포함하는 렌즈구동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은 상기 지지부와 접촉하는 면의 길이가 상기 지지부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렌즈구동모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은 상기 지지부와 접촉하는 면의 길이가 상기 지지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렌즈구동모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바디의 네 개의 모서리에 각각 배치되는 렌즈구동모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지지부는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광축 방향의 면 또는 모서리는 상기 관통홀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곡면부가 형성되는 렌즈구동모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측면에 상기 관통홀과 대응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측면이 개방되는 커버캔과,
    상기 하우징과 체결되어 상기 커버캔의 개방된 하측면을 폐쇄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렌즈구동모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지지부는 하측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지지부의 고정홈과 대응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렌즈구동모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상측면에는 돌출되어 외부 충격 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스토퍼가 적어도 두 개 이상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렌즈구동모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가 외측면에 배치되는 보빈; 및
    상기 보빈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렌즈부;를 포함하는 렌즈구동모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외측부와, 상기 보빈의 상측면을 지지하는 내측부와, 상기 외측부 및 내측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상측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렌즈구동모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상측면에는 상기 외측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렌즈구동모터.
  12. 상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측면이 개방되는 커버캔;
    중앙에 상기 개구부와 대응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캔의 내측면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두 개 이상의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캔에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지지부 각각의 대향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마그넷을 구비하는 마그넷부;
    상기 하우징과 체결되는 베이스;
    상기 마그넷부와 대응되게 배치되는 코일부와, 상기 코일부가 외측면에 배치되는 보빈을 포함하는 가동자; 및
    상기 코일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기판;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은 상기 지지부와 접촉하는 면의 길이가 상기 지지부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은 상기 지지부와 접촉하는 면의 길이가 상기 지지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지지부는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광축 방향의 면 또는 모서리는 상기 관통홀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곡면부가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상측면에는 돌출되어 외부 충격 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스토퍼가 적어도 두 개 이상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렌즈구동모터.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지지부는 하측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지지부의 고정홈과 대응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외측부와, 상기 보빈의 상측면을 지지하는 내측부와, 상기 외측부 및 내측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상측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상측면에는 상기 외측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KR1020140011567A 2014-01-29 2014-01-29 렌즈구동모터 KR102189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567A KR102189910B1 (ko) 2014-01-29 2014-01-29 렌즈구동모터
KR1020200168921A KR102397326B1 (ko) 2014-01-29 2020-12-04 렌즈구동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567A KR102189910B1 (ko) 2014-01-29 2014-01-29 렌즈구동모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8921A Division KR102397326B1 (ko) 2014-01-29 2020-12-04 렌즈구동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663A true KR20150090663A (ko) 2015-08-06
KR102189910B1 KR102189910B1 (ko) 2020-12-11

Family

ID=53885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1567A KR102189910B1 (ko) 2014-01-29 2014-01-29 렌즈구동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99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5296A1 (ko) * 2016-03-08 2017-09-14 엘지이노텍(주)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2086A (ko) * 2010-07-30 2012-02-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120053835A (ko) * 2010-11-18 2012-05-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120065492A (ko) * 2010-12-13 2012-06-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120133161A (ko) * 2011-05-30 2012-12-10 주식회사 엠씨넥스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KR20130042755A (ko) * 2011-10-19 2013-04-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2086A (ko) * 2010-07-30 2012-02-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120053835A (ko) * 2010-11-18 2012-05-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120065492A (ko) * 2010-12-13 2012-06-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KR20120133161A (ko) * 2011-05-30 2012-12-10 주식회사 엠씨넥스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KR20130042755A (ko) * 2011-10-19 2013-04-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5296A1 (ko) * 2016-03-08 2017-09-14 엘지이노텍(주)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CN109073851A (zh) * 2016-03-08 2018-12-21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以及包括其的摄像机模块和光学装置
US10935751B2 (en) 2016-03-08 2021-03-02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US11650394B2 (en) 2016-03-08 2023-05-16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9910B1 (ko) 2020-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98566B (zh) 透镜驱动马达
KR102556051B1 (ko) 렌즈구동모터
KR102131420B1 (ko) 렌즈구동모터
KR102636722B1 (ko) 렌즈구동모터
KR102116861B1 (ko) 렌즈구동 액추에이터
KR20240034733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KR102220729B1 (ko) 렌즈구동모터
KR20150071354A (ko) 렌즈 구동 액추에이터
KR102105697B1 (ko) 렌즈구동모터
KR102153739B1 (ko) 카메라 모듈
KR20150090663A (ko) 렌즈구동모터
KR102397326B1 (ko) 렌즈구동모터
KR102552748B1 (ko) 렌즈구동모터
KR102345956B1 (ko) 렌즈구동모터
KR102256722B1 (ko) 렌즈구동 액추에이터
KR102303867B1 (ko) 카메라 모듈
KR102507394B1 (ko) 렌즈구동 액추에이터
KR102374765B1 (ko) 렌즈 구동 액추에이터
KR102478151B1 (ko) 렌즈구동모터
KR102337914B1 (ko) 렌즈구동모터
KR20160077904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KR20210151041A (ko) 렌즈구동모터
KR20200086652A (ko) 렌즈구동모터
KR20210028622A (ko) 렌즈구동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