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9286A - 지식 기반의 자동 설계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지식 기반의 자동 설계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9286A
KR20150089286A KR1020140009734A KR20140009734A KR20150089286A KR 20150089286 A KR20150089286 A KR 20150089286A KR 1020140009734 A KR1020140009734 A KR 1020140009734A KR 20140009734 A KR20140009734 A KR 20140009734A KR 20150089286 A KR20150089286 A KR 20150089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esign
designing
information
knowl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9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순용
정영만
박동열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09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9286A/ko
Publication of KR20150089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92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식기반을 이용하는 자동 설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식기반을 이용하는 자동 설계 시스템은, 기존의 설계 결과물로부터 지식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접목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를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식 정보를 이용하여 결과물 설계를 구현하는 설계 구현부를 포함하되, 상기 설계 구현부는, 기본위치를 선정하여, 단위부품이 결합될 수 있는 결합 부위에 대한 기준점을 포함하는 레이아웃(Layout)에 해당하는 기준파트를 설계하는 제1 설계 구현부; 및 상기 설계된 기준파트의 기준점에 결합 부위가 결합되어 전체 결과물을 구성하는 유니트에 해당하는 단위부품을 설계하는 제2 설계 구현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CAD 시스템에 지식기반을 이용함으로써 제품개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기분 파트와 단위부품에 관한 설계표준 파일 및 재사용 파일을 재활용하여 개발기간 단축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설계 프로젝트 계획 대비 진행상황을 수치화하여 리포팅 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식 기반의 자동 설계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AUTOMATIC DESIGN BASED ON KNOWLEDG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지식 기반의 자동 설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기준파트 및 단위부품을 3D 기반의 환경에서 자동으로 설계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지원 설계(CAD)는 사용자가 기계 등의 부품 설계의 복잡한 3D 모델의 구축 및 조작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이를 이용해서 사용자는 모델링 기법을 사용하여 부품 설계를 완성할 수 있다.
하나의 부품을 설계하는 과정은 기획단계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설계 작업을 포함한다. 따라서, 기획단계에서 얼마나 많은 정보가 반영되느냐에 따라 3D CAD를 이용한 부품 설계 과정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그런데, 여러 가지 부품에 있어서, 부품의 형상에 따라 또는 기능에 따라 동일한 부품타입을 결정할 수 있고, 동일한 타입의 부품 간에는 일정 정도의 설계안을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설계된 부품이 생산된 이후에도, 해당 부품에 관한 본래의 설계안이 수정되어야 할 경우가 생길 수 있는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지식기반에 의한 데이터베이스로 관리된다면 미래의 부품설계에 있어서 효율성 및 협력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24649호(2013.03.08)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참조정보를 이용하여 기준파트 및 단위부품을 3D 기반의 환경에서 자동으로 설계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식기반을 이용하는 자동 설계 시스템은, 기존의 설계 결과물로부터 추출된 지식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식 정보를 이용하여 결과물 설계를 구현하는 설계 구현부를 포함하되, 상기 설계 구현부는, 기본위치를 선정하여, 단위부품이 결합될 수 있는 결합 부위에 대한 기준점을 포함하는 레이아웃(Layout)에 해당하는 기준파트를 설계하는 제1 설계 구현부; 및 상기 설계된 기준파트의 기준점에 결합 부위가 결합되어 전체 결과물을 구성하는 유니트에 해당하는 단위부품을 설계하는 제2 설계 구현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식 정보는, 상기 설계 결과물인 기준파트와 단위부품에 관한 설계 정보, 설계표준 파일 및 재사용 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계 정보는, 상기 설계 결과물의 기하정보, 치수ID, 치수정보, 참조식, 참조메시지, 참조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설계 구현부는, 상기 설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파트로 설계 변경이 가능한 유사파트를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검색에 따라 기준파트를 생성 또는 수정하여 설계하는 설계부; 및 상기 설계된 기준파트를 검증하는 검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설계 구현부는, 상기 설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위부품으로 설계 변경이 가능한 유사단위부품을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검색에 따라 단위부품을 생성 또는 수정하여 설계하는 설계부; 및 상기 설계된 단위부품을 검증하는 검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색부는, 상기 치수 ID의 고정위치좌표를 이용하여 설계 대상에 대한 근사치를 검색하는 근사치 검색부; 및 상기 검색 결과에 따라 동일한 타입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재사용파일을 추출하거나, 동일한 타입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설계표준파일을 추출하는 파일 추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증부는, 상기 부품타입을 이용하여 동일한 부품타입 존재와 상기 동일한 부품타입에 해당되는 참조식의 존재 여부를 검색하는 참조식 검색부; 및 상기 검색된 참조식에 대한 참조메시지 및 참조정보를 추출하는 참조정보 추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식기반을 이용하는 자동 설계 방법은, 기존의 설계 결과물로부터 지식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접목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를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식 정보를 이용하여 결과물 설계를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결과물 설계를 구현하는 단계는, 기본위치를 선정하여, 단위부품이 결합될 수 있는 결합 부위에 대한 기준점을 포함하는 레이아웃(Layout)에 해당하는 기준파트를 설계하는 단계; 및 상기 설계된 기준파트의 기준점에 결합 부위가 결합되어 전체 결과물을 구성하는 유니트에 해당하는 단위부품을 설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인 지식기반을 이용하는 자동 설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CAD 시스템에 지식기반을 이용함으로써 제품개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기분 파트와 단위부품에 관한 설계표준 파일 및 재사용 파일을 재활용하여 개발기간 단축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설계 프로젝트 계획 대비 진행상황을 수치화하여 리포팅 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식기반을 이용하는 자동 설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설계 구현부와 제2 설계 구현부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식기반을 이용하는 자동 설계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분파트와 단위부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설계표준 파일과 지식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계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파트 설계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위부품 설계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위부품 설계 과정도 상기 기준파트와 동일하게 진행된다.
도 8은 도 6 또는 도 7에서 유사파트 또는 유사단위부품 검색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6 또는 도 7에서 검증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참조식, 참조메시지 및 참조정보의 활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식기반을 이용하는 자동 설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a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식기반의 자동 설계 시스템(100)은 데이터베이스(110), 제어부(120) 및 설계 구현부(130)를 포함하며, 설계 구현부(130)는 다시 제1 설계 구현부(131) 및 제2 설계 구현부(132)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110)는 기존의 설계 결과물로부터 추출된 지식 정보를 저장된다.
제어부(120)는 데이터베이스(110) 접근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20)는 데이터베이스(110)의 접근을 제어하여 데이터베이스(110)에 새로운 지식 정보를 추가하거나, 기존의 지식 정보를 수정하거나 삭제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설계 구현부(130)는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지식 정보를 이용하여 결과물 설계를 구현한다.
설계 구현부(130)는 제1 설계 구현부(131) 및 제2 설계 구현부를 포함하며, 제1 설계 구현부는 기준파트를 설계하고 제2 설계 구현부(132)는 단위부품을 설계한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설계 구현부와 제2 설계 구현부의 구성도이다.
도 1b와 같이 제1 설계 구현부(131) 및 제2 설계 구현부는(132)는 검색부(133), 설계부(136) 및 검증부(137)를 각각 포함하며, 설계 대상의 차이 외에 기능적인 차이 없이 서로 동일한 구성 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검색부(133)는 설계 정보를 이용하여 기준파트로 설계 변경이 가능한 유사파트 및 단위부품으로 설계 변경이 가능한 유사단위부품을 검색한다.
설계부(136)는 검색부(133)의 검색에 따라 기준파트 및 단위부품을 생성 또는 수정하여 설계한다. 검증부(137)는 설계된 기준파트 및 단위부품을 검증한다.
또한, 검색부(133)는 근사치 검색부(133) 및 파일 추출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근사치 검색부(133)는 치수 ID의 고정위치좌표를 이용하여 설계 대상에 대한 근사치를 검색한다. 파일 추출부(135)는 근사치 검색부(134)의 검색 결과에 따라 동일한 타입이 존재하는 경우, 재사용파일을 추출하거나, 동일한 타입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설계표준파일을 추출한다.
또한, 검증부(137)는 참조식 검색부(138) 및 참조정보 추출부(139)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참조식 검색부(138)는 부품타입을 이용하여 동일한 부품타입 존재와 상기 동일한 부품타입에 해당되는 참조식의 존재 여부를 검색한다. 참조정보 추출부(139)는 참조식 검색부(138)에서 검색된 참조식에 대한 참조메시지 및 참조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서, 상기 부품타입은 기준파트 및 단위부품 모두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식기반을 이용하는 자동 설계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식기반을 이용하는 자동 설계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3은 기분파트와 단위부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데이터베이스(110)는 기존의 설계 결과물로부터 추출된 지식 정보를 저장한다(S210). 지식 정보의 저장을 비롯하여 수정, 추가에 관해 제어부(120)가 데이터베이스 접근을 제어한다.
여기서, 설계 결과물은 기준파트와 단위부품을 포함한다. 도 3에서, 4 개의 단위부품의 레이아웃을 결정하는 1개의 기준파트가 도시되어 있다.
기준파트는 단위부품이 결합될 수 있는 결합 부위에 대한 기준점을 포함하는 레이아웃(Layout)에 해당되고, 기준이 되는 부품(Part)을 말한다. 그리고 단위부품이란 기준파트 기준점에 결합 부위가 결합되어 전체 결과물을 구성하는 유니트(Unit)에 해당하는 부품을 말한다. 즉, 기준파트는 단위부품이 결합되는 결합 부위에 대한 기준점을 통해서 전체 결과물 설계의 레이아웃을 결정한다. 여기서, 결합 부위는 기준파트와 단위부품 또는 단위부품 간의 결합을 위해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기준파트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단위부품의 결합을 위한 기준이 되는 기준점을 포함한다.
지식 정보는 설계 결과물인 기준파트와 단위부품에 관한 설계 정보, 설계표준 파일 및 재사용 파일을 포함한다. 여기서, 설계표준 파일은 새로운 기준파트 또는 단위부품의 설계에 있어서 표준이 되는 파일을 말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설계표준 파일과 지식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설계표준 파일은 기준파트 템플릿(Template), 단위부품 템플릿(Template), 도면관련 템플릿(Template)을 포함한다. 그리고 설계 정보는 설계 결과물의 기하정보, 치수 ID, 치수정보, 참조식, 참조 메시지, 참조정보를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존의 설계 결과물에서 얻을 수 있는 지식기반 형태의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계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서, 기준파트 및 단위부품에 관한 설계 정보에 해당하는 기하정보, 치수 ID, 치수정보, 참조식, 참조메시지 및 참조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기하정보는 기준파트 및 단위부품에 관한 3D CAD 파일, 3D CAD 파일의 프리뷰(Preview), 3D CAD 파일의 정보, 해당도면의 프리뷰(Preview)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각종 치수 ID 에 대한 치수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참조식이란 이전 설계자가 미래의 유사한 설계에 대비하여 피드백될 수 있는 설계 실수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조건을 입력하는 것을 말한다. 설계자는 참조식 기입을 위해 여러 가지 연산자를 이용할 수 있다.
참조메시지란 참조식이 만족했을 때 출력되는 메시지를 말한다. 즉, 이전 설계자가 작성한 참조식을 미래의 설계자가 검색 하는 경우, 유사 설계 대상물에 관한 치수 정보 등이 상기의 참조식을 만족하는 경우 검색된 참조식에 대한 참조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다.
참조정보라 피드백 받은 사진, 문서, 이메일 내용, 회의록 등의 정보를 말한다. 여기서 피드백이란 설계 과정에서의 보수, 수정, 불만에 관한 정보를 수렴하는 것을 말한다.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제어부(120)는 데이터베이스(110) 접근을 제어할 수 있다(S220). 제어부(120)는 지식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110)의 접근을 제어하여 설계 구현부(130)가 제품에 관한 새로운 결과물에 관한 설계를 하도록 한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110) 제어에 관한 구성 및 기술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설계 구현부(130)는 제어부(120)의 제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지식 정보를 이용하여 결과물 설계를 구현한다(S230). 특히, 설게 구현부(130)는 기준파트를 위한 제1 설계 구현부(131) 및 단위부품을 위한 제2 설계 구현부(132)를 포함한다.
이하 기준파트 설계 과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파트 설계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검색부(133)는 설계 정보를 이용하여 기준파트로 설계 변경이 가능한 유사파트가 존재하는지를 검색한다(S231).
설계 대상인 기준파트와 유사한 유사파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설계부(136)는 설계를 통해 기준파트를 새롭게 생성하거나(S232), 유사파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유사파트를 이용하여 기준파트작업을 진행 및 수정하여 설계한다(S233).
다음으로 검증부(137)는 설계된 기준파트를 검증한다(S234). 기준파트가 검증됨으로써 기준파트 설계가 완료된다. 검증 단계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 과정으로 단위부품 설계 과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위부품 설계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위부품 설계 과정도 상기 기준파트와 동일하게 진행된다.
먼저, 검색부(133)는 설계 정보를 이용하여 단위부품으로 설계 변경이 가능한 유사단위부품이 존재하는지를 검색한다(S235).
설계 대상인 단위부품과 유사한 유사단위부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설계부(136)는 설계를 통해 단위부품을 새롭게 생성하거나(S236), 유사단위부품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유사단위부품을 이용하여 단위부품작업을 진행 및 수정하여 설계한다(S237).
다음으로 검증부(137)는 설계된 단위부품을 검증한다(S238). 단위부품이 검증됨으로써 단위부품 설계가 완료된다. 역시, 검증 단계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그러면 여기서 상기 기준파트 및 단위부품의 설계에 공통적으로 진행되는 검색 단계(S230, S235)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도 6 또는 도 7에서 유사파트 또는 유사단위부품 검색 단계의 순서도이다.
먼저 근사치 검색부(133)는 데이터베이스(110) 검색을 통해(S241), 치수 ID의 고정위치좌표(M)를 이용하여 설계 대상인 기준파트 또는 단위부품에 대한 근사치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242).
근사치 검색부(133)의 판단에 따라 상기 근사치가 존재하지 않거나, 상기 근사치가 존재하여도 동일한 부품타입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파일 추출부(135)는 설계 대상에 대한 설계표준 파일을 추출한다(S243), 상기 근사치가 존재하는 경우 근사치 검색부(133)는 부품타입이 같은가를 판단(S244)하여, 동일한 부품타입이 존재한다면 재사용 파일을 추출한다(S245).
마지막으로 상기 기준파트 및 단위부품에 공통적으로 진행되는 검증 단계(S234, S238)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도 6 또는 도 7에서 검증 단계의 순서도이다.
먼저 참조식 검색부(133)는 데이터베이스(110)를 검색하고(S251), 부품타입을 이용하여 동일한 부품타입 존재 (S252)와 상기 동일한 부품타입에 해당되는 참조식의 존재 (S254)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상기 동일한 부품타입이 존재하고, 참조식이 존재하는 경우, 참조정보 추출부(139)는 상기 검색된 참조식에 대한 참조메시지 및 참조 정보를 추출한다 (S255). 그렇지 않고 상기 동일한 부품타입이 존재하지 않거나, 참조식이 해당 참조식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설계된 기준파트 또는 단위부품의 완성본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한다(S253).
도9에, 부품타입, 참조식, 참조메시지 및 참조정보를 예시하는 설계 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참조식, 참조메시지 및 참조정보의 활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서, 참조식이 (A>=80mm) AND (D<=15mm)인 경우, 즉 A치수가 80mm 보다 크거나 같고 D치수가 15mm보다 작거나 같을 때, 참조메시지는 D치수를 키우거나 형상보강을 통하여 제품 강성을 높일 것을 요구하고 있다. 참조정보에는 설계과정 또는 작업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발생에서 종료까지 보관할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식기반을 이용하는 자동 설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CAD 시스템에 지식기반을 이용함으로써 제품개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기분 파트와 단위부품에 관한 설계표준 파일 및 재사용 파일을 재활용하여 개발기간 단축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설계 프로젝트 계획 대비 진행상황을 수치화하여 리포팅 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자동 설계 시스템,
110: 데이터베이스, 120: 제어부,
130: 설계 구현부, 131: 제1 설계 구현부
132: 제2 설계 구현부, 133: 검색부,
134: 근사치 검색부, 135: 파일 추출부,
136: 설계부, 137: 검증부,
138: 참조식 검색부, 139: 참조정보 추출부

Claims (14)

  1. 지식기반(knowledge base)의 자동 설계 시스템에 있어서,
    기존의 설계 결과물로부터 추출된 지식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식 정보를 이용하여 결과물 설계를 구현하는 설계 구현부를 포함하되,
    상기 설계 구현부는,
    기본위치를 선정하여, 단위부품이 결합될 수 있는 결합 부위에 대한 기준점을 포함하는 레이아웃(Layout)에 해당하는 기준파트를 설계하는 제1 설계 구현부; 및
    상기 설계된 기준파트의 기준점에 결합 부위가 결합되어 전체 결과물을 구성하는 유니트에 해당하는 단위부품을 설계하는 제2 설계 구현부를 포함하는 자동 설계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식 정보는,
    상기 설계 결과물인 기준파트와 단위부품에 관한 설계 정보, 설계표준 파일 및 재사용 파일을 포함하는 자동 설계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 정보는,
    상기 설계 결과물의 기하정보, 치수ID, 치수정보, 참조식, 참조메시지, 참조정보를 포함하는 자동 설계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설계 구현부는,
    상기 설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파트로 설계 변경이 가능한 유사파트를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검색에 따라 기준파트를 생성 또는 수정하여 설계하는 설계부; 및
    상기 설계된 기준파트를 검증하는 검증부를 포함하는 자동 설계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설계 구현부는,
    상기 설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위부품으로 설계 변경이 가능한 유사단위부품을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검색에 따라 단위부품을 생성 또는 수정하여 설계하는 설계부; 및
    상기 설계된 단위부품을 검증하는 검증부를 포함하는 자동 설계 시스템.
  6. 제 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부는,
    상기 치수 ID의 고정위치좌표를 이용하여 설계 대상에 대한 근사치를 검색하는 근사치 검색부; 및
    상기 검색 결과에 따라 동일한 타입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재사용파일을 추출하거나, 동일한 타입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설계표준파일을 추출하는 파일 추출부를 포함하는 자동 설계 시스템.
  7. 제 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부는,
    상기 부품타입을 이용하여 동일한 부품타입 존재와 상기 동일한 부품타입에 해당되는 참조식의 존재 여부를 검색하는 참조식 검색부; 및
    상기 검색된 참조식에 대한 참조메시지 및 참조정보를 추출하는 참조정보 추출부를 포함하는 자동 설계 시스템.
  8. 지식기반(knowledge base)의 자동 설계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 설계 방법에 있어서,
    기존의 설계 결과물로부터 추출된 지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식 정보를 이용하여 결과물 설계를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결과물 설계를 구현하는 단계는,
    기본위치를 선정하여, 단위부품이 결합될 수 있는 결합 부위에 대한 기준점을 포함하는 레이아웃(Layout)에 해당하는 기준파트를 설계하는 단계; 및
    상기 설계된 기준파트의 기준점에 결합 부위가 결합되어 전체 결과물을 구성하는 유니트에 해당하는 단위부품을 설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 설계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식 정보는,
    상기 설계 결과물인 기준파트와 단위부품에 관한 설계 정보, 설계표준 파일 및 재사용 파일을 포함하는 자동 설계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 정보는,
    상기 설계 결과물의 기하정보, 치수ID, 치수정보, 참조식, 참조메시지, 참조정보를 포함하는 자동 설계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파트를 설계하는 단계는,
    상기 설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파트로 설계 변경이 가능한 유사파트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에 따라 기준파트를 생성 또는 수정하여 설계하는 단계; 및
    상기 설계된 기준파트를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 설계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부품을 설계하는 단계는,
    상기 설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위부품으로 설계 변경이 가능한 유사단위부품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에 따라 단위부품을 생성 또는 수정하여 설계하는 단계; 및
    상기 설계된 단위부품을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 설계 방법.
  13. 제 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파트 또는 상기 유사단위부품을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치수 ID의 고정위치좌표를 이용하여 설계 대상에 대한 근사치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결과에 따라 동일한 타입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재사용파일을 추출하거나, 동일한 타입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설계표준파일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 설계 방법.
  14. 제 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파트 또는 상기 단위부품을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부품타입을 이용하여 동일한 부품타입의 존재와 상기 동일한 부품타입에 해당되는 참조식의 존재 여부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참조식에 대한 참조메시지 및 참조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 설계 방법.
KR1020140009734A 2014-01-27 2014-01-27 지식 기반의 자동 설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892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734A KR20150089286A (ko) 2014-01-27 2014-01-27 지식 기반의 자동 설계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734A KR20150089286A (ko) 2014-01-27 2014-01-27 지식 기반의 자동 설계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286A true KR20150089286A (ko) 2015-08-05

Family

ID=53885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9734A KR20150089286A (ko) 2014-01-27 2014-01-27 지식 기반의 자동 설계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928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72049B2 (ja) 以前の使用データに基づく自動コンポーネントの挿入および制約
US6898560B1 (en) Maintaining a computer-generated design model
JP2018106714A (ja) レプリカ選択
Li et al. Generative design approach for modeling creative designs
JP2007280327A (ja) 部品構成表作成システムおよび部品構成表の作成・管理方法
JP5623796B2 (ja) オブジェクトのコンピュータ支援設計のシステム内でオブジェクトの間の関係のステータスを更新するプロセス
Feng et al. A hybrid and automated approach to adapt geometry model for CAD/CAE integration
JP2014197278A (ja) 運用作業フロー作成支援方法および運用作業フロー作成支援システム
US20200264589A1 (en) Expert knowledge framework driven hybrid manufacturing systems and methods
JP2007011825A (ja) 形状データ管理プログラム,管理方法及び管理システム
CN105144169A (zh) 变分系统中的曲线
KR20150089286A (ko) 지식 기반의 자동 설계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30106552A1 (en) Material specification to facilitate part creation in computer aided design and manufacture
JP2020204817A (ja) 3次元モデル作成装置、3次元モデル作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330204B2 (en) CAD system and method for wireframe coupling
Vergeest et al. A methodology for reusing freeform shape content
US9329591B2 (en) Feature geometry aspect recognition and machining
JP2007140641A (ja) 形状要素検索方法、形状要素検索プログラムおよび形状要素検索システム
JP4733414B2 (ja) Cadシステムにおけるモデル選択プログラム
KR101818527B1 (ko) 통합 관리 시스템의 구역상자 관리 방법
CN105094845A (zh) 流程建模装置和方法
JP2008027340A (ja) Webサービス設計方法及び装置
KR101107365B1 (ko) 네비게이션을 갖춘 3차원 케이블 객체생성 시스템 및 그 객체생성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
JP2004310317A (ja) 業務支援装置
JP2019139268A (ja) プログラム解析方法、プログラム解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解析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