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8746A -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 - Google Patents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8746A
KR20150088746A KR1020150010871A KR20150010871A KR20150088746A KR 20150088746 A KR20150088746 A KR 20150088746A KR 1020150010871 A KR1020150010871 A KR 1020150010871A KR 20150010871 A KR20150010871 A KR 20150010871A KR 20150088746 A KR20150088746 A KR 20150088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erminal
data
bearer
secondary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0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구
이용재
안준배
Original Assignee
(주)휴맥스 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맥스 홀딩스 filed Critical (주)휴맥스 홀딩스
Priority to US14/603,203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50208313A1/en
Priority to PCT/KR2015/000751 priority patent/WO2015111964A1/ko
Publication of KR20150088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87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31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mmunication conditions
    • H04W28/0236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mmunication conditions radio quality, e.g. interference, losses or de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5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per individual bearer or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4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Abstract

본 발명은 두 개의 기지국으로 베어러를 분리하여 순방향 전송하고 역방향 데이터는 기지국에서 재조립하여 베어러를 생성하는 방식에 관한 것이다. 즉, 단말기에서 분리된 베어러에 베어러 ID를 삽입하여 기지국에서 베어러 ID를 토대로 재조립하는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은 단말기에 제 1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주 기지국, 주 기지국과 동시에 단말기에 제 2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부 기지국, 및 주 기지국 및 부 기지국으로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말기를 포함하고, 단말기는, 주 기지국 또는 부 기지국에서 송신한 제 1 데이터 및 제 2 데이터의 품질을 측정하여 품질이 좋은 기지국으로 가중치를 두어 송신 데이터를 송신한다.

Description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System for bearer assembling in LTE dual connectivity}
본 발명은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두 개의 기지국으로 베어러를 분리하여 순방향 전송하고 역방향 데이터는 기지국에서 재조립하여 베어러를 생성하는 것이다. 즉, 단말기에서 분리된 베어러에 베어러 ID를 삽입하여 기지국에서 베어러 ID를 토대로 재조립하는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가입자가 증가하면서 사용하는 데이터량은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복수의 무선 기술을 사용하여 단말에 무선데이터를 제공하는 기술이 연구되어 왔다.
그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08-0083755 호에서는 이동통신과 무선랜을 동시에 서비스하여 단말기에 고속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두 개의 통신 모듈을 동시에 사용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어 같은 이동통신 기지국 두 개를 사용하여 셀 경계지역에서의 데이터 전송량을 높이는 방법에 대한 다른 해결책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08-0083755 호(2008.09.19)
본 발명의 목적은, 두 개의 기지국으로 베어러를 분리하여 순방향 전송하고 역방향 데이터는 기지국에서 재조립하여 베어러를 생성하는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단말기에서 분리된 베어러에 베어러 ID를 삽입하여 기지국에서 베어러 ID를 토대로 재조립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역방향 데이터를 전송하는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은 단말기에 제 1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주 기지국, 주 기지국과 동시에 단말기에 제 2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부 기지국, 및 주 기지국 및 부 기지국으로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말기를 포함하고, 단말기는, 주 기지국 또는 부 기지국에서 송신한 제 1 데이터 및 제 2 데이터의 품질을 측정하여 품질이 좋은 기지국으로 가중치를 두어 송신 데이터를 송신한다.
여기서, 단말기는 주 기지국 및 부 기지국에 대해 측정한 품질을 토대로 부 기지국의 품질이 좋지 않을 경우 다른 부기지국의 품질을 측정하여 다른 부기지국으로 절체한다.
또한, 단말기는 주 기지국 및 부 기지국에 대해 측정한 품질을 토대로 주 기지국의 품질이 좋지 않을 경우 주 기지국과 부 기지국의 주, 부를 변경하여 안정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단말기는 수신 SNR, Eb/No, Ec/Io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품질을 측정한다.
또한, 단말기는 주 기지국 및 부 기지국으로 송신한 데이터에 전송 에러가 발생할 경우 주 기지국을 우선 할당하여 순차적으로 송신 데이터를 재송신한다.
여기서, 단말기는 베어러를 분리하고 분리된 베어러에 베어러 ID를 추가함으로써 주 기지국 및 부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부 기지국은, 단말기에서 송신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주 기지국은, 단말기 및 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베어러의 베어러 ID를 구분하여 베어러를 재조립한다.
또한, 부 기지국은 기지국 간 X2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주 기지국으로 베어러를 전송하며 X2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단말기는 베어러 ID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은 단말기로 데이터를 송신을 수행하는 주 기지국, 주 기지국의 데이터를 전송 받아 단말기로 송신하는 부 기지국, 및 주 기지국 또는 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중 지연된 데이터와 연관되는 베어러를 통해 널 데이터, 에러코드, 재전송 계획 유무, 및 재전송 종료시간 설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단말기 내의 어플리켸이션 레이어로 전송하는 단말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주 기지국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중 지연된 데이터와 연관되는 베어러를 통해 널 데이터, 에러코드, 재전송 계획 유무, 및 재전송 종료시간 설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채워 캐리어 네트워크로 역방향 전송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은 단말기에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주 기지국, 주 기지국과 동시에 단말기로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부 기지국, 및 주 기지국 또는 부 기지국에서 송신한 데이터를 MIMO로 수신하는 단말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기는 MIMO 안테나 개수, MIMO 알고리즘 종류, 안테나 패턴에 따른 방향, 및 안테나 패턴에 따른 상대 수신 강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주 기지국 및 부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또한, 주 기지국 및 부 기지국은 단말기의 MIMO 안테나 개수만큼 나누어 안테나를 사용한다.
여기서, 주 기지국 및 부 기지국은 단말기로 MIMO 및 빔포밍을 동시에 사용한다.
또한, 주 기지국 및 부 기지국은 단말기로 MIMO 및 안테나 다이버시티를 동시에 사용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은 단말기에 순방향 데이터를 전송하는 주 기지국, 주 기지국과 동시에 단말기로 순방향 데이터를 전송하는 부 기지국, 및 주 기지국 또는 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모두에 에러가 포함될 경우 주 기지국 및 부 기지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재전송을 요청하는 단말기를 포함한다.
또한,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은 단말기로부터 역방향 데이터를 전송 받는 주 기지국, 주 기지국과 동시에 단말기로부터 역방향 데이터를 전송 받는 부 기지국, 및 역방향 전송 에러 발생에 기초하여 주 기지국 및 부 기지국 모두로부터 재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주 기지국 및 부 기지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재전송을 수행함으로써 역방향 전송을 수행하는 단말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은 단말기에 무선 자원을 할당하여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주 기지국 및 주 기지국과 동시에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부 기지국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주 기지국 및 부 기지국으로 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셀그룹에서 보장할 수 있는 최대 전력 대비 송신 전력 비율을 위한 RRC 시그널링의 값은 0[%] 내지 100[%] 중 16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셀그룹에서 보장할 수 있는 최대 전력 대비 송신 전력 비율을 위한 RRC 시그널링의 값을 위해 0[%] 내지 100[%]에 대해 15등분한 결과 및 20등분한 결과 중 4비트로 표현하기 위한 16개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일 구현예로서, 셀그룹에서 보장할 수 있는 최대 전력 대비 송신 전력 비율을 위한 RRC 시그널링의 값으로 0[%], 5[%], 10[%], 15[%], 20[%], 30[%], 37[%], 44[%], 50[%], 56[%], 63[%], 70[%], 80[%], 85[%], 90[%], 95[%], 100[%] 중 16개를 사용하거나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일 구현예로서, 셀그룹에서 보장할 수 있는 최대 전력 대비 송신 전력 비율을 위한 RRC 시그널링의 값으로 0[%], 5[%], 10[%], 15[%], 20[%], 30[%], 37[%], 44[%], 50[%], 56[%], 63[%], 70[%], 80[%], 90[%], 95[%], 100[%]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일 구현예로서, 셀그룹에서 보장할 수 있는 최대 전력 대비 송신 전력 비율을 위한 RRC 시그널링의 값으로 0[%], 2[%], 5[%], 6[%], 8[%] 10[%], 13[%], 16[%], 20[%], 25[%], 32[%], 37[%], 40[%], 50[%], 60[%], 63[%], 68[%], 75[%], 80[%], 84[%], 87[%], 90[%], 92[%], 95[%], 98[%], 100[%] 중 16개를 사용하거나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은 두 개의 기지국으로 베어러를 분리하여 순방향 전송하고 역방향 데이터는 기지국에서 재조립하여 베어러를 생성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은 단말기에서 분리된 베어러에 베어러 ID를 삽입하여 기지국에서 베어러 ID를 토대로 재조립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역방향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네트워크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 1 기지국이 주 기지국으로 동작하고 제 2 기지국이 부 기지국으로 독립적으로 동작할 경우에 대한 이중 연결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 1 기지국이 주 기지국으로 동작하고 제 2 기지국이 부 기지국으로 동작하며 주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가 분리 및 결합되는 경우에 대한 이중 연결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의 부 기지국이 단말기와 연결이 중단된 경우를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2 및 도 3의 주 기지국 또는 부 기지국으로 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할당하는 경우를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2 및 도 3의 주 기지국 또는 부 기지국으로 단말기가 랜덤 액세스하는 경우를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몰셀 기지국이 밀집된 지역에서 단말기의 성능을 높이는 방법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8의 단말기 및 주기지국에서 베어러를 분리 및 결합에 의해 송수신하는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단말기 및 주기지국에서 지연된 베어러에 널 데이터를 채워 캐리어 네트워크 및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과 송수신 하는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1은 도 8의 주기지국 및 부기지국이 협력 통신을 통해 단말기와 MIMO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2는 도 8의 주기지국 및 부기지국이 단말기와 동일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3은 도 8의 주기지국 및 부기지국이 단말기와 송수신 시 전력 분배를 수행하는 것을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네트워크의 구성도이며, 도 2 내지 도 6은 도 1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을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네트워크 구조는 기지국과 단말기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단말간 통신은 매크로셀과 D2D 채널을 별도로 할당할 경우 새로운 주파수를 할당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매크로셀과 D2D 채널을 동시에 할당할 경우 단말간 통신은 서브채널의 추가 및 매크로 셀에서 사용중인 물리채널의 활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매크로셀과 D2D 간의 간섭은 채널 할당 기법, 채널 관리 기법, 및 듀플렉싱 방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간의 동기(synchronization)는 업링크에서 제공, 다운링크에서 제공, 및 업링크, 다운링크 동시 제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LTE 네트워크 구조를 상세히 살펴보면, 제 1 단말(110) 및 제 3 단말(130)은 제 1 기지국(310)의 셀룰러 링크 반경에 위치하고 제 4 단말(240) 및 제 5 단말(250)은 제 2 기지국(320)의 셀룰러 링크 반경에 위치한다.
또한, 제 3 단말(130)은 제 1 단말(110), 제 2 단말(120), 및 제 4 단말(240)과 D2D 통신이 가능한 거리에 위치한 다. 제 3 단말(130)과 제 1 단말(110)의 D2D 링크는 같은 제 1 기지국(310) 내에 위치하고, 제 3 단말(130)과 제 4 단말(240)의 D2D 링크는 다른 셀룰라 반경에 위치하고 제 3 단말(130)과 제 2 단말(120)의 D2D 링크는 어느 셀룰라 반경에도 위치하지 않는 제 2 단말(120)과 제 1 기지국(310)의 셀룰라 반경에 위치하는 제 3 단말(13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제 1 기지국(310)과 제 3 단말(130) 간 사용하는 셀룰라 링크 채널과 제 3 단말(130)과 제 4 단말(240)에서 사용하는 D2D 링크 채널은 별도로 할당되거나 동시에 할당될 수 있다.
예를들어, 제 1 기지국(310)과 제 3 단말(130) 간 사용하는 셀룰라 링크 채널과 제 3 단말(130)과 제 4 단말(240)에서 사용하는 D2D 링크 채널이 같은 주파수를 사용할 경우 PDSCH, PDCCH, PUSCH, PUCCH의 OFDM 심볼을 별도로 할당할 수 있다.
특히, 제 3 단말(130)과 제 4 단말(240)에서 사용하는 D2D 링크 채널 위한 동기 신호, 디스커버리 신호, 및 HARQ의 송신을 위한 타임 슬롯의 할당 스케줄을 제 1 기지국(310)이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기지국(310)이 송신하는 동기 신호는 제 1 기지국(310)의 셀룰라 링크의 정보와 동시에 사용 가능하나, 제 3 단말(130)과 제 4 단말(240)에서 사용하는 동기 신호, 디스커버리 신호, 및 HARQ의 송신을 위한 타임 슬롯은 제 1 기지국(310)과 제 3 단말(130) 간 사용하는 셀룰라 링크 채널과 타임 슬롯이 겹치지 않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한편, 제 1 기지국(310)과 제 3 단말(130) 간 사용하는 셀룰라 링크 채널과 제 3 단말(130)과 제 4 단말(240)에서 사용하는 D2D 링크 채널이 다른 주파수를 사용할 경우 제 3 단말(130)과 제 4 단말(240)은 PDSCH, PDCCH, PUSCH, PUCCH의 OFDM 심볼을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제 3 단말(130) 또는 제 4 단말(240)에서 스케줄링 할 수 있다.
한편, 제 3 단말(130)과 제 4 단말(240)의 D2D 통신 수행 시 제 1 기지국(310) 및 제 1 단말(110)로부터 영향을 받는 간섭을 회피하여 사용한다. 특히, 제 3 단말(130)과 제 4 단말(240)과의 D2D 통신 수행시 제 3 단말(130)이 제 1 기지국(310)에서 수신하는 동기 신호를 제 1 기지국(310)에서 사용하는 업링크 채널을 통해 제 4 단말(240)로 송신, 제 1 기지국(310)에서 사용하는 다운링크 채널을 통해 제 4 단말(240)로 송신, 또는 제 1 기지국(310)에서 사용하는 업링크 다운링크 채널 동시에 제 4 단말(240)로 송신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제공한다.
도 2는 도 1의 제 1 기지국(310)이 주 기지국(101)으로 동작하고 제 2 기지국(320)이 부 기지국(201)으로 독립적으로 동작할 경우에 대한 이중 연결의 구성도이다.
이중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주 기지국(101)(master eNB)과 부 기지국(201)(secondary eNB)은 코아 네트워크와 개별적으로 연결된 구성이다.
따라서, 모든 프로토콜은 주 기지국(101)과 부 기지국(201)이 독립적으로 이루어 지며, 특히 두 개의 기지국으로 통신하는 데이터의 분리 및 결합이 기지국에서 수행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는 IP 헤더 압축 및 압축 해지,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Radio Bearer에 대한 시퀀스 번호 유지를 수행하는 LTE 내 무선 트래픽 프로토콜 스택 중 하나이다.
또한, RLC(Radio Link Control )는 PDCP와 MAC 사이에서 무선 연결을 제어하는 프로토콜 스택이다.
그리고 MAC(Media Access Control)은 무선 채널의 다중접속을 지원하는 프로토콜 스택이다.
도 3은 도 1의 제 1 기지국(310)이 주 기지국(101)으로 동작하고 제 2 기지국(320)이 부 기지국(201)으로 동작하며 주 기지국(101)을 통해 데이터가 분리 및 결합되는 경우에 대한 이중 연결의 구성도이다.
즉, 이중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주 기지국(101)과 부 기지국(201)이 코아 네트워크와 연결되는데 있어서, 주 기지국(101)만 코아 네트워크와 연결되고 부 기지국(201)은 주 기지국(101)을 통해 코아 네트워크와 연결된다.
따라서, 주 기지국(101)에서 코아 네트워크에서 통신하는 데이터에 대한 분리와 결합을 수행한다. 즉, 주 기지국(101)에서 분리된 데이터를 부 기지국(201)으로 송신하거나 부 기지국(201)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결합하여 코아 네트워크로 통신한다.
도 4는 도 2 및 도 3의 부 기지국(201)이 단말기(301)와 연결이 중단된 경우를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즉,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은 단말기(301)에 무선 자원을 할당하여 단말기(301)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주 기지국(101), 주 기지국(101)과 동시에 단말기(301)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부 기지국(201), 및 주 기지국(101) 및 부 기지국(201)과 동시에 데이터를 통신하며 부 기지국(201)과 링크가 끊기면 무선 자원 제어를 재설정하는 단말기(301)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기(301)는 부 기지국(201)과 정상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경우 연결 상태 정보(connection state information)를 주 기지국(101)으로 알려주며, 또한, 주 기지국(101)은 부 기지국(201)으로 부 기지국(201)과 단말기(301) 간의 링크 상태 정보(link state information)를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주 기지국(101)과 연결에 이상이 있을 경우 단말기(301)는 무선 자원 제어 재설정을 하며 이에 대한 보고를 부 기지국(201)으로 하여 부 기지국(201)이 주 기지국(101)으로 연결 이상을 보고한다.
이때, 주 기지국(101)과 부 기지국(201)간의 통신은 X2 인터페이스 내의 프레임에 정보를 추가하거나 브로드밴드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유선으로 연결되지 않을 경우 무선 백홀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도 있다. 프레임 내 정보는 주 기지국(101)과 부 기지국(201)의 링크상태를 나타내는 링크상태헤더, 링크상태, 기지국ID, 단말기ID를 포함한 신호체계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주 기지국(101) 및 부 기지국(201) 중 어느 하나의 연결에 이상이 있을 경우 단말기(301)는 이를 연결 이상이 없는 주 기지국(101) 및 부 기지국(201) 중 어느 하나에 보고를 하여 보고 받은 기지국은 연결이 이상이 있는 기지국에 이를 알려주어 단말기(301)와의 연결 상태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주 기지국(101)과 부 기지국(201)이 모두 연결에 이상 있을 경우에도 단말기(301)는 무선 자원 제어를 재설정하여 기지국을 통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도 2 및 도 3의 주 기지국(101) 또는 부 기지국(201)으로 단말기(301)의 송신 전력을 할당하는 경우를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즉,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은 단말기(301)에 무선 자원을 할당하여 단말기(301)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주 기지국(101), 주 기지국(101)과 동시에 단말기(301)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부 기지국(201), 및 주 기지국(101) 및 부 기지국(201)으로 송출하는 전력의 통계 분석을 토대로 주 기지국(101) 및 부 기지국(201)의 송신 전력 상한 값 비율을 설정하는 단말기(301)를 포함한다.
여기서, 통계 분석은 주 기지국(101) 및 부 기지국(201)으로 단말기(301)가 송출하는 평균 전력을 토대로 송신 전력 비율을 분석하며, 단말기(301)는 주 기지국(101) 및 부 기지국(201)으로 송신 전력 상한 값 비율을 보고한다.
즉, 단말기(301)는 단말기(301)에서 송출할 수 있는 최대 전력과 주 기지국(101) 및 부 기지국(201)으로 송출하는 송출 값에 대한 평균 값을 토대로 주 기지국(101) 및 부 기지국(201)으로 송출하는 전력 비율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주 기지국(101)과 부 기지국(201)으로 송출하는 전력 비율을 3:1, 2:2, 및 1:3 등과 같이 비율을 정하여 사용한다.
또다른 예로서, 송신하는 전력의 배분에 있어서, 먼저, 주 기지국(101)과의 연결성 유지 또는 제어 신호의 전송이 매우 중요하므로 이러한 신호의 전송을 위하여, 주 기지국(101)에 전력을 먼저, 할당하고 남은 전력을 부 기지국(201)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하여 배분할 수 있다.
또다른 예로서, 데이터를 부 기지국(201)으로 송신할 때 사용 가능한 전력이 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즉, 무선채널이 변하지 않아도 사용 가능한 전력에 따라 사용할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값이 달라질 수 있다.
이때, 전력배분과 MCS값이 동시에 변경될 경우 데이터 전송 에러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전력 배분의 변경과 MCS 값의 변경은 동시에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전력배분과 MCS값이 동시에 변경될 경우 데이터 전송 에러를 유발하지 않기 위해 피드백 신호 체계인 MCS 변경을 위한 CQI(Channel Quality Indicator)의 보고 주기를 전력 배분의 변경과 동시에 발생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의 최대값, 사용하는 전력 비율, 전력 비율에 따른 기지국 별 최대 전송 전력, 및 현재 단말기에서 송출하는 전력 대비 기지국 별 송출할 수 있는 최대 전력과의 마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주 기지국(101) 및 부 기지국(201)으로 보고할 수 있다.
도 6은 도 2 및 도 3의 주 기지국(101) 또는 부 기지국(201)으로 단말기(301)가 랜덤 액세스하는 경우를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즉,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은 단말기(301)에 무선 자원을 할당하여 단말기(301)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주 기지국(101), 주 기지국(101)과 동시에 단말기(301)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부 기지국(201), 및 주 기지국(101) 및 부 기지국(201)으로 트리거링에 의한 랜덤 액세스, 트리거링 없는 자체 랜덤 액세스 중 어느 하나를 주 기지국(101) 및 부 기지국(20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송출하는 단말기(301)를 포함한다.
여기서, 트리거링은 PDCCH, MAC, RRC 증 어느 하나의 트리거링 명령에 의해 수행하며, 부 기지국(201)은 부 기지국(201)으로 동작할 수 있는 기지국 중 제일 우선으로 접속할 수 있는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랜덤 액세스는 내용이 없는 프리앰블(preamble), 초기 액세스(initial access), 무선자원제어 메시지, 및 단말기ID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전송한다.
즉, 랜덤 액세스는 단말기(301)가 주 기지국(101) 또는 부 기지국(201)으로 초기 액세스(initial access), 무선자원제어의 설정(establish) 및 재설정(re-establish), 및 핸드 오버 등의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주 기지국(101) 또는 부 기지국(201) 중 어느 하나에 랜덤 액세스를 송출할 수도 있고 주 기지국(101) 또는 부 기지국(201)에 동시에 랜덤 액세스를 송출할 수도 있다.
이때, 주 기지국(101) 또는 부 기지국(201)으로부터의 PDCCH, MAC, RRC(radio resource control) 트리거링으로 랜덤 액세스를 송출할 수도 있으나 단말기 자체 트리거링으로도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상향 링크로 분배된 전력을 제외한 나머지 전력을 랜덤액세스에 사용하여 랜덤액세스를 송출할 수 있다.
한편, 주 기지국(101) 또는 부 기지국(201)이 신규로 ON 될 경우 단말기(301)를 포함한 주변 단말기가 동시에 랜덤액세스를 수행하여 랜덤액세스로 인해 데이터 통신에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영향을 줄이기 위해 주 기지국(101) 또는 부 기지국(201)이 신규로 ON 될 경우 10초 전후의 랜덤 시간을 추가로 사용하여 단말기(301)가 랜덤액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10초는 단말기의 개수 및 기지국의 개수에 따라 가변할 수 있는 최대 랜덤액세스 시간이며, 이러한 최대 랜덤액세스 시간은 환경에 따라 1초에서 60초 이내의 어느 한 값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301)는 다중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주 기지국(101) 또는 부 기지국(201)에서 송신하는 위치를 파악하여 주 기지국(101) 또는 부 기지국(201) 방향으로 랜덤액세스를 수행하여 간섭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는, 주 기지국(101)과 부 기지국(201)의 위치가 정확하지 않을 경우 단말기(301)는 360도 스윕하여 랜덤액세스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몰셀 기지국이 밀집된 지역에서 단말기의 성능을 높이는 방법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단말기의 성능을 높이는 방법은 기지국(112)과 단말(312) 간에 발생하는 cellular 간섭을 줄이는 cellular 간섭 제거 기술, 스몰셀 기지국(212)과 단말(322) 간의 프레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Frame 재배치 기술, 스몰셀 기지국(212)과 단말(322) 간 송신 기회를 스케줄링하는 TXOP(Transmit OPportunity) 기술, 단말(322)에서 스몰셀 기지국(212)으로 access하는 방법을 효율적으로 하는 효율적인 access 기술, 스몰셀 기지국(220)과 단말(322) 간 공간적인 안테나 배치에 의해 단말(322)에 제공되는 서비스 품질을 높이는 SDM(Spatial Domain Multiplexing) 기술, 스몰셀 기지국(212)의 서비스 영역에 있는 단말(322)이 스몰셀 기지국(220)의 서비스 영역으로 진입하여 스몰셀 기지국의 접속을 전환할 경우 효율적으로 전환하는 효율적인 handover 기술, 스몰셀 기지국(220)과 단말(330) 간 duplex방식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효율적인 duplex 기술, 스몰셀 기지국(220)과 단말(342) 간 여러 안테나를 사용하여 단말(342)의 데이터 성능을 높이는 MIMO(Multiple Input Miltiple Output) 기술, 스몰셀 기지국(220)의 서비스 반경에 없는 단말(352)에게 스몰셀 기지국(220)의 반경에 있는 단말(342)이 스몰셀 기지국(220)의 정보를 relay해주는 relay 기술, 단말(342)과 단말(362) 간 직접적인 통신을 하는 D2D(Device to Device) 기술, 스몰셀 기지국(232)과 단말(362) 간 UL과 DL의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달리 사용하는 asymmetric 기술, 단말(362)과 스몰셀 기지국(232) 간 대역폭을 조절하는 bandwidth 기술, 및 스몰셀 기지국(232)에서 공통의 사용자에게 동일한 데이터를 송신하는 multicast 기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스몰셀 기지국(220)은 단말(330)로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PSS/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CRS(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 CSI-RS(Channel State Indicator ? Reference Signal). PRS를 송신한다.
이때, PSS, PSS/SSS, CRS, CSI-RS, 및 PRS 신호는 시간동기, 주파수 동기, Cell/TP(Transmission Points) identification, 및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측정에 사용될 수 있다. 시간동기에는 CSI-RS 가 사용되지 않으나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측정에는 디스커버리 신호를 포함/미포함한 심볼을 측정한 RSSI가 사용된다.
이러한 RSRP 및 RSRQ의 측정은 송신부에서는 뮤팅 및 다양한 경우에 활용할 수 있고 수신부에는 간섭제거 등이 고려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때,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은 단말기(300)에 제 1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주 기지국(100), 주 기지국(100)과 동시에 단말기(300)에 제 2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부 기지국(200), 및 주 기지국(100) 및 부 기지국(200)으로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말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300)는, 주 기지국(100) 또는 부 기지국(200)에서 송신한 제 1 데이터 및 제 2 데이터의 품질을 측정하여 품질이 좋은 기지국으로 가중치를 두어 송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300)는 주 기지국(100) 및 부 기지국(200)에 대해 측정한 품질을 토대로 부 기지국(200)의 품질이 좋지 않을 경우 다른 부기지국의 품질을 측정하여 다른 부기지국으로 절체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300)는 주 기지국(100) 및 부 기지국(200)에 대해 측정한 품질을 토대로 주 기지국(100)의 품질이 좋지 않을 경우 주 기지국(100)과 부 기지국(200)의 주, 부를 변경하여 안정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300)는 수신 SNR, Eb/No, Ec/Io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300)는 주 기지국(100) 및 부 기지국(200)으로 송신한 데이터에 전송 에러가 발생할 경우 주 기지국(100)을 우선 할당하여 순차적으로 송신 데이터를 재송신할 수 있다.
주 기지국(100)과 단말기(300)가 TDD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주 기지국(100)과 단말기(300)의 송신 주파수는 동일하게 사용하므로 단말기(300)에서 주 기지국(100)의 신호 품질을 측정하여 역방향 송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주 기지국(100)과 단말기(300)가 FDD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주 기지국(100)과 단말기(300)의 송신 주파수는 상이하므로 단말기(300)에서 주 기지국(100)의 신호 품질을 측정하여 역방향 송신을 할 수 없다. 즉, 단말기(300)의 신호를 주 기지국(100) 및 부 기지국(200)에서 품질을 측정하고 이를 단말기(300)로 보고한다.
한편, 단말기(300)는 가중치가 적용된 역방향 송신을 위해 주 기지국(100) 및 부 기지국(200)에서 측정한 품질을 토대로 역방향 송신의 송신 데이터를 어느 한 기지국으로 보내거나 더 많이 보낼 수 있도록 데이터 양을 조절한다.
데이터 조절은 역방향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분리 및 전송될 수 있도록 스케쥴링 한다. 즉, 주 기지국(100) 또는 부 기지국(200)으로 전송중 에러가 난 데이터가 있을 경우 주 기지국(100) 또는 부 기지국(200)의 순서와 무관하게 다음 스케줄링으로 되어 있는 기지국을 통해 전송한다.
예를 들어, 주 기지국(100)으로 송신하는 데이터를 A라 하고 부 기지국(200)으로 송신하는 데이터를 B라 하고 순차적인 데이터를 1,2,3,4,5 및 6이라고 할 때, 정상적인 경우에는 주 기지국(100)으로 제 1 데이터를 송신하고 부 기지국(200)으로 제 2 데이터를 송신하는 시퀀스와 같이 A1B2A3B4A5B6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부 기지국(200)으로 송신한 제 4데이터인 B4 데이터 송신에 에러가 발생할 경우 A1B2A3B4A5B4로 재송신을 하지 않고 A1B2A3B4A4B5로 차기 스케줄로 예정된 기지국을 통해 재송신을 수행한다. 즉, 제 4데이터를 부 기지국(200)으로 재송신하지 않고 주 기지국(100)으로 재송신하여 부 기지국(200)으로 재송신하는 시간보다 앞서 주 기지국(100)으로 재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간으로 전송하여야 하는 음성 또는 영상의 전송에 있어서 역방향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분리, 전송, 및 조립될 수 있다.
전력제어는 남은 전력을 모두 공유하는 제 1 전력 제어 모드와 주기지국(100) 및 부 기지국(200)로 송신할 전력을 예비하는 제 2 전력 제어 모드로 구분할 수 있다.
제 1 전력 제어 모드에서는 주기지국(100)과 부기지국(200)으로 송신하는 최대 상향 시간 차이가 33[us]이내일 경우에만 사용 가능하다. 또한, 제 1 전력 제어 모드에서는 UCI(uplink control information) 형태에 따라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제 2 전력 제어 모드에서는 주 기지국(100)과 부 기지국(200) 간에 동기가 맞지 않은 것으로 가정하여 여분의 전력이 먼저 송신한 셀 그룹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단말기 및 주기지국에서 베어러를 분리 및 결합에 의해 송수신하는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여기서, 단말기(300)는 베어러를 분리하고 분리된 베어러에 베어러 ID를 추가함으로써 주 기지국(100) 및 부 기지국(200)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부 기지국(200)은, 단말기(300)에서 송신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주 기지국(100)으로 전송하고, 주 기지국(100)은, 단말기(300) 및 부 기지국(200)으로부터 수신한 베어러의 베어러 ID를 구분하여 베어러를 재조립할 수 있다.
또한, 부 기지국(200)은 기지국 간 X2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주 기지국(100)으로 베어러를 전송하며 X2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단말기(300)는 베어러 ID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베어러 ID는 주 기지국(100)에서 순차적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순차적으로 발생하여 사용하고, 부 기지국(200)은 기지국 간 인터페이스인 X2를 사용하여 주 기지국(100)으로 베어러를 전송하며 X2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단말기(300)는 베어러 ID는 사용하지 않는다.
한편, 순방향의 경우 주 기지국(100)에서 베어러를 분리하고 단말기(300)에서 베어러를 재조립한다. 이때, 주 기지국(100)에서 베어러 분리를 하지 않는 경우에는 베어러 ID를 사용하지 않는다.
한편, 단말기(300)는 주 기지국(100) 또는 부 기지국(200)으로 동일한 베어러를 동시에 송신하여 주 기지국(100)에서 에러가 적은 것을 복호함으로써 복호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에러는 물리계층에서 사용되는 FEC에서 발생한 경우와 MAC layer에서 사용되는 CRC에러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FEC에 대한 에러는 단말기(300)로 재송신을 요구하여 수신할 수도 있으나, 주 기지국(100)에서는 에러가 발생하지 않고 부 기지국(200)에서만 에러가 발생할 경우 주 기지국(100)은 주 기지국(100)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복조할 수 있다. 또한, 주 기지국(100)에서 수신한 데이터에 에러가 발생하고 부 기지국(200)에서 수신한 데이터에서 수신한 데이터에 에러가 없을 경우 주 기지국(100)은 부 기지국(200)에서 수신한 데이터로 복조할 수 있다.
여기서, FEC에 의한 에러 발생은 물리 계층에서 자동적으로 단말기(300)로 재송신을 요청하나, MAC 계층에서 복조하는 CRC는 주 기지국(100)에서 부 기지국(200)의 데이터와 에러를 비교하여 둘 중 어느 하나의 수신에 에러가 없을 경우 단말기(300)로 재송신을 요구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는, 소프트 핸드오버 등에서 단말기(300)에서 주 기지국(100) 또는 부 기지국(200)으로 동일한 베어러를 동시에 송신하여 주 기지국(100)에서 결합 후 소프트 디시젼(soft decision)을 통해 보호 가능성을 높일 수도 있다.
이때, 소프트 디시젼은 FEC 전에 결합을 하여야 하며, 주 기지국(100)과 부 기지국(200)은 물리계층에서 결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도 10은 도 8의 단말기 및 주 기지국에서 지연된 베어러에 널 데이터를 채워 캐리어 네트워크 및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과 송수신 하는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여기서,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은 단말기(300)로 데이터를 송신을 수행하는 주 기지국(100), 주 기지국(100)의 데이터를 전송 받아 단말기(300)로 송신하는 부 기지국(200), 및 주 기지국(100) 또는 부 기지국(200)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중 지연된 데이터와 연관되는 베어러를 통해 널 데이터, 에러코드, 재전송 계획 유무, 및 재전송 종료시간 설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단말기(300) 내의 어플리케이션 레이어로 전송하는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주 기지국(100)은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중 지연된 데이터와 연관되는 베어러를 통해 널 데이터, 에러코드, 재전송 계획 유무, 및 재전송 종료시간 설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채워 캐리어 네트워크로 역방향 전송할 수 있다.
즉, 실시간으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지연된 베어러는 더이상 재송신 요청하지 않고 '0'으로 채워진 널데이터를 베어러 대신 보낸다. 예를 들어 영상이나 음성 등 최대 지연 시간 이내에 통신을 할 경우 에러가 발생하더라도 널데이터를 베어러 대신 보내는 것이 필요하다.
또는 에러가 발생한 코드를 보내거나, 이에 대한 재전송 유무, 및 재전송 종료 시간에 대한 설정값등을 베어러 대신 보낸다.
이때, 널데이터 이외의 에러코드, 재전송 계획 유무, 및 재전송 종료시간 설정은 다른 제어 채널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
도 11은 도 8의 주 기지국 및 부 기지국이 협력 통신을 통해 단말기와 MIMO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여기서,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은 단말기(300)에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주 기지국(100), 주 기지국(100)과 동시에 단말기(3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부 기지국(200), 및 주 기지국(100) 또는 부 기지국(200)에서 송신한 데이터를 MIMO로 수신하는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기(300)는 MIMO 안테나 개수, MIMO 알고리즘 종류, 안테나 패턴에 따른 방향, 및 안테나 패턴에 따른 상대 수신 강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주 기지국(100) 및 부 기지국(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주 기지국(100) 및 부 기지국(200)은 단말기(300)의 MIMO 안테나 개수만큼 나누어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주 기지국(100) 및 부 기지국(200)은 단말기(300)로 MIMO 및 빔포밍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주 기지국(100) 및 부 기지국(200)은 단말기(300)로 MIMO 및 안테나 다이버시티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MIMO는 두 개의 기지국이 정확한 동기가 중요하므로 주 기지국(100)과 부 기지국(200)은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동기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주 기지국(100)은 부 기지국(200)과의 전송 지연을 측정한 후 이를 토대로 주 기지국(100)과 부 기지국(200)이 동시에 송신할 수 있도록 한다.
MIMO는 안테나 개수에 따라 전송속도가 다르다. 따라서, 주 기지국(100) 및 부 기지국(200)에서 송신하는 안테나 개수의 총합이 단말기(300)의 안테나 개수만큼만 사용하여도 충분하다.
예를 들어 단말기(300)의 안테나 개수가 4개일 경우, 주 기지국(100)에서 3개의 안테나, 부 기지국(200)에서 1개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MIMO를 구현할 수 있으며, 주 기지국(100)에서 2개의 안테나, 부 기지국(200)에서 2개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MIMO를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주 기지국(100) 및 부 기지국(200)은 각각 4개의 안테나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빔포밍 또는 안테나 다이버시티 효과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MIMO를 사용하기 위해 기존 MIMO에 대해 파일럿, 스케줄링, 및 피드백 방식 등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여기서, 파일럿 신호는 MIMO 신호와 함께 전송되므로 기존 MIMO와 관련된 파일럿 신호를 변경 없이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스케줄링은 주 기지국(100)과 부 기지국(200)이 동시에 송신할 수 있도록 하며, 주 기지국(100) 및 부 기지국(200)의 최대 전송 용량 제한에 따라 주 기지국(100)과 부 기지국(200) 안테나의 일부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MIMO 품질에 대한 피드백은 단말기(300)에서 주 기지국(100) 및 부 기지국(200)의 구분 없이 동일한 품질 데이터를 주 기지국(100) 및 부 기지국(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피드백을 수신한 주 기지국(100)은 부 기지국(200)과 단말기(300) 간의 무선 품질을 주 기지국(100)과 단말기(300) 간 무선 품질 대비 상대적으로 알 수 있으므로, 주 기지국(100)과 부 기지국(200)의 MIMO 송신 스케줄링 시에 부 기지국(200)과 단말기(300) 간의 무선 품질을 고려할 수도 있다.
도 12는 도 8의 주 기지국 및 부 기지국이 단말기와 동일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여기서,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은 단말기(300)에 순방향 데이터를 전송하는 주 기지국(100), 주 기지국(100)과 동시에 단말기(300)로 순방향 데이터를 전송하는 부 기지국(200), 및 주 기지국(100) 또는 부 기지국(200)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모두에 에러가 포함될 경우 주 기지국(100) 및 부 기지국(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재전송을 요청하는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또한,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은 단말기(300)로부터 역방향 데이터를 전송 받는 주 기지국(100), 주 기지국(100)과 동시에 단말기(300)로부터 역방향 데이터를 전송 받는 부 기지국(200), 및 역방향 전송 에러 발생에 기초하여 주 기지국(100) 및 부 기지국(200) 모두로부터 재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주 기지국(100) 및 부 기지국(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재전송을 수행함으로써 역방향 전송을 수행하는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즉, 단말기(300)가 주 기지국(100) 및 부 기지국(200)과 동일한 데이터를 순방향 전송 또는 역방향 전송함에 있어서, 하나의 무선 경로에서 에러가 발생할 경우 무시하며 두 개의 경로 모두에서 에러가 발생할 경우 두 경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재전송을 받을 수 있다.
이때, 순방향 및 역방향 전송에 있어서, 재전송 우선 순위는 주 기지국(100) 또는 부 기지국(200)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여 우선으로 요청할 수 있고, 주 기지국(100) 또는 부 기지국(200) 중 신호 품질이 좋은 무선 경로, 주 기지국(100) 또는 부 기지국(200) 중 수신 신호 세기가 높은 무선 경로, 주 기지국(100) 또는 부 기지국(200) 중 스케줄링에 여유가 있는 무선 경로를 지정할 수 있다.
한편, 주 기지국(100) 및 부 기지국(200)과 단말기(300) 사이의 순방향 및 역방향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기 위해 파일럿, 스케줄링, 및 피드백 방식 등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여기서, 파일럿 신호는 주 기지국(100) 및 부 기지국(200)에서 데이터 전송 시 사용하는 파일럿과 동일하여 변경 없이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스케줄링은 주 기지국(100)과 부 기지국(200)이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도록 주 기지국(100)과 부 기지국(200)의 무선 자원을 동시에 제어가 가능하여야 한다. 그러나 MIMO와는 달리 스케줄링상 주 기지국(100)과 부 기지국(200)이 몇 서브프레임 차이는 발생하더라도 무방하므로 기존의 스케줄링의 변경 없이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품질에 대한 피드백은 단말기(300)에서 주 기지국(100) 및 부 기지국(200)의 수신 품질 데이터를 주 기지국(100) 및 부 기지국(200)으로 전송할 수 있고, 주 기지국(100) 및 부 기지국(200)에서 단말기(300)의 수신 품질 데이터를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그러나 순방향의 경우 단말기(300)에서 주 기지국(100) 및 부 기지국(200)의 수신 품질 데이터가 좋지 않아 전송 속도가 낮을 경우에 다른 기지국에 의해 이미 전송된 데이터는 피드백을 전송하지 않을 수 있고, 역방향의 경우 주 기지국(100) 및 부 기지국(200)에서 단말기(300)의 수신 품질 데이터가 좋지 않을 경우 두 기지국 중 하나의 기지국에서 수신한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을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순방향 전송에서 단말기(300)가 주 기지국(100) 및 부 기지국(200)에서 받은 동일한 데이터에서 모두 오류가 발생할 경우 단말기(300)는 먼저 오류가 발생한 기지국으로 순방향 데이터 재송신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역방향의 경우 주 기지국(100) 및 부 기지국(200)에서 받은 동일한 데이터에서 모두 오류가 발생할 경우 먼저 오류가 발행한 기지국에서 역방향 데이터 재송신을 요청할 수 있다.
도 13은 도 8의 주 기지국 및 부 기지국이 단말기와 송수신 시 전력 분배를 수행하는 것을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여기서,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은 단말기(300)에 무선 자원을 할당하여 단말기(3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주 기지국(100) 및 주 기지국(100)과 동시에 단말기(3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부 기지국(2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주 기지국(100) 및 부 기지국(200)과 단말기(300)와의 동시적인 통신을 위해, 주 기지국(100)과 부 기지국(200)으로 전력을 분배할 수 있도록 전력 할당을 위한 후보 값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후보 값은 RRC 시그널링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전력 할당을 위한 RRC 시그널링 값은 셀그룹에서 보장할 수 있는 최대 전력 대비 송신 전력 비율을 나타내는 백분율로 표현될 수 있다. 예컨대, RRC 시그널링 값이 10%로 설정된다면, 부 기지국(200)으로 보장가능 전력 대비 10%의 전력이 할당되고 주 기지국(100)으로 보장가능 전력 대비 90%의 전력이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이러한 RRC 시그널링 값은 0[%], 2[%], 5[%], 6[%], 8[%] 10[%], 13[%], 16[%], 20[%], 25[%], 32[%], 37[%], 40[%], 50[%], 60[%], 63[%], 68[%], 75[%], 80[%], 84[%], 87[%], 90[%], 92[%], 95[%], 98[%], 100[%] 중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큰 전력과 낮은 전력에서는 전력 제어가 가장 중요하므로 세밀한 전력 제어를 위해 상대적으로 촘촘하게 분포된 RRC 시그널링 값(예컨대, 0, 2, 5, 6, 8[%]의 분포 또는 100, 98, 95, 92[%]의 분포)을 취할 수 있으나, RRC 시그널링 값이 전술한 값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현예에 따라, RRC 시그널링 값은 0 내지 100% 중 임의의 백분율을 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지정된 비트수(예컨대, 4비트)로 특정 개수의 RRC 시그널링 값을 표시할 수 있도록, 단말기(300)는 셀그룹에서 보장할 수 있는 최대 전력 대비 송신 전력 비율을 위한 RRC 시그널링의 값으로 0[%] 내지 100[%] 중 16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기(300)는 전술한 26개의 백분율 중 16개를 선택하여 RRC 시그널링 값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더 나아가 단말기(300)는 셀그룹에서 보장할 수 있는 최대 전력 대비 송신 전력 비율을 위한 RRC 시그널링의 값을 위해 0 내지 100에 대해 15등분한 결과 및 20등분한 결과 중 4비트로 표현하기 위한 16개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큰 전력과 낮은 전력에서는 세밀한 전력 제어가 필요하기 때문에 20등분으로 전력 비율을 조정하고, 중간 전력은 15등분으로 전력 비율을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 따라, 단말기(300)는 셀그룹에서 보장할 수 있는 최대 전력 대비 송신 전력 비율을 위한 RRC 시그널링의 값으로 0[%], 5[%], 10[%], 15[%], 20[%], 30[%], 37[%], 44[%], 50[%], 56[%], 63[%], 70[%], 80[%], 90[%], 95[%], 100[%]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낮은 전력과 큰 전력은 20등분인 0[%], 5[%], 10[%], 15[%], 20[%]를 포함할 수 있고, 중간 전력은 15등분인 30[%], 37[%], 44[%], 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50[%] 이상은 0[%]~50[%]와 대칭인 56[%], 63[%], 70[%], 80[%], 85[%], 90[%], 95[%], 1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지정된 비트수(예컨대, 4비트)로 특정 개수의 RRC 시그널링 값을 표시할 수 있도록, 위 예에서는 17개의 송신 전력 비율 중 16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1/20 단위와 1/15 단위의 중간인 85[%]를 제외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지정된 비트수(예컨대, 4비트)로 특정 개수의 RRC 시그널링 값을 표시할 수 있도록, 위 예와 달리 1/20 단위와 1/15 단위의 중간인 15[%]를 제외한 16개의 RRC 시그널링 값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구현예에 따라, 전술한 17 개의 송신 전력 비율 중 임의의 하나를 제외한 16개의 송신 전력 비율이 RRC 시그널링 값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데이터는 4비트로 표현되므로 총 16개의 데이터가 필요하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0~100을 15등분 하여 16개의 데이터를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최상위 값과 최하위 값은 상세히 구분하여야 하고 중간 값은 상세한 구분이 필요 없으므로, 최상위 값과 최하위 값은 20등분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중간 값은 15등분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전력 비율을 표현할 수 있는 4비트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300)가 부 기지국(200)으로 송신하는 전력이 최대 전력 대비 90[%]라고 할 때 주 기지국(100)으로 송신하는 전력은 10[%]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4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800) 및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90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800)은 메모리(810), 프로세서(820) 및 RF부(83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810)는 프로세서(82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820)를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들 및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RF부(830)는 프로세서(820)와 연결되어, 외부의 엔티티(entity)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820)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의 기지국의 동작들을 실행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의 기지국(100, 101, 112, 200, 201, 212, 220, 232, 310, 320 등)의 동작은 프로세서(8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단말기(900)는 메모리(910), 프로세서(920) 및 RF부(93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910)는 프로세서(92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920)를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들 및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RF부(930)는 프로세서(920)와 연결되어, 외부의 엔티티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920)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의 단말기의 동작들을 실행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의 단말기(110, 120, 130, 240, 250, 300, 312, 322, 330, 342, 352, 362 등)의 동작은 프로세서(9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된다면, 이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 또는 코드로서 저장 또는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 및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하드웨어 구현에서, 여기에서 설명한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디지털 신호 처리 디바이스(DSPD), 프로그래밍 가능 로직 디바이스(PLD), 현장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컨트롤러, 마이크로프로세서, 여기서 설명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에서, 여기서 설명한 기능들은 소프트웨어 코드들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들은 메모리 유닛들에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프로세서 외부에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메모리 유닛은 공지된 바와 같이 다양한 수단에 의해 프로세서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1)

  1. 단말기에 제 1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주 기지국;
    상기 주 기지국과 동시에 상기 단말기에 제 2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부 기지국; 및
    상기 주 기지국 및 상기 부 기지국으로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상기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주 기지국 또는 상기 부 기지국에서 송신한 제 1 데이터 및 제 2 데이터의 품질을 측정하여 품질이 좋은 기지국으로 가중치를 두어 상기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주 기지국 및 상기 부 기지국에 대해 측정한 품질을 토대로 상기 부 기지국의 품질이 좋지 않을 경우 다른 부기지국의 품질을 측정하여 다른 부기지국으로 절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주 기지국 및 상기 부 기지국에 대해 측정한 품질을 토대로 상기 주 기지국의 품질이 좋지 않을 경우 상기 주 기지국과 상기 부 기지국의 주, 부를 변경하여 안정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수신 SNR, Eb/No, Ec/Io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상기 품질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주 기지국 및 상기 부 기지국으로 송신한 데이터에 전송 에러가 발생할 경우 상기 주 기지국을 우선 할당하여 순차적으로 송신 데이터를 재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베어러를 분리하고 분리된 베어러에 베어러 ID를 추가함으로써 상기 주 기지국 및 상기 부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부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에서 송신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주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 및 상기 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베어러의 베어러 ID를 구분하여 베어러를 재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부 기지국은, 기지국 간 X2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상기 주 기지국으로 베어러를 전송하며 상기 X2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단말기는 베어러 ID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
  8. 단말기로 데이터를 송신을 수행하는 주 기지국;
    상기 주 기지국의 데이터를 전송 받아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부 기지국; 및
    상기 주 기지국 또는 상기 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중 지연된 데이터와 연관되는 베어러를 통해 널 데이터, 에러코드, 재전송 계획 유무, 및 재전송 종료시간 설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단말기 내의 어플리케이션 레이어로 전송하는 상기 단말기;를 포함하는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주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중 지연된 데이터와 연관되는 베어러를 통해 널 데이터, 에러코드, 재전송 계획 유무, 및 재전송 종료시간 설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채워 캐리어 네트워크로 역방향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
  10. 단말기에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주 기지국;
    상기 주 기지국과 동시에 상기 단말기로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부 기지국; 및
    상기 주 기지국 또는 상기 부 기지국에서 송신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기 단말기;를 포함하는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주 기지국 또는 상기 부 기지국에서 송신한 데이터를 MIMO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MIMO 안테나 개수, MIMO 알고리즘 종류, 안테나 패턴에 따른 방향, 및 안테나 패턴에 따른 상대 수신 강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주 기지국 및 상기 부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주 기지국 및 상기 부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의 MIMO 안테나 개수만큼 나누어 안테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주 기지국 및 상기 부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로 MIMO 및 빔포밍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주 기지국 및 상기 부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로 MIMO 및 안테나 다이버시티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주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에 순방향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부 기지국은 상기 주 기지국과 동시에 상기 단말기로 상기 순방향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주 기지국 또는 상기 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모두에 에러가 포함될 경우 상기 주 기지국 및 상기 부 기지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재전송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주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역방향 데이터를 전송 받고,
    상기 부 기지국은 상기 주 기지국과 동시에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역방향 데이터를 전송 받으며,
    상기 단말기는 역방향 전송 에러 발생에 기초하여 상기 주 기지국 및 상기 부 기지국 모두로부터 재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주 기지국 및 상기 부 기지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재전송을 수행함으로써 역방향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
  18.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으로서,
    단말기에 무선 자원을 할당하여 상기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주 기지국; 및
    상기 주 기지국과 동시에 상기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부 기지국;을 포함하며,
    상기 주 기지국 및 상기 부 기지국으로 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셀그룹에서 보장할 수 있는 최대 전력 대비 송신 전력 비율을 위한 RRC 시그널링의 값은 0[%] 내지 100[%] 중 16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셀그룹에서 보장할 수 있는 최대 전력 대비 송신 전력 비율을 위한 RRC 시그널링의 값을 위해 0[%] 내지 100[%]에 대해 15등분한 결과 및 20등분한 결과 중 4비트로 표현하기 위한 16개의 조합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셀그룹에서 보장할 수 있는 최대 전력 대비 송신 전력 비율을 위한 RRC 시그널링의 값으로 0[%], 5[%], 10[%], 15[%], 20[%], 30[%], 37[%], 44[%], 50[%], 56[%], 63[%], 70[%], 80[%], 85[%], 90[%], 95[%], 100[%] 중 16개를 사용하거나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
  2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셀그룹에서 보장할 수 있는 최대 전력 대비 송신 전력 비율을 위한 RRC 시그널링의 값으로 0[%], 2[%], 5[%], 6[%], 8[%] 10[%], 13[%], 16[%], 20[%], 25[%], 32[%], 37[%], 40[%], 50[%], 60[%], 63[%], 68[%], 75[%], 80[%], 84[%], 87[%], 90[%], 92[%], 95[%], 98[%], 100[%] 중 16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
KR1020150010871A 2014-01-23 2015-01-22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 KR2015008874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603,203 US20150208313A1 (en) 2014-01-23 2015-01-22 System for bearer assembling in lte dual connectivity
PCT/KR2015/000751 WO2015111964A1 (ko) 2014-01-23 2015-01-23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8371 2014-01-23
KR1020140008371 2014-01-23
KR20140058952 2014-05-16
KR20140058953 2014-05-16
KR1020140058954 2014-05-16
KR20140058954 2014-05-16
KR1020140058952 2014-05-16
KR1020140058953 2014-05-16
KR1020140088512 2014-07-14
KR1020140088516 2014-07-14
KR1020140088513 2014-07-14
KR1020140088515 2014-07-14
KR1020140088514 2014-07-14
KR20140088516 2014-07-14
KR20140088515 2014-07-14
KR20140088512 2014-07-14
KR20140088513 2014-07-14
KR20140088514 2014-07-14
KR1020140109030 2014-08-21
KR20140109030 2014-08-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8746A true KR20150088746A (ko) 2015-08-03

Family

ID=53873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0871A KR20150088746A (ko) 2014-01-23 2015-01-22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8746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4987A (ko) * 2016-02-12 2017-08-2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중연결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분배 방법 및 이를 위한 기지국 장치
KR20180107664A (ko) 2017-03-22 2018-10-0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중 연결 네트워크에서의 연계 기지국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추정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기지국
KR20180107649A (ko) 2017-03-22 2018-10-0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중 연결 네트워크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지연 감소를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단말
KR20190118844A (ko) 2018-04-11 2019-10-2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전력 절감 모드가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
KR20190121628A (ko) 2018-04-18 2019-10-2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전력 절감 모드가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
KR20190129333A (ko) 2018-05-10 2019-11-2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
KR20200023616A (ko) 2020-02-21 2020-03-0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
KR20200119314A (ko) * 2018-02-14 2020-10-19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전송 방법 및 네트워크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4987A (ko) * 2016-02-12 2017-08-2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중연결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분배 방법 및 이를 위한 기지국 장치
KR20180107664A (ko) 2017-03-22 2018-10-0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중 연결 네트워크에서의 연계 기지국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추정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기지국
KR20180107649A (ko) 2017-03-22 2018-10-0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중 연결 네트워크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지연 감소를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단말
KR20200119314A (ko) * 2018-02-14 2020-10-19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전송 방법 및 네트워크 장치
KR20190118844A (ko) 2018-04-11 2019-10-2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전력 절감 모드가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
KR20190121628A (ko) 2018-04-18 2019-10-2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전력 절감 모드가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
KR20190129333A (ko) 2018-05-10 2019-11-2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
KR20200023616A (ko) 2020-02-21 2020-03-0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293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ownlink control channel information in carrier aggregation system
US9756637B2 (en) Resource allocation in a radio communication network
TWI544771B (zh) 供支援單一上行鏈路載波的終端用之雙重連結技術
KR101719938B1 (ko) 모바일 장치 지원 협력 멀티포인트 전송 및 수신
WO2018141272A1 (zh) 终端、网络设备和通信方法
KR20150088746A (ko)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
JP2020515186A (ja) 移動通信ネットワークの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のエンティティ間での信頼できるデータパケット送信
US20220201544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buffer state repor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inter-enb carrier aggregation technology
US9173216B2 (en) Method and arrangement in a relay node and a controlling node
JP5934700B2 (ja) 中継局、基地局、送信方法、及び受信方法
US11770229B2 (en) Method and device in communication node us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multiple antenna panels
US10536892B2 (en) Method and device for data transmission
CN115336189B (zh) 双连接中的天线管理
EP3949193B1 (en) Preconfigured radio link switching for bandwidth parts
US10727999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multiplex transmission technique is applied
WO2011033944A1 (ja) 中継局、中継方法、及び無線通信装置
US201502159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transmission on lte dual connectivity
JP5491534B2 (ja) 協調mimoのダウンリンクサービスデータに関するコンテンツ同期を実行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20150208313A1 (en) System for bearer assembling in lte dual connectivity
WO2022016933A1 (zh)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节点中的方法和装置
US20230319625A1 (en) Repl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11757469B (zh) 一种波束失败的处理方法及装置
US11304198B2 (en)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traffic monitoring
KR20150088747A (ko) Lte 복수 기지국의 우선순위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urita et al. 5G Advanced Technologies for Mobile Broadb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