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9736A - 동작인식 센서가 구비된 디아이디 장치 - Google Patents

동작인식 센서가 구비된 디아이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9736A
KR20150089736A KR1020140010704A KR20140010704A KR20150089736A KR 20150089736 A KR20150089736 A KR 20150089736A KR 1020140010704 A KR1020140010704 A KR 1020140010704A KR 20140010704 A KR20140010704 A KR 20140010704A KR 20150089736 A KR20150089736 A KR 20150089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recognition sensor
display unit
motion recogni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0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효현
이수민
오승수
Original Assignee
인하공업전문대학산학협력단
(주)에이투티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공업전문대학산학협력단, (주)에이투티소프트 filed Critical 인하공업전문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10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9736A/ko
Publication of KR20150089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97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작인식 센서가 구비된 디아이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제어장치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디아이디 장치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내용을 용이하게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아이디 장치와 일정거리 이상을 떨어져 있어도 안정적으로 디아이디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동작인식 센서가 구비된 디아이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정보를 화면으로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아이디 장치(DID, digital information dilplay)에 있어서, 상기 디아이디 장치에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인식 센서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동작인식 센서가 구비된 디아이디 장치{DID(digital information dilplay) with motion recognition sensor}
본 발명은 동작인식 센서가 구비된 디아이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제어장치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디아이디 장치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내용을 용이하게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아이디 장치와 일정거리 이상을 떨어져 있어도 안정적으로 디아이디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동작인식 센서가 구비된 디아이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발달과 인터넷 서비스의 발달로 인해 광고 영역이 확장되고 광고 방식 또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가고 있는데, 특히, 인터넷의 발달과 더불어 가장 발전되고 있는 광고 방식 중 하나가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를 이용한 전자액자 시스템을 이용한 광고 방식이다.
이러한 DID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은 다수의 DID 클라이언트, DID 관리서버 및 컨텐츠 서버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DID 클라이언트는 컨텐츠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설정된 방식에 따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의도한 광고와 같은 목적을 달성한다.
그런데, 하나의 DID 관리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DID 클라이언트는 다수이며, 다수의 DID 클라이언트를 관리자가 오프라인 상에서 개별적으로 설치 및 등록하게 되면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된다.
또한, 관리자가 DID 클라이언트를 잘못 설치하는 경우, 시스템 오류 및 이를 수정하기 위해 불필요하게 많은 시간이 낭비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DID 관리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다수의 DID 클라이언트가 설치된 장소나, 설치된 장소에서 영위되는 영업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동일한 컨텐츠나 단순 스케쥴에 따른 광고를 제공하는 것은 광고 효과를 극대화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제10-1186861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통신망을 통해 DID 관리서버(20)와 연결된 DID 클라이언트(10)의 초기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DID 클라이언트(10)가 DID ID를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DID ID를 보유하지 않은 경우, 상기 DID 클라이언트(10)의 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요청을 상기 DID 관리서버(20)로 전송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DID 클라이언트(10)는 상기 DID 관리서버(20)의 접속정보 및 상기 DID 클라이언트(10)의 장치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음-; 상기 DID 관리서버(20)가 상기 장치정보가 미리 저장된 DID 테이블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상기 장치정보가 상기 DID 테이블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DID 관리서버(20)가 DID ID를 생성하여 상기 DID 클라이언트(10)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장치정보는 상기 DID 클라이언트(10)의 MAC 어드레스 또는 시리얼 번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등록특허 제10-1186861호에 기재된 기술은 DID 클라이언트(10)를 시스템 상에서 자동으로 설치 및 등록하도록 하는 장점은 있으나, DID 클라이언트(10)에서 출력되는 영상은 일괄적으로 출력만 가능한 것으로, DID 클라이언트(10)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별도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제어장치를 사용하여야 제어가 가능하여, 제어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종 정보를 화면으로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와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외부 장비 및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과 각 부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디아이디 장치에 동작인식 센서를 구비하여, 동작인식 센서에 감지되는 사용자의 움직임 및 손동작에 따라 디스플레이부로 출력되는 화면을 제어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용이하게 출력할 수 있는 동작인식 센서가 구비된 디아이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아이디 장치를 구성하는 통신모듈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 기기(예를 들면, 스마트폰이나 스마트 패드, 또는 태블릿 PC 등)와 연동시켜, 디아이디 장치로 출력되는 영상을 스마트 기기에서도 동일하게 출력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디아이디 장치에서 일정거리 멀어져 동작인식센서가 감지할 수 없게 될 경우, 스마트 기기를 제어하여 화면을 제어하게 되면, 제어신호가 디아이디 장치의 통신모듈로 전송되어 디아이디 장치의 화면도 동일하게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디아이디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동작인식 센서가 구비된 디아이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아이디 장치에 별도의 입력수단을 구비하여 저장부에 사용자가 설정한 동작 및 손모양을 저장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영상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을 직접 설정하여, 보다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동작인식 센서가 구비된 디아이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정보를 화면으로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아이디 장치(DID, digital information dilplay)에 있어서, 상기 디아이디 장치에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인식 센서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디아이디 장치에는 저장부가 구비되되, 상기 저장부는 동작인식 센서에서 감지한 동작에 따라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가 매칭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디아이디 장치에는 통신모듈이 더 구비되고, 상기 통신모듈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와 통신으로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로 출력되는 영상을 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전자기기로 전송하여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자기기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되는 화면을 전자기기의 기능을 사용하여 제어할 경우, 화면을 제어하는 제어신호가 상기 통신모듈로 전송되어, 제어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부로 출력되는 화면을 전자기기의 화면과 동일하게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각종 정보를 화면으로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와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외부 장비 및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과 각 부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디아이디 장치에 동작인식 센서를 구비하여, 동작인식 센서에 감지되는 사용자의 움직임 및 손동작에 따라 디스플레이부로 출력되는 화면을 제어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용이하게 출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디아이디 장치를 구성하는 통신모듈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 기기(예를 들면, 스마트폰이나 스마트 패드, 또는 태블릿 PC 등)와 연동시켜, 디아이디 장치로 출력되는 영상을 스마트 기기에서도 동일하게 출력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디아이디 장치에서 일정거리 멀어져 동작인식센서가 감지할 수 없게 될 경우, 스마트 기기를 제어하여 화면을 제어하게 되면, 제어신호가 디아이디 장치의 통신모듈로 전송되어 디아이디 장치의 화면도 동일하게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디아이디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아이디 장치에 별도의 입력수단을 구비하여 저장부에 사용자가 설정한 동작 및 손모양을 저장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영상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을 직접 설정하여, 보다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아이디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디아이디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인식 센서가 구비된 디아이디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인식 센서가 구비된 디아이디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인식 센서가 구비된 디아이디 장치의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인식 센서가 구비된 디아이디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인식 센서가 구비된 디아이디 장치의 블럭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인식 센서가 구비된 디아이디 장치의 블럭도이다.
본 발명은 동작인식 센서가 구비된 디아이디 장치(100)에 관한 것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이미지와 각종 정보를 화면으로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20)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40)와 동작을 인식하기 위한 동작인식 센서(15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20), 저장부(140) 및 동작인식 센서(15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컴퓨터 등에 사용되는 모니터나 TV, 또는 전자칠판과 같은 화면 출력이 가능한 장치나 별도로 제작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된 정보를 제어부(110)에서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로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동작인식 센서(150)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어떠한 동작을 취하는 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사용자의 몸 전체의 동작 또는 신체의 일부인 손의 동작을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동작인식 센서(150)에서 감지한 동작을 수신받아, 해당 동작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디스플레이부(120)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저장부(140)에는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하여 출력하기 위한 이미지 및 다양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취할 동작 또는 신체의 일부인 손 모양 등과 본 발명의 디아이디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을 매칭하여 저장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동작인식 센서(150)에서 사용자의 동작이나 손의 모양을 감지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하면, 제어부(110)에서는 전송된 정보와 저장부(140)에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매칭되는 기능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부(120)에 출력되는 화면을 제어하게 된다.
물론, 디스플레이부(120)에 출력되는 화면뿐만 아니라, 스피커(미도시)나 다른 별도의 장치가 구비된 경우, 각각의 장치를 제어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아이디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20), 저장부(140), 동작인식 센서(150) 뿐만 아니라 통신모듈(130)이 더 구비되는데, 디아이디 장치(10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이미지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20)에 출력할 뿐만 아니라, 상기 통신모듈(130)을 통하여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네트워크 망을 통하여 수신된 이미지나 정보 등도 디스플레이부(120)로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즉, 디아이디 장치(100)는 별도로 저장부(140)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네트워크망이나 별도의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는 외부의 서버(미도시)로부터 이미지나 정보 등을 수신하도록 하여,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0)로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통신모듈(130)은 통신망이나 네트워크망뿐만 아니라 각 기기를 연결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여,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패드와 같은 전자기기(200)와 통신으로 연동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디아이디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20)로 출력되는 화면은 통신모듈(130)을 통하여 전자기기(200)로 전송되게 되며, 이렇게 전송된 정보는 전자기기(200)의 화면으로 출력되게 된다.
그래서, 사용자는 디아이디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20)가 보이지 않는 위치에서도 디아아디 장치(100)가 출력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전자기기(200)를 직접 제어하여 출력되는 화면을 좌우로 이동시키거나 상하로 이동시키는 등의 화면제어를 할 경우, 전자기기(200)는 이러한 화면을 제어하는 정보를 디아이디 장치(100)의 통신모듈(130)로 전송하게 되고, 디아이디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통신모듈(130)로 수신되는 화면 제어 정보를 판독하여 디아이디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 동일하게 적용하도록 한다.
그래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20)가 보이지 않더라도 출력되는 화면을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작인식 센서(150)에서 감지할 수 있는 범위에 벗어나더라도, 전자기기(100)를 사용하여 화면의 출력을 안정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동작인식 센서가 구비된 디아이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제어장치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디아이디 장치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내용을 용이하게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아이디 장치와 일정거리 이상을 떨어져 있어도 안정적으로 디아이디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동작인식 센서가 구비된 디아이디 장치에 관한 것이다.
100 : 디아이디 장치 110 : 제어부
120 : 디스플레이부 130 : 통신모듈
140 : 저장부 150 : 동작인식 센서
200 : 전자기기

Claims (5)

  1. 정보를 화면으로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아이디 장치(DID, digital information dilplay)에 있어서,
    상기 디아이디 장치에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인식 센서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인식 센서가 구비된 디아이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아이디 장치에는 저장부가 구비되되,
    상기 저장부는 동작인식 센서에서 감지한 동작에 따라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가 매칭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인식 센서가 구비된 디아이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아이디 장치에는 통신모듈이 더 구비되고,
    상기 통신모듈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와 통신으로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인식 센서가 구비된 디아이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로 출력되는 영상을 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전자기기로 전송하여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인식 센서가 구비된 디아이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되는 화면을 전자기기의 기능을 사용하여 제어할 경우, 화면을 제어하는 제어신호가 상기 통신모듈로 전송되어, 제어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부로 출력되는 화면을 전자기기의 화면과 동일하게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인식 센서가 구비된 디아이디 장치.
KR1020140010704A 2014-01-28 2014-01-28 동작인식 센서가 구비된 디아이디 장치 KR201500897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704A KR20150089736A (ko) 2014-01-28 2014-01-28 동작인식 센서가 구비된 디아이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704A KR20150089736A (ko) 2014-01-28 2014-01-28 동작인식 센서가 구비된 디아이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736A true KR20150089736A (ko) 2015-08-05

Family

ID=53886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0704A KR20150089736A (ko) 2014-01-28 2014-01-28 동작인식 센서가 구비된 디아이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973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1894B1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면 공유 방법
US20170242480A1 (en) Docking system
RU2015109753A (ru) Гибкое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KR102047498B1 (ko) 노킹 입력에 기초하여 객체를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614006B1 (ko) 전자 정보 라벨 시스템
JPWO2016152502A1 (ja) 映像信号監視方法、映像信号監視装置、および表示装置
US100424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of digital signage content on a mobile terminal using a server
KR20150072934A (ko) 전자 태그, 전자 선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20076673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00119143A (ko)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터치 센서의 구동 방법
US20130194270A1 (en) Remote Graphics Corresponding to Region
CN106133718B (zh) 包括音频设备和用于显示关于音频设备的信息的移动设备的系统
KR20190026253A (ko) 디스플레이 장치, 컨텐츠 관리 장치, 컨텐츠 관리 시스템 및 컨텐츠 관리 방법
US2014027401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cellular enabled content playback device
KR20210100939A (ko) 터치 센서 ic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615330B1 (ko) 광고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CN115129287A (zh) 配置多个显示器的方法和装置
KR20150089736A (ko) 동작인식 센서가 구비된 디아이디 장치
US9032287B2 (en) Systems and methods of modifying a web page based on environmental factors
CN101847239A (zh) 一种智能试衣系统、方法及人机交互装置
JP2014183526A (ja) 表示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
US20180295476A1 (en) Location-based Services
US201903331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ndering price information
US11275910B2 (en) Object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KR102534565B1 (ko)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