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2322B1 -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2322B1
KR102172322B1 KR1020200021879A KR20200021879A KR102172322B1 KR 102172322 B1 KR102172322 B1 KR 102172322B1 KR 1020200021879 A KR1020200021879 A KR 1020200021879A KR 20200021879 A KR20200021879 A KR 20200021879A KR 102172322 B1 KR102172322 B1 KR 102172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erminal
communicat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1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3616A (ko
Inventor
정상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1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2322B1/ko
Publication of KR20200023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3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복수의 무선통신 네트워크 각각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 네트워크 중에서 특정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이동통신 단말의 모드가 전력 절감 모드로 진입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기로 사전에 결정된 하향(downlink) 트래픽이 발생하였다는 알림 메시지가 상기 특정 무선통신 네트워크 이외의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되면, 상기 특정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모드가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서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 {MOBILE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이동통신 규격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의 향상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절대 다수의 사람들이 휴대용 전화기(cell phone)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을 소지하여 사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을 통해 이용할 수 있는 컨텐츠들이 고용량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을 통한 저지연(low latency) 서비스에 대한 요구 역시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보다 빠른 속도로 대용량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한 고품질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기술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에는 이중 접속(dual connectivity)과 같은, 서로 다른 통신 규격이 적용되는 두 종류 이상의 무선통신 네트워크(예컨대, LTE과 5G)가 공존하는 통신 방식이 대두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이동통신 환경에서, 단말은 복수의 무선통신 네트워크 각각에 대해 동시에 접속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여러 가지 다양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음에 있어, 서비스의 특성을 고려하여 서비스별로 각기 다른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서비스의 제공을 받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이동통신 방식은, 이종(異種, heterogeneous)의 각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상황에 맞게 이용함으로써 단말에 대해 고품질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지만, 복수의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계속적으로 이용함에 따라 단말의 전력 소모가 커질 수 있다는 단점도 아울러 갖는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15-0088746호 (2015.08.03.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이동통신 방식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즉 복수의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계속적으로 이용함에 따라 단말의 전력 소모가 커질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단말에 의해 체감되는 이동통신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 내지 유지시킬 수 있는 기술이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복수의 무선통신 네트워크 각각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 네트워크 중에서 특정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이동통신 단말의 모드가 전력 절감 모드로 진입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기로 사전에 설정된 하향(downlink) 트래픽이 발생하였다는 알림 메시지가 상기 특정 무선통신 네트워크 이외의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되면, 상기 특정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모드가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서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복수의 무선통신 네트워크 각각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에는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 네트워크 중에서 특정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이동통신 단말의 모드가 전력 절감 모드로 진입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무선통신 네트워크 이외의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특정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기로 사전에 설정된 하향 트래픽이 수신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무선통신 네트워크 각각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통신부와,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 네트워크 중에서 특정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모드가 전력 절감 모드로 진입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기로 사전에 설정된 하향 트래픽이 발생하였다는 알림 메시지가 상기 특정 무선통신 네트워크 이외의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게 송신되도록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무선통신 네트워크 각각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통신부와,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 네트워크 중에서 특정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모드가 전력 절감 모드로 진입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기로 사전에 설정된 하향 트래픽이 상기 특정 무선통신 네트워크 이외의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게 송신되도록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복수의 무선통신 네트워크 중 특정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대해 전력 절감 모드가 적용된 경우에서 이러한 특정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에게 전달되어야 하는(또는 전달되기로 사전에 설정된) 하향 트래픽이 존재할 경우, 해당하는 특정 무선통신 네트워크 이외의 또 다른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하향 트래픽과 관련된 알림 메시지 또는 해당 하향 트래픽 자체가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하향 트래픽이 누락 없이 단말에게 전달될 수 있으므로, 전력 절감 모드를 채용한 효과를 유지하면서도 무선통신 서비스의 품질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이종(異種)의 여러 무선통신 네트워크가 공존하는 이동통신 환경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기술의 채용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에 대해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및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 및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트래픽이 처리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5와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 및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트래픽이 처리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 및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트래픽이 처리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8과 9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 및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트래픽이 처리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도 4, 5, 7 및 8에 도시된 과정 중 일부인 전력 절감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가입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이종(異種)의 여러 무선통신 네트워크가 공존하는 이동통신 환경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여러 무선통신 네트워크는 어떤 것이든 될 수 있지만, 도 1에는 이미 상용화되어 널리 이용되는 규격인 LTE(long term evolution)와 차세대 규격인 5G(5-generation)를 이동통신 규격으로서 각각 이용하는 두 개의 무선통신 네트워크가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LTE 네트워크의 경우 커버리지(coverage, 1)가 5G 네트워크의 커버리지(2a 내지 2d)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으며, 5G 네트워크의 커버리지(2a 내지 2d)들을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반해 5G 네트워크의 경우 LTE 네트워크에 비해 커버리지가 열세일 수 있으나, 데이터 전송 속도의 면에서 살펴보면 신규 기술을 채용하였으므로 그렇지 않은 LTE 네트워크보다 상대적으로 빠르다. 다만, 전술한 가정은 본 발명이 적용될 경우 효과를 잘 나타내기 위해 고려된 것이며, 본 발명의 주요한 요지는 특정 통신 시스템의 세대나 커버리지에 따라 한정되지 않고 적용 가능하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단말을 통해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이동통신 서비스는 각 이동통신 서비스의 성질에 가장 잘 부합되는 특성을 갖는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끊김 없는 송수신이 중요한 서비스(음성 통화 서비스, UDP(User Datagram Protocol) 기반 미디어 전송 서비스 등) 혹은 간헐적으로 작은 크기의 데이터가 발생하는 서비스(문자 메시지 서비스, 푸시 알림 서비스 등) 등은 넓은 커버리지를 가져 이동통신 단말이 이동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LTE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에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대용량의 데이터를 송수신해야 할 필요가 있는 서비스(대용량 파일 전송 서비스, VOD 서비스 등) 혹은 웹 기반 서비스 등은 고속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5G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5G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공될 서비스는, 한번 데이터 전송이 시작되면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데이터를 빠르게 송수신해야 하며, 특히 웹 서비스 혹은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기반의 트래픽의 경우 단말(즉, 사용자)이 요청한 경우에만 데이터 전송이 시작되는 특징이 있다.
다만 5G 네트워크와 같은 신형 네트워크의 도입 초기 환경에 의해서는, LTE 네트워크와 같이 이미 상용화 성숙기에 접어든 기존 네트워크에 비해, 서비스가 요구되는 모든 영역이 충분히 커버되지 못하거나, 선택적인 영역에 한정되어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5G 네트워크가 커버하지 못하는 커버리지 홀(coverage hole, 3)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커버리지 홀에 단말이 위치하게 될 경우, 단말은 5G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기술을 채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100) 및 이동통신 시스템(200)을 포함하는 시스템(10)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시스템(10)은 단말(11)을 포함한다.
또한, 시스템(10)은 이러한 단말(11)에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21,22,31,32,40)을 포함한다.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21,22,31,32,40)은 서로 다른 이동통신 규격을 갖는 둘 이상의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예컨대, 도 1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시스템(21,22,31,32,40)은 LTE 네트워크와 5G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때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21) 및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22)는 LTE 네트워크의 하위 구성요소를 나타내며, 5G AN(31) 및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32)는 5G 네트워크의 하위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상기 LTE 네트워크 및 5G 네트워크의 하위 구성요소들은 규격에 정의된 바를 따르며 다른 명칭을 가질 수도 있되, 여기에서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a 및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100)(이하, '단말(100)'이라고 지칭하기로 함) 및 이동통신 시스템(200)의 구성을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단, 도 3a 및 3b의 단말 (100) 및 이동통신 시스템(200)의 세부 구성은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3a 및 3b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도 3a를 참조하면, 단말(100)은 통신부(110)를 포함하며,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20) 및 모드 전환부(130)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단말(100)은 이동통신 시스템(200)에 접속하여 다양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예컨대, 단말(100)은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C), 스마트 워치(smart watch) 등 휴대성과 이동성을 갖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이동통신 장치일 수 있다.
통신부(110)는 제어부(120)의 제어 하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이동통신 시스템(200)과의 사이에서 데이터 등을 송수신한다. 이와 이와 같은 통신부(110)는 데이터의 수신을 위한 데이터 버스, 혹은 유/무선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와 같은 연산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저장부(140)는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 등의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데이터에는 이동통신 시스템(200)으로부터 수신된 다양한 데이터가 있을 수 있으며, 예컨대 각 이동통신 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이동통신 서비스별로 마련되는 이동통신 서비스에 관한 설정 정보 등이 저장부(140)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통신 서비스별로 마련되는 이동통신 서비스에 관한 설정 정보란 각 이동통신 서비스에 관한 데이터 전송(업링크(uplink) 측면에서의 전송 또는 다운링크(downlink) 측면에서의 전송)을 수행할 시에 어떠한 이동통신 규격 내지 어떠한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할지에 대해 설정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설명할 제어부(120)와 모드 전환부(130)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와 같은 연산 장치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먼저 제어부(120)에 대해 살펴보면, 제어부(120)는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통신부(110)를 제어하여서, 전력 절감 모드의 사용이 이동통신 시스템(200)에게 요청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후술할 모드 전환부(130)를 제어하여서 단말(100)을 전력 절감 모드로 진입시키거나 이미 진입된 전력 절감 모드에서 해제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다양한 정보를 이용하여서 각 이동통신 서비스를 구분한 뒤, 이러한 각각의 이동통신 서비스와 관련된 트래픽 전송 시에 어떠한 이동통신 규격을 이용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20)는 특정 이동통신 서비스와 관련된 업링크(uplink) 트래픽이 특정한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 있도록 결정하여서, 이러한 트래픽의 전송이 이러한 결정에 따라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통신 서비스를 구분하는 수단인 파라미터(parameter)로는 IP 플로우(Flow) 정보가 이용되거나 또는 특정 플랫폼(예, 안드로이드, IOS, 윈도우 등)에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별로 할당된 고유 식별자가 이용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IP 플로우 정보는 소스 IP 주소(source IP address), 목적지 IP 주소(destination IP address), 프로토콜 ID(Protocol ID), 소스 포트 번호(source port number), 목적지 포트 번호(destination port number)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모드 전환부(13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대해서, 단말(100)을 전력 절감 모드로 진입시키거나 아니면 이미 진입된 전력 절감 모드를 해제시킬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이동통신 시스템(200)은 네트워크 통신부(210) 및 네트워크 제어부(220)를 포함하며, 실시예에 따라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3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시스템(200)은 서로 다른 이동통신 규격을 이용하는 두 종류 이상의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이동통신 시스템(200)이 이와 같은 무선통신 네트워크로서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와 제2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는 도 1에서 설명한 5G 네트워크와 같은 특성을 갖는 네트워크일 수 있고, 제2 무선통신 네트워크는 역시 도 1에서 설명한 LTE 네트워크와 같은 특성을 갖는 네트워크일 수 있다.
네트워크 통신부(210)는 네트워크 제어부(220)의 제어 하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단말(100)과의 사이에서 데이터 송신 혹은 수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 통신부(210)에는, 기지국과 같이 단말(100)과의 무선 통신에 필요한 구성요소가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이동통신 시스템(200)은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와 제2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하므로, 네트워크 통신부(210) 또한 이러한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 및 이러한 제2 무선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부(220)는 이동통신 시스템(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제어부(220)는 특정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단말(100)의 모드가 전력 절감 모드에 진입하거나 전력 절감 모드에서 해제된 경우, 각 경우에서 트래픽 처리가 가능하도록 네트워크 제어부(22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제어부(220)는 특정 이동통신 서비스와 관련된 하향 트래픽 또는 상향 트래픽이 어떠한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지를 결정 하거나 또는 이와 같이 결정된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하향 트래픽이나 상향 트래픽이 전송되도록 네트워크 제어부(22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하향 트래픽이란 이동통신 시스템(200)으로부터 단말(100)에게 전송되는 트래픽을 의미하고, 상향 트래픽이란 단말(100)로부터 이동통신 시스템(200)에게 전송되는 트래픽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 제어부(220)에는 제 1 제어부(221), 제 2 제어부(222), 정책 서버(223) 및 게이트웨이(224)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제어부(221)는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구성이며,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AMF(32)에 대응될 수 있다.
제2 제어부(222)는 제2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구성이며,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MME(22)에 대응될 수 있다.
정책 서버(223)는 단말(200)을 위해 전력 절감 모드 운용과 관련된 정책을 제공하거나, 각 이동통신 서비스별로 정의된 설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책 서버(223)는 PCF(packet control function) 혹은 PCRF(policy and charging rule function)로 구현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224)는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게이트웨이(gateway, GW)(40)에 대응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게이트웨이(224) 자체는 이동통신 시스템 분야에서 자명한 구성이므로 이러한 게이트웨이(224) 자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30)는 이동통신 시스템(200)에 가입된 각 단말(100) 및 해당 단말(100)의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된 정보는, 정책 서버(223)가 단말(100)에 대해 전력 절감 모드 사용의 승인 여부를 결정할 때와 같은 다양한 상황에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30)는 UDM(unified data management) 혹은 HSS(home subscriber server)일 수 있다.
이러한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30)는 구체적으로 컴퓨터 판독 기록 매체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컴퓨터 판독 기록 매체의 예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들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이동통신 단말(100)과 무선통신 시스템(200)에 의해 트래픽이 처리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할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각각의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은 서로 조합, 병합 내지 수정될 수 있다.
먼저,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 및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트래픽이 처리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4의 과정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3b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도 4에 도시된 과정의 세부적인 사항, 예컨대 과정에서 송수신되는 신호의 종류, 신호를 송수신하는 주체, 신호가 송수신되는 순서 등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도 4에 도시된 것과 상이한 실시예가 도 4에 의해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과정은 단말(100)이 이동통신 시스템(200)에서 채용하고 있는 전술한 제 1 무선통신 네트워크와 제 2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모두 등록(registration)된 상태에서 수행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는 제1 제어부(221)에 의해 제어되는 네트워크이고, 제2 무선통신 네트워크는 제2 제어부(222)에 의해 제어되는 네트워크임은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이러한 등록에 대한 세부 사항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규격을 따를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는 이러한 등록에 대한 세부 사항이 도시되어 있지 않으며, 본 명세서에서도 이러한 등록의 세부 사항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말(100)의 등록 과정이 완료되면, 그 이후의 동작 중에 단말(100)의 제어부(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이동통신 시스템(200)에 포함된 복수의 무선통신 네트워크 중에서 단말(100)에 제공되는 이동통신 서비스와 관련하여 선택된(또는 설정된) 특정 무선통신 네트워크(이하에서는 특정 무선통신 네트워크가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인 것을 전제로 설명하기로 한다)에 대하여 전력 절감 모드의 사용을 승인해 줄 것을 이동통신 시스템(200)의 제1 제어부(221)에 요청(registration request)할 수 있다(S100). 이러한 단계 S100에서의 요청에는 전력 절감 모드가 MICO(mobile initiated communication only) 모드라는 정보,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와의 세션 ID(예컨대 PDU session ID) 및 제2 제어부(222)의 ID(예컨대 MME의 ID)가 포함될 수 있는데, 다만 전력 절감 전력 절감 모드가 MICO인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계 S100에 따른 요청이 있으면, 제1 제어부(221)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200)은 2개의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S200). 그 중 첫번 째는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단말(100)의 모드를 전력 절감 모드로 진입시키기 위한 설정인데, 이러한 첫번 째 설정은 도 4 내지 9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며, 다만 도 10과 함께 뒤에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두번 째는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단말(100)의 모드가 전술한 첫번 째의 설정에 의해 전력 절감 모드로 진입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와 관련하여서 단말(100)에게 전송될 하향(downlink) 트래픽이 발생한 경우,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2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이 이러한 하향 트래픽을 어떻게 처리할지에 대한 설정이다.
여기서, 전술한 2개의 설정은 순차적으로, 즉 첫번 째 설정이 완료된 후 두번 째 설정이 수행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예컨대 두번 째 설정에 포함된 단계 중 일부는 첫번 째 설정에 포함된 단계들이 수행되는 중간, 즉 완료되기 이전에도 수행되거나 이러한 단계들이 수행되는 것과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아울러, 실시예에 따라 전술한 2개의 설정 중 어느 한 개만이 수행될 수도 있고 또는 언급되지 않은 다른 설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언급된 2개의 설정이 순차적으로, 즉 첫번 째 설정이 수행된 후 두 번 째 설정이 수행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기로 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첫번 째 설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서 두번 째 설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단말(100)로부터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전력 절감 모드 사용을 요청받은 제1 제어부(221)는, 하향(downlink) 트래픽 발생 시 하향 트래픽이 발생하였다는 알림 메시지를 제2 제어부(222)가 제어하는 제2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알려달라고 게이트웨이(224)에게 요청한다(S111). 여기서의 하향 트래픽이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이동통신 서비스와 관련하여서 이동통신 시스템(200)으로부터 단말(100)에게 전송될 트래픽을 의미한다. 단계 S111의 요청에는 전력 절감 모드가 MICO 모드라는 정보,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와의 세션 ID(예컨대 PDU session ID), 및 제2 제어부(222)의 ID(예컨대 MME의 ID)가 포함될 수 있으며, 다만 여기서 전력 절감 모드가 MICO인 것은 예시적인 것이라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만약 해당 세션으로 송수신되는 서비스 중 선택적으로 상기 기능을 적용할 경우, 단계 S111의 요청에는 대상이 되는 서비스를 한정할 수 있는 정보(5QI, QCI, IP 플로우 정보 등)가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단계 S111의 요청에 따라 게이트웨이(224)는 하향 트래픽 발생 시 제1 제어부(221)가 제어하는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가 아닌, 제2 제어부(222)가 제어하는 제2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술한 하향 트래픽이 발생하였다는 알림 메시지를 단말(100)에게 전송하도록 설정된다.
또한, 제1 제어부(221)는 제2 제어부(222)에게, 전술한 하향 트래픽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게이트웨이(224)로부터 전달받으면 이러한 알림 메시지를 다시 단말(100)에게 제2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100)에게 전송해달라고 요청한다(S112). 단계 S112의 요청에는 단말(100)을 식별하는 ID, 게이트웨이(224)의 주소(address) 및 이러한 게이트웨이(224)로부터 전술한 알림 메시지를 전달받을 수 있다는 세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부(221)는 게이트웨이(224)로부터 단계 S111의 요청에 대한 응답을 받는다(S113). 단계 S113의 응답에는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와의 세션 ID(예컨대 PDU session ID)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단계 S113는 단계 S111이 수행된 이후에 수행되지만, 단계 S112는 단계 S111 및 S113이 수행되는 시점과 무관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 후 제1 제어부(221)는 단말(100)에게 단계 S111에서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전술한 알림 메시지의 전송에 대해 설정을 완료하였음을 보고한다(S114). 이러한 단계 S114에 의해 보고를 받은 단말(100)은,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기로 약속되었던 이동통신 서비스들에서 하향링크 트래픽이 발생한 경우,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가 아닌 제2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알림을 수신하도록 동작한다.
한편, 전술한 2개의 설정이 수행 완료되면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단말(100)은 제1 제어부(221)로부터 제1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전력 절감 모드의 사용에 대한 승인(registration accept, MICO)을 받는다. 아울러, 단말(100)의 제어부(120)는 이러한 승인에 기초해서 단말(100)의 모드 전환부(130)를 제어하여서,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대해 단말(100)이 전력 절감 모드에 진입하도록 할 수 있다(S120). 이러한 전력 절감 모드에서는,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이동통신 시스템(200)과 단말(100) 간의 무선 통신 기능은 차단될 수 있으며, 다만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제외한 나머지 무선통신 네트워크, 예컨대 제2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이동통신 시스템(200)과 단말(100) 간의 연결은 이러한 전력 절감 모드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무선 통신 기능의 차단은 모드 전환부(130)가 단말(100)의 구성요소 중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부분의 기능에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방법 등으로 구현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력 절감 모드에 진입한 단말(100)에서는 소비 전력이 줄어들 수 있다.
한편,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대해 단말(100)이 전력 절감 모드에 진입하여 동작하는 상태에서, 해당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와 관련된 이동통신 서비스에 대한 트래픽(또는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기로 사전에 설정된 트래픽)이 이동통신 시스템(200)으로부터 단말(100)에게 송신되어야 하는 상황, 즉 하향(downlink) 트래픽이 이동통신 시스템(200)으로부터 단말(100)에게 전송되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S130). 이러한 단계 S130에서 언급된 이러한 상황은 게이트웨이(224)에서 인식 가능하다.
단계 S130에 언급된 전술한 상황 발생 시, 게이트웨이(224)는 하향 트래픽이 발생하였다는 알림 메시지를 제2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222)에게 전송한다(S140). 이어서, 제2 제어부(222)는 네트워크 통신부(210)를 제어하여서 단말(100)에게 전력 절감 모드를 해제시키라는 명령(또는 요청) 또는 전술한 알림 메시지를 포함하는 트래픽을 제2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100)에게 전송되도록 한다(S150).
다음으로, 단말(100)의 제어부(120)는 단계 S150에서 수신받은 트래픽을 기초로 모드 전환부(130)를 제어하여서,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단말(100)의 모드를 전력 절감 모드에서 해제시킨다(S160).
이에 따라,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대해 전력 절감 모드가 해제된 상황이 이동통신 시스템(200)에도 반영된다(S170). 예컨대, 단말(100)은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대해 전력 절감 모드를 해제시키라는 요청(registration request, MICO off)을 제1 제어부(221)에게 전송하는데, 이 때 이러한 요청에는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와의 세션 ID(예컨대 PDU session ID)가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제어부(221)와 게이트웨이(224) 간에는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와의 세션 ID(예컨대 PDU session ID) 및 gNB ID를 포함하는 세션이 업데이트될 수 있고, 제1 제어부(221)와 제2 제어부(222) 간에는 단말(100)이 전력 절감 모드에서 해제되었다는 정보가 해당 단말(100)의 ID와 함께 공유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말(100)은 게이트웨이(224)로부터의 하향 트래픽을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다(S180).
즉,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복수의 무선통신 네트워크 중 특정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대해 전력 절감 모드가 적용된 경우에서 이러한 특정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에게 전달되어야 하는(또는 전달되기로 사전에 약속되어 있는) 하향 트래픽이 존재할 경우, 해당하는 특정 무선통신 네트워크 이외의 또 다른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하향 트래픽과 관련된 알림 메시지가 단말에 전송될 수 있으며, 이러한 알림 메시지를 통해 단말은 전력 절감 모드에서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하향 트래픽이 전술한 특정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누락 없이 단말에게 전달될 수 있으므로, 전력 절감 모드를 채용한 효과를 유지하면서도 무선통신 서비스의 품질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5와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 및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트래픽이 처리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5와 6에 도시된 과정의 세부적인 사항, 예컨대 과정에서 송수신되는 신호의 종류, 신호를 송수신하는 주체, 신호가 송수신되는 순서 등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도 5와 6에 도시된 것과 상이한 실시예가 도 5와 6에 의해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와 6은 도시된 제2 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과 차이가 나는 부분이 있다. 이에, 이하에서는 제2 실시예가 제1 실시예와 차이가 나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고 제1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부분을 원용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5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서 단계 S200 내지 S230 까지는 도 4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 단계 S100 내지 S130과 동일하다. 아울러, 도 5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서 단계 S231에서의 판단이 '예'인 경우에 수행되는 단계 S240 내지 280은 도 4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 단계 S140 내지 S180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단계 S231 및 단계 S231에서의 판단이 '아니오'인 경우를 나타내는 도 6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향 트래픽이 이동통신 시스템(200)으로부터 단말(100)에게 전송되어야 하는 상황에서 게이트웨이(224)는 하향 트래픽의 전송을 위해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전력 절감 모드에서 해제시키는 것이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231). 만약 하향 트래픽이 그 크기가 매우 작거나 또는 간헐적으로 전송되는 특징을 갖는 경우에서까지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전력 절감 모드에서 해제시키는 것은 이러한 하향 트래픽을 제2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것보다 비효율적일 수 있다. 이에, 게이트웨이(224)는 하향 트래픽이 이동통신 서비스의 규격에서 정한 하향 트래픽의 기준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지 여부 또는 상기 규격에서 정한 하향 트래픽의 단위 시간 당 전송 횟수가 기준보다 작은 트래픽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기초로 전술한 판단을 할 수 있으며, 다만 판단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S231의 판단 결과 '예'라면 단계 S240 내지 S280의 절차가 수행된다.
그러나, 단계 S231의 판단 결과 '아니오'라면 도 6에 도시된 절차가 수행되는 바, 이하에서는 도 6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을 살펴보면, 단계 S231의 판단 결과 '아니오'라면 게이트웨이(224)는 하향 트래픽이 제2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100)에게 전송되도록 네트워크 통신부(210)를 제어한다(S232).
즉,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복수의 무선통신 네트워크 중 특정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대해 전력 절감 모드가 적용된 경우에서 이러한 특정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에게 전달되어야 하는(또는 전달되기로 사전에 설정된) 하향 트래픽이 존재할 경우, 해당하는 특정 무선통신 네트워크 이외의 또 다른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하향 트래픽이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하향 트래픽이 누락 없이 단말에게 전달될 수 있으므로, 전력 절감 모드를 채용한 효과를 유지하면서도 무선통신 서비스의 품질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2 실시예에서는 여전히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는 전력 절감 모드에 있는 반면 제2 무선통신 네트워크는 이용 가능한 일반 모드에 있다. 이 경우, 제2 실시예에서는 단계 S232 이후에 단말(100)에서 무선통신 시스템(200)으로 전송할 상향 (uplink) 트래픽이 존재한다면(S233), 이러한 상향 트래픽을 제2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서 전송할지 아니면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전력 절감 모드에서 해제시켜서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지가 결정되는 과정이 제어부(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S234). 단계 S234의 결정에 있어서 제어부(120)는 상향 트래픽과 관련된 이동통신 서비스의 종류를 고려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이동통신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는 정책 서버(223)로부터 전달받아서 저장부(140)에 저장된 정보가 그 기초가 될 수 있다.
만약 단계 S234에서 제2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단말(100)의 제어부(120)는 통신부(110)를 제어하여서 해당 상향 트래픽이 제2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도록 제어한다(S235). 그러나 단계 S234에서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단말(100)의 제어부(120)는 모드 전환부(130)를 제어하여서 단말(100)의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전력 절감 모드를 해제시킬 수 있다(S236).
이후에는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대해 전력 절감 모드가 해제된 상황이 이동통신 시스템(200)에도 반영되며(S237), 단계 S237이 완료되면 단말(100)의 제어부(120)는 통신부(110)를 제어하여서 상향 트래픽이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도록 제어한다(S238).
한편, 도 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 및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트래픽이 처리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과정의 세부적인 사항, 예컨대 과정에서 송수신되는 신호의 종류, 신호를 송수신하는 주체, 신호가 송수신되는 순서 등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도 7에 도시된 것과 상이한 실시예가 도 7에 의해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도시된 제3 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제1 실시예 및 도 5와 6에 도시된 제2 실시예 각각과 공통되는 부분과 차이가 나는 부분이 있다. 이에, 이하에서는 제3 실시예가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차이가 나는 부분에서만 설명하기로 하고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 각각에서 설명된 부분을 원용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7에 도시된 제3 실시예에서 단계 S1100 내지 S1130은 도 4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 단계 S100 내지 S130과 동일하다. 이에, 이하에서는 단계 S1140에서부터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의 단계 S1140을 살펴보면, 게이트웨이(224)는 하향 트래픽이 제2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100)에게 전송되도록 네트워크 통신부(210)를 제어한다(S1140).
즉, 제3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복수의 무선통신 네트워크 중 특정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대해 전력 절감 모드가 적용된 경우에서 특정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에게 전달되어야 하는(또는 전달되기로 사전에 설정된) 하향 트래픽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특정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전력 절감 모드에서 해제시키지 않고 이외의 다른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에게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이 전력 절감 모드를 채용하는 경우에도 망 자원 및 전력 절감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아울러 무선통신 서비스의 품질 또한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제3 실시예에서는 여전히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는 전력 절감 모드에 있는 반면 제2 무선통신 네트워크는 이용 가능한 일반 모드에 있다. 이 경우, 제3 실시예에서는 단계 S1140 이후에 단말(100)에서 무선통신 시스템(200)으로 전송할 상향 (uplink) 트래픽이 존재한다면(S1150), 이러한 상향 트래픽을 제2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서 전송할지 아니면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전력 절감 모드에서 해제시켜서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지가 결정되는 과정이 제어부(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S1160). 단계 S1160의 결정에 있어서 제어부(120)는 상향 트래픽과 관련된 이동통신 서비스의 종류를 고려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이동통신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는 정책 서버(223)로부터 전달받아서 저장부(140)에 저장된 정보가 그 기초가 될 수 있다.
만약 단계 S1160에서 제2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단말(100)의 제어부(120)는 통신부(110)를 제어하여서 해당 상향 트래픽이 제2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도록 제어한다(S1170). 그러나 단계 S1170에서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단말(100)의 제어부(120)는 모드 전환부(130)를 제어하여서 단말(100)의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전력 절감 모드를 해제시킬 수 있다(S1180).
이후에는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대해 전력 절감 모드가 해제된 상황이 이동통신 시스템(200)에도 반영되며(S1190), 단계 S1190이 완료되면 단말(100)의 제어부(120)는 통신부(110)를 제어하여서 상향 트래픽이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도록 제어한다(S1191).
한편, 도 8과 9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 및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트래픽이 처리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8과 9에 도시된 과정의 세부적인 사항, 예컨대 과정에서 송수신되는 신호의 종류, 신호를 송수신하는 주체, 신호가 송수신되는 순서 등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도 8과 9에 도시된 것과 상이한 실시예가 도 8과 9에 의해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도 8과 9는 도시된 제4 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7에 도시된 제3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과 차이가 나는 부분이 있다. 이에, 이하에서는 제4 실시예가 제3 실시예와 차이가 나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고 제3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제3 실시예에서 설명된 부분을 원용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8에 도시된 제4 실시예에서 단계 S1200 내지 S1230 까지는 도 7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 단계 S1100 내지 S1130과 동일하다. 아울러, 도 8에 도시된 제4 실시예에서 단계 S1231에서의 판단이 '예'인 경우에 수행되는 단계 S1240 내지 1291은 도 7에 도시된 제3 실시예에서 단계 S1140 내지 S1191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단계 S1231 및 단계 S1231에서의 판단이 '아니오'인 경우를 나타내는 도 9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를 살펴보면, 단계 S1231의 판단 결과 '아니오'라면 게이트웨이(224)는 하향 트래픽이 발생하였다는 알림 메시지를 제2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222)에게 전송한다(S1231). 이어서, 제2 제어부(222)는 네트워크 통신부(210)를 제어하여서 단말(100)에게 전력 절감 모드를 해제시키라는 명령(또는 요청) 또는 전술한 알림 메시지를 포함하는 트래픽을 제2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100)에게 전송되도록 한다(S1232).
다음으로, 단말(100)의 제어부(120)는 단계 S1232에서 수신받은 트래픽을 기초로 모드 전환부(130)를 제어하여서,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단말(100)의 모드를 전력 절감 모드에서 해제시킨다(S1233).
이에 따라,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대해 전력 절감 모드가 해제된 상황이 이동통신 시스템(200)에도 반영된다(S1234). 예컨대, 단말(100)은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대해 전력 절감 모드를 해제시키라는 요청(registration request, MICO off)을 제1 제어부(221)에게 전송하는데, 이 때 이러한 요청에는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와의 세션 ID(예컨대 PDU session ID)가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제어부(221)와 게이트웨이(224) 간에는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와의 세션 ID(예컨대 PDU session ID) 및 gNB ID를 포함하는 세션이 업데이트될 수 있고, 제1 제어부(221)와 제2 제어부(222) 간에는 단말(100)이 전력 절감 모드에서 해제되었다는 정보가 해당 단말(100)의 ID와 함께 공유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말(100)은 게이트웨이(224)로부터의 하향 트래픽을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다(S1235).
한편, 도 10은 도 4, 5, 7 및 8에 도시된 과정 중 일부인 전력 절감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10을 참조하기에 앞서, 도 10에 도시된 과정의 세부적인 사항, 예컨대 과정에서 송수신되는 신호의 종류, 신호를 송수신하는 주체, 신호가 송수신되는 순서 등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도 5에 도시된 것과 상이한 실시예가 도 10에 의해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을 도 4와 함께 참조하면, 단계 S100에서 제1 제어부(221)가 단말(100)로부터 전력 절감 모드의 사용을 요청받으면, 제1 제어부(221)는 전력 절감 모드 또는 서비스 별 전송 제어에 관한 정보를 정책 서버(223)에게 요청한다(도 5에는 미도시). 이 경우, 정책 서버(223)는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30)로부터 전술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정보에는 해당 가입자의 단말(100)에 전력 절감 모드의 사용을 허락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정보는 가입자 소유의 단말(100)의 타입(type), 즉 단말(100)이 일반적인 스마트폰(smartphone)인지 또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단말인지에 따라 결정된 것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획득된 정보에는 해당 가입자가 가입한 이동통신 서비스가 이동통신 시스템(200)에 속한 복수의 무선통신 네트워크 중 어떠한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트래픽을 주고받는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도 1을 참조하여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각 이동통신 서비스의 종류별 특성 등에 기초하여 사전에 정해진 것일 수 있다.
또한, 획득된 정보에는 복수의 무선통신 네트워크들 간에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살펴보면, 특정 이동통신 서비스가 이용하도록 설정된 무선통신 네트워크의 개수는 적어도 2개일 경우 이들 무선통신 네트워크 간에는 우선 순위가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는 기본적으로는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데이터 전송에 이용할 수 있고, 상기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무선통신 네트워크의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 다음 우선 순위의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데이터 전송에 이용할 수 있다.
정책 서버(223)에서 획득된 전술한 정보들은 정책 서버(223)에서 제1 제어부(221)로 회신되며(S10), 이어서 제1 제어부(221)로부터 단말(100)에게 회신될 수 있다(S11).
한편, 제 1 제어부(221)는 상기 데이터 중 일부를 정책 서버(223)로부터 수신받는 대신, 정책 서버(223)의 지침에 기초하여 직접 생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단계 S202에서 제1 제어부(221)로부터 단말(100)에게 회신되는 데이터는 정책 서버(223)가 생성한 데이터이거나 또는 정책 서버(223)로부터 수신받은 정보를 기초로 제 1 제어부(221)가 생성한 데이터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단말(100)의 제어부(120)는 단계 S11에서 받은 정보를 기초로 전력 절감 모드의 적용을 위해 필요한 단말(100) 내부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S12).
또한, 제어부(120)는 이동통신 시스템(200)으로부터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기 위해,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와의 연결(예컨대, 제1 무선통신 네트워크가 5G 네트워크일 경우 PDU 세션 생성) 및 제2 무선통신 네트워크(예컨대, 제2 무선통신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일 경우 PDN 연결 생성)와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S13 및 S14).
이 후, 제어부(120)는 제1 제어부(221)로부터 전력 절감 모드 사용에 대해 승인받을 수 있다(S15).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복수의 무선통신 네트워크 중 특정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대해 전력 절감 모드가 적용된 경우에서 이러한 특정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에게 전달되어야 하는(또는 전달되기로 사전에 설정된) 하향 트래픽이 존재할 경우, 해당하는 특정 무선통신 네트워크 이외의 또 다른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하향 트래픽과 관련된 알림 메시지 또는 해당 하향 트래픽 자체가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하향 트래픽이 누락 없이 단말에게 전달될 수 있으므로, 전력 절감 모드를 채용한 효과를 유지하면서도 무선통신 서비스의 품질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인코딩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인코딩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법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품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이 전력 절감 모드를 채용하는 경우에도 망 자원 및 전력 절감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아울러 무선통신 서비스의 품질 또한 향상될 수 있다.
100: 이동통신 단말
200: 이동통신 시스템

Claims (5)

  1. 이동통신 단말로서,
    이동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복수의 무선통신 네트워크 각각과 통신을 수행하도록 마련된 통신부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전송할 상향(uplink) 트래픽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상향 트래픽을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 네트워크 중 전력 절감 모드로 진입된 특정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상기 전력 절감 모드에서 해제시킨 뒤 상기 특정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지 아니면 상기 특정 무선통신 네트워크 이외의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할지를 여부를, 상기 상향 트래픽과 관련된 이동통신 서비스의 종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해서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향 트래픽과 관련된 이동통신 서비스의 종류에 대한 정보에는,
    데이터 전송 크기, 데이터 전송 속도 및 지연(latency) 정도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이동통신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은,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상향 트래픽과 관련된 이동통신 서비스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
  3. 복수의 무선통신 네트워크 각각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통신부와,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 네트워크 중에서 특정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모드가 전력 절감 모드로 진입되어서 상기 특정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무선 통신 기능이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기로 사전에 결정된 하향 트래픽이 상기 특정 무선통신 네트워크 이외의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게 송신되도록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향 트래픽의 전달에 이용되기로 사전에 결정된 상기 특정 무선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하향 트래픽과 관련하여 구분된 이동통신 서비스에서 요구하는 특성을 기초로 결정된 것이되, 상기 구분된 이동통신 서비스에서 요구하는 특성에는 데이터 전송 크기, 데이터 전송 속도 및 지연(latency) 정도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이동통신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제어부는,
    상기 하향 트래픽이 소정의 이동통신 서비스의 규격에서 정한 하향 트래픽의 기준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갖거나 또는 상기 규격에서 정한 하향 트래픽의 단위 시간 당 전송 횟수가 기준보다 작은 경우, 상기 하향 트래픽이 상기 특정 무선통신 네트워크 이외의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게 송신되도록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를 제어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제어부는,
    상기 하향 트래픽의 전달에 이용될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결정할 때의 기초가 되는 정책이,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를 통해 사전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게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KR1020200021879A 2020-02-21 2020-02-21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 KR102172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879A KR102172322B1 (ko) 2020-02-21 2020-02-21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879A KR102172322B1 (ko) 2020-02-21 2020-02-21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810A Division KR102082494B1 (ko) 2018-05-10 2018-05-10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616A KR20200023616A (ko) 2020-03-05
KR102172322B1 true KR102172322B1 (ko) 2020-10-30

Family

ID=69803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879A KR102172322B1 (ko) 2020-02-21 2020-02-21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232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031B1 (ko) * 2011-08-03 2012-11-3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송신장치 및 관리장치와 그 장치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6286A (ko) * 2003-12-26 2005-06-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액세스 네트워크 선택 장치 및방법
KR20150088746A (ko) 2014-01-23 2015-08-03 (주)휴맥스 홀딩스 Lte 이중 연결에서의 베어러 재조립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031B1 (ko) * 2011-08-03 2012-11-3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송신장치 및 관리장치와 그 장치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616A (ko) 2020-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7758B2 (en) Function selection based on utilization level in 5G environments
WO2019158102A1 (zh) 一种确定QoS描述信息的方法和装置
US11483801B2 (en) Resource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US11064556B2 (en) Configuring 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ions
KR20230022958A (ko) 모델 기반 예측적 간섭 관리
US11212857B2 (en) Predictive bearer assignment for wireless networks
US9980152B2 (en) Method of indication of available radio resources
US20230246724A1 (en) Model based predictive interference management
WO2023082878A1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EP3913982A1 (en) Network slicing with a radio access network node
US20220150784A1 (en) Handover method and apparatus
JP2022502929A (ja) データ伝送制御方法、ネットワーク機器および記憶媒体
US20230189054A1 (en) Relay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WO2021087996A1 (zh) 通信方法和通信装置
KR102082494B1 (ko)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
KR102101928B1 (ko) 전력 절감 모드가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
WO2017156789A1 (zh) 基于设备到设备的通信方法和终端
KR102172322B1 (ko)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
CN115915196A (zh) 一种链路状态检测方法、通信装置及通信系统
CN112106326B (zh) 用于通信的主动资源预留
WO2023082877A1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WO2023185062A1 (zh) 一种备份方法、通信装置及通信系统
WO2024027212A1 (zh) 一种网络切片的管理方法、通信装置及通信系统
EP4354999A1 (en) Communic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KR102101931B1 (ko) 전력 절감 모드가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