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1628A - 전력 절감 모드가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력 절감 모드가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1628A
KR20190121628A KR1020180045189A KR20180045189A KR20190121628A KR 20190121628 A KR20190121628 A KR 20190121628A KR 1020180045189 A KR1020180045189 A KR 1020180045189A KR 20180045189 A KR20180045189 A KR 20180045189A KR 20190121628 A KR20190121628 A KR 20190121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aving mode
power saving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5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1928B1 (ko
Inventor
정상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5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928B1/ko
Publication of KR20190121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1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3Battery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전력 절감 모드가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은,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전력 절감 모드를 위한 타이머의 값과,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정해지는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포함하는 복수의 이동통신 네트워크 중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공받되, 상기 복수의 이동통신 네트워크 중 상기 전력 절감 모드의 적용 대상으로 설정된 특정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상기 단말 간의 트래픽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가, 상기 타이머의 값에 해당되는 시간 이상 지속되는 전력 절감 모드 전환 조건이 만족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전력 절감 모드 전환 조건이 만족될 경우, 상기 특정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상기 단말 간의 무선 통신 기능을 차단하는 전력 절감 모드로 상기 단말을 진입시키는 모드 전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력 절감 모드가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 {MOBILE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LYING POWER SAVING MODE}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두 종류 이상의 이동통신 규격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통신 단말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의 소비 전력을 절감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의 향상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절대다수의 사람들이 휴대용 전화기(cell phone)와 같은 개인용의 이동통신 단말을 소지하여 사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을 통해 이용할 수 있는 컨텐츠들이 고용량화되고 있으며, 저지연(low latency) 서비스에 대한 요구 역시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보다 빠른 속도로 대용량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한 고품질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에는 이중 접속(dual connectivity)과 같은, 서로 다른 통신 규격이 적용되는 두 종류 이상의 이동통신 네트워크(예컨대, LTE과 5G)가 공존하는 통신 방식이 대두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이동통신 환경에서, 단말은 복수의 이동통신 네트워크 각각에 대해 동시에 접속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여러 가지 다양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음에 있어, 서비스의 특성을 고려하여 서비스별로 각기 다른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서비스의 제공을 받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이동통신 방식은, 이종(異種, heterogeneous)의 각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상황에 맞게 이용함으로써 단말에 대해 고품질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지만, 복수의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계속적으로 이용함에 따라 단말의 전력 소모가 커질 수 있다는 단점도 아울러 갖는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15-0088746호 (2015.08.03.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이동통신 방식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단말의 전력 소모를 줄이면서도 단말이 체감하는 이동통신 서비스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전력 절감 모드가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은,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전력 절감 모드를 위한 타이머의 값과,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정해지는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포함하는 복수의 이동통신 네트워크 중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공받되, 상기 복수의 이동통신 네트워크 중 상기 전력 절감 모드의 적용 대상으로 설정된 특정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상기 단말 간의 트래픽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가, 상기 타이머의 값에 해당되는 시간 이상 지속되는 전력 절감 모드 전환 조건이 만족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전력 절감 모드 전환 조건이 만족될 경우, 상기 특정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상기 단말 간의 무선 통신 기능을 차단하는 전력 절감 모드로 상기 단말을 진입시키는 모드 전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에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력 절감 모드가 적용된 이동통신 시스템은, 전력 절감 모드를 위한 타이머의 값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포함하는 복수의 이동통신 네트워크 중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의 제공에 이용될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정해지는 설정 정보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며,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 중 상기 전력 절감 모드의 적용 대상으로 기 설정된 특정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상기 단말 간의 트래픽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가 상기 타이머의 값에 해당되는 시간 이상 지속되는 전력 절감 모드 전환 조건이 만족될 경우, 상기 특정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상기 단말 간의 무선 통신 기능을 차단하는 전력 절감 모드로 상기 단말이 진입하도록 하는 네트워크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복수의 이동통신 네트워크 중 특정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대해서는 트래픽의 발생 양상에 따라 전력 절감 모드가 적용되도록 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전략 절감 모드가 해제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전력 절감 모드의 적용 허용 여부를 단말 및 상기 단말의 가입자에 따라 달리 적용함으로써, 단말에 제공되는 이동통신 서비스의 품질 역시 보장될 수 있다. 아울러, 단말이 제공받을 수 있는 이동통신 서비스의 종류별로 마련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이동통신 서비스에 관한 트래픽을 처리할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이동통신 시스템의 합리적인 운용을 도모하고 단말 사용자의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이종(異種)의 여러 이동통신 네트워크가 공존하는 이동통신 환경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대해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절감 모드가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구성을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 전력 절감 모드의 적용 및 해제를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가입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이종(異種)의 여러 이동통신 네트워크가 공존하는 이동통신 환경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여러 이동통신 네트워크는 어떤 것이든 될 수 있지만, 도 1에서는 이미 상용화되어 널리 이용되는 규격인 LTE(long term evolution)와 차세대 규격인 5G(5-generation)을 이동통신 규격으로서 각각 이용하는 두 개의 이동통신 네트워크가 있다고 가정한다.
5G 상용화 초기 LTE 네트워크의 경우 커버리지(coverage, 1)가 5G 네트워크의 커버리지(2a 내지 2d)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으며, 5G 네트워크의 커버리지(2a 내지 2d)들을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반해 5G 네트워크의 경우, LTE 네트워크에 비해 커버리지가 열세일 수 있으나, 신규 기술 도입을 통해 데이터 전송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르다. 이러한 가정은 본 발명이 적용될 경우 효과를 잘 나타내기 위해 고려된 것이며, 본 발명의 주요한 요지는 특정 통신 시스템의 세대나 커버리지에 따라 한정되지 않고 적용 가능하다.
이와 같은 각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특성에 기초하여, 끊김 없는 송수신이 중요한 서비스(음성 통화 서비스, UDP 기반 미디어 전송 서비스 등) 혹은 간헐적으로 작은 크기의 데이터가 발생하는 서비스(문자 메시지 서비스, 푸시 알람 서비스 등)는 넓은 커버리지를 가져 이동통신 단말이 이동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LTE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단말에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대용량의 데이터를 송수신해야 할 필요가 있는 서비스(대용량 파일 전송 서비스, VOD 서비스 등) 혹은 웹 기반 서비스 등은 고속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5G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단말에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5G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공될 서비스는, 한번 데이터 전송이 시작되면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데이터를 빠르게 송수신해야 하며, 웹 서비스 혹은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기반의 트래픽 특성상 단말(즉, 사용자)이 요청한 경우에만 데이터 전송이 시작되는 특징이 있다.
다만 5G 네트워크와 같이 아직 인프라가 충분히 갖춰지지 않은 신형 네트워크는, LTE 네트워크와 같이 이미 상용화 성숙기에 접어든 기존 네트워크에 비해, 서비스가 필요한 모든 영역을 충분히 커버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5G 네트워크가 커버하지 못하는 커버리지 홀(coverage hole, 3)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커버리지 홀에 단말이 위치하게 될 경우, 단말은 5G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대해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의 이동통신 시스템(10)은 단말(11)에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서로 다른 이동통신 규격을 갖는 둘 이상의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예시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2에서도 이동통신 시스템(10)이 상기 둘 이상의 이동통신 네트워크로서 LTE 네트워크와 5G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21) 및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22)는 LTE 네트워크의 하위 구성요소이며, 5G AN(31) 및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32)는 5G 네트워크의 하위 구성요소이다. 상기 LTE 네트워크 및 5G 네트워크의 하위 구성요소들은 규격에 정의된 바를 따르므로, 여기에서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절감 모드가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구성을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단, 도 3a 및 3b의 단말(100) 및 이동통신 시스템(200)의 세부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3a 및 3b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도 3a의 단말(100)은 통신부(110), 제어부(120) 및 모드 전환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100)은 이동통신 시스템(200)에 접속하여 다양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며,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C), 스마트 워치(smart watch) 등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이동통신 장치일 수 있다.
통신부(110)는 제어부(120)의 제어 하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이동통신 시스템(200)과의 사이에서의 데이터 송신 혹은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신부(110)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는 제어 신호 혹은 데이터 신호 등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통신부(110)는 데이터의 수신을 위한 데이터 버스, 혹은 유/무선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와 같은 연산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이동통신 시스템(200)에 요청 혹은 통지를 하거나, 이동통신 시스템(200)으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요한 정보는, 전력 절감 모드를 위한 타이머(timer)의 값이나, 이동통신 시스템(200)으로부터 단말(100)에 제공되는 이동통신 서비스에 관한 설정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설정 정보는, 각 이동통신 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이동통신 서비스별로 마련될 수 있으며, 각 이동통신 서비스에 관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시에 어떠한 이동통신 규격을 이용할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상기 타이머의 값 및 단말(100)과 이동통신 시스템(200) 간의 트래픽 발생 양상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전력 절감 모드 전환 조건 혹은 전력 절감 모드 해제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부(120)는 후술할 모드 전환부(130)와 함께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와 같은 연산 장치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모드 전환부(130)는 제어부(120)의 판단에 기초하여, 단말(100)을 전력 절감 모드로 진입시킬 수 있으며, 전력 절감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100)을 전력 절감 모드로부터 해제시킬 수도 있다.
도 3b의 이동통신 시스템(200)은 네트워크 통신부(210), 네트워크 제어부(220) 및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시스템(200)은 서로 다른 이동통신 규격을 이용하는 두 종류 이상의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동통신 시스템(200)이 이와 같은 이동통신 네트워크로서 제 1 네트워크와 제 2 네트워크를 포함한다고 가정하도록 한다. 제 1 네트워크는 도 1에서 설명한 5G 네트워크와 같은 특성을 갖는 네트워크일 수 있고, 제 2 네트워크는 역시 도 1에서 설명한 LTE 네트워크와 같은 특성을 갖는 네트워크일 수 있다.
네트워크 통신부(210)는 네트워크 제어부(220)의 제어 하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단말(100)과의 사이에서의 데이터 송신 혹은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 통신부(210)에는, 기지국과 같이 단말(100)과의 무선 통신에 필요한 구성요소가 포함될 수 있다. 물론, 이동통신 시스템(200)이 제 1 네트워크와 제 2 네트워크를 포함함에 따라, 네트워크 통신부(210) 역시 상기 제 1 네트워크의 기지국과 제 2 네트워크의 기지국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부(220)는 이동통신 시스템(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제어부(220)는 네트워크 통신부(210)를 통해 단말(100)과의 사이에서 필요한 정보를 송신 혹은 수신하거나, 단말(100)의 전력 절감 모드 사용 요청에 대한 승인을 수행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제어부(220)는, 네트워크 통신부(210)를 통하여, 이동통신 시스템(200)에 포함된 이동통신 네트워크 중 하나의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함은, 해당 이동통신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의 전송을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동통신 서비스의 제공에 이용될 이동통신 네트워크는, 도 1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서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달리 결정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각 이동통신 서비스에 대해 정의된 설정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100)의 제어부(120) 역시 이동통신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 중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부(110)를 통해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단말(100)이 제공받는 이동통신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의 송신 혹은 수신이, 해당 이동통신 서비스의 설정 정보에 따라 결정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동통신 서비스의 구분에는 IP 플로우(Flow)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IP 플로우 정보는 소스 IP 주소(source IP address), 목적지 IP 주소(destination IP address), 프로토콜 ID(Protocol ID), 소스 포트 번호(source port number), 목적지 포트 번호(destination port number)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서비스의 구분에는 특정 플랫폼(예, 안드로이드, IOS, 윈도우 등)에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별로 할당한 고유 식별자가 이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이동통신 제어부(220)에는, 제 1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제 1 제어부(221), 제 2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제 2 제어부(222)가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서 제 1 제어부(221)는 AMF(32)에 대응될 수 있으며, 제 2 제어부(222)는 MME(22)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제어부(220)는 정책 서버(rule server, 223)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정책 서버(223)는 단말(200)을 위해 전력 절감 모드 운용과 관련된 정책을 결정하거나, 각 이동통신 서비스별로 정의된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책 서버(223)는 PCF(packet control function) 혹은 PCRF(policy and charging rule function)로 구현될 수 있다.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30)는 이동통신 시스템(200)에 가입된 각 단말(100) 및 해당 단말(100)의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동통신 제어부(220)의 정책 서버(223)는 단말(100)에 대해 전력 절감 모드 사용의 승인 여부를 결정하거나, 상기 사용이 승인된 경우 단말(100)을 위한 타이머의 값을 결정할 때에,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된 상기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30)는 UDM(unified data management) 혹은 HSS(home subscriber server)일 수 있다.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30)는 구체적으로 컴퓨터 판독 기록 매체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컴퓨터 판독 기록 매체의 예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들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 전력 절감 모드의 적용 및 해제를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의 과정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3b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4의 과정은 단말(100)이 이동통신 시스템(200)의 제 1 네트워크와 제 2 네트워크에 모두 등록된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등록에 대한 세부 사항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규격을 따를 수 있다.
우선, 단말(100)의 제어부(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전력 절감 모드의 사용을 승인해 줄 것을 이동통신 시스템(200)에 요청할 수 있다(S101). 이와 같은 전력 절감 모드는 MICO(mobile initiated communication only) 모드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말(100)의 요청은, 초기 등록(registration) 과정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상기 초기 등록 이후의 동작 과정에서도 전력 절감 모드의 사용이 필요하다고 생각될 경우, 단말(100)은 등록 과정을 다시 트리거(trigger)함으로써 상기 요청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만, 전력 절감 모드의 사용 승인에 대한 요청을 단말(100)이 이동통신 시스템(200)에 요청하지 않는 경우라도, 이동통신 시스템(200)는 단말(100)의 타입 혹은 가입자 정보 등에 기초하여, 스스로의 판단 하에 단말(100)의 초기 등록 과정에서 단말(100)을 전력 절감 모드의 사용 대상 단말로 설정할 수 있다. 만일 이동통신 시스템(200)에서 전력 절감 모드를 허용하지 않다가 허용하는 것으로 전환하는 상황이 올 경우, 이동통신 시스템(200)은 단말(100)에 상기 상황의 전환을 알릴 수 있다. 그러면 단말(100)은 등록 과정을 수행함과 함께 전력 절감 모드의 사용을 시작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이 접수되면, 제 1 제어부(221)는 해당 가입자에 대한 전력 절감 모드 및 서비스 별 전송 제어에 관한 정보를 정책 서버(223)에게 요청하고, 정책 서버(223)는 상기 요청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S102). 보다 구체적으로, 정책 서버(223)는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된 상기 단말(100) 및 상기 단말(100)의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정책 서버(223)는 상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전력 절감 모드의 사용 요청을 승인할지를 결정하고, 승인한 경우 단말(100)을 위한 타이머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정책 서버(223)는 상기 요청에 대한 승인 여부를, 단말(100)의 타입(type) 혹은 단말(100) 가입자가 가입한 이동통신 서비스의 종류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정책 서버(223)는, 상기 단말(100)이 일반적인 스마트폰(smartphone)인지,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단말인지, 혹은 다른 타입의 단말인지에 따라 요청을 승인할 수도 있고 거부할 수도 있다.
아울러, 승인된 경우의 타이머의 값 역시 상기 단말의 타입 혹은 단말(100) 가입자가 가입한 이동통신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달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정책 서버(223)는 이동통신 시스템(200)에 속한 이동통신 네트워크 중, 어떠한 네트워크에 대해 전력 절감 모드를 적용할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전력 절감 모드의 적용 대상이 될 네트워크가 복수 개인 경우, 이들 각각에 대해 타이머의 값을 각기 따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정책 서버(223)는 이동통신 시스템(200)으로부터 단말(100)에 제공될 수 있는 이동통신 서비스 각각에 대한 설정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설정 정보는, 각 이동통신 서비스가 어떠한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도 1을 참조하여 서술한 바 있는 각 이동통신 서비스의 종류별 특성 혹은 단말(100)의 배터리 절감 효과 등에 기초하여 정해질 수 있다.
어떤 이동통신 서비스의 경우에는, 데이터 전송에 이용되도록 설정 정보에 의해 설정된 이동통신 네트워크가 2개 이상일 수도 있다. 예컨대, 특정 이동통신 서비스는 5G 네트워크와 LTE 네트워크를 모두 이용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가 이용 가능한 복수의 이동통신 네트워크 간에는 우선 순위가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는 기본적으로는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데이터 전송에 이용할 수 있고, 상기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 다음 우선 순위의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데이터 전송에 이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전력 절감 모드의 사용에 대한 승인 여부, 타이머 값 및 각 이동통신 서비스에 대한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는, 정책 서버(223)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전달받은 제 1 제어부(221)에 의해 단말(100)로 전송될 수 있다(S103). 한편, 제 1 제어부(221)는 상기 데이터 중 일부를 정책 서버(223)로부터 수신받는 대신, 정책 서버(223)의 지침에 기초하여 직접 생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단말(100)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단말(100)에게 송신되는 등록 승인(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에 포함되거나, 혹은 별도의 단말 설정 업데이트(UE configuration update)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달될 수 있다. 즉, 상기 데이터의 전송에 있어서, 정책 서버(223)가 생성한 데이터가 제 1 제어부(221)를 거쳐 그대로 단말(100)에게 전달될 수 있으나, 정책 서버(223)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제어부(221)가 생성한 데이터가 단말에게 전달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단말(100)의 제어부(120)는 상기 제 1 제어부(221)로부터 요청의 승인 및 타이머의 값이 수신된 경우, 전력 절감 모드의 적용을 위해 필요한 단말(100) 내부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S104). 다음으로 제어부(120)는 이동통신 시스템(200)으로부터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기 위해, 제 1 네트워크와의 연결(예컨대, 제 1 네트워크가 5G 네트워크일 경우 PDU 세션 생성) 및 제 2 네트워크(예컨대, 제 2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일 경우 PDN 연결 생성)와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S105 및 S106). 여기에서, 상기 제 2 네트워크와의 연결은 전력 절감 모드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을 수 있으므로, 상기 단계 S106은 전력 절감 모드에 대한 승인과 상관없이, 상기 승인보다 시간적으로 먼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제어부(120)는 타이머의 카운트(count)를 시작할 수 있다(S107). 예컨대, 수신된 타이머의 값이 30초라면, 제어부(120)는 카운트 시작 후 30초가 지나면 타이머가 만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200)의 이동통신 네트워크 중, 전력 절감 모드의 적용 대상으로 기 설정된 특정 네트워크인 대상 네트워크를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200)과 단말(100) 간의 트래픽(사용자 트래픽 및 제어 시그널링 포함)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가, 상기 타이머의 값에 해당되는 시간 동안 지속되는 조건인 전력 절감 모드 전환 조건이 만족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108). 여기에서는 제 1 네트워크를 상기 대상 네트워크라고 가정하고, 타이머의 값이 30초라고 가정하도록 하겠지만,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네트워크와 제 2 네트워크 모두가 대상 네트워크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1 네트워크와 제 2 네트워크에 대해서는 각각 타이머 값이 설정될 수 있으며, 전력 절감 모드 전환 조건의 만족 여부 역시 각 네트워크별로 개별적으로 판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가정에서, 제어부(120)는 이동통신 시스템(200)과 단말(100) 간에 제 1 네트워크를 이용한 상향(uplink) 혹은 하향(downlink) 트래픽, 또는 제어 시그널링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가 30초 동안 계속되었다면, 전력 절감 모드 전환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대상 네트워크가 아닌 제 2 네트워크를 이용한 트래픽 발생 여부는 고려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기능의 구현을 위해, 제어부(120)는 제 1 네트워크를 이용한 트래픽 또는 시그널링이 발생할 때마다 타이머를 리셋(reset)시킬 수 있으며(S109), 타이머가 만료되면 전력 절감 모드 전환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하고, 전력 절감 모드로 단말(100)을 전환시키도록 모드 전환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모드 전환부(130)는 상기 전력 절감 모드 전환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대상 네트워크를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200)과 단말(100) 간의 무선 통신(access stratum)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전력 절감 모드로 단말(100)을 진입시킬 수 있다(S110). 예컨대, 모드 전환부(130)는 대상 네트워크인 제 1 네트워크를 통한 이동통신 시스템(200)과 단말(100) 간의 무선 통신을 위한 기능을 차단하고 전력 소모를 줄일수 있다. 이 경우, 제 2 네트워크를 통한 이동통신 시스템(200)과 단말(100) 간의 연결은 상기 차단에도 불구하고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차단을 위해, 모드 전환부(130)는 단말(100)의 구성요소 중 제 1 네트워크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부분의 기능을, 상기 부분에 대한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정지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대상 네트워크인 제 1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는, 서비스의 연속성은 상대적으로 중요치 않은 반면, 대용량의 데이터 전송으로 인해 단말(100)의 배터리의 전력을 많이 소모할 수 있다. 실제로 제 1 네트워크를 통한 트래픽이 비교적 오랫동안 발생하지 않은 상황임에도 계속하여 제 1 네트워크와 단말(100) 간의 연결을 유지하거나, 트래픽 전송을 모니터링하면, 전력 소모가 클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대상 네트워크를 통한 트래픽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될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은 전력 절감 모드로 단말(100)을 진입시킴으로써, 단말(100)의 배터리의 전력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아울러, 전력 절감 모드 사용의 승인 여부와, 상기 일정 시간의 기준이 되는 타이머의 값을 단말(100)의 타입 및 가입 정보에 따라 적응적으로 결정함으로써, 전력 절감 모드로 인한 단말(100)의 서비스 품질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다. 만약 트래픽 발생 빈도가 높고 응답성이 중요한 경우에는 타이머 값을 길게 두어 가급적 단말(100)을 특정 네트워크에 대해 저전력 상태로 두기보단 통신을 바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트래픽 발생 주기가 길고, 응답성이 중요치 않은 단말(100)의 경우는 타이머를 짧게 두어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전력 절감 모드로의 전환이 완료되면, 제어부(120)는 이동통신 시스템(200),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제어부(221)에 상기 전환의 완료를 통지할 수 있다(S111). 그러면 제 1 제어부(221)는 제 1 네트워크를 통한 단말(100)로의 하향링크 트래픽을 차단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제어부(221)는 제 1 네트워크를 통한 단말(100)로의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에 무선 자원을 할당않거나, 네트워크 제어부(220)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200)의 코어 네트워크로 수신된, 전력 절감 모드가 적용된 단말(100)에 관한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버퍼링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단말(100)에 전송한다 해도, 전력 절감 모드에 진입하여 제 1 네트워크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부분의 기능을 비활성화시킨 단말(100)은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으므로, 상기 전송 및 버퍼링은 무익한 일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제 1 제어부(221)의 동작을 통해, 무선 자원 및 망 내 저장공간의 효율적 이용이 달성될 수 있다.
단말(100)이 전력 절감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제어부(120)는 대상 네트워크인 제 1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단말(100)로부터 이동통신 시스템(200)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S112). 즉, 제 1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서비스와 관련된 상향링크 데이터가 전송되어야 하는 경우(예컨대, 단말(100)의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와 관련한 요청을 이동통신 시스템(200)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가 전송되어야 하는 특정 이동통신 서비스를 대상 이동통신 서비스로 칭하도록 한다. 상기 대상 이동통신 서비스의 설정 정보에 따르면, 대상 네트워크로 지정된 제 1 네트워크를 상기 대상 이동통신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 전송에 최우선적으로 이용하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대상 이동통신 서비스가 다음 순위로 이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네트워크가 설정 정보에 의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대상 이동통신 서비스는 우선적으로는 제 1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지만, 제 1 네트워크의 이용이 불가능한 경우 제 2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도 있다고 설정 정보에 의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대상 이동통신 서비스의 설정 정보가 설정된 상태에서, 제 1 네트워크의 사용이 전력 절감 모드로 인해 불가능한 경우, 제어부(120)는 제 1 네트워크의 전력 절감 모드를 해제함이 없이, 일반 모드로 동작하는 제 2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대상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S113, S114).
이와 달리, 대상 이동통신 서비스의 설정 정보에서 제 1 네트워크만을 이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는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은 제 1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밖에 없다. 이 경우, 전력 절감 모드가 해제되어야 하므로, 제어부(120)는 단말(100)을 상기 전력 절감 모드로부터 해제하도록 모드 전환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S115).
예컨대, 모드 전환부(130)는 단말(100)의 구성요소 중 제 1 네트워크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부분의 기능을 다시 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러면 단말(100)과 이동통신 시스템(200) 간의 제 1 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 송신 및 수신이 다시 가능해질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전력 절감 모드가 해제되었음을 이동통신 시스템(200)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제어부(221)로 통지할 수 있다(S116). 이에 따라, 제 1 제어부(221) 역시 제 1 네트워크를 통한 단말(100)로의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이 차단된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제 1 네트워크를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200)으로부터 단말(100)로의 트래픽을 재개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를 일반화하면, 제어부(120)는 대상 이동통신 서비스에 대한 설정 정보에서 전력 절감 모드가 적용된 대상 네트워크 외의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이용을 허용하는 경우, 대상 이동통신 서비스에 관한 이동통신 시스템(200)으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상기 대상 네트워크 외의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제어부(120)는, 설정 정보에서 상기 대상 네트워크 외의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이용을 허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을 위해 전력 절감 모드를 해제한 후 대상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다.
대상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해 대상 네트워크 외의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것을 허용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으로는, 상기 대상 이동통신 서비스의 특성이 이용될 수 있다. 만일 대상 이동통신 서비스에 의해 간헐적으로 작은 데이터가 발생해야 한다면, 단말(100)에 대한 전력 절감 모드의 적용 및 해제로 인한 시그널링 오버헤드(signaling overhead) 및 배터리 소모를 고려하여, 대상 이동통신 서비스에 대해 대상 네트워크 외의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대상 이동통신 서비스가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필요로 하거나(파일 전송 등), 꾸준한 데이터 전송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음성통신 혹은 비디오 스트리밍 등), 대상 이동통신 서비스에 대해 대상 네트워크 외의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음으로써, 전력 절감 모드를 해제하고 대상 네트워크가 데이터 전송에 이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대상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은 전력 절감 모드에 의해서뿐만 아니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커버리지 홀(3)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100)이 제 1 네트워크의 사용이 불가능하여 제 2 네트워크만을 사용할 수 있는 구역으로 진입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대상 이동통신 서비스에 대한 설정 정보에서 전력 절감 모드가 적용된 대상 네트워크인 제 1 네트워크를 우선적으로 사용하되, 제 1 네트워크의 사용이 불가능할 때 제 2 네트워크의 이용을 허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면, 제어부(120)는 대상 이동통신 서비스에 관한 이동통신 시스템(200)으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대상 네트워크가 아닌 제 2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동통신 시스템(200)에 포함된 복수의 이동통신 네트워크 중 특정한 대상 네트워크를 통한 이동통신 시스템(200)과 단말(100) 간의 무선 통신 기능을 차단하는 전력 절감 모드를 일정한 조건 하에서 단말(100)에 적용함으로써, 단말(100)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단말(100)에 적용된 전력 절감 모드를 적절히 해제하도록 함으로써 대상 네트워크를 통한 이동통신 서비스의 이용이 지나치게 방해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전력 절감 모드로의 진입을 결정하기 위한 조건으로 타이머를 이용함으로써, 단말(100)이 지나치게 자주 전력 절감 모드에 대한 진입 및 해제를 반복하여 이동통신 서비스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이동통신 서비스에 관한 트래픽을 처리할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이동통신 서비스별로 각 이동통신 서비스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이동통신 시스템의 합리적인 운용을 도모하고 단말 사용자의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인코딩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인코딩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법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품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절감 모드의 적용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면서도, 필요에 따라 전략 절감 모드의 적용을 해제하고, 상기 전력 절감 모드의 적용 허용 여부를 단말 및 상기 단말의 가입자에 따라 달리 적용함으로써, 단말에 제공되는 이동통신 서비스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 아울러, 이동통신 서비스에 관한 트래픽을 처리할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이동통신 서비스별로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이동통신 시스템의 합리적인 운용을 도모하고 단말 사용자의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100: 단말
110: 통신부
120: 제어부
130: 모드 전환부
200: 이동통신 시스템
210: 네트워크 통신부
220: 네트워크 제어부
221: 제 1 제어부
222: 제 2 제어부
223: 정책 서버
230: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Claims (11)

  1.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통신 단말로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전력 절감 모드를 위한 타이머의 값과,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정해지는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포함하는 복수의 이동통신 네트워크 중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공받되, 상기 복수의 이동통신 네트워크 중 상기 전력 절감 모드의 적용 대상으로 설정된 특정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상기 단말 간의 트래픽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가, 상기 타이머의 값에 해당되는 시간 이상 지속되는 전력 절감 모드 전환 조건이 만족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전력 절감 모드 전환 조건이 만족될 경우, 상기 특정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상기 단말 간의 무선 통신 기능을 차단하는 전력 절감 모드로 상기 단말을 진입시키는 모드 전환부를 포함하는
    전력 절감 모드가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전력 절감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 중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하여 상기 특정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도록 설정된 특정 이동통신 서비스에 관한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이동통신 네트워크로의 데이터 전송이 요구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 중 상기 특정 이동통신 네트워크 외의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거나, 상기 모드 전환부를 제어하여 상기 전력 절감 모드를 해제한 후 상기 특정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전력 절감 모드가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상 이동통신 서비스에 대한 상기 설정 정보에서 상기 특정 이동통신 네트워크 외의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이용을 허용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을 위해 상기 특정 이동통신 네트워크 외의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고, 허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을 위해 상기 전력 절감 모드를 해제한 후 상기 특정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전력 절감 모드가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커버리지를 벗어난 곳에서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 중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하여 상기 특정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도록 설정된 특정 이동통신 서비스에 관한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의 데이터 전송이 요구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특정 이동통신 서비스에 대한 상기 설정 정보에서 상기 특정 이동통신 네트워크 외의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이용을 허용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 중 상기 특정 이동통신 네트워크 외의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전력 절감 모드가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에 대한 상기 전력 절감 모드로의 전환 혹은 상기 전력 절감 모드의 해제가 발생될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상기 전환 혹은 상기 해제의 발생을 통지하는
    전력 절감 모드가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
  6. 이동통신 단말에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서,
    전력 절감 모드를 위한 타이머의 값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포함하는 복수의 이동통신 네트워크 중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의 제공에 이용될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정해지는 설정 정보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며,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 중 상기 전력 절감 모드의 적용 대상으로 기 설정된 특정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상기 단말 간의 트래픽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가 상기 타이머의 값에 해당되는 시간 이상 지속되는 전력 절감 모드 전환 조건이 만족될 경우, 상기 특정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상기 단말 간의 무선 통신 기능을 차단하는 전력 절감 모드로 상기 단말이 진입하도록 하는 네트워크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력 절감 모드가 적용된 이동통신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전력 절감 모드의 사용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네트워크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제어부는, 상기 요청이 수신될 경우, 상기 전력 절감 모드 전환 조건 하에서 상기 전력 절감 모드로 상기 단말이 진입하도록 하는
    전력 절감 모드가 적용된 이동통신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상기 단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제어부는, 상기 단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의 승인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요청이 승인될 경우 상기 단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특정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을 위한 상기 타이머의 값을 결정하여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전력 절감 모드가 적용된 이동통신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의 제공에 이용될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상기 단말 간의 연결이 차단된 경우에, 상기 단말이 상기 복수의 이동통신 네트워크 중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의 제공에 이용될 이동통신 네트워크 외의 다른 이동통신 네트워크로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허용할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 절감 모드가 적용된 이동통신 시스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제어부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전력 절감 모드 전환 조건을 만족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경우, 상기 특정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단말로의 트래픽을 차단하는
    전력 절감 모드가 적용된 이동통신 시스템.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제어부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전력 절감 모드를 해제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경우, 상기 특정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단말로의 트래픽을 재개하는
    전력 절감 모드가 적용된 이동통신 시스템.
KR1020180045189A 2018-04-18 2018-04-18 전력 절감 모드가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 KR102101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189A KR102101928B1 (ko) 2018-04-18 2018-04-18 전력 절감 모드가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189A KR102101928B1 (ko) 2018-04-18 2018-04-18 전력 절감 모드가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628A true KR20190121628A (ko) 2019-10-28
KR102101928B1 KR102101928B1 (ko) 2020-04-20

Family

ID=68422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189A KR102101928B1 (ko) 2018-04-18 2018-04-18 전력 절감 모드가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19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80277A (zh) * 2021-02-19 2022-08-30 海能达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省电方法、窄带通信设备和存储介质
WO2024112000A1 (ko) * 2022-11-25 2024-05-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ue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7765A (ko) * 2013-02-28 2014-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랜으로부터의 셀 접속 제어 및 유효한 주변 무선랜 엑세스포인트 정보 제공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50027647A (ko) * 2013-09-04 2015-03-1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KR20150088746A (ko) 2014-01-23 2015-08-03 (주)휴맥스 홀딩스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
KR20160128876A (ko) * 2015-04-29 2016-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통신 제어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7765A (ko) * 2013-02-28 2014-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랜으로부터의 셀 접속 제어 및 유효한 주변 무선랜 엑세스포인트 정보 제공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50027647A (ko) * 2013-09-04 2015-03-1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KR20150088746A (ko) 2014-01-23 2015-08-03 (주)휴맥스 홀딩스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
KR20160128876A (ko) * 2015-04-29 2016-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통신 제어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80277A (zh) * 2021-02-19 2022-08-30 海能达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省电方法、窄带通信设备和存储介质
CN114980277B (zh) * 2021-02-19 2024-01-16 海能达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省电方法、窄带通信设备和存储介质
WO2024112000A1 (ko) * 2022-11-25 2024-05-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ue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1928B1 (ko) 2020-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7451B2 (en) Session activ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RU2578666C2 (ru) Уменьшение избыточной сигнализации при переходах между состояниями управления радиоресурсами (rrc)
CN107371152B (zh) 用户设备辅助信息上报的方法、用户设备和基站
TWI487404B (zh) 用於用戶識別模組的系統
KR102023608B1 (ko) 단말의 휴면 모드 동작 방법 및 장치
EP3603160A1 (en) Management of handover candidate cells
US20230388891A1 (en) Managing ue information after preparing a conditional mobility procedure
CN109819485B (zh) 一种通信方法、装置及系统
US10327196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intelligent scheduling in hybrid networks based on client identity
US11064556B2 (en) Configuring 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ions
US20180160332A1 (en) Methods, apparatuses,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ntrolling the download of data from a wireless network to a user equipment
JP7247374B2 (ja) モニタリング方法、シグナリング下り送信方法及び装置、通信機器及び記憶媒体
US1081302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tate of terminal device
US20230388817A1 (en) Activating intelligent wireless communciation device reporting in a wireless network
GB2500260A (en) Comparing channel measurements for selecting discontinuous reception cycle lengths or intra-frequency neighbour cell measurement frequency
TW201906431A (zh) 位置追踪方法及使用其之基站與用戶設備
KR102101928B1 (ko) 전력 절감 모드가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
US20240188041A1 (en) Paging caus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2082494B1 (ko)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
KR102101931B1 (ko) 전력 절감 모드가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
WO2022005378A1 (en) Configuration of qoe measurements and associated measurement duration time supporting mobility
KR102172322B1 (ko)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
US20240179790A1 (en) Radio resource control for multi-sim
WO2024036527A1 (zh) 搜索空间配置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US20240172324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ntroll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