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0584A - A cleaner - Google Patents

A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0584A
KR20150090584A KR1020140011409A KR20140011409A KR20150090584A KR 20150090584 A KR20150090584 A KR 20150090584A KR 1020140011409 A KR1020140011409 A KR 1020140011409A KR 20140011409 A KR20140011409 A KR 20140011409A KR 20150090584 A KR20150090584 A KR 20150090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unit
moving member
suction
roller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14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길식
장시호
전우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1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0584A/en
Publication of KR20150090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058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9Carrying-vehicles; Arrangements of trollies or wheels; Means for avoiding mechanical obs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4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djustable, e.g. in height; linearly shifting castors
    • B60B33/045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djustable, e.g. in height; linearly shifting castors mounted resiliently, by means of 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8Ball castor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er having a suction unit arranged to be easily moved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The cleaner comprises: a body; a fan motor arranged inside the body and creating a suction force; a suction unit sucking air from an area to be cleaned with a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fan motor; and at least one roller which is attached to the suction unit to move the suction unit in a first direction. At least one roller is rotationally installed for the suction unit to be moved in a second direction vertical to the first direction. The convenience of movement can be provided to a user by using the suction unit capable of being moved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Description

청소기{A CLEANER}Cleaner {A CLEANER}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좌우로 용이하게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된 흡입유닛을 포함하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cuum cleaner including a suction unit that is easily movable up, down, left, and right.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흡입력을 생성하는 팬모터와, 피청소면에 밀착되어 팬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유닛과, 흡입유닛을 통해 흡입된 공기에서 오물을 분리하여 수거하는 집진장치를 구비하여 청소를 수행하는 가전 기기이다.Generally, the vacuum cleaner includes a fan motor that generates a suction force, a suction unit that closely contacts the surface to be cleaned and sucks air by the suction force of the fan motor, and a dust collecting device that collects and collects dirt from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unit It is a home appliance that performs cleaning.

팬모터와 집진장치는 본체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으며, 흡입유닛은 연결관 및 연결호스에 의해 본체에 연결되어 청소가 필요한 피청소면 위를 이동하여 이물질을 흡수할 수 있다. 이때, 흡입유닛의 저면에 부착된 이동부재가 회전하며 사용자의 외력에 따라 흡입유닛을 이동할 수 있다.The fan motor and the dust collecting device can be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and the suction unit can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by the connecting pipe and the connecting hose to move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to absorb foreign matter. At this time, the moving member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uction unit rotates and can move the suction unit according to the external force of the user.

이동부재는 롤러의 구조로 마련되거나 볼베어링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롤러를 사용하는 이동부재의 경우 사용자는 흡입유닛을 전후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키며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The shifting member may be provided in the structure of a roller or may be implemented using a ball bearing. In the case of the moving member using the roller, the user can easily move the suction unit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remove the foreign matter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그러나 롤러를 사용하는 이동부재는 좌우방향의 이동이 용이하지 않아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 특히, 계단과 같은 폭이 좁은 영역을 청소하는 경우 사용자가 흡입유닛을 중력과 반대방향으로 들어올려 좌우로 이동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movable member using the rollers is not easy to move in the lateral direction, which may cause inconvenience to the user. Particularly, in the case of cleaning a narrow area such as a stai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must lift the suction unit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gravity and move it to the left and righ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전후좌우로 용이하게 이동가능한 흡입유닛을 포함하는 청소기를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acuum cleaner including a suction unit that is easily movable back and forth, right and left.

또한 롤러의 양 측에 탄성부재를 마련한 간단한 구조로 흡입유닛의 좌우이동이 용이한 청소기를 제공한다.A simple structure in which elastic member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a roller allows the suction unit to move left and right easily.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청소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흡입력을 생성하는 팬모터, 상기 팬모터에 의해 생성되는 흡입력으로 피청소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유닛, 상기 흡입유닛이 제 1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흡입유닛에 부착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제 1방향과 수직한 제 2방향으로 상기 흡입유닛을 이동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a fan motor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and generating a suction force, a suction unit for sucking air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by a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fan motor, , And the moving member is rotatably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move the suction unit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상기 이동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이동부재와 연동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And at least one lever that is rotatably installed to interlock with the shifting member to rotate the shifting member.

상기 흡입유닛에는 상기 이동부재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축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버는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The suction unit is provided with a fixed shaft for rotatably fixing the moving member, and the fixed shaft and the at least one lever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청소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흡입력을 생성하는 팬모터, 상기 팬모터에 의해 생성되는 흡입력으로 피청소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유닛, 상기 흡입유닛이 제 1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흡입유닛에 설치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흡입유닛이 상기 제 1방향과 수직한 제 2방향으로 탄성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acuum cleaner including a main body, a fan motor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and generating a suction force, a suction unit for sucking air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by a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fan motor, A movable member provided on the suction unit so as to be movable in one direction, and an elastic member disposed adjacent to the movable member, the elastic member being provided such that the suction unit can elastically move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do.

상기 흡입유닛이 상기 제 2방향으로 탄성이동함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가 상대적으로 상기 제 2방향과 반대방향인 제 3방향으로 탄성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 측과 접촉되어 설치될 수 있다.The moving member is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elastic member so that the moving member can be elastically moved in a third direction relatively opposite to the second direction as the suction unit elastically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Can be installed.

상기 흡입유닛을 바닥면에서 지지하도록 상기 이동부재는 바닥면에 안착되고,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바닥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가 탄성변형되며 상기 흡입유닛이 상기 제 2방향으로 탄성이동할 수 있다.The moving member is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so as to support the suction unit on the floor surface and the elastic member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moving member and the bottom surface so that the suction unit can be elastically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have.

상기 흡입유닛이 상기 제 2방향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s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moving member so that the suction unit can reciprocate in the second direction.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흡입유닛을 상기 제 1방향으로 구름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ving member may include at least one roller that rolls the suction unit in the first direction.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가 설치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설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치부는 상기 흡입유닛의 하면에 함몰되어 마련될 수 있다.The suction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the at least one roller, and the at least one mounting portion may be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uction unit.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치부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축이 설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는 각각 상기 고정축에 끼워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치부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The at least one mounting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shaft for rotatably fixing the at least one roller, and the at least one roller may be inserted into the fixing shaft and inserted into the at least one mounting portion, respectively .

상기 이동부재가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흡착유닛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의 일 측이 바닥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축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치부에 설치될 수 있다.The fixed shaft may be installed in the at least one mounting portion such that one side of the at least one roller can contact the bottom surface so that the moving member supports the suction unit from the bottom surface.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고정축에 끼워져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may include at least one spring fitted to the fixed shaft.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의 양 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The at least one spring may be installed on each side of the at least one roller.

전후좌우로 이동이 용이한 흡입유닛을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이동의 편리성을 줄 수 있다.A suction unit which can be easily moved forward, backward, leftward and rightward can be used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롤러의 양 측에 탄성부재를 마련한 간단한 장치로 흡입유닛을 좌우로 탄성이동시킬 수 있다. The suction unit can be elastically moved to the left and right by a simple device provided with elastic members on both sides of the roll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이동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이 제 2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이동부재와 레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7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이동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 흡입유닛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이동부재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illustrating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illustrating a suction unit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illustrating a moving member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views showing the suction unit of the vacuum cleaner moving in the second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a suction unit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moving member and a lever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are views showing moving members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acuum cleaner suction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exploded view of the moving member shown in Fig. 8.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1)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vacuum clean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청소기(1)는 본체(20)와, 피청소면과 접촉하는 흡입유닛(100), 흡입유닛(100)과 본체(20)를 연결하는 연결유닛(10)을 포함할 수 있다.The vacuum cleaner 1 may include a main body 20, a suction unit 100 contacting the surface to be cleaned, and a connection unit 10 connecting the suction unit 100 and the main body 20. [

본체(20)의 내부에는 흡입력을 생성하는 팬모터(21)와 흡입된 공기에서 이물질을 분리하여 수거하는 집진장치(22)가 수용될 수 있다.Inside the main body 20, a fan motor 21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and a dust collecting device 22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sucked air can be accommodated.

집진장치(22)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분리하는 사이클론 방식이거나 공기를 여과 봉투에 통과시킴으로써 이물질을 걸러 내는 먼지 봉투 방식일 수 있다. 또는 그 밖에 이물질을 분리할 수 있는 공지된 다양한 방식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22 may be a cyclone system for separating foreign matter by centrifugal force or a dust bag system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by passing air through a filtration bag. Or any other known manner of separating foreign matter.

팬모터(21)에는 회전하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미도시)이 구비된다. 본체(20)의 일측에는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공(미도시)이 마련된다. 집진장치(22)를 통해 이물질이 분리된 정화 공기는 배출공(미도시)을 통해 본체(20)의 외부로 다시 배출된다.The fan motor 21 is provided with a fan (not shown) which rotates and generates a suction force. A discharge hole (not shown)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20 so as to discharge the air from which the foreign substance is removed to the outside. The purified air separated from the foreign material through the dust collecting device 22 is discharged again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20 through a discharge hole (not shown).

연결유닛(10)은 흡입유닛(100)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본체(20)로 안내하도록, 흡입유닛(100)과 본체(20)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유닛(10)은 연장호스(12, 13)와 연장호스(12, 13)의 사이에 마련된 손잡이(14)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unit 10 can connect the suction unit 100 and the main body 20 so as to guide the sucked air to the main body 20 through the suction unit 100. [ The connecting unit 10 may include a handle 14 provided between the extension hoses 12,13 and the extension hoses 12,13.

연장호스(12, 13)는 흡입유닛(100)과 손잡이(14)를 연결하는 제 1호스(12)와, 손잡이(14)와 본체(20)를 연결하는 제 2호스(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호스(12)는 사용자의 외력을 흡입유닛(100)으로 전달시키기 위해 소정의 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호스(13)는 플라스틱 등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20)를 중심으로 일정 범위 내에서는 본체(20)를 이동시킬 필요 없이, 흡입유닛(100)과 제 1호스(12)만을 이동시킴으로써 피청소면을 변경할 수 있다.The extension hoses 12 and 13 include a first hose 12 connecting the suction unit 100 and the handle 14 and a second hose 13 connecting the handle 14 and the body 20 . The first hose 12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predetermined rigidity to transmit the external force of the user to the suction unit 100. The second hose 13 may be made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such as plastic.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surface to be cleaned by moving only the suction unit 100 and the first hose 12 without moving the main body 20 within a certain range about the main body 20.

손잡이(14)는 사용자가 제 1호스(12)와 흡입유닛(100)을 손쉽게 움직이게 하기 위해 마련된다. 손잡이(14)에는 청소기(1)의 동작을 선택하기 위한 다수의 조작버튼이 마련된 조작부(15)가 마련될 수 있다.The handle 14 is provided to allow the user to easily move the first hose 12 and the suction unit 100. The handle 14 may be provided with an operation unit 15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for selecting the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1. [

흡입유닛(100)은 팬모터(21)에 의해 생성되는 흡입력으로 피청소면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흡입유닛(100)은 청소가 이루어지는 피청소면과 접촉하여 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최초 흡입되는 부분이다. 흡입유닛(100)는 피청소면과 접촉하기 위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uction unit 100 can suck the air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by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fan motor 21. [ The suction unit 100 is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urface to be cleaned where cleaning is performed, and the air including dust is first sucked. The suction unit 10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for contacting the surface to be cleaned.

청소기(1)가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21)에 의해 흡입유닛(100)으로 흡입된 공기는 연결유닛(10)를 지나 본체(20)로 들어온다. 본체(20)로 들어온 공기는 집진장치(22)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후, 배출공(미도시)을 통해 다시 외부로 빠져나간다.A process of removing the foreign object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by the cleaner 1 will be described. The air sucked into the suction unit 100 by the fan motor 21 generating the suction force enters the main body 20 through the connection unit 10. [ The air that has entered the main body 20 is removed from the dust collecting device 22 and then exits to the outside through a discharge hole (not shown).

이때, 사용자는 손잡이(14)를 잡아 외력을 가함으로써, 흡입유닛(100)을 원하는 피청소면으로 이동시키며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의 흡입유닛(100)의 자세한 구성에 대해 이하에서 상술한다.At this time, the user grips the handle 14 to apply an external force, thereby moving the suction unit 100 to a desired surface to be cleaned and sucking the foreign matter.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uction unit 100 of the vacuum clean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1)의 흡입유닛(100)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suction unit 100 of the vacuum clean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흡입유닛(100)은 커넥터(110)와, 피청소면으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는 브러쉬(120),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이동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ction unit 100 may include a connector 110, a brush 120 for separating dust from the surface to be cleaned, and a moving member 130 for facilitating movement.

커넥터(110)는 연결유닛(10)과 결합하여, 흡입유닛(100)과 연결유닛(10)을 연결시킬 수 있다. 커넥터(110)는 흡입유닛(100)에 소정의 각도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connector 110 can be coupled with the connection unit 10 to connect the connection unit 10 with the suction unit 100. [ The connector 110 may be pivotally coupled to the suction unit 100 at an angle.

브러쉬(120)는 흡입유닛(100)의 하면에 마련된 흡입구(122)와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브러쉬(120)가 피청소면에서 먼지 등 이물질을 모으면, 흡입구(122)가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브러쉬(120)는 회전하며 피청소면의 먼지를 비산시키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brush 120 may be provided adjacent to the suction port 122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ction unit 100. When the brush 120 collects foreign matter such as dust from the surface to be cleaned, the suction port 122 can suck air containing foreign matter. The brush 120 may be installed to rotate and scatter dust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이동부재(130)는 흡입유닛(100)의 하면에 설치되어 흡입유닛(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동부재(130)는 흡입유닛(100)을 구름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유닛(100)의 하면에는 두개의 롤러가 설치된다.The shifting member 130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ction unit 100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suction unit 100. The shifting member 130 may include at least one roller that rolls the suction unit 100. As shown in FIG. 2, two rollers ar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ction unit 10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1)의 이동부재(130)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the moving member 130 of the vacuum clean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흡입유닛(100)은 이동부재(130)가 설치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설치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설치부(103)는 흡입유닛(100)의 하면에 함몰되어 마련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부(103)는 각각의 이동부재(130)가 설치될 수 있도록 2개가 마련된다.The suction unit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mounting portion 103 for mounting the shifting member 130. At least one mounting portion (103)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ction unit (100). As shown in FIG. 3, the mounting portion 103 is provided with two mounting portions so that the respective moving members 130 can be installed.

설치부(103)에는 이동부재(130)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축(106)이 설치될 수 있다. 고정축(106)은 설치부(103)의 양 측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동부재(130)는 고정축(106)에 끼워지며 설치부(103)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The mounting portion 103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shaft 106 for rotatably fixing the moving member 130. The fixed shaft 106 can be fixed to both sides of the mounting portion 103. The movable member 130 is fitted to the fixed shaft 106 and inserted into the mounting portion 103.

이동부재(130)는 바닥면으로부터 흡착유닛(100)을 지지하여 흡착유닛(100)이 구름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이동부재(130)의 일 측이 바닥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고정축(106)이 설치부(103)에 설치될 수 있다.The moving member 130 is installed to support the adsorption unit 100 from the bottom surface and to allow the adsorption unit 100 to roll. Therefore, the fixing shaft 106 can be installed on the mounting portion 103 so that one side of the moving member 130 can contact the bottom surface.

이동부재(130)로 마련되는 롤러는 회전하는 원통형의 물체로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은 원활하지만,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은 원활하지 않다. 이하, 이동부재(130)가 원활하게 구름운동할 수 있는 방향을 제 1방향(A)이라 한다. 즉, 이동부재(130)에 의해 흡입유닛(100)은 제 1방향(A)으로 구름운동할 수 있다.The roller provided by the movable member 130 is a cylindrical object rotating and smoothly mov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but is not smoothly moved in the lateral direction. Hereinafter,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ving member 130 can roll smoothly is referred to as a first direction A. That is, the suction unit 100 can roll in the first direction A by the moving member 130.

흡입유닛(100)은 제 1방향(A)과 수직한 방향으로 탄성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탄성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40)는 이동부재(130)와 인접하게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이동부재(130)는 탄성부재(140)의 일 측과 접촉되어 설치될 수 있다.The suction unit 100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140 provided to be elastically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 [ At least one elastic member 14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movable member 130. The movable member 130 may be installed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elastic member 140.

탄성부재(140)는 고정축(106)의 끼워지는 스프링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40)는 고정축(106)에 끼워져 이동부재(130)의 양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은 적어도 하나의 롤러의 양 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14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pring to which the fixed shaft 106 is fitted. As shown in FIG. 3, the elastic member 140 may be fitted on the fixed shaft 106 and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oving member 130. That is, at least one spring may be provided on each side of at least one roller, respectively.

도 4a,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1)의 흡입유닛(100)이 제 2방향(B)으로 이동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4A and 4B are views showing the suction unit 100 of the vacuum cleaner 1 moving in the second direction 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부재(130)의 일 측은 바닥면과 접촉하여 흡입유닛(100)을 제 1방향(A)으로 구름운동시킨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14)에 외력을 가하며 흡입유닛(100)을 원하는 피청소면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제 1방향(A)으로 원활하게 왕복이동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one side of the shifting member 13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to roll the suction unit 100 in the first direction A. Accordingly, when the user applies an external force to the handle 14 and moves the suction unit 100 to the desired cleaning surface, it is possible to smoothly reciprocate in the first direction A.

그러나, 사용자가 흡입유닛(100)을 제 1방향(A)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려는 경우, 이동부재(130)와 바닥면의 마찰력으로 이동이 원활하지 않다. 이때, 바닥면과 이동부재(130)는 상대이동하지 않고, 탄성부재(140)가 탄성변형되며 흡입유닛(100)이 제 1방향(A)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user tries to move the suction unit 100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 the movement is not smooth due to the friction between the moving member 130 and the bottom surface. At this time, the bottom surface and the moving member 130 do not move relative to each other, and the elastic member 140 is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suction unit 100 can mov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

흡입유닛(100)이 제 1방향(A)과 수직한 제 2방향(B)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부재(130)는 상대적으로 제 2방향(B)과 반대방향인 제 3방향(C)으로 이동한다. 흡입유닛(100)을 제 2방향(B)으로 이동시키면 이동부재(130)는 바닥면과의 마찰에 의해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이동부재(130)의 일 측에 마련된 탄성부재(140)는 압축되고, 다른 일 측에 마련된 탄성부재(140)는 연장되며 흡입유닛(100)을 탄성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방향(B)으로 이동한 흡입유닛(100)은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원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When the suction unit 100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B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 the moving member 130 moves in the third direction C, which is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direction B, . When the suction unit 100 is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B, the moving member 130 can be fixed to the floor surface by friction with the floor surface. At this time, the elastic member 14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ovable member 130 is compressed, and the elastic member 140 provided at the other side is extended, and the suction unit 100 can be elastically moved. Further, the suction unit 100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B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40. [

이동부재(130)의 양 측에 마련된 탄성부재(140)에 의해 흡입유닛(100)은 제 1방향(A)과 수직하게 탄성이동하며 피청소면을 효과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특히, 계단과 같은 좁은 영역을 청소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The suction unit 100 is elastically moved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 by the elastic members 14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ovable member 130 and can effectively move the surface to be cleaned. In particular, when cleaning a narrow area such as a stair,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제 1방향(A)은 흡입유닛(100)이 구름운동하는 방향이고, 제 2방향(B)은 제 1방향(A)과 수직하게 흡입유닛(100)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일정한 방향을 뜻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 3방향(C)은 제 2방향(B)의 반대방향으로 흡입유닛(100)에 대하여 이동부재(130)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방향을 뜻하는 것으로 실제로 이동부재(130)가 이동하는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The first direction A is a direction in which the suction unit 100 rolls and the second direction B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 and a direction in which the suction unit 100 moves It is not. The third direction C is a direction in which the moving member 130 relatively moves with respect to the suction unit 100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direction B, It does not indicate directio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1)의 흡입유닛(100a)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1)의 이동부재(130a)와 레버(150)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5 is a view showing a suction unit 100a of the vacuum cleaner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ving member 130a of the vacuum cleaner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lever 150 shown in Fig.

흡입유닛(100a)은 연결유닛(10)과 결합하는 커넥터(110a)와, 흡입구(122a)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피청소면으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는 브러쉬(120a), 이동을 용이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130a)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ction unit 100a includes a connector 110a to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unit 10, a brush 120a disposed adjacent to the suction port 122a to separate dust from the surface to be cleaned, 130a.

이동부재(130a)는 흡입유닛(100a)의 하면에 설치되어 흡입유닛(100a)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동부재(130a)는 흡입유닛(100a)을 구름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흡입유닛(100a)이 원활하게 전후로 구름운동하는 방향을 제 1방향(A)이라 한다.The shifting member 130a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ction unit 100a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suction unit 100a. The shifting member 130a may include at least one roller for rolling the suction unit 100a. Hereinafter, a direction in which the suction unit 100a smoothly moves forward and backward is referred to as a first direction A,

흡입유닛(100a)은 이동부재(130a)가 설치되기 위한 설치부(103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부(103a)는 흡입유닛(100a)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여 마련되고, 하나의 설치부(103a)에는 하나의 이동부재(130a)가 설치될 수 있다.The suction unit 100a may include a mounting portion 103a for mounting the moving member 130a. As shown in FIG. 6, the mounting portion 103a is provided so as to penetrate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uction unit 100a, and one moving member 130a may be installed in one mounting portion 103a.

설치부(103a)의 하부에는 이동부재(130a)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축(106a)이 설치될 수 있다. 고정축(106a)은 설치부(103a)의 하부 양 측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동부재(130a)는 고정축(106a)에 끼워지며 설치부(103a)의 하부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A fixing shaft 106a for rotatably fixing the moving member 130a may b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103a. The fixed shaft 106a may be fixedly mount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mounting portion 103a. The shifting member 130a is inserted into the fixing shaft 106a and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103a.

설치부(103a)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잡아 회전시킬 수 있는 레버(150)가 설치될 수 있다. 레버(150)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설치부(103a)의 상부 일 측에서 다른 일 측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150)는 고정축(106a)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레버(150)는 이동부재(130a)가 구름운동하는 방향과 동일하게 마련되어, 사용자는 레버(150)의 형태를 보고 제 1방향(A)을 알 수 있다.A lever 150 that can be held by a user can b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103a. The lever 150 may be provided so as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103a to another side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grasp it. As shown in FIG. 6, the lever 150 may protrud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xed shaft 106a. At this time, the lever 150 is provid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ving member 130a rolls, so that the user can know the first direction A by looking at the shape of the lever 150.

사용자가 레버(150)를 파지하여 회전시키면 설치부(103a)가 함께 회전한다. 그에 따라 설치부(103a)의 하부에 고정된 고정축(106a)이 회전하며 이동부재(130a)가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레버(150)를 회전시킴으로써 이동부재(130a)를 회전시킬 수 있다.When the user grasps and rotates the lever 150, the mounting portion 103a rotates together. The fixing shaft 106a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103a rotates and the moving member 130a can rotate. Therefore, by rotating the lever 150, the movable member 130a can be rotated.

도 7a, 7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1)의 이동부재(130a)를 도시한 도면이다.7A and 7B are views showing the moving member 130a of the vacuum cleaner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손잡이(14)에 외력을 가하며 흡입유닛(100a)을 이동시키면 이동부재(130a)는 흡입유닛(100a)을 제 1방향(A)으로 구름운동시킨다. 그러나, 사용자가 흡입유닛(100a)을 제 1방향(A)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려는 경우, 이동부재(130a)와 바닥면의 마찰력으로 이동이 원활하지 않다.When the user applies an external force to the handle 14 and moves the suction unit 100a, the moving member 130a rolls the suction unit 100a in the first direction A. However, when the user tries to move the suction unit 100a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 the movement is not smooth due to the friction between the moving member 130a and the bottom surface.

이때, 사용자가 레버(150)를 직각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7a에서 도 7b의 형태로 이동부재(130a)가 회전한다. 따라서, 이동부재(130a)가 제 1방향(A)과 수직한 방향(A')으로 구름운동할 수 있어, 사용자는 흡입유닛(100a)을 원하는 피청소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레버(150)를 원하는 각도만큼 회전시켜 원하는 방향으로 흡입유닛(100a)을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rotates the lever 15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the moving member 130a rotates in the form of FIG. 7A to FIG. 7B. Accordingly, the moving member 130a can roll in the direction A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 and the user can move the suction unit 100a to the desired cleaning surface. At this time, the user can rotate the lever 150 by a desired angle to smoothly move the suction unit 100a in a desired direction.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 흡입유닛(100b)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이동부재(130b)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FIG. 8 is a sectional view of a vacuum cleaner suction unit 100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n exploded view of the moving member 130b shown in FIG.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부재(130b)의 일 측은 바닥면과 접촉하여 흡입유닛(100b)을 이동시킨다. 도 8 내지 도 9에서는 도시한 이동부재(130b)는 볼(140)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된다.As described above, one side of the moving member 130b contacts the bottom surface to move the suction unit 100b. 8 to 9, the moving member 130b shown in FIG.

흡입유닛(100b)의 저면 일 측에는 이동부재(130b)가 설치되는 설치부(103b)가 마련될 수 있다. 설치부(103b)는 상부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이동부재(130b)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설치부(103b)의 상면에는 이동부재(130b)가 고정될 수 있는 고정판(144)이 마련될 수 있다.The suction unit 100b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with a mounting portion 103b on which the moving member 130b is installed. The mounting portion 103b is formed by being recessed upward, and can receive at least a part of the moving member 130b.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103b, a fixing plate 144 to which the moving member 130b can be fixed may be provided.

또한, 설치부(103b)의 하부에는 이동부재(130b)를 지지하는 지지판(146)이 마련될 수 있다. 지지판(146)은 볼(140)이 설치부(103b)를 벗어나지 못하도록 마련되고, 볼(140)이 바닥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개구(147)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a support plate 146 for supporting the moving member 130b may be provided below the mounting portion 103b. The support plate 146 is configured such that the ball 140 does not depart from the mounting portion 103b and may include the opening 147 so that the ball 140 can contact the bottom surface.

이동부재(130b)는 지지판(146)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롤러(142)는 회전축(143)이 지지판(146)에 마련된 고정부(145)에 끼워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회전축(143)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142)는 볼(140)과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shifting member 130b may include at least one roller 142 mounted on the support plate 146. [ The at least one roller 142 may be disposed so that the rotation shaft 143 is fitted in the fixing portion 145 provided on the support plate 146. At least one roller 142 that rotates about the rotational axis 143 may be provided to contact the ball 140.

즉, 볼(140)은 하부에 위치한 지지판(146)과 상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롤러(142)로 인해 소정의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외력을 가해 흡입유닛(100b)을 이동시키면 볼(140)은 바닥면을 따라 회전한다. 이때, 볼(140)과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142)가 회전축(14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That is, the ball 140 may be rotatably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y the support plate 146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and at least one roller 142 disposed at the upper portion. When the user applies an external force to move the suction unit 100b, the ball 140 rotates along the bottom surface. At this time, at least one roller 142 contacting the ball 140 may be rotated around the rotation shaft 143.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롤러(142)는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4개가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롤러(142)는 서로 상하좌우방향으로 구름운동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볼(140)이 회전함에 따라 롤러(142)가 회전하여 볼(140)이 상하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at least one roller 142 may be provided at four predetermined intervals. Each of the rollers 142 can be installed so as to roll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Accordingly, as the ball 140 rotates, the roller 142 rotates to guide the ball 140 to mov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 청소기 10 : 연결유닛
14 : 손잡이 20 :본체
21 : 팬모터 100 : 흡입유닛
103 : 설치부 106 : 고정축
110 : 커넥터 120 : 브러쉬
130 : 이동부재 140 : 탄성부재
150 : 레버
1: cleaner 10: connection unit
14: Handle 20: Body
21: Fan motor 100: Suction unit
103: mounting part 106: fixed shaft
110: connector 120: brush
130: moving member 140: elastic member
150: Lever

Claims (13)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흡입력을 생성하는 팬모터;
상기 팬모터에 의해 생성되는 흡입력으로 피청소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유닛;
상기 흡입유닛이 제 1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흡입유닛에 부착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흡입유닛이 상기 제 1방향과 수직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main body;
A fan motor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and generating a suction force;
A suction unit for sucking air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by a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fan motor;
And a moving member attached to the suction unit such that the suction unit can move in a first direction,
Wherein the moving member is rotatably installed so that the suction unit can mov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이동부재와 연동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t least one lever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to interlock with the moving member to rotate the moving membe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닛에는 상기 이동부재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축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버는 연결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uction unit is provided with a fixed shaft for rotatably fixing the movable member,
Wherein the fixed shaft and the at least one lev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흡입력을 생성하는 팬모터;
상기 팬모터에 의해 생성되는 흡입력으로 피청소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유닛;
상기 흡입유닛이 제 1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흡입유닛에 설치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흡입유닛이 상기 제 1방향과 수직한 제 2방향으로 탄성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청소기.
main body;
A fan motor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and generating a suction force;
A suction unit for sucking air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by a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fan motor;
A moving member installed in the suction unit such that the suction unit can move in a first direction;
An elastic member disposed adjacent to the moving member and adapted to allow the suction unit to elastically move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 RTI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닛이 상기 제 2방향으로 탄성이동함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가 상대적으로 상기 제 2방향과 반대방향인 제 3방향으로 탄성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 측과 접촉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5. The method of claim 4,
So that the movable member can be elastically moved in a third direction that is relatively opposite to the second direction as the suction unit elastically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Wherein the moving member is installed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elastic member.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닛을 바닥면에서 지지하도록 상기 이동부재는 바닥면에 안착되고,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바닥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가 탄성변형되며 상기 흡입유닛이 상기 제 2방향으로 탄성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moving member is seated on the floor surface so as to support the suction unit on the floor surface,
Wherein the elastic member is elastically deformed by a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moving member and the bottom surface, and the suction unit elastically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닛이 상기 제 2방향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the suction unit is reciprocated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elastic members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moving member.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흡입유닛을 상기 제 1방향으로 구름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oving member includes at least one roller for rolling the suction unit in the first direction.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가 설치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설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치부는 상기 흡입유닛의 하면에 함몰되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uction unit includes at least one mounting portion for installing the at least one roller,
Wherein the at least one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uction unit.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치부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축이 설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는 각각 상기 고정축에 끼워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치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t least one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fixing shaft for rotatably fixing the at least one roller,
Wherein the at least one roller is fitted in the fixing shaft and inserted into the at least one mounting portion.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가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흡착유닛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의 일 측이 바닥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축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In order for the moving member to support the adsorption unit from the bottom surface,
Wherein the fixing shaft is installed on the at least one mounting portion so that one side of the at least one roller can contact the bottom surfac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고정축에 끼워져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elastic member includes at least one spring fitted to the fixing shaft.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의 양 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at least one spring is installed on each side of the at least one roller.
KR1020140011409A 2014-01-29 2014-01-29 A cleaner KR2015009058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409A KR20150090584A (en) 2014-01-29 2014-01-29 A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409A KR20150090584A (en) 2014-01-29 2014-01-29 A 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584A true KR20150090584A (en) 2015-08-06

Family

ID=53885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1409A KR20150090584A (en) 2014-01-29 2014-01-29 A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058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91343B2 (en) Robot cleaner and maintenance device for the same
US10258212B2 (en) Cleaner
KR100544480B1 (en) Automatic cleaning apparatus
US20180360281A1 (en) Suction structure of robot vacuum cleaner
EP3231344A1 (en) Suction body for an upright cleaner
US20080120801A1 (en) Cleaner
EP2888981A2 (en) Pad changer, cleaner and cleaner system having the same
CN106793903B (en) Robot cleaner
KR101667716B1 (en) Robot cleaner
US9826870B2 (en) Robotic vacuum cleaner
US9468344B2 (en) Wet suction attachment
JP7264584B2 (en) Autonomous vacuum cleaner
KR20110116729A (en) Shoe hairy device
KR20190021521A (en) Cleaner
KR101618130B1 (en) Robot Cleaner
EP1927310A1 (en) Vacuum cleaner having moveable blade
KR101012943B1 (en) Suction apparatus capable of corner cleaning
KR101429048B1 (en) Robot cleaner having entry prevention device
KR101208556B1 (e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KR20190081047A (en) A robot cleaner
KR20150090584A (en) A cleaner
KR101108049B1 (en) Robot Cleaner
KR101457959B1 (en) Robot cleaner inlet of the supporting device
KR20070105124A (en) Automatic cleaner
KR101423838B1 (en) Robot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