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0376A - 소비패턴 기반의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소비패턴 기반의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0376A
KR20150090376A KR1020140010691A KR20140010691A KR20150090376A KR 20150090376 A KR20150090376 A KR 20150090376A KR 1020140010691 A KR1020140010691 A KR 1020140010691A KR 20140010691 A KR20140010691 A KR 20140010691A KR 20150090376 A KR20150090376 A KR 20150090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arget
promotion
user
mobile disc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0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경욱
김경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to KR1020140010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0376A/ko
Publication of KR20150090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03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사용자의 소비패턴을 기초로 마케팅을 위한 프로모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소비패턴 기반의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기 발생된 제1 카드 결제정보로부터 생성된 소비패턴을 분석하여 마케팅을 원하는 타겟상점, 마케팅 대상이 되는 타겟상품, 및 상기 타겟상품의 사용자에 대한 타겟 소비패턴을 포함하는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분석정보 생성부; 상기 분석정보를 기초로 상기 타겟상품의 마케팅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모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타겟상점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모션 정보 중 상기 타겟상점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프로모션 정보에 따라 모바일 할인 정보를 생성하는 프로모션 관리부; 상기 모바일 할인 정보를 상기 타겟 소비패턴을 갖는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모바일 할인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제1 카드 결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비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타겟상점에서 상기 모바일 할인 정보가 사용되면 상기 타겟상점에서 결제된 제2 카드 결제정보 및 상기 모바일 할인 정보의 사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2 카드 결제정보를 기초로 상기 소비패턴을 업데이트하는 소비패턴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비패턴 기반의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arketing Service}
본 발명은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등과 같은 스마트 기기의 보급 및 모바일 인터넷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또는 마케팅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다. 모바일 단말기는 시간과 장소의 제약없이 실시간으로 소통할 수 있고, 소셜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 공유가 용이하다는 점에서 광고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그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
일 예로, 종래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점운영자들은 해당 상점에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는 회원에게 상품의 할인정보 등을 포함한 마케팅 정보를 문자메시지 발송 시스템을 통해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마케팅 서비스는, 마케팅 정보를 불특정 다수에게 무차별적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이러한 마케팅 정보를 불필요한 정보로 취급할 수 있어, 마케팅을 제공하는 상점 운영자의 입장에서는 효율적인 마케팅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맞춤 광고를 제공하는 기술이 제안된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6-0119476호(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에는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한 후,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등록된 광고 카테고리가 지정되어 있으면,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광고 또는 할인 쿠폰을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사용자가 미리 자신이 원하는 광고 카테고리를 지정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고, 사용자의 위치 정보만을 기초로 광고 또는 할인 쿠폰을 제공하기 때문에 동일한 장소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주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소비패턴을 기초로 마케팅을 위한 프로모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소비패턴 기반의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점 운영자에게 취급 상품에 대한 최적의 프로모션 정보를 추천할 수 있는 소비패턴 기반의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제공된 모바일 할인 정보의 사용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소비패턴을 업데이트 할 수 있는 소비패턴 기반의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소비패턴 기반의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기 발생된 제1 카드 결제정보로부터 생성된 소비패턴을 분석하여 마케팅을 원하는 타겟상점, 마케팅 대상이 되는 타겟상품, 및 상기 타겟상품의 사용자에 대한 타겟 소비패턴을 포함하는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분석정보 생성부; 상기 분석정보를 기초로 상기 타겟상품의 마케팅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모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타겟상점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모션 정보 중 상기 타겟상점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프로모션 정보에 따라 모바일 할인 정보를 생성하는 프로모션 관리부; 상기 모바일 할인 정보를 상기 타겟 소비패턴을 갖는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모바일 할인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제1 카드 결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비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타겟상점에서 상기 모바일 할인 정보가 사용되면 상기 타겟상점에서 결제된 제2 카드 결제정보 및 상기 모바일 할인 정보의 사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2 카드 결제정보를 기초로 상기 소비패턴을 업데이트하는 소비패턴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소비패턴 기반의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품정보, 결제가 수행된 상점의 위치정보, 결제가 수행된 시간정보, 결제 금액정보, 상품을 소비한 사용자의 연령대, 및 상기 사용자의 성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카드 결제정보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 별로 소비패턴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소비패턴들 중 마케팅을 원하는 타겟상점, 마케팅 대상이 되는 타겟상품,및, 상기 타겟상품의 사용자에 대한 타겟 소비패턴을 포함하는 분석정보와 상기 타겟상품의 판매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모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모션 정보 중 상기 분석정보를 기초로 상기 타겟상점의 운영자에 의해 선택된 프로모션 정보에 상응하는 모바일 할인 정보를 상기 타겟 소비패턴을 갖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발일 할인 정보가 사용되면 상기 모바일 할인 정보의 사용과 함께 발생된 제2 카드 결제정보를 기초로 상기 소비패턴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카드 결제정보로부터 생성된 소비 패턴을 기초로 사용자의 성향에 맞는 맞춤형 마케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프로모션 정보를 생성하여 상점 운영자가 구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뿐만 아니라 상점 운영자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는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상품에 대한 프로모션 정보의 사용율 정보를 상점 운영자에게 제공하여 상점 운영자가 해당 상품에 대한 최적의 프로모션 정보를 구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점 운영자의 매출증대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특정 프로모션 정보에 따른 모바일 할인 정보가 사용되는 경우, 모바일 할인 정보의 사용시 함께 입력되는 카드 결제정보를 직접 입력 받아 기 생성된 소비패턴을 업데이트할 수 있어 마케팅 정보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패턴 기반의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소비패턴 관리부에 의해 생성된 소비패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패턴 기반의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210), 카드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220), 타겟상점 단말기(232), 결제 단말기(234), 및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210)는 카드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220)와 연동하여 동작함으로써 마케팅을 원하는 타겟상점의 운영자에게 마케팅을 위한 최적의 프로모션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비패턴 관리부(212), 분석정보 생성부(214), 프로모션 관리부(216), 및 과금 수행부(218)를 포함한다.
먼저, 소비패턴 관리부(212)는 카드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220)로부터 각 사용자의 과거 카드 결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카드 결제 정보로부터 각 사용자의 소비패턴을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카드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220)로부터 제공되는 카드 결제 정보에는 상품정보, 결제가 수행된 상점의 위치정보, 결제가 수행된 시간정보, 결제 금액정보, 상품을 소비한 사용자의 연령대, 및 상기 사용자의 성별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소비패턴 관리부(212)는 이러한 상품정보, 결제가 수행된 상점의 위치정보, 결제가 수행된 시간정보, 결제 금액정보, 상품을 소비한 사용자의 연령대, 및 상기 사용자의 성별정보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 별로 소비패턴을 생성한다.
즉, 소비패턴 관리부(212)는 결제가 수행된 상점의 위치정보를 통해 특정 사용자가 소비행위를 수행하는 위치를 추출하고, 업종코드와 같은 상품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의 종류를 추출하며, 미리 정해진 복수개의 패턴유형들 중 해당 상품의 종류가 속하는 패턴유형을 결정하고, 결제 금액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의 가격을 추출하여 사용자의 연령대 및 성별정보와 매칭시킴으로써 각 사용자 별로 소비패턴을 생성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패턴유형들에는 레저형 패턴, 뷰티형 패턴, 생활형 패턴, 외식형 패턴, 또는 의류형 패턴 등이 있을 수 있고, 이러한 패턴의 유형은 지속적으로 추가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소비패턴 관리부(212)는 각 사용자 별로 소비패턴을 생성하되,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소비패턴에서 특정 사용자를 구분할 수는 없도록 각 사용자 별로 알파벳 또는 숫자를 이용하여 구성된 가상 식별정보를 할당함으로써 각 사용자를 구분할 수 있다.
소비패턴 관리부(212)에 의해 각 사용자 별로 생성되는 소비패턴의 일 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 A의 연령대가 20대이고, 성별은 여자이며, 상품정보를 통해 추출된 상품의 종류는 화장품이고, 상점의 위치정보를 통해 추출된 소비행위의 수행위치는 명동이며, 결제 금액정보로부터 추출된 상품의 가격은 50,000원대로 분석된 경우, 소비패턴 관리부(2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A의 소비패턴을 뷰티형 패턴인 것으로 결정하고, 연령대가 20대이고, 성별은 여성이며, 상품종류는 화장품이고, 구매위치는 명동이며, 및 구매한 상품 가격은 50,000대라는 정보가 포함된 소비패턴을 생성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소비패턴 관리부(212)는 빅 데이터(Big Data) 분석 툴 또는 RDBMS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 별로 소비패턴을 생성할 수 있고, 각 사용자 별로 복수개의 소비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소비패턴 관리부(212)는 기 생성된 소비패턴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비패턴 관리부(212)는 카드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220)로부터 새로운 카드 결제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 해당 카드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사용자의 소비패턴을 업데이트 하거나 새롭게 생성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소비패턴 관리부(212)는 프로모션 관리부(216)에 의해 생성된 프로모션에 상응하는 모바일 할인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240)를 통해 사용되는 경우, 모바일 할인 정보의 사용과 함께 새롭게 발생되는 카드 결제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소비패턴을 업데이트 하거나 새롭게 생성할 수도 있다. 즉, 소비패턴 관리부(212)는 카드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220)로부터 카드 결제 정보를 제공받지 않고도, 모바일 할인 정보의 사용과 동시에 발생되는 카드 결제 정보를 통해 해당 사용자에 대한 소비패턴을 업데이트하거나 새롭게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분석정보 생성부(214)는 소비패턴 관리부(212)에 의해 생성되거나, 업데이트된 소비패턴을 분석하여, 마케팅을 원하는 타겟상점의 위치 및 마케팅 대상이 되는 타겟상품에 상응하는 타겟 소비패턴을 갖는 사용자 수를 포함하는 분석정보를 생성한다. 분석정보 생성부(214)가 타겟 소비패턴을 갖는 사용자 수를 제공하는 것은 각 사용자의 개인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분석정보 생성부(214)는 타겟상점 단말기(232)가 마케팅 서비스제공 서버(210)에 로그인하게 되면, 미리 저장되어 있는 타겟상점의 기본정보를 기초로 타겟상점에게 제공해야 할 타겟 소비패턴을 결정하고, 결정된 타겟 소비패턴을 갖는 사용자 수를 산출하여 타겟 소비패턴 및 타겟 소비패턴을 갖는 사용자 수를 포함하는 분석정보를 타겟상점 단말기(232)로 제공한다. 이때, 미리 정해진 타겟상점의 기본정보는 타겟상점의 위치 및 타겟상점이 판매하고자 하는 타겟상품을 포함한다.
일 예로 타겟상점이 명동에 위치한 화장품 판매 상점인 경우, 타겟상점 단말기(232)가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210)에 로그인 하면, 분석정보 생성부(214)는 상품 구매위치가 명동인 뷰티형 소비패턴을 화장품 판매 상점에 제공해야 할 타겟 소비패턴으로 결정하고, 상품 구매위치가 명동인 뷰티형 소비패턴을 갖는 사용자 수를 해당 소비패턴과 함께 타겟상점 단말기(232)로 제공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분석정보 생성부(214)는 타겟상점 단말기(232)가 로그인 하면 자동으로 타겟상점 단말기(232)로 제공할 타겟 소비패턴과 타겟 소비패턴을 갖는 사용자 수를 타겟상점 단말기(232)로 제공하는 것으로 기재하였다.
하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 분석정보 생성부(214)는 타겟상점 단말기(232)로부터 타겟상점 운영자가 희망하는 타겟 소비패턴에 대한 선택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선택요청에 상응하는 타겟 소비패턴을 타겟상점 단말기(232)로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분석정보 생성부(214)는, 타겟상점 단말기(232)로부터 마케팅 대상되는 타겟상품, 타겟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위치정보, 타겟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성별, 타겟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연령대, 및 타겟상품의 가격 중 적어도 하나를 키워드 형태로 수신 받고, 기 저장되어 있는 소비패턴들 중 해당 키워드에 상응하는 소비패턴을 갖는 사용자 수를 산출하여 해당 소비패턴과 함께 타겟상점 단말기(232)로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프로모션 관리부(216)는, 타겟상품의 마케팅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품의 프로모션 정보를 생성하여 타겟상점 단말기(232)로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모션 정보 중 분석정보를 기초로 타겟상점 단말기(232)에 의해 선택되는 프로모션 정보에 상응하는 모바일 할인 정보를 생성하여 카드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22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240)로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모션 관리부(216)에 의해 생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모션 정보는 타겟상품의 할인쿠폰, 타겟상품의 교환쿠폰, 모바일 상품권, 모바일 상품 교환권, 프로모션 생성의 기초가 된 타겟 소비패턴, 프로모션 대상이 되는 사용자 수, 프로모션 대상이 되는 위치정보, 프로모션 대상이 되는 연령대, 또는 프로모션 대상이 되는 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프로모션 관리부(216)에 의해 생성되는 프로모션 정보에는 타겟상점에서 진행중인 다양한 이벤트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프로모션 관리부(216)는 소비패턴의 업데이트를 위한 카드 결제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각 프로모션에 상응하는 모바일 할인 정보를 생성함에 있어서 카드 결제를 조건으로 모바일 할인 정보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모바일 할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모션 관리부(216)는 타겟상점에 제공할 프로모션 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타겟상점 단말기(232)로 제공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모션 관리부(216)는, 타겟상점 단말기(232)로부터 프로모션 정보를 직접 수신하고, 수신된 프로모션 정보에 상응하는 모바일 할인 정보를 카드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22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240)로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모션 관리부(216)는 타겟상점 단말기(232)로부터 타겟상품에 대한 할인율, 타겟상품에 대한 이벤트 정보 등이 포함된 프로모션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프로모션 정보에 포함된 할인율 또는 타겟상품에 대한 이벤트 정보에 따라 모바일 할인 정보를 생성하여 카드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22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240)로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모션 관리부(216)는, 타겟상점에 제공할 프로모션 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타겟상점 단말기(232)로 제공하고, 타겟상점 단말기(232)로부터 프로모션 정보에 대한 수정요청이 수신되면 수정요청에 따라 기 생성된 프로모션 정보를 수정하고, 수정된 프로모션 정보에 따라 모바일 할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프로모션 관리부(216)는 수정된 프로모션 정보에 상응하는 모바일 할인 정보를 카드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22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240)로 제공한다.
한편, 프로모션 관리부(216)는 타겟상점에게 최적의 프로모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타겟상점으로 제공되는 각 프로모션 정보 별로, 사용자 단말기(240)로 전송된 모바일 할인 정보 개수와 사용자 단말기(240)에 의해 실제 사용된 모바일 할인 정보 개수의 비율을 이용하여 해당 프로모션 정보의 사용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사용율을 각 프로모션 정보에 포함시켜 타겟상점 단말기(232)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로모션 관리부(216)는, 타겟상점 단말기(232)가 하나 이상의 프로모션 정보들 중 사용율이 가장 높은 프로모션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함으로써 타겟상점이 타겟상품의 판매를 위한 최적의 프로모션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프로모션 관리부(216)는 타겟상점 단말기(232)에 의해 모바일 상품권의 교환정보가 포함된 프로모션 정보가 선택된 경우, 모바일 상품권 교환권이 포함된 모바일 할인 정보를 생성하게 되고, 추후 사용자 단말기(240)에 의해 해당 모바일 할인 정보가 사용된 것으로 확인되면, 모바일 상품권 교환권에 상응하는 모바일 상품권을 카드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22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240)로 제공한다.
프로모션 관리부(216)는 타겟상점 단말기(232)에 의해 선택된 프로모션 정보에 따라 모바일 할인 정보를 생성하면, 생성된 모바일 할인 정보를 카드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220)로 제공한다. 이때, 프로모션 관리부(216)는 타겟상점 단말기(232)가 선택한 프로모션 정보를 카드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220)로 함께 제공함으로써 카드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220)가 프로모션 정보에 포함된 타겟 소비패턴을 기초로 모바일 할인 정보를 전송할 사용자를 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과금 수행부(218)는 타겟상점 단말기(232)에 의해 선택된 프로모션 정보의 마감시간이 도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선택된 프로모션 정보의 마감시간이 도래한 것으로 판단되면, 선택된 프로모션 정보에 대한 과금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과금 수행부(218)는 타겟상점 단말기(232)에 의해 프로모션 정보의 마감시간 도래시 미리 정해진 일정 금액을 과금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과금 수행부(218)는 프로모션 정보의 마감시간 내에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실제 사용된 모바일 할인 정보의 개수에 기초하여 과금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카드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220)는 각 사용자의 카드 결제정보를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210)로 제공하고,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210)로부터 프로모션 정보 및 모바일 할인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모바일 할인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40)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카드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2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제정보 생성부(222), API 연동모듈(224), 및 모바일 할인 정보 제공부(226)를 포함한다.
먼저 결제 정보 생성부(222)는, 사용자가 상품을 구매한 후 카드로 결제를 요청한 경우 정상적인 결제요청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결제를 승인하고, 결제가 승인되면 승인된 내역을 기초로 카드 결제정보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결제 정보 생성부(222)는 상술한 소비패턴 관리부(212)가 소비패턴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반적인 카드 결제 승인 내역인 상품정보, 결제가 수행된 상점의 위치정보, 결제가 수행된 시간정보, 및 결제 금액정보에 상품을 소비한 사용자의 연령대 및 상기 사용자의 성별정보를 추가하여 각 사용자의 카드 결제정보를 생성한다.
API 연동 모듈(224)은 외부 API를 이용하여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210)과 카드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220)를 연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API 연동 모듈(224)은 결제정보 생성부(222)에 의해 생성된 카드 결제정보를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210)의 소비패턴 관리부(212)로 전송한다. 또한, API 연동 모듈(224)은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210)의 프로모션 관리부(216)로부터 타겟상점 단말기(232)에 의해 선택된 프로모션 정보 및 프로모션 정보에 따라 생성된 모바일 할인 정보를 수신하여 모바일 할인 정보 제공부(226)로 전달한다.
모바일 할인 정보 제공부(226)는 프로모션 정보로부터 모바일 할인 정보를 제공할 사용자를 선택하고, 선택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모바일 할인 정보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할인 정보 제공부(226)는 사용자 단말기에 카드 결제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있는 경우 모바일 할인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푸쉬(Push)메시지 형태로 제공하고,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 모바일 할인 정보를 단문 메시지(SMS: Short Message Service) 또는 장문 메시지(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210)가 프로모션 정보에 따라 모바일 할인 정보를 생성하여 카드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220)로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이는 하나의 예일 뿐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210)는 프로모션 정보만을 카드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220)로 전송하고, 카드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220)가 프로모션 정보를 기초로 모바일 할인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모바일 할인 정보 제공부(226)가 카드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220)에 포함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할인 정보 제공부(226)는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210)에 포함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타겟상점(230)에 설치되는 타겟상점 단말기(232)는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210)에 접속하여 프로모션 정보를 선택하여 구매하거나, 프로모션 정보를 수정하거나, 새로운 프로모션 정보의 생성을 요청한다. 구체적으로, 타겟상점 운영자는 타겟상점 단말기(232)를 통해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210)에 접속하여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210)로부터 제공되는 분석정보를 기초로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210)로부터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모션 정보들 중 적용할 프로모션 정보를 선택한다. 이때, 타겟상점 단말기(232)는 복수개의 프로모션 정보를 선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타겟상점(230)에 설치된 결제 단말기(234)는, 타겟상점에서 상품(또는 서비스)을 구매한 후, 카드 결제가 요청되면 카드 결제의 승인을 카드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220)로 요청하고, 카드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220)의 승인 여부에 따라 카드 결제를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결제 단말기(234)는 모바일 할인 정보의 사용이 요청되는 경우, 모바일 할인 정보의 사용정보와 동시에 발생되는 카드 결제 정보를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210)로도 전송한다. 이에 따라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210)가 직접 카드 결제 정보를 결제 단말기(234)를 통해 수신하게 되고, 이로 인해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210)가 카드 결제 정보를 기초로 소비패턴을 업데이트 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240)는 카드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220)로부터 모바일 할인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모바일 할인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240)는 사용자 단말기(240)에 카드 결제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있으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모바일 할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있지 않으면 문자 메시지를 통해 모바일 할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240)는 결제 단말기(234)로 모바일 할인 정보의 사용을 요청할 수도 있다.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타겟상점의 단말기가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면(S400), 타겟상점의 위치 및 마케팅 대상이 되는 타겟상품에 상응하는 타겟 소비패턴을 갖는 사용자 수를 포함하는 분석정보와 타겟상품의 판매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모션 정보를 생성한다(S410).
이를 위해,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의 카드 결제정보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 별로 사용자의 소비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품정보, 결제가 수행된 상점의 위치정보, 결제가 수행된 시간정보, 결제 금액정보, 상품을 소비한 사용자의 연령대, 및 상기 사용자의 성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카드 결제정보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의 소비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는 결제가 수행된 상점의 위치정보를 통해 특정 사용자가 소비행위를 수행하는 위치를 추출하고, 업종코드와 같은 상품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의 종류를 추출하며, 미리 정해진 복수개의 패턴유형들 중 해당 상품의 종류가 속하는 패턴유형을 결정하고, 결제 금액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의 가격을 추출하여 사용자의 연령대 및 성별정보와 매칭시킴으로써 특정 사용자에 의해 소비행위가 발생할 때마다 각 사용자 별로 소비패턴을 실시간으로 생성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는 빅 데이터(Big Data) 분석 툴 또는 RDBMS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 별로 소비패턴을 생성할 수 있고, 각 사용자 별로 복수개의 소비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는 분석정보를 생성함에 있어서, 미리 저장되어 있는 타겟상점의 기본정보를 기초로 타겟상점에게 제공해야 할 타겟 소비패턴을 결정하고, 결정된 타겟 소비패턴을 갖는 사용자 수를 산출하여 타겟 소비패턴 및 타겟 소비패턴을 갖는 사용자 수를 포함하는 분석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미리 정해진 타겟상점의 기본정보는 타겟상점의 위치 및 타겟상점이 판매하고자 하는 타겟상품을 포함한다.
일 예로 타겟상점이 명동에 위치한 화장품 판매 상점인 경우, 타겟상점 단말기가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에 로그인 하면,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품 구매위치가 명동인 뷰티형 소비패턴을 화장품 판매 상점에 제공해야 할 타겟 소비패턴으로 결정하고, 상품 구매위치가 명동인 뷰티형 소비패턴을 갖는 사용자 수를 해당 소비패턴과 함께 타겟상점 단말기로 제공한다.
한편,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생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모션 정보는 타겟상품의 할인쿠폰, 타겟상품의 교환쿠폰, 모바일 상품권, 모바일 상품 교환권, 프로모션 생성의 기초가 된 타겟 소비패턴, 프로모션 대상이 되는 사용자 수, 프로모션 대상이 되는 위치정보, 프로모션 대상이 되는 연령대, 또는 프로모션 대상이 되는 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생성된 분석정보와 하나 이상의 프로모션 정보를 타겟상점 단말기로 전송하고(S420), 타겟상점 단말기는 분석정보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프로모션 정보들 중 실제 적용할 프로모션 정보를 선택한다(S430).
이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는 타겟상점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프로모션 정보에 상응하는 모바일 할인 정보를 생성하고(S440), 생성된 모바일 할인 정보를 선택된 프로모션 정보와 함께 카드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한다(S450).
카드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선택된 프로모션 정보를 기초로 모바일 할인 정보를 제공할 사용자를 선별하고(S460), 선별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모바일 할인 정보를 제공한다(S47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카드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에 카드 결제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있으면 모바일 할인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푸쉬메시지 형태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있지 않으면 모바일 할인 정보를 문자메시지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모바일 할인 정보를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생성하고 카드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가 모바일 할인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는 선택된 프로모션 정보를 카드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달하고, 카드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가 선택된 프로모션 정보를 기초로 모바일 할인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가 모바일 할인 정보를 생성하여 직접 사용자 단말기로 모바일 할인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후,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된 모바일 할인 정보의 사용이 확인되면(S480),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는 타겟 상점에 설치된 결제 단말기로부터 모바일 할인 정보의 사용정보 및 모바일 할인 정보의 사용을 위한 카드 결제정보를 함께 수신한다(S490).
이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는 S490에서 수신된 카드 결제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한 소비패턴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한다(S500).
이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는 프로모션 정보의 마감시간이 도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510), 프로모션 정보의 마감시간이 도래한 것으로 판단되면, 타겟상점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프로모션 정보에 대한 과금을 수행한다(S520).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된 모바일 할인 정보 개수 중 실제 사용된 모바일 할인 정보 개수를 기초로 타겟상점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프로모션 정보에 대한 과금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는 결제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모바일 할인 정보의 사용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된 모바일 할인 정보 개수와 실제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사용된 모바일 할인 정보 개수 비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비율을 이용하여 타겟상점이 선택한 프로모션 정보의 사용율을 산출할 수 있다.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산출된 프로모션 정보의 사용율을 각 프로모션 정보에 포함시켜 프로모션 정보를 업데이트 한 후, 타겟상점 단말기로 프로모션 정보를 재차 제공하는 경우 업데이트 한 프로모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타겟상점 단말기가 최정의 프로모션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는, 모바일 상품권 교환정보가 포함된 모바일 할인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된 경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해당 모바일 할인 정보가 사용된 것으로 확인되면, 모바일 상품권 교환정보에 상응하는 모바일 상품권을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0: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210: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
212: 소비패턴 관리부 214: 분석정보 생성부
216: 프로모션 관리부 218: 과금 수행부
220: 카드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 222: 결제 정보 생성부
224: API 연동모듈 226: 모바일 할인 정보 제공부
232: 타겟상점 단말기 234: 결제 단말기
240: 사용자 단말기

Claims (11)

  1. 기 발생된 제1 카드 결제정보로부터 생성된 소비패턴을 분석하여 마케팅을 원하는 타겟상점, 마케팅 대상이 되는 타겟상품, 및 상기 타겟상품의 사용자에 대한 타겟 소비패턴을 포함하는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분석정보 생성부;
    상기 분석정보를 기초로 상기 타겟상품의 마케팅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모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타겟상점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모션 정보 중 상기 타겟상점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프로모션 정보에 따라 모바일 할인 정보를 생성하는 프로모션 관리부;
    상기 모바일 할인 정보를 상기 타겟 소비패턴을 갖는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모바일 할인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제1 카드 결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비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타겟상점에서 상기 모바일 할인 정보가 사용되면 상기 타겟상점에서 결제된 제2 카드 결제정보 및 상기 모바일 할인 정보의 사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2 카드 결제정보를 기초로 상기 소비패턴을 업데이트하는 소비패턴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패턴 기반의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모션 관리부는,
    상기 각 프로모션 정보 별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된 모바일 할인 정보 개수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실제 사용된 모바일 할인 정보 개수의 비율을 이용하여 해당 프로모션 정보의 사용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사용율을 해당 프로모션 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타겟상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패턴 기반의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드 결제정보는, 상품정보, 결제가 수행된 상점의 위치정보, 결제가 수행된 시간정보, 결제 금액정보, 상품을 소비한 사용자의 연령대, 및 상기 사용자의 성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소비패턴 관리부는, 상기 제1 카드 결제정보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 별로 상기 소비패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패턴 기반의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할인 정보 제공부는,
    모바일 상품권 교환정보가 포함된 모바일 할인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되면, 상기 모바일 할인 정보의 사용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모바일 상품권을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패턴 기반의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모션 관리부는, 상기 타겟상점 단말기로부터 기 생성된 프로모션 정보에 대한 수정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수정요청에 따라 기 생성된 프로모션 정보를 수정하고, 수정된 프로모션 정보에 상응하는 모바일 할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모바일 할인 정보 제공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패턴 기반의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할인 정보 제공부는,
    카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카드 결제 서비스 제공 서버에 설치되어 상기 프로모션 관리부와 외부 API를 통해 연동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카드 결제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있으면 상기 모바일 할인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푸쉬(Push) 메시지 형태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모바일 할인 정보를 문자메시지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패턴 기반의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된 모바일 할인 정보 개수 중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실제 사용된 모바일 할인 정보 개수를 기초로 상기 타겟상점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프로모션의 정보에 대한 과금을 수행하는 과금 수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패턴 기반의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상품정보, 결제가 수행된 상점의 위치정보, 결제가 수행된 시간정보, 결제 금액정보, 상품을 소비한 사용자의 연령대, 및 상기 사용자의 성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카드 결제정보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 별로 소비패턴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소비패턴들 중 마케팅을 원하는 타겟상점, 마케팅 대상이 되는 타겟상품,및, 상기 타겟상품의 사용자에 대한 타겟 소비패턴을 포함하는 분석정보와 상기 타겟상품의 판매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모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모션 정보 중 상기 분석정보를 기초로 상기 타겟상점의 운영자에 의해 선택된 프로모션 정보에 상응하는 모바일 할인 정보를 상기 타겟 소비패턴을 갖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발일 할인 정보가 사용되면 상기 모바일 할인 정보의 사용과 함께 발생된 제2 카드 결제정보를 기초로 상기 소비패턴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패턴 기반의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모션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된 모바일 할인 정보 개수와 실제 사용된 모바일 할인 정보 개수의 비율을 이용하여 산출된 프로모션 정보의 사용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패턴 기반의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카드 결제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있으면 상기 모바일 할인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푸쉬메시지 형태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모바일 할인 정보를 문자메시지 형태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패턴 기반의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된 모바일 할인 정보 개수 중 실제 사용된 모바일 할인 정보 개수를 기초로 상기 프로모션 정보에 대한 과금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패턴 기반의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40010691A 2014-01-28 2014-01-28 소비패턴 기반의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500903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691A KR20150090376A (ko) 2014-01-28 2014-01-28 소비패턴 기반의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691A KR20150090376A (ko) 2014-01-28 2014-01-28 소비패턴 기반의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376A true KR20150090376A (ko) 2015-08-06

Family

ID=53885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0691A KR20150090376A (ko) 2014-01-28 2014-01-28 소비패턴 기반의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037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5090B1 (ko) 2015-10-19 2016-06-30 김연태 빅데이터 기반의 옴니채널 마케팅 큐레이션 시스템
KR101895576B1 (ko) * 2018-03-23 2018-09-05 주식회사 혼밥인의만찬 1인 가구 선별 방법
KR20200054353A (ko) * 2018-11-02 2020-05-20 포에스비 주식회사 고객 세분화를 이용한 고객 맞춤형 캠페인 관리 시스템
KR20200125280A (ko) * 2019-04-26 2020-11-04 주식회사 뱅큐 마케팅 장치 및 방법
KR102475102B1 (ko) * 2022-07-11 2022-12-07 (주)대유넥스티어 상품권 발행을 조절하는 회계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5090B1 (ko) 2015-10-19 2016-06-30 김연태 빅데이터 기반의 옴니채널 마케팅 큐레이션 시스템
US10657546B2 (en) 2015-10-19 2020-05-19 Yeon Tae KIM Omni-channel marketing curation system based on big data
KR101895576B1 (ko) * 2018-03-23 2018-09-05 주식회사 혼밥인의만찬 1인 가구 선별 방법
KR20200054353A (ko) * 2018-11-02 2020-05-20 포에스비 주식회사 고객 세분화를 이용한 고객 맞춤형 캠페인 관리 시스템
KR20200125280A (ko) * 2019-04-26 2020-11-04 주식회사 뱅큐 마케팅 장치 및 방법
KR102475102B1 (ko) * 2022-07-11 2022-12-07 (주)대유넥스티어 상품권 발행을 조절하는 회계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945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customer acquisition by businesses
CN105814595A (zh) 识别购买意向的系统和方法
US10380618B2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igital coupons
KR101547837B1 (ko) 구매 상품 피드 연동 장치, 시스템 및 그 연동 방법
US20130110599A1 (en) Purchase/Referral Rewards Program
TW201140479A (en) Advertisement analysis device and advertisement server
US201402226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curator recommended sale of commodities
US201400322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 Merchant Next Hop Purchase Incentive Network
KR20150090376A (ko) 소비패턴 기반의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TW202201316A (zh) 併入產品於多層次行銷系統中
TW202205177A (zh) 用於在多階層行銷系統中結合產品及允許使用者激勵其下線之方法
US20160253705A1 (en) Marketing system using mobile device and method therefor
KR20150116141A (ko) 온라인 웹 사이트를 이용한 직거래 판매대행 및 광고 시스템
KR20140124030A (ko) 중소시장 활성화를 위한 고객 맞춤형 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
US8086533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ayment authorization based on a variable payment authorization score
US201401492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commerce
KR20110101719A (ko) 바이럴 마케팅 시스템 및 방법
US20130159072A1 (en) Family Plan Promotional Offer Sharing
JP6556335B2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を提供する方法、サーバ及びシステム
KR20160110577A (ko)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되는 커뮤니티 후원 및 광고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커뮤니티 후원 및 광고 제공 시스템
KR20150067855A (ko) 인앱결제 아이템에 관한 타겟팅 광고 방법 및 시스템
TW201814614A (zh) 線上議價系統及線上商品促銷系統
KR101082069B1 (ko) 공동구매 할인상품 구매시 결제 서비스 서버를 통한 클라이언트의 결제정보를 이용하여 소셜커머스 활성화를 위한 영업 방법 및 시스템
KR101225230B1 (ko) 모바일 단말 상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광고의 결제를 위한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40278863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niquely track able items which provides additional revenue streams and benefits for retailers and affilia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