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0147A - 마이그레이션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마이그레이션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0147A
KR20150090147A KR1020157016461A KR20157016461A KR20150090147A KR 20150090147 A KR20150090147 A KR 20150090147A KR 1020157016461 A KR1020157016461 A KR 1020157016461A KR 20157016461 A KR20157016461 A KR 20157016461A KR 20150090147 A KR20150090147 A KR 20150090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user equipment
information
base station
mig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6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6647B1 (ko
Inventor
준후이 자오
홍핑 장
칭하이 정
타오 종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90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0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6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6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22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handling the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6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control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types of networks in order to establish a new radio link in the target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 H04W36/1446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wherein at least one of the networks is unlicen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상이한 네트워크 자원들의 타당한 구성을 위해 발명된, 마이그레이션 방법 및 디바이스가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은 제1 네트워크의 기지국이 정보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는 단계(101)를 포함하고, 그 정보는 사용자 장비가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게 하기 위해 - 사용자 장비는 제1 네트워크에 대해 유휴 상태에 있음 -; 또는 사용자 장비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사용되며, 여기서 제1 네트워크는 3GPP 네트워크이고, 제2 네트워크는 비-3GPP 네트워크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 장비의 네트워크 마이그레이션 프로세스에서 주로 적용된다.

Description

마이그레이션 방법 및 디바이스{MIGRATION METHOD AND DEVICE}
본 발명은 이동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마이그레이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래의 모바일 네트워크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는 다음 단계의 주요 개발에서 멀티 네트워크 컨버전스(multi-network convergence)의 SAE(System Architecture Evolution)에 중점을 두고 있다. 사용자는 3GPP 액세스 시스템 또는 비-3GPP(non-3GPP) 액세스 시스템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진화된 패킷 코어 네트워크(Evolved Packet Core)에 액세스할 수 있다. 3GPP 액세스 시스템은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시스템, UMTS(Universal Mobile Telephone System), 진화된 시스템 아키텍처(evolved system architecture)(SAE) 등이다. 비-3GPP 액세스 시스템은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CDMA2000 시스템 등이다.
예를 들어, 이동 통신 시스템의 발전에 따라, 이동 통신 기술은 점점 더 높은 전송 속도(transmission rate) 및 점점 더 높은 서비스 네트워크 부하 품질(service network load quality)을 제공한다.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의 WiFi(Wireless-Fidelity)는 IEEE 802.11 계열의 표준들을 사용하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의 한 유형이다. 높은 전송 속도 및 편리한 네트워크 배치로 인해, WiFi(Wireless Fidelity)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WLAN들 중 하나로 되었다.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의 AP(Access Point)를 사용하여 WLAN에 액세스할 수 있다. 그에 부가하여, UE는 또한 기지국을 사용하여 3GPP에 액세스할 수 있다[예를 들어, UE는 eNodeB(evolved Node B)를 사용하여 LTE(Long Term Evolution)에 액세스한다]. 이동 통신 기술의 발전은 UE의 통신 기능 및 능력을 강화시키고 UE를 더욱 대중화시키고 있다. 그렇지만, UE의 대중화는 WLAN의 증가하는 부하 압력을 야기하고, 그 결과, 용량 포화로 인해, WLAN이 UE의 정상적인 통신을 지원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현재, UE의 정상적인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WiFi와 LTE 사이의 UE의 적절한 마이그레이션(migration)을 보장해주는 효과적인 메커니즘이 없다.
본 발명은, 3GPP 네트워크와 비-3GPP 네트워크 사이의 UE 마이그레이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이그레이션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마이그레이션 방법을 제공하고, 이 방법은
제1 네트워크의 기지국이 정보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그 정보는
사용자 장비가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 사용자 장비는 제1 네트워크에 대해 유휴 상태에 있음 -; 또는
사용자 장비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제1 네트워크는 3GPP 네트워크이고, 제2 네트워크는 비-3GPP 네트워크이다.
제1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사용자 장비가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정보가 사용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정보가 사용자 장비에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라고 지시하기 위해 또는 사용자 장비에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라고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시 정보인 것을 포함한다.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이 추가로 제공되고, 제1 양태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사용자 장비가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정보가 사용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정보가 제2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제1 또는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이 추가로 제공되고, 제1 양태의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사용자 장비가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정보가 사용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정보가 확률값을 포함하고, 그 확률값 및 사용자 장비에 의해 실행되는(run) 난수(random number)에 따라,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제1, 제2, 또는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4 가능한 구현 방식이 추가로 제공되고, 제1 양태의 제4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사용자 장비가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정보가 사용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정보가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그 식별자에 따라,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제1, 제2, 제3, 또는 제4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5 가능한 구현 방식이 추가로 제공되고, 제1 양태의 제5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방법은
기지국이 제2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되는 사용자 장비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를 수신하는 단계; 및
기지국이 사용자 장비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에 따라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제1, 제2, 제3, 제4, 또는 제5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6 가능한 구현 방식이 추가로 제공되고, 제1 양태의 제6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방법은
기지국이 액세스 포인트의 부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또는
기지국이 사용자 장비의 서비스 유형을 획득하는 단계; 또는
기지국이 사용자 장비의 기본 설정 정보(preference information)를 획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기본 설정 정보는,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 둘 다가 사용자 장비의 정상적인 통신을 지원할 수 있을 때, 사용자 장비에 의해 액세스될 1차 선택 네트워크(first choice network)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제1, 제2, 제3, 제4, 제5, 또는 제6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7 가능한 구현 방식이 추가로 제공되고, 제1 양태의 제7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사용자 장비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하기 위해 정보가 사용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정보가 액세스 포인트의 액세스 정보를 포함하고, 액세스 정보에 따라,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된다는 것을 포함하고,
액세스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의 부하 정보; 및
사용자 장비가 액세스 포인트에 액세스하도록 허용되어 있는지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이다.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또는 제7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8 가능한 구현 방식이 추가로 제공되고, 제1 양태의 제8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제1 네트워크의 기지국이 정보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는
기지국이 시스템 메시지;
페이징 메시지; 또는
전용 메시지 중 임의의 유형을 사용하여 정보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마이그레이션 방법을 추가로 제공하고, 이 방법은
사용자 장비가 제1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그 정보에 따라,
사용자 장비가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는 단계 - 사용자 장비는 제1 네트워크에 대해 유휴 상태에 있음 -; 또는
사용자 장비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1 네트워크는 3GPP 네트워크이고, 제2 네트워크는 비-3GPP 네트워크이다.
제2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사용자 장비가 제1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장비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사용자 장비가 그 정보에 따라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는
지시 정보에 따라, 사용자 장비가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2 양태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이 추가로 제공되고, 제2 양태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사용자 장비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장비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사용자 장비가 그 정보에 따라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는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에 따라, 사용자 장비가 액세스 포인트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제1 또는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2 양태의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이 추가로 제공되고, 제2 양태의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사용자 장비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장비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확률값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사용자 장비가 그 정보에 따라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는
그 확률값 및 사용자 장비에 의해 실행되는 난수에 따라, 사용자 장비가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제1, 제2, 또는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2 양태의 제4 가능한 구현 방식이 추가로 제공되고, 제2 양태의 제4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사용자 장비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장비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사용자 장비가 그 정보에 따라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는
그 식별자에 따라, 사용자 장비가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제1, 제2, 제3, 또는 제4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2 양태의 제5 가능한 구현 방식이 추가로 제공되고, 제2 양태의 제5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사용자 장비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장비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액세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액세스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의 부하 정보; 및
사용자 장비가 액세스 포인트에 액세스하도록 허용되어 있는지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이고;
사용자 장비가 그 정보에 따라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장비가 액세스 정보에 따라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기지국을 추가로 제공하고, 기지국은 제1 네트워크에 위치해 있으며, 기지국은
정보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을 포함하고,
그 정보는
사용자 장비가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 사용자 장비는 제1 네트워크에 대해 유휴 상태에 있음 -; 또는
사용자 장비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제1 네트워크는 3GPP 네트워크이고, 제2 네트워크는 비-3GPP 네트워크이다.
제3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송신 유닛은
사용자 장비에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라고 지시하기 위해 또는 사용자 장비에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라고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시 정보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3 양태 또는 제3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3 양태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이 추가로 제공되고, 제3 양태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송신 유닛은
제2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된다.
제3 양태 또는 제3 양태의 제1 또는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3 양태의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이 추가로 제공되고, 제3 양태의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송신 유닛은
확률값을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확률값은, 그 확률값 및 사용자 장비에 의해 실행되는 난수에 따라,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된다.
제3 양태 또는 제3 양태의 제1, 제2, 또는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3 양태의 제4 가능한 구현 방식이 추가로 제공되고, 제3 양태의 제4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송신 유닛은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식별자는, 그 식별자에 따라,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된다.
제3 양태 또는 제3 양태의 제1, 제2, 제3, 또는 제4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3 양태의 제5 가능한 구현 방식이 추가로 제공되고, 제3 양태의 제5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기지국은
제2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되는 사용자 장비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및
사용자 장비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에 따라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3 양태 또는 제3 양태의 제1, 제2, 제3, 제4, 또는 제5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3 양태의 제6 가능한 구현 방식이 추가로 제공되고, 제3 양태의 제6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기지국은
액세스 포인트의 부하 정보; 또는
사용자 장비의 서비스 유형; 또는
사용자 장비의 기본 설정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기본 설정 정보는,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 둘 다가 사용자 장비의 정상적인 통신을 지원할 수 있을 때, 사용자 장비에 의해 액세스될 1차 선택 네트워크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제3 양태 또는 제3 양태의 제1, 제2, 제3, 제4, 제5, 또는 제6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3 양태의 제7 가능한 구현 방식이 추가로 제공되고, 제3 양태의 제7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송신 유닛은
액세스 포인트의 액세스 정보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따라서 사용자 장비는, 액세스 정보에 따라,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하며,
액세스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의 부하 정보; 및
사용자 장비가 액세스 포인트에 액세스하도록 허용되어 있는지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이다.
제3 양태 또는 제3 양태의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또는 제7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3 양태의 제8 가능한 구현 방식이 추가로 제공되고, 제3 양태의 제8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송신 유닛은
시스템 메시지;
페이징 메시지; 또는
전용 메시지 중 임의의 유형을 사용하여 정보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4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 장비를 추가로 제공하고, 이 사용자 장비는
제1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및
수신 유닛에 의해 수신되는 정보에 따라,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거나 - 사용자 장비는 제1 네트워크에 대해 유휴 상태에 있음 -; 또는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을 포함하고,
제1 네트워크는 3GPP 네트워크이고, 제2 네트워크는 비-3GPP 네트워크이다.
제4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수신 유닛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처리 유닛은, 지시 정보에 따라,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4 양태 또는 제4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이 추가로 제공되고, 제4 양태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수신 유닛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처리 유닛은,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4 양태 또는 제4 양태의 제1 또는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이 추가로 제공되고, 제4 양태의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수신 유닛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확률값을 수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처리 유닛은, 그 확률값 및 사용자 장비에 의해 실행되는 난수에 따라,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4 양태 또는 제4 양태의 제1, 제2, 또는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4 가능한 구현 방식이 추가로 제공되고, 제4 양태의 제4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수신 유닛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를 수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처리 유닛은, 그 식별자에 따라,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4 양태 또는 제4 양태의 제1, 제2, 제3, 또는 제4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5 가능한 구현 방식이 추가로 제공되고, 제4 양태의 제5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수신 유닛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액세스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액세스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의 부하 정보; 및
사용자 장비가 액세스 포인트에 액세스하도록 허용되어 있는지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이고;
처리 유닛은, 액세스 정보에 따라,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5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기지국을 추가로 제공하고, 기지국은 제1 네트워크에 위치해 있으며, 기지국은
정보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포함하고,
그 정보는
사용자 장비가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 사용자 장비는 제1 네트워크에 대해 유휴 상태에 있음 -; 또는
사용자 장비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제1 네트워크는 3GPP 네트워크이고, 제2 네트워크는 비-3GPP 네트워크이다.
제5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송신기는
사용자 장비에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라고 지시하기 위해 또는 사용자 장비에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라고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시 정보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5 양태 또는 제5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5 양태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이 추가로 제공되고, 제5 양태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송신기는
제2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된다.
제5 양태 또는 제5 양태의 제1 또는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5 양태의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이 추가로 제공되고, 제5 양태의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송신기는
확률값을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확률값은, 그 확률값 및 사용자 장비에 의해 실행되는 난수에 따라,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된다.
제5 양태 또는 제5 양태의 제1, 제2, 또는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5 양태의 제4 가능한 구현 방식이 추가로 제공되고, 제5 양태의 제4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송신기는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식별자는, 그 식별자에 따라,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된다.
제5 양태 또는 제5 양태의 제1, 제2, 제3, 또는 제4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5 양태의 제5 가능한 구현 방식이 추가로 제공되고, 제5 양태의 제5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기지국은
제2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되는 사용자 장비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를 수신하고, 사용자 장비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에 따라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수신기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5 양태 또는 제5 양태의 제1, 제2, 제3, 제4, 또는 제5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5 양태의 제6 가능한 구현 방식이 추가로 제공되고, 제5 양태의 제6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수신기는
액세스 포인트의 부하 정보;
사용자 장비의 서비스 유형; 또는
사용자 장비의 기본 설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고, 여기서 기본 설정 정보는,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 둘 다가 사용자 장비의 정상적인 통신을 지원할 수 있을 때, 사용자 장비에 의해 액세스될 1차 선택 네트워크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제5 양태 또는 제5 양태의 제1, 제2, 제3, 제4, 제5, 또는 제6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5 양태의 제7 가능한 구현 방식이 추가로 제공되고, 제5 양태의 제7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송신기는
액세스 포인트의 액세스 정보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따라서 사용자 장비는, 액세스 정보에 따라,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하며,
액세스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의 부하 정보; 및
사용자 장비가 액세스 포인트에 액세스하도록 허용되어 있는지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이다.
제5 양태 또는 제5 양태의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또는 제7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5 양태의 제8 가능한 구현 방식이 추가로 제공되고, 제5 양태의 제8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송신기는
시스템 메시지;
페이징 메시지; 또는
전용 메시지 중 임의의 유형을 사용하여 정보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6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 장비를 추가로 제공하고, 이 사용자 장비는
제1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및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는 정보에 따라,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거나 - 사용자 장비는 제1 네트워크에 대해 유휴 상태에 있음 -; 또는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제1 네트워크는 3GPP 네트워크이고, 제2 네트워크는 비-3GPP 네트워크이다.
제6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수신기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프로세서는, 지시 정보에 따라,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6 양태 또는 제6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6 양태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이 추가로 제공되고, 제6 양태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수신기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프로세서는,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6 양태 또는 제6 양태의 제1 또는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6 양태의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이 추가로 제공되고, 제6 양태의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수신기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확률값을 수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프로세서는, 그 확률값 및 사용자 장비에 의해 실행되는 난수에 따라,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6 양태 또는 제6 양태의 제1, 제2, 또는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6 양태의 제4 가능한 구현 방식이 추가로 제공되고, 제6 양태의 제4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수신기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를 수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프로세서는, 그 식별자에 따라,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6 양태 또는 제6 양태의 제1, 제2, 제3, 또는 제4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6 양태의 제5 가능한 구현 방식이 추가로 제공되고, 제6 양태의 제5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수신기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액세스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액세스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의 부하 정보; 및
사용자 장비가 액세스 포인트에 액세스하도록 허용되어 있는지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이고;
프로세서는, 액세스 정보에 따라,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마이그레이션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기지국은 사용자 장비로 정보를 송신하고; 제1 네트워크에 대해 유휴 상태에 있는 사용자 장비는, 그 정보에 따라,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거나; 제1 네트워크에 대해 비-유휴 상태(non-idle state)에 있는 사용자 장비는, 그 정보에 따라,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하며, 그에 의해 UE의 정상적인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WiFi와 LTE 사이에서의 UE의 적절한 마이그레이션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또는 종래 기술에서의 기술적 해결책들을 더 명확하게 기술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실시예들 또는 종래 기술을 설명하는 데 필요한 첨부 도면들을 간략히 소개한다. 이하의 설명에서의 첨부 도면들이 본 발명의 단지 일부 실시예들을 도시하고, 통상의 기술자가 창조적 노력 없이 이들 첨부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들을 여전히 도출할 수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그레이션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그레이션 방법의 다른 플로우차트.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그레이션 방법의 또 다른 플로우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제1 개략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제2 개략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비의 제1 개략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제3 개략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제4 개략 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비의 제2 개략 구조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술적 해결책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명확하고 철저하게 기술한다. 기술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전부가 아닌 일부에 불과하다는 것은 분명하다. 창조적 노력 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루어진 다른 실시예들 모두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본 명세서는 단말 및/또는 기지국을 참조하여 다양한 양태들을 기술하고 있다.
단말은 사용자에게 음성 및/또는 데이터 연결을 제공하는 디바이스를 지칭하고, 무선 단말 또는 유선 단말일 수 있다. 무선 단말은 무선 연결 기능을 가지는 핸드헬드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다른 처리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코어 네트워크들과 통신하는 모바일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은 휴대폰("셀룰러" 폰이라고도 지칭됨) 및 모바일 단말을 갖는 컴퓨터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무선 단말은 휴대용, 포켓 크기의, 핸드헬드, 컴퓨터 내장형, 또는 차량용(in-vehicle) 모바일 장치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무선 단말은 이동국(mobile station),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줄여서 UE) 등일 수 있다.
기지국은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셀들을 사용하여 공중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단말과 통신하는 디바이스를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GSM 또는 CDMA에서의 기지국[BTS(base transceiver station)]일 수 있거나, WCDMA에서의 NodeB일 수 있거나, LTE에서의 e-NodeB(evolved NodeB, evolutional Node B, 또는 기지국) 또는 장래의 진화된 네트워크(evolved network)에서의 기지국일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마이그레이션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101): 제1 네트워크의 기지국은 정보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한다.
정보는 사용자 장비가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 사용자 장비는 제1 네트워크에 대해 유휴 상태에 있음 -; 또는 사용자 장비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여기서 제1 네트워크는 3GPP 네트워크이고, 제2 네트워크는 비-3GPP 네트워크이다.
제1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장비로 송신되는 정보는 다음과 같은 2가지 목적을 위해 사용된다: 하나는 사용자 장비에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라고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 사용자 장비는 제1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대해 유휴 상태에 있음 -; 다른 하나는 사용자 장비에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지 말라고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 사용자 장비는 제1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대해 비-유휴 상태에 있음 -.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제2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자 장비의 서비스를 중단하는 것, 또는 사용자 장비가 제2 네트워크에의 연결을 연결 해제(disconnect)시키는 것이다. 제2 네트워크로의 마이그레이션을 생략하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제2 네트워크의 수신기를 디스에이블(disable)시키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사용자 장비가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정보가 사용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정보가 사용자 장비에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라고 지시하기 위해 또는 사용자 장비에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라고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시 정보인 것을 포함한다.
지시 정보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는 것에 의해, 기지국은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장비가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할 수 있게 하거나, 사용자 장비가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사용자 장비가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정보가 사용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정보가 제2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는 구체적으로는 액세스 포인트 정보 목록이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 정보 목록은 네트워크 식별자 "wlan1"을 포함한다. 기지국이 액세스 포인트 정보 목록을 사용자 장비로 송신한 후에, 네트워크 식별자가 "wlan1"인 WLAN에 연결하는 사용자 장비는 액세스 포인트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이한 제2 네트워크에 대해, 기지국은 사용자 장비에 액세스 포인트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라고 지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사용자 장비가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정보가 사용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정보가 확률값을 포함하고, 그 확률값 및 사용자 장비에 의해 실행되는 난수에 따라,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확률값은 0부터 1까지 또는 1부터 100까지의 범위에 있는 수치 값과 같은 사전 설정된 수치 값이다. 난수가 무작위로 할당되기 때문에, 난수가 확률값 미만일 특정의 확률이 있다. 예를 들어, 확률값이 0.1일 때, 사용자 장비가 0부터 1까지의 범위에 있는 난수를 균등하게 실행하는 경우, 획득된 난수가 0.1 미만일 확률은 10%이다. 이 경우에, 사용자 장비가 제1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대해 유휴 상태에 있는 경우 - 즉, 사용자 장비가 제2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경우 -, 제2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사용자 장비들 중 10%는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지국은 제2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사용자 장비들 중 특정의 비율에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라고 지시할 수 있다.
기지국은 또한 확률값 및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 둘 다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가 "wlan2"이고 확률값이 "0.5"인 경우, 네트워크 식별자가 "wlan2"인 제2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사용자 장비들 중 50%는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선택적으로, 사용자 장비가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정보가 사용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정보가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그 식별자에 따라,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는 사용자 장비 식별자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 기지국은 사용자 장비 식별자 목록을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고, 그 목록은, 사용자 장비 식별자 목록에 따라,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된다.
기지국이 사용자 장비 식별자 목록을 획득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이 방법은
기지국이 제2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되는 사용자 장비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를 수신하는 단계; 및
기지국이 사용자 장비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에 따라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기지국이 사용자 장비의 사용자 장비 식별자 목록을 획득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이 방법은 기지국이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되는 주소 목록을 수신하는 단계 - 주소 목록은 사용자 장비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를 포함함 -; 기지국이 사용자 장비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에 따라 사용자 장비의 사용자 장비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 및 기지국이 획득된 사용자 장비 식별자를 사용자 장비 식별자 목록에 추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액세스 포인트는 제2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사용자 장비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를 포함하는 주소 목록을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주소 목록을 수신한 후에, 기지국은, 제어기를 사용하여, 주소 목록에 있는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에 대응하는 S-TMSI(System Architecture Evolution Temporary Mobile Station Identifier)가 있는지 코어 네트워크에 질의한다. 코어 네트워크에 의해 피드백되는 사용자 장비의 S-TMSI를 수신한 후에, 기지국은 S-TMSI를 사용자 장비 식별자에 매핑하고 사용자 장비 식별자를 사용자 장비 식별자 목록에 추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 장비 식별자는 매핑에 의해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로부터 식별하기 쉬운(easy-to-identify) 장비 식별자로 변환되고, 사용자 장비 식별자의 가독성(readability)이 개선된다.
제1 네트워크가 제2 네트워크를 완전히 커버하는 시나리오에 부가하여, 장비 식별자를 획득하는 전술한 프로세스는 제1 네트워크가 제2 네트워크를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시나리오, 즉 제1 네트워크가 제2 네트워크와 중첩(overlap)하는 시나리오에 추가로 적용된다. 제1 네트워크의 기지국 및 제2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에 의한 사용자 장비의 설명이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통일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가 제2 네트워크와 중첩할 때, 즉 사용자 장비가 제1 네트워크의 기지국의 신호 커버리지(signal coverage) 또는 제2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커버리지 내에 위치해 있지 않을 수 있을 때,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에 따라 제1 네트워크의 기지국 또는 제2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를 사용하여 정보가 사용자 장비로 송신될 수 있다.
게다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101) 이전에, 이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단계(201): 기지국이 액세스 포인트의 부하 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기지국이 사용자 장비의 서비스 유형을 획득하거나; 또는
기지국이 사용자 장비의 기본 설정 정보(Preference Information)를 획득하고, 여기서 기본 설정 정보는,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 둘 다가 사용자 장비의 정상적인 통신을 지원할 수 있을 때, 사용자 장비에 의해 액세스될 1차 선택 네트워크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제1 네트워크의 기지국이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부하 상태를 획득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제1 네트워크의 기지국은 제2 네트워크의 부하 정보를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부하 정보는 제2 네트워크의 부하 상태(예를 들어, 제2 네트워크에서의 부하)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부하 정보가 "100"이고 제2 네트워크의 정격 부하 정보(rated load information)가 "90"인 경우, 기지국은, 부하 정보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라고 지시한다.
기지국은 사용자 장비가 현재 실행하는 서비스의 유형을 사용자 장비로부터 추가로 획득할 수 있고, 기지국은 사용자 장비의 서비스 유형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지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가 기지국에 대해 유휴 상태에 있고 사용자 장비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획득되는 서비스 유형이 음성 호출(voice call)인 경우, 사용자 장비가 제1 네트워크에 연결한다면 음성 호출이 더 잘 수행될 수 있는 것으로 판정되고, 기지국은 그 정보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며, 그 정보는 사용자 장비에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라고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기지국이 기본 설정 정보를 사용자 장비로부터 추가로 획득할 수 있고, 여기서 기본 설정 정보는,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 둘 다가 사용자 장비의 정상적인 통신을 지원할 수 있을 때, 사용자 장비에 의해 액세스될 1차 선택 네트워크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기본 설정 정보가 "제1 네트워크"이고 사용자 장비가 제1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대해 유휴 상태에 있는 경우, 기지국은 그 정보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며, 그 정보는 사용자 장비에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라고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사용자 장비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하기 위해 정보가 사용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정보가 액세스 포인트의 액세스 정보를 포함하고, 액세스 정보에 따라,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된다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액세스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의 부하 정보; 및
사용자 장비가 액세스 포인트에 액세스하도록 허용되어 있는지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이다.
부하 정보는 제2 네트워크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제2 네트워크의 식별자는 과부하가 걸려 있는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이다. 기지국은, 제2 네트워크의 과부하 지시 목록(overload indication list)에 따라, 제1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사용자 장비에 제2 네트워크의 수신기를 디스에이블시키라고 지시한다, 즉, 사용자 장비에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지 말라고 지시한다 -.
사용자 장비가 액세스 포인트에 액세스하도록 허용되어 있는지에 관한 정보는 제2 네트워크의 마이그레이션 허가 지시 목록(migration permission indication list) 및 제2 네트워크 부하 목록을 포함한다.
제2 네트워크의 마이그레이션 허가 지시 목록은 제2 네트워크가 사용자 장비를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도록 허용하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제2 네트워크의 부하가 정격 부하 값에 근접하거나, 사용자 장비의 현재 서비스 유형이 제2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통신에 적합하지 않거나, 기본 설정 정보가 제1 네트워크로 기울어져 있을 때,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가 제2 네트워크의 마이그레이션 허가 지시 목록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기지국은, 제2 네트워크의 마이그레이션 허가 지시 목록에 따라, 제2 네트워크의 현재 연결 허가 상태(current connection permission status)에 관해 모르고 있는 사용자 장비에 제2 네트워크의 수신기를 디스에이블시키라고 지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장비에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지 말라고 지시할 수 있다 -.
제2 네트워크 부하 목록은 제2 네트워크의 부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목록이고, 사용자 장비가 부하 목록에 있는 엔트리들을 비교함으로써 제2 네트워크의 수신기를 디스에이블시킬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게다가, 제1 네트워크의 기지국은
시스템 메시지;
페이징 메시지; 또는
전용 메시지 중 임의의 유형을 사용하여 정보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할 수 있다.
기지국은, 일부 단말들이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상이한 페이징 시기(paging occasion)들에서 페이징 메시지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페이징 시기는 정보가 송신되는 시간(예를 들어, 1 ms)이고, 다수의 페이징 시기들이 하나의 시간 프레임(time frame)(예를 들어, 10 ms)에 포함되어 있다. 시간 프레임이 주기적으로 나타나며, 따라서 하나의 시간 프레임에 다수의 페이징 시기들이 있다.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어느 시간 프레임의 어느 페이징 시기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되는지는 종래 기술에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으며, 그 상세는 본 명세서에서 다시 기술되지 않는다. 다른 대안으로서, 기지국은 시스템 메시지를 사용하여 브로드캐스트의 형태로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의 모든 사용자 장비들에 통지할 수 있고, 그에 의해 모든 사용자 장비들에 지시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다른 대안으로서, 기지국은 사용자 장비의 특정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전용 메시지를 사용하여 정보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할 수 있고, 그에 의해 특정의 사용자 장비에 지시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마이그레이션 방법에 따르면, 기지국은 획득되는 부하 정보, 서비스 유형, 또는 기본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마이그레이션 시기를 결정하고, 정보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며, 그 정보는 지시 정보,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 확률값, 및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그 정보에 따라, 제1 네트워크에 대해 유휴 상태에 있는 사용자 장비는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고, 여기서 그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의 부하 정보 및 사용자 장비가 액세스 포인트에 액세스하도록 허용되어 있는지에 관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1 네트워크에 대해 비-유휴 상태에 있는 사용자 장비는 그 정보에 따라 제2 네트워크의 수신기를 디스에이블시킨다. 네트워크측에 있는 기지국을 사용하여, 사용자 장비에 네트워크 마이그레이션을 수행하라고 지시하고, 따라서, 제2 네트워크의 부하 상태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적절히 마이그레이션하라고 지시한다. 게다가, 제2 네트워크는 사용자 장비의 정상적인 통신을 지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마이그레이션 방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은 이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301): 사용자 장비는 제1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한다.
사용자 장비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하고, 따라서 네트워크측에 있는 기지국은 사용자 장비에 네트워크 마이그레이션을 수행하라고 지시한다.
단계(302): 그 정보에 따라, 사용자 장비는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거나 - 사용자 장비는 제1 네트워크에 대해 유휴 상태에 있음 -; 사용자 장비는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하며, 여기서 제1 네트워크는 3GPP 네트워크이고, 제2 네트워크는 비-3GPP 네트워크이다.
사용자 장비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정보에 따라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고, 이는 제2 네트워크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제2 네트워크가 사용자 장비의 정상적인 통신을 지원할 수 있도록 추가적으로 보장한다. 그에 부가하여, 사용자 장비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정보에 따라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지 않으며, 이는 제2 네트워크에 과부하가 걸려 있을 때 사용자 장비가 제2 네트워크로 여전히 마이그레이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 장비의 정상적인 통신을 추가적으로 보장한다.
선택적으로, 사용자 장비가 제1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장비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는 것을 포함하고;
사용자 장비가 그 정보에 따라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지시 정보에 따라, 사용자 장비가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는 것을 포함한다.
사용자 장비가 제1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대해 유휴 상태에 있을 때,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에, 사용자 장비는 지시 정보에 따라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곧바로 마이그레이션한다, 즉,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선택적으로, 사용자 장비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장비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는 것을 포함하고;
사용자 장비가 그 정보에 따라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에 따라, 사용자 장비가 액세스 포인트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는 것을 포함한다.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 정보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 사용자 장비가 제1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대해 유휴 상태에 있는 경우,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액세스 포인트 정보 목록을 수신한 후에, 사용자 장비는 사용자 장비가 연결하는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를 액세스 포인트 정보 목록에 있는 네트워크 식별자와 비교한다. 사용자 장비가 연결하는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와 동일한 네트워크 식별자가 액세스 포인트 정보 목록에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장비는 액세스 포인트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 정보 목록은 3개의 네트워크 식별자 "wlan1", "wlan2", 및 "wlan3"을 포함하고, 사용자 장비가 연결하는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는 "wlan2"이다. 액세스 포인트 정보 목록을 수신한 후에, 사용자 장비는 사용자 장비가 연결하는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 "wlan2"를 액세스 포인트 정보 목록에 있는 각각의 네트워크 식별자와 비교한다. 액세스 포인트 정보 목록에 있는 "wlan2"를 비교할 때, 사용자 장비는 사용자 장비가 연결하는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 "wlan2"가 액세스 포인트 정보 목록에 있는 네트워크 식별자 "wlan2"와 동일한 것으로 판정한다. 이 경우에, 사용자 장비는 액세스 포인트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즉, 사용자 장비는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선택적으로, 사용자 장비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장비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확률값을 수신한다는 것을 포함하고;
사용자 장비가 그 정보에 따라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그 확률값 및 사용자 장비에 의해 실행되는 난수에 따라, 사용자 장비가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는 것을 포함한다.
사용자 장비는 함수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난수를 획득하고, 난수를 확률값과 비교한다. 확률값이 무작위로 할당된 난수 미만이거나 초과인 경우, 사용자 장비는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즉, 사용자 장비는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난수가 무작위로 할당되기 때문에, 난수가 확률값 미만일 특정의 확률이 있다. 예를 들어, 확률값이 0.1일 때, 0부터 1까지의 범위에 있는 난수가 실행되는 경우, 그 난수가 0.1 미만일 확률은 10%이다. 이 경우에, 제2 네트워크에 있는 사용자 장비들 중 10%는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그에 부가하여, 사용자 장비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확률값 및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를 추가로 수신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가 "wlan2"이고 확률값이 "0.5"인 경우, 사용자 장비는, 0부터 1까지의 범위에 있는 난수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난수를 확률값과 비교한다. 비교 결과가 난수가 확률값 미만이라는 것일 때, 사용자 장비는 사용자 장비가 연결하는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가 "wlan2"인지를 판정한다. '예'인 경우, 사용자 장비는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즉, 사용자 장비는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사용자 장비는 현재 연결 상태를 유지한다.
선택적으로, 사용자 장비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장비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를 수신한다는 것을 포함하고;
사용자 장비가 그 정보에 따라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그 식별자에 따라, 사용자 장비가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는 것을 포함한다.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는 사용자 장비 식별자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를 수신한 후에, 사용자 장비는 그 자신의 장비 식별자를 사용자 장비 식별자 목록에 있는 각각의 사용자 장비 식별자와 비교한다. 그것들이 동일한 경우, 사용자 장비는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즉,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 식별자 목록은 다음과 같은 엔트리들: "UE1", "UE2", 및 "UE3"을 포함하고; 사용자 장비의 장비 식별자는 "UE3"이다. 사용자 장비가 그 자신의 장비 식별자("UE3")를 사용자 장비 식별자 목록에 있는 각각의 사용자 장비 식별자와 비교하고, 사용자 장비 식별자 목록에 있는 "UE3"이 그 자신의 장비 식별자("UE3")와 동일하다는 것을 발견할 때, 사용자 장비는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그에 부가하여, 사용자 장비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 및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를 추가로 수신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가 "wlan2"이고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가 "UE2"인 경우, 사용자 장비는 그 자신의 장비 식별자를 수신된 사용자 장비 식별자 "UE2"와 비교한다. 비교 결과가 사용자 장비의 장비 식별자가 수신된 사용자 장비 식별자 "UE2"와 동일하다는 것인 경우, 사용자 장비는 사용자 장비가 연결하는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가 "wlan2"인지를 판정한다. '예'인 경우, 사용자 장비는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즉, 사용자 장비는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사용자 장비는 현재 연결 상태를 유지한다.
선택적으로, 사용자 장비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장비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액세스 정보를 수신한다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액세스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의 부하 정보; 및
사용자 장비가 액세스 포인트에 액세스하도록 허용되어 있는지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이고;
사용자 장비가, 그 정보에 따라,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장비가, 액세스 정보에 따라,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한다는 것을 포함한다.
액세스 정보가 부하 정보인 경우, 부하 정보는 과부하 지시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네트워크의 과부하 지시 목록을 수신한 후에, 사용자 장비는 사용자 장비가 마이그레이션하게 될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를 제2 네트워크의 과부하 지시 목록에 있는 각각의 네트워크 식별자와 비교한다. 그것들이 동일한 경우, 사용자 장비는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지 않기로 결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 장비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전에, 사용자 장비가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는 시기가 사용자 장비가 마이그레이션하게 될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가 제2 네트워크의 과부하 지시 목록에 존재하는지를 판정하는 것에 의해 제어되고, 이는 제2 네트워크에 과부하가 걸려 있을 때 사용자 장비가 제2 네트워크로 여전히 마이그레이션하기 때문에 사용자 장비의 정상적인 통신이 지원될 수 없는 문제를 회피한다.
사용자 장비가 액세스 포인트에 액세스하도록 허용되어 있는지에 관한 정보는 제2 네트워크의 마이그레이션 허가 지시 목록을 포함한다.
제2 네트워크의 마이그레이션 허가 지시 목록은 표 1에 나타내어져 있고, 제2 네트워크의 마이그레이션 허가 지시 목록은 사용자 장비가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도록 허용되어 있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네트워크 식별자 마이그레이션 허가 상태
"wlan1" "예"
"wlan2" "아니오"
... ...
사용자 장비가 마이그레이션하게 될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wlan2")가 제2 네트워크의 마이그레이션 허가 지시 목록에 존재하고, 질의에 의해, "wlan2"의 마이그레이션 허가 상태(migration permission status)가 "아니오"인 것을 알게 되는 경우, 사용자 장비는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지 않는다. 그렇지 않은 경우, 사용자 장비는 제1 네트워크로부터 마이그레이션 허가 상태가 "예"인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 장비는, 제2 네트워크의 마이그레이션 허가 상태에 따라,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사용자 장비는 마이그레이션 허가 상태가 "예"인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고, 이는 추가적으로 자원 구성을 최적화하고 유휴 제2 네트워크의 이용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액세스 정보가 또한 마이그레이션 금지 목록(migration prohibited list)일 수 있고,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 장비가 마이그레이션하도록 허용되어 있지 않은 제2 네트워크를 나타내기 위해 마이그레이션 금지 목록이 사용된다.
네트워크 식별자
"wlan1"
"wlan2"
...
사용자 장비가 마이그레이션하게 될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wlan2")가 제2 네트워크의 마이그레이션 금지 목록에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장비는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wlan2")로 마이그레이션하지 않는다. 그렇지 않고, 사용자 장비가 마이그레이션하게 될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wlan3")가 제2 네트워크의 마이그레이션 금지 목록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장비는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wlan3")로 마이그레이션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 장비는, 제2 네트워크의 마이그레이션 허가 상태에 따라,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사용자 장비는 마이그레이션 금지 목록에 존재하지 않는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고, 이는 추가적으로 자원 구성을 최적화하고 유휴 제2 네트워크의 이용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액세스 정보가 또한 마이그레이션 허용 목록(migration allowed list)일 수 있고,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이그레이션 허용 목록은 사용자 장비가 마이그레이션하도록 허용되어 있는 그 제2 네트워크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네트워크 식별자
"wlan1"
"wlan2"
...
사용자 장비가 마이그레이션하게 될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wlan2")가 제2 네트워크의 마이그레이션 허용 목록에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장비는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wlan2")로 마이그레이션한다. 그렇지 않고, 사용자 장비가 마이그레이션하게 될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wlan3")가 제2 네트워크의 마이그레이션 금지 목록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장비는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wlan3")로 마이그레이션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 장비는, 제2 네트워크의 마이그레이션 허가 상태에 따라,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사용자 장비는 마이그레이션 허용 목록에 존재하는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고, 이는 추가적으로 자원 구성을 최적화하고 유휴 제2 네트워크의 이용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사용자 장비가 액세스 포인트에 액세스하도록 허용되어 있는지에 관한 정보는 제2 네트워크 부하 목록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2 네트워크 부하 목록이 표 4에 나타내어져 있고, 여기서 제2 네트워크의 식별자는 제2 네트워크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고, 부하는 제2 네트워크의 부하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며, 사전 설정된 부하(preset load)는 제2 네트워크의 정격 부하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네트워크 식별자 부하 사전 설정된 부하
"wlan3" "100" "90"
"wlan4" "50" "120"
... ... ...
제1 네트워크 내의 사용자 장비는, 제2 네트워크 부하 목록에 있는 부하와 사전 설정된 부하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한다. 사용자 장비가 마이그레이션하게 될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가 "wlan3"이고, 네트워크 식별자 "wlan3"에 대응하는 부하 및 사전 설정된 부하가, 각각, 100 및 90인 경우, 사용자 장비는, 비교에 의해, 제1 네트워크로부터 네트워크 식별자가 "wlan3"인 제2 네트워크로 전환(shift)하지 않기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사용자 장비는 부하가 사전 설정된 부하 미만인 엔트리가 있는지 제2 네트워크 부하 목록을 검색하고, 그 엔트리에서 네트워크 식별자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식별자가 "wlan4"인 제2 네트워크에 대해, 그의 부하는 사전 설정된 부하 미만이고, 사용자 장비는 제1 네트워크로부터 네트워크 식별자가 "wlan4"인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 장비는, 제2 네트워크의 부하 상태에 따라,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사용자 장비는, 부하 및 사전 설정된 부하에 따라,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하고, 그에 의해 추가적으로 자원 구성을 최적화하고 유휴 제2 네트워크의 이용율을 개선시킨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마이그레이션 방법에 따르면, 제2 네트워크의 부하 상태가 정격 부하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정할 때 기지국은 정보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한다. 제2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사용자 장비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정보에 따라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고, 이는 제2 네트워크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제2 네트워크가 사용자 장비의 정상적인 통신을 지원할 수 있게 한다. 제1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사용자 장비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액세스 정보에 따라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지 않고, 이는 제2 네트워크에 과부하가 걸려 있을 때 사용자 장비가 제2 네트워크로 여전히 마이그레이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에 부가하여, 사용자 장비는 액세스 정보에 따라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지 않을 수 있고, 게다가, 사용자 장비는, 액세스 정보에 따라, 사용자 장비가 마이그레이션하게 될 특정의 제2 네트워크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기지국을 제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은 제1 네트워크에 위치해 있으며, 기지국은
정보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41)을 포함하고,
여기서 그 정보는
사용자 장비가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 사용자 장비는 제1 네트워크에 대해 유휴 상태에 있음 -; 또는
사용자 장비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여기서 제1 네트워크는 3GPP 네트워크이고, 제2 네트워크는 비-3GPP 네트워크이다.
송신 유닛(41)에 의해 사용자 장비로 송신되는 정보는 다음과 같은 2가지 목적을 위해 사용된다: 하나는 사용자 장비에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라고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 사용자 장비는 제1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대해 유휴 상태에 있음 -; 다른 하나는 사용자 장비에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지 말라고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 사용자 장비는 제1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대해 비-유휴 상태에 있음 -.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제2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자 장비의 서비스를 중단하는 것, 또는 사용자 장비가 제2 네트워크에의 연결을 연결 해제시키는 것이다. 제2 네트워크로의 마이그레이션을 생략하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제2 네트워크의 수신기를 디스에이블시키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송신 유닛(41)은 사용자 장비에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라고 지시하기 위해 또는 사용자 장비에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라고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시 정보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시 정보는 송신 유닛(41)을 사용하여 사용자 장비로 송신되고, 이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장비가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할 수 있게 하거나 사용자 장비가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송신 유닛(41)은 제2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된다.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는 구체적으로는 액세스 포인트 정보 목록이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 정보 목록은 네트워크 식별자 "wlan1"을 포함한다. 송신 유닛(41)이 액세스 포인트 정보 목록을 사용자 장비로 송신한 후에, 네트워크 식별자가 "wlan1"인 WLAN에 연결하는 사용자 장비는 액세스 포인트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이한 제2 네트워크에 대해, 송신 유닛(41)은 사용자 장비에 액세스 포인트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라고 지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송신 유닛(41)은 확률값을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확률값은, 그 확률값 및 사용자 장비에 의해 실행되는 난수에 따라,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된다.
확률값은 0부터 1까지 또는 1부터 100까지의 범위에 있는 수치 값과 같은 사전 설정된 수치 값이다. 난수가 무작위로 할당되기 때문에, 난수가 확률값 미만일 특정의 확률이 있다. 예를 들어, 확률값이 0.1일 때, 사용자 장비가 0부터 1까지의 범위에 있는 난수를 균등하게 실행하는 경우, 획득된 난수가 0.1 미만일 확률은 10%이다. 이 경우에, 사용자 장비가 제1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대해 유휴 상태에 있는 경우 - 즉, 사용자 장비가 제2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경우 -, 제2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사용자 장비들 중 10%는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송신 유닛(41)은 제2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사용자 장비들 중 특정의 비율에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라고 지시할 수 있다.
송신 유닛(41)은 또한 확률값 및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 둘 다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가 "wlan2"이고 확률값이 "0.5"인 경우, 네트워크 식별자가 "wlan2"인 제2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사용자 장비들 중 50%는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선택적으로, 송신 유닛(41)은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식별자는, 그 식별자에 따라,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된다.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는 사용자 장비 식별자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 송신 유닛(41)은 사용자 장비 식별자 목록을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고, 그 목록은, 사용자 장비 식별자 목록에 따라,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된다.
기지국이 사용자 장비 식별자 목록을 획득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은
제2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되는 사용자 장비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51); 및
사용자 장비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에 따라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52)을 추가로 포함한다.
기지국이 사용자 장비의 사용자 장비 식별자 목록을 획득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수신 유닛(51)은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되는 주소 목록을 수신하고 - 여기서 주소 목록은 사용자 장비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를 포함함 -; 처리 유닛(52)은 수신 유닛(51)에 의해 수신되는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에 따라 사용자 장비의 사용자 장비 식별자를 획득하여, 획득된 사용자 장비 식별자를 사용자 장비 식별자 목록에 추가한다.
액세스 포인트는 제2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사용자 장비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를 포함하는 주소 목록을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수신 유닛(51)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주소 목록을 수신한 후에, 송신 유닛(41)은, 제어기를 사용하여, 주소 목록에 있는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에 대응하는 S-TMSI가 있는지 코어 네트워크에 질의한다. 수신 유닛(51)이 코어 네트워크에 의해 피드백되는 사용자 장비의 S-TMSI를 수신한 후에, 처리 유닛(52)은 S-TMSI를 사용자 장비 식별자에 매핑하고 사용자 장비 식별자를 사용자 장비 식별자 목록에 추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 장비 식별자는 매핑에 의해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로부터 식별하기 쉬운 장비 식별자로 변환되고, 사용자 장비 식별자의 가독성이 개선된다.
게다가, 기지국은
액세스 포인트의 부하 정보; 또는
사용자 장비의 서비스 유형; 또는
사용자 장비의 기본 설정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유닛(53)을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기본 설정 정보는,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 둘 다가 사용자 장비의 정상적인 통신을 지원할 수 있을 때, 사용자 장비에 의해 액세스될 1차 선택 네트워크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제1 네트워크의 기지국이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부하 상태를 획득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제1 네트워크의 획득 유닛(53)은 제2 네트워크의 부하 정보를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부하 정보는 제2 네트워크의 부하 상태(예를 들어, 제2 네트워크에서의 부하)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부하 정보가 "100"이고 제2 네트워크의 정격 부하 정보가 "90"인 경우, 송신 유닛(41)은, 부하 정보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라고 지시한다.
획득 유닛(53)은 사용자 장비가 현재 실행하는 서비스의 유형을, 사용자 장비로부터, 추가로 획득할 수 있고, 송신 유닛(41)은 획득 유닛(53)에 의해 획득되는 사용자 장비의 서비스 유형에 따라 정보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가 기지국에 대해 유휴 상태에 있고 획득 유닛(53)에 의해 획득되는 서비스 유형이 음성 호출인 경우, 사용자 장비가 제1 네트워크에 연결한다면 음성 호출이 더 잘 수행될 수 있는 것으로 판정되고, 송신 유닛(41)은 그 정보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며, 그 정보는 사용자 장비에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라고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획득 유닛(53)이 기본 설정 정보를 사용자 장비로부터 추가로 획득할 수 있고, 여기서 기본 설정 정보는,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 둘 다가 사용자 장비의 정상적인 통신을 지원할 수 있을 때, 사용자 장비에 의해 액세스될 1차 선택 네트워크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기본 설정 정보가 "제1 네트워크"이고 사용자 장비가 제1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대해 유휴 상태에 있는 경우, 송신 유닛(41)은 그 정보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며, 그 정보는 사용자 장비에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라고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송신 유닛(41)은 액세스 포인트의 액세스 정보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따라서 사용자 장비는, 액세스 정보에 따라,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하며,
여기서 액세스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의 부하 정보; 및
사용자 장비가 액세스 포인트에 액세스하도록 허용되어 있는지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이다.
부하 정보는 제2 네트워크의 과부하 지시 목록에 포함되어 있고; 제2 네트워크의 과부하 지시 목록은 제2 네트워크의 식별자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2 네트워크의 식별자는 과부하가 걸려 있는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이다. 송신 유닛(41)은, 제2 네트워크의 과부하 지시 목록에 따라, 제1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사용자 장비에 제2 네트워크의 수신기를 디스에이블시키라고 지시한다, 즉, 사용자 장비에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지 말라고 지시한다.
사용자 장비가 액세스 포인트에 액세스하도록 허용되어 있는지에 관한 정보는 제2 네트워크의 마이그레이션 허가 지시 목록 및 제2 네트워크 부하 목록을 포함한다.
제2 네트워크의 마이그레이션 허가 지시 목록은 제2 네트워크가 사용자 장비를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도록 허용하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제2 네트워크의 부하가 정격 부하 값에 근접하거나, 사용자 장비의 현재 서비스 유형이 제2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통신에 적합하지 않거나, 기본 설정 정보가 제1 네트워크로 기울어져 있을 때,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가 제2 네트워크의 마이그레이션 허가 지시 목록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송신 유닛(41)은, 제2 네트워크의 마이그레이션 허가 지시 목록에 따라, 제2 네트워크의 현재 연결 허가 상태(current connection permission status)에 관해 모르고 있는 사용자 장비에 제2 네트워크의 수신기를 디스에이블시키라고 지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장비에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지 말라고 지시할 수 있다.
제2 네트워크 부하 목록은 제2 네트워크의 부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목록이고, 사용자 장비가 부하 목록에 있는 엔트리들을 비교함으로써 제2 네트워크의 수신기를 디스에이블시킬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게다가, 송신 유닛(41)은
시스템 메시지;
페이징 메시지; 또는
전용 메시지 중 임의의 유형을 사용하여 정보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송신 유닛(41)은, 단말들 중 일부가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상이한 페이징 시기들에서 페이징 메시지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페이징 시기는 정보가 송신되는 시간(예를 들어, 1 ms)이고, 다수의 페이징 시기들이 하나의 시간 프레임(예를 들어, 10 ms)에 포함되어 있다. 시간 프레임이 주기적으로 나타나며, 따라서 하나의 시간 프레임에 다수의 페이징 시기들이 있다. 사용자 장비가 시간 프레임에 따라 데이터를 획득한다는 것은 종래 기술에서 기술되었고, 그 상세는 본 명세서에서 다시 기술되지 않는다. 다른 대안으로서, 송신 유닛(41)은 시스템 메시지를 사용하여 브로드캐스트의 형태로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의 모든 사용자 장비들에 통지할 수 있고, 그에 의해 모든 사용자 장비들에 지시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다른 대안으로서, 송신 유닛(41)은 사용자 장비의 특정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전용 메시지를 사용하여 정보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할 수 있고, 그에 의해 특정의 사용자 장비에 지시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기지국은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의 기지국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획득 유닛(53)은 획득되는 부하 정보, 서비스 유형, 또는 기본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마이그레이션 시기를 결정하고; 정보가 송신 유닛(41)을 사용하여 사용자 장비로 송신되며, 여기서 그 정보는 지시 정보,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 확률값, 및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그 정보에 따라, 제1 네트워크에 대해 유휴 상태에 있는 사용자 장비는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고, 여기서 그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의 부하 정보 및 사용자 장비가 액세스 포인트에 액세스하도록 허용되어 있는지에 관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1 네트워크에 대해 비-유휴 상태에 있는 사용자 장비는 그 정보에 따라 제2 네트워크의 수신기를 디스에이블시킨다. 네트워크측에 있는 기지국의 송신 유닛(41)을 사용하여, 사용자 장비에 네트워크 마이그레이션을 수행하라고 지시하고, 따라서, 제2 네트워크의 부하 상태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적절히 마이그레이션하라고 지시한다. 게다가, 제2 네트워크는 사용자 장비의 정상적인 통신을 지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 장비를 추가로 제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비는
제1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61) - 수신 유닛(61)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하고, 따라서 네트워크측에 있는 기지국은 사용자 장비에 네트워크 마이그레이션을 수행하라고 지시함 -; 및
수신 유닛(61)에 의해 수신되는 정보에 따라,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거나 - 사용자 장비는 제1 네트워크에 대해 유휴 상태에 있음 -; 또는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62)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1 네트워크는 3GPP 네트워크이고, 제2 네트워크는 비-3GPP 네트워크이다.
처리 유닛(62)은 수신 유닛(61)에 의해 수신되는 정보에 따라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고, 이는 제2 네트워크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제2 네트워크가 사용자 장비의 정상적인 통신을 지원할 수 있도록 추가적으로 보장한다. 그에 부가하여, 처리 유닛(62)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정보에 따라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지 않으며, 이는 제2 네트워크에 과부하가 걸려 있을 때 사용자 장비가 제2 네트워크로 여전히 마이그레이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 장비의 정상적인 통신을 추가적으로 보장한다.
선택적으로, 수신 유닛(61)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처리 유닛(62)은, 지시 정보에 따라,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 장비가 제1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대해 유휴 상태에 있을 때, 수신 유닛(61)이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에, 처리 유닛(62)은 지시 정보에 따라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곧바로 마이그레이션한다, 즉,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선택적으로, 수신 유닛(61)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처리 유닛(62)은,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 정보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 사용자 장비가 제1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대해 유휴 상태에 있는 경우, 수신 유닛(61)이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액세스 포인트 정보 목록을 수신한 후에, 처리 유닛(62)은 처리 유닛(62)이 연결하는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를 액세스 포인트 정보 목록에 있는 네트워크 식별자와 비교한다. 처리 유닛(62)이 연결하는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와 동일한 네트워크 식별자가 액세스 포인트 정보 목록에 존재하는 경우, 처리 유닛(62)은 액세스 포인트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 정보 목록은 3개의 네트워크 식별자 "wlan1", "wlan2", 및 "wlan3"을 포함하고, 사용자 장비가 연결하는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는 "wlan2"이다. 수신 유닛(61)이 액세스 포인트 정보 목록을 수신한 후에, 처리 유닛(62)은 처리 유닛(62)이 연결하는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 "wlan2"를 액세스 포인트 정보 목록에 있는 각각의 네트워크 식별자와 비교한다. 액세스 포인트 정보 목록에 있는 "wlan2"를 비교할 때, 처리 유닛(62)은 처리 유닛(62)이 연결하는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 "wlan2"가 액세스 포인트 정보 목록에 있는 네트워크 식별자 "wlan2"와 동일한 것으로 판정한다. 이 경우에, 처리 유닛(62)은 액세스 포인트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즉, 사용자 장비는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선택적으로, 수신 유닛(61)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확률값을 수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처리 유닛(62)은, 그 확률값 및 사용자 장비에 의해 실행되는 난수에 따라,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처리 유닛(62)은 함수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난수를 획득하고, 난수를 수신 유닛(61)에 의해 수신되는 확률값과 비교한다. 확률값이 무작위로 할당된 난수 미만이거나 초과인 경우, 처리 유닛(62)은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즉, 사용자 장비는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난수가 무작위로 할당되기 때문에, 난수가 확률값 미만일 특정의 확률이 있다. 예를 들어, 확률값이 0.1일 때, 0부터 1까지의 범위에 있는 난수가 실행되는 경우, 그 난수가 0.1 미만일 확률은 10%이다. 이 경우에, 제2 네트워크에 있는 사용자 장비들 중 10%는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그에 부가하여, 수신 유닛(61)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확률값 및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를 추가로 수신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가 "wlan2"이고 확률값이 "0.5"인 경우, 처리 유닛(62)은, 0부터 1까지의 범위에 있는 난수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난수를 확률값과 비교한다. 비교 결과가 난수가 확률값 미만이라는 것일 때, 사용자 장비는 사용자 장비가 연결하는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가 "wlan2"인지를 판정한다. '예'인 경우, 처리 유닛(62)은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즉, 사용자 장비는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사용자 장비는 현재 연결 상태를 유지한다.
선택적으로, 수신 유닛(61)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를 수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처리 유닛(62)은, 그 식별자에 따라,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는 사용자 장비 식별자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 수신 유닛(61)이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를 수신한 후에, 처리 유닛(62)은 그 자신의 장비 식별자를 사용자 장비 식별자 목록에 있는 각각의 사용자 장비 식별자와 비교한다. 그것들이 동일한 경우, 처리 유닛(62)은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즉,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 식별자 목록은 다음과 같은 엔트리들: "UE1", "UE2", 및 "UE3"을 포함하고; 사용자 장비의 장비 식별자는 "UE3"이다. 처리 유닛(62)이 그 자신의 장비 식별자("UE3")를 사용자 장비 식별자 목록에 있는 각각의 사용자 장비 식별자와 비교하고, 사용자 장비 식별자 목록에 있는 "UE3"이 그 자신의 장비 식별자("UE3")와 동일하다는 것을 발견할 때, 처리 유닛(62)은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그에 부가하여, 수신 유닛(61)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 및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를 추가로 수신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가 "wlan2"이고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가 "UE2"인 경우, 처리 유닛(62)은 그 자신의 장비 식별자를 수신된 사용자 장비 식별자 "UE2"와 비교한다. 비교 결과가 사용자 장비의 장비 식별자가 수신된 사용자 장비 식별자 "UE2"와 동일하다는 것인 경우, 처리 유닛(62)은 처리 유닛(62)이 연결하는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가 "wlan2"인지를 판정한다. '예'인 경우, 처리 유닛(62)은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즉, 사용자 장비는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처리 유닛(62)은 현재 연결 상태를 유지한다.
선택적으로, 수신 유닛(61)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액세스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여기서 액세스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의 부하 정보; 및
사용자 장비가 액세스 포인트에 액세스하도록 허용되어 있는지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이고;
처리 유닛(62)은, 액세스 정보에 따라,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액세스 정보가 부하 정보인 경우, 부하 정보는 과부하 지시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 수신 유닛(61)이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네트워크의 과부하 지시 목록을 수신한 후에, 처리 유닛(62)은 사용자 장비가 마이그레이션하게 될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를 제2 네트워크의 과부하 지시 목록에 있는 각각의 네트워크 식별자와 비교한다. 그것들이 동일한 경우, 처리 유닛(62)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지 않기로 결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처리 유닛(62)이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전에, 사용자 장비가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는 시기가 사용자 장비가 마이그레이션하게 될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가 제2 네트워크의 과부하 지시 목록에 존재하는지를 판정하는 것에 의해 지시되고, 이는 제2 네트워크에 과부하가 걸려 있을 때 사용자 장비가 제2 네트워크로 여전히 마이그레이션하기 때문에 사용자 장비의 정상적인 통신이 지원될 수 없는 문제를 회피한다.
사용자 장비가 액세스 포인트에 액세스하도록 허용되어 있는지에 관한 정보는 제2 네트워크의 마이그레이션 허가 지시 목록을 포함한다.
제2 네트워크의 마이그레이션 허가 지시 목록은 표 1에 나타내어져 있고, 제2 네트워크의 마이그레이션 허가 지시 목록은 사용자 장비가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도록 허용되어 있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사용자 장비가 마이그레이션하게 될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wlan2")가 제2 네트워크의 마이그레이션 허가 지시 목록에 존재하고, 처리 유닛(62)이, 질의에 의해, "wlan2"의 마이그레이션 허가 상태가 "아니오"인 것을 알게 되는 경우, 처리 유닛(62)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지 않는다. 그렇지 않은 경우, 처리 유닛(62)은 제1 네트워크로부터 마이그레이션 허가 상태가 "예"인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처리 유닛(62)은, 제2 네트워크의 마이그레이션 허가 상태에 따라,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사용자 장비는 마이그레이션 허가 상태가 "예"인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고, 이는 추가적으로 자원 구성을 최적화하고 유휴 제2 네트워크의 이용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액세스 정보가 또한 마이그레이션 금지 목록일 수 있고,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 장비가 마이그레이션하도록 허용되어 있지 않은 제2 네트워크를 나타내기 위해 마이그레이션 금지 목록이 사용된다.
사용자 장비가 마이그레이션하게 될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wlan2")가 제2 네트워크의 마이그레이션 금지 목록에 존재하는 경우, 처리 유닛(62)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wlan2")로 마이그레이션하지 않는다. 그렇지 않고, 사용자 장비가 마이그레이션하게 될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wlan3")가 제2 네트워크의 마이그레이션 금지 목록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처리 유닛(62)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wlan3")로 마이그레이션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처리 유닛(62)은, 제2 네트워크의 마이그레이션 허가 상태에 따라,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처리 유닛(62)은 마이그레이션 금지 목록에 존재하지 않는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고, 이는 추가적으로 자원 구성을 최적화하고 유휴 제2 네트워크의 이용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액세스 정보가 또한 마이그레이션 허용 목록일 수 있고,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이그레이션 허용 목록은 사용자 장비가 마이그레이션하도록 허용되어 있는 그 제2 네트워크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사용자 장비가 마이그레이션하게 될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wlan2")가 제2 네트워크의 마이그레이션 허용 목록에 존재하는 경우, 처리 유닛(62)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wlan2")로 마이그레이션한다. 그렇지 않고, 사용자 장비가 마이그레이션하게 될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wlan3")가 제2 네트워크의 마이그레이션 금지 목록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처리 유닛(62)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wlan3")로 마이그레이션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처리 유닛(62)은, 제2 네트워크의 마이그레이션 허가 상태에 따라,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사용자 장비는 마이그레이션 허용 목록에 존재하는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고, 이는 추가적으로 자원 구성을 최적화하고 유휴 제2 네트워크의 이용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사용자 장비가 액세스 포인트에 액세스하도록 허용되어 있는지에 관한 정보는 제2 네트워크 부하 목록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2 네트워크 부하 목록이 표 4에 나타내어져 있고, 여기서 제2 네트워크의 식별자는 제2 네트워크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고, 부하는 제2 네트워크의 부하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며, 사전 설정된 부하는 제2 네트워크의 정격 부하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처리 유닛(62)은, 제2 네트워크 부하 목록에 있는 부하와 사전 설정된 부하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한다. 사용자 장비가 마이그레이션하게 될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가 "wlan3"이고, 네트워크 식별자 "wlan3"에 대응하는 부하 및 사전 설정된 부하가, 각각, 100 및 90인 경우, 처리 유닛(62)은, 비교에 의해, 제1 네트워크로부터 네트워크 식별자가 "wlan3"인 제2 네트워크로 전환하지 않기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처리 유닛(62)은 부하가 사전 설정된 부하 미만인 엔트리가 있는지 제2 네트워크 부하 목록을 검색하고, 그 엔트리에서 네트워크 식별자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식별자가 "wlan4"인 제2 네트워크에 대해, 그의 부하는 사전 설정된 부하 미만이고, 처리 유닛(62)은 제1 네트워크로부터 네트워크 식별자가 "wlan4"인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처리 유닛(62)은, 제2 네트워크의 부하 상태에 따라,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사용자 장비는, 부하 및 사전 설정된 부하에 따라,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하고, 그에 의해 추가적으로 자원 구성을 최적화하고 유휴 제2 네트워크의 이용율을 개선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기지국을 제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은 제1 네트워크에 위치해 있으며, 기지국은
정보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71)를 포함하고,
여기서 그 정보는
사용자 장비가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 사용자 장비는 제1 네트워크에 대해 유휴 상태에 있음 -; 또는
사용자 장비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여기서 제1 네트워크는 3GPP 네트워크이고, 제2 네트워크는 비-3GPP 네트워크이다.
송신기(71)에 의해 사용자 장비로 송신되는 정보는 다음과 같은 2가지 목적을 위해 사용된다: 하나는 사용자 장비에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라고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 사용자 장비는 제1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대해 유휴 상태에 있음 -; 다른 하나는 사용자 장비에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지 말라고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 사용자 장비는 제1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대해 비-유휴 상태에 있음 -.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제2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자 장비의 서비스를 중단하는 것, 또는 사용자 장비가 제2 네트워크에의 연결을 연결 해제시키는 것이다. 제2 네트워크로의 마이그레이션을 생략하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제2 네트워크의 수신기(81)를 디스에이블시키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송신기(71)는 사용자 장비에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라고 지시하기 위해 또는 사용자 장비에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라고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시 정보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시 정보는 송신기(71)를 사용하여 사용자 장비로 송신되고, 이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장비가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할 수 있게 하거나 사용자 장비가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송신기(71)는 제2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된다.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는 구체적으로는 액세스 포인트 정보 목록이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 정보 목록은 네트워크 식별자 "wlan1"을 포함한다. 송신기(71)가 액세스 포인트 정보 목록을 사용자 장비로 송신한 후에, 네트워크 식별자가 "wlan1"인 WLAN에 연결하는 사용자 장비는 액세스 포인트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이한 제2 네트워크에 대해, 송신기(71)는 사용자 장비에 액세스 포인트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라고 지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송신기(71)는 확률값을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확률값은, 그 확률값 및 사용자 장비에 의해 실행되는 난수에 따라,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된다.
확률값은 0부터 1까지 또는 1부터 100까지의 범위에 있는 수치 값과 같은 사전 설정된 수치 값이다. 난수가 무작위로 할당되기 때문에, 난수가 확률값 미만일 특정의 확률이 있다. 예를 들어, 확률값이 0.1일 때, 사용자 장비가 0부터 1까지의 범위에 있는 난수를 균등하게 실행하는 경우, 획득된 난수가 0.1 미만일 확률은 10%이다. 이 경우에, 사용자 장비가 제1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대해 유휴 상태에 있는 경우 - 즉, 사용자 장비가 제2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경우 -, 제2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사용자 장비들 중 10%는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송신기(71)는 제2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사용자 장비들 중 특정의 비율에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라고 지시할 수 있다.
송신기(71)는 또한 확률값 및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 둘 다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가 "wlan2"이고 확률값이 "0.5"인 경우, 네트워크 식별자가 "wlan2"인 제2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사용자 장비들 중 50%는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선택적으로, 송신기(71)는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식별자는, 그 식별자에 따라,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된다.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는 사용자 장비 식별자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 송신기(71)는 사용자 장비 식별자 목록을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고, 그 목록은, 사용자 장비 식별자 목록에 따라,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된다.
기지국이 사용자 장비 식별자 목록을 획득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은
제2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되는 사용자 장비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를 수신하고, 사용자 장비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에 따라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수신기(81)를 추가로 포함한다.
기지국이 사용자 장비의 사용자 장비 식별자 목록을 획득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수신기(81)는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되는 주소 목록을 수신하고 - 여기서 주소 목록은 사용자 장비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를 포함함 -; 수신기(81)는 수신된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에 따라 사용자 장비의 사용자 장비 식별자를 획득하여, 획득된 사용자 장비 식별자를 사용자 장비 식별자 목록에 추가한다.
액세스 포인트는 제2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사용자 장비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를 포함하는 주소 목록을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수신기(81)가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주소 목록을 수신한 후에, 송신기(71)는, 제어기를 사용하여, 주소 목록에 있는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에 대응하는 S-TMSI가 있는지 코어 네트워크에 질의한다. 코어 네트워크에 의해 피드백되는 사용자 장비의 S-TMSI를 수신한 후에, 수신기(81)는 S-TMSI를 사용자 장비 식별자에 매핑하고 사용자 장비 식별자를 사용자 장비 식별자 목록에 추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 장비 식별자는 매핑에 의해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로부터 식별하기 쉬운 장비 식별자로 변환되고, 사용자 장비 식별자의 가독성이 개선된다.
게다가, 수신기(81)는
액세스 포인트의 부하 정보; 또는
사용자 장비의 서비스 유형; 또는
사용자 장비의 기본 설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고, 여기서 기본 설정 정보는,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 둘 다가 사용자 장비의 정상적인 통신을 지원할 수 있을 때, 사용자 장비에 의해 액세스될 1차 선택 네트워크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제1 네트워크의 기지국이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부하 상태를 획득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제1 네트워크의 수신기(81)는 제2 네트워크의 부하 정보를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부하 정보는 제2 네트워크의 부하 상태(예를 들어, 제2 네트워크에서의 부하)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부하 정보가 "100"이고 제2 네트워크의 정격 부하 정보가 "90"인 경우, 송신기(71)는, 부하 정보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라고 지시한다.
수신기(81)는 사용자 장비가 현재 실행하는 서비스의 유형을, 사용자 장비로부터, 추가로 획득할 수 있고, 송신기(71)는 수신기(81)에 의해 획득되는 사용자 장비의 서비스 유형에 따라 그 정보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가 기지국에 대해 유휴 상태에 있고, 수신기(81)에 의해 획득되는 서비스 유형이, 이 경우에, 음성 호출인 경우, 사용자 장비가 제1 네트워크에 연결한다면 음성 호출이 더 잘 수행될 수 있고, 송신기(71)는 그 정보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며, 그 정보는 사용자 장비에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라고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수신기(81)가 기본 설정 정보를 사용자 장비로부터 추가로 획득할 수 있고, 여기서 기본 설정 정보는,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 둘 다가 사용자 장비의 정상적인 통신을 지원할 수 있을 때, 사용자 장비에 의해 액세스될 1차 선택 네트워크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기본 설정 정보가 "제1 네트워크"이고 사용자 장비가 제1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대해 유휴 상태에 있는 경우, 송신기(71)는 그 정보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며, 그 정보는 사용자 장비에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라고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송신기(71)는 액세스 포인트의 액세스 정보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따라서 사용자 장비는, 액세스 정보에 따라,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하며,
여기서 액세스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의 부하 정보; 및
사용자 장비가 액세스 포인트에 액세스하도록 허용되어 있는지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이다.
부하 정보는 제2 네트워크의 과부하 지시 목록에 포함되어 있고; 제2 네트워크의 과부하 지시 목록은 제2 네트워크의 식별자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2 네트워크의 식별자는 과부하가 걸려 있는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이다. 송신기(71)는, 제2 네트워크의 과부하 지시 목록에 따라, 제1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사용자 장비에 제2 네트워크의 수신기(81)를 디스에이블시키라고 지시한다, 즉, 사용자 장비에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지 말라고 지시한다.
사용자 장비가 액세스 포인트에 액세스하도록 허용되어 있는지에 관한 정보는 제2 네트워크의 마이그레이션 허가 지시 목록 및 제2 네트워크 부하 목록을 포함한다.
제2 네트워크의 마이그레이션 허가 지시 목록은 제2 네트워크가 사용자 장비를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도록 허용하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제2 네트워크의 부하가 정격 부하 값에 근접하거나, 사용자 장비의 현재 서비스 유형이 제2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통신에 적합하지 않거나, 기본 설정 정보가 제1 네트워크로 기울어져 있을 때,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가 제2 네트워크의 마이그레이션 허가 지시 목록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송신기(71)는, 제2 네트워크의 마이그레이션 허가 지시 목록에 따라, 제2 네트워크의 현재 연결 허가 상태에 관해 모르고 있는 사용자 장비에 제2 네트워크의 수신기(81)를 디스에이블시키라고 지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장비에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지 말라고 지시할 수 있다.
제2 네트워크 부하 목록은 제2 네트워크의 부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목록이고, 사용자 장비가 부하 목록에 있는 엔트리들을 비교함으로써 제2 네트워크의 수신기(81)를 디스에이블시킬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게다가, 송신기(71)는
시스템 메시지;
페이징 메시지; 또는
전용 메시지 중 임의의 유형을 사용하여 정보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송신기(71)는, 일부 단말들이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상이한 페이징 시기들에서 페이징 메시지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페이징 시기는 정보가 송신되는 시간(예를 들어, 1 ms)이고, 다수의 페이징 시기들이 하나의 시간 프레임(예를 들어, 10 ms)에 포함되어 있다. 시간 프레임이 주기적으로 나타나며, 따라서 하나의 시간 프레임에 다수의 페이징 시기들이 있다. 사용자 장비가 시간 프레임에 따라 데이터를 획득한다는 것은 종래 기술에서 기술되었고, 그 상세는 본 명세서에서 다시 기술되지 않는다. 다른 대안으로서, 송신기(71)는 시스템 메시지를 사용하여 브로드캐스트의 형태로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의 모든 사용자 장비들에 통지할 수 있고, 그에 의해 모든 사용자 장비들에 지시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다른 대안으로서, 송신기(71)는 사용자 장비의 특정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전용 메시지를 사용하여 정보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할 수 있고, 그에 의해 특정의 사용자 장비에 지시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기지국에 따르면, 수신기(81)는 획득되는 부하 정보, 서비스 유형, 또는 기본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마이그레이션 시기를 결정하고; 정보가 송신기(71)를 사용하여 사용자 장비로 송신되며, 여기서 그 정보는 지시 정보,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 확률값, 및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그 정보에 따라, 제1 네트워크에 대해 유휴 상태에 있는 사용자 장비는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고, 여기서 그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의 부하 정보 및 사용자 장비가 액세스 포인트에 액세스하도록 허용되어 있는지에 관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1 네트워크에 대해 비-유휴 상태에 있는 사용자 장비는 그 정보에 따라 제2 네트워크의 수신기(81)를 디스에이블시킨다. 네트워크측에 있는 기지국의 송신기(71)를 사용하여, 사용자 장비에 네트워크 마이그레이션을 수행하라고 지시하고, 따라서, 제2 네트워크의 부하 상태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적절히 마이그레이션하라고 지시한다. 게다가, 제2 네트워크는 사용자 장비의 정상적인 통신을 지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 장비를 제공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비는
제1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91) - 수신기(91)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하고, 따라서 네트워크측에 있는 기지국은 사용자 장비에 네트워크 마이그레이션을 수행하라고 지시함 -; 및
수신기(91)에 의해 수신되는 정보에 따라,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거나 - 사용자 장비는 제1 네트워크에 대해 유휴 상태에 있음 -; 또는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92)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1 네트워크는 3GPP 네트워크이고, 제2 네트워크는 비-3GPP 네트워크이다.
프로세서(92)는 수신기(91)에 의해 수신되는 정보에 따라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고, 이는 제2 네트워크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제2 네트워크가 사용자 장비의 정상적인 통신을 지원할 수 있도록 추가적으로 보장한다. 그에 부가하여, 프로세서(92)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정보에 따라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지 않으며, 이는 제2 네트워크에 과부하가 걸려 있을 때 사용자 장비가 제2 네트워크로 여전히 마이그레이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 장비의 정상적인 통신을 추가적으로 보장한다.
선택적으로, 수신기(91)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프로세서(92)는, 지시 정보에 따라,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 장비가 제1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대해 유휴 상태에 있을 때, 수신기(91)가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에, 프로세서(92)는 지시 정보에 따라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곧바로 마이그레이션한다, 즉,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선택적으로, 수신기(91)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프로세서(92)는,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 정보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 사용자 장비가 제1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대해 유휴 상태에 있는 경우, 수신기(91)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액세스 포인트 정보 목록을 수신한 후에, 프로세서(92)는 프로세서(92)가 연결하는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를 액세스 포인트 정보 목록에 있는 네트워크 식별자와 비교한다. 프로세서(92)가 연결하는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와 동일한 네트워크 식별자가 액세스 포인트 정보 목록에 존재하는 경우, 프로세서(92)는 액세스 포인트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 정보 목록은 3개의 네트워크 식별자 "wlan1", "wlan2", 및 "wlan3"을 포함하고, 사용자 장비가 연결하는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는 "wlan2"이다. 수신기(91)가 액세스 포인트 정보 목록을 수신한 후에, 프로세서(92)는 프로세서(92)가 연결하는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 "wlan2"를 액세스 포인트 정보 목록에 있는 각각의 네트워크 식별자와 비교한다. 액세스 포인트 정보 목록에 있는 "wlan2"를 비교할 때, 프로세서(92)는 프로세서(92)가 연결하는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 "wlan2"가 액세스 포인트 정보 목록에 있는 네트워크 식별자 "wlan2"와 동일한 것으로 판정한다. 이 경우에, 프로세서(92)는 액세스 포인트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즉, 사용자 장비는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선택적으로, 수신기(91)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확률값을 수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프로세서(92)는, 그 확률값 및 사용자 장비에 의해 실행되는 난수에 따라,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로세서(92)는 함수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난수를 획득하고, 난수를 수신기(91)에 의해 수신되는 확률값과 비교한다. 확률값이 무작위로 할당된 난수 미만이거나 초과인 경우, 프로세서(92)는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즉, 사용자 장비는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난수가 무작위로 할당되기 때문에, 난수가 확률값 미만일 특정의 확률이 있다. 예를 들어, 확률값이 0.1일 때, 0부터 1까지의 범위에 있는 난수가 실행되는 경우, 그 난수가 0.1 미만일 확률은 10%이다. 이 경우에, 제2 네트워크에 있는 사용자 장비들 중 10%는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그에 부가하여, 수신기(91)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확률값 및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를 추가로 수신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가 "wlan2"이고 확률값이 "0.5"인 경우, 프로세서(92)는, 0부터 1까지의 범위에 있는 난수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난수를 확률값과 비교한다. 비교 결과가 난수가 확률값 미만이라는 것일 때, 사용자 장비는 사용자 장비가 연결하는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가 "wlan2"인지를 판정한다. '예'인 경우, 프로세서(92)는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즉, 사용자 장비는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사용자 장비는 현재 연결 상태를 유지한다.
선택적으로, 수신기(91)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를 수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프로세서(92)는, 그 식별자에 따라,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는 사용자 장비 식별자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 수신기(91)가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를 수신한 후에, 프로세서(92)는 그 자신의 장비 식별자를 사용자 장비 식별자 목록에 있는 각각의 사용자 장비 식별자와 비교한다. 그것들이 동일한 경우, 프로세서(92)는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즉,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 식별자 목록은 다음과 같은 엔트리들: "UE1", "UE2", 및 "UE3"을 포함하고; 사용자 장비의 장비 식별자는 "UE3"이다. 프로세서(92)가 그 자신의 장비 식별자("UE3")를 사용자 장비 식별자 목록에 있는 각각의 사용자 장비 식별자와 비교하고, 사용자 장비 식별자 목록에 있는 "UE3"이 그 자신의 장비 식별자("UE3")와 동일하다는 것을 발견할 때, 프로세서(92)는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그에 부가하여, 수신기(91)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 및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를 추가로 수신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가 "wlan2"이고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가 "UE2"인 경우, 프로세서(92)는 그 자신의 장비 식별자를 수신된 사용자 장비 식별자 "UE2"와 비교한다. 비교 결과가 사용자 장비의 장비 식별자가 수신된 사용자 장비 식별자 "UE2"와 동일하다는 것인 경우, 프로세서(92)는 프로세서(92)가 연결하는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가 "wlan2"인지를 판정한다. '예'인 경우, 프로세서(92)는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서비스 전송을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즉, 사용자 장비는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프로세서(92)는 현재 연결 상태를 유지한다.
선택적으로, 수신기(91)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액세스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액세스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의 부하 정보; 및
사용자 장비가 액세스 포인트에 액세스하도록 허용되어 있는지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이고;
프로세서(92)는, 액세스 정보에 따라,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액세스 정보가 부하 정보인 경우, 부하 정보는 과부하 지시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 수신기(91)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네트워크의 과부하 지시 목록을 수신한 후에, 프로세서(92)는 사용자 장비가 마이그레이션하게 될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를 제2 네트워크의 과부하 지시 목록에 있는 각각의 네트워크 식별자와 비교한다. 그것들이 동일한 경우, 프로세서(92)는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지 않기로 결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로세서(92)가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전에, 사용자 장비가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는 시기가 사용자 장비가 마이그레이션하게 될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가 제2 네트워크의 과부하 지시 목록에 존재하는지를 판정하는 것에 의해 제어되고, 이는 제2 네트워크에 과부하가 걸려 있을 때 사용자 장비가 제2 네트워크로 여전히 마이그레이션하기 때문에 사용자 장비의 정상적인 통신이 지원될 수 없는 문제를 회피한다.
사용자 장비가 액세스 포인트에 액세스하도록 허용되어 있는지에 관한 정보는 제2 네트워크의 마이그레이션 허가 지시 목록을 포함한다.
제2 네트워크의 마이그레이션 허가 지시 목록은 표 1에 나타내어져 있고, 제2 네트워크의 마이그레이션 허가 지시 목록은 사용자 장비가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도록 허용되어 있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사용자 장비가 마이그레이션하게 될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wlan2")가 제2 네트워크의 마이그레이션 허가 지시 목록에 존재하고, 프로세서(92)가, 질의에 의해, "wlan2"의 마이그레이션 허가 상태가 "아니오"인 것을 알게 되는 경우, 프로세서(92)는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지 않는다. 그렇지 않은 경우, 프로세서(92)는 제1 네트워크로부터 마이그레이션 허가 상태가 "예"인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로세서(92)는, 제2 네트워크의 마이그레이션 허가 상태에 따라,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사용자 장비는 마이그레이션 허가 상태가 "예"인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고, 이는 추가적으로 자원 구성을 최적화하고 유휴 제2 네트워크의 이용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액세스 정보가 또한 마이그레이션 금지 목록일 수 있고,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 장비가 마이그레이션하도록 허용되어 있지 않은 제2 네트워크를 나타내기 위해 마이그레이션 금지 목록이 사용된다.
사용자 장비가 마이그레이션하게 될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wlan2")가 제2 네트워크의 마이그레이션 금지 목록에 존재하는 경우, 프로세서(92)는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wlan2")로 마이그레이션하지 않는다. 그렇지 않고, 사용자 장비가 마이그레이션하게 될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wlan3")가 제2 네트워크의 마이그레이션 금지 목록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92)는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wlan3")로 마이그레이션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로세서(92)는, 제2 네트워크의 마이그레이션 허가 상태에 따라,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프로세서(92)는 마이그레이션 금지 목록에 존재하지 않는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고, 이는 추가적으로 자원 구성을 최적화하고 유휴 제2 네트워크의 이용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액세스 정보가 또한 마이그레이션 허용 목록일 수 있고,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이그레이션 허용 목록은 사용자 장비가 마이그레이션하도록 허용되어 있는 그 제2 네트워크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사용자 장비가 마이그레이션하게 될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wlan2")가 제2 네트워크의 마이그레이션 허용 목록에 존재하는 경우, 프로세서(92)는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wlan2")로 마이그레이션한다. 그렇지 않고, 사용자 장비가 마이그레이션하게 될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wlan3")가 제2 네트워크의 마이그레이션 금지 목록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92)는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wlan3")로 마이그레이션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로세서(92)는, 제2 네트워크의 마이그레이션 허가 상태에 따라,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사용자 장비는 마이그레이션 허용 목록에 존재하는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고, 이는 추가적으로 자원 구성을 최적화하고 유휴 제2 네트워크의 이용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사용자 장비가 액세스 포인트에 액세스하도록 허용되어 있는지에 관한 정보는 제2 네트워크 부하 목록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2 네트워크 부하 목록이 표 4에 나타내어져 있고, 여기서 제2 네트워크의 식별자는 제2 네트워크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고, 부하는 제2 네트워크의 부하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며, 사전 설정된 부하는 제2 네트워크의 정격 부하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프로세서(92)는, 제2 네트워크 부하 목록에 있는 부하와 사전 설정된 부하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한다. 사용자 장비가 마이그레이션하게 될 제2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가 "wlan3"이고, 네트워크 식별자 "wlan3"에 대응하는 부하 및 사전 설정된 부하가, 각각, 100 및 90인 경우, 프로세서(92)는, 비교에 의해, 제1 네트워크로부터 네트워크 식별자가 "wlan3"인 제2 네트워크로 전환하지 않기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92)는 부하가 사전 설정된 부하 미만인 엔트리가 있는지 제2 네트워크 부하 목록을 검색하고, 그 엔트리에서 네트워크 식별자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식별자가 "wlan4"인 제2 네트워크에 대해, 그의 부하는 사전 설정된 부하 미만이고, 프로세서(92)는 제1 네트워크로부터 네트워크 식별자가 "wlan4"인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로세서(92)는, 제2 네트워크의 부하 상태에 따라,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사용자 장비는, 부하 및 사전 설정된 부하에 따라, 제1 네트워크로부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하고, 그에 의해 추가적으로 자원 구성을 최적화하고 유휴 제2 네트워크의 이용율을 개선시킨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편리하고 간략한 설명을 위해, 전술한 기능 모듈들의 분할이 예시를 위한 일례로서 보아야 한다는 것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실제 적용에서, 전술한 기능들이 상이한 기능 모듈들에 할당되고 요구사항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즉, 장치의 내부 구조가 앞서 기술한 기능들 중 전부 또는 일부를 구현하기 위해 상이한 기능 모듈들로 분할된다. 전술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상세한 동작 프로세스를 위해,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에서의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참조할 수 있고, 그 상세는 본 명세서에서 다시 기술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몇가지 실시예들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이 다른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예를 들어, 기술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예를 들어, 모듈 또는 유닛 분할은 논리적 기능 분할에 불과하고, 실제의 구현에서는 다른 분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들 또는 구성요소들이 다른 시스템에 결합 또는 통합될 수 있거나, 일부 특징들이 무시될 수 있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그에 부가하여, 표시되거나 논의된 상호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이 일부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장치들 또는 유닛들 간의 간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이 전자, 기계 또는 기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개별적인 부분들로서 기술된 유닛들이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을 수 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고, 유닛들로서 표시된 부분들이 물리적 유닛들일 수 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거나, 하나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거나,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들에 분산되어 있을 수 있다. 유닛들의 일부 또는 전부가 실시예들의 해결책들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실제의 요구들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그에 부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기능 유닛들이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합될 수 있거나, 유닛들 각각이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 있거나, 2개 이상의 유닛들이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되어 있다. 통합된 유닛이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거나,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합된 유닛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서 판매 또는 사용될 때, 통합된 유닛이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들이 본질적으로, 또는 종래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이, 또는 기술적 해결책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기술된 방법들의 단계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하라고 컴퓨터 디바이스(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음) 또는 프로세서에 지시하는 몇개의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USB 플래시 드라이브, 이동식 하드 디스크,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와 같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 방식들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적 범주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안출되는 임의의 변형 또는 대체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항들의 보호 범위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Claims (45)

  1. 마이그레이션(migration) 방법으로서,
    제1 네트워크의 기지국이 사용자 장비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는
    상기 사용자 장비가 제2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 상기 사용자 장비는 상기 제1 네트워크에 대해 유휴 상태(idle state)에 있음 -; 또는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제1 네트워크는 3GPP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는 비-3GPP 네트워크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가 제2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상기 정보가 사용되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상기 정보가 상기 사용자 장비에 상기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라고 지시하기 위해, 또는 상기 사용자 장비에 상기 서비스 전송을 상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라고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시 정보(indication information)인 것을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가 제2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상기 정보가 사용되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상기 정보가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상기 서비스 전송을 상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가 제2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상기 정보가 사용되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상기 정보가 확률값을 포함하고, 상기 확률값 및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실행되는(run) 난수(random number)에 따라,ㄴ
    상기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상기 서비스 전송을 상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가 제2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상기 정보가 사용되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상기 정보가 상기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자에 따라,
    상기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상기 서비스 전송을 상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사용자 장비의 상기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의 상기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부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또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사용자 장비의 서비스 유형을 획득하는 단계; 또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사용자 장비의 기본 설정 정보(preference information)를 획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기본 설정 정보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둘 다가 상기 사용자 장비의 정상적인 통신을 지원할 수 있을 때,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액세스될 1차 선택 네트워크(first choice network)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정보가 사용되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상기 정보가 액세스 포인트의 액세스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액세스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액세스 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부하(load)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액세스하도록 허용되어 있는지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네트워크의 기지국이 사용자 장비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는
    상기 기지국이
    시스템 메시지;
    페이징 메시지; 또는
    전용 메시지 중 임의의 유형을 사용하여 상기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마이그레이션 방법으로서,
    사용자 장비가 제1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가 제2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는 단계 - 상기 사용자 장비는 상기 제1 네트워크에 대해 유휴 상태에 있음 -; 또는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는 3GPP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는 비-3GPP 네트워크인,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사용자 장비가 제1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는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정보에 따라 제2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는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상기 서비스 전송을 상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사용자 장비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는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정보에 따라 제2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상기 서비스 전송을 상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0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사용자 장비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는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확률값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정보에 따라 제2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는
    상기 확률값 및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실행되는 난수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상기 서비스 전송을 상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0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사용자 장비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는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정보에 따라 제2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는
    상기 식별자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상기 서비스 전송을 상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사용자 장비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는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액세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액세스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의 부하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액세스하도록 허용되어 있는지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는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액세스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기지국으로서,
    상기 기지국은 제1 네트워크에 위치해 있으며, 상기 기지국은
    정보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는
    상기 사용자 장비가 제2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 상기 사용자 장비는 상기 제1 네트워크에 대해 유휴 상태에 있음 -; 또는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제1 네트워크는 3GPP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는 비-3GPP 네트워크인, 기지국.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사용자 장비에 상기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라고 지시하기 위해 또는 상기 사용자 장비에 상기 서비스 전송을 상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라고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시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기지국.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상기 서비스 전송을 상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되는, 기지국.
  19. 제16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확률값을 상기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확률값은, 상기 확률값 및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실행되는 난수에 따라,
    상기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상기 서비스 전송을 상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되는, 기지국.
  20. 제16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를 상기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식별자는, 상기 식별자에 따라,
    상기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상기 서비스 전송을 상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되는, 기지국.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및
    상기 사용자 장비의 상기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의 상기 식별자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는, 기지국.
  22. 제16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부하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서비스 유형; 또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기본 설정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기본 설정 정보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둘 다가 상기 사용자 장비의 정상적인 통신을 지원할 수 있을 때,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액세스될 1차 선택 네트워크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기지국.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액세스 포인트의 액세스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따라서 상기 사용자 장비는, 상기 액세스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하며,
    상기 액세스 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부하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액세스하도록 허용되어 있는지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기지국.
  24. 제16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시스템 메시지;
    페이징 메시지; 또는
    전용 메시지 중 임의의 유형을 사용하여 상기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기지국.
  25. 사용자 장비로서,
    제1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및
    상기 수신 유닛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정보에 따라, 제2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거나 - 상기 사용자 장비는 상기 제1 네트워크에 대해 유휴 상태에 있음 -;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는 3GPP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는 비-3GPP 네트워크인, 사용자 장비.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상기 서비스 전송을 상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사용자 장비.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상기 서비스 전송을 상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사용자 장비.
  28. 제25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확률값을 수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확률값 및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실행되는 난수에 따라, 상기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상기 서비스 전송을 상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사용자 장비.
  29. 제25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를 수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식별자에 따라, 상기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상기 서비스 전송을 상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사용자 장비.
  30.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액세스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액세스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의 부하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액세스하도록 허용되어 있는지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액세스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사용자 장비.
  31. 기지국으로서,
    상기 기지국은 제1 네트워크에 위치해 있으며, 상기 기지국은
    사용자 장비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는
    상기 사용자 장비가 제2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 상기 사용자 장비는 상기 제1 네트워크에 대해 유휴 상태에 있음 -; 또는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제1 네트워크는 3GPP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는 비-3GPP 네트워크인, 기지국.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사용자 장비에 상기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라고 지시하기 위해 또는 상기 사용자 장비에 상기 서비스 전송을 상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라고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시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기지국.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상기 서비스 전송을 상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되는, 기지국.
  34. 제31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확률값을 상기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확률값은, 상기 확률값 및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실행되는 난수에 따라,
    상기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상기 서비스 전송을 상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되는, 기지국.
  35. 제31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를 상기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식별자는, 상기 식별자에 따라,
    상기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상기 서비스 전송을 상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되는, 기지국.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장비의 상기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의 상기 식별자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수신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기지국.
  37. 제31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부하 정보;
    상기 사용자 장비의 서비스 유형; 또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기본 설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기본 설정 정보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둘 다가 상기 사용자 장비의 정상적인 통신을 지원할 수 있을 때,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액세스될 1차 선택 네트워크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기지국.
  38.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액세스 포인트의 액세스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따라서 상기 사용자 장비는, 상기 액세스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하며,
    상기 액세스 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부하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액세스하도록 허용되어 있는지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기지국.
  39. 제31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시스템 메시지;
    페이징 메시지; 또는
    전용 메시지 중 임의의 유형을 사용하여 상기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기지국.
  40. 사용자 장비로서,
    제1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및
    상기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정보에 따라, 제2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거나 - 상기 사용자 장비는 상기 제1 네트워크에 대해 유휴 상태에 있음 -;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는 3GPP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는 비-3GPP 네트워크인, 사용자 장비.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상기 서비스 전송을 상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사용자 장비.
  42.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상기 서비스 전송을 상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사용자 장비.
  43. 제40항 또는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확률값을 수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확률값 및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실행되는 난수에 따라, 상기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상기 서비스 전송을 상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사용자 장비.
  44. 제40항 또는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식별자를 수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자에 따라, 상기 제2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전송을 중단하거나, 상기 서비스 전송을 상기 제1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사용자 장비.
  45.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액세스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액세스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의 부하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액세스하도록 허용되어 있는지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액세스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로 마이그레이션할지를 결정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사용자 장비.
KR1020157016461A 2012-11-30 2012-11-30 마이그레이션 방법 및 디바이스 KR1017366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2/085672 WO2014082302A1 (zh) 2012-11-30 2012-11-30 迁移方法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147A true KR20150090147A (ko) 2015-08-05
KR101736647B1 KR101736647B1 (ko) 2017-05-16

Family

ID=50827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6461A KR101736647B1 (ko) 2012-11-30 2012-11-30 마이그레이션 방법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591541B2 (ko)
EP (1) EP2916589B1 (ko)
JP (1) JP6066152B2 (ko)
KR (1) KR101736647B1 (ko)
CN (1) CN103999508B (ko)
BR (1) BR112015012315B1 (ko)
MX (1) MX344891B (ko)
RU (1) RU2604648C1 (ko)
WO (1) WO2014082302A1 (ko)
ZA (1) ZA20150388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1155A1 (ko) * 2019-11-06 2021-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및 기지국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40549B2 (en) * 2015-12-28 2021-10-05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EP3552351B1 (en) * 2016-12-07 2020-07-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migration managing module for managing a migration of a service
US10582561B2 (en) 2017-03-27 2020-03-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releasing context of user equipment in non-3GPP access network and network entity performing the same
US11160005B2 (en) 2017-08-10 2021-10-26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service path
CN112586055A (zh) * 2018-08-31 2021-03-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指示停止传输的方法、终端设备、网络设备及存储介质
KR20210004322A (ko) 2019-07-04 2021-01-13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메모리 시스템에서 맵정보 및 리드카운트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
US11422942B2 (en) 2019-04-02 2022-08-23 SK Hynix Inc. Memory system for utilizing a memory included in an external device
KR20200123684A (ko) 2019-04-22 2020-10-3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메모리 시스템에서 맵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
US11416408B2 (en) 2019-07-05 2022-08-16 SK Hynix Inc. Memory system, memory controller and method for operating memory system
KR20200137181A (ko) 2019-05-29 2020-12-09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메모리 시스템에서 맵정보를 전송하는 장치
KR20200139433A (ko) 2019-06-04 2020-12-14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컨트롤러의 동작 방법 및 메모리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59934A1 (en) * 2007-06-20 2010-06-24 Mika Forssell Controlling handover
US20100291863A1 (en) * 2003-02-24 2010-11-18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System Detection and Selection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90498B2 (en) * 2004-07-28 2012-10-16 Broadcom Corporation Mobile handoff through multi-network simulcasting
JP4630706B2 (ja) * 2005-03-31 2011-02-09 富士通株式会社 サービス装置、サービス装置によるクライアント装置の接続先切替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70026866A1 (en) 2005-05-27 2007-02-01 Govindarajan Krishnamurthi Mobile nod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handing off from one type of network to another type of network
US20070224988A1 (en) 2006-03-24 2007-09-2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handover procedure between a 3gpp lte network and an alternative wireless network
FR2905551B1 (fr) * 2006-09-06 2009-01-23 Alcatel Sa Procede de gestion des connexions entre un terminal sans fil et des interfaces d'acces
FI20060936A0 (fi) * 2006-10-24 2006-10-24 Nokia Corp Menetelmä kanavanvaihtojen suorittamiseksi viestintäjärjestelmässä
US8095175B2 (en) * 2006-10-26 2012-01-10 Mcmaster University WLAN-to-WWAN handover methods and apparatus using a WLAN support node having a WWAN interface
WO2009009519A1 (en) * 2007-07-09 2009-01-1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ver and session continuity using pre-registration tunneling procedure
CN101505510B (zh) * 2008-02-04 2011-02-02 华为技术有限公司 宏小区到私有小区的切换方法及其宏网络系统
US8140089B2 (en) * 2008-05-19 2012-03-20 Intel Corporation Network selection for multiple network platforms
CN101772106B (zh) * 2008-12-30 2012-08-08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路径的控制方法和系统、移动性管理网元和终端
US8391141B2 (en) * 2009-06-18 2013-03-0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a network access system
EP2317822A1 (en) * 2009-10-29 2011-05-04 Panasonic Corporation Enhancement of the attachement procedure for re-attaching a UE to a 3GPP access network
CN101841880B (zh) * 2010-05-14 2012-07-04 华中科技大学 一种lte和wlan的互连系统和切换方法
US8812001B2 (en) * 2010-05-25 2014-08-1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ual mode terminal for supporting access in different network, network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5300912B2 (ja) 2011-04-26 2013-09-2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基地局及び基地局が実行する方法
CN102223677B (zh) * 2011-07-04 2014-02-12 重庆邮电大学 一种基于iasa负载均衡装置的切换方法及切换系统
US9749933B2 (en) * 2012-06-29 2017-08-29 Cable Television Laboratories, Inc. Dynamic network selec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91863A1 (en) * 2003-02-24 2010-11-18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System Detection and Selection
US20100159934A1 (en) * 2007-06-20 2010-06-24 Mika Forssell Controlling handov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1155A1 (ko) * 2019-11-06 2021-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및 기지국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220028134A (ko) * 2019-11-06 2022-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및 기지국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1503886B (en) 2016-05-25
WO2014082302A1 (zh) 2014-06-05
MX2015006682A (es) 2015-08-05
BR112015012315A2 (pt) 2017-07-11
MX344891B (es) 2017-01-10
EP2916589A1 (en) 2015-09-09
EP2916589B1 (en) 2018-08-22
KR101736647B1 (ko) 2017-05-16
CN103999508A (zh) 2014-08-20
EP2916589A4 (en) 2015-12-23
JP6066152B2 (ja) 2017-01-25
CN103999508B (zh) 2019-09-03
US20150257070A1 (en) 2015-09-10
RU2604648C1 (ru) 2016-12-10
BR112015012315B1 (pt) 2022-09-06
JP2015535670A (ja) 2015-12-14
US9591541B2 (en) 2017-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6647B1 (ko) 마이그레이션 방법 및 디바이스
EP3298827B1 (en) Prioritization for wlan access for lte managing wlan connectivity
KR20190135518A (ko) 액세스 카테고리 및 확립 원인
US20210160240A1 (en) Access category handl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O2014110777A1 (en) Information exchange for cellular non-cellular interworking
WO2013088398A1 (en)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JP6997861B2 (ja) 状態遷移または初期アクセスの間に許可されたビームを示すビーム構成
KR20210065114A (ko) 랜덤 액세스 방법 및 장치, 네트워크 디바이스, 단말기
KR20140084109A (ko) 불연속 수신
WO2013155672A1 (en) Method for avoiding interference between clusters of communication devices offloaded to unlicensed spectrum
CN111434145B (zh) 用于跨带宽部分进行负载平衡的方法和设备
CA2890611A1 (en) An entity and a method of operating an entity of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84473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hidden common enhanced dedicated channel resources
KR102460264B1 (ko) 통신 네트워크에서 d2d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CN108432293B (zh) 终端设备、网络设备、选择小区的方法和无线通信系统
JP2024038289A (ja) レガシ新無線デバイスとのレデューストケイパビリティデバイスの共存のためのネットワーク構成オプション
WO2014131176A1 (zh) 无线通信方法和设备
EP2676506B1 (en) Detecting a level of use in a communications network
RU2690778C1 (ru) Способы установления соответствия cif и обслуживающих сот
WO2021233527A1 (en) Multiple subscription management for user equipment with single receive chain
US10051539B2 (en) Access network offloading method, device, and system
CN114631398A (zh) 一种通信方法,通信装置及通信系统
WO2016020005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er-ue basis traffic steering in wlan-3gpp interworking
CN114982334A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终端设备
GB2574016A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