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7031B1 - 송신장치 및 관리장치와 그 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송신장치 및 관리장치와 그 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7031B1
KR101207031B1 KR1020110077330A KR20110077330A KR101207031B1 KR 101207031 B1 KR101207031 B1 KR 101207031B1 KR 1020110077330 A KR1020110077330 A KR 1020110077330A KR 20110077330 A KR20110077330 A KR 20110077330A KR 101207031 B1 KR101207031 B1 KR 101207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specific network
wifi
state
networ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7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훈
장재성
한경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7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70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7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7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신장치(단말장치) 및 외부장치 간의 데이터 송수신에 대하여 데이터를 분할하고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환경에서 송신장치의 불필요한 전력 낭비 및 관리장치의 성능 저하를 유발하는 요인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송신장치 및 관리장치와 그 장치의 동작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송신장치는,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한 2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며, 전송 대상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여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관리장치로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동시 전송 서비스에 대응하여 트래픽 휴지 상태임을 알리고, 이 후 관리장치와의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통한 접속상태확인메시지의 송수신을 중단하며, 상기 관리장치로부터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나머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트래픽 휴지 상태를 보고한 상기 특정 네트워크에 대한 휴지상태 해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휴지상태 해제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통한 부분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함을 알리는 구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송신장치 및 관리장치와 그 장치의 동작 방법{TRANSMISSION DEVICE AND RECEIV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송신장치(단말장치) 및 외부장치 간의 데이터 송수신에 대하여 데이터를 분할하고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환경에서 송신장치의 불필요한 전력 낭비 및 관리장치의 성능 저하를 유발하는 요인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송신장치 및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과, 관리장치 및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업자는 다수의 무선 기술을 바탕으로 한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국내의 경우 주요 사업자는 WCDMA, CDMA, WiBro 및 최근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인 WLAN(WiFi) 기술까지 도입하여 네트워크를 구축, 서비스하고 있다. 더불어 최근에는 LTE(Long Term Evolution) 망이 활발히 도입되고 있다.
이처럼 여러 네트워크가 혼재된 이기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환경에서 단말장치가 이를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현재 방식은, 단말장치 사용자의 직접적인 변경에 의한 접속 네트워크 선택 방식으로 사업자 측의 개입(controllability)이 배제된 방식이기 때문에 사업자 입장을 고려할 때 소극적인 방식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폰, 태블렛 PC 등 다양한 무선 기기들이 증가하고 데이터 요금이 저렴해지며 동시에 다양한 대용량 데이터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사업자의 네트워크 부하율이 급격히 상승함에 따라 망 투자비 과다 지출 및 서비스 안정성 측면에서 위협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여러 네트워크가 혼재된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라 능동적으로 단말장치의 접속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선택된 네트워크를 이용한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새로운 서비스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도 1과 관련하여, 관리장치(400)에서 부분데이터를 송신하는 다운링크에 대비하여, 각 단말장치(100)와 관리장치(400) 간에 연결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유지/활성화되어 있음을 확인하기 위해 상태유지를 위한 접속상태확인메시지를 송수신하는 keep alive를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단말장치(100)가 접속상태확인메시지 즉 keep alive를 관리장치(400)로 송신하는 경우, 단말장치(100)가 동시 전송 서비스에 따른 트래픽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에도 주기적으로 keep alive를 생성하기 위해 타이머를 구동해야 하고 keep alive 메시지를 발생시켜야 함에 따라서, 단말장치(100)에서 불필요한 전력을 소모하게 된다.
한편, 관리장치(400)가 접속상태확인메시지 즉 keep alive를 각 단말장치(100)로 송신하는 경우, 관리장치(400)에 등록된 모든 단말장치(100) 각각에 대한 관리로 인해 성능이 저하되는 우려가 예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술과 같이 예상되는 단말장치(100)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 및 관리장치(400)의 성능 저하를 미연에 방지하면서도, 동시에 다운링크 시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 간의 연결을 보장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단말장치(100) 및 외부장치(500) 간의 전술과 같은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한 동시 전송 서비스의 신뢰성 및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구성을 더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한 2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며, 전송 대상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여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관리장치로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동시 전송 서비스에 대응하여 트래픽 휴지 상태임을 알리고, 이 후 관리장치와의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통한 접속상태확인메시지의 송수신을 중단하며, 상기 관리장치로부터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나머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트래픽 휴지 상태를 보고한 상기 특정 네트워크에 대한 휴지상태 해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휴지상태 해제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통한 부분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함을 알리는 송신장치 및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여, 트래픽 휴지 상태에서 특정 네트워크(WiFi)를 통한 상태유지 확인 동작을 지속하지 않아도 되고, 트래픽 재 발생 시 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휴지상태 해제 요청에 대한 응답을 네트워크(WiFi)를 통해 관리장치로 회신함으로써 관리장치와의 네트워크(WiFi) 인터페이스를 유지할 수 있어, 송신장치의 불필요한 전력 낭비 및 관리장치의 성능 저하를 유발하는 요인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전송 대상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여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에 대응하여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특정 송신장치로부터 트래픽 휴지 상태임이 수신되면, 상기 송신장치에 대응되는 상기 특정 네트워크에 대한 인터페이스 상태를 휴지상태로 전환하고, 이 후 송신장치와의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통한 접속상태확인메시지의 송수신을 중단하며, 상기 동시 전송 서비스에 따른 부분데이터 송수신 발생 시,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나머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송신장치로 상기 특정 네트워크에 대한 휴지상태 해제를 요청하는 관리장치 및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여, 송신장치의 트래픽 휴지 상태에서 특정 네트워크(WiFi)를 통한 상태유지 확인 동작을 지속하지 않아도 되고, 트래픽 재 발생 시 타 네트워크를 통해 휴지상태 해제 요청하여 이에 대한 응답을 네트워크(WiFi)를 통해 수신함으로써 송신장치와의 네트워크(WiFi) 인터페이스를 유지할 수 있어, 송신장치의 불필요한 전력 낭비 및 관리장치의 성능 저하를 유발하는 요인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송신장치는,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한 2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멀티통신부; 전송 대상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여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관리장치로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동시 전송 서비스에 대응하여 트래픽 휴지 상태임을 알리는 상태알림부; 및 상기 관리장치로부터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나머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트래픽 휴지 상태를 보고한 상기 특정 네트워크에 대한 휴지상태 해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휴지상태 해제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통한 부분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함을 알리는 응답회신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시 전송 서비스에 대응하여 트래픽 휴지 상태임을 알리면, 상기 송신장치와 상기 관리장치 간에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통한 접속상태확인메시지의 송수신을 중단하는 상태유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태알림부는, 상기 동시 전송 서비스에 대응하여 부분데이터가 송수신되지 않은 상태로 기 설정된 아이들(idle)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동시 전송 서비스에 대응하여 트래픽 휴지 상태임을 상기 관리장치에 알릴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응답회신부는, 상기 관리장치로부터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나머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부분데이터에서 상기 특정 네트워크에 대한 터널휴지 해제를 요청하는 요청데이터가 인지되면, 상기 요청데이터에 따른 응답메시지를 상기 특정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관리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통한 부분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함을 알릴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관리장치는,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한 2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멀티통신부; 전송 대상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여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에 대응하여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특정 송신장치로부터 트래픽 휴지 상태임이 수신되면, 상기 송신장치에 대응되는 상기 특정 네트워크에 대한 인터페이스 상태를 휴지상태로 전환하는 인터페이스상태관리부; 및 상기 동시 전송 서비스에 따른 부분데이터가 발생하면,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나머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송신장치로 상기 특정 네트워크에 대한 휴지상태 해제를 요청하는 해제요청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장치에 대응되는 상기 특정 네트워크에 대한 인터페이스 상태를 휴지상태로 전환하면, 상기 송신장치와 상기 관리장치 간에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통한 접속상태확인메시지의 송수신을 중단하는 상태유지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해제요청부는, 상기 동시 전송 서비스에 대응하는 전송 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부분데이터를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송신장치로 송신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나머지 네트워크에서 연결상태 유지 확률이 가장 높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송신장치로 상기 특정 네트워크에 대한 터널휴지해제요청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송 대상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여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관리장치로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동시 전송 서비스에 대응하여 트래픽 휴지 상태임을 알리는 상태 알림단계; 및 상기 관리장치로부터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나머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트래픽 휴지 상태를 보고한 상기 특정 네트워크에 대한 휴지상태 해제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휴지상태 해제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통한 부분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함을 알리는 해제요청 응답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전송 대상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여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관리장치로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동시 전송 서비스에 대응하여 트래픽 휴지 상태임을 알리는 상태 알림단계; 및 상기 관리장치로부터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나머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트래픽 휴지 상태를 보고한 상기 특정 네트워크에 대한 휴지상태 해제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휴지상태 해제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통한 부분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함을 알리는 해제요청 응답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리장치로 상기 트래픽 휴지 상태임을 알리면, 상기 송신장치와 상기 관리장치 간에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통한 접속상태확인메시지의 송수신을 중단하는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태 알림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는, 상기 동시 전송 서비스에 대응하여 부분데이터가 송수신되지 않은 상태로 기 설정된 아이들(idle)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동시 전송 서비스에 대응하여 트래픽 휴지 상태임을 상기 관리장치에 알릴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해제요청 응답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는, 상기 관리장치로부터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나머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부분데이터에서 상기 특정 네트워크에 대한 터널휴지 해제를 요청하는 요청데이터가 인지되면, 상기 요청데이터에 따른 응답메시지를 상기 특정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관리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통한 부분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함을 알릴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따른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송 대상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여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에 대응하여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특정 송신장치로부터 트래픽 휴지 상태임이 수신되면, 상기 송신장치에 대응되는 상기 특정 네트워크에 대한 인터페이스 상태를 휴지상태로 전환하는 인터페이스상태 전환단계; 및 상기 동시 전송 서비스에 따른 부분데이터가 발생하면,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나머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송신장치로 상기 특정 네트워크에 대한 휴지상태 해제를 요청하는 해제 요청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장치에 대응되는 상기 특정 네트워크에 대한 인터페이스 상태를 휴지상태로 전환하면, 상기 송신장치와 상기 관리장치 간에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통한 접속상태확인메시지의 송수신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해제 요청단계는, 상기 동시 전송 서비스에 대응하는 전송 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부분데이터를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송신장치로 송신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나머지 네트워크에서 연결상태 유지 확률이 가장 높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송신장치로 상기 특정 네트워크에 대한 터널휴지해제요청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송신장치 및 관리장치와 그 장치의 동작 방법에 의하면, 송신장치(단말장치) 및 외부장치 간의 데이터 송수신에 대하여 데이터를 분할하고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환경에서, 트래픽 아이들 상태의 송신장치에 대한 상태유지 확인 동작(keep alive) 중단으로 인해 보장되지 않던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연결을 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예 : 3G)를 이용하여 유지/활성화시킴으로써, 송신장치의 불필요한 전력 낭비 및 관리장치의 성능 저하를 유발을 미연에 방지하면서도 송신장치 및 관리장치 간의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연결을 보장할 수 있어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한 동시 전송 서비스의 신뢰성 및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치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의 서비스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은, 전송 대상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여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관리장치(400)와,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장치(400)에 접속하여 동시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송신장치(1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송신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시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단말장치(100)에 대응되며, 이후 설명에서는 송신장치(100) 및 단말장치(100)의 명칭을 혼용하도록 하겠다.
여기서, 2 이상의 네트워크 즉 이기종의 네트워크는, WCDMA, CDMA, WiBro, WLAN(WiFi) 및 LTE(Long Term Evolu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무선 패킷 서비스 네트워크(WCDMA)를 지칭하는 제1네트워크(이하, "3G 네트워크"라 칭함)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WiFi)를 지칭하는 제2네트워크(이하, "WiFi 네트워크"라 칭함)로 한정하여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제1네트워크장치(200)는 3G 네트워크 즉, 무선 패킷 서비스 네트워크를 운용하기 위한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 장비를 지칭하게 되며, 아울러, 제2네트워크장치(300)는 WiFi 네트워크 즉,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운용하기 위한 엑세스포인트(AP)를 지칭하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은, 관리장치(400)로부터 동시 전송 서비스에 따라 결합/복원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외부장치(500) 및 네트워크 선택 정책을 제공하는 정책관리장치(6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외부장치(500)는 관리장치(400)를 통해 단말장치(1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서버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 관리장치(400)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단말장치(100)에 예컨대, 포털서비스 및 컨텐츠 제공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책관리장치(600)는 예컨대, 가입자 선호도, 가입자 유형, 가입 요금제, 서비스 대상 어플리케이션의 유형 등을 포함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상의 다양한 네트워크 파라미터 및 네트워크 상태 변동에 따른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로부터 수신되는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선택 정책을 결정하여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에 제공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는, 단말장치(100) 및 외부장치(500) 간의 데이터 송수신에 대하여,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 간에 하나의 데이터를 분할하고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예 : 3G 및 WiFi)를 사용하여 송신하고, 수신된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원래의 데이터를 복원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구현하고 있다.
이때, 단말장치(100) 및 외부장치(500) 간의 전술과 같은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한 동시 전송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데이터 분할 및 결합을 수행하는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 간에 연결되는 각 네트워크 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항상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를 위해, 관리장치(400)에서 부분데이터를 송신하는 다운링크에 대비하여, 각 단말장치(100)와 관리장치(400) 간에 연결된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유지/활성화되어 있음을 확인하기 위해 상태유지를 위한 접속상태확인메시지를 송수신하는 keep alive를 구현할 수 있다. 이는, WiFi 네트워크의 경우 커버리지로 인하여 단말장치(100)가 WiFi 네트워크에 접속/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에, 단말장치(100)가 접속상태확인메시지 즉 keep alive를 관리장치(400)로 송신하는 경우, 단말장치(100)가 동시 전송 서비스에 따른 트래픽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에도 주기적으로 keep alive를 생성하기 위해 타이머를 구동해야 하고 keep alive 메시지를 발생시켜야 함에 따라서, 단말장치(100)에서 불필요한 전력을 소모하게 된다.
한편, 관리장치(400)가 접속상태확인메시지 즉 keep alive를 각 단말장치(100)로 송신하는 경우, 관리장치(400)에 등록된 모든 단말장치(100) 각각에 대한 관리로 인해 성능이 저하되는 우려가 예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술과 같이 예상되는 단말장치(100)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 및 관리장치(400)의 성능 저하를 미연에 방지하면서도, 동시에 다운링크 시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 간의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연결을 보장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단말장치(100) 및 외부장치(500) 간의 전술과 같은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한 동시 전송 서비스의 신뢰성 및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구성을 더 제안하고자 한다.
우선, 단말장치(100)는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Bro, WiFi, LTE 등)를 통해 관리장치(400)에 접속하여 동시 전송 서비스를 이용한다.
이러한 단말장치(100)는, 동시 전송 서비스에 대응하여 트래픽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기 설정된 아이들(idle)시간이 경과하면,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Bro, WiFi, LTE 등) 중 특정 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동시 전송 서비스에 대응하여 트래픽 휴지 상태임을 관리장치(400)에 알린다.
관리장치(4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트래픽 휴지 상태임이 수신되면, 단말장치(100)에 대응되는 특정 네트워크(예 : WiFi)에 대한 인터페이스 상태를 휴지상태로 전환한다.
그리고,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장치는, 단말장치(100)와 관리장치(400) 간에 연결된 특정 네트워크(예 :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태유지 확인 동작 즉 keep alive 송수신 동작을 중단/중지할 것이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예 :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태유지 확인 동작 즉 keep alive 송수신 동작을 중단/중지함에 따라, 단말장치(100)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 및 관리장치(400)의 성능 저하는 예방되지만, 반면 단말장치(100)에 대응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통한 네트워크(예 : WiFi) 인터페이스는, 기 정의된 인터페이스 유지 정책에 따라 연결이 끊어지거나 또는 pinhole이 유지되지 않을 수 있다.
이 후, 관리장치(400)는, 동시 전송 서비스에 따른 단말장치(100)에 대한 트래픽 발생 시,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Bro, WiFi, LTE 등) 중 나머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상기 특정 네트워크(예 : WiFi)에 대한 휴지상태 해제를 요청한다.
이때, 관리장치(400)는, 일반적으로 단말장치(100)와의 Always on으로 유지되는 네트워크(예 : 3G)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인터페이스 상태가 휴지상태인 특정 네트워크(예 : WiFi)에 대한 휴지상태 해제를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단말장치(100)는, 전술과 같이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Bro, WiFi, LTE 등) 중 나머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예 : 3G)를 통해 상기 트래픽 휴지 상태를 보고한 특정 네트워크(예 : WiFi)에 대한 휴지상태 해제 요청이 수신되면, 휴지상태 해제 요청에 대응하여 특정 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특정 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한 부분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함을 관리장치(400)로 알린다.
예를 들면, 단말장치(100)는, 특정 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한 부분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함을 알리는 응답메시지를 특정 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관리장치(4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단말장치(100)가 휴지상태 해제 요청에 따른 응답메세지를 연결이 끊어지거나 또는 pinhole이 유지되지 않을 우려가 있는 특정 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관리장치(400)로 회신함으로써,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 간에 keep alive 중단으로 인해 상태가 보장되지 않던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연결 유지/활성화된다.
이에 관리장치(400)는, 동시 전송 서비스에 따른 단말장치(100)에 대한 트래픽 발생에 대응하여, 전송 대상 데이터를 분할하고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예 : 3G 및 WiFi)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즉, 단말장치(100) 및 외부장치(500) 간의 데이터 송수신에 대하여,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 간에 하나의 데이터를 분할하고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복수개의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Bro, WiFi, LTE 등)를 통해 를 사용하여 송신하고, 수신된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원래의 데이터를 복원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실행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100)는,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한 2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멀티통신부(110)와, 전송 대상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여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관리장치(400)로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동시 전송 서비스에 대응하여 트래픽 휴지 상태임을 알리는 상태알림부(120)와, 관리장치(400)로부터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나머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트래픽 휴지 상태를 보고한 상기 특정 네트워크에 대한 휴지상태 해제 요청이 수신되면, 휴지상태 해제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통한 부분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함을 알리는 응답회신부(130)를 포함한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100)는, 관리장치(400)와 연결된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유지/활성화되어 있음을 확인하기 위한 접속상태확인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상태유지 확인 동작을 수행하는 상태유지부(115)와, 전송 대상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여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부분데이터를 하나의 데이터로 결합/생성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동시전송서비스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멀티통신부(110)는, 각기 상이한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한 2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통신기능부이다. 예를 들어 2개의 네트워크를 언급하여 설명하면, 멀티통신부(110)는, 제1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제1통신부(112) 및 제2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제2통신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통신부(112)는 제1네트워크를 통한 제1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로서, 예를 들면 3G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1네트워크장치(200)와 연동하기 위한 통신모듈일 수 있다.
제2통신부(114)는, 제2네트워크를 통한 제2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로서, 예를 들면 WiFi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2네트워크장치(300)와 연동하기 위한 통신모듈일 수 있다.
동시전송서비스부(140)는, 전송 대상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고 관리장치(400)와 연결된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Bro, WiFi, LTE 등)를 통해 부분데이터를 송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부분데이터를 하나의 데이터로 결합/생성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실행한다.
즉, 동시전송서비스부(140)는, 업링크 과정에서, 전송 대상 데이터를 분할하여 제1부분데이터를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거쳐 3G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하고 제2부분데이터를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거쳐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할 것이다.
또한, 동시전송서비스부(140)는, 다운링크 과정에서, 3G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장치(400)로부터 송신된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하고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장치(400)로부터 송신된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여 일련의 결합 절차를 거쳐 원래의 데이터를 생성/복원할 것이다.
상태유지부(115)는, 관리장치(400)와 연결된 특정 네트워크(예 : WiFi) 인터페이스가 유지/활성화되어 있음을 확인하기 위한 관리장치(400)와 접속상태확인메시지를 송수신함으로써, 상태유지 확인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상태유지부(115)는, 접속상태확인메시지로서 주기적으로 keep alive 메시지를 발생/생성하여 이를 특정 네트워크(예 :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장치(400)로 송신하는 상태유지 확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태유지부(115)는, 관리장치(400)에서 발생/생성된 keep alive 메시지를 특정 네트워크(예 :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는 상태유지 확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태알림부(120)는, 관리장치(400)로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Bro, WiFi, LTE 등) 중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동시 전송 서비스에 대응하여 트래픽 휴지 상태임을 알린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태알림부(120)는, 동시전송서비스부(140)에서의 동시 전송 서비스에 대응하여 트래픽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기 설정된 아이들(idle)시간이 경과하면, 특정 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동시 전송 서비스에 대응하여 트래픽 휴지 상태임을 관리장치(400)에 알린다.
예를 들면, 상태알림부(120)는, 특정 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특정 네트워크(예 : WiFi)의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상태정보를 휴지상태로 전환 요청하는 터널휴지요청메시지(예 : WiFi_Tunnel Pause Request)를 관리장치(4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전술과 같이 관리장치(400)는, 터널휴지요청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송신장치(100)에 대응되는 특정 네트워크(예 : WiFi)에 대한 인터페이스 상태를 휴지상태로 전환할 것이며, 이에 대응하는 응답(예 : WiFi_Tunnel Pause Response)을 해당 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송신장치(100)로 회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의 상태유지부(115)는, 전술과 같이 동시 전송 서비스에 대응하여 부분데이터 송수신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기 설정된 아이들(idle)시간이 경과한 경우, 또는 상태알림부(120)가 터널휴지요청메시지를 관리장치(400)로 제공한 경우, 또는 터널휴지요청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이 관치장치(400)로부터 회신된 경우, 기 수행하고 있던 상태유지 확인 동작을 중단/종료할 것이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예 :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태유지 확인 동작 즉 접속상태확인메시지(keep alive) 송수신 동작을 중단/중지함에 따라, 송신장치(100)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 및 관리장치(400)의 성능 저하는 예방되지만, 반면 송신장치(100)에 대응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통한 네트워크(예 : WiFi) 인터페이스는, 기 정의된 인터페이스 유지 정책에 따라 연결이 끊어지거나 또는 pinhole이 유지되지 않을 수 있다.
응답회신부(130)는, 관리장치(400)로부터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Bro, WiFi, LTE 등) 중 나머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트래픽 휴지 상태를 보고한 특정 네트워크(예 : WiFi)에 대한 휴지상태 해제 요청이 수신되면, 휴지상태 해제 요청에 대응하여 특정 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특정 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한 부분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함을 알리는 관리장치(400)로 알린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응답회신부(130)는, 관리장치(400)로부터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Bro, WiFi, LTE 등) 중 나머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바람직하게는 Always on으로 유지되는 네트워크(예 : 3G)를 통해 휴지상태로 전환된 특정 네트워크(예 : WiFi)에 대한 터널휴지해제요청메시지(예 : WiFi_Tunnel Refresh Request)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응답회신부(130)는, 터널휴지해제요청메시지에 따른 응답메시지(예 : WiFi_Tunnel Refresh Response)를 휴지상태의 특정 네트워크(예 : WiFi)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장치(4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응답회신부(130)가 휴지상태 해제 요청에 따른 응답을 특정 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관리장치(400)로 회신함으로써, 송신장치(100) 및 관리장치(400) 간에 keep alive 중단으로 인해 상태가 보장되지 않던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연결 유지/활성화된다.
이에 관리장치(400)는, 전술과 같이 동시 전송 서비스에 따른 송신장치(100)에 대한 트래픽 발생에 대응하여, 전송 대상 데이터를 분할하고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연결된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 즉 제1네트워크(예 : 3G) 및 제2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송신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응답회신부(130)는, 관리장치(400)로부터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Bro, WiFi, LTE 등) 중 나머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바람직하게는 Always on으로 유지되는 네트워크(예 : 3G)를 통해 수신되는 부분데이터에서 휴지상태로 전환된 특정 네트워크(예 : WiFi)에 대한 터널휴지 해제를 요청하는 요청데이터를 인지할 수 있다.
즉, 응답회신부(130)는, 동시전송서비스부(140)에서의 동시 전송 서비스에 대응하여 관리장치(400)로부터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Bro, WiFi, LTE 등)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예 : 3G)를 통해 부분데이터가 수신되면, 부분데이터의 지정된 필드에 특정 요청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부분데이터의 지정된 필드에 특정 요청데이터가 존재하면, 응답회신부(130)는, 해당 요청데이터 즉 특정 네트워크(예 : WiFi)에 대한 터널휴지 해제를 요청하는 요청데이터를 부분데이터로부터 인지하게 된다.
이에 부분데이터로부터 특정 네트워크(예 : WiFi)에 대한 터널휴지 해제를 요청하는 요청데이터가 인지되면 응답회신부(130)는, 상기 요청데이터에 따른 응답메시지를 특정 네트워크(예 : WiFi)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장치(4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응답회신부(130)는, 요청데이터에 따른 응답메시지(예 : WiFi_Tunnel Refresh Response)를 휴지상태의 특정 네트워크(예 : WiFi)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장치(4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응답회신부(130)가 휴지상태 해제 요청에 따른 응답을 특정 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관리장치(400)로 회신함으로써, 송신장치(100) 및 관리장치(400) 간에 접속상태확인메시지(keep alive) 송수신 중단으로 인해 상태가 보장되지 않던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연결 유지/활성화된다.
이에 관리장치(400)는, 전술과 같이 동시 전송 서비스에 따른 송신장치(100)에 대한 트래픽 발생에 대응하여, 전송 대상 데이터를 분할하고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연결된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 즉 제1네트워크(예 : 3G) 및 제2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송신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400)는,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한 2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멀티통신부(410)와, 전송 대상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여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에 대응하여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특정 송신장치(100)로부터 트래픽 휴지 상태임이 수신되면, 송신장치(100)에 대응되는 상기 특정 네트워크에 대한 인터페이스 상태를 휴지상태로 전환하는 인터페이스상태관리부(420)와, 상기 동시 전송 서비스에 따른 부분데이터 송수신 발생 시,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나머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장치(100)로 상기 특정 네트워크에 대한 휴지상태 해제를 요청하는 해제요청부(430)를 포함한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400)는, 각 송신장치(400)와 연결된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유지/활성화되어 있음을 확인하기 위한 접속상태확인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상태유지 확인 동작을 수행하는 상태유지관리부(415)와, 전송 대상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여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부분데이터를 하나의 데이터로 결합/생성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동시전송서비스지원부(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멀티통신부(410)는, 각기 상이한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한 2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통신기능부이다. 예를 들어 2개의 네트워크를 언급하여 설명하면, 멀티통신부(410)는, 제1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제1통신부(412) 및 제2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제2통신부(41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통신부(412)는 제1네트워크를 통한 제1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로서, 예를 들면 3G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1네트워크장치(200)와 연동하기 위한 통신모듈일 수 있다.
제2통신부(414)는, 제2네트워크를 통한 제2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로서, 예를 들면 WiFi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2네트워크장치(300)와 연동하기 위한 통신모듈일 수 있다.
동시전송서비스부(440)는, 전송 대상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고 송신장치(100)와 연결된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Bro, WiFi, LTE 등)를 통해 부분데이터를 송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부분데이터를 하나의 데이터로 결합/생성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할 것이다.
즉, 동시전송서비스부(440)는, 업링크 과정에서, 3G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장치(100)로부터 송신된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하고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장치(100)로부터 송신된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여 일련의 결합 절차를 거쳐 원래의 데이터를 생성/복원할 것이다.
또한, 동시전송서비스부(440)는, 다운링크 과정에서, 전송 대상 데이터를 분할하여 제1부분데이터를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거쳐 3G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장치(100)로 송신하고 제2부분데이터를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거쳐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장치(100)로 송신할 것이다.
상태유지관리부(415)는, 연결된 각 송신장치(100)에 대응하여, 해당 송신장치(100)와 연결된 특정 네트워크(예 : WiFi) 인터페이스가 유지/활성화되어 있음을 확인하기 위한 접속상태확인메시지를 송수신함으로써, 상태유지 확인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상태유지관리부(415)는, 주기적으로 접속상태확인메시지(keep alive)를 발생/생성하여 이를 특정 네트워크(예 :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장치(100)로 송신하는 상태유지 확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태유지관리부(415)는, 송신장치(100)에서 발생/생성된 keep alive 메시지를 특정 네트워크(예 :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는 상태유지 확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상태관리부(420)는, 전술의 동시 전송 서비스에 대응하여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Bro, WiFi, LTE 등) 중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특정 송신장치(100)로부터 트래픽 휴지 상태임이 수신되면, 송신장치(100)에 대응되는 상기 특정 네트워크에 대한 인터페이스 상태를 휴지상태로 전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인터페이스상태관리부(420)는, 전술의 동시 전송 서비스에 대응하여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Bro, WiFi, LTE 등)를 통해 연결/접속된 각 송신장치(100)에 대응하여, 해당 송신장치(10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별 상태정보를 인지하여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장치(100)가 제1네트워크(예 : 3G) 및 제2네트워크(에 : WiFi)를 통해 접속/연결된 경우, 인터페이스상태관리부(420)는, 해당 송신장치(100)에 대응하여 3G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상태정보를 활성상태로서 관리하고,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상태정보를 활성상태로서 관리할 것이다.
이러한 인터페이스상태관리부(420)는, 송신장치(100)로부터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Bro, WiFi, LTE 등) 중 특정 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특정 네트워크(예 : WiFi)의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상태정보를 휴지상태로 전환 요청하는 터널휴지요청메시지가 수신되면, 송신장치(100)에 대응되는 특정 네트워크(예 : WiFi)에 대한 인터페이스 상태를 휴지상태로 전환한다.
즉, 인터페이스상태관리부(420)는, 송신장치(100)로부터 특정 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특정 네트워크(예 : WiFi)의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상태정보를 휴지상태로 전환 요청하는 터널휴지요청메시지(예 : WiFi_Tunnel Pause Request)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인터페이스상태관리부(420)는, 해당 송신장치(100)에 대응하여 관리하는 3G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상태정보 및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상태정보 중 터널휴지요청메시지(예 : WiFi_Tunnel Pause Request)에 따른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상태정보를 활성상태에서 휴지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인터페이스상태관리부(420)는,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상태정보 전환 후, 이에 대응하는 응답(예 : WiFi_Tunnel Pause Response)을 해당 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송신장치(100)로 회신할 수 있다.
이는, 송신장치(100)에 대한 동시 전송 서비스의 트래픽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기 설정된 아이들(idle)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휴지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전술의 상태유지관리부(415)는, 송신장치(100)로부터 터널휴지요청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또는 터널휴지요청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을 회신하여 송신장치(100)로부터 제공한 경우, 기 수행하고 있던 접속상태확인메시지 송수신 즉 상태유지 확인 동작을 중단/종료할 것이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예 :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태유지 확인 동작 즉 keep alive 송수신 동작을 중단/중지함에 따라, 송신장치(100)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 및 관리장치(400)의 성능 저하는 예방되지만, 반면 송신장치(100)에 대응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통한 네트워크(예 : WiFi) 인터페이스는, 기 정의된 인터페이스 유지 정책에 따라 연결이 끊어지거나 또는 pinhole이 유지되지 않을 수 있다.
해제요청부(430)는, 전술의 동시 전송 서비스에 따른 부분데이터 송수신 발생 시,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나머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장치(100)로 특정 네트워크에 대한 휴지상태 해제를 요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해제요청부(430)는, 송신장치(100)에 대한 동시 전송 서비스의 트래픽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기 설정된 아이들(idle)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휴지상태로 전환된 전술의 상태에서, 송신장치(100)에 대한 동시 전송 서비스에 따른 트래픽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해제요청부(430)는, 동시전송서비스지원부(440)에서 송신장치(100)에 대한 데이터를 외부장치(500)로부터 수신하여 동시 전송 서비스에 따른 다운링크를 통해 송신하고자 하는 경우, 즉 동시 전송 서비스에 대응하는 전송 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부분데이터를 특정 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송신장치(100)로 송신하고자 하는 경우를 동시 전송 서비스에 따른 트래픽 발생으로 인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제요청부(430)는, 전술의 판단 결과 송신장치(100)에 대한 동시 전송 서비스에 따른 트래픽이 발생하는 경우,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Bro, WiFi, LTE 등) 중 나머지 네트워크에서 연결상태 유지가 보장된다고 판단되는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선택한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장치(100)로 특정 네트워크(예 : WiFi)에 대한 터널휴지해제요청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해제요청부(430)는, 연결상태 유지가 보장된다고 판단되는 네트워크로서 Always on으로 유지되는 3G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3G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장치(100)로 휴지상태로 전환된 특정 네트워크(예 : WiFi)에 대한 터널휴지해제요청메시지(예 : WiFi_Tunnel Refresh Request)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송신장치(100)는 전술과 같이 터널휴지해제요청메시지에 따른 응답메시지(예 : WiFi_Tunnel Refresh Response)를 휴지상태의 특정 네트워크(예 : WiFi)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장치(400)로 제공할 것이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해제요청부(430)는, 전술의 판단 결과 송신장치(100)에 대한 동시 전송 서비스에 따른 트래픽이 발생하는 경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나머지 네트워크에서 연결상태 유지가 보장된다고 판단되는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장치(100)로 송신하는 다른 부분데이터에 특정 네트워크(예 : WiFi)에 대한 터널휴지 해제를 요청하는 요청데이터를 포함시켜 송신할 수 있다.
즉, 해제요청부(430)는, 연결상태 유지가 보장된다고 판단되는 네트워크로서 Always on으로 유지되는 3G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동시 전송 서비스에 따라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선택된 3G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장치(100)로 송신하는 부분데이터의 지정된 특정 필드에 휴지상태인 특정 네트워크(예 : WiFi)에 대한 터널휴지 해제를 요청하는 요청데이터를 포함시키도록 동시전송서비스지원부(440)에 요청 또는 명령할 수 있다.
이에, 동시전송서비스지원부(440)는, 동시 전송 서비스에 따라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휴지상태인 특정 네트워크 예 : WiFi)가 아닌 나머지 선택된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되는 부분데이터에 요청데이터를 포함시켜 송신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송신장치(100)는 전술과 같이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요청데이터에 따른 응답메시지(예 : WiFi_Tunnel Refresh Response)를 휴지상태의 특정 네트워크(예 : WiFi)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장치(400)로 제공할 것이다.
이처럼 송신장치(100)가 휴지상태 해제 요청에 따른 응답메시지를 특정 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관리장치(400)로 회신함으로써, 송신장치(100) 및 관리장치(400) 간에 keep alive 중단으로 인해 상태가 보장되지 않던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연결 유지/활성화된다.
더불어, 인터페이스상태관리부(420)는, 이처럼 송신장치(100)로부터 휴지상태의 특정 네트워크(예 : WiFi)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터널휴지 해제 요청에 대응하는 응답(예 : WiFi_Tunnel Refresh Response)이 회신되면, 해당 송신장치(100)에 대응하여 관리하는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상태정보를 휴지상태에서 활성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장치(400) 특히 동시전송서비스지원부(440)는, 전술과 같이 송신장치(100)에 대한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연결 유지/활성화되면, 동시 전송 서비스에 따른 송신장치(100)에 대한 트래픽 발생에 대응하여 전송 대상 데이터에서 분할한 부분데이터를 연결된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 즉 제1네트워크(예 : 3G) 및 제2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송신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 및 관리장치는, 송신장치(단말장치) 및 외부장치 간의 데이터 송수신에 대하여 데이터를 분할하고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환경에서, 트래픽 아이들 상태의 송신장치에 대한 상태유지 확인 동작(keep alive) 중단으로 인해 보장되지 않던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연결을 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예 : 3G)를 이용하여 유지/활성화시킴으로써, 송신장치의 불필요한 전력 낭비 및 관리장치의 성능 저하를 유발을 미연에 방지하면서도 송신장치 및 관리장치 간의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연결을 보장할 수 있어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한 동시 전송 서비스의 신뢰성 및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방법의 서비스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단말장치(100)는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Bro, WiFi, LTE 등)를 통해 관리장치(400)에 접속하여 동시 전송 서비스를 이용한다(S10).
즉, 업링크 과정에서, 단말장치(100)가 데이터를 분할하여 제1부분데이터를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거쳐 3G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하고 제2부분데이터를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거쳐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하면, 관리장치(400)가 3G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하고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여 일련의 결합 절차를 거쳐 원래의 데이터를 생성/복원할 것이다.
그리고, 관리장치(400)가 복원한 데이터를 해당되는 외부장치(500)로 전송할 것이다(S15).
한편, 다운링크 과정에서, 외부장치(500)로부터 단말장치(100)로 제공 요청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관리장치(400)가 데이터를 분할하여 제1부분데이터를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거쳐 3G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송신하고 제2부분데이터를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거쳐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송신하면, 단말장치(100)가 3G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하고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여 일련의 결합 절차를 거쳐 원래의 데이터를 생성/복원할 것이다.
이러한 단말장치(100)는, 동시 전송 서비스에 대응하여 트래픽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기 설정된 아이들(idle)시간이 경과하면,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Bro, WiFi, LTE 등) 중 특정 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동시 전송 서비스에 대응하여 트래픽 휴지 상태임을 관리장치(400)에 알린다(S20).
관리장치(4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트래픽 휴지 상태임이 수신되면, 단말장치(100)에 대응되는 특정 네트워크(예 : WiFi)에 대한 인터페이스 상태를 휴지상태로 전환한다(S30).
그리고,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장치는, 단말장치(100)와 관리장치(400) 간에 연결된 특정 네트워크(예 :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한 접속상태확인메시지(예 : keep alive)의 송수신 즉 상태유지 확인 동작을 중단/중지할 것이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예 :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태유지 확인 동작 즉 keep alive 송수신 동작을 중단/중지함에 따라, 단말장치(100)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 및 관리장치(400)의 성능 저하는 예방되지만, 반면 단말장치(100)에 대응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통한 네트워크(예 : WiFi) 인터페이스는, 기 정의된 인터페이스 유지 정책에 따라 연결이 끊어지거나 또는 pinhole이 유지되지 않을 수 있다.
이 후, 관리장치(400)는, 동시 전송 서비스에 따른 단말장치(100)에 대한 트래픽 발생 시, 예를 들면 외부장치(500)로부터 단말장치(100)로의 동시 전송 서비스에 따른 데이터를 수신하여 다운링크 동작 수행 시(S40),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Bro, WiFi, LTE 등) 중 나머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상기 특정 네트워크(예 : WiFi)에 대한 휴지상태 해제를 요청한다(S50).
이때, 관리장치(400)는, 일반적으로 단말장치(100)와의 Always on으로 유지되는 네트워크(예 : 3G)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인터페이스 상태가 휴지상태인 특정 네트워크(예 : WiFi)에 대한 휴지상태 해제를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단말장치(100)는, 전술과 같이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Bro, WiFi, LTE 등) 중 나머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예 : 3G)를 통해 상기 트래픽 휴지 상태를 보고한 특정 네트워크(예 : WiFi)에 대한 휴지상태 해제 요청이 수신되면, 휴지상태 해제 요청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를 특정 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관리장치(400)로 제공함으로써, 해당 특정 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한 부분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함을 관리장치(400)로 알릴 수 있다(S60).
이처럼 단말장치(100)가 휴지상태 해제 요청에 따른 응답을 연결이 끊어지거나 또는 pinhole이 유지되지 않을 우려가 있는 특정 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관리장치(400)로 회신함으로써,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 간에 keep alive 중단으로 인해 상태가 보장되지 않던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연결 유지/활성화된다.
이에 관리장치(400)는, 동시 전송 서비스에 따른 단말장치(100)에 대한 트래픽 발생에 대응하여, 전송 대상 데이터를 분할하고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예 : 3G 및 WiFi)를 통해 단말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S72,S74).
즉, 단말장치(100) 및 외부장치(500) 간의 데이터 송수신에 대하여,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 간에 하나의 데이터를 분할하고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복수개의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Bro, WiFi, LTE 등)를 통해 를 사용하여 송신하고, 수신된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원래의 데이터를 복원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실행할 것이다(S70).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송 대상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고 관리장치(400)와 연결된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Bro, WiFi, LTE 등)를 통해 부분데이터를 송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부분데이터를 하나의 데이터로 결합/생성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실행한다(S100).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의 동시 전송 서비스에 대응하여 트래픽 아이들(Idle)상태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S110).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의 동시 전송 서비스에 대응하는 트래픽이 발생하지 않으면, 관리장치(400)와 연결된 특정 네트워크(예 : WiFi) 인터페이스가 유지/활성화되어 있음을 확인하기 위한 상태유지 확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주기적으로 접속상태확인메시지(keep alive)를 발생/생성하여 이를 특정 네트워크(예 :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장치(400)로 송신하는 상태유지 확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관리장치(400)에서 발생/생성된 keep alive 메시지를 특정 네트워크(예 :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는 상태유지 확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의 동시 전송 서비스에 대응하여 트래픽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기 설정된 아이들(idle)시간이 경과하지 않으면, 아직 트래픽 아이들(Idle)상태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전술의 상태유지 동작을 지속할 것이다(S115).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의 동시 전송 서비스에 대응하여 트래픽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기 설정된 아이들(idle)시간이 경과하면, 트래픽 아이들(Idle)상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Bro, WiFi, LTE 등) 중 특정 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상기 동시 전송 서비스에 대응하여 트래픽 휴지 상태임을 알린다(S120).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특정 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특정 네트워크(예 : WiFi)의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상태정보를 휴지상태로 전환 요청하는 터널휴지요청메시지(예 : WiFi_Tunnel Pause Request)를 관리장치(4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전술과 같이 관리장치(400)는, 터널휴지요청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송신장치(100)에 대응되는 특정 네트워크(예 : WiFi)에 대한 인터페이스 상태를 휴지상태로 전환할 것이며, 이에 대응하는 응답(예 : WiFi_Tunnel Pause Response)을 해당 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송신장치(100)로 회신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과 같이 동시 전송 서비스에 대응하여 트래픽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기 설정된 아이들(idle)시간이 경과한 경우, 또는 터널휴지요청메시지를 관리장치(400)로 제공한 경우, 또는 터널휴지요청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이 관치장치(400)로부터 회신된 경우, 기 수행하고 있던 접속상태확인메시지의 송수신 즉 상태유지 확인 동작을 중단/종료할 것이다(S130).
이와 같이 네트워크(예 :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태유지 확인 동작 즉 keep alive 송수신 동작을 중단/중지함에 따라, 송신장치(100)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 및 관리장치(400)의 성능 저하는 예방되지만, 반면 송신장치(100)에 대응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통한 네트워크(예 : WiFi) 인터페이스는, 기 정의된 인터페이스 유지 정책에 따라 연결이 끊어지거나 또는 pinhole이 유지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관리장치(400)로부터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Bro, WiFi, LTE 등) 중 나머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트래픽 휴지 상태를 보고한 특정 네트워크(예 : WiFi)에 대한 휴지상태 해제 요청이 수신되면(S140), 이에 대응하는 응답메시지를 특정 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관리장치(400)로 회신함으로써 특정 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한 부분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함을 알릴 수 있다(S150).
보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관리장치(400)로부터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Bro, WiFi, LTE 등) 중 나머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바람직하게는 Always on으로 유지되는 네트워크(예 : 3G)를 통해 휴지상태로 전환된 특정 네트워크(예 : WiFi)에 대한 터널휴지해제요청메시지(예 : WiFi_Tunnel Refresh Request)를 수신할 수 있다(S140).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터널휴지해제요청메시지에 따른 응답메시지(예 : WiFi_Tunnel Refresh Response)를 휴지상태의 특정 네트워크(예 : WiFi)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장치(400)로 제공할 수 있다(S150).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에서는, 휴지상태 해제 요청에 따른 응답메시지를 특정 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관리장치(400)로 회신함으로써, 송신장치(100) 및 관리장치(400) 간에 keep alive 중단으로 인해 상태가 보장되지 않던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연결 유지/활성화된다.
이에 관리장치(400)는, 전술과 같이 동시 전송 서비스에 따른 송신장치(100)에 대한 트래픽 발생에 대응하여, 전송 대상 데이터를 분할하고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연결된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 즉 제1네트워크(예 : 3G) 및 제2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송신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관리장치(400)로부터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Bro, WiFi, LTE 등) 중 나머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바람직하게는 Always on으로 유지되는 네트워크(예 : 3G)를 통해 수신되는 부분데이터에서 휴지상태로 전환된 특정 네트워크(예 : WiFi)에 대한 터널휴지 해제를 요청하는 요청데이터를 인지할 수 있다(S140).
즉,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동시 전송 서비스에 대응하여 관리장치(400)로부터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Bro, WiFi, LTE 등)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예 : 3G)를 통해 부분데이터가 수신되면, 부분데이터의 지정된 필드에 특정 요청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부분데이터의 지정된 필드에 특정 요청데이터가 존재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해당 요청데이터 즉 특정 네트워크(예 : WiFi)에 대한 터널휴지 해제를 요청하는 요청데이터를 부분데이터로부터 인지하게 된다.
이에 부분데이터로부터 특정 네트워크(예 : WiFi)에 대한 터널휴지 해제를 요청하는 요청데이터가 인지되면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요청데이터에 따른 응답메시지를 특정 네트워크(예 : WiFi)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장치(400)로 제공할 수 있다(S150).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요청데이터에 따른 응답메시지(예 : WiFi_Tunnel Refresh Response)를 휴지상태의 특정 네트워크(예 : WiFi)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장치(4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에서는 휴지상태 해제 요청에 따른 응답메시지를 특정 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관리장치(400)로 회신함으로써, 송신장치(100) 및 관리장치(400) 간에 keep alive 중단으로 인해 상태가 보장되지 않던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연결 유지/활성화된다.
이에 관리장치(400)는, 전술과 같이 동시 전송 서비스에 따른 송신장치(100)에 대한 트래픽 발생에 대응하여, 전송 대상 데이터를 분할하고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연결된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 즉 제1네트워크(예 : 3G) 및 제2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송신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연결/접속된 송신장치(100)에 대응하여 전송 대상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고 송신장치(100)와 연결된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Bro, WiFi, LTE 등)를 통해 부분데이터를 송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수신되는 부분데이터를 하나의 데이터로 결합/생성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한다(S200).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연결된 각 송신장치(100)에 대응하여, 해당 송신장치(100)와 연결된 특정 네트워크(예 : WiFi) 인터페이스가 유지/활성화되어 있음을 확인하기 위한 접속상태확인메시지 송수신 즉 상태유지 확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주기적으로 keep alive 메시지를 발생/생성하여 이를 특정 네트워크(예 :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장치(100)로 송신하는 상태유지 확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송신장치(100)에서 발생/생성된 keep alive 메시지를 특정 네트워크(예 :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는 상태유지 확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의 동시 전송 서비스에 대응하여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Bro, WiFi, LTE 등) 중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특정 송신장치(100)로부터 트래픽 휴지 상태임이 수신되면(S210), 송신장치(100)에 대응되는 상기 특정 네트워크에 대한 인터페이스 상태를 휴지상태로 전환한다(S220).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의 동시 전송 서비스에 대응하여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Bro, WiFi, LTE 등)를 통해 연결/접속된 각 송신장치(100)에 대응하여, 해당 송신장치(10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별 상태정보를 인지하여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장치(100)가 제1네트워크(예 : 3G) 및 제2네트워크(에 : WiFi)를 통해 접속/연결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해당 송신장치(100)에 대응하여 3G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상태정보를 활성상태로서 관리하고,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상태정보를 활성상태로서 관리할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송신장치(100)로부터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Bro, WiFi, LTE 등) 중 특정 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특정 네트워크(예 : WiFi)의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상태정보를 휴지상태로 전환 요청하는 터널휴지요청메시지가 수신되면, 송신장치(100)에 대응되는 특정 네트워크(예 : WiFi)에 대한 인터페이스 상태를 휴지상태로 전환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송신장치(100)로부터 특정 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특정 네트워크(예 : WiFi)의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상태정보를 휴지상태로 전환 요청하는 터널휴지요청메시지(예 : WiFi_Tunnel Pause Request)를 수신할 수 있다(S210).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해당 송신장치(100)에 대응하여 관리하는 3G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상태정보 및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상태정보 중 터널휴지요청메시지(예 : WiFi_Tunnel Pause Request)에 따른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상태정보를 활성상태에서 휴지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S220).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상태정보 전환 후, 이에 대응하는 응답(예 : WiFi_Tunnel Pause Response)을 해당 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송신장치(100)로 회신할 수 있다.
이는, 송신장치(100)에 대한 동시 전송 서비스의 트래픽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기 설정된 아이들(idle)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휴지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송신장치(100)로부터 터널휴지요청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또는 터널휴지요청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을 회신하여 송신장치(100)로부터 제공한 경우, 기 수행하고 있던 접속상태확인메시지 송수신 즉 상태유지 확인 동작을 중단/종료할 것이다(S230).
이와 같이 네트워크(예 :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태유지 확인 동작 즉 keep alive 송수신 동작을 중단/중지함에 따라, 송신장치(100)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 및 관리장치(400)의 성능 저하는 예방되지만, 반면 송신장치(100)에 대응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통한 네트워크(예 : WiFi) 인터페이스는, 기 정의된 인터페이스 유지 정책에 따라 연결이 끊어지거나 또는 pinhole이 유지되지 않을 수 있다.
이 후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의 동시 전송 서비스에 따른 부분데이터 송수신 발생 시(S240),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나머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장치(100)로 특정 네트워크에 대한 휴지상태 해제를 요청한다(S250).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송신장치(100)에 대한 동시 전송 서비스의 트래픽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기 설정된 아이들(idle)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휴지상태로 전환된 전술의 상태에서, 송신장치(100)에 대한 동시 전송 서비스에 따른 트래픽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40).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송신장치(100)에 대한 데이터를 외부장치(500)로부터 수신하여 동시 전송 서비스에 따른 다운링크를 통해 송신하고자 하는 경우, 즉 동시 전송 서비스에 대응하는 전송 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부분데이터를 특정 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송신장치(100)로 송신하고자 하는 경우를 동시 전송 서비스에 따른 트래픽 발생으로 인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S240단계의 판단 결과 송신장치(100)에 대한 동시 전송 서비스에 따른 트래픽이 발생하는 경우, 2 이상의 네트워크(예 : 3G, WiBro, WiFi, LTE 등) 중 나머지 네트워크에서 연결상태 유지가 보장된다고 판단되는 네트워크 바람직하게는 Always on으로 유지되는 3G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선택한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장치(100)로 특정 네트워크(예 : WiFi)에 대한 터널휴지해제요청메시지(예 : WiFi_Tunnel Refresh Request)를 제공할 수 있다(S250).
이에, 송신장치(100)는 전술과 같이 터널휴지해제요청메시지에 따른 응답메시지(예 : WiFi_Tunnel Refresh Response)를 휴지상태의 특정 네트워크(예 : WiFi)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장치(400)로 제공할 것이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S240단계의 판단 결과 송신장치(100)에 대한 동시 전송 서비스에 따른 트래픽이 발생하는 경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나머지 네트워크에서 연결상태 유지가 보장된다고 판단되는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장치(100)로 송신하는 다른 부분데이터에 특정 네트워크(예 : WiFi)에 대한 터널휴지 해제를 요청하는 요청데이터를 포함시켜 송신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S250).
즉,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동시 전송 서비스에 따라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휴지상태가 아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할 부분데이터, 바람직하게는, Always on으로 유지되는 네트워크(예 : 3G)를 통해 송신장치(100)로 송신하는 부분데이터의 지정된 특정 필드에 휴지상태인 특정 네트워크 예 : WiFi)에 대한 터널휴지 해제를 요청하는 요청데이터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동시 전송 서비스에 따라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휴지상태인 특정 네트워크 예 : WiFi)가 아닌 나머지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되는 부분데이터에 요청데이터를 포함시켜 송신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송신장치(100)는 전술과 같이 부분데이터에 포함된 요청데이터에 따른 응답메시지(예 : WiFi_Tunnel Refresh Response)를 휴지상태의 특정 네트워크(예 : WiFi)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장치(400)로 제공할 것이다.
이처럼 송신장치(100)가 휴지상태 해제 요청에 따른 응답을 특정 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관리장치(400)로 회신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휴지상태의 특정 네트워크(예 : WiFi)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장치(100)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하게 된다(S260).
이에, 송신장치(100) 및 관리장치(400) 간에 keep alive 중단으로 인해 상태가 보장되지 않던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연결 유지/활성화된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이처럼 송신장치(100)로부터 휴지상태의 특정 네트워크(예 : WiFi)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터널휴지 해제 요청에 대응하는 응답(예 : WiFi_Tunnel Refresh Response)이 회신되면, 해당 송신장치(100)에 대응하여 관리하는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상태정보를 휴지상태에서 활성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S270).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과 같이 송신장치(100)에 대한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연결 유지/활성화되면, 동시 전송 서비스에 따른 송신장치(100)에 대한 트래픽 발생에 대응하여 전송 대상 데이터에서 분할한 부분데이터를 연결된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 즉 제1네트워크(예 : 3G) 및 제2네트워크(예 : WiFi)를 통해 송신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S27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 및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송신장치(단말장치) 및 외부장치 간의 데이터 송수신에 대하여 데이터를 분할하고 복수개의 이기종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환경에서, 트래픽 아이들 상태의 송신장치에 대한 상태유지 확인 동작(keep alive) 중단으로 인해 보장되지 않던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연결을 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예 : 3G)를 이용하여 유지/활성화시킴으로써, 송신장치의 불필요한 전력 낭비 및 관리장치의 성능 저하를 유발을 미연에 방지하면서도 송신장치 및 관리장치 간의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연결을 보장할 수 있어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한 동시 전송 서비스의 신뢰성 및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기술적으로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연결되며, 그 결과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포함될 수 있다. ASIC은 사용자단말장치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단말장치 내에 개별적인 컴포넌트들로서 포함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 및 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동시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환경에서, 트래픽 아이들 상태의 송신장치에 대한 상태유지 확인 동작(keep alive) 중단으로 인해 보장되지 않던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연결을 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예 : 3G)를 이용하여 유지/활성화시킴으로써, 송신장치의 불필요한 전력 낭비 및 관리장치의 성능 저하를 유발을 미연에 방지하면서도 송신장치 및 관리장치 간의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연결을 보장할 수 있어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한 동시 전송 서비스의 신뢰성 및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단말장치
110 : 멀티통신부
115 : 상태유지부
120 : 응답회신부
130 : 동시전송서비스부

Claims (11)

  1.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한 2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멀티통신부;
    전송 대상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여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관리장치로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동시 전송 서비스에 대응하여 트래픽 휴지 상태임을 알리는 상태알림부; 및
    상기 관리장치로부터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나머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트래픽 휴지 상태를 보고한 상기 특정 네트워크에 대한 휴지상태 해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휴지상태 해제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통한 부분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함을 알리는 응답회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 전송 서비스에 대응하여 트래픽 휴지 상태임을 알리면, 상기 송신장치와 상기 관리장치 간에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통한 접속상태확인메시지의 송수신을 중단하는 상태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알림부는,
    상기 동시 전송 서비스에 대응하여 부분데이터가 송수신되지 않은 상태로 기 설정된 아이들(idle)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동시 전송 서비스에 대응하여 트래픽 휴지 상태임을 상기 관리장치에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회신부는,
    상기 관리장치로부터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나머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부분데이터에서 상기 특정 네트워크에 대한 터널휴지 해제를 요청하는 요청데이터가 인지되면, 상기 요청데이터에 따른 응답메시지를 상기 특정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관리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통한 부분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함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5.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한 2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멀티통신부;
    전송 대상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여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에 대응하여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특정 송신장치로부터 트래픽 휴지 상태임이 수신되면, 상기 송신장치에 대응되는 상기 특정 네트워크에 대한 인터페이스 상태를 휴지상태로 전환하는 인터페이스상태관리부; 및
    상기 동시 전송 서비스에 따른 부분데이터가 발생하면,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나머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송신장치로 상기 특정 네트워크에 대한 휴지상태 해제를 요청하는 해제요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장치에 대응되는 상기 특정 네트워크에 대한 인터페이스 상태를 휴지상태로 전환하면, 상기 송신장치와 상기 관리장치 간에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통한 접속상태확인메시지의 송수신을 중단하는 상태유지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요청부는,
    상기 동시 전송 서비스에 대응하는 전송 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부분데이터를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송신장치로 송신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나머지 네트워크에서 연결상태 유지 확률이 가장 높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송신장치로 상기 특정 네트워크에 대한 터널휴지해제요청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장치.
  8. 전송 대상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여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관리장치로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동시 전송 서비스에 대응하여 트래픽 휴지 상태임을 알리는 상태 알림단계; 및
    상기 관리장치로부터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나머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트래픽 휴지 상태를 보고한 상기 특정 네트워크에 대한 휴지상태 해제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휴지상태 해제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통한 부분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함을 알리는 해제요청 응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
  9. 전송 대상 데이터를 2 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여 2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하는 동시 전송 서비스에 대응하여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특정 송신장치로부터 트래픽 휴지 상태임이 수신되면, 상기 송신장치에 대응되는 상기 특정 네트워크에 대한 인터페이스 상태를 휴지상태로 전환하는 인터페이스상태 전환단계; 및
    상기 동시 전송 서비스에 따른 부분데이터가 발생하면,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나머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송신장치로 상기 특정 네트워크에 대한 휴지상태 해제를 요청하는 해제 요청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장치에 대응되는 상기 특정 네트워크에 대한 인터페이스 상태를 휴지상태로 전환하면, 상기 송신장치와 상기 관리장치 간에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통한 접속상태확인메시지의 송수신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요청단계는,
    상기 동시 전송 서비스에 대응하는 전송 대상 데이터에서 분할된 2 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부분데이터를 상기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송신장치로 송신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2 이상의 네트워크 중 나머지 네트워크에서 연결상태 유지 확률이 가장 높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송신장치로 상기 특정 네트워크에 대한 터널휴지해제요청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10077330A 2011-08-03 2011-08-03 송신장치 및 관리장치와 그 장치의 동작 방법 KR101207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330A KR101207031B1 (ko) 2011-08-03 2011-08-03 송신장치 및 관리장치와 그 장치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330A KR101207031B1 (ko) 2011-08-03 2011-08-03 송신장치 및 관리장치와 그 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7031B1 true KR101207031B1 (ko) 2012-11-30

Family

ID=47565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7330A KR101207031B1 (ko) 2011-08-03 2011-08-03 송신장치 및 관리장치와 그 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70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9333A (ko) * 2018-05-10 2019-11-2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
KR20200023616A (ko) * 2020-02-21 2020-03-0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437B1 (ko) 2003-01-09 2007-03-02 이에이디에스 시큐어 네트웍스 오와이 통신 시스템의 용량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437B1 (ko) 2003-01-09 2007-03-02 이에이디에스 시큐어 네트웍스 오와이 통신 시스템의 용량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9333A (ko) * 2018-05-10 2019-11-2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
KR102082494B1 (ko) * 2018-05-10 2020-02-2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
KR20200023616A (ko) * 2020-02-21 2020-03-0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
KR102172322B1 (ko) * 2020-02-21 2020-10-3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53068B2 (ja) D2d信号伝送用の資源割当方法と装置
TWI504293B (zh) 負載平衡之方法、使用者設備及存取節點
RU2517373C2 (ru) Способ переключения основного/резервного контроллеров узла на основе сети доставки контента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ая сеть доставки контента
US11963148B2 (en) User equipment operating mode control
EP1647152B1 (en)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 for enabling wireless presence-based services
US10893504B2 (en) Paging method and apparatus
EP3496432B1 (en) Efficient multicast transmission
CN110290561B (zh) 一种本地业务的发送方法及网络设备
RU2547144C1 (ru) Способ связи, сет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связи для сети с несколькими rat
CN101764816A (zh) 一种数据的传输方法及装置
US2019003738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solution
KR102415208B1 (ko) V2x 서비스뿐만 아니라 v2x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엔티티, 네트워크, 및 사용자 장비
JP2018506910A (ja) ランダムアクセス方法、端末、および基地局
JP2013527692A (ja) ネットワーク管理システムにおいてエネルギー節約を管理するための方法、デバイス、およびシステム
KR102434673B1 (ko) 구독 메시지의 처리 방법, 장치, 컴퓨터 장치 및 저장 매체
JP2019508958A (ja) Ueコンテキスト情報を再開する方法、デバイス及びシステム
KR20190118647A (ko) 정보 처리 방법, 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및 전자 기기
JP2021502726A (ja) 端末デバイスの能力制限方法、端末デバイス及び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
KR101207031B1 (ko) 송신장치 및 관리장치와 그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271538B1 (ko) 메시지 송신 방법 및 디바이스
CN103493399A (zh) 用于利用两个或更多个网络的同时数据传输服务的设备和方法
CN112752326A (zh) 一种网络切片管理方法及装置
KR101308568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03030A (ko) 단말 컨텍스트를 릴리스하는 통지 방법, 네트워크 장치 및 컴퓨터 저장 매체
KR101562786B1 (ko)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8