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6253A - 디스플레이 장치, 컨텐츠 관리 장치, 컨텐츠 관리 시스템 및 컨텐츠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컨텐츠 관리 장치, 컨텐츠 관리 시스템 및 컨텐츠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6253A
KR20190026253A KR1020170112749A KR20170112749A KR20190026253A KR 20190026253 A KR20190026253 A KR 20190026253A KR 1020170112749 A KR1020170112749 A KR 1020170112749A KR 20170112749 A KR20170112749 A KR 20170112749A KR 20190026253 A KR20190026253 A KR 20190026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mage
color
identification color
conten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2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원
김영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2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6253A/ko
Priority to US16/119,528 priority patent/US20190075370A1/en
Priority to DE112018004788.1T priority patent/DE112018004788T5/de
Priority to PCT/KR2018/010222 priority patent/WO2019045543A1/en
Publication of KR20190026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2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stream encryption, e.g. re-encrypting a decrypted video stream for redistribution in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15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involving a public display, viewable by several users in a public space outside their home, e.g. movie theatre, information kios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8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watermark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14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04N21/2407Monitoring of transmitted content, e.g. distribution time, number of downlo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04Monitoring of content usage, e.g.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copied or the amount which has been watch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2Data stored in the client, e.g. viewing habits, hardware capabilities, credit card num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컨텐츠마다 고유의 색상을 부여하고, 컨텐츠 영상과 고유의 색상을 이용하여 생성된 컨텐츠 식별 색상을 해당 컨텐츠 영상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함으로써 컨텐츠의 재생 여부를 확인 가능하게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컨텐츠 관리 장치, 컨텐츠 관리 시스템 및 컨텐츠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컨텐츠 영상 및 상기 컨텐츠 영상에 부여된 고유 색상과 상기 컨텐츠 영상을 이용하여 생성된 컨텐츠 식별 색상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컨텐츠 영상을 재생하고,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 영상 위에 상기 컨텐츠식별 색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컨텐츠 영상 위에 표시되는 컨텐츠 식별 색상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컨텐츠 관리 장치, 컨텐츠 관리 시스템 및 컨텐츠 관리 방법{DISPLAY APPARATUS, CONTENTS MANAGING APPARATUS, CONTENTS MANAGING SYSTEM AND CONTENTS MANAGING METHOD}
개시된 발명은 컨텐츠의 재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컨텐츠 관리 장치, 컨텐츠 관리 시스템 및 컨텐츠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잠재적인 소비자에게 광고를 제공하는 방식으로는, 방송 신호에 광고를 삽입하는 방식, 옥외에 설치된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LFD: Large Format Display)를 통해 광고 영상을 재생하는 방식 등이 있다.
전자의 경우, 공중파 TV나 케이블 TV의 프로그램들 사이에 광고 영상이 재생되어 TV를 시청할 수 있는 환경이면 어디에서든지 소비자에게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는, 지하철역, 영화관, 버스 정류장, 쇼핑몰 등과 같이 유동 인구가 많은 곳에 설치된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LFD: Large Format Display)를 통해 광고 영상을 재생하여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 주변의 소비자에게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마다 고유의 색상을 부여하고, 컨텐츠 영상과 고유의 색상을 이용하여 생성된 컨텐츠 식별 색상을 해당 컨텐츠 영상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함으로써 컨텐츠의 재생 여부를 확인 가능하게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컨텐츠 관리 장치, 컨텐츠 관리 시스템 및 컨텐츠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컨텐츠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컨텐츠 영상을 재생하고,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 영상 위에 상기 컨텐츠영상을 식별하는 컨텐츠 식별 색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측에 장착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영상의 재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재생 확인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컨텐츠 영상 위에 표시되는 컨텐츠 식별 색상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영상의 적어도 일 영역에 대한 대표 픽셀 값과 상기 컨텐츠 영상에 부여된 고유 색상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식별 색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는, 상기 컨텐츠 영상에 부여된 고유 색상과 상기 컨텐츠 영상을 이용하여 생성된 상기 컨텐츠 식별 색상을 더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식별 색상과 상기 감지부의 출력을 비교하여 상기 재생 확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식별 색상은, 상기 컨텐츠 영상에 포함되는 복수의 프레임 영상 각각에 대한 복수의 컨텐츠 식별 색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프레임 영상이 표시될 때, 상기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에 대한 컨텐츠 식별 색상을 상기 프레임 영상 위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의 출력과 상기 컨텐츠 식별 색상을 상기 복수의 프레임 별로 비교하여 일치 또는 불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재생 확인 데이터는 상기 일치 또는 불일치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생 확인 데이터를 컨텐츠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컨텐츠 식별 색상을 미리 정해진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컨텐츠 식별 색상이 표시되는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테두리에 돌출 및 수렴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신부는, 상기 컨텐츠 영상이 재생될 시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타임 스케줄을 더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식별 색상 및 상기 타임 스케줄을 상기 감지부의 출력 및 상기 감지부의 출력 시간과 비교하여 상기 재생 확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컨텐츠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컨텐츠 영상을 재생하고,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 영상 위에 상기 컨텐츠영상을 식별하는 컨텐츠 식별 색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측에 장착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출력을 컨텐츠 관리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컨텐츠 영상 위에 표시되는 컨텐츠 식별 색상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영상의 적어도 일 영역에 대한 대표 픽셀 값과 상기 컨텐츠 영상에 부여된 고유 색상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식별 색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컨텐츠 영상에 부여된 고유 색상과 상기 컨텐츠 영상을 이용하여 생성된 상기 컨텐츠 식별 색상을 더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식별 색상은, 상기 컨텐츠 영상에 포함되는 복수의 프레임 영상 각각에 대한 복수의 컨텐츠 식별 색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프레임 영상이 표시될 때, 상기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에 대한 컨텐츠 식별 색상을 상기 프레임 영상 위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테두리에 돌출 및 수렴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은, 컨텐츠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 영상을 재생하고; 상기 컨텐츠 영상을 재생할 때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 영상 위에 상기 컨텐츠영상을 식별하는 컨텐츠 식별 색상을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측에 장착된 감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영상 위에 표시되는 컨텐츠 식별 색상을 감지하고; 상기 표시되는 컨텐츠 식별 색상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영상의 재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재생 확인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컨텐츠 관리 방법은, 상기 컨텐츠 영상에 부여된 고유 색상과 상기 컨텐츠 영상을 이용하여 생성된 상기 컨텐츠 식별 색상을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관리 방법은, 상기 컨텐츠 영상의 적어도 일 영역에 대한 대표 픽셀 값과 상기 컨텐츠 영상에 부여된 고유 색상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식별 색상을 생성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생 확인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은, 상기 컨텐츠 식별 색상과 상기 감지부의 출력을 비교하여 일치 또는 불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식별 색상을 생성하는 것은, 상기 컨텐츠 영상에 포함되는 복수의 프레임 영상 각각에 대한 복수의 컨텐츠 식별 색상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식별 색상을 표시하는 것은, 상기 프레임 영상이 표시될 때, 상기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에 대한 컨텐츠 식별 색상을 상기 프레임 영상 위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컨텐츠 관리 장치, 컨텐츠 관리 시스템 및 컨텐츠 관리 방법에 의하면, 컨텐츠마다 고유의 색상을 부여하고, 컨텐츠 영상과 고유의 색상을 이용하여 생성된 컨텐츠 식별 색상을 해당 컨텐츠 영상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함으로써 컨텐츠의 재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5는 컨텐츠 별로 부여되는 고유 색상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컨텐츠 식별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컨텐츠 영상으로부터 추출하는 정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장치가 생성하는 정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컨텐츠 식별 색상을 표시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마련되는 감지부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컨텐츠 관리 장치가 서버와 관리자 컴퓨터를 포함하는 경우에 대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컨텐츠 관리 장치가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관리자 컴퓨터, 서버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정보를 처리하고, 정보를 송수신하는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관리자 컴퓨터, 서버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정보를 처리하고, 정보를 송수신하는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관리자 컴퓨터, 서버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정보를 처리하고, 정보를 송수신하는 또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관리자 컴퓨터, 서버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정보를 처리하고, 정보를 송수신하는 또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방법의 일 예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방법의 다른 예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함을 표현하고자 하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의 추가적인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상기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어들은 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발명의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첨부된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의 예시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건물 옥상이나 버스 정류장과 같은 옥외에 설치되는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LFD)일 수 있다. 여기서, 옥외는 반드시 야외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하철역, 쇼핑몰, 영화관, 회사, 상점 등 실내이더라도 다수의 사람들이 드나들 수 있는 곳이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액정 크리스탈 디스플레이(LCD)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패널 등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 패널 중 하나를 채용한 디스플레이부(110, 도 3 참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당해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채용하는 패널의 종류에 대해 제한을 두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컨텐츠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관리자는 광고주와의 계약을 통해 광고주가 제공하는 컨텐츠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이 경우, 광고주가 제공하는 컨텐츠 영상은 특정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재생되므로, 원격지의 광고주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컨텐츠 영상이 제대로 재생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수단이 요구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 영상을 식별할 수 있는 컨텐츠 식별 색상을 컨텐츠 영상 위에 오버레이(Overlay)하여 표시하고, 이를 감지함으로써 컨텐츠 영상의 재생 여부를 확인 가능하게 한다. 이하, 컨텐츠 영상의 재생 여부 확인과 관련된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 관리 장치(200)로부터 컨텐츠 신호 및 컨텐츠 식별 정보 등의 컨텐츠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130), 수신된 컨텐츠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40), 컨텐츠 영상을 재생하고 컨텐츠 식별 정보를 컨텐츠 영상 위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10), 표시된 컨텐츠 식별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150)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컨텐츠 관리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재생되는 컨텐츠를 관리하는 장치이다. 컨텐츠 관리 장치(200)는 원격지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관리자 컴퓨터이거나 서버일 수 있으며, 관리자 컴퓨터와 서버를 모두 포함하는 장치일 수도 있다.
여기서,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시스템(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컨텐츠 관리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관리 장치(200)가 컨텐츠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통신부(130)에 전송하면, 저장부(140)는 수신된 컨텐츠 관련 정보를 저장한다. 일정 기간 동안 단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재생되는 컨텐츠 영상은 복수 개 일 수 있고, 저장부(140)는 복수의 컨텐츠마다 관련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컨텐츠 관련 정보는 재생될 컨텐츠 영상, 컨텐츠 영상이 재생될 시점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타임 스케줄, 컨텐츠 영상을 식별하기 위한 컨텐츠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영상은 광고주로부터 제공된 광고 영상일 수 있고, 광고 영상은 동영상일 수도 있고, 정지 영상일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타임 스케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하여 컨텐츠 영상을 재생시킨다. 이 때, 제어부(120)는 재생되는 컨텐츠 영상 위의 미리 지정된 영역에 해당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컨텐츠 식별 정보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감지부(150)는 컨텐츠 영상 위에 표시된 컨텐츠 식별 정보를 감지한다. 이를 위해, 감지부(150)는 컨텐츠 식별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감지부(150)의 감지 결과, 즉 감지부(150)의 출력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에 미리 정해진 컨텐츠 영상이 재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재생 확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20)가 획득한 재생 확인 데이터는 통신부(130)를 통해 컨텐츠 관리 장치(200)로 전송될 수 있다. 광고주는 컨텐츠 관리 장치(200)를 통해 재생 확인 데이터를 열람하고, 자신이 의뢰한 컨텐츠가 미리 정해진 시간에 재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전술한 동작 외에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별도의 언급이 없더라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가 수행하는 동작은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120)는 전술한 동작 및 후술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이와 관련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와,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단일의 메모리와 단일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도 있고, 복수의 메모리와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에 집적될 수도 있고,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도 있다.
통신부(130)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4세대 이동통신, 5세대 이동통신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으로 인터넷망과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컨텐츠 관리 장치(200)로부터 컨텐츠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컨텐츠 관리 장치(200)에 감지부(150)의 출력 또는 재생 확인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가 손실되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40)는 대용량 플래시 메모리 또는 반도체 소자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SS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에는 컨텐츠 관련 정보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휘발성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에는 데이터 처리나 연산을 위해 일시적으로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이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장치와 함께, 컨텐츠 식별 정보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며, 도 5는 컨텐츠 별로 부여되는 고유 색상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컨텐츠 식별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컨텐츠 영상으로부터 추출하는 정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장치(200)는 컨텐츠 별로 부여된 고유 색상과 해당 컨텐츠 영상을 이용하여 컨텐츠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220), 컨텐츠 영상을 컨텐츠 식별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송하는 통신부(230), 컨텐츠 영상과 컨텐츠 식별 정보를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저장부(240),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력부(212) 및 디스플레이부(211)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 관리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관리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재생될 컨텐츠를 관리하기 위해 마련되는 콘솔, 워크스테이션, 호스트 장치 등으로 지칭되는 관리자 컴퓨터일 수도 있고, 서버일 수도 있으며, 관리자 컴퓨터와 서버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컨텐츠 관리 장치(2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관리할 수 있는바,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어떤 컨텐츠 영상을 언제 재생할 것인지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컨텐츠 재생 확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컨텐츠마다 고유 색상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컨텐츠마다 자동으로 고유 색상을 부여하여 설정할 수도 있고, 입력부(212)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설정할 수도 있다.
동일한 광고주에 의해 제공되는 것이라도 별개의 컨텐츠이면 서로 다른 고유의 색상이 부여될 수 있고, 동일한 제품에 대한 것이라도 별개의 컨텐츠이면 서로 다른 고유의 색상이 부여될 수 있다. 즉, 고유의 색상은 컨텐츠 각각에 대해 부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RGB 색 공간, CMYK 색 공간, HSV 색 공간, CIE XYZ 색 공간 등을 이용하여 컨텐츠마다 고유 색상을 부여할 수 있다.
고유 색상은 색상 값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특정 색 공간에서의 색 좌표 또는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16진수 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일 예로, RGB 색 공간을 사용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색은 삼원색을 기준선으로 하는 삼차원 직교 좌표계의 한 점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정은 좌표(0,0,0)으로 나타낼 수 있다.
제어부(220)는 A 컨텐츠에는 좌표 CA(xA,yA,zA)로 표현되는 색을 고유 색상으로 부여하고, B 컨텐츠에는 좌표 CB(xB,yB,zB)로 표현되는 색을 고유 색상으로 부여하고, C 컨텐츠에는 좌표 CC(xC,yC,zC)로 표현되는 색을 고유 색상으로 부여하고, D 컨텐츠에는 좌표 CD(xD,yD,zD)로 표현되는 색을 고유 색상으로 부여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컨텐츠 영상과 해당 컨텐츠에 부여된 고유 색상을 이용하여 컨텐츠 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식별 정보는 컨텐츠 영상의 픽셀 값과 해당 컨텐츠 영상에 부여된 고유 색상의 색상 값을 이용하여 계산된 컨텐츠 식별 색상일 수 있다. 여기서, 색상 값은 해당 색상의 좌표 값 또는 좌표 값 정보를 포함하는 16진수 등 해당 색상을 나타낼 수 있는 값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컨텐츠 영상의 일정 영역으로부터 추출된 픽셀 값을 이용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의 예시와 같이, 제어부(220)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프레임 영상(Fn)의 미리 정해진 세 개의 영역(R1, R2, R3) 또는 다섯 개의 영역(R1, R2, R3, R4, R5)으로부터 픽셀 값을 추출할 수 있다. 픽셀 값 역시 색 공간에서의 색상 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
각각의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픽셀이 포함될 수 있다. 단일 영역에 2 이상의 픽셀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픽셀 값을 합산하거나, 평균하는 등의 방식으로 조합하여 해당 영역의 대표 픽셀 값을 계산한다.
또한, 제어부(220)는 각 영역의 대표 픽셀 값을 평균하거나 합산하는 등의 방식으로 조합하여 해당 프레임 영상(Fn)의 대표 픽셀 값을 계산한다.
제어부(220)는 프레임 영상(Fn)의 대표 픽셀 값을 고유 색상의 색상 값과 조합하여 컨텐츠 식별 색상을 생성할 수 있다. 대표 픽셀 값과 고유 색상 값의 조합 역시 합산, 평균 등 다양한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영상이 동영상인 경우, 컨텐츠 영상은 복수의 프레임 영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220)는 매 프레임마다 대표 픽셀 값을 계산하고, 대표 픽셀 값을 고유 색상 값과 조합하여 컨텐츠 식별 색상을 생성할 수도 있고, 일정 시간 간격의 프레임마다 컨텐츠 식별 색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제어부(220)는 생성된 컨텐츠 식별 색상의 색상 값을 그에 대응되는 프레임과 매칭시켜 테이블 형태의 식별 색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장치가 생성하는 정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매 프레임마다 컨텐츠 식별 색상을 생성하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20)는 A광고의 컨텐츠 영상을 구성하는 각각의 프레임 별로 컨텐츠 식별 색상을 생성하고, B광고의 컨텐츠 영상을 구성하는 각각의 프레임 별로 컨텐츠 식별 색상을 생성하고, C광고의 컨텐츠 영상을 구성하는 각각의 프레임 별로 컨텐츠 식별 색상을 생성할 수 있다.
컨텐츠 관리 장치(200)의 저장부(240)는 각 광고에 대한 컨텐츠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할 수 있다.
컨텐츠 관리 장치(200)가 관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복수인 경우에는, 각각의 컨텐츠 영상을 어느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재생할 것인지에 관한 정보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하나의 컨텐츠 영상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재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저장부(240)는 컨텐츠 별로 재생될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정보, 타임 스케줄, 컨텐츠 식별 색상에 관한 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 별로 재생할 컨텐츠 신호, 타임 스케줄, 컨텐츠 식별 색상에 관한 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컨텐츠 식별 색상에 관한 정보는 해당 컨텐츠에 대한 식별 색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재생될 광고의 컨텐츠 관련 정보를 전송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 관련 정보는 컨텐츠 영상, 타임 스케줄, 컨텐츠 식별 정보(식별 색상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컨텐츠 식별 색상을 표시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 및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마련되는 감지부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컨텐츠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할 때 해당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식별 색상을 나타내는 식별 색상 마크(111)를 컨텐츠 영상의 일 영역 위에 오버레이하여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식별 색상 마크(111)는 컨텐츠 식별 색상 자체를 나타낼 수 있다. 식별 색상 마크(111)는 컨텐츠 식별 색상을 갖는 특정 형상이나 패턴일 수 있다. 또는, 식별 색상 마크(111)가 컨텐츠 식별 색상의 색상 값을 나타내는 숫자, 패턴, 코드 등을 포함 것도 가능하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10)는 매 프레임마다 해당 프레임에 대한 식별 색상 마크(111)를 표시할 수도 있고, 일정 간격을 두고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가 60HZ인 경우에, 1초에 60개의 프레임을 표시하면서 매 프레임마다 식별 색상 마크(111)를 표시할 수도 있고, 10개의 프레임 당 하나에만 식별 색상 마크(111)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감지부(150)는 식별 색상 마크(111)가 표시되는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식별 색상 마크(111)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감지부(150)는 광센서를 채용할 수 있으며, 특히 색을 인식할 수 있는 컬러 센서, 영상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컬러 센서를 사용할 경우, 저비용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현할 수 있다.
감지부(150)는 색을 인식할 수만 있으면 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실시예에서는 감지부(150)의 종류에 대해 제한을 두지 않는다.
감지부(15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측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감지부(15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테두리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15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지지하는 하우징(101)에 마련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영역에 표시되는 식별 색상 마크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이면 되고, 감지부(150)가 마련되는 위치에 다른 제한은 두지 않는다.
구체적인 예로, 감지부(150)는 하우징(101)으로부터 돌출되어 식별 색상 마크(111)가 표시되는 영역을 마주보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감지부(150)가 항상 돌출 상태를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1) 내부로 수렴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식별 색상 마크(111)의 감지가 필요한 때에는 감지부(150)를 돌출시키고 그렇지 않은 때에는 감지부(150)를 수렴시키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감지부(150)의 돌출/수렴이 수동으로 조작되는 것도 가능하다.
감지부(150)가 식별 색상 마크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제어부(120)에 전송하면, 제어부(120)는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재생 확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 관리 장치(200)로부터 전송된 타임 스케줄 및 식별 색상 정보는 저장부(140)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감지부(150)의 감지 결과를 저장된 타임 스케줄 및 식별 색상 정보와 비교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된 식별 색상 마크가 미리 저장된 식별 색상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컨텐츠 별 식별 색상 정보 중에서 감지부(150)의 감지 시간에 대응되는 식별 색상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150)의 감지 시간이 14:00 PM - 14:03 PM 이라면, 제어부(120)는 저장된 타임 스케줄을 참조하여 해당 시간(14:00 PM - 14:03 PM)에 대응되는 컨텐츠에 대한 식별 색상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해당 시간에 재생되기로 정해진 컨텐츠가 A광고이면, 저장부(140)에 저장된 A광고에 대한 식별 색상 정보를 검색한다.
감지부(150)가 감지 결과로서 색상 값을 출력하면, 제어부(120)는 출력된 색상 값과 미리 저장된 식별 색상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식별 색상 정보는 앞서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레임 별로 생성된 컨텐츠 식별 색상의 색상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감지부(150)가 출력한 색상 값과 미리 저장된 컨텐츠 식별 색상의 색상 값을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매 프레임마다 판단할 수도 있고, 일정 간격의 프레임마다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프레임 별 일치/불일치 여부를 나타내는 재생 확인 데이터를 통신부(130)를 통해 컨텐츠 관리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20)가 감지부(150)의 출력과 저장된 식별 색상 정보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컨텐츠의 재생 여부까지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 제어부(120)는 비교 결과가 모두 일치인 경우에 해당 컨텐츠가 재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미리 정해진 기준치 이상의 프레임에 대한 비교 결과가 일치인 경우에 해당 컨텐츠가 재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재생 확인 데이터는 감지부(150)의 출력인 색상 값과 미리 저장된 색상 값의 비교 결과 또는 컨텐츠의 재생 여부 판단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통신부(130)를 통해 재생 확인 데이터를 컨텐츠 관리 장치(200)로 전송한다. 광고주는 컨텐츠 관리 장치(200)에 재생 확인 데이터의 열람을 요청할 수 있다. 또는, 광고주의 단말기와 직접 통신이 가능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재생 확인 데이터를 광고주의 단말기로 직접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2는 컨텐츠 관리 장치가 서버와 관리자 컴퓨터를 포함하는 경우에 대한 제어 블록도이다.
컨텐츠 관리 장치(200)가 서버(10)와 관리자 컴퓨터(20)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20), 통신부(230) 및 저장부(240)가 서버(10)와 관리자 컴퓨터(20)에 나뉘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서버(10)에는 서버(10)를 제어하는 제어부(220a), 서버(10)와 관리자 컴퓨터(20) 사이의 통신 또는 서버(1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230a) 및 관리자 컴퓨터(2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정보 또는 제어부(220a)에서 처리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240a)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컴퓨터(20)에는 관리자 컴퓨터(20)를 제어하는 제어부(220b), 서버(10)와 관리자 컴퓨터(20) 사이의 통신 또는 관리자 컴퓨터(2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230b) 및 서버(1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정보, 제어부(220b)에서 처리한 정보 또는 외부에서 입력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240b)가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제어부(220)의 동작은 서버(10)의 제어부(220a) 및 관리자 컴퓨터(20)의 제어부(220b) 중 적어도 하나에서 수행될 수 있고, 전술한 통신부(230)의 동작은 서버(10)의 통신부(230a) 및 관리자 컴퓨터(20)의 통신부(230b) 중 적어도 하나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전술한 저장부(240)의 동작은 서버(10)의 저장부(240a) 및 관리자 컴퓨터의 저장부(240b) 중 적어도 하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디스플레이 장치(100), 서버(10), 관리자 컴퓨터(20) 및 광고주 단말기(30) 사이에 정보를 주고 받는 예시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컨텐츠 관리 장치가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컨텐츠 관리 장치(200)가 N개(N은 1 이상의 정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관리할 수 있다.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복수의 컨텐츠 영상이 재생될 수 있고, 하나의 컨텐츠 영상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재생될 수 있다.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 관리 장치(200)로부터 전송된 타임 스케줄에 따라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컨텐츠 영상을 재생한다.
서버(10), 관리자 컴퓨터(20),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 100-N)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광고주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30)도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0) 또는 관리자 컴퓨터(20)에 연결되거나,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 100-N) 중 적어도 하나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30)는 스마트폰, PDA, PC, 랩탑 PC 등 사용자가 사용하는 무선 단말기에 서버(10) 또는 관리자 컴퓨터(20)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것일 수 있다. 또는, 서버(10), 관리자 컴퓨터(2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되기 위해 제공되는 전용 단말기일 수도 있다.
관리자 컴퓨터(20)는 컨텐츠 영상에 관한 새로운 정보가 입력되면, 이를 서버(10)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로운 컨텐츠 영상이 입력되면, 컨텐츠 영상이 재생될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정보, 컨텐츠 영상이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될 시간에 관한 정보(타임 스케줄), 컨텐츠 영상을 식별할 수 있는 컨텐츠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하는 컨텐츠 관련 정보를 서버(10)에 업로드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관련 정보에 변경이 발생할 때마다 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서버(1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 100-N) 각각에 대해 컨텐츠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새로운 컨텐츠 관련 정보가 업로드되거나 기존의 컨텐츠 관련 정보에 변경이 발생하여 업데이트되면, 해당 컨텐츠를 재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업로드되거나 업데이트된 컨텐츠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버(10)로부터 전송된 컨텐츠 관련 정보에 따라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컨텐츠 영상을 재생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감지부(150)를 이용하여 컨텐츠 영상 위에 표시된 식별 색상 마크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획득된 재생 확인 데이터를 서버(10)에 업로드한다.
사용자 단말기(30)는 관리자 컴퓨터(20) 또는 서버(10)에 재생 확인 데이터의 열람을 요청하고, 재생 확인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이하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관리자 컴퓨터(20), 서버(10)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정보를 처리하고, 정보를 송수신하는 다양한 예시를 설명한다.
도 14는 관리자 컴퓨터, 서버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정보를 처리하고, 정보를 송수신하는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관리자 컴퓨터(20)가 컨텐츠에 대해 ① 고유 색상을 설정하고, ② 고유 색상과 컨텐츠 영상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컨텐츠 식별 색상을 생성할 수 있다.
컨텐츠에 대한 고유 색상은 관리자 컴퓨터(20)가 자동으로 부여하여 설정할 수도 있고, 관리자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 컴퓨터(20)는 프레임 영상의 미리 지정된 영역으로부터 픽셀 값을 추출하여 해당 프레임 영상의 대표 픽셀 값을 계산할 수 있다. 프레임 영상의 대표 픽셀 값과 해당 컨텐츠에 부여된 고유 색상 값을 조합하여 컨텐츠 식별 색상을 생성할 수 있다.
관리자 컴퓨터(20)는 컨텐츠 영상을 구성하는 매 프레임마다 컨텐츠 식별 색상을 생성할 수도 있고, 일정 간격을 갖는 프레임마다 컨텐츠 식별 색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생성된 컨텐츠 식별 색상을 그에 대응되는 프레임과 매칭시켜 테이블 형태의 식별 색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관리자 컴퓨터(20)는 ③ 컨텐츠 신호, 타임 스케줄 및 식별 색상 정보를 서버(10)에 전송한다. 타임 스케줄에는 컨텐츠 영상이 언제, 어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되어야 하는지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서버(10)는 전송된 타임 스케줄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④ 컨텐츠 신호, 타임 스케줄 및 식별 색상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송한다. 또한, 서버(10)는 컨텐츠 별로 재생될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정보, 타임 스케줄, 식별 색상 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 별로 재생할 컨텐츠 신호, 타임 스케줄, 식별 색상 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송된 타임 스케줄에 따라 컨텐츠 영상을 재생하는바, 이 때 ⑤ 컨텐츠 영상 위에 식별 색상 마크(111)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한다. 식별 색상 마크(111)는 컨텐츠 식별 색상 자체를 나타낼 수도 있고, 컨텐츠 식별 색상의 색상 값을 나타낼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마련된 감지부(150)가 ⑥ 표시된 식별 색상 마크를 감지한다. 일 예로, 감지부(150)는 감지 결과로서 색상 값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20)는 감지부(15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⑦ 재생 확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재생 확인 데이터는 감지부(150)의 출력인 색상 값과 미리 저장된 식별 색상 정보의 색상 값을 비교한 결과 또는 컨텐츠의 재생 여부 판단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프레임 별 비교 결과가 모두 일치인 경우에 해당 컨텐츠가 재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고, 미리 정해진 기준치 이상의 프레임에 대한 비교 결과가 일치인 경우에 해당 컨텐츠가 재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부(130)를 통해 ⑧ 재생 확인 데이터를 서버(10)에 전송한다.
서버(10)는 재생 확인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자 컴퓨터(20)로부터 열람 요청이 있을 때, ⑨ 관리자 컴퓨터(20)에 재생 확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관리자 컴퓨터(20)의 요청과 무관하게 재생 확인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고, 사용자 단말기(30)에 직접 재생 확인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5는 관리자 컴퓨터, 서버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정보를 처리하고, 정보를 송수신하는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도 14의 예시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식별 색상 마크를 감지하고, 재생 확인 데이터까지 획득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도 14의 예시에서는 서버(10)에서 재생 확인 데이터를 획득하는 경우를 예로 든다.
도 15를 참조하면, 관리자 컴퓨터(20)에서 컨텐츠에 대해 ① 고유 색상을 설정하고, ② 컨텐츠 식별 색상을 생성하고, ③ 컨텐츠 신호, 타임 스케줄 및 식별 색상 정보를 서버(10)에 전송한다. 이에 관한 설명은, 앞서 도 14의 예시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서버(10)는 ④ 전송된 컨텐츠 신호, 타임 스케줄 및 식별 색상 정보를 저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 별로 재생될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정보, 타임 스케줄, 식별 색상 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 별로 재생할 컨텐츠 신호, 타임 스케줄, 식별 색상 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서버(10)는 전송된 타임 스케줄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⑤ 컨텐츠 신호, 타임 스케줄 및 식별 색상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송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송된 타임 스케줄에 따라 컨텐츠 영상을 재생하는바, 이 때 ⑥ 컨텐츠 영상 위에 식별 색상 마크(111)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마련된 감지부(150)가 ⑦ 표시된 식별 색상 마크를 감지한다. 일 예로, 감지부(150)는 감지 결과로서 색상 값을 출력할 수 있다.
당해 예시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색상 값으로 출력된 ⑧ 감지 결과를 서버(10)에 전송한다. 서버(10)는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⑨ 재생 확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재생 확인 데이터는 감지부(150)의 출력인 색상 값과 미리 저장된 식별 색상 정보의 색상 값을 비교한 결과 또는 컨텐츠의 재생 여부 판단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는 재생 확인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자 컴퓨터(20)로부터 열람 요청이 있을 때, ⑩ 관리자 컴퓨터(20)에 재생 확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관리자 컴퓨터(20)의 요청과 무관하게 재생 확인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고, 사용자 단말기(30)에 직접 재생 확인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6은 관리자 컴퓨터, 서버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정보를 처리하고, 정보를 송수신하는 또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도 14 및 도 15의 예시에서는 관리자 컴퓨터(20)에서 컨텐츠 식별 색상을 생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도 16의 예시에서는 서버(10)에서 컨텐츠 식별 색상을 생성하는 것으로 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관리자 컴퓨터(20)가 컨텐츠에 대해 ① 고유 색상을 설정한다. 고유 색상의 설정에 관한 설명은 앞선 예시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관리자 컴퓨터(20)가 ② 컨텐츠 신호, 타임 스케줄 및 해당 컨텐츠에 대해 설정된 고유 색상 정보를 서버(10)에 전송한다.
서버(10)는 고유 색상과 컨텐츠 영상을 이용하여 ③ 컨텐츠 식별 색상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서버(10)는 컨텐츠 영상을 구성하는 프레임 영상의 미리 지정된 영역으로부터 픽셀 값을 추출하여 해당 프레임 영상의 대표 픽셀 값을 계산할 수 있다. 프레임 영상의 대표 픽셀 값과 해당 컨텐츠에 부여된 고유 색상 값을 조합하여 컨텐츠 식별 색상을 생성할 수 있다. 서버(10)는 생성된 컨텐츠 식별 색상을 그에 대응되는 프레임과 매칭시켜 테이블 형태의 식별 색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컨텐츠 별로 재생될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정보, 타임 스케줄, 식별 색상 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 별로 재생할 컨텐츠 신호, 타임 스케줄, 식별 색상 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서버(10)는 전송된 타임 스케줄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④ 컨텐츠 신호, 타임 스케줄 및 식별 색상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송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송된 타임 스케줄에 따라 컨텐츠 영상을 재생하는바, 이 때 ⑤ 컨텐츠 영상 위에 식별 색상 마크(111)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한다. 식별 색상 마크(111)는 컨텐츠 식별 색상 자체를 나타낼 수도 있고, 컨텐츠 식별 색상의 색상 값을 나타낼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마련된 감지부(150)가 ⑥ 표시된 식별 색상 마크를 감지한다. 일 예로, 감지부(150)는 감지 결과로서 색상 값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20)는 감지부(15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⑦ 재생 확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재생 확인 데이터는 감지부(150)의 출력인 색상 값과 미리 저장된 식별 색상 정보의 색상 값을 비교한 결과 또는 컨텐츠의 재생 여부 판단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프레임 별 비교 결과가 모두 일치인 경우에 해당 컨텐츠가 재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고, 미리 정해진 기준치 이상의 프레임에 대한 비교 결과가 일치인 경우에 해당 컨텐츠가 재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부(130)를 통해 ⑧ 재생 확인 데이터를 서버(10)에 전송한다.
서버(10)는 재생 확인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자 컴퓨터(20)로부터 열람 요청이 있을 때, ⑨ 관리자 컴퓨터(20)에 재생 확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관리자 컴퓨터(20)의 요청과 무관하게 재생 확인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고, 사용자 단말기(30)에 직접 재생 확인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7은 관리자 컴퓨터, 서버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정보를 처리하고, 정보를 송수신하는 또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도 14 내지 도 16의 예시에서는 식별 색상의 생성이 관리자 컴퓨터(20) 또는 서버(10)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였으나, 도 17의 예시에서는 식별 색상의 생성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이루어지는 경우를 예로 든다.
도 17을 참조하면, 관리자 컴퓨터(20)에서 컨텐츠에 대해 ① 고유 색상을 설정한다. 고유 색상의 설정에 관한 설명은 앞선 예시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관리자 컴퓨터(20)가 ② 컨텐츠 신호, 타임 스케줄 및 해당 컨텐츠에 대해 설정된 고유 색상 정보를 서버(10)에 전송한다.
서버(10)는 전송된 타임 스케줄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③ 컨텐츠 신호, 타임 스케줄 및 고유 색상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송한다. 또한, 서버(10)는 컨텐츠 별로 재생될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정보, 타임 스케줄, 고유 색상 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 별로 재생할 컨텐츠 신호, 타임 스케줄, 고유 색상 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20)는 고유 색상과 컨텐츠 영상을 이용하여 ④ 컨텐츠 식별 색상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프레임 영상의 미리 지정된 영역으로부터 픽셀 값을 추출하여 해당 프레임 영상의 대표 픽셀 값을 계산할 수 있다. 프레임 영상의 대표 픽셀 값과 해당 컨텐츠에 부여된 고유 색상 값을 조합하여 컨텐츠 식별 색상을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송된 타임 스케줄에 따라 컨텐츠 영상을 재생하는바, 이 때 ⑤ 컨텐츠 영상 위에 식별 색상 마크(111)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한다. 식별 색상 마크(111)는 컨텐츠 식별 색상 자체를 나타낼 수도 있고, 컨텐츠 식별 색상의 색상 값을 나타낼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마련된 감지부(150)가 ⑥ 표시된 식별 색상 마크를 감지한다. 일 예로, 감지부(150)는 감지 결과로서 색상 값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20)는 감지부(15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⑦ 재생 확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재생 확인 데이터는 감지부(150)의 출력인 색상 값과 식별 색상 정보의 색상 값 사이의 비교 결과 또는 컨텐츠의 재생 여부 판단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프레임 별 비교 결과가 모두 일치인 경우에 해당 컨텐츠가 재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고, 미리 정해진 기준치 이상의 프레임에 대한 비교 결과가 일치인 경우에 해당 컨텐츠가 재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부(130)를 통해 ⑧ 재생 확인 데이터를 서버(10)에 전송한다.
서버(10)는 재생 확인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자 컴퓨터(20)로부터 열람 요청이 있을 때, ⑨ 관리자 컴퓨터(20)에 재생 확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관리자 컴퓨터(20)의 요청과 무관하게 재생 확인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고, 사용자 단말기(30)에 직접 재생 확인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실제로 정해진 컨텐츠가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재생되었음에도, 재생 확인 데이터가 컨텐츠가 재생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10)에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대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의 에러 발생 여부는 재생 확인 데이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재생 기록에 기초하여 관리자가 직접 판단할 수도 있고, 컨텐츠 관리 장치(200)의 제어부(220)가 판단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제어부(220)는 컨텐츠 관리 장치(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에러 발생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하, 일 측면에 따른 컨텐츠 관리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일 측면에 따른 컨텐츠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데에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컨텐츠 관리 장치(200)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컨텐츠 관리 장치(200)에 관한 설명은 컨텐츠 관리 방법의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방법의 일 예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컨텐츠 관리 장치(200)에서 컨텐츠에 대한 고유 색상을 설정한다(410). 예를 들어, 컨텐츠 관리 장치(200)의 제어부(220)는 RGB 색 공간, CMYK 색 공간, HSV 색 공간, CIE XYZ 색 공간 등을 이용하여 컨텐츠마다 자동으로 고유 색상을 부여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고유 색상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컨텐츠 관리 장치(200)가 고유 색상과 컨텐츠 영상을 이용하여 컨텐츠 식별 색상을 생성한다(411).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컨텐츠 영상의 일정 영역으로부터 추출된 픽셀 값을 이용할 수 있다. 추출된 픽셀 값을 이용하여 컨텐츠 영상의 대표 픽셀 값을 계산할 수 있고, 대표 픽셀 값을 고유 색상과 조합하여 컨텐츠 식별 색상을 생성할 수 있다.
컨텐츠 영상이 동영상인 경우, 컨텐츠 영상은 복수의 프레임 영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220)는 매 프레임마다 대표 픽셀 값을 계산하고, 대표 픽셀 값을 고유 색상과 조합하여 컨텐츠 식별 색상을 생성할 수도 있고, 일정 간격의 프레임마다 컨텐츠 식별 색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생성된 컨텐츠 식별 색상을 그에 대응되는 프레임과 매칭시켜 테이블 형태의 식별 색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컨텐츠 관리 장치(200)는 컨텐츠 별로 컨텐츠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부(240)에 저장할 수 있다(412). 컨텐츠 관련 정보는 컨텐츠 영상, 타임 스케줄, 식별 색상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컨텐츠 별로 재생될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정보, 타임 스케줄, 식별 색상 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 별로 재생할 컨텐츠 신호, 타임 스케줄, 식별 색상 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컨텐츠 관리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컨텐츠 신호, 타임 스케줄, 식별 색상 정보를 전송한다(413).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타임 스케줄에 따라 컨텐츠 영상을 표시할 때 식별 색상 마크를 오버레이하여 함께 표시한다(414). 식별 색상 마크(111)는 컨텐츠 식별 색상 자체를 나타낼 수도 있고, 컨텐츠 식별 색상의 색상 값을 나타낼 수도 있다. 매 프레임마다 해당 프레임에 대한 식별 색상 마크(111)를 표시할 수도 있고, 일정 간격을 두고 표시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감지부(150)는 표시된 식별 색상 마크를 감지한다(415). 감지부(150)는 식별 색상 마크(111)가 표시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식별 색상 마크(111)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감지부(150)의 감지 결과는 색상 값으로 출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20)는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재생 확인 데이터를 획득한다(416).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감지부(150)의 감지 결과를 저장된 타임 스케줄 및 식별 색상 정보와 비교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된 식별 색상 마크가 미리 저장된 식별 색상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20)가 프레임 별 일치/불일치까지만 판단할 수도 있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컨텐츠의 재생 여부까지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프레임 별 비교 결과가 모두 일치인 경우에 해당 컨텐츠가 재생된 것으로 판단하거나, 미리 정해진 기준치 이상의 프레임에 대한 비교 결과가 일치인 경우에 해당 컨텐츠가 재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재생 확인 데이터는 미리 저장된 식별 색상 정보와 식별 색상 마크의 일치/불일치 여부를 포함하거나, 컨텐츠의 재생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재생 확인 데이터를 컨텐츠 관리 장치(200)에 전송한다(417). 광고주는 컨텐츠 관리 장치(200)에 재생 확인 데이터를 요청하여 열람할 수 있다. 또는, 광고주의 단말기와 직접 통신이 가능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재생 확인 데이터를 광고주의 단말기로 직접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당해 예시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재생 확인 데이터를 획득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컨텐츠 관리 장치(200)로 감지부(150)의 감지 결과를 전송하고, 컨텐츠 관리 장치(200)에서 전송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재생 확인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방법의 다른 예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컨텐츠 관리 장치(200)가 컨텐츠에 대한 고유 색상을 설정한다(430). 고유 색상 설정에 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컨텐츠 관리 장치(200)는 해당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신호, 타임 스케줄 및 고유 색상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43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고유 색상 정보와 컨텐츠 영상을 이용하여 식별 색상을 생성한다(432).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20)는 컨텐츠 영상의 일정 영역으로부터 추출된 픽셀 값을 이용하여 컨텐츠 영상의 대표 픽셀 값을 계산할 수 있고, 대표 픽셀 값을 고유 색상과 조합하여 컨텐츠 식별 색상을 생성할 수 있다. 컨텐츠 영상이 동영상인 경우에는, 매 프레임마다 식별 색상을 생성하거나 일정 간격의 프레임마다 식별 색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생성된 컨텐츠 식별 색상을 그에 대응되는 프레임과 매칭시켜 테이블 형태의 식별 색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타임 스케줄에 따라 컨텐츠 영상을 표시할 때 식별 색상 마크를 오버레이하여 함께 표시한다(433). 식별 색상 마크(111)는 컨텐츠 식별 색상 자체를 나타낼 수도 있고, 컨텐츠 식별 색상의 색상 값을 나타낼 수도 있다. 매 프레임마다 해당 프레임에 대한 식별 색상 마크(111)를 표시할 수도 있고, 일정 간격을 두고 표시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감지부(150)는 표시된 식별 색상 마크를 감지한다(434). 감지부(150)는 식별 색상 마크(111)가 표시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식별 색상 마크(111)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감지부(150)의 감지 결과는 색상 값으로 출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20)는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재생 확인 데이터를 획득한다(435).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재생 확인 데이터를 컨텐츠 관리 장치(200)에 전송한다(436). 광고주는 컨텐츠 관리 장치(200)에 재생 확인 데이터를 요청하여 열람할 수 있다. 또는, 광고주의 단말기와 직접 통신이 가능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재생 확인 데이터를 광고주의 단말기로 직접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앞서 도 18의 예시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컨텐츠 관리 장치(200)로 감지부(150)의 감지 결과를 전송하고, 컨텐츠 관리 장치(200)에서 전송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재생 확인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컨텐츠 관리 방법의 실시예가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모든 단계를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컨텐츠 관리 방법의 수행 주체에 따라 순서도에 도시된 단계들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관리 방법의 수행 주체가 디스플레이 장치인 경우에는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단계들 중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단계들 또는 그 중 일부만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컨텐츠 관리 방법의 수행 주체가 컨텐츠 관리 장치(200)인 경우에는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단계들 중 컨텐츠 관리 장치(200)에서 수행되는 단계들 또는 그 중 일부만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컨텐츠 관리 장치, 컨텐츠 관리 시스템 및 컨텐츠 관리 방법에 의하면, 컨텐츠마다 고유 색상을 부여하고, 고유 색상과 컨텐츠 영상을 이용하여 생성된 컨텐츠 식별 색상을 컨텐츠 영상 위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함으로써 정해진 컨텐츠가,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컬러를 인식할 수 있는 감지부를 마련하고, 컨텐츠 영상 위에 표시되는 컨텐츠 식별 색상을 감지부를 이용하여 감지함으로써, 저비용으로 컨텐츠 재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디스플레이부
120: 제어부
130: 통신부
140: 저장부
150: 감지부
200: 컨텐츠 관리 장치
220: 제어부
230: 통신부
240: 저장부
10: 서버
20: 관리자 컴퓨터

Claims (25)

  1. 컨텐츠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컨텐츠 영상을 재생하고,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 영상 위에 상기 컨텐츠영상을 식별하는 컨텐츠 식별 색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측에 장착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영상의 재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재생 확인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컨텐츠 영상 위에 표시되는 컨텐츠 식별 색상을 감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영상의 적어도 일 영역에 대한 대표 픽셀 값과 상기 컨텐츠 영상에 부여된 고유 색상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식별 색상을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컨텐츠 영상에 부여된 고유 색상과 상기 컨텐츠 영상을 이용하여 생성된 상기 컨텐츠 식별 색상을 더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식별 색상과 상기 감지부의 출력을 비교하여 상기 재생 확인 데이터를 획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식별 색상은,
    상기 컨텐츠 영상에 포함되는 복수의 프레임 영상 각각에 대한 복수의 컨텐츠 식별 색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프레임 영상이 표시될 때, 상기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에 대한 컨텐츠 식별 색상을 상기 프레임 영상 위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의 출력과 상기 컨텐츠 식별 색상을 상기 복수의 프레임 별로 비교하여 일치 또는 불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재생 확인 데이터는 상기 일치 또는 불일치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확인 데이터를 컨텐츠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컨텐츠 식별 색상을 미리 정해진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컨텐츠 식별 색상이 표시되는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테두리에 돌출 및 수렴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컨텐츠 영상이 재생될 시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타임 스케줄을 더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식별 색상 및 상기 타임 스케줄을 상기 감지부의 출력 및 상기 감지부의 출력 시간과 비교하여 상기 재생 확인 데이터를 획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컨텐츠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컨텐츠 영상을 재생하고,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 영상 위에 상기 컨텐츠영상을 식별하는 컨텐츠 식별 색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측에 장착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출력을 컨텐츠 관리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컨텐츠 영상 위에 표시되는 컨텐츠 식별 색상을 감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영상의 적어도 일 영역에 대한 대표 픽셀 값과 상기 컨텐츠 영상에 부여된 고유 색상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식별 색상을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컨텐츠 영상에 부여된 고유 색상과 상기 컨텐츠 영상을 이용하여 생성된 상기 컨텐츠 식별 색상을 더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식별 색상은,
    상기 컨텐츠 영상에 포함되는 복수의 프레임 영상 각각에 대한 복수의 컨텐츠 식별 색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프레임 영상이 표시될 때, 상기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에 대한 컨텐츠 식별 색상을 상기 프레임 영상 위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테두리에 돌출 및 수렴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컨텐츠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 영상을 재생하고;
    상기 컨텐츠 영상을 재생할 때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 영상 위에 상기 컨텐츠영상을 식별하는 컨텐츠 식별 색상을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측에 장착된 감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영상 위에 표시되는 컨텐츠 식별 색상을 감지하고;
    상기 표시되는 컨텐츠 식별 색상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영상의 재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재생 확인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컨텐츠 관리 방법.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영상에 부여된 고유 색상과 상기 컨텐츠 영상을 이용하여 생성된 상기 컨텐츠 식별 색상을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컨텐츠 관리 방법.
  22.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영상의 적어도 일 영역에 대한 대표 픽셀 값과 상기 컨텐츠 영상에 부여된 고유 색상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식별 색상을 생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컨텐츠 관리 방법.
  23.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확인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은,
    상기 컨텐츠 식별 색상과 상기 감지부의 출력을 비교하여 일치 또는 불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컨텐츠 관리 방법.
  24.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식별 색상을 생성하는 것은,
    상기 컨텐츠 영상에 포함되는 복수의 프레임 영상 각각에 대한 복수의 컨텐츠 식별 색상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컨텐츠 관리 방법.
  25.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식별 색상을 표시하는 것은,
    상기 프레임 영상이 표시될 때, 상기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에 대한 컨텐츠 식별 색상을 상기 프레임 영상 위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컨텐츠 관리 방법.
KR1020170112749A 2017-09-04 2017-09-04 디스플레이 장치, 컨텐츠 관리 장치, 컨텐츠 관리 시스템 및 컨텐츠 관리 방법 KR2019002625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749A KR20190026253A (ko) 2017-09-04 2017-09-04 디스플레이 장치, 컨텐츠 관리 장치, 컨텐츠 관리 시스템 및 컨텐츠 관리 방법
US16/119,528 US20190075370A1 (en) 2017-09-04 2018-08-31 Display apparatus, content managing apparatus, content managing system, and content managing method
DE112018004788.1T DE112018004788T5 (de) 2017-09-04 2018-09-03 Anzeigevorrichtung, Inhaltsverwaltungsvorrichtung, Inhaltsverwaltungssystem und Inhaltsverwaltungsverfahren
PCT/KR2018/010222 WO2019045543A1 (en) 2017-09-04 2018-09-03 DISPLAY APPARATUS, CONTENT MANAGEMENT APPARATUS, CONTENT MANAGEMENT SYSTEM, AND CONTENT MANAGEMENT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749A KR20190026253A (ko) 2017-09-04 2017-09-04 디스플레이 장치, 컨텐츠 관리 장치, 컨텐츠 관리 시스템 및 컨텐츠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253A true KR20190026253A (ko) 2019-03-13

Family

ID=65517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2749A KR20190026253A (ko) 2017-09-04 2017-09-04 디스플레이 장치, 컨텐츠 관리 장치, 컨텐츠 관리 시스템 및 컨텐츠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90075370A1 (ko)
KR (1) KR20190026253A (ko)
DE (1) DE112018004788T5 (ko)
WO (1) WO20190455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83366B (en) * 2019-04-25 2023-05-24 Vojo Ip Ltd System and method of verifying display of visual information
GB2588673B (en) * 2019-11-01 2024-05-01 Displaylink Uk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verifying a display
JP2022076770A (ja) * 2020-11-10 2022-05-20 シャープ株式会社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コンテンツ再生方法、及びコンテンツ再生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14065B2 (en) * 2001-12-17 2009-11-03 Automated Media Services, Inc.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content displayed on an electronic visual display
KR100682898B1 (ko) * 2004-11-09 2007-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외선을 이용한 영상 장치 및 그의 영상 식별 방법
WO2009104584A1 (ja) * 2008-02-21 2009-08-27 コニカミノルタエムジー株式会社 画像表示システムの品質管理システム及び品質管理プログラム
JP5932258B2 (ja) * 2011-07-15 2016-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10192088B2 (en) * 2015-03-26 2019-01-29 Nec Display Solutions, Ltd. Video signal monitoring method, video signal monitor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8004788T5 (de) 2020-06-18
WO2019045543A1 (en) 2019-03-07
US20190075370A1 (en) 2019-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7515B1 (en) Self identifying modulated light source
CN102467661B (zh) 多媒体设备及其控制方法
US11216931B2 (en) Display device failure detec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KR20190026253A (ko) 디스플레이 장치, 컨텐츠 관리 장치, 컨텐츠 관리 시스템 및 컨텐츠 관리 방법
US10796488B2 (en) Electronic device determining setting value of device based on at least one of device information or environment informa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573082B2 (en) Target object display method, device and system
EP3070625B1 (en) Image-recognition-based guidance for network device configuration and other enviroments
CN107430840B (zh) 视频信号监视方法、视频信号监视装置和显示装置
CN103780938B (zh) 一种触摸电视及其控制方法及控制装置
US11082614B2 (en) Display apparatus configured to display an image harmonized with an installation space, and an associated system and recording medium
CN112514409B (zh) 基于控制信息修正替换内容的播放的方法及系统
KR102568996B1 (ko) 감시카메라 설정 방법과 감시카메라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76673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11937026B2 (en) Responsive to detection of remote control signals that modify operation of the playback device
TWI728387B (zh) 回應於用於控制一裝置提供視訊至播放裝置之遙控信號之偵測而修正替換內容之播放
US20160117553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realizing visual identification
KR20150111428A (ko)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11089295B2 (en) Display apparatus, apparatus for proof of play, and method for proof of play of contents
KR20180005625A (ko) 가상 피팅 서비스의 제공 방법 및 장치
US11722721B2 (en) Media channel identification and action, with disambiguation through client-side fingerprint matching of channel-specific icon
CN106537926A (zh) 用于配置便携式装置的远程控制功能的系统和方法
US20180014058A1 (en) Communication method, mobile terminal and set top box using the same
JP7107545B2 (ja) 位置情報管理装置、位置情報管理システム、位置情報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955259B1 (ko) 스마트 모듈을 활용한 패밀리 보드 서비스 제공 방안
JP6898288B2 (ja) 所定期間に特定の位置を通過するアウトオブホーム(ооh)広告の視聴者数の推定のための、広告視聴者動的測定回路、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プロダクトおよびそ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